스포츠 외교2011. 7. 14. 11:28
지구촌 저 너머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승전보의 낭보가 있게끔 해준 평창2018유치대표단의 IOC총회 최종 프레젠테이션 내용에는 그 무언가가 있다.
평창의 더반대첩의 승리의 숨결이 느껴지는 프레젠테이션 내용의 면모를 소개한다.
오늘은 프레젠터 8명 중 나승연 대변인의 대본(Script)를 소개한다.

  
 

스피치 1. 나승연 대변인 (4:10)

로게 위원장님, IOC위원 여러분, 신사숙녀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저는 평창 2018의 유치위원회의 대변인 나승연입니다.



저는 남아프리카 스포츠 연합과 올림픽위원회의 샘 기데온 위원장님과 터비 레디 CEO, 제123회 IOC총회의 조직위원회 및 아름다운 도시 더반의 국민들께 환대해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IOC 위원인 샘 램사미님께도 감사드리고 그의 아름다운 고향인 더반에 대해 찬사를 드립니다.


오늘 저와 함께할 멤버들은

이명박 대한민국 대통령

조양호 평창유치위원회 위원장

최문순 강원도지사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진선 특임대사

박용성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윤석용 대한장애인올림픽위원회 위원장

김연아 2010 밴쿠버 올림픽 챔피언

PT 1. Theresa Rah (4:10)

President Jacques Rogge, distinguished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ladies and gentlemen.

Good afternoon, my name is Theresa Rah and I am the Communications Director for PyeongChang 2018.


We would like to thank President Gideon Sam and CEO Tubby Reddy of the South African Sports Confederation and Olympic Committee, the Organizers of the 123rd IOC Session and the beautiful city of Durban for their hospitality this week. We would also like to recognize Mr. Sam Ramsamy, IOC member South Africa, and congratulate him on his beautiful hometown of Durban.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members of our team here today:

Mr. Lee Myung-bak - President, Republic of Korea

Mr. Y H Cho - Chairman & CEO, PyeongChang 2018

Mr. Moon-Soon Choi - Governor, Gangwon Province

Mr. Byoung Gug Choung, Minister of Culture and Sports

Mr. Jin-sun Kim - Special Ambassador, PyeongChang 2018

Mr. Y S Park, President, Korean Olympic Committee

Mr. Seok-Yong Yoon, President, Korean Paralympic Committee

Ms. Yu-na Kim, Vancouver 2010 Olympic Champion

토비 도슨 2006 토리노올림픽 동메달리스트

이건희 IOC 위원

문대성 IOC 위원입니다.


올림픽 무브먼트에 새로이 합류하게 된 저로서 지난 몇 달간 유치에 참여하고 여러분을 뵐 수 있게 되어 새로운 배움의 경험이었습니다.


올림픽대회의 매력과 장엄함, 올림픽 가치의 불변의 지혜, 조직위원회의 결속력 및 동지애 같은 요소들은 진정으로 특별한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저는 또한 좀더 흥미로운 점들을 배웠습니다. 바로 올림픽 무브먼트에게 있어 단어들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단어들은 우리에게 영감을 줄 수 있고, 불가능해 보이는 것들을 믿도록 하는 힘도 있습니다.


10년 전, 많은 사람들은 한국이 동계 스포츠를 주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두 번의 유치 실패 이후, 우리 역시 불가능 하다고 믿을 뻔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가능하다고 믿었습니다.


Mr. Toby Dawson, Torino 2006 Bronze Medalist

Mr. Kun-Hee Lee, IOC Member, Korea

Mr. Dae Sung Moon, IOC Member, Korea


For someone like me who is new to the Olympic Movement, working on this bid and meeting with you over these past months has been an extraordinary learning experience.


The beauty and majesty of the Olympic Games, the eternal wisdom of the Olympic values and the solidarity and fraternity that the IOC itself represents is truly unique outside of the Olympic Movement.


I have also learned something else quite interesting: words are very important in the Olympic Movement.


Words can inspire us to take action, and they can even make us believe in the seemingly impossible.


Ten years ago, many people thought hosting the Winter Games in Korea was impossible.


And after our previous bids, we could have been tempted to believe that as well.


But we didn't.

매번 실망한 후에, 우리는 다시 털고 일어나 다시 재정비하고, 여러분의 말씀에 귀 기울였으며 실수를 통해 교훈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재도전했습니다.


이러한 역경을 이겨내기 위해, 우리는 두 개의 중요한 단어에만 집중했습니다. 바로 끈기와 인내심이었습니다.


이 두 단어는 스포츠에도 중요한 단어이지만, 한국 문화에도 깊게 새겨져 있습니다. 지난 60년 동안 이 단어들은 우리 국가 및 사람들에게 더 나은 미래에 대한 믿음과 희망을 가져다주었습니다.


평창 2018을 준비하는 우리의 New Horizons 이라는 비전 또한 희망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올림픽 무브먼트를 홍보하고 동계 스포츠가 더욱 발전하여 전 세계 새로운 지역에 알려질 수 있도록... 예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가능성의 유산을 남기는 것입니다.


오늘 여러분의 지지를 받기 위해, 우리는 평창 2018이 단지 한국만이 아닌, 올림픽 무브먼트에게 명확한 혜택을 선사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평창 2018은 예전에나 지금이나, 한국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After each disappointment, we got up; we dusted ourselves off, we listened to you and learned from our mistakes - and we tried again.


To get through these challenges, we focused on two important words - persistence and patience.


These two words are vital to sport, but they are also deeply embedded in Korean culture. For over 60 years, these two words have provided our nation and its people with a belief in, and hope for, a brighter future.


Our vision for PyeongChang 2018, which we call New Horizons, is also about hope.


We want to promote the Olympic Movement and to help grow winter sport to new regions of the world…to leave a legacy of new potential like never before.


To earn your support here today, we know that PyeongChang 2018 has to express a clear benefit to the Olympic Movement, not just to Korea.


PyeongChang 2018 is not, nor has it ever been, just about Korea.






우리의 꿈은 전 세계 곳곳에 동계 스포츠의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는 지역의 선수들이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에 참가하는 모습을 보고 싶습니다. 심지어 평창마저도.


우리는 그것이 아주 커다란 꿈이라는 걸 알고 있습니다.


올림픽 무브먼트는 우리 모두에게 큰 꿈을 꿀 것을 요구하고, 여러분이 오늘 도와주신다면 평창 2018은 도전을 맞이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감사하다는 말씀드리며, 평창 2018의 조양호 위원장님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Our dream is to inspire athletes from new regions and to see them participating in future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hopefully, even in PyeongChang.


We know that's a big dream.


But the Olympic Movement demands big dreams of all of us, and PyeongChang 2018 is ready to meet the challenge, with your support, here today.


Thank you, and now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Chairman and CEO of PyeongChang 2018, Mr. Y H Cho.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14. 11:22
지구촌 저 너머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승전보의 낭보가 있게끔 해준 평창2018유치대표단의 IOC총회 최종 프레젠테이션 내용에는 그 무언가가 있다.
평창의 더반대첩의 승리의 숨결이 느껴지는 프레젠테이션 내용의 면모를 소개한다.


  

<더반 IOC총회 PT 구성내용>


 [PT 개요]

  ❍ 기간․장소 : 2011. 7. 6 ~ 7. 9(4일간), 남아공 더반(국제컨벤션센터)

     ※ 후보도시(평창) PT : 7.6(수), 12:05~13:15(현지 시각)

  ❍ PT시간 : 45분(질의응답 15분)

  ❍ 프리젠터 : 8명  배석 : 강원도지사, 문화부장관, KPC위원장, 이건희 IOC위원 

 [PT 순서]

     1) 나승연 대변인, 
     2) 조양호 위원장, 
     3) VIP, 
     4) 김진선 특임대사, 
     5) 김연아 선수,

     6) 문대성 IOC위원, 
     7) 박용성 KOC위원장, 
     8) 토비 도슨 


[PT 흐름]

•영상 1 (230)

한국의 동계스포츠에 대한 열정

 

 

 

PT 1 (410)

소개, New Horizons의 메시지 ‘희망’

나승연 대변인

 

 

PT 2 (315)

단결된 팀, 믿어야하는 5가지 이유

양호 위원장

 

 

PT 3 (300)

정부 보증 및 지원

VIP

 

 

PT 4 (300)

약속 이행

김진선 특임대사

 

 

PT 5 (300)

성과를 부른 희망, 인류 유산

김연아 선수

 

 

•영상 2 (400)

태크니컬 계획

 

 

 

PT 6 (300)

모두를 위한 대회

문대성 IOC위원

 

 

PT 7 (300)

  영상 3 (200)

레거시 및 국민지지, Drive the Dream

Best of Both Worlds 영상 소개

박용성 KOC위원장

 

 

PT 8 (430)

타국에서 더 이상 훈련할 필요가 없는 ‘New Horizons'

토비 도슨

 

 

PT 9 (445)

마무리

나승연 대변인

 

 

• 영상 4 (300)

New Horizons Portrait

※ 영상 후, 위원장 맺음말

 


<더반 IOC총회 PT 구성내용>




 

구성

프리젠터

시간

             

Film1

Heroes

-

2'30"

▪ 동계스포츠에 대한 열정

▪ 한국 동계스포츠 선수들의 발전과 성과

PT1

소개와 "New Horizons"의 메시지 ‘희망’

나승연 대변인

4'10"

▪ 간략한 인사

▪ 커뮤니케이션 디렉터임을 소개

▪ 팀 소개

▪ 인내와 끈기는 우리 유치위원회의 핵심

New Horizons을 ‘희망’의 주제로 자리매김

▪ 위원장 소개

PT2

단결된 팀, 하나의 목적과 믿어야하는 5가지 이유

위원장

3'15"

▪ 뮌헨, 안시 캠페인에 대한 감사와 축하

▪ 유치위원회, KOC, 정부의 통합된 리더십

▪ 우리의 비전은 명확하고 특별함

▪ 평창을 믿어야하는 5가지 이유

  - 가장 컴팩트하고 효율적인 베뉴 플랜

  - 전폭적인 정부의 보증 및 지원

  - 국민지지

  - 약속 이행

  - IOC Good Partner

▪ 대통령 소개

PT3

정부 보증 및 지원

VIP

3'00"

IOC에 대한 칭찬

  - 올림픽은 하나의 국가를 발전시키는 힘이 있음

개인적으로 FINA를 통해 스포츠와 관련 있음을 강조

평창의 동계올림픽 유치는 국가의 최우선 과제

PT4

약속 이행

김진선

특임대사

3'00"

▪ 개인 소개

▪ 두 번의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고 재도전

▪ 이행된 약속들

  - 알펜시아 리조트 완공($14억 투자)

  - 고속철도, 드림프로그램

▪ 올림픽 개최를 위한 변하지 않은 우리의 열정

김연아 선수 소개

PT5

성과를 부른 희망,

인적 유산

김연아

선수

3'00"

▪ 스포츠의 개인적 의미(역사를 새로 쓰는 것)

▪ 개인적 관점에서의 스포츠와 피겨스케이팅

Drive the Dream의 중요성(본인이 산 증인)

▪ 평창2018이 전 세계에 의미하는 것

▪ 희망이란 성공과 성취의 가능성을 뜻함

▪ 테크니컬 필름 소개

 





 

구성

프리젠터

시간

             

Film2

테크니컬 계획

-

4'00"

▪ 컴팩트하고 효율적인 플랜

2개의 클러스터, 2개의 선수촌

▪ 축하공원(올림픽 타운)

  - 라이브 사이트와 메달 플라자

IOC 호텔

MMC

PT6

모두를 위한 대회

(Games for all)

문대성

IOC위원

3'00"

▪ 선수들의 이동시간 단축에 집중

▪ 핵심의 차별화(과제 완수)

▪ 이동시간 단축 - 풍부한 경험

▪ 선수들을 위한 선수촌

▪ 패럴림픽 플랜

KOC위원장 소개

PT7

Film3

레거시 및 국민지지, Drive the Dream, Best of Both Worlds

KOC

위원장

1'30"

2'00"

1'30"

▪ 로잔에서의 개인적 소감

▪ 국민지지

▪ 평창에서는 모두를 위한 것이 제공

Best of Both Worlds 영상 소개(2:00)

Drive the Dream 추진

▪ 토비 도슨 소개

PT8

'New Horizons'의 뜻은 더 이상 동계선수들이 타국에서 연습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

토비 도슨

4'30"

▪ 한국 태생이지만 미국 올림피언

어릴적 한국에서 올림피언이 될 기회가 없었음

▪ 한국과 아시아의 어린이들은 그가 미국에서

  가졌던 기회를 똑같이 가져야 함

평창2018이 제시하는 New Horizons은 어린이들에게

  한국에서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그의 여정을 ‘희망’과 연결

IOC위원들에게 감사 인사

나승연 대변인 소개

PT9

마무리

나승연

대변인

4'45"

▪ 토비에게 감사

  - New Horizons과 토비 성공담 연결

▪ 뿌리와 새싹 비교

▪ 유럽에서는 4, 아시아는 2번 개최

▪ 사뽀로와 나가노 언급을 통한 아시아의 관리

  필요성, 평창이 해야하는 역할 소개

New Horizons은 성취하고 성공한다는 희망과

  관련된 이야기

▪ 올림픽 무브먼트는 희망이며 꿈을 이루는 것

▪ 감사 및 마지막 필름 소개

Film4

New Horizons

Portrait

-

3'00"

▪ 로잔보다 더 넓고 깊은 버전의 ‘Portrait'

※ 영상 상영 후, 모두 단상 앞에 집결

조양호 위원장 - 로게 위원장님, 이것으로

   우리의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13. 15:43
평창은 이제 더반에서의 승리 만족감에서 벗어나 냉철한 국제적 현실에 대비하여야 한다.
오는 8월 26일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앞서 개최되는 IOC집행위원회와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와의 연석회의 후 8월29일 경 IOC대표단이 평창을 방문하여 상견례 겸 평창조직관련 사전조율성 방문이 예상된다.
올림픽유치단계에서는 "순한 양"으로 IOC의 지침에 무조건 맹종하였지만  이제는 평창은 2018년 동계올림픽조직의 주최이며 IOC의 파트너다.
따라서 더 이상 IOC에 종속적으로 순종하기 보다는 국익과 실리를 꼼꼼히 따져 주도권을 챙겨야 한다.
물론 IOC와 체결한 개최도시협약서(Host City Contract)내용은 충실히 준수해야 하지만 그 계약서내용을 다시 한번 주도면밀히 검토하여 대비하여야 함은 불문가지다.



[준비된 평창, 성공의 길-5. 전문가 좌담//국민일보:2011.7.13일자] “유치과정 IOC 눈치봤지만 마케팅은 주도권 잡아야”

 

 


지난 7일(한국시간) 강원도 평창이 삼수 끝에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권을 따냈다. 2010년,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연거푸 실패했지만 세 번째 도전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63명의 압도적인 지지로 유치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본보는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이 선정된 다음날인 8일부터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시리즈로 이어왔다. 시리즈 마지막 회로 동계올림픽 유치를 넘어 성공적 개최를 위한 전문가 좌담회를 갖고 의견을 들어봤다.

좌담은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대회의실에서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원장, 김남수 2018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기획처장, 김관규 대한빙상경기연맹 전무가 참석해 1시간30분 동안 진행됐다.

사회=김준동 체육부장

-개최지 확정이 일주일 가까이 지나긴 했지만 먼저 평창의 성공 원인과 의미에 대해 말씀하신다면.

△김남수 기획처장=개인적으로도 세 번째 도전이었던 셈인데 이번 승리의 가장 큰 원동력은 독일 뮌헨, 프랑스 안시와 비교할 때 평창이 가장 높은 국민적 지지를 받은 데 있다고 생각한다. 지난 2월 IOC 현지 실사 때 2018명의
강원도민이 강릉 빙상경기장에서 아바의 ‘I have a dream(내게 꿈이 있어요)’을 부르며 평창 유치에 대한 열망을 노래했고, 이어 서울시청에서 국민대합창으로 이어진 것에서 보듯 국민들의 지지가 컸다. 그리고 두 번의 유치 과정에서의 경험과 노력,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 등이 잘 결합되면서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다.

△윤강로 원장=천지인(天地人)이 잘 융합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지’는 교통을 비롯한 인프라 등이 잘 갖춰졌고, ‘인’은 감성적인 최종 프레젠테이션과 IOC 규정에 위배되지 않는 일 대 일 접촉과 폭넓은 국민 지지가 있었다. 그리고 ‘천’은 우리가 세 번째 도전 끝에 유치하는 타이밍 등이 잘 맞아떨어졌다고 생각한다.

△김관규 전무=유치 당시 새벽에 TV로 봤는데 스포츠인의 한 사람으로 짜릿한 감동을 받았다. 지난해 밴쿠버 올림픽 때 쇼트트랙에 치우쳤던 금메달이 피겨나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도 나왔고 다른 설상 종목에서도 우리 선수들이 다수 참여한 게 기반이 되지 않았나 싶다. 제 딸도 스피드스케이팅을 하는데 목표가 2018년 평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거는 것이라고 말한다. 목표가 분명해지면서 요즘엔 힘들다는 소리도 하지 않는다. 동계스포츠를 하는 어린 선수들에게 평창이 큰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이번 동계올림픽 유치가 한국 스포츠 외교의 제2의 도약이라고 평가하기도 하는데.

△윤 원장=한동안 우리 스포츠 외교가 동방불패였다가 평창이 잇따라 실패하면서 동방필패가 됐었다. 그런데 이제 평창의 유치 성공을 계기로 다시 동방을 제패했다. 그렇지만 이에 안주하지 않고 앞으로 스포츠 외교와 관련된 인물을 많이 키워야 한다. 매번 구호성 외침으로 끝나고 마는데 이번 유치를 계기로 스포츠 외교 인력을 늘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 스포츠 마케팅과 홍보 등을 전문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기관도 생각해야 한다. 또 은퇴한 선수나 현역 선수를 중심으로 종목별 연맹 회장도 나오게 해 IOC 내에서 입지를 넓힐 필요가 있다.

-대회를 치르고 난 후 벌써부터 경기장 사후관리 문제나 환경문제 등이 당면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데 어떻게 보시나.

△김 처장=2002년 동계올림픽을 치른 솔트레이크시티가 우리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 연수하면서 보니까 솔트레이크시티는 올림픽 이후 기록한 흑자를 종자돈으로 올림픽 시설
관리공단을 만들어 시설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하고 있었다. 스키점프, 봅슬레이, 바이애슬론 경기장 등 올림픽 시설을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게 개조해 놀이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솔트레이크의 경우 중앙정부의 지원을 안 받고 이 시설을 독립채산제로 운영하는 유일한 도시로 알고 있다.

△윤 원장=시설 활용 방안과 관련한 현 추세는 올림픽파크시설
관리회사(OPLC)를 만들어 대회가 끝난 후 수익 창출과 관리 유지 업무를 맡기는 것이다. 런던이 2012년 하계올림픽을 준비하면서 만든 것인데, 사후 활용 방안을 마련해 대회 준비비용을 회수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 이번 유치를 계기로 강원도에 관광레저스포츠 벨트를 선포해 일본을 비롯한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올림픽이 치러진 곳인 만큼 동계 스포츠뿐만 아니라 다양한 먹거리, 볼거리가 연계되는 패키지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고급 숙박 시설이 다양하게 갖춰져야 하는데 해외 유명 호텔 체인 등을 유치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김 전무=스피드 스케이팅 대표팀도 해외 훈련을 가면 캐나다 캘거리 아니면 미국 솔트레이크시티로 많이 간다. 그 이유는 기록 차가 엄청 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경기하는 것하고 비교하면 1초 정도 차이가 난다. 기록 차가 나는 이유는 두 곳 경기장이 해발
고도가 높고 빙질이 좋은 영향이 크다. 우리도 경기장을 건설할 때 선수 중심으로 최고의 시설을 건설해 해외에서 찾아올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다.

△김 처장=알파인 스키 활강 경기장이 들어설 가리왕산 중봉에 대한 환경단체의 우려가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평창은 유치 신청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환경단체와 긴밀히 협의해 이 문제를 논의해 왔다. 문제가 된 중봉은 보존 가치가 큰 주봉을 제외한 두 번째 세 번째 봉우리를 활용해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이 문제는 IOC 실사단 방한 당시에도 제기됐던 사안으로 실사 조사단도 유치위의 설명에 납득했었다. 동계아시안게임을 유치했을 때 비슷한 문제 제기도 있었던 만큼 준비 과정에서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세계적인 시설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

-지금까지는 유치전에 전력을 다했다면 앞으로는 성공적 개최를 위한 준비를 위해 또 고심해야 하는데 가장 필요한 게 어떤 것이 있는가.

△김 처장=IOC
규정상 5개월 이내에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구성돼야 하지만 평창의 유치 신청서는 3개월 이내라고 돼 있다. 지금은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기 전으로 개최도시와 대한체육회(KOC),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등과 긴밀히 협의해 조직위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유치 과정에서 국민적 지지를 많이 받았지만 앞으로 성공 개최를 위해서도 국민적 지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자원봉사와 같은 직접적인 참여부터 준비 과정에서 국민들의 성원이 계속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윤 원장=조직위는 결국 사람이 움직이는 것 아닌가. 조직위를 구성할 때
가능하면 검증된 사람으로 팀을 꾸렸으면 좋겠다. 유치한 이후에는 그랜드 슬램(동·하계 올림픽, 축구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을 달성했다고 자축만 하고 있을 게 아니라 최대한 우리의 실속을 차리는 올림픽이 되도록 해야 한다. 올림픽 준비 과정에서 IOC의 입장에 맞서 우리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 실리를 찾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협상 전문인력을 구성해 IOC에 보다 적극적으로 요구할 건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는 IOC의 눈치를 보는 입장이었다면 준비 과정에서는 마케팅 사업 등 대등한 입장으로 IOC를 상대할 수 있어야 한다.

△김 전무=지도자나 선수 입장에서는 안방에서 대회가 치러지기 때문에 그때까지 경기력을 끌어올리는 게 대회를 잘 준비하는 것이다. 평창까지 참가할 수 있는 선수가 있고 그렇지 못한 선수들이 있는데, 꿈나무를 잘 육성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우리 임무다. 일단 평창에 앞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이 있기 때문에 연맹 차원에서는 소치에 대한 대비를 잘 하는 것이 평창을 준비하는 길이라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선 훈련 프로그램을 잘 수행할 수 있는 경기장 시설이 시급하다. 현재 쇼트트랙, 피겨, 아이스하키가 같은 공간에서 훈련하고 있어 각 종목에 맞는 시설이 갖춰지지 않다 보니 부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훈련 시간이 밤늦게 배정되기도 한다. 전용 경기장을 만들어 훈련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졌으면 좋겠다.

정리=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12. 18:21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성공의 1등공신으로 전 세계가 주목했고 극찬했던 피겨 퀸 김연아!
그런 김연아가 더반에서 금의환향 귀국전세기에서 피로누적 및 스트레스로 인한 몸살과 복통으로 비행기 내에서 줄곳 고통스러운 시간을 감내하며 귀국하였다.
공항에서 급기야는 많은 환영인파를 뒤로 한채 귀국환영 공식기자회견도 건너 뛰었다.
그날 예정되었던 TV 방송출연도 할 수 었었다.
온 국민과 시청자들은 안타까웠다.
우리 연아가 얼마나 아팠길래?

더반 발 귀국 전세기 편에 동승한  평창유치대표단 일원 중에 바로 뒷좌석에 앉았던 지인이 목격한 바에 따르면 연아의 안색이 창백해지면서 식은땀을 흘리며 고통스러워했다고 전했다.

 

그렇다면 연아 식은땀의 원인과 응급조치로 적절한 대응으로눈 어떤것이 주효했을까?
우선 연아 얼굴이 창백해지면서 식은땀이 흐르는 증세는 전형적인 급체(急滯)의 증상이다.
급체란 말 그대로 급히 먹거나 먹은 음식 등이 소화기관 내에서 지체하여 체하는 바람에 음식물이 얹혀서 내려가지도 않고 소화되지도 않는 것을 일컫는다.
급체는 증상이 다급한 체증이다.
우리국민 모두가 평창 2번 실패로 인한 10년 묵은 체증이 김연아 활동한 더반 대첩으로 쑥 내려가는 동안 연아는 그로 인해 스트레스와 피로로 누적된 몸살과 급체로 고생한 것이리라.

문헌에 따르면 급체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명치뼈 뒷쪽 부분이 결리고 답답해지며 차츰 참기 힘든 고통이 따른다.
얼굴이 창백해지고 이마에 식은땀이 나며 기운이 쭉 빠져 힘이 없어진다.
선발이 싸늘해지고 심하면 정신을 잃고 쓰러진다."

필자는 평소 제3 의학(The 3rd Medicine)의 범주에 속하는 '전통민속민간치료요법'을 종종 사용하여 왔다.
30년 스포츠외교활동을 하면서 국내외에서 김연아와 같은 증세를 많이 보아왔고 필자도 같은 증세로 고생해 본적도 있다.
또한 가까운 지인들의 경우 동의할 경우 내외국인을 막론하고 응급조치해 준 바 있다.
이 같은 증세는 예외 없이 똑같은 증상을 나타내므로 누구나 현장에서 즉각적인 응급조치를 해 주면 고통이 거의 동시에 사라지게되면서 식은땀이 멈추고 혈색이 정상상태로 돌아와 완쾌속도가  빠르다.
경험상 그 응급조치는 단 한번의 예외도 없이 100% 즉각적인 완치효과를 보아왔다.

김연아선수에 대하여 함께 탑승했던 그 누구라도 이러한 응급조치를 해 주었더라면 연아는 다시 생기를 되 찾아 공항환영행사는 물론 방송에도 자연스레 출연하여 우리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하여 주었으리라 믿는다.

필자가 100%확신을 가지고 알게되고 응급조치한 방법은 간단하다.
소위 "손가락 따주기"로 통상 알려지 있는데 어려서부터 할머니나 동네 어른들이 병원에 가지 않고 조치해 주었던 그것이다.
가능하면 '침"이 좋지만 없으면 소독된 바늘 등의 뾰족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효과는 대동소이하다.
바늘 등을 소독하는 방법 역시 간단하다. 
휴대용 라이터나 성냥 등이 있으면 그것으로 뾰족한 끝부분을 2~3초간 가열해 주면된다.

응급조치법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해당 팔 위부분부터 쓸어 내리면서 동원 가능한 실 또는 끈 아니면 긴 줄 등으로 교대로 양쪽 손 엄지손가락 위쪽을 묶고 엄지 손가락 손톱 위쪽 첫째 마디 중심부와 좌우측 부분(소상혈)에 침 등으로 세번 가볍게 찔러준다.

2. 찌른 부위로 검붉은 피(어혈)가 나오면 3~4차례 눌러서 짜내어 휴지 등으로 닦아 준다.

3. 어혈을 닦아 내고 나면 끈 등을 풀어 이완시켜 준 다음 다시 같은 부위를 묶어 압박해 준다.

4. 그리고 침으로 찔렀던 자리부분을 압박해 주면 잔혈이 나오는데 역시 3~4차례 눌러 짜내어 휴지 등으로 마무리한다.

5..양손 양발의 같은 부위 모두 따주기를 한다.

6. 따주기를 할때 남자는 왼쪽부터, 여자는 오른쪽부터 따주면 치료가 된다.

6. 마지막으로 사혈했던 부위를 콧김을 쐬어준다.(전통 민감방식)

7. 또는 알코홀 등이 있으면 솜 등에 적셔 사혈부위를 문질러 소독해 준다.

8. 그후 식사는 죽등 유동식으로 하되 따뜻한 보리차 등을 수시로 마셔준다.

9. 자기 전까지 뜨거운 돌(가스렌지 등에 가열) 또는 뜨거운 물이 담긴 용기를 얇은 천(또는 수건)을 깔고 배아래 쪽 단전 부위와 중완혈(명치와 배꼽 중간부위)에 교대로 올려 놓는다.


어제 모 일간지에 실린 광고 카피 내용에 "Alps나 Rocky는 없지만 더 높고 강건한 국민의 의지가 있는 나라...
10년의 도전, 2번의 실패를 결국 성공의 디딤돌로 삼은 나라...
여기까지의 성공은 시작일 뿐,
여기부터의 도전이 더 아름다울 나라..."라는 감동적이고 그야말로 "가슴이 찡하네뇨 정말로, 눈물이 핑도네요 정말로"라는 유행가 가사처럼 와 닿았다.

2010년 및 2014년 두번에 걸친 실패에도 굴하지 않고 "인내(Patience), 집념(Persistence), 그리고 끈기(Perseverance)"로써 세계를 감동시켰고 또 다른 인내심이 빛난 '스포츠외교의 한류'를 세계 만방에 아로새겼다.

 더반 현지대신 서울 여의도 KBS TV스튜디오에서 2018년 동게올림픽개최도시 발표식 실황중계 패널리스트로 출연하면서평창의 승리예감은 느껴지기 시작했다.

환상적인 최종 프레젠테이션은 IOC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하였다.

평창의 "더반 대첩" 후 한국갤럽의 평창승리 기여도 여론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평창승리의 1등공신은 단연 김연아였다.

<갤럽 여론조사 결과>

1위: 김연아(46.5%)
2위: 이건희 삼상전자회장 겸 IOC위원(19.5%)
3위: 이명박 대통령(18.6%)
4위: 조양호 유치위원장(9.1%)
5위: 나승연 유치위원회 대변인(5.8%)


국민의 92.4%가 이번 평창승리가 잘되었다고 조사결과 밝혀졌다.
한편 '아산정책 연구소'가 조사한 여론조사에서는 평창승리 이후 이명박대통령의 직무수행 지지도가 지난 달 33.9%에서 7.4% 상승한 41.3%를 나타냈다고 한다.

평창승리 이후 이명박대통령의 인터뷰는 단 한 건도 보이질 않는다.
이대통령의 겸손과 통찰력이 빛나 보인다.

앞으로 7년 남은 2018년평창동계올림픽개최 성공은 곧 구성될 조직위원회(OCOG), 중앙정부, 강원도지방정부, 평창군, 강릉시, 정선군, KOC, Media, 기업, 자원봉사자 등 온 국민이 머리와 힘 그리고 열정을 한데 모아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11. 18:21
3수 도전 평창이 드디어 그 철천지 한을 풀었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승리다.
그러나 지금부터는 승리에만 도취해 있지 말고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취할 국익과 IOC 및 국제 마케팅으로부터 얻어낼 수익 그리고 스포츠외교 제2의 도약을 성취할 스포츠외교 청사진을 신중하고 그러나 신속하게 그리고 알차게 그려 나가야한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유치 후 해야 할 일>

 

7월6일 남아공 더반에서 대한민국 평창이 3수도전 만에 쾌거를 이루었다.

7월6일 개최도시 발표직후 평창은 IOC올림픽개최도시 협약서(Host City Contract)에 서명하였다.

 

 이제 평창은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로서 동계올림픽개최도시 협약서 상에 명기되고 서명한 제반 의무사항과 공약사항 등도 훌륭히 이행하여야 한다.




이 협약서는 국제법에 의거 작성되고 합의되어 국제적 구속력이 있다.

이 협약서는 대한민국정부와 개최도시 평창(City) 그리고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OCOG)및 개최국 올림픽위원회인 KOC(NOC)가 공동으로(jointly) 그리고 따로따로(severally) 각기 해당되는 제반 공약과 보증, 의무사항 및 광범위하게 합의되고 협의된 모든 부문에 대한 법적 준수의무사항들이 명시되어 있다.

올림픽대회와 올림픽과 관련된 일체의 독점적 권리 소유주체는 IOC.


IOC
이제 평창(City) KOC(NOC)에게 동계올림픽대회 준비에 따른 계획(planning), 조직(organizing), 재정(financing) 및 개최(staging)권한을 위임하였다.

평창(City) KOC(NOC)는 이 협약서 체결 후 5개월 이내에 법인 자격의 조직위원회(OCOG)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Myung Bak Lee made the trip to Durban on behalf of PyeongChang. (Korean Presidential Office)


이 경우 평창(City) KOC(NOC)는 조직위원회의 구조(structuring)와 조직(formation)애 대한 일체사항을 IOC와 긴밀히 협의해야 하고 서면으로 사전에 동의를 받도록 되어있는 일종의 종속적 관계다.

따라서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 구성할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


정부로서도 조직위원회 수뇌부 임명절차에 있어 일방적으로 지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최근 십 수년 간 동 하계올림픽개최도시 선정 후 조직위원장 및 사무총장의 구성 향배를 보면 한 건의 예외 없이 해당올림픽유치위원회의 위원장 및 사무총장이 그대로 그 직위를 승계하여 왔다.


IOC로서는 유치과정에서부터 호흡을 맞추어 왔고 올림픽대회 조직과 운영에 대하여 유치와 연계하여 업무를 진행하는데 합리적이고 효율적이라는 판단과 발상에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납득할 만한 사유와 합리적인 배경이 뒷받침되어 합의 될 경우 예외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실현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그러므로 정치적 또는 그 밖에 별도의 배경으로 조직위원회 수뇌부구성을 IOC의견에 반하여강행 할 경우 초장부터 IOC와 불협화음과 불이익을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신중하게 그리고 합리적인 국제적 시각에 기초하여 실행에 옮겨야 한다.


가장 효율적이고 국제경쟁력 있는 조직위원회 구성을 위하여 "조직위 구성 추진위원회"(조구추)를 가동시켜야 한다. 
조구추에는 각개 전문가들을 위촉하여 보편타당하고 실리위주의 조직위원회 운영에 박차를 가하여야 한다. 


올림픽대회조직업무는 거대한 범국가적, 국제적, 다국적, 종합 글로벌 프로젝트로써 각 분야 별 전문가들이 포진되어 계획, 기획, 조직, 재정, 운영 및 국제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업무 효율을 기해야 하는 최고 부가가치 국가 단위의 최첨단 글로벌 비즈니스다 


수 조원의 마케팅  등 수입과 1조원에 육박하는 TV방영권 등
지구촌 황금알 낳는 거위로 비유되고 있는 올림픽대회 개최는 의전 성, 행사 성, 일회성, 선심성, 정치성, 그리고 나누어먹기 식의 구조로 진행될 경우 올림픽대회 개최 흑자는커녕 만성적자와 국제적 망신을 초래 할 수도 있다. 

특히 올림픽대회 조직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제관계다.


1) IOC 및 다국적 기업과의 올림픽마케팅,
2) 대회의전(Protocol)
,
3) 각국참가 선수단과의 교신 및 소통
,
4) 국내 및 해외 홍보(PR) 및 해외 전담 PR Firm 선정문제,
5) 국제회의 시 준비상황 진행보고
,
6) 올림픽선수촌
,
7) 경기장 국제공인
,
8) 미디어 관계
,
9) 올림픽 성화봉송
,
10) 개폐회식 시나리오
,
11) 국제적 지적재산권 문제
,
12) 국제법
,
13) 재정적 상업적 준수사항 국제적 처리문제
,
14) 수익금 배분문제
,
15) 입장권 국제판매
,
16) 세금부과문제
,
17) 올림픽 심볼 등 법적 보호문제
,
18) 국제적 문화행사
,
19) 국제방송관련 제반 처리 사항
,
20) 인터넷 및 휴대통신기기 관련 사항
,
21) 국내외보험
,
22) 불법 내기(illegal betting)문제
,
23) 도핑관련 이슈처리
,
24) 국제 숙박관련 문제
,
25) IT
기술 표준화 문제
,
26) 출입국 및 관세 문제
,
27) 국제적 안전조치 문제
,
28) 조직위원회와 올림픽 패밀리와의 국제적 분쟁해결문제
,
29)IOC
조정위원회대책문제 등
향후 7년 간 처리해야 할 사안과 이슈와 과제가 산더미다.


우선 경기장 및 필요 인프라를 계획, 디자인, 건설, 국제공인, 운영, 예산확보 등을 전문적이고 일사불란하게 책임지고 담당할 ODA(Olympic Delivery Authority: 올림픽시설 관리운영조직체)설치 및 운영계획이 시급하다.


조직위원회가 구성되면 제일 먼저 IOC가 파견하는 점검대표단이 IOC조정위원회(IOC Coordination Commission for the 2018 Olympic Winter Games).

IOC조정위원회는 IOC를 대표하여 대회조직위원회(OCOG)와 올림픽대회 전반적이고 세부적 차원의 대회조직, 운영, 관리, 마케팅 및 수익금 배분문제, 각국 참가선수단에 대한 방침, 경기장 건설 및 배치 그리고 운영에 대한 지침, PR, 올림픽 선수촌, 도핑, 전반적인 국제관계 등 올림픽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IOC가 구성한 對 OCOG 감독관리조정대표단이다.


따라서 IOC조정위원회대표단을 맞이하여 유효 적절하게 대처할 최정예 조직위원회 산하 상설TF(Task Force)구성이 가장 중요한 과제다.


동시에 올림픽교육프로그램, 조직위원회요원들 및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철저한 외국어 교육과 올림픽지식 교육을 조기 실시하여야 한다.

지금당장 해야 할 일은 2018평창동게올림픽조직위원회(POCOG)인터넷 도메인 및 로고 법적 등록(국내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올림픽관련 제반 지식과 현장경험이 출중한 인사들을 조기 영입하여 모든 국제적 이슈 등에 대비하여 지속발전 가능한 조직위원회를 꾸려 가는 일이다.

The quality of people and solid and experienced team is the key to the successful organization of the Olympic Winter Games in PyeongChang 2018.


 
<IOC의 올림피즘 기본원칙과 스포츠정신의 특징>


*올림픽대회 조직에 필요한 핵심 가치 14가지는 다음과 같다:

1) ethics: 윤리규정에 맞는 깨끗하고 참신한 분위기 
2) fair-play: 정정당당한 자세로 시합에 임할 것.
3) honesty: 정직함이 기본이 되는 풍토
4) friendship: 우정을 통한 화합정신
5) health: 건전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듦.(A sound mind in a sound body)
6) excellence in performance: 시합에서는 우수함과 우수성을 지향
7) character and education: 인격과 품성이 깃든 교육
8) fun and joy: 즐거움과 기쁨 지향
9) teamwork: 일사불란한 협동작업
10) dedication and commitment: 헌신적 봉사와 책임관철
11) respect for rules and laws: 준법정신존중
12) respect for self and other participants: 자기자신 및 다른 참가자들에 대한 존중
13) courage: 비굴함을 모르는 용기
14) community and solidarity: 공동체로써의 단결심과 단합


평창과 대한민국의 조직력은 세계으뜸이다.
30년 간 국제스포츠외교무대에서 2008년 올림픽 IOC실사 평가위원 및 12개 동하계올림픽 한국선수단 국제선수단장 대행 그리고 2010년 및 2014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 및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국제자문역으로 활동해 본 경험을 비추어 볼때 다음과 같은 새로운 개념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싶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내에 기존의 부서외에:

1) 올림픽 유산(Olympic Legacy Dept.) 전담부서,
2) 올림픽 환경(Olympic Environment Dept.) 전담부서, 
3) IOC조정위원회(IOC Coordination Commission Dept.)전담부서,
4) 올림픽 신 재정창출(Olympic New Financial Sources Finding Dept.)전담부서 및
5) 올림픽 교육 및 어학(Olympic Education & Languages Dept.)전담부서
6) 올림픽 및 스포츠 법률(Olympic & Sport Dept.) 전담부서 등을
신설토록 건의하는 바이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10. 18:15
이제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전, "총성 없는 전쟁"이 모두 막을 내렸다.
대한민국 그리고 평창은 다시 국제 스포츠외교무대에서 제2의 도약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평창의 자랑스런 "더반 대첩" 드라마의 전모를 영문으로 남기려 한다.
평창 승리가 있기까지 그리고 그 승리의 배경과 밑거름에 대하여서도 기록에 남기려고 한다.
평창2018 유치전이 끝날 때까지  발행을 임시보류했던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ISDI)의 아시아 최초 영문 인터넷 뉴스레터 "S.O.S."(SpotLight On SportLife)는 2009년 1월부터 1년 이상  전 세계를 대상으로 발행하였고 발송한 바 있다.
제2기 "S.O.S."영문 인터넷 뉴스레터를 다음 내용을 시작으로 다시 발행할 예정이다.

S.O.S.(SpotLight On SportLife) Collection

 

International Sports Diplomacy Institute(ISDI)

Seoul, KOREA

From : Rocky Kang-Ro YOON(President) (rockyoon21@hanmail.net)

Fax.: +82.2.414.8358

 

“SpotLight On SportLife”(S.O.S.)

(For Sport, By Sport, Of Sport)

 

 

S.O.S.( SpotLight On SportLife) News Letter Edition No.1(1st Week( Jan.) 2009





# An Unwritten Rule in the Olympic Bidding:

"Only certainty in the Olympic bidding is uncertainty."
"Only thing predictable in the Olympic bidding is "unpredictability".
 
"As far as the sporting matches and voting are concerned, we never know who will win
until we open the result-envelops."


# Two Worldly Theories for PyeongChang's Victory in Durban:


1) Third-time charm:

 
"The third time is a charm."
"The third time try is supposedly lucky."

PyeongChang tried its third time and became the third host city in Asia to stage the Winter Olympics.

With the third time charm and lucky, PyeongChang will undoubtedly organize one of the most successful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in the history of the Olympic Movement.    
 

2) 20-year Cycle of Hosting the Olympics in the Asian Continent:

As far as the Olympic Games in the Asian continent are concerned, there is a tendency or a proven track record of theory of 20 years plus cycle or circulation.

The first-ever Summer Olympics held in Asia was the 1964 Tokyo Games in Japan.
The first Winter Olympics staged in Asia were the 1972 Sapporo Games also in Japan.

The second Summer Olympics in Asia were the 1988 Seoul Games in Korea held 24 years later since the 1964 Tokyo Games.
The second Winter Olympics organized in Asia was the 1998 Nagano Games 26 years later since the 1972 Sapporo Games.

The third Summer Games in Asia was the 2008 Beijing Olympics which took place exactly 20 years later since the 1988 Seoul Games.
The third Winter Olympics in Asia will be the 2018 PyeongChang Games to be held on the Korean soil precisely 20 years later since the 1998 Nagano Games.


# Durban is a Promised Land of Victory for Korean Sports:



  



Durban is intrinsically a lucky place and has historically been a promised land for the Korean sports where a Korean boxer, HONG, Su-hwan became a world champion at the bantam weight category of WBA World Boxing Championships in 1974.
Korean Football team made it into the final 16 top teams at the 2010 FIFA World Cup finals.
In 2011, it also became the place where PyeongChang finally clinched its bid to host the Olympic Winter Games after two consecutive attempts of 10-year long trial and error.



Durban is pronounced in Korean  as"The 반(半), meaning "the half" or 50%.
However "The" is pronounced in Korean as " 더", meaning "more".
Therefore, Durban has the meaning of "The(더) 반(半)" or "majority".
Durban is "Majority"
PyeongChang won a one-sided victory over Munich and Annecy by much more than double-score margin.  


# Reasons Why PyeongChang Won:

 

"PyeongChang did it not just on paper, but truly in action since its bid in 2010 and 2014 respectively"



1) Compact venue layout plans, a factor commented by the IOC Evaluation Commission:
   
-Compact Concept
-Two-Cluster Plan Consisting of Alpensia and Coastal Cluster

2) Generally 10 to 20 minutes apart between the Olympic Villages and Veunes:

 -Easy accessibility
 -Athlete-oriented,
 -Athletes-centered,
 -Athletes-focused,
 -Athletes-friendly,
 -Athletes-first

3) Even with the gateway airpor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wo-plus hours away from PyeongChang,
That travel time will be shortened in half, 68 minutes only, with the construction of a high-speed rail link connecting the Olympic Venues and the gateway airport, while 50 minutes to and from Seoul:

-High-Speed Transport System
-Convenient Travel to and from both the gateway airport and Seoul

4) Recognizing the need to boost ambience and charm in rural PyeongChang, small mountain village, $8 million is budgeted to create a "World of Korean Experience", titled "Best of Korea" or "Best of Both Worlds" during the Games period.:

-Travel Less, Experience More.  

5) Through tangible legacies include a sliding center, new ski runs and a skating oval, bid leaders say the real impact will be sizable growth for winter sport, both within Korea and throughout Asia:

-Expansion of Winter Sports in Asia and Beyond
-Opening up the Winter Games to New Regions of the World with its slogan of "New Horizons"

6) With public support long touted in excess of 90%, the people of PyeongChang and Korea wanted these Games:

-The Advancement of the Olympic Movement

7) Korean President, Mr. LEE Myung-Bak, not just promised but guaranteed the commitments by the governments from all levels:

-Securing the Stable and Safe Financial Guarantees in place for the Games Organization

8) 7 out of 13 needed Venues already in place:

-Securing necessary Games Venues Completed well in advance

9) An Emotionally Charged Final Presentation:

-Touching the Hearts of IOC Members to Vote for PyeongChang

-It was a human drama and success story containing the following 8 elements:

1. Logics
2. Persuasion
3. Confidence
4. Emotion
5. True Heart
6. Friendship
7. Humor
8. Hope


10) The Success of PyeongChang 2018 is the Result of 10 Years' Patience, Persistence, and Perseverance of the Korean people:

-Sweat plus Sacrifice Equals Success.

11) Europe's Summer and Winter Olymic Bidding in 2020 and 2022:

-Avoiding the Conflict of Interest by Awarding the 2018 Winter Games to a City out of Europe


12) 'Man-To-Man' Close Contacts with IOC Members:

-Appealing PyeongChang's Aspiration and Passion to Host the Winter Games in its Third Consecutive Bid




# About PyeongChang:


PyeongChang in Gangwon Province is located on the north-eastern part from Seoul.
It is located 750m above sea level.
Location of 700m above sea level offers the optimal living conditions to human-being.
That's why it is called "Happy 700".
Its total area is larger than that of Seoul.
84% of the region consists of mountains.
It boasts of the pristine nature with clean water, air, and environment.
It is often referred to as the "Heavenly Blessed Wonderland".
PyeongChang is particularly well known by its top-quality renowned beef and its high-altitude grown fresh vegetables.
PyeongChang is Korea's No. 1 Tourism Destination during all four seasons visited by more than 1.5 million foreign tourists last year only.
PyeongChang is the hub of Korea's winter sports.
It hosts more than 95% of Korean National Winter Games.

PyeongChang literally means "Peace and Prosperity".

PyeongChang is now the Winter Olympics host City and the hurb of the Olympic Movement till 2018 and beyond.

The brand power of PyeongChang is soaring higher and higher not only in the global winter sport market but also in the international sport diplomacy as a bench-marking object and a case study for future Olympic bid.

  
# Brief History and Tendency of PyeongChang Bid and IOC Vote:



1) 2010 Bid and IOC Vote:

-PyeongChang won the first round IOC vote with 51 against Vancouver(40 votes) and Salzburg(16 votes).
As 3 more votes needed to win the majority, the second round balloting proceeded with Salzburg eliminated.
Surprisingly enough, Vancouver beat out PyeongChang by the result of 56:53 in the final vote.

2) 2014 Bid and IOC Vote:

-PyeongChang  as usual won the first round IOC vote with 36 against Sochi(34 votes) and Salzburg(25 votes).
Having no candidate city obtaining the majority number of votes, the second round of balloting proceeded between PyeongChang and Sochi.
Again, Sochi won over PyeongChang in the final round of voting by the result of 51:47.

3) 2018 Bid and IOC Vote:

-From start to finish in the bid process, PyeongChang has taken the lead in the bid race againt Munich and Annecy.

-As PyeongChang so far used to win the first-round ballot, many people including myself took it for granted that PyeongChang would be the winner when the IOC President, Jacques Rogge, announced the conclusion of the IOC vote in the very first round.

-Journalists both from home and abroad in Durban speculated that PyeongChang would most probably be the winner considering its front-runner statu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PyeongChang deployed its bid campaign strategy based on its solid bid philosophy and vision names "New Horizons"

-PyeongChang faithfully honored its promises to the IOC throughout the two previous bids, which include the completion of 7 world-class venues out of total 13 competition venues needed to stage the Winter Games.

-In addition, PyeongChang constructed two five-star IOC hotels in the very heart of the Alpensia Resort Complex.

-The site of Alpensia Resort used to be Province-owned "Potatoes Cultivation Field".
It was a dramatic transformation for the Winter Olympics and something like "Convulsions of Nature".

-Some of the IOC Evaluation Commission members who had previously visited the same area during the two previous bids seemed to be deeply impressed.

-They inspected and sized up the entire sites and venues either existing or planned, and  finally made due technical assessments about PyeongChang.

-That was the prelude of the overwhelming victory of PyeongChang bid during the whole period leading up to the IOC Session in Durban.

-The bitter but valuable experiences in the previous bids served the purpose of bridging to the 3rd time success, a landslide victory for PyeongChang.


# How PyeongChang Won the 2018 Bid:


PyeongChang 2018 finally won a landslide victory in the vote of the IOC Session in Durban on 6 July at local time and on 7 July at Korean local time.
PyeongChang flamboyantly beat out its arch rival Munich and Annecy in the very first round.
PyeongChang garnered 63 votes, while Munich 25 and Annecy just 7 respectively out of 95 votes in total.
It was the biggest margin of victory in an Olympic bid race since Salt Lake City won its hosting rights for the 2002 Olympic Winter Games in the IOC Session in Budapest.

PyeongChang bid was the third in a row from Korea's winter sport hub.
PyeongChang had lost out on the 2010 Winter Games vote in the Prague IOC Session in 2003 by a mere 3 votes, then suffered a similar fate on the 2014 Winter Olympics bid process in the Guatemala IOC Session in 2007.
Only 4 votes made Sochi become the host city of 2014 Winter Olympics, instead of the favorite front runner PyeongChang.

Thanks to the victory in the IOC vote in Durban, PyeongChang is done bidding at least for the next two decades.
There will be no longer a chasing-around or a hide-and-seek with the IOC members for votes related to the Olympic bidding for the foreseeable future.

All it has to do in the foreseeable future is to organize Korea's first-ever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for 7 years ahead.

A few hours before the IOC vote, PyeongChang effectively delivered an emotionally charged final presentation in front of the 95 IOC members.


# PyeongChang Bid Presentation Team was a "Dream Team" consisting of 8 Presenters
with 8 different compelling reasons:


PyeongChang 2018 team on the stage consisted of 8 presenters with 8 different themes and targets.

1) First presenter was Teresa Rah, the bid committee spokesperson, who was excellent and fluent in English and French delivered the message dressed in the sentiment of "Logics", ascertaining to plant the seed of growth in PyeogChang from previous two Winter Games in Japan on the Asian continent for the advancement of the Olympic Movement.
"The Olympic Movement demands big dreams of all of us and PyeongChang is ready to meet that challenge with your support today."


 
(평창 "더반 대첩의 두 여 주인공 김연아와 나승연 유치위 대변인)

2) Second one was Yang-Ho CHO, the bid committee Chairman, who explained the details of PyeongChang's marvelous Games concept, such as the most compact venue layout plans, easy and convenient access through its high speed transport system and high technology-oriented traffic control paradigm or mechanism, a passionate support by the Korean people in excess of 90% of the opinion polls, a very strong government backing from all levels. 
His message focused on delivering the sentiment of "Persuasion". 
He also wished the other bids luck 'but not too much fo it"
"We have been preparing for quite a while. I can say with certainty that we are ready.
'Persistence and patience' are powerful words.'

(It may need the word of "Perseverance" as well.) 



3) Then appeared the Korean President, Mr. LEE Myung-Bak, who was the third presenter.
He spoke in English, and impressed the IOC members with his clear message of the strong commit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as a national priority  in his capacity as Korean President, not just promising but guaranteeing.
He delivered the sentiment of "Confidence."
"Korea wants to give back to the Olympic Movement and the world.
It is a national priority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has been so for the last 10 years.
We have worked hard.
We will make you proud.
I ask you for your support today so we can finally make our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dream come true."

Myung Bak Lee. (Korean Presidential Office)


4) The fourth one was Jin-Sun KIM, who was the former Governor of Gangwon Province fpr 12 years and now Special Ambassador for PyeongChang Bid.
He was the driving force by initiating and igniting the PyeongChang's Winter Olympic Bid 12 years ago.
His message touched the hearts of the IOC members who generally met and talked with him over 10 years' time of bidding.
He was close to tears at one point.
"Even when we were disappointed, our hearts were not broken.
We never gave up and tried again.
We listened to you and have honored our promises to the IOC through continued  investment and effort.
Our promises for the Winter Games has not changed over the years, it has only got stronger."
He was a deliverer of the sentiment of "Emotion".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기간 중 자크 로게 IOC위원장 과 면담 후 김진선 강원도지사와 함께)



5) The fifth presenter was Yuna Kim, World Figure Skating Queen, and Olympic Gold Medalist at the 2010 Vancouver Winter Games.
Yuna said, "I am an example of a living legacy of the government commitment to improving the winter sports. I know now more than ever what our victory will mean."

"Thank you dear IOC members for allowing someone like me to achieve my dreams and inspire others."

The possibility of this kind of success and achievement should be shared by the world's young people by all means."
She was a messenger of the sentiment of "True Heart".

 

                           (2014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 국제사무총장 시절 김연아와 함께)



6) Dae-Sung Moon, World Champion and 2004 Olympic Gold Medlaist of Taekwnodo, Korean martial arts and IOC member, at his sixth appearance, emphasized on the athletes-centered Games concept of PyeongChang bid.
"In PyeongChang, athletes will 'Travel Less' thanks to the compact venue location, and 'Experience More' thanks to the diversity of exciting programs." 



(문대성 IOC위원/선수)
<문대성 선수출신 IOC위원은 IOC위원들 사이에서 공손하고 예의바르기로 정평이 나있다. 그는 15명에 달하는 선수출신 IOC위원들을 상대로 로비 활동을 펼쳤다.>


7) The seventh presenter was Yong-Sung Park, KOC President, who had a mission to be accomplished for the sentiment of "Humor" based on the carefully prepared scenario.
"We know it has been a long day for you.
Well, it has been a long wait for us, too.
YS park apologized to newly-wed( on 2 July, just 4 days ago) Prince Albert(IOC member in Monaco) for having to spend his honeymoon 'listening to a PyeongChang speech for a third time[following two previous bids]"
It got big laugh among the IOC members.



8) The eighth presenter, the last but not the least one, was Toby Dawson, a Koream born American Olympic Bronze medalist in Mogul Skiing at 2006 Torino.
He asked for the support of the IOC members in order for all other young people in the world to benefit by the same lucky opportunity as his.
He delivered the message of the sentiment of "Hope".


# Yuna Kim Became a Double Olympic Gold Medalist in Durban.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피겨 퀸 겸 평창2018 홍보대사 김연아선수/출처: 평창2018 홈페이지)




In Durban, Yuna Kim obtained her second Olympic Gold Medal after the first one in Vancouver 2010.
The first one in Vancouver was an Olympic Gold Medal "On the Ice".
But the second one in Durban was another Olympic Gold Medal "On the Stage".



PyeongChang's presentation in Durban IOC session was successful enough to touch all aspects of human hearts with its messages of patience, persistence, and peseverance.


# High Points sized up by ATR


Lots of high points. Fantastic speeches with good mastery of English language that were softened with a bit of humour. Had the most videos - four - but used them well, particularly one focusing clearly on Pyeongchang's venues and transport plan. Clever move to have Yuna Kim narrate. Bouncy soundtracks kept IOC members interested. PR consultant Mike Lee may have had a hand in one section of the presentation - map showing 19 of 21 Winter Games not in Asia was flashed up. In 2009, Rio 2016 bid leaders caused a stir when they showed IOC members a map showing that no Games had ever been held in South America.



# Low Points assessed by ATR 



Hard to pick any. No real dips in performance of the PyeongChang team. One slight video glitch which is said not to be the
fault of PyeongChang.


# ATR Rating


9/10. Best of the three pitches to the IOC by a considerable distance. And the IOC members seemed to think so too. PyeongChang's pitch ended with a big ripple of applause from members. Annecy and Munich had no such rapturous reception.




<Quotes by IOC Members>


1) Jacques Rogge, IOC President:

 

                                                  (자크 로게 IOC위원장과 함께)



"But there is maybe a lesson in the achievement of PyeongChang in that persistence and perseverance have prevailed and were important(after two previous failed bids)."

"They won on the third attempt but this is not exceptional. Rio won on their third attempt."

Commenting on the defeated candidates, Rogge added:

"They did bring a lot of good ideas and creativity and they were not rewarded this time.

"I hope we see a bid from them in the future."



2) Alex Gilady, IOC member from Israel:




"It's a good victory and shows that if you have the character of an Olympian... you fail once or twice you try again and you win.



3) Italy's Mario Pescante, IOC Vice President, who is leading the Rome 2020 Summer Olympic bid:

 

 

                                   (Mario Pescante 이태리 IOC부위원장과 함께)



"PyeongChang's win, like Rio de Janeiro's in the 2016 race,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taking the Olympics to new markets."

"It is a new reality, not only sporting but economic. This is confirmation of this tendency. The revenues and sponsorship is very important also... this means it opens another door."

4) Zambia's IOC Member, Patrick Chamunda:

                                   (Patrick Chamunda 잠비아 IOC위원과 함께)


 
IOC members had appreciated PyeongChang's efforts "in being consistent and persistent in pursuit of the Olympic dream.

"There was a general expression of sympathy and confidence in PyeongChang."

"We have to explore new areas of potential growth for the Olympic Movement and PyeongChang offers that possibility."


5) Russia's IOC member, Alexander Popov, a member of the IOC's Athletes’ Commission:


 

                        (Alex Popov 러시아 IOC위원<좌-1> 및 부인<우-1>과 함께/2010 밴쿠버)


"There were two winners - PyeongChang and the Olympic Movement overall. It was another continent, another opportunity for growth."

"The Korean Games would be good for athletes."

"Everything is athlete-oriented, the [Olympic] village, accommodation, travel times, access to the venues. So the concept of PyeongChang won the competition."



6) Princess Haya of the United Arab Emirates described it as a "great result".


Princess Haya was re-elected as FEI president in November. (FEI)
(Princess Haya 아랍에미리트 IOC위원)


"I think all three cities were wonderful," added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Equestrian Federation.



7) Richard Peterkin, IOC member in St. Lucia says PyeongChang was on a roll.



“Clearly they had the momentum since [the IOC technical briefing in Lausanne] and I think they had a wonderful presentation.
But I don’t think last-minute presentations make a difference.
When you see a majority like that, it was clear it was theirs to lose.”


8) Richard Pound, IOC member from Canada, was the scrutineer of the 2018 votes in the IOC Session and says he had to keep a poker face when he saw the sheet with the first-round results.
 


“I was surprised by the margin of victory.
I thought it might go to a second round.
Anybody who has followed this campaign would know there was only one city that could win on the first round.”

Pound says he understands the pain of Annecy’s weak showing.

“Even more surprising is seven for Annecy.
We had that for Quebec in 2002, seven votes, and that was when the IOC members from the bid country could vote.
That meant we got five votes, plus the two from Canada. That’s a real slap."


9) Richard Carrion, IOC member from Puerto Rico:



“PyeongChang had an edge, but I didn’t think it was going to be 63 votes.
Clearly the idea of new horizons resonated with a lot of people.
Clearly the fact that this was the third bid from PyeongChang resonated with a lot of people.”

Carrion, who oversaw TV negotiations with the U.S. just awarded to NBC, says he believes broadcasters will be happy with the 2018 Winter Games being held in South Korea.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7. 16:16
평창의 "더반 대첩"이 눈부시게 성취되었다.
1981년 9월30일 당시 서독 바덴바덴 IOC총회에서 1988년 서울올림픽을 유치한 지 정확히 30년 만이다.
서울올림픽개최 후 정확히 20년 만에 아시아대륙에 하계올림픽개최권이 넘어왔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이다.
1998년 일본 나가노에서 동계올림픽이 개최된지 만 20년 만에 다시 아시아 대한민국 평창에서 아시아 통산 세번 째 동계올림픽이 개최된다.
소위 아시아 대륙 올림픽 개최 20년 주기설이다. 


  


대한민국이 10년 만에 그 눈물 겨운 한을 풀었다. 
평창2018의 승리는 2010년 및 2014년 연이어 동계올림픽유치를도전하는 과정에서 IOC및 국제스포츠 계에 평창이 약속한 공약을 정말 충실히 이행하고 진정성이 농축되고 밑거름이 되어 이룩된 것이다.
2010년 과 2014년 유치과정에서 씨 뿌리고 싹 틔워  물주고 거름주어 가꾸고 정성들인 결실의 꽃망울이 지구촌 저너머 아프리카 남아공 더반에서 활짝 개화한 것이다.
63표는 뮌헨의 25표와 안시의 7표를 합친 32표의 1표 모자라는 2배의 득표수라는 경천동지의 숫자다.
10년 간 평창이 가꾸어 낸 "백만 송이" 땀방울의 유치염원 장미(Rose)가 63표로 응축되어 만개한 것이다.
평창의 "우담바라"꽃이다.
 


Ban Ki Moon was honored by the IOC for his work as U.N. Secretary General in May. (IOC) (반기문 UN총장이 지난 5월 IOC로부터 그의 업적을 기리는 공로패를 받았다.)

평창의 압도적인 득표로 이룩한 승리에 대하여 전 세계 외신들도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평창이 2번의 실패 끝에 2018 동계올림픽 유치하였다.

평창은 비밀 투표로 이루어진 1라운드에서 뮌헨과 안시에 승리한 것이다.


승리를 위해선 투표 참가 IOC위원95명의 과반수인  48표가 필요했으나, 평창은 63표(66.3%)로 단순과반수(50%+ 1표)를 훨씬 더 상회하고  8.7%모자라는 절대 과반수(3/4, 75%)에 육박하였다. 

동계스포츠 세계최강국 중 하나인 독일의 뮌헨은 25표로 26.3%, 안시는 7표로  7.3% 밖에 안되는 표를 점유하는 참패를 기록하였다.

역대 올림픽유치 투표전 중 1995년 부다페스트 IOC총회에서 2002년 솔트 레이크 시티가 89명 IOC위원들 표 중 54표로 승리한이래 평창의 63표는 가장 엄청한 표 차이 승리결과다, 



독일과 프랑스는 이미 국제스포츠이벤트 Grand Slam(4관왕)을 이룩한 세계스포츠 초 강대국이다.
Grand Slam국가란 동계 및 하계 올림픽, FIFA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4대 국제대회를 모두 유치하여 개최한 나라들을 일컫는다. 

평창은 이제 3관왕(Triple Crown)국가를 뛰어 넘어 독일, 프랑스, 이태리, 일본, 러시아에 이어 6번 째 Grand Slam국가 Club에 정회원이 되었다.
                                     

세계 최강국들인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중국 등도 아직 Grand Slam국가대열에 끼지 못하고 있다.

평창은 아시아 통산 세 번째지만 일본에서 개최된 삿포로1972, 나가노1998를 제외하고 20년 만에 아시아에서 최초로 동계올림픽을 유치하게 된 것이다.

Jacques Rogge IOC위원장이 평창을 호명할 때 한국 대표단은 환호하였다.


1995년 Salt Lake City가 1라운드에서 다른 후보도시를 제치고 2002동계올림픽 유치를 확정한 이후에 처음으로 1라운드에서 투표가 결정난 것이다.

평창의 슬로건 "New Horizons"은 세 번의 도전 만에 성공할 만한 가치 있는 주제였고, 이는 아시아의 새로운 시장과 그 지역 동계스포츠 허브의 의미를 담고 있다. 



(2018 동계올림픽 IOC실사 평가단이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내에 위치한 스키점프장 및 개 폐회식장 스타디움을 시찰하고 있다.)



한국의 승리는 소치2014, 리오2016 등 최근의 IOC의 트랜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2010년 유치당시 첫 번째 실패로 평창은 고배를 마셔야 했고, 두 번째 실패인 2014년 재수 도전에는 국가적 자존심에 상처를 입었지만, 세 번째 승리는 “한국의 가장 행복한 날”(one of the happiest days for Korea)로 기쁨을 만끽하였다.

조양호 유치위원장은 “내 생애 최고의 날”(This is one of the best moments in my life)이라고 밝히며, “대한민국과 국민, 동계스포츠를 꿈꾸는 젊은 세대들에게 제일 기쁜 날”이라고 덧붙였다.





         (2018평창호의 성공한 선장/유치위원장 조양호 한진그룹회장)


전이경 올림픽 쇼트트랙 챔피언(동계올림픽 4관왕)은 “지난 유치 프레젠테이션 때 참여했고, 우리가 졌을 때 너무 슬퍼서 울었다. 그러나 지금은 울지 않았고 마치 꿈을 꾸는 듯하다”(The last time I was in the presentation and we failed. I cried and cried a lot. I didn't cry this time, It felt like a dream.)고 소감을 말하기도 하였다.


 

         (2010년 평창의 첫 도전 시 프라하 IOC총회 기간 중 외신기자회견 장에서 유치위 국제총장인 필자와 전이경선수)


2014년 유치경쟁 승자였던 소치 조직위원회는 한국에 첫 번째로 축하를 보내기도 하였다.

Dmitry Chernyshenko 소치2014 위원장은 “소치2014처럼 한국은 올림픽 무브먼트를 위한 ‘New Horizons'을 잘 전달(Like Sochi 2014, they offer an exciting "New Horizon" for the Olympic Movement.)했다고 평가하였다.
     
“올림픽의 힘을 새로운 지역으로 함께 전파하고 싶고, 평창은 훌륭한 개최도시가 될 것”(Together we'll take the power of Olympics to new territories. Pyeongchang will be an excellent host city and I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them in the future.)이라고 덧붙였다.

Colin Moynihan 영국 올림픽위원장은 평창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일본을 제외하고 아시아의 첫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로서 평창은 새로운 관중에게 동계올림픽의 즐거움을 전달할 것이며”(As the first Asian city outside of Japan to host the winter Games, Pyeongchang will bring the excitement of the winter Olympics to a new audience.)  " 훌륭하게 조직될 것이 확실한 평창대회를 학수고대하고 있으며  평창은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올림픽운동 구성원 모두를 자랑스럽게 해 줄것"(We look forward to what we are sure will be excellently organised Games that make Asia and the Olympic Movement proud.)이라고 그는 언급하였다.

한국은 이미 수년간 수억 달러를 평창에 투자했으며, 정부는 국가 우선사업(a top national priority)으로 간주하고 있다. 

“많은 한국인들은 오랫동안 열심히 노력해왔고, 나는 지금 너무 행복하다”(So many Korean people and in Pyeongchang have been working so hard for so long. I am just happy, so happy.)고 김연아 선수는 밝혔다.



 

                            (2014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 국제사무총장 시절 김연아와 함께)



Jacques Rogge IOC위원장은 인내와 끈기로 극복했다(Patience and perseverance had finally prevailed.)고 평가했다.


 

                                                              (자크 로게 IOC위원장과 함께)

 




박용성 KOC위원장은 다음 계획이 무엇이냐의 질문에 “파티 아주 큰파티”(A party, a big party)라고 답하였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기간 중 당시 이연택 KOC위원장<좌3>이 주최한 아시아대륙 IOC위원 초청 오찬 장면: 좌로부터 박용성 당시 IOC위원 겸 국제유도연맹<IJF>회장 현 대한체육회장,  C.K. Wu 대만 IOC위원 겸 AIBA회장, 이연택 KOC위원장, 오찬 진행 중인 필자, Francisco Elizalde 필리핀 IOC위원 겸 IOC위원 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Tamas Ajan 헝가리 IOC위원 겸 IWF회장 부부, 김영환 당시 KOC 명예총무, Timothy Fok 홍콩 IOC위원, Shuniciro Okano 일본 IOC위원, Magvan 몽골 IOC위원<현 IOC명예위원>, 하진량 중국 IOC 부위원장<현 IOC명예위원>)




김진선 특임대사는 “우리는 축하했고 소리쳤고 울었다. 내 마음도 이와 같았다”(We cheered and we shouted out loud, and we cried, and that’s how I feel inside.)라고 소감을 밝혔다.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기간 중 자크 로게 IOC위원장 과 면담 후 김진선 강원도지사와 함께)



“험난한 역경을 딛고 여기까지 왔다”(We have walked through a very rough road coming here.)며 말한 김진선 특임대사는 앞선 두 번의 평창유치를 강원도지사로서 이끌었었다.

평창유치는 10년 전, 작은 아이디어로부터 시작했으며, 무주-전주와의 경쟁해서 내부적으로 후보로 뽑히기도 했었다.

평창은 지도에서도 주목 받지 못해 처음 북한의 평양과 혼동되었으며, 대문자 C를 사용하여 평양과 구분토록 공식적으로 철자를 바꾸어 PyeongChang으로 영문 이름 철자를 재구성하였다.(The town was so off the map that many confused it with Pyongyang, North Korea – clearly an unfavourable identity crisis for the bid. To remedy that, Pyeongchang was officially renamed PyeongChang – with the capital ‘C’.)


2010때에는 지정학적인 정치적 이해관계로 유럽에서의 올림픽을 피하기를 원했고,  그 결과 많은 IOC위원들은 평창을 더 선호했지만, 3표차로 1라운드에서 승리를 놓치고, 평창은 2라운드애서 밴쿠버에게 패하였다.



 

             (2010년 평창의 동계올림픽유치 당시 IOC현지실사 평가단과 평창2010유치위원회와 연석회의 장면)



2014때에는 감자 밭(potato field)에 세계 정상급 리조트를 세운다는 공격적이고 화려한 계획으로 유치경쟁을 하였지만, 소치에게 패하고 말았다.


당시 김진선 특임대사의 결정으로  감자 밭은 파헤쳐졌고 (The field had been excavated and barricaded.)그 장소에 경기장들과 IOC호텔들을 포함한 리조트가 세워졌고(Hotels, downhill ski slopes, biathlon and cross-country arena, a ski jump tower, and an Olympic stadium.), 2018유치에 꽃피게 되었다.

평창은 ‘Drive the Dream'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김연아 선수는 올림픽 유치의 첫 번째 살아있는 유산 (the first living legacy)이 되었다.

2018유치과정에서 조양호 위원장이 유치를 지휘하였지만, 김진선 지사는 유치의 핵심적인 일부(integral part)로서 두 번의 유치과정에서 구축한 관계를 잘 활용하였다.

선두를 달리던 평창은, 마지막까지 뮌헨의 도전에 시달렸지만 결국 승리하였다.



2018년 2월 세계는 조그만 산골 도시인 평창을 주목할 것이다. 그곳은 세계수준의 시설물들과 평창 특유의 문화환경으로 점철되어 있을 것이다. 새로운 고속철도 편으로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2시간 더 가깝게 연결 시켜 줄것이다. 그것은 평창 지역을 영원히 탈바꿈 시켜 줄 그 무엇이 될 것이다.(Now, in February 2018, the world’s attention will be on tiny PyeongChang – on its world class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and on its culture. New high speed rail links will bring Seoul and an international airports 2-hours closer – something that will transform the area forever.)


한편 한심한 패배로 낙심한 뮌헨은 2018 유치결정투표에서 평창의 압도적인 승리는 동정표 덕분이라고 밝혔다.(The landslide victory by South Korea's Pyeongchang in the race to host the 2018 winter Olympics was thanks to a sympathy vote,)

2010, 2014에 아깝게 분패한 평창은 63표로 뮌헨의 25표, 안시의 7표를 따돌렸다.

Thomas Bach IOC부위원장 겸 뮌헨 유치총괄회장은 “스포츠에서 이기는 것만이 모든 것을 뜻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며, 이번의 패배가 마지막을 의미하지 않는다”(We know that in sport winning is not everything and that defeat does not spell the end.)라고 소감을 피력했다.



               
(Thomas Bach IOC부위원장 겸 뮌헨 유치총괄회장)

 “그러나 우리는 매우 실망했으며, 한국의 동정 전략은 잘 먹혔다”(But obviously we are very disappointed. It seems that the sympathy effect for the Korean proposal played its role.)라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뮌헨은 평창과 선두를 달리는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38표의 차이는 세 번째 도전인 평창이 선택된 것을 의미한다.

“이 레이스에서는 은메달이 없기 때문에 패배는 아무것도 의미 하지 않는다“(The margin of defeat does not really mean anything because there is no silver medal in this race.)라고 덧붙였다.

뮌헨유치위원장으로써 간판역할을 했고 패배의 충격에 눈물젖은(tearful) 
Katarina Witt는 “할말이 없다. 분명한 것 실망을 했고, 우리의 프레젠테이션전에 이미 결정은 난 것 같다”(At the moment I am at a loss for words," Witt told reporters. "Obviously we are bitterly disappointed but the decision seems to have been taken before our good presentation today and we could just not turn it around.)라고 말하였다.


평창에 초토화 되어 완패한 뮌헨의 얼굴 카타리나 비트는 개최도시 발표 후 대성통곡을 했다고 한다.

Ludwig Spaenle 바이에른 교육 장관은 “정말 수치스럽다 그렇지만 우리는 승복하고 다음 비드를 준비해야 한다”(It's a shame, but we should be sporting about it and make a new bid next time," said Ludwig Spaenle, the Bavarian minister of education.)고 말하였다.

Bach IOC부위원장은 “다음(동계올림픽) 투표는 4년 뒤이며, 우리는 심사숙고하겠지만, 지금은 말할 단계는 아니다”(The next (winter Games) vote is in four years," he said. "We will look at it carefully and analyse things but it is not something we are talking about at the moment.")라고 말을 아끼기도 하였다.

최하위로 패배의 쓴 잔을 든 안시는 실패하여 실망스럽지만, 평창의 “선전”(great competition)에 경의를 표하였다.

안시는 시종 순위 밖으로 간주 되었고, 7표 밖에 득표하지 못하였다. 




Charles Beigbeder는 “우리는 우리가 해온 것에 자부심을 느끼며, 올림픽 무브먼트에 기여했다고 생각하며, 이번의 실패로 절대 좌절하지 않을 것”(We are very proud of what we did and we think we have contributed to the Olympic movement but we lost and this is extremely disappointing.)이라고 밝혔다.



“평창의 선전에 축하의 뜻을 전하며, 우리에게 비드의 기회를 준 IOC에게 감사를 표한다”(We were hoping to be selected but we congratulate Pyeongchang because they were great competition and we thank the IOC for having given us the opportunity to bid.)라고 덧붙였다.



(문대성 IOC위원/선수)
<문대성 선수출신 IOC위원은 IOC위원들 사이에서 공손하고 예의바르기로 정평이 나있다. 그는 15명에 달하는 선수출신 IOC위원들을 상대로 로비 활동을 펼쳤다.>


올림픽 알파인 스키 2관왕이며 전 스웨덴 선수출신 IOC위원을 역임한  Pernilla Wiberg는 “이것은 경기였고, 항상 승자가 있으면, 2위도 있는 법이다. 선수로써 나는 이 자리를 통해 어떻게 지고 어떻게 승리할 지를 배웠다”라고 말하며, “평창에 축하하며, 우리에게는 좋은 경험이었고 많은 것을 배우게 했다”("It's a competition and there is always one winner and those that come second. I think as an athlete we learn from an early stage how to lose and how to win and it is the same here," the Swede said. "Now we celebrate with Pyeongchang. It's been an extraordinary journey for us and we've learnt a lot.")라고 마무리 하였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6. 11:36
이제 드디어 오늘 밤 자정이 조금 지나면 자크 로게 IOC위원장이 투표결과로 선정된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발표하게된다.
어젯밤 제123차 IOC총회 전야제 격인 화려한 총회 개막식이 거행되었다.
더반 IOC총회의 하이라이트인 2018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선정을 앞두고 개막식에서 후보도시들에 대한 예우로써 이들 세 국가의 국기가 선보였다.



세 후보도시를 대표하여 국가 수반들(Heads of State)과 각국 올림픽의 전설들이 남아공 더반에 무대를 설치하였다.

IOC총회 개막식 후 축하 리셉션이 있었는데 이는 유치후보도시들로써는 마지막 공식 로비찬스였다.



한국시간 오늘 오후부터 세 후보도시들의 마지막 프레젠테이션, Gunilla Lindberg 스웨덴 IOC평가위원장의 결과보고에 이어 곧바로 투표에 들어간다.

110명의 IOC위원들 중 후보도시 세 곳이 속한 3개국(한국 2, 독일 2, 프랑스 2)6명의 IOC위원은 1차 투표에서 투표권이 주어지지 않는다.
IOC에 공식 불참통보를 한 6명의 IOC위원들도 투표에서 제외된다.
IOC위원장 역시 동수일 경우에만 casting vote만 행사하므로 일단 투표권이 없다.
따라서 110명 중 1차 투표에 참가하는 IOC위원은 모두 95명(110-6-6-2-1= 95)이 된다.
이 경우 1차투표 과반수는 48표다.
그러나 추가로 불참하가나 기권 투표가 생길 경우 과반수는 이 보다 더 줄을 수도 있다.
만일 2차 투표까지 갈 경우 1차투표에서는 투표권이 주어지지 않았던 탈락한 후보도시 소속 국가 IOC 위원 2명에 2차 투표에서는 투표권이 주어지므로 투표참가 총원수는 97명이 된다.
따라서 2차투표에서 과반수는 49표가 된다.  



<불참통보 6명 IOC위원 명단>

1) Prince Nawaf Faisal Fahd Abdulaziz 사우디 IOC위원(아시아)
2) Alpha Ibrahim Diallo 기네 IOC위원(아프리카)
3) James Easton 미국 IOC위원(북미)
4) Joao Havelange 브라질 IOC종신위원(남미)
5) Munir Sabet 이집트 IOC위원(아프리카)
6) Randhir Singh 인도 IOC위원(아시아)

<후보도시 소속 국가 6명 IOC위원 명단>

1) 이건희(한국)
2) 문대성(한국)
3) Thomas Bach IOC부위원장(독일)
4) Claudia Bokel IOC위원(독일)
5) Jean Claude Killy IOC위원(프랑스)
6) Guy Drut IOC위원(프랑스)

<투표 불참 선언 2명 IOC위원 명단> 

1) Denis Oswald IOC집행위원(스위스)
2) The Princess Royal IOC위원/Anne 공주(영국)

<同數/tie일 경우 Casting Vote만 행사하여 투표 불참하는 IOC위원 1명> 

1) Jacques Rogge IOC위원장(벨기에)

[총: 15명 1차투표 불참가]






[7월6일(화) Wednesday 6 July 2011] // 평창의 "더반대첩" 실현여부가 결정되는 운명의 날(7월7일 00:00~00:30 사이) 프로그램

Time(시간)

Meetings/Events(회의/행사)

Place(장소)

8.30-8.45 a.m.(08:30-08:45분)

IOC위원장 개회사 및 제123차 IOC총회 개막-직후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 프레젠테이션)President’s opening remarks and Opening of the 123rd IOC Session - followed by the presentations of the 2018 Candidate Cities

Session Hall ICC(총회장)

8.45-9.55 a.m.(08:45-09:55분)

뮌헨 프레젠테이션 및 질의응답(Presentation by Munich, Germany)

Session Hall ICC(총회장)

9.55-10.25 a.m.(09:55-10:25분 30분 간)

Break (휴식)

 

10.10 a.m.(10:10분)

독일 뮌헨 후보도시 외신기자회견(Media conference by Munich, Germany)

Media Briefing Room ICC

10.25–11.35 a.m.(10:25-11:25분)

프랑스 안시 프레젠테이션 및 질의응답(Presentation by Annecy, France)

Session Hall ICC

11.35 a.m.–12.05 p.m.(11:35-12:05분 30분 간)

Break(휴식)

 

11.50 a.m.(11:50분)

안시 후보도시 외신기자회견(Media conference by Annecy, France)

Media Briefing Room ICC

12.05–1.15 p.m.(12:05-13:15분)

대한민국 평창 프레젠테이션 및 질의응답(Presentation by PyeongChang, South Korea)

Session Hall ICC

1.15–2.45 p.m.(13:15-14:45분)

Lunch(중식)

 

1.30 p.m.(13:30분)

평창 후보도시 외신기자회견(Media conference by PyeongChang, South Korea)

Media Briefing Room ICC

2.45–3.15 p.m.(14:45-15:15분)

IOC평가위원회 결과 보고(Report by the IOC Evaluation Commission)

Session Hall ICC

3.20–3.35 p.m.(15:20-15:35분 15분 간)

전자투표 테스트(Test Vote)

Session Hall ICC

3.35–3.50 p.m. (15:35-15:50분 15분 간/ 한국시간 22:35-22:50분))

2018년 제23회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투표 및 선정( Vote and election of the host city for the XXIII Olympic Winter Games in 2018)

Session Hall ICC

5–5.30 p.m.(17:00-17:30분/한국 시간 00:00부터 7월7일00:30 사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발표식(Announcement ceremony of the host city for the XXIII Olympic Winter Games in 2018)

Annoucement Hall, ICC

6–6.45 p.m.(18:00-18:45분)

동계올림픽개최도시 협약서 서명식 및 IOC 와 개최도시 공동 외신 기자회견( Signature of the Host City Contract and joint IOC/host city media conference)

ICC, Media Briefing Room

7 p.m. (19:00)

2018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 선출 기념 IOC위원장 주최 리셉션(Reception hosted by the IOC President on the occasion of the election of the host city for the XXIII Olympic Winter Games in 2018)

ICC





통상적으로 보면 투표권이 있는 IOC위원들의 1/3정도는 IOC총회 현장에서 최종 투표향방을 결정한다고 한다.
이들의 표심은 첫째 현장 분위기와 흐름, 둘째 막판 설득과 로비, 셋째 최종 프레젠테이션에서의 감동 등 세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아 투표한다는 것이다.



 가장 약체로 간주되고 있는 프랑스 안시2018유치지원 차 더반에서 활약하고 있는 Chantal Jouanno 프랑수체육장관은 이미 30~40명의 IOC위원들로부터 긍정적인 호응(positive feedback)을 받았으며 어제(7월5일) 추가로 15명의 IOC위원들과 면담을 가졌다고 한다.

그녀는 안시 승리를 낙관하면서 "낙관라는 이유는 IOC위원들로부터 받은 인상이다." (Optimism is coming from members of the IOC.)라고 끝까지 최선을 다한다는 자세다.

"그전에도 만났던 여러 명의 IOC위원들과 접촉했는데 정말 좋은 느낌을 받았다. 그들로부터 이전의 태도와 오늘 더반 현장에서의 지지성향에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I had really good feedback from some of the members I have met before. I could see the change from their position and their position today.)라고 말했다.

Jouanno 장관은 IOC위원들에 대한 막판 로비와 프레젠테이션이야말로 안시에게는 결정적이라고 시사했다.
"로비가 정말 중요하다. 오늘 15명 이상의 IOC위원들을 만날 예정이다. 프레젠테이션은 차이를 만들 수 있는 순간이다."(Lobbying is really important. I am going to meet more than 15 people today. The presentation[Wednesday]is the moment when you can make the difference.)라고 하였다.  



뮌헨2018 유치총괄회장인 Thomas Bach IOC부위원장은 유치전 finish line까지 레이스가 아직도 진행 중라고 하였다.

"지난 수주 간 실감나는 승기를 잡을 수 있는 계기가 창출되었다. (The last couple of weeks have created some real momentum.)
IOC위원들은 이러한 계기를 통해 유치가 지향하는 가치있는 질(質)을 보여주는 걸로 알고 있다. (The IOC members realize this is about the quality of bids.)
그것은 유치도전 횟수가 아니고 유치의 질과 타이밍이다.(It's not about the number of bids, it's about the quality and the timing.)
동계올림픽이 2018년에 무엇을 필요로하는가? (What do the Winter games need in 2018?)라고 반문하였다.

Wulff 독일연방 대통령은 뮌헨이 전체 독일인구가 열정적으로 품에 안을 수 있는 동계올림픽을 전할 준비가 되어있다라고 하면서 " 지난 수주 간 다양한 IOC위원들과 면담을 가졌는데 오늘도 여러 명과 대화를 나눌 것이고 그들과 남은 이슈들에 대해 명백한  입장표명을 하겠다."(I've had the opportunity to speak to various IOC members in the past weeks and I will tak the opportunity to speak to some of the members today to clarify some of the remaining issues.)라고 외신기자들에게 언급하였다.  


유치전 마지막날인 7월5일 평창은 기자회견이 없었다.
다만 조양호 유치위원장(a relaxed bid chair)이 한 외신기자에게 "평창 팀의 업무에 자신감이 생긴다".(He is confident of the work of our team.)f라고 느긋하게 말했다.

한편 2010 밴쿠버 동게올림픽 피겨 금메달리스트 김연아는 7월5일 아침  더반 아이스링크에서 수 십명의 남아공 청소년들과 스케이팅을 하였다.

60명에 달하는 한국 취재기자들이 더반으로 왔는데 그들 거의 모두다가 김연아의 스케이팅 장면을 취재하기 위해 아이스링크에 모였다.


현지 언론에 공개한 이명박대통령과 함께 오늘 저녁 평창 프레젠테이션에 참가하는 대표 명단(8명+4명)은 다음과 같다.:

§ 조양호 유치위원장/Mr. Yang Ho Cho, Chairman and CEO, PyeongChang 2018

§ 박용성 KOC 위원장/Mr. Yong-Sung Park, President, Korean Olympic Committee

§ 김연아 평창 유치 홍보대사/Ms. Yuna Kim, reigning Ladies Figure Skating Olympic Champion and PyeongChang 2018 Ambassador

§ 나승연 유치위원회 대변인/Ms. Theresa Rah, Communications Director, PyeongChang 2018

§ 김진선 전 강원도지사 겸 특임대사/Mr. Jinsun Kim, former Governor, Gangwon Province and PyeongChang 2018 Special Ambassador

§ 문대성 IOC 위원/Mr. Dae-Seong Moon, Korean IOC Member and Olympic Gold Medalist, Taekwondo, Athens 2004

§ 토비 도슨 미국 입양아 출신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2006년 토리노)/ Mr. Toby Dawson, Korean-American Olympic Bronze Medalist, Men's Moguls, Torino 2006

프레젠테이션에서 연설은 않하지만 동석하는 대표 명단/Joining the presentation team on the platform are:

§ 이건희 IOC위원/Mr. Kunhee Lee, Korean IOC Member

§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Mr. Byoung-Gug Choung, Korea's Minister of Sport, Culture and Tourism

§ 최문순 강원도지사/Mr. Moon-Soon Choi, Governor, Gangwon Province

§ 윤석영 한국 쟁애인 올림픽위원회 위원장/Mr. Seokyong Yoon, President, Korean Paralympic Committee



*평창2018 프레젠테이션 팀 지원 대표단 명단/PyeongChang 2018's delegation supporting the presentation team includes:


§ 모태범 선수/Tae-Bum Mo, Vancouver 2010 Speed Skating Men's 500 metre Olympic Champion

§ 이승훈 선수/Seung-Hoon Lee, Vancouver 2010 Speed Skating Men's 10,000 metre Olympic Champion

§ 이상화선수/Sang-Hwa Lee, Vancouver 2010 Speed Skating Women's 500 metre Olympic Champion

§ 최민경 선수/Min-Kyung Choi, Salt Lake City 2002 Short Track Women's 3000 metre Relay Olympic Champion

§ 김소희 선수/Sohee Kim, Lillehammer 1994 Short Track Medallist

§ 김학성/Haksung Kim, Vancouver 2010 Wheelchair Curling Paralympic Silver Medallist

§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Sung Hwan Kim, Korea's Foreign Minister

§ 강영중 IBF회장/Young Joong Kang, President, IBF

§ 김나미 IBU부회장/Ms. Nami Kim, Vice President, IBU

§ 장명희 ISU 명예위원/Myong-hi Chang, Honorary Member, ISU

§ 장향숙 IPC집행위원/Ms. Hyang Sook Jang, IPC Council Member

§ 김영철 WCF집헹위원/Young Chul Kim, WCF Executive Board Member

§ 유경선 OCA집헹위원/Kyung Sun Yu, OCA Council Member

§ 박갑철 대한 아이스하키협회회장/Kap Chul Park, President, Korea Ice Hockey Federation

§ 정재호 대한 루지연맹회장/Jae Ho Chung, President, Korea Luge Federation

§ 대한민국 국회의원 5명/Five members of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including 전재희 국회문화체육 관관방송위원장/Ms. Jae Hee Chun (Chairperson of the Assembly's Council of Sports), 권성동 강릉 지역구 국회의원Sungdong Kwon (representing Gangneung) and 최종원 평창 지역구 국회의원Jongwon Choi (representing PyeongChang)
김재윤 국회문방위원/국회의원, 조윤선 국회문방위원/국회의원 등 5명

§ 오지철 유치위 부위원장/Jeechul Oh, Vice Chairman, PyeongChang 2018 Bid Committee

§ 이석래 평창 군수/Seok Rae Lee, Mayor of PyeongChang

§ 최명희 강릉시장/Myung Hee Choi, Mayor of Gangneung

§ 최승준 정선군수/Seung Jun Choi, Mayor of Jeongsun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5. 17:26
 

세계 주요 외신들이 두 라이벌 경쟁도시, 평창과 뮌헨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와 전망을 타전했다. 

[ "동계올림픽, 아시아의 새로운 미개척지로 보낼 것인가 아니면 유럽의 중심이자 스포츠의 뿌리로 돌아가야 할까?" ]




세 번 연속 도전하는 평창은 근소한 표로 2010년 및 2014년 유치 투표결과 패배 하였으며, 아시아에서 일본을 제외한 첫 번째 동계올림픽 유치국가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하계(1972)와 동계올림픽(2018)을 모두 개최하는 첫 번째 도시가 되고 싶은 뮌헨이 평창을 끝까지 밀어 붙이고 있다.


 

노르웨이 IOC집행위원인 Gerhard Heiberg는 “두 도시가 선두이며  안시가 뒤쳐지고 있으나, 아직 모두가 어디에 투표할지 결정한 것은 아니다“ 라고 밝히고 있다. 


 

     (Gerhard Heiberg 노르웨이 IOC집행위원 겸 IOC마케팅위원장과 함께 오슬로에서/2011년)


IOC투표는 예측이 불가하며, 동계올림픽의 경우 많은 IOC위원들의 소속 국가에 동계스포츠의 전통이나 이해관계가 없어, 정치역학 적, 지정학 적, 감성 적요인 그리고 앞으로 있을 유치와 개인적 친분 등 무형 적인 요인들에 좌우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스위스 IOC집행위원 Denis Oswald는 “아직 막상막하의 상황이다. 뮌헨은 매우 강하며, 안시는 나쁘지는 않지만, 둘다 우수한 동계올림픽대회 조직력을 보여 줄 것이다. 그러나 그들(안시)의 경우 출발이 그다지 썩 좋은 편은 은 아니었고 따라잡기가 수월치는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Denis Oswald FISA회장 겸 IOC집행위원의 2009년 초 평창방문 시 함께)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 독일의 Christian Wulff대통령은 유치 지원을 위해 더반에 있을 것이며, 안시는 Nicolas Sarkozy 대통령 대신 Francois Fillon 총리가 참석 예정이다.


토니 블레어와 블라디미르 푸틴은 2012년 런던, 2014년 소치를 위해 힘썼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2016년시카고 유치에 도움이 되지 못했고 오히려 미국은 1차에 탈락하는 치욕을 당했다.

 

 

 

              (2009년 코펜하겐 IOC총회에서 시카고 후보도시 대표단 일원으로 프레젠테이션 중인 오바마 미국 대통령)



이번에는 양국(대한민국과 독일) 국가수반들보다 두 명의 피겨스케이팅 선수들이 더 잘 알려진 경우다. 뮌헨과 평창은 각각 전 동계올림픽 2관왕 카타리나 비트와 방년 20세로 세계를 군림하는 피겨챔피온 김연아가  경쟁 구도의 각을 잡고 있다.


                (2014년 평창 유치 국제사무총장시절 필자와 세계피켜 퀸 김연아 그리고 한국 마라톤의 대들보 이봉주 선수)
                                                     



 

평창의 10년 간 집요한 유치 노력과 준비, 지정학 적 위치, 아시아 새로운 시장에서의 동계스포츠 발전 약속, 국가적 우선과제, 조밀한 경기장 배치계획는 서류상으로는 모든 것을 갖추고 있는 듯 하다.

 

 

                                    (알펜시아 클러스터 내에 위치한 국제 공인된 스키졈프장)


최근 트랜드는 새로운 지역에 국제대회가 유치되고 있으며 이는 평창에 유리하게 작용된다. 러시아의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남미의 첫 번째 올림픽인 2016년 리오 하계올림픽, 러시아의 2018년 FIFA월드컵, 카타르의 2022년 FIFA월드컵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평창의 슬로건 "새로운 지평"(“New Horizons”)은 우연이 아니다.

 


Oswald는 “내자신은 이번 2018개최도시 선출이 스포츠/정치적인 결정사항이라고 본다. 그 결정은 주로 동계스포츠를  새로운 대륙으로 이끌수 있는 기회를 허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선정이다. 리오(유치)의 정신과 많이 흡사할 것이다”라고 설명하였다.

새삼 놀랄 일은 아니지만 평창은 선두주자 딱지를 애써 사양하고 있다.


조양호 위원장은 “유치는 마라톤과 같아 마지막까지 나는 긴장을 늦출수 없다. 혹자는 우리가 선두라고 하지만 결과는 누구도 알 수 없다”라고 밝혔다.



(ANOC총회장에서 평창을 홍보하는 조양호 평창 2018유치위원장/사진출처: ATR)


독일이 1936년 Garmisch-Partenkirchen에서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이래 뮌헨은 80년간 동계올림픽을 유치하지 못했다는 점을 강하게 어필하고 있다.


Witt는 독일의 열정적인 스포츠팬들과 관중들이 꽉 들어찬 경기장들을 예시하면서 “올림픽 개최지 선정은 지정학적인 요소이상의 것"이며 미래의 선수들이 누려야 되는 올림픽 경험과 같은 것에 대한 선택이다." 라고 말하였다.


뮌헨은 독일 스폰서의 막강한 재정 지원과 7개 IF 연맹의 재정 수입의 반을 독일 기업이 부담한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BMW is the official car of the Munich 2018 bid. (ATR)


호수가에 자리잡고 있는안시는 프랑스 알프스의 심장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진정한”, “녹색” 올림픽을 펼쳐 보이겠노라고 설명한다. 

 Le Mont Blanc
  (알프스 사보이/Savoi 몽블랑/Mont-Blanc 전경/설상경기장/출처: annecy2018.com 홈페이지)



막후에서 고려되고 있는 예측불가한 요소는 2020 하계올림픽유치다.

 

로마는 이미 유치를 나서겠다고 선언했으며, 마드리드오 도쿄는 고려 중이며, 유럽의 IOC위원들은 2018을 아시아에서 개최해야 2020에 유럽에서 개최할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선호 할는지도 모른다.

 

캐나다 IOC위원 Dick Pound는 “아시아에서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면, 도쿄는 2020에서 효율적으로 탈락될 것이며, 이는 유럽표에 영향을 줄 것이다. 이에 따른 영향력의 전개 패턴는 지켜 볼 일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과거 두 번의 유치투표에서 매번 거의 이길뻔 했는데 한국(평창)이 이길려면 1차 투표에서 승리를 거뭐져야한다고 생각해 왔다."라고 Pound위원은 언급하기도 했다.

 

Oswald는 “작업을 걸 수는 없으며, 그냥 최고의 후보도시에 바로 투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Pound는 "PT를 통해 승리자가 될 수는 없지만 PT때문에 질 수는 있다. 혹자는 원치 않은 후보도시가 있긴 하지만 7월 6일 최종결정시까지 어떤 변수가 생길 지 지켜보자"라고 이야기 할 수도 있다. 그렇게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 오히려 상황을 불안정하게 조장한다“라고 설명하였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1. 7. 5. 11:13
"평창낙관론 경계?"란 제목의 외신기사는 지난 5월18일-19일 로잔 테크니컬 브리핑 후 게재된 내용이었다.
물론 겸손하면서 차근차근 평창유치성공의 내실을 다지자는 다짐의 뜻이라고 해석된다.
그러나 뮌헨은 5월18일-19일 로잔 테크니컬 브리핑 이후 시종일관 뮌헨의 유치성공 가능성에 대해 언론 플레이하고 있다는 인상이다.
뮌헨의 유치이유라니?
올림픽을 유치하면서 이유와 명분이 없을 수 없질 않은가?
뮌헨의 홍보는 자못 공격적이다.

이제 드디어 내일이면 모든 결과가 분명해 진다.
평창일까? 뮌헨일까? 아니면 안시?

투표란 뚜껑을 열 때까지 전혀 알수가 없는 것일까?


 


<독일은 뮌헨 2018 유치 성공 확신>

- DOSB 토마스 바흐 위원장,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을 앞두고 뮌헨은 준비가 되었으며 선정될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이 충만하다고 목요일 밝혀

- “브리핑에 대한 반응이 매우 좋았고, 7월 6일 승리의 현실적인 가능성을 느끼게 했다”고 말해

- 마지막 IOC 총회 프레젠테이션에는 바흐, 카타리나 비트와 함께 독일 대통령 클리스티안 불프와 올림픽 챔피언 출신 홍보대사들도 나설 예정

- 바흐는 IOC 총회를 앞둔 심정을 “출전을 기다리는 대기실의 운동선수” 같다고 비유하며 “결전의 순간이 매우 기대된다. 다른 두 후보도시들과 승리를 향한 대결을 기대한다”고 말해

- 최근의 브리핑과 더불어 현지 토지소유자들과의 분쟁도 종료되고 주민투표도 찬성 결론이 나는 등 뮌헨 비드는 여러 가지로 탄력을 받고 있음

- 비트는 “7월 6일 개최지 선정을 정말로 바라고 있다”고 언급

- 평창은 여전히 선두로 꼽히지만 박선규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이 “(평창은) 결코 선두가 아니”라고 말하는 등 독일의 라이벌을 과소평가하지 않고 있음

Munich ready and confident ahead of 2018 Olympics vote

Munich is ready for the grand finale of its bid for the 2018 Winter Olympics and sees a realistic chance to land the Games, German Olympic supremo Thomas Bach said on Thursday.

'The feedback on our presentation in Lausanne was very good. They let us feel that our bid has a realistic chance to win on July 6,' said Bach.

Bach was referring to the technical briefing at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last week where the three bidders Munich, Pyeongchang and Annecy presented their bids to almost 90 of the 108 IOC members.

The IOC elects the host city in a secret ballot on July 6 in Durban, South Africa.

German President Christian Wulff will lead the final pitch before the IOC on election day along with Bach and bid committee chair Katarina Witt, a two-time figure skating gold medallist.

Also present will be three-time Olympic luge champion Georg Hackl and skier Rosi Mittermaier, who won two golds and a silver in 976.

Bach said he felt 'like an athlete in the dressing room' ahead of the big event.

'We can't wait for this moment. We are looking forward to the fight for victory with the two other bidders,' said Bach.

The Munich camp has not only been boosted by the latest pitch. A dispute with land owners in the proposed ski venue of Garmisch- Partenkirchen has been settled and that community also voted in favour of the Games in a recent referendum.

'We really want to get the Games to Germany on July 6,' said Witt.

Pyeongchang are still considered favourites but they are not underestimating the Germans, with vice minister for culture, sports and tourism, Park Sun Kyoo, even saying that his bid was 'definitely not in first place' in the race.






Ts sports - JO 2018

Pyeongchang «pas en tête»

Lucidité ou humilité ? Le vice-ministre sud-coréen des sports Park Sun-Kyoo a expliqué ce mercredi qu'il pensait que Pyeongchang était pour l'instant devancé par ses concurrents dans la course à la désignation des Jeux Olympiques d'hiver 2018. «Je dois avouer que nous ne sommes pas en tête contrairement à ce que beaucoup de gens disent, avoue-t-il. Je vous demande de considérer ça comme un fait.» Pyeongchang a déjà échoué dans l'attribution des JO pour 2010 et 2014. Munich et Annecy sont les autres candidats. (Avec AFP)


통찰력인가 아니면 겸손함인가? 평창 유치위, 낙관론 경계 [l’Equipe, 5/25]

-          박선규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은 25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평창이 대다수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처럼 선두 주자가 아니라며 낙관론 경계

-          평창은 2010년 및2014 동계올림픽 유치에 실패한 바 있음

 

○ 뒤쳐진 평창? [SZ, 5/25]

-          박선규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이 평창은 사람들이 언급하는 바와 같이 유치 전에서 주도적인 입장에 있지 않으며 객관적으로 볼 때도 일등은 아니다라고 기자회견장에서 의견 밝혀

-          또한 그는 뮌헨은 여전히 강력하며 안시도 외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 덧붙여

-          그의 이런 발언이 전략적으로 이루지 진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좌절감에서 비롯된 발언인지는 불분명






(Sport Intern 지 발췌)
 

<뮌헨의 2018 비드의 이유는?>
 

   - 바이에른에 있어 동계스포츠는 우리의 혈관 속에 살아 숨 쉼

   - 가장 성공한 동계스포츠 국가들 중 하나로써 자랑스러운 유산을 가졌음에도 불구, 독일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스포츠 행사를 80년간 유치하지 못했음

   - 10세대에 걸쳐 선수들은 결코 바이에른의 관중들 앞에서 올림픽 메달을 위한 희열을 느껴보지 못했으며, 이제 2018년에 우정의 축제로 변화를 주어야 함

   - 2018뮌헨은 진정한 동계스포츠 중심지라고 하여, 당연하게 그리고 우리의 차례라고, 독일을 위한 순간이라고 주장하지 않음

   - 뮌헨 2018은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했듯, 새로운 대지에 스포츠 축제를 이끌고 바이에른 유산의 지속을 보장할 것임


   <뮌헨 비드의 특징은?>
 

   - 2018뮌헨은 바이에른의 독특한 문화를 기반으로 풍부한 스포츠 전통을 잘 조화시켰음

   - 수십년간 독일에서 주요 대회들을 치르면서 운영과 서비스에 있어 사실상의 표준이 되도록 발전 시켰음

   - 이번 시즌에만 12개의 세계 월드컵과 3개의 세계선수권대회를 개최하였고, 100만명 이상의 관객과 10억명 이상의 시청자를 기록

   - 2018뮌헨에 대한 국민적 지지는 계속 올라가고 있으며. 최근 조사에서는 75%를 기록

   - 지구상 최대의 쇼가 펼쳐지는 뮌헨에서 Oktoberfest 축제와 따뜻한 환대를 느끼게 될 것임


   <뮌헨에서 올림픽의 모습은?>
 

   - 2018뮌헨은 최고의 올림픽을 통해 잊을 수 없는 우정의 축제, 선수와 팬 그리고 올림픽 & 패럴림픽 패밀리들의 화합을 보여 줄 것임

   - 스포츠 아이돌의 묘기에 매료된 팬들로 가득찬 스타디움의 열광적인 분위기, 숨막히는 열정으로 믿기지 않는 퍼포먼스를 보여줄 선수들, 이러한 동계스포츠의 마법을 모든 거리와 축제 장소에서 느낄 수 있음


   <2018뮌헨에 참여한 선수들의 역할은?>
 

   - 2018뮌헨이 선수들에 의해, 선수들을 위해 이끌어져 자랑스러움

   - 선수들의 경험은 모든 계획의 핵심이며, 125명의 운동선수 대사들은 기술적인 면에 있어 주요 부문에 대한 자문을 주고 있음

   - DOSB는 유치위의 주요 구성원이며 선수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음

   - 아주 컴팩트하고 선수 중심의 개념을 통해 80%기 경기장과 훈련장에서 5분 거리 내에 머물 수 있음

   - 선수들로 하여금 걱정 없이 최선의 컨디션으로 경기에 임하게 하는 것이 우리의 우선순위임


 

<유산의 관점에서 올림픽 무브먼트에 무엇을 기여?>
 

   - 2018뮌헨은 올림픽 무브먼트에 자양분이 될 것임

   - IOC 올림픽 프로젝트 기금의 40%는 동계스포츠에서 마련되며, 2018뮌헨은 올림픽 무브먼트를 독일 기업과 연계시키고, 장기적으로 전세계 동계스포츠의 건강한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보장

   - 독일 기업은 동계스포츠 후원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30년 간 7개 IF의 중추로서 약 50%의 스폰서십을 담당

   - 독일의 스포츠 스폰서십 시장은 연간 26억 유로이며, 세계적 경기 불황에도 불구, 6.3%의 연성장을 통해 2013년부터 2020년 기간 동안 220억 유로의 시장 가치가 예상됨

   - 2018뮌헨은 이 트렌드를 더욱 가속화 시킬 것임

   

   <알프스의 유산과 독일에서의 동계스포츠 역사・인기는 얼마나 중요한가?>
 

   - 알프스의 유산과 매우 오래된 동계스포츠 전통은 2018뮌헨에 있어 매우 중요함

   - 2018뮌헨은 유럽의 중심지에서 전원적인 산과 국제・다문화 도시의 매력적인 접점을 만들어 냄

   - 밀접하게 연결되고 친밀한 알프스 환경과 다양성이 가득한 세계최고의 도시 환경이 바로 그것임

   - 뮌헨은 문화와 예술의 수도이자 상업・산업・기술의 중심지이며, 세계적인 관광지이며, 한 시간도 안 걸리는 시간에 위치한 자연그대로의 Garmisch-Partenkirche에서 아름다운 계곡을 즐길 수 있음


   <더반 최종까지 전략은?>
 

   - 2018뮌헨은 주요한 모멘텀을 가지고 있음

   - IOC 실사단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스포츠 어코드에서의 PT를 통해 올림픽 패밀리들에게 우정의 축제라는 비전을 제공

   - 로잔에서 열리는 테크니컬 브리핑을 통해 깊이 있고 분석적인 PT로 우리의 장점을 IOC위원들에게 전달 예정

   - 더반 총회에 앞서, 토고에서 개최될 ANOCA에 참가 계획

   - 항상 그래왔듯이 우리는 2018뮌헨의 가치를 진정으로 보여주고, 매 순간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의 시간을 가질 것임


Munich 2018 will be an unforgettable Festival of Friendship, uniting athletes, fans and the Olympic and Paralympic families in the ultimate Games-time experience”


A sport intern interview with Munich 2018 chair Katarina Witt


Why is Munich bidding for the 2018 Winter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In Bavaria, winter sport is in our veins. From the world-class arenas in Munich, to the dramatic slopes in Garmisch-Partenkirchen, to the legendary ice track at Lake Königssee, we grow up on skates, skis and sledges. But despite our

proud heritage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winter sports nations, it has been 80 years since Germany hosted the Winter Games; 80 years since some of the world’s most passionate sports fans experienced a Winter Games at home. That means 10 generations of athletes have never felt the rush of competing in front of a Bavarian crowd for an Olympic or Paralympic medal. We are desperate to change that and to welcome the world to a Festival of Friendship in 2018.


 

Munich 2018’s is a bid to bring the ultimate celebration of winter sport back to one of its true heartlands. But it’s not because we feel we deserve it, or because it’s ‘our turn’. It’s because now is the right time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Movements to take the Winter Games to Germany. Munich 2018 will do for the Winter Games what Germany did for the FIFA World Cup in 2006: elevate the sporting celebration to a new plateau and guarantee a lasting legacy for Bavaria, Germany and the entire Olympic and Paralympic families.


What makes your bid unique?

Munich 2018 has that very special combination of a rich sporting tradition founded on our inimitable Bavarian culture. Through decades of welcoming the world to major events in Germany, we have developed an unparalleled level of operational and service excellence which has become the de facto industry standard. This season alone, Germany staged 12 World Cups and three World Championships in sports on the Winter Games programme. It’s an impressive statistic in itself, but when you populate it with a total of one million spectators and over a billion

television viewers, you get a real sense of the unparalleled appetite for winter sports here. This has helped see a significant boost in public support for Munich 2018 since early December 2010. The figure has risen to 75% support according to the latest opinion polls - this is unprecedented in Germany for an event of this scale at this stage in the bid process.

Now imagine taking those avid, knowledgeable sports fans and putting them at the centre of the greatest show on Earth, in Munich – the city that gave the world Oktoberfest. Bavarians are famous for their warmth, their openness and their hospitality – not to mention their ability to throw a party. That is what makes Munich 2018 truly unique.


What will the Games be like in Munich?

Munich 2018 will be an unforgettable Festival of Friendship, uniting athletes, fans and the Olympic and Paralympic families in the ultimate Games-time experience. We can guarantee a crackling atmosphere in sold-out stadia filled with fans living every turn, shot and pirouette with their idols. That breathtaking passion will spur on the athletes to record performances of a lifetime and create an incredible sporting spectacle. That buzz will spill out onto the streets and into public celebration sites all over Germany and bring the magic of the Winter Games to a wider audience than ever before.


Athletes are heavily involved with Munich 2018. What is their role?

I am proud to say that Munich 2018 is a bid by athletes, for athletes. The athlete experience has been at the core of every aspect of our planning. We have 125 athlete ambassadors, who are almost all Olympians and Paralympians. Between them, they have over 100 Olympic and Paralympic medals. Their role has been far more significant than wearing scarves and signing autographs: they have been consulted on key aspects of our technical planning to help us find the little things that make a big difference to athletes. What is more, the DOSB is our majority stakeholder, so the bid really does have a very strong athlete voice.

You can see the results for yourself in our incredibly compact, athlete-friendly concept. 80% of the athletes competing at Munich 2018 would stay within a five minute bubble-to-bubble walk from their competition and training venues. Our top priority has been to make sure athletes have nothing to worry about but doing what they do best – getting our pulses racing.


What does the bid offer to the Olympic Movement in terms of legacy?

Munich 2018 offers the Olympic Movement the opportunity to water its roots. 40% of the IOC’s revenues – 40% of the funds that can be distributed on Olympic projects around the 

world – come from the Winter Games. Munich 2018 would connect the Olympic Movement with the latent power of Germany’s corporate community and ensure the long-term health and sustainability of winter sports worldwide.

German business has a long history of supporting winter sports. In fact, it has been the backbone of the seven winter IFs for 30 years and right now accounts for approximately 50% of their sponsorship. Overall, the sports sponsorship market in Germany is worth €2.6 billion per year. Incredibly, it is growing at 6.3% per year, despite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so between 2013 and 2020, the market will be worth an estimated €22 billion – and that is without the Games.

Munich 2018 would accelerate that trend, so that by the time the Winter Games come to town, German companies would be doing for the Olympic Movement what they’ve been doing for the winter sports movement for a generation.


How important to the bid are the heritage of the Alps and the history and popularity of Winter sports in Germany?

Our Alpine heritage and our long, proud traditions in winter sports are hugely significant for Munich 2018. In many ways they define the character of our bid, but we offer far more than that. Munich 2018 creates that compelling meeting point of mountain idyll and a bustling, cosmopolitan, multicultural city in the heart of Europe. We have studied past Winter Games and the ones that live longest in the memory are those that create a close-knit, intimate alpine setting and those that deliver all the rich diversity of a world-class urban setting. Munich, Garmisch-Partenkirchen and Lake Königssee do both.

Munich is a capital of culture and art; a centre of commerce, industry and innovative technology; and an international tourist destination for its architecture, its restaurants, its shopping, nightlife and performing arts. But in less than one hour, you can be in the unspoilt town of Garmisch-Partenkirchen, nestled in a beautiful valley below Germany’s highest mountain. In my opinion, that is a truly unique combination of urban assets and natural treasures.


What are you doing to promote the bid between now and the final presentation in Durban?

We are entering the most critical phase of all now and there is a real sense of anticipation in the Bid Committee. I think Munich 2018’s campaign is gathering real momentum at the moment. We had a very positive visit from the IOC Evaluation Commission andwe’re eagerly awaiting their report. Our latest presentation to the Olympic family at SportAccord was another wonderful opportunity to communicate our vision of a Festival of Friendship to the Olympic family.

The next and vitally important step will be the Technical Presentation to the IOC members in Lausanne on May 18th. This meeting will enable us to give the IOC members a much more in-depth and analytical presentation on the merits of our bid. The final event before the presentation at the IOC Session in Durban will be to present at the prestigious General Assembly of the Association of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s of Africa in Togo. Our approach will be the same as it has always been – stay true to our Munich 2018 values and take every possible opportunity to learn and grow.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