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0. 6. 28. 17:06
ANOC는 205개국 국가올림픽위원회 총연합회(Association of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s)다.






전 세계올림픽위원회의 통합체로서 올림픽운동의 수장 격인
IOC
를 상원에 비유할 때 ANOC는 하원에 해당한다

스포츠의 유엔총회로 불리며 2년에 한번씩 전 세계 205 NOC가 모두 함께 모이는 ANOC총회가 개최된다.

IOC, GAISF/SportAccord와 함께 세계 3대 스포츠 거대기구 중 하나다.
이제 그 거대한 세계 스포츠 3대 기구 모두가 세게스포츠의 명당으로 자리매김한 스위스 로잔느로 총 집결하였다.
로잔느는 과연 명당자리인가?

                         (해가 지지 않는 세계올림픽운동의 총본산  명당자리인 로잔느 IOC 본부 정문 앞)

그 3대 기구 중 규모면에서 가장 큰 ANOC는 1979년 창립이래 31년 간이나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두어 왔다.
6월 중순, 드디어   파리 중심부 샹젤리제(the Champs Elysees)근처에 틀었던 ANOC본부가 IOC본부와 GAISF/SportAccord가 함께 위치한 스위스, 로잔느로 새로운 둥지를 틀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며칠 전 자크 로게 IOC위원장, 마리오 바즈케즈 라냐 ANOC회장 및 여러 명의 IOC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본부 이전 축하 리셉션을 가진 바 있다.

                   (멕시코시티에 소재한 ANOC회장 집무실에서 마리오 바즈케즈 라냐 ANOC회장과 함께)
                                            
ANOC본부는  200평방미터 규모의 공간에 5명의 직원이 상주하는 사무실과 로잔느 방문 각국 NOC대표들이 함께 사용할 별도의 공동 사랑방 격의 사무실 공간으로 되어 있다.
정확한 위치는 IOC위원들의 공식 호텔 격인 로잔느 팔라스(Lasanne Palace Hotel) 건너 편 빌딩 3층이며 로잔느 시가지 스카이 라인이 한 눈에 들어 오는 전망 좋은 ANOC의 새로운 보금자리인 셈이다.
                                                  (로잔느 팔라스 호텔 전경)

연혁을 보면 1979년 푸에르토리코 상환(San Juan)에서 열린 제9 NOCs총회에서 ANOC가 창립되었다..

ANOC는 세계 각국 NOCs들간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올림픽운동에서의 NOC의 역할과 위상 강화 그리고 NOCs상호 간의 이해와 우의증진이 그 목적이다.

Mario Vazquez Rana(멕시코:1932년 생/ 78세) 1979년 당시 멕시코 NOC회장이 초대회장으로 선임된 이후 현재까지 장기집권 중이며 2010년 10월 멕시코 아까뿔꼬에서 개최될 ANOC총회에서 연임이 확실시 된다.

창립대회인 1979년 총회에 참가국가 120개국, 차기 총회(1981 7월 이태리) 131개국, 1986년 제5차 서울총회에는 152개국, 1990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총회에는167개국, 1994 12월 미국 애틀랜타 총회에는 193개국, 15차 서울총회에는 198개국, 2008년 베이징 총회에는 205개국의 회원국으로 증가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4차 멕시코시티 총회에서는 1980년 모스크바 와 1984 LA올림픽이 미국과 구 소련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야기된 보이콧올림픽에 대한 올림픽가족들의 우려와 각성이 부각되었으며 더 이상 올림픽이 국제정치의 희생물이 되어서는 안되며 다음대회인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노력과 협력을 촉구하는 ‘멕시코 선언문’이 채택된 바 있다.

5차 서울총회(1986년)에서는 올림픽 선수자격(eligibility) 및 상업주의화 문제가 거론되었으며 ANOC헌장개정 토론이 있었다.

                                    (1986년 제5차 ANOC서울총회/소공동 롯데호텔)

1988년 제6차 총회(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는 올림피즘의 증진 방향, 올림픽대회의 보호와 안전대책, NOC의 발전대책과 ANOC위상강화방안, 선수보호조치와 함께 스포츠에 있어서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결의문이 채택되었고 각국 스포츠 지도자 11명에 대한 ANOC공로훈장 시상과 마리화나를 IOC금지약물대상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결정하였다.

2008년 제16차 총회(중국 베이징)에서는 한국인 최초로 윤강로 KOC위원 겸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2008년 올림픽대회 IOC 평가위원 등 역임) ANOC공로훈장(한국인 제1호)을 수여 받은 바 있다.


ANOC공로훈장은 '세계 스포츠외교 공로훈장'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수상자 후보는 20년 이상 자국NOC에서 활동한 인사들 중 세계올림픽운동에 크게 기여한 자 들을 대상으로 해당국 NOC의 추천에 의해 ANOC집행위원회의 심사 후 적격 훈장 수상자를 선정한 후 2년마다 ANOC총회시 공식적으로 수여한다.
평생에 한번 밖에  받을 수 없는 '세계스포츠외교 금메달'이다.
한국은 서울에서 2회에 걸쳐 ANOC총회(1986년 및 2006년)를 개최한 바 있다.
우리도 향후 기라성 같은 세계 스포츠기구들 본부를 대한민국땅에 유치하는 청사진을 만들어야 한다. 
미래 제2의 세계스포츠 최고의 명당자리로 재 정립하는 날이 오는 날 한국은 세계스포츠의 허브로 거듭 날 수 있다. 꼭 그리되길  기원한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세상2010. 6. 28. 16:18

2010년 남아공 FIFA월드컵에서 짭짤한 수익을 누리고 있는 업체들 중 아디다스(Adidas)사가 별중 별이다.
아디다스사의 Herbert Hainer CEO는 아디다스의 2010년 축구 카테고리 판매실적만 최소15억유로(약2조 4천억 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전망치를 발표했다.




"우리는 축구부문에서의 야심적 목표를 초과달성 할 것이다. 우리의 축구부문 사업은 세계적으로 날로 번창하고 있다. 세계추구선수권대회의 글로벌 파워는 대단하다. 15억 유로의 판매실적은 2008년 대비 15%의 판매증가를 보여 준 것이며 2009년에는 Adidas판매 사상  최고 기록(13억 유로)을 기록한 바 있다.
2010년 판매실적은 2006년 독일 월드컵 당시 올렸던 매출고(12억 유로)를 뛰어넘었다.
2010년 1/4분기 축구관련 제품 판매고도 이미 26%을 상회한 바 있다.
650만 유로어치의 축구유니폼 카피(replica) 저지(jersey)가 팔려 나갔고, 이는 2006년 대비 2배이상의 수량 실적이다.
판매최고(bestsellers)국가들은 독일을 비롯하여 멕시코, 남아공 및 아르헨티나 등이며 각각 100만벌 이상 씩이나 불티나게 팔렸다.


시장 점유율(market share)과 가시도(visibility)면에서 아다다스가 축구브랜드 선두주자라는 결론이 나온다.
독립 시장 리서치( independent market reserach) 조사에 따르면 아디다스가 34%의 시장점유율로서 세계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유럽에서만 아디다스의 축구부문 시장점유율은 38%이며 독일과 미국같은 주요시장에서는 50%를 넘어서고 있다.(출처: NPD Sports Tracking Europe and SaportScan)


아디다스사는 세계 모든 주요 축구 대회(토너먼트와 리그전) 등에 공식시합 용 축구공을 납품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럽축구연맹(UEFA) 모든 축구대회, 아프리카 컵 축구대회(Africa Cup of Nations) 및 독일 분데스리가(Bundesliga)축구리그 전 등에 공식대회축구공(Official Match Ball)을 제공하고 있다.

 





전체 공급된  2천만 개의 축구공 중 1,300만 개가 넘는 축구공이 자불라니(Jabulani)디자인이며, 2010년 FIFA남아공 월드컵 공식 공인구이기도 하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0. 6. 28. 14:50



1.올림픽마케팅이란?

 

1)올림픽 마케팅의 기본방침: - 수익극대화(收益極大化)

 

-올림픽이미지 손상(損傷)방지

 

<인류의 건강을 해치는 제품(담배나 술 따위/Beer Wine 은 허용)이나 사행성을 조장(助長)하는 도박(賭博) 및 흥행관련업체(興行關聯業體) IOC마케팅제휴제외>

 

*IOC: TOP 프로그램

*OCOGs: Domestic Sponsorship Programmes

 

 

 

2) IOC 마케팅 프로그램(4개 범주)

 

1. 올림픽대회 방송 (Olympic Games Broadcast)

2. TOP (The Olympic Partners)/ The Worldwide Olympic Sponsorship Programme

3. IOC상품화권 프로그램(IOC Licensing Programmes)

4. IOC 공급업체 프로그램(IOC Supplierships)

 

 

3) IOC: 현재 3개 공식 공급업체와 마케팅 관계 유지

 

1. 벤츠 자동차(DaimlerChrysler/Mercedes-Benz)/ 육상운송(Ground Transport)

2. 미즈노 스포츠 의류(Mizuno)/ 올림픽 및 관련행사 時 IOC위원 및 사무처 직원 필요복장이나 의류제공/Clothing and Outfits for the IOC and administrative staff at the Olympic Games and other events)

3. Schenker/화물운송 및 세관통관서비스(Freight Forwarding and Customs Clearance Services)

 

 

2. TOP(The Olympic Partners)Programme 진화도

 

1) 1세대(TOP I: 1985-1988):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 과 1988 서울 올림픽을 패키지로 묶은 통합 올림픽마케팅 프로그램(삼성 포함 9개 다국적 기업 파트너 참여/159 NOCs 동참/9,500만 불 수입창출/收入創出)

 

2) 2세대(TOP II: 1989-1992):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과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통합 전 세계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2개 다국적 기업 파트너 참여/169 NOCs 동참/17,500만 불 수입창출)

 

3) 3세대(TOP III: 1993-1996): 1994 릴리함메르 동계올림픽과 1996 아틀란타 올림픽 통합 전 세계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0개 다국적 기업 파트너 참여/197 NOCs 동참/27,900만 불 수입창출)

4) 4세대(TOP IV: 1997-2000):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과 2000 시드니 올림픽 통합 전 세계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1개 다국적 기업 파트너 참여/199 NOCs 동참/57,900만 불 수입창출)

 

5) 5세대(TOP V: 2001-2004): 2002 솔트 레이크 시티 동계올림픽과 2004 아테네 올림픽 통합 전 세계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1개 다국적 기업 참여/202 NOCs 동참/66,300만 불 수입창출)

 

6) 6세대(TOP VI: 2005-2008):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과 2008 베이징 올림픽 통합 전 세계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1개 다국적 기업 참여/205 NOCs 동참/86,600만 불 수입창출)

 

7) 7세대(TOP VII: 2009-2012):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과 2012 런던 올림픽 통합 전 세계 마케팅 프로젝트(협상 진행 중/ 9개 다국적 기업 확보)


 

올림픽 마케팅 프로그램은 올림픽운동을 증진(Promotion)시켜주고, 재정적 보장과 안정성(Financial Security and Stability)을 확고히 해주고 있는 추진동력(driving force)이다.

 

IOC를 대신하여 올림픽마케팅사업을 운영 및 관리업무를 추진하여오던 ‘메리디안 마케팅 운영 代行社(Meridian Management SA)’는 IOC 100% 그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2005 6월부터 ‘IOC TV 및 마케팅 서비스會社(IOC Television & Marketing Services SA)’로 개칭되었으며 사장은 IOC마케팅국장(현재 Timo Lumme)이 겸직하고 있다.

IOC Television & Marketing Services SA’는 스위스 로잔(Lausanne), Signy 그리고 미국 애틀란타(Atlanta) 3곳에 사무실을 두고 운영하고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TOP 파트너 현황/9(2010.07)

Acer(New)

컴퓨터 장비

2009

2012

Atos Origin

정보기술

2001

2016

Coca-Cola

음료회사

1986

2020

General Electric(GE)

복합

2005

2012

McDonald’s

패스트 푸드

1997

2012

Omega

시계, 타임밍 시스템

2004

2020

Panasonic

전자회사(가전제품)

1987

2016

Samsung

전자회사(무선통신장비)

1997

2016

Visa

카드회사

1986

2020


 















 
*Worldwide TOP Partners

The following companies are TOP Partners for the Vancouver 2010 and London 2012 Olympic Games.(출처: IOC홈페이지)

 

 
기존 12 TOP파트너 중 4(
Johnson & Johnson, Kodak, lenovo, Manulife)사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끝으로 철수하였고 Acer가 기존Lenovo를 대체하여 9개만 남은 셈이다.

 Johnson & Johnson은 미국 의료제품 재벌(U.S. medical products giant)로써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의 국내 스폰서였으며 2008년 베이징올림픽 1개 대회만 TOP파트너 계약을 한 셈이다. (TOP파트너는 통상 4년 또는 8년 단위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2009 1월부터 TOP 파트너인 Panasonic사가 기존Kodak의 디지털 카메라 부문을, Acer사가 기존Lenovo의 컴퓨터 부문을 각각 인수하였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