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5. 12. 10. 18:03

[2016 Rio올림픽선출 선수출신 IOC위원 전 세계 후보 24명 명단 및 선출절차와 전망]

 

1.  2016년 임기시작 선수출신 IOC위원 후보 24명 명단 IOC 발표

 

2016 8월 리우2016올림픽 기간 중 전 세계 NOC가 파견하여 대회에 참가하는 205개국 10,500명의 선수들이 올림픽선수촌에서 해당후보들에 대하여 투표권을 행사할 예정입니다.

 

 

 

129 IOC집행위원회는 14개 종목출신 남녀 동일한 (with an equal number of men and women)24명의 후보선수들 명단을 발표하였습니다.

(1) 육상선수 5

(2) 수영선수 2

(3) 사격선수 2

(4) 탁구 2(한국 유승민 /2004아테네올림픽 남자탁구 단식 금메달리스트 포함)

(5) 배드민턴선수 1

(6) 농구선수 1

(7) 카누선수 1

(8) 사이클선수 1

(9) 펜싱선수 1

(10)            근대오종 선수 1

(11)            태권도 선수 1

(12)            레슬링선수 1

 

후보24명 중에는 11명의 금메달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최고령 후보는 46세로 벨기에 탁구선수출신인 Jean-Michel Saive인데 지난 주 1988년 서울올림픽이래로 32년 간의 경력을 마감하는 은퇴를 선언하였다고 합니다.

반면 최연소후보는 아제르바이잔 리듬체조선수출신인 Marina Durunda인데 2015년 제1회 유럽게임 리듬체조 리본세부종목 은메달리스트로서 방년 18세라고 합니다. 

2008베이징올림픽에서 선출되어 8년임기를 채우고 떠나가는 선수출신 4명의 IOC위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laudia Bokel(독일/IOC선수위원장: 여성)

2)  문대성(한국)

3)  Alexander Popov(러시아)

4)  Yumilka Ruiz Luaces(쿠바: 여성)

 

아울러 뉴질랜드 요트 금메달리스트 출신인 Barbara Kendall(여성) 역시 2번 째 임기(her second spell/4x2)를 마치고 선수출신 임명 직 IOC위원자리를 떠납니다.

 

2.  IOC위원 선출 유망 후보들(4명 선출)

 

이들 24명의 후보명단에는 개최국 브라질 요트스타(올림픽 5관왕)1)Robert Scheidt, 러시아 출신 육상여자장대높이뛰기 2관왕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2)Yelena Isinbayeba, 독일출신 펜싱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3)Britta Heidemann등이 유리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Yelena Isinbayeva/사진출처: insidethegames)

 

왜냐하면 브라질선수단을 개최국 홈 그라운드의 이점으로 500명이상의 선수가 참가하므로 유리하고, 러시아와 독일 역시 대규모 선수단이 뒷밭침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 일본 2004년 아테네 올림픽육상 투 햄머(hammer)금메달리스트 선수출신인 4)Koji Murofishi 후보 역시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입니다.

왜냐하면 그는 이번이 3수 도전인데다가 2012년 런던올림픽 당시 당선권에 있었지만 JOC가 캠페인규정을 위반하는 바람에(JOC breached campaign regulations) 실격 처리된 바 있기 때문이기도 한데 그는 현재 Tokyo202올림픽조직위원회 경기국장(sports director)의 역할을 맡고 있어 도쿄2020올림픽 성공적 개최에 이르는 기간과 대회기간에 IOC위원 직에 소중한 보탬(invaluable addition)이 될 수 있는 절호의 찬스가 될 수 있는 명분이 함께 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그는 CAS에 항소했지만 패소하였는데 CAS는 지나치게 열성적인(overzealous)국가올림픽위원회(Japanese Olympic Committee)의 규정위반에 따른 희생자(the victim)이라는 판결이 덧붙여졌기 때문에 그 선수 개인적 비난 책임이 없는 것으로 판명된 바 있습니다.

 

                                   (사진출처:insidethegames)

 

그밖에 올림픽 다관 왕으로 정평이 나있는 5)Alessandra Sendini는 이태리출신의 시드니2000올림픽 요트 Mistral종목 금메달을 포함 4개의 메달을 획득한 45세의 노익장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3.  선수출신 IOC위원 선출제도 태동과 경과

 

1999 IOC개혁규정에 의거 생겨난 선수출신 IOC위원 선출 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1기 선수출신 IOC위원들에 대하여서는 이듬해인 2000년 시드니하계올림픽대회 시 전세계에서 입후보한 선수들 중에서 8명 의 선수가 IOC선수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투표결과 득표율 상위선수 4명은 임기 8, 하위 4명의 선수는 임기 4년의 IOC위원으로 선출된 바 있습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대회 시에도 전 세계 동계종목 출신 입후보 선수들 중에서 4명의 선수가 IOC 선수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된 바 있습니다.

 

이 중 득표율 상위 2명의 선수는 임기 8, 하위 2명의 선수는 임기 4년의 IOC위원으로 선출된 바 있습니다.

 

이들 선수출신 IOC위원들은 8년 또는 4년이 경과한 차기 올림픽대회 시에 IOC위원의 임기를 마치도록 되어 있으므로 현역선수로 올림픽대회에 출전하기 전에는 피선거권이 주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대회에서는 한국의 문대성 선수를 비롯한 4명이 새로운 IOC선수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5.  IOC위원 선출에 대하여

 

그러면 IOC위원으로 선출되려면 어떤 자격과 절차가 필요한지 알아보자. 올림픽헌장의 규정에 의하면 18세 이상의 자연인이면 누구나 소정의 절차와 과정을 거쳐 IOC위원이 될 자격이 있으며, 추천 및 선출절차는 다음과 같다.

 

 

 

 

다음에 명시된 개인이나 단체는 1명 이상의 후보자를 추천할 자격이 있습니다.

 

[IOC 위원 후보자의 추천인 또는 추천단체]

 

(1) IOC 위원

 

IOC 위원은 1명 이상의 후보자를 IOC위원으로 추천할 수 있다.

 

(2) IOC 선수위원회

 

IOC 선수위원회 위원을 1명 이상의 후보자를 IOC위원으로 추천할 수 있다.

 

(3) 올림픽종목국제경기연맹

 

하계올림픽국제경기연맹연합회(ASOIF), 동계올림픽국제경기연맹연합회 (AIOWF) 및 각 국제경기연맹(IF) 1명 이상의 후보자를 IOC위원으로 추천 할 수 있다.

 

(4) 국가올림픽위원회

 

각국올림픽위원회총연합회(ANOC), 아프리카국가올림픽위원회연합회 (ANOCA), 유럽올림픽위원회(EOC), 아시아올림픽위원회(OCA), 범 미주 스포츠 기구(PASO), 대양 주 국가올림픽위원회(ONOC) IOC가 승인한 모든 개 별 NOC 1명 이상의 후보자를 IOC위원으로 추천할 수 있다.

 

[IOC 위원 후보자의 자격]

 

IOC위원 후보자의 자격을 부여 받으려면 후보신청서류를 해당 추천인 또는 추천단체에서 IOC위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후보자들은 아래의 모든 자격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상기 절차를 통해 후보자명단에 포함된 후보들은 다음과 같이 후보자로써 의 자격이 분류·명시되어야 합니다.

 

현역선수를 추천할 경우, 후보자는 해당NOC 선수위원회 위원이어야 합니다. ( IOC 위원의 수는 15명의 정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국제경기연맹과 연계되어 있을 경우, 후보자는 해당 경기연맹의 회장 또 는 집행위원 이상의 직위 해당자여야만 합니다. 이때 IOC 위원의 수는 15 명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NOC와 연계되어 있을 경우, 후보자는 해당 NOC 또는 NOC 연합체의 회장 또는 집행위원 이상의 직위 해당자여야만 합니다. 이때 IOC위원의 수는 15명을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기타 다른 방식에 의한 추천의 경우, 후보자는 IOC가 승인한 NOC가 있는 국가에 거주지나 연계된 이해관계를 갖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입후보 절차를 근거로 선출된 IOC위원의 수는 국가당 1명 이상은 허용이 되지 않습니다. 이때 선출된 IOC 위원(개인자격)의 수는 70명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2. 8. 10:58

 

안녕하십니까?

 

최근 각종 비리사건으로 얼룩져 위기에 봉착한 세계스포츠 계를 조명해 봅니다.

주지히시다시피 오늘부터(12월8일) IOC집행위원회가 로잔느에서 열립니다.

러시아 국가 주도의 도핑스캔들이 WADA독립 소위원회 공식발표이후 처음 갖는 IOC집행위원회 입니다.

FIFA, IAAF는 IOC가 올림픽을 관장하면서 가장 밀접한 관계가 지속되어야 할 두 단체인데 거의 초상집 분위기입니다.

Bach IOC위원장 모국의 올림픽유치도시인 Hamburg2024도 Munich2022에 이어 연달아 주민투표에 발목이 잡혀 올림픽유치대열에서떨어져 나갔습니다.

Bach위원장의 전매특허 격인 Olympic Agenda 2020 개혁내용도 잘 먹히고 있지 않는 상황이라 더욱 난감해 할 IOC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표제관련 외신내용들을 종합 및 요약정리하여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윤강로 배상

 

[비리스캔들 종합세트로 일그러진 위기 속 세계스포츠]

 

 

*순서:

 

 

가.  위기에 봉착한 세계 스포츠

나.  도매금으로 함께 곤혹 속에 처한 Seb Coe 신임 IAAF회장

다.  소치2014에서 파생된 올림픽개최 과다비용 여파와 각종 스포츠비리로 인한 위기탈출 돌파구 마련 가능할까?

라.  Hamburg2024찬반 주민투표 실패 여파와 한 IOC위원의 상황분석 및 대책

 

 

 

*내용:

 

 

1.  위기에 봉착한 세계 스포츠

 

 

최근 국제 스포츠 계를 강타하고 있는 각종 비리스캔들로 인해 국제스포츠 조직관리운영행태에 대한 질타와 자성촉구움직임이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세계스포츠 계의 최고 정점에 있는 축구와 육상을 관장하는 대표적인 두 조직(FIFA IAAF)으로부터 발화된 불신의 불이 꺼질 줄 모르고 있는 형상입니다.

 

 

 

 

 

   (사진출처: FrancJeux)

 

 

 

FIFA월드컵 수뇌부 각종비리 종합세트와 FIFA집행위원들 및 관련 마케팅업체임원들에 대한 연이은 미국 법무부 검찰에 의한 지속적인 무더기 구속사태(5월 및 12 3일 현재 총 41), IAAF(국제육상연맹)의 러시아정부와 결탁된 것으로 의혹 받고 있는 전대미문의 도핑은닉스캔들을 비롯한 수뇌부 부패양상이 WADA독자적 조사위원회의 공식발표이래 모든 비리의 실체가 서서히 만천하에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의 중심인물인 실각한(disgraced) Lamine Diack IAAF직전회장과 아들(Papa Massata Diack)s뇌물수수비리 혐의(accusations of wrongdoings swirling around his son)에 대한 구속수사 등이 연일 보도되고 있는 상황에 처하고 있습니다.

 

 

  

   (Lamine Diack/사진출처: insidethegames)

 

 

 

2.  도매금으로 함께 곤혹 속에 처한 Seb Coe 신임 IAAF회장

 

올림픽육상종목 2관왕으로 청렴하고 능력 있고 스마트한 이미지와 평판으로 정평이 나아있는 영국출신의 신임IAAF회장 Seb Coe에 대한 영국국회의원들(British MPs)에 의해 행해진 문화, 미디어 및 스포츠 선별 위원회 세션 청문회(culture, media and sport select committee session)에서 3시간 넘게 곤욕을 치렀다는 보도 역시 세상에 완벽한 인간은 없는 것이지만 그 누구도 별 사람이 될 수 없음을 반증해 주고 있는 듯합니다.

 

미국 Oregon , Portland에 있는 Eugene 지역에서 100마일 거리에 위치한 세계적 스포츠 의류업체(sportswear giants) Nike사의 대사(an ambassador for Nike)역할을 Seb Coe회장이 수행해 온 것 역시 Eugene시가 2021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날치기 유치성공(the snap awarding of the 2021 IAAF World Championships to Eugene) 결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비판과 의심의 눈초리를 받고 있기도 합니다.  

 

Seb Coe회장은 부패와 도핑이 근절되지 않으면 육상종목의 내일은 없다’(there are no tomorrows for my sport if corruption and doping is not fixed.)라고 엄하게 경고하며 스캔들에 치인(scandal-hit) 육상을 정화하는데 적재적소의 인물이 자신임(He’s the right man to clean up scandal-hit athletics.)을 자처하고 있습니다.

 

 

 

 

 

                      (Seb Coe와 Lamine Diack/사진출처: insidethegames)

 

 

 

3.  소치2014에서 파생된 올림픽개최 과다비용 여파와 각종 스포츠비리로 인한 위기탈출 돌파구 마련 가능할까?

 

이렇게 일련의 크고 작은 비리 및 부정적인 사건들 여파로 스포츠의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와 신인도 그리고 인기는 물론 스포츠 고유의 fair-play 이미지조차 연일 먹칠 당하여 자칫 전면적으로 철저히 외면 받을 위기상황까지 감수해야 할 처지는 아닌가 우려와 염려가 앞서고 있는 현실에 봉착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소치2014동계올림픽 천문학적 개최비용(56조 원)으로 인해 야기되기 시작한 올림픽유치열기 저조, 몇몇 국가올림픽위원회(NOCs)에 대한 해당정부의 지나친 간섭으로 NOC고유의 자치 성 훼손에 따른 자격정지(suspension)조치 등 국제 스포츠 계는 폭풍정국입니다.

 

 

 

1984 LA올림픽과 1988년 서울올림픽을 분기점으로 하여 수십 년 간 올림픽대회의 흥행성공으로 인한 국제스포츠 계의 르네상스를 맞이하면서 각종 부패후유증이 독버섯처럼 자리매김하게끔 분위기가 조성되어 온 것이 작금의 현상이기도 합니다.

 

IOC 1999년 솔트레이트시티 스캔들을 계기로 IOC윤리위원회 설립과 규정강화를 통하여 올림픽관련 비리를 척결하고자 원인제공요소들을 원천봉쇄 해 오고 있습니다.

 

2014 12월에는 2013년 신임 IOC위원장으로 선출된 Thomas Bach 1년 간 준비하고 주도하여 통과시킨 Olympic Agenda 2020개혁과정을 통하여 올림픽운동의 미래에 대한 전략적 로드맵(a Strategic Roadmap for the Future Olympic Movement)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2014 2월 개최된 소치2014동계올림픽개최비용이 $510억불(56조 원)이라는 세계미디어들의 보도가 잇닿자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과정에서 기라성 같은 유럽의 핵심 유치신청도시 5곳이 모두 줄줄이 중도퇴장 하는 비운을 겪기도 하였습니다.

 

2024년 하계올림픽유치신청도시였던 독일의 함부르크2024역시 주민투표에서 과반수 미달로 인해 최근 중도하차 한 바 있습니다.

 

이런 일련의 현상으로 올림픽황금기(Olympic Golden Era)가 쇠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앞서기도 합니다.

 

 

 

세계적 경기침체+올림픽개최과다비용+스포츠 비리 종합세트= ? 라는 3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세계 스포츠 계와 올림픽운동의 미래가 순탄치 않을 것 같아 함께 고민해 보며 돌파구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으로 사료됩니다

 

 

4.  Hamburg2024찬반 주민투표 실패 여파와 한 IOC위원의 상황분석 및 대책

 

St. Lucia IOC위원 겸 직업회계사 (an accountant by profession) Richard Peterkin 2024년 함부르크 유치 찬반을 가리는 주민투표 패배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IOC홈페이지)

 

 

수십 년 간의 소홀했던 조직지배구조와 부정직한 문화가 올림픽유치에 대한 대중적 불신의 근간이다”(Decades of poor corporate governance and a dishonest culture are at the root of public distrust about Olympic bids.)

 

 

함부르크2024 찬반 주민투표결과에 대한 논평내용의 많은 부분에서 읽을 수 있었던 평가가 암시하고 있는 내용은 “IOC가 올림픽개최의 영향과 유산에 대한 대중적 의혹에 대해 충분한 접근을 하고 있지 않고 있다”(the IOC is not doing enough to address public doubts about the impact and legacy of hosting the Olympic Games.)

 

 

 “IOC위원으로서 이러한 우려와 근심에 대해 신경이 쓰이며 이러한 우려가 아직 잔류하고 있는 2024년 올림픽유치도시들에게 또한 이어지는 향후 올림픽유치에도 어떻게 영향이 미칠 것인가 신경이 쓰인다”(I am mindful of these concerns, and how they will affect the remaining bids for the 2024 Games, and future bids for subsequent Games.)

 

 

하지만 IOC가 수수방관하거나 소통이 형편 없어서가 중요한 원인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But I am not convinced that IOC’s inaction or poor communic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cause.)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는 함부르크 2024 중도하차의 원인으로 국제스포츠 연맹들의 부패와 도핑스캔들 폭로와 의혹 후 폭풍 그리고 올림픽조직위원회들이 직면하고 있는 재정문제 등으로 꼽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insidethegames)

 

 

그는 이러한 현상들이 IOC가 올림픽가치에 대해 대중적 마음에 희망과 신뢰를 회복시키고자 부단히 애쓰고 있는 모든 노력들을 압도하고 있는 듯하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는 IOC가 올림픽개최도시들에 대하여 기여금을 두 배로 더 준다고 해서 대중적 인식(public’s perception)에 차이를 심어줄 수는 없을 것이라고 분석합니다.

 

 

또한 IOC는 국제연맹들의 지배구조에 개입할 권리나 권한이 없으며 올림픽유치가 개최국에서의 정부의 회계관리(fiscal management)를 교정해 능력을 발휘할 수 없음을 지적합니다.

 

 

그는 IOC의 운영 및 지배구조개선을 위해 행해 온 많은 변화들이 실제로 다른 스포츠 기관들이 저지른 스캔들이나 물불 안 가리고(at any cost) 승리에 집착하는 더러운 선수들의 욕망에 의해 간과되거나(being overlooked) 오염되고(being tainted) 있다고 주장합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은 최근 IOC가 추진하고 있는 Olympic Agenda 2020개혁내용의 긍정적이고 유익한 점들을 부각시키려는 다각적인 공공의 노력 사례들에 대하여 스포츠 미디어들의 관심과 취재대상으로 받아들여 지고 있지 않고 있다고 심중을 토로하였다고 합니다.

 

 

 

                                 (Thomas Bach)

 

 

 

미디어나 SNS는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탐욕스런 사람들의 비행을 들춰내는 스캔들 이야기(scandalous stories)를 일일 다이어트하는 양 한정적으로 섭취하듯 취재하는 성향을 강조한(made a point) 바 있습니다.

 

 

Peterkin위원은 우리 모두가 지금까지 방치해 왔던 심각한 이해상충(serious conflicts of interest)과 비윤리적인 관행(unethical practices)에 영양분을 주어 왔던 수십 년간의 소홀했던 조직의 지배구조와 부정직한 문화에 대해 대가를 치르고 있다.”(We are now paying the price for decades of poor corporate governance and a dishonest culture that nurtured serious conflicts of interest and unethical practices.)고 자성하였습니다.

  

 

그는 궁극적으로 기존 모델과 기존의 구태의연한 가치지향 네트워크(existing models and value network)를 분쇄하며 기득권의 시장지도자들과 연계조직들을 대치하는(displaces established market leaders and alliances)새로운 시장과 가치창출 네트워크를 창출함으로써 파괴적 쇄신(disruptive innovation)을 지향하는 지속적인 전략을 구사할 것을 주문합니다.

 

 

그는 이런 현상이 하룻밤 사이에 이루어지지는 않겠지만 모든 것을 다 잃은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It won’t happen overnight, but all is not lost.)

 

 

그는 앞으로 잔존하는 4개의 2024년 올림픽유치도시들 중 더 많은 낙오자(more fallout)가 생길지도 모르며 향후 올림픽유치도시들에 대하여 인센티브제공조치를 위한 (to incentivize future bidders) 보다 큰 재정창출(greater financial creativity)이 요구될 것이지만 IOC가 변화의 중심에 서서 재정재원들과 브랜드 복원력(brand resilience)그리고 윤리문화를 정착함으로 신뢰와 가치를 회복함(restore confidence)으로써 취약한 재정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구책(a product that will survive these fragile financial times)을 마련해야 한다고 잠정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자료출처: aroundtherings 최근기사 참조)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2. 4. 14:50

[Hamburg2024 올림픽유치도중하차배경과 향후 전망]

 

외신보도와 같이 2024년 올림픽유치행보의 첫 관문인 주민투표(referendum)부결로 독일의 올림픽유치를 향한 꿈은 백일몽(Olympic bid collapse)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 결과 2024년 하계올림픽유치경쟁에 남아있는 도시들은 파리, 로마, 부다페스트 및 LA 4개 후보도시들로 귀착되게 되었습니다.

 

 

(LA2024 CEO Gene Sykes)

 

  

 

함부르크의 2014년 올림픽유치출사표는 지난 1128()치러진 주민투표결과 51.6%의 반대(No/Nein)로 물거품이 되었는데 이러한 충격은 향후 2026년 동계올림픽유치 붐 조성에도 찬물을 끼얹는 셈이 되었습니다.

 

 

                                   (자료출처: insidethegames)

 

이러한 결과는 Thomas Bach IOC 위원장의 야심 찬 작품인 ‘Olympic Agenda 2020-미래올림픽운동의 전략적 로드맵(A Strategic Roadmap for the Future Olympic Movement)’개혁프로그램의 실효성과 올림픽유치에 대한 재정적 영향에 의문을 제기하는 계기가 될 조짐이 보입니다.

 

Gian-Franco Kasper 국제스키연맹(FIS) AIOWF회장 겸 스위스 IOC위원은 Hamburg2024의 도중하차 사건이 소치2014동계올림픽과 연관된 천문학적인 US$510억 불(56조원)을 상회하는 올림픽개최예산 충격이 부분적으로 작용되어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신청도시들의 대거 이탈과 함부르크2024에 대한 주민유권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주목하고 있습니다.

 

(Gian-Franco Kasper)

 

유럽사람들은 100%확신이 없는 대형프로젝트에 돈을 투자하는데 두려워하고 있는 성향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치 당시 책정된 예산을 훌쩍 뛰어넘는 제반 비용 과다지출(cost overruns)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올림픽 어젠더2020원칙들을 살펴보면 올림픽개최도시들에게 색다른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으며 올림픽대회를 유치하고 치르는 비용을 절감하도록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 여파로 2026년 동계올림픽유치 붐이 다시 식어가지는 않을까 IOC와 동계종목 국제연맹들은 노심초사할 수도 있겠습니다. 

 

  

 

따라서 IOC와 동계종목 국제연맹들은 2026년 동계올림픽유치경쟁 성향에 대비하여 소치2014동계올림픽의 거대성(gigantism)에 대하여 평가를 내릴 것입니다.

 

소치2014의 경우 러시아의 정권체제상 아무런 장애물이 없어 밀어붙이기 식으로 막대한 재정을 쏟아 부어 무에서 유를 창조할 정도로(build from scratch with money no obstacle for Russia) 초대형 인프라 구축을 주도한 바 있습니다.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경쟁에서도 5개의 기라성 같은 동계올림픽 최적도시들이 썰물처럼 모두 중도 포기함으로 결국 아시아의 카자흐스탄의 알마티와 중국의 베이징 달랑 2개 후보도시들간의 대결로 귀결된 바 있습니다.

 

현재 들리는 이야기로는 스웨덴과 스위스 정도가 2026년 동계올림픽유치 가능성을 저울질하고 있다고 합니다.

 

동계종목 국제연맹은 IOC와 향후 동계올림픽과 관련 동계올림픽이 후보도시들에게 좀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한 방법, 즉 경비절감(cost-cutting)방안에 대하여 실질적인 돌파구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Hamburg2024의 올림픽 꿈의 몰락(the collapse of Hamburg’s Olympic dream)은 독일 올림픽운동에 있어서 심각한 타격으로 보여지는 이유는 2년 전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에 도전한 독일의 뮌헨 역시 주민투표로 좌절된 상처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따라서 당분간 세계스포츠 강대국인 독일은 1972년 뮌헨올림픽이래 거의 50년 간 올림픽개최의 꿈을 유보해야 할 처지에 봉착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됩니다.

 

동계종목 국제연맹들과 IOC가 당면한 문제점은 2024년 올림픽개최도시가 결정되는 2017 9월에 유치경쟁이 끝나고 가까운 시일 내에 설정되어 있는 2026년 동계올림픽유치신청 마감일(the proximity of the deadline for 2016 Winter Olympic applications)의 시간대입니다.

 

더구나 2026년 동계올림픽을 유치할 만한 동계스포츠강국들인 이태리(로마), 프랑스(파리) 및 미국(LA)대부분이 2024년 하계올림픽유치경쟁당사자들이다 보니 이들이 2024년 올림픽유치에 성공하거나 실패할 경우 수 개월 내에 다시 곧바로 2026년 동계올림픽유치대열에 뛰어 들 공산이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하기 때문에 주민들에게 양다리 걸치는 행보는 지양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그들에게 ‘Plan B’는 없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동 하계올림픽 유치과정 일정을 조정하기 위한 IOC-Winter IFs간의 긴밀한 협의가 가까운 시일 내에 선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1. 25. 13:39

[FISU(국제유니버시아드위원회)신임회장(러시아)선출 등 주요 결정사항]

 

*순서:

. FISU신임회장 선출 이모저모

. FISU 신 집행위원회 임원선출

. 2015FISU 총회 주요 결정사항

. Thomas Bach IOC위원장 참석 및 환영사 주요 메시지어록

. FISU(Federation Internationale du Sport Universitaire: International University Sport Federation/ 국제대학생 스포츠 연맹)이란?

 

 

*내용:

 

1.  FISU신임회장 선출 이모저모:

 

지난 2015 11 8일 스위스 로잔 개최 제34 FISU총회에서 Oleg Matytsin 러시아 대학스포츠위원장이 Claude-Louis Gallien 프랑스 출신 현 회장(2011~2015)을 누르고 신임 FISU회장에 선출되었습니다.

 

 

Matytsin신임회장(51) 2019년 러시아 Krasnoyarsk 동계 유니버시아드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인데 2011년부터 FISU위원장 직을 맡아온 Gallien 현 회장(2011~2015) 102:23이라는 현격한 득표 차로 승리하고 당선된 것입니다. 

러시아는 2013년에는 Kazan에서 제27회 하계유니버시아드(7.6~17/ 162개국 27개 종목에 11,000명 대학생선수들 참가)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을 정도로 러시아의 유니버시아드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것이 인정됨으로 FISU회원국들로 하여금 표심을 끌어 모아 승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Matytsin신임회장은 십 수년 간 매회 유니버시아드 대회 러시아 대표 선수단장을 역임하면서 회원국 간에 신뢰와 우애를 돈독히 다진 스포츠 외교의 결실이기도 합니다

Matytsin신임회장은 당선소감을 통해 향후 FISU가 전통을 지키면서 근대화를 이루어 나갈 것임을 천명하였습니다.

Matytsin신임회장은 향후 FISU의 주요 과제로써 FISU 산하 대륙 별 조직 및 각국 대학스포츠연맹이 함께 적극적으로 FISU를 비롯하여 UNESCO와 같은 국제기구들과 도 협력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2.  FISU 신 집행위원회 임원선출:

 

금번 FISU총회에서는 신임회장 선출과 함께 2019년까지 임기의 FISU신임집행위원들도 선출하였습니다.

Matytsin신임회장 자리였던 제1부회장에는 스위스출신의 Leonz Eder가 새롭게 선출되었습니다.

한편 Bayasgalan Danzandorj 몽골대표가 FISU 재무관(treasurer)으로 선출되었습니다.

신임부회장들로는 중국의 Liguo Yang, 브라질의 Luciano Cabral, 폴란드의 Marian Dymalski 및 세네갈의 Leopold Senghor가 선출되었습니다.

또한 유병진 명지대학교총장이 최다득표(유효투표 122 109표획득) 임기4년의 FISU집행위원으로 선출된 것이 한국 대학스포츠외교의 쾌거라고 있겠습니다.

 

 

(유병진 FISU집행행위원 겸 명지대학교 총장/사진출처: 뉴스 한국)

 

 

3.  2015 FISU 총회 주요 결정사항:

 

1)  2017년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개최지 결정: 대만의 타이페이

2)  2022년 동계유니버시아드 대회 개최지 결정: 카자흐스탄의 알마티(Almaty)

3)  신임 FISU회원국 인준으로 FISU현재 회원국 총수는 170개국에 이름:

 

(1) Aruba

(2) Afghanistan

(3) Gambia

4)  2019Krasnoyarsk(러시아)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조직위원회 준비진척사항 보고

 

 

4.  Thomas Bach IOC위원장 참석 및 환영사 주요 메시지 어록: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이기도 한 Bach위원장은 대학스포츠가 자신의 인생에 중요한 역할을 해 주었다”(University sports played an important part in my life.)라고 환영사를 하면서 “FISU IOC가 스포츠의 가치를 살려나가고 있으며 지금이 어느 때보다 더 더욱 중요한 가치의 빛을 발하고 있다.”(FISU and the IOC are saving the values of sport, maybe more important now than ever.)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그의 주요 메시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We all have to learn our lessons and draw conclusions in this changing world.”(우리 모두는 우리만의 교훈을 배워 변화하는 이 세계에서 결론들을 스스로 도출해 내야 한다.)

“We have to change at the time of success, to change for not being changed.”(우리는 성공할 타임에 변화해야 한다. 변화 당하기 전에 변화해야 하는 것이다.)

“New questions need new answers.”(새로운 질문에는 새로운 답변이 필요한 것이다.)

“Please continue in this respect of being a good partner of the IOC.”(이러한 면에서 IOC의 훌륭한 파트너로 꾸준히 남아 주기를 간곡히 바란다.)

“If we can help with our experience, we are happy to do so.”(우리가 우리의 경험으로 도울 수 있다면 기꺼이 그리하겠다.)

“Our doors are always open to you.”(우리의 문호는 여러분에게 항상 열려있다.)

 

<이상내용은 insidethegames에서 발췌 및 정리>

 

5.   FISU(Federation Internationale du Sport Universitaire: International University Sport Federation/ 국제대학생 스포츠 연맹)이란?

 

 

 

 

1) 1949 발족, 본부는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

2) 이성과 육체의 조화 속에서 자유와 진리추구 목적으로 스포츠의 가치를 중시하고 스포츠 활동을 통해 목적을 달성코자 하는 취지의 국제 스포츠기구.

3) 1959 이래 2년마다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개최 주관.

4) 한국은 1967 도쿄유니버시아드대회에서 KUSB(Korean University Sports Board: 대한대학스포츠위원회)라는 명칭으로 FISU 가입.

5) 1993 미국 버펄로개최 FISU총회 1997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도시로 한국이 무주/전주를 선정.

6) 이어 2003년에는 한국의 대구광역시가 그리고 2015년에는 광주광역시가 각각 하계유니버시아드개최도시임.

7) 이종하 연세대학교 교수가 한국인으로 처음 FISU집행위원을 역임하였으며 이후 김종량 한양대학교 총장, 그리고 현재는 유병진 명지대학교 총장 KUSB위원장이 2015 118 스위스 로잔 개최 34 FISU 총회에서 FISU집행위원으로 최다득표(유효투표 122 109표획득) 임기4년의 FISU집행위원으로 새롭게 선출되어 활동 중임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1. 13. 11:39

[(특집) Mr. 철옹성, Sheikh Ahmad의 내우외환 (內憂外患) 위기국면 27가지 전개 스토리 요약 정리]

 

Sheikh Ahmad는 약관 30세의 나이로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시 전사한 부친 Sheikh Fahad의 뒤를 이어 1991OCA회장 및 IOC위원으로 국제 스포츠 계에 등장하였습니다.

이어 2011년에는 30년 넘게 ANOC회장으로 군림하여 온 멕시코의 Mario Vazquez Rana회장(IOC집행위원 및 PASO회장 역임)을 임기 중 권좌에서 도중하차 시키고 ANOC회장 직까지 차지하였습니다.

 

 

                                     (Mario Vazquez Rana)

 

ANOC본부도 최근 IOC본부가 있는 스위스 로잔으로 옮겨 명실상부한 떠오르는 막강 국제스포츠 리더로서 그 명성을 떨치기 시작하였습니다.

FIFA집행위원 직도 손에 넣었습니다.

ANOC World Beach Games도 탄생시켰습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82 125일 제9회 인도 뉴델리 아시안 게임 시작 수일 전이었습니다.

그 당시가 바로 중동의 오일달러(Oil Money)로 아시아스포츠 계의 맹주로 주도권을 잡기 시작한 중동지역 신흥 스포츠 외교강국 쿠웨이트의 태동기였습니다.

쿠웨이트 왕족 출신인 故 Sheikh Fahad는 인도 등 추종국가들의 지원사격에 힘 입어 9차례 아시안게임을 주도해 왔던AGF(Asian Games Federation)란 조직을 발전적으로 해체한다는 명분과 함께 새롭게 OCA(Olympic Council of Asia)를 발족시키면서 경쟁상대 없이 무혈입성으로 초대 회장이 되었습니다.

 

 

                                            ( Sheikh Fahad)

 

1990년 제11회 베이징 아시안게임을 전후하여 스포츠 경기력 면에서 변방이면서 스포츠지도자 국 행세를 하려는 쿠웨이트 등 중동 세에 대항하여 한중일 아시아 스포츠 3대 강국은 주도권쟁탈을 위해 오월동주(吳越同舟)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때 마침 Sheikh Fahad가 사망한 직후여서 당시 덕망 있는 중국의 고 하진량(IOC부위원장 및 IOC문화 교육 분과위원장 역임)OCA회장 후보로 내세워 아시아 올림픽운동의 주도권탈환을 노렸습니다.

 

 

                                           (Zheinliang HE)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직전 개최되는 OCA총회에서 OCA회장 후보로서 쿠웨이트 Sheikh Fahad 의 아들인 Sheikh Ahmad가 부친의 뒤를 이어 입후보하였습니다.

OCA회장 후보규정 상 연령제한( 30세 이상)에 제약을 받았던 Sheikh Ahmad는 총회에서 중동국가 등 지지세력들과 연합하여 OCA회장 선거를 1년 뒤인 1991년으로 연기시키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초기 Sheikh Ahmad)

 

또한 중국의 중동지역과의 수출 등 경제관계까지 동원하여 하진량 IOC위원의 OCA회장 후보출마도 포기시키는 치밀한 사전 막후정지작업까지 마친 뒤였습니다.

 

1년 뒤 지지 국인 인도 뉴델리에서 OCA임시총회가 열렸습니다.

 

당시 OCA사무총장은 인도의 Air Marshall Mehta가 맡고 있었고 親 Sheikh Ahmad였는데 그는 교묘한 OCA규정 적용으로 Sheikh Ahmad OCA회장 자격 논란을 잠재웠습니다.

 

사전에 선거전략과 치밀한 총회 분위기 만회작전으로 Sheikh Ahmad는 드디어 부친의 뒤를 이어 제2 OCA회장으로 추대되었습니다.

 

그 사이 부친이 맡고 있던 IOC위원 직도 승계한 셈입니다.

 

OCA본부를 쿠웨이트에 두고 4년 마다 개최되는 OCA임원선출 총회는 예외 없이 쿠웨이트에서 열었으며 모든 OCA임원들 역시 OCA회장 뜻대로 선출되는 진풍경의 연속이었습니다.

 

  

그러한 관행과 권력이 1991~2015년까지 이어오고 있는 중입니다.

 

IOC위원장 및 집행위원 선출 규정과는 달리 OCA의 경우 임기제한 또는 연령 제한이 없으며 윤리규정 또한 전무한 곳이 OCA입니다. 

 

이러한 철옹성인 OCA와 그 수장이 지금 위기상황에 봉착한 것처럼 보입니다.

Sheikh Ahamd OCA ANOC 회장의 최근 행적과 눈부신 활약 뒤에 펼쳐지는 위기국면 27가지 전개 국면 별로 요약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1) Sheikh Ahmad, Bach IOC위원장 선거 전폭지원으로 Bach위원장과 함께 국제스포츠 계 실세로 인정(2013년 후반부 IOC총회)

(2) Sheikh Ahmad, Bach IOC위원장 주도 Olympic Agenda 2020통과 ANOC차원에서 전적 지지선언으로 Bach위원장과 밀월관계 가속화 (2014~2015년 전반부/IOC 총회)

(3) Sheikh Ahmad, Marius Vizer SportAccord회장의 Bach IOC위원장 공격 시 Bach 지지 성명 발표로 Bach와 밀월관계 지속(2015. 4 SportAccord총회 개회식 직후)

 

(Sheikh Ahmad Thomas Bach/20154)

 

(4) Sheikh Ahmad, Sepp Blatter FIFA회장 5번 째 연임 지지 및 지원으로 국제 스포츠 계 파워브로커(Power Broker)역할 자리매김 (2015 5)

(5) Sheikh Ahmad, 베이징2022동계올림픽 유치성공 간접지원(추정)으로 국제 스포츠 계 파워브로커(Power Broker)역할 자리매김 가속화(2015 731)

(6) Sheikh Ahmad FIFA집행위원 선출로 국제스포츠 계 실세로 다양하게 날개 펼침(무혈입성/AFC총회, 430)

(7) Sheikh Ahmad, FIFA 차기 회장 선거에 관한 한 주도권 행사로 FIFA 킹 메이커로 자리매김함으로 영향력 일취월장 비상(supposed kingmaker in the FIFA election /2015 5월이래)

(8) Sheikh Ahmad, 2015 ANOC총회(미국 Washington D.C.) ANOC Gala 시상식(2) 개최 등으로 지속적인 국제적 위상강화 및 세력확장에 박차(2015 10월 말)

 

 

 

(Joe Biden미국 부통령 연설 중 뒤편: 좌로부터, Thomas Bach, Sheikh Ahmad/2015 10월 말//사진 출처: insidethegames)

 

(9) Sheikh Ahmad, 미국의 San Diego를 전격적으로 2017 929~109일 열릴 예정인 제1 ANOC World Beach Games개최도시로 선정되도록 전폭지원(2015 10월 말)

(10)      Sheikh Ahmad, 2022년 하계올림픽 유치경쟁 레이스에서도 영향력 순위 1위로 급부상 및 LA지원으로 미국과의 관계설정 포석 가능성으로 Bach위원장의 심리에 변화 가능성 추정 (2015 10월 말)

(11)      Sheikh Ahmad, ANOC집행위원회에서 2016 ANOC총회 올림픽개최도시인 Rio에서 중동지역인 Doha로 전격변경(2015 10월 말)

(12)      FIBA FIFA, IOC방침의거 쿠웨이트 농구협회 및 축구협회 자격정지(10월 초)

(13)      IOC, 2010(2012년 런던올림픽 개회식 전날 자격정지 해제 조치한 바 있음)에 이어 쿠웨이트 NOC 2번째 자격정지처분(2015 1027일 자)

(14)      쿠웨이트 스포츠 청(Kuwaiti Public Authority of Sport), IOC의 자격정지처분에 대하여 비난하면서 쿠웨이트 국내와 해외에서의 동시 합작음모론(plotted inside Kuwait and plotted abroad) 주장(1028)

(15)      쿠웨이트 스포츠 청 (Kuwaiti Public Authority of Sport), Sheikh Ahmad가 실력자이면서 도움 외면하였을 것이라고 섭섭한 속내 공개표명(Sheikh Ahmad should have done more to help them with regards to the suspension)(1028)

(16)      Sheikh Ahmad, IOC의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처분에 대하여 합법적으로 속수무책이었음을 주장(I am very sad, upset.)(1028)

(17)      Sheikh Ahmad, 쿠웨이트가 직전 올림픽 전과 동일하게 같은 실수 반복한다고 주장(now they have made the same mistake again)

(18)      Sheikh Ahmad, 쿠웨이트 국내 스포츠 무 관여를 토로하면서(“I’m not involved in local sport.”), 스포츠보다 정치로 말미암아 이러한 사태초래 되었다고 주장 (“Politics in Kuwait has played more of a part in this than sport.)

 

 

(Sheikh Ahmad in Washington D.C./사진출처: insidethegames @Getty Images)

 

(19)      이로써 쿠웨이트는 CAS(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WADA(World Anti-Doping Agency)법규 준수 대상에서 제외

(20)      또한, 쿠웨이트는 IOC의 자격정지처분의 결과로 자국에 본부를 둔 OCA(Olympic Council of Asia)로부터 자동 자격정지 상태임

(21)      따라서 오는 12월에 예정되었던 OCA IOC올림픽 솔리대리티 지역 포럼을 포함한 모든 대륙 행사 및 활동에서도 배제됨

(22)      Sheikh Salman Sabah Salem Al-Humoud Al-Sabah 쿠웨이트 정보처장관 겸 국가 청소년 부 장관 겸 아시아 사격연맹(ASC)회장은 IOC의 금번 쿠웨이트에 대한 자격정지처분에 대해 전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totally unacceptable)처사라고 주장 

 

 

(23)      Sheikh Salman Sabah Salem Al-Humoud Al-Sabah장관은 현재상황은 sheikh Ahmad를 지칭하는듯한 표현인 쿠웨이트의 아들들”(sons of Kuwait)에 의해 야기되었음을 재차 주장

(24)      쿠웨이트 정부, OCA탈퇴(withdraw from the OCA) 2014년 새롭게 재 개장한 OCA본부와 연계하여 쿠웨이트 정부가 OCA와 체결한 국제적 외교면책특권협정’(international diplomatic immunity agreement) 파기(breaking off) 검토 보도

(25)      Sheikh Ahmad, 자국 정부와 피곤하고 긴장된 관계(a strained relationship)로 보인다는 보도내용 등장

(26)      OCA성명서, 사태 해결 위해 노력 중이며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위한 계획 수립중임(making plans for every scenario)을 밝힘

(27)      OCA, 현재 정치적 위기로 인해 OCA본부가 쿠웨이트에서 나가야 할 경우 복수의 국가로부터 OCA본부 영입제안 접수중임을 밝힘

 

 

 

                            (쿠웨이트 시에 위치한 OCA본부 전경)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1. 11. 15:10

[독일 2006FIFA월드컵 유치승리 매표의혹(Vote Buying Allegations)전말과 배경 정리]

 

 

*순서:

 

 

가.  독일축구연맹(DFB)회장 사임과 그 배경

나.  Thomas Bach IOC위원장의 대응과 발칵 뒤집힌 독일 축구 계의 연계 의혹

다.  2006년 독일 FIFA월드컵 유치결과와 Beckenbauer유치위원장의 반응

 

 

*내용:

 

 

1.  독일축구연맹(DFB)회장 사임과 그 배경

 

Wolfgang Niersbach(64) 독일축구연맹(DFB)이 최근 들어 DFB를 뒤 흔들어 놓은 매표의혹(the vote-buying allegations)와중에 사임했다고 합니다.

 

 

 

                        (Wolfgang Niersbach: 사진출처/insidethegames)

 

 

그는 119 DFB긴급비상회의(an extraordinary DFB meeting)직후 사임을 발표하였다고 한 외신은 전합니다.

 

하지만 성공한 독일 FIFA월드컵 유치 팀에게 건네진 밝혀지지 않은 US$770만 불( 92억 원)의 은행대출금(an undisclosed loan of US$7.7 million)에 대한 의문은 남아 있다고 합니다.

 

Robert Louis-Dreyfus Adidas 사장(chief executive) 2000년 당시 동 금액을 지급하였으며 공식계좌에는 나타나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it never appeared on official accounts)고 합니다.

 

지난 주 Niersbach DFB회장 자택과 프랑크푸르트 소재 DFB본부가 독일경찰에 의해 급습 받은 바 있는데 그는 돈이 비자금(slush fund)으로 사용된 바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 현금의 실제 사용 처에 대하여 설명하지 못했다고 합니다.(but he was unable to explain what the cash was actually for)

 

그는 DFB를 보호하기 위해 사임 한다고 하지만 계속 비리는 부인하고(continued to deny wrongdoing) 있다고 합니다.

 

그는 이전에는 미화770만 불(67만 유로) 2002 FIFA에 입금되었으며(was paid to FIFA in 2002) 그 결과 독일유치 위원회가 제반 보조금명목으로 (in subsidies) US$1 8700만 불(2,244억원) FIFA로부터 받을 수 있었다(so the Germany bid could receive US$187 million)고 설명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동 의혹이 제기된 시점에서 Thomas Bach IOC위원장은 2006 FIFA독일월드컵 유치승리를 둘러싼 부패의혹이 조속히 조사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고 보도 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더 많은 합계 금액을 유발하기 위해 그 돈을 지불한 이유에 대하여서는 모른다고 대답하였다고 (But when asked why they required the payment to trigger a far higher sum, he answered that he did not know) 합니다.

 

경찰의 급습 단속은 DFB본부를 비롯하여 Niersbach회장 자택에도 이루어졌는데 그 이유는 탈세 의혹 때문으로(due to allegations of tax evasion) 알려졌습니다.

 

Niersbach회장 전임회장인 Theo Zwanaiger자택 및 Horst Schmidt 전 사무총장 거주지도 조사받았다고 합니다.

 

2.  Thomas Bach IOC위원장의 대응과 발칵 뒤집힌 독일 축구 계의 연계 의혹

 

최근 Thomas Bach IOC위원장은 2006 FIFA독일월드컵 유치승리를 둘러싼 부패의혹이 조속히 조사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습니다.

 

이 요구는 Robert Louis-Dreyfus Adidas 프랑스 지사 사장이 US$770만 불( 92억원)을 은행으로부터 은밀히 대출 받아 독일 월드컵 유치위원회 비밀계좌로 송금했다(an undisclosed loan was made to the country’s Bid Committee that never appeared on accounts)는 의혹이 제기되고 나고 난 다음의 반응입니다.

 

저명한 잡지인 ‘Der Spiegel’ 보도내용에 의하면, 돈이 당시 4명의 아시아 출신 FIFA집행위원들에게 비자금 형태로 사용되었다고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insidethegames)

 

2년 전 Blatter를 회장으로 임명했던 FIFA가 나중에 Louis-Dreyfus가 은행대출금 재상환을 요구했을 때 불법지불행위를 감추는 데 연루되었다고 이 잡지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FIFA, who had appointed Sepp Blatter as President two years earlier, were later involved in covering up the illegal payment when Louis-Dreyfus demanded it be repaid, it is alleged.)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이와 관련하여 독일축구연맹(DFA)이 조사에 착수하고 있지만 투표자들의 어떤 것으로라도 매표행위가 있었다는 징후가 없는 반면 부정행위에 대한 징후 또한 없음(there are no indications of irregularities while there was equally no indication whatsoever that votes were bought)을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2005 FIFA로 하여금 문화프로그램을 위하여 유사한 액수(US$770만 불)가 흘러 들어간 것에 대하여 조사를 벌이고 있는데 동 기금이 의도된 바대로(as intended) 사용되었는지 여부도 조사 중 이라고 합니다.

 

당시 시점에도 IOC위원이었던 Thomas Bach IOC위원장은 2006년에 독일올림픽위원회(DOSB)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며 독일2006(월드컵)감독위원회 위원(a member of a Germany 2006 Supervisory Board) 직을 맡은 바 있었습니다.

 

Christian Klaue 독일어 국가 대상 IOC대변인은 “Thomas Bach위원장은 축구 계의 권익을 위하여 관련 의혹이 신속하고 전면적인 조사가 착수되어 마무리되어야 한다”(Thomas Bach, in the interests of football, believes that a prompt and full investigation of allegations[should be] carried out.)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Bach위원장은 당시 독일2006(월드컵)감독위원회는 어떤 비리내용에 대하여서도 인지하지 못하였다(the Board was unaware of any wrongdoing)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Bach/사진출처:insidethegames)

 

3.  2006년 독일 FIFA월드컵 유치결과와 Beckenbauer유치위원장의 반응

 

Beckenbauer 2006독일 FIFA월드컵 유치위원장을 필두로 유치 전에 나섰던 독일은 FIFA집행위원회 표 대결에서 경쟁상대였던 남아공을 12:11 근소한 차이로 꺾고 개최권을 부여 받은 바 있습니다.

1표 차 독일의 승리는 Charlie Dempsey뉴질랜드 출신 FIFA집행위원이 결정직인 2차 투표에서 투표 전일 밤 인내할 수 없을 정도의 압력”(intolerable pressure)이 있었음을 비난하면서 투표를 기권한 바 있다고 한 연후 나온 결과라고 합니다.

 

만일 Dempsey집행위원이 지침대로(as instructed)남아공에게 투표를 던졌었더라면 투표결과는 12:12 동표가 나왔었을 것이고 남아공을 선호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던 Blatter FIFA회장은 가부동수 시 자신의 최종 결정투표(casting vote)를 행사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합니다.

 

오랜 동안 투표과정을 둘러싸고 비리에 대하여 계속 남아있는 암시가 있어왔다(There have long been lingering suggestions of wrongdoing hanging over the process)고 합니다.

 

2000년 개최국 결정 투표 시까지 몇 가지 사례의 거래는 독일정부도 개입하여 중개한 것으로 의혹이 제기되었었습니다.

 

이 거래에는 Daimler Chrysler독일 자동차 기업도 연루되었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Beckenbauer독일 월드컵 유치위원장은 독일이 FIFA월드컵 개최를 따 내려고 득표를 위해 어느 누구에게도 돈을 준 적이 없노라(I never gave money to anyone in order to acquire votes so that Germany is awarded the 2006 World Cup)고 성명서를 통하여 항변하였다고 합니다.

 

 

(Beckenbauer / 사진출처: insidethegames)

 

그는 금년 초 2018년 및 2022 FIFA월드컵 유치과정에서 비리의혹으로(for alleged wrongdoing)조사 받은 바가 있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독일)유치위원회 다른 어느 누구도 그와 같은 어떤 일도 하지 않았다고 확신한다”(And I am certain that no other member of the Bid Committee did something like that.)고 결백을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2006 FIFA월드컵 유치과정에서 실수를 한 적은 있었지만 매표 행위는 부인한 것(the 70-year Beckenbauer admitted he had made a “mistake” in the bidding process to host the 2006 World Cup but denied vote buying.)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Wolfgang Niersbach 현 독일축구연맹(DFB)회장 겸 독일2006부위원장 역시 관련의혹에 대하여 부인하고 있으며(rejected the allegations) 법적 대응을 천명하고 있다(he is vowing to take legal action)고 합니다.

 

관련 의혹의 중심부 인물(the figure at the center of the allegations)Louis-Dreyfus는 오랜 동안 지병인 백혈병과 투병하다가(following a long battle with leukemia) 2009년 사망했다고 합니다.

 

 

 (사진출처: insidethegames 및 FrancJeux)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1. 10. 10:40

[(특집)총성 없는 스포츠외교전쟁과 현장스케치]

 

*순서:

. Sheikh Ahmad의 연전연승(連戰連勝), 파죽지세(破竹之勢) 스포츠외교 행보

 

1. Sheikh Ahmad IOC위원장 선거운동 지원

2. SportAccord회장 선거운동 지원

3, Marius Vizer-Sheikh Ahmad관계 단절

4. 더욱 공고해진 Bach-Sheikh Ahmad의 연합협력과 제1 World Beach Games입도선매:

5. FIFA회장 선거와 Sheikh Ahmad FIFA무혈입성

6. Blatter회장 후임 후보난립과 Sheikh Ahmad의 카드(Hidden Card)

 

. Bach IOC위원장의 견제심리와 IOC집행위원회의 1027일 자 쿠웨이트 NOC 자격정지처분

 

1. Sheikh Ahmad에 대한 독주 견제심리 추정

2. 1027일자 IOC의 쿠웨이트 NOC자격정지처분 발표와 여파

3. Sheikh Ahmad의 입장 및 처신

4. IOC의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 처분 배경

5. 쿠웨이트 스포츠 계에 대한 IOC의 냉철한 압박 제2

 

 

*내용:

 

최근 국제 스포츠 계는 각종 비리와 이상기류에 휩싸여 이합집산(離合集散), 합종연횡(合從連橫), 오월동주(吳越同舟)에 이어 토사구팽(兎死狗烹) , 중국고사에 나오는 각종 사자성어의 실제 사례 들이 등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현상들이 실제로 세계 스포츠 판도를 어지럽게 만들고 있는 가운데 국제 스포츠 계의 양대 산맥의 수장 간의 오월동주(吳越同舟 )의 축이 흔들리고 있음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1)  Sheikh Ahmad의 연전연승(連戰連勝), 파죽지세(破竹之勢) 스포츠외교 행보:

 

 

 

(1)  Sheikh Ahmad Bach IOC위원장 선거운동 지원:

-Sheikh Ahmad의 지원사격과 부분 적 응원에 힘입어 Thomas Bach 후보가 2013년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의 IOC위원장 선거에서 압승으로 IOC위원장이 당선되면서 Bach-Sheikh Ahmad의 밀월관계가 성립된 듯싶습니다

-그 이후 Sheikh Ahmad Bach IOC위원장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세계스포츠 계 명실공히 제2인자의 자리를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 SportAccord회장 선거운동 지원:

-Marius Vizer SportAccord회장( IJF회장)SportAccord회장 직 선거 당시 경쟁후보였던 Bernard Lappasset 프랑스 국적의 국제럭비연맹(IRB)회장(현 파리2024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 SportAccord회장 직에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그 당시 쿠웨이트 출신의 막강 스포츠 파워브로커(Sport Power Broker)로 일컬어지는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ANOC회장 겸 OCA회장 겸 IOC위원이 심정적으로 Marius Vizer편에 선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결국 Marius Vizer후보가 신임 SportAccord회장에 당선된 바 있습니다

 

(3)Marius Vizer-Sheikh Ahmad관계 단절:

-이러한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당초 SportAccord 측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World Beach Games은 보은(?)차원에서 ANOC-SportAccord 공동개최 수순을 밟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Sheikh Ahmad IOC위원장-SportAccord회장을 모두 아우르는 능수능란한 현란한 스포츠외교술을 발휘하여 실제적으로 IOC-IFs-NOCs 등 세계 3대 국제 스포츠 조직을 실질적으로 움직이게 는 큰 손으로 일취월장한 성공한 세계스포츠 지도자들 중 실세 중의 실세로서의 힘을 과시하게 되었습니다

 

 

 

(얼마 전까지의 세계 스포츠 계의 3각 편대: 좌로부터 Marius Vizer, Thomas Bach, Sheikh Ahmad)

 

-하지만 금년 4월 소치개최 Accord총회 개회식에서 Marius Vizer회장이 Bach IOC위원장을 개회식 연설을 통해 IOC를 공격하는 직격탄을 날리는 일촉즉발의 사태가 연출되었습니다.

 

 

-이유인 즉, 관례를 벗어나 2015 SportAccord Convention IOC집행위원회 개최를 취소한 Bach IOC위원장의 처사에 불만표출의 일환으로 Bach IOC위원정에게 공개적으로 IOC IOC위원장을 맹비난하는 초유의 스포츠외교 쿠데타를 감행한 것이었습니다

 

-당황하고 황당해 하는 Bach IOC위원장을 측면 지원하는 국제연맹들의 격렬한 반발과 Sheikh Ahmad의 공세에 밀려 Marius Vizer-Sheikh Ahmad연합전선은 와해가 되었습니다

 

(4) 더욱 공고해진 Bach-Sheikh Ahmad의 연합협력과 제1 World Beach Games입도선매:

-망신당한 Bach IOC위원장을 굳건히 지원하고 다구나 2014 12 Bach IOC위원장의 Brainchild격인 Olympic Agenda2020개혁권고문에 대하여서도 Sheikh Ahmad는 그 누구보다도 앞장서서 지지한 옹호세력의 든든한 후원자로서 Bach IOC위원장의 마음을 사로잡기도 하였습니다

 

 

(Marius Vizer의 직격탄을 맞고 잠시 망연자실했던 Thomas Bach와 그를 지원하는 데 앞장 선 Sheikh Ahmad)

 

-이 여파로 SportAccord조직이 와해 상태인 와중에 Sheikh Ahmad가 이끄는ANOC가 단독으로 ANOC World Baech Games 1회대회를 2017년 미국 San Diego에서 개최키로 금년 10월말 미국 워싱턴D.C. 에서 열린 ANOC총회에서 결정된 바 있습니다

 

(5)  FIFA회장 선거와 Sheikh Ahmad FIFA무혈입성:

-이에 욱일승천(旭日昇天)의 기세로 IOC-ANOC 막강연합세력의 최고실세역할에 그치지 않고 Sheikh Ahmad 10여 전부터 꿈 꾸어왔던 FIFA집행위원 대열에 합류하고자 하였고 뜻대로 무혈입성에 성공하였습니다

 

-그 첫 단추로 금년 529 FIFA회장선거에서 Sepp Blatter회장을 적격지지 선언하고 당선되도록 지지함으로 본인의 FIFA입성에 주춧돌을 놓은 셈입니다

 

-하지만 재선 한달 여 만에 4년 임기의 SportAccord회장 직을 사임한 Marius Vizer에 연 이은 국제스포츠 지도자들의 중도사임 돌풍이 불어 오게 됩니다  

 

-Blatter회장은 529 2015년도 FIFA총회에서 경쟁후보인 요르단의 Prince Ali 133:73으로 꺾고 생애 5번 째 4년 임기의 FIFA회장에 재선에 성공한 바 있습니다

 

-Sepp Blatter회장이 당선 된지 단 나흘 만인 62일 켭켭이 쌓여 왔던 FIFA 내부의 내우외환(內憂外患)으로 ‘울며 겨자 먹기’(grudgingly) 심정인 것으로 보이는 사임발표를 하고 말았습니다.

 

 

-그 와중에 세계스포츠 계 실력자인 Sheikh Ahmad는 아시아축구총연맹(AFC) 총회에서 아시아 대표 FIFA집행위원 선출선거에 경쟁자들이 알아서 사퇴하는 위용을 과시하면서 FIFA집행위원으로 무혈입성 하게 됩니다

 

(6) Blatter회장 후임 후보난립과 Sheikh Ahmad의 카드(Hidden Card):

-2016 2월로 예정된 FIFA회장선거출마후보들 중 Sheikh Ahmad가 공개 지지선언 한 Michle Platini EUFA회장이 FIFA윤리위워회에서 Blatter회장과 함께 90일짜리 자격정지 처분이 내려지면서 지난 1026일 후보마감이 종료된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Blatter and Platini/사진출처: FrancJeux)

 

-이처럼 Sheikh Ahmad가 지지선언 한 Platini의 불확실한FIFA회장 후보 입지 상황이 급격히 전개되면서 또 다른 국면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Platini에 이어 한국의 정몽준 전FIFA부회장에게 FIFA윤리위원회가 내린 어이 없는 6년 자격정지처분으로 FIFA회장 출사표가 물거품화 되어 버렸고 그 사이 우후죽순 격으로 이곳 저곳에서 8명의 FIFA회장후보들이 난립하고 있는 전무후무한 무주공산의 공황상태에 이르고 있습니다

 

 

     (좌로부터: Platini, 정몽준 전 FIFA부회장, Blatter/사진출처: insidethegames)

 

-Sheikh Ahmad는 지난 529 FIFA회장 선거에서 같은 중동국가(요르단) Prince Ali를 저버리고 실익을 취하기 위한 수순으로 Blatter회장을 지지선언 하였고 또 다시 Sheikh Ahmad 신드롬이 제2의 동방불패의 신화창조가 멈출 기세가 보이지 않을 지경에 이르게 된 셈입니다

 

-여차하면 Sheikh Ahmad가 지지하는 후보가 또 다시 2016 2 FIFA총회 회장 선거에서FIFA회장으로 당선될 경우 Sheikh Ahmad는 명실공히 세계스포츠 계의 최고실력자로서 Bach IOC 위원장을 능가하는 실세로서 군림하게 될 것이 명약관화한 지경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기로에 서 있습니다

 

2)  Bach IOC위원장의 견제심리와 IOC집행위원회의 1027일 자 쿠웨이트 NOC 자격정지처분

 

(1) Sheikh Ahmad에 대한 독주 견제심리 추정

-현재 Sport Power Broker로 불릴 만큼 막강 로비력과 스포츠외교 전선에서 발군의 실력으로 승승장구하며 ANOC회장, OCA회장, FIFA집행위원 등의 자리에서 세계최강 조직인 FIFA를 실질적으로 장악하기 일보직전인 Sheikh Ahmad에 대한 견제심리가 작동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라고 추정됩니다

 

 

-1029~30 ANOC 총회를 앞두고 Sheikh Ahmad ANOC의 현대화(modernization)와의 기치와 NOC 관계의 미래라는 목표에 대한 소통을 주제로 206 NOCs 대표들과의 교감을 통해 비록 NOCs차원이지만 올림픽운동의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공공연히 대내외에 천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구나 ANOC가 국제연맹들의 연합체인 SportAccord가 실행하려던 World Beach Games까지 주도권을 가지고 ANOC World Beach Games로 명명하여 독자적으로 개최하는 등 세력확산의 움직임이 IOC로서는 예사롭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ANOC는 작년에 본부를 로잔느에 오픈하고 스포츠의 오스카 상을 방불케하는 제1 ANOC Gala 시상식을 화려하고 열고 전 세계 스포츠 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금년에도 제2 ANOC Gala시상식을 미국 Washington DC에서 성대하게 개최함으로써 대륙 별 유명 선수들과 국제 스포츠 계 거물들이 총망라하는 등 세계 스포츠 계의 새로운 실력자로서 일취월장 그 힘을 더해 가고 있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2) 1027일자 IOC의 쿠웨이트 NOC자격정지처분 발표와 여파

 

-Pere Miro IOC NOCs관계 국장은 1027 IOC가 쿠웨이트정부의 자국 내 NOC에 대한 정부간섭의 수위를 간과할 수 없어 자격정지처분이외에 다른 방도가 없노라(there was no other way but to suspend the Kuwait NOC over government interference)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2015년도 1029~30일 열린ANOC총회 직전인 1027일에 전격 공개되었습니다

 

-쿠웨이트는 현재 국제스포츠 계에서 파워를 자랑하고 있는 Sheikh Ahmad의 모국인 관계로 Sheikh Ahmad로서는 뼈 아픈 일격을 당한 셈입니다

 

-ANOC총회 시작에 앞서 Patrick Hickey EOC회장 겸 ANOC부회장이 쿠웨이트 NOC의 자격정지와 Sheikh Ahmad및 그의 ANOC수장으로서의 리더쉽과는 아무런 관계나 영향이 없다고 변호발언을 합니다(He has the huge support of ANOC and the 206 NOCs and it will not interfere whatever with his leadership and his administration. He will have no loss of face here. This will be a great congress for him irrespective of what’s happening back in his own country, noting that Ahmad was not an elected member of the Kuwait NOC.)

 

-따라서 2016년 리우 올림픽 전에 IOC가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처분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리우 올림픽 출전자격 권을 획득한 쿠웨이트 선수들은 리우 올림픽 개회식에서 자국기대신 올림픽기를 들고 입장해야 할 지경에 이를 것입니다

 

-이전에도 유사한 자격정지 처분으로 인해 2010년 광조우 아시안게임에서도 쿠웨이트 선수단은 올림픽기를 들고 행진한 전례가 있습니다

 

 

 

                        (쿠웨이트 선수단: 사진출처/insidethegames)

 

 

 

(3) Sheikh Ahmad의 입장 및 입지

 

-이러한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외통수를 맞은 Sheikh Ahmad로서는 IOC의 징계조치를 인정할 수 밖에 없으며 자격정지 만이 유일한 사태수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다(Sheikh Ahmad is, however, supportive of the IOC’s sanction, which he sees as the only way to resolve the situation.)라고 속수무책(束手無策)임을 토로하고 있다고 합니다

 

 

 

(Sheikh Ahmad/사진출처: insidethegames// Getty Images)

 

-하지만 쿠웨이트 국내에선 국제스포츠 계의 실세인 Sheikh Ahmad IOC의 자격정지 처분에 대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방어적인 노력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쿠웨이트 정부 측의 볼멘 소리에 직면할 수 있는 묘한 처지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4) IOC의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 처분 배경:

 

-IOC는 올림픽운동을 보호한다는 명분 하에 쿠웨이트 NOC의 자격을 정지(suspension)한다고 공표한 바 있습니다

 

-당초 IOC는 쿠웨이트 NOC에게 자국 내 스포츠 관련 국내법을 올림픽헌장 정에 부합하도록 개정할 것을 요구하고 그 기한을 1027일로 공지한 바 있습니다

 

-IOC는 쿠웨이트 정부가 제정한 자국 내 스포츠 관련 법규가 쿠웨이트 NOC및 경기단체들(NFs)의 자치성(autonomy)을 위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저격정지처분을 결정한 바 있습니다

*NOC자치성 관련 올림픽 헌장(Olympic Charter)규정(27 6) 내용:

The NOCs must preserve their autonomy and resist all pressures of any kin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olitical, legal, religious or economic pressures which may prevent them from complying with the Olympic Charter.”

 

-쿠웨이트의 경우 2010 1월 유사한 사안으로 IOC로부터 이미 한 차례 자격정지 명령을 받았지만 2012년 쿠웨이트 정부가 쿠웨이트 NOC 고유의 자치성을 부여하고 신규 스포츠 관련 법을 적용하겠다는 약속으로 위기를 모면한 바 있습니다

 

(5) 쿠웨이트 스포츠 계에 대한 IOC의 냉철한 압박 제2:

 

-IOC집행위원회는 쿠웨이트 NOC 자격정지 처분 결정(1027) 1028일부터 자격정지 효력을 발휘한 바 있습니다.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IOC집행위원회는 1029일 긴급회의를 갖고(in an emergency meeting)오는 111~12일 쿠웨이트에서 개최 예정되었던 아시아 사격선수권대회(Asian Shooting Championships)의 리우2016 올림픽 사격종목 아시아 자격 부여 지위(the Olympic qualifying status)를 취소하는(revoked) 조치를 취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국제사격경기연맹(ISSF: International Shooting Sports Federation)의 요청으로 더 이상 쿠웨이트에서의 선수권대회는 올림픽자격부여 기능을 못하게 됨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사건의 발단은 Yair Davidovich ISSF 기술대표(Technical Delegate)가 쿠웨이트로 가는 도중 쿠웨이트 입국비자가 거부당하였는데, IOC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according to a release from the IOC) 이는 올림픽헌장에 명시되어 있는 차별금지 조항 위배(a violation of the non-discrimination clause of the Olympic Charter)라는 것입니다

 

-IOC는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처분 조치로 말미암아 동 선수권대회 자격을 취소하는 결정이 접목되었다(IOC said the suspension of the Kuwait National Olympic Committee played a role in the decision to revoke the qualification status of the event)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KOC는 올림픽운동과 연결된 어떠한 활동에도 참가할 자격이 주어지지 않으며 올림픽헌장에 의해 부여되는 어떠한 권리행사도 할 자격이 없는 것이다”(The KOC is not entitled to participate in any activity connected with the Olympic Movement or exercise any right conferred upon it by the Olympic Charter or the IOC)라고 IOC는 성명서를 통해 밝히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특히 KOC가 가입되어 있는 NOCs연합회가 조직하는 어떠한 활동에도 포함되어 적용된다”(This includes, in particular, any activity organized by associations of NOCs to which the KOC is affiliated.)라고 부연하여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연의 일치일까요?  아시아사격총연맹(ASC: Asian Shooting Confederation)회장인 Sheikh Salman Sabah Al-Salem Al-Homoud Al-Sabah 쿠웨이트 국가(체육)청소년 부 장관(Kuwaiti Minister of State for Youth Affairs ) IOC가 자격정지를 내린 근간이 되는 쿠웨이트 관련 법에 대한 공식 책임 정부 관료이기도 합니다

 

 

 (Sheikh Salman Sabah Al-Salem Al-Homoud Al-Sabah/사진출처:insidethegames//Wikipedia)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1. 3. 17:34

[KOC(쿠웨이트) 2번 째 IOC자격정지내막과 IOC의 후속압박조치]

 

*순서:

1. Sheikh Ahmad에 대한 독주 견제심리 추정

2. 1027일자 IOC의 쿠웨이트 NOC자격정지처분 발표와 여파

3. Sheikh Ahmad의 입장 및 입지

4. IOC의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 처분 배경

5. 쿠웨이트 스포츠 계에 대한 IOC의 냉철한 압박 제2

 

*내용:

 

최근 쿠웨이트NOC(KOC: Kuwait Olympic Committee)) IOC로부터 자격정지(suspension)처분을 받았습니다.

 

 

대한올림픽위원회/대한체육회(KOC: Korean Olympic Committee)와 똑 같은 이니셜 약자(initial acronym)를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조금 신경이 쓰입니다.

 

Pere Miro IOC NOC관계 국장은 쿠웨이트정부의 쿠웨이트 NOC(KOC)에 대한 간섭으로 IOC집행위원회는 1027일 전격적으로 자격정지처분을 내렸다고 합니다

 

 

그는1027 IOC가 쿠웨이트정부의 자국 내 NOC에 대한 정부간섭의 수위를 간과할 수 없어 자격정지처분이외에 다른 방도가 없노라(there was no other way but to suspend the Kuwait NOC over government interference)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공교롭게도 2015년도 1029~30일 열린ANOC총회 직전인 1027일에 전격 공개되었습니다.

 

(1) Sheikh Ahmad에 대한 독주 견제심리 추정

 

-현재 Sport Power Broker로 불릴 만큼 막강 로비력과 스포츠외교 전선에서 발군의 실력으로 승승장구하며 ANOC회장, OCA회장, FIFA집행위원 등의 자리에서 세계최강 조직인 FIFA를 실질적으로 장악하기 일보직전인 Sheikh Ahmad에 대한 견제심리가 작동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라고 추정됩니다

 

-1029~30 ANOC 총회를 앞두고 Sheikh Ahmad ANOC의 현대화(modernization)와의 기치와 NOC 관계의 미래라는 목표에 대한 소통을 주제로 206 NOCs 대표들과의 교감을 통해 비록 NOCs차원이지만 올림픽운동의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공공연히 대내외에 천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구나 ANOC가 국제연맹들의 연합체인 SportAccord가 실행하려던 World Beach Games까지 주도권을 가지고 ANOC World Beach Games로 명명하여 독자적으로 개최하는 등 세력확산의 움직임이 IOC로서는 예사롭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ANOC는 작년에 본부를 로잔느에 오픈하고 스포츠의 오스카 상을 방불케하는 제1 ANOC Gala 시상식을 화려하고 열고 전 세계 스포츠 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으며 금년에도 제2 ANOC Gala시상식을 미국 Washington DC에서 성대하게 개최함으로써 대륙 별 유명 선수들과 국제 스포츠 계 거물들이 총망라하여 초청하는 등 세계 스포츠 계의 새로운 실력자로서 일취월장 그 힘을 더해 가고 있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2) 1027일자 IOC의 쿠웨이트 NOC자격정지처분 발표와 여파

 

-쿠웨이트는 현재 국제스포츠 계에서 파워를 자랑하고 있는 Sheikh Ahmad(ANOC회장 겸 OCA회장 겸 FIFA집행위원)의 모국인 관계로 Sheikh Ahmad로서는 뼈 아픈 일격을 당한 셈입니다

 

ANOC총회 시작에 앞서 Patrick Hickey EOC회장 겸 ANOC부회장이 쿠웨이트 NOC의 자격정지와 Sheikh Ahmad및 그의 ANOC수장으로서의 리더십과는 아무런 관계나 영향이 없다고 변호발언을 합니다(He has the huge support of ANOC and the 206 NOCs and it will not interfere whatever with his leadership and his administration. He will have no loss of face here. This will be a great congress for him irrespective of what’s happening back in his own country, noting that Ahmad was not an elected member of the Kuwait NOC.)

 

따라서 2016년 리우 올림픽 전에 IOC가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처분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리우 올림픽 출전자격 권을 획득한 쿠웨이트 선수들은 리우 올림픽 개회식에서 자국기대신 올림픽기를 들고 입장해야 할 지경에 이를 것입니다

 

이전에도 유사한 자격정지 처분으로 인해 2010년 광조우 아시안게임에서도 쿠웨이트 선수단은 올림픽기를 들고 행진한 전례가 있습니다

 

(3) Sheikh Ahmad의 입장 및 입지

 

-이러한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외통수를 맞은 Sheikh Ahmad로서는 IOC의 징계조치를 인정할 수 밖에 없으며 자격정지 만이 유일한 사태수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다(Sheikh Ahmad is, however, supportive of the IOC’s sanction, which he sees as the only way to resolve the situation.)라고 속수무책(束手無策)임을 토로하고 있다고 합니다

 

 

(Sheikh Ahmad/사진출처: insidethegames// Getty Images)

 

 

-하지만 쿠웨이트 국내에선 국제스포츠 계의 실세인 Sheikh Ahmad IOC의 자격정지 처분에 대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방어적인 노력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쿠웨이트 정부 측의 볼멘 소리에 직면할 수 있는 묘한 처지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4) IOC의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 처분 배경

 

-IOC는 올림픽운동을 보호한다는 명분 하에 쿠웨이트 NOC의 자격을 정지(suspension)한다고 공표한 바 있습니다

 

-당초 IOC는 쿠웨이트 NOC에게 자국 내 스포츠 관련 국내법을 올림픽헌장 규정에 부합하도록 개정할 것을 요구하고 그 기한을 1027일로 공지한 바 있습니다

 

-IOC는 쿠웨이트 정부가 제정한 자국 내 스포츠 관련 법규가 쿠웨이트 NOC및 경기단체들(NFs)의 자치성(autonomy)을 위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저격정지처분을 결정한 바 있습니다

*NOC자치성 관련 올림픽 헌장(Olympic Charter)규정(27 6) 내용:

The NOCs must preserve their autonomy and resist all pressures of any kin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olitical, legal, religious or economic pressures which may prevent them from complying with the Olympic Charter.”

-쿠웨이트의 경우 2010 1월 유사한 사안으로 IOC로부터 이미 한 차례 자격정지 명령을 받았지만 2012년 쿠웨이트 정부가 쿠웨이트 NOC 고유의 자치성을 부여하고 신규 스포츠 관련 법을 적용하겠다는 약속으로 위기를 모면한 바 있습니다

 

(5) 쿠웨이트 스포츠 계에 대한 IOC의 냉철한 압박 제2

 

-IOC집행위원회는 쿠웨이트 NOC 자격정지 처분 결정(1027)1028일부터 자격정지 효력을 발휘한 바 있습니다.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IOC집행위원회는 1029일 긴급회의를 갖고(in an emergency meeting)오는 111~12일 쿠웨이트에서 개최 예정되었던 아시아 사격선수권대회(Asian Shooting Championships)의 리우2016 올림픽 사격종목 아시아 자격 부여 지위(the Olympic qualifying status)를 취소하는(revoked) 조치를 취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국제사격경기연맹(ISSF: International Shooting Sports Federation)의 요청으로 더 이상 쿠웨이트에서의 선수권대회는 올림픽자격부여 기능을 못하게 됨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사건의 발단은 Yair Davidovich ISSF 기술대표(Technical Delegate)가 쿠웨이트로 가는 도중 쿠웨이트 입국비자가 거부당하였는데, IOC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according to a release from the IOC) 이는 올림픽헌장에 명시되어 있는 차별금지 조항 위배(a violation of the non-discrimination clause of the Olympic Charter)라는 것입니다

-IOC는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처분 조치로 말미암아 동 선수권대회 자격을 취소하는 결정이 접목되었다(IOC said the suspension of the Kuwait National Olympic Committee played a role in the decision to revoke the qualification status of the event)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KOC는 올림픽운동과 연결된 어떠한 활동에도 참가할 자격이 주어지지 않으며 올림픽헌장에 의해 부여되는 어떠한 권리행사도 할 자격이 없는 것이다”(The KOC is not entitled to participate in any activity connected with the Olympic Movement or exercise any right conferred upon it by the Olympic Charter or the IOC)라고 IOC는 성명서를 통해 밝히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특히 KOC가 가입되어 있는 NOCs연합회가 조직하는 어떠한 활동에도 포함되어 적용된다”(This includes, in particular, any activity organized by associations of NOCs to which the KOC is affiliated.)라고 부연하여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연의 일치일까요?  아시아사격총연맹(ASC: Asian Shooting Confederation)회장인 Sheikh Salman Sabah Al-Salem Al-Homoud Al-Sabah 쿠웨이트 국가(체육)청소년 부 장관(Kuwaiti Minister of State for Youth Affairs ) IOC가 자격정지를 내린 근간이 되는 쿠웨이트 관련 법에 대한 공식 책임 정부 관료이기도 합니다

 

 

(Sheikh Salman Sabah Al-Salem Al-Homoud Al-Sabah/사진출처:insidethegames//Wikipedia)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0. 26. 10:23

[FIFA2006년 독일 FIFA월드컵 유치승리득표의혹 전말(2)]

 

최근 Thomas Bach IOC위원장은 2006 FIFA독일월드컵 유치승리를 둘러싼 부패의혹이 조속히 조사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습니다.

 

이 요구는 Robert Louis-Dreyfus Adidas 프랑스 지사 사장이 US$770만 불( 92억원)을 은행으로부터 은밀히 대출 받아 독일 월드컵 유치위원회 비밀계좌로 송금했다(an undisclosed loan was made to the country’s Bid Committee that never appeared on accounts)는 의혹이 제기되고 나고 난 다음의 반응입니다.

 

저명한 잡지인 ‘Der Spiegel’ 보도내용에 의하면, 돈이 당시 4명의 아시아 출신 FIFA집행위원들에게 비자금 형태로 사용되었다고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insidethegames)

 

 

2년 전 Blatter를 회장으로 임명했던 FIFA가 나중에 Louis-Dreyfus가 은행대출금 재상환을 요구했을 때 불법지불행위를 감추는 데 연루되었다고 이 잡지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FIFA, who had appointed Sepp Blatter as President two years earlier, were later involved in covering up the illegal payment when Louis-Dreyfus demanded it be repaid, it is alleged.)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이와 관련하여 독일축구연맹(DFA)이 조사에 착수하고 있지만 투표자들의 어떤 것으로라도 매표행위가 있었다는 징후가 없는 반면 부정행위에 대한 징후 또한 없음(there are no indications of irregularities while there was equally no indication whatsoever that votes were bought)을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2005 FIFA로 하여금 문화프로그램을 위하여 유사한 액수(US$770만 불)가 흘러 들어간 것에 대하여 조사를 벌이고 있는데 동 기금이 의도된 바대로(as intended) 사용되었는지 여부도 조사 중 이라고 합니다.

 

당시 시점에도 IOC위원이었던 Thomas Bach IOC위원장은 2006년에 독일올림픽위원회(DOSB)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며 독일2006(월드컵)감독위원회 위원(a member of a Germany 2006 Supervisory Board) 직을 맡은 바 있었습니다.

 

Christian Klaue 독일어 국가 대상 IOC대변인은 “Thomas Bach위원장은 축구 계의 권익을 위하여 관련 의혹이 신속하고 전면적인 조사가 착수되어 마무리되어야 한다”(Thomas Bach, in the interests of football, believes that a prompt and full investigation of allegations[should be] carried out.]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Bach위원장은 당시 독일2006(월드컵)감독위원회는 어떤 비리내용에 대하여서도 인지하지 못하였다(the Board was unaware of any wrongdoing)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Bach/사진출처:insidethegames)

 

 

Beckenbauer 2006독일 FIFA월드컵 유치위원장을 필두로 유치 전에 나섰던 독일은 FIFA집행위원회 표 대결에서 경쟁상대였던 남아공을 12:11 근소한 차이로 꺾고 개최권을 부여 받은 바 있습니다.

 

1표 차 독일의 승리는 Charlie Dempsey뉴질랜드 출신 FIFA집행위원이 결정직인 2차 투표에서 투표 전일 밤 인내할 수 없을 정도의 압력”(intolerable pressure)이 있었음을 비난하면서 투표를 기권한 바 있다고 한 연후 나온 결과라고 합니다.

 

만일 Dempsey집행위원이 지침대로(as instructed)남아공에게 투표를 던졌었더라면 투표결과는 12:12 동표가 나왔었을 것이고 남아공을 선호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던 Blatter FIFA회장은 가부동수 시 자신의 최종 결정투표(casting vote)를 행사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합니다.

 

오랜 동안 투표과정을 둘러싸고 비리에 대하여 계속 남아있는 암시가 있어왔다(There have long been lingering suggestions of wrongdoing hanging over the process)고 합니다.

 

2000년 개최국 결정 투표 시까지 몇 가지 사례의 거래는 독일정부도 개입하여 중개한 것으로 의혹이 제기되었었습니다.

 

이 거래에는 Daimler Chrysler독일 자동차 기업도 연루되었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Beckenbauer독일 월드컵 유치위원장은 독일이 FIFA월드컵 개최를 따 내려고 득표를 위해 어느 누구에게도 돈을 준 적이 없노라(I never gave money to anyone in order to acquire votes so that Germany is awarded the 2006 World Cup)고 성명서를 통하여 항변하였다고 합니다.

 

 

 

                           (Beckenbauer / 사진출처: insidethegames)

 

 

그는 금년 초 2018년 및 2022 FIFA월드컵 유치과정에서 비리의혹으로(for alleged wrongdoing)조사 받은 바가 있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독일)유치위원회 다른 어느 누구도 그와 같은 어떤 일도 하지 않았다고 확신한다”(And I am certain that no other member of the Bid Committee did something like that.)고 결백을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Wolfgang Niersbach 현 독일축구연맹(DFB)회장 겸 독일2006부위원장 역시 관련의혹에 대하여 부인하고 있으며(rejected the allegations) 법적 대응을 천명하고 있다(he is vowing to take legal action)고 합니다.

 

관련 의혹의 중심부 인물(the figure at the center of the allegations)Louis-Dreyfus는 오랜 동안 지병인 백혈병과 투병하다가(following a long battle with leukemia) 2009년 사망했다고 합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10. 23. 15:54

[FIFA위기, 쇼킹 비리종합세트 결정판인가?]

 

(제1편)  FIFA수뇌부와 실세들의 무더기 몰락

 

1)  Blatter Platini 케이스:

 

79세 불세출의 세계축구 계 황제로 군림하던 Blatter전 회장은 내년 2월까지 회장권한 사수와 버티기를 시도하였지만 스위스 당국의 형사소송절차(criminal proceedings)가 시작되자 FIFA스폰서 들(Budweiser. Coca-Cola, McDonald’s Visa)의 회장사퇴 촉구 성명서가 줄을 이었었습니다.

 

그는 스위스 검찰(Swiss prosecutors)에 의해 FIFA 2005년 카리브 해 연안 축구연맹 Jack Warner회장과 체결한 TV중계권 협약에 따른 형사상의 부실경영(criminal mismanagement) 내지 직권남용(misappropriation)등의 혐의로 기소 중에 있다고 합니다.

 

 

 

                     (Sepp Blatter FIFA회장/사진출처:insidethegames)

 

 

그는 또한 Platini EUFA회장에게 불성실한 자문료 지불’(disloyal payment)에 대한 혐의도 추가로 받고 있는 중입니다.

 

 

 

                      (Blatter and Platini/사진출처: insidethegames)

 

 

그는 이미 발 빠르게 회장 직 사임을 전제로 2016 2 FIFA신임회장 선출 시기와 맞춰 회장 직을 내려 놓는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1021일자 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 FIFA윤리위원회가 1021일 성명서를 통하여 Sepp Blatter FIFA 전 회장과 Michel Platini 유럽축구연맹(EUFA)회장에 대하여 각각 90일이내짜리 자격정지처분(within the 90-day suspension)에 관한 조사에 따른 판결을 내리기(to deliver its verdict)를 희망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Blatter Platini 국제 축구 계 두 거물에 대하여 지난 108일이래 잠정 활동금지처분(provisionally banned)이 발효 중 입니다.

 

4년 간(1998~2002) Blatter 당시 FIFA회장에 대한 모호한 자문업무 사례비 조로 2011 2 FIFA로부터 Platini EUFA회장이 받은 US$201만 불( 14억여원)에 대하여 FIFA윤리위원회와 스위스 정부당국의 조사가 집중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사례비를 불성실한 지불 금’(disloyal payment)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2)  Jerome Valcke FIFA사무총장 케이스:

 

FIFA조사팀은 Valcke의 경우에 대하여 ‘FIFA규칙과 규정에 반한 경비유용 및 기타사항 위반 의혹 관련’(related to the suspicion of misuse of expenses and other infringements of FIFA’s rules and regulations)이라고 규정 짓고 있습니다.

 

 

                   (Jerome Valcke/사진출처:insidethegames)

 

 

FIFA윤리위원회는 이미 지난 달(2015 9) Valcke사무총장에 대해 2014 FIFA월드컵 입장권 암시장 거래계획(a 2014 World Cup black market ticketing scheme)에 일정부분 연루된 혐의로 90일 간 직무금지 처분이 내려진 것으로 외신에 보도되고 있습니다

 

3)  개정된 FIFA윤리강령의 위력:

 

지난 1020 FIFA집행위원회가 단행한 FIFA윤리강령 개편내용에 따라 FIFA 윤리 패널 조사 팀(the investigatory arm of its ethics panel) 1021일 진행 중인 조사내용에 대하여 공개할(release)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까지는 모든 항소 가능성이 소진될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고 합니다.

 

FIFA 특별조사 팀에 따르면 Blatter Platini Valcke에 대한 소송절차가 진행 중임을 확인하면서 도 따른 8명의 전 현직 FIFA집행위원들에 대한 조사가 목하 진행 중임을 발표하였습니다.

 

Blatter, Platini, Valcke를 포함하면 총 11명이 조사 중인 셈입니다.

 

이들에 대한 조사명목은 혐의가 거론된 여러 항목에 걸친 FIFA윤리강령위반(breaches of the FIFA Code of Ethics)이라고 합니다.

 

한편 FIFA회장직 출사표를 던진 정몽준 정 FIFA부회장에 대하여서는10월 초 FIFA윤리위원회로부터 행동(conduct), 기밀유지(confidentiality), 폭로(disclosure) 및 협력(collaboration) 관련 위반(offences)에 대한 유죄 판결 후(after being found guilty) 6년간의 금지처분(banned for 6 years)을 받은 바 있다고 무소불위의 권력으로 편파적으로 보이는 판결을 내린 바 있습니다.

 

 

 

       (좌-2로부터 Platini, 정몽준 전 FIFA부회장, Blatter/사진출처:insidethegames)

 

 

4)  Beckenbaur 케이스:

 

이들 중 독일 축구영웅(1974 FIFA월드컵 우승팀인 독일 팀 주장) 2006 FIFA독일월드컵 조직위원장을 역임한 Franz Beckenbauer의 이름이 눈에 띕니다.

 

그는 Platini대신 UEFA회장 대행을 맡고 있는 Villar Llona와 함께 스캔들 타격을 받은(scandal-hit)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FIFA월드컵 유치경쟁에 대한 조사에 대하여 협조거부와 관련된 윤리제재(ethics sanction)에 직면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지난 2014 6거듭된 협조요청’(repeated requests for his assistance)에도 불구하고 비 협조한 태도로 FIFA에 의해 90일 간의 직무금지처분을 받은 바 있다고 합니다.

 

 

                              (Beckenbauer/사진출처:insidethegames)

 

 

 

하지만 FIFA윤리강령에 명시된 바, 무죄추정 원칙에 의거하여(pursuant to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조사실(investigatory chamber)이 모든 건에 대하여 공평하게 모든 정황들을 낱낱이 검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는 Villar Llona와 함께 FIFA윤리위원회의 조사를 받아 왔으며 혐의 건에 대한 판결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1021일 공식 발표되었습니다.

 

그는 당초 90일 간 금지처분을 받았지만 관련 조사(inquiry) 참여에 응하겠다는 합의 후 2014 6월 다시 FIFA로부터 금지처분 면제를 받았던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동 건들에 대한 조사결과 세부사항은 아직 공개되고 있지 않는 가운데 1021 2006 FIFA독일 월드컵 유치를 둘러싼(surrounding Germany’s bid) 부패의혹(corruption allegations)이 제기된 지 며칠 만에 뉴스로써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Der Spigel’ 이란 한 독일잡지가 독일축구연맹의 유치위원회가 2006 FIFA월드컵 유치승리를 위해 비자금(slush fund)을 사용하여 매표행위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비자금 규모는 US$760만 불(90억여원)이며, 이에 대해 FIFA측은 이러한 고발내용들을(accusations)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당시 Beckenbaur는 독일 유치위원장이었으며 Wolfgang Niersbach 현 독일축구연맹회장과 함께 이 두 사람은 이러한 비자금에 대해 알고 있었다고 보도되고 있지만 이 두 사람은 그릇된 처사에 대해 부인하고(the pair deny any wrongdoing) 있다고 합니다

 

 

 

                                    (사진출처: FrancJeux)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