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5. 8. 11. 10:48

[2015년도 IOC총회결정 주요핵심사안 종합총정리]

 

1.  128 IOC총회 제1일차(731)결정사항:

 

(1)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선출에 따른 후보도시들 최종 프레젠테이션 및 투표와 개최도시 발표식이 이어졌음

(2)베이징-알마티 양 도시투표대결에서 베이징이 44:40으로 신승하여 개최도시로 선출됨

 

                                      

                       

 

2.  128 IOC총회 제2일 차(81) 결정사항:

 

가. Olympic Agenda 2020 권고내용 30~32항목 실행조치로써 IOC윤리위원회 위원들(9) 선출 및 IOC윤리강령(IOC Code of Ethics)전면개정(a complete revision) 최종 마무리

 

[IOC Ethics Commission(9)]

 

*위원장(재선): Youssoupha Ndiaye (former Minister of Sport of Senegal);

*부위원장: Guy Canivet (Member of the Constitutional Court);

*위원(7):

-Geert Corstens (recently retired President of the Network of Presidents of Supreme Judicial Courts in the European Union);

-Patricia O’Brien (Ambassador and Permanent Representative of Ireland to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sations at Geneva);

-Samuel Schmid (lawyer and former Swiss Federal Councillor of the Federal Department of Defence, Protection of the Population and Sport);

-Francisco J. Elizalde (IOC Honorary Member);

-Pierre-Olivier Beckers-Vieujant (IOC member),

-Robin Mitchell (IOC Member)

-Yang Yang, who is elect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IOC Athletes’ Commission.

 

나. 소치2014 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최종 보고

 

1)  Alexander Zhukov 러시아 IOC위원 겸 NOC위원장 보고내용 요약:

(1) 대회개최를 통한 광범위한 인적 유산 및 스포츠 유산성취(Extensive human and sporting legacies)

(2) 특히 러시아에서 자원봉사다 운동 부흥(the regeneration of the volunteer movement in Russia)

(3) 조직위원회(OCOG)는 마케팅 수입금 US$13억 불(1 5,600억 원)달성

(4) 소치대회 TV시청률: 전 세계 159개국 21 5,000만 명 시청(최소 1분이상 시청인구/people watching at least a minute of the Games)

(5) Bach IOC위원장은 소치2014로부터창출된 이익금 IOC할당지분(IOC’s share of the profit from the Olympic Games Sochi 2014)을 전액 러시아 스포츠발전기금으로 러시아 NOC에 기증 결정 재확인

 

다. 향후 동 하계올림픽조직위원회 보고내용 청취

 

(1) Rio 2016

(2) PyeongChang2018(동계)

(3) Tokyo2020

 

라. 청소년올림픽조직위원회 보고내용청취

 

(1) Nanjing2014(최종보고)

(2) Lillehammer2016(동계)

(3) Buenos Aires2018

 

마. 재무보고(financial statements)

 

(1)2014년도 종합재무보고내용 총회승인

(2)PricewaterhouseCoopers회계업체 IOC의 외부회계사(external auditor)로 재지정(reappointed)

 

 

3.  3일 차(82) 결정사항:

 

바. Olympic Agenda 2020연계 진척 관련사항 보고

 

(1) 유치과정(bid process)

(2) 올림픽 정식종목(sport programme)

(3) 개최도시 제안사항(host city proposal)

(4) 일괄해결방안(turnkey solutions)

(5) IFs 역할(roles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s)

(6) 선수지원(support to athletes)

(7) 올림픽채널개설 준비사항(preparations for the launch of the Olympic Channel)

(8) 윤리규정(ethics)

(9) IOC분과위원회 변화(changes to the IOC Commissions)

(10)      올림픽헌장 개정(changes to the Olympic Charter)

(11)      올림픽유치과정 초대권고형태로의 재설정(reshaping the bidding process as an invitation recommendation)

(12)      유치도시평가방법을 핵심 기회요소들과 위기요인들 평가로 압축(evaluating bid cities by assessing key opportunities and risks)

(13)      유치비용 절감 방안(reducing the cost of bidding)

 

 

사. NOC관계(relations)

 

(1) 남 수단 NOC 206번 째 IOC회원국으로 공식승인(full recognition)

(2) Rio2016올림픽에 정식국가 선수단으로 출전

 

아. Beijing2022동계올림픽 정식종목승인

 

(1)올림픽헌장에 의거 7개 종목(스키, 바이어들론, 컬링, 루지, 봅슬레이와 스켈레톤, 스케이팅, 및 아이스하키)을 정식종목으로 승인

(2)IOC집행위원회 제안에 의거하여 신규 세부종목 추가 건은 평창2018개회식 전 열리는 IOC총회에 상정예정

 

자. 세계플라잉디스크연맹(WFDF: World Flying Disc Federation) IOC인정국제연멩승인

 

(1) 2013년 장정 인정국제연맹이었던 WFDF를 공식인정 국제연맹으로 승인함

(2) WFDF는 모든 flying disc스포츠를 관장하는 국제기구인데 62개국 가맹국과 58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선수들이 활동 중임

(3) 종목으로는 ultimate, beach ultimate, disc golf, freestyle, guts및 개인종목들이 있음

 

차.  기타 보고사항

 

(1) 법사보고(legal affairs)

(2) IOC사무처(administration)

(3) WADA(World Anti-Doping Agency)

(4) ICAS(International Council of Arbitration for Sport)

 

4.  4일차 (83) 최종일:

 

[128차 콸라룸푸르 IOC총회 최종일(83) 회의 주요결과요약]

 

1.  2015년도 신임 IOC위원 2명 선출:

 

128차 콸라룸푸르 IOC총회(7.31~8.3) 최종일인 83 IOC Mamadou Diagna Ndiaye(세네갈) Nenad Lalovic(세르비아) 세계레슬링연합(United World Wrestling)회장 등 2명을 2015년도 신규 IOC위원으로 선출하였습니다.

 

 

(좌로부터: Mamadou Diagna Ndiaye, Thomas Bach, Nenad Lalovic/자료출처: IOC 홈페이지)

 

 

HRH the Princess Royal IOC위원선출위원회(IOC Members Election Commission)위원장은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동위원회가 Olympic Agenda 2020 권고내용에 근거하여 IOC위원 보충(recruitment)을 위한 새로운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IOC위원 선출위원회는 201511월 다시 모여서 새로운 선출절차를 최종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보고하였습니다.

 

감소추세에 있는 하계올림픽 국제연맹 대표 당연 직 IOC위원 및 아프리카 출신 IOC위원 수에 대처하고자 동 위원회는 Ndiaye(세네갈/SEN) Lalovic(세르비아/SRB) 2명을 신규 IOC위원으로 제안하였습니다.

 

2.  기존 IOC위원 14 8년 임기 일괄(en bloc) 재 선출:

 

8년 마다 관례적으로 재선출하고 있는 IOC위원 일괄(en bloc)선출에 해당하는 다음 14명의 IOC위원들은 관례대로 그대로 재선출되었습니다:

 

 

              (128차 콸라룸푸르 IOC총회 모습/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1)  HSH Prince Albert II (MON);

2)  Syed Shahid Ali (PAK);

3)  Valeriy Borzov (UKR);

4)  Ottavio Cinquanta (ITA);

5)  Nawal El Moutawakel (MAR);

6)  René Fasel (SUI);

7)  Patrick Hickey (IRL);

8)  Willi Kaltschmitt Luján (GUA);

9)  Gunilla Lindberg (SWE);

10)               HRH the Grand Duke of Luxembourg (LUX);

11)               Irena Szewinska (POL);

12)              Ching-Kuo Wu (TPE);

13)              Patrick Baumann (SUI);

14)              Rita Subowo (INA).

 

 

3.  Lindberg IOC집행위원으로 재 선출:

 

평창2018 IOC조정위원장이기도 한 Gunilla Lindberg(스웨덴) IOC위원은 4년 임기 IOC집행위원으로 재선출되었습니다.

 

 

 

                                            (Gunilla Lindberg)

 

4.  임기 4년 연장:

 

IOC총회는 IWGA회장이기도 한 Jose Perurena(스페인/ESP)IOC위원의 연령제한을 국제월드게임협회(International World Games Association)회장 직에 몸을 담고 있는 기간만큼인 4년 간 연장시켜 주었습니다.

 

 

 

                                                (Jose Perurena)

 

이 연령제한 연장 조치는 Olympic Agenda 2020 개혁내용과 맞물려 내린 결정사항인 바 이는 특히 다른 스포츠 유관기관들(other sports organizations) 및 이벤트 조직관계자들(other event organizers)과의 유대관계와 협력을 통한 결속을 강화하고자 제안된 규정입니다.

 

5.  Sepp Blatter FIFA전 회장, IOC위원 직 사임:

 

한편 FIFA부패 스캔들로 인해 FIFA회장 직을 내려놓은 Sepp Blatter(스위스) IOC위원은 2016년이 만 80세가 되는 정년퇴임이 1년 남은 상황에서

지난 723일 자로 IOC위원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결과로 83일 자로 Blatter IOC위원 1명이 추가로 IOC위원 명부에서 삭제된 셈입니다.

 

 

 

 

                                            (Sepp Blatter)

 

 

128 IOC총회가 종료된 현 시점에서 IOC위원 수는 모두 73개국 101(201583일 현재)가 됩니다.

 

 

 

 

      6.  IOC명예위원 선출:

 

 

                      (128 IOC총회 모습/사진출처: IOC 홈페이지)

 

 

6명의 IOC명예위원(Honorary member)은 오랜 기간 IOC위원으로 활동(long-standing IOC members)하다가 금년에 임기 만료되어(whose mandates come to end this year) 은퇴하는 IOC위원들을 대상으로 선출되는데 그 명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atrick S. Chamunda (ZAM);

2)     James L. Easton (USA);

3)     Julio César Maglione (URU);

4)     Lambis V. Nikolaou (GRE);

5)     Olegario Vázquez Raña (MEX);

6)     Vitaly Smirnov (RUS)

 

7.  은퇴하는 IOC 최고 고참위원 치하:

 

Thomas Bach IOC위원장은 특히 IOC최고 고참(IOC Doyen)인 러시아의 Vitaly Smirnov에 대하여 그가 위대한 올림픽 지도자(a great Olympic leader)로서 40년 이상 IOC 내에서 올림픽운동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하여 왔음을 치하하였습니다.

 

(Vitaly Smirnov)

 

“All of us in the Olympic Movement have been privileged to witness his strong dedication and commitment to our values. For over 40 years within the IOC, he has never failed in his tasks as an IOC Member and Doyen. He is a great Olympic leader. His contribution to our Movement cannot be overestimated.”

 

8.  올림픽훈장 수여:

 

6명의 신임IOC명예윈 중 5명에게 올림픽훈장(Olympic Order)이 수여되었는데 나머지 1명인 Olegario Vazquez Rana위원은 이미1986년에 올림픽훈장을 기수여 받았기 때문입니다.

 

올림픽훈장은 금년에 현역 IOC신분에서 고인이 된 Peter Tallberg(핀란드)IOC위원과 Reynaldo Gonzalez Lopez(쿠바)에게도 추서되었습니다 (Olympic Orders were also awarded posthumously).

 

9.  차기 IOC총회:

 

차기 총회인 2016년 제129 IOC총회는 오는 2016 82~4일 및 21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8. 10. 13:01

[정몽준 전 FIFA부회장 FIFA회장 출마선언 임박]

 

2002 FIFA한일 월드컵 조직위원장을 역임한 정몽준 前 FIFA부회장 겸 前 국회의원 겸 前 대한축구협회 회장 겸 前 대통령 후보 겸 2002 FIFA월드컵 유치위원장은 프랑스 파리에서 오는 817() Sepp Blatter회장의 사퇴선언으로 공석이 된 FIFA회장 직에 공식출마 선언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지난 86() 1994~2011(17년 간)FIFA부회장을 역임한 정몽준 회장은 서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본인의 출마 계획 발표장소를 파리로 정했음을 확인하였다고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정회장은 파리 공식출마후보 발표 미디어 브리핑 5일 전인 오는 812() 그루지아 개최 UEFA Super Cup에 참석하여 지난 주 FIFA회장출마 후보선언을 한 Michel Platini UEFA회장을 포함한 유럽축구 계 수장들을 만날 것임이 밝혀졌다.  

 

현재 Platini UEFA회장이 Sepp Blatter회장을 대신할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정도로 폭 넓게 간주되고 있는데 오는 2016 2월 취리히개최 FIFA총회에서 물러나는 Sepp Blatter회장은 18년 간 회장직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렀지만 FIFA부패 스캔들에 휘말려 결국 사임 결정을 내린 바 있다.

 

 

 

                                                (Michel Platini)

 

 

FIFA회장 후보출마예정자는 현대그룹의 대주주로서 미국 경제 지 Forbes에 의해 US$12억 불( 1 4,400억 원)가치의 재산소유자로 소개되고 있는데 그는 첫 번째 아시안인 FIFA회장 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자신이 승리할 수 있는 좋은 기회’(a good chance of winning)를 포착하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기회는 노력할 만한 가치 그 이상이므로 최선을 다 하겠다(I think this is more than worth the effort, and I will do the best I can.) FIFA가 자체 문제들에 대해 책임이 있긴 하지만 유럽축구 지도자들 역시 책임을 져야 한다. (FIFA is responsible for its own problems, but leaders of European football should also be held accountable.) 만일 유럽에 건전한 리더십이 존재했었더라면 그러한 리더들이 FIFA를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했었을 것이다”(If there had been healthy leadership in Europe, those leaders would have guided FIFA toward a better direction.)이라며 FIFA를 얼룩지게 한 최근 부패 스캔들 와중에 Platini UEFA회장에게도 일침을 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후보가 FIFA부회장 시절 부패척결을 위해 좀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암시를 한 비평가들의 평가를 일축하면서(rebuffing the critics)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나는 항상 축구와 FIFA의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일했다. 하지만 Blatter회장 및 Havelange 전임회장이 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는데 그 두 사람은 내가 자신들의 친구가 아니라고 언급하기까지 하였다. 회고해 보건대 그 때 내 견해들을 좀더 확실하게 관철시켰어야 하였다고 생각하는 바이다.”(I always worked in the interest of football and FIFA. Yet Blatter and Havelange were critical of me. They said I wasn’t their friend. Looking back, I think I should have made my points clearer.)

 

지난 7월 말 Platini는 자신의 FIFA회장 출마를 발표하면서 “FIFA가 원래 위엄과 본연의 위치를 되찾게 할 것”(to give FIFA back the dignity and the position it deserves)이라고 출마의 변을 한 바 있다.

 

Blatter회장의 FIFA회장 경선에서 회장옹립 자(kingmaker)로 여겨지는 Sheikh Ahmad Al-Fahad Al-Sabah(쿠웨이트) ANOC OCA회장은 아시아가 Platini를 지지할 지 아니면 아시아대륙 후보 뒤에서 연합할 지 여부에 대하여 침묵 중인데 FIFA집행위원이기도 한 그는 최근 로잔에서 Platini를 만나 것으로 알려졌다.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Sheikh Salman bin Ebrahim Al Khalifa AFC회장 역시 한 사람을 정하여 지지할 것을 AFC에 촉구하였다고 한다

 

한편, 아프리카 축구총연맹(CAF: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86일 현재 리베리아 축구협회 회장이 FIFA회장 직에 출마하는 계획에 대해 지지하지 않기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Musa Bility 후보는 CAF집행위원회에서 자신의 출마 계획에 대해 지지를 호소했지만 CAF성명서에 따르면 지지획득에는 실패하였으며 FIFA회장 출마를 위한 향후 지지세력 확보를 위하여서는 후보등록마감일인 1026일 전에 최소한 개별 축구연맹들로부터 지지결집에 달려 있는 상황인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FIFA회장 선거는 오는 2016 2월 취리히개최 FIFA임시총회에서 거행된다.

 

 (발췌내용출처: ATR 8/6일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8. 5. 15:35

[2015년 정년퇴임대상 IOC위원과 정년연장 성공위원 및 IOC명예위원 선출 현황] 

 

 

현재 총 정원 115(개인자격 70, NOC자격 15, IF자격 15, 선수 자격15) IOC위원수는 78일 현재 총 100명으로 규정상 15명을 증원할 수 있었지만 지난 2015 731~83일 콸라룸푸르 개최 제128IOC총회에는 단 2명 만이 후보로 추천되어 선출된 바 총 101(Blatter FIFA회장 겸 IOC위원 사임; 102-1=101)이 현 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1.  128차 콸라룸푸르개최 IOC총회 선출 신임 IOC위원 2:

1) Mamadou Diagna Ndiaye(세네갈 NOC 위원장)ㅣ 제128 IOC총회에서 신임 IOC위원으로 선출

2) Nenad Lalovic(세르비아) United World Wrestling(IF)회장 IF자격 신임 IOC위원으로 선출됨

 

(좌로부터: Mamadou Diagna Ndiaye, Thomas Bach, Nenad Lalovic/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2.  2009년 말 정년 퇴임예정 IOC위원 9(8) 명단

 

1) Patrick Chamunda,(잠비아)

2) Toni Khoury,(레바논)

3) James Easton, (미국)

4) Olegario Vazques Rana, (멕시코)

5) Andres Botero Philpsborne,(콜롬비아)

6) Julio Maglione,(우루과이)

7) Vitaly Smirnov, (러시아)

8) Lambis Nikolaou(그리스)

*(9)Jose Perurena(스페인)역시 은퇴대상이었지만 제128 IOC총회에서 향후 4년 간 IWGA회장 자격으로 정년연장 승인 받음으로 정년퇴임 대상자에서 제외

 

 

 

 

                                            (Jose Perurena)

 

 

상기 은퇴 IOC위원 8명을 감안하면 2016년 초에는 모두 93(101-8=93)만 남게 됩니다.

  

한편 FIFA부패 스캔들로 인해 FIFA회장 직을 내려놓은 Sepp Blatter(스위스) IOC위원은 2016년이 만 80세가 되는 정년퇴임이 1년 남은 상황에서

지난 723일 자로 IOC위원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결과로 83일 자로 Blatter IOC위원 1명이 추가로 IOC위원 명부에서 삭제된 셈입니다.

 

 

 

                                             (Sepp Blatter)

 

 

128 IOC총회가 종료된 현 시점에서 IOC위원 수는 모두 73개국 101(201583일 현재)가 됩니다.

 

따라서 2016년 리오2016 올림픽에 앞서 개최되는 제129 IOC총회(82~4)에서는 사상 최다 인원수인 22(115-93=22)까지 추가로 선출할 수 있다라는 결론이 도출되는 셈입니다

 

 

 

3.  2015 IOC위원 연령제한 4년 연장 적용 대상후보 명단

 

2014 12 IOC가 승인한 Olympic Agenda 2020에 따르면, 2015년에는 최대 4명의 IOC 위원이 임기연장 대상에 포함됩니다.

 

새로 개정된 올림픽 헌장에 의하면, IOC 집행위원회의 제안에 따라 총회에서 정년이 70세인 IOC 위원의 정년을 1회에 한하여 최대 4년 연장할 수 있으며, 이는 최대 5명에게만 적용됩니다.

 

2014년 제127 IOC 총회에서 스위스 IOC 위원이자 국제스키연맹(FIS: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회장인 Gian-Franco Kasper가 첫 임기연장의 수혜자가 됨. 이에 따라 Kasper가 임기를 마칠 때까지, 추가 임기를 얻을 수 있는 기회는 최대 4명의 IOC 위원에게만 주어집니다.

 

1945년생으로 올해 70세가 되어 임기가 만료되는 IOC 위원(3)은 다음과 같습니다:

 

  • Andrés BOTERO PHILLIPSBOURNE, 콜롬비아
  • Patrick S. CHAMUNDA, 잠비아(128 IOC총회에서 명예위원으로 선출)

*José PERURENA, 스페인(128 IOC총회에서 4 IWGA회장 자격으로 정년연장 승인 받음으로 4년 임기 연장 혜택 자로 당첨)

 

한편, 1999년까지 선출된 IOC 위원 중 총 6명이 올해 80세가 되어 임기가 만료되나, 이들은 임기연장 대상에서 제외되며 명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 James L. EASTON, 미국(128 IOC총회에서 명예위원으로 선출)
  • Toni KHOURY, 레바논
  • Julio César MAGLIONE, 우루과이(128 IOC총회에서 명예위원으로 선출)
  • Lambis V. NIKOLAOU, 그리스(128 IOC총회에서 명예위원으로 선출)  
  • Vitaly SMIRNOV, 러시아(128 IOC총회에서 명예위원으로 선출)  
  • Olegario VÁZQUEZ RAÑA, 멕시코 (128 IOC총회에서 명예위원으로 선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8. 4. 16:55

[제128차 콸라룸푸르 IOC총회 최종일 회의 주요결정사항요약정리]

 

1.  2015년도 신임 IOC위원 2명 선출:

 

128차 콸라룸푸르 IOC총회(7.31~8.3) 최종일인 83 IOC Mamadou Diagna Ndiaye(세네갈) Nenad Lalovic(세르비아) 세계레슬링연합(United World Wrestling)회장 등 2명을 2015년도 신규 IOC위원으로 선출하였습니다.

 

 

(좌로부터: Mamadou Diagna Ndiaye, Thomas Bach, Nenad Lalovic/자료출처: IOC 홈페이지)

 

HRH the Princess Royal IOC위원선출위원회(IOC Members Election Commission)위원장은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동위원회가 Olympic Agenda 2020 권고내용에 근거하여 IOC위원 보충(recruitment)을 위한 새로운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IOC위원 선출위원회는 201511월 다시 모여서 새로운 선출절차를 최종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보고하였습니다.

 

감소추세에 있는 하계올림픽 국제연맹 대표 당연 직 IOC위원 및 아프리카 출신 IOC위원 수에 대처하고자 동 위원회는 Ndiaye(세네갈/SEN) Lalovic(세르비아/SRB) 2명을 신규 IOC위원으로 제안하였습니다.

 

2.  기존 IOC위원 14 8년 임기 일괄(en bloc) 재 선출:

 

8년 마다 관례적으로 재선출하고 있는 IOC위원 일괄(en bloc)선출에 해당하는 다음 14명의 IOC위원들은 관례대로 그대로 재선출되었습니다:

 

 

           (128차 콸라룸푸르 IOC총회 모습/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1)  HSH Prince Albert II (MON);

2)  Syed Shahid Ali (PAK);

3)  Valeriy Borzov (UKR);

4)  Ottavio Cinquanta (ITA);

5)  Nawal El Moutawakel (MAR);

6)  René Fasel (SUI);

7)  Patrick Hickey (IRL);

8)  Willi Kaltschmitt Luján (GUA);

9)  Gunilla Lindberg (SWE);

10)               HRH the Grand Duke of Luxembourg (LUX);

11)               Irena Szewinska (POL);

12)              Ching-Kuo Wu (TPE);

13)              Patrick Baumann (SUI);

14)              Rita Subowo (INA).

 

 

3.  Lindberg IOC집행위원으로 재 선출:

 

평창2018 IOC조정위원장이기도 한 Gunilla Lindberg(스웨덴) IOC위원은 4년 임기 IOC집행위원으로 재선출되었습니다.

 

 

                                          (Gunilla Lindberg)

 

 

4.  임기 4년 연장:

 

IOC총회는 IWGA회장이기도 한 Jose Perurena(스페인/ESP)IOC위원의 연령제한을 국제월드게임협회(International World Games Association)회장 직에 몸을 담고 있는 기간만큼인 4년 간 연장시켜 주었습니다.

 

 

 

                                               (Jose Perurena)

 

 

이 연령제한 연장 조치는 Olympic Agenda 2020 개혁내용과 맞물려 내린 결정사항인 바 이는 특히 다른 스포츠 유관기관들(other sports organizations) 및 이벤트 조직관계자들(other event organizers)과의 유대관계와 협력을 통한 결속을 강화하고자 제안된 규정입니다.

 

5.  Sepp Blatter FIFA전 회장, IOC위원 직 사임:

 

한편 FIFA부패 스캔들로 인해 FIFA회장 직을 내려놓은 Sepp Blatter(스위스) IOC위원은 2016년이 만 80세가 되는 정년퇴임이 1년 남은 상황에서

지난 723일 자로 IOC위원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결과로 83일 자로 Blatter IOC위원 1명이 추가로 IOC위원 명부에서 삭제된 셈입니다.

 

 

 

        (Sepp Blatter)

 

128 IOC총회가 종료된 현 시점에서 IOC위원 수는 모두 73개국 101(201583일 현재)가 됩니다.

 

 

6.  IOC명예위원 선출:

 

 

 

                       (128 IOC총회 모습/사진출처: IOC 홈페이지)

 

 

6명의 IOC명예위원(Honorary member)은 오랜 기간 IOC위원으로 활동(long-standing IOC members)하다가 금년에 임기 만료되어(whose mandates come to end this year) 은퇴하는 IOC위원들을 대상으로 선출되는데 그 명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atrick S. Chamunda (ZAM);

2)     James L. Easton (USA);

3)     Julio César Maglione (URU);

4)     Lambis V. Nikolaou (GRE);

5)     Olegario Vázquez Raña (MEX);

6)     Vitaly Smirnov (RUS)

 

7.  은퇴하는 IOC 최고 고참위원 치하:

 

Thomas Bach IOC위원장은 특히 IOC최고 고참(IOC Doyen)인 러시아의 Vitaly Smirnov에 대하여 그가 위대한 올림픽 지도자(a great Olympic leader)로서 40년 이상 IOC 내에서 올림픽운동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하여 왔음을 치하하였습니다.

 

 

 

 

                                              (Vitaly Smirnov)

 

 

“All of us in the Olympic Movement have been privileged to witness his strong dedication and commitment to our values. For over 40 years within the IOC, he has never failed in his tasks as an IOC Member and Doyen. He is a great Olympic leader. His contribution to our Movement cannot be overestimated.”

 

8.  올림픽훈장 수여:

 

6명의 신임IOC명예윈 중 5명에게 올림픽훈장(Olympic Order)이 수여되었는데 나머지 1명인 Olegario Vazquez Rana위원은 이미1986년에 올림픽훈장을 기수여 받았기 때문입니다.

 

올림픽훈장은 금년에 현역 IOC신분에서 고인이 된 Peter Tallberg(핀란드)IOC위원과 Reynaldo Gonzalez Lopez(쿠바)에게도 추서되었습니다 (Olympic Orders were also awarded posthumously).

 

9.  차기 IOC총회:

 

차기 총회인 2016년 제129 IOC총회는 오는 2016 82~4일 및 21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8. 3. 17:11

[728~29 IOC집행위원회 회의 주요결과요약]

 

콸라룸푸르 개최 IOC집행위원회에서는 2024년 올림픽 유치절차(bidding procedures)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협약서(Host City Contract) 변경내용을 포함하여 Olympic Agenda 2020 실행에 대한 지속적인 진척사항(the continuing progress on implementation of Olympic Agenda 2020)에 대한 업데이트를 비롯하여 Rio2016, 평창2018, 도쿄2020, 부에노스아이레스2018 YOG 준비 진척사항과 IOC 18개 협약을 통해 US$140억 불 수입금 달성 및 제반 이슈 등에  관하여 집중 논의하였습니다.

 

 

 

           (IOC 집행위원회/Kuala Lumpur/사진출처: IOC홈페이지)

 

 

올림픽운동의 미래를 가늠해 주는 IOC의 전략적 로드맵(IOC’s strategic roadmap) Olympic Agenda 2020의 실행방안은 지난 2014 12월 모나코 개최 제127 IOC총회에서 동 개혁안 승인 즉시 착수되어 온 바 있습니다.

 

 

l  11가지 주요결정사항:

1)  Olympic Agenda 2020와 궤를 같이 하여(in line with Recommendation 3 of Olympic Agenda 2020 to reduce the cost of bidding) 올림픽후보도시들에게 부과되는 서비스 부담금(Candidature Service Fee)이 기존 US$650,000( 7 1,500만원)에서 US$250,000( 2 7,500만원)으로 대폭 하향 조정되었음(서비스 수준도 괄목할 만하게 보완되어 제공예정임/with a considerably higher level of service to be provided)

 

*하향조정된 2014년 올림픽 유치신청비 납부방법:

<3회분할 납부>

(1)2015년 9월 초기납부금(initial contribution): US$5만 불(약 6천 만원)

(2)후보도시 압축 전(before the candidate cities shorlisting): US$5만 불(약 6천 만원)

(3)제3단계(in the third bidding phase): US$15만 불(약 1억 8천만원)

 

2)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개최도시 협약서(HCC)내용이 현실적으로 보완될 것이며 2014년 올림픽 개최도시협약서(HCC)에는 더 많은 보완될 예정이라 함

 

*2022년 동계올림픽HCC(개최도시 협약서)에 증가된 조직위원회 지원 IOC기여금 액수: US$8억 8천 만 불(약1조 560억 원)

 

3)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IOC 2022년 동계올림픽에서 대회특성에 걸 맞는 협약(a Games-specific agreement for 2022)내용을 포함한 새로운 협약 서를 체결하기로 합의하였으며 동 변경내용에는 IOC IPC에 제공하는 기여금(contributions)을 현행 US$600만 불(72 6천만원)에서 US$750만 불(82 5천만원)으로 증액하였고 참가선수수도 750명에서 800명으로 증원된 것을 비롯하여 OBS(Olympic Broadcasting Services)를 주방송사(Host Broadcaster)로 선정하였음

 

4)  Craig Reedie WADA(World Anto-Doping Agency)회장 겸 IOC부위원장의 보고에 따르면 IOC Clean Athletes 보호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온 약물과의 전쟁 충당기금에 세계각국 정부들이 합세하여 동 기금 합계금액이 총 US$1,150만 불(126 5천 만원)에서 US$1,200만불( 132억 원) 정도가 될 것이라고 함

 

5)  Bach IOC위원장은 소치2014대회 이래 IOC US$140억불( 15 4천 억 원)에 상당하는 가치에 달하는 18개 협약을 체결하여 2032년까지 올림픽운동의 장기간 재정적 안정(the long-tern financial stability)을 기할 수 있는 기반마련에 기여하였음을 밝히면서 이러한 튼튼하고 안정적인 재정을 기반으로 IOC가 전 세계 선수들과 스포츠 전반에 걸쳐 지급되는 지원금이 수입총액대비 90%를 상회하는 기금을 재분배할 수 있게 되었는데 계산 상 매년 하루에 US$325만 불( 35 7,500만원)씩에 상당하는 지원금이 분배되는 것이라고 밝혔음

 

 

                                   (사진출처: IOC홈페이지)

 

 

-18개 협약 내용 중에 미국 NBCUniversal 2032년까지 미국지역 동 하계올림픽 TV중계권료와 2개의 TOP Partners(Bridgestone Toyota)를 비롯하여 기존 Atos Panasonic Samsung TOP Partners 계약 연장 그리고 최근 체결된 유럽 대륙 TV방영권 체결사인 Eurosport의 모기업(parent company) Discovery Communications와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올림픽 TV 방영권 체결사인 beIN SPOTS계열의 BeIN MEDIA GROUP과의 협약이 각각 포함되었음

 

6)  콸라룸푸르개최 제128 IOC총회 제2일 차인 82일에 남 수단(South Sudan)NOC 206번 째 IOC회원국으로 상정하는 안을 승인하였는데 남 수단 NOC IOC회원국으로 인정 되기 위해 올림픽 헌장에 명시된 필요한 조건들(해당국가 내에서 NOC의 독립운영과 최소 5 NFs의 국제경기연맹 가입 및 활동)을 충족하였다고 밝혔음

7)  IOC집행위원회는 해당NOC및 해당 IFs가 사전에 국적변경에 대한 승인을 전제로 승인되었으므로 스포츠국적(sporting nationality) 변경요청 해당 선수 2명에 대하여 승인하였음

(1) Zied Ait Ouagram(레슬링 선수): 튀니지(Tunisia)에서 모로코(Morocco)로 국적변경 승인

(2) Jozef Klaassen(조정선수): 네달란드(Natherlands)에서 뉴질랜드(New Zealand)로 국적변경 승인

 

8)  IOC집행위원회는 올림픽도시들 세계연합’(WUOC: World Union of Olympic Cities) Olympic Agenda 2020 개혁 내용에 준하여 두 조직들 간의 협업을 강화하기 위하여 IOC 잠정 승인조치를 내렸는데 WUOC 2002년 올림픽수도인 Lausanne 1986년 제1회 근대올림픽 개최도시인 Athens의 두 도시가 연합하여 비영리단체로 출범한 이래 현재 30개 회원 도시들이 활동하고 있음

 

 

 

                                      (IOC집행위원 15명/사진출처: IOC홈페이지)

 

9)  G-5년을 계기로 Tokyo2020이 새로운 로고(Logo/Emblem), G-3년을 게기로 Buenos Aires2018(3회 청소년올림픽YOG)역시 새로운 로고(Logo/Emblem)를 각각 선 보였음

 

 

 

 

 

 

10)        앞으로 1년 남짓 다가온 Rio2016올림픽을 대회조직위원회가 성공적 대회로 치를 것으로 확신한다고 Bach IOC위원장이 729일 언급함(IOC President Thomas Bach said that he was “very confident” that organizers would deliver great Games next summer.)

-Rio2016 조직위원회가 대회에 앞서 44개의 Test Events를 잘 준비하고 있다고 Thomas Bach IOC위원장이 결산 기자회견에서 언급함

-커다란 진척이 있지만 허비할 시간이 없음(great progress but no time to lose)

-85일 열리는 G-1년 축하행사(0ne-year-to-go celebrations) 참석 차 Bach IOC위원장이 Rio 방문예정임

 

11) 평창2018 조직위원회와 Tokyo2020조직위원회의 준비진척 사항에 대해 치하함

 

-평창2018은 경기장 건설과 마케팅에 괄목할만한 진척을 보여주고 있음

-지난 6 IOC집행위원회이래 마케팅을 통해 21%수입금 증가를 기록하였으며 Lindberg IOC조정위원장은 최근 제5 Project Review를 통해 경기장 건설이 훌륭히 진행되고 있고 동계 IFs과의 협업도 발전적이며 POCOG이 새로운 조직체계 개편도 진척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고 보고함

 

 

 -Tokyo2020 Olympic Agenda 2020개혁 내용을 잘 포용함(Tokyo2020 had done an excellent job embracing the reforms of Olympic Agenda 2020)

-Tokyo2020 50%에 해당하는 경기장들이 기존 시설들을 사용하는 제안이 이미 승인이 됨으로 개정된 건설예산 대비(from the revised Tokyo 2020 construction budget) US$ 17억 불( 1 8,700억 원)의 경기장 건설예산을 절감하였으며 기존 프로젝트 대비 구체화 단계에 있는 새로운 주경기장(in the pipeline with the new stadium) 건설비용 절감(savings)액도 미화 수억만 불(몇 천억 원)에 달할 것임

12)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제3회 청소년올림픽(YOG)에 기록적인 여성 참가비율이 반영될 것이며 혁신적인 스포츠종목 포함을 승인함

“There will be quite a few innovations and a more urban approach.”

“We will bring sports to the people rather than the people to the sports.”

-BMX freestyle, kiteboarding beach handball 등이 새롭게 포함될 것임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7. 8. 14:14

[IOC위원 100명시대 대륙 별 분포현황 및 명단]

  

 

현재 총 정원 115(개인자격 70, NOC자격 15, IF자격 15, 선수 자격15) IOC위원수는 78일 현재 총 100명으로 규정상 15명을 증원할 수 있지만 오는 731일 콸라룸푸르 개최 제128차 IOC총회에는 단 2명 만이 후보로 추천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2009년 말 정년 퇴임예정 IOC위원 9명 명단>

 

 

1) Patrick Chamunda,(잠비아)

2) Toni Khoury,(레바논)

3) James Easton, (미국)

4) Olegario Vazques Rana, (멕시코)

5) Andres Botero Philpsborne,(콜롬비아)

6) Julio Maglione,(우루과이)

7) Vitaly Smirnov, (러시아)

8) Leo Wallner, (오스트리아)

9) Lambis Nikolaou(그리스)

 

 

상기 은퇴 IOC위원 9명을 감안하면 2016년 초에는 모두 93(102-9=93)만 남게 됩니다.

 

따라서 2016년 리오2016 올림픽에 앞서 개최되는 제129IOC총회에서는 사상 최다 인원수인 22(115-93=22명까지 추가로 선출할 수 있다라는 결론이 도출되는 셈입니다

 

 

[IOC위원 현황]

 

71개국 100(201578일 현재)

 

 

구 분

국 가

유 럽

(24개국 44)

노르웨이(2), 스웨덴(2), 덴마크(2), 아일랜드, 영국(4),

벨기에, 독일(2), 폴란드, 헝가리, 우크라이나(2),

러시아(4), 프랑스(2), 스위스(5),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이탈리아(3), 스페인(3), 그리스, 터키, 이스라엘,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아프리카

(13개국 13)

모로코, 이집트, 감비아, 나이지리아, 카메룬, 부룬디,

잠비아,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짐바브웨,

케냐, 에티오피아

아 시 아

(17개국 20)

중국(3), 북한, 일본, 한국(2), 홍콩,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시리아

레바논, 쿠웨이트, 카타르, 요르단, 필리핀

아메리카

(14개국 18)

캐나다(2), 미국(4), 멕시코, 쿠바, 푸에르토리코

과테말라, 바베이도스, 아루바, 세인트루시아, 콜롬비아

페루,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오세아니아

(3개국 5)

호주(2), 피지, 뉴질랜드(2)

 

대륙별

IOC위원

번호

대륙별

IOC위원

번호

대륙별

IOC위원

번호

대륙별

IOC위원

번호

유 럽

 

 

(44)

Gerhard Heiberg

1

유 럽

 

 

(44)

Denis Oswald

31

아시아

(20)

Zaiqing Yu

61

아메

리카

(18)

Reynaldo Gonzalez Lopez(74일 사망)

Yumilka Ruiz Luaces

90

Gunilla Lindberg

2

Princess Nora

32

Yang Yang

62

Richard Carrion

91

Stefan Holm

3

Leo Wallner

33

Lingwei Li

63

Willi Kaltschmitt Lujan

92

HRH Frederik

4

Prince Albert II

34

장 웅

64

Austin Sealy

93

Poul-Erik HOYER

5

Franco Carraro

35

이건희

65

Nicole Hoevertsz

94

Peter Tallberg

6

Ottavio Cinquanta

36

문대성

66

Meliton Sanchez Rivas

96

Patrick Hickey

7

Ole Einar BJORNDALEN

37

Tsunekazu Takeda

67

Andres Botero Phillipsbourne

95

Phillip Craven

8

Mario Pescante

38

Timothy Tsun Ting Fok

68

Ivan Dibos

97

Craig Reedie

9

Alex Gilady

39

Ching-Kuo Wu

69

Julio Cesar Maglione

99

The Princess Royal

10

Juan Antonio Samaranch Jr.

40

Nat Indrapana

70

Richard Peterkin

Adam Pengilly

11

Marisol Casado

41

Prince Tunku Imran

71

Gerardo Werthein

101

Grand Duke of Luxembourg

12

Jose Perurena

42

Bernard Rajzmam

102

Ser Miang Ng

72

Pierre-Olivier Beckers-VIEUJANT

13

Lambis Nikolaou

43

Rita Subowo

73

오 세

아니아

(5)

John Dowling Coates

103

Thomas Bach

14

Ugur Erdener

44

James Tomkins

104

Shahid Ali

74

Claudia Bokel

15

Danka Bartekova

45

Robin E. Mitchell

98

Samih Moudallal

75

Irena Szewinska

16

Octavian Morariu

46

Barry Maister

99

Toni Khoury

76

Barbara Kendall

100

Pal Schmitt

17

Camiel Eurlings

47

Nawaf Faisal Fahd Abdulaziz

77

Valeriy Borzov

18

아프

리카

(13)

Nawal EL Moutawakel

48

Ahmad Al-Fahad Al-Sabah

78

Sergey Bubka

19

Mounir Sabet

49

Tamin Bin Hamad Al-Thani

79

Alexander Popov

20

Beatrice Allen

50

Princess Haya Bint Al Hussein

80

Vitaly Smirnov

21

Habu Gumel

51

HRH Prince Feisal

81

Shamil Tarpischev

22

Issa Hayatou

52

Mikaela Cojuangco Jaworski

82

Alexander Zhukov

23

Lydia Nsekera

53

Guy Drut

24

Patrick Chamunda

54

아메

리카

(19)

Richard Pound

83

Hayley WICKENHEISER

84

Jean-Claude Killy

25

Frank Fredericks

55

Anita Defrantz

85

Tony Estanguet

26

Sam Ramsamy

56

James Easton

86

Patrick Baumann

27

Dagmawit Girmay Berhane

57

Angela Marie Ruggiero

87

Joseph Blatter

28

Aicha Garad Ali

58

Larry Probst

88

Rene Fasel

29

Kirsty Coventry

59

Olegario Vazquez Rana

89

Gian Franco Kasper

30

Paul Tergat

60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7. 8. 13:56

[IOC위원 현황(100) 및 향후 선출전망과 추세I]

 

 

지난 74() Reynaldo Gonzalez-Lopez 쿠바 IOC위원이 심장마비(heart attack)로 멕시코 시티에서 별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5년 74일 작고한 Reynaldo Gonzalez-Lopez와 멕시코 시티소재 집무실에서 함께)

 

 

 

그는 멕시코시티 소재 PASO(Pan American Sport Organization)를 위한 IOC Olympic Solidarity 프로그램 위원회 수석조정관(Coordinator General)으로 업무를 수행하여 왔습니다.

 

그는 1995 IOC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향년 66세이며 80세가 IOC위원 정년이므로 향후 14년간 IOC위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연배였습니다

 

그는 세계야구 소프트볼 총연맹(WBSC) 부회장으로 야구 소프트볼의 올림픽 정식종목 복귀노력에 힘을 보태왔었습니다.

 

현재 115(개인자격 70, NOC자격 15, IF자격 15, 선수 자격15) 정원인 IOC위원수는 77일 현재 총 100명으로 규정상 15명을 증원할 수 있지만 오는 731일 콸라룸푸르 개최 IOC총회에는 단 2명 만이 후보로 추천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2015년 말에 정년으로 은퇴하는 9명의 IOC위원을 감안하면 93(102-9=93)만 남게 됩니다.

 

 

<2009년 말 정년 퇴임예정 IOC위원 9명 명단>

 

1) Patrick Chamunda,(잠비아)

2) Toni Khoury,(레바논)

3) James Easton, (미국)

4) Olegario Vazques Rana, (멕시코)

5) Andres Botero Philpsborne,(콜롬비아)

6) Julio Maglione,(우루과이)

7) Vitaly Smirnov, (러시아)

8) Leo Wallner, (오스트리아)

9) Lambis Nikolaou(그리스)

 

 

따라서 2016년 리오2016 올림픽에 앞서 개최되는 제129IOC총회에서는 사상 최다 인원수인 22(115-93=22)을 추가로 선출할 수 있다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또한 향후 IOC위원 선출 관련 유권해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5128일 제127 IOC총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바 있는 Olympic Agenda 20+20(40) 개혁확정 규정내용 중 제38항목인 (IOC위원) 임용대상 채용과정 진행방식 실행(Implement a targeted recruitment process)에서 제3(개인자격 IOC위원 정원)에 관하여 얼마 전 언론보도가 실제 내용에 혼선이 생기고 있는 것 같아 아래와 같이 정확한 유권 해석을 해 봅니다

 

38항목: IOC위원직은 신청방식에서 임용대상 채용 과정 진행방식으로 전환(Move from an application to a targeted recruitment process for IOC membership)

 

1) IOC 후보추천위원회(the Nomination Commission) IOC의 사명을 최적절하게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IOC위원공석을 채우는데(fill vacancies) 안성맞춤의 후보들(the right candidates)을 식별하는 데 좀 더 선 순환적인(proactive) 역할수행

2) 일련의 후보자 판단기준(a set of criteria) 요건에 맞는 적임 후보들의 프로필을 후보추천위원회가 IOC집행위원회에 승인을 위해 제출하게 되는데- 특히(inter alia):

(1) 특수기능(skills) 및 지식(knowledge) 분야 측면에서 IOC가 필요로 하는 부분 (: 의료 전문가/medical expertise, 사회학 전문가/sociological expertise, 문화 전문가/cultural expertise, 정치 전문가/political expertise, 비즈니스 전문가/business expertise, 법률 전문가/legal expertise, 스포츠 경영관리 전문가/sports management expertise )

(2) 동일 국가로부터 대표되는 최대 허용 인원수(a maximum number of representatives from the same country)뿐만 아니라 지리적인 안배(geographic balance)

(3) 성비 균형(gender balance)

(4) IFs/NOCs 대표하는 위원들 소속 조직 내 선수위원회 존재여부

3) IOC총회에서는 국적 기준과 연계해 개인 위원들에 관한 한 최대 5건의 특별 예외(a maximum of five special case exceptions)적용 허용

 

<유권해석>

 

 

*특별 케이스 건이란 한 나라에 5명의 개인자격 IOC위원을 승인해 주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통상 5가지(5개국) 케이스, 즉 예를 들면 예외적으로 추가로 개인자격을 선임할 만한 가치(필요부문의 전문가 등)가 있어 적용될 수 있는 후보들이 여러 나라에 존재하고 있지만 이미 개인자격 IOC위원이 존재하여 현 올림픽헌장 규정 상(1 1) 추가하기 힘들 경우를 대비하여 향후 기존 개인자격 IOC위원 1명이 설사 그 나라에 있다손 치더라도 국적과 관련하여 특별히 예외를 인정하여 추가로 한 명 정도 더 인정할 수도 있다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한 나라에 최대 5명이 고려될 가능성은 제로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IOC개요]

 

 

                (IOC 본부 전경/자료출처: IOC홈페이지)

 

 

IOC 1894 623일 프랑스인 교육자인 쿠베르탱남작(Baron Pierre de Coubertin)의 주도로 창설되었다. 쿠베르탱남작은 고대 그리스 올림픽의 부활에 대한 열정에 고취되어 근대 올림픽 개창 자(Renovator)로 지칭됩니다.

 

  

IOC는 비 정부(non-governmental) 및 비영리(non-profit) 조직으로 올림픽운동(Olympic Movement)의 창설주체(Creator)이며 최고 권위단체(supreme authority)입니.

 

IOC는 올림픽운동을 주관하는 상부단체(umbrella)로서 존립한다. IOC는 올림픽상징(Olympic Symbols), 올림픽기(Olympic flag), 올림픽모토(Olympic motto) 및 올림픽대회(Olympic Games) 와 관련된 모든 권리의 소유주체입니다. IOC의 제1의 책무는 동 하계올림픽대회조직을 총괄 관리하는 주체입니다.

 

IOC의 역할은 올림픽헌장(Olympic Charter)에 의거하여 생활스포츠(sport for all) 뿐만 아니라 엘리트스포츠(top-level sport)를 증진시키는 데 있습니다.

 

IOC는 올림픽대회가 정규적 개최 책임과 스포츠에 있어서 여성지위향상, 스포츠 윤리함양, 그리고 선수보호를 강력권장하고 있습니다.

 

IOC는 선출된 115명의 IOC위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소 1년에 1회씩 총회(Session)를 개최한다. IOC총회는 임기 8년의 위원장(1회에 한해 중임허용/4: renewable once for four years), 임기 4년의 집행위원 15(위원장 1인 부위원장 4인 포함)을 각각 선출합니다.

 

 

(IOC위원들/자료출처: 올림픽박물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6. 11. 15:30

[FIFAgate, Blatter FIFA회장 몰락(沒落)및 후계구도]

 

 

재선 한달 여 만에 4년 임기의 SportAccord회장 직을 사임한 Marius Vizer에 이어 529 2015년도 FIFA총회에서 경쟁후보인 요르단의 Prince Ali 133:73으로 꺾고 생애 5번 째 4년 임기의 FIFA회장에 재선에 성공했던 Sepp Blatter회장이 당선 된지 단 나흘 만인 62일 켭켭이 쌓여 왔던 FIFA 내부의 내우외환(內憂外患)으로 울며 겨자 먹기’(grudgingly) 심정인 것으로 보이는 사임발표를 하고 말았습니다.

 

 

                  (Sepp Blatter회장의 5번째 왕좌 임기 당선직후 4일 천하)

 

 

사임을 결심하게 한 직격탄은 FIFA총회 전날을 기점으로 취리히에서 스위스 경찰이 14명에 달하는 FIFA임원들 및 스포츠 마케팅 관계자들을 급습하여 그들 중 7명을 긴급 체포한 사건과 미국 FBI와 미국 법무부(Department of Justice)가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있는 십 수년 간 진행된 것으로 의혹을 받고 있는 FIFA US$15천만 불( 1,650억 원 상당) 뇌물 및 부패 스캔들(전자통신 사기/wire fraud, 탈세/tax evasion, 돈 세탁/money laundering 등의 혐의) 조사 등인데 FIFA의 총체적 비리에 대한 책임과 위기의식으로 그 핵심층에 있는 FIFA회장으로서 돌을 던지지 않을 수 없었을 것입니다

 

 

 

 

Blatter회장(79) 62일 깜짝 기자회견에서(in a surprise press conference) FIFA가장 이른 시기’(at the earliest opportunity) FIFA임시총회를 열어 새로운 FIFA회장을 선출할 것임을 공표하였습니다

 

그는 새로운 회장 선거 시까지는 FIFA회장으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겠지만 회장출마는 자제하겠노라(he will not stand)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성명서를 통하여 FIFA회원국 대표들로부터 위임 권을 부여 받고 있긴 하지만 우리 모두가 FIFA에서 일한 것만큼 축구와 함께 살고, 숨쉬며 사랑하는 팬들과 선수들과 클럽들과 그 밖의 사람들을 총망라하는 전체 축구세계로부터 권한을 위임 받았다는 느낌을 느낄 수 없으므로 차후 임시총회에서 회장권한을 내려 놓기로 결심하였으며 새로운 선거시기까지는 FIFA회장으로서의 내 기능을 계속 행사하겠노라(While I have a mandate from the membership of FIFA, I do not feel that I have a mandate from the entire world of football—the fans, the players, the clubs, the people who live, breathe, and love football as much as we all do at FIFA. Therefore, I have decided to lay down my mandate at an extraordinary elective congress. I will continue to exercise my functions as FIFA president until that election)고 사임이유를 밝힌 셈입니다

 

그는 FIFA내부에 뿌리 깊은 구조적 변화’(deep-rooted structural change)의 필요성을 예시하였는데 제도적인 기회가 대륙 별 연맹들보다는 FIFA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그는 FIFA회장과 FIFA집행위원들에게 임기제한(term limits)을 권고하는 바라고 첨언하였다고 합니다

 

FIFA규정에 따르면 총회소집을 위한 가장 이른 시기는 금년 12월인데 늦어도 2016 3월 사이에 소집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 이유는 선거고지(notice for an election)에는 최소한 4개월이 요구되는 부칙 때문이며 후보자들이 제시할 비전을 준비할 시간이 필요하고 새로운 총회의 최종 날짜는 FIFA집행위원회가 결정하기로 되어있다고 합니다

 

 

 

 

FIFA집행위원회와 집행위원들의 구조조정문제가 FIFA가 직면하고 있는 현안들 중 핵심에 있다고(at the core of the current issues that FIFA is facing)알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거에 제기되었던 이슈들의 상당부분이 개인적 행동과 연관이 되어 있으며 FIFA를 대표하는 집행위원들이 가장 청렴하도록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고 합니다. 그 조치의 일환으로 FIFA는 모든 FIFA집행위원들에 대해 FIFA주도의 청렴도 점검방식(FIFA-driven integrity checks)이 실행되도록 방향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후계구도]

 

6월 현재 사임발표를 한 Blatter FIFA회장의 뒤를 이을 후보로는 Michel Platini(프랑스/59) EUFA(유럽축구연맹)회장이 선두주자로 물망에 오르고 있습니다.

 

 

 

(Michle Platini)                                  (Francois Hollade프랑스 대통령과 Platini)

 

PlatiniFIFA회장 당선 관건은 유럽 외 대륙의 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결집시키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지난 529 FIFA회장선거 1차 투표에서 Blatter회장에게 133:73으로 퇴패한 요르단의 Prince Ali(39) CNN과의 인터뷰에서 패배 후유증으로 재출마 여부에 대하여 아직까지 입장 밝히기를 아직 꺼려하고 있는 것(non-committal)으로 알려졌습니다.

 

 

 

 

 

대신 Sala Sabra 요르단 축구연맹 부회장은 AFP통신에게 새로운 선거전에 Prince Ali는 준비되어 있다’(As for new elections, Prince Ali is ready.)라고 하면서 ‘Blatter FIFA의 위상을 추락시킨 뇌물 스캔들에 연루되어 있다면 Prince Ali는 회원국들이 요청할 경우 회장직을 승계할 준비가 되어 있다’(Should Blatter become implicated in the bribery scandal that has brought FIFA to its lowest ebb, he was ready to take up the presidency immediately if they ask him.)고 언급함으로써 재 도전에 나설 의향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또 다른 잠재 후보로는 한국의 정몽준 전 FIFA부회장과 529 FIFA 집행위원회에 처녀 입성한 쿠웨이트의 올림픽실력자(Olympic powerbroker)Sheikh Ahmad Al-Fahad Al-Sabah OCA ANOC회장 역시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011 1월 정몽준 전 FIFA부회장(63)은 요르단의 Prince Ali에게 충격적인 패배로 자리를 내 준 바 잇습니다. 정몽준 전 FIFA부회장은 2002 FIFA월드컵을 일본과 공동개최 형식으로 한국으로 유치한 장본인이며 1993~2009년까지 16년 간 대한축구협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습니다

 

 

 

그는 63() 출마 최종 결심 전에 FIFA지인들과 협의 하겠노라고 확인 한 바 있다(He confirmed he would consult with others at FIFA before making a final decision.)고 합니다

 

Bloomberg통신에 따르면 그는 FIFA회장 선출자가 투표로 결정될 때까지 FIFA회장자리를 고수하기를 원하고 있는 Blatter회장에 대하여 개혁의 대상 인물이 개혁을 주도하겠다는 생각은 옳지 않다.(it is not right for a person subject to reform to reform to lead reform)고 강타하면서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FIFA가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자”(Let us try to give FIFA a rebirth by taking advantage of the current crisis)고 언급하였다고 외신은 보도합니다

 

금번 FIFA총회 선거에서 신규FIFA집행위원이 된 일본의 Kozo Tashima역시 Blatter회장이 지금 당장 회장자리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하였다(New FIFA ExCo member Kozo Tashima also called for Blatter to quit now)고 합니다

 

한편 Blatter회장이 임기를 채웠을 경우 2019 FIFA회장 선거 출마 의향을 넌지시 흘리기도 했던 Sheikh Ahmad 잠재후보는 아직 결정한 바 없다고 말을 아끼고 있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계획이 없다”(Np plan at this time)면서 “Sheikh Ahmad는 우선 아시아 축구를 위해 봉사할 필요가 있으며 FIFA집행위원회 다른 동료들과 협의할 것”(He need to work for Asian football and consult his other colleagues in FIFA ExCo”이라고 그의 측근이 언급했다고 합니다.

S

Sheikh Ahmad는 최근 FIFA회장 선거에서 아시아의 표를 몰아 Blatter를 회장에 당선시킨 숨은 실력자(kingmaker)로서 2년 전에서는 중동의 Sheikh Salman AFC(Asian Football Confederation)회장으로 옹립한 공을 세운 장본인이기도 합니다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그는 Thomas Bach가 출마한 2013 IOC위원장 선거에서도 BachIOC위원장 권좌에 오를 수 있도록 조력을 아끼지 않았던 전천후 공로자 이기도 합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6. 1. 17:55

[2017년 페루 리마개최 World Combat Games 대회 전격반납 내막]

 

 

Marius Vizer SportAccord회장의 막말 파장으로 20개 이상의 국제연맹 회원 단체들이 활동 중단 내지 회원탈퇴를 속속 통보하여 뒤숭숭한 가운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522 2017년 제3회 세계격투기 게임(World Combat Games)개최도시인 페루 리마(Lima) 역시 대회 개최권을 반납하였습니다

 

결국 누적된 펀치에 휘청거리던 Vizer회장은 이 한방이 급기야 531일자로 SportAccord회장직을 사임하게 되는 결정타가 되고 맙니다.

 

 

 

 

522일 자 서한은 Jose Quinones 페루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이 Marius Vizer SportAccord회장에게 발송되었는데 그 반납 이유 3가지를 반납 통보 서한에 명시하였습니다

 

1)  세계격투기 게임 핵심 올림픽 종목들인 복싱(AIBA), 태권도(WTF), 레슬링(UWW), 역도(IWF) 4개 종목 관장 국제연맹들이 SportAccord 회원활동 중단을 선언하면서 4개 주요종목을 필두로 다른 종목들의 추가 불참 사태 발생 소지가 예상됨

 

2)  4개 종목 불참으로 이벤트 실행가능성에 대한 엄청난 불확실성(great uncertainty over the viability of the event)을 명분으로 스폰서 역시 대회지원 철회통보

 

3)  올림픽 운동의 필수 구성원(an integral part of the Olympic Movement)인 페루 NOC IOC Olympic Agenda2020 개혁지지

 

서한 내용 끝으로 Jose Quinones위원장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려 통보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들을 감안하여, 매우 유감스럽게도 세계격투기 게임을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는 것이 실행 불 가능하다는 현재 상황을 이해해 주시고 혜량 해주시리라 확신하는 바입니다”(For these reasons, we are sure to have your comprehension and gentl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that much to our regret makes infeasible the realization of the World Combat Games in our country)

 

1회 세계격투기 게임은 2010년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제2회대회는 2013년 상 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에서 개최되었고 2017년에는 리마에서 16개 종목(올림픽 종목 6개 포함) 2,500여 명의 서수들이 참가하여 겨루는 대회로 개최될 예정이었습니다

 

 

 

어느 분이 논평하셨듯이 SportAccord의 모토(Motto)‘Unite & Support’가 아니라 ‘Disunite & Disturb”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시점입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5. 5. 28. 15:16

[SportAccord회장, 관계단절 선언한 국제연맹들로 인해 왕따 및 위기의 남자가 되다]

 

 

세계스포츠와 사회와 선수들을 위한 바른 소리라고 생각되어 IOC위원장 면전에서내뱉어 돌이킬 수 없는 쓴 소리로 인해 곤욕을 치르고 있는 Marius Vizer SportAccord회장이 회원단체들로부터 점차 버림받는 국제적 왕따로 전락하는 신세가 되어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좌로부터: Marius Vizer, Thomas Bach, Sheikh Ahmad)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힘 센 사람 편에 서는 것이 인지상정인 것을 간과하고 함부로 입바른 소리로 IOC위원장을 훈계하려다 그것이 결국 부메랑이 되어 구설수가 동반된 호된 대가를 치르고 있는 잔인한 4월의 후 폭풍이 당사자는 물론 SportAccord 조직자체를 옥죄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뒤늦게 만회해 보려고 안간힘을 써가며 IOC위원장 면담 요청 등의 화해 제스처를 써 보지만 묵살당하고 맙니다

 

아무도 편 들어주는 사람도 보이질 않습니다.

 

마치 한()나라 왕 유방과의 최후 결전에서 사면초가(四面楚歌)를 당한 역발산 기개세(力拔山 氣蓋勢)의 초나라 왕 항우(項羽)가 생각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문제의 발언을 해 댄지 하루만인 421 ASOIF 집행위원회가 ASOIF SportAccord회원 활동잠정중지 선언을 하였는데 그 당시 AOISF가맹 28개 하계올림픽 국제연맹들의 개별의사는 존중하겠노라고 하자 ASOIF에 이어 연달아 관계 중단(suspend)내지 단절(resign/sever/cancel)의사를 표명하는 IFs가 봇물 터진 듯 쇄도하고 있습니다.

 

 

522 SportAccord와의 회원지위 사임(resign)을 표명한 사이클(UCI) 및 농구(FIBA)를 포함하여 현재 20 IFs가 이 대열 행진에 참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SportAccord와 활동중단을 선언한 개별 IF 리스트(20)/527일 현재>

 

 

1)   420일 발언 당일 가입취소(cancel) 통보: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2)   420일 발언 당일 가입취소(cancel)통보: 국제사격연맹(ISSF: International Shooting Sport Federation)

3)   421일 활동중단(suspend) 통보: 국제양궁연맹(FITA: World Archery Federation)

4)   421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카누연맹(ICF: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5)   57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복싱연맹(AIBA: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6)   511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레슬링연맹(UWW: United World Wrestling)

7)   511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세계태권도연맹(WTF: World Taekwondo Federation)

8)   514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봅슬레이 스켈레톤연맹(FIBT: International Bobsleigh and Tobogganing Federation)
*동계종목으로는 현재까지 유일

9)   518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트라이애슬론연맹(ITU: International Triathlon Union)

10) 519일 활동중단(suspend) 통보: 국제역도연맹(IWF: International Weightlifting Federation)

11)  519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하키연맹(FIH: International Hockey Federation)

12) 520일 회원가입 철회(withdraw)통보: 국제근대5종연맹(UIPM: International Modern Pentathlon Union) /

13) 520일 회원가입 사임(resign)통보: 국제조정연맹(FISA: 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 /

14) 520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배구연맹(FIVB: International Volleyball Federation)

15) 521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세계컬링연맹(WCF: World Curling Federation)

16) 521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승마연맹(FEI: International Equestrian Federation)

17) 521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럭비연맹(IRB; International Rugby Board)

18) 521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탁구연맹(ITTF: 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19) 522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 사이틀 연맹(UCI: International Cycling Union)

20) 522일 활동중단(suspend)통보: 국제 농구연맹(FIBA: International Basketball Federation)

 

 

527일 그 동안 관망세력이었던 동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연합회(AIOWF: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Olympic Winter Federations/회장: Gain Franco Kasper FIS회장)도 드디어 Marius Vizer SportAccord회장에게 AIOWF SportAccord 회원단체 활동중단(suspend)통보서한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동계종목으로는 FIBT(봅슬레이/스켈레톤)WCF(컬링) 두 국제연맹만이 활동중단 통보를 한 바 있는데 AIOWF의 절교 통보로 나머지 5개 개별 동계 IFs도 활동중단 통보가 임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