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2. 7. 28. 19:28

 

런던올림픽을 계기로 근대올림픽 사상 최고올림픽 중 백미로 꼽히는 88서울올림픽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어 왔습니다.

최근 Reuter통신 서울사무소에서 서울올림픽 K-POP 정신적 유산에 대하여 TV인터뷰를 하였고 중국 CCTV등 국제적 채널을 통해 방송된 내용입니다.

 

 

서울올림픽이여 영원하라!!!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역시 역사상 최고의 동계올림픽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런던올림픽 한국선수들이여,

우리민족의 우수성이 지구촌 방방곡곡에 세세토록 각인되도록 태극기와 애국가를 펼치고 울려퍼지게 하여라~~

다음 링크를 클릭하시면 VIDEO:REVIEW OF 1988 SEOUL OLYMPICS이란 제목의 비디오를 감상하실수 있습니다^-^

http://english.cntv.cn/program/sportsscene/20120724/110264.shtml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28. 17:49

 

Ban Ki-moon carries Olympic torch 

©IOC/Richard Juilliart (출처: IOC홈페이지)

런던올림픽 개회식 당일인 7월27일 반기문 UN사무총장이 자크 로게 IOC위원이 임석한 가운데 런던시내 Westminister에서 올림픽성화를 받아 들고 Storey Gate로부터 Birdcage를 따라 성화봉송주자로 참가하였다.(Today it was the turn of the UN General-Secretary to carry the Olympic torch during its journey through London. In the presence of IOC President Jacques Rogge, Ban Ki-moon received the flame in Westminster and carried it along Birdcage Walk from Storey’s Gate.)

 UN appeals for the Olympic Truce during London 2012 Games UN appeals for the Olympic Truce during London 2012 Games

(UN 및 IOC 역사상 올림픽성화봉송 최초의 주자로 변신한 반기문 UN사무총장)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28. 12:30

 2011년 7월6일 자정, 남아공 더반에서의 평창동계올림픽유치 성공 승전보는 독일과 프랑스를 단 한방에 물리치고(65:25:7)대한민국을 '지구상 일등국가'로 만들었다.

이제 그 기상, 그 열기, 그열정, 그 환희를 런던올림픽에 참가한 태극전사들로부터 다시 느끼고 싶다.

한반도, 2018년 동계올림픽 일등국가 대한민국이여 영원하라!

 

 

PyeongChang 2018 Celebrations(출처: IOC 홈페이지)

 

The PyeongChang 2018 delegation celebrates after IOC President Jacques Rogge announced that the 2018 Olympic Winter Games were attributed to the South Korean city.

 

 

 

PyeongChang 2018 Celebrations(출처: IOC홈페이지)

 

The PyeongChang 2018 delegation celebrates after IOC President Jacques Rogge announced that the 2018 Olympic Winter Games were attributed to the South Korean city.

 

 

 

PyeongChang 2018
More than 90% of Korean people are in favour of PyeongChang's bid © PyeongChang 2018

 

 

PyeongChang 2018
Korean athlete participating in the Vancouver 2010 Paralympic Games © PyeongChang 2018 

 

 

PyeongChang 2018
Children having fun on PyeongChang's slopes during the 2011 Dream Programme © PyeongChang 2018 

 

PyeongChang 2018
Night view of the Alpensia Resort - centrepiece of PyeongChang's 2018 Games Plan © PyeongChang 2018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27. 14:15

7월26일 제124차 런던 IOC총회 마자믹날 거행된 IOC부위원장, 집행위원, 신임 IOC위원 선출 투표에서 새 얼굴들이 대거 선보였다.

IOC사상 최초로 여성 집행위원 수가 3명이 되었다.

이제 IOC집행위원 총원 15명 중 20%를 점유한 여성의 물결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진하기를 바란다.

 

1. IOC부위원장 2명 선출:

 

모로코 여성 체육장관 겸 84 LA올림픽 육상 금메달리스트 출신인 Nawal El Moutawakel IOC집행위원이 드디어 IOC부위원장으로 선출(찬성:81표, 반대: 10표)되었다.

 

(좌로부터: Hicham El Guerrouj 선수출신 IOC위원, 필자, Mme. Nawal El Moutawakel 모로코 신임 IOC부위원장)

 

IOC역사 상 IOC 여성출신 부위원장으로는 세 번째에 해당한다.

첫 번째 여성 IOC부위원장은 미국의 Anita DeFrantz 흑인여성이었고 두 번째는 스웨덴의 Gunilla Lindberg였다.

 

                      (가운데가 여성 최초 IOC부위원장을 역임항 미국 IOC위원 Anita DeFrantxz)

 

 

(IOC 사상 두번 째 여성 IOC부위원장을 역임한 스웨덴 IOC집행위원 Gunilla Lindberg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IOC조정위원장과 함께)

 

두 자리가 공석이었던 바 두 번째 IOC부위원장은 영국의 Craig Reedie IOC집행위원(찬성:85표, 반대: 4표)이 차지했다.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시절 Craing Reedie 영국 신임 IOC부위원장과 함께)

 

두 명의 IOC부위원장은 IOC집행위원 및 부위원장으로 최대 두 번 IOC집행위원을 역임한 중국의 Zaiqing YU 와 금년 초 스스로 IOC부위원장을 사임한  이태리의 Mario Pescante IOC부위원장의 공석에 대하여 두 명의 단일후보들로서 그야말로 '땅 짚고 헤엄치기'로 선출되었다.

 

 

 

(Zaiqing YU중국 IOC부위원장과 함께)   

                       

 

  (좌로부터 Mario Pescante 이태리 IOC부위원장, 필자, 이창동 전 문화관광부장관)

 

 

2. IOC집행위원 선출(4명 당연직 후보들 및 선출직 3명 등 총 7명):

 


 IOC집행위원들이 대거 물갈이 되었다.

C.K. Wu 대만 IOC위원(찬성: 88표, 반대: 6표)은 ASOIF 대표자격 당연직 IOC집행위원으로,

 

                      (좌로부터 Nat Indrapana 태국 IOC위원, 필자, 신임 C.K WU 대만 IOC집행위원 겸 AIBA회장)

 

 

Rene Fasel 스위스 IOC집행위원은 AIOWF대표자격으로 연임되었고,

 

                                          (Rene Fasel IOC집행위원 겸 AiOWF 및 IIHF회장과 함께)

 

Patrick Hicky 아일랜드 IOC위원(찬성: 57표, 반대: 34표)은 ANOC대표자격 당연직 IOC집행위원으로,

 

                            (Patrick Hickey 아일랜드 IOC신임 집행위원 겸 EOC회장과 함께)

 

Claudia Bokel 선수출신 독일 IOC위원(찬성: 80표, 반대: 11표)은 IOC선수위원장 자격 당연직 IOC집행위원으로 각각 단독후보로 선출되었다.

나머지 공개 경쟁 선출직 IOC집행위원 세 자지를 놓고 당초 6명이 출사표를 던졌으나 막판에 Anita DeFrantz미국 여성 IOC위원과 Toni Khoury레바논 IOC위원이 후보철회를 함으로써 후보 4명(스페인 IOC위원인 Juan Antonio Samaranch Jr., 과테말라 IOC위원인 Willy Kaltschmitt, 우크라이나 IOC위원인 Sergei Bubka  및 태국 IOC위원인 Nat Indrapana)
이 경쟁하였다.

스페인출신 Samaranch Jr.가 우크라이나 출신 Bubka와 세 번째 투표에서 동수를 이루다가 네 번째 투표에서 50:40으로 누르고 IOC집행위원에 선착하였다.

 

 

                            (Juan Antonio Samaranch Jr.스페인 신임 IOC집행위원과 함께)

 


2000-2008 IOC집행위원(IOC선수위원장 자격 당연직)을 역임하였던 Bubka는 51:43의 투표결과로 과테말라의 Kaltschmitt Lujan을 꺾고 두 번 째 IOC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경기도 양평소재 평산 스포츠박물관을 방문한 Sergey Bubka 우크라이나 신임 IOC 집행위원과 함께)


마지막 세 번째 공석 IOC집행위원 자리를 놓고  남은 후보들인 Kaltschmitt Lujan(과테말라 IOC위원)과 indrapana(태국 IOC위원)이 경합을 벌인 끝에 60:36의 투표결과로 Kaltschmitt Lujan이 막차를 타고 신임 IOC집행위원에 등극하였다.


 

Mr Willi KALTSCHMITT LUJÁN

Willi KALTSCHMITT LUJÁN

Entry in the IOC 1988
Country GUA (Guatemala)
Born 13 August 1939, SAN JOSE

 

 

3. IOC집행위원회 여성 3인 방 집행위원들:

 

이번 선거 결과 15명으로 구성된 IOC집행위원회에 사상 처음으로 여성 3인 방이 IOC각료 진에 대거 포진하게 되었다.

 

1) Ms Nawal EL MOUTAWAKEL

Nawal EL MOUTAWAKEL

Entry in the IOC 1998
Country MAR (Morocco)
Born 15 April 1962

 

2) Mrs Gunilla LINDBERG

Gunilla LINDBERG

Entry in the IOC 1996
Country SWE (Sweden)
Born 06 May 1947, HAMMARBY

 

3) Mrs Claudia BOKEL

Claudia BOKEL

Entry in the IOC 2008
Country GER (Germany)
Born 30 August 1973

 


4, 신임 IOC위원 5명 선출:



계속 이어진 신임 IOC위원 선출 투표에서 IOC총회는 금년 3월 일치감치 IOC집행위원회가 추천 지명한 5명의 신임 IOC위원후보들을 받아들였다. 

이들 5명은 IOC총회에서 찬성 50%+1표 이상의 찬성을 얻으면 무조건 신임 IOC위원으로 선출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인준 투표시 탈락될 확율은 99.9% 없는 것이 관례로 되어 왔다.

1) Pierre-Olivier Beckers, 벨기에 올림픽위원회 위원장(president of the Belgian Olympic Committee)/NOC자격
2) Frank Fredericks, 현 IOC선수위원장(나미비아)로 금년에 선수자격 IOC위원 임기만료이지만 재 선출
3) Aicha Garad Ali, 지부티 NOC위원장(president of the Djibouti National Olympic and Sport Committee)/NOC자격
4) Lingwei Li(李玲蔚, born January 4, 1964), 중국 여자 배드민턴 세계 챔피언/Active Athlete자격으로 추정
5) Tsunekazu Takeda, 일본JOC위원장(president of the Japanese Olympic Committee)/개인자격으로 추정

 

                                               (Tsunekazu Takeda, 일본JOC위원장 겸 신임 IOC위원)

 

따라서 2012년 7월26일 부로 IOC위원 총원은 다시 76개국 110명이 되었다.

올림픽헌장 규정에 의한 IOC위원 총 정원은 115명이다.

 



5. 2015년 제127차 IOC총회 개최도시 선정:


단독개최 신정도시였던 말레이시아의 콸라룸푸르가 확정되었으며 2015년 IOC총회에서는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가 선출된다.


                           (Prince Tunku Imran 말레이시아 NOC위원장 겸 IOC위원과 함께 콸라룸푸르 집무실에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23. 16:40

럭비는 골프와 함께 2009년 코펜하겐 IOC총회에서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밒 2020년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바 있다.

세계 럭비를 관장하는 기구는  IRB (International Rigby Board) 이다.

IRB를 실제적으로 운영하는 IRB CEO로 선출된 사람은 다름 아닌 호주 IOC위원 Kevan Gosper의 아들인 Brett Gosper이다.

 

 

(Kevan Gopsper/사진 우측은 IOC 보도위원장이며 IOC집행위원 및 Oceania Olympic Committee전임회장으로 오세아니아 대륙 올림픽 실세이다)

 

 

Brett Gosper. (IRB)

 

 

 

전 럭비 선수인 Brett Gosper는 French squad 클럽에서 뛰었고 21세 이하 호주 럭비 팀(Australian under-21 side)선수였다.

Gosper는 '흥분되는 시기(Exciting time)'에 IRB에서 일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2015년 사상 최대규모의 럭비 월드 컵과 2016년 리우 올림픽에 항시 고조되고 강력한 상업적으로도 어필하는 특성으로 올림픽 정식 종목으에복귀하는 럭비경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고 심경을 토로하였다.


53세인 Gosper  신임 IRB CEO(Chief Executive Officer:사무충장)은 Kevan Gosper(79세) 호주 IOC위원의 장남이다.

 

 

Mr Richard Kevan GOSPER, AO

Richard Kevan GOSPER, AO

Entry in the IOC 1977
Country AUS (Australia)
Born 19 December 1933, SYDNEY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23. 16:39

독일 여자펜싱 챔피언 출신 올림피언출신 Claudia Bokel 독일 IOC위원이 신임 IOC선수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Mrs Claudia BOKEL

Claudia BOKEL
Entry in the IOC 2008
Country GER (Germany)
Born 30 August 1973

그녀는 어제(7월22일) 런던개최 IOC선수위원회회의에서 동료 선수위원들에 의해 신임 IOC선수위원장으로 뽑혔다.

한국의 문대성(태권도 금메달리스트) 선수출신 IOC위원과 함께 2008년 베이징올림픽 기간 중 선출된 독일 여성 IOC위원인 그녀는 전임자인 나미비아 육상선수 출신인 Frank Fredericks IOC선수위원장의 뒤를 이어 자동직 IOC집행위원으로도 활동하게 되었다.

 

Mr Dae Sung MOON

Dae Sung MOON
Entry in the IOC 2008
Country KOR (Republic of Korea)
Born 03 September 1976

 

Mr Frank FREDERICKS

Frank FREDERICKS 

Entry in the IOC 2004
Country NAM (Namibia)
Born 02 October 1967

 

Claudia Bokel 신임 IOC선수위원장 당선자(38세)는 IOC선수위원회에서 경쟁후보자들로는 영국 스켈레톤(동계 썰매)종목 선수출신 IOC위원인 Adam Pengilly와 러시아 4회 올림픽 수영 챔피언 선수출신인 Alexander Popov 2명과 함께 경합을 벌였었다.

 

Mr Adam L. PENGILLY

Adam L. PENGILLY

Entry in the IOC 2010
Country GBR (Great Britain)
Born 14 October 1977

 

Mr Alexander POPOV

Alexander POPOV

Entry in the IOC 2008
Country RUS (Russian Federation)
Born 16 November 1971

 

 

그녀는 7월26일 제124차 IOC총회에서 승인을 받으면 IOC집행위원으로 그녀 임기동안 활동하게 된다.

그녀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났으나 독일 여권소지자이며 펜싱 에페종목에서 3개 올림픽대회에 출전한 바 있다.

1996년 애틀랜타, 2000년 시드니,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출전하여 은베달 1개를 획득하였고 2001년 세계펜싱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땃다.

그녀는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경쟁에서 평창에게 패한 독일 뮌헨2018유치팀 선수대사로 활약한 바 있다.

그녀는 IOC선수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23. 16:29

스포츠외교관의 정점, IOC위원 정년은?(Part II)

 

IOC위원의 정년은 1966년 이전에 선출된 사람은 제외하고, 1999년 12월 11110차 로잔느 IOC총회 개최일 이전에 선출된 IOC위원은 80세가 되는 해의 마지막 달까지 퇴임해야 한다.

 

그러나 IOC위원이 IOC위원장, 부위 원장 및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어 재임기간 동안 정년에 이르면 차기 IOC총회 개최연도 말에 퇴임효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유보조항이 있다.

 

또한 제110차 로잔느 IOC총회(1999년 12월 11) 개최일 이전에 선출된 IOC위원들 중에 서 정년(80)에 도달하지 않은 위원들은 이들 중 1/3 2007년에, 1/3 2008년에, 그리고 나머지 1/3 2009년에 재 신임투표를 거쳐 정년 잔여임기를 마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2007, 2009년 재신임대상 IOC위원의 분류는 제111 IOC총회(2000년 시드니)에서 제비 뽑기를 통해 이미 정해졌다.

 

2000년 시드니(하계)올림픽대회 시 전세계에서 입후보한 선수들 중에서 8명 의 선수가 IOC선수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이때 득표율 상위선수 4명은 임기 8, 하위선수 4명은 임기 4년의 IOC위원이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대회 시에도 전세계 동계종목 출신 입후보 선수들 중에서 4명의 선 수가 IOC 선수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는데, 이 중에서 득표율 상위 2명의 선수는 임기 8, 하위 2명의 선수는 임기 4년의 IOC위원으로 선출된 바 있다.

 

이들 선수출신 IOC위원들은 8년 또는 4년이 경과한 차기 올림픽대회 시에 IOC위원의 임기를 마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현역선수로 올림픽대회에 출전하기 전에는 피선거권이 주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지금은 선수출신 IOC위원의 임기가 모두 8년으로 조정되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대회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한국의 대성 선수(태권도)를 포함한 4명 이 새로운 IOC선수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Mr Dae Sung MOON

Dae Sung MOON

Entry in the IOC 2008
Country KOR (Republic of Korea)
Born 03 September 1976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기간 중 개최된 IOC총회에서 새로운 카테고리의 IOC위원이 탄생하였다.

이름하여 활발한 선수(Active Athlete)란다.

 

그 배경에는 선수출신 IOC위원 쿼터(15)와 실제로 동 하계올림픽 대회 시 각국 참가선수들이 선출되는 IOC위원 수(하계 8+동계 4= 12)와의 차이가 3명이 되다 보니 IOC위원장이 IOC집행위원들의 동의를 받아 직권으로 추천하여 IOC총회에서 임명 동의하게 되면 선출확정되는 케이스가 생기게 된 것이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계기로 교체대상 "Active Athlete"카테고리(2/IOC위원장 및 집행위원회 추천)

 

 

*13번째 IOC선수위원: Yang Yang(중국/): 빙상 쇼트트랙(2010-2018)

 

 

 

Mrs Yang YANG

 

 

 

 

 

 

 

Yang YANG

Entry in the IOC 2010
Country CHN (People's Republic of China)
Born 24 August 1976

 


 

**14 번째 IOC선수위원: Barbara Kendall(뉴질랜드/): 요트/wind-surfing(2010-2018)

 

 

Mrs Barbara KENDALL, MBE

 

 

Barbara KENDALL, MBE

Entry in the IOC 2011
Country NZL (New Zealand)

 

 

 

* 2020년 올림픽 계기로 교체대상 "Active Athlete"카테고리(1/IOC위원장 및 집행위원회 추천)

 

***15번 째 IOC선수위원: Lingwei Li(중국/): 배드민턴(2012-2020 추가 예정/ IOC프로그램 위원회 위원 겸 WBF 집행위원)

 

 

(윤강로 저서 "현장에서 본 스포츠외교론" 중에서/ 대경북스 출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21. 19:05

스포츠외교관의 정점, IOC위원이란?

 

 

(115명이 총원인 IOC위원 전체 사진/올림픽 박물관 소장)

 

 

 

올림픽헌장에 의하면 IOC위원은 자연인이어야 하며, IOC위원에는 현역 운동선수 그리고 NOC(국가올림픽위원회) IF(국제경기연맹)의 회장이나 고위 관계자가 포함되고, IOC위원의 총원은 향후 115명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되어 있다.

 

IOC는 다음과 같은 선서를 통하여 IOC위원으로서의 의무완수를 수락하는 의식을 거치게 한 후 비로소 IOC위원으로 인정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다.

 

IOC위원이 되는 명예와 IOC를 대표하는 명예를 부과 받고 이와 같은 권한 에 대한 나의 의무를 명심하면서 본인은 어떠한 정치적·상업적 영향력이 나, 인종적·종교적 이유를 초월하여 편견에 치우침이 없이 윤리규정을 준수함과 동시에 최선을 다하여 올림픽운동에 봉사하고, 올림픽헌장의 규정 과 IOC의 결정을 존중하고 준수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IOC와 올림픽운동의 권익을 옹호할 것을 선서합니다.

 

(Granted the honour of becoming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of representing it, and declaring myself aware of my responsibilities in such capacity, I undertake to serve the Olympic Movement to the very best of my ability, to respect and ensure the respect of all the provisions of the Olympic charter and the decisions of the IOC, which I consider as not subject to appeal on my part, to comply with the Code of Ethics, to keep any racial or religious consideration, to fight against all other forms of discrimination and to defend in all circumstances the interests of the IOC and those of the Olympic Movement.)

 

 

IOC위원은 어떠한 정부, 조직, 법인체 또는 자연인으로부터 자신의 활동과 투표의 자유를 간섭 받는 명령을 받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또한 IOC의 채무나 의무사항에 대해 개인적인 책임을 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IOC위원은 소속된 나라나 기관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소속된 나라나 기관 에서 IOC를 대표하는 자리인데, 이를 교황청 조직과 비유하면 추기경과 유사한 신분이라고 볼 수 있다.

 

 

 

 

 

 (윤강로 저서 "현장에서 본 스포츠외교론" 중에서/ 대경북스 출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16. 12:51

1. IOC에 대하여:

IOC meetings prior to and during the London 2012 Olympic Games - Information for the Media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비정부·비주권기구로서 세계스포츠계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이다.
올림픽헌장에 명시된 IOC의 주된 목적을 요약하면,

 

① 스포츠와 경기대회의 조직 및 발전과 장려,

② 모든 국가 및 스포츠가족 간의 우의·친선강화,

③ 동·하계올림픽대회의 정기개최 등 3가지로 압축된다.

 

2008년 9월 말 현재 205개 국의 국가올림픽위원회(NOC)가 IOC회원국으로 승인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해 IOC에서는

8년 임기의 위원장(1회 연임 가능하며, 이 경우 4년 추가) 1명과

4년 임기의 부위원장 4명,

집행위원 10명(선출직 6명 및 당연직 4명<ANOC회장, ASOIF 회장, AIOWF회장, IOC선수위원장 각각 1명씩>) 등 15명으로 구성된

IOC집행위원회(Executive Board/국제올림픽위원회의 내각기능을 수행) 등이 중심축이 되어 전세계올림픽운동을 주관하고 있다.

 

2. IOC집행위원회에 대하여:

 

IOC집행위원회는

1) IOC위원 후보추천권,

2) 올림픽정식종목 및 후보종목추천권,

3) IOC총회 의안 준비,

4) IOC재정 및 행정관리세부준칙 제정·관리감독 등과 같은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

 

3. IOC총회에 대하여:

 

정원 115명 즉,

1) 개인자격 70명,

2) 국제경기연맹자격 15명,

3) 국가올림픽위원회자격 15명,

4) 선수위원자격 15명)으로 구성된 IOC 총회는 IOC의 최고의결기관으로,

 

(1) 올림픽헌장개정,

(2) 동·하계올림픽개최도시 선정,

(3) 올림픽정식종목 및 후보종목결정,

(4)  IOC위원선출 및 퇴출 등을 결정함은 물론

(5) 각종 국제스포츠 관련단체들에 대한 유형무형의 협조와 조정을 통한 제반 영향력을 발휘한다.

 

2008년 9월 말 76개 국 111명이었으며 2008년 말 정년 퇴임한 3명(덴마크 1명, 세네갈 2명 중 1명, 도미니카 1명) 그리고 2009년에 국제하키연맹(IHF) 회장선거에서 패하여 IF회장자격 IOC위원직을 사임한 네덜란드의 Els Van BredaVriesman과 국제수영연맹(FINA) 회장직 재출마를 포기하고 명예회장이 됨으로써 IFs회장자격 IOC위원직이 상실된 알제리의 Larfaoui, M.등 2명을 포함하면 IOC위원은 106명이 되었다.

 

그후 2009년 10월 초 제121차 코펜하겐 IOC총회에서는 이론상 최대 9명까지 신임 IOC위원 선출이 가능하였으나 2009년 8월 베를린에서 개최된 IOC집행위원회에서는 6명만 선출함에 따라 제121차 코펜하겐 IOC총회에서 IOC위원 총수는 78개 국 112명이 되었다.

 

한편 2009년 말 정년 또는 임기만료로 4명의 IOC위원(Troeger, Ajan, 하진량, Lima Bello)이 퇴임함으로써 2009년 말에는 다시 총원이 108명이 되어 2010년 2월 밴쿠버동계올림픽에 앞서 개최된 제122차 IOC총회에서 최대 7명까지의 신임 IOC위원을 추가로 선임할 수 있었으나 6명을 선출하였다.

 

지난 2011년 2월 16일 아프리카 우간다 Francis Nyangweso 위원 사망(당뇨)으로 2011년 3월2일부로 IOC위원 총원은 77개국 110명으로 줄었었다.

지난 2011년 7월 초 남아공 더반 개최 제123차 IOC총회에서는 3명이 추가되어 113명이 되었었다.

 

 

첫 번째가 스페인 출신 Jose Perurena 국제카누연맹(ICF)회장이다.

(좌로부터 Jose Perurena ICF회장 겸 IOC위원 내정자, 필자, Marisol Casado 국제트라이애슬론연맹<ITU>회장 겸 IOC위원; 이들 국제연맹회장이 모두 IOC위원이 되어 2011년 7월부로 스페인은 모두 3명의 IOC위원 보유국이 되었다.)

-1968년 멕시코 올림픽 출전(스페인 국가대표 선수)
-2008년 ICF회장 피선
-ICF회장 임기까지만 IOC위원
-임기: 만 70세

두번 째는 Gerado Werthein 아르헨티나 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이다.

Dr Gerardo WERTHEIN

Gerardo WERTHEIN  

-2009년 제 18대 아르헨티나 NOC위원장 피선(10번 째 아르헨티나 IOC위원)
-직업: 수의사(veterinarian) 겸 통신회사 사장
-4개 올림픽대회 자국선수단 임원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자국선수단장 역임
-팬암게임 및 남미게임 참가
-자국 승마연맹회장
-임기: 만 70세

세 번째는 Barbara Kendall 뉴질랜드 출신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1992년 바르셀로나)다.

(Barbara Kendall 뉴질랜드 IOC위원과 함께)
-연령: 44세
-1992년 바르셀로나(금), 1996년 애틀랜타은), 2000년 시드니(동), 2004년 아테네 및 2008년 베이징 등 5개 올림픽대회 출전 선수
-2004~2010 IOC선수자격 IOC위원역임/IOC선수위원
-자격범주: 활동적인 선수(in the category of active athlete)

 

더반 IOC총회 이후 IOC 현존 최후의 IOC종신위원 겸 전 FIFA회장이었던 Joao Havelange 브라질 IOC위원이 사임하였다.

 

                              (좌측이 Joao Havelange 브라질 IOC종신위원 겸 전 FIFA회장)

 

 

 

그래서 2011년 12월 말 79개국 112명으로 다시 줄었었다.

2012년 초 6명이 정년 퇴임하고 이어 Mario Vazquez Rana ANOC회장 겸 IOC집행위원이 사임하여 2012년 7월16일 현재 IOC위원 총원은 74개국 105명이다.

2012년 7월24일-26일 및 8월12일에는 제124차 IOC총회가 런던올림픽을 계기로 열린다.

스위스 로잔 IOC본부에서 개최된 금년도 제1차 IOC집행위원회(3.13-14)는 2012년 런던 올림픽을 계기로 열리는 제124차 IOC총회에서 선출될(8월12일 예정) 신임 IOC위원 지명자 (Nominee)후보 5명 명단을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이들 5명은 IOC총회에서 찬성 50%+1표 이상의 찬성을 얻으면 무조건 신임 IOC위원으로 선출된다.

1) Pierre-Olivier Beckers, 벨기에 올림픽위원회 위원장(president of the Belgian Olympic Committee)/NOC자격
2) Frank Fredericks, 현 IOC선수위원장(나미비아)로 금년에 선수자격 IOC위원 임기만료이지만 재 선출예정
3) Aicha Garad Ali, 지부티 NOC위원장(president of the Djibouti National Olympic and Sport Committee)/NOC자격
4) Lingwei Li(李玲蔚, born January 4, 1964), 중국 여자 배드민턴 세계 챔피언/Active Athlete자격으로 추정
5) Tsunekazu Takeda, 일본JOC위원장(president of the Japanese Olympic Committee)/개인자격으로 추정

 

따라서 2012년 7월26일 부로 IOC위원 총원은 다시 76개국 110명이 될 공산이다. 

규정상 IOC위원총원은 115명이다.

 

1999년 이전에 선출된 IOC위원들의 정년은 80세이며 1999년 이후에 선출된 IOC위원들의 정년은 70세이다.

 

 

(1) 2011년 정년이 되는 IOC위원 명단(6: 개인 5, NOC 1):


 

-Arne Ljungqvist(스웨덴/개인자격 /80세 정년: 1931년생)

-Antun Vrdoljak(크로아티아/개인자격 /80세 정년: 1931년생)

-Lassana Palenfo(코트디브와르/NOC자격/70세 정년: 1941년생)

-Chiharu Igaya(일본/개인자격/80세 정년: 1931년생)

-Shun-ichiro Okano(일본/개인자격/80세 정년: 1931년 생)

-Phillip Walter Coles(호주/개인자격/80세 정년: 1931년생)

 

*따라서 2012년에는 이론상 최대 6명+2명(115-113)=8명의 IOC위원 충원가능하나 IOC는 매년 3~6명가량의 신임IOC위원을 충원해 온 바 있으므로 115명에는 미치지 않을 공산이 크다..

 

(2) 2012년 정년이 되는 IOC위원명단( 5: 개인 2, IF 2, NOC 1)


 

-Goran Petersson(스웨덴/IF자격/70세 정년: 1942년생)

-Francesco Ricci Bitti(이태리/IF자격/70세 정년: 1942년생)

-Alpha Ibrahim Diallo(기니/개인자격/80세 정년: 1932년생)

-Francisco Elizalde(필리핀/개인자격/80세 정년: 1932년생)

-Calros Arthur Nuzman(브라질/NOC 자격/70세 정년: 1942년생)

 

*따라서 2013년에는 결원 5명+의 IOC위원(IF자격 2명 포함)충원가능

 

 

(3) 2013년 정년이 되는 IOC위원명단( 3: 개인 1, IF 1, NOC1)


 

-Lamine Diack(세네갈/IF 자격/80세 정년: 1933년생)

-Richard Kevan Gosper(호주/개인자격/80세 정년: 1933년생)

-Habid Abdul Nabi Macki(오만/NOC자격/70세 정년: 1943년생)

 

*따라서 2014년에는 결원 3명+의 IOC위원(IF 자격1명 포함)충원가능

 

 

(4) 2014년 정년이 되는 IOC위원명단( 1: 개인 1)


 

-Meliton Sanchez Rivas(파나마/개인자격/80세 정년: 1934년생)

 

*따라서 2015년에는 결원 1명+의 IOC위원 충원가능

 

 

(5) 2015년 정년이 되는 IOC위원명단( 3: 개인 2, NOC 1)


 

-Vitaly Smirnov(러시아/개인자격/80세 정년: 1935년생)

-Julio Cesar Maglione(우루과이/개인자격/80세 정년: 1935년생)

-Andres Botero Phillipsbourne(콜롬비아/NOC자격/70세 정년: 1945년생)

 

*따라서 2015년에는 결원 3명+의 IOC위원 충원가능

 

205개국 NOC 중 IOC위원을 배출한 나라는 2012년 8월12일부로 신임 IOC위원 5명이 추가되어도 76개국으로 전체 NOCs회원국대비 4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IOC위원은 국제스포츠계 최고의결권과 스포츠외교 및 국제협력 등 다방면에 괄목할만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IOC위원=스포츠외교력’이라는 등식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그 힘은 막강하다.


 

<IOC위원 현황: 2012년7월16일 현재 74개국 105명>

1. 유럽: 25개국 46명

-노르웨이, 스웨덴(2명), 덴마크, 핀란드(2명), 아일랜드(2명), 영국(4명),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독일(2명), 체코, 폴란드, 헝가리, 우크라이나(2명), 러시아(3명), 프랑스(2명), 스위스(5명),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모나코, 아탈리아(4명), 스페인(3명), 그리스, 터키, 이스라엘

2. 아프리카: 12개국 14명

-모로코(2명), 이집트(2명), 세네갈, 감비아, 기니, 나이지리아, 카메룬, 부룬디, 잠비아, 나미비아, 남아공, 에티오피아

3. 아시아: 19개국 22명

-중국(3명; 홍콩포함), 북한, 한국(2명), 대만, 필리핀, 태국, 말레이지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시리아,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요르단

4. 아메리카: 15개국 19명

-캐나다(2명), 미국(3명), 멕시코, 쿠바(2명), 푸에르토리코, 과테말라, 바베이도스, 아루바, 세인트루시아, 파나마, 콜롬비아, 페루, 브라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5. 오세아니아: 3개국 4명

-호주(2명), 피지, 뉴질랜드



 

(스위스 로잔소재 올림픽박물관에 비치된 IOC위원들 사진: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자료)

 

(윤강로 저"현장에서 본 스포츠외교론" 중에서/ 대경북스 출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2. 7. 16. 12:1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앞서 정부의 NOC임원간섭으로 인한 NOC자치권 침해논란으로 IOC로부터 자격정지(suspension)조치를 받아온 쿠웨이트NOC가 쿠웨이트 국왕(Amir Sabah Al-Ahmad Al-Jaber Al-Sabah)의 이니셔티브로 자격회복의 발판이 되어 런던올림픽개막 12일 앞두고 극적으로 NOC자격을 회복하였다.

 

    (쿠웨이트 NOC 휘장)

 

 

쿠웨이트 언론에 따르면 자크 로게 IOC위원장과 쿠웨이트 정보통신장관과의 이틀 간의 회담결과 4년 간 지속되었던 IOC의 쿠웨이트 NOC회원국 자격정지가 해금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런던올림픽에 참가하는 쿠웨이트 국가대표선수들은 이제 IOC기(IOC flag)가 아니고 자국기인 쿠웨이트 국기(Kuwaiti National flag)를 앞세우고 개회식에서 행진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금메달을 획득할 경우 올림픽 찬가(Olympic Anthem)가 아니고 쿠웨이트 국가(Kuwaiti National Anthem)가 울려 퍼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 해금조치는 IOC집행위원회의 승인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4년 전 쿠웨이트 정부는 정부가 쿠웨이트 NOC 국내 가맹경기단체장 선임을 허용하는 밥령을 발의하여 IOC로부터 올림픽헌장 규정 위반(NOC자치권 침해/breach of autonomy)이라는 판단으로 쿠웨이트 NOC의 IOC회원국자격을 일시 정지시킨 바 있다.

이러한 IOC의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회복조치는 쿠웨이트 국왕(the Emir of Kuwait Sheikh Sabah Al-Ahmad Al-Jaber Al-Sabah)이 IOC에 보낸 편지가 그 시발점이 되었다고 보도 되었다.

따라서 오는 7월27일 개막되는 런던올림픽에는 205개 NOCs가 총출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는 공식적으로는 204개 NOCs대표단이 참가한 바 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