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세상2010. 6. 17. 11:05
IOC가 올림픽관련 소송에서 패소한 아주 희귀한 사건이 발생했다.

스포츠 중재재판소(CAS: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는 최근 IOC징계위원회(IOC Disciplinary Commission:위원장 Thomas Bach IOC부위원장)가 내린 결정을 뒤 엎은 보기 드문 일이 생겼다.

Katy Hogg CAS대변인은 재판소의 적법적인 판결로 IOC징계위원회가 제출한 단 2건의 또 다른 결정을 뒤집은 바 있었다고 언급하였다.
노르웨이 올림픽위원회(NOC) 및 Thomas Alsgaard et al 對 IOC건과 캐나다 올림픽위원회(COA) 및 Beckie Scott  對 IOC의 2건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 따른 사례로서  IOC가 패소한 케이스에 해당된다.

Hogg대변인은  그 당시 IOC징계절차가 현재 적용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었을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벨라루스(Belarus)공화국선수들인  Vadim Devyatovskiy와 Ivan Tsikhan 두 선수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당시 약물검사에 실패한 바 있다. 따라서 IOC징계위원회는 이 두 선수가 투 해머(hammer throw)종목에서 획득한 은메달과 동메달을 반환할 것을  결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최근 CAS는 베이징 올림픽 당시 약물검사 실험실에서의 테스트 절차 자체가 불규칙한 요소들이  적용된 것으로 인정되므로 IOC징계위원회 결정이 무효하다고 판결하였다는 것이다.



CAS측은 성명서를 통해 이러한 판결을 내리면서 금번 결정이 반드시 관련 선수들이 약물복용을 하지 않았다고 면제부를 주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한편 IOC는 CAS의 번복결정에 대하여 "가능한 모든 수단을 고려중"(considering all possible options)이란다.
Emmanuelle Moreau IOC대변인은 IOC가 CAS의 결정은 인정하지만 결정에 실망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IOC는 이러한 결정 내용을 검토하고 있으며 가능한 모든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IOC is studying the content of the decision and considering all possible options.)고 한다.
IOC는 올림픽에서 도핑관련 어필에서 패소한 사례가 드믈다. CAS에 의하면 지남 10년가 단 2차례에 불과하다고 한다.

IOC는 물론 IOC징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독일의 IOC부위원장 겸 뮌헨2018유치위원장의 자존심과 체면이 말이 아닐 것은 불문가지요,인지상정아닐까?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6. 16. 17:42
올림픽개최도시결정은 대회개최 7년에 열리는 IOC총회에서 전자식 비밀투표로 실시된다.
결선에 오른 후보도시들 중 출석 IOC위원들의 과반수를 득표한 후보도시가 올림픽개최도시가 된다.
올림픽개최희망도시들은 자국NOC를 통해 유치의사를 IOC에 표명하고 IOC가 요구하는 소정의 신청도시 부담금($15만불)과 함께 유치신청파일(mini bid book:9개 분야 25개 항목)을 작성하여 IOC로 보내는 제1단계 유치신청도시 단계를 거친다.
제1단계를 통과하여 결선에 오른 신청도시들(applicant cities)은 후보도시(candidate cities)로 명명되며 이로서 제2단계에 접어든다.
이들 후보도시들은 다시 후보도시 부담금($50만불)을 후보도시 선정 다음 달까지 송금완료하고 3권분량의 올림픽유치파일(bid book:17개 주제 234개 항목)을  통상 IOC평가위원회 현지실사 방문 1-2개월 전까지 IOC에 제출한다.
IOC평가위원회는 IOC총회결정투표개시 1년 전에 구성되어 통상 IOC총회투표개시 4-5개월 전 쯤 해당 후보도시를 방문(도시 별 3박4일)하여 현지 실사 및 질의응답회의등을 통해 해당 후보도시들의 총체적인 기술적 평가(technical assessments)를 하게 된다.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IOC평가위원회는 IOC본부에 모여 실사평가 최종 보고서를 작성하고 IOC총회 2개월 전 후보도시 브리핑(스위스 로잔 IOC본부)기회를 부여한다.  
IOC총회 1개월 전 IOC사무국은 조사평가 최종 보고서를 투표권자들인 IOC위원들에게 배포함과 동시에 공개한다.
드디어 1개월 후 IOC총회가 열리면 첫 날 후보도시들의 마지막 프레젠테이션이 실시되고 IOC평가위원장의 최종 요약보고 후 무기명 전자식 비밀투표로 올림픽개최도시를 선정한다.

평창의 2010년 동계올림픽유치결정은 7년 전인 2003년 체코 프라하개최 IOC총회에서 내려졌다.
1차투표 결과 평창이 51표, 밴쿠버가 40표, 찰츠부르크가 16표로 평창이 과반수에 3표부족하여 찰츠부르크는 탈락하고 2차 결선투표에 들어갔다.

2012년 하계올림픽유치를 염두에 둔 유럽후보도시국가(파리, 런던, 마드리드, 모스크바) IOC위원들은 미국의 뉴욕견제심리가 발동하여 같은 북미대륙인 캐나다의 밴쿠버에 16표란 몰표를 몰아 주었고 평창은 2표만 추가 하는데 그쳤다. 결과는 밴쿠버가 56:53으로 평창에 역전승.
득표과정에서 IOC위원 2명만 추가 확보하였다면 55:54 단 한표차의 극적인 승리를 할 수 있었다.
당시 2010년 평창유치위원회 대외공동사무총장으로서 유치활동 중심에 서 있었던 바 지금도 그 아쉬움이 잊혀지지 않고 있다.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 2차도전에 나선 평창은 2007년 과테말라개최 IOC총회 1차투표에서 36표(소치 34표, 찰츠부르크 25표)로 선두였으나 최종 투표에서 푸틴이 이끈 러시아 함대에 51:47 4표 차이로 힘 없이 침몰하였다.
로비과정에서 3명의 IOC위원만 추가로 확보하였다면 50:48 로 소치를 누르고 승리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2-3표가 중요하며 치명적이다.

2003년 프라하 IOC총회 1차투표에서 평창이 획득한 51표가 4년 후인 2007년 과테말라 IOC총회 1차 투표에선 36표로 확연히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4년 간 친한파 성향 IOC위원 15명이 연령제한으로 은퇴 또는 사망 또는 이반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다시 4년 후인 2011년 남아공 더반에서는 과연 몇 명의 친한파 성향 IOC위원들이 평창을 지지할 것인가?
그 동안 새로 선임된 IOC위원들에 대한 공략이 절대절명의 과제다.
표심은 스포츠외교력이다.

자 이제 올림픽유치 현장 속을 사진을 통해 들어가 보자.


(2007년 과테말라 IOC총회에서 자크로게 IOC위원장이 2014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로 러시아의 소치가 선정되었다고 발표하고 있다.)

(2008년 올림픽유치후보도시였던 파리에 IOC평가위원자격으로 2001년 실사 방문 시 자크시락 프랑스대통령이 엘리제 프랑스 대통령 궁에서 영접, 환담한 후 친필 서명한 사진을 보내왔다.)

(장쩌민 중국주석과 IOC평가위원자격으로 이루어진 만남, 2008베이징 올림픽유치도움이 인연이 되어 중국인민대학 객좌교수가 된 필자) 

(2008년 올림픽 후보도시인 오사카 방문시 IOC평가위원자격으로 당시 모리 일본수상<우-1)과 조우, 왼쪽은 김영재 재일대한체육회회장)

(2008년 올림픽후보도시인 캐나다 토론토 IOC실사 방문 시 필자가  IOC평가위원자격으로 만난 크레티엥 캐나다 수상, 왼쪽부터 주 토론토 한국총영사, 필자, 크레티앙 캐나다 수상, 맨오른쪽은 토론토 교민회장)


(2008 올림픽 후보도시 파리 실사 방문 시 IOC평가위원자격으로 샬 드골 공항에 영접나온 들라누에 파리시장/좌측, 필자, Sergey Bubuka 우크라이나 IOC위원)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장 겸 SportAccord/GAISF회장 Hein Verbruggen과 함께)

(2008년 올림픽 후보도시/이스탄불 실사방문 시 IOC평가위원들:좌로부터 Sergey Bubka, Hein Verbruggen, Carlos Nuzman, 필자)

                    (2008년 올림픽 후보도시 캐나다 토론토 IOC실사 평가 방문시 발행한 뉴스레터)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회 최종 실사 평가보고서 작성후 IOC본부에서 사마란치 IOC위원장으로부터 기념품 전달받고 있음:사마란치, Elizalde 필리핀 IOC위원, Sithole 짐바브웨 IOC집행위원/현재 IOC국제협력국장, 필자)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들:좌로부터, Nuzman, Bubka, 필자, Sithole, Elizalde)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회 전원 사마란치 IOC위원장과기념촬영)


                                    (2008년 올림픽 후보도시 베이징 실사 방문 중인 IOC평가위원들)


                     (2008년 올림픽 후보도시 오사카 현지 방문시 IOC평가위원들/오사카 성 방문)

                (2008년 올림픽 후보도시 파리 방문 시 IOC평가위원들과 프랑스 IOC위원 2명과 만찬 중)


(2010년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자격으로 2003년 체코  프라하 개최 IOC총회에서 프레젠테이션 중인 필자)

                 (2010년 동계올림픽유치 후보도시 IOC평가위원회 위원들과와 현지실사 회의 중/2003년 평창)


                      (평창2010 국제사무총장 시절/ 2003년 프라하 IOC총회 프레젠테이션 리허설)


(2003년 프라하 IOC총회 투표 전날 외신 기자회견 중: 좌로부터 공로명 2010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장 겸 전 외무장관, 김진선 강원더지사 겸 유치위 집행위원장, 필자, 김소희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PASO총회 전경: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은 대륙별 NOC연합회 총회에서 유치당위성을 호소하는 프레젠테이션 진행)
(ODESUR/남미대륙 NOC연합회 총회 참석 중인 2010 평창유치위 대표단:좌로부터, 필자, 김진선지사, 공로명 유치위원장)

(2014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장실에서: 좌로부터 필자/국제사무총장, 한승수 위원장/총리 역임, 김나미 IBU부회장, 이경우 부위원장)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기간 중 자크로게 IOC위원장 면담후: 김진선 강원도지시겸 평창 2014유치위 집행위원장과)

(2005년 PASO 리오총회에서  2006년 ANOC서울총회 준비 상황 프레젠테이션 중인 필자/2014 평창 유치위 국제사무총장 겸 KOC위원)


(이건희 IOC위원<우-1>이 마리오 바즈케즈 라냐 ANOC회장<가운데>와 환담 중, 왼쪽은 박승국 삼성그룹 상무)


(2014평창유치위 국제사무총장시절 Magvan몽골 IOC위원<우-1>섭외 차 울란바토르 방문: 왼쪽으로부터 문동욱 유치위 국제팀장, 필자, Zagdsuren 몽골NOC위원장, Magvan 몽골 IOC위원)

             (몽골텐트 게르에서:좌로부터 Magvan몽골 IOC위원, 필자, OTO몽골 NOC사무총장/2006년)


(2005년 헬싱키 개최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참석 중: 좌로부터 문동욱 평창 유치위 국제팀장, 김정길 KOC위원장, 필자)

(서울 파이넨스센타 14층에 위치했던 2014 평창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국제총장실 겸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실 개소식에서 김진선 강원도지사와)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에 한국최초로 임명된 필자에 대한 코리아 타임즈지 보도내용)

(2007년 2월: 평창2014유치 현지 실사차 방한 한 Gilbert Felli IOC올림픽수석국장<우측>이 인천공항 귀빈실을 통해 입국)


                        (2014 동계올림픽 IOC실사 평가위원 들 인천 공항 속속 도착 및 영접)

                                                  (IOC평가단 인천공항 귀빈실 환영)

(IOC평가위원 겸 캐나다 IOC위원 Beckie Scott 공항 영접 및 환영:좌로부터:필자, 김진선지사, 박용성 당시 IOC위원 겸 IJF회장, Scott, 한승수 유치위원장, 이승원 FIS집행위원, 김정길 KOC위원장)


                     (Chiharu Igaya IOC평가위원장 겸 일본 IOC부위원장<우-4> 공항도착 환영)


                      (IOC평가위원단 평창 도착 환영시 마침 내리고 있던 함박 눈이 상서로웠다.)


                       (Igaya IOC부위원장 겸 2014 동계올림픽 IOC평가위원장<좌측>과 담소 중)


                      (IOC평가위원단 및 2014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대표단과 기념 촬영)


              (2014동계올림픽 IOC실사평가단 및 평창2014 대표단 청와대 노무현 대통령 예방/2007년)


                   (2014 평창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 시절/ IOC평가단 공항 환송에 앞서)

                                     (현지 실사 방문 후 평창을 떠나는 IOC평가단 일행 환송)



                        (박건만 평창2014 홍보전문위원 겸 전 한국체육기자연맹회장<우측>과)


(IOC평가위원회 실사 방문 기간 중 평창2014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 겸 사회자<Moderator>로서 회의진행 담당한 필자와 평창2014 유치위원회 안전관련 프레젠테이션 및 질의응답을 훌륭히 수행해 냈던 한종욱 총경<좌측>)


                           (IOC평가단의 평창2014 시설 답사 및 현지 프레젠테이션)

                                     (IOC평가단 평창 현지 환영인파와 깃발)

                       (IOC평가단 보광피닉스 파크 스노우보드 경기장/평창2014 예정지 현장실사)



                                  (IOC평가단 평창2014 올림픽선수촌 예정지 시찰)

                         (IOC평가단 평창2014 핵심 시설 단지인 알펜시아에 대한 브리핑 경청)


                             (IOC평가단과 평창2014수뇌부가 함께 현장 시찰에 동참)


(IOC평가단 일행 평창2014 현지실사평가 방문일정을 마치고 공항출국 전 유치위원회 임직원들과 함께 귀빈실에서)


(출국 전 인천공항 귀빈실에서:좌로부터 필자, Scott IOC위원 겸 IOC평가위원, 유경선 KOC부위원장 겸 ITU부회장, 전이경 동계올림픽 4관왕 겸 IOC여성과 스포츠 분과위원)


                                 (IOC평가단 인천공항 출국 전 기념촬영)

                                    (IOC평가단 강릉 현지 방문 시 환영 문화행사)

                              (평창 2014 대표단 청와대 노무현 대통령 예방/2007년)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이 평창2014 유치위원회 대표단을 청와대에 초청 오찬사를 하고 있다.)

삼 세번(Three times is the charm)째인  평창2018의 유치성공을 기원한다.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세상2010. 6. 16. 15:49


자불라니(Jabulani)는 2010년 남아공 FIFA월드컵축구대회 공인축구공 이름이다.
부부젤라(Vuvuzela)는 남아공 FIFIA월드컵 축구시합 매경기마다 관중들이 쉴세 없이 불어제끼는플라스틱 나팔(Plastic horns) 명칭이다.





너무 시끄럽게 불어대는 부부젤라스의 소음으로 인해 웃지 못할 에피소드 또한 난무하다.
지난 6월11일(금) 프랑스팀은 우루과이팀과 시합을 가졌으나 볼을 자불라니(잡을려니) 부부젤라의 소음으로 경기에 집중하지 못하였노라고 프랑스팀 주장인 Patrice Evra가 주장하였다.

6월14일(월)에는 네덜란드팀 스트라이커인 Robin Van Perisie가 겁나게 시끄러운 부부젤라의 소음을 핑계로 경고카드(Yellow Card) 받게 된 상황을 교묘히 비켜갔다. 네덜란드 스트라이커는 심판의 휘슬을 무시하고 공격을 계속하다가 곧 이어 주심으로부터 옐로우카드를 발급받자, 그 선수는 부부젤라 소음 때문에 심판 휘슬소리를 전혀 듣지 못했노라고 항변하여 그 위기를 잘도 모면한 셈이다. 






이렇게 부부젤라의 소음으로 항의가 이어지자, BBC는 남아공 월드컵 조직위원회 CEO인 Danny Jordaan이 부부젤라 사용금지조치를 고려 중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보도하였다.  
남아공 월드컵 조직위원회는 그 즉시 이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갖고 조직위 대변인인 Rich Mkhondo는 BBC측이 Jordaan CEO의 코멘트 문맥을 부정확하게 보도한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Jordaan CEO가 언급한 실제 발언내용은 "부부젤라스 사용금지조치에 해당되는 상응하는 근거가 있다면"이란 단서를 달고 그럴 경우에 금지조치도 고려 될 수 있다라고 발언하였음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그러한 부부젤라스 사용금지 조치는 전혀 고려대상이 아니다."라고 Mkhondo대변인은 해명하였다.

부부젤라(Vuvuzela)의 역사는 실로 남아공역사속에 뿌리깊게 각인되어 있다.
부부젤라는 남아공 민족 조상대대로 회의소집을 알리기 위해 사용어욌으며 이는 뿔각나팔소리로 발산되는 것이다.
부부젤라는 남아공월드컵대회 그 자체에 대한 감성과 느낌을 그대로 표출하기위해 사용되는 것이라고 소개되었다.
Mkhondo대변인은 부부젤라스와 같은 도구가 남아공뿐만아니라 지구촌 각지에서 온 팬들 사이에서도 즐겨 사용되고 있다고 하면서 그 증거로 네덜란드와 덴마크 축구경기때에도 네덜란드 팬들이 가져와 불어댔던 유사힌 나팔도구들 예시하였다.

"제발 부부젤라를 마치 남아공만의 유일한 응원도구로 몰아부치지 맙시다. 부부젤라는 이제 국제적인 응원도구이며 많은 나라 사람들도 이 부부젤라를 구입하여 귀국할 때 선물로 가져기기위해 짐가방에 가득채우고 있다."라고 첨언한다.

이러한 부부젤라의 선풍적 유행은 향후 유럽 축구클럽이 나름대로 응용한 부부젤라를 제작하여 활용할 날도 멀지 않은 것 같다.

한편 블라타 FIFA회장은 이러한 독특한 부부젤라 나팔소리가 월드컵 시합때마다 계속 울려퍼질 수 있다라고  부부젤라사용을 묵인하였다.

블라터 회장은 트위터(twitter)를 통해 "아프리카는 색 다른 리듬, 색 다른 소리를 가지고 있다라고 늘 이야기해 왔다. 나는 그들 나라 축구팬들의 음악적 전통을 금지시키는 것을 원치 않는다. 여러분이 즐겨 행하는 팬들의 전통적 풍습을 금지시키면 좋겠는가?"라고 반문하였다.

실제로 부부젤라의 소음이 너무 시끄러워서 각국참가 축구팀들은 시합 중 자기들팀 선수들간에도 서로 소통할 수 없다고 토로한다.
그래서 그 소음이 축구시합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나?
한국팀은 그래도 잘만 한단다.
명필이 붓가리나?
조건과 상황은 피차일반아니겠나?
한국태극전사들의 선전을 응원한다.
우리 붉은 악마들도 우리나라 전통의 나팔을 불어재끼자.
"볼은 자불라니 응원은 부부젤라(부부가 제일낫다.)"

국제스프츠 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