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0. 6. 4. 15:41
1968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한체육회장은 곧 KOC위원장이었다.
대한체육회와 KOC(대한올림픽위원회)의 분리독립문제는 첨예의 논란의 대상이었다.
2009년 2월에 취임한 박용성 제37대 대한체육회장은 이러한 논란을 잠재울 묘안을 제안하여 관철시켰다. 
즉, 조직을 한글로는 '대한체육회'이고 영어로는 'KOC(Korean Olympic Committee)'로 통일시켰다.
그 여파로 대한체육회의 영문명칭이었던 KASA(Korea Amateur Sports Association)과 제31-33대 김운용대한체육회장이 변경하여 사용해 오던 KSC(Korea Sports Council)가 모두 사라져버렸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해 오던 대한체육회 방패모양의 로고(Logo/Emblem)문양도 자취를 감추었다.
한편 KOC의 한글 명칭이었던 '대한올림픽위원회'란 이름 또한 증발되어 버린셈이다.
최근에는 KOC의 로고의 핵심문양인 태극를 변형하여 새로운 로고를 탄생시켜 IOC의 변경승인을 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제부터 한글로는 대한체육회장이라 쓰고 영어로는 President of the Korean Olympic Committee로 써야한다.
혹 퀴즈나 상식문제에 출제될 경우 제대로 염두에 두어야 정답을 말할 수 있다.

<대한체육회 연혁>

  1920. 7.13 조선체육회 창립
  1938. 7. 4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
  1945.11.26 조선체육회 부활
  1947. 6.20 대한올림픽위원회(KOC)설립 및 IOC 가입
  1948. 9. 3 대한체육회로 개칭
  1954. 3.16 사단법인 대한체육회 인가
  1966. 6.30 태릉선수촌 건립
  1968. 3. 1 대한체육회에 대한올림픽위원회 및 대한학교체육회 통합
  1982.12.31 국민체육진흥법에 대한체육회를 특수법인으로 지정
  1986. 9.20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최
  1988. 9.17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개최
  1996. 4.21 제6차 IOC 세계생활체육총회 개최
  1997. 1.24 1997 무주 · 전주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
  1997. 5.10 제2회 부산 동아시아경기대회 개최
  1999. 1.30 제4회 강원 동계아시아경기대회 개최
  1999. 6.17 제109차 IOC총회 개최
  2002. 9.27 부산아시아경기대회 개최
  2003. 8.21 2003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
  2006. 3.31 2006 국가올림픽총연합회(ANOC)총회 개최
  2007. 3.27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
  2007. 4.17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유치
  2009.5.24        2015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유치
  2009. 6.29 대한체육회, 대한올림픽위원회 완전 통합


지금부터는 1970년대 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역임하였던 대한체육회장/KOC위원장을 사진으로 만나보자.



           (제25 대한체육회장/KOC위원장: 고 박종규 회장<가운데>1979.2-19806대통령경호실장, IOC위원 역임)

            (제26대: 고 조상호 회장<가운데>1980.7-1982.7 제6대 체육부장관/SLOOC사무총장 및 부위원장 /청와대 의전수석 등역임)

             (제27대: 고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맨 우측>1982.7-1984.10 좌측은 중국의 하진량 IOC부위원장, 가운데는 필자)

                    (고 Sheikh Fahad 초대 OCA회장 겸 쿠웨이트 IOC위원, 필자, 고 정주영 회장)

            (제28대: 노태우 제13대 대통령<좌-2>1984.10-1985.4,  고 이영호 체육부장관/좌-1, 필자/우-2, 모리타니아 체육부장관/우-1)


               (제29대: 김종하 전 고합회장<우측>1985.4-1989.2/OCA부회장/대한핸드볼협회 회장 역임)

                                         (김종하회장, 필자/국제과장 및 비서실장역임)

           (제30대: 고 김종렬회장<가운데>1989.2-1993.2/대한럭비연맹회장 역임,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선수촌장/좌-1, 필자/좌-1)




(제31대-33대: 김운용회장<우측>1993.2-2002.3/IOC부위원장, WTF총재, 국기원장, GAISF회장, IOCTV분과위원장, 1999년 강원동계아시안게임 및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조직위원장 등 역임, 필자/좌측)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및 IOC총회 참석차 공항에 도착한 김운용KOC위원장 겸 IOC부위원장, 백성일 당시 비서실장, 필자)


(제34대: 이연택회장<좌측>2002.5-2005.2/총무처장관, 노동부장관, 청와대 행정수석,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 현재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장, 필자/우측)


             (제35대: 김정길 회장<우측>2005.3-2008.4/행자부장관, 국회의원, 청와대 수석 등 역임, 필자/좌측)

                       (제36대: 이연택회장: 제35대 김정길회장 잔여임기/2008.5- 2009.2 9개월간)

(제37대: 박용성회장<가운데>/IJF회장 및 IOC위원/ 대한 유도회 회장 역임, 현재 두산중공업회장, 중앙대학교이사장, 필자/좌-1, 고 이응식 전 공보실장/우-1)
(2009.2-현재)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6. 4. 12:45
          (1991년 바르셀로나 개최 ANOC총회리셉션장:좌로부터, 필자, Umrao Singh 인도 대표, 당시국제복싱연맹/AIBA회장부인/일본인, Chowdhry AIBA회장/파키스탄, 최만립 KOC부위원장 겸 명예총무, 조동재 KOC부위원장<작고>)

(1984년 멕시코시티 개최 ANOC총회 한국대표단:좌로부터 김세원 KOC부위원장, 최만립 KOC부위웜장 겸 명예총무, 필자) 

             (2002년 콸라룸푸르 ANOC총회 한국대표단: 좌로부터 필자, 김영환 KOC명예총무/연세대 교수)

(1991년 바르셀로나 개최 ANOC총회 당시: 중간, 박용성 대한체육회부회장, 최만립 KOC부위원장, 필자, Francois Carrard IOC 정무 사무총장)

                       (1999년 마카오 개최 제15차 EAGA/동아시아경기대회이사회 9개국 대표단)

                                       (1994년 타이페이 개최 EAGA총회 각국대표단)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대회: 박필순공보실장, 배순학 대한체육회사무총장/총감독, Tamas Ajan 국제역도연맹/IWF회장내외, 필자)

           (대한체육회 간부일동 단체사진: 앞줄 왼쪽에서 네번째가 김운용 대한체육회장/2001년 종무식 후/올림픽회관 정문)

                                    (대한체육회 국제부 직원 가을등산회/관악산 1997년)

                                  (대만 카오슝 개최 OCA사무총장 연석회의/1995년)

                             (2000년 시드니올림픽 각국선수단장 마지막 회의 후 기념촬영)

                       (2002년 아시안게임 개최후보도시 OCA실사 평가단 방문 기념/부산광역시)

                   (Sheikh Ahmad OCA회장 일행 KOC방문/고 김종렬KOC위원장/앞줄 오른쪽 두번째, 왼쪽 두번째 장충식KUSB위원장 겸 KOC부위원장/단국대총장, Sheikh Ahmad OCA회장 앞줄 가운데: 1991년)

(고 Sheikh Fahad 초대 OCA회장 겸 쿠웨이트 NOC위원장과 고 정주영 KOC위원장 간의 양국 NOC스포츠교류협정체결 조인식/1983년 서울신라호텔)

         (고 소강 민관식 대한체육회 명예회장/대한체육회장 및 문교부장관 역임과 함께: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기간 중))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기간 중: 김영환 KOC명예총무, Hussein OCA사무차장/현 사무국장, 장주호 KOC부위원장,이연택 KOC위원장/현 2014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원장, Sheikh Ahmad OCA회장, 필자, Santiparb OCA재무, Muttaleb OCA사무국장)

(동서독 통일전 독일분단의 상징인 동베를린 브란덴부르그 문 앞에서 1985년 당시 IOC총회에 참석한 고 박종규 IOC위원내외/우-5,6, 김운용 WTF총재/우-4, 고 이영호 체육부장관 내외/좌3-4, 최만립 KOC부위원장/우-3, 고 한기복 체육부 국제체육국장/우-2이경문 청와대 교문비서관/좌-1, 필자/우-2 등 SLOOC대표단 일행)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대회이후 금의환향한 한국선수단 각자 고향에서 카퍼레이드 중/인천광역시 편)

                      (1987년 로잔느 개최 제2회 세계 스포츠박물관장회의 각국 대표들과 함께)

       (아시아 트라이애슬론연맹/ASTU총회 시: 대만 연맹 회장, 유경선 ASTU회장, 필자, 태국연맹회장, 한나래)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기간 중: Butha Singh 인도 체육부장관, 필자, 고 김종렬 한국선수단장)

                 (1982년 인도 뉴델리 아시안게임 참가 한국선수단 입촌식: 고 김종렬 한국선수단장과 필자)

(1990년 라오스 방문:좌로부터 라오스 NOC사무총장, 당시 박철언 체육청소년부 장관,최만립 KOC부위원장, 필자, 정태환 장관 비서관, 오지철 국제협력관/차관 역임, 김성규 KOC국제본부장)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대회기간 중: 자랑스런 한국선수단 금메달리트들과 함께:앞줄 좌로부터 김숙자 이화여대 교수, 주희봉 이사, 이덕분 세종대 체육대학장, 필자, 김철주 국제2부장/사무차장 역임/현 조선대 교수)

(2006년 리오 데 자네이로 개최 PASO총회 참가 KOC및 평창2014유치위 대표단 일행: 좌로부터, 문동욱 유치위 국제팀장, 문부춘 유치위기획처장, 김상우 KOC총무, 필자/유치위국제사무총장, 김정길 KOC위원장, 최만립 유치위 고문, 주 브라질 한국대사관 조준혁 참사관, KOC국제부직원)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 기간 중 아시아 레슬링 연맹 총회: 가운데 필자, 장창선 대한레슬링연맹 전무/태능선수촌장 역임)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기간 중: 필자, 마스코트, 김종하 KOC위원장, 우정의 사절단 허자은 홍보대사, 최만립 KOC부위원장)

(2006년 리오 데 자네이로 PASO총회 기간 중: 좌로부터 필자, Gilbert Felli IOC올림픽수석국장, 문부춘 평창2014유치위 기획처장, 문동욱 유치위 국제팀장)


  (1987년 체코 스트라브스크 플라소 개최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에 참가한 한국 대표단 일행:우로부터 세 번째가 이세기 체육부장관)

                             (1995년 후쿠오카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한국선수단 임원 일행)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한국선수단 임원일행: 좌로부터 네 번째가 김성집선수단장 다섯번째가 고 윤덕주 부단장, 맨우측이 조경자 여자감독/대한체육회부회장/여성스포츠회 회장 역임)

                           (1994년 릴리함메르 동계올림픽 한국선수단 응원장면)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한국선수단 입촌식: 좌로부터 고 이기철 총무, 장명희 부단장,가운데: 필자, 앞쪽 이수영 한국선수단장 겸 대한빙상경기연맹회장, 박희백 의무임원/박희백병원장)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한국선수단 격려 방문한 정몽구 현대그룹/자동차회장 일행)

                                  (한국선수단 단골 기념품 태극선과 한국선수단 임원들)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개회식장에서 포즈를취한 한국선수단 임원진: 좌로부터 세번째가 박상하 한국선수단장)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각국선수단장 마지막 회의 후 기념 촬영)

                (1995년 결정된 2002년 아시아게암 개최도시 선출을 앞두고 부산유치위 우병택위원장/ Randhir Singh 좌측일행과 OCA임원진들과 만찬)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기간 중 격려차 방문한 고 조중훈 대한항공/한진그룹회장/오른쪽에서 두번째, 좌로부터, 필자, 고 김상겸 부단장, 맨오른쪽이 박희백원장)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6. 3. 18:39

(1983년 무교동 체육회관 9층 대한체육회장/KOC위원장실은 1981년 9월30일 바덴바덴에서의 서울올림픽유치이후 전 세계스포츠지도자들의 방한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뒷편 좌측으로부터: 김집태능선수촌원장/체육부장관, 김세원대사/KOC부위원장, 고 조상호 SLOOC부위원장/KOC위원장/체육부장관, 장충식KUSB위원장<가려서 안보임>, 고 정주영체육회장<가려서 안보임>, 필자<통역 중>ㅡ 고 사마란치 IOC위원장, 노태우 SLOOC위원장/체육부장관/체육회장/대통령 역임, 고 이영호 체육부장관/SLOOC집행위원장, 이상찬 유도대 학장, Alain Coupat IOC위원장 비서실장, 고 Sheikh Fahad 초대 OCA회장/쿠웨이트 IOC위원, Sharad Chandra Shah네팔 NOC위원장 등)

           (1985년 동베를린 IOC총회 SLOOC대표단: 김운용WTF총재/SLOOC부위원장/IOC부위원장/KOC위원장,고 이영호체육부장관/SLOOC집행위원장, 고 조상호 SLOOC부위원장/체육부장관, 최만립 KOC부위원장 겸 명예총무, 필자)

              (1984년 전상진 대사/SLOOC국제담당사무차장, 필자, 고 정주영 KOC위원장, 이원웅KOC전문위원)

            (1985년 노태우 SLOOC 위원장, 고 사마란치 IOC위원장, 고 박종규 IOC위원/KOC위원장/대한사격연맹회장, 이영호체육부장관/SLOOC집행위원장)

               (고 박세직 SLOOC위원장/체육부장관, Berthold Beitz IOC부위원장/서독, 고 사마란치 IOC위원장)

(1984년 SLOOC위원장실/가운데부터 시계방향:노태우 SLOOC 위원장, 필자, Tan Seri Hamzah 말레이지아 IOC위원/우측: 최만립 KOC부위원장 겸 명예총무, Sharad Chandra Shah 네팔NOC위원장/안보임, 고 Sheikh Fafad OCA회장)

             (1983년 좌로부터 당시 고 이영호 체육부차관/체육부장관, IOC위원부인, 필자, 고 이원경 체육부장관, 고 Mohamed Behjelloun 모로코 IOC위원 등)

  (1983년 무교동 대한체육회장실: IOC사상 최고의 실권을 거뭐쥐었던 여성 사무총장 Monique Berlioux, 필자, 고 정주영 대한체육회장 겸 KOC위원장)

(1984년 소공동 롯데호텔 아테네 홀: 고 이영호 체육부장관, 노태우 SLOOC위원장, 필자, 모리타니아 체육부장관)

 (1983년 무교동 대한체육회장실:고 이영호체육부장관, 노태우 SLOOC위원장, 고 사마란치 IOC위원장, 필자, 고 정주영 대한체육회장)

(1987년 로잔느 IOC본부: 1988년 서울올림픽초청장 발송식: 고 박세직 SLOOC위원장, 고 사마란치 IOC위원장, 김종하 KOC위원장, 김운용 IOC부위원장)

(1988년 서울 프라자호텔 중식당 도원: 자크로게 당시 벨기에 올림픽선수단장/현 IOC위원장, 김종하 KOC위원장)

   (2010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당시 2002년 OCA총회 참가 한국대표단: 앞줄좌로부터 공로명 유치위원장/외무무장관역임, 이창동 문화체육관광부장관/영화감독, 이연택 KOC위원장, 김진선 강원도지사 겸 유치위 집행위원장, 박용성 IJF회장 겸 IOC위원)

          (1984년 LA 올림픽 참가 한국선수단 USC대학 올림픽선수촌 입촌식장면: 좌측 김성집한국선수단장)

           (1985년 서울올림픽 주경기장 건설현장 고 Sheikh Fafad OCA 회장/우로부터 4번째 일행 시찰)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각국 선수단장 마지막 회의후 단체사진)

(1985년 동베를린 IOC총회 당시  한기복<작고> 체육부 국제체육국장/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필자)

(1987년 체코 스트레부스크 플레소 개최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회식 중 가운데 여성이 한국 VIP통역안내원/레나타)

                    (1986년 로잔느 IOC올림픽박물관 건설현장 답사/ 각국 세계박물관장회의 대표들)

            (2003년 평창 Dragon Valley호텔: 2010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 IOC실사평가단과의 연석회의 장면)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한국선수단 결단식 후 기념촬영)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 우승 직후 외신 기자회견:좌로부터 필자, 고 정봉수 마라톤 국가대표감독, 황영조 올림픽마라톤우승자 등)

  (1994년 릴리함메르 동계올림픽 한국선수단 결단식:장명희 한국선수단장/대한빙상경기연맹회장 역임/ 현 ISU집행위원; 태능선수촌)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인 한국선수단 결단식: 맨 앞 줄 고 김상겸 대한체육회부회장, 박상하 한국선수단장; 세종문화회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한국선수단 결단식: 세종문화회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한국선수단 올림픽선수촌 입촌식: 앞줄, 필자, 신박제 한국선수단장, 김운용 KOC위원장 겸 IOC부위원장, 장훈 주 애틀랜타 한국 총영사 등; 올림픽선수촌으로 사용된 애틀랜타 Gergia Tech 대학교 내 행사장)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한국선수단 결단식 기념촬영:세종문화회관)

            (1996년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참가 한국선수단:중앙 좌로부터 , 필자, 박상하 대한체육회부회장, 박갑철 한국선수단장, 이승원 대한스키연맹회장 겸 FIS집행위원, 호돌이 응원단장; 고 안중근 의사 이토 히로부미 저격 현장 방문)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한국선수단 결단식<한국선수단장: 김정행 용인대학교 총장 겸 대한체육회부회장/앞줄 중앙 흰색 단복 착용 )

                       (역사적인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개회식 남북한 선수단 공동행진/동시입장) 

        (2002년 솔트 레이크 시티 동계올림픽 한국선수단 올림픽선수촌 입촌식 후 기념촬영/University of Utah: 두번째 줄 우로부터, 이인숙 여자감독, 박성인 선수단장, 김운용 KOC위원장, 정귀환 부단장, 필자 등)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