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0. 8. 12. 18:18

이제 올림픽유치는 돈 먹는 하마다.
늘 그랬듯이 막대한 유치비용을 쏟아 부어야 보다 성공적인 유치결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개 올림픽 유치 비용은 공개 되지 않는다.

2014년 동계올림픽유치에 성공한 러시아의 소치는 6천만 달러(약 720억원)를 지출했다고 전해진다.
 


IOC President Jacques Rogge and Prime Minister Vladimir Putin met on Wednesday in Moscow to discuss the infrastructure for the Sochi 2014 Winter Games. (Russian Federation)
                                                                                             
                                           
                             (소치 2014 동계올림픽유치후보도시 당시 로고) 

간발의 차이로 2위를 차지 실패한 대한민국의 평창은 4천만 달러(약 480억)를 썼고 2위를, 훌륭한 시설과 지역의 매력 그리고 동계스포츠 전통을 내 세웠던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는 1천5백만 달러(약 180억원)의 가장 낮은 비용을 쓰고 공교롭게도 결국 1차투표에서 꼴찌로 탈락했다.

(2007년 과테말라 IOC총회 첫날 소치가 평창을 2차투표에서 역전승을 거두고 2014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로 선정되었다.)

과연 올림픽유치는 '쩐의 위력'인가?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예산이 공개되었다.

우선 뮌헨 2018이 4,100만 달러/3,000만 유로(약 492억원)로 단연 압도적이다.
                                                            
                                                          
Munich 2018 CEO Willy Bogner. (Munich 2018 / picture alliance)

2위는 평창2018으로 3,150만 달러(약 409억원)이다.


PyeongChang2018




조양호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
(출처: 평창2018유치위원회 홈페이지)



3위는 안시인데 1,500만 유로(약 225억원)이다.



                
Annecy CEO Edgar Grospiron, gold medalist in moguls at the 1992 Olympics. (ATR)

IOC는 지난 6월22일자로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신청서 내용 검토결과 뮌헨이 1위, 평창이 2위, 안시가 3위라고 발표하였다.
돈의 위력인가? 실력의 차이인가? 스포츠외교의 힘인가?

  1. 뮌헨Munich
  2. 평창 PyeongChang
  3. 안시Annecy


과연 평창2018은 올림픽유치경쟁에서 쩐의 위력이란 징크스를 떨쳐내고 2011년 '더반대첩'을 이루어 낼 수 있을까?
돈보다 IOC위원들 표심잡기 묘책으로 승리를 일궈내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8. 12. 18:03

3수도전 중인 대한민국 평창과 동하계올림픽대회개최를 동시에 석권하려는 독일 뮌헨의 장단점에 대하여 IOC에 제출된 유치신청파일내용을 비교해보았다.




유치신청파일에 명기된 바로는 대회기간은 공교롭게도 똑 같은 기간(2.9-25/17일 간)을 제안하였다.

경기장 간의 분포도 및 접근성은 평창이 훨씬 편리하고 유리한 반면 도착공항에서 경기장까지의 거리는 뮌헨이 다소 유리하다.(일장일단)

대중지지도의 경우 평창이 유리하다.(평창)



 

마케팅 예상수입금 규모는 뮌헨(약 1조3,962원)이 평창( 약 8,561억 원)보다 약 5,400억 원가량 높이 산출되어 흑자 폭 면에서 유리하다.(뮌헨)

호텔숙박비의 경우는 평창 쪽이 훨씬 저렴한 반면 뮌헨은 대규모 호텔이 뮌헨이란 대도시에 편리하게 운집되어 매우 안정적이다.(뮌헨)

유치예산규모도 뮌헨(약 551억 2천 만원)이 평창(약 409억 원)보다 약 142억 원 정도 많아 실탄공급면에서 앞선다.(뮌헨)



PyeongChang2018                      

 

뮌헨2018은 동계올림픽유치를 자신한 듯한 제스쳐로써 2011년 개최되는 세계봅슬레이/스켈레톤 선수권대회를 위한 기존 썰매 경기장(Koenigssee에 위치)시설 보완(renovation)비용으로 평창2018유치전체예산과 동일한 규모의 예산(약 456억 원/$31.5million)을 책정하고 과감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평창2018의 경우 정부예산으로 원주-강릉 복선 고속철도(2017년 완공예정) 건설비용으로 약 3조 9천억원을 책정하여 대한민국의 평창2018유치의 적극성을 대내외에 홍보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6월22일 IOC가 발표한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신청도시파일 내용상으로 평가된 공식 순위는 1위가 뮌헨, 2위가 평창, 그리고 3위가 안시다.


 

 IOC 2018 Bid City Rankings - June 22, 2010

 
1. Munich
2. PyeongChang
3. Annecy



평창2018 및 최대 라이벌 뮌헨 2018의 장 단점 highlights 비교분석 도표

<평창2018 >                                     < 뮌헨2018>

              

1)대회기간:  2.9-25(17일간)                           2.9-25(17일간)/같은 기간         

(장애인대회) 3.9-15(7일간)                             3.9-15(7일간)/같은 기간            

 

2)일일 평균기온: -4C                          0 C(Garmisch-Partenkirchen)

3)적설량(snow depth): 37.21cm                28.7cm(Garmisch-Partenkirchen)

4)경기장간 거리: 전경기장 30분 이내           60-65((Munich-Garmisch)

                                                          110(Munich-Keonigssee)

5)경기장 분포: -Alpensia Cluster(6종목/선수촌       Two-Park concept :      

               , 기자촌, IOC호텔: 평창)                      -Ice Park(뮌헨): 5종목, 주경기장, 선수촌 기자촌

               -Coastal Cluster(6종목/선수촌: 강릉)   -Snow Park(G-P): 9개 종목, 선수촌, 기자촌, 미디어센터

               -Standalone Venues(스키 활강: 중봉    -Koenigssee: 3종목(썰매/루지, 봅슬레이, 스켈레톤)

                     프리스타일 스키 및 스노보드: 보광)

6)대중지지도: 91%(전국), 93%(강원)/반대 없음        68%(전국), 75.5%(올림픽), 82,2%(스포츠)

7)마케팅수입금: $651million( 8,561억 원)            $1.074million( 13,962억 원)

                입장권($158M), 국내 스폰서($250M)   입장권($229M), 국내 스폰서($559M), 상품화 권($43M)

8)주요국제스포츠이벤트: 20                             24

9)호텔숙박비: $72(3star)-$364(suite)                  $117-$1,800(suite)

10)객실규모: 76,054객실확보/100,000개 확보(2016년까지)   35,000개 객실(뮌헨 지역 3-4             

            평창, 강릉 전 지역 포함                                     star)

11)인구: 1525천명(강원도)/560만 명(전국)          146만 명(뮌헨)/1,260만 명(바바리아 주)/820만 명(전국)

12)국제공항: 인천(240km/평창, 267km/강릉)              뮌헨(gateway)/인스부르크 및 잘츠부르크(오스트리아) 대체공항

13)선수촌규모: 평창(3,500개 침대)/강릉(2,300)     뮌헨(3,500)/Snow Village(2,500)

14)유치예산규모: $31.5million( 409억 원)              $42.4 million( 5512천만 원)

15)신설경기장: 6                                              15개 중 8(기존), 3(신설), 4(임시)

16)기타: 2017년 완공예정철도($30: 39천억 원소요)       2011년 세계선수권대비(봅슬레

         강원도 복선화(원주-강릉)                                       /스켈레톤)경기장건설 중($31.5 million/ 409억 원 소요)/기존시설 보완(renovation) 


 

위의 도표에 명기된 내용에도 불구하고 올림픽유치경쟁은 'IOC위원 표심잡기경쟁'이며 기술적 및 시설적

평가에 좌우되지 않으며 '인간적요소'(human factor)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113명 중

투표권이 주어지는 106명 IOC위원에 대한 집중 '표 사냥'에 지금부터 직접 나서야만  2011년7월6일 남아공 더반

개최 IOC총회에서 승리할 수 있다. 평창의 '더반 대첩'에 집중하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Hein Verbruggen GIASF-SportAccord회장과 함께/ SportAccord주최 제1회 세계격투기대회<the 1st SportAccord World Combat Games>가 2010년 8월28일-9월4일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다.:13개 격투기 종목에 1,000여명의 격투기 선수들이 총 출동한다./Verbuggen회장은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회 위원장으로 필자<IOC평가위원>와 함께 5개국 유치후보도시들을 방문하면서 쌓인 우정으로 국제스포츠 계에서 선후배로서 가깝게 지내고 있다. )
 



1. 무릎을 탁 치게 하는 영어표현

1) Take your time.

-급할 거 없네 그려./천천히 하시게.

2) What's the rush?

-뭐가 그리 급하지?/ 호떡집에 불이라도 났나?

3) I have a previous engagement.

-선약이 있다오.

4) I misplaced it.

-그걸 어디나 두었는지 모르겠구만./어딘지 잘 못 두었나봐.

5) She is my ex.

(ex = ex-wife)

-내 전처야./이혼한 내 부인이라네.

6) It's no laughing matter./It's not a laughing stock.

-그건 웃을 일이 아닐세.

7) I'm sick and tired of that fellow./I'm fed up with him./I've had it with him./I'm up to here with him.

-그 친구라면 신물, 넌덜머리, 진절머리가 난다네./그 친구 얘기만 나오면 (목구멍으로) 뭔가 넘어 올려고 그래.

*8) Beats the hell out of me./Beats me./Search me./You got me./I have no idea./How can I know?/I don't know./God knows.

-도통 모르겠구먼./알 재주가 있나./전혀 모르는 일이라네./때려 죽여도 난 모르는 일이라니까.

9) (Would you) Mind hacking up a little?

-차 좀 뒤로 빼 주시겠소?

10) Could you move up a little for me, please?

-차좀 앞으로 빼 주실래요?

11) Could you spell it for me, please?

-스펠링(철자)이 어떻게 되죠?

12) I'm not a very good speller.

-난 스펠링이 영 신통치 않아서 말일세./내가 철자는 영 신통치가 않아요.

13) Sorry to have kept you waiting so long.

-너무 오래 기다리셨소./오래 기다리게 해서 미안하오.

*14) I'm stuffed./I'm full./I had my fill.

-포식 했더니 배가 빵빵하구먼./배가 꽉 찼소이다.

15) I'm afraid my eyes are always larger than my stomach.

-난 늘 너무 과식해 탈이란 말씀이야.



2. 많이 쓰이고 유용한 영어표현

* ~에 면역이 되어 있다/(늘상 있는 일이기 때문에)~을 느끼지 못한다: her husband  to be immune to~
1)John thought he was immune to the disease, but in a few days he, too, came down with the fever.(존은 질병에 면역이 되어 있다고 생각했으나 며칠후 그 자신도 열병에 걸렸다.)
2)Mrs. Brown begged  her husband for a new fur coat, but he was immune to her pleas.(부라운씨 부인은 남편에게 모피코트를 사달라고 졸라댔으나 부라운씨는 부인의 간청에 면역이 되어 있었다.)


3. 오늘의 속담

*소탐대실(小貪大失)/한 푼을 아끼고 열냥을 잃는다. 
-Penny wise and pound foolish.
-It is like suffering a big loss in going after a small gain.
-It is like incurring a great loss by pursuing a small profit.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