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0. 8. 13. 10:07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전은 "총성 없는 세계대전"이다.
투표권자들인 106명 IOC위원들의 표심잡기 전쟁이 이미 불 붙기 시작했다.



루프트한자(Lufthanza) 독일항공은 십수년전부터 IOC와 항공편 전속계약을 맺고 IOC위원들 및 IOC관련 행사참가자들에게 IOC예산으로 지급되는 각종 항공권에 대한 탑승 및 기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IOC지정항공사(Star Alliance 연대)다.


 
IOC지정항공사로써 동시에 뮌헨2018유치 후원사 계약체결은 상식적으로 볼 때 윤리적 이해상충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2018동계올림픽유치기간내내 그리고 내년 개최도시 결정 투표가 있는 남아공 더반 IOC총회까지도 투표권자들인 IOC위원들의 대다수가 부부동반으로 뮌헨2018 주 후원사이기도 한 루프트한자(Lufthansa)항공기를 연속적, 지속적, 제도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뮌헨2018은 주 후원사인 루프트한자를 통해 당연히 자연스럽고 여유있게 이들 IOC위원들(부부동반) 및 관계자들의 항공이동 기간동안 항공기 이용 최대 편의 제공과 기내 환대/접대 서비스를 독자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효율 및 효과 만점의 기내 유치 간접로비활동에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명백히 혜택받은 합법적 간접로비활동지원의 일환으로 간주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루프트한자와 관련된 이러한 반사이익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 할 경우 IOC는 유치경쟁과 관계 없이 시행되어 온 관례이며 IOC윤리규정 금지조항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적시하면서 묵과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평창2018로써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
그렇다면 IOC위원들과 IOC관계자들이 무조건 루프트한자만을 이용해야 할까?
물론 루프트한자 연대 항공사 그룹인 Star Alliance연합 타 항공사편도 이용도 가능하다.
또한 항공권 가격대가 루프트한자의 그것과 비슷할 경우 Stat Allaiance와 연대가 없는 타 항공편도 실제로 이용 가능하다.
필자가 2008년 올림픽선정 IOC평가위원으로 활동하며 5개국 5개 유치후보도시 방문 출장 시 IOC가 제안 한 루프트한자 항공노선대신 우리 국적기인 대한항공을 선호하여 대체 항공노선을 편성하여 제안했을 때 IOC는 가격대비 검토후 이를 적용하여 허용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런 예외는 극소수 일 수 밖에 없다.
뮌헨2018의 주 후원사 항공편(Lufthansa)을 IOC위원 가족들이 관례적으로 이용할 경우 자연스럽게 목적달성을 염두에 둔 특급대우가 기대되는 판국에 일부러 이러한 기대심리를 억제해 가면서 타 항공편을 이용하는 경우는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면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이러한 눈에 안 보이는 스포츠외교적 편향조치 및 방관 등에 대하여 IOC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IOC집행위원급 인사가 현재 단 한 명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평창2018의 주 후원사인 대한항공(Korean Air)의 경우 글로벌 연대 항공사 그룹이 Sky Team이어서 공식적으로는 방도가 없지만 전 세계에 폭 넓게 자리매김한 대한항공 각 지점망을 활용하여 대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KOREAN AIR 

사실상 Sky Team 멤버 항공사들은 루프트한자가 연대하고 있는 Star Alliance와는 협력관계가 이루어 지기 힘들다는 것도 감안해야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방문을 희망하는 IOC위원들이 Star Alliance와 연대를 맺고 있는 아시아나 항공편을 혹 이용 할 경우 평창2018이 이들 IOC위원들에 대해 아시아나항공이 간접 협조토록 하는 방법도 동원해야한다.

그렇다면 IOC World-wide TOP파트너 11개 그룹의 일원인 삼성전자의 경우 독일 루프트한자의 경우처럼 평창2018유치를 위한 IOC공식 스폰서의 지위를 십분 활용할 수는 없는 것일까?
공식적으로는 TOP Partner 스폰서는 평창2018유치지원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있다고 한다.
다만 IOC TOP파트너 겸 세계굴지의 다국적 기업으로써 국제스포츠행사나 국제스포츠단체 등에 스폰서역할을 통해 해당IOC위원들과 연계한 원거리 평창2018 지원사격은 가능하다.
유스올림픽(YOG)의 TOP 스폰서이기도 한 삼성이 최근 제1회 싱가폴 유스올림픽에 참가한 인도대표팀을 후원한다는 외신보도가 있었다.
인도에는 NOC사무총장을 겸하고 있는 IOC위원이 한 명 있다.
평창2018유치지원사격으로도 볼 수 있는 시기적절하고 다목적이며 합법적인 조치다.



독일의 세계굴지의 다국적기업들이 앞 다투어 뮌헨2018 후원사로써 계약하고 속속 동참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인 재정서비스 다국적 기업인 Allianz사도 뮌헨2018의 후원사로 합류하였다.
Druckversion des Seitenfooters

© Bewerbungsgesellschaft München 2018 GmbH

(뮌헨 2018 독일굴지의 쟁쟁한 후원업체들/출처:munich2018.com 홈페이지)

대한민국에도 세계굴지의 우량 다국적기업들이 많이 있다.
대한민국이 동계올림픽만 더 유치하여 개최하게 되면 한국은 트리플 크라운(Triple Crown: 동 하계올림픽 및 FIFA월드컵 동시 개최), 그랜드 슬램(Grand Slam: 동 하계올림픽, FIFA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동시개최)을 모두 석권하는 Triple Crown G-6 (미국, 일본, 이태리, 프랑스, 독일), Grand Slam G-5 (독일, 프랑스, 이태리, 일본)국가가 된다.
많은 한국기업들이 평창2018 후원사로 동참하기 바란다.

현재 평창2018 후원사는 아직 3개사뿐이다.  

SPONSORS
  • KOREAN AIR
  • 1
  • 1

    (출처: 2018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8. 12. 18:37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피겨 퀸 겸 평창2018 홍보대사 김연아선수/출처: 평창2018 홈페이지)


2018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를 놓고 대한민국 평창과  독일 뮌헨 그리고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동계올림픽 원조국가 프랑스 몽블랑 도시 안시가 2011년 7월6일 남아공 더반 개최 제123차 IOC총회에서 결정 될 단 한장의 개최권 티켓을 놓고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3수도전에 나선 평창은  2010년 및 2014년 유치전에서 간발의 차이로 두번 다 고배를 마셨지만 국제 스포츠계에서 개최신뢰도면에서 최상의 유치라는 국제적 신인도를 축적하고 있다. 





반면 뮌헨은 1972년 하계올림픽을 개최한 올림픽 개최도시로서 올림픽 사상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한개 도시 동 하계올림픽 동시개최'라는 신기록 도전을 염두에 두고 야심찬 출사표를 던지고 Thomas Bach IOC부위원장의 스포츠외교력을 앞세우고 막강한 독일기업군단으로 무장하였다.

독일은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종합1위,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종합 2위 및 밴쿠버 장애인동계올림픽 종합1위를 석권 한 동계스포츠 세계최강국으로 경기력에서도 선두주자다.

대한민국은 밴쿠버에서 사상 최초로  세계종합5위의 성적으로 역시 동계스포츠강국의 반열에 올랐다.


평창의 유치자금은 $31.5 million(약 409억 원)이고 뮌헨은 $42.4 million(약 551억 원)으로 뮌헨의 실탄이  142억 원이나 더 많아 유치자금 동원능력에 있어서는 뮌헨이 한수 위다.

2018년 동계올림픽개최로 선정 될 경우, 유치신청파일에 제시한  평창의 국내 올림픽 마케팅 총 수입예상 목표치는 $651 million(약 8,561억 원/한국내 스폰서쉽수입 $250 million/약 3,250억원포함)인 것과 비교해서  뮌헨은 평창보다 $423 million(약 5,499 억 원)을 상회하는 $1,074million(약 1조3,962억 원/독일내 스폰서쉽 $559million/ 약 7,167억 원 포함)이란 가히 천문학적 대회개최 수입금을 책정하여 뮌헨의 올림픽마케팅 예상수익성이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물론 실현성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뮌헨2018의 경우 유치자금 (551억 원)모두를 독일 스폰서 계약을 통해 조달하려는 계획이다.
이미 목표액에 해당하는 기금을 거의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독일 자동차 기업의 대명사 중 하나인 BMW, 독일의 세계적 항공사인 Lufthanza, 세계스포츠용품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Adiadas, 독일의 다국적 기업 그룹인 Siemens, 독일 굴지의 은행연합그룹인 Spartkassen-Fianzgruppe, 뮌헨 공항 그룹인 Flughafen Munchen Airport, Allianz금융그룹 등 즐비하다.
그 뒤에는 Angela Merkel 독일 총리가 독일 유수 그룹회장들을 적극 독려하고 진두지휘하고 있는 형상이다. 

평창의 경우 한국의 다국적 기업군들의 스폰서 후원금 실적성과 및 대외홍보내용이 뮌헨에 비해 아직 적극적이지 못하고 사실 상  미진한 것(3개 후원사 확보/대한항공, 한진그룹, 토토복권)으로 보이지만 막판 뒤집기와 한국 특유의 끈질긴 저력이 기대된다.

경기장 분포와 경기장 간의 거리(평창: 30분이내, 뮌헨 설상과 빙상경기장 거리가 최소 60분이상)등 시설 면에 있어서는 평창이 월등하다.
따라서 올림픽참가선수들의 입장에서 보면 평창이 선호도시다.
공항에서의 접근성은 뮌헨과 안시가 평창보다 편리하다.


올림픽 TV중계권료의 대부분을 지불하는 미국 TV사의 입장에서 볼 때 미국내 황금시간(Prime time)대를 겨냥한  올림픽 경기 생 중계면에서 그리고 해당 방송광고유치를 위한 수익성 측면에서도 시차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뮌헨과 안시가 평창보다 다소 선호적이다.

동계스포츠확산과 동계올림픽의 균형적 개최측면을 고려해 볼때 개최명분과 당위성을  지향하고 잇는 후보도시는 단연코  평창이다.
또한 IOC 입장으로 보아도 올림픽운동 증진이라는 관점에서 평창이 우선 선호시 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개최도시 선정 투표결과는 113명 중 투표권이 부여되는 106명 IOC위원 개개인의 선별적 선호성에 달렸다라는 점에서 보장 받을 수 없는 애로사항이다.


동계스포츠 열기가 부분적으로 편식적 측면이 두드러진 한국/평창에 비해  독일/뮌헨과 프랑스/안시는 동계스포츠에 대한 고른  열정과 인기도 그리고 경기장을 찿는 전통적 관중 참여도 면에서 점수가 높다.

20여 일간 지속되는 동계올림픽 기간 중 대도시의 각종 편리성과 다양함이 공존하는 뮌헨(UN이 지정한 가장 살기 좋은 세계10대 도시중 1위로 선정 된 바 있음)에서의 생활이 IOC위원들과 부인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더 선호적일 수 있다. 

4년 간 미화 총 1억 불(약 1.300억 원상당의 현금 및 현물/VIK)상당의 기여금을 IOC에 지불하면서 참여하고 있는 올림픽 TOP Partners(현재 삼성 등 11개 글로벌 기업군 계약)들의 입장에서도 올림픽 기간 중 기업 판촉 및 홍보 활동 그리고 고객마케팅과 접대(hospitality) 여건상  대규모 호텔 및 편익시설이 충분한 대도시인 뮌헨이 상대적으로 가장 선호적이다.


근본적으로 또 원칙적으로 올림픽운동확산 등을 조명해 볼 때는 3수 도전인 평창에 대한 대다수의 IOC위원들의 선호도와 신뢰도가 남 다르고 지지명분 또한 자명하다.
 
동계 올림픽개최 명분과 당위성 면에서도 그러하다.
문제는 '이러한 IOC위원들의 전체적 표심여론과 공감대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집약시키고 지속성있게 개별적으로 잘 관리하여 득표와 직접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인가?'가 평창2018유치 성공의 중요한 관건이다
.

대한민국과 독일은 현재 동계올림픽유치권을 놓고 '총성 없는 전쟁'에 돌입하고 있다.
스포츠외교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대한민국이 스포츠외교력이 출중한 독일전차군단을 상대로 승리하려면 입체적 대비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신출귀몰한 우리 대한민국의 힘과 氣를 집중해  막판 표몰이에 전념해보자.



<유치와 관련된 대한민국과 독일의 총체적 동원가능 인적파워 비교>

1. 반기문 UN 사무총장 vs.베네딕트 교황(Pope Benedict)


U.N. Secretary General Ban Ki-Moon and IOC President Jacques Rogge pose at IOC headquarters. (U.N.)

Pope Benedict XVI met with members of the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0 FIVB World Men’s Championship, which will be hosted by Italy. (FIVB)

2. 이건희 IOC위원 vs. Thomas Bach IOC부위원장(차기 IOC위원장 유력후보)

(이건희 IOC위원 겸 삼성그룹회장/ATR)



IOC Vice President, Thomas Bach (ATR)

3. 문대성 IOC위원(선수) vs. Claudia Bokel IOC위원(선수)





(문대성 IOC위원/선수)




Epee silver medalist Claudia Bokel of Germany. (ATR)


4. 박용성 KOC위원장 vs. Thomas Bach 독일 NOC/DOSB위원장



Park Yong-sung endorsed the Pyeongchang bid for the 2018 Winter Olympics. (ATR)




                                        Thomas Bach, No. 7 in Around the Rings' Golden 25



5. 조양호 평창2018 유치위원장/박양천 국제특보 vs. Thomas Bach 뮌헨 유치 총괄위원장/Willy Bogner 뮌헨 유치 CEO(7개 국어 능통)

 
Cho Yang-ho, chairman of the PyeongChang 2018 Bid Committee, poses in front of the IOC headquarters in Lausanne, Switzerland, Tuesday. AP-Yonhap News/출처: pyeongchang2018.org홈페이지)


◇ 박양천 국제특보. ⓒ2018평창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IOC Vice President, Thomas Bach (ATR)
                 Bogner competed in alpine skiing at the 1960 and 1964 Winter Olympics (Munich 2018)




6. 김연아 밴쿠버 동계올림픽 피겨 세계최고기록 우승자 겸 역대 세계 최고 피겨여왕 vs. Katarina Witt 뮌헨 대외유치 위원장 겸 1984 사라예보 및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 피겨 금메달 2관왕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피겨 금메달리스트 김연아의 시상식 모습)

            (2014년 평창 유치 국제사무총장시절 필자와 세계피켜 퀸 김연아 그리고 한국마라톤대들보 이봉주 선수)
                                                     


Skating legend Katarina Witt is part of the Munich 2018 team. (ATR)

                        (카타리나 비트 왕년의 피겨여왕 현역 시절 모습/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제공)

7. 대한항공(Korean Air) vs. 독일항공(Lufthanza)

 
8. 한국 다국적 기업 군 vs. 독일 다국적 기업 군

 
과연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경쟁의 최후의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PyeongChang2018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8. 12. 18:18

이제 올림픽유치는 돈 먹는 하마다.
늘 그랬듯이 막대한 유치비용을 쏟아 부어야 보다 성공적인 유치결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개 올림픽 유치 비용은 공개 되지 않는다.

2014년 동계올림픽유치에 성공한 러시아의 소치는 6천만 달러(약 720억원)를 지출했다고 전해진다.
 


IOC President Jacques Rogge and Prime Minister Vladimir Putin met on Wednesday in Moscow to discuss the infrastructure for the Sochi 2014 Winter Games. (Russian Federation)
                                                                                             
                                           
                             (소치 2014 동계올림픽유치후보도시 당시 로고) 

간발의 차이로 2위를 차지 실패한 대한민국의 평창은 4천만 달러(약 480억)를 썼고 2위를, 훌륭한 시설과 지역의 매력 그리고 동계스포츠 전통을 내 세웠던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는 1천5백만 달러(약 180억원)의 가장 낮은 비용을 쓰고 공교롭게도 결국 1차투표에서 꼴찌로 탈락했다.

(2007년 과테말라 IOC총회 첫날 소치가 평창을 2차투표에서 역전승을 거두고 2014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로 선정되었다.)

과연 올림픽유치는 '쩐의 위력'인가?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예산이 공개되었다.

우선 뮌헨 2018이 4,100만 달러/3,000만 유로(약 492억원)로 단연 압도적이다.
                                                            
                                                          
Munich 2018 CEO Willy Bogner. (Munich 2018 / picture alliance)

2위는 평창2018으로 3,150만 달러(약 409억원)이다.


PyeongChang2018




조양호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
(출처: 평창2018유치위원회 홈페이지)



3위는 안시인데 1,500만 유로(약 225억원)이다.



                
Annecy CEO Edgar Grospiron, gold medalist in moguls at the 1992 Olympics. (ATR)

IOC는 지난 6월22일자로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신청서 내용 검토결과 뮌헨이 1위, 평창이 2위, 안시가 3위라고 발표하였다.
돈의 위력인가? 실력의 차이인가? 스포츠외교의 힘인가?

  1. 뮌헨Munich
  2. 평창 PyeongChang
  3. 안시Annecy


과연 평창2018은 올림픽유치경쟁에서 쩐의 위력이란 징크스를 떨쳐내고 2011년 '더반대첩'을 이루어 낼 수 있을까?
돈보다 IOC위원들 표심잡기 묘책으로 승리를 일궈내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