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20. 3. 18. 12:06

[코로나바이러스연관 Tokyo2020올림픽선수들출전관련 IOC와 국제연맹들(IFs)과의 317일 화상회의 결과]

 

 

2020317() IOC는 올림픽하계종목국제연맹전체와 화상회의를 통해 Tokyo2020올림픽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파생되는 애로사항과 향후 대책에 대한 폭 넓은 논의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IOC는 바이러스발병확산이 대회에 미칠 영향으로 인하여 증대하고 있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에 대하여 이 단계에서 극단적인 어떤 결정도 내릴 필요성이 없다(no need for ‘any drastic decisions at this stage’)고 주장하였다고 한다.

 

 

IOC는 국제연맹들과의 위기대처방안마련회의 후 발표한 성명서를 통하여Tokyo2020대회가 연기될 수 있거나 취소될 수 있다라는 역효과’(counter-productive)를 내는 추측에 대하여 일축하면서 대회가 계획된 대로 진행될 것이란 주장을 반복하였다. 

비록 COVID-19발병으로 인해 전 세계 모든 스포츠대회가 어쩔 수 없이 거의 봉쇄당하고 있으며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출전자격 예선전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지만, IOC와 일본관계자들은 대회가 스케줄대로 724일 시작될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하면서 흔들리지 않고 있는 태세다.

현 상황을 살펴보면 대회출전 총 11,000명의 선수들 중 57%에 해당하는 인원이 대회 출전권을 획득하였으며 IOC는 해당 국제연맹들과 협업하여 나머지 43%에 해당하는 종목 선수들 출전권 확보를 위하여 각각의 출전자격부여 시스템에 필요한 실제적인 적응방법을 모색하도록 할 것’(work with the IFs to make any necessary and practical adaptations to their respective qualification systems)이라고 언급하였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IOC는 실행그룹(an implementation group)을 결성하여 ‘IOC집행위원회를 대신하여 해당국제연맹들이 제안하는 출전자격부여시스템 변경에 따른 요구사항 등을 필요한 경우 신속히 대처’(act quickly, where necessary, on behalf of the Executive Board)하도록 총괄적으로 조치하였다.

긴급상황하에서 IOC가 해당국제연맹들에게 허용할 조치 중에는 출전자격부여예선전 개최시기 연장, 출전자격판단기준 중 불필요한 조항 삭제, 예외적으로 경우에 따라 대회출전 선수쿼터추가 등이 포함된다.

또한 기존 및 예정된 예선전출전대상선수들의 경기기록도 모든 선수들과 팀들이 납득할만한 공정한 기록으로 여전히 손색이 없는(wherever these still have fair access for all athletes and teams) 종목에 추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올림픽출전자격부여 시스템변경지침내용은 4춸초 발췌하여 발표될 것이라고 IOC가 밝혔다.

 

다음은 IOC가 발표한 성명서 내용 중 일부다:

 

A.  "The IOC remains fully committed to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and with more than four months to go before the Games there is no need for any drastic decisions at this stage; and any speculation at this moment would be counter-productive." (앞으로 4개월 남은 Tokyo2020올림픽에 IOC는 전적으로 매진하고 있으며 이 단계에서 그 어떤 극단적인 결정을 내릴 필요가 없음; 이 순간 그 어떤 억측도 역효과를 낼 것임)

B.  "The IOC encourages all athletes to continue to prepare for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as best they can. (IOC는 모든 선수들이 Tokyo2020올림픽 출전준비에 최선을 다해 계속 맹진하도록 독려하는 바임)

C.  "The IOC has confidence that the many measures being taken by many authorities around the world will help contain the situation of the COVID-19 virus." (IOC는 전 세계 수 많은 관련 당국들이 취하고 있는 많은 대처방안들이 COVID-19바리러스상황을 봉쇄하는데 도움이 될 것임에 신뢰를 보내는 바임)

 

*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3. 16. 14:08

[코로나바이러스로 IOC ANOC본부(Olympic House)전체직원 316()부터 일제히 재택근무실시]

 

 

 

IOC는 코로나바이러스 대 유행 확산우려 방지 차원에서316()부터 다시 통보가 갈 때까지(until further notice) IOC본부로 출근하지 말고 재택 근무하도록 지침을 내려 500명이 넘는 IOC본부(Olympic House) 근무 전체직원들에게 315일 통보하였다. 이 경우에도 필수기능유치를 위한 예외(exception of some essential functions)는 남겨두었다.

 

 

COVID-19확산우려로 올림픽박물관도 2주간 폐쇄 휴관에 들어갔다.

 

스위스는 1,375건의 확진 판정 환자와 14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으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대상국은 이제 세계적으로 130개국을 돌파하였다.

스위스 정부는 IOC본부가 있는 Lausanne시가 소속되어 있는 Canton Vaud주에서 50명이상이 참석하는 모임을 바이러스확산방지조치의 일환으로 4월말까지 일체금지 조치하였다.

이러한 조치로 스위스 전역에 있는 각급학교들도 폐쇄조치에 들어 갔는데 이는 스위스에 취해지고 있는 광범위한 일련의 조치들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스위스의 국경지대는 이태리 북부지역이며 코로나바이러스 대 유행성 질병 유럽 내 최악감염 지역이다

이태리에는 COVID-19로부터 21,000명의 확진 자 가운데 1,400명이상의 사망자자 발생함으로 바이러스 진원지인 중국 외 최다감염(the most outside of China, where the virus originated)을 기록하고 있다고 한 외신은 전하고 있다.

역시 Lausanne 에 본부를 두고 있는 ANOC(206개 회원국을 가진 각국올림픽위원회 총연합회) 또한 추가 통보가 있을 때까지 316()부터 재택 근무하도록 요구하였다.

 

그렇다면 대한체육회(KSOC)와 가명경기단체 및 진천국가대표선수촌은 어떤 방식으로 근무하고 훈련에 임할 것인지에 대한 발 빠른 대책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有備無患!”(Providing is preventing.)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3. 16. 12:49

[IOC Coronavirus대유행(Pandemic)사태논의 차 국제연맹들(IFs)과 화상회의 올림픽출전권부여 종목 별 예선대회일정과 선수쿼터 어찌하오리까?]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coronavirus pandemic)에 대한 토의 및 Tokyo2020올림픽 출전자격대회에 미친 분열과 혼란(the disruption it has caused to the qualification for Tokyo2020)대처방안논의를 위해 국제연맹들과의 화상회의(a conference call)를 이르면 317()개최할 것으로 315일 알려졌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이 주재할 것으로 알려진 동 화상회의에는 하계종목국제연맹수장들을 참석자대상으로 초대하였다.

 

 

 

소식통에 따르면 국제연맹들은 COVID-19발병과 관련 질의하도록 초대된 것이며 이는 코로나바이러스사태로 벌써 십여 개에 달하는 올림픽출전권 대상 예선대회들이 어쩔 수 없이 취소되거나 연기된 상황에 대한 대처조치 마련이 주 목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은 IOC성명서내용이다:

A.  "Since this situation started to develop some weeks ago, the IOC has been constantly updating its stakeholders on the latest developments."(몇 주 전에 전개되기 시작된 이러한 상황 때문에, IOC는 전개사항에 대하여 이해당사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알려주고 대처해 오고 있음)

 

B.  "The calls are part of this regular information sharing process." (동 화상회의는 정규적인 정보공유과정의 일환임)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해 금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연기되거나 취소될 수도 있다라는 의견제안을 가속화 시켜왔는데, IOC Tokyo2020측은 대회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이러한 변경관련 주장을 반복해서 일축해 왔다.

하지만 국제연맹들이 실시하고 있는 올림픽출전자격부여 예선전에 끼치고 있는 영향은 종목경기조직 관계자들로 하여금 선수들에게 공정한 시스템을 확고히 해 주기 위해 해당종목들을 재 배치하고자 이리저리 부산히 움직이는 가운데 대회까지 남은 몇 달 동안 가장 곤혹스럽고 긴박한 이슈(the most pressing issue)로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다수의 국제연맹들은 이미 IOC에게 724일 개막하는Tokyo2020올림픽 출전자격부여 예선전 실시 시한을 연장해 줄 것을 요청해 오고 있는 상황이며 다른 국제연맹들은 해당종목이 매긴 현재 랭킹을 활용하여 올림픽출전권부여를 고려하고 있는 와중에 있다.

현 상황은 이렇다

바이러스확산과의 싸움을 지향하는 각국 정부들의 조치의 일환으로 몇 명 이상이 참가하는 이벤트개최 금지와 여행제한조치 발동 등이 행해지는 국제적인 우려가 증폭되는 가운데 많은 수의 국제연맹들이 할 수 없이 올림픽예선전(qualifiers)을 취소하거나 연기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 주지의 현상이 되어 오고 있다.

물론 어떤 종목의 올림픽예선전은 이미 종료된 경우도 있다.

Bach IOC위원장은 지난 주(3월 둘 째 주) 세계적으로 167,000명이상의 감염확진 환자들이 속출하고 6,4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는 바이러스로 인해 올림픽예선전 경기에 심각한 문제점”(serious problems)이 생기고 있음을 인정하였다.

 

Bach IOC위원장은 그전에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최악의 상태에 직면한 종목을 위해 출전쿼터(quota places)를 늘려줄 수도 있다라고 발표하였었으며, 그들이 정상적으로 올림픽예선전에 출전할 수 있었더라면 Tokyo2020올림픽에 진출 가능성이 농후했었을 선수들을 대상으로 해당종목 올림픽 출전쿼터자리를 부여하는 방안(awarding spots at the Games)을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암시하기도 하였다.

 

Bach IOC 위원장은 또한 대상선수들이 바이러스발생여파의 결과로 Tokyo2020올림픽출전기회가 무산되지 않도록 확실히 하기 위해 대회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이 해당국제연맹들과 협의하여 공정한 해결책’(a fair solution)을 모색할 것임을 약속한 바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전개확산은 올림픽출전을 위한 관련종목 별 예선전과 출전쿼터 공정할당방법을 슬기롭게 마련하고 대처하기 위한 묘책마련에 IOC와 국제연맹들이 긴급화상회의를 통해 머리를 맞대고 자구책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과연 이러한 전대미문의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2. 19. 07:16

[Tokyo2020올림픽 공식표어(Motto) “하나 된 감성”(United by Emotion)발표]

 

 

 

 

2020217 Tokyo2020올림픽(724~89) 및 패럴림픽 (825~96)조직위원회는 드디어 Tokyo2020공식 표어(official motto)하나된 감성”(United by Emotion)을 발표 공개 하였다.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Tokyo2020슬로건이 각계 각각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함께 모이게 하는 스포츠의 힘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모든 사람들이 각각의 차이점을 넘어 도달하는 방식으로 연결하고 축하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emphasises the power of sport to bring together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of every kind and allows them to connect and celebrate in a way that reaches beyond their differences)라고 언급하였다.

 

 

 

Tokyo2020올림픽 표어공개를 축하하기 위하여 레이저형상화 전시(laser mapping display) Tokyo Skytree 타워건물 체에 217일부터 325일까지 영상투사(will be projected)실시할 것이라고 한다.

 

이와 함께 일본 테니스선수인 Naomi Osaka가 출연하는 비디오를 공개하였는데 그 목적은 “Tokyo2020대회표어 뒤에 담긴 핵심메시지를 세계와 공유하고자 함”(to share the key messages behind the Tokyo 2020 Games motto with the world)이라고 한다

 

Tokyo2020표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것이며 영문으로만 전시될 것(only be displayed in English)으로 알려졌다.

 

 

 

(The motto will be used across Tokyo 2020 venues and elsewhere ©Tokyo 2020-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표어/출처: Tokyo2020조직위원회)

 

 

사람들은 그 표어를 공식올림픽제품과 길거리 장식(street decorations)의 일환으로 그리고 경기장에서 그 표어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Tokyo2020올림픽표어는 디지털 미디어에도 함께 활용될 것이다.

 

한편 기 발표된 Tokyo2020올림픽 성화봉송 슬로건은 "Hope Lights Our Way"(희망이 우리의 여정을 밝혀 준다)이다.

 

 

IOC의 올림픽공식표어(motto)“Citus, Altius, Fortius”(Faster, Higher, Stronger/보다 빠르게, 보다 높게, 보다 힘차게)이다.

 

각국 개최 올림픽대회에서 첫 번째 대회 표어 또는 슬로건은 Munich1972올림픽에서 선 보였는데 행복한 대회”(The Happy Games)였다.

 

이후 표어와 슬로건이 혼재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Seoul1988올림픽을 기점으로 정규적인 특징을 가미하기 위하여 각 대회마다 독자적인 표어(motto) 또는 슬로건(slogan)이 채택되어 사용되었다.

 

Seoul1988올림픽 표어는 화합과 전진”(Harmony and Progress)였고 슬로건(slogan)세계는 서울로, 서울은 세계로”(The World to Seoul, Seoul to the World)였다.

 

다음은 역대 하계올림픽 슬로건이다:

 

-Barcelona1992: “Friends for Life”(Amigos Para Siempre/ 영원한 친구)

-Alanta1996: “The Celebration of the Century” (세기적 축하/올림픽100주년 기념)

-Sydney2000: “Share the Spirit”

-Athens2004: “Welcome Home”

-Beijing2008: “One World, One Dream”

-London2012: “Inspire a Generation”

-Rio2016: “A New World”

-Tokyo2020: “Discover Tomorrow”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2. 14. 17:58

[청소년올림픽(YOG)역사와 창시자Jacques Rogge 直前IOC위원장 비전(Vision)의 진화(Evolution) 및 역대YOG대회 주요 맥점]

 

 

1.   Rogge IOC위원장의 비전 역사와 진화(History and evolution of Jacques Rogge’s vision)

 

청소년올림픽(YOG: Youth Olympic Games)은 전임 IOC위원장인 Jacques Rogge의 개인적 프로젝트였는데 그의 사명의식에는 비만퇴치(to fight obesity)와 청소년들로 하여금 스포츠에 참여하도록 독려하고자 하는 마음이 담겨있다.

 

 

(Jacques Rogge IOC위원장과 함께)

 

 

Rogge IOC전임위원장은 자신의 임기 기간인 2007년 과테말라 개최 IOC총회에서 자신의 신념이 담긴 프로젝트에 대하여 동료 IOC위원들에게 다음과 같이 보고하였다:

 

“The change in society illustrated by an increase in obesity, a decline in sports participation especially amongst young people” (특히 청소년 층 상이에 스포츠 참여 정도가 쇠퇴하고 있는 징표인 비만증가에 의해 예증된 사회 속 변화)

 

Rogge IOC전임위원장은 학교체육의 감소현상과 도시내부에서 운동장이 사라지고 있는 분위기에 대해 역시 우려(concerned by a drop in school sport and the disappearance of playing fields in inner cities)하였다..

 

Rogge IOC전임위원장은 청소년올림픽은 올림픽대회를 상호 보완할 것” (be complementary to the Olympic Games)이라고 언급하였다

 

누군 가에게는 청소년올림픽이 올림픽으로 가는 디딤돌(s stepping stone)이 되기도 하지만 Rogge전임 IOC위원장에 의하면 청소년올림픽(YOG)은 또한 올림픽 단계까지 출전 못한 선수들 역시 더 나은 인류의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역할을 할 것”("the YOG would also serve simply to help the athletes who did not make that step to be better human beings)이라고 품평하였다.

 

2007년 과테말라 IOC총회에서 청소년올림픽 창설여부를 승인하는 투표를 거수로 만장일치를 보여주는 찬성으로 통과(approved "unanimously" by a show of hands) 된 바 있다.

 

2.   청소년올림픽 개최 역사

1)   Singapore 2010(1회 하계 청소년올림픽/YOG)

 

 

 

 

(1) 이전의 유럽에서의 청소년올림픽축제와 마찬가지로 각국 팀 참가 규모는 제한되었음

(2) 따라서 각국 NOC는 팀 구성에 신중을 기해야 했음

(3) 다양한 세미나를 포함한 문화 프로그램

(4) 세계 최고선수들 중 역할모델(role models)선수들 참여(Yelena Isinbayeva and Alexander Popov/러시아, Bubka/우크라이나 및 Barbara Kendall/뉴질랜드 등)

(5) 챔피언들과의 대화(Chat with the Champions)를 통해 청소년선수들에게 업적성취 경험담 청취 기회 부여

(6) 참가 팀들 모두 싱가포르대학교에서 숙박함

(7) SNS(social media)현상으로 트위터(Twitter)가 초기단계(in its infancy)였지만 싱가포르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요트경기장에서 근무하던 자원봉사자들은 경기진행관련 보고를 트위터로 소통하였음

 

2)   Innsbruck 2012 (1회 동계 청소년올림픽/Winter YOG)

 

        

 

 

(1) 1회 청소년동계올림픽(the inaugural edition of the Winter YOG)초대 개최도시는 1964년 및 1972년 두 차례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오스트리아 5번째로 큰 도시인 Innsbruck Tyrol 주도(the capital of the Federal of Tyrol)의 기존 올림픽시설을 유효 적절하게 활용

(2) 따라서 Innsbruck는 두 차례 동계올림픽과 한 차례 청소년동계올림픽을 포함하여 세 차례 동계올림픽대회를 개최한 최초의 도시로 거듭남

(3) 개최기간: 113~22(10일간)

(4) 참가규모: 69개국 1,022명 선수들이 63개 세부메달종목에 참가

(5) 대회 기간 중 마련된 문화 및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참가자들에게 엘리트선수의 삶을 구성하는 다양한 면모에 대한 식견을 보여주었으며 반면 세계 최상위 올림피언들(high-profile Olympians)과 청소년 대사들(young ambassadors)로부터는 지도와 편달(guidance and advice)을 비롯하여 YOG경험과 기회를 최대로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제고

(6) 스포츠 경기 측면에서(in the sporting arena), Innsbruck2012대회는 2년 후 열리는 Sochi2014동계올림픽에서 선 보일 몇몇 신규종목(바이애들론 혼성 계주종목/the mixed relay in the biathlon, 루지 혼성단체계주/the mixed team relay in the luge, 및 스키 남녀 하프파이프 스노보드/ men’s and women’s halfpipe skiing)이 미리 소개되었음

(7) 또한 YOG는 몇몇 경기종목의 시범 장(the testing ground)이 되었는데 예를 들면 아이스하키 개인기 도전시범(the ice hockey individual skills challenge), 피겨스케이팅 및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종목들의 혁신적인 혼성 국가올림픽 팀 경기(innovative mixed National Olympic Committee team events)

(8) Innsbruck2012대회에 이름을 올린(many athletes who made their names) 많은 출전선수들은 이제 각자 해당종목에서(in their respective disciplines)주요국제스포츠스타들로 간주되고 있음

(9) Innsbruck2012청소년동계올림픽 피겨 여자 싱글 종목(the women’s singles) 은메달리스트였던 러시아의 Adelina Sotnikova Sochi2014동계올림픽 여자피겨종목 올림픽챔피언이 되었음

(10) 또 다른 사례로는 일본 여자스키점프선수인 Sara Takanashi인데 그녀는 Innsbruck2012에서 여자 개인금메달리스트로서 추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2013년스키점프혼성단체 normal hill종목 금메달, 평창2018 스키점프 normal hill 여자개인종목 금메달을 포함하여 자랑스런 5관왕이 되었음

 

3)   Nanjing 2014 (2회 하계청소년올림픽/YOG)

 

 

 

 

 

(1) 1회 청소년올림픽을 창시하고 치른 Rogge IOC위원장의 후임인 Thomas Bach IOC위원장이 폴란드의 Poznań을 앞질러 선출된 중국의 Nanjing에 입성함

(2) Nanjing 2014 IOC SNS(social media)가 대회성공의 견인차 요인(a crucial contributory factor)라고 주장

(3) 조직위원회관계자들은 가장 초기단계부터 소셜미디어가 대회의 선수단 홍보계획의 핵심성분”(from the earliest stages, social media has been a key ingredient of the team's promotion plan for the Games)이었다고 설명함

(4) 특히, Bach IOC위원장이 개회식이 열리는 동안 가능한 많은 이들에게’(“as many as possible” to be taken) 전파할 것을 요청한 후 소셜미디어 상에서 입 소문으로 퍼진(went viral)해시태그(hashtag) #YOGselfie 셀프카메라 선풍으로 관심이 촉발되었음(interest was generated)

(5) 대회 첫날만으로도(on the first day alone), 대회관련 뉴스와 토픽을 담아 45천만명의 중국웨이보(Sina Weibo)포스트에 접속함으로 셀프카메라는 대회성공의 주요 구성요소(with selfies a major component of this success)로 작용하였음

(6) Sina Weibo 플랫폼에는 6억 건 이상의 YOG대회관련 콘텐츠 보기(views) 62만 건의 YOG토론에 관여한 microblog 포스트가 올라왔음

(7) 해외 소셜미디어 networks상에 페이지 보기가 대회기간에 걸쳐 증가하였으며 대회조직위원회 Facebook Twitter계정에 followers숫자는 각각 42만명과 24천명을 초과하였음

(8) Nanjing2014대회기간 동안 사용된 35개 경기장 중 대부분(the majority) 2005년 열린 중국전국체전(National Games)에 앞서 신축된 것으로 이는 YOG관련 IOC규정에 부합하는 것임

(9) 동 시설물은 동 대회를 계기로(in the wake of the event) 일반대중이 계속 사용되고 있음

(10) 대회시설 중 YOG선수촌, 스포츠실험실(Sports Lab) YOG스포츠공원(Sports Park)만이 대회에 앞서 신축되었음

(11) Sports Lab 4건의 대회 시범스포츠를 치르도록 고안된 경기장(venue)로써, 우슈(wushu), 스포츠 클라이밍(sport climbing0, 스케이트보딩(skateboarding) 및 롤러 스케이팅(roller skating) 등이 해당되었는데 대회 행사 기간 동안 가동되었던 기능을 계속 유지(continuing to function as it had during the event)하고 있음

(12) Sports Park는 비치발리볼(beach volleyball), 하키, 럭비세븐즈(rugby sevens) BMX(자전거 모터크로스/bicycle motor cross)주관 경기장으로 활용되었으며 일반대중에게 스포츠시설로 개방되고 있음)

 

4)   Lillehammer 2016 (2회 동계청소년올림픽/Winter YOG)

 

 

(1) Innsbruck2012의 기존경기장 재 사용(re-using existing venues) 사례처럼 높이 칭송의 개최도시 (highly-praised hosts)대명사가 된 1994년 동계올림픽개최지인 Lillehammer2016에서도 재현되었음

(2) 대회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이 여전히 빼어나게 특징 지워졌지만 배우고 나누며”(Learn and Share)라는 구체적인 배움과 나눔의 가치관으로 변모되었음

(3) 선수역할모델(athlete role models)이 곁에 함께 하였으며(on hand) 준비과정의 모든 면모를 설명해 주는 워크숍도 공유되었음 

(4) 이러한 워크숍 주변에는 도핑관련 실질적인 정보공유도 가능하였음

(5) Lillehammer지역외에 Hamar, Gjøvik Øyer지역도 종목 경기가 함께 치러졌음

(6) 212일부터 21(10일간)까지 열린 대회에는 71개국으로부터 1,100명의 선수들이 70개 세부메달종목에 출전하였음

(7) 스위스 출신 Aline Danioth선수와 노르웨이 출신 Marthe Krakstad Johansen선수가 군계일학의 대명사처럼 돋보였음(stood out as the most decorated of them all)

(8) 스위스 출신 Aline Danioth선수는 복합스키종목(combined) 및 회전(slalom)종목에서 금메달과 수퍼-G 및 대 회전(giant slalom) 동메달과 함께 여자개인 알파인 스키 모든 종목메달을 싹쓸이 하였음

(9) 한편, 노르웨이 출신 Marthe Krakstad Johansen선수는 바이애들론 모든 싱글종목에서 시상대에 올랐는데(made it to the podium) 스프린트(sprint), 추발(pursuit) 및 싱글 혼성계주종목에서 은메달을 필두로(starting with) 혼성계주(the mixed relay)에서는 금메달로 대미를(finishing with) 장식하였음

 

5)   Buenos Aires 2018(3회 하계청소년올림픽/YOG)

 

 

 

 

(1) Buenos Aires 2018대회는 아시아대륙을 넘어선 첫 대회였으며 하계는 물론 동계는 유라시아를 벗어난 첫 대회(winter held outside Eurasia)였음

(2) IOC집행위원회는 BMX freestyle, kiteboarding, beach volleyball, futsal 침 묘기 체조(acrobatic gymnastics)와 같은 다수의 신규 세부종목과 종목은 물론 댄스스포츠(dance sport), 가라데(karate), 롤러 스포츠(roller sports) 및 스포츠 클라이밍(sport climbing)종목을 추가하는 데 동의 하였음

(3) 신규스포츠종목은 청소년 층의 참여구도를 형성함으로써 의미심장하고(significant) 젊은 층에게 먹히는(youth appeal) 취향으로 새롭게 떠오르고(emerging) 보편적이며(universal) 도시 풍(urban)의 스포츠를 혼합하여 나타내게 하려는 IOCBuenos Aires 2018측의 공유된 목표(shared goal of building youth engagement)가 반영된 것이라는 주장이었음

(4) 댄스스포츠가 올림픽정식종목으로는 온전히 새로운 종목(completely new event)인 반면, 가라데와 스포츠 클라이밍 종목은 Tokyo2020올림픽에서 선 보일 예고편(a teaser)의 역할이었음

(5) Buenos Aires 2018대회폐회식에서, 올림픽기(Olympic Flag)가 차기 제42022년하계청소년올림픽개최지(host of the next Summer YOG in 2022)이 세네갈의 수도 Dakar2022에게 인계인수 되었음

(6) 대회 폐회식 인계인수 식(the handover ceremony) 동안 아르헨티나와 세네갈 선수들이 줄지어 도열하고 있는 가운데(alongside a host of athletes from Argentina and Senegal) Soham El Wardini Dakar시장이 올림픽기를 인수받았음

(7) Bach IOC 위원장은 정말 환상적인 청소년올림픽대회’(really fantastic Youth Olympic Games)를 치러준 대회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을 치하하였으며, 이어 제3회 차기 Lausanne2020동계창소년올림픽 역시 Buenos Aires 2018 하계청소년올림픽의 성공에 힘입어 개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으리라 희망한다고 언급하였음

(8) Bach IOC위원장은 Lausanne2020을 지칭하며 남녀 동등한 수의 선수들이 출전하며(an equal number of men and women competing) 대회개회식에는 대회 첫 주에 예정된 종목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참가하고(competitors participating in the first week of events) 나중인 대회후반부에 출전하는 선수들을 위해 길을 열어 주는 2개의 물결 식 도착시스템(the two-wave arrival system)을 지향한다고 하면서 이것이 어떻게 성취되는지 보여주는 사례로(as examples of how this could be achieved) 작용할 것이라고 언급함

 

 

6)   Lausanne2020(3회 동계청소년올림픽/Winter YOG)

 

       

 

(1) 스위스 Lausanne에서 개최된 2020년 제3회 동계청소년올림픽(19~22/14일간) 122일 폐막됨

(2) 참가선수들은 만15~18세 각국청소년들 대상

(3) 3회 청소년 동계올림픽은 8개 경기장에 걸쳐 주로 진행되었지만, IOC본부가 위치한 Lausanne시내 및 주변지역에서 대회가 개최된 반면, 슬라이딩 썰매 종목과 스케이팅종목은 1948년동계올림픽개최도시인 St. Moritz에서 열렸음

(4) Lausanne2020대회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세계79개국으로부터 대략 1,872명에 달하는 선수들이 참가함으로써 사상최대규모였고 16개 종목 81개 세부종목경기 개최

(5) 청소년대회(YOG)는 대회취지상 모든 경기가 무료관람(admission was free to all events)였는데 동 대회이벤트에는 640,000명이 관람하였으며 이들 중 200,000명은 문화행사와 스포츠시범종목경기를 관람하였음

(6) 전체 관람객들 중 12.5%에 해당하는 80,000명가량은 학교학생들이었음

(7) Lausanne2020조직위원회는 기 발표된 예산규모인 US$4,000만불(480억원)을 고수하였으며 3,800명의 자원봉사자가 대회개최를 거들었음

(8) 대회행사는 올림픽채널로 중계되었으며 중계시간은 165시간 이상(more than 165 hours of coverage)이며 191개국에 방영되었음

(9) 대회 핵심결과는 스위스국민들에게 올림픽이벤트의 영향력이었는데 Sionn2026동계올림픽유치로 이어졌었을 정도였지만 아쉽게도 2018년 중반부에 실시된 주민투표(referendum)결과 유치도전이 실패하여 중도 철회한 바 있음

(10)             IOC에 관한 한 Lausanne2020대회 성공개최 후 개최도시의 대회노력에 대한 반응은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으며 특히 스위스 주민들은 얼어 붙은 호수에서 열린 스피드스케이팅경기를 즐겼다고 함

(11)             대회예산 US$4천만 불( 480억원)은 다음과 같이 염출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중 US$700만불( 84억원/17.5%)는 스폰서수입금(현찰/cash 및 현물/goods과 용역/service), US$600만불( 72억원/15%) IOC 보조금, US$2,700만불( 324억원/67.5%)Lausanne시정부-Canton of Vaud주정부-스위스정부 및 스위스올림픽위원회로부터의 보조금

(12)             대회 모든 종목 경기입장이 무료관람이었으며 TV중계권 판매도 없었으므로 Bach IOC위원장은 IOC자체예산 총US$2,900만불(348억원)이 대회개최비용으로 충당되었는데 이 예산에는 TV중계에 따른 전체 방송운영비지불 체결금액도 포함(included underwriting the entire broadcast operation)되었음

(13)             대회운영비에는 청소년올림픽(YOG)선수촌 비용인 US$1.62억불( 1,944억원)이 포함되지 않았던 이유는 Lausanne대학교 학생기숙사 프로젝트(a student-housing project)와 맞물려 있었기 때문임.

(14)             또한 대회운영비에는 US$2.36억불(2,832억원)이 소요된 신규 9,600석 규모 Vaudoise Arena아이스하키 경기장건설비용으로 사용되었지만 이는 Lausanne Hockey Club 경기를 수용하기 위해 건축된 것으로 향후 스위스 국내아이스하키리그 경기용이자 Malley Sports Centre의 다목적 시설의 일부이기 때문임

(15)             이렇게 제반 예산이 지역 학생기숙사와 지역의 장기필요충족의 일환으로 건설된 아레나 등의 비용으로 충당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다시금 IOC가 바라는 개최지의 대회운영비현실에 부합하도록 대회가 치러진 결과를 도출하였음


 

7)   Senegal2022 하계청소년올림픽(4Summer YOG)

 

 

(1) 개최도시: 세네갈 수도 Dakar

(2) 참가예상 선수 수: 4564

(3) 개최종목: 35개 종목 스포츠 244개 메달세부종목

(4) 개회식: 2022 1022

(5) 폐회식: 2022 119

(6) 주경기장: 신축예정(New Main Stadium)

 

 

8)   강원2024 동계청소년올림픽(4 Winter YOG)

 

 

 

 

(1) 표어(Motto): Let’s Make It Together (같이 합시다)

(2) 개회식: 2024 119

(3) 폐회식: 2024 22

 

 

*References:

-IOC website

-The Sports Examine

-Wikipedia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2. 10. 17:30

[Lausanne2020청소년동계올림픽대회결과 및 제반 개최비용분석]

 

 

우선 스위스 Lausanne에서 개최된 2020년 제3회 동계청소년올림픽(19~22/14일간) 122일 그 막을 내렸는데 전반적 개최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자.

 

참가선수들은 만15~18세 각국청소년들이 대상이다.
3회 청소년 동계올림픽은 8개 경기장에 걸쳐 주로 진행되었지만, IOC본부가 위치한 Lausanne시내 및 주변지역에서 대회가 개최된 반면,

슬라이딩 썰매 종목과 스케이팅종목은 1948년동계올림픽개최도시인 St. Moritz에서 열렸다.
Lausanne2020
대회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세계79개국으로부터 대략 1,872명에 달하는 선수들이 참가함으로써 사상최대규모였고 16개 종목 81개 세부종목경기가 열렸다.
청소년대회(YOG)는 대회취지상 모든 경기가 무료관람(admission was free to all events)였는데 동 대회이벤트에는 640,000명이 관람하였으며 이들 중 200,000명은 문화행사와 스포츠시범종목경기를 관람하였다고 보도되었다.

전체 관람객들 중 12.5%에 해당하는 80,000명가량은 학교학생들이었다.

 

Lausanne2020조직위원회는 기 발표된 예산규모인 US$4,000만불(480억원)을 고수하였으며 3,800명의 자원봉사자가 대회개최를 거들었다
대회행사는 올림픽채널로 중계되었으며 중계시간은 165시간 이상(more than 165 hours of coverage)이며 191개국에 방영되었다

대회 핵심결과는 스위스국민들에게 올림픽이벤트의 영향력이었는데 Sionn2026동계올림픽유치로 이어졌었을 정도였지만 아쉽게도 2018년 중반부에 실시된 주민투표(referendum)결과 유치도전이 실패하여 중도 철회한 바 있다.

IOC에 관한 한 Lausanne2020대회 성공개최 후 개최도시의 대회노력에 대한 반응은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스위스 주민들은 얼어 붙은 호수에서 열린 스피드스케이팅경기를 즐겼다.
대회예산 US$4천만 불( 480억원)은 다음과 같이 염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1) US$700만불( 84억원/17.5%)는 스폰서수입금(현찰/cash 및 현물/goods과 용역/service) 

(2) US$600만불( 72억원/15%) IOC 보조금

(3) US$2,700만불( 324억원/67.5%) Lausanne시정부-Canton of Vaud주정부-스위스정부 및 스위스올림픽위원회로부터의 보조금

 

대회 모든 종목 경기입장이 무료관람이었으며 TV중계권 판매도 없었으므로 Bach IOC위원장은 IOC자체예산 총US$2,900만불(348억원)이 대회개최비용으로 충당되었는데 이 예산에는 TV중계에 따른 전체 방송운영비지불 체결금액도 포함(included underwriting the entire broadcast operation)되었다.

대회운영비에는 청소년올림픽(YOG)선수촌 비용인 US$1.62억불( 1,944억원)이 포함되지 않았던 이유는 Lausanne대학교 학생기숙사 프로젝트(a student-housing project)와 맞물려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대회운영비에는 US$2.36억불(2,832억원)이 소요된 신규 9,600석 규모 Vaudoise Arena아이스하키 경기장건설비용으로 사용되었지만 이는 Lausanne Hockey Club 경기를 수용하기 위해 건축된 것으로 향후 스위스 국내아이스하키리그 경기용이자 Malley Sports Centre의 다목적 시설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제반 예산이 지역 학생기숙사와 지역의 장기필요충족의 일환으로 건설된 아레나 등의 비용으로 충당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다시금 IOC가 바라는 개최지의 대회운영비현실에 부합하도록 대회가 치러진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결과 이제는 스위스가 2034년 동계올림픽유치에 도전할 명분을 얻은 셈이라고 볼 수 있겠다.

Lausanne2020청소년동계올림픽에 앞서 열린 IOC총회에서 새롭게 구성된 IOC미래올림픽개최지선별위원회(Future Host Commission)의 첫 보고내용에 따르면 2030년 동계올림픽개최후보지로 거명된 곳은 일본의 Sapporo2030, 스페인의 Barcelona2030 및 미국의 Salt Lake City2030등인데 일본의 삿포로가 분명한 선두주자(the obvious front-runner)로 알려지고 있다.

Lausanne2020청소년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도 불구하고 스위스의 2030년 동계올림픽유치는 아직 시기상조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스위스올림픽위원회는 일단 20211Lucerne에서 열릴 예정인 세계동계대학 게임(Winter World University Games/과거 동계유니버시아드/Winter Universiad)에 집중하고 있다고 한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1. 28. 17:52

[Tokyo2020올림픽 Technogym사와 헬스클럽 운동기구 스폰서 계약체결]

 

 

2020 127일 한 외신보도에 따르면 Tokyo 2020올림픽조직위원회는 세계적인 파트니스 및 스포츠운동기구(fitness and sports equipment)회사인 Technogym사와 대회공식 서포터(an official supporter)로 계약 체결하였다.

 

 

동 계약체결로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일본 국내 파트너 수는 67개에 이르렀다.

 

Technogym은 헬스운동기구 카테고리의 파트너로써 자사 제품을 경기장 및 훈련장에 제공할 것으로 알려졌다.

 

Technogym사는 이미 이전 7개 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에 자사제품을 공급해 온 바 있다.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공식 서포터(Official Supporter) Tokyo2020스폰서 조달계획 상 Gold PartnerOfficial Partner다음의 3번 째 단계수준이다

 

 

 

 

 

 

 

 

Tokyo2020올림픽은 2020 724~89(17일 간), 패럴림픽은 825~96(12일 간)개최될 예정이며 조직위원회는 지금까지 일본 국내스폰서 수입금 US$30억불(3.6조원)을 초과달성 하였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Tokyo2020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9. 12. 25. 12:28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최종소요예산 US$126억불( 15조원)과 마라톤 및 경보(Race Walk) 삿포로로 이동이슈]

 

Tokyo 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조직위원회는 2019 1220일 대회 총 소요예산액을 발표하였는데 무려 US$126억불(1.35조엔/ 15.1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4버전 예산규모(version four budget) Tokyo2020측이 20191220일자로 확인하였는데 최근 2년 간 유지한 예산수치와 변동이 없었다.

 

 

Tokyo2020예산은 도쿄 시 정부(TMG: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및 일본정부와 연계하여 발표되었다

 

Tokyo2020올림픽 경보(race walk)종목경기장을 Tokyo에서 북쪽으로 800km이상 떨어진 Sapporo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지출예산은 도쿄 시 정부(TMG)부담으로 Tokyo2020조직위원회 총 예산에 병합되어 편성되었다

 

IOC는 대회기간 중 상승하는 온도열기에 대한 우려로(due to concerns over rising heat) 마라톤 및 경보(race walk) 종목 개최장소를 올림픽개최도시 Tokyo에서 북쪽으로 800km이상 떨어진 Sapporo로 이동하여 치르는 것으로 결정하여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기장이동결정은 선수들 및 관계임원들로부터 반발에 직면하기(met with a backlash)도 하였다

 

Tokyo2020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2019 1219일자로 남녀마라톤 2개종목 출발점과 결승점(the start and end point for both marathons)으로 2019 124일 열린 IOC집행위원회에서 합의된 대로 Odori Park가 될 것임을 확인하였다.

 

Tokyo 2020는 관련종목 경기장 이동에 따른 경비문제에 대하여 IOC측과 아직 논의 중이라고 확인하였다

 

한편, 2019 11 IOC Tokyo시가 준비해 왔던 경기코스에 투입되지 않는 미사용 분 도쿄 시 정부(TMG)지출예산에 대하여 산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Tokyo2020조직위원회 재정국장은 Reuters지와의 인터뷰에서 IOC가 관련비용을 염출하지 않을 경우 예비비 기금(contingency fund)에서 충당하겠다고 밝혔다

 

Tokyo2020조직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대회 예비비(contingency fund)책정 액 규모는 US$3억불(270억엔/3,600억원)정도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울타리 예산(ring-fenced budget)은 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기간 중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되는 경비지출을 충당하는데 사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예비비로 충당되는 항목에는 일본에서 열린 2019년초 럭비월드컵대회에 영향을 끼친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natural disasters)관련 비용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Tokyo 2020은 조직위원회 지출예상규모가 US$56억불(6,030억엔/6.72조원)으로 계상되고 있다고 밝혔다

 

Tokyo2020조직위원회의 예산은 IOC기여금(contributios), 대회 스폰서(sponsors), 라이선스(licensing) 및 입장권수입금(ticket revenues) 등으로 충당되고 있으며 조직위원회 예상수입규모는 US$59억불(6,300억엔/7.08조원)으로 알려졌다

 

수입금 수치(revenue figure)는 제3버전예산(version three budget)내역으로부터 살펴보면 마케팅활동에서 증가액으로 인해 활성화되어 왔다.

 

일본국내 스폰서 수입금만 초반 US$3억불(200억엔/ 3,600억원)에서 무려 10배 이상인 총 US$33억불(3,480억엔/ 3.96조원)규모로 껑충 상승하였다

 

조직위원회의 입장권판매수입금은 US$9억불(900억엔/ 1,08조원)이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Tokyo 2020은 테스트이벤트를 통하여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교통수송 및 대회 운영예산에 미세조정 필요항목과 함께 예상 지출액 및 이전에 예기치 못한 수요항목들을 파악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도쿄 시 정부(TMG)및 일본중앙정부가 부담하는 총 비용규모는 각각US$56억불(5,970억엔/ 6.72조원) US$14억불(1,500억엔/ 1.6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Tokyo 2020조직위원회가 발표한 투자대상에는 대회경기장들(venues)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향후 일본 스포츠(Japanese sport) 및 지역주민들(local population)을 위해 사용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개최 후 대회경기장은 스포츠, 음악, 문화행사 등을 위하여 사후활용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9. 12. 23. 10:24

[세계 반 도핑기구(WADA)러시아 단골도핑위반 강력제제철퇴 Tokyo2020올림픽포함 향후 대회 출전금지지침 虛와 實 논평 분석]

 

 

2019년 대미를 장식하는 국제스포츠 계 뜨거운 이슈는 반복되는 러시아의 금지약물복용(doping) 비 준수에 따른 WADA(World Anti-Doping Agency)의 결정내용에 따른 반응이다.

 

아래 내용은 The Sports Examiner 칼럼에서 발췌한 도핑 논란거리에 대한 평가와 비판 보고서로써 날카로운 각계의 목소리를 담고 있다.

 

 

 

<제목: WADA가 이만큼 정당하게 일을 처리한 것에 대하여: 그들이 러시아를 분노케 했다! 일까? 아니면 겉치레 쇼일까? >

 

TSX REPORT: WADA did this much right: they got the Russians angry! Or is it for show?

 

2019 129() WADA가 내린 결정은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sian Anti-Doping Agency) 4년 간 비 준수국가(non-compliant)로 붙잡은 것인데 이에 대하여 환호를 보이는 그룹도 있지만 러시아를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및 이후 대회에 완전한 금지조치를 원하고 있는 다른 그룹에서는 이러한 결정이 너무 관대하다고 간주하고 있다.(Monday’s decision by the World Anti-Doping Agency to hold the Russian Anti-Doping Agency to be non-compliant for a period of four years was cheered by some, but was considered too lenient by others who wanted Russia banned completely from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in Tokyo and beyond.)

대다수의 뉴스취재내용 중 빠진 것은 지난 2018 4월 발표 및 시행된 소위 서명 국들에 의해 설정된 관련 법규 준수 국제 표준하에 러시아에게 내려진 제재조치에 참조된 규정이다. 그 안에는 11 2.6 세칙이 상황을 통제하고 있는 바 아래 문구는 적절한 텍스트내용을 보여주고 있다(Lost in most of the coverage, of course, was any reference to the regulations under which the Russian sanctions were imposed, namely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Code Compliance by Signatories, issued in April 2018.
In it, section 11.2.6 controls the situation; simplified below to show only the pertinent text):

법규의 근간이 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결론사항이 필요이상으로 확대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결과조치로 말미암은 선수들 배제 항목에서 그 결론적 조치에 대하여 참작여부가 가능한지인데 서명 당사국들의 비 준수로 인해 어떠한 경우라도 선수들에게까지 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해 주는 메커니즘 체계를 창출하고 실행하는 것이다(“The consequences should not go further than is necessary to achieve the objectives underlying the Code. In particular, where a consequence imposed is exclusion of Athletes ...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whether it is feasible ... to create and implement a mechanism that enables ... Athletes ... to demonstrate that they are not affected in any way by the Signatory's noncompliance.)


그렇다면 그리고 선수들로 하여금 중립적 자격(예를 들면, 해당국 대표가 아닌 자격) 스포츠대회 참가허용이 결과조치의 효과를 반감시키지 않고, 또는 해당국 선수들에게 정정정당 하지 않는 수준이 아니고,  또는 해당스포츠대회의 청렴도 또는 도핑의 해악에 비추어 스포츠의 순수성을 수호하는 WADA의 약속에 대한 대중적 신뢰를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 명백할 경우, 그 때에는 WADA의 통제 하 및 또는 승인을 전제로 그러한 메커니즘이 허용될 수 있다” (“If so, and if it is clear that allowing them to compete in the Event(s) in a neutral capacity (i.e., not as representatives of any country) will not make the ... Consequences ... less effective, or be unfair to their competitors or undermine public confidence in the integrity of the Event(s) ... or in the commitment of WADA ... to defend the integrity of sport against the scourge of doping, then such a mechanism may be permitted, under the control of and/or subject to the approval of WADA ...”)

WADA집행위원회의 결정사항이 스포츠중재재판소에서 확정되기 위하여, WADA는 이러한 규칙들을 준수해야 한다. 이러한 제반 규칙들을 준수해야 하고 아니면 스포츠중재재판소에 의해 재제조치가 파기 환송되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decision of the WADA Executive Committee to be upheld at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it must follow these rules. MUST follow these rules, or have its sanctions reversed by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WADA
제재조치내용이 너무 가볍다는 다소 신경질적인 논평과 또 한편으로는 러시아가 심지어 이러한 수준의 제제조치로부터는 깨닫게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견지하고 있으며 또 한 부류는 러시아소식통으로부터 나오는 논평은 처벌조치가 너무 혹독하다고도 한다.(There were some hysterical comments that the sanctions were too light, some very considered views that the Russians simply will not learn from even this level of sanction, and comments from Russian sources that the penalties were too severe.)

항상 신중한 올림픽 2관왕이면서 미국 반 도핑기구 명예회장인 Edwin Moses AP와의 화상인터뷰에서 자신은 처벌수위가 러시아사람들이 향후 행위에 변화를 초래하리라고는 느끼지 않는다고 언급했다(The always-thoughtful Edwin Moses, Emeritus Chair of the U.S. Anti-Doping Agency <and two-time Olympic gold medalist>, told the Associated Press on video that he doesn’t feel the penalties will result in a change in future actions by the Russians):

나는 <러시아 인들의 행태가> 변화되리라는 것에 전혀 낙관적이지 않다. 그들은 이미 3차례 방망이를 휘둘러 삼진 아웃에 이르렀다. 그들이 적나라하게 보여온 표리부동, 기만과 허위는 이제 그 한계를 벗어났으며, 지금 전 세계 선수들 모두에게 당혹감을 안겨 주고 있고, 현 단계에서 그들은 언필칭 정직한 선수들이라고 지칭하는 선수들의 권리를 찾고자 투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는 동안 그들은 면제 부를 줄 수 있거나 유죄행위를 찾을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선수들 관련 모든 데이터를 훼손시켜오고 있다 (“I’m not optimistic at all that that’s going to change. They’ve had three swings at the bat. Struck out three times. The duplicity, deceit and deception that they exhibited is just beyond the pale, and I think it’s an embarrassment to the athletes in the world that now, at this stage, they’re fighting for the rights of their clean athletes, as they call them. Meanwhile, they’ve destroyed all the data that could either exonerate them or find that they’re guilty. So that within itself is another layer of deception.”)
WADA
가 발행한 성명서는 “WADA가 지금 LIMS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된 의심의혹이 있는 모든 선수들의 명단을 가지고 있으며 부단히 애쓴 범죄과학적 감식 조사덕분에, 이 자료는 해당 데이터가 조작되었거나 삭제된 선수들 명단도 포함하고 있음을 주목하고 있다면서 의견에 동조하지 않았으며” WADA RUSADA의 운영에 대한 최신 회계감사결과를 포함한 증거를 미루어 볼 때 RUSADA의 업무내용이 러시아 스포츠 내에 반 도핑 투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라는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ADA>의 현 운영체계에 대한 논평을 지지하였다. (WADA’s statement disagreed, noting that “WADA now has the names of all suspicious athletes in the LIMS database, and thanks to the painstakingly forensic nature of the investigation, this includes the athletes whose data was manipulated or even deleted” and endorsed a comment on the current operations of the Russian Anti-Doping Agency that “the evidence (including from WADA's recent audits of RUSADA's operations) indicates that RUSADA’s work is effective in contributing to the fight against doping in Russian sport.”)

●IOC
측은 제제조치가 확연히 실행되었었다는 견해를 강조한 성명서를 발표하였다(For its part,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ssued a statement that underscored that its view of the sanctions had been implemented):

한편, 우리는 보고서 내용을 통하여 스포츠운동이 이렇게 조작행위에 연루된 적이 없어 왔으며, 보고서내용자체가 특히 러시아올림픽위원회와 위원들과 관련하여 스포츠운동에 의해 자행된 그릇된 행위를 적시하지 않고 있음을 주목하는 바이다. 이러한 문맥에서 IOC WADA가 반 도핑 비 준수 행위에 의해 어던 방식으로도 연루되지 않음을 보여줄 수 있는 범위에서 러시아선수들이 경기에 출전하도록 제시하고 있는 기회제공에 대하여 환영하는 바이다. (“At the same time, we also note that the report finds that the sports movement has not been involved in any of this manipulation, and that the report does not indicate any wrongdoing by the sports movement in this regard, in particular the Russian Olympic Committee or its members. In this context, the IOC welcomes the opportunity offered by WADA to Russian athletes to compete, ‘where they are able to demonstrate that they are not implicated in any way by the non-compliance’.”)

러시아로부터 나온 반응은 예상대로 격렬하였다. 러시아 관영뉴스통신사인 TASS러시아 스포츠에 불어 닥친 도핑 스캔들이란 주제 하에 12월 한 주 중 3일에 걸쳐 다음과 같은 제하에서 27편의 기사를 게재하였다 (The response from Russia was predictably furious. The Russian TASS news agency posted 27 stories on the topic of “Doping Scandal in Russian Sports” from Monday through Wednesday, including these headlines):

= “RUSADA’s deputy chief says WADA’s verdict in Russia case was well-expected”

= “Russian athletes’ status in 2020 Olympics depends on length of CAS review”

= “Russian players to fly national colors at 2020 UEFA Euro Cup matches, says official”

= “Medvedev says WADA’s decision is continuation of anti-Russian hysteria”

= “Russian may file appeal to CAS since WADA’s decision violates Olympic Charter - Putin”

= “Collective responsibility must not violate interests of athletes from Russia, says Peskov”

= “Russian chess players to compete in global tournaments under national flag, says official”

= “WADA’s thorough probe into doping abuse in US is needed - Russian legislator”

= “Tretiak says Russia’s ice hockey team may play under national flag at 2022 Olympics”

12월 해당 주 수요일에는 국제복싱연맹(AIBA)이 누적하고 있는 부채 US$1,600만 불 지급을 시사한 바 있었던 러시아복싱연맹사무총장인 Umar Kremlev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 복싱선수들이 중립적인 선수자격출전을 요구하는 제재조치가 번복 및 파기될 경우에만 Tokyo2020올림픽에 참가할 것(Russian boxers will participate in the 2020 Olympic Games only if the sanctions requiring them to compete as neutrals are reversed.)이라고 발언하였다.

문제는 WADA의 결정이 반 도핑 비 준수의 경우 약점을 지니고 있는데 WADA의 제재조치가 단지 올림픽, 패럴림픽, 시니어 수준의 각종 세계선수권대회에 한하여 적용됨으로 해서 연령 별 그룹(age-group),주니어 또는 마스터즈 급( cadet or junior /or Masters events)대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제제조치에 규정되어 정의 된 대회에 러시아의 Saint Petersburg로 하여금 B그룹대회 와 8강전 시합을 개최할 예정인 유럽축구연맹 유로2000축구대회(UEFA Euro2020)와 같은 대륙 선수권대회(Continental Championships) 또는 지역선수권대회(Regional Championships)는 포함기준에 누락되어 있어서 러시아 팀이 그 곳 경기에 출전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라는 것이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9. 12. 5. 16:34

[AIRBNB(에어비앤비)글로벌 숙박대여알선업체 14번째 IOC 올림픽파트너계약(TOP)체결 올림픽숙박부족해결사 및 이익창출전도사 합류현황스케치]

 

 

지구촌 15천만 명이 이용하고 있는 글로벌 숙박대여알선업체(private accommodation rentals)로 명성을 떨쳐온 Airbnb(Air Bed & Breakfast/숙박공유사이트)가 올림픽참가자들에게 개최지역 숙소제공지원을 목적으로 IOC 2019 1118일 글로벌올림픽파트너(TOP)계약을 체결하였다.

 

Airbnb 2008년 창업하였으며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회사(the San Francisco-based company, founded in 2008)로 알려졌다.

 

Airbnb는 세계 거의 모든 나라에 대략 7백만 숙박가용 리스팅(listings) 15천만 명의 글로벌 사용자(150 million global users)를 보유하고 있는데 US$420억불( 50.4조원)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Airbnb 2019 2/4분기에 US$10억불( 1.2조원)의 매출수익(revenue)을 기록하였으며 2017년 및 2018년에도 이자, 세금, 감가상각 전 비용 포함 이익(profits before including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expenses)을 낸 것으로 보도되었다.

 

The Financial Times지에 따르면 Airbnb는 은행계좌에 US$ 35억불(40.2조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IOC가 발표한 Airbnb의 대표적 정체성 3가지는 다음과 같다:

 

(1) Airbnb joins the TOP programme and will support the sustainability objectives of the Olympic Movement (Airbnb TOP프로그램에 합류하며 올림픽운동의 지속가능 성의 핵심목표를 지원)

(2) Economic opportunity for athletes to develop revenue streams through new Airbnb Olympian Experiences (선수들로 하여금 새로운 Airbnb 올림피언 체험을 통한 수입의 흐름을 개발하도록 경제적 기회창출)

(3) Hundreds of thousands of new Airbnb hosts will support and participate in the Olympic Movement by providing accommodation and experiences through to 2028 (수십만 단위의 신규 Airbnb호스트들은 2028년까지 숙박 및 숙박체험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올림픽운동 지원 및 참여)

 

동 협약체결 목적은 (1)올림픽개최도시들과 (2)관람객들과 (3)팬들 및 (4)선수들 모두에게 “win”(승리)를 가져다 줄 호스팅(hosting)을 겨냥한 새로운 표준(a new standard for hosting)개념을 창출하는 것(designed to create a new standard for hosting that will be a win for host cities, a win for spectators and fans, and a win for athletes)이라고 IOC는 명시하였다.

 

계약체결 금액은 추정 액 US$5억불( 6천억원/현금<cash> 및 현물<value in kind>)으로 알려졌으며 향후 9년 간 5개 올림픽 및 패럴림픽(Tokyo2020-Beijing2022<동계>-Paris2024-Milano/Cortina d’Ampezzo2026<동계>-LA2028) IOC의 공식 글로벌 파트너로써 개최도시, 관중과 팬, 선수 등 모든 참가자 대상 숙박조성 환경조성에 뛰어들게 된 것이다.

 

Airbnb는 글로벌 올림픽파트너(Global Olympic Partner)의 지위로 독특한 숙박관련 서비스제품 및 특별한 체험서비스”(Unique Accommodation Products and Unique Experiences Services)의 독점적 카테고리를 담당하게 된다고 IOC는 밝힌 바 있다.

 

IOC Olympic Agenda2020의 핵심가치 중 하나인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정신에 부합된 올림픽개최도시를 비롯한 이해당사자로 하여금 경비절감과 신 개념의 올림픽숙박 인프라구축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될 수 있다.

 

동 계약체결내용에는 Airbnb가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 및 패럴림픽 마케팅권리 역시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IOC-IPC간의 장기협업협약을 통해 확보된 것이며 청소년올림픽에도 동시에 참여하게 된다.

 

특히 패럴림픽에서는 장애인 및 접근 성이 요구되는 참가자들을 위한 접근선 편의시설을 구비한 숙소도 동시에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Airbnb 공동창업자(Co-Founder) Joe Gebbia“Airbnb IOC는 세계최대이벤트를 창출하고 수용하는 데 강력한 기록보유자들이다. 우리가 체결한 올림픽파트너 협약은 올림픽이 가장 포용적이고 접근 성이 탁월하고 지속가능 성이 월등하도록, 그리고 참가선수들과 개최지 공동체에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긍정적 유산을 남길 수 있도록 확고히 할 것이다. Airbnb의 사명은 누구나 어디서나 소속감을 영유할 수 있는 세상을 창출하는 것이며, 올림픽정신이 우리공동체를 통해 전달될 것임에 자부심을 느낀다”(Airbnb and the IOC have a strong track record in creating and accommodating the world’s greatest events. Our Olympic partnership will ensure that the Games are the most inclusive, accessible and sustainable yet, and leave a lasting positive legacy for athletes and host communities. Airbnb’s mission is to create a world where anyone can belong anywhere, and we are proud that the Olympic spirit will be carried by our community.)라고 언급하였다.

 

Thomas Bach IOC 위원장은이번 혁신적인 파트너십은 효율적인 올림픽개최가 지속가능하고 개최지역 지역사회공동체에 유산을 남기려는 우리의 전략을 확증해 주고 있다. Airbnb의 지원으로 우리는 전 세계 선수들이 신체적 활동과 올림픽가치촉진을 통한 그들 자신만의 수입흐름도 개발할 것이다. 동 협약체결을 통하여 선수들에게 IOC가 금번 올림피아드 기간(4) 동안 올림픽조직위원회들과 전 세게 스포츠 조직이해당사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배분하고 있는US$ 50억불( 6조억 원)을 상회하는 규모의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 갈 것이다.”(This innovative partnership underpins our strategy to ensure that the efficient staging of the Olympic Games is sustainable and leaves a legacy for the host community. With Airbnb’s support, we will also develop new opportunities for athletes around the world to develop their own direct revenue streams through the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Olympic values. Through this partnership, there will also be a direct benefit for athletes over and above the USD 5 billion the IOC is distributing during this Olympiad for their benefit to Organising Committees and sports organisations around the world.)라고 언급하였다.

 

 

IOC/Greg Martin(Airbnb 공동창업자(Co-Founder) Joe Gebbia Thomas Bach IOC위원장/출처: IOC website)

 

 

Airbnb Rio2016올림픽 및 평창2018동계올림픽에서 국내스폰서(domestic sponsor)로써 올림픽을 지원 바 있다고 IOC는 밝혔다.

 

평창2018 당시 Airbnb호스트들은 수입합계액(collective in income) US$230만 불(27.6억원)의 소득을 올렸는데 당시 46개 호텔이 요구되었던 15,000명의 방문객들에게 숙박시설을 제공한 대가였다.

 

Airbnb becomes the 14th worldwide Olympic partner for Tokyo 2020 ©Airbnb

(Airbnb IOC 14번 째 글로벌 TOP파트너로 합류함/출처: Airbnb)

 

 

Airbnb 2019 1118일부로 기존13(1) Coca-Cola, (2) Samsung, (3) Visa, (4) P&G, (5) Panasonic, (6) Alibaba, (7) Atos, (8) Bridgestone, (9) Dow, (10) GE, (11) Intel,(12) Omega (13)Toyota 등 다른 최고위급 올림픽스폰서들( other top-tier Olympic sponsors)에 합류하였다.

 

 

2021년부터는 글로벌 IOC올림픽 파트너로 독일의 다국적 재정서비스 기업(German multinational financial services company) Allianz 15번 째 TOP파트너로 합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References:

-IOC Website

-Airbnb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