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20. 8. 23. 09:02

[미국올림픽 및 패럴림픽 박물관(USOPM) 공식 개관]

 

미국올림픽 및 패럴림픽박물관(USOPM)2020730일 본부가 있는 Colorado Springs에서 초대 객들을 모아 놓고 공식 개관하였다.

공식개관행사에는 USOPM이사진 외에 Colorado주지사인 Jared PolisColorado시장인 John Suthers 및 소수의 초청 객들 자리를 함께 하였다.

그들은 박물관 개관 용 리본 절단을 위해 대형 가위를 사용하였다(used a giant pair of scissors to officially cut the ribbon for the museum)

 

(Paralympic silver medallist John Register shares the emotion he felt as he visited the USOPM and realised his prosthetic leg from Sydney 2000 was on display ©USOPM /(미국 올림픽 및 패럴림픽 박물관 및 개관 행사 모습 사진 우측 Sydney2000 패럴림픽 은메달리스트 John Register가 박물관 개관에 대한 소감을 공유하고 있는데 자신이 착용했던 의족의 박물관 전시가 실현됨/출처: USOPM)

 

박물관 개관일 참석을 위한 입장권이 개관 전 주에 판매되었으며 앞으로도 입장권을 구입해야 박물관 관람을 할 수 있다. 연중 무휴 일주일 내내 개관하지만 추수감사절 및 성탄절에만 휴관할 것으로 알려졌다.

동 박물관 건립 기간은 10년이 소요되었다.

USOPM박물관의 핵심가치는 단순히 스포츠 박물관 그 자체뿐만 아니라 희망과 꿈 및 미국선수들의 우정과 결단과 모든 최고의 가치가 녹아 들어가 있다.

 

동 박물관은 미국 올림픽 및 패럴림픽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460개의 인공 유물(artefacts)이 전시되어 있는데 미국 아이스하키 전설의 골잡이 Jim Craig의 마스크를 비롯하여 Lake Placid1980동계올림픽 빙판 위의 기적’(Miracle on Ice)에서의 전광판(scoreboard)도 함께 전시 중이다.

 

USOPMLausanne올림픽박물관, Tokyo 올림픽 박물관 파트너이기도 한 Panasonic과의 디스플레이, 레이저 프로젝션 그리고 보안기술 협력을 통해 12개의 맞춤·체험 형 Interactive Storytelling 갤러리를 건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휠체어 이동에 불편을 주는 카펫을 바닥에 깔지 않게 하는 등 패럴림픽 선수들의 자문을 통해 장애인 방문객들의 편의성을 극대화하였다고 한다

한편, USOPM은 지난 20205 2 Memorial Day에 개관 예정이었으나 COVID-19로 인해 2020 7 30일로 개관이 한 차례 연기된 바 있다고 한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USOPM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7. 28. 10:30

[Qatar 2032년 올림픽유치경쟁 대열에 참여]

 

카타르가 이르면 2032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 유치경쟁대열에 참여 출사표를 던졌다.

카타르 NOC2020727() 중동지역에서 최초의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를 추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서한을 IOC에 발송한 후 올림픽유치의지를 발표하였다.

 

Doha, Qatar


2032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개최에 관심을 표명한 국가들로는 남북한 공동 유치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현재 선두주자인 호주의 Queensland와 인도네시아, 인도, 독일 등이었는데 카타르가 추가로 경쟁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카타르는 2016년 및 2020년 올림픽유치에 뛰어 들었다가 실패함으로 2032년 올림픽이 3번 째 도전이 되는 셈이다.

카타르 Doha2006년 아시안게임을 개최하였으며 2030년 아시안게임유치 당사국인데 사우디아라비아와 2파전 양상이다.

2032년 올림픽유치절차를 살펴보면 과거 조직적이고(structured) 값 비싸고(costly) 투명한 유치 캠페인(transparent campaign) 과정 대신, IOC미래개최지 선별 위원회(FHC)소속 소그룹 IOC위원들로 하여금 타깃 개최 후보지(a proposed host)를 선택하여IOC집행위원회 및 IOC총회에 상정하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조용하게 상호 기회를 탐색하면서 개최 잠재능력을 가늠하는 과정인 바 카타르로서는 처음 접해보는 방식이 될 것이다.

2019IOC총회가 승인한 새로운 규칙에 따르면 올림픽개최지 선정 날짜가 따로 정해지지 않고(no set date to elect a winner with the choice) “타이밍이 적절할 때”(when the timing is right)로만 되어 있을 뿐 따로 개최지 선출 시한이 정해져 있지 않다.

따라서 IOC2036년대회 및 그 이후 대회라도 개최할 관심 지역(an interested region)이 생길 경우 역시 적절한 타이밍에 선출되도록 제안할 수 있는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카타르 NOC(QOC)위원장인 Sheikh Joaan bin Hamad bin Khalifa Al-Thani는 성명서를 통하여 2032년 올림픽유치의지를 천명하였다.

인구 3백만의 소국 카타르는 2010년에 2022FIFA월드컵 축구대회유치에 성공한 바 있으며 올림픽유치를 염두에 둔 사전 행보로써 2027AFC Asian Cup 축구대회 및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 전에 참여하고 있다.

2022FFA월드컵 축구대회는 당초 2022년 여름철로 예정되어 있다가 개최국의 여름철 기후를 감안하여 11~12월로 대회 개최 시기를 변경한 바 있다.

하지만 같은 이유로 2016년 및 2020년 올림픽 개최시기가 IOC가 선호하는 7~8월과 동떨어져 두 번의 올림픽유치에서 결승후보도시 리스트에서 빠진 바 있다.

카타르의 FIFA월드컵유치과정에서 불거진 부패의혹 건(the subject of corruption allegations)과 월드컵 준비 과정에서 경기장 건설 인부들에 대한 인권침해 가능성이 노출(exposed possible human rights violations)되기도 하였다.

카타르 소재 방송 BeIN과의 인터뷰에서 Bach IOC위원장은 대회개최 12년에 앞서 2032년 올림픽에 대한 지대한 관심도에 IOC는 기쁘고 이러한 대화에 참여한 카타르를 환영한다고 하였다.

지난 주 Bach IOC위원장은 이미15개 지역이 향후 동 하계 청소년올림픽개최를 위한 유치 참여 대열에 합류하고(already lined up to host a Summer, Winter of Youth Olympics) 있음을 언급하였다.



Doha, Qatar’s 2016 Olympic Bid Logo

 

현재 진행되고 있는 COVID-19사태로 2032년올림픽유치경쟁이 소강국면으로 빠져 들면서 거의 다 잡을 뻔하다고 확신하였던 호주 Queensland주 총리인 Annastacia Palaszczuk역시 국내 건강 위급상황에 집중하기 위해 (to instead focus on the health emergency)급기야 유치 캠페인을 잠정 중단 한 바 있다.

다른 모든 2032년 대회 유치당사자들보다 진도가 훨씬 더 앞섰던 Queensland2032는 당초 계획대로라면 7월 중 완성 판 유치제안서’(a completed bid proposal)IOC에 전달하기로 되어 있었다.

전세계가 건강 및 경제위기회복 체제로 전환하면서, 올림픽유치 경관은 변화하였으며 유치경쟁 또한 재출발 국면에 접어 든 셈이다.

IOC집행위원들은 2032년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지 선출이 빠르면 2021년에 결정될 수 있다고 암시했던 바 있었지만, IOC는 이제 그 대신에 코로나로 인해 1년 연기된 Tokyo2020올림픽개최에 노력을 경주하며 집중하고 있으며 Beiing2022동계올림픽 역시 본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고 조직되도록 혼신의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다.

2020717일 열린 제136IOC총회는 아프리카 세네갈 Dakar개최얘정이던 2022년 청소년올림픽(YOG)개최를 취소하고 4년 후인 2026년도 연기하여 개최키로 승인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잇달아 연기된 올림픽 및 청소년올림픽 지연 개최 여파로 2032년 올림픽 유치경쟁에는 추가로 카타르 및 다른 유치후보지들이 합류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고 또 시간을 벌어 주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References:

-Gamesbids.com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7. 22. 07:48

[Thomas Bach IOC 위원장 세계태권도(WT)포함 15개 국제연맹 및 몇몇 NOC들에게 융자금 배분 US 1억불 규모 발표]


 

Bach IOC위원장은 IOC가 현찰을 풀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금을 배포할 것임을 발표하였다.

 


 

IOC성명서에 따르면 US$1억불 중 US$6,300만불(756억원)은 태권도를 포함 15개 국제연맹(IFs)(aquatics, archery, athletics, basketball, cycling, golf, gymnastics, hockey, judo, modern pentathlon, rowing, rugby, sailing, taekwondo and tennis)에 대한 융자금조로 첫 번 째 배분금은 지난 20206월 이미 배포되었다고 적시하였다.

Tokyo2020올림픽에 첫 선을 보일 신규 종목 5개국제연맹인 야구-소프트볼, 가라데, sport climing, skateboarding surfing인데 이들 5개 국제연맹은 Tokyo2020올림픽 TV중계권 수입금 배당금 배포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IOC로부터 기부금조로 현금지원을 받았다.

US$1억불 중 나머지 US$3,700만불(440억원)은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몇몇 NOCs들에게 배포되었는데 IOC“TOP프로그램 배당 할당금 규모인 US$15천만불(1,800억원)2020년 말까지 지불 예정.”(TOP Programme allocation amounting to USD150 million payable by end of this year)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IOC는 별도 기구(a separate entity)형태인 올림픽 재단 이사회는 IOC의 올림픽운동 활동지원노력을 보조하기 위한 최대기금규모인 US$3억불(3,600억원) 할당 결정을 하였다.

IOC의 재정보고서에서 올림픽재단이 2018년 말 현재 약 US$9억불( 1.08조원)의 자산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공개되었으며 올림픽재단은 IOC가 전체적으로 관할하고 있다.

 

*References:

-IOC website

-The Sports Examin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7. 20. 16:16

[2020717일 제136Online IOC총회(Video Conferencing) 주요 논의내용과 결과 25가지 요약]


 

9IOC위원장인 Thomas Bach IOC위원장(2013~2021)8년 임기가 내년이 만료된다. 하지만 올림픽 헌장 규정상 1회에 한하여 4년 연임이 가능한 상황에서 금번 제136IOC총회에서 2021년 제137IOC총회에서의 IOC위원장 재도전 의사를 확인하였다, 물론 관례상 단독 후보(unopposed).



2021년에는 제137 IOC총회 개최도시로 낙점된 그리스 Athens1년 연기된 Tokyo2020올림픽 개최 직전에 제138IOC총회 등 두 번에 걸쳐 별도로 열리기로 금번 화상 IOC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이 된 상태다.


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확산 진전에 따라 제137Athens IOC총회가 그리스에서 개최될 보장이 없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Bach IOC위원장은 인정하면서 그럴 경우 제137IOC총회는 또 다시 화상 IOC총회(virtual IOC Session)로 진행될 수도 있음을 시사하였다.



 Thomas Bach confirmed he would seek re-election during the IOC's first virtual Session ©IOC (136차 화상 IOC총회 진행 모습/출처: IOC website)

 

136차 화상 IOC총회 결정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2021년 두 차례 IOC총회 개최 제안 IOC집행위원회 권고안 승인

2)  2021년 봄 별도 개최 제137IOC총회에서 차기 IOC위원장 선출

3)  2021723일 열릴 예정인 Tokyo2020개회식 직전 제138IOC총회 개최

4)  IOC윤리 및 특별감사 수석 책임자(IOC Chief Ethics and Compliance Officer)에 따르면 2021Tokyo2020올림픽대회 기간 중 업무 단절성을 방지하기 위한(in order to avoid any discontinuity)선출된 IOC위원장의 업무 재 개시는 Tokyo2020 폐회식 다음날인 202189일부터 개시됨

5)  IOC집행위원회는 IOC총회의 권한 위임에 근거하여 2021년 제137Athens IOC총회 개최에 따른 정확한 일정 포함한 세부사항 결정하되 특히 총회개최도시로 결정된 Athens관련 그리스 NOC(HOC)입장을 포함하여 모든 관련 매개변수들(all relevant parameters)을 고려할 것

6)  올림픽헌장규정 개정/modifications(향후 유사한 IOC총회의 원격화상회의 개최 가능성 필요 명기한 올림픽 헌장 개정을 IOC집행위원회가 권고-à향후 IOC총회-IOC집행위원회-IOC분과위원회의 결정사항 채택 관련 테크놀로지 전문용어(terminology)연계 개정)내용 승인

7)  IOC선수위원회 선거관련

(1) 136IOC총회는 Tokyo2020올림픽 1년 연기 상황을 고려하여 IOC선수위원회 위원 선출 일정 재 검토에 따른 IOC집행위워회의 권고안을 수락 결정

(2) 원래 20207월 예정되었던 IOC선수위원 선거가 2021년 대회 개최될 때까지 연기 결정과 더불어 기존 2020년 교체 예정 IOC선수위원 5명은 임기가 1년 연장되었음

(3) 더불어 IOC선수위원회 위원장 및 부위원장의 임기도 1년 자동 연장됨으로 IOC선수위원장인 짐바브웨 출신 Kirsty Coventry 역시 당연 직 IOC집행위원 직도 2021년 선거 때 까지 1년 연장됨

(4) 201912IOC집행위원회가 승인한 IOC선수위원 후보자들 역시 2021년 선거 후보로 유효하며 2021Tokyo올림픽에서 선출되는 IOC선수위원들의 임기는 LA2028 폐회식 날 종료됨

(5) 2022Beijing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치러질 IOC선수위원 선거 출마 후보자 과정 관련 사항은 20212월 발표될 것이지만, 후보자 지명과 후속적으로 진행되는 후보자 승인 과정은 Tokyo2020 IOC선수위원 선거 후인 202111월에 가서야 최종 마무리 될 것임

8)  Mr. John Coates호주 IOC위원 및 Mr. Ser Miang NG싱가포르 IOC집행위원을 2명의 IOC부위원장으로 선출하였으며, Mrs. Mikaela Cojuangco Jaworski Mr. Gerardo Werthein IOC위원을 신임 IOC집행위원으로 선출함

9)  IOC집행위원회가 2020610일 추천한 5명의 신임 IOC위원들 역시 선출되었음

10) John Coates Ser Miang NG 신임 IOC부위원장은 4년 임기가 만료된 터키의 Professor Uğur Erdener 및 스페인의 Mr. Juann Antonio Samaranch, Jr.를 교체 한 것임

11) 또한 Mrs. Mikaela Cojuangco Jaworski Mr. Gerardo Werthein IOC위원을 신임 IOC집행위원은 4x2=8IOC집행위원 연속 임기가 만료된 우크라이나 출신 Mr. Sergey Bubka 4IOC집행위원임기를 마치고 신임 IOC부위원장으로 선출됨으로 IOC집행위원 직을 떠난 결과로 생긴 공석에 대한 교체임

12) 금번 선거 결과 IOC집행위원회를 대표하는 여성 점유 비율은 33.3%이며 IOC1부위원장 역시 미국 여성 IOC부위원장인 Anita DeFrantz

13) 신임 IOC위원 5명 중 4명은 개인자격 IOC위원이며 나머지 1명은 국제연맹(IF)자격 쿼터 내에서 연관된 선출 직임

(1) 개인자격 신임IOC위원(Individual Members)4:

- (쿠바/여성) Mrs Maria de la Caridad Colón Ruenes (Female, 1958, Cuba)

-(크로아티아/여성) Mrs Kolinda Grabar-Kitarović (Female, 1968, Croatia)

-(사우디/여성) Princess Reema Bandar Al-Saud (Female, 1975, Saudi Arabia)

-(몽골/남성) Mr Battushig Batbold (Male, 1986, Mongolia)

(2) 국제연맹 자격 신임 IOC위원(Member linked to a function within an   IF):

-(영국/남성/세계육상경기연맹회장) Mr Sebastian Coe, President of World Athletics (Male, 1956, Great Britain)


     14) 136IOC총회에서 신임 IOC위원 5명이 추가됨으로써 2020720일 현재 IOC위원 총수는 104명이 되었음

     15) IOC위원들 중 39명이 여성으로 2013년 여성비율 21.3%에서 2020년 현재 38%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양성평등 리뷰 프로젝트 중 지배구조 관련 권고 제안 실행의 실질적인 결과(a tangible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Gender Equality Review Project’s governance-related recommendation)

     16) 수 주 전 IOC2020년도 IOC각 분과위원회 구성 현황을 발표 하였는바 여성 구성원 비율이 47.7%를 나타내 Olympic Agenda 2020개혁의 구체적인 성과임(a concrete outcome)

      17) 재 선출 현황

          (1) IOC선수위원 15 명 쿼터 중 잔여 3명이 모두 8년 임기 연장 임명됨 (Mrs Lingwei Li, Pierre-Olivier Beckers-Vieujant Mrs Aïcha Garad Ali.

       18) IOC위원 자격 지위 변동 및 임기연장(Change of status and extension of term)

(1) IOC 위원인 Mr William Frederick Blick(우간다) NOC위원장자격 IOC위원에서개인자격 IOC위원으로 자격 지위가 변동됨

(2) Zaiqing Yu(중국/1951년 생)2021년이 70세로 IOC위원 연령제한(age limit)에 도달하지만 4년 정년 연장이 되어 2025년 말까지가 새로운 임기임

(Zaiqing Yu 중국 IOC부위원장과 함께/Athens2004 Beijing2017)

19) IOC명예위원(Honorary Member)

-(감비아 여성 IOC위원) Mrs Beatrice Allen,(1950년 생)  연령제한 70세 해인 2020년이 도래하여 IOC위원 14년 경력으로 IOC명예위원으로 자격 지위가 변동됨

         20) IOC는 제136IOC총회 승인에 따라 20207172019년도 연례보고서 및 재정 현황 기술서(Annual Report and financial statements/Credibility, Sustainability, Youth)를 발간함

         21) 2019년도 연레보고서에 따르면 IOC2019년 말 현재 재정 보유 고(Reserves) US$ 25.1억불(3120억원)로 나타나 있음

         22) IOC총회는 사상 최초의 아프리카 대륙 개최 청소년올림픽인 세네갈의 Dakar2022에 대하여 Macky Sall세네갈대통령의 요청에 의거 4년 연기하여 2026년에 개최하는 동의안을 승인함

         23) 미래올림픽개최위원회(Future Host Commissions)는 향후 동 하계올림픽, 동 하계청소년올림픽 유치 과정에 15개 잠재적 개최후보들과의 토의가 있었음을 보고함

         24) 올림픽유치위원회 회계관련 평가 리뷰에 따르면 2026년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지출 경비가 평균 US$500 만불(60억원)2022년 동계올림픽유치후보도시 별 평균 지출 금액인 US$3,500만 불(420억원)과 극명한 대비가 됨

         25) IOC집행위원회의 간략 회의가 2020722() 예정되어 있는바 Bach IOC위원장에 따르면 동 회의는 새로 선출되어 구성된 IOC집행위원회 진용의 신입집행위원적응프로그램”(on-boarding)이 주된 소집 목적이라고 암시함

 

*References:

 

-IOC website

-The Sports Examin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7. 16. 16:11

[코로나 사태 이후 맞이하는 사상 첫 화상 IOC총회2020(Post Corona Era and First-ever Virtual IOC Session2020)를 가상(假想)해 본다]

 

2020717일에 열리는 2020IOC총회는 사상 최초로 100명의 IOC위원들과 십 여명의 IOC명예위원들이 해당국가에서 항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또 호텔에 숙박하지 않으면서 자국 각자의 사무실 공간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가상 IOC총회에 참석하는 초유의 진풍경이 될 것이다.

 


 

매년 개최되는 IOC총회 개회 전날에는 개최국 VVIP 및 지역 및 국제 명사들(celebrities)을 초청하고 총회개최도시의 문화와 예술성을 포함한 의미 있고 볼 거리가 다양한 IOC총회 개회식 행사 또한 생략될 것이다. 관련 의전비용과 안전 비용 및 제반 인건비 비용 또한 모두 절감될 것이다.

717일 열리는 사상 초유의 화상(virtual) IOC총회는 기존 IOC총회가 3일 간 개최된 반면 4시간짜리 온라인 회의가 될 것이며 따라서 IOC의 권력이 사실상 실제적으로(virtually) 그리고 전적으로 또 명실상부하게 IOC위원들로부터 IOC사무처로 이관되는 계기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IOC사무처는 이미 그전부터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판을 이끌어 온 것(running the show)이 주지의 사실이다.

IOC총회를 기획하고 운영하고 진행해온 IOC사무처의 역할과 수고도 훨씬 단순하고 간략하고 단순해 질 것이다.

100IOC위원, 십 수명 IOC명예위원, Tokyo2020-Beijing2022-Dakar2022(YOG)-Paris2024-Gangwon2024(YOG)-Milano/Cortina d’Ampezzo2026-LA2028 동 하계올림픽 및 청소년올림픽조직위원회 대표단 등 참가 구성원들의 항공료-숙박비-현지 교통비-부대 비용 등은 상당한 절감효과가 예상된다.

반면 IOC위원들로서는 IOC총회 참석을 위하여 개최도시까지 Luxury한 여행 기회와 각국 일류 호텔 숙박 기회를 포함하여 올림픽 운동 구성원들과의 social net-working 계기도 모두 상실됨으로 IOC위원으로서의 특권과 혜택과 보람이 모두 공중분해 된 것과 다름 없다라는 사실 또한 경험하지 못한 상실감으로 다가올 것이다.

이러한 특권과 지위와 혜택 없음이 지속될 경우 그 누가 IOC위원이 되기를 원하겠는가 반문해 본다.

화상 IOC총회에 임하는 IOC위원들의 경우 생전 경험해 보지 못한 화상(virtual/가상) IOC총회에서 원격 발언과 원격 투표 행위가 얼마나 낯설고 어색할 것인가?

혹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거나 회의를 이해 못하는 IOC위원들의 경우 원격 동시통역 서비스(?)가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도움이 될 지 여부도 미지수다.

다음은 IOC가 공식발표한 2020IOC총회 의제내용이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7. 9. 16:36

[故 최숙현 트라이애슬론 선수 자살 사태 등에 따른 책임소재 결론 및 후속 수습책 타산지석(미국 사례)]

 

 

대한체육회(KSOC: Korea Sports and Olympic Committee)가  최숙현 트라이애슬론 선수의 극단적 선택에 따른 후유증으로 또 다시 호된 여론의 비판에 직면하며 급기야 문재인 대통령이 사안의 중대성을 지적하였으며 국회 문화체육관광 상임위원회를 비롯하여 도마에 오르고 있다.

2019 115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이기흥 대한체육회(KSOC)회장이 잠실 올림픽 파크텔에서 열린 대한체육회 이사회에서 성폭력 피해 선수들과 국민 앞에 사과하고 체육계 쇄신 안을 발표한 바 있다.

"메달을 포기하는 일이 있어도 (성폭력 가해자에게 관대한) 온정주의 문화를 철폐하겠다."

 

특히 빙상선수들에 대한 성폭력 사태로 촉발된 사건에 대하여 이 회장은 "조직적 은폐나 방조 시에 연맹을 즉시 퇴출시키고 지도자가 선수의 미래를 좌지우지하며 이를 무기로 부당한 행위를 자행하는 것을 뿌리 뽑겠다"라고 하면서 "빙상연맹에 대한 광범위하고 철저한 심층 조사를 실시해 엄중하게 책임을 묻고 관리감독 최고 책임자로서 시스템 완벽하게 구축하고 정상화하는 데 마지막이란 각오로 철저히 쇄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성폭력 예방과 피해자 보호를 위해 국가대표 선수촌 내 선수관리 시스템도 개선하기로 했으며 그 일환으로 우선 여성 부 촌장과 여성 훈련 관리관을 채용하고 숙소와 일상생활 관리체계를 전면 개편한다고 하였다

 

구체적 실행방안으로 선수촌 안에 인권상담센터를 설치하고 인권관리관과 인권 상담 사를 상주 배치하는 한편, 인권관리관에게 성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후견 자 임무 부여하기로 하는 등 향후 재발방지 대책을 발표했다고 보도되었다.

끝으로 이 회장은 "정부와 협의해 현재 성적지상주의와 엘리트 체육 위주의 육성 방식을 전면 재검토해 개선안 마련하고 합숙 위주의 훈련, 도제 식 훈련 방식의 근원적 쇄신 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던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체육시민단체들은 이 회장과 대한체육회 임원들의 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미국은 미국 스포츠 계와 미국 전체를 들 쑤셔 놓았던 미국여자체조 팀닥터 Larry Nassar성폭력 사태로 미국올림픽위원회 위원장/IOC위원 직 및 사무총장(CEO)은 미국스포츠조직위 리더로서의 책임을 통감함으로 모두 자리를 내려 놓고 새로운 리더십에 지휘봉을 넘겨 주었다미국체조연맹회장단 사퇴는 진작에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체육 계 성폭력 사건 전말과 미국올림픽위원회(USOC)수뇌부 연이은 사퇴 경과와 쇄신 책>



 

1)  2018 228(미국 현지시간) 미국 여자 체조 대표팀닥터 Larry Nassar(당시54)의 미국 여자 체조대표선수들 성추행(sexual abuse)사건과 관련하여 산하단체인 미국체조협회를 포함하여 미국 올림픽 체육 계를 관할하는 USOC의 행정 총괄 Scott Blackmun USOC사무총장(CEO)이 사임하였다고 AFP통신이 보도한 바 있다.

2)  당시 USOC 사무총장(CEO)8년째 재임 중 이었던 Scott Blackmum Larry Nassar미 체조 대표팀닥터의 성추행 사건을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던 것으로 비판을 받았었으며 다수의 미 상원의원들이 그의 사임을 요구하였다.

3)  미 여자 체조 대표팀과 미시간 주립대학교(MSU)체조 팀닥터였던 성추행 당사자 Larry Nassar는 최소 265명 여성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른 행적이 드러나 징역 175년 선고 받은 바 있다고 외신이 보도한 바 있다.

4)  이처럼 2018년 한해 동안 미국올림픽위원회(USOC)는 전임 미국 체조 팀닥터인 Larry Nassar가 연루된 성폭력 건들을 다루는 데 있어서 비판을 받아 오고 있던 상황이었다.

5)  결국 2018910Larry Probst(68/당시 10년 차 위원장) USOC위원장(Chairman) 2018년 말 위원장에서 사임할 것(will step down as chairman of the USOC)이라고 발표하였다

         (Larry Probst III USOC 전임위원장과 전임 USOC CEO Scott Blackmun)

 

6)  USOC위원장 직 사임과 더불어Larry Probst 2013년 러시아의 Alexander Zhukov 러시아 NOC위원장과 함께 NOC자격으로 선출되었던 애지중지하던 IOC위원자리도 선출 5년 만에 과감히 포기한 바 있다.

7)  2008년에 처음 USOC수장으로 선출된 후 4년 뒤인 2012년 및 2016 USOC위원장으로 재선 및 3선된 Probst USOC집행위원회에서 자신을 교체하여 새로운 수장으로 만장일치로 선출된 Lyons에 대하여 새로운 세대의 지도자들을 위한 시간이 되었다(time for a "new generation of leaders" with Lyons elected unanimously to replace him by the USOC board)고 자신의 거취를 분명히 한 바 있었다.

8)  사태수습을 위한 USOC(USOPC) “선수안전 집중관리 실무그룹은 USOC가 좀 더 일찍 대응할 수 도 있었을 문제의Nassar성폭력 스캔들이었다는 뉘앙스로 혐의에 직면하고 있던 USOC와 함께 동건 사례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고(specifically looked at the Nassar case with the USOC facing allegations that they could have responded sooner to the scandal) 들었다.

9)    따라서 Susanne Lyons2018년 몇 개월 간 CEO직무대행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그녀는 선수 안전과 참여방안 개선 목표(aimed at enhancing athlete safety and engagement)지향 몇 가지 조치를 발표하기도 하면서 조직을 이끌어 왔다고 언급 한 바 있었다.

10)  Larry Probst USOC위원장(Chairman)2018년 당시 새로 영입한 Hirshland USOC조직을 환골탈태하도록 도움이 되는 그녀 나름의 독특하고 검증된 재능과 경륜의 소유자(a unique and proven set of skills and experiences which would help to transform the organization)라고 발언 하였다


(USOPC신임 위원장 Susanne Lyons 및 사무총장/CEO Sarah Hirshland)

 


11)  Hirshland USOC조직이 도전과제들에 직면하고 있음을 인정하였으며, 향후 선수들이 보호받는 구조를 확고히 하겠다고(admitted the organisation faces challenges and said she would look to ensure athletes are protected.)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

A.  "I recognise the challenges ahead as we navigate this critical moment in the USOC's history." (USOC역사상 위기의 순간을 항해하고 있는 가운데 나는 닥칠 도전과제들이 있음을 인정하는 바임)

B.  B."We must protect, support and empower athletes, young and old, elite and beginner.(우리는 선수들이 남녀노소, 엘리트나 초보자 간에 선수들에 대한 보호, 지원 및 힘 실어주기에 매진해야 함)

C.  C. "Olympic and Paralympic sport in the United States must be a shining example, able to provide athletes with the benefits of participation in an environment free from abuse of any kind. (미국에서 올림픽 및 패럴림픽 스포츠가 빛나는 모범사례가 되어야 하며 선수들에게 어떤 종류를 막론하고 폭행이 발을 못 붙이는 환경에서 참가로 인한 혜택이 선수들에게 돌아가도록 힘써야 함)

D.  "The USOC has made great strides in this area and I look forward to carrying on that critically important work." (USOC는 이러한 영역에서 위대한 진전을 이룩해 왔으며, 나는 그렇게 심히 중요한 업무를 수행할 것을 학수고대하고 있음)

 

12)  USOC 사무총장 직무대행이었던 Lyons체제하에서 USOC Wendy Guthrie()를 선수안전 선임국장(their senior director of athlete safety)으로 발표한 바 있으며, 미국 안전 스포츠 센터 기금을 두 배로 증액한(doubled the funding of the US Center for SafeSport) 바 있다.

13)  그들은 또한 Lisa Borders()를 선수 및 가맹경기단체 참여 위원회 위원장으로 지명한 바(chair of an Athlete and National Governing Body Engagement Commission) 있다.

14)  보다 증액된 기금과 재원(further funding and resources)성폭행으로 영향을 받은 선수들에게 주기로 되어 있으며(set to be given to athletes impacted by sexual abuse), 동시에 USOC는 안전대책보장추가조치로 안전 정책과 절차에 대한 전반적 검토 실행(are reviewing their safety policies and procedures to add further safeguards)에 들어가고 있다고 첨언하였다

15)  Lyons 전임 USOC사무총장 직무대행은 여러 건의 폭행 스캔들에 대한 반응으로 소집된 의회청문회에 USOC를 대표하여 참석한 바(has represented USOC in a Congressional hearing held in response to various abuse scandals) 있다

16)  이전 USA체조 팀닥터였던 Larry Nassar2018년 초 300명 이상의 고소인들이 고소한 후175년 징역에 처해 진 바(jailed for up to 175 years after more than 300 people accused him of abuse earlier this year) 있다

17)  USOC신임 CEO임용을 위하여 전국적인 검색(the nationwide search)이 이루어졌는데 이 업무는 중역 탐색 및 리더십 컨설팅 회사(an executive search and leadership consulting firm) Spencer Stuart가 실행하였다.



18)  우리나라의 경우 대한체육회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체육단체들이 사무총장 등 중역 직책을 임명할 때 inner circle 및 개인적 친분과 선호도에 의해 국내외적 검증절차 없이 개별 선발하는 것이 관행으로 되어 온 것이 작금의 현실인 것 같다.

19) 세계 스포츠를 선도하는 미국 등 유럽 선진국들과 같이 인재등용 시 능력과 경력 그리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인재들이 객관적 보편 타당성 있는 인재발굴전문회사를 통하여 발굴한 후 절차를 거쳐 선임하는 인재등용선진화를 Bench-Marking하는 날이 하루바삐 정착하 한국스포츠위상에 걸 맞는 제도개선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Larry Probst USOC전임위원장 부부와 함께 Sochi2014동계올림픽 현장 USOC House에서)

 

*References:

-insidethegames

-AFP통신

-OhmyNew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7. 1. 20:18

[Tokyo2020올림픽비상벨 여론조사결과 Tokyo주민 과반수2021년 개최도 반대]

 

2020630일 한 외신 기사에 따르면 Tokyo주민(residents)과반수가 20211년 연기된 올림픽개최에 반대한다고 여론조사결과가 나왔다.

최근 새롭게 실시된 여론조사(survey)에 의하면 Tokyo시민 50%이상(more than half of Tokyo residents)1년 연기 상태인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2021년 개최를 원치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바이러스대유행사태로 2021년 개최로 연기된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이지만 대회가 진행될 것인지에 대하여서는 아직 의문 상태로(doubts remain about the Games going ahead) 알려지고 있다

Kyodo NewsTokyo MX TV채널이 전화로 실시한 여론조사 대상은 1,030명이었다.

 

여론조사대상의 51.7%에 해당하는 응답자는 올림픽이 다시 연기되거나 취소되기를 원한다는 견해였으며 그중 46.3%응답자는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재 조정되어 열리기(wanting the re-arranged Tokyo2020 to take place)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1년 대회개최반대 응답자 중 24%는 한번 더 올림픽개최 연기를 선호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재 연기 옵션은 Tokyo2020조직위원회와 IOC에 의해 반복해서 거부당한 생태다

이들 응답자 중 27.7%는 완전한 대회 취소를 지지했다.

2021년 대회개최를 원하는 응답자 중 31.1%는 대회축소개최 당위성을 언급했다.

Toshirō Mutō Tokyo2020조직위원회 사무총장(chief executive)을 포함한 조직위원회 관계자들 역시 간소화 된 올림픽 및 패럴림픽”(simplified Games)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으며 20206월에대회 축소 방법에 대한 200가지 아이디어를 발표하면서 방안들을 고려하고(200 ideas on how to scale things back were being considered) 있다.

2021년에 계획된 대로 축소하지 말고 본래대로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개최하자(holding a full-scale Olympics as planned)는 방안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15.2%였다.

1년 연기된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은 이제 각각 2021723~88일 및 824~95일 열리기로 일정이 조정된 바 있다.

일부 관측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전세계에 걸쳐 현격하게 진정국면에 들어서지 않고 또 백신이 개발되지 않을 경우 조정된 대회개최일정도 실현가능 하지 않을 것(not feasible)으로 믿고 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만일 2021년 대회 개최가 불가할 경우 전면 대회 취소 국면으로 갈 것임을 인정하는 군에 속해 있으므로 두 번째 연기는 고려 대상이 아닌 입장이다

Tokyo 2020 집행위원인 Haruyuki Takahashi는 또한 번의 일정 변동(another shift in dates)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왔다.

대회 지연 개최로 말미암아 대회조직위원회관계자들에게는 어마어마한 물류관련 도전과제를 생성해 주었는데 Bach IOC위원장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거대한 조작그림맞추기 이며 모든 조각 조각이 딱 들어 맞아야 하는 것”(a huge jigsaw puzzle and every piece has to fit)으로 묘사해 오고 있다.

일본 NHK TV방송사가 실시한 또 다른 여론조사 결과 Tokyo2020에 참여한 스폰서 기업들 중 2/3202012월이 지나고 계약을 연장할 지에 대해 불확실(unsure)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그중 14%에 해당하는 스폰서 기업은 계약연장여부가 제시 가격(asking price)에 달려 있다고 언급하였다.

재 조정된 Tokyo올림픽대회 화두가 202075() 예정된 Tokyo주지사선거(gubernatorial election)캠페인 와중에 핵심토픽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Tokyo도지사(Incumbent governor) Yuriko Koike가 승리하여 두 번째 임기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그녀의 라이벌 중 한 명인Tarō Yamamoto후보는 본인이 선출된다면 Tokyo2020올림픽을 취소하겠다는 공약(pledged to cancel Tokyo 2020 if elected)을 내걸었다.

Tokyo시내에 지난 4일 간 50건 이상의 확진자가 보고되면서 일본에 코로나바이러스 2차 감염 공포9 fears of a second wave of coronavirus)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확진자 통계는 일본이 비상사태 하(under a state of emergency)에 있던 5월초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6. 24. 11:12

[2050년까지 동계올림픽 개최지 중 절반이상이 대회개최 불능 상태 도달]

 

동계올림픽 개최 도시들 중 19곳 중 10 곳에 해당하는 절반 이상이 앞으로 30년 후인 2050년이 되면 동계올림픽개최지로써 기능이 불가할 것이라고 기후변화관련 3(Playing Against the Clock-the Climate Emergency-The Case for Rapid Change) 단체에서 발행한 새로운 보고서에서 경고했다.

 

 

 

2080년까지 동계올림픽개최에 적합한 개최지 수는 다시 4곳이 또 줄어 단 6곳만이 남게 될 것이라고 the Rapid Transition Alliance보고서에 명시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가 천편일률적은 아니지만(not uniform) 현재의 추세로 보아 거의 보편 타당한 결과 중 하나는 평균기온은 대회 개최지였던 산악 지역을 포함하여 어느 곳이나 상승할 것인데 그것은 적설량이 감소하고 강설 횟수도 줄게 되고 적설도 빠른 속도로 녹아 내리게 될 것이라고 한다.

 

Vancouver2010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당시 기록적으로 가장 따뜻한 날씨로 인해 설상 경기장이 위치한 Cypress Mountains지역에서 경기장(fields of play)시설 설치 준비에 애를 먹었었다고 보고서에 기록되었으며 Sochi2014대회는 여전히 따뜻한 상태가 지속되어 적설량이 부족했던 것과 쌓인 눈도 물기가 많은 폭설 이라서 경기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바람에 많은 스키선수들의 불평 거리였다.

 

Sochi2014대회에서는 이러한 악 조건으로 인해 메달 획득 선수들이란 파삭파삭한 설질 위에서 유리한 경기를 진행할 수 있었던 각 스키 경기 첫출발 10명의 순번에 든 선수들 중에서 가장 많이 양산되었고 뒤 순번에 든 선수들은 설 질이 순식간에 악화되어 그만큼 불리하였다.

 

스키 알파인 종목 중 프리스타일 스키와 스노보드 종목 경기는 Vancouver2010대회와 비교할 때 실제 선수들의 경기 완주 율이 5% 급감하였고 선수 부상 율도 9% 증가하였다.

 

동 보고서에 의하면 동계올림픽 이야말로 스포츠 세계를 환경에 접목시키고 참여시키는데 그 지위가 가장 오래되고(longest standing) 아마도 가장 중요한 방아쇠역할을 담당하여 왔다고 부언하고 있다.

 

동계올림픽은 1924년 최초로 선보인 이래 취약한 산세의 생태 시스템(fragile ecosystems)에 유료 관중(the paying public)을 실어 나르는 수송편 및 관광인프라를 구축해 줄 뿐만 아니라 동계스포츠시설을 광고하는 기회로 변함 없이 활용되어 왔다고 설명하고 있다.

 

일찌감치1932년에는 미국 Lake Placid동계올림픽에서는 수 많은 나무들을 찍어 잘라 조성되어야 하는 트랙 경기인 봅슬레이 종목이 제안되었는데 현지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봅슬레이 종목은 1990년대초까지 이어오다가 Albertville1992동계올림픽에 즈음하여 더 첨예한 환경관련 논란으로 등장함으로 IOC는 동 이슈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게 되었다.

 

동 보고서에 담긴 제안들 중에는 탄소 제로(carbon zero) 실현이 안 되는 경기단체들을 2030년 동계올림픽대회에서 제외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2030년 이후에는 탄소 제로가 여의치 않을 경우, 그 어떤 글로벌 스포츠이벤트나 관광 프로그램이든지 간에 취소시키거나 연기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는 와중에 이에 상응하는 탄소제로관련 조치를 취하지 않는 각국 경기단체들은 해당스포츠에서 배제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동 보고서는 우리는 이미 연장전 시간대(in extra time)에 있다고 하면서 Paris Agreement UN Sport for Climate Action Framework등은 우리가 아직 30년이라는 시간이 남아 있으니 2050년까지 전문그룹으로 하여금 추려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기후변화 관련 정부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은 이 게임에서 벗어나기 위해 조치할 시간이 단지 10여 년간의 여유 밖에 없다고 논쟁하고 있는 상태다.

 

따라서 지금이 바로 적기이며 스포츠 세계는 대규모 즉각적인 탄소 감축(massive and immediate carbon reductions)에 착수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2020 3 IOC2030년부터 시작되는 동계올림픽개최도시 모두 “기후관련 확실성 담보”(climate positive)를 제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한 바 있다.

 

이와 관련 IOC는 탄소배출관련 구체적 요소들이 개최도시협약서(HCC)에 추가될 것이며 해당 올림픽조직위원회는 “대회 운영과 직접 연관되는 탄소배출 감축과 보완을 요구하는 현 의무사항을 넘어 행동하도록”(required to go beyond the current obligation of reducing and compensating carbon emissions directly related to their operations) 촉구하고 있다.

 

이 조항은 대회 운영과 관련 직 간접 탄소배출 최소화 및 보완 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올림픽대회 및 그것을 넘어선 지속적인 탄소 제로 해결방안”(lasting zero-carbon solutions for the Olympic Games and beyond)규정은 향후 올림픽 개최도시들에게 부과될 의무요구사항(among the mandatory requirements for host cities)에 명시될 것이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6. 6. 12:08

[세계육상(World Athletics) 2018년도 수입지출예산내역 돌아보기]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은 과거 명칭(IAA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에서 최근 세계육상”(World Athletics)으로 개칭한 바 있다.

 

이러한 추세로 세계태권도연맹(WTF: World Taekwondo Federation)역시 세계태권도”(WT: World Taekwondo)로 명칭을 바꾼 바 있다. 국제스포츠 계 혹자에 의한 일설에 의하면 세계태권도연맹의 약칭인 WTF“What the ‘4-letter word’”처럼 상스런 욕설의 약자로 보이기 때문이라는 농담 섞인 부언설명도 있었다.

세계육상(World Athletics)는 지금까지 자체 재정을 공식적으로 공개한 바 없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었다.

그러던 것이 어느 날 해당국제연맹관계자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2020 65일 한 인터넷 외신을 통해 세계육상의 최근 재정지출 및 재정비축상태에 대한 정보가 공개된 셈이다.

이러한 재정과련 정보문건은 20199월 카타르 Doha개최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앞서 열린 IAAF총회참석 대표들에게 제공된 바 있다고 하지만 그렇다고 공인회계로 처리된 재정명세서 세트는 아니고(not a set of audited financial statement) 2018년도분 수지잔고 및 활동상황 요약 보고서(a report of balances and activity summaries)내용이라는 것이다.

 

 

 

IAAF 2018년말 현재 재정비축(reserves)규모는 $45,246,758불로 하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들 중 11번 째였지만 2018년도 손실로 인해 연맹의 재정비축규모를 감소시켰는데 전년도손실액만 $64,801,522규모였었다고 한다.

2018년도 수입액은 $47,511,383불로 TV방영권 및 스폰서 수입지분이 94%에 해당하였는데 이 금액은 2017년도 기록된 수입액인 $40,540,000보다 $7백만불정도 상향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2017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일로로 이어져 2018년도 지출액은 2017년도 $60,098,650불에서 $66,840,283으로 치솟았다.

2018년도 지출 금 내역을 살펴보면, 주요 항목으로 행정지출($1,734만불), 행사비용($1,673만불), 관련 지역 및 회원국 연맹활동보조지원금($1,044만불), 육상청렴기강기금($708만불), 육상종목발전 지향 활동비($305만불), 소통 및 프로모션 비용($134만불)을 비롯하여 기타 지출 비($1,086만불) 등으로 알려졌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6. 4. 09:49

[미국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USOPC) 51개 사무처보직(Staff Positions)삭제 등 대대적 구조개편]

 

2020 522일 자 외신보도내용에 따르면 USOPC 51개 사무처 보직을 줄이고(cutting 51 staff positions)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한 33명의 직원에게 휴가(furloughing33 employees)를 주었다고 한다

 

 

미국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USOPC)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사태로 인해 야기된 예산대폭삭감의 일환으로 51개직원보직(51 staff positions)을 없앨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경비절감조치는 USOPC가 총예산 중 20%규모를 덜어내야 할 처지에서 나온 방안이며 이는 코로나바이러스위기로 야기된 부족액을 벌충해야 하는 상황에서 나온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AP보도에 따르면 51개 보직이 없어지지만 그 중 32명의 고용직원에 대하여서는 다른 역할이 부여되었음을 올림픽이해당사자그룹들에게 설명하는 서한을 발송함으로 15개 보직제거로 모든 직원이 실직하지는 않았음을 의미한다.

가장 최근에 단행한 보직감축(the latest job reductions)조치는 이미 희망퇴직을 받아들인 30명이상의 임직원수와 합친 규모로 보이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전체 1/5정도가 줄어들어 500명 정도의 임직원만 남게 될 것이라고 한다.

자신의 봉급을 20%삭감한 USOPC사무총장(CEO) Sarah Hirshland는 이러한 큰 규모의 변혁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겠다(overwhelmed by the magnitude of this change)고 하면서 USOPC Colorado Springs, Lake Placid에 소재한 국가대표훈련선수촌을 필두로 정상운영 가동에 복귀하려면 수주가 아니라 수개월 걸릴 것이 명백하다고 언급하였다.

 

USOPC chief executive Sarah Hirshland, who has herself already taken a 20 per cent pay cut, says she is overwhelmed by the magnitude of cuts to the organisation as a result of the coronavirus pandemic ©Getty Images(USOPC 사무총장 Sarah Hirshland/출처: insidethegames)

 

 

미국전역에 걸쳐 산재한 미국올림픽국가대표훈련선수촌에서는 한국의 진천국가대표선수촌과 같은 형태로 수백 명에 달하는 미국국가대표선수들에게 숙식과 집체훈련시설(their full-time training facilities)과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고 있다.

USOPC Rio2016올림픽종료 후 TV방영권 배당금조로 US$17,200만불( 2,064억원)을 받았으며 1년 연기된 Tokyo2020올림픽 종료 후에는 더 많은 액수의 배당금을 받기로 되어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위기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2020 4 Hirshland USOPC사무총장은 다른 임원들이 10%봉급삭감을 실시하면서 자신의 봉급 20%를 삭감 조치한 바 있다.

호주올림픽위원회(AOC) 2020 4월 유사한 조치를 단행하였는데 위원장인 John Coates역시 자신이 받는 봉급의 20%를 솔선하여 삭감(pay cut)하였으며 이를 본 받아 AOC모든 고위 간부들 역시 봉급을 삭감하였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