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20. 12. 14. 10:32

[IOC집행위원회(127) Paris2024올림픽 메달 종목 승인 발표(야구 소프트볼 및 가라데 제외)]

 

2020127일 화상(virtual video)회의로 진행된 2020년 마지막 IOC집행위원회는 예정대로 Paris2024올림픽 메달 세부종목, 남녀 동수의 선수 쿼터 등을 발표하였다.

 

IOC집행위원회는 Paris2024올림픽 정식종목 프로그램을 승인하였는데 28개 올림픽스포츠종목(Olympic sports)317개 세부 종목과 추가로 (1) 브레이크댄싱(Break Dancing) (2)스케이트보드(Skateboarding) (3)스포츠 클라이밍(Sport Climbing)12개 세부종목(events)이 포함되어 도합 총 329개의 메달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Tokyo2020올림픽의 339개 메달세부종목 수인 339개 보다 10개가 적은 것인데 Paris2024Tokyo2020 올림픽 세부 메달 종목 중 야구-소프트볼 및 가라데 종목을 제외 시켰다.

 

이번에 승인되 올림픽 프로그램 종목 스포츠, 세부메달종목 및 선수 쿼터 수 역시 예상되었던 11,092명에서 592명이 줄어든 10,500명으로 축소되었다.

 

특이한 점으로는 Paris2024올림픽 메달세부종목 프로그램에 출전하는 선수들 수가 완벽하게 50:50비율로 균형을 맞추어 남자선수5,250: 여자선수 5.250명으로 짜여 있다는 것이다.

 

세부 종목 수의 균형은 완벽하게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지만 156개 남자선수 출전 종목: 151개 여자선수 및 22개 혼성 종목(mixed events) 출전종목으로 되어 있다. 혼성 종목의 경우 Tokyo2020에서는 18개 였는데 4개가 증가하였다.

 

다음은 IOC가 발표한 Paris2024올림픽 (1)세부 메달 종목 프로그램 (2)남녀 성별 비율 (3)청소년 지향 종목 배당 현황 일람표이다:



 

 

*Referenc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12. 4. 11:21

[Tokyo2020올림픽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대책 비용 등 약 34560억원(US$ 288천만불)추가 부담예상]


 

Tokyo2020올림픽 추가비용은 얼마나 더 들까?

 

최근 일본 미디어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Tokyo2020올림픽이 1년 연기됨으로써 현재 추산 치로는 약 2000억엔(US$192천만불/2.31조원)에다가 코로나바이러스 대책비용으로 약 1000억엔(US$96천만불/11520억원)이 추가로 소요될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Tokyo2020올림픽을 2021년에 치르기 위해 일본은 예비비로 책정된 US$3억불(3,600억원)이 가용 되느냐 에 따라 현재 책정된 대회 조직 예산 US$126억불(15.92조원)에 추가로 US$28.8억불(3.456조원)이 더 들게 된 셈이다.

 

이러한 예상 예선 수치는 익명 제보 출처(from unnamed sources)이며 예산비용세부 항목이 분류되어 있지 않은(provided no breakdown of the costs) 어림치라고 생각된다.

 

일본 교토 통신(Kyodo News Service) 보도에 따르면, Tokyo2020 조직위원회, Tokyo도 정부 및 일본 중앙정부는 2021723일로 연기된 Tokyo2020올림픽에서 코로나바이러스 확산방지(to combat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대책 실행에 따른 추가 비용에 대해 논의한 후 각각 예산 부담 지분을 12월 중 결정할 계획이라고 한다.

 


 

추가비용이 소요되는 분야는 대회 경기장 확보(securing Games; venues) 비용, 제반 장비 임차 비용(equipment rental), 창고 등 보관비용(storage fees)및 인력 노동 비 지출 비용(expenditures on labor)등으로 알려져 있다.


Tokyo2020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대회 소요 예산 추정 규모가 2020년 말 공개될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시사한 바 있지만 최근 나타나고 있는 추정 예산규모에 대한 공표된 수치(published figures)에 대해 확인해 주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지난 5Thomas Bach IOC위원장은 1년 연기된 Tokyo2020올림픽으로 말미암아 주최측(governing body)에게 US$8억불(9600억원)가량 추가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중 US$1.5억불(1,800억원)은 올림픽운동조직을 위한 지원 패키지’(aid package)비용이고 나머지 예산은 대회 조직에 사용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205월 이후 Tokyo2020조직위원회 및 IOC50가지 경비절감 대책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US$2.88억원(3,456억원)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50가지 대회 비용 절감대책에는 대회 참가 임원 수 삭감, 경기장 조명(lighting) 및 추가 임시 전력수급(additional temporary power supplies for venues)을 비롯하여 올림픽 선수촌 입촌식과 대회 개회식에 앞서 열리는 각종 세레모니 생략(elimination of ceremonies of the Athletes’ Village) 조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단순화 대책(simplification measures)에 대해 Tokyo2020조직위원회와 IOC“Tokyo모델이라고 명명했으며 향후 올림픽 개최국들도 이러한 경비절감 조치(the cost-cutting steps)로부터 배울 수 있을 것이라는 암시가 포함되어 있다.


20203월 대회가 1년 연기되기 전 Tokyo 2020대회 개최 비용은 US$130억불(15.6조원)이었다.

 

이 소요예산 중 조직위원회가 US$58억불(6.96조원), Tokyo도 정부가 US$57억불(6.84조원) 및 일본중앙정부가 US$14억불(1.68조원)을 부담할 예정이었다.

 

이제 불어난 추가 예산 분담을 위한 3자간의 회의가 20211월 중 예정되어 부담 방법을 결정 할 예정이다.


연기된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은 올림픽이 2021723~88), 패럴림픽이 2021824~95일 각각 연기되어 개최될 예정이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insidehtegames

-Kyodo News Servic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11. 30. 16:24

[2032년 올림픽 유치경쟁대열에 중국 청두(Chengdu)시와 충칭(Chongqing)시 공동 유치(Joint Bid) 합류로 가열 가속화]  

 


중국 스촨성 스포츠 총국(Sichuan Sports Bureau)가 제안하여 발표된 청두(Chengdu)및 충칭(Chongqing)2개 시의 2032년 올림픽 공동유치 계획이 스포츠 발전 계획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20201127일 발표되었다.


청두(Chengdu)는 인구 1,630만명의 스촨성 지방정부의 수도(Sichuan provincial capital) 2021년 세계대학 게임(World University Games)개최 도시이며, 반면 충칭(Chongqing)시는 양쯔(Yangtze)강과 자링(Jialing)강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 인구 3,050만명으로 세계 최대의 대도시들 중 하나인데 두 도시는 402km떨어져 있다.


 


 

현재 2032년올림픽유치경쟁은 선두주자로 알려진 Brisbane을 중심으로 한 Queensland주로 대변되는 호주, 독일, 인도네시아, 인도, 카타르, 서울-평양 공동 유치 등 6개국으로 압축될 수 있다.


차이나 데일리(China Daily)보도에 따르면 청두와 충칭시의 제안내용은 1127일 발표된 정부 문건에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2개 도시의 올림픽유치 관심은 201811Shanghai2032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유치 타당성조사를 실시한 후에 나온 것이다. 이후 Shanghia의 잠재적 올림픽유치관련 언급은 뜸했으며 아마도 그러한 조짐은 중국 내 타 도시에게 문호가 열린 것으로 추정된다.


청두는 2021년 세계대학게임(World university Games) 2025년 월드게임(World Games) 개최도시이며, 충칭은 청두-충칭 경제 서클 개발을 위한 국가적 전략의 일환으로 두 도시는 강력한 도시 및 문화적 특징을 기반으로 두 도시가 올림픽을 함께 유치할 것”(As part of a national strategy to develop the Chengdu-Chongqing economic circle, the two cities will bid for the Olympics together to try to host a Games with strong urba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ities, and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influence of the two cities) 이라고 China Daily지가 정부 문건에 의거하여 보도하였다.


반면, 터키올림픽위원회 Hasan Arat부위워장은 Istanbul2032년올림픽유치시도를 할 것을 촉구하였다.


외신보도에 따르면 남북한 공동 유치가 발상되어 논의 되었지만 평창2018이후 전개된 남북한 간의 관계를 고려해 볼 때 성사되기는 아주 희박해 보인다(A joint bid from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d been mooted, but is highly unlikely to materialise given relations between the two have worsened since the 2018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고 설정하고 있다.

 

 

*References:

-insidethegame

-China Daily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11. 27. 12:49

[(특집)Tokyo2020올림픽 COVID-19 여파와 북한선수단 일본 입국 허용문제와 대회개최 구체적 대처 및 대책 살펴보기]


 

*순서:


. Tokyo2020올림픽 남북한 단일팀 구성 및 북한선수단 일본 입국 허용문제

. Tokyo2020올림픽 출전 각국 선수단 일본 입국 제한 완화 결정 추진과정

. Tokyo2020대회 관련 일본 내 진행 사항

.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간소화 방안 마련

. Tokyo2020올림픽 대비 국내 관중동원 Test Events실시

. Tokyo2020패럴림픽 COVID-19대책회의

. 최근 Tokyo2020관련 개최 행사 요약

. Tokyo2020올림픽 참가 선수단 14일 격리 기간 면제(exempt from Japan’s 14-day isolation period)조치


 

*내용:

 

COVID-19사태로 1년 연기되어 오는 2021723일 개막되는 Tokyo2020올림픽이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1.  Tokyo2020올림픽 남북한 단일팀 구성 및 북한선수단 일본 입국 허용문제

 

1)  지난 20181225대한민국(KOR)과 북한(PRK)Tokyo2020 올림픽에 여자농구, 카누 그리고 조정 3개의 종목에서 남북 단일팀을 출전시키기로 합의함.

 

2)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당시 문화체육관광부 도종환 장관은 Tokyo2020 올림픽에 (1)여자농구, (2)카누 및 (3)조정 3개 종목에서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기로 합의했으며 앞으로 3개 종목 이외에도 탁구와 유도도 함께 단일팀 구성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언급함.

 

3)  남북단일팀 구성은 합의되었지만 아직까지 Tokyo2020 진출 자격은 불분명한 상태이며 이와 관련 IOC는 남북한이 단일팀 구성을 위해 노력 중에 있으며 단일팀과 관련된 긍정적인 평가들로 인해 적극적인 협조가 예상되고 있었음.

 

4)  남북한은 2032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공동 유치 및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도 여전히 논의 중에 있으며 평창2018동계올림픽에 이어 Tokyo2020올림픽 개회식 공동 입장이 성사될 것으로 합의 한 바 있음

 

5)  남북한은 평창2018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을 시작으로 자카르타-팔렘방2018 아시안게임에서는 카누 드래곤 보트 여자 500m금메달, 여자 200m와 남자 1000m에서2 개의 동메달을 비롯하여 여자 농구 단일팀은 결승에 진출, 은메달을 획득하며 단일팀의 위상을 높인 바 있음.

 

6)  2019228국제조정연맹(World Rowing) 집행위원회는 Tokyo2020올림픽 조정경기종목 남북한 조정선수들의 단일팀 예선전 참가를 최종 허가한 바 있음 

 

7)  국제조정연맹(WR) 2019~2020년까지 실시될 남녀 무타포어, 쿼드러플 스컬 그리고 에이트 총 6개 종목 예선전에 남북한 단일팀 출전 가능하다는 최종 허가를 내렸으며 단일팀으로 예선전을 통과하면 올림픽에서도 단일팀으로 출전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고 당시 집행위원회가 내린 결정은 IOC와 긴밀한 협의 끝에 내린 결정인 것으로 발표한 바 있음

 

8)  국제조정연맹에 따르면 해당 올림픽 예선전에 남북한의 단일팀 참가는 가능하나 올림픽 출전권 부여와는 거리가 멀다고 설명한 바 있음

 

9)  한국은 지난 Rio2016올림픽 당시 단 2명의 조정선수만이 올림픽에 출전한 바 있으며 남북한 단일팀의 시너지효과로 Tokyo 2020 올림픽 출전 여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었음

 

10)        IOCTokyo 2020 예선전에 남북한 단일팀 출전을 위해 국제연맹들(IFs)과 지속적인 협의를 실시할 전망이라고 입장을 표명한 바 있었음

 

11)        2019314일본 정부는 Tokyo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 참가를 위한 북한 선수단의 입국 허용과 관련 대북 제재 조치를 예외로 처리할 것을 검토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12)        Tokyo 2020 조직위원회는 대회 참가와 관련 필요한 ID 등 전자정보를 북한 NOC의 기술적인 문제를 이유로 북한NOC에 제공하지 않았다가 방향을 전환하며 결국 필요한 ID 등을 북한NOC에 제공한 것으로 알려짐

 


2.  Tokyo2020올림픽 출전 각국 선수단 일본 입국 제한 완화 결정 추진과정

 

1)  2020710일본 정부는 2021년 대회 개최를 1년 앞둔 시점에서 Tokyo2020 참가 예정인 각국 외국인 선수단 입국 제한 완화 방안 검토 착수


2)  일본 정부는 지난 20202월부터 COVID-19 확산을 막기 위해 제한한 여행객들의 해외 유입을 2021723일 시작되는 올림픽에 참가하는 각국선수단에 한해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었고 지난 9월에 Tokyo2020 조직위원회와 Tokyo도청 간의 회의에서 관련 방안을 다룰 것이라고 밝힌 바 있었음


3)  현재 206개 참가대상국들 중 159개국 및 지역이 일본 입국 금지 명단에 포함되어 있으나 예외적으로 베트남은 비즈니스 관계로 제외되어 있지만 일본 정부는 태국 등 일부 국가의 제한 완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4)  올림픽 선수자격을 획득한 선수단의 입국을 위해서 몇 가지 테스트를 받아야 하는 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사실이 없다는 서류를 증빙해야 함.


5)  Tokyo 2020 COVID-19 대유행으로 한 차례 연기되어 2021 7 23일부터 8 8(패럴림픽: 8.24~9.5)까지 개최될 예정이며 IOC는 재정, 안전 및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해 ‘간소화’ 대회(Simplified Games) 개최를 합의한 바 있음


6)  202094COVID-19의 영향으로 1년 연기된 Tokyo2020대회 개최 대책 마련을 위한 패널 회의가 처음 개최된 바 있음


7)  Japan Times에 따르면, 20209 4일 처음으로 개최된 패널 회의에서는 (1)국경 통제, (2)경기장 방역, (3)확진자 대처 방안, (4)대중교통 관련 규칙, (5)입국 시 격리 기간의 필요성, (6) 의료시설의 확충 등도 의제에 포함되어 논의한 것으로 알려짐


8)  코로나바이러스 대책 패널은 일본정부, Tokyo도청, 그리고 Tokyo2020 조직위원회 관계자들로 구성되어 향후 몇 달간 정기적 회의를 통해 관련 제반문제들에 대한 ‘강력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으로 알려짐.


9)  Tokyo2020조직위원회는 글로벌 건강 위기(global health crisis)를 염두에 둔 대회개최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10)        관련 대책 및 정책 내용은 2020년 말 발표될 예정임


11)        이러한 정책으로는 외국 여행객들에 대한 입국허용 매커니즘(a mechanism for lifting the entry ban on foreign tourists)


12)        올림픽대회 코로나바이러스 대책으로는 관광객들에 대한 (1)건강 체크 어플리케이션(a health-checking app) (2)의무적인 테스트(mandatory testing)(3) 건강보험(health insurance) (4)관광객 전용 건강 센터(exclusive health centres for tourists)운영 등임 


13)        Tokyo2020대회 참가 선수들과 관계자들의 (7) 동선을 추적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도입 문제 (8) 사회적 거리 두기(Social Distancing)(9)관중 수의 제한 등도 논의 대상임


14)        현재 일본 정부는 COVID-19에 대한 대응으로 150여 개국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입국이 허용된다 하더라도 2(14일 간)의 격리 기간을 권고하고 있음.


15)        지난 20209월 하순 Tokyo올림픽 선수 안전에 대한 일본정부주도 패널 회의 결과 각국 선수들의 일본 입국을 허용하는 대신 몇 가지 조건 및 제반 검토 사항은 다음과 같음:


 

(1) “일본 입국 희망 선수들은 자국 출발 72시간 내에 검사를 받고 음성 판정결과(negative results)를 제출 해야 함


 

(2) 패널은 연락 접촉 추적 가능 앱(a contact tracing app)기능을 장착한 스마트 폰과 자신들의 건강상태(their health condition)기록을 지참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따르는 조건으로 선수들이 일본 도착 후 요구된 방역 기간(the required quarantine period) 14일 이내에 훈련이나 경기 출전이 가능하다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음

 

 

(3) 코로나 극성 감염대상국(highly-infected countries) 출신 선수들과 관련 Thomas Bach IOC위원장은 최근 SNS(on a social media)를 통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음:

 

선수들은 자국에서의 바이러스 감염 비율에 책임이 없다, 선수들이 음성판정을 받게 되거나, 선수들이 코로나바이러스 퇴치 지침을 준수한다면, 우리는 그 선수들에게도 올림픽 참가 기회를 주어야 한다”(The athletes are not responsible for the virus in their home countrues. If the athletes test negative, if they respect the anti-coronavirus guidance… we should give them the chance to participate.)

 


(4) 올림픽선수촌에도 코로나바이러스 이슈를 구체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별도의 특화된 클리닉(discrete clinic) 설치가 고려 중임



(5) 올림픽대회 관객들의 경우, Tokyo2020올림픽조직위원회의 관객 대상 경기장 출입에 적용 가능한 과정에 대해 시연 내용:


 

A.  열상온도기록(thermography)측정

B.  무 접촉 체온 감별기(contactless temperature sensors) 가동

C.  개개인 손목에 부착될 때(when affixed to their wrist) 발열(fever)정도를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는 체온 스티커’(temperature stickers) 활용 방식 등 동원되어 실험


 

(6) 보안요원들 검색 동안 마스크와 얼굴 가리개(face shields) 착용한 상태로 관객들을 1~1.5m 간격으로 분리시켜 줄을 서게 하게 하는 것도 시도.


 

(7) 3일 간 실시된 이러한 프로토콜 시연 방식에는 비 허가 물품 검색용 통상적 금속탐지기 검사 방법(the usual metal-detector scans of bags for disallowed items)포함----->통합 검색프로그램일환으로 대회가 가까워 올수록 더 많은 연습 기간을 통해 숙달되도록 훈련할 예정


 

(8) 안면인지기술(facial recognition technology)통한 바이러스감염 전파(any spread of the virus) 방지방법강구 중


 

(9) 스타디움과 경기장마다 관객들 얼굴과 신체 표면 체온 기록(to record spectators’ faces and body surface temperatures) 및 마스크 착용 여부 감시 기술 탑재 감시 카메라 상시 설치(to station security cameras equipped with the technology)운영 고려


 

(10) 기록된 데이터 활용, 만일 대회에서 한 개인이 추후 감염된 것(discovered to be infected later)판명될 경우, 족집게 식(by helping pinpoint) 바이러스 전파 가능 자(possible virus carriers)대상 이동경로 추적(tracing their routes) 및 밀접 접촉 대상자들 색출(notifying those who were I close contact)-----> 집단 감염 방지 목표


 

(11) 일본정부는 올림픽선수촌 및 훈련캠프 입구에도 가시 카메라 설치 고려------>해당선수들의 출입 일시 등 동선 기록

 

 

3.  Tokyo2020대회 관련 일본 내 진행 사항

 

1)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Buenosaires2013 IOC총회에서 연설하는 등 Tokyo 2020 유치 단계에서부터 깊이 관여해왔으며, COVID-19로 인해 Tokyo 2020대회의 정상적인 개최가 어려워짐에 따라 IOC 위원장 Thomas Bach와 함께 대회 1년 연기 개최 결정을 내린 바 있음.

 

2)  지난 20208 28일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 악화 등 건강상의 이유로 총리직 사임의사를 공식 발표한 바 있으며, 아베 총리가 집권하고 있는 자유민주당이 지난 9 14일투표를 거쳐 916일 후계자를 결정할 때까지 총리직을 유지하다가 후임총리로 스가 요시히데(Suga Yoshihide)가 선출됨

 

3)  2020914일 보도된 바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Tokyo202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에 앞서 외국인 선수 입국을 허용하여 일본 선수들의 Tokyo 2020 준비를 지원하고 있음

 

4)  202010월 시즌 개막전을 앞두고 일본 최고의 농구 · 배구 대회인 B 리그와 V 리그에서 외국인 선수 출전을 허용할 것이며, 금번 결정은 일본 선수들이 리그에서 최고 수준의 경쟁을 통해 Tokyo 2020 대회 이전에 가능한 최선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으로 알려짐

 

5)  현재 일본 프로 축구 J 리그 및 프로 야구에서만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 시행 이전 일본에 체류 중이던 외국인 선수들만 각자의 리그에서 경기를 뛰고 있으며, 농구와 배구 리그를 비롯해 탁구 대회인 T 리그, 럭비 Top 리그, 프로 골프 등에서도 추후 외국인 선수 출전을 허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6)  일본 입국이 허용된 외국인 선수들은 일본 입국 전후로 수차례 COVID-19 검사를 받아 검사 결과를 제출하고, 일본 입국 후 14일간 격리 조치해야 하며 국내 이동 계획을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었음

 

 

4.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간소화 방안 마련

 

1)  2020916도쿄 2020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Muto Toshiro 2020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간소화 방안 50~60개에 대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의 승인을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음

 

2)  Tokyo 2020 조직위원회 Muto Toshiro 사무총장은 9 15(현지시간) 도쿄 2020 집행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Tokyo 2020 간소화 방안에 대해 9 24일과 25일 양일 간 IOC 조정위원회(Coordination Commission)와의 논의를 거쳐 합의가 도출되었음

 

3)  Muto Toshiro 사무총장은 50~ 60개에 달하는 Tokyo 2020 간소화 방안은 (1)비용 절감과 (2)선수와 관중의 안전 보장을 목표로 하며 (3)대회, 주변시설 및 시상식 참여 인원수 조정이 포함되는 것으로 밝히면서 정확한 비용과 수치의 산출은 오는 12월에나 가능할 예정이라고 함

 

4)  Muto Toshiro 사무총장, Tokyo 2020대회 관중 입장 여부 및 방식은 11월 개최 예정인 도쿄 2020 COVID-19 대책위원회 회의의 주요 안건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이에 대한 결정 또한 연말에 내려질 것이라고 밝힘.

 


(IOC 조정위원회 화상회의 장면(좌로부터 Toshirō Mutō Tokyo2020사무총장<Chief Executive> Yoshiro Mori 조직위원장/출처: IOC)

 


5)  IOC 조정위원회는 지난 2020 9 24일과 25(현지시간) Tokyo 2020 조직위원회와의 온라인 회의를 통해 대회 관계자 인원 감축, 교통 서비스 간소화, 경기장에서의 관중 활동 제한, 대회 사전 행사 온라인 개최방안 등 약 50개에 달하는 2020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간소화 방안에 합의한 바 있음.

 

6)  IOCTokyo 2020 조직위원회, 일본 정부, Tokyo도청(TMG: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및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관계자들로 이루어진 Tokyo 2020 COVID-19 대응책 TF팀의 의견을 받아 가능한 모든 대회 개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여행/입국, 사회적 거리 두기(social distancing), 개인 보호 용품/청결, 식음료, 검사/추적/격리, 정보 제공 및 백신 등 7가지 차원에서의 COVID-19 대응책을 검토함.

 

7)  IOC 조정 위원장 John Coates는 최근 합의에 대해 ‘Tokyo 모델’은 COVID-19 이후의 세계에 적합한 대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수년간 다른 올림픽 조직위원회에 도움이 될 청사진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표명함

 

8)  IOC 집행위원회는 화상회의를 통해 Tokyo 2020 조직위원회와 비용 절감(US$ 2 8천만 달러) 방안에 대해 논의함.

 

9)  지난 202010 7 진행된 IOC EBTokyo 2020 조직위원회 화상회의에서 약 US$2 8천만 달러라는 잠정적인 수치가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이는 지난달 9Tokyo2020조직위원회와 IOC 조정위원회간에 합의된 간소화 방안 52개 항목 바탕으로 산출된 바 있음

 

10)        시행 조치로는 (1)대회 참가자 10~15% 축소, (2)각국 선수단의 선수촌 입촌식(Team Welcome Ceremony) 취소, (3)교통 서비스의 간소화, (4)경기장에서의 관중 활동 제한, (5)대회 사전 행사 온라인 개최 등 5가지를 언급함.

 

11)        이러한 노력의 결과를 통해 Tokyo 2020 조직위원회는 COVID-19 대책에 대한 대략적인 비용을 포함하여 연기와 관련된 총 추가 비용을 추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20년 말까지 수정된 예산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됨

 

5.  Tokyo2020올림픽 대비 국내 관중동원 Test Events실시

 

1)  일본정부는 COVID-19관중동원 대응방안 테스트 이벤트로 2020 10 30~ 11 1일까지 3일간 일본 가와가나 현 요코하마에 위치한 3 4000여 석 규모의 요코하마 야구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야구 경기 3회 동안 80%( 2 7천명)의 관중 입장을 허용한 바 있음



(COVID-19 관중 동원 대응책 테스트이벤트로 활용된 일본프로야구 요코하마 야구스타디움/출처: insidethegames)

 

2)  프로야구경기가 열린 요코하마 스타디움은 Tokyo 2020대회에서 야구와 소프트볼 경기장으로 사용될 것이며, COVID-19 대응책 관중 동원 테스트를 위해 고성능 카메라와 비콘 기술(high tech devices)을 사용하여 경기장에 들어오는 관중들의 움직임과 밀도, 마스크 착용률 등을 확인한 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음.

 

3)  요코하마 스타디움 수용능력은 32,402석으로 100% 꽉 채운 상태에서3일 간 실험(관중 체온 스크린 측정 및 고 선은 카메라 동선 추적 시스템(high-spec cameras tracking movement) 실시 후 무난 평가를 받았음

 

4)   Tokyo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COVID-19 대책(T/F) 팀은 Tokyo 2020올림픽이 20217 23일부터 8 8일까지 계획대로 개최될 수 있도록 가능한 시나리오와 대응 및 대책을 평가하고 있으며, 2020년 말 경 총괄 대응 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6.  Tokyo2020패럴림픽 COVID-19 대책회의

 

1)  202010 9일 일본 정부, Tokyo도청(TMG: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Tokyo 2020 조직위원회 3자 간에 Tokyo2020 패럴림픽 대회 관련 COVID-19 대책 회의가 있었음




2)  동 회의에서는 COVID-19 대책 업데이트 하였는데 주요 내용으로는 (1)경기장 내 참가선수 감염관리 대책, (2)올림픽 및 패럴림픽 선수 감염관리 대책, (3)선수촌 내 선수 코로나 검사 방법, (4)선수에 대한 규칙과 행동 강령 등을 논의 함

 

3)  한편, IOC-IPC-Tolyo2020조직위원회 3자간 합동 실무회의에서도 COVID-19대책 마련을 위한 활발한 의견조율 중임

 

7.  최근 Tokyo2020관련 개최 행사 요약


1)  20201023: 세계 방송사 회의

2)  20201024: Tokyo수영센터(Tokyo Aquatics Center: 패럴림픽 경기장 사용 예정)개장식

3)  20201026, 28, 30: 각국 패럴림픽위원회(NPC)단장 회의(Chef-de-Mission Seminar)

4)  2020118: 국제체조연맹(FIG0주관 국제기계체조대회(International Gymnastics Competition/2,000명 관중 입장: COVID-19이래 Tokyo에서 열린 최초의 국제스포츠 행사)

 

8.  Tokyo2020올림픽 참가 선수단 14일 격리 기간 면제(exempt from Japan’s 14-day isolation period)조치

 

 

1)  20201124일 자 Reuters보도에 따르면 Koike Tokyo도지사는 최상의 시나리오 란 모든 국가들로부터 모든 선수들이 안전하고 평온한 마음으로 도착하고 올림픽이 과거와 마찬가지로 꽉 찬 관중들이 지켜 보는 가운데 올림픽 경기가 치러지는 것’(The best-case scenario would be when all athletes from all countries come here in safety and with peace of mind and the Olympics can, as in previous years, be held with full spectators present as well)이라고 언급하였음


(Koike Tokyo 도지사/출처: insidethegames)


2)  Toshirō Mutō Tokyo2020사무총장(Chief Executive)는 외국인 거주자를 포함한 관중들에 대한 대책이 2021년 봄까지 마련될 것이라고 언급함


3)  올림픽 참가 각국 선수-코치-임원들에 대하여서는 일본 도착 시 14일 간의 격리 기간 실행 조치가 면제될 것으로 가닥이 잡혀져 가고 있으며 해외 관중들 역시 방역 면제(free from quarantine0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References;

-insidethegames

-GamesBid.com

-Reuter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11. 19. 11:09

[202011GAISF(국제경기연맹총연합회) 온라인 총회 회의결과 요약]


 

 

2020 11 10일에 국제경기연맹총연합회(GAISF: Glob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가 사상 최초로 온라인 총회를 개최한 바 있다.


동 온라인 총회에서 (1)국제테크볼연맹(FITEQ: International Teqball Federation), (2)패럴림픽종목연합회(APSO: Association of Paralympic Sports Organizations), (3)세계 장기 이식자 대회연맹(WTGF: World Transplant Games Federation)3개 국제스포츠기구의 정회원 및 준회원 가입신청을 승인하였다.



(GAISF 본부/출처: GAISF)

 

지난 11 10 GAISF는 사상 최초로 온라인 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FITEQ는 정회원, APSO WTGF는 준회원으로 가입신청이 각각 승인되었다


Raffaele Chiulli GAISF 회장은 “FITEQ, APSO WTGF GAISF 회원 그룹 일원으로 맞이할 수 있게 되어 상당히 기쁘며, 향후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하였다.


                          (Raffaele Chiulli GAISF 회장)



FITEQ GAISF 95번째 정회원이 되었으며, 인정종목경기연맹 독자적 연합(AIMS, Alliance of Independent Recognized Members of Sport)에도 가입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Marius Vizer Jr FITEQ 사무총장은 “GAISF의 정회원이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전 세계에 테크볼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온라인총회를 통해 GAISF 준회원으로 가입신청이 승인된 APSO 17개의 국제연맹(IF: International Federation)과 스포츠 조직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패럴림픽 운동(Paralympic Movement) 내에서 회원과 선수들의 이익을 지키고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한편, WTGF(세계 장기이식자 대회연맹/World Transplant Games Federation)는 장기 이식수혜자들의 건강한 삶을 목적으로 하는 하계 및 동계 스포츠 대회 개최를 통해 장기기증자들의 사랑과 희생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다음 GAISF 총회는 SportAccord2021 개최 기간인 2021 5 28일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Yekaterinburg)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11. 16. 11:36

[Paris2024올림픽 신규 종목 승인 임박과 LA2028올림픽 신규 종목은 개최도시 LA의 역사적 배경인 청소년 문화(Youth Culture)반영할 것인가?]

 

 

주지하다시피 1년 연기된 Tokyo2020올림픽 신규 종목은 다음의 5개다.

 

 

*Tokyo2020신규종목(18개 세부종목 474명 출전선수 쿼터):

 

1)  Baseball and softball,

2)  Karate,

3)  Skateboarding,

4)  Sport climbing

5)  Surfing

 

 

2020 12월 열리는 IOC집행위원회는 Paris2024올림픽 경기종목 프로그램에 대해 승인할 예정이다

 

 



 

 

Paris2024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올림픽 헌장 45조에 명시된 기존 28개 핵심 스포츠이외에 제한된 세부종목 경기수가 포함된 다음과 같은 4개의 스포츠를 추가로 제안한 바 있다:

 

1)  Break Dancing: 2 events with 32 total athletes(2개 세부종목 총 32명 출전선수 쿼터)

2)  Skateboarding: 4 events with 96 total athletes(4개 세부종목 총 96명 출전선수 쿼터)

3)  Sport Climbing: 4 events with 72 total athletes(4개 세부종목 총 72명 출전 선수 쿼터)

4)  Surfing: 2 events with 48 total athletes (to be held in Tahiti!) (2개 세부종목 총 48명 출전 선수---->타히티 섬에서 개최 제안

 

4개의 추가 스포츠 세부 종목과 출전 선수 수를 모두 다 합하면 12개 세부 종목에 총 248명의 신규 출전선수 쿼터가 필요하다.

 

Paris2024 올림픽출전선수 총 쿼터는 10,500명인데 이들 중 248명의 타 종목 선수들 쿼터가 축소되어야 한다.

 

2024년 올림픽 신규종목들 중 스케이트보드(Skateboarding)와 스포츠 클라이밍(Sport Climbing)과 서핑(Surfing)3개 종목은 Tokyo2020올림픽조직위원회가 요청한 5개 신규종목에 이미 포함된 종목들이다.

 

 

Paris2024올림픽조직위원회의 신규 종목 제안은 2019IOC총회에서 잠정 승인을 받은 상태이므로 사실상 오는 12IOC집행위원회 승인은 형식적 통과의례(formality)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OC스포츠국은 Paris2024올림픽 신규 종목 선수 쿼터 확보를 위하여(about reductions in the number of athletes allowed in almost all sports to make room for these additions) 이미 모든 종목 국제연맹들과 각각 필요한 선수 수 감축 협의 중이다.

 

이들 국제연맹중에 기능마비 지경에 처한(dysfunctional) 국제복싱연맹(AIBA)과 국제역도연맹(IWF)의 각기 상황이 복잡한 가운데, 양대 스포츠가 Paris2024올림픽에서 퇴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could be eliminated for 2024) 정도이다.

 

Tokyo2020올림픽 복싱 종목에 출전하는 선수 허용 쿼터는 286명이고, 역도는 끔찍한 도핑 역사(horrific doping history)로 인해 허용 선수 수가 감축되어 196명으로 되어 있으므로 합치면 482명에 이르므로 양 대 스포츠가 만일 2024년 올림픽에서 축출당할(kicked out) 경우, 다른 종목 국제연맹들로서 각기 선수 쿼터를 축소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눈 여겨 볼 대목은 Tokyo2020Paris2024올림픽의 신규 추가 종목들의 경우 올림픽 정식종목이지만 불행히도 이들에게는 28개 올림픽 핵심종목과는 달리 IOC가 체결하여 확보한 올림픽 TV방영권 판매수입금의 국제연맹 할당 배분 및 지분권이 없다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신규 추가 종목들은 한 번에 한 개의 올림픽에 도입된 자격이므로 올림픽대회 마다(on a Games-by-Games basis) 재 평가받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LA2028올림픽의 경우를 살펴보자.

 

1)  야구와 소프트볼은 수십년 간 뼛속 깊게 철저히 LA의 역사적 전통종목이다

2)  메이저 리그 프로야구 LA에 지역연고를 둔 DodgersAngels /UCLA대학 소프트볼의 인기로 LA2028올림픽 신규 종목 추가는 따 논 당상(no-brainer)

3)  Break Dancing 역시 LA지역 인기 스포츠이긴 하지만 이 종목이 올림픽 관중 확대에 실제로 효과적인지의 여부는 논란거리(up for debate)

4)  Skateboarding종목 역시 1960년대 이래 남 가주 지역 청년 전통 스포츠로써 제안 가능성 농후

5)  Surfing종목 제안 가능성 농후하나 올림픽 종목으로의 포함 여부는 아직 불투명(득점 제가 아니라 심판 판정)

6)  Sport Climbing종목은 시설 설치 면에서 용이하지만 심판 판정이 아니라 득점 및 시간 제에 의한 승패 가림

7)   플라스틱 Frisbee를 사용하는 Flying Disc종목은 만 가주 친화 스포츠 이므로 신규 종목 제안 가능성 농후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11. 11. 17:37

[월드게임(World Games)총괄요약 Update]

 

1) 월드 게임(World Games)이란?

 


  

(좌로부터: Andres Botero 콜롬비아 체육장관 겸 IOC위원, 자크 로게 2013년 당시 IOC위원장, Ron Froelich IWGA 회장)

 

 

월드게임(World Games)은 올림픽대회(Olympic Games), 아시안게임(Asian Games), 팬암 게임(Pan American Games), 청소년 올림픽(Youth Olympic Games), 아프리카 대회(All African Games), 유럽 게임(European Games 2015년 바쿠 제1회 대회), 유니버시아드 대회(Universiade), 세계군인체육대회(World Military Games) 등과 함께 현재 가장 많이 알려진 국제스포츠종합 제전 중 하나로써 한 획을 긋고있다.


월드게임(World Games)는 한마디로 '비올림픽종목의 올림픽대회'(International multi-sport event with sports or disciplines or events within a sport that are not contested in the Olympic Games)인 셈이다.


월드게임은 IOC의 후원 하에 국제월드게임협회(IWGA: International World Games Association)가 관장하고 조직하는 대회다.


월드게임 종목이었다가 올림픽종목이 된 태권도, 트라이애슬론(철인3), 배드민턴, 비치발리볼, 7인제 럭비. 트램폴린, 가라데(Tokyo2020정식종목), 댄스 스포츠(Dance Sport/ Paris2024정식종목 예정그리고 과거 올림픽 종목이었다가 월드 게임 종목으로 자리잡은 줄다리기(Tug of war) 등도 있다.


IOC
규정상 28개종목에 10,500명선수로 제한 된 하계올림픽 특성상 수 많은 기타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훌륭한 월드게임종목들이 올림픽종목으로 남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월드게임에서 실시되고 있는 종목으로는 라켓볼, 오리엔티어링(Orienteering: 독도법 게임), 보디빌딩, 파워 리프팅(Powerlifting), 오리발 수영(Fin-swimming), 스쿼시, 볼링, 당구, 네트 볼, 묘기 체조(Acrobatic Gymnastics), 수상스키(Water Skiing), 스모, 무예타이, 주짓수, 킥복싱, 용선(Dragon Boat) 캐스팅(Casting), 팔씨름(Arm Wrestling)등이 있다.


이 종목들은 개최 도시에 활용 가능한 시설 여부에 국한되어 실시된다.


월드게임의 특성 중 하나가 바로 월드게임개최를 위해 별도로 새로운 시설물 등을 준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월드게임에는 25~35개사이의 종목이 실시된다.


개최도시의 관련 시설 여부와 관심도에 따라 '초대 종목'(Invitational programs)으로 분류된 종목도 함께 포함된다.


따라서 IWGA가 규정한 공식종목이라 할 지라도 개최도시 제반 여건에 준하여 "초대종목"(invitational programs)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30+ 개 종목에 100여 개국에서 약 4,500명 선수/임원들이 참가한다

 

2) 월드 게임(World Games) 개최 역사:

1회 월드 게임은 1981년 미국캘리포니아주산타 클라라(Santa Clara)에서 개최된 이래 올림픽과 같이 매 4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월드 게임 개최도시 및 나라]


(1) 1회 대회: 1981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 클라라(Santa Clara)

(2) 2회 대회: 1985년 영국 런던(London)

(3) 3회 대회: 1989년 당시 서독 Karlsruhe

(4) 4회 대회: 1993년 네덜란드 헤이그(Hague)

(5) 5회 대회: 1997년 핀란드 라흐티(Lahti)

(6) 6회 대회: 2001년 일본 아키타(Akita)

(7) 7회 대회: 2005년 독일 뒤스브르그(Duisburg)

(8) 8회 대회: 2009년 대만 카오슝(Kaohsiung)

(9) 9회 대회: 2013 콜럼비아 칼리(Kali)

(10) 10회 대회: 2017년 폴란드 브로츨라프(Wroclaw: 영어표기/ Breslau)

(11) 11회 대회: 2022 (미국/ 앨라배마 주 Birmingham, 페루/Lima 및 러시아/Ufa 세 도시가 경합 중 2015 122일 미국 버밍햄이 개최지로 낙점)------->코로나바이러스 사테로 Tokyo20201년 연기되어 2021년에 열리게 되어 11회 대회 또한 1년 뒤인 2022년에 개최 예정

(12) 12회 대회: 2025년 중국 청두(Chengdu) 개최예정

 

3) 월드게임(World Games) 종목:

 

(1) 정식종목(Official sports and disciplines):

 

(2) 초대종목(Invitational sports):

 

 

(3) 과거 월드게임 종목(Past World Games sports):

 

 

(4) 월드게임에서 실시되고 있지 않는 종목(Sports currently not eligible for World Games):

 

  • Badminton – became an Olympic sport at the 1992 Summer Olympics(배드민턴: Barcelona1992년부터 올림픽종목
  • Taekwondo – became an Olympic sport at the 2000 Summer Olympics(태권도: Sydney2000년부터 올림픽종목
  • Trampoline – certain individual events were introduced at the 2000 Summer Olympics(트램폴린: Sydney2000년부터 올림픽 세부종목
  • Triathlon – became an Olympic sport at the 2000 Summer Olympics (트라이애슬론: Sydney2000년부터 올림픽종목)
  • Weightlifting (women) - became an Olympic sport at the 2000 Summer Olympics. (Men never competed in weightlifting in the World Games because it has been in all Summer Olympics since 1920.)(여자역도: Sydney 2000년부터 올림픽종목)

        * Rugby Sevens- Rio2016올림픽~Tokyo2020 올림픽 정식종목 

 

4) 월드게임(World Games)전체 국가별 집계 메달획득현황:

 

8차례 월드게임에서 러시아가 3차례 종합우승(2001, 2005년 및 2009/1989년 원년에는 소련이 우승)), 이태리(1985년 및 1989), 미국(1981년 및 1997)이 각각 2차례씩 우승하였고 독일이 한차례(1997/서독으로는 3차례우승)우승하였다.

 

Rank 

Nation

Gold

Silver

Bronze

Total

1

 Italy

119

120

111

350

2

 United States

114

106

91

311

3

 Germany

107

95

121

232

4

 Russia

97

71

52

220

5

 France

70

70

71

211

6

 United Kingdom

47

49

66

162

7

 China

41

37

20

98

complete table of the three last games

 

 

5) 2017년 월드 게임 개최도시 선정 결과:

 

2017년 제10회 월드게임 개최도시는 2012 1월 결정된 바 있다.

월드게임을 관장하는 IWGA(International World Games Association: 국제월드게임협회) 2011년 대회유치과정을 공개 하였었다.

IWGA가 배포한 46쪽 분량의 유치관련 서류에는 월드게임유치에 필요한내용과 관련 잠재적 유치도시들에 대하여 소개했다.

IWGA는 이미 브로츨라프<Wroclaw: 영어표기/ Breslau>(폴란드), 부다페스트(헝가리), 케이프 타운(남아공), 세인트 페테스부르그(러시아), 루이즈빌(미국), 켄터키(미국) 5개국 6개 도시로부터 2017년 제10회 월드게임 유치희망 의사를 접수한 바 있었으나 3개 도시(Wroclaw, 부다페스트, 케이프 타운)로 최근 압축하여 발표하였었다.

국제월드게임 협회(IWGA) 2012 1 IWGA집행위원회 회의 결과 2012년 유로 축구 토너먼트 개최도시들 중 하나였던 폴란드의 Wroclaw 2017년 월드게임 개최도시로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개최도시 선정 결과는 로잔 올림픽 박물관에서 IWGA관련 시상식에서 발표되었다.


최종 3개 후보도시들 중 케이프 타운은 재정적 이유로 후보도시에서 철회하였으므로 Wroclaw와 부다페스트가 최종 결정 대상으로 남게 되었고 최종 검토과정에서 Wroclaw로 낙점되었다고 한다.


 

(2013 122~3일 폴란드 브로츨라프<Wroclaw: 영어표기/ Breslau>개최 2017년 제10회 월드게임 제1차 조정위원회 회의 장면/ 사진 좌-2 Ron Froelich IWGA회장)

 

2012 5 21일 캐나다 퀴벡 시에서 열렸던 IWGA연례총회에서 2017년 제10회 월드게임 개최도시 협약서 서명식을 가졌다.

2005년 서독 뒤스부르그(Duisburg)에서 월드게임이 개최된 이후 2017년에는 12년 만에 유럽(폴란드 Wroclaw)로 다시 복귀하는 셈이다.

 

6) 2013년 제9회 칼리 월드 게임(World Games) 개최 결과 요약

 


 

(1) 개최 기간: 2013 725~84(11일 간)

(2) 대회 성격: 최초로 남미대륙에서 개최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

(3) 대회 규모: 전 세계 101개국 4,500 명의 선수 및 임원 참가

(4) 개최 종목: 31개 종목(26개 정식종목 및 5개 초대 종목)

(5) 메달 수: 201x3(. . )

(6) 개회식: 725일 저녁 개회식에 35,00명 유료 관중(입장권 매진)

(7) 자원봉사자 수: 3,500

(8) 취재 기자 규모: 33개국 711

(9) TV중계 규모: 5대륙 22 TV방송국 대회 중계

(10) IWGA웹사이트: 전 세계 무료 비디오 채널로 중계

(11) 컬럼비아 TV중계: 국영 TV방송국 RCTV가 주 방송사로써 지정되어 120시간 이상 방영

(12) IOC위원장 참석; Jacques Rogge 당시 IOC위원장

(13) 럭비 세븐(Rugby Seven): 2016년 리오 올림픽부터 정식종목이 됨으로 월드 게임 고별 경기종목(Farewell Sport)

 

7) 한국 국제 스포츠종합대회 그랜드슬램(Grand Slam)이후 싹쓸이 일보 직전:

 

2011 7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는 2011년 세계군인체육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거의 하계올림픽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고 할 정도로 대규모 글로벌 스포츠 종합 제전이었던 셈이다.

대한민국 경북 문경시는 그로부터 4년 후인 2015년 세계군인체육대회를 개최 한 바 있다

 

 

 

 

2013년에는 강원도에서 동계스페셜올림픽(Special Winter Olympics)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2014년에는 한국에서 세 번째(1986년 서울, 2002년 부산)로 인천광역시에서 아시안게임이 개최된 바 있다.


 

2015년에는 한국에서 2003년 대구광역시에 이어 두 번째로 광주광역시에서 하계유니버시아드가 성공적으로 개최된 바 있다.

 


  

2017년에는 FIFA U-20(20세 이하)월드컵대회 유치에 성공하여 개최된 바 있다

 

*한국은 2001 Confederation Cup 축구대회, 2002 FIFA월드컵(한국-일본 공동개최), 2007 FIFA U-17(17세 이하)월드컵, 2017 FIFA U-20(20세 이하) FIFA가 주관하는 4대 남자 월드컵 대회를 모조리 유치 및 개최하여 축구 월드컵 그랜드슬램(Grand Slam)의 쾌거를 이룩한 바 있다.

 

 


 

 

*FIFA주관 4개 대회를 모두 유치하여 개최한 국가는 멕시코와 일본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 국가가 된다

 

2018년에는 아시아에서 세 번째(일본 1972년 삿포로 및 1998년 나가노), 한국 스포츠 사상 최초로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된 바 있다.

 

 


 

2019년에는 광주광역시가 FINA세계 수영선수권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

 


 

이제 대한민국은 비올림픽종목 올림픽제전인 월드 게임(World Games)만 개최하게 되면 명실상부 전 세계 각 부문 스포츠 종합 제전 모두를 치르는 셈이 된다.

 

8) 월드게임(World Games) 향후 유치 전망과 기대효과:

 

월드게임(World Games) IOC 후원 하(under the patronage of the IOC)에 개최되고 있다.



이제 2029년 또는 2033년 하나 남은 월드 게임(World Games)만 개최하게 되면 대한민국은 각 부문 별 세계 스포츠종합제전을 모두 싹쓸이 하는 진 기록을 세우게 된다


월드 게임(World Games)은 새로운 시설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 저비용 고 효과 국제종합대회의 표본 이기도 하다.


월드 게임(World Games)은 규모 면에서 올림픽버금가는 2번째 대규모 국제종합스포츠제전이다.


대한민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 1986(서울), 2002(부산), 2014(인천아시안게임, 1999년 강원 동계아시안게임, 1997년 무주-전주 동계유니버시아드, 2003(대구) 2015(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 2015(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 1997년 부산 동아시안게임, 2002년 한국-일본 FIFA월드컵 축구대회, 2013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17년에는 FIFA U-20(20세 이하)월드컵대회,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2019년 광주광역시 FINA세계수영선수권대회 등 굵직굵직한 국제 스포츠종합제전 개최국이다.
 

한국이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성공적 개최 후 지구상에 현존하는 국제종합스포츠제전의 95%이상을 조직한 나라가 되었다.


나머지 5%에 해당되는 대회로는 월드 게임(World Games), 국제 마스터즈 게임(International Masters' Games: 세계 장년층 대상 대회)등에 불과하다.


이들 중 비올림픽종목 올림픽대회인 월드 게임(World Games)은 신설경기장이 필요치 않는 대회다.


또한 월드 게임은 생활체육활성화 및 스포츠를 통한 국제교류 그리고 관광홍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향후 한국이 유치할 만한 국제스포츠 종합스포츠제전 중 하나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11. 10. 10:18

[Tokyo2020올림픽 참가선수 코로나방역대책(Anti-Coronavirus Measures) 어떻게 진행할까?]


 

20201026일 알려진 바에 따르면 만일 Tokyo2020올림픽이 열리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것은 일본 측에서 볼 때 노력이 부족한 것을 아닐 것이다’(If the Tokyo Games don’t take place, it won’t be a lack of trying on Japan’s part)라는 제목의 외신 기사가 올라왔다.

 

전문가들의 견해만 보면 2021년 여름철 Tokyo2020올림픽이 열리지 못할 것 같은 분위기가 압도하기 있지만, 실제로 일본이 취하고 있는 조치들을 종합해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Tokyo2020조직위원회와 일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들은 일본과 일본내 스포츠 경기장들을 점차 확대 적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COVID-19 발병 건수도 현저하게 줄어 들고있다.

 

지난 1015일 자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Yokohama에서 관중 80%가 찬 상태에서 프로야구경기가 열렸다고 한다. 이는 현행 50%관중 기준을 뛰어 넘는 수치다.

 

45,000명 수용 경기장에 관중 입장 시 체온 측정(temperature checked upon entry)과 경기장 전역 살균소독(disinfectant being available throughout the venue)을 비롯하여 팬들은 발병(outbreak) 사실이 있을 경우 경기장 직원에게 접촉 내역(contact details)을 모두 알려야 했다.

 

경기장에 관중 입장이 허용된 후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방지대책을 취하였는데 경기장 좌석 방역(disinfection) 소독용 알코올 적신 수건(alcohol wipes)도 나누어 주었다.

 

지난 9월 하순 Tokyo올림픽 선수 안전에 대한 일본정부주도 패널 회의 결과 각국 선수들의 일본 입국을 허용하는 대신 몇 가지 조건을 달았다.

 

일본 입국 희망 선수들은 자국 출발 72시간 내에 검사를 받고 음성 판정결과(negative results)를 제출 해야 함

 

패널은 연락 접촉 추적 가능 앱(a contact tracing app)기능을 장착한 스마트 폰과 자신들의 건강상태(their health condition)기록을 지참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따르는 조건으로 선수들이 일본 도착 후 요구된 방역 기간(the required quarantine period) 14일 이내에 훈련이나 경기 출전이 가능하다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음

 

이러한 프로그램은 특정화된 국가들로부터 일본에 입국하는 비즈니스 출장자들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토콜 모델에 준하도록 편성되어 있다.

 

코로나 극성 감염대상국(highly-infected countries) 출신 선수들과 관련 Thomas Bach IOC위원장은 최근 SNS(on a social media)를 통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선수들은 자국에서의 바이러스 감염 비율에 책임이 없다, 선수들이 음성판정을 받게 되거나, 선수들이 코로나바이러스 퇴치 지침을 준수한다면, 우리는 그 선수들에게도 올림픽 참가 기회를 주어야 한다”(The athletes are not responsible for the virus in their home countrues. If the athletes test negative, if they respect the anti-coronavirus guidance… we should give them the chance to participate.)

 

또한 올림픽선수촌에도 코로나바이러스 이슈를 구체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별도의 특화된 클리닉(discrete clinic) 설치가 고려 중인데 이는 의무적 이슈를 취급하는 통상적인 폴리클리닉과는 별개의 클리닉이 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올림픽대회 관객들의 경우, Tokyo2020올림픽조직위원회는 최근 관객 대상 경기장 출입에 적용 가능한 과정에 대해 시연하였다고 교토 통신이 보도하였다.

 

1)열상온도기록(thermography)측정과 2)무 접촉 체온 감별기(contactless temperature sensors)3)개개인 손목에 부착될 때(when affixed to their wrist) 발열(fever)정도를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는 체온 스티커’(temperature stickers) 활용 방식 등을 포함한 체온 측정 용3가지 다른 방법이 동원되어 실험되었다고 한다.

 

또한 보안요원들이 검색하는 동안 마스크와 얼굴 가리개(face shields)를 착용하 상태로 관객들을 1~1.5m 간격으로 분리시켜 줄을 서게 하게 하는 것도 시도하였다고 한다.

 

3일 간 실시된 이러한 프로토콜 시연 방식에는 비 허가 물품 검색을 위한 통상적인 금속탐지기 검사 방법(the usual metal-detector scans of bags for disallowed items)도 포함되었는데 이는 통합 검색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대회가 가까워 올수록 더 많은 연습 기간을 통해 숙달되도록 훈련할 예정이라고 한다.

 

더 나아가, 안면인지기술(facial recognition technology)을 통하여 바이러스감염 전파(any spread of the virus)를 방지하도록 방법을 강구 중이라고 한다.

 

소식통에 따르면 한 가지 계획으로 스타디움과 경기장마다 관객들의 얼굴과 신체 표면 체온 기록(to record spectators’ faces and body surface temperatures) 및 마스크 착용 여부를 감시하는 기술 탑재 감시 카메라 상시 설치(to station security cameras equipped with the technology)운영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기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일 대회에서 한 개인이 추후 감염된 것(discovered to be infected later)으로 판명될 경우, 족집게 식으로(by helping pinpoint) 바이러스 전파 가능 자(possible virus carriers)를 대상으로 그들의 이동경로 추적(tracing their routes)과 밀접 접촉 대상자들을 색출함(notifying those who were I close contact)으로 집단 감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한다.

 

일본정부는 올림픽선수촌 및 훈련캠프 입구에도 가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데 이는 해당선수들의 출입 일시를 기록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시만자유옹호론자들(civil libertarians)은 그러한 감시 계획을 못 마땅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만일 가족 일원이 Tokyo올림픽에 출전하거나 일본을 방문할 것이라면 대회를 위한 일본정부의 계획에 맞게 처신해야 할 것이다.

 

일본 내 자체의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통제 상황을 보면 의심 수준은 덜 위협적이라고 본다.

 

고 밀집 도시들이 운집한 고 산업화 국가로써 일본의 최근 보고된 총 확진 건수는 97,503명으로 전세계 11위권으로 12,600만명에 이르는 일본 전체 인구 비율 대비 보고된 누적 율은 전세계49(reported caseload ranks 49th worldwide)로 벨기에, 카타르 및 파나마와 같은 나라보다도 뒤에 있다.

 

6개월 뒤 갈지 안 갈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될 상황변화 추이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 일본 내 자체 환경은 나아져 가고 있는 상태이다.

 

일본 프로야구 게임에 만원 또는 거의 만원 관중으로 경기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보면 올림픽도 확실히 개최가 가능해 보인다.

 

아마도 2021년 열리는 Tokyo2020올림픽의 실행가능성(viability)에 대한 주된 의문점은 일본 외부로부터 올 것인데 지난 3월에 그랬던 것처럼 유럽과 북미를 바이러스가 마비시켰을 때를 가정해 보면 알 수 있다.

 

그럴 경우, 해당 몇몇 선수들은 감염되어 대회에 갈수 없을 것이며 몇몇 아니 아마도 많은 나라로부터 올 관객들은 대회 참관이 불가능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일본 내에서의 올림픽 입장권에 대한 갈망(thirst for tickets to the Games)을 유추해 볼 때 대회 경기장 관중 채우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리 되면 TV화면이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전세계가 Webcast home viewing(집에서 대회 관람)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11/4분기(first quarter)에 백신이 등장(comes onto the scene)한다면?   

 

Yoshihide Suga 일본 총리는 일본 국회의원들과 국민대중에게 인류가 팬데믹을 퇴치했다는 증거로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심했다” (I am determined to host the Games as proof that humanity has defeated the pandemic.)고 호언장담하고 있다.

 

만일 일본이 예정대로 2021년에 Tokyo올림픽을 축소된 관객으로 라도(with reduced spectator capacity)잘 치른다면 그것은 일본의 능력(ability)과 결단력(determination)을 보여 줌으로 지구촌에서 처치 곤란한 악성 병으로 보여온 것을 너끈히 극복한 사례로 일본에게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considerable affirmation)로 나타날 것이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9. 14. 17:05

[IOC추진 국제안전지킴이 담당관(International Safeguarding Officer in Sport Certificate)제도]


 

202099IOC가 발표한 스포츠 인증 국제안전지킴이(희롱-학대/harassment 및 폭력/abuse 방지) 담당관’(International Safeguarding Officer in Sport Certificate) 제도와 관련 선수들의 안전과 복지증진 노력의 일환으로 IOC집행위원회는 스포츠 인증 국제 안전지킴이 담당관’(international Safeguarding Officer in Sport Certificate)제도 설치를 승인하였다.


이러한 스포츠 인증 취득 코스는 20219월 시작된다.


동 제도가 국제적 차원에서 실행 착수는 처음 있는 일이며 현재 스포츠 관련 안전지킴이 담당관을 위한 교육 또는 훈련 인증 또는 최소 수준 설정 자체가 없는 상태(currently no certificate or minimum standard of education or training for safeguarding officers in sport on an international level)이다.


추가적으로 IOC20204/4분기에 시작되는 안전 스포츠 디지털 교육 및 인지 캠페인(a safe sport digital education and awareness campaign)을 기획 중이다.


Tokyo2020올림픽 개최될 때까지 Athlete365 캠페인은 안전 스포츠를 둘러싼 글로벌 인지도 구축을 위해 예의 주시할 것이다.


 



5개월짜리 교육 코스는 국제전문가자문 집행위원회가 개발할 것인데 3명의 프로그램 국장들이 운영할 것이며 선수보호차원의 국제적 노력과 연계할 것이고 UN2030 어젠더와 연계된 스포츠 정책 및 프로그램이 선을 보일 것이다.

 


동 코스는 최종 시험을 치르게 되어 있는데 인증서를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종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동 코스 이수를 위한 등록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지만 특히 국제연맹(IFs), 각국올림픽위원회(NOCs)를 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등록비는 무료다.

 

각국 NOCs가 제안하는 신청자들이 후보자로 선정이 되면 동 코스에 등록하는데 드는 비용 충당을 위해 올림픽 솔리다리티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게 된다.



IOC분과위원회 수준인 IOC스포츠 학대 및 폭력방지(PHAS: Prevention of Harassment and Abuse in Sport)실무그룹은 요르단 IOC위원인 HRH Prince Feisal Al-Hussein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IOC PHAS실무그룹은 과제별전문가(subject matter expert)들 및 올림픽 운동 이해당사자들과 협업하고 있으며 스포츠 학대 및 폭력으로부터 선수들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개발하고 실행하고 있다.

*Safeguarding(안전지킴): Measures and initiatives which are put in place to PREVENT harassment and abuse(학대/희롱 및 폭력 방지를 위해 실행되는 대책 및 이니셔티브)


*References:

-IOC website

-insidethegme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0. 9. 8. 10:15

[Tokyo2020올림픽조직위원회 직원 4 번 째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 보고 현황]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구성원 중 직원 1명이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반응(has tested positive for coronavirus)을 보임으로써 지금까지 4 번 째 확진 자 발생 건수(fourth recorded case)를 기록하였다.


문제의 직원은 30대 남성이며 조직위원회 Harumi사무소에서 근무 중이었다.


검사결과 제일 먼저 첫 확진 자는 지난 20204월에, 또 다른 2명의 양성 확진 자 역시 Harumi 사무소에서 발생한 것으로 지난 20208월에 보고된 바 있다.

 


확진 판정 받은 조직위원회 직원은 77일이래로 자택 근무(working from home) 중이며 전날인 76일까지 조직위원회 사무소에서 근무하였다고 한다.

 

일본은 202094COVID-19 신규 확진자 수(new COVID-19 cases) 669명을 기록하였다.

지난 7월말에서 8월 초까지 코로나확진자 급증 이후(after a spike), 일본은 823일 이래로 신규 확진 자 1,000명 이상은 보고되지 않았다.

 

일본의 수도 Tokyo는 일본 코로나바이러스발생의 진원지(epicenter)로 알려져 왔다.



Life in Tokyo is continuing with few restrictions relative to many other major cities ©Getty Images (출처: insidethegames)

 


Tokyo2020조직위원회는 대략 3,800명 가량의 임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일본올림픽위원회(JOC), 일본 패럴림픽 위원회(JPC), Tokyo시청 및 일본 정부 파견 직원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들 조직위원회 파견 직원들 중 몇 몇은 지난 6월 코로나바이러스 대책의 일환으로(with coronavirus countermeasures put in place)복귀하기 시작했다.

 

지난 3월 지구촌 건강 위기상황으로 말미암아 Tokyo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2021년으로 1년 연기된 바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책 평가 패널이 지난 20209월 초 첫 회의를 가졌다.

동 대책 평가 패널은 Tokyo 2020 사무총장(chief executive) Toshirō Mutō가 포함된 가운데(among the attendees) 일본 정부, Tokyo시청, Tokyo2020조직위원회 3자 위원회로 구상되어 있다.

 

일본 각료회의 수석 부 간사(Japan’s deputy chief cabinet secretary)Kazuhiro Sugita가 패널논의 좌장 책임을 맡아 오고 있다.

 

Tokyo2020올림픽 성화가 9월 초 일본올림픽박물관에서 일반에게 공개 전시되었으며 본격적인 올림픽성화봉송은 2021년에 진행될 예정이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