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Tokyo2020올림픽 COVID-19 여파와 북한선수단 일본 입국 허용문제와 대회개최 구체적 대처 및 대책 살펴보기]
*순서:
가. Tokyo2020올림픽 남북한 단일팀 구성 및 북한선수단 일본 입국 허용문제
나. Tokyo2020올림픽 출전 각국 선수단 일본 입국 제한 완화 결정 추진과정
다. Tokyo2020대회 관련 일본 내 진행 사항
라.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간소화 방안 마련
마. Tokyo2020올림픽 대비 국내 관중동원 Test Events실시
바. Tokyo2020패럴림픽 COVID-19대책회의
사. 최근 Tokyo2020관련
개최 행사 요약
아. Tokyo2020올림픽 참가 선수단 14일 격리 기간 면제(exempt from Japan’s 14-day isolation period)조치
*내용:
COVID-19사태로 1년 연기되어 오는 2021년 7월23일 개막되는
Tokyo2020올림픽이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9109405FC0750E14)
1. Tokyo2020올림픽 남북한 단일팀 구성 및 북한선수단 일본 입국 허용문제
1) 지난 2018년 12월25일 대한민국(KOR)과 북한(PRK)은 Tokyo2020 올림픽에 여자농구, 카누 그리고 조정 3개의 종목에서 남북 단일팀을 출전시키기로 합의함.
2)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당시 문화체육관광부 도종환 장관은 Tokyo2020 올림픽에 (1)여자농구, (2)카누 및 (3)조정 3개
종목에서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기로 합의했으며 앞으로 3개 종목 이외에도 탁구와 유도도 함께 단일팀 구성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언급함.
3) 남북단일팀 구성은
합의되었지만 아직까지 Tokyo2020 진출 자격은 불분명한 상태이며 이와 관련 IOC는 남북한이 단일팀 구성을 위해 노력 중에 있으며 단일팀과 관련된 긍정적인 평가들로 인해 적극적인 협조가
예상되고 있었음.
4) 남북한은 2032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공동 유치 및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도 여전히 논의 중에 있으며 평창2018동계올림픽에 이어 Tokyo2020올림픽 개회식 공동 입장이
성사될 것으로 합의 한 바 있음
5) 남북한은 평창2018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을 시작으로 자카르타-팔렘방2018 아시안게임에서는 카누 드래곤 보트 여자 500m금메달, 여자 200m와 남자 1000m에서2 개의 동메달을 비롯하여 여자 농구 단일팀은 결승에 진출, 은메달을
획득하며 단일팀의 위상을 높인 바 있음.
6) 2019년 2월28국제조정연맹(World Rowing) 집행위원회는 Tokyo2020올림픽
조정경기종목 남북한 조정선수들의 단일팀 예선전 참가를 최종 허가한 바 있음
7) 국제조정연맹(WR)은 2019년~2020년까지
실시될 남녀 무타포어, 쿼드러플 스컬 그리고 에이트 총 6개
종목 예선전에 남북한 단일팀 출전 가능하다는 최종 허가를 내렸으며 단일팀으로 예선전을 통과하면 올림픽에서도 단일팀으로 출전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고 당시 집행위원회가 내린 결정은 IOC와 긴밀한 협의 끝에 내린 결정인 것으로 발표한 바 있음
8) 국제조정연맹에
따르면 해당 올림픽 예선전에 남북한의 단일팀 참가는 가능하나 올림픽 출전권 부여와는 거리가 멀다고 설명한 바 있음
9) 한국은 지난
Rio2016올림픽 당시 단 2명의 조정선수만이 올림픽에
출전한 바 있으며 남북한 단일팀의 시너지효과로 Tokyo 2020 올림픽 출전 여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었음
10)
IOC는 Tokyo 2020 예선전에
남북한 단일팀 출전을 위해 국제연맹들(IFs)과 지속적인 협의를 실시할 전망이라고 입장을 표명한 바
있었음
11)
2019년 3월14일 일본 정부는 Tokyo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 참가를 위한 북한 선수단의 입국 허용과 관련 대북 제재 조치를 예외로 처리할
것을 검토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12)
Tokyo 2020 조직위원회는
대회 참가와 관련 필요한 ID 등 전자정보를 북한 NOC의
기술적인 문제를 이유로 북한NOC에 제공하지 않았다가 방향을 전환하며 결국 필요한 ID 등을 북한NOC에 제공한 것으로 알려짐
2. Tokyo2020올림픽 출전 각국 선수단 일본 입국 제한 완화 결정 추진과정
1) 2020년
7월10일 일본 정부는 2021년 대회 개최를 1년 앞둔
시점에서 Tokyo2020 참가 예정인 각국 외국인 선수단 입국 제한 완화 방안 검토 착수
2) 일본 정부는 지난 2020년 2월부터 COVID-19 확산을 막기 위해 제한한 여행객들의 해외 유입을
2021년 7월23일
시작되는 올림픽에 참가하는 각국선수단에 한해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었고 지난 9월에 Tokyo2020 조직위원회와 Tokyo도청 간의 회의에서 관련 방안을
다룰 것이라고 밝힌 바 있었음
3) 현재 206개 참가대상국들 중 159개국 및 지역이 일본 입국 금지 명단에 포함되어 있으나 예외적으로 베트남은 비즈니스 관계로 제외되어 있지만
일본 정부는 태국 등 일부 국가의 제한 완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4) 올림픽 선수자격을 획득한 선수단의 입국을 위해서 몇 가지 테스트를 받아야 하는 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사실이 없다는 서류를 증빙해야 함.
5) Tokyo 2020은 COVID-19 대유행으로 한 차례 연기되어 2021년 7월 23일부터 8월 8일(패럴림픽: 8.24~9.5)까지 개최될 예정이며 IOC는 재정, 안전 및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해 ‘간소화’ 대회(Simplified Games) 개최를 합의한 바 있음
6) 2020년
9월4일 COVID-19의 영향으로 1년 연기된 Tokyo2020대회
개최 대책 마련을 위한 패널 회의가 처음 개최된 바 있음
7) Japan Times에 따르면, 2020년 9월 4일 처음으로 개최된 패널 회의에서는 (1)국경 통제, (2)경기장 방역,
(3)확진자 대처 방안, (4)대중교통 관련 규칙, (5)입국
시 격리 기간의 필요성, (6) 의료시설의 확충 등도 의제에 포함되어 논의한 것으로 알려짐
8) 코로나바이러스 대책 패널은 일본정부, Tokyo도청, 그리고 Tokyo2020 조직위원회 관계자들로 구성되어 향후 몇
달간 정기적 회의를 통해 관련 제반문제들에 대한 ‘강력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으로 알려짐.
9) Tokyo2020조직위원회는 글로벌 건강 위기(global health crisis)를 염두에 둔 대회개최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10)
관련 대책 및 정책 내용은 2020년 말 발표될 예정임
11)
이러한 정책으로는 외국 여행객들에 대한 입국허용 매커니즘(a
mechanism for lifting the entry ban on foreign tourists)
12)
올림픽대회 코로나바이러스 대책으로는 관광객들에 대한 (1)건강 체크 어플리케이션(a health-checking app) (2)의무적인 테스트(mandatory
testing)(3) 건강보험(health insurance) 및 (4)관광객 전용 건강 센터(exclusive health centres for
tourists)운영 등임
13)
Tokyo2020대회 참가 선수들과 관계자들의 (7) 동선을 추적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도입 문제 (8) 사회적 거리 두기(Social
Distancing)와 (9)관중 수의 제한 등도 논의 대상임
14)
현재 일본 정부는 COVID-19에 대한 대응으로 150여 개국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입국이 허용된다 하더라도 2주(14일 간)의 격리 기간을 권고하고 있음.
15)
지난 2020년 9월
하순 Tokyo올림픽 선수 안전에 대한 일본정부주도 패널 회의 결과 각국 선수들의 일본 입국을 허용하는
대신 몇 가지 조건 및 제반 검토 사항은 다음과 같음:
(1) “일본 입국 희망 선수들은 자국 출발 72시간 내에 검사를 받고
음성 판정결과(negative results)를 제출 해야 함”
(2) “패널은 연락 접촉 추적 가능 앱(a contact tracing app)기능을 장착한 스마트 폰과 자신들의 건강상태(their health condition)기록을 지참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따르는 조건으로 선수들이 일본 도착
후 요구된 방역 기간(the required quarantine period)인 14일 이내에 훈련이나 경기 출전이 가능하다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음”
(3) 코로나 극성 감염대상국(highly-infected countries) 출신 선수들과 관련 Thomas
Bach IOC위원장은 최근 SNS(on a social media)를 통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음:
“선수들은 자국에서의 바이러스 감염 비율에 책임이 없다, 선수들이
음성판정을 받게 되거나, 선수들이 코로나바이러스 퇴치 지침을 준수한다면, 우리는 그 선수들에게도 올림픽 참가 기회를 주어야 한다”(The
athletes are not responsible for the virus in their home countrues. If the
athletes test negative, if they respect the anti-coronavirus guidance… we
should give them the chance to participate.)
(4) 올림픽선수촌에도 코로나바이러스 이슈를
구체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별도의 특화된 클리닉(discrete clinic) 설치가 고려 중임
(5) 올림픽대회 관객들의 경우, Tokyo2020올림픽조직위원회의 관객 대상 경기장 출입에 적용 가능한 과정에 대해 시연 내용:
A. 열상온도기록(thermography)측정
B. 무 접촉 체온 감별기(contactless temperature sensors) 가동
C. 개개인 손목에 부착될 때(when affixed to their wrist) 발열(fever)정도를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는 ‘체온 스티커’(temperature
stickers) 활용 방식 등 동원되어 실험
(6) 보안요원들 검색 동안 마스크와 얼굴
가리개(face shields) 착용한 상태로 관객들을 1~1.5m 간격으로
분리시켜 줄을 서게 하게 하는 것도 시도.
(7) 3일 간 실시된 이러한 프로토콜 시연
방식에는 비 허가 물품 검색용 통상적 금속탐지기 검사 방법(the usual metal-detector
scans of bags for disallowed items)포함----->통합
검색프로그램일환으로 대회가 가까워 올수록 더 많은 연습 기간을 통해 숙달되도록 훈련할 예정
(8) 안면인지기술(facial recognition technology)통한 바이러스감염 전파(any
spread of the virus) 방지방법강구 중
(9) 스타디움과 경기장마다 관객들 얼굴과
신체 표면 체온 기록(to record spectators’ faces and body surface
temperatures) 및 마스크 착용 여부 감시 기술 탑재 감시 카메라 상시 설치(to
station security cameras equipped with the technology)운영 고려
(10) 기록된 데이터 활용, 만일 대회에서 한 개인이 추후 감염된 것(discovered to be infected
later)판명될 경우, 족집게 식(by helping pinpoint)
바이러스 전파 가능 자(possible virus carriers)대상 이동경로 추적(tracing their routes) 및 밀접 접촉 대상자들 색출(notifying
those who were I close contact)-----> 집단 감염 방지 목표
(11) 일본정부는 올림픽선수촌 및 훈련캠프
입구에도 가시 카메라 설치 고려------>해당선수들의 출입 일시 등 동선 기록
3. Tokyo2020대회 관련 일본 내 진행 사항
1)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Buenosaires2013 IOC총회에서 연설하는 등 Tokyo
2020 유치 단계에서부터 깊이 관여해왔으며, COVID-19로 인해 Tokyo 2020대회의 정상적인 개최가 어려워짐에 따라 IOC 위원장 Thomas Bach와 함께 대회 1년 연기 개최 결정을 내린 바
있음.
2) 지난 2020년 8월 28일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 악화 등 건강상의 이유로 총리직 사임의사를 공식 발표한 바 있으며, 아베
총리가 집권하고 있는 자유민주당이 지난 9월 14일투표를
거쳐 9월16일 후계자를 결정할 때까지 총리직을 유지하다가
후임총리로 스가 요시히데(Suga Yoshihide)가 선출됨
3) 2020년 9월14일 보도된 바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Tokyo202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에 앞서 외국인 선수 입국을 허용하여 일본 선수들의 Tokyo 2020 준비를 지원하고 있음
4) 2020년10월 시즌 개막전을 앞두고 일본 최고의 농구 · 배구 대회인 B 리그와 V 리그에서 외국인 선수 출전을 허용할 것이며, 금번 결정은 일본
선수들이 리그에서 최고 수준의 경쟁을 통해 Tokyo 2020 대회 이전에 가능한 최선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으로 알려짐
5) 현재 일본 프로
축구 J 리그 및 프로 야구에서만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 시행 이전 일본에 체류 중이던 외국인 선수들만
각자의 리그에서 경기를 뛰고 있으며, 농구와 배구 리그를 비롯해 탁구 대회인 T 리그, 럭비 Top 리그, 프로 골프 등에서도 추후 외국인 선수 출전을 허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6) 일본 입국이
허용된 외국인 선수들은 일본 입국 전후로 수차례 COVID-19 검사를 받아 검사 결과를 제출하고, 일본 입국 후 14일간 격리 조치해야 하며 국내 이동 계획을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었음
4.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간소화 방안 마련
1) 2020년 9열16일 도쿄 2020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Muto Toshiro는 2020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간소화
방안 50~60개에 대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의 승인을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음
2) Tokyo 2020 조직위원회 Muto Toshiro 사무총장은 9월 15일(현지시간) 도쿄 2020 집행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Tokyo 2020 간소화 방안에
대해 9월 24일과 25일
양일 간 IOC 조정위원회(Coordination
Commission)와의 논의를 거쳐 합의가 도출되었음
3) Muto Toshiro 사무총장은 50~ 60개에 달하는 Tokyo 2020 간소화 방안은 (1)비용 절감과 (2)선수와 관중의 안전 보장을 목표로 하며 (3)대회, 주변시설 및 시상식 참여 인원수 조정이 포함되는 것으로
밝히면서 정확한 비용과 수치의 산출은 오는 12월에나 가능할 예정이라고 함
4) Muto
Toshiro 사무총장, Tokyo 2020대회 관중 입장
여부 및 방식은 11월 개최 예정인 도쿄 2020 COVID-19 대책위원회
회의의 주요 안건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이에 대한 결정 또한 연말에 내려질 것이라고 밝힘.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AED4D5FC0759A14)
(IOC 조정위원회 화상회의 장면(좌로부터 Toshirō Mutō Tokyo2020사무총장<Chief Executive> 및 Yoshiro Mori 조직위원장/출처: IOC)
5) IOC 조정위원회는 지난 2020년 9월 24일과 25일(현지시간) Tokyo
2020 조직위원회와의 온라인 회의를 통해 대회 관계자 인원 감축, 교통 서비스 간소화, 경기장에서의 관중 활동 제한, 대회 사전 행사 온라인 개최방안 등
약 50개에 달하는 2020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간소화 방안에 합의한 바 있음.
6) IOC는 Tokyo
2020 조직위원회, 일본 정부, Tokyo도청(TMG: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및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관계자들로 이루어진 Tokyo
2020 COVID-19 대응책 TF팀의 의견을 받아 가능한 모든 대회 개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여행/입국, 사회적 거리 두기(social distancing), 개인 보호 용품/청결, 식음료, 검사/추적/격리, 정보 제공 및 백신 등 7가지
차원에서의 COVID-19 대응책을 검토함.
7) IOC 조정 위원장 John Coates는 최근 합의에 대해 ‘Tokyo 모델’은 COVID-19 이후의 세계에 적합한 대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수년간 다른 올림픽 조직위원회에 도움이 될 청사진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표명함
8) IOC 집행위원회는 화상회의를
통해 Tokyo 2020 조직위원회와 비용 절감(US$약 2억 8천만 달러) 방안에
대해 논의함.
9) 지난 2020년
10월 7일 진행된 IOC EB와 Tokyo
2020 조직위원회 화상회의에서 약 US$2억 8천만
달러라는 잠정적인 수치가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이는 지난달 9월
Tokyo2020조직위원회와 IOC 조정위원회간에 합의된
간소화 방안 52개 항목 바탕으로 산출된 바 있음
10)
시행 조치로는 (1)대회 참가자 10~15% 축소, (2)각국 선수단의 선수촌 입촌식(Team Welcome Ceremony) 취소, (3)교통 서비스의
간소화, (4)경기장에서의 관중 활동 제한, (5)대회 사전
행사 온라인 개최 등 5가지를 언급함.
11)
이러한 노력의 결과를 통해 Tokyo 2020 조직위원회는 COVID-19 대책에 대한 대략적인 비용을 포함하여 연기와 관련된 총 추가 비용을 추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20년 말까지 수정된 예산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됨
5. Tokyo2020올림픽 대비 국내 관중동원 Test Events실시
1) 일본정부는 COVID-19관중동원 대응방안 테스트 이벤트로 2020년 10월 30일~ 11월 1일까지 3일간 일본 가와가나 현 요코하마에 위치한 3만 4000여 석 규모의 요코하마 야구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야구 경기 3회 동안 80%(약 2만 7천명)의 관중 입장을 허용한 바 있음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DC864D5FC075D213)
(COVID-19
관중 동원 대응책 테스트이벤트로 활용된 일본프로야구 요코하마 야구스타디움/출처: insidethegames)
2) 프로야구경기가
열린 요코하마 스타디움은 Tokyo 2020대회에서 야구와 소프트볼 경기장으로 사용될 것이며, COVID-19 대응책 관중 동원 테스트를 위해 고성능 카메라와 비콘 기술(high
tech devices)을 사용하여 경기장에 들어오는 관중들의 움직임과 밀도, 마스크 착용률
등을 확인한 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음.
3) 요코하마 스타디움
수용능력은 32,402석으로 100% 꽉 채운 상태에서3일 간 실험(관중 체온 스크린 측정 및 고 선은 카메라 동선 추적
시스템(high-spec cameras tracking movement) 실시 후 무난 평가를 받았음
4) Tokyo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COVID-19
대책(T/F) 팀은 Tokyo 2020올림픽이
2021년7월 23일부터 8월 8일까지 계획대로 개최될 수 있도록 가능한 시나리오와 대응 및
대책을 평가하고 있으며, 2020년 말 경 총괄 대응 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6. Tokyo2020패럴림픽 COVID-19 대책회의
1) 2020년10월 9일 일본 정부, Tokyo도청(TMG: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및 Tokyo
2020 조직위원회 3자 간에 Tokyo2020 패럴림픽
대회 관련 COVID-19 대책 회의가 있었음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AD77505FC0761611)
2) 동 회의에서는 COVID-19 대책 업데이트 하였는데 주요 내용으로는 (1)경기장
내 참가선수 감염관리 대책, (2)올림픽 및 패럴림픽 선수 감염관리 대책, (3)선수촌 내 선수 코로나 검사 방법, (4)선수에 대한 규칙과
행동 강령 등을 논의 함
3) 한편, IOC-IPC-Tolyo2020조직위원회 3자간 합동 실무회의에서도
COVID-19대책 마련을 위한 활발한 의견조율 중임
7. 최근 Tokyo2020관련 개최 행사 요약
1) 2020년 10월23일: 세계 방송사
회의
2) 2020년 10월24일: Tokyo수영센터(Tokyo Aquatics Center: 패럴림픽 경기장 사용 예정)개장식
3) 2020년 10월26일, 28일, 30일: 각국 패럴림픽위원회(NPC)단장
회의(Chef-de-Mission Seminar)
4) 2020년 11월8일: 국제체조연맹(FIG0주관 국제기계체조대회(International Gymnastics
Competition/2,000명 관중 입장: COVID-19이래 Tokyo에서 열린 최초의 국제스포츠 행사)
8. Tokyo2020올림픽 참가 선수단 14일 격리 기간 면제(exempt from Japan’s 14-day isolation period)조치
1) 2020년
11월24일 자 Reuters보도에
따르면 Koike Tokyo도지사는 ‘최상의 시나리오 란
모든 국가들로부터 모든 선수들이 안전하고 평온한 마음으로 도착하고 올림픽이 과거와 마찬가지로 꽉 찬 관중들이 지켜 보는 가운데 올림픽 경기가 치러지는
것’(The best-case scenario would be when all athletes from all
countries come here in safety and with peace of mind and the Olympics can, as
in previous years, be held with full spectators present as well)이라고 언급하였음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8511455FC076AA14)
(Koike Tokyo 도지사/출처:
insidethegames)
2) Toshirō Mutō Tokyo2020사무총장(Chief Executive)는 외국인 거주자를
포함한 관중들에 대한 대책이 2021년 봄까지 마련될 것이라고 언급함
3) 올림픽 참가
각국 선수-코치-임원들에 대하여서는 일본 도착 시 14일 간의 격리 기간 실행 조치가 면제될 것으로 가닥이 잡혀져 가고 있으며 해외 관중들 역시 방역 면제(free from quarantine0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References;
-insidethegames
-GamesBid.com
-Reu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