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19. 1. 16. 09:52

[Beijing2022동계올림픽 베이징과 Zhangjiakou 연결 고속철도 건설비용 약 10조원 추정]

 

 

2019 1월 들어 Beijing2022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를 위하여 중국당국이 빙상종목개최도시인 Beijing과 설상종목 개최지인 Zhangjiakou를 연결하는 야심 찬 고속철도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외신보도내용이 지난 주 소개 되었습니다.

 

 

 

 

 

Beijing과 장지아코우의 총리지역(Chongli District of Zhangjiakou)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연결망은 Beijing2022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겨냥하여 중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중요한 건설사업으로 지금 한창 건설 중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ecns’의 보도에 따르면 철도의 Chongli구간에 고속철도 트랙이 설치되어(tracks have now been laid to the Chongli section of the railway) 오고 있다고 합니다

 

Chonglli철도청 프로젝트 매니저인 Cui Shuangjie 가 웹사이트를 통해 발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  "We are prepared to tackle both the technical challenges and the inclement weather." (우리는 기술적인 도전과제들과 악천후 조건 모두를 헤쳐나가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음)

 

고속철도망의 트랙을 놓음으로써(the laying of the track for the network) 5월 말 완공되는 고속철도 트랙완성을 통해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경기장 들 간의 이동시간을 3시간에서 단 50분으로 줄이게 될 것(will reduce travel times between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venue hubs from more than three hours to just 50 minutes)으로 예상된다고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트랙 조정작업은 5월 말부터 착수되어 7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9 adjusting of the track will then take place and is expected to last until July) 연말경 시험가동이 예정되어(with testing set to be held towards the end of the year) 있다고 합니다.

 

Chongli지역은 Beijing2022동계올림픽 Zhangjiakou 설상경기장의 중심지역인바 젊은 베이징 청년들의 주말 인기 방문 장소로 각광을 받고 있는 관문이라고 합니다.

 

 

A new high-speed railway to be completed by the end of 2019 will cut the journey time from Beijing to just 50 minutes.

 

 

 

중국 당국 관계자들은 유치 당시 고속철도 망 건설비용에 대해 밝히기를 한사코 거절하였는데(repeatedly refused to reveal the cost of the railway network) 그 이유는 고속철도 건설비용은 동계올림픽유치와 무관’(unrelated to the bid)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고속철도수송이 참관 객들뿐만 아니라 참가선수 및 임원들을 위한 수송계획의 핵심 부분으로 그려지기 때문에(particularly because it is envisaged as such a key part of the transport plan for athletes and officials, as well as spectators) 특히 도전을 받을 수 있는 소지가 있다(this claim can be challenged)고 합니다.

 

고속철도망 건설비용(the cost of the network)은 대략 580.41억위안(CNY¥58.41 billion (£6.7 billion/$8.52 billion/€7.44 billion/ 10조원)가량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합니다.

 

2008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개최한 바 있는 Beijing시는 빙상종목(ice sports)이 열리는 도시로써 컬링, 아이스하키 및 빙상종목경기를 개최할 것이라고 합니다.

 

 

 

 

설상종목 경기의 대부분은 Beijing 북서부에 위치한(located to the north-west of Beijing) Zhangjiakou에서 열릴 예정(majority of skiing events will be held in Zhangjiakou)입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

-Beijing2022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9. 1. 11. 11:08

[2019년도 IOC 올림픽운동 핵심주요일정(Key calendar) 종합요약정리]

 

 

2019년 새해 올림픽운동 주요핵심 캘린더 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유합니다.

 

 

1.    IOC 및 올림픽관련 집중일정

 

1)   111~20: IOC각 분과위원회 회의(Lausanne)

2)   130~31: 6Beijing2022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제6IOC Project review회의 (Beijing)

3)   24~5: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제10 IOC Project Review회의 (Tokyo)

4)   224~28: 세계 방송매체 브리핑(World Broadcaster Briefing//Beijing)

5)   326~28: 1/4분기 IOC집행위원회 정례회의(Lausanne)---à신임 IOC위원 후보명단 발표전망

6)   48~9: Paris2024올림픽 및 패럴림픽 제3 IOC Project Review회의(Paris)

7)   413~15: 국제선수 포럼(International Athletes Forum/Lausanne)

8)   55~10: SportAccord컨벤션/GAISF(호주 Gold Coast)

9)   521~23: Tokyo2020 8 IOC조정위원회 회의(Tokyo)

10) 611~12: Paris2024 2 IOC조정위원회 회의(Paris)

11) 619~20: 2/4분기 IOC집행위원회 정례회의(Lausanne)

12) 6 23: 올림픽의 날(Olympic Day/Lausanne)

13) 624~26: 134 IOC총회(Lausanne)----à2026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도시 결정투표 및 선출/신임 IOC위원 선출 등

14) 717~18: Beijing2022 4 IOC조정위원회 회의 (Beijing)

15) 720~23: Tokyo202011 IOC Project Review회의 (Tokyo)

16) 93~4: Lausanne2020동계청소년올림픽(Winter YOG) 각국선수단장세미나(Chef de Mission Seminar/Lausanne)

17) 926~27: Lausanne2020 Winter YOG 4 IOC조정위원회 회의 (Lausanne)

18) 930~104: LA2028올림픽 및 패럴림픽 제1IOC Project Review회의(LA)

19) 109~10: ANOC총회 (미국 San Diego)---à3/4분기 IOC집행위원회 연계 전망(San Diego)

20) 1030~111: Tokyo2020 9 IOC조정위원회 회의(Tokyo)

21) 114~5: Beijing2022 7 IOC Project Review회의(Beijing)

22) 1111~18: IOC 각 분과위원회 회의(Lausanne)

23) 1114~15: 국제연맹포럼(IF Forum/Lausanne)

24) 1126~27: Paris2024 4 IOC Project Review 회의 (Paris)

25) 123~5: 4/4분기 IOC집행위원회 회의 (Lausanne)

26) 2020 724~89: Tokyo2020올림픽 대회

 

2.    기타 일정:

 

1)    32: 72 OCA집행위원회 (bangkok)

2)    33: 38OCA총회(Bangkok)

3)    313~14: WADA심포지움 및 WAdA국제 컨퍼런스 (Doping in sport/Lausanne)

4)    515: wada이사회(montreal)

5)    523~615: 2019 fifa u-20 월드컵(Poland)

6)    67~77: 2019 fifa 여자 월드컵(France)

 

*Referenc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9. 1. 7. 10:31

[Infantino FIFA회장 FIFA월드컵축구Qatar2022 출전국 32개국에서 48개국로 확대가능성시사발언에 대한 분석]

 

 

2019 1 3일자 외신에 따르면 Gianni Infantini FIFA회장(아래 사진) 2022 FIFA월드컵 축구대회 출전 국 수를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16개국을 추가로 확대 출전시킬 의향이 있음을 다시금 시사하였다고 합니다 

 

 

(Gianni Infantino FIFA회장/출처: insidethegames)

 

 

Infantino FIFA회장은 세계축구대회의 최고봉(flagship) FIFA월드컵대회를 사이즈 면에서 증가시킬 수 있음을 거듭 강조하면서(repeatedly stressed that the flagship event could increase in size) 아울러 Qatar2022와 관련하여 몇 경기를 중동지역 다른 국가들도 (분산)개최할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suggesting that othe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could host some matches)고 합니다

 

그는 UAE개최 Dubai스포츠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이 같은 견해를 거듭 표명하였는데 그의 자주 되풀이 되는 해당이슈 논의를 궁극적으로 채택될 것이라는 징조로 해석하고 있는 부류도 있다(some interpreting his frequent discussion of the issue as a sign that it will eventually be adopted)고 합니다.

 

북 중미 공동개최로 결정된 2026 FIFA월드컵대회는 미국-캐나다-멕시코가 함께 조직하는 바 이미 48개국으로 출전 국을 늘리는 것이 확인된 바(Forty-eight teams have already been confirmed for the 2026 World Cup)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Infantio FIFA회장의 Dubai 스포츠 컨퍼런스에서의 발언내용입니다:

 

A.  "The World Cup will take place in Qatar with 32 teams." (월드컵은 2022 Qatar에서 32개국 팀들이 출전하는 가운데 열릴 것임)

 

B.  "Obviously, if we can increase it to 48 teams and make the world happy we should try it. (분명하게 밝히건대, 만일 우리가 48개국 팀으로 확대 증폭하여 세계를 기쁘게 할 수 있다면, 우리는 반드시 해내야 함)

 

C.  "If you think it's a good thing to have 48 teams in the World Cup, why not try four years before? (만일 월드컵에 48개국 출전시도가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아예 4년 앞당겨 시도하는 것이 어떨까요?)

 

D.  "That's why we are analysing whether it's possible to have 48 teams already in 2022. (그러한 연유에서 우리는 2022년 월드컵에서도 48개국 출전 팀을 성사시키는 것에 대한 가능성여부를 분석하고 있는 것임)

 

E.  "If we can accommodate some of the neighbouring countries in the gulf region which are very close by to host a few games in the World Cup, this could be very beneficial for the region and the entire world. (만일 우리가 중동지역에서 2022년 개최국과 매우 인접한 이웃국가들 중 몇 나라가 월드컵 경기 중 몇 게임을 수용할 수 있다면, 이것은 그 지역과 전 세계를 위하여 매우 유익할 수 있을 것임)

 

 

Qatar's neighbours in the Middle East could also host matches, Gianni Infantino has suggested ©Getty Images (카타르2022 FIFA월드컵 경기장/출처: insidethegames)

 

 

 

F.  "There are tensions in this particular region and it's up to their respective leaders to deal with that but maybe it's easier to talk about a joint football project than more complicated things. (특히 이 지역에는 긴장관계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을 다루는 문제는 각각의 지도자들에 달려있지만 아마도 더 복잡한 것들보다 축구경기 공동프로젝트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눈 것이 훨씬 더 쉬울 것임)

 

G.  "If it can help all the people in the Gulf and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develop football and bring a positive message to the world about football, then you should give it a try." (만일 이러한 사안이 중동지역과 세계 모든 나라들 사람들에게 축구발전과 축구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 세계로 전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 그렇다면 우리는 반드시 시도해야 함)

 

 

Infantino FIFA회장은 카타르자체만으로 48개국 출전 팀을 모두 수용할 수 없을 것이므로 다른 인접국가들도 참여하여 게임을 소화해 낼 필요가 있을 것(unable to host 48 teams on their own, hence the need for other nations to stage games) 이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우디, UAE, 바레인과 이집트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Qatar가 테러리즘 지원혐의로 인해 모든 외교적 관계를 단절해 오고 있는(severed all diplomatic ties due to Qatar's alleged support for terrorism) 상황입니다.

 

카타르 관계자들은 이와 관련하여 잘못을 저지른 바 없다고 부인하고 있다(Qatari officials have denied wrongdoing)고 합니다.

 

 

지난 2018 6월 러시아개최 2018FIFA월드컵 토너먼트에 앞서 Moscow에서 열린 바 있는FIFA총회 안건에는 2022 FIFA월드컵 48개국 출전 관련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었다(taken off the agenda of the FIFA Congress in Moscow) 고 합니다

 

Infantino FIFA회장은 2022 FIFA월드컵 개최국의 동 사안 지지계획이 수반되어야만 진행 할 수 있다(only proceed with the plan with the support of the host nation )고 밝혔다고 합니다.

 

그는 211 FIFA전 회원국으로 구성된 FIFA총회보다는 FIFA이사회가 동 사안에 대한 최종결정을 내리게 될 것(the ruling Council would make the final decision on the matter)이라고 덧붙여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2022 FIFA월드컵 개최국인 카타르는 현재 8개 축구스타디움을 건설 중(building eight stadiums for 2022)이라고 합니다.

 

 

비평가들은 48개국 출전 토너먼트는 너무 방대하고 축구경기 수준이 저하되는(could lead to a lower standard of football) 상황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FIFA가 돈에 집착하는 방향으로 동기부여가 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게 될 것(with FIFA accused of being motivated by money)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32개국이 출전하는 월드컵(32-team World Cup)은 대회진행의 행로를 이해하는데 더 산뜻하고 쉬운 포맷을 제공하고 있다(provides a neater and easier to understand route of progression throughout the event)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9. 1. 5. 10:25

[정선 가리왕산 평창2018 알파인 스키경기장 해체 요구한 산림청과 강원도 입장 팽팽 외신보도 내용 스케치]

 

 

2019 13일 자 외신은 대한민국 정부부처인 산림청(KFS: Korea Forest Service)이 평창2018동계올림픽에서 사용된 알파인 스키경기장을 해체하고 이전의 자영상태로 복원할 것을 요구하였다(demanded that the Alpine skiing venue used at Pyeongchang 2018 be demolished and restored to its previous natural state)고 보도하였습니다.  

 

 

 

 

정선 알파인 센터(Jeongseon Alpine Centre) 건설을 두고 당초 논란에 휩싸인 바 있었는데 알파인 스키경기장지역은 수령500년 나무들로 뒤덮여 있었기(the area was covered with 500-year-old trees)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제 정부부처인 산림청(the state-run KFS)은 강원도에게 원천환경이 생태 복원되어야(the original environment must be restored) 한다고 요구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방관계자들(local officials)은 스키장 시설을 지역관광객 유치방법으로 유치시켜야 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reportedly keen to keep the ski runs as a way of attracting tourists to the area)되었습니다.

 

 

코리아 타임즈 지에 따르면 평창이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유치계획이 가능한 시안(A possible Pyeongchang bid for the 2021 Asian Winter Games is also planned)으로 검토 중이라고 보도되었다고 합니다.

 

 

산림청은 알파인 센터가 위치한 정선군 소재 가리왕산을 소유하고 있으면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위하여 강원도에게 접근권한을 승인해 준 것(KFS owns Mount Gariwang where the Alpine Centre is located and granted the province access for the Olympics and Paralympics)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도된 바에 의하면 이러한 협약(this deal) 2014 524일과 2018 1231일 사이의 시간단위를 근간으로 체결된 것이므로 권한이 종료된 것(covered a time-frame between May 24, 2014 and December 31, 2018 which has now expired)이라고 합니다.

 

동 협약은 대회 후 사용된 토지가 원상 복귀되는 조건 하에 이루어 진 것(under the condition that the land be restored after the Games)이라고 코리아 타임즈 지는 보도하였다고 합니다

 

스키활주로(ski-runs)뿐만 아니라 연계도로 및 스키 리프트와 같은 그 밖의 다른 인프라도 해당지역에 건설된 바(other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and ski-lifts has been built in the area) 있습니다.

 

 

 

Construction of the facility was controversial due to 500-year-old trees ©Getty Images(출처: insidethegames)

 

 

다음은 산림청의 입장 견해 내용입니다:

 

A.  "The KFS has discussed the restoration plan of the mountain with Gangwon Province but the province has demanded the retention of the gondolas and the roads." (산림청은 강원도와 가리왕산 복원에 대해 논의하였지만 강원도는 곤돌라 시설과 제반 접근도로 유지 및 존속을 요구하여 왔음)

 

B.  "Given the ski slopes on Mount Gariwang were constructed on condition of restoration of the forest, the Gangwon Province governor should implement the restoration process. (가리왕 산 소재 스키슬로프가 산림복원을 전제로 건설되었던 바, 강원도지사는 복원과정에 대해 실행에 착수하여야 함)

 

C.  "The KFS will propose residents establish a council for the development of the Jeongseon area and discuss measures to improve the regional economy instead of the retention of gondolas." (산림청은 곤돌라 존속유치대신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정선지역개발을 위한 위원회를 설립하여 지역경제 개선방안을 논의 할 것을 제안할 것임)

 

 

가리왕산 지역 복원예상비용(cost estimates for restoring the area)은 어떤 소식통에 의하면 4,000억원(US$3.55억불)이라고 하고 또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800억원(US$7,100만 불)로 번화 무쌍하다(vary dramatically)고 합니다

 

정선은 평창2018 3대 無 유산계획 경기장 들 중 하나(one of three Pyeongchang 2018 venues where no legacy plan was put in place)이며 나머지 2개는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와 강릉 하키센터라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말미암아 평창2018조직위원회와 IOC 모두에게 비판의 화살이 쏟아져 오고 있다(led to criticism)고 합니다

 

지난 2018 8월 조선일보에 의하면 강원도가 평창2018대회 개최 후 엄청난 빚더미를 떠 앉고 있다고 보도된 바(reported by The Chosun Ilbo that Gangwon Province had been left with "massive debts" after hosting Pyeongchang 2018)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평창2018조직위원회와 IOC는 흑자대회가 된 숫자를 예고하고 있다(have heralded figures suggesting that the Games generated a surplus)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Korea Times

-조선일보

 

 

서울신문 (20191 2일 자)  관련기사

[관가 인사이드] 산림청 “가리왕산 복원” 원칙 강경… 투쟁위 “행정대집행 봉쇄”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알파인스키 경기장으로 사용됐던 가리왕산 복원을 놓고 갈등을 빚어 온 산림청과 강원도가 결국 파국의 길로 접어들었다. 산림청은 국유림 사용허가 기간 만료(지난해 12 31)를 앞둔 지난달 24일 강원도에 국유림 사용 기간 종료를 통보한 데 이어 2일 복구명령을 내린다. 사실상 행정대집행 절차에 돌입하는 것이다. 반면 강원도는 ‘복원이 아닌 사후 활용’ 입장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특히 곤돌라와 관리도로 존치를 주장하는 정선군 주민들이 경기장 출입구를 차단한 채 대정부 투쟁에 나서 자칫 물리적 충돌마저 우려되고 있다.

 

 


●“국유림 사용 기간 종료” 이어 오늘 복구 명령

가리왕산 복원을 놓고 정부·환경단체와 지방자치단체·지역주민 간 이견이 심각하다. 산림청을 비롯한 중앙정부와 환경단체들은 전면 복원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 반면 지자체와 주민들은 활용을 줄기차게 요구하는 상황이다. 가리왕산은 영동고속도로 진부IC에서 15~20분 거리에 위치한 데다 총길이가 3.5㎞인 곤돌라는 유일하게 정상까지 연결된 시설물이다.

권장현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장은 1일 “가리왕산 일대는 역사적·생태적 가치가 높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이기에 복원을 전제로 경기장 시설이 조성될 수 있었다”며 “강원도는 사회적 약속과 관련법에 따라 복원할 법적 의무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박종호 산림청 차장도 “사후 활용계획이 있었다면 올림픽 전에 지원위원회나 중앙산지관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았어야 했다”면서 “곤돌라와 운영도로 존치 요구는 협의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가리왕산 알파인스키 경기장의 전체 면적 154㏊ 중 142㏊가 국유림이다. 복원 대상지(81)도 대부분 산림청 소유의 국유림(71.2)이다.

●“숲 복원·물길 생기는 과정 체험학습에 유용”

강원도는 지난해 1월 제출한 복원계획에 전면 복원을 담았지만 이후 입장이 바뀌었다. 2021년 남북 공동 동계아시안게임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이유로 활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동계아시안게임의 경우 정부가 유치할 계획이 없는 데다 공동 개최를 한다면 북한의 마식령스키장으로 대체할 수 있어 명분이 약하다. 곤돌라는 올림픽 시설물로 존치 근거가 없다는 지적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11월 강원도의 활용 방안을 불허했다. 이러자 가리왕산 알파인스키 경기장 원상복원 반대 투쟁위원회가 현장 봉쇄와 함께 투쟁에 나섰다. 투쟁위는 경기장 농성과 함께 행정대집행 등을 봉쇄하기로 했다. 강원도 환경복원팀 관계자는 “하부 복원은 진행하되 곤돌라와 중간 시설물을 생태체험학습 시설로 활용하자는 것”이라며 “숲이 복원되고 물길이 생겨나는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는 현장으로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다.

●가리왕산 복원 대집행 땐 사업비 사후 청구

가리왕산 복원은 공공부문 대집행의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지자체가 국유림 사용 허가를 받은 뒤 복원하지 않아 정부가 직접 복원 후 사업비를 청구할 방침이다. 다만 대집행이 즉각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산림청은 2 1차 복구명령에서 한 달 내 복구계획서 제출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행하지 않으면 다음달 초 2차 명령을 내릴 예정이다. 2차까지 거부하면 대집행을 예고하는 ‘계고’ 조치 이후 시작을 알리는 영장통지를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강원도가 행정소송에 나서면 최종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집행이 중단될 수밖에 없다. 산림청 관계자는 “복구 당사자인 강원도가 이제 주민 반대를 내세워 외면하고 있다”며 “정선군은 아무런 권한이 없기에 강원도가 책임지고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행정 대집행의 후유증은 심각할 것으로 우려된다. 재발 방지 차원에서도 분명한 원칙 마련이 필요하게 됐다. 정부는 강원도가 복구에 나서면 복구비(802억원) 중 복원비용(386억원)을 국고로 지원할 계획이었지만 대집행 때도 이를 적용할지는 결정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집행 후 강원도의 채무 이행을 위해 도 금고를 압류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나아가 각 부처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은 강원도에 대해 페널티를 부과한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강원도, 복구비 386억·경제활성화 지원 거부

강원도는 가리왕산 복원 방식과 관련해 ‘사회적 합의’를 조심스레 거론하고 있다. 명분뿐 아니라 정면충돌로 지자체가 얻을 게 없다고 판단해서다. 그러나 산림청은 ‘시간끌기용’이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 산림청장과 강원지사가 지난해 11월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만나 전면 복원에 따른 비용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 등을 논의했다. 하지만 강원도가 경기장 활용을 재차 요구하며 거부했다. 산림청은 “최악의 상황을 피하고 싶다면 강원도가 복구명령 기한 내 제대로 된 전면 복원계획서를 제출하는 것밖에 없다”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출처: 서울신문>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9. 1. 2. 10:00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자원봉사자 18만 명 신청쇄도 열풍 스케치]

 

 

2018 1227일 자 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Tokyo 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 자원봉사자 지원 수가 18만 명이 넘는 신청서를 접수하였다(received more than 180,000 applications to be volunteers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Tokyo2020조직위원회가 확인하였다고 합니다.

 

 

The Japan Times지는 12월 하순 16만 명을 상회하는 인파가 자원봉사자 프로그램에 신청하였다고 보도하였으며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실제 수(actual figure) 18 6,101명이라고 보도자료를 배포하였다고 합니다.

 

실제로 Tokyo2020대회의 자원봉사자 목표 인원수(targeted number) 8만 명으로 보도되었는데 신청자 수는 요구되는 인원보다 2배가 넘는 수치(well over double the number required)라고 합니다

 

신청창구는 2018 1221일 마감되었다(The application window closed on December 21)고 합니다.

 

다음은 Toshiro Muto Tokyo2020조직위원회 사무총장(CEO)의 발언 내용입니다:

  

A.  “We are pleased to have received so many applications.” (우리는 그렇게 많은 수의 신청이 접수된 것에 대하여 기쁨)

 

B.  “We appreciate applicants’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the volunteer programme and of our Tokyo 2020 vision, and will be providing various programmes as part of the orientation and training process to support and engage them before, during and after the Games.” (우리는 신청자들의 자원봉사자 프로그램의 목적과 Tokyp2020의 비전에 대하여 이해도가 높은 것에 감사하며 대회 이전과 대회기간 동안 그리고 대회 이후에 그들을 지원하고 참여시키기 위한 오리엔테이션 및 훈련 과정의 일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임)

 

 

 

Tokyo 2020 have called the chance to become a volunteer a "once in a lifetime opportunity" ©Getty Images (평생 한 번 있을까 말까 하는 기회가 올림픽 자원봉사자 활동이라고 Tokyo2020조직위원회는 지칭하고 있음/출처: insidethegames)

 

 

 

Tokyo2020조직위원회에 의하면, 자원봉사자 신청자들 중 63%가 여성지원자들이며 연령대는 10대에서 80대까지 분포(with ages ranging from teenagers to those in their 80’s)한다고 합니다.

 

일본 내국인 지원자 비율 역시 63%에 달하며 나머지 37%는 외국인 신청자(37 percent of the applicants are non-Japanese)라고 합니다.

 

일본 내 거주하는 신청자들에 대한 면접(interviews)오리엔테이션 모임”(orientation sessions) 2019 2월에 시작되는데 전반적인 일반 훈련은 2019 10월에 시작될 것(with general training beginning in October 2019)이라고 합니다.

 

심사에 통과한 해외거주 신청자들에 대한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for successful overseas applicants)은 화상회의를 통해 오는 2019 3~7월 실시될 것(take place via video call from March to July)이라고 합니다.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자원봉사자들 중 시각장애인들의 신청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Applications are still open however, for those with a visual impairment)고 합니다.

 

이들에 대한 신청마감은 2019 118일 오후 5(일본 시간)이라고(close at 5pm Japanese time on January 18)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12. 28. 17:14

[Beijing2022 동계올림픽쇼트트랙 신규남녀혼성계주 2000m 종목경기 IOC승인 박진감 기대만발]

 

 

1224일 한 외신 보도에 따르면 평창2018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챔피언인 Samuel Girard Beijing2022동계올림픽 신규종목으로 채택된 쇼트트랙 남녀 혼성 계주 포맷(short track speed skating's new mixed relay format)으로부터 다른 스포츠 종목들도 배울 점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발언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동 신규종목은 남녀 선수들이 함께 동반 출전하는 2,000m 혼성계주 경기(both men and women compete together over 2,000 metres)로써 Beijing2022동계올림픽 신규종목으로 승인된 바(approved by the IOC for inclusion at the Beijing 2022 Winter Games) 있다고 합니다.

 

 

캐나다의 Samuel Girard선수는 평창2018 남자 쇼트트랙 1,000m금메달리스트인데 혼성계주 종목을 선호하는 팬(a fan of the discipline)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Samuel Girard선수의 발언내용입니다:

 

A.  "I think it shows to other sports that we can have mixed gender in every sport." (쇼트트랙 신규 혼성계주종목이 다른 스포츠 종목들에게도 우리가 모든 스포츠에 혼성종목을 포함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하고 있음)

 

B.  "Since the beginning of short track it has always been men and women separated but now we have the mixed and it's worked really well so I think that other sports have to focus on that too because it's really fun to do.(쇼트트랙이 시작된 이래, 언제나 남자종목과 여자종목이 별도로 분리되어 실시되어 왔지만 이제 우리는 혼성경기를 갖게 되었으며 정말 잘 운영되고 있으며 다른 종목들도 혼성경기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는 정말 재미가 있을 것이기 때문임)

 

C.  "It's not to compare with only the boys or only the girls – we have to work together and that's really nice." (남자들로만 또는 여자들로만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양성이 함께 운동하여야 하고 그것은 참 좋은 것이기도 함)

 

 

 Mixed relay will make its Olympic debut at Beijing 2022 to add to short track's disciplines ©Getty Images(출처: insidethegames)

 

 

 

양성평등은 미래 올림픽대회에서 IOC에게 큰 목표(Gender equality is a big goal for the IOC at future Olympic Games)라고 합니다.

 

 

Girard의 팀 동료(team mate)이자 평창2018쇼트트랙 3개 부문 메달리스트(a three-time medalist)인 캐나다 여자 쇼트트랙 선수 Kim Boutin 역시 이러한 포맷에 대해 찬성하여 왔다(backed the format)고 합니다.

 

다음은 Kim Boutin의 소감발언 내용입니다:

 

A.  "It helps us to challenge ourselves to be pushed by a guy and it's good for the synergy of the group." (혼성계주종목은 남자선수가 밀어주는 가운데 여자선수들의 도전의식이 살아 나도록 도와주며 그룹의 시너지 효과를 위해서도 좋은 일임)

 

B.  "It's always going to be a hard race to win because in many countries there are two strong girls and guys so it makes it really interesting and hard to do something great in. (승리를 장담하는 것이 늘 어려운 이유는 많은 국가들에게 최소 2명의 강력한 여자선수와 남자선수들이 있기 마련이기 때문에 뭔가 위대한 일을 성취해 내는 것은 흥미롭기도 하고 어려운 일이 되는 것임)

 

C.  "There are already some other mixed events in the [Olympic] Games and it's obviously what the people want to see." (올림픽대회에서 이미 혼성종목경기가 존재하고 있음 이러한 혼성종목 경기에 대하여 사람들은 보기를 원하고 있는 것은 명백한 사실임)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12. 26. 10:27

[러시아 WADA조사팀의 Moscow도핑실험실방문거부로 다시 자격정지 위기봉착]

 

Rio2016올림픽 참가금지 및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 러시아 출신 올림픽선수(OAR: Olympic Athletes from Russia)자격으로 참가한 뒤 대회 후 자격정지 조치를 겨우 해제 받았던 러시아가 다시금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세계 반 도핑기구가 완전한 자격복권을 완성하기 위하여 원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하여 모스크바 소재 러시아 도핑실험실 조사 방문을 거부당 한 후(after an inspection team visiting the Moscow Laboratory was denied access to raw data to complete its full reinstatement) 러시아에 대한 자격정지조치가 다시 원상으로 돌아가게 되는 위험에 봉착하고(on the verge of having its suspension reimposed by the World Anti-Doping Agency /WADA) 있다고 1221일자 외신을 보도한 바 있습니다.

 

(RUSADA/출처: Reuters-insidethegames)

 

 

 

5명으로 구성된 WADA조사팀은 독자적 전문가(independent expert)Dr. José Antonio Pascual를 단장으로 하여 지난 12179) 러시아에 도착하였지만 접근허용약속을 받았던 실험실 정보관리시스템에 소장된 데이터 중 아무 것도 회수하지 못한 채(without having retrieved any of the data in the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MS) it had been promised access to) 귀국길에 오른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러시아 관계당국은 WADA조사팀이 데이터 추출을 위해 사용하기 위하여 지참한 장비가 러시아 국내법상 사전에 증명되지 않았기(used for the data extraction had not been certified under the country's law) 때문으로 알려졌습니다

 

 

2011~2015년 사이 기간 동안 해당 실험실 및 러시아 선수들에 대한 1231일까지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접근 제안(Access to the Laboratory and data on Russian athletes for the period between 2011 and 2015 by December 31)은 러시아 반 도핑 기구 자격 복권을 이루기 위하여 지난 9 WADA가 내린 논란의 소지가 있는 결정의 근간이 되는 핵심조건(a key condition of WADA’s controversial decision in September to reinstate the Russian Anti-Doping Agency /RUSADA)이었다고 합니다

 

 

RUSADA는 금년 말 마감일까지 제반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if any of the conditions were not met by the end-of-year deadline), 러시아 반 도핑기구가 규정불이행국가 리스트에 다시 포함되는 것으로 선언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것(then they faced being declared non-compliant again )으로 경고 받아온 바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장비관련 이슈는 지난 1128 Moscow에서 가진 당초 회의기간 동안 제기되지 않았던 바(had not been raised during an initial meeting) 그 회의 이후 WADA는 자체 전문가 팀을 데이터 회수 차 Moscow로 되돌려 보낸 것(sent its expert team back to Moscow to retrieve the data) 이라고 WADA는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독자적 전문가(independent expert)Dr. José Antonio Pascual단장은 이제 계획대로 사명에 대한 정식보고서를 준비하고 있으며(now to prepare his formal report on the mission and, as planned) 동 보고서는 WADA독자적 감사 검증위원회로 송부될 것(will be sent to the WADA independent Compliance Review Committee /CRC)이라고 합니다.

 

그들은 2019 114~15일 다시 만날 예정이며 그 때 RUSDA의 도핑코드 준수여부지위에 대한 심사가 다시 고려되고 WADA의 독자적 감사 검증위원회(CRC: Compliance Review Committee) 의 권고사항이 그리고 나면WADA집행위원회에 의해 숙고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WADA러시아 측에 의해 신속하게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풀릴 경우”("should the matter be resolved by Russia expeditiously") 동 조사 팀이 모스크바로 회귀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The Russian Anti-Doping Agency faces the threat of having a suspension reimposed after an inspection team from WADA left Moscow without all the data they had been promised access to ©RUSADA)

 

 

Pavel Kolobkov러시아 체육장관은 러시아 관영뉴스인 TASS와의 인터뷰에서 여러 가지 기술적인 이슈들이 해결되어야 한다” ("several technical issues remained to be settled")고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는 전문가들이 방문에 만족하고 있다”(the experts are satisfied with the visit)고 덧붙이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Pavel Kolobkov러시아 체육장관의 발언 내용입니다:

 

A.  "We should receive by the year-end an official statement from WADA regarding another visit of the independent experts to the Moscow Anti-Doping Laboratory." (우리는 연말까지 독자적 전문가들의 또 다른 모스크바 반 도핑 실험실 방문계획에 대하여 WADA로부터 공식적인 성명 내용을 접수해야 함)

 

B.  "There will be another visit." (다시 한번의 방문이 있을 것임)

 

 

이에 대한 첫 번째 국제 관계자들의 반응 내용 중에(among the first international officials to react) 미국 반 도핑 CEO Travis Tygart가 포함되어 있으며 다음은 그가 Reuters와의 인터뷰 발언 내용입니다:

 

 

A.  "Surprise, surprise - is anyone shocked that the Russians are bobbing and weaving to escape accountability?" (놀라움의 연속이며 이는 러시아 인들이 책임회피를 위해 상하좌우 지그재그로 처신하는 것에 쇼킹하지 않을 사람이 누구일까? )

 

B.  "Let's hope WADA has learned its lesson this time and declares them non-compliant." (WADA가 이번에 제대로 교훈을 얻어 러시아 관계자들에 대해 비 준수국가라고 선언하도록 희망합시다)

 

 

데이터 회수(retrieval of the data )에 대하여 러시아선수들을 연루시키든 면제 부를 주든 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able to use it to implicate or exonerate Russian athletes)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WADA관계자들은 잃어버린 퍼즐조각”(dubbed "the missing piece of the puzzle")이라고 지칭하여 오고 있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RUSDA

-Reuter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12. 24. 10:35

[Tokyo2020올림픽예산 14조원 제3차 재정예산계획 발표(2018 1221일 현재)]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2018 1221일 자로 제3차 재정 예산 수정 본을 공개하였는데 (released the third version of their budget) 예상된 대로 발표된 수치는 이전과 동일한 1.35조엔(US$118억불/ 14조원)이라고(as expected the announced figure has remained the same at ¥1.35 trillion (£9.4 billion/$11.8 billion/€10.6 billion) 합니다.

 

 

 

1221일 배포된 보도자료에 따르면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예산항목들 중 어떤 분야에서는 경비가 상승한 반면 다른 분야에서는 경비절간이 이루어짐으로 결국 총액에는 변화가 없음(while costs have risen in some areas, they have been reduced in others, therefore meaning no change)을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교도 뉴스Kyodo News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발표내용이 12월 초에 나올 것이라고 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Tokyo2020조직위원회 CEO Toshiro Muto의 발언 내용입니다:

 

A.  "With less than 600 days to go until the Games, we are finally entering a fully-fledged implementation phase." (대회가 600일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우리는 대회실행단계에 최종적으로 돌입하고 있음)

 

B.  "As many aspects of the Games have become more detailed, Tokyo 2020 has seen increases in some areas, but has successfully reduced expenditures in other areas, resulting in the updated budget remaining the same as the previous version. (대회의 여러 면모가 더욱 세분화되면서 Tokyo2020은 어떤 분야에서는 예산증액이 불가피하였지만 또 다른 분야에서는 경비를 삭감하였는데 그 결과 최신 작성된 예산은 이전 예산책정 본과 결국 같아지게 되었음)

 

C.  "There is still a lot of work to be done to control expenditures, but with the cooperation of the 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Tokyo 2020 will continue to make best efforts to maximise revenues, contain costs and keep its budget within 600 million yen.” (우리가 경비지출을 통제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아직 많이 산적해 있긴 하지만 IOC와의 협업으로 Tokyo2020은 수입창출을 지속적으로 극대화하고 필요경비를 포함시킬 것은 포함시킴으로써 조직위원회 예산을 6억엔이내로 유지하고자 최선을 다 할 것임)

 

 

Tokyo 2020조직위원회는 지속적인 마케팅 노력을 통하여 일본 국내마케팅 수입금실적으로 US$1억불까지 추가 증액을 달성하여 최대 US$30억불( 3,6조원)로 상향 조정된 것("sustained marketing efforts" have seen domestic sponsor revenues in Japan increase by $100 million (£79 million/€88 million) to $3 billion (£2.4 billion/€2.6 billion))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고 합니다.

 

 

IOC Coordination Commission chair John Coates says companies are already benefiting from the Games ©Getty Images (John Coates IOC조정위원장/출처: insidethegames)

 

 

 

하지만 같은 금액의 경비증액이 교통 수송 분야 및 대회운영에 반영된 것(cost increases of the same amount have been reported for transportation and "Games operations")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Tokyo 2020는 경비증액분이 US$1억불( 1,200억원)에 달하는 기존 예비비부분과 IOC Olympic Agenda2020및 신규범(New Norm)권고방침적용의 결과로 성취된 경비절감으로 상쇄되어 충당되게 된 것(the cost increases "are covered by a reduction in the existing contingency of $100 million (£79 million/€88 million)" and by savings achieved as a result of the IOC's Agenda 2020 and New Norm recommendations)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고 합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Olympic Agenda2020 및 신규범(New Norm)정책 적용으로 건설에 소요되는 고정예산에서 US$22억불( 2.84조원)의 비용절감효과를 이미 창출(already produced savings of $2.2 billion (£1.7 billion/€1.9 billion) in the permanent construction budget)하였다고 합니다.

 

John Coates IOC조정위원장은 이와 관련 회사들과 근로자들이 이미 혜택을 보고 있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John Coates IOC조정위원장의 발언내용입니다: 

 

A.  "As a major investor in the local economy,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is already acting as a catalyst for companies and workers to benefit from the investments made in the Games." (일본지역경제에 주요 투자자로서, Tokyo2020올림픽은 이미 회사들과 근로자들이 대회연관 투자로부터 이미 혜택을 주는 기폭제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 것임)

 

B.  "The IOC is pleased that the Games will continue to generate a substantial positive economic impact." (IOC는 대회가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경제효과를 유발할 것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음)

 

Coates는 모든 것이 대회자체로 창출되는 수입금으로 충당될 것이므로(as everything will be covered by the revenue generated by the Games itself) 대회운영을 위하여 일반대중의 지갑에서 비용이 발생하지 않을 것("no cost to the public purse" for the operation of the Games)이라고 덧붙였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Kyodo New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12. 7. 12:23

[Tokyo개최 IOC집행위원회2018종합결산 및 5조원이상 경비절감 등으로 칭송 받는Tokyo2020올림픽준비태세]

 

 

 

2018년도를 결산하는 IOC집행위원회가 1130~121 Tokyo에서 개최되었으며 121일 결산(wrap-up)하였습니다.

 

IOC집행위원회 제2일차 마지막 날 IOC집행위원회는 핵심토픽에 대하여 논의를 이어갔습니다.

 

 

 

 

 

1)   2026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유치후보도시 (2026 Candidate Cities)관련

 

IOC집행위원회는 2026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후보도시과정을 위한 추첨과 함께 향후 전망에 대해 심층논의(looked further into the future with the drawing of lots for the Olympic Winter Games 2026 Candidature Process)에 들어갔었다고 합니다.

 

2026년 유치후보도시 추첨결과 Stockholm2026(Sweden)이 첫 번째이고 Milan/Cortina d’Ampezzo (Italy)가 두 번째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추첨순위는 2019 6월 개최도시선출 시까지 유치후보도시들이 실시하게 될 프레젠테이션 및 소통에 따른 순서(the order for presentations and communications regarding the cities until the election of the host city next June) 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관련보고내용은 1128~29 Tokyo개최 ANOC총회에서 가진 바 있는 프레젠테이션 내용이 집중 소개되었으며 11월 초 유치대열에서 중도 퇴장한 캐나다의 Calgary2026이후 2개의 강력한 후보도시만 남은 것을 의미합니다.

 

2026년은 유럽에서 개최된 바 있은 동계스포츠의 뿌리의 귀환을 목격하게 될 것(2026 will now see a return to the roots of winter sport by being hosted in Europe)으로 전망됩니다.

 

평균적으로(on average), 2026년 동계올림픽후보도시계획상 제안된 기존 또는 임시시설 경기장(existing or temporaryvenues) 80%정도 사용될 것인바 2018년 및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후보도시들이 제안하였던 기존시설60% 수준과 대비된다고 합니다.

 

게다가 2026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유치후보도시들의 예산견적(the projected 2026 Candidate City budgets) 2018 2011대회 후보도시들 평균 예산보다 낮은 75%수준의 예산견적이라고 합니다.

 

유치후보도시들의 다음수순은 2019 111일로 공시된 후보도시파일제출(the submission of the Candidature Files on 11 January 2019)의 건입니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Thomas Bach IOC위원장의 발언내용입니다:

 

A.  “The approach is to go back to the roots in two traditional winter sports countries that have, in the last few years, organised hundreds of World Cups and World Championships in winter sports, and where you can see the full effect of the reforms of Olympic Agenda 2020, including the New Norm.” (우리가 접근하는 방식은 최근 몇 년간 수 백 건의 동계스포츠 월드컵과 세계선수권대회를 조직한 바 있는 2개의 동계스포츠 전통국가들의 뿌리로 돌아가는 것인데 이제 신규범을 포함하여 Olympic Agenda2020개혁내용의 최대효과를 볼 수 있는 것임)

 

B.  “In regard to the venues, to reduce the investments for venues and increase the sustainability, you can see both candidates plan to use 80 per cent of existing or temporary venues.” (경기장과 관련하여 경기장 시설투자비용절감과 지속 가능성 증대를 기하기 위하여 여러분은 80%에 달하는 기존 또는 임시경기장을 사용하는 후보도시계획에서 두 개 다 볼 수 있는 것임)

 

 

2)   Tokyo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준비진척사항 보고(Progress on Tokyo 2020) IOC위원장 평가

 

                                    

IOC/Greg Martin(Tokyo2020조직위원회 준비진척사항 보고장면/출처: IOC Website)

 

 

Yoshiro Mori Tokyo2020조직위원장, Toshiro Muto 조직위원회 CEO, John Coates Tokyo2020 IOC조정위원장이 각각 Tokyo2020의 최근 활동에 대하여 진척사항을 보고하였다(gave their respective updates on the latest activities)고 합니다.



전체적으로(overall) Tokyo2020은 신설 영구경기장건설을(the construction of new permanent venues) 포함하여 합의된 시간표에 따라 핵심 이정표에 맞는 준비이행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오고 있다(successfully delivering on key milestones in accordance with the agreed timelines)고 보고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자원봉사자 프로그램의 경우 지금까지 10만 명에 달하는 신청자가 쇄도함으로써 훌륭한 진척도를 그려가고(making good progress)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Bach IOC위원장의 Tokyo2020준비관련 보고에 따른 칭송 평가 발언내용입니다:

 

A.  ”We cannot remember any Olympic city as ready as Tokyo is 18 months before the Olympic Games. (우리는 이제껏 올림픽대회가 18개월 남은 시점에서 Tokyo처럼 준비했던 올림픽개최도시를 기억할 수 없음)

B.  This applies to all aspects of the organisation.(이것은 조직 모든 분야에 두루두루 적용되는 것임)

C.  The facilities are already being delivered, the volunteer programme has more than 100,000 applications, and we will have a spectacular village for athletes where the Olympic spirit will come to life in Tokyo.” (제반 시설이 이미 모두 완비되었으며, 자원봉사자 프로그램은 10만 명 이상의 신청자로 넘쳐나고 있음-우리는 올림픽정신이 Tokyo에서 살아 숨쉬기 될 환상적인 올림픽선수촌이 기다릴 것임)

D.  “We received an update that savings of USD 4.3 billion could be achieved thanks to the IOC reforms of Olympic Agenda 2020/New Norm.(우리는 IOC가 추진한 Olympic Agenda2020/신규범 덕분에 US$43억불( 5.16조원)을 절감하였다는 갱신된 보고를 받았음)

 

E.  This also applies to the footprint here, in particular to the IBC, where it has already been reduced by 40 per cent. (이것은 이곳에 족적을 남기는 것에 해당하며 특히 국제방송센터는 이미 40%경비절감을 이룩하였음)

 

F.  This represents a lot of savings, and more may still come.” (이것은 혁혁한 경비절감이며 더 많은 절감결과가 여전히 들어 올지 모르는 상황임을 나타내고 있음)

 

*Referenc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12. 5. 10:12

[제7차 올림픽 정상회담(7th Olympic Summit)회의(128)개최 관련정보 스케치]

 

 

 

IOC 2018 128일 스위스 Lausanne에서 제7차 올림픽정상회담(Olympic Summit)를 개최한다고 합니다.

 

 

 

 

 

 

 

 

동 회의 에서는 올림픽운동과 연관된 주요관심사 및 우려대상에 대한 여러 가지 토픽에 대해 집중적으로 토의가 이루어 질 것(focus on several topics of interest and concern to the Olympic Movement )이라고 하는데 5가지 토의주제는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1) 선수권리 및 책무 선언(the Athlete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Declaration)

(2) 올림픽 어젠더2020/신규범(the Olympic Agenda 2020/New Norm)

(3) 아프리카 세네갈 Dakar2022청소년올림픽(the Youth Olympic Games Dakar 2022)

(4) 하계올림픽국제연맹 연합회 및 동계올림픽국제연맹 연합회 지배구조 보고 (ASOIF and AIOWF good governance reports)

(5) 2018 10 Buenos Aires개최 행동하는 올림피즘 포럼(the Olympism in Action Forum)

 

올림픽정상회담에서는 설립6개월째인(six months into its existence)국제<악물검사>조사기구(ITA: International testing Agency)의 진척내용과 egames/esports에 대한 올림픽운동의 접근방식(the approach of the Olympic Movement to egames/esports) 등에 대하여서도 논의에 들어 갈 것이라고 합니다

 

올림픽 정상회담에는 올림픽운동의 핵심주도 대표들이 연관되어(involves leading representatives of the Olympic Movement) 있다고 합니다

 

올림픽정상회담은 올림픽운동의 미래지향 중요이슈 및 주제 등에 대하여 현재 진행중인 대화나 협의사항을 논의하는 자리의 일부분을 형성한다(It forms part of the ongoing dialogue and consultation on important issues and subjects of significance for the future of the Olympic Movement)고 합니다.

 

올림픽정상회담 참석대상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LIST OF PARTICIPANTS>

A.  IOC President (IOC위원장)

  • Thomas BACH

B.  IOC Vice-Presidents(IOC부위원장 4)

  • Juan Antonio SAMARANCH
  • Ugur ERDENER
  • Anita L. DEFRANTZ
  • Zaiqing YU

C.  EB Members (IOC집행위원 10명 중 대표 3)

  • Kirsty COVENTRY
  • Nenad LALOVIC
  • Ivo FERRIANI

D.  International Federations (국제연맹대표)

  • President of the IAAF, Sebastian COE (국제육상경기연맹회장)
  • President of the FIG, Morinari WATANABE (국제체조연맹회장)
  • President of the ISU, Jan DIJKEMA (국제빙상경기연맹회장)
  • President of the IIHF, René FASEL (국제아이스하키연맹회장)
  • The Presidents of FIFA and FINA cannot attend due to important prior commitments in their respective sports. (국제축구연맹 및 국제수영연맹회장 2명은 해당연맹관련 사전 중요 약속으로 인해 불참)

E.  National Olympic Committees (국가 올림픽위원회 대표 3)

  • President of the Chinese Olympic Committee, GOU Zhongwen (중국 COC위원장)
  •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lympic Committee, Lawrence F. PROBST III (미국 USOC위원장)
  • President of the Russian Olympic Committee, Stanislav POZDNYAKOV(러시아 ROC위원장)

F.  Recognised Organisations (IOC인정국제연맹연합회 대표 6)

  • Acting President of ANOC, Robin MITCHELL (ANOC회장직무대행)
  • President of ASOIF, Francesco RICCI BITTI (하계올림픽국제연맹연합회장)
  • President of the AIOWF, Gian-Franco KASPER (동계올림픽국제연맹연합회장)
  • President of the IPC, Andrew PARSONS(국제 패럴림픽 위원장)
  • President of WADA, Craig REEDIE (by phone) (세계 반 도핑기구 회장<유선상 참여>
  • Raffaele CHIULLI, GAISF (국제경기연맹 총 연합회장)

G.  Guests (초대대상)

  • President of ICAS, John COATES (ICAS: International Court of Arbitarion for Sport/국제 스포츠중재 이사회 회장)
  • Chair of the International Testing Agency, Valérie FOURNEYRON (국제 <반 도핑>검사 기구 회장)

 

(올림픽정상회담 일정)

1)   Date: Saturday 8 December 2018(128<>)

2)   Time (local time): Meetings/Events
9 a.m. – 1 p.m.:  Olympic Summit (closed to media/
미디어 취재 불허)

 

올림픽정상회담 장소가 Lausanne Palace호텔인데 미디어 관련시설미비로 취재는 불가하지만 IOC는 올림픽정상회담 이후 토의관련 정보 제공을 위하여 보도자료를 배포할 것이라고 합니다

 

*Referenc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