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4. 8. 8. 10:29

Fiona de Jong은 호주 올림픽 운동 사상 최초로 임명되는 NOC사무총장으로 8월7일 발령이 난 셈이다.

 

(Fiona de Jong 호주 NOC사무총장/Australian Olympic Committee 사진)

 

변호사 겸 철인3종 선수(triathlete)출신인 그녀는 10년 간 AOC에서 스포츠 국장으로 실력 발휘하다가 8월7일 자로 AOC사무총장(Secretary General: Chie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Officer)으로 전격 발령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그녀는 지난 2014년 6월 23년 간 재직하다가 AOC사무총장 직을 사임한 Craig Philips의 뒤를 이은 셈인데 John Coates AOC위원장 겸  IOC부위원장의 신뢰를 받아 발탁된 것으로 추정된다.

 

 

                                                           (John Coates)

 

 

그녀는 현재 첫 아이(Alessandro)를 분만(the birth of her first child)하고 출산 휴가 중(on maternity leave)인데 오는 10월7일 AOC로 복귀하여 업무를 시작한다고 한다.


 

 

그녀는 2013년 하바드 경영대학의 최고경영자 프로그램을 수료하였다고 한다(In 2013 she graduated from the Harvard Business School’s Advanced Management Program.) 

 

그녀는 2016년 리오 올림픽 호주 선수단장으로 임명된 Kitty Chiller와 함께 리오 올림픽 준비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소감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2013년 8월23일 에 발표된 2016년 리오 올림픽 호주 선수단장인 Kitty Chiller 역시 호주 올림픽 사상 최초의 여성 올림픽선수단장이라고 한다. 호주는 여성 쌍두마차가 올림픽을 이끌고 있는 셈이다.

 

 

                                                              (Kitty Chiller)

 

 

다가온 2016년 리우 올림픽을 대비하여 호주나 미국처럼 한국도 올림픽 선수단장을 3년 전쯤 임명하여 올림픽을 대비하면 어떨까 묵상해 본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8. 8. 10:11

비올림픽 종목의 올림픽((International multi-sport event with sports or disciplines or events within a sport that are not contested in the Olympic Games)이라고 불리는 월드게임(World Games)이 2017년 대회(폴란드 브로츨라프<Wroclaw: 영어표기/ Breslau>)에 이어 2021년 제11회 대회 개최도시 선정을 위한 첫 단계로 2014년 7월31일 유치신청도시 제출 마감 결과 3개 경쟁도시 명단을 월드게임을 관장하는 IWGA가 발표하였다.

 

1) 버밍햄(Birmingham),미국

2) Ufa, 러시아

3) 리마(Lima), 페루

 

IWGA 평가 위원회는 후보도시 최종 압축(a short list of candidate cities) 및 현지 실사평가(on-site evaluation)에 앞서 유치 신청서를 분석할 예정이다.

평가 과정은 선택된 후보도시들이 IWGA집행위원회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까지 계속된다고 한다

 

2021년 월드게임 개최도시는 2015년 초 선정될 것이며 2015년 IWGA연례총회에서 계약서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한다(The World Games 2021 host city will be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2015. The agreement will be finalized at the 2015 IWGA Annual General Meeting.)

 

 

                                                 (Jose Perurena 신임 IWGA회장 겸 ICF회장 겸 스페인 IOC위원)


 

 

1) 월드 게임(World Games)이란?

 

 

(좌로부터: Andres Botero 콜롬비아 체육장관 겸 IOC위원, 자크 로게 당시 IOC위원장, Ron Froelich IWGA 회장)

 

 

월드게임(World Games)은 올림픽대회(Olympic Games), 아시안게임(Asian Games), 팬암게임(Pan American Games), 유스 올림픽(Youth Olympic Games), 아프리카 대회(All African Games), 유럽게임(European Games 2015년 바쿠 제1회 대회), 유니버시아드 대회(Universiade), 세계군인체육대회(World Military Games) 등과 함께 현재 가장 많이 알려진 국제스포츠종합 제전 중 하나로써 한 획을 긋고있다.


 

월드게임(World Games)는 한마디로 '비올림픽종목의 올림픽대회'(International multi-sport event with sports or disciplines or events within a sport that are not contested in the Olympic Games)인 셈이다.



월드게임은 IOC의 후원하에 국제월드게임협회(IWGA:International World Games Association)가 관장하고 조직하는 대회다.



월드게임 종목이었다가 올림픽종목이 된 트라이애슬론(철인3종), 럭비 그리고 과거 올림픽 종목이었다가 월드게임 종목으로 자리잡은 줄다리기(Tug of war) 등도 있다.



IOC규정상 28개종목에 10,500명선수로 제한 된 하계올림픽 특성상 수 많은 기타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훌륭한 월드게임종목들이 올림픽종목으로 남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월드게임에서 실시되고 있는 종목으로는 오리엔티어링(Orienteering:독도법 게임), 보디빌딩, 파워리프팅(Powerlifting), 오리발수영(Finswimming), 스쿼시, 네트볼, 수상스키, 캐스팅(Casting)등이 있다.

이 종목들은 개최도시에 활용가능한 시설여부에 국한되어 실시된다.

 

월드게임의 특성 중 하나가 바로 월드게임개최를 위해 별도로 새로운 시설물 등을 준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월드게임에는 25개-35개사이의 종목이 실시된다.

개최도시의 관련 시설여부와 관심도에 따라 '초청종목'(invitational)이라 분류된 종목도 함께 포함된다.

따라서 IWGA가 규정한 공식종목이라 할 지라도 개최도시 제반여건에 준하여 "초청종목"(invitational)로 분류될 수도 있다.

 

30+ 개 종목에 100여 개국에서 약 4,400명 선수들이 참가한다.

 

 

2) 월드게임(World Games) 개최 역사:

 

제1회 월드게임은 1981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Santa Clara)에서 개최된 이래
올림픽과 같이 매 4년마다 개최된다.

 

 

[월드게임 개최도시 및 나라]

 

(1) 제1회 대회: 1981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타 클라라(Santa Clara)

(2) 제2회 대회: 1985년 영국 런던(London)

(3) 재3회 대회: 1989년 당시 서독 Karlsruhe

(4) 제4회 대회: 1993년 네덜란드 헤이그(Hague)

(5) 제5회 대회: 1997년 핀란드 라흐티(Lahti)

(6) 제6회 대회: 2001년 일본 아키타(Akita)

(7) 제7회 대회: 2005년 독일 뒤스브르그(Duisburg)

(8) 제8회 대회: 2009년 대만 카오슝(Kaohsiung)

(9) 제9회 대회: 2013년 콜럼비아 칼리(Kali)

(10) 제10회 대회: 2017년 폴란드 브로츨라프(Wroclaw: 영어표기/ Breslau)

(11) 제11회 대회: 2021년 (2015년 초 결정예정/2014년 7월31일 유치신청 마감 3개 신청 도시 경합 중)

 

 

 

3) 월드게임(World Games) 종목:

 

(1) 정식종목(Official sports and disciplines):

 

(2) 초청종목(Invitational sports):

 

 

 

(3) 과거 월드게임 종목(Past World Games sports):

 

 

 

(4) 월드게임에서 실시되고 있지 않는 종목(Sports currently not eligible for World Games):

 

  • Badminton – became an Olympic sport at the 1992 Summer Olympics(배드민턴:1992년부터 올림픽종목)
  • Taekwondo – became an Olympic sport at the 2000 Summer Olympics(태권도:2000년부터 올림픽종목)
  • Trampoline – certain individual events were introduced at the 2000 Summer Olympics(트램폴린:2000년부터 올림픽종목)
  • Triathlon – became an Olympic sport at the 2000 Summer Olympics (트라이애슬론:2000년부터 올림픽종목)
  • Weightlifting (women) - became an Olympic sport at the 2000 Summer Olympics. (Men never competed in weightlifting in the World Games because it has been in all Summer Olympics since 1920.)(여자역도:2000년부터 올림픽종목)

 

* Rugby- 2016년 리오 올림픽부터 올림픽 정식종목

 

 

4) 월드게임(World Games)전체 국가별 집계 메달획득현황:

 

 

 

8차례 월드게임에서 러시아가 3차례 종합우승(2001년, 2005년 및 2009년/1989년 원년에는 소련이 우승)), 이태리(1985년 및 1989년), 미국(1981년 및 1997년)이 각각 2차례씩 우승하였고 독일이 한차례(1997년/서독으로는 3차례우승)우승하였다.

 

 




Rank Nation Gold Silver Bronze Total
1 Italy 119 120 111 350
2 United States 114 106 91 311
3 Germany 107 95 121 232
4 Russia 97 71 52 220
5 France 70 70 71 211
6 United Kingdom 47 49 66 162
7 China 41 37 20 98
complete table of the three last games

 

 

 

5) 2017년 월드게임 개최도시 선정 결과:

 

2017년 제10회 월드게임 개최도시는 2012년 1월 결정된 바 있다.

 

월드게임을 관장하는 IWGA(International World Games Association: 국제월드게임협회)는 2011년 대회유치과정을 공개 하였었다.

 

IWGA가 배포한 46쪽 분량의 유치관련 서류에는 월드게임유치에 필요한내용과 관련 잠재적 유치도시들에 대하여 소개했다.

IWGA는 이미 브로츨라프<Wroclaw: 영어표기/ Breslau>(폴란드), 부다페스트(헝가리), 케이프 타운(남아공), 세인트 페테스부르그(러시아), 루이즈빌(미국), 켄터키(미국) 등 5개국 6개 도시로부터 2017년 제10회 월드게임 유치희망 의사를 접수한 바 있었으나 3개 도시(Wroclaw, 부다페스트, 케이프 타운)로 최근 압축하여 발표하였었다.

 

국제월드게임 협회(IWGA)는 2012년 1월 IWGA집행위원회 회의 결과 2012년 유로 축구 토너먼트 개최도시들 중 하나였던 폴란드의 Wroclaw를 2017년 월드게임 개최도시로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개최도시 선정 결과는 로잔 올림픽 박물관에서 IWGA관련 시상식에서 발표되었다.


최종 3개 후보도시들 중 케이프 타운은 재정적 이유로 후보도시에서 철회하였으므로 Wroclaw와 부다페스트가 최종 결정 대상으로 남게 되었고 최종 검토과정에서 Wroclaw로 낙점되었다고 한다.

 

 


 

(2013년 12월2일~3일 폴란드 브로츨라프<Wroclaw: 영어표기/ Breslau>개최 2017년 제10회 월드게임 제1차 조정위원회 회의 장면/ 사진 좌-2가 Ron Froelich IWGA회장)

 

 

2012년 5월 21일 캐나다 퀴벡 시에서 열렸던 IWGA연례총회에서 2017년 제10회 월드게임 개최도시 협약서 서명식을 가졌다.


2005년 서독 뒤스부르그(Duisburg)에서 월드게임이 개최된 이후 2017년에는 12년 만에 유럽(폴란드 Wroclaw)로 다시 복귀하는 셈이다.


 

6) 2013년 제9회 칼리 월드게임(World Games) 개최 결과 요약:

 

 

 

(1) 개최 기간: 2013년 7월25일~8월4일(11일 간)

(2) 대회 성격: 최초로 남미대륙에서 개최된 국제 종합 스포츠대회

(3) 대회규모: 전 세계 101개국 4,500 명의 선수 및 임원 참가

(4) 개최 종목: 31개 종목(26개 정식종목 및 5개 초청종목)

(5) 메달 수: 201개x3(금. 은. 동)

(6) 개회식: 7월25일 저녁 개회식에 35,00명 유료관중(입장권 매진)

(7) 자원봉사자 수: 3,500명

(8) 취재 기자 규모: 33개국 711명

(9) TV중계 규모: 5대륙 22개 TV방송국 대회 중계

(10) IWGA웹사이트: 전 세계 무료 비디오 채널로 중계

(11) 컬럼비아 TV중계: 국영 TV방송국 RCTV가 주 방송사로써 지정되어 120시간 이상 방영

(12) IOC위원장 참석; Jacques Rogge 당시 IOC위원장

(13) 럭비 세븐(Rugby Seven): 2016년 리오 올림픽부터 정식종목이 됨으로 월드게임 고별 경기종목(Farewell Sport)

 

7) 한국 국제 스포츠종합대회 그랜드슬램(Grand Slam)이후 싹쓸이 일보 직전:

 

2011년 7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는 2011년 세계군인체육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거의 하계올림픽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고 할 정도로 대규모 글로벌 스포츠 종합제전인 셈이다.

대한민국 경북 문경시는 그로부터 4년 후인 2015년 세계군인체육대회 개최도시다.


 

 

2013년에는 강원도에서 동계스페셜올림픽(Special Winter Olympics)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2014년에는 한국에서 세 번째(1986년 서울, 2002년 부산)로 인천광역시에서 아시안게임이 개최된다.


 

 

 

 

 

 

2015년에는 한국에서 2003년 대구광역시에 이어 두 번째로 광주광역시에서 하계유니버시아드가 개최된다.

 


 

 

 

2015년에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세계 군인체육대회가 경북 문경에서 개최된다.

 

2017년에는 FIFA U-20(20세 이하)월드컵대회 유치에 성공하여 개최된다

 

*한국은 2001년 Confederation Cup 축구대회, 2002년 FIFA월드컵(한국-일본 공동개최), 2007년 FIFA U-17(17세 이하)월드컵, 2017년 FIFA U-20(20세 이하) 등 FIFA가 주관하는 4대 남자 월드컵 대회를 모조리 유치 및 개최하여 축구 월드컵 그랜드슬램(Grand Slam)의 쾌거를 이룩하게 된다.

 

 

 

*FIFA주관 4개 대회를 모두 유치하여 개최한 국가는 멕시코와 일본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 국가가 된다


 

 

2018년에는 아시아에서 세 번째(일본 1972년 삿포로 및 1998년 나가노)로, 한국 스포츠사상 최초로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개최된다.

 


 

2019년에는 광주광역시가 FINA세계 수영선수권대회를 개최한다.

 

 

 

 

이제 대한민국은 비올림픽종목 올림픽제전인 월드게임(World Games)만 개최하게 되면 명실상부 전 세계 각 부문 스포츠 종합제전 모두를 치르는 셈이 된다.

 

 

8) 월드게임(World Games) 향후 유치 전망과 기대효과:

 

월드게임(World Games)은 IOC 후원 하(under the patronage of the IOC)에 개최되고 있다.

 

이제 향후 2025년 또는 2029년 하나 남은 월드게임(World Games)만 개최하게 되면 대한민국은 각 부문 별 세계 스포츠종합제전을 모두 싹쓸이 하는 진 기록을 세우게 된다.

월드게임(World Games)은 새로운 시설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 저비용 고효과 국제종합대회의 표본이기도 하다.

 

월드게임(World Games)은 규모면에서 올림픽다음가는 2번째 대규모 국제종합스포츠제전이다.

 

대한민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 1986년(서울), 2002년(부산), 2014년(인천) 아시안게임, 1999년 강원 동계아시안게임, 1997년 무주-전주 동계유니버시아드, 2003년(대구) 및 2015년(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 2015년(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 1997년 부산 동아시안게임, 2002년 한국-일본 FIFA월드컵 축구대회, 2013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17년에는 FIFA U-20(20세 이하)월드컵대회,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2019년 광주광역시 FINA세계수영선수권대회 등 굵직굵직한 국제 스포츠종합제전 개최국이다.

 

 

 

한국이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개최에 성공하고 나면 지구상에 현존하는 국제종합스포츠제전의 95%이상을 조직한 나라가 된다.

 

나머지 5%에 해당되는 대회로는 월드게임(World Games), 국제마스터즈게임(International Masters' Games: 세계 장년층 대상 대회)등에 불과하다.

이들 중 비올림픽종목 올림픽대회인 월드게임(World Games)은 신설경기장이 필요치 않는 대회다.

 

또한 월드게임은 생활체육활성화 및 스포츠를 통한 국제교류 그리고 관광홍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향후 한국이 유치할 만한 국제스포츠종합스포츠제전 중 하나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7. 24. 10:38

Kate Caithness 국제컬링연맹(WCF:World Curling Federation)현 회장이 단독 출마로 향후 4년 임기 차기회장으로 재선이 확실시 된다.

 

WCF는 2014년 연례총회 임원 후보 지명자들을 발표하였는데 WCF총회는 오는 9월7일 실시될 예정이다.

 

Caithness현 회장은 회장 출마 단독 후보(unopposed)여서 향후 4년이 보장될 듯싶다.

 

 

World Curling Federation president Kate Caithness inspects Gangneung Indoor Ice Rink in Gangwon Province. (PyeongChang 2018 Bid Committee)(자료출처: Korea Herald)

 

 

2014년 WCF총회에서는 2013년 승인된 새로운 WCF 집행부 구조(board structure)대로 임원선출을 단행하는데 3개 대륙 지역 부회장 3명(three vice Presidents from three WCF regional zones)및 4명의 이사들(board directors)을 선출한다.

 

 

캐나다 출신 Graham Prouse 부회장 후보는 북미지역 부회장 단독후보(unopposed)이며, 호주 출신 Hugn Millikan 역시 태평양-아시아(the Pacific-Asia)지역 부회장 단독 후보로 출마하고 있다.

 

노르웨이 출신 유럽지역 현 부회장인 Bent Anund Ramsfjell과 슬로베니아 출신 Robert Susanj 두 호보가 유일하게 유럽지역 할당 몫 한 자리 부회장(the final vice president spot allocated to the European zone)을 놓고 치열한 경합을 벌일 것이 예상된다.

 

한편 4명의 이사 자리(four board director positions)를 놓고는 8명의 후보들이 출사표를 던지고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1) Albert "Andy" Anderson(미국)

2) Hew Chalmers(스코틀랜드)

3) Li Dongyan(중국)

4) Laura Lochanski(캐나다)

5) Toyokazu Ogawa(일본)

6) Leif Oehman(스웨덴)

7) Gerrit-Jan Scholten(네덜란드)

8) Michael Stepanyants(러시아)

 

지난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을 통해 미래의 희망을 쏜 한국 컬링의 발전과 국제 스포츠 외교의 초석을 놓는 WCF임원선거에 단 한 명의 한국 후보 명단이 보이질 않는다.

 

더구나 한국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최국이다.

 

WCF 국제기구에 진출한 절호의 기회이자 황금찬스인 2014년 WCF임원선거에 태평양-아시아 지역 부회장 또는 이사 자리에 차기 동계올림픽 개최국 명분과 올림픽 컬링의 원활한 소통과 조직관련 협조체제 구축을 위하여 WCF회장 및 회원국들을 상대로 설득할 경우 한국 후보가 어느 자리든 선출될 공산이 전무후무할 정도로 높을 것인데 중국과 일본도 후보명단을 제출한 와중에 유독 한국만 후보출사표를 던지지 못한 속 사정이 무엇인지 궁금하고 유감이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7. 23. 16:26

지난 7월 중순 전 세계 올림픽 관련 수뇌부 리더들이 함께 IOC본부에 모여 올림픽 정상회담(Olympic Summit)모임을 갖고 실무그룹이 구상한 초안을 미리 스케치하며 의견을 나누었다. 

 

(로잔 소재 IOC본부)

 

올림픽 운동에 관여하고 있는 15명의 오피니언 메이커들은

 

1) 올림픽 유치과정 개혁(reforming the Olympic bid process)과,

2) 올림픽 TV채널 개설(the creation of an Olympic television channel)을 비롯하여

3) 여타 잠재적인 올림픽 이슈에 대한 변화 추구(other potential Olympic changes)에 대하여 지지하였다고 한다.

 

핵심 올림픽 주도자들의 모임인 올림픽 서밋(the Olympic Summit, a gathering of key Olympic stakeholders)이 로잔 IOC본부에서 열렸는데 제반 사항에 대한 결정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금번 올림픽 서밋의 최우선 목적(primary purpose)은 투명성을 제공하고 올림픽을 주도하고 있는 리더들에게 변화의 물결에 실감토록(keep stakeholders abreast of change)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7월19일 오전과 이른 오후까지 속개된 회의에서는 주요의제(topics)가 다루어졌는데,

 

1)올림픽 대회 충당예산 관리(cost management of the Games),

2) 도핑과의 전쟁(the fight against doping),

3) IOC내에서의 건전한 지배구조와 투명성(good governance and transparency within the IOC),

4) 총체적 스포츠 일정(the sports calendar),

5) 청소년 관련 전략(youth strategy) 이슈들이 포함되었다고 한다.

 

기타 가능한 개혁안들 중에는 올림픽 대회 기간을 2주에서 3주로 잠재적으로 늘리는 방안(the potential extension of the Olympic Games)이 거론되어 왔지만 실질적으로 IOC위원들과 해당 관계자들로부터 수용되고 있지는 않고 있는 발상인 것(an idea that is now being met with substantial disapproval from IOC members and stakeholders)으로 알려졌다. 

 

7월 중순 로잔 올림픽 서밋모임에는 Thomas Bach IOC 위원장을 위시하여 Sheikh Ahmad ANOC 회장, Ricci Bitti ASOIF회장, Kasper AIWOF회장, John Coates, Craig Reedie, Zaiqing Yu 등 IOC부위원장 3명, Patrick Hickey(EOC회장) , C,K. Wu(AIBA회장), Claudia Bokel(IOC선수위원장) 등  IOC집행위원 3명,IFs를 대표하여  Bruno Grandi FIG(체조)회장, Julio Cesar Maglione FINA(수영)회장, Marius Vizer SportAccord회장, 주요 NOCs를 대표하여 Larry Probst USOC회장 겸 미국 IOC위원, Alexander Zhukov 러시아 NOC위원장 겸 IOC위원 및 Liu Peng  중국 NOC위원장 등이 참석하였다고 한다.

 

 

올림픽 어젠더 2020(Olympic Agenda 2020)과 관련한 심층 협의(further consultations)는  7월19일 회의 결과를 토대로 실무그룹으로부터 취합한 최신 내용(updates)을 한데 묶어 오는 9월 해당 IOC분과위원회에 제출되는 시점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어서 오는 10월 열릴 IOC집행위원회에서는 제안 내용들을 추가로 정제되고 다듬어질( additional refinements of proposals) 계획이다.

 

 

Agenda 2020 주요 제안사항들에 대한 최종 결정은 오는 12월8일~9일 모나코 개최 임시 IOC총회에서 승인될 예정이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7. 23. 16:22

 

7월18일 스위스 로잔 레만호 기슭에 위치한  IOC본부에서 개최된 제64차 ANOC집행이사회(Executive Council: 27명 참석) 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이 회의 서두에서 'Olympic Agenda 2020'의 진행 및 추진 경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요지의 발언을 하였다.



 

1)  순조로운 진척을 보이고 있으며 올림픽 운동 구성 기구 및 관계자들로부터 폭 넓은 의견일치가 가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Olympic Agenda 2020 is making progress. There is a broad consensus for change among all the stakeholders, including the NOCs, the IFs, and IOC members.)


    
2) 모든 이해 당사자들은 새로운 도전에 적응하기 위해 몇 가지 주요한 변화를 꾀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하였으며 적응해야만 하고 변화에 대하여 우리 스스로가 선도해 가는 것이 더 나은 길이다.  (All the stakeholders have understood that we need to make some major changes to address new challenges. We have to adapt, and it is always better to lead the change ourselves.)

 

 

2012년 4월부로 ANOC회장직을 넘겨 받은 Sheikh Ahmad는 현재 205개국 NOCs들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의 실질적인 개혁(substantial reforms)과 현대화(modernization)를 공약한 바 있다.

 

Sheikh Ahmad 회장은 'Olympic Agenda 2020'을 뒷받침하기 위해 모든 NOCs들이 연합되어 있으며 협조체제로 과정을 이끌어 가는  Bach IOC위원장의 공약에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하였다

 

그는 ANOC의 9개 분과위원회와 실무구룹을 통하여 유사한 개혁을 추진 중에 있으며 오는 11월 방콕 개최 ANOC총회에 앞서 집행이사회를 통하여 훌륭하게 추진되고 있음에 만족하다고 언급하였다고 한다. 

 

그는 그날 오후 회의 동안 주요 토픽 5 항목에 대해 집중 조명을 하였다:

1) 새로운 ANOC로고에 오륜기 사용 승인(approval of the Olympic rings in the bew ANOC logo)

 

 

 

                                           (새로 승인된 ANOC 로고)

 

 

                                           (이전 ANOC로고)

 

2) 금년11월 방콕 개최 ANOC총회의 한 부분인 ANOC 시상식 잔치(the ANOC Awards Gala)

3) 최근 결성된 9개 ANOC분과위원회의 지속적인 회의 개최(continuation of meetings of the noe recently formed commissions)

4) ANOC집행이사회에 여성 이사를 추가하기 위해 요구되는 헌장 개정(an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requiring additional female members on the executive council)

5) 2015년부터 실시되는 창립 세계 비치게임(the inaugural World Beach Games in 2015) 

 

ANOC 이벤트 실무구룹 위원장이기도 한 Sheikh Ahmad회장은 ANOC총회 기간 중 공식행사의 일부로 최초로 실시되는 ANOC Gala Awards 만찬에서는 NOCs 및 선수들의 공적을 인정하는 의미있는 시상식에 대한 세부 사항 등에 대해 토의 한 것으로 알려졌다.

 

<ANOC Gala Awards>

 

1) 성격: 모든 NOCs들의 축하잔치(a celebration)이며 공적을 치하하는 계기

2) 시상 대상: 각국 NOCs 및 선수들

3) 시상 범위: 2012년 런던올림픽 및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을 아우르는 시상으로 6개 부문에 걸쳐 시상한다고 한다: 

(1) 최우수 남자 선수(best male athlete)

(2) 최우수 여자 선수(best female athlete)

(3) 최우수 팀들(best teams)

(4) 최우수 코치들(best coaches) 

(5) 가장 성공적이고 획기적인 돌파구를 마련한 NOCs(most successful and breakthrough NOCs)

(6) 탁월한 평생 성취 상(an Outstanding Lifetime Achievement Award)



Thomas Bach IOC위원장과 Lamine Diack IAAF 회장은 ANOC공로훈장(Merit Award)을 수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ANOC Merit Award: ANOC공로훈장)

 

ANOC헌장이 개정되면 ANOC집행이사회에 기존 3명이던 여성 이사 인원수가 8명으로 증원되게 되는데 5개 대륙 별 대표자격으로 각각 한 명씩의 여성 이사가 영입되게 되며 최종 승인은 오는 11월 방콕 개최 ANOC총회 의결사항이다.

 

2013년 12월 Sheikh Ahmad ANOC회장은 조직 내 한층 더 지속가능한 변화 와 IOC와의 협조에 대해 신뢰를 받고 있는 9개의 새로운 분과위원회와 실무그룹를 구성하였는데 개혁과 변화에 수반되는 과정을 챙기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지금까지 훌륭한 진척도를 보여 주고 있고 오는 11월 방콕 총회에서도 모임을 갖게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2015년 창설대회로 시작되는 제1회 세계비치 게임(a first World Beach Games) 개최지 후보로 여러 곳과 여러 가지 일정이 목하 논의 중에 있는데 11월 방콕 개최 ANOC총회 승인 사항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ANOC총회 개최지로 미국 Washington, D.C.로 결정되었으며 2016년 ANOC총회는 리오2016 올림픽과는 별도로(on the sidelines of the Olympic Games in Rio de Janeiro) 개최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기 ANOC집행이사회 회의는 11월5일 방콕 개최 ANOC총회(11월6일~8일) 하루 앞서 열린다고 한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7. 15. 16:53

[최근 국제 스포츠 계 주요동향(5월~7월)]

 

1. ISU 총회(Congress)/6월18일

 

1) 개최도시: 아일랜드, 더블린(Dublin)

2) 주요결정사항:

(1) Otavio Cinquanta(2014년 현재 75세) 현 ISU회장 임기: 2016년 까지

(2) 회장 연령제한 연장(age limit extension) 안: 부결(rejected)

(3) 쇼트트랙 동계올림픽 자격(qualification)부여대회: 기존 월드컵 2개에서 4개 대회로 확대

(4) 스피드 스케이팅 단체출발(mass starts)종목: 2018년 평창대회에서 500m 경기 시 적용 제안

(5) 동계올림픽 개최국 피겨 선수관련: 정상적 과정(normal process)으로 자격 미달의 경우라도 최소기술점수(minimum required technical score) 획득하면 출전 가능

(6) 미국, 그리스, 러시아 등이 제안한 피겨 스케이팅 배심 익명성 철폐 안 (a proposal to eliminate anonymity in judging for figure skating): 과반수는 넘었지만 규정상 요건인 절대 과반수(2/3)획득에 실패하여 불발

*2016년 총회에서 재도전 할 것으로 알려짐

(7) 2017년 ISU세게빙상선수권대회 개최도시 결정: 핀란드, 헬싱키

(8) 2017년 4개대륙 피겨선수권대회(Four Continents Figure Skating Champ.): 대한민국, 평창에서 동계올림픽 Test Event로 개최

 

2.  2020년 동계 청소년올림픽 후보도시/6월18일

 

1) 2020 Winter YOG 후보도시 두 곳:

-2013년 11월 신청서 제출한 도시들은 스위스 Lausanne 및 루마니아의 Brasov 두 곳으로 발표(6월17일)

-2014년 12월 개최예정인 IOC집행위원회 와 IOC임시총회에 세부평가 보고서 제출

-2015년 7월 개최 콸라룸푸르 IOC총회에서 제3회 동계YOG개최도시 선출

 

3. 11번째 IOC TOP Partner선정/6월13일

 

-일본 글로벌 타이어 기업인 (Japanese Tire Manufacturer Bridgestone사가 2016년~2024년(5개 올림픽)8년 간 IOC TOP파트너로 계약을 체결

-일본 가전제품 글로벌 기업인 Panasonic사 역시 기존 TOP파트너로서 2024년까지 계약 체결 중임

-2013년 캐나다 타어어 사(Canadian Tire)가 캐나다 NOC와 스폰서 계약체결한 바 있어 계약이 만료되는 2021년까지 캐나다 지역에 대한 Bridgestone 사의 worldwide rights에 갈등이 에상됨

*Asahi Shimbum(아시아 신문)보도에 따르면 2016~2020 TOP Partnership대가로 US$3억4,400만 불(약3,440억 원)이라고 계약 전 사전에 시사한 바 있으나 IOC 등 공식 발표는 없음

 

4. 2024년 올림픽 잠재 유치 후보도시 4곳으로 압축(narrowed its list of candidates to bid for the 2024)/6월11일

 

-USOC는 Boston, LA, San Francisco, Washington,D.C.등 4개 미국 도시들을 2024년 올림픽 미국유치 잠정 후보도시들로 당초 압축함(Dallas, San Diego 등 2개 도시는 외부 관망 중/on the outside looking in) 

-6월10일 USOC보스톤 집행위원회에서 Dallas 및  San Diego를 포함한 6개 도시를 압축하여 잠재 후보도시군(shortened list of potential bidders for 2024 Olympics)으로 발표함 

 

5.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빚 청산 역사

 

-1976년 올림픽 개최도시인 캐나다의 몬트리올은 1976~2006(30년 간) 15억 달러(약 1조5척원 원)의 빚을 청산 한 바 있음

-올림픽 이후 사용되고 있지 않는 올림픽 야구장의 이름인 'Big O'를 'Big Owe'로 바꿔 부르며 당국의 실패를 비판하고 있음

 

6. 아시안게임 및 동계올림픽 개최지 변경 사례

 

1) 1970년 아시안게임(서울)을 제반여건 상 반납하여 태국 방콕이 대신 개최함

2) 1978년 아시안게임(이슬라마바드)을 제반 여건 상 반납하여 역시 태국 방콕이 대신 개최함

3) 2019년 아시안 게임(베트남 하노이)을 재정 여건 상 반납하여 오는 9월 OCA총회 시 대체 개최지 결정 예정(인도네시아, 인도, 말레이시아 경합 중)

4) 1976년 동계올림픽 (미국 덴버/Denver)을 예산부담으로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스위스 Sion으로 옮기려 했으나 역시 주민들의 반대로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Innsbruck)가 대신 개최함

 

7. ANOC 새로운 로고

 

-지난 3월 쿠웨이트 개최 ANOC집행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한 새로운 ANOC로고를 지난 5월20일 발표함(modern and professional era반영)

 

 

 

8. 차기 국제육상경기연맹(IAAF)회장 선출 전망

 

-2015년 7월 베이징 개최 IAAF총회에서 Lamine Diack(세네갈)현 회장 후임 회장 결정 예정

-후보로는 Sebastain Coe(영국 NOC위원장 겸 IAAF부회장)과 Sergey Bubka(우크라이나 NOC위원장 겸 IOC집행위원 겸 IAAF부회장)의 양대 후보의 2파전으로 예상

-여성 후보로 거론되었던 올림픽 육상 금메달리스트 출신 Nawal El Moutawakel(모로코) IOC부위원장은 불출마 선언함

-Lamine Diack 현회장은 Seb Coe후보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9. FIBT회장 선거

 

-지난 5월31일 모나코 개최 FIBT(International Bobsleigh & Skeleton Federation/국제 봅슬레이 연맹)총회에서 2010년 이래 회장을 맡아온 이태리의 Ivo Ferriani현 회장이 재선에 성공함

-경합후보로는 캐나다 전임 회장인 Bob Storey및 한국의 강광배 FIBT부회장이었음

 

10. USOC CEO 연봉 및 세금 내역 공개

 

-Scott Blackmun USOC CEO의 2013년 연봉은 US$130 만불(약 13억 원)임

-인센티브는 US$74만 9천 불(약 7억5천만 원)임(2012년 US$506,771 대비 9.7% 상승)

-USOC의 2013년 수입금은 US$1억6,820만 불(약 1,700억 원)이며 지출액은 US$1억9,570만 불)로 재정적자는 US$2,750만 불(약 275억 원)으로 알려짐

 

11. 러시아 NOC집행부 선거(5월30일)

 

-Alexander Zhukov 현 회장(IOC위원 겸임)이 단독 입후보하여 232표로 재선에 성공함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수중발레(Synchronized Swimming)선수출신인 Anastasia Davydova가 신임 사무총장으로 임명됨

 

12. 루마니아 NOC위원장 후임 선출(5월29일)

 

-IOC위원 직에 전념하기 위해 사임한 Octavian Morariu IOC위원 겸 NOC위원장 후임으로 루마니아 럭비협회회장인 Alin Petrache가 제16대 루마니아 NOC위원장으로 선출됨

-202표 중 143표 획득하여 경쟁후보인 루마니아 체조 팀 코치 Octavian Belu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조정선수 출신인 Elizabeth Lipa를 큰 표차로 제치고 당선됨

 

13. BBC Trust 이사회 차기의장 선출(Seb Coe)

 

-Sebastian Coe 영국 NOC(BOA)위원장이 선출유력함

-전임의장이 심장 수술로 사임하자 영국정부가 제안하였는데 David Cameron수상이 지지한 것으로 알려짐

 

14.  이태리 로마 2024년 올림픽 유치 도전 예상

 

-지난 6월10일 이태리 NOC(CONI)창립 100주년 기념 식에 Bach IOC위원장을 포함한 18명의 유럽 IOC위원들(미주 대륙 2명/ 아시아 및 아프리카는 전무)이 대거 참석함

-이 자리에서 로마가 2024년 올림픽 개최 가능도시로 거론되었다함(Rome as a possible host for the 2024 Olympics)

 

15. FIS회장 선출

 

-지난 6월6일 바르셀로나 개최 FIS총회 시 세계 최대 동계종목 단체(the largest winter sports federation)인 FIS(International Ski Federation)회장 선거에서 1998년 이래 FIS회장 직을 맡아온 Gian-Franco Kasper(스위스)현회장이 박수갈채로 재선(reelected by acclamation)에 성공함

-Kasper회장은1975년 고 Marc Hodler회장 아래에서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다가 2000년 IOC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하였음  

 

16. 중국 IOC부위원장, ANOC부회장에 선출

 

-Zaiqing Yu중국 IOC부위원장이 지난 6월4일 쿠웨이트 개최 ANOC임시총회(100개 NOC대표들 참석)에서 ANOC부회장으로 임명됨

-임명동의안은 오는 11월 방콕개최 예정인 ANOC총회에서 인준 받을 예정임(His appointment will be ratified at the ANOC General Assembly in Bangkok in November.)

 

17. 사우디 IOC위원 겸 NOC위원장 사임(7월11일)

 

-Prince Nawaf Faisal Fahd Abdul Aziz 사우디 아리비아 NOC위원장(36세)이 7월11일 NOC위원장 직에서 사임함

-그의 IOC위원 직(2002년 선출)은 NOC자격이므로 자동적으로 IOC위원직도 함께 사라짐(His IOC membership was tied to his Presidency of the NOC.)

-7월11일 아침 그의 IOC위원 이력 소개 IOC홈페이지 웹사이트에서 이름이 삭제됨(his biograph\y pae on the IOC website had been deleted.)

-따라서 현 IOC위원 총수는 105명으로 감소함(정원 총 115명) 

 

18. FISA회장 선출

 

-국제조정경기연맹(FISA: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회장으로 1989년부터 25년 간 장기집권했던 Denis Oswald(스위스 IOC위원)회장이 7월12일부로 회장직을 Jean-Christophe Rolland에게 넘겨줌

 

Jean-Christophe Rolland receiving the "key" to FISA from Denis Oswald. (FISA)

(Rolland 신임회장과 Oswald직전회장)

 

-2013년 9월 FISA회장으로 당선된 Rolland회장당선자는 10개월 간의 유예기간(a 10-month grace period)를 거쳐 두 사람 간의 지식전달 과정을 거친 바 있음(serving as a transfer of knowledge bewteen the two men)

-Oswald직전회장의 Rolland후임회장에 대한 당부의 말: "어떤 논쟁과 논의도 개인적인 관심사와 연결된 것은 업어야 하며, 언제나 조정과 조정선수를 무조건 최우선 순위 과제로 할 것"

"If we do have debates and discussions, it is never linked with any personal interests, but always for the good of rowing and rowers. You always put the interests of the athletes first and at the heart of discussions."

-Rollad신임회장은 1994년부터 FISA 에 몸 담아 왔으며 2002년부터는 FISA선수위원장 직을 맡았었음

 

19. 향후 전망(아시아 집중 현상 우려)

 

-2018년 동계올림픽(평창)-2020년 올림픽(도쿄)-2022년 FIFA월드컵(카타르)-2022년 동계올림픽(베이징? 알마티?)//아시아 집중 현상

-올림픽 고비용(2014년 소치 US$510억 불/약 51조 원)현상으로 글로벌 경제위기로 2024년 올림픽을 유럽도 발뺄 공산이 있음

-따라서 2024년 올림픽은 미국으로 갈 공산이 크다고 볼 수 있음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7. 15. 14:39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 신청도시는 당초 6개 공식 주자들(official contenders)로 출발 하였으나 스웨덴 스톡홀름과 폴란드의 크라카우 등 유럽 두 개 신청도시의 경우 국민 대중적 반대(public opposition)에 발목이 잡혀 무산된 바 있다.(led tot he demise of Stockholm and Krakow)

 

 

우크라이나의 르비브(Lviv)의 경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불안정한 정국 전개 파장의 결과로 떨어져 나갔다.(dropped out as a result of the unstable situation between Ukraine and Russia)

 

 

(Almaty)                                             (Beijing)

(Krakow)

 

                               (Lviv)

 

유치 신청 초창기 독일(Munich)과 스위스 신청후보도시(St. Moritz-Davos)들 역시 올림픽 유치에 대한 국민투표결과 일찌감치 원천봉쇄 당한 바 있다.(referenda rejected Olympic bids)

 

따라서 IOC집행위원회는그나마 남아있는 세개 신청도시(베이징, 알마티 및 오슬로) 모두를 후보도시로 사실상 확정시켜 놓은 상태이다.

 

노르웨이의 오슬로의 경우 여전히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자체가 소멸될 기로에 서서 비틀거리고 있는 형국으로 보인다.(Oslo still appears to be tottering on the brink of extinction fro 2022)

 

7월 초 IOC실무그룹 평가 리포트(IOC Working Group report)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의 Almaty와 중국의 Beijing 두 신청도시는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들과 관람객들에게 오염된 공기 호흡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하였다.(both flagged as places with bad air for winter Olympians and spectattors to breathe)

 

베이징의 경우 2008는 올림픽 개최이후 공기오염도가 악화되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reports of air pollution in Beijing seem to have gotten worse)

 

알마티는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대형 스포츠 이벤트 개최 경험이 일천하고 마케팅 수입금을 과대 평가한 점이 지적되었다고 한다.(In addition to air pollution, Almaty is inexperienced in hosting big sports events and that it is over-estimating marketing revenues.)

 

또한  올림픽 선수촌 부지가 환경적 이슈들로 인해 전적으로 부적절한 것으로 판명날 우려가 상존하며 이로 인해 경기장 변경이 불가피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라는 것도 함께 지적되었다고 한다.(the site for the Olympic Village may turn out to be totally inappropriate due to environmental issues, which could possibly force a difficult venue change.)

 

IOC보고서에 의하면 카자흐스탄의 경우 인터넷 접속 이슈들에 대해 경계령을 내리고 있지만 베이징 보고서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한다.(IOC report raises alarm over Internet access issues in Kazakhstan, but curiously does not mention this in the section on Beijing.)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기간 동안 인터넷과 연관된 PR접속 와해사태이후(after the public relations debacle involving Internet during the Beijing Olympics), IOC는 올림픽을 인터넷 방호 만리장성 뒤로 내친 것을 다시한번 고려하여 궂은 일을 마다하지 말아야 한다.(the IOC must be a glutton for punishment to consider again putting the Games behind the Great Firewall of China.)

 

사실상 IOC보고서를 볼 때 베이징 유치에 많은 호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In fact, the IOC report gives much favor to the Beijing bid.)

 

베이징 시내에는 교통체증과 대기오염 등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지만 조직주체들의 대회개최를 위한 경기장 및 인프라 구축 능력에 대해서는 한치도 주저함도 표출되어 있지 않다.(There are worries about traffic and pollution, but no reservations expressed about organizers' ability to deliver the venues and infrasturcture needed to host the Games.)

 

베이징의 경우 2008년 올림픽을 위해 건설된 경기장을 활용하겠다는 발상에 찬사를 보내지만 베이징과 알파인 스키 경기장이 건설될 북쪽 장지아카우까지 2시간 소요되는 연결 고속철도 건설 전망(the prospect of building a high-speed rail line to connect the city with alpine venues tow hours north)은 IOC가 올림픽을 유치하는 도시에서 보기를 원하는 수십억 달러 프로젝트 종류의 것은 아닐런지 모른다.

 

설사 베이징이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방법과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손치더라도 이러한 가망이 희박한 세팅자체가 IOC를 위해 활성화(boost)가 될까 파산(bust)이 될까 라고 한 외신은 지적한다.(And even if Beijing has the ways and means to host a winter Olympics, would this most unlikely of settings be a boost of a bust for the IOC?)   

 

또한 베이징이 2022년에 동계올림픽을 개최한다면 2018년 평창에 이어 두 번 연속 아시아에서 동계올림픽이 치러지게 되는 것이고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감안 한다면 3연속 올림픽이 아시에만 집중되는 셈이 될 것이다.

 

이국적이긴 하지만(exotic though it is), 알마티는 중앙아시아라는 원거리 우치로 인해 세계적 관심을 구축하기에는 더소 무리해 보일수 있다(Almaty could be a challenging location to build worldwide interest, remote as it is in Central Asia.)

 

3개의 후보도시들 중 알마티가 가장 사진 풍광이 뛰어나 보이는데 스카이라인에 산들이 한데 어우러지는 유일한 도시이기도 하다.(Almaty may be the most phtogenic, the only city that features mountains on the skyline.)

 

오슬로는 동계스포츠가 문화 속에 깊이 배어든 도시인데 동계올림픽이 자연스레 잘 어울리는 것이 마치 FIFA월드컵이 브라질로 가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과 같아 보인다.(Oslo is the place where winter sports are ingrained into the culture, where a winter Olympics seems as natural as the World Cup going to Brazil.)

 

                           (오슬로의 명물 Hollmenkollen 스키 점프 대)

 

이렇게 안성맞춤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 사람들은, 브라질 사람들 일부가 브라질이 FIFA월드컵 대회 개최국 노릇을 하는 것에 대하여 후회감을 표출한 것처럼, 동계올림픽 개최에 대해 분명히 불편해 하고 있다라는 것이다.(Despite the fit, Norwegians apparently are uncomfortable donning this cloak, just as some Barzilains have expressed their regrets about playing host to the World Cup Pageantry.)

 

오슬로는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권을 거뭐질 금지된 선호도시가 될 수 있다.(Oslo could be a prohibitive favorite to win 2022.)

 

2015년 7월31일 콰랄룸푸르 개최 IOC총회 투표에서 수 십명의 유럽 계 IOC위원들과 미주 대륙 IOC위원들의 당연시되는 오슬로 지지표들로 인해 오슬로는 1차투표에서 승리할 공산이 클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Presumed support from dozens of Europeans IOC members as well as those in the Americas could come close to giving Oslo a first-rould victory where the IOC votes next July at the IOC Session in Kuala Lumpur.)고 한다.

 

 

 

또는 오슬로의 경우 2022년 올림픽 개최 찬성 대중 여론 몰이에 도전을 받아 왔던 지금까지의 모든 다른 도시와 같은 길을 갈 수도 있다.(Or Oslo could go the way of every other city so far that's been challenged to round up public opinion in favor of hosting the 2022 Olympics.)

이러함 마모되어 가는 캠페인 와중에 오슬로는 단순히 가장 최근의 희생자가 될지도 모르는 노릇이다.(In this campaign of attrition, Oslo may simply become the latest casualty.)

 

강한 자만이 살아남을 것이다.(Only the strong will surviv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6. 3. 16:56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 경쟁 불안정 상태(Unstable 2022 Olympic Bid Race)]

 

2015년 7월 콸라룸푸르 IOC총회에서 결정될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 경쟁이 불안정한 국면에 돌입한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

1) KSL News부 편집장(Vice Writer)인 Alice Speri는 'The world seems to have finally realized that hosting the Olympics "totally sucks".'라고 언급하였다.  

 

2) 국제 체육기자연맹(AIPS)회장인 Gianni Merlo는 "Why Olympic bids for the 2022 Olympic Winter Games are "dropping like flies"인가에 대하여 논의 중이라고 한다.

 

3) The Wall Street Journal지의 Matthew Futterman은 "Does Anyone Want to Host the 2022 Winter Games?"라고 묻는다

 

4) A. V, Club의 Todd VanDerWerff는 푸틴이 전례를 남긴 소치2014의 천문학적 개최비용(약 52조원)에 혼비백산한 나머지 국가 GNP를 쏟아 부어부어야 하는 부담감으로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를 원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 when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spent $51 billion on the 2014 Winter Games, "it didn’t just show off how much money Putin could spend on things; it established a precedent that other nations are now apparently terrified of tanking their GNPs to live up to." This, VanDerWerff points out, could be why no one seems to want to host the 2022 Winter Olympics. 

 

5) CBS News는 러시아가 동계올림픽을 파괴한 것은 아닌지 탐구하고 있다.(CBS News also explores whether Russia has "destroyed" the Winter Olympic Games.)

 

6) 블로거인 Shikha Dalmia는'과거 여러 나라들이 국위선양을 위해 피터지는 경쟁을 하며 올림픽 적어도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고자 국가 재정이 바닥나도록 치열했던 세월은 이제 빠른 속도로 그 자취를 잃어 버리고 있는 듯하다(the days when "countries vied with each other for the national (dis)honor of spending themselves into the poorhouse in order to host the Olympics--or at least the Winter Olympics--might be fast disappearing.")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는 reason.com에 게시판에서 "현재 루지 종목 경기에 출전한 인도 선수들처럼 중도에 낙오 되고 있는 2022년 동계올림픽 잠재 유치 경쟁도시들에 대해 논의 하고 있다.( In a post on reason.com, Dalmia discusses the potential bidders for the 2022 Games who are currently "dropping out like Indian athletes in a luge contest.")

 

Dalmia에 따르면 올림픽은 단순히 정치인들에게 낭비와 사기와 남용거리를 줄뿐이라고 한다.(According to Dalmia, the Olympics merely give politicians "lots of opportunities for waste, fraud and abuse." )

 

7) Business Insider지의 Tony Manfred는 모든 사람이 올림픽을 개최한다는 것 자체가 총체적 낭비이기 때문에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경쟁은 "재앙"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the bid race for the 2022 Games is a "disaster" simply because "everyone figured out that hosting the Olympics is a total waste.")

 


 

 8) Sbs.com작가인 Joshua는 공식적으로 경쟁하고 있는 4개 신청도시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카작흐스탄의 알마티, 중국의 베이징, 우크라이나의 엘비브 및 노르웨이의 오슬로9 the four cities "officially in the running" for the 2022 Games: Almaty, Kazakhstan; Beijing, China; Lviv, Ukraine; and Oslo, Norway.)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5. 30. 16:46

[국제스포츠 계 최근 동향 종합(4월 분 발췌 및 5월 전체)]

 

1. 올림픽 방송 서비스(OBS: Olympic Broadcasting Services):

 

Thomas Bach IOC위원장은 IOC분과위원회 위원 명단 발표에 이어 동 하계올림픽 방송을 책임 맡고 있는 OBS SA 이사회 이사들을 지명 발표하였다.


1)
이사장(Chair):
Richard POUND(
캐나다 IOC위원)

2)
부 이사장(Vice-Chair):
Manolo ROMERO

3)
이사(Members)7:

-Juan Antonio SAMARANCH(스페인 IOC집행위원)
-Gerardo WERTHEIN(
아르헨티나 IOC위원)
-Christophe DE KEPPER(IOC
사무총장)
-François CARRARD(IOC
자문역)
-Gilbert FELLI(IOC
올림픽 수석국장)
-Timo LUMME(IOC
마케팅 국장)
-Lana HADDAD(IOC
재정 국장)

 

 

2. 올림픽 박물관 재단 이사회(Olympic Museum Foundation Board)

 

*이사명단:

-Zaqiqing Yu 중국 IOC부위원장

-Ugur Erdener 터키 IOC집행위원

-Kipchoge Keino 케냐 IOC명예위원

 

3. 국제 스포츠 기구 수장 명단 update

 

1) IWGA(International World Games Association)회장: Jose Perurena ICF회장 겸 스페인 IOC위원

-Ron Froehlich회장이 22년 장악해 왔던 IWGA회장 직을 Jose Perurena ICF회장이 거뭐 쥐게 되었다.

-지난 4월 중순 터키 Belek개최 SportAccord컨벤션 기간 중 열린 총회에서 유일한 경쟁 후보였던 Harald Vervacke 국제 인명 구조 연맹(International Life Saving Federation)회장을 손쉽게 따돌렸다,

2) SportAccord회장: Marius Viser IJF회장

3) ARISF(International IOC Recognized Sports Federations)회장: Raffaele Chiulli UIM(International Federation for Power Boating)회장

4) WADA(World Anti Doping Agency)회장: Craig reedie 영국 IOC부위원장

5) AIOWF(Association of International Olympic Winter Federations)회장: Jain-Franco kasper FIS회장 겸 스위스 IOC위원/SportAccord부회장

6) ASOIF(Association of Summer Olympic International Federations)회장: Francesco Ricci-Bitti ITF회장

7) CISM(International Military Sport Council) 신임회장: Lt.Col. Abdelhakeem Mohamed Al Shino CISM부회장(바레인) 선출

-510일 에쿠아도르 개최 CISM총회에서 총 79표 중 44표 획득함

-터키 출신 후보인 Col. Mesut 23, 카메룬 출신 후보인 Col. Kalkaba Malboum 19표 획득에 그침

-CISM 표어(Motto): "Friendship through Sport"

 

4. 2022 Krakow(폴란드)동계올림픽 유치 신청도시 중도 퇴장(Krakow's exit)

 

-지난 달 Jagna Marczulajtis-Walzak(여성)유치위원장이 남편의 외조성 과잉 뇌물 스캔들로 도중 하차

-525() 실시된 시민투표(referendum)에서 Krakow시민 70%가 반대 표 던짐으로 유치 도중 하차

-총 인구의 34%가 투표 참여turnout/최소 유효 투표 참가 율 30%)

 

5.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 신청도시 중 Lviv(우크라이나) 중도하차 위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고조되고 있는 갈등과 연계하여 정부지원 및 재정지원 부족으로 인해 유치 경쟁에서 퇴장 초읽기(Lviv is on the brink of departing the bid race because of the lack of governmental and financial support linked to the escalating conflict between Russia and Ukraine.)

 

6.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 신청도시 중 Oslo(노르웨이) 살아남기 고군분투 중

 

-오슬로 신청도시는 정부지원 획득을 위해 필사 노력 중이나 노르웨이 연정 파트너 당 중 하나가 5월 초 올림픽유치

-지원요청에 반대키로 결정함에 따라 오슬로 유치에 미래에 먹구름이 예상 됨(Oslo is struggling to win governmental support: One of the coalition partners decided 2 weeks ago to oppose the Norwegian city's Olympic quest, casting doube over the bid's future.)

 

7. 차기 영연방대회(Common Wealth Games)

 

-2018년 제21회 영연방대회는 호주 Gold Coast에서 개최예정

 

8. 리오2016 올림픽 위기수습 방안

 

-IOC Gilbert Felli IOC올림픽 수석국장을 리오2016 올림픽 수석 문제 해결사(Chief trouble shooter for the Games)로 파송함

-리오2016대회 구원을 위해 IOC 3개의 지원TF팀을 구성함

1) 건설 지원 팀(Construction Working Group)

2) 운영 지원 팀(Operations Working Group)

3) 계약 지원 팀(Engagement Working group)

-터키 Antalya Belek개최 IOCASOIF연석회의 석상에서 참석한 28 IFs 17개 단체가 불안감 표명( expressed anxieties)

-해당 경기장이 건설단계에 조차 미치지 못한 어떤 IF는 제2(Plan B)를 요구하기도 함

-IOC는 떠넘기기 식 조치는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일축함(IOC won't play the blame game.)

"We are not going to go there to point a finger to whoever. We believe the potential is in their hands, but maybe, we can help them to take decisions... We will go there as a facilitator to help them where are the issues and how to resolve the issues."

 

9. 도쿄2020올림픽 마케팅 대행사

 

-일찌감치 2020년 도쿄 올림픽 마케팅 대행사로 선정된 덴쯔(Dentsu)사는 대회 수입금(games Revenues)으로 US$15 억 불( 1 5천억 원)을 책정하고 모금지원에 들어 감

-덴쯔사의 마케팅 업무범위:

1) 대회 마케팅 계획 구축(Formation of the games Marketing Plan)

2) 대회 상업적 전략 수립(Commercial Strategies)

3) 스폰서십 판매 지원 제공(Providing Support for Sponsorship Sales)

4) 서비스 실행(Servicing)

5) 라이센스 프로그램(the Licensing Program)

 

10. SportAccord 2014 결과

 

-스포츠의 UN(United Nations of Sports)

1) 개최도시: 터키 지중해 연안 안딸랴 지역 Belek Susesi Luxury Resort

2) 참가규모: 78개국 1,636명이 40개 공식회의에 참석

3) 미디어 취재: 34개국 미디어가 700개 넘는 뉴스 스토리 생성함

4) 2015 년 총회 개최도시: 3개 후보도시들(Abu Dhabi, Durban Sochi) 중 아부다비가 선두주자(front runner)로 알려짐

 

 

 

11. ONOC2014 총회()/55

 

-17개국이 태평양 게임(Pacific Games) ONOC의 공식 대륙대회로(continental status)격상시키기로 17개국 MOU체결

-파푸아뉴기니 및 피지는 호주와 뉴질랜드가 ONOC회원국이면서 지금까지 태평야 게임에 한 번도 참가하지 않았던 진례가 있어 초청 반대

-따라서 향후 Pacific Games Oceania Games로 탈바꿈 예정임

 

12. 2019년 아시안 게임 관련

 

-베트남 하노이가 반납한 2019년 아시안 게임 대체 개최도시 유치신청마감일: 71

-후보도시로는 2019년 아시안게임 유치 실패한 바 있으며 2011 SEA게임 개최도시인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와 대만의 카오슝(Kaohsiung)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를 비롯하여 중국, UAE, 일본도 관심표명 중인 것으로 알려짐

-오는 920일 새로운 개최도시 발표 예정

 

13. 2014년 아시안 비치게임

 

-오는 1114~23일 제4 Asian Beach Games가 태국 푸켓(Phuket)에서 개최 예정

-Ju-Jitsu, Squash 및 삼보 레슬링이 추가되어 총 26개 종목 168개 금메달이 걸려 있음

*Perfect Combination of Tourism and Sports

 

*역대 Asian Beach Games현황:

1회 대회: 2008년 인도네시아 발리(Bali)

2회 대회: 2010년 오만 무스캇(Muscat)

3회 대회: 2012년 중국 하이양(Haiyang)

4회 대회: 2014년 태국 푸켓(Phuket)

5회 대회: 2016년 베트남 나트랑(Nha Trang)

 

14. 리오2016 올림픽 예산

 

-US$29 억 불( 2 9천억 원)은 대회 개최 비용(the cost of staging the Games)

1) 개폐회식 비용(Opening & Closing Ceremonies)

2) 행사 필요 장비 구입비(Purchsing Equipment needed for event)

3) 향후 2년 간 2,000명 분 급료(a payroll for 2,000 people through the next 2 years

4) 기타 올림픽 치르는데 소요되는 무수한 제반 비용 (a myriad of other costs that go into staging the Olympic Games)

 

15. 문대성 IOC위원 관련

 

-국내 소송문제 마무리 시까지 IOC윤리위원회는 동건 처리 보류(on hold again)

 

16. ITTF회장 선출

 

-전임 회장인 Adam Sharara 2014 9월부로 회장에서 의장(from President to Chairman)으로 사실상 현역에서 은퇴하며 연맹 내 의사결정권은 없음

-후임 신임 회장으로 Thomas Weiker 독일 탁구연맹회장이 회장 직 수행 예정

 

17. 2018년 세계기계체조선수권대회(World Artistic Gymnastics Championships)

 

-쿠웨이트 개최 FIG이사회 회의 결과 2018년 세계기계체조 선수권대회는 1012~18일 카타르 도하(Doha) Aspire Dome경기장에서 개최키로 결정됨

-향후 FIG세게선수권대회는 당초 6월에서 5월 개최로 변경함

 

18. 2018 ISAF(International Sailing Federation)세계요트 선수권대회(World Sailing Champioships)

 

-2018년 대회가 데마크 Aarhus에서 개최키로 만장일치로 결정됨

-당초 경쟁 후보들로는 대한민국의 부산시, 네덜란드 헤이그(Hague) 및 폴란드의 Gdynia가 함께 물망에 오르기도 했지만 ISAF집행위원회에서 Aahus Internatiola Sailing Center의 역량을 입증 받아 Aarhus로 최종 결정됨

 

19. 스코트랜드, 영국에서 분리독립?

 

-오는 918일 스코틀랜드 분리독립 관련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2016년 리우 올림픽 별도 참가 여부 결정예정

- NOC구성문제 및 UN가입문제 등 복잡한 절차가 기다리고 있음

 

20. Octavian Morarin 루마니아 IOC위원은 NOC 위원장 직 사임

 

-full time으로 전념할 신임 NOC위원장 선출토록 배려하려는 취지인 것으로 알려짐

 

21. 2024년 올림픽 유치희망 미국 후보도시들

 

-Boston, Dallas, LA, San Diego, San Francisco, Washington ,D.C., Miami, Seattle(9개 도시)

-당초 유치희망 도시로 분류되었던 New York City Philadelphia 2개 도시는 보류 결정함(2028년 올림픽?)

 

22. 2021년 제11 World Games 개최도시

 

-World Games은 올림픽 다음으로 큰 국제 종합대회(2nd biggest global multi-sport event)

-첫 번째 유치과정인 대회유치 신청 마감일은 오는 731일임

-개최도시 협약서 체결은 2015년 봄 계최에정인 IWGA연례총회에서 예정되고 있음

-2013년 제9 World Games는 콜롬비아 Cali에서, 2017년 제10회 대회는 폴란드의 Wroclaw에서 개최예정임

-개최시기는 올림픽 다음해임

-30개 비 올림픽 종목으로 Dance Sport, Squash, Tug of War(줄다리기), Gymnastics, Sumo Karate 등이 포함되어 있음

-100여 개국으로부터 4,500여 명의 선수와 임원이 참가하여 약 200개 세부종목(금메달)을 놓고 11일간 경쟁함(11-day international multi-sport event)

 

23. IOC, 미국 NBCUniversal 사와 12년 간(2021~2032) 방영권 일괄체결

 

-IOC NBCUniversal 사와 2021~2032년까지 6개 동 하계올림픽 미국 지역 TV방영권 계약 일관 체결(57) US$76 5천만 불( 7 2천억원)확보함

-따라서 IOC는 매 올림픽 US$12억 불( 1 2천 억원을 상회하는 TV중게권 수입금을 확보함

-NBCUniversal사는 추가로 IOC 2015~2020기간에 올림피즘과 올림픽 가치 증진을 위한 협찬금조로 US$1억불( 1,000억 원)을 쾌척할 예정임

-2011년에 IOC NBCUniversal사와 4개 동 하계올림픽(2014~2020)미국지역 TV방영권 료로 US$438천만 불( 44천억원)지불 조건의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IOC 2014~2020년 사이 4개 올림픽에 미국지역 방영권료로 매 올림픽 당 평균 US$10 950만 불( 1 950억 원)씩을 받았지만 2021~2032년 사이 6개 올림픽 TV 방영권 매 올림픽 평균 수입금은 US$12 7500만불( 1 2800억원)으로 상향 조정된 셈임

-NBC사는 1988년 서울올림픽 및 2022년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 이래로 줄 곳 동 하계올림픽 미국지역 독점 방영권자임

-향후 방영권 영역은 TV network뿐만 아니라 cable TV, internet mobile도 포괄적으로 포함됨

-또한 2032년까지 YOG(Youth Olympic Games) 방영권도 포함됨

-2032년이 되면 NBCU는 첫 번째 방영 대상 올림픽이었던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거슬러 올라가 모두 23개 동 하계올림픽을 방영하게 되는 셈임

 

24. Olympic Agenda 2020에 관하여

 

1) Roadmap:

 

(1) 623일을 계기로 Working Group회의

(2) 7 IOC집행위원회(findings)

(3) 7월말 Olympic Summit(findings)

(4) 9 IOC분과위원회(contributions)

(5) 10 IOC집행위원회(취합 및 정리)

(6) 128~9일 모나코 개최 IOC임시총회(최종 제안 사항 제출 및 결론 도출)

 

2) 의견 및 제안사항 취합

 

-2014 2월 제126차 소치 IOC총회 시 IOC위원들 의견 총 211개 발언(a total of 211 interventions made by IOC members)

-NOCs, IFs, Sports organizations, NGOs, General Public(415일 마감)

-5개 주제에 한정

 

(1) the Uniqueness of the Olympic games

(2) Athletes at the Heart of the Olympic Movemwent

(3) Olympism in Action

(4) the IOC's Role

(5) IOCStructure and Organization

 

25. IOC TOP Partner신규 추가 영입예정

 

-아사이 신문(Asahi Shimbun) 에 따르면 일본 자동차 타이어 대표주자 격인( tire giant) Bridgestone사가 IOC Top-tier Partnership 대상으로 협상 후 체결 서명이 임박한 것으로 보도됨(The IOC is reported to be on the verge of inking a top-tier partnership.)

-Bridgestone사는 6 Thomas Bach IOC위원장 도쿄 방문 시 계약 체결 예정임(Bridgestone is set to formalize the contract in June when IOC President visit Japan.)

-10년짜리 계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함(2016년 리오, 2018년 평창, 2020년 도쿄, 2022년 동계올림픽 및 2024년 올림픽/10-year deal would cover 2016, 2018, 2020, 2022and 2024 Games.)

-IOC는 이외에도 최근 몇 개월 간 일본 유수의 다국적 기업들과 협상 중이었다고 함(IOC had been in talks with several Japanese companies in recent month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5. 19. 14:06

 

 

Police outside the Corinthians stadium. (ATR)



 

 

 

 


 

 

 

오는 6월12일 개막되어 첫 경기가 열리는 브라질 월드컵대회가 반정부 시위(anti-government demonstrataions)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한다.

물론 브라질 체육부 관계자들은 향후 더 있게 될 항의 사태가 FIFA토너먼트를 무신시킬 정도는 아니라고 확신하고 있다( further protests will not disrupt the FIFA tournament.)는 소식도 들린다.

최근들어 수천명의 항의 시위자들이 브라질 수도인 브라질리아와 2016년 올림픽 개최도시인 리오 그리고 6월12일 브라질 월드컵 개막경기 개최도시인 상파울로로 항의 행진을 하였으며 시위진압 경찰(riot police)들은 월드컵을 위해 수 십 조원을 낭비한 처사에 대해 항의하고 있는 시위자들을 흩어뜨리기 위해 최루가스(tear gas)를 살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다고 한다.

몇몇 시위자들은 "FIFA, Go Home!"이란 깃발을  흔들어대기도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2014년 FIFA브라질 월드컵 축구경기장(12개) 및 인프라 구촉에 투자된 예산은 총 US$150억 불(약 15조원)으로 추산된다고 하며 이 예산의 대부분은 브라질 국민들의 혈세로부터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Brazil is estimated to have invested about $15 billion on World Cup venues and infrastructure, most of which using taxpayers’ money.)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