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4. 5. 19. 13:41

[4월 국제스포츠 계 동향 종합 요약]

 

1.  호주 스포츠 외교관 약진:

 

1)  John Coates:

-AOC(Australian Olympic Committee)위원장

-IOC 부위원장

-IOC 스포츠와 법률위원장(Sport and Law Commission/신임)

-IOC 법사위원장(Juridical Commission/신임)

-2020년 도쿄 올림픽 IOC 조정위원회 위원장(신임)

-국제 스포츠 중재 평의회(ICAS: International Council of Arbitration for Sport)회장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소장

-IOC TV 방영권 및 새로운 미디어 위원회(TV Rights and New Media Commission)위원

-2016년 리오 올림픽 IOC조정위원회(Coordination Commission)위원

 

2)  Kevan Gosper:

-IOC명예위원

-IOC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 위원회 위원

 

3)   James Tomkins:

-IOC 선수위원

-IOC 프로그램위원회 위원

 

4)  Helen Brownlee:

-AOC 부위원장

-IOC문화 및 올림픽 교육위원회 위원

 

5)  Mike Tancred:

-AOC 미디어 홍보부당)Media and Communications)

-IOC보도위원회(Press Commission)위원

 

2. 요르단 IOC위원(Prince Feisal)의 약진:

 

   -IOC국제관계위원회(International Relations Commission)위원

   -TV방영권 및 미디어위원회(TV Rights and media Commission)위원

   -여성과 스포츠 위원회(Women and Sport Commission)위원

   -선수 동반자 위원회(Entourage Commission)위원

   -OCA스포츠를 통한 평화 위원회(OCA’s Peace through Sport Committee)위원장

   -OCA집행위원

  

 

3.  2015년 제1 Baku 개최 유럽게임(European Games)

 

*개 폐회식 스타디움(The roof is partially in place on the 68,000-seat stadium.)

-68,000석 규모(부분 지붕)

*참가 예상 선수 수: 6.075

*종목: 19개 스포츠에 29개 세부종목(24개 올림픽 및 5개 비 올림픽)

*Ex-London 2012 employees contracted have blended in well with the Azerbaijan brothers.

 

4.   ANOC flush with cash(US$20 million dollars in reserve)

-ANOC현금 보유고 미화 2,000만 불(210억 원)

 

5.  ANOC SportAccord 공동개최 구상

-세계 비치대회(World Beach Games)

 

6.  UN IOC가 발의한 제1차 년도 발전과 평화를 위한 국제 스포츠의 날(International Day of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 46

7.  IOC집행위원회(SportAccord계기)주요 결정사항:

-파키스탄 및 이집트 NOC에 대하여 해당정부의 지나친 간섭 배제토록 촉구

        -국제스키 등산연맹(ISMF: International Ski Mountaineering Federation) IOC인정종목 국제기구로 승인(Recognition after the IF fulfilled all the criteria of the IOC recognition procedure)

      

 *국제스키 등산연맹(ISMF)의 올림픽 패밀리 합류 환영 승인 명분:

       1) 엄청난 청소년들에게 어필하는 빠른 성장세의 국제연맹(a rapidly growing federation with tremendous youth appeal)

       2) 올림픽 이상 실현에 탄탄한 토대 (a strong grounding in Olympic ideals)

3) 양성 평등(a gender equality)

4) 건실한 지배구조(a good governance)

5) 세계 반 도핑기구 규약준수(a WADA compliance)

 

8.  차기 IOC 집행위원회 회의:

-77~9 (스위스 로잔느)

-주요의제: 2022년 동계올림픽 후보도시 압축(shortlist candidates cities for the 2022 OWG)

 

9.  국제월드게임협회(IWGA: International World Games Association)이모저모

 

-회원단체들 및 최고대회 조직을 위한 미디어 플랫폼(media platform)인 월드게임 비디오 채널(“Discover the World of Sports”)개설

-IWGA연례총회(SportAccord계기) 36개 회원단체 참석

-Jose Perurena 국제카누연맹(ICF)회장 겸 스페인 IOC위원이 신임회장으로 선출됨

-2013년 월드게임에 이어 차기 대회 개최도시는 2017년 폴란드 Wrodlaw

  

    10. 국제 동계올림픽 종목연맹 연합회(AIWOF: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Winter Olympic Federations)이모저모

      

-전임회장인 Rene Fasel IHHF회장이 출마신청서 미제출로 Gain Franco Kasper FIS회장이 단독후보(in an uncontested vote) 2000~2002 전임회장에서 다시 회장으로 복귀함

      -한편 Fasel전임회장은 향후 2년 간 IOC당연직(AIOWF ) 집행위원 직 유지키로 결정함

      -AIOWF 7개 국제 동계올림픽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1976년 설립됨

      -Kasper회장을 비롯한 7개 동계 IFs회장단은 금주 평창2018 방문예정

 

11.              IOC인정종목 국제연맹 연합회(ARISF: Association of IOC Recognized Sports Federations)이모저모

 

-체스(Chess)에서 소프트볼(Softball)까지 향후 올림픽 정식종목 대열이 진입하기를 희망하는 국제 연맹들의 연합회임

-현 회장은 국제 파워보트연맹(International Power-boating Federation)회장임

-Kit McConnell IOC 스포츠 국장 및 Craig Reedie WADA회장이 ARISF회의에서 프레젠테이션을 가짐

-ARISF IWGA는 협력 차원에서 공동 만찬행사를 개최함

 

12.              SportAccord신임회장(Marius Vizer)추진 연합월드게임(UWG: United World Games)

-모든 주요 국제 스포츠 연맹들이 총 망라되어 개최할 것으로 제안 및 구상되었던 대규모 스포츠 대회로 알려짐

-Marius Vizer IJF회장 겸 SportAccord회장이 SportAccord회장 출마 시 내 걸었던 그의 야심찬 구상작품(brainchild)

-UWG 4년 마다 도시가 아닌 같은 한 나라에서 모든 국제 스포츠 세계선수권대회(International Sport World championships)를 한데 끌어 모어 개최하려는 대회임

-오는 12월 모나코 개최 IOC임시총회에서 논의 및 결정될 에정인 Olympic Agenda 2020 과정의 결론을 지켜본 연 후에 구체적인 행보 정할 예정임.

   

    13. 세계 비치대회(World Beach Games)

        -SportAccord ANOC와 합작으로(in partnership with ANOC) 2017년 제1회대회 개최 예정임

        -현재 3~4개 후보도시들 경합 중임

        -24 IFs(11개 비치/beach 관련 종목, 10개 수상/water관련 종목 및 2개 혼합/hybrid종목)이 참여 예정인데 혁신적인 하계 종합 스포츠 제전을 기획하고 있음

       

      *참여 예상종목:

       

        (1) 비치 종목(Beach Sports)

 

        -비치 발리볼(Bach Volleyball: 올림픽종목)

         -원반 날리기(Flying Disc)

         -미식축구(American Football)

         -축구(Soccer)

         -럭비(Rugby)

         -모토 사이클(Motor Cycle)

         -미니 골프(Mini-Golf)

         -Boules

         -치어 리딩(Cheer Leading_

         -테니스(Tennis)

 

        (2) 수상 종목(Water Sports)

 

         -올림픽 요트경기(Olympic discipline of Sailing)

         -수영종목(Aquatics)

         -서핑(Surfing)

         -수상스키(Water Skiing0

         -Wake boarding

         -파워보트(Power boat)

         -드래곤 보트(Dragon boat)

         -트라이애슬론(Triathlon)

         -인명구조(Life Saving)

 

14.       세계 도심 게임(World Urban Games)

 

- 17 IFs가 참여 예정으로 도심 시가지 길거리에서 개최할 예정임

-2016년 리오 하계올림픽 이후 개최 구상 중임

- 1,800 여명의 선수들이 참가 예정인 바 주요 도심에 위치한 4개의 테마 공원(four themed city parks in the heart of a major city)을 염두에 두고 있음

*SportAccord가 이미 주관하여 개최되고 있는 대회로는 세계 무술대회(World Combat Games)와 세계 두뇌게임(World Mind Games)가 있음

 

15.     2016년 리오 올림픽 위기 대처 진척 사항관련

 

-Bach IOC 위원장은 심각한 준비 부족 위기에 처한 리오2016에 대해 yellow card red card를 제시하지 않겠다고 함

-28개 올림픽 종목 국제 연맹(IFs)들 중 17 IFs회장들이 리오2016의 사태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Plan B’를 거론하고 있는 상황임

-Bach IOC위원장은 리오2016의 준비가 회복의 주요 기미가 보이지 않을 경우 올림픽 개최도시 변경 방안을 배제하고 않지 않는 상태임(Bach did not shut the door on the idea of relocating the Games if preparations did not show major signs of improvement.)

“What I can say, categorically, [is] we will do everything to make these Games a success.”

-그러면서 Bach위원장은 긴급조치 패키지를 끄집어 내고 있음(Bach outlined the package of emergency measures.)

-Gilbert Felli IOC 올림픽 수석국장은 당초 오는 9월 후임인 Christophe Dubi국장에게 업무 인수인계(due to hand over the reigns of his current job)하고 IOC의 리오2016 해결사(IOC’s Rio 2016 troubleshooter)로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었음.

-최근 긴급사태로 예정되었던 업무 인수인계계획이 변경되어 앞당겨졌음을(had been brought forward)Bach위원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하였음

-따라서 Felli 4월중순부터 리오2016준비 박차를 위해 더 많은 책임을 떠 맡게 되었음(set to take on even more responsibility for Rio 2016)

-Bach위원장은 바람직하지 못한 사안에 대해 책임 떠넘기기 게임’(blame game)을 착수하고 싶지 않다고 함(He didn’t want to start a blame game.)

-Felli는 오는 9월 전에 4~5차례 리오 방문을 계획하고 있는 바 이는 당초IOC가 프로젝트 검토 스케줄(IOC’s project review schedule)에 명시되어 실행할 점검(check-ups)횟수를 두 배나 상회하게 된다고 함(about double the number of check-ups)

-IOC와 하계올림픽 종목 IFs는 지난 49일 합동회의에서 우려의 중차대함(the gravity of their concerns)을 명백히 하였으며 그들 중 불안한 심기를 가진 몇몇은 2’(Plan B)에 대해 거론하고 있다고 함

-그 이유는 해당 경기장들이 아직 건설착공단계 조차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 함(because their venues had not even reached the construction stage.)

 

   16. 2020년 도쿄 올림픽 마케팅 대행사로 덴츠사 지정(Dentsu as Marketing Agency)

 

       -Dentsu사는 도쿄 올림픽을 통해 대회 수입금으로 US$15억 불( 1 6천 억 원)을 모금하겠다는 계획임

       -Dentsu사의 마케팅 활성화 5대 방안은 다음과 같음:

       (1) 올림픽 마케팅 계획 수립(Formation of the Games Marketing Plan)

       (2) 상업적 전략 수립(Commercial Strategies)

       (3) 스폰서십 판매지원 제공(Providing Support for Sponsorship Sales)

       (4) 서비스 다양화(Servicing)

       (5) 라이선스 프로그램(the Licensing Program)

 

17. 2015년도 SportAccord개최 후보도시관련

 

   (1) 아부다비(Abu Dhabi), 아랍에미리트[선두 주자]

   (2) 더반(Durban), 남아공

(3) 소치(Sochi), 러시아

 

     18. 2014년도 SportAccord관련

 

        -스포츠의 UN(United Nations of Sport)라고 불리는 SportAccord 2014년도 개최도시는 터키 안딸랴(Antalya) 지방의 Belek에 위치한 Susesi Luxury Resort였음(지중해 연안)

        -78개국에서 1,636명이 참석하였으며 40여개의 회의가 개최되었고 34개국에 미디어를 통해 700개 뉴스 지국에서 취재하였음(40 official meetings over 700 news stations generated by media in 34 countries)

 

19. 2019년 아시안게임 표류 중

 

-2012년 인도네시아의 수라바야(Surabaya)를 제치고 2019년 아시안게임 개최도시로 선정된 바 있었던 베트남의 하노이(Hanoi)가 최근 아시안게임 개최 불가를 Hguyen Tan Dung베트남 총리가 선언하고 반납하였음(backing out as host of the Games)

-베트남은 Hoang Tuan Ahn 문화체육관관장관 겸 NOC위원장을 필두로 한 아시안게임 반납 사절단을 OCA존부가 있는 쿠웨이트로 급파하였음

- 2016년에 개최키로 되어있는 아시아 비치게임(Asian Beach Games)는 나트랑(Nha Trang)에서 예정대로 치르기로 하였다 함

 

20. 2019년 아시안게임 대체 후보도시들 현황

 

-Roy Suryo 인도네시아 청소년 체육장관은 반납된 2019년 아시안게임을 개최한 의지와 자금’(the will and funds)이 있다고 관심 표명

-인도네시아는 1962년 아시안게임과 2011년 동남아시안게임(SEA)을 개최한 바 있음

-이에 대해 Rita Subowo 인도네시아 NOC위원장 겸 IOC위원은 두 가지 의문을 제기함:

(1) 정부가 아시안게임을 준비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인지 여부

(2) 금년 말 새로 선출된 신 정부가 아시안게임 대체 계획 예산을 수용하지 않을지도 모를 우려(a new government set to be elected later this year might not agree to pay for the Games)

-대만의 카오슝 지방정부(the greater Kaohsing) 2019년 아시안게임 개최 가능성에 대해 저울질할 것이라고 선언하고 있음

-말레이시아는 OCA 가 대회개최 경비 조달에 지원할 경우 아시안게임 개최도기를 대체할 의향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5. 15. 15:35

5월12일 자 IOC공식 뉴스 종합 발췌본입니다.

Olympic Highlights

Olympic Highlights

 

1. IOC 활동상황(IOC ACTIVITIES)

*위원장(PRESIDENT)

President Bach and Brian Roberts, Chairman and CEO, Comcast Corporation © IOC/Arnaud Meylan (미국 NBCUniversal사의 모 기업인 Comcast Corporation대표이사와 Bach IOC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지난 5월7일 IOC는 미국 NBCU(NBCUniversal)사에게 향후 2032년까지 모든 동 하계올림픽 대회 미국 전지역 방영권(broadcast rights)을 양도하였다.

 

NBCU는 일반 공중파(free-to-air) TV, 구독료 지불 시청 TV, 인터넷 및 모바일 등을 포함한 모든 미디어 플랫폼(all media platforms)에 걸친 방여권을 획득한 셈이다.

 

2021년~2032년(12년 간)방영권 협약의 가치는 US$76억5,000만 불(약 7조 9천 억원)에 달하며 추가로 2015년~2020년 사이에 올림피즘과 올림픽 가치창출(Olympic Values)부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방영권 서명 보너스조로 US$1 억 불(약 1,022억 원)이 함께 지불된다.

 

방영권 협상을 주도한 Thomas Bach IOC위원장은 "금번 방영권 협약은 장기 재정자원 확보에 기여함으로 전체 올림픽 운동 구성원들에게 훌륭한 소식인 바 특히 향후 올림픽 개최 도시들과 204개 전 세계 NOC와 국제 경기연맹들 모두에게 반가운 뉴스라고 할 수 있다. IOC는 수 십년 간 미국 NBC와 긴밀한 파트너로서 함께 일해 왔다. 우리가 2032년까지 그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협업할 수 있게 되어 짜릿한 기분이다. NBC의 올림픽 가치를 향한 열정은 물론 그들의 스포츠 방영 전문적 기술력은 올림픽대회를 오랜 기간 동안 가장 폭 넓은 규모의 미국 시청자들에게 초일류급 방영 송출 내용을 제공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하게 될 것이다."(This agreement is excellent news for the entire Olympic Movement as it helps to ensure its financial security in the long term, in particular future host cities of the Olympic Games, the athletes of the 204 National Olympic Committees and the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The IOC has worked in close partnership with NBC for many decades, and we are thrilled we will continue to work with them through to 2032. NBC’s expertise in sports broadcasting, as well as their passion for the Olympic values, will mean we shall be able continue to offer first-class broadcast coverage of the Olympic Games to the widest possible American audience for many years to come.)라고 자평하였다. 

 

2032년까지 NBCU는 1964년 도쿄올림픽을 처녀 중계방송한 이래 총 23개 올림픽대회를 중계하게 되는 셈이다.

 

 

 

IOC President met the President of the Swiss Confederation. © IOC/Christophe Moratal(Didier Burkhalter 스위스 연방 대통령과 Bach IOC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5월9일 Bach IOC위원장은 올림픽 박물관 방문에 앞서 IOC본부를 방문 한 Didier Burkhlater 스위스 연방 대통령을 환영하였다.

 

이들은 IOC가 로잔느에 본부로 정착한 지 100주년이 되는 내년(2015년) 로잔 IOC본부 100주년 기념관련 내용들을 포함한 다양한 토픽과 함께 논의하였다.

 

President Bach with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Singapore. © IOC/Christophe Moratal (tony Tan keng Yam 싱가폴 대통령과 Bach IOC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같은 날(5월9일) Bach IOC위원장은 Tony Tan Keng Yam 싱가폴 공화국 대통령과 회동하여 올림픽 박물관을 함께 돌아 보았다.

 

 회동에는 Ser Miang NG 싱가폴 IOC위원 겸 IOC재정위원장이 동석하였다.

 

President Bach and Daniel Brélaz. © IOC/Bertrand Rey(Bach IOC위원장과 Daniel Brelaz 로잔느 시장/출처: IOC 홈페이지)

 

5월 둘 째주 Bach IOC위원장은 Daniel Brelaz로잔 시장이 인솔한 로잔 시의회 대표단을 Villa Mon-Repos에서 접견하였으며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성화봉을 Brelaz시장에게 선사하였다. 

 

같은 날 Bach위원장은 5월5일~9일 회동을 가진 2022년 동계올림픽 신청도시 실무 그룹 위원들을 만났다.

 

5월5일 오후 Bach위원장은 IOC전 직원들과 함께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성공적 개최를 축하하는 '감사 음료 리셉션'(a thank-you drinks reception)에 참석하였으며 이 자리에는 Jean=Claude Killy 2014년소치 동계올림픽 조정위원장도 동석하였다.

 

*위원들(MEMBERS)활동 상황:

 

 

Prince Albert II 모나코 IOC위원 겸 국왕은 2006년 창설된 the Prince Albert II 재단이 이룩한 다양한 환경 관련 업적을 인정 받아 5월7일 두바이 개최 시상식에서 Zayed국제 환경 대상을 수여 받았다.(사진 좌로부터 Prince Albert II 및 Sheikh 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 UAE 부통령 겸 두바이 통치자)   

 

* TOP 파트너(TOP PARTNERS)

 

President Bach with the TOP partner representatives. © IOC/Christophe Moratal(Bach IOC 위원장<중앙>과 범 세계 TOP파트너기업 대표들

 

5월 둘 째 주 Worldwide TOP Partners기업 대표들이 수위스 로잔 IOC본부에 회동하여 2일 간 "TOP Leadership Groul'회의를 가졌다.

 

1) 제1일:

-Olympic Agenda 2020에 대한 상호 의견 교환

-디지털 기술, 유산, 지속가능성을 포함한 핵심 주제들에 대한 IOC와 TOP파트너 기업 대표들과의 토론

 

2) 제2일:

-2016년 리오 올림픽 관련 준비진척상황 브리핑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2014 난징 청소년 올림픽 (YOG)/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 상황 프레센테이션 청취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4. 18. 10:23

IOC는 Alexander Zhukov 러시아 부총리 겸 러시아 NOC위원장 겸 신참 IOC위원을 2022년 동계올림픽 IOC평가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한 것이 우크라이나의 유치신청도시인 Lviv가 결선진출 후보도시로 낙착될 경우 엉뚱한 결과를 낳을(backfire)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라는 암시에 대하여 부인하고 있다.

 

 

Zhukov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은 Vladimir Putin러시아 대통령의 핵심 동조자(a close ally)이면서 러시아 부총리인데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크리미아(Crimea) 반도 합병으로 말미암아 국제적 비난(international condemnation)을 촉발하기도 한 바 있다.

 

                                                      (Alexander Zhukov)

 

현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정치적 긴장상태를 고려해 볼 때 금주 Thomas Bach IOC위원장의 Zhukov에 대한 평가위원장 자리 임명은 어긋난 돌출 행동(a odd move)인 듯 한 것으로 비칠 수 있다.

 

Mark Adams IOC대변인은 "Zhukov가 IOC위원장의 확실한 신뢰를 받고 있다"(He has full confidence of the IOC President)라고 언급할 뿐이다.

 


한편 Zhukov는 4월3일 스스로도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를 결정하는 평가위원회 수장 직을 맡아야 하는 것에 약간 놀라움이 없지 않다"(it was a bit of a surprise that I have to chair the commission that will decide which city will stage the 2022 Olympic Games.)라고 언급하면서 "그 자리는 고농도 책임이 부여된 업무이긴 하지만 크나큰 영예이며 막중한 책임이 따르는 직책이다"(It's obviously high-responsibility work. ... It's a great honor and a great responsibility.)라고 러시아 RIA Novosti와의 인터뷰에서 소감을 표명하였다고 한다.

 

2022년 동계올림픽 후보도시들을 현지 실사할 IOC평가위원회는 Lviv를 포함하여 Almaty, Beijing, Krakow 및 Oslo의 5개 신청도시 들중 3~4개의 결선 진출 후보도시들을 최종 결정 한 후인 오는 7월 중 구성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평가위원장으로서 Zhukov의 임무는 후보드시들 간에 군형잡힌 형평성 있는 평가견해를 제공하는 것인데 우크라이나의 유치신청도시인 Lviv는 몇 달 간 지속된 국내 민중 불안(civil unrest)여파로 동계올림픽 유치야망에 불을 땡길 정부 지원을 획득하기 위해 안간 힘을 쓰고 있는 중이다.

 

오는 7월 Lviv신청도시가 IOC로부터 결선후보도시 대열에 합류한다면(make the cut) 우크라이나 유치팀은 IOC평가위원회 선봉장인 러시아 국적의 위원장으로부터 공평치 못한 불이익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우려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올림픽 유치경쟁의 로드맵으로써 평가위원회는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를 선정할 2015년 7월 콸라룸푸르 개최 IOC총회에 앞서 2015년 2월~3월에 계획된 후보도시 현지실사 방문을 실시할 것인데 그 시기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정치적 긴장 상태가 지금처럼 쉽게 영향을 받는 상태이거나(as fragile as now) 또는 관계가 더 악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라는 것이다.


 

그때에는 우크라이나의 신 정부와 Lviv유치팀은 Zhukov와 평가 조사팀이 방문시 그들을 극진히 환영할 수 밖에 없게 될 것인데 그 일환으로그들을 5성급 일류호텔을 잡아 주고 최고 귀빈 대우(red-carpet treatment)를 해 줌으로 우크라이나의 올림픽 열망을 표출하게 되어 있다라는 것이다.

 

또한 현지실사 방문 마지막날에 거행되는 기지회견장에서 실사결과를 요약함에 있어 Zhukov의 말 한마디한마디는 공평무사함(impartiality)을 지향하고 있는지 분석될 것이다. 

 

평가위원장으로서 그의 논평과 영향력이 담긴 평가 보고서는 IOC위원들에게 전달될 것이므로 그의 의중은 우크라이나가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지와 Lviv후보도시가 영락 없이 나락으로 탈선할 것인지 사이에 차이점으로 대두될  수도 있다라는 것이다.

 

Zhukov가 2022년 동계올림픽 후보도시 발표를 넘어 유치경쟁을 감독하는데 있어서 공명정대(impartiality)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들에 대하여 IOC대변인은 Zhukov의 평가위원장 임명이 잘못된 실수(misstep)임을 부인하였다고 한다.


 

"IOC평가위원회 위원들과 위원장은 고도로 경험이 축적된 사람들로서 올림픽에 대한 기술적인 운영을 비롯한 그들의 전문성과 지식에 의거하여 선발된다"(The members of the evaluation commission - including its chair - are highly experienced people who are chosen for their expertise and knowledge of the Olympic Games and its technical operations.)고 언급하면서 "평가위원회의 역할은 후보도시들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을 통하여 그 정보를 IOC위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지 견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다"(The role of the commission is to make a technical analysis of the candidatures and provide that information to the IOC members in a report, not to give its opinion.)라고 설명하였으며

 

"Zhukov는 (러시아)NOC위원장 자격으로 소치 동계올림픽 준비와 개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그는 성공적인 동계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해 알고 있다."(Mr. Zhukov, in his capacity as NOC president, played a key role in the preparations and staging to the Sochi Games and knows what it takes to deliver successful Winter Games.)라고 덧붙였다고 한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4. 4. 15:51

IOC가 4월1일 전격 발표한 IOC 29개에 달하는 각종 분과위원회 구성을 살펴보면 아시아 출신 분과위원장이 사상 최초로 4명이나 탄생하였으며 IOC집행위원도 2명(부위원장 1인 포함) 포진하고 있다.

 

IOC 핵심 위원회인 IOC재정위원장은 싱가폴 출신 Ser Miang NG IOC위원이, IOC 마케팅 위원장은 일본 올림픽 위원회(JOC)위원장 겸 IOC위원이, 2022년 동계올림픽 IOC평가위원장 직과 IOC보도위원장 직에는 2013년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 신임IOC위원으로 선출된 Alexander Zhukov러시아 NOC위원장 겸 부총리와 Larry Probst III USOC 위원장이 각각 전격 발탁되기도 하였다.

 

또한 동계올림픽 4관왕인 전이경 선수와 라이벌이었던 중국의 양양(Yang YANG)선수출신 IOC위원 역시 2020년 제3회 동계청소년올림픽(YOG)평가위원회 위원장으로 일약 임명되었으며 대만 출신 국제복싱연맹(AIBA)회장 겸 IOC위원은 IOC집행위원 겸 IOC올림픽우표, 주화, 기념품 위원회 위원장 직 뿐만 아니라 2016년 리오 올림픽 IOC조정위원회 위원, IOC문화 및 교육위원회 위원 등 1인 4역의 대만 스포츠 외교의 최고봉임을 과시하고 있다.

 

중국 NOC사무총장(Luzeng SONG)은 IOC 스포츠와 환경위원회 및 IOC생활체육 위원회 등 2개 분과위직에 동시에 임명됨으로 새로운 아시아 스포츠외교관으로 수면위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추가로 중국 NOC사무총장 직 및 부위원장 직을 역임하다가 현역 은퇴한 70대의 Mingde TU 은 IOC여성과 스포츠 위원으로 다시 발탁되어 활동할 예정이며 중국 체육장관 겸 NOC위원장이 Liu Peng의 경우 금번 IOC분과위원회 중 IOC국제관계위원회 위원으로 역시 임명되기도 하였다.

 

IOC보도 위원회(Press Commission)에 중국의 경우 2명, 일본의 경우 1명 씩의 기자들이 위원으로 등용되된 것을 보면서 한국의 체육기자들도 내년에는 명단에 포함되었으면 바램이다.

   

1) IOC 집행위원회(EXECUTIVE BOARD)15

*위원장: Thomas BACH

 

 

*부위원장(4)

-Nawal EL MOUTAWAKEL(모로코/여성)
-Craig REEDIE(
영국)
-John COATES(
호주)
-Zaiqing YU(중국)

*집행위원(10/선출 년도 순)

-Gunilla LINDBERG(스웨덴/여성)
-Ching-Kuo WU(
대만/ASOIF 대표)
-René FASEL(
스위스/AIOWF 대표)
-Patrick Joseph HICKEY(
아일랜드/ANOC 대표)
-Claudia BOKEL(
독일/여성/선수위원회 대표)
-Juan Antonio SAMARANCH(
스페인)
-Sergey BUBKA(
우크라이나)
-Willi KALTSCHMITT LUJÁN(
과테말라)
-Anita L. DEFRANTZ(
미국/여성)
-Ugur ERDENER(
터키)

*IOC사무처(Administration)대표
사무총장(Director General)
-Christophe DE KEPPER(
벨기에)
·

 

2) 29개 IOC분과위원회 위원장 현황: 

 

(1) 2016년 리오 올림픽 조정위원회

*위원장(Chair): Nawal EL MOUTAWAKEL

(2)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조정위원회

*위원장(Chair): Gunilla LINDBERG

(3) 2020년 도쿄 올림픽 조정위원회

*위원장(Chair): John COATES
*
부위원장(Vice-Chair): Alex GILADY

(4) 2014년 제2회 난징 청소년올림픽 조정위원회


*위원장(Chair): Alexander POPOV

(5) 2016년 제2회 릴레함메르 동계청소년올림픽 조정위원회

*위원장(Chair): Angela RUGGIERO

(6) 2018년 제3회 부에노스아이레스 청소년올림픽 조정위원회


*위원장(Chair): Frank FREDERICKS

(7) 문화 및 교육위원회(Culture and Education)

*위원장(Chair): Lambis V. NIKOLAOU

(8) TV방영권 및 뉴미디어 위원회(TV Rights and New Media)


*위원장(Chair): Thomas BACH

 

(9) 선수동반자 위원회(ENTOURAGE)

*위원장(Chair): Sergey BUBKA

(10) 윤리위원회(ETHICS)


*위원장(Chair): Youssoupha NDIAYE

(11) 2020년 제3회 동계청소년올림픽 평가위원회


*위원장(Chair): Yang YANG(중국)

(12) 2022년 제25회 동계올림픽 평가위원회

*위원장(Chair): Alexander ZHUKOV

(13) 여성과 스포츠 위원회(Women and Sport)


*위원장(Chair): Lydia NSEKERA

(14) 재정위원회(FINANCE)


*위원장(Chair): Ser Miang NG

(15) 회계위원회(Audit)


*위원장(Chair): Baron Pierre-Olivier BECKERS-VIEUJANT

(16) 법사위원회(JURIDICAL)


*위원장(Chair): John COATES

(17) 마케팅위원회(MARKETING)

*위원장(Chair): Tsunekazu TAKEDA(일본)

(18) 의무위원회(MEDICAL)

*위원장(Chair): Ugur ERDENER

(19) 올림픽우표, 주화 및 기념품위원회(Olympic Philately, Numismatic, Memorabilia)

*위원장(Chair): Ching-Kuo WU(대만)

(20) 보도위원회(PRESS)


*위원장(Chair): Lawrence F. PROBST III

(21) 올림픽프로그램위원회(OLYMPIC PROGRAMME)


*위원장(Chair): Franco CARRARO

(22) 라디오 및 TV위원회(RADIO AND TELEVISION)


*위원장(Chair): Gerardo WERTHEIN

(23) 국제관계위원회(INTERNATIONAL RELATIONS)


*위원장(Chair): Mario PESCANTE

(24) 올림픽 솔리다리티 위원회(OLYMPIC SOLIDARITY)


*위원장(Chair): Cheikh Ahmad Al-Fahad AL-SABAH

(25) 스포츠와 법 위원회(SPORT AND LAW)


*위원장(Chair):  John COATES

(26) 스포츠와 환경위원회(SPORT AND ENVIRONMENT)


*위원장(Chair): Le Prince Souverain ALBERT II

(27) 생활체육위원회(SPORT FOR ALL)


*위원장(Chair): Sam RAMSAMY

(28) 선수위원회(ATHLETES)

*위원장(Chair): Claudia BOKEL(독일/여성)
*
부위원장: Angela RUGGIERO(미국/여성)


(29) IOC위원 후보 추천위원회(NOMINATIONS)


*위원장(Chari):La Princesse ROYALE(영국/여성)

 

(30) 대표위원들(DELEGATE MEMBERS)

A. IOC UN 상임 옵저버(-PERMANENT OBSERVER OF THE IOC TO THE UNITED NATIONS: Mario Pescante

B.
의전 대표(PROTOCOL): Willi KALTSCHMITT LUJÁN

C. 자치 대표 (AUTONOMY): Patrick HICKEY

D. 장애 선수를 위한 스포츠 대표 (SPORT FOR ATHLETES WITH A DISABILITY): Sam RAMSAMY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4. 4. 11:55

IOC가 4월1일 자로 전격 발표한 IOC각종 위원회 위원 구성 임명 분포현황을 살펴보고 아시아 5개국(한국, 중국, 북한, 일본, 대만)의 IOC위원회 위원 진출 현황으로 본 스포츠외교 판도를 대비해 본다.

 

총 30개에 달하는 IOC각종위원회 전체 구성명단의 면모를 살펴 보면 한 눈에도 중국 스포츠 외교의 약진이 두드러져 보인다.

 

가히 일취월장의 괄목할 만한 중국의 올림픽운동 확장을 위한 스포츠 외교 강국이 되었음이 선포된 듯하다. 

 

세부적으로 보면 전 세계 올림픽 운동을 좌지우지하는 세계 스포츠 내각 격인  IOC집행위원회에 부위원장(Zaiqing YU)1명을 위시하여 2020년 제3회 동계청소년 올림픽 평가위원장(Yang YANG)직에도 중국 스포츠외교관이 자리매김하였다. 

 

IOC 집행위원회 포함 총 30개 각종 위원회 중 20개 위원회에 총 12명이 IOC각종 위원회 32개 자리에 중국출신 스포츠 외교관들이 대거 진출하여 있음이 극명히 드러난다. 

 

대만의 경우도 IOC집행위원회에 1명(CK WU)이 포진되어 있으며 IOC 올림픽우표, 주화 및 기념품위원회 위원장 직도 맡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IOC핵심위원회인 IOC마케팅위원회 위원장에 Takeda JOC위원장 겸 IOC위원이 새롭게 임명되어 나름 일본 스포츠 외교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중국(IOC부위원장 직 및 2020 제3회 동계 YOG평가위원장 직), 일본(IOC마케팅 위원장직), 대만(IOC 집행위원 및 IOC 올림픽우표, 주화 및 기념품 위원장 직)등 중국, 일본, 대만 3개국이 IOC위원회 위원장 직을 중국과 대만 2개국은 IOC집행위원 직을 각각 맡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경우는 IOC 내에서의 위상이 아직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난다.

 

1) 중국:

-IOC 부위원장 직(Zaiqing YU)

Zaiqing YU

(Zaiqing YU)

-2020년 제3회 동계 YOG평가위원장 직(Yang YANG)

 

                                                           (Yang YANG)

2) 일본:

 

 (Tsunekazu TAKEDA)

-IOC 마케팅 위원장 직(Takeda)

 

3) 대만:

-IOC 집행위원직(C.K.WU)

 

 

-올림픽우표, 주화, 및 기념품위원장(C.K. WU)

 

[중국의 IOC각종 위원회 포진 현황: 총 20개 위원회 32개 자리에 진출]

 

A. 중국(총 12명이 32개 자리에 포진)      

                                   

(1) IOC집행위원회(부위원장)

-Zaiqing YU               

(2) 2016 리오 조정위원회 1명

-Timothy FOK (홍콩/중국)                                                                                          

(3) 2018 평창 조정위원회 1명

-Ziaqing YU 

(4) 2020 도쿄 조정위원회

-Ziaqing YU

(5) 2016 릴레함메르 제2회 동계YOG조정위원회 1명

-Yang YANG

(6) 2018 부에노스아이레스 제3회 YOG조정위원회 1명

-Lingwei LI 

*동 하계 올림픽 및 청소년 올림픽(YOG)조정위원회(총 5명)

(7) 문화 교육위원회 2명                                                                                                 

-Timothy FOK

-하진량 IOC명예위원

(8) TV방영권 및 뉴 미디어위원회

-Zaiqing YU

(9) 선수동반자위원회(Entourage) 2명

-LingWei LI

-Pedro YANG

(10) 2020 제3회 동계 YOG평가위원회 1명

-Yang YANG(위원장)

(11) 여성과 스포츠 위원회 3명

-Yang YANG

-Mingde TU(중국NOC 전 사무총장)

-Beng Choo LOW

(12) 보도위원회 2명

-Diamin GAO

-Weija SUN

(13) 올림픽 프로그램위원회 1명

-LingWei LI

 

                                                            (LingWei LI)

(14) 라디오 및 TV위원회 1명

-Heping JIANG

(15) 국제관계위원회 2명

-FOK

-Li PENG

(16) 올림픽 솔리다리티위원회 1명

-LingWei LI

(17) 스포츠와 환경위원회 1명

-Luzeng SONG(중국 NOC사무총장)

(18) 생활체육위원회 2명

-Luzeng SONG(중국NOC사무총장)

(19) 선수위원회 2명

-Pedro YANG

-Yang YANG

(20) IOC위원 후보추천 위원회 1명

-Zaiqing YU

 

B. 한국(총 3명이 4개 자리에 포진)

 

(1) 문화 및 교육위원회 1명

-김지영(KOC국제위원장)

(2) 스포츠와 환경위원회 1명

-김대만(평창 2018 조직위원회 당연직 대표)

(3) 생활체육위원회 1명

-문대성 IOC위원

(4) 선수위원회 1명

-문대성 IOC위원

 

C. 북한 (총 2명이 4개 자리에 포진)

 

(1) 문화 및 교육위원회 2명

-장웅 IOC위원

-강용길

(2) 국제관계위원회 1명

-장웅 IOC위원

(3) 생활체육위원회 1명

-장웅 IOC위원

 

D. 일본(총 3명이 4개 자리 포진)

 

(1) 2018년 평창 OWG조정위원회 1명

-Takeda JOC위원장 겸 IOC위원

(2) 보도위원회 1명

-Hiroshi TAKEUCHI

(3) 올림픽 마케팅 위원회 1명(위원장)

-Takeda JOC위원장 겸 IOC위원

(4) 스포츠와 환경위원회 1명

-Masato MIZUNO(도쿄 2020 조직위원회 당연직 대표)

 

E. 대만(1명이 4개 자리 포진)

 

(1) IOC집행위원회 1명(집행위원)

-C.K. WU 대만 IOC집행위원 겸 AIBA회장

(2) 2016 리오 조정위원회 1명

-C.K. WU 대만 IOC집행위원 겸 AIBA회장

(3) 문화 및 교육위원회 1명

-C.K. WU 대만 IOC집행위원 겸 AIBA회장

(4) 올림픽 우표, 주화 및기념품위원회(위원장)1명

-C.K. WU 대만 IOC집행위원 겸 AIBA회장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4. 3. 17:29

Thomas Bach 신임 IOC위원장(2013년~2021년)은 2013년 9월 제9대 IOC위원장으로 선출된 후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때까지 기존 IOC분과위원회 위원들 및 각 위원장들을 전임 Jacques Rogge 위원장 체재 그대로 존치시켰다가 소치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종료 된 시점에서 모든 IOC분과위원회를 새롭게 일신함으로 Bach시대에 걸맞게 IOC체제를 개편하고 그 구성명단을 4월1일 자로 전격 발표하였다. 

 

(2013년 9월10일 부로 제 9 대 신임 IOC위원장에 등극한 독일 출신의 Thomas Bach 가 영광을 만끽하며 취임연설을 하고 있다)

 

구성명단을 살펴보면 과거와 대비하여 여성위원 분포가 23% 증가하였으며 전임 위원장 체제보다 훨씬 지리적으로 광범위하게 포진되어(a much broader geographical representation) 있다. 

 

IOC분과위원회들은 IOC와 동하계올림픽조직위원회 업무를 지원하는 임무를 띠고 있는데 올림픽 운동조직이 보다 보편타당하도록 하기 위한 공약으로써 구성면에서 반영되어 있다.

 

새롭게 개편된 IOC분과위원회는 2명의 여성이 추가로 위원장직에 발탁되었으며 2013년 당시보다 22명의 자리가 추가로 여성 분과위원으로 배정 및 임명되었는데 아프리카 대표 여성 분과위원 수는 50%나 증가된 상태이며 이로써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 대표 여성 총 분과위원들 증가 배치는 괄목할 만하다.(a significant overall increase in the representation of members fom Africa and Oceania)

 

총 30개에 달하는 IOC각종위원회 전체 구성명단의 면모를 살펴 보면 한 눈에도 중국 스포츠 외교의 약진이 두드러져 보인다.

 

가히 일취월장의 괄목할 만한 중국의 올림픽운동 확장을 위한 스포츠 외교 강국이 되었음이 선포된 듯하다. 

 

세부적으로 보면 전 세계 올림픽 운동을 좌지우지하는 세계 스포츠 내각 격인  IOC집행위원회에 부위원장(Zaiqing YU)1명을 위시하여 2020년 제3회 동게청소년 올림픽 평가위원장(Yang YANG)직에도 중국 스포츠외교관이 자리매김하였다. 

 

IOC 집행위원회 포함 총 30개 각종 위원회 중 20개 위원회에 11명의 중국 스포츠 외교관이 총 31개 자리에 대거 진출하여 있음이 극명히 드러난다. 

 

대만의 경우도 IOC집행위원회에 1명(CK WU)이 포진되어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IOC핵심위원회인 IOC마케팅위원회 위원장에 Takeda JOC위원장 겸 IOC위원이 새롭게 임명되어 나름 일본 스포츠 외교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중국의 IOC각종 위원회 포진 현황: 11명이 총 20개 위원회 31명 자리에 진출]

 

(1) IOC집행위원회 1명(부위원장: Zaiqing YU)

(2) 2016 리오 조정위원회 1명

(3) 2018 평창 조정위원회 1명

(4) 2020 도쿄 조정위원회 1명

(5) 2016 릴레함메르 제2회 동계 YOG조정위원회 1명

(6) 2018 부에노스아이레스 제3회 YOG조정위원회 1명 

*동 하계 올림픽 및 청소년 올림픽(YOG)조정위원회(총 5명)

(7) 문화 교육위원회 2명(명예위원 포함)

(8) TV방영권 및 뉴 미디어 위원회 1명

(9) 선수동반자위원회 1명

(10) 2020 제3회 동계 YOG평가위원회 1명(위원장: Yang YANG)

(11) 여성과 스포츠 위원회 3명

(12) 보도위원회 2명

(13) 올림픽 프로그램위원회 1명

(14) 라디오 및 TV위원회 1명

(15) 국제관계위원회 2명

(16) 올림픽 솔리다리티위원회 1명

(17) 스포츠와 환경위원회 1명

(18) 생활체육위원회 1명

(19) 선수위원회2명

(20) IOC위원 후보추천 위원회 1명

 

1) IOC각 분과위원회 종류

 

[집행위원회(EXECUTIVE BOARD)]

*위원장: Thomas BACH

*부위원장(4명)

-Nawal EL MOUTAWAKEL(모로코/여성)
-Craig REEDIE(영국)
-John COATES(호주)
-Zaiqing YU(중국)

*집행위원(10명/선출년도 순) 

-Gunilla LINDBERG(스웨덴/여성)
-Ching-Kuo WU(대만/ASOIF 대표)
-René FASEL(스위스/AIOWF 대표)
-Patrick Joseph HICKEY(아일랜드/ANOC 대표)
-Claudia BOKEL(독일/여성/선수위원회 대표)
-Juan Antonio SAMARANCH(스페인)
-Sergey BUBKA(우크라이나)
-Willi KALTSCHMITT LUJÁN(과테말라)
-Anita L. DEFRANTZ(미국/여성)
-Ugur ERDENER(터키)

*IOC사무처(Administration)
사무총장(Director General)
-Christophe DE KEPPER(벨기에)
·

 

(1) 2016년 리오 올림픽 조정위원회(COORDINATION DES JEUX DE LA XXXIE OLYMPIADE - RIO 2016/COORDINATION FOR THE GAMES OF THE XXXI OLYMPIAD - RIO 2016)

*위원장(Présidente - Chair): Nawal EL MOUTAWAKEL
*위원들(Membres/ 총 16명):

-Beatrice ALLEN
-Sergey BUBKA
-John COATES
-Timothy Tsun Ting FOK(홍콩)
-Alex GILADY
-Patrick Joseph HICKEY
-Nicole HOEVERTSZ
-Nat INDRAPANA
-Willi KALTSCHMITT LUJÁN
-Gunilla LINDBERG (ACNO/ANOC)
-Julio César MAGLIONE
-Alexander POPOV
-Ching-Kuo WU(대만)
-(전문가/Experts) Jackie BROCK-DOYLE
-José Luis CAMPO
-Francesco RICCI BITTI (ASOIF)

*실무당당국장

-올림핅 수석국장(Olympic Games Executive Director)

 

(2)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조정위원회(COORDINATION DES XXIIIES JEUX OLYMPIQUES D’HIVER - PYEONGCHANG 2018/COORDINATION FOR THE XXIII OLYMPIC WINTER GAMES - PYEONGCHANG 2018)

*위원장(Présidente - Chair):  Gunilla LINDBERG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12명)

-Ottavio CINQUANTA
-Le Prince héritier Frederik de DANEMARK
-René FASEL
-Gian-Franco KASPER (AIOWF)
-Barry MAISTER
-Adam PENGILLY
-Angela RUGGIERO
-Tsunekazu TAKEDA (ACNO/ANOC)(일본)
-Zaiqing YU(중국)
-(전문가/Experts) Dmitry CHERNYSHENKO
-Edgar GROSPIRON
-Todd NICHOLSON (IPC)

 

*실무 담당국장:

-IOC올림픽 수석국장

 

 

(3) 2020년 도쿄 올림픽 조정위원회(COORDINATION DES JEUX DE LA XXXIIE OLYMPIADE - TOKYO 2020/COORDINATION FOR THE GAMES OF THE XXXII OLYMPIAD - TOKYO 2020)

*위원장(Président - Chair): John COATES
*부위원장(Vice-Chair): Alex GILADY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12명)

-Mikaela COJUANGCO JAWORSKI
-Kirsty COVENTRY
-Anita L. DEFRANTZ
-Guy DRUT
-Habu GUMEL
-Nicole HOEVERTSZ
-Robin E. MITCHELL
-Lydia NSEKERA
-Irena SZEWINSKA
-Zaiqing YU(중국)
-(전문가/Experts) Sebastian COE (ACNO/ANOC)
-Marius VIZER (ASOIF)

*담당 실무국장:

-IOC올림픽 수석국장

 

(4) 2014년 제2회 난징 청소년올림픽 조정위원회(COORDINATION DES 2ES JEUX OLYMPIQUES DE LA JEUNESSE D’ÉTÉ - NANJING 2014/COORDINATION FOR THE 2ND SUMMER YOUTH OLYMPIC GAMES - NANJING 2014)



*위원장(Président - Chair): Alexander POPOV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6명)

-Dagmawit Girmay BERHANE
-Andrés BOTERO PHILIPSBOURNE
-Marisol CASADO (ASOIF)
-Lambis V. NIKOLAOU
-Rita SUBOWO (ACNO/ANOC)
-(전문가/Expert) Kee Nguan GOH

*담당 실무국장:

-IOC올림픽 수석국장

 

(5) 2016년 제2회 릴레함메르 동계청소년올림픽 조정위원회(COORDINATION DES 2ES JEUX OLYMPIQUES DE LA JEUNESSE D’HIVER - LILLEHAMMER 2016/COORDINATION FOR THE 2ND WINTER YOUTH OLYMPIC GAMES - LILLEHAMMER 2016)



*위원장(Présidente - Chair):  Angela RUGGIERO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7명):

-Ottavio CINQUANTA
-René FASEL
-Gian-Franco KASPER (AIOWF)
-Adam PENGILLY
-Yang YANG(중국)
-(전문가/Experts) Peter BAYER
-Bernhard SCHWANK (ACNO/ANOC)

*담당 실무국장:

-IOC올림픽 수석국장

 

(6) 2018년 제3회 부에노스아이레스 청소년올림픽 조정위원회(COORDINATION DES 3ES JEUX OLYMPIQUES DE LA JEUNESSE D’ÉTÉ - BUENOS AIRES 2018/COORDINATION FOR THE 3RD SUMMER YOUTH OLYMPIC GAMES - BUENOS AIRES 2018)


*위원장(Président - Chair):  Frank FREDERICKS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5명):

-Danka BARTEKOVA
-Lingwei LI(중국)
-Barry MAISTER
-(전문가/Experts) Henry NÚÑEZ
-Adham SHARARA

*담당 실무국장:

-IOC올림픽 수석국장

 

(7) 문화 및 교육위원회(CULTURE ET ÉDUCATION OLYMPIQUE/CULTURE AND OLYMPIC EDUCATION)

*위원장(Président - Chair):  Lambis V. NIKOLAOU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38명 ):

-Beatrice ALLEN
-Valeriy BORZOV
-Andres BOTERO PHILISBOURNE
-장웅/Ung CHANG(북한)
-Philip CRAVEN
-Iván DIBÓS
-Timothy Tsun Ting FOK(홍콩)
-Aïcha GARAD ALI
-Nat INDRAPANA
-La Princesse Nora de LIECHTENSTEIN
-Barry MAISTER
-Samih MOUDALLAL
-Mounir SABET
-Melitón SÁNCHEZ RIVAS
-Ching-Kuo WU(대만)
-전문가(Experts) Vittorio ADORNI
-Franco ASCANI
-Helen BROWNLEE
-Spyros CAPRALOS
-Conrado DURÁNTEZ
-Jean DURRY
-Claude Louis GALLIEN
-Costas GEORGIADIS
-Albertine GONÇALVEZ
-Ryong-Gil KANG(북한)
-Marion KEIM
-Ji Young KIM(한국)
-Isidoros KOUVELOS
-Karl LENNARTZ
-Vladimir LISIN
-Alain LUNZENFICHTER
-Admire MASENDA
-Alicia MASONI DE MOREA
-Norbert MÜLLER
-Tubby REDDY
-Giacomo SANTINI
-Klaus SCHORMANN
-Margaret TALBOT

*명예위원(Membre d’honneur -Honorary Member):


-Zhenliang HE(중국)

*담당 실무국장:

-IOC 국제 협력 및 개발국장(Director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8) TV방영권 및 뉴 미디어 위원히(DROITS TV ET NOUVEAUX MÉDIAS/TV RIGHTS AND NEW MEDIA)


*위원장(Président - Chair): Thomas BACH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7명)):


-Le Prince Feisal AL HUSSEIN
-Ottavio CINQUANTA
-John COATES
-Habu GUMEL
-Juan Antonio SAMARANCH
-Gerardo WERTHEIN
-Zaiqing YU(중국)

*담당실무국장:

-TV 및 마케팅 국장

(9) 선수동반자 위원회(ENTOURAGE)

*위원장(Président - Chair):  Sergey BUBKA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19명)

-La Princesse Haya AL HUSSEIN
-Patrick BAUMANN
-Guy DRUT
-Poul-Erik HOYER
-Lingwei LI(중국)
-José PERURENA
-Lawrence F. PROBST III
-Bernard RAJZMAN
-Angela RUGGIERO
-Shamil TARPISCHEV
-Paul K. TERGAT
-(전문가/Experts) Carlo BAGUTTI
-Antoine BOUDIER
-Britta HEIDEMANN
-Ana MGUNI
-Bob VERBEECK
-Marco VILLIGER
-Clive WOODWARD
-Pedro YANG(중국 계)

 

*담당실무국장:

-스포츠 국장

 

(10) 윤리위원회(ÉTHIQUE/ETHICS)


*위원장(Président - Chair):  Youssoupha NDIAYE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7명):

-Claudia BOKEL
-Francisco ELIZALDE
-Robin MITCHELL
-(전문가/Experts) Thomas BUERGENTHAL
-Guy CANIVET
-José Luis DICENTA BALLESTER
-Samuel SCHMID

*주무 담당:

-윤리위원회 간사(Secrétaire de la commission d’éthique -Secretary of the Ethics Commission)

 

(11) 2020년 제3회 동계청소년올림픽 평가위원회(ÉVALUATION DES 3ES JEUX OLYMPIQUES DE LA JEUNESSE D’HIVER - 2020/EVALUATION FOR THE 3RD WINTER YOUTH OLYMPIC GAMES - 2020)


*위원장(Présidente - Chair):  Yang YANG(중국)
*위원들(Membre - Member/총 4명 )

-Alexander POPOV
-(전문가Experts) Caroline ASSALIAN (ACNO/ANOC)
-Peter BAYER
-Sarah LEWIS (AIOWF)

 

*실무담당국장:

-올림픽 수석국장

 

(12) 2022년 제25회 동계올림픽 평가위원회(ÉVALUATION DES XXIVES JEUX OLYMPIQUES D’HIVER - 2022/EVALUATION FOR THE XXIV OLYMPIC WINTER GAMES - 2022)


*위원장(Président – Chair):  Alexander ZHUKOV
*위원들(Membres – Members)

-평가위원들은 2014년 7월 중 임명예정임 

 

 

(13) 여성과 스포츠 위원회(FEMME ET SPORT/WOMEN AND SPORT)


*위원장(Présidente - Chair):  Lydia NSEKERA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29명):

-La Princesse Haya AL HUSSEIN
-Le Prince Feisal AL HUSSEIN
-Beatrice ALLEN
-Dagmawit Girmay BERHANE
-Marisol CASADO
-Mikaela COJUANGCO JAWORSKI
-Iván DIBÓS
-Nawal El MOUTAWAKEL
-Aïcha GARAD ALI
-Reynaldo GONZÁLEZ LÓPEZ
-Issa HAYATOU
-Nicole HOEVERTSZ
-Barbara KENDALL
-La Princesse Nora de LIECHTENSTEIN
-Mounir SABET
-Melitón SÁNCHEZ RIVAS
-Yang YANG(중국)
-(전문가/Experts) Andrea CARSKA
-Donna DE VARONA
-Gudrun DOLL-TEPPER
-Michael S. FENNELL
-Nese GÜNDOGAN
-Jens HOLM
-Beng Choo LOW(중국 계)
-Luis MEJIA OVIEDO
-Tove PAULE
-Tine RINDUM-TEILMANN
-Baklai TEMENGIL
-Mingde TU(중국)

*명예위원(Membre d’honneur -Honorary Member):

-Anita L. DEFRANTZ

*담당실무국장:

-국제협력 및 개발국장

(14) 재정위원회(FINANCES-FINANCE)


*위원장(Président - Chair):  Ser Miang NG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3명)

-Baron Pierre-Olivier BECKERS-VIEUJANT
-Anita L. DEFRANTZ
-Camiel EURLINGS

*담당실무국장:

-재무국장

 

(15) 회계위원회(COMITÉ D’AUDIT-AUDIT COMMITTEE)


*위원장(Président - Chair):  Baron Pierre-Olivier BECKERS-VIEUJANT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2명)

-Patrick CHAMUNDA
-Gerhard HEIBERG

*주무 담당:

-내부 회계(Auditeur interne - Internal Auditor)

 

(16) 법사위원회(JURIDIQUE-JURIDICAL)


*위원장(Président - Chair):  John COATES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5명):

-Anita L. DEFRANTZ
-Nicole HOEVERTSZ
-Youssoupha NDIAYE
-Denis OSWALD
-Richard W. POUND

*담당 실무국장:

-법사국장(Directeur des affaires juridiques - Legal Affairs Director)

(17) 마케팅위원회(MARKETING)


*위원장(Président - Chair): Tsunekazu TAKEDA(일본)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23명)

-La Princesse Haya AL HUSSEIN
-Patrick BAUMANN
-Richard CARRIÓN
-Ottavio CINQUANTA
-Camiel EURLINGS
-René FASEL
-Frank FREDERICKS
-Gerhard HEIBERG
-Patrick Joseph HICKEY
-Lydia NSEKERA
-Richard PETERKIN
-Alexander POPOV
-Richard W. POUND
-Juan Antonio SAMARANCH
-Olegario VÁZQUEZ RAÑA
-Gerardo WERTHEIN
-(전문가/Experts) Yael ARAD
-Hasan ARAT
-Marcel AUBUT
-Scott BLACKMUN
-Alfons HÖRMANN
-Francesco RICCI BITTI
-Ǻdne SØNDRÅL

*담당 실무국장:

-TV 및 마케팅 국장

(18) 의무위원회(MÉDICALE-MEDICAL)

*위원장(Président - Chair):  Ugur ERDENER
*부위원장(Vice-président -Vice-Chair):
Robin E. MITCHELL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4명)

-René FASEL
-Denis OSWALD
-Hayley WICKENHEISER
-전문가(Expert) Rania ELWANI

*담당 실무국장:

 

-의무 및 과학국장(Directeur du département médical et scientifique -Director of the Medical and Scientific Department)

 

(19) 올림픽우표, 주화 및 기념품위원회(PHILATÉLIE, NUMISMATIQUE ET MEMORABILIA OLYMPIQUES/OLYMPIC PHILATELY, NUMISMATIC AND MEMORABILIA)

*위원장(Président - Chair):  Ching-Kuo WU(대만)
*위워들(Membres - Members/ 총 17명):


-Syed Shahid ALI
-Gerhard HEIBERG
-La Princesse Nora de LIECHTENSTEIN
-Samih MOUDALLAL
-Richard PETERKIN
-Richard W. POUND
-(전문가/Experts) Albert M. BECK
-Manfred BERGMAN
-Irina DZIDZIGURI
-Robert FARLEY
-Sylvia GONZALEZ
-James GREESFELDER
-Robert HUOT
-Halvor KLEPPEN
-David MAIDEN
-Jean-Pierre PICQUOT
-Maurizio TECARDI

 

*조정관(Coordinateur -Coordinator)

-올림픽 박물관 국장(Directeur du Musée Olympique – Olympic Museum Director)

(20) 보도위원회(PRESSE-PRESS)


*위원장(Président - Chair):  Lawrence F. PROBST III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25명):

-Ole Einar BJØRNDALEN
-Willi KALTSCHMITT LUJÁN
-Gunilla LINDBERG
-Paul K. TERGAT
-Gerardo WERTHEIN
-(전문가/Experts) Alan ABRAHAMSON
-Vincent AMALVY
-Natalia ARRIAGA MAZO
-Sven BUSCH
-Maxim FILLIMONOV
-Dianmin GAO(중국 계)
-Michael GIARRUSSO
-Gary KEMPER
-Gianni MERLO
-Lucia MONTANARELLA
-Jayne PEARCE
-Sonali PRASAD, young reporter
-Ossian SHINE
-Weija SUN(중국 계)
-Hiroshi TAKEUCHI
-Mike TANCRED
-Eva WERTHMANN (IPC)
-Scott WHITE
-Miriam WILKENS
-Steve WILSON

*명예위원(Membre d’honneur -Honorary Member):


-Richard Kevan GOSPER

 

*담당 실무국장:

-올림픽 수석국장

(21) 올림픽프로그램위원회(PROGRAMME OLYMPIQUE-OLYMPIC PROGRAMME)


*위원장(Président – Chair):  Franco CARRARO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15명 ):

-Le Prince héritier Frederik de DANEMARK
-Frank FREDERICKS
-Lingwei LI(중국)
-Gunilla LINDBERG (ACNO/ANOC)
-Barry MAISTER
-Octavian MORARIU
-José PERURENA
-Bernard RAJZMAN
-Sam RAMSAMY
-James TOMKINS
-(전문가/Experts) Alejandro BLANCO
-Kate CAITHNESS (AIOWF)
-Debbie JEVANS
-Andrew RYAN (ASOIF)
-Walter SIEBER

*담당 실무국장:

-스포츠 국장

 

(22) 라디오 및 TV위원회(RADIO ET TÉLÉVISION/RADIO AND TELEVISION)


*위원장(Président – Chair):  Gerardo WERTHEIN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19명):


-Marisol CASADO
-Iván DIBÓS
-Nawal EL MOUTAWAKEL
-Alex GILADY
-Gian-Franco KASPER
-Toni KHOURY
-Lawrence F. PROBST III
-(전문가/Experts) Husain AL MUSSALAM
-Francis CLOISEAU
-Peter C. DIAMOND
-Yiannis EXARCHOS
-Masayuki HIGUCHI
-Heping JIANG(중국)
-Keith JOSEPH
-Andrew PARSONS
-Manolo ROMERO
-Gideon SAM
-Barbara SLATER
-Marcus TEPPER

*담당 실무국장:

-올림픽 수석국장

 

(23) 국제관계위원회(RELATIONS INTERNATIONALES-INTERNATIONAL RELATIONS)


*위원장(Président – Chair):  Mario PESCANTE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26명 )

-Le Prince Nawaf Faisal Fahd ABDULAZIZ
-Le Prince Feisal AL HUSSEIN
-Le Prince Souverain ALBERT II
-Danka BARTEKOVA
-Marisol CASADO
-장웅/Ung CHANG(북한)
-Lamine DIACK
-Guy DRUT
-Nawal EL MOUTAWAKEL
-Camiel EURLINGS
-Timothy Tsun Ting FOK(홍콩)
-Alex GILADY
-Nicole HOEVERTSZ
-Willi KALTSCHMITT LUJÁN
-Toni KHOURY
-Julio César MAGLIONE
-Octavian MORARIU
-Lawrence F. PROBST III
-Sam RAMSAMY
-Austin SEALY
-Vitaly SMIRNOV
-Paul K. TERGAT
-(전문가/Experts) Sebastian COE
-Mamadou Diagna NDIAYE
-Niels NYGAARD
-Liu PENG(중국)

*담당 실무국장:

-국제 협력 및 개발국장

 

(24) 올림픽 솔리다리티위원회(SOLIDARITÉ OLYMPIQUE-OLYMPIC SOLIDARITY)


*위원장(Président - Chair):  Cheikh Ahmad Al-Fahad AL-SABAH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17명):

-Kirsty COVENTRY
-Tony ESTANGUET
-Richard Kevan GOSPER
-Patrick Joseph HICKEY
-Lingwei LI(중국)
-Gunilla LINDBERG
-Le Grand-Duc Henri de LUXEMBOURG
-Julio César MAGLIONE
-Robin E. MITCHELL
-Lassana PALENFO
-Bernard RAJZMAN
-Juan Antonio SAMARANCH
-(전문가/Experts) Husain AL-MUSSALLAM
-Ricardo BLAS
-Raffaele PAGNOZZI
-Jimena SALDANA
-Tomas Amos Ganda SITHOLE

*담당 실무국장:

-올림픽 솔리다리티 국장

 

(25) 스포츠와 법위원회(SPORT ET DROIT-SPORT AND LAW)


*위원장(Président - Chair):  John COATES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8명)

-Anita L. DEFRANTZ
-Nicole HOEVERTSZ
-Denis OSWALD
-Richard W. POUND
-(전문가/Experts) Matthias BERG (IPC)
-Maria CLARKE (ACNO/ANOC)
-Goran PETERSSON (ASOIF)
-Nicole RESCH (AIOWF)

*담당 실무국장:

-법사국장

(26) 스포츠와 환경위원회(SPORT ET ENVIRONNEMENT/SPORT AND ENVIRONMENT)



*위원장(Président – Chair): Le Prince Souverain ALBERT II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29명):


-Le Prince Feisal AL HUSSEIN
-Andrés BOTERO PHILIPSBOURNE
-Le Prince héritier Frederik de DANEMARK
-Tony ESTANGUET
-Habu GUMEL
-Barbara KENDALL
-Rita SUBOWO
-Shamil TARPISCHEV
-(전문가/Experts) Cheikh Saoud bin
-Abdulrahman AL-THANI
-Camilo AMADO
-Michel BARNIER
-Ann DUFFY
-Joseph FENDT
-Vincent GAILLARD
-Camilla HAUGSTEN
-George KAZANTZOPOULOS
-Andrej KRASNICKI
-Habib MACKI
-Myriam MOYO
-Mamadou Diagna NDIAYE
-Sunil SABHARWAL
-Naysan SAHBA
-Gideon SAM
-Luzeng SONG(중국)
-Michael VESPER
-Efraim ZINGER
-리오2016 조직위원회대표 Tania BRAGA (Représentante de Rio 2016 -Rio 2016 Representative)
-평창218 조직위원회 대표 김대만(Dae-man KIM/Représentant de PyeongChang 2018 -PyeongChang 2018 Representative)
-도쿄2020조직위원회 대표 Masato MIZUNO(Représentant de Tokyo 2020 -Tokyo 2020 Representative)

*담당 실무국장:

-국제 협력 및 개발국장

(27) 생활체육위원회(SPORT POUR TOUS- SPORT FOR ALL)


*위원장(Président – Chair): Sam RAMSAMY
*위원들(Membres – Members/총 26명)):

-Syed Shahid ALI
-Andrés BOTERO PHILIPSBOURNE
-Patrick CHAMUNDA
-장웅/Ung CHANG(북한)
-Le Prince héritier Frederik de DANEMARK
-Le Prince Tunku IMRAN
-문대성/Dae Sung MOON(한국)
-Yumilka RUIZ LUACES
-Rita SUBOWO
-Irena SZEWINSKA
-Alexander ZHUKOV
-(전문가Experts) Wolfgang BAUMANN
-Jörg BROKAMP
-Raffaele CHIULLI
-Bruno GRANDI
-Muriel HOFER
-Jens HOLM
-Paavo KOMI
-Marcelino MACOME
-Denis MASSEGLIA
-Gérard MASSON
-Jose QUIÑONEZ
-Walter SCHNEELOCH
Magaret SIKKENS-AHLQUIST
-Luzeng SONG(중국)
-Jaiwan YANG(한국)

*명예위원(Membre d’honneur-Honorary Member):

-Walther TRÖGER

*담당 실무국장:

-스포츠 국장

 

(28) 선수위원회(ATHLETES)

*위원장: Claudia BOKEL(독일/여성)
*부위원장: Angela RUGGIERO(미국/여성)
*위원들(16명): 

-Danka BARTEKOVA
-Ole BJØRNDALEN
-Kirsty COVENTRY
-Amadou DIA BA (WOA)
-Tony ESTANGUET
-Stefan HOLM
-Barbara KENDALL
-문대성/Dae Sung MOON(한국)
-Todd NICHOLSON (IPC)
-Adam PENGILLY
-Alexander POPOV
-Yumilka RUIZ LUACES
-James TOMKINS
-Hayley WICKENHEISER
-Pedro YANG(중국 계)
-Yang YANG(중국 계)

*명예 선수위원(4명):

-Peter TALBERG
-Le Prince Souverain ALBERT II
-Sergey BUBKA
-Frank FREDERICKS

*실무 담당국장:

- IOC 스포츠국장(Sports Director)


(29) IOC위원 후보 추천위원회(CANDIDATURES NOMINATIONS)


*위원장: La Princesse ROYALE(영국/여성)

*위원들(총 6명): 

-Dagmawit Girmay BERHANE
-Stefan HOLM
-Julio César MAGLIONE
-Robin E. MITCHELL
-Peter TALLBERG
-Zaiqing YU(중국)

*담당 주무:

-IOC사무총장(Director General)

(30) 대표위원들(MEMBRES DÉLÉGUÉS-DELEGATE MEMBERS)

A. IOC의 UN 상임 옵저버(OBSERVATEUR PERMANENT DU CIO AUPRÈS DES NATIONS UNIES -PERMANENT OBSERVER OF THE IOC TO THE UNITED NATIONS:  Mario Pescante

B. 의전 대표(PROTOCOLE - PROTOCOL): Willi KALTSCHMITT LUJÁN

C. 자치 대표(AUTONOMIE - AUTONOMY): Patrick HICKEY

D. 장애 선수를 위한 스포츠 대표(SPORT POUR LES ATHLÈTES ATTEINTS D’UN HANDICAP -
SPORT FOR ATHLETES WITH A DISABILITY): Sam RAMSAMY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3. 9. 21:08

(1) IOC 위원장이 소치에게 감사 메시지를 전하다(IOC President says Thank You to Sochi)

 

IOC President Says Thank You To Sochi
©IOC/Ian Jones (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성공적인 소치동계올림픽 폐회식 다음 날인 2월24일 Thomas Bach IOC위원장은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을 '땡큐 조찬"(thank-you breakfast)에 초대하여 환영하였다.

 

"댕큐 조찬'에는 Valdimir Putin 러시아 연방 대통령도 합류하였는데 Bach위원장은 이때 조직위원회 핵심 임원들에게는 올림픽훈장 금장 및 은장들을, 소치 시민들에게는 올림픽 컵을 각각 수여하기도 하였다. 


Bach위원장은 "선수중심 대회"(Athletes' Games)를 잘 치러주었음에 소치 팀에게 감사 메시지를 전달하였는데 '선수중심대회'라는 호칭은 소치2014에 관여하였던 각기 다른 모든 관계자들이 이구동성으로 합의된(with overwhelming approval) 목소리 있으며 특히 참가 선수들로부터 그러한 반응이 나왔다고 한다. 

 

올림피안이기도 한 Bach위원장은 러시아 땅에서 사상 최초의 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소치와 러시아에 대한 서술적 표징으로의(as a descriptor) 포상(accolade)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올림픽 훈장 금장은  소치대회의 성공을 위해 쉴새 없이 고단한 여정을 훌륭히 소화해 낸 Dmitry Kozak 러시아 부총리와 Dmitry Chernyshenko 소치 2014 조직위원장에게 수여되었다.

 

올림픽훈장 수여 직전  Jean-Claude Killy 소치2014 IOC조정위원장은  소치2014 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그렇게 열정적으로 부르짖었던 "미래로 가는 길목"(Gateway t the Future)의 야심작인 소치 동계올림픽 개최를 완수한 Chernyshenko조직위원장을 치하 하면서 야심차고 복잡 미묘 다단한 프로젝트(an ambitious and complex project)건설의 결실을 성공적으로 가져온 Kozak러시아 부총리의 성취에 대하여 강조하기도 하였다.

 

 



 

Bach위원장은 Anatoliy Pakhomov소치 시장에게 지난 7년 간 소치시의 집중적인 변혁의 리듬에 따라(according to the rhythm of the intense transformation of their city) 삶을 살아야 했던 소치 시민들을 위하여 그리고 IOC가 그들의 인내와 결단에 대해 지극히 감사함이 표출되어지는 사람들을 기리며 올림픽 컵을 증정하였다.

 

소치 시민들은 매우 성공적인 대회를 치러 주었으며 향후 대회의 다른 분야들과 관광에 있어서 위대한 올림픽 유산을 물려받게 될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고 평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서 7명의 소치2014 조직위원회 집행부위원장(7 Executive Vice Presidents)들은 그들이 해당 책임 분야에서 수행한 업무에 대한 치하로 올림픽훈장 은장을 수여 받기도 하였다.

한편 소치동계올림픽을 그렇게 특별한 대회로 만들어 준 소치2014 조직위원회 고위간부들과 5명의 선발된 훌륭한 자원봉사자들에게는 많은 수의 올림픽 핀이 배포되었다고 한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3. 9. 21:03

(1) 소치2014 작별을 고하다(Sochi 2014 bids farewell.)

Sochi 2014 bids farewell
©Getty Images (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2월23일 저녁  제23회 동계올림픽 폐회식 시작을 향하여 전 세계 모든 시선이 다시 한번 소치 Ficht 올림픽 스타디움으로 쏠렸다

 

17일 동안 FIcht 올림픽 스타디움은 소치 동계올림픽의 환상적인 역동 현장을 담아 보여주는 세팅장 역학을 다하였으며(setting for a wonderful curtain-raiser)대회 마지막 날 폐회식에서는 두 시간 반동안 모든 동작 하나하나가 특별함 그 자체를 선사하며 피날레를 장식하였다. 

 

무드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올림픽의 여정을 대표한 거대한 노 젓는 배가 등장하여 밤 하늘 스타디움 상단을 맴돌았으며 수 천명의 은색 복장을 한 댄서들은 스타디움 주위를 선회하는 춤을 선 보였다.(To set the mood, a giant rowing boat, representing the Olympic journey, hovered above the stadium in the night sky, as thousands of silver-clad dancers whirled around the stadium.)

 

출연진들은 이어 대형을 갖추면서 개회식에서처럼 5개가 아니라 4개의 오륜을 창출해 냈는데 조직위 관계자들은 개회식에서 5개 중 한 개의 링을 제대로 열지 못했던 순간적인 기술적 실수(the momentary technical glitch)를 넌지시 암시하는 듯한 자기비하유머의 순간(a moment of self-deprecating humor)을 연출한 것이다. 

 

그것은 신랄한 순간(a poignant moment)이었으며 훌륭히 대회를 치렀다는 것을 대견스러워하면서 스스로에 대하여 웃어 넘길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는 "러시아의 새로운 얼굴"(new face of Russia)을 암시해 주고 있는 한 순간이기도 하였다.

 

 

범 러시아 합창단(Pan-Russia Choir)으로부터 선발된 1,000명의 어린이들은  러시아 국가(Russian national anthem)를 심금을 울리도록 곡을 전달하는(delivered a stirring rendition of the Russian national anthem) 가운데 88개 참가국 선수단들은 다시 한번 스타디움을 행진하였다.

 

 

(2) 각국 선수들 중앙무대로(Athletes take centre stage)

 

 

 

 

개최국 러시아선수단은 자국기를 피겨 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인 Maxim Trankov에게 일임하였는데 다른 국가 출신 기수들로는 소치2014 대회를 소치만의 가장 기억되는 순간들을 제공해 준 주인공들이 함께 참여 하였다:

 

1) 영국의 Lizzy Yarnold(여자 스켈레톤 금메달리스트)

2) 프랑스의 Martin Fourcade(바이어들론 2관왕) 

3) 폴란드의 Zbignew Broddka(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Adler Arena경기장에서 네덜란드 선수들의 독주에 제종을 건 장본인)

4) 노르웨이의 Ole EInar Biorndalen(바이어들론 2관왕: 동계올림피안으로 가장 많은 메달을 딴 기록 보유자)

 

 

 

 

 

 

(3) 올림픽 깃발 전달식(the Handover Ceremony of the Olympic Flag)

 

소치 현지 시간 21시40분에 흥겨웠던 공연을 통한 축제 분위기가 멈춰지면서 올림픽 폐회식의 중요한 부분이 이어졌다.

 

올림픽 깃발 전달식 순서에서 러시아와 그리스 국기 옆에서 휘날리던 오륜이 선명히 아로새겨진 올림픽 깃발은 올림픽 찬가의 곡에 맞추어 하강하였고 깃봉에서 내려진 올림픽 깃발은 Anatoly Pakhmanov소치2014 시장으로부터 그 후에(subsequently) 차기대회 개최도시 시장인 이석래 평창2018군수에게 전달되었다. 

 

 

 

이제 모든 초점이 평창2018에 모아지면서 폐회식장에 운집한 관중은  한국 선수단이 합류한 가운데 '동행'(A Journey Together)이란 주제로 선보인 평창대표단이 준비한 전통 한국 음악과 무용 공연으로 초대 되었다

 

Dmitry Chernyshenko소치2014 조직위원장은 소치동계올림픽 덕분에 러시아는 전 세계에 러시아가 보여줄 수 있는 역량, "이것은 러시아의 새로운 얼굴이며 우리의 러시아 이다"(This is a new face of Russia-our Russia.)라고 강조하였다.

 

 

(4) 선수들의 대회(“The athletes’ Games”)

 

Thomas Bach IOC위원장은 폐회식 연설을 통하여,

 

"친애하는 올림픽 선수여러분 대단히 감사합니다! (Thank yo very much dear Olympic Athletes!) 

지난 17일 간 우리 모두에게 영감을 주며 매료시켜 주었습니다.(You have inspired us for the last magnificent 17 days.) 

여러분은 매 경기에서 우수한 기량을 유감 없이 보여 주었습니다.(You have excelled in your competitions.) 

여러분은 여러분의 정서를 표출함으로 우리 모두와 전 세계 사람들과 공유된 일체감을 심어 주었습니다.(You have shared your emotions with us and the whole world.)

여러분은 위엄과 존엄을 보여주며 승리를 자축 하였습니다.(You have celebrated victory with dignity.)

그리고 패배함에 있어서도 위엄과 존엄을 잃지 않고 받아들였습니다"(And you have accepted defeat with dignity.)

 

 

 

 

이어 Bach위원장은 이번 올림픽이 얼마나 올림픽 가치의 핵심인 존중(respect)과 관용(tolerance)을 고양시키고 강화시켜 주었는지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의 소치 동계올림픽 폐회식 영어 연설 전문]

 

"Thank you very much Sochi! Thank you very much Russia!

Mr.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good evening dear Olympic friends and fans around the world!

Thank you very much dear Olympic Athletes! You have inspired us for the last magnificent 17 days. You have excelled in your competitions.

You have shared your emotions with us and the whole world. You have celebrated victory with dignity and accepted defeat with dignity. By living together under one roof in the Olympic Village you send a powerful message from Sochi to the world: the message of a society of peace, tolerance and respect.
I appeal to everybody implicated in confrontation, oppression or violence:

Act on this Olympic message of dialogue and peace. We all have enjoyed exceptional conditions in these Olympic Winter Games.

Our Russian hosts had promised: Excellent sports venues, outstanding Olympic Villages and an impeccable organisation. Tonight we can say: Russia delivered all what it had promised.
What took decade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was achieved here in Sochi in just seven years.

2
I would like to thank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Mr. Vladimir Putin, for his personal commitment to the extraordinary success of these Olympic Winter Games.

The Russian Government, the Organising Committee, the Russian National Olympic Committee, the IOC Members in Russia and all the people of Sochi and Russia deserve our deep gratitude.

To this success the International Olympic Winter Sports Federations,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s, the sponsors and broadcasters have greatly contributed.

I am sure they all will remember these Olympic Games in Sochi and will come back to create a great sport legacy.

Thank you very much volunteers!

You, volunteers, with your warm smile made the sun shine for us every day. Your wonderful engagement will create the legacy of a strong civil society in Russia.

Through you everybody with an open mind could see the face of a new Russia: efficient and friendly, patriotic and open to the world.
All our partners and friends allowed the world’s best athletes to give their best.

3
There is no higher compliment than to say on behalf of all participants and on behalf of all of my fellow Olympic Athletes:

These were the Athletes’ Games!

We arrived with great respect for the rich and varied history of Russia. We leave as friends of the Russian people.

Daswidanja(Good bye) Sochi ! Daswidanja(See you again) Rassija(Russia) !

And now: I declare the 22nd Olympic Winter Games clos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 I call upon the youth of the world to assemble four years from now in PyeongChang to celebrate with us the 23rd Olympic Winter Games.”


 

폐회식이 공식적으로 막을내리기 전에 한 가지 더 감성적이고 유머러스 한 순간을 장식하는 시간이 아직 남아 있었다.

 

소치2014 공식 마스코트 세마리 동물 중 하나인 15m (50-foot)크기의 대형 곰이 무대위에 등장하였는데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폐회식에서 상징적인 순간들 중 하나의 장면을 보여 주듯이 끄덕임으로 올림픽 성화를 불어 끄기 직전 관중들에게 윙크하는 장면이 연출되었다.

 

 

 

22시 9분인 그때 시간 대에 맞추어 시기 적절하게(in time honored fashion) Thomas Bach IOC위원장이 공식적으로 소치2014 동계올림픽의 폐회를 선언하였으며 그럼으로써 차기 대회 개최도시인 한국의 평창에게 길을 열어 주도록 바톤을 넘겨 주었다.  

 

" 나는 제22회 동계올림픽의 폐회를 선언합니다. 전통에 따라 세계의 젊은이들에게 지금부터 4년 후 우리모두와 함께 평창에서 제23회 동계올림픽을 축하할 것을 촉구하는 바입니다." (I declare the 22nd Olympic Winter Games clos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 I call upon the youth of the world to assemble four years from now in PyeongChang to celebrate with us the 23rd Olympic Winter Games.)라고 끝맺음 메시지를 전하였다. 

 

불꽃 놀이가 다시 한번 시 밤 하늘을 수 놓았으며, 자원봉사자들과 선수들은 스타디움 중앙에 함께 운집하였는데  모인 자리가 거대한 중앙 무대로 바뀌면서 피날레 파티 무드를 즐기도록 연출되기도 하였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2. 27. 10:22

소치동계올림픽이 폐회하는 날인 2월23일 IOC는 관례대로 대회로부터 IOC의 업무를  마무리하는 폐회 총회를 가졌다.

 

IOC 폐회총회의 유일 안건인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각국 참가 동료선수들이 직접 선출한 동계선수 지분에 해당하는 2명의 신임 선수출신 IOC위원에 대한 공식 비준 절차 상의 투표였다.

 

Ole Einar Bjoerndalen노르웨이 출신 바이어들론 선수는 57명의 IOC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행한 비밀투표에서 55표를 얻어 공식 인준에 성공하였다.

 

그는 소치동계올림픽에서 자신의 통산 13번 째 올림픽 메달을 받은 바 있다.

 

또한 Hayley Wickenheiser 캐나다 여자 아이스하키 영웅은 그녀의 도움으로 소치 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에서 캐나다팀이 금메달을 획득하도록 견인차 역할을 다 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역시 57명의 IOC위원들의 비밀투표에서 52표를 받아 당당히 IOC위원으로 공식 인준 받았다.


 

 

Bach welcomes the two newest IOC members. (ATR)





 

 

 

 

(좌로부터 Hayley Wickenheiser, Thomas Bach, Ole Einar Bjoerndalen/ 사진출처: ATR) 

 

 Wickenheiser 신임 동계선수 쿼타 IOC위원은 그녀의 8년 임기동안 올림픽에 대한 청소년들의 관심을 증폭시키는데 전념하겠다고 포부를 밝히기도 하였다고 한다.

 

현재 35세로 선수로선 다소 고령이지만 그녀가 차기대회인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배제하고 있지 않고 있다고 한다.

 

그녀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캐나다 소프트볼 팀 일원으로 참가하였는데 현재로서는 동 하계올림픽에 공히 참가한 IOC위원은 그녀가 유일하다.

 


*펠리 IOC올림픽 수석국장 퇴임(Farewell to Felli):

금번 소치동계올림픽은 Gilbert Felli IOC올림픽 수석국장의 공식 고별무대였다.

IOC총회는 퇴임하는 Felli 수석국장에게 아쉬운 작별을 고하여 주었다.(The IOC session bid farewell to outgoing Olympic Games executive director Gilbert Felli.) 

 

 

                                 (Gilbert Felli와 후임 올림픽 수석국장 Christophe Dubi)



 

24년 전 IOC 스포츠 국장으로 IOC에 발을 들여 놓았던 Felli 수석국장은 이제 전업 IOC간부직원 직으로부터는 물러나는 것이지만 IOC에서 자문으로 역할(in a consulting role with the IOC)을 계속 수행하며 오는 8월 중국 난징 개최 제2회 청소년올림픽(YOG)과 2016년 리오 올림픽을 도와줄 예정이란다.

 

Felli는 소치 동계올림픽 성화봉 한 개를 선물받기도 하였는데 그는 IOC에서 활동하면서 단 한 번도 올림픽 성화봉송에 참여한 적이 없었다고 술회하기도하였다고 한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4. 2. 26. 16:13

2월7일 제126차 IOC총회 마지막 날 아침 Zaiqing Yu(62세) 중국 IOC위원이 두 번째 IOC부위원장 직에 단독출마하여 무경쟁으로 IOC부위원장으로 재 등극하였다.

 

(Ziaqing Yu/ 사진 출처: ATR)

 

지난 해 9월 IOC위원장에 선출되어 공석이 되었던 IOC부위원장 자리에 Zaiqing Yu중국 IOC위원이 단독출마(unopposed)하여 당선된 것이다.

 

2000년에 중국 NOC부위원장 자격으로 IOC위원에 선출된 그는  2004년-2012년까지 IOC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는데 2008년-2012년까지는 IOC부위원장으로 IOC집행위원회에서 중국 스포츠 외교를 대표해온 셈이었다.

 

IOC부위원장으로서 그의 첫 번째 임무는 2014년 중국 난징에서 개최예정인 제2회 청소년 올림픽(YOG)이 성공적으로 개최토록 하는 일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나는 난징 청소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것이라는 신뢰를 가지고 있다."(I have confidence in staging successful Youth Olympics in Nanjing.)

 

그는 이제 호주의 John Coates IOC 부위원장, 영국의 Craig Reedie IOC부위원장 및 모로코의 Nawal El Moutawakel IOC부위원장에 이어 4번 째 IOC부위원장대열에 다시 서게 되었다.

 

 

                                                             (Craig Reedie)

 

 

                                                            (Nawal E Moutawakel)

 

 

 

                                                                                 (John Coates)

 

 

한편 IOC집행위원 한 자리를 놓고 격돌한 경쟁에서 터키출신 Ugur Erdener(FITA회장)는 캐나다의 백전노장 Richard Pound  IOC위원을 51:42의 표차로 승리하고 IOC집행위원으로 터키의 스포츠 외교의 위상을 높이게 되었다.

 

 

(Ugur Erdener/사진 출처: ATR)

 

Erdener IOC위원은 이스탄불의 2020년 올림픽 유치경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도쿄에 패배하였다.

 

"매우 행복하다. IOC집행위원회의 일원으로 올림픽운동을 섬기게 되어 크나큰 영광이다, 내가 알기론 내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IOC집행위원이 된것 같다."(I am very happy, very proud. This is a great honor for me for serving the Olympic Movement as a member of the IOC Executive Board. As far as I know, this is the first time for anyone from my country.)라고 소감을 피력하였다.

 

반면  1978년 IOC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여 온 Pound위원은 선거에 실패했지만 관대하였다.(magnanimous)

 

그는 하지만 1980년대와 1990년 대 몇 차례 IOC집행위원으로 도전했지만 계속 실패함으로 다시 IOC집행위원으로 돌아오는 것이 어려울 운명이라는 것을 받아드려야 하지 않을까(but now must believe he is not ever destined to get back on the IOC EB after several stints in the 1980s and 90s.)하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한다.

 

"나는 최근 IOC선거 전에서 인상적인 은메달 들을 가지고 수집에 임하고 있는 중이다" (I am adding to my impressive collection of silver medals.)라고 농담을 건넸다고 한다.

 

 

                                                            (Dick Pound)

 

 

금년 71세인 그는 지난 해인 2013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제15차 IOC총회에서 미국의 Anita DeFrantz IOC위원에게 IOC집행위원 직에 출마하였다가 한 표 차이로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이날 덴마크의 Poul-Erik Høyer는 또 한명의 IOC 신임위원으로 유일하게 선출되었는데 그는 IF자격 IOC위원으로 세계 배드민턴연맹(World Badminton Federation)회장이다.

 

2013년 5월 2005년부터 세계배드민턴연맹(BWF:Badminton World Federation)회장직을 맡아오던 한국의 강영중회장이 8년 간의 회장직 연임을 고사함으로써 신임회장 선출을 위한 선거가 있었다.

 

 

 

 

 

 

신임회장으로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남자 싱글 챔피언 금메달리스트인 덴마크의 Poul-Erik Hoyer가 선출된 바 있었다.

 

그는 작년 5월 콸라룸푸르 개최 BWF총회에서 실시된 선거투표결과  경쟁후보였던 인도네시아의 Justian Suhandinata를 145:120의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신임회장으로 등극했으며 채 1년도 안되어 IF자격 IOC위원으로 선출되는 겹 경사를 누리고 있는 셈이다.



 

Kang Young Joong and Poul-Erik Hoyer meet the media in Kuala Lumpur. (BWF)

(강영중 전 회장과 Poul-Erik Hoyer 신임회장)

 

Hoyer 신임회장은 선거직후 AGM에서  "BWF와 배드민턴종목은 전임회장에게 신세를 졌으며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The BWF and badminton owe you a great debt of gratitude.)고 감사를 표한 바 있었다.

 

아루바의 Nicole Hoevertz IOC위원, 감비아의 Beatrice Allen IOC위원 및 말레이시아의 Prince Tunku Imran IOC 위원 등 3명은 NOC자격위원으로서 8년의 임기를 연장하며 IOC위원으로 재 선출되었다.

 

Vitaly Smirnov러시아 IOC위원은 소치 개최 제126차 IOC총회를 결산하는 간단한 연설을 하였다.

 

"이번 총회는 우리 모두를 위한 아주 특별한 IOC총회였으며 특히  예상하게 되는 재치와 외교가 돋보인 올림픽 어젠더 2020토론을 진행한 사실이다"(It has been a very special session for all of us for conducting [the Olympic Agenda 2020 Debate] with tact and diplomacy we have come to expect.)

 

IOC 총회 말미에 IOC위원들 모두는 올림픽운동의 미래에 대한 기념비적 토론의 장을 명인스럽게(masterfully) 주재한대 대한 경의의 표시로 Bach위원장에게 기립 박수(standing ovation)를 선사하였다고 한다.

 

소치 IOC총회는 소치동계올림픽 폐회식 날인 2월23일 다시 열려 대회 기간 중 참가 선수들이 직접 선출한 동계선수출신 신임 IOC위원 2명을 공식으로 선출하게 된다고 한다. 

 

Bach IOC위원장은 IOC총회 참석 전체 IOC위원들에게 "총회가 활기차고 역동적이며 그렇게 많은 좋은 아이디어들이 도출된데 대해 아주 만족하고 행복하며 여러분들에게 감사한다".(he was “extremely happy” at how the session had worked “how active and dynamic it was, how many good ideas were produced. Thank you to you".)고 하였다.

 

 

                                                                   (Thomas Bach)

 

 

 

Bach IOC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하루 반 동안의 IOC총회 기간 동안에만 약 201개에 달하는 발언(interventions)이 쏟아져 나왔노라고 밝히기도 하였다. 

 

" 나는 이러한 기류(spirit)와 이러한 기세(momentum)가  최종결정이 내려지는 타이밍인 오는 12월 모나코 개최 IOC임시총회 때까지 살아 숨쉬며 계속 지속되기를 희망한다"(I hope we can keep this spirit alive, this momentum until the extraordinary general meeting in Monaco in December when it comes to making decisions,)고 언급하였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