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4. 7. 15. 14:39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 신청도시는 당초 6개 공식 주자들(official contenders)로 출발 하였으나 스웨덴 스톡홀름과 폴란드의 크라카우 등 유럽 두 개 신청도시의 경우 국민 대중적 반대(public opposition)에 발목이 잡혀 무산된 바 있다.(led tot he demise of Stockholm and Krakow)

 

 

우크라이나의 르비브(Lviv)의 경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불안정한 정국 전개 파장의 결과로 떨어져 나갔다.(dropped out as a result of the unstable situation between Ukraine and Russia)

 

 

(Almaty)                                             (Beijing)

(Krakow)

 

                               (Lviv)

 

유치 신청 초창기 독일(Munich)과 스위스 신청후보도시(St. Moritz-Davos)들 역시 올림픽 유치에 대한 국민투표결과 일찌감치 원천봉쇄 당한 바 있다.(referenda rejected Olympic bids)

 

따라서 IOC집행위원회는그나마 남아있는 세개 신청도시(베이징, 알마티 및 오슬로) 모두를 후보도시로 사실상 확정시켜 놓은 상태이다.

 

노르웨이의 오슬로의 경우 여전히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자체가 소멸될 기로에 서서 비틀거리고 있는 형국으로 보인다.(Oslo still appears to be tottering on the brink of extinction fro 2022)

 

7월 초 IOC실무그룹 평가 리포트(IOC Working Group report)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의 Almaty와 중국의 Beijing 두 신청도시는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들과 관람객들에게 오염된 공기 호흡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하였다.(both flagged as places with bad air for winter Olympians and spectattors to breathe)

 

베이징의 경우 2008는 올림픽 개최이후 공기오염도가 악화되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reports of air pollution in Beijing seem to have gotten worse)

 

알마티는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대형 스포츠 이벤트 개최 경험이 일천하고 마케팅 수입금을 과대 평가한 점이 지적되었다고 한다.(In addition to air pollution, Almaty is inexperienced in hosting big sports events and that it is over-estimating marketing revenues.)

 

또한  올림픽 선수촌 부지가 환경적 이슈들로 인해 전적으로 부적절한 것으로 판명날 우려가 상존하며 이로 인해 경기장 변경이 불가피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라는 것도 함께 지적되었다고 한다.(the site for the Olympic Village may turn out to be totally inappropriate due to environmental issues, which could possibly force a difficult venue change.)

 

IOC보고서에 의하면 카자흐스탄의 경우 인터넷 접속 이슈들에 대해 경계령을 내리고 있지만 베이징 보고서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한다.(IOC report raises alarm over Internet access issues in Kazakhstan, but curiously does not mention this in the section on Beijing.)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기간 동안 인터넷과 연관된 PR접속 와해사태이후(after the public relations debacle involving Internet during the Beijing Olympics), IOC는 올림픽을 인터넷 방호 만리장성 뒤로 내친 것을 다시한번 고려하여 궂은 일을 마다하지 말아야 한다.(the IOC must be a glutton for punishment to consider again putting the Games behind the Great Firewall of China.)

 

사실상 IOC보고서를 볼 때 베이징 유치에 많은 호의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In fact, the IOC report gives much favor to the Beijing bid.)

 

베이징 시내에는 교통체증과 대기오염 등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지만 조직주체들의 대회개최를 위한 경기장 및 인프라 구축 능력에 대해서는 한치도 주저함도 표출되어 있지 않다.(There are worries about traffic and pollution, but no reservations expressed about organizers' ability to deliver the venues and infrasturcture needed to host the Games.)

 

베이징의 경우 2008년 올림픽을 위해 건설된 경기장을 활용하겠다는 발상에 찬사를 보내지만 베이징과 알파인 스키 경기장이 건설될 북쪽 장지아카우까지 2시간 소요되는 연결 고속철도 건설 전망(the prospect of building a high-speed rail line to connect the city with alpine venues tow hours north)은 IOC가 올림픽을 유치하는 도시에서 보기를 원하는 수십억 달러 프로젝트 종류의 것은 아닐런지 모른다.

 

설사 베이징이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방법과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손치더라도 이러한 가망이 희박한 세팅자체가 IOC를 위해 활성화(boost)가 될까 파산(bust)이 될까 라고 한 외신은 지적한다.(And even if Beijing has the ways and means to host a winter Olympics, would this most unlikely of settings be a boost of a bust for the IOC?)   

 

또한 베이징이 2022년에 동계올림픽을 개최한다면 2018년 평창에 이어 두 번 연속 아시아에서 동계올림픽이 치러지게 되는 것이고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감안 한다면 3연속 올림픽이 아시에만 집중되는 셈이 될 것이다.

 

이국적이긴 하지만(exotic though it is), 알마티는 중앙아시아라는 원거리 우치로 인해 세계적 관심을 구축하기에는 더소 무리해 보일수 있다(Almaty could be a challenging location to build worldwide interest, remote as it is in Central Asia.)

 

3개의 후보도시들 중 알마티가 가장 사진 풍광이 뛰어나 보이는데 스카이라인에 산들이 한데 어우러지는 유일한 도시이기도 하다.(Almaty may be the most phtogenic, the only city that features mountains on the skyline.)

 

오슬로는 동계스포츠가 문화 속에 깊이 배어든 도시인데 동계올림픽이 자연스레 잘 어울리는 것이 마치 FIFA월드컵이 브라질로 가는 것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과 같아 보인다.(Oslo is the place where winter sports are ingrained into the culture, where a winter Olympics seems as natural as the World Cup going to Brazil.)

 

                           (오슬로의 명물 Hollmenkollen 스키 점프 대)

 

이렇게 안성맞춤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 사람들은, 브라질 사람들 일부가 브라질이 FIFA월드컵 대회 개최국 노릇을 하는 것에 대하여 후회감을 표출한 것처럼, 동계올림픽 개최에 대해 분명히 불편해 하고 있다라는 것이다.(Despite the fit, Norwegians apparently are uncomfortable donning this cloak, just as some Barzilains have expressed their regrets about playing host to the World Cup Pageantry.)

 

오슬로는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권을 거뭐질 금지된 선호도시가 될 수 있다.(Oslo could be a prohibitive favorite to win 2022.)

 

2015년 7월31일 콰랄룸푸르 개최 IOC총회 투표에서 수 십명의 유럽 계 IOC위원들과 미주 대륙 IOC위원들의 당연시되는 오슬로 지지표들로 인해 오슬로는 1차투표에서 승리할 공산이 클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Presumed support from dozens of Europeans IOC members as well as those in the Americas could come close to giving Oslo a first-rould victory where the IOC votes next July at the IOC Session in Kuala Lumpur.)고 한다.

 

 

 

또는 오슬로의 경우 2022년 올림픽 개최 찬성 대중 여론 몰이에 도전을 받아 왔던 지금까지의 모든 다른 도시와 같은 길을 갈 수도 있다.(Or Oslo could go the way of every other city so far that's been challenged to round up public opinion in favor of hosting the 2022 Olympics.)

이러함 마모되어 가는 캠페인 와중에 오슬로는 단순히 가장 최근의 희생자가 될지도 모르는 노릇이다.(In this campaign of attrition, Oslo may simply become the latest casualty.)

 

강한 자만이 살아남을 것이다.(Only the strong will surviv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