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 스포츠 계 주요동향(5월~7월)]
1. ISU 총회(Congress)/6월18일
1) 개최도시: 아일랜드, 더블린(Dublin)
2) 주요결정사항:
(1) Otavio Cinquanta(2014년 현재 75세) 현 ISU회장 임기: 2016년 까지
(2) 회장 연령제한 연장(age limit extension) 안: 부결(rejected)
(3) 쇼트트랙 동계올림픽 자격(qualification)부여대회: 기존 월드컵 2개에서 4개 대회로 확대
(4) 스피드 스케이팅 단체출발(mass starts)종목: 2018년 평창대회에서 500m 경기 시 적용 제안
(5) 동계올림픽 개최국 피겨 선수관련: 정상적 과정(normal process)으로 자격 미달의 경우라도 최소기술점수(minimum required technical score) 획득하면 출전 가능
(6) 미국, 그리스, 러시아 등이 제안한 피겨 스케이팅 배심 익명성 철폐 안 (a proposal to eliminate anonymity in judging for figure skating): 과반수는 넘었지만 규정상 요건인 절대 과반수(2/3)획득에 실패하여 불발
*2016년 총회에서 재도전 할 것으로 알려짐
(7) 2017년 ISU세게빙상선수권대회 개최도시 결정: 핀란드, 헬싱키
(8) 2017년 4개대륙 피겨선수권대회(Four Continents Figure Skating Champ.): 대한민국, 평창에서 동계올림픽 Test Event로 개최
2. 2020년 동계 청소년올림픽 후보도시/6월18일
1) 2020 Winter YOG 후보도시 두 곳:
-2013년 11월 신청서 제출한 도시들은 스위스 Lausanne 및 루마니아의 Brasov 두 곳으로 발표(6월17일)
-2014년 12월 개최예정인 IOC집행위원회 와 IOC임시총회에 세부평가 보고서 제출
-2015년 7월 개최 콸라룸푸르 IOC총회에서 제3회 동계YOG개최도시 선출
3. 11번째 IOC TOP Partner선정/6월13일
-일본 글로벌 타이어 기업인 (Japanese Tire Manufacturer Bridgestone사가 2016년~2024년(5개 올림픽)8년 간 IOC TOP파트너로 계약을 체결
-일본 가전제품 글로벌 기업인 Panasonic사 역시 기존 TOP파트너로서 2024년까지 계약 체결 중임
-2013년 캐나다 타어어 사(Canadian Tire)가 캐나다 NOC와 스폰서 계약체결한 바 있어 계약이 만료되는 2021년까지 캐나다 지역에 대한 Bridgestone 사의 worldwide rights에 갈등이 에상됨
*Asahi Shimbum(아시아 신문)보도에 따르면 2016~2020 TOP Partnership대가로 US$3억4,400만 불(약3,440억 원)이라고 계약 전 사전에 시사한 바 있으나 IOC 등 공식 발표는 없음
4. 2024년 올림픽 잠재 유치 후보도시 4곳으로 압축(narrowed its list of candidates to bid for the 2024)/6월11일
-USOC는 Boston, LA, San Francisco, Washington,D.C.등 4개 미국 도시들을 2024년 올림픽 미국유치 잠정 후보도시들로 당초 압축함(Dallas, San Diego 등 2개 도시는 외부 관망 중/on the outside looking in)
-6월10일 USOC보스톤 집행위원회에서 Dallas 및 San Diego를 포함한 6개 도시를 압축하여 잠재 후보도시군(shortened list of potential bidders for 2024 Olympics)으로 발표함
5.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빚 청산 역사
-1976년 올림픽 개최도시인 캐나다의 몬트리올은 1976~2006(30년 간) 15억 달러(약 1조5척원 원)의 빚을 청산 한 바 있음
-올림픽 이후 사용되고 있지 않는 올림픽 야구장의 이름인 'Big O'를 'Big Owe'로 바꿔 부르며 당국의 실패를 비판하고 있음
6. 아시안게임 및 동계올림픽 개최지 변경 사례
1) 1970년 아시안게임(서울)을 제반여건 상 반납하여 태국 방콕이 대신 개최함
2) 1978년 아시안게임(이슬라마바드)을 제반 여건 상 반납하여 역시 태국 방콕이 대신 개최함
3) 2019년 아시안 게임(베트남 하노이)을 재정 여건 상 반납하여 오는 9월 OCA총회 시 대체 개최지 결정 예정(인도네시아, 인도, 말레이시아 경합 중)
4) 1976년 동계올림픽 (미국 덴버/Denver)을 예산부담으로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스위스 Sion으로 옮기려 했으나 역시 주민들의 반대로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Innsbruck)가 대신 개최함
7. ANOC 새로운 로고
-지난 3월 쿠웨이트 개최 ANOC집행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한 새로운 ANOC로고를 지난 5월20일 발표함(modern and professional era반영)
8. 차기 국제육상경기연맹(IAAF)회장 선출 전망
-2015년 7월 베이징 개최 IAAF총회에서 Lamine Diack(세네갈)현 회장 후임 회장 결정 예정
-후보로는 Sebastain Coe(영국 NOC위원장 겸 IAAF부회장)과 Sergey Bubka(우크라이나 NOC위원장 겸 IOC집행위원 겸 IAAF부회장)의 양대 후보의 2파전으로 예상
-여성 후보로 거론되었던 올림픽 육상 금메달리스트 출신 Nawal El Moutawakel(모로코) IOC부위원장은 불출마 선언함
-Lamine Diack 현회장은 Seb Coe후보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9. FIBT회장 선거
-지난 5월31일 모나코 개최 FIBT(International Bobsleigh & Skeleton Federation/국제 봅슬레이 연맹)총회에서 2010년 이래 회장을 맡아온 이태리의 Ivo Ferriani현 회장이 재선에 성공함
-경합후보로는 캐나다 전임 회장인 Bob Storey및 한국의 강광배 FIBT부회장이었음
10. USOC CEO 연봉 및 세금 내역 공개
-Scott Blackmun USOC CEO의 2013년 연봉은 US$130 만불(약 13억 원)임
-인센티브는 US$74만 9천 불(약 7억5천만 원)임(2012년 US$506,771 대비 9.7% 상승)
-USOC의 2013년 수입금은 US$1억6,820만 불(약 1,700억 원)이며 지출액은 US$1억9,570만 불)로 재정적자는 US$2,750만 불(약 275억 원)으로 알려짐
11. 러시아 NOC집행부 선거(5월30일)
-Alexander Zhukov 현 회장(IOC위원 겸임)이 단독 입후보하여 232표로 재선에 성공함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수중발레(Synchronized Swimming)선수출신인 Anastasia Davydova가 신임 사무총장으로 임명됨
12. 루마니아 NOC위원장 후임 선출(5월29일)
-IOC위원 직에 전념하기 위해 사임한 Octavian Morariu IOC위원 겸 NOC위원장 후임으로 루마니아 럭비협회회장인 Alin Petrache가 제16대 루마니아 NOC위원장으로 선출됨
-202표 중 143표 획득하여 경쟁후보인 루마니아 체조 팀 코치 Octavian Belu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조정선수 출신인 Elizabeth Lipa를 큰 표차로 제치고 당선됨
13. BBC Trust 이사회 차기의장 선출(Seb Coe)
-Sebastian Coe 영국 NOC(BOA)위원장이 선출유력함
-전임의장이 심장 수술로 사임하자 영국정부가 제안하였는데 David Cameron수상이 지지한 것으로 알려짐
14. 이태리 로마 2024년 올림픽 유치 도전 예상
-지난 6월10일 이태리 NOC(CONI)창립 100주년 기념 식에 Bach IOC위원장을 포함한 18명의 유럽 IOC위원들(미주 대륙 2명/ 아시아 및 아프리카는 전무)이 대거 참석함
-이 자리에서 로마가 2024년 올림픽 개최 가능도시로 거론되었다함(Rome as a possible host for the 2024 Olympics)
15. FIS회장 선출
-지난 6월6일 바르셀로나 개최 FIS총회 시 세계 최대 동계종목 단체(the largest winter sports federation)인 FIS(International Ski Federation)회장 선거에서 1998년 이래 FIS회장 직을 맡아온 Gian-Franco Kasper(스위스)현회장이 박수갈채로 재선(reelected by acclamation)에 성공함
-Kasper회장은1975년 고 Marc Hodler회장 아래에서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다가 2000년 IOC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하였음
16. 중국 IOC부위원장, ANOC부회장에 선출
-Zaiqing Yu중국 IOC부위원장이 지난 6월4일 쿠웨이트 개최 ANOC임시총회(100개 NOC대표들 참석)에서 ANOC부회장으로 임명됨
-임명동의안은 오는 11월 방콕개최 예정인 ANOC총회에서 인준 받을 예정임(His appointment will be ratified at the ANOC General Assembly in Bangkok in November.)
17. 사우디 IOC위원 겸 NOC위원장 사임(7월11일)
-Prince Nawaf Faisal Fahd Abdul Aziz 사우디 아리비아 NOC위원장(36세)이 7월11일 NOC위원장 직에서 사임함
-그의 IOC위원 직(2002년 선출)은 NOC자격이므로 자동적으로 IOC위원직도 함께 사라짐(His IOC membership was tied to his Presidency of the NOC.)
-7월11일 아침 그의 IOC위원 이력 소개 IOC홈페이지 웹사이트에서 이름이 삭제됨(his biograph\y pae on the IOC website had been deleted.)
-따라서 현 IOC위원 총수는 105명으로 감소함(정원 총 115명)
18. FISA회장 선출
-국제조정경기연맹(FISA: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회장으로 1989년부터 25년 간 장기집권했던 Denis Oswald(스위스 IOC위원)회장이 7월12일부로 회장직을 Jean-Christophe Rolland에게 넘겨줌
Jean-Christophe Rolland receiving the "key" to FISA from Denis Oswald. (FISA)
(Rolland 신임회장과 Oswald직전회장)
-2013년 9월 FISA회장으로 당선된 Rolland회장당선자는 10개월 간의 유예기간(a 10-month grace period)를 거쳐 두 사람 간의 지식전달 과정을 거친 바 있음(serving as a transfer of knowledge bewteen the two men)
-Oswald직전회장의 Rolland후임회장에 대한 당부의 말: "어떤 논쟁과 논의도 개인적인 관심사와 연결된 것은 업어야 하며, 언제나 조정과 조정선수를 무조건 최우선 순위 과제로 할 것"
"If we do have debates and discussions, it is never linked with any personal interests, but always for the good of rowing and rowers. You always put the interests of the athletes first and at the heart of discussions."
-Rollad신임회장은 1994년부터 FISA 에 몸 담아 왔으며 2002년부터는 FISA선수위원장 직을 맡았었음
19. 향후 전망(아시아 집중 현상 우려)
-2018년 동계올림픽(평창)-2020년 올림픽(도쿄)-2022년 FIFA월드컵(카타르)-2022년 동계올림픽(베이징? 알마티?)//아시아 집중 현상
-올림픽 고비용(2014년 소치 US$510억 불/약 51조 원)현상으로 글로벌 경제위기로 2024년 올림픽을 유럽도 발뺄 공산이 있음
-따라서 2024년 올림픽은 미국으로 갈 공산이 크다고 볼 수 있음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림픽 정상회의 협의내용 스케치 (0) | 2014.07.23 |
---|---|
ANOC집행위원회 이모저모 (0) | 2014.07.23 |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경쟁 집중탐구 (0) | 2014.07.15 |
2022 동계올림픽유치 상황 "Unstable" (0) | 2014.06.03 |
국제스포츠 계 최근 동향 종합(4월 분 발췌 및 5월 전체) (0) | 2014.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