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24. 6. 1. 11:13

[제77차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Assembly건강총회(527)에서 Bach IOC위원장 기조연설내용]

 

 

52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2024년 제77차 연례세계보건기구(WHO)세계건강총회(World Health Assembly)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한(he delivered a keynote address) Bach IOC위원장은 스포츠의 중요한 역할을 대중적 건강유지를 위해 특히 탁월한 저비용 고 영향 전달 도구”(low-cost high-impact tool par excellence for public health)라고 정의하면서 집중 조명하였다고 합니다.

 

 

President Bach addressed the 77th WHO World Health Assembly in Geneva. © IOC / Greg Martin

 

 

같은 날 IOCWHO는 지난 20205월 체결한 양자간의 협력 합의서(Cooperation Agreement)기간을 202512월까지로 연장할 것임을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동협약서를 통하여 IOC WHO는 지속적인 개발목표 3/Sustainable Development Goal 3 (양질의 건강과 복지/Good health and well-being)에 입각하여 공유한 약속(shared commitment)인 스포츠를 통한 건강한 사회 만들기(promoting healthy society through sport)와 非 전염병 예방에 기여하고자 하는 두 항목 실행을 펼쳐 나아가기로 허였다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은 세계건강총회의 주제-“모두가 건강을, 건강을 모두에게”(The theme of this World Health Assembly – ‘All for Health, Health for All’)는 집단적 행동에 시의 적절한 촉구이며 글로벌 건강도전과제에 대하여 합심의 노력이 필요함. 스포츠세계는 건강증진과 복원력 회복을 도모하는 공동체들이 각지에서 함께 하는데 그 한 축으로 준비되어 있음”(The theme of this World Health Assembly – ‘All for Health, Health for All’ – is a timely call for collective action. Addressing global health challenges is a team effort. The world of sport is ready to be a part of this team to build healthy and resilient communities everywhere)이라고 설파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대하여 WHO 사무총장9Director General)Dr Tedros Ghebreyesus본인은 Bach IOC위원장의 연설에서 언급한 우리의 파트너십에 전적으로 지지하는 바임: 귀하가 모든 것을 언급하였음”(I fully endorse President Bach’s remarks on our partnership: you have said it all) “우리가 몇 년 전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음으로 WHOIOC간의 파트너십은 괄목할 정도로 성장하여 왔음. 따라서 Bach IOC위원장의 리더십에 감사하는 바임”(Since we signed our MoU a few years ago, the partnership between WHO and the IOC has grown significantly, so thank you for your leadership, President Bach)이라고 응답하였다고 합니다.

 

WHO총회기간 중 Bach IOC위원장은 스위스연방 대표의원(Swiss Federal Councilor)Elisabeth Baume-Schneider, Mohamed Ould Ghazouani 아프리카연맹의장(Chairperson of the African Union), 2023년 노벨 생리학 및 의학상 수상자인(2023 Nobel Prize[1]winner in Physiology and Medicine) Katalin Karikó와 보츠와나 보건부장관(Minister of Health in Botswana) Edwin Dikoloti 그리고 IPC위원장인 Andrew Parsons 등과 접견하였다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 기조연설 전문(IOC President Thomas Bach’s Keynote Speech at 77th World Health Assembly Geneva, 27 May 2024)

 

Your Excellencies,

The power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WHO and the IOC is best illustrated by our different “Let’s Move” campaigns.

Already last year’s campaign exceeded our expectations.

When our next “Let’s Move” campaign kicks-off on Olympic Day, the 23rd of June, we will once again inspire people to move for health, getting millions of people around the globe to warm-up for the Olympic Games and celebrate the joy of sport.

This is why I invite also you to move, because sport keeps our mind and our body strong and healthy.

In this spirit, I would like to thank in particular the Director-General of the WHO, my dear friend Dr. Tedros Ghebreyesus, for the kind invitation to address you, the 77th World Health Assembly.

It is indeed a great honour to be here with you today.

Our meeting allows me to express my appreciation to everyone 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or your guidance, reassurance and support during the dark days of the pandemic.

The pandemic made it crystal clear how important sport is for our physical and mental health.

Sport can save lives.

Obesity, cardiovascular predispositions and other non-communicable diseases were the reasons for the vast majority of mortality during the pandemic.

For all these diseases and predispositions, sport is an excellent tool for prevention.

This is precisely what WHO and the IOC addressed through our joint campaigns like “HealthyTogether” or “Let’s Move” – getting millions of people to stay strong and active when life as we knew it ground to a halt.

Countless athletes stepped up to the fight against the virus, joining the pro-vaccination campaigns, working in hospitals, helping and comforting people, encouraging us to stay active and healthy – showing us that sport gives us hope.

A highlight of this athlete’s engagement was our digital Olympic workout, which in one single day introduced 500 million people around the globe to our joint campaign.

We took our cooperation to a new level when it came to organising two editions of Olympic Games during the pandemic.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ithout the WHO, and in particular without our great friend Dr. Tedros,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and the Olympic Winter Games Beijing 2022 would not have taken place in a safe way.

Thanks to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and vaccination programmes that we developed together with the WHO, we could make these Olympic Games safe for everyone – and without a single recorded transmission from the participants to host communities.

This is why it is also a great pleasure to see Professor Katalin Kariko here, who was at the origin of the vaccine development that we could all benefit from and I would like to thank her for this great contribution to humankind and in particular to the Olympic Games.

And I am very happy to have learned this morning that it was not your only contribution to the Olympic Movement – your daughter as a double Olympic champion is a great example of a healthy mind in a healthy body.

In Tokyo and Beijing, the athletes amazed us with their response to all the challenges, showing all of us the best that humankind can be, if we come together in peace, solidarity and unity of purpose.

This reaction of the athletes touched the hearts of billions of people around the world. If these Olympic Games would not have taken place, we would have a lost an entire generation of athletes.

This is why, in the name of all these Olympic athletes, and may I under the supervision of my dear friend, IPC President Andrew Parsons, also say the Paralympic athletes, I would like to thank you for standing by our side in these extremely difficult times.

Since then our partnership continues to go from strength to strength.

We continue to make sport available as the low-cost high-impact tool par excellence for public health.

As part of this effort, IOC and WHO are pioneering new ways of cooperating at the grassroots level, bringing together the expertise of both local health authorities and sport organisations.

Our aim is to facilitate access to community sport activities for over one million people. As part of this joint initiative, we are training coaches, teachers and community health workers of 500 different organisations.

We are doing so through innovative partnerships between National Olympic Committees, local health authorities and sports organisations at the community level.

This is why I would like to encourage you, for not to say, to urge you, to replicate this model of cooperation in your countries. Engage with your 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your local sport organisations to integrate the low-cost high-impact tool of sport in your healthcare and education systems.

Looking further ahead, we see a great need for future cooperation with WHO to promote the health of refugees. It was encouraging to see the WHO including health of refugees and migrants in your most recent Global Action Plan.

For the IOC, our work to support refugees through sport is led by our Olympic Refuge Foundation.

The ambitious goal of the Foundation is to give access to safe sport to one million young people affected by displacement by the end of this year.

Probably the most emblematic symbol of our commitment to refugees is the IOC Refugee Olympic Team, which we created for the first time at the Olympic Games Rio 2016, and which will participate with a record number of refugee athletes at the forthcoming Olympic Games Paris 2024.

Through this extensive refugee work together with UNHCR, we are noticing that specialist organisations are realising the importance of sport to address mental health issues.

Just to give you one example: a recent independent study of our sport for mental health programme for refugees in Uganda showed that severe depression from participants who engaged in sport dropped from 57 per cent at the beginning to just 6 per cent at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me.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engage in sport, showed only a very modest drop in depression symptoms.

Seeing this, we extend our hand to you, the WHO and public health authorities, to work closely together for and with refugees.

Your Excellencies, the theme of this World Health Assembly “All for Health, Health for All” is a timely call for collective action. Addressing global health challenges is a team effort.

The world of sport is ready to be a part of this team to build healthy and resilient communities everywhere.

Therefore, speaking under the control of my friend Dr. Tedros, I for once will dare to suggest a humble addition to your well-selected theme today: “All for Health, Health for All... Sport for All”.

From our longstanding experience to put sport at the service of society, we know that we have to bring the health benefits of sport to where the people are – this means at the grassroots level, in local communities everywhere.

The Olympic Games Paris 2024 will demonstrate this in a spectacular way.

A programme introducing 30 minutes of daily exercise in primary school throughout France is on track to reach more than four million children.

Paris 2024 is promoting sport and physical activity in over 4,000 municipalities across France. All these efforts to bring sport to where the people are will culminate with the Marathon Pour Tous, the Marathon For All, when over 40,000 people will run the same marathon route just hours before the Olympic athletes.

But Paris is only the most visible aspect of our mission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through sport.

Through our partnership with the WHO, we are going to communities everywhere around the globe, bringing sport to all.

We all share the same objective: All for Health. Health for All. Sport for All.

To build healthy and resilient communities we have to act faster, aim higher, be stronger – and we have to join hands.

In this spirit, I invite all of you to truly live our Olympic motto: Faster, Higher, Stronger – Together.

 

 

*References:

-IOC Olympic Highlight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30. 10:43

[故 김운용 IOC 부위원장이 분석한 2020년올림픽유치경쟁도시 장단점 및 국제스포츠계 동향과 한국 체육인과 체육계 그리고 태권도 미래 발전을 위해 남긴 메시지]

 

김운용 WTF청설총재가 IOC집행위원과 IOC부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IOC 내부와 국제 동향을 날카롭게 분석한 내용입니다

 

(1985년 동 베를린 개최 IOC총회기간 중 당시 김운용 WTF총재와 함께)

 

 

그동안 한국 최대의 민영 통신사 뉴시스를 통해 여러 분야에 대해 그때그때 나의 생각을 적어 스포츠뿐만 아니라 많은 분야의 여러분들과 교감을 할 수 있어 행복했다고 생각한다. 이제 나의 칼럼도 이번 60회로 2013년도 국내·외 스포츠계가 안고 있는 과제를 짚어보고 끝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9(2013)에 있을 부에노스아이레스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가 중요하다. 이번 총회는 지나친 상업화, 직업화, 비대화한 올림픽을 어떻게 골격과 평형을 유지하면서 21세기의 변화에 부응하게 하느냐는 문제를 안고 있다. 현재를 공고히 하고 이윤을 유지하면서 미래지향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스포츠, 문화 모든 것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는 인성과 관리의 결합이 필요하다.

당장 부에노스아이레스 총회에서는 향후 8년을 이끌어갈 IOC위원장 선거가 있다. 故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전 위원장이 만들어 놓은 재정 왕국 위에 안주해온 자크 로게 현 위원장은 은퇴하고, 후보로 독일의 토마스 바하, 싱가포르의 세르미앙 능, 포에르토리코의 리차드 카리온 위원 등이 경합하고 있다. 대만의 칭쿠오 우와 모로코의 나왈 무타와켈 위원도 거명되지만 나왔다는 것만으로 끝날 것 같다.

또 은퇴하는 로게는 IOC위원장도 봉급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는 봉급은 없었지만 사마란치나 로게는 상당한 경비를 썼거나 쓰고 있다. 또한 모니크 베르리오스 전 IOC 사무총장 말에 의하면 사마란치는 판공비 외에 연 80만 스위스프랑을 받았고 로게는 제3 IOC 위원장에 이어 두 번째 영광을 벨기에에 가져다 주었다고 해서 정부로부터 매년 보수를 받았다고 한다. 유럽 기자들에 의하면 로게는 2001 IOC위원장 선거에서 EOC(유럽올림픽위원회)로부터 50만 달러를 지원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총회에서 다룰 또다른 중요한 의제는 2020년도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이다. 총회에 앞서 6월에는 스위스 로잔에서 도쿄, 이스탄불, 마드리드 등 3개 도시가 IOC위원들에게 유치조건을 설명하는 자리가 있다. 이때 IOC위원장 후보들의 정강정책 발표도 있을 예정이다. 2001년 모스크바 총회에서 있었던 사마란치의 로게를 당선시키기 위해 만들었던 선거 규정과 총회에서의 후보들의 정강정책 발표를 배제한 악례를 없앤다는 것이다.

 

도쿄는 2016년 올림픽 후보 도시에서 조건이 제일 훌륭하면서도 득표에서 리우데자네이루에 패했다. 다시 도전하는 도쿄는 정치 안정· 탄탄한 재정· 시설· 교통· 안전· 운용· 경험과 능력· 경기장· 문화 등에 있어 최고의 준비를 자랑하며, 도쿄 도민의 지지율도 70%를 넘어섰다. 정부 주도이며 49억 달러의 투자를 예상한다. 약점은 지진· 쓰나미·그리고 동해와 남중국해에서 한국과 중국 사이의 영토 분쟁이다.

터키 이스탄불은 다섯 번째로 올림픽 유치에 도전한다. 시리아 문제가 겹쳐 있지만 최근에 이룬 경제 발전과 정치력 그리고 국제적 위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지리적으로 아시아 유럽 양 대륙에 걸쳐 있으며 최초로 이슬람 종교국가에서 개최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IOC가 세계 5개 대륙에 올림픽운동을 확산한다는 바람에서 남미의 브라질에 개최권을 준 것에 이어 아프리카의 남아공이 유력했는데, 남아공의 불출마로 이스탄불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이스탄불 유치는 국가 주도이며 19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스페인의 마드리드는 유럽의 주요 수도 중 유일하게 올림픽 개최를 하지 못한 곳으로 세 번째 출마다. 왕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으며 모든 시설이 이미 완비돼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바르셀로나올림픽(1992)이 너무 가깝다는 것과 현재의 심각한 경제적 불황과 사회 불안정이 걸림돌이다. 그래도 재정적 부담이 적어 충분히 개최할 수 있다고 장담한다. 남미의 지원을 받는 마드리드는 다크호스로 알려졌다. 마드리드 유치는 스포츠 주도이며 19억 달러면 최소비용으로 대회 개최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총회 안건 중 또다른 큰 문제는 25개 하계올림픽 핵심 종목 선정에 이어 추가 종목 한 개를 선정하는 것이다. IOC집행위원회에서 전통의 레슬링을 제외하면서 일어난 세계적인 여론 압박 속에서 5월 상트페테르부르크 IOC집행위원회의 결정이 주목된다. 과연 레슬링이 가라테나 스쿼시 그리고 통합된 야구 및 소프트볼과 함께 총회에 상정돼 올림픽 종목으로 복귀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압력이 어떻게 영향을 줄지 관심거리다. 태권도는 아무 영향을 안 받는다. 다만 2017, 새 종목 검토가 있을 때까지 태권도의 끊임없는 개혁이 요망된다. IOC의 새 집행부는 약물복용· 승부조작· 스포츠도박 등 올림픽에서뿐만 아니라 축구, 사이클 등을 강타하는 문제를 다루어야 할 처지에 놓여있다. 국제사이클연맹(UCI)이 장기간 은폐한 약물복용 문제는 랜스 암스트롱의 자백으로 이제 미국에서 사법문제가 되었고, 유로폴(Europol)이 축구의 도박문제를 다루고 있다.

한국 체육도 2012런던올림픽의 성공과 2016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준비를 하면서 박근혜 정부의 체육정책과 복지정책에 발을 맞춰야 할 시점에 서있다. 한국 체육은 1948년 정부수립 후 약 30년만인 1976몬트리올올림픽에서 겨우 금메달 1개를 따던 나라에서 이제 세계 10대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야구· 축구· 골프· 배구· 핸드볼 등에서 프로선수와 코치들의 활약이 세계적이고 우리 한류문화 1호인 태권도는 현대화· 세계화에 성공해 올림픽 종목이 돼 있다.

올해 대한체육회와 산하 각 경기 단체장들의 교체가 있었고 앞으로 4년간 자기 종목을 이끌어가게 되었다. 국가가 막대한 투자를 하지 않고서는 올림픽 유치나 금메달 상위 10개국에 못 들어가는 세상에 경기단체 출신 지도자가 자랄 틈도 없이 국사에 바쁜 정치인과 사업에 전념해야 할 대기업 대표들이 경기단체를 독식하는 풍조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어디에도 없는 현상으로 한국체육의 100년 대계를 위해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물론 특수한 예외도 있다. 또 체육단체 책임자 자리가 정부 퇴직 공무원의 봉급타기를 위한 취직 자리가 되어서도 안 되겠다. 대한체육회장 선거 규정도 고쳐 만 70세로 출마 정년을 바꿈직도 하다. IOC위원 정년도 70세인 시대다. 체육단체가 경직돼 관료조직처럼 되어서도 안되며 올림픽헌장정신에 의해 탄력있게 인성 위주로 운용되어야 할 것이다.

 

 

서 울=뉴시스】그동안 한국 최대의 민영 통신사 뉴시스를 통해 여러 분야에 대해 그때그때 나의 생각을 적어 스포츠뿐 아니라 많은 분야의 여러분들과 교감을 할 수 있어 행복했다고 생각한다. 이제 나의 칼럼도 이번 60회로 2013년도 국내·외 스포츠계가 안고 있는 과제를 짚어보고 끝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9월에 있을 부에노스아이레스 IOC(국제올림픽위원회) 총회가 중요하다. 이번 총회는 지나친 상업화, 직업화, 비대화한 올림픽을 어떻게 골격과 평형을 유지하면서 21세기의 변화에 부응하게 하느냐는 문제를 안고 있다. 현재를 공고히 하고 이윤을 유지하면서 미래지향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스포츠, 문화 모든 것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는 인성과 관리의 결합이 필요하다.

당장 부에노스아이레스 총회에서는 향후 8년을 이끌어갈 IOC위원장 선거가 있다. 故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전 위원장이 만들어 놓은 재정 왕국 위에 안주해온 자크 로게 현 위원장은 은퇴하고, 후보로 독일의 토마스 바하, 싱가포르의 세르미앙 능, 포에르토리코의 리차드 카리온 위원 등이 경합하고 있다. 대만의 칭쿠오 우와 모로코의 나왈 무타와켈 위원도 거명되지만 나왔다는 것만으로 끝날 것 같다.

또 은퇴하는 로게는 IOC위원장도 봉급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는 봉급은 없었지만 사마란치나 로게는 상당한 경비를 썼거나 쓰고 있다. 또한 모니크 베르리오스 전 IOC 사무총장 말에 의하면 사마란치는 판공비 외에 연 80만 스위스프랑을 받았고 로게는 제3 IOC 위원장에 이어 두 번째 영광을 벨기에에 가져다 주었다고 해서 정부로부터 매년 보수를 받았다고 한다. 유럽 기자들에 의하면 로게는 2001 IOC위원장 선거에서 EOC(유럽올림픽위원회)로부터 50만 달러를 지원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총회에서 다룰 또다른 중요한 의제는 2020년도 하계올림픽 개최지 선정이다. 총회에 앞서 6월에는 스위스 로잔에서 도쿄, 이스탄불, 마드리드 등 3개 도시가 IOC위원들에게 유치조건을 설명하는 자리가 있다. 이때 IOC위원장 후보들의 정강정책 발표도 있을 예정이다. 2001년 모스크바 총회에서 있었던 사마란치의 로게를 당선시키기 위해 만들었던 선거 규정과 총회에서의 후보들의 정강정책 발표를 배제한 악례를 없앤다는 것이다.

 

도쿄는 2016년 올림픽 후보 도시에서 조건이 제일 훌륭하면서도 득표에서 리우데자네이루에 패했다. 다시 도전하는 도쿄는 정치 안정· 탄탄한 재정· 시설· 교통· 안전· 운용· 경험과 능력· 경기장· 문화 등에 있어 최고의 준비를 자랑하며, 도쿄 도민의 지지율도 70%를 넘어섰다. 정부 주도이며 49억 달러의 투자를 예상한다. 약점은 지진· 쓰나미·그리고 동해와 남중국해에서 한국과 중국 사이의 영토 분쟁이다.

터키 이스탄불은 다섯 번째로 올림픽 유치에 도전한다. 시리아 문제가 겹쳐 있지만 최근에 이룬 경제 발전과 정치력 그리고 국제적 위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지리적으로 아시아 유럽 양 대륙에 걸쳐 있으며 최초로 이슬람 종교국가에서 개최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IOC가 세계 5개 대륙에 올림픽운동을 확산한다는 바람에서 남미의 브라질에 개최권을 준 것에 이어 아프리카의 남아공이 유력했는데, 남아공의 불출마로 이스탄불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이스탄불 유치는 국가 주도이며 19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스페인의 마드리드는 유럽의 주요 수도 중 유일하게 올림픽 개최를 하지 못한 곳으로 세 번째 출마다. 왕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으며 모든 시설이 이미 완비돼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바르셀로나올림픽(1992)이 너무 가깝다는 것과 현재의 심각한 경제적 불황과 사회 불안정이 걸림돌이다. 그래도 재정적 부담이 적어 충분히 개최할 수 있다고 장담한다. 남미의 지원을 받는 마드리드는 다크호스로 알려졌다. 마드리드 유치는 스포츠 주도이며 19억 달러면 최소비용으로 대회 개최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총회 안건 중 또다른 큰 문제는 25개 하계올림픽 핵심 종목 선정에 이어 추가 종목 한 개를 선정하는 것이다. IOC집행위원회에서 전통의 레슬링을 제외하면서 일어난 세계적인 여론 압박 속에서 5월 상트페테르부르크 IOC집행위원회의 결정이 주목된다. 과연 레슬링이 가라테나 스쿼시 그리고 통합된 야구 및 소프트볼과 함께 총회에 상정돼 올림픽 종목으로 복귀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압력이 어떻게 영향을 줄지 관심거리다. 태권도는 아무 영향을 안 받는다. 다만 2017, 새 종목 검토가 있을 때까지 태권도의 끊임없는 개혁이 요망된다. IOC의 새 집행부는 약물복용· 승부조작· 스포츠도박 등 올림픽에서 뿐 아니라 축구, 사이클 등을 강타하는 문제를 다루어야 할 처지에 놓여있다. 국제사이클연맹(UCI)이 장기간 은폐한 약물복용 문제는 랜스 암스트롱의 자백으로 이제 미국에서 사법문제가 되었고, 유로폴(Europol)이 축구의 도박문제를 다루고 있다.

한국 체육도 2012런던올림픽의 성공과 2016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준비를 하면서 박근혜 정부의 체육정책과 복지정책에 발을 맞춰야 할 시점에 서있다. 한국 체육은 1948년 정부수립 후 약 30년만인 1976몬트리올올림픽에서 겨우 금메달 1개를 따던 나라에서 이제 세계 10대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야구· 축구· 골프· 배구· 핸드볼 등에서 프로선수와 코치들의 활약이 세계적이고 우리 한류문화 1호인 태권도는 현대화· 세계화에 성공해 올림픽 종목이 돼 있다.

올해 대한체육회와 산하 각 경기 단체장들의 교체가 있었고 앞으로 4년간 자기 종목을 이끌어가게 되었다. 국가가 막대한 투자를 하지 않고서는 올림픽 유치나 금메달 상위 10개국에 못 들어가는 세상에 경기단체 출신 지도자가 자랄 틈도 없이 국사에 바쁜 정치인과 사업에 전념해야 할 대기업 대표들이 경기단체를 독식하는 풍조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어디에도 없는 현상으로 한국체육의 100년 대계를 위해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물론 특수한 예외도 있다. 또 체육단체 책임자 자리가 정부 퇴직 공무원의 봉급타기를 위한 취직 자리가 되어서도 안 되겠다. 대한체육회장 선거 규정도 고쳐 만 70세로 출마 정년을 바꿈직도 하다. IOC위원 정년도 70세인 시대다. 체육단체가 경직돼 관료조직처럼 되어서도 안되며 올림픽헌장 정신에 의해 탄력있게 인성 위주로 운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학교체육, 엘리트체육, 사회체육을 균형있게 발전시켜야 하며 이미 유치해온 평창동계올림픽, 인천아시안게임, 광주유니버시아드대회도 경제성 있는 성공 개최가 되도록 함으로써 국민 부담을 줄여 절약된 재원은 국민복지와 국방장비 구입에 충당하기를 바란다. 고령화시대, 지역사회 건전화를 위해서 생활체육 활성화도 추진해야 할 일이다. 여기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의 협동이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의 무작정 국제경기 유치도 정부의 강력한 조정이 필요하다. 이미 한국은 동·하계 올림픽, 월드컵 축구, ·하계 아시안게임, ·하계 유니버시아드, 세계육상, 세계사격, 세계펜싱, 세계조정 등을 그것도 여러 번 개최한 나라다. 장애인올림픽과 스페셜올림픽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제 외국의 봉이 되어서까지 무작정 유치에 뛰어들 단계는 지난 것 같다.

1994
년 세계태권도연맹(WTF) 창설과 함께 자력으로 국기원(KKW) 건립 20년 만에 파리 IOC총회에서 850이라는 전무후무한 표차로 올림픽 입성에 성공한 태권도는 끊임없는 개혁만이 2017년 하계올림픽 종목 선정에도 살아남는 길일 것이다. 파리 IOC총회에 갈 때 여비 지원도 한 푼 없었다. 다만 30개 관()을 통합하고 국기화, 세계화에 성공하고 자력으로 건립한 재단법인 국기원이 해체당하고 특수법인이 돼 태권도와 무관한 인물을 임용해 태권도의 전통과 독립성이 영향을 받게 된 것은 앞으로 시정되어야 할 일이다. 국기원은 국기 태권도의 본산이지 월급 타는 취직자리가 아니다. 맨주먹으로 국기원을 건립하고 세계태권도연맹을 창설해 태권도를 올림픽 종목으로 입성시킨 창설자로서는 심히 개탄스럽다.

정치 논리에서 시작된 무주 태권도원이 수천억원을 들여 완성되면 국기원도 태권도원에 통합된다는 설이 파다하다. 무주의 태권도원이 얼마만큼 태권도 발전에 보탬이 될지 아니면 축구장처럼 유지비에 얼마만큼 재정 지원을 해야 할 지 모르지만 지금은 소림사 무공시대도 아니고 태권도는 올림픽 스포츠이며 태권도 대학과 학과가 50개를 넘는 시대에 와 있다. 근대 태권도의 본산으로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국기원을 무력화해 억지로 합리화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
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

 

 

*References:

-Newsi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29. 10:57

[인류 5Super Food 중 으뜸인 한국의 김치(K- Food Olympic Kimchi)가 올림픽 식구(Barcelona 1992올림픽 이래)가 된 사연]

 

 

태권도를 올림픽(Sydney 2000~)에 넣은 분이 故 김운용 IOC 부위원장이라면 필자는 K-Food인 김치를 올림픽(Barcelona 1992~)에 넣었습니다.

 

한국인은 김치가 없으면 에너지원에 문제가 생길 정도로 김치는 우리 모두에게 없어서는 안될 인류 5 Super-Food 5가지(김치-올리브유-낫또-요구르트-렌틸 콩) 중 으뜸입니다.

 

 

 

 

과거 한국 선수들은 김치와 고추장을 별도로 지참하여 국제스포츠 경기대회나 올림픽에 참가하면서 가끔 수모(?)도 감내하며 김치 힘으로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곤 했습니다.

 

LA1984올림픽부터 십 수번의 동하계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임원으로 참가하면서 한국선수들에게 절실한 것이 무엇일까 유심히 지켜 보다가 김치를 올림픽공식메뉴에 넣으면 우리 선수들의 경기력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다음은 필자가 저술한 스포츠외교현장 이야기인 총성 없는 전쟁에 수록된 올림픽 김치 이야기 편입니다.

 

[올림픽 김치 이야기]

 

김치는 대한민국, 우리 한민족의 혼과 얼과 정신과 문화와 지혜와 웰빙(Well-being)의 콘텐츠(Contents)가 고스란히 스며들어, 인류의 식생활과 건강을 지켜줄 한국의 먹거리 인류문화유산(World's Food Cultural Heritage) 1호이다.

 

미국의 지배계층인 WASP(White Anglo-Saxon Protestants: 앵글로 색슨계 백인 신교도)의 웰빙 식단의 단골메뉴로도 자리 매김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우리 한국인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불가결한 인생 동반자(Life Partner)인 셈이다.

 

현대인의 고질병인(chronic disease)인 당뇨병(Diabetes), 고혈압(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각종 암(Cancers)은 물론, 치질(Hemorrhoids), 변비(Constipation), 치매(Dementia), 심장질환(Cardiac disorder)등 생로병사 중 병(Disease)발생을 사전에 예방(prevention)하고, 조절해주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해주고 있다는 김치를 먹고 있는 한국인은 근본적으론 건강체이다. 신토불이(Our body and soil are inseparable each other)정신에 입각하여 보면, 요즘 즐겨 먹는 서양 음식 중 치즈의 영양성분은 이미 김치 안에 다 들어가 있다.

 

김치의 영양성분을 보면,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a variety of Vitamins), 칼슘(Calcium), 젖산균(Lactic Acid Bacteria)등이 함유되어 있어 우리 체내의 병균(pathogenic bacteria)번식을 억제해 준다. 또한 면역체계(immune system)를 활성화해줌으로써 에이즈(AID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나 사스(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그리고 조류독감(AI: Avian Influenza/Bird Flu)등도 물리쳐줄 수 있다.

 

외국인들에게 있어서 감기(Cold; Influenza; Flu)는 가벼운 질병(slight disease)이 아니다. 우리민족은 예로부터(from time immemorial) 감기를 '고뿔'이라 칭하고, 뜨끈뜨끈한 온돌방에서 땀 흘리고 자고 나면 쉽게 낫는 병으로 취급해 왔다. 이는 우리민족의 체내에 축적되어있는 김치 성분 중 마늘(garlic)이 함유되어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마늘의 주성분(main constituents)중의 하나인 알리신(Allicin)은 인체(human body)내에서 단백질(Proteins)또는 탄수화물(Carbohydrate)과 결합될 때(when combined with) 강력한 살균제(tough disinfectant) 겸 항생물질(Antibiotic)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며, 항암(fight against some cancers)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아무나 김치만 먹으면 단숨에 사스를 퇴치(SARS Fighters)할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나, 우리 민족처럼 조상대대로(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김치 성분이 체내에 오랫동안 축적되어 온 체질(physical constitution)의 소유자들에겐 AIDS SARS나 조류독감균이 침투하기 매우 어려운 것만은 사실일 것이다.

 

김치는 고추 가루(Chili Pepper Powder), 마늘(Garlic), 소금(Salt), 생강즙(Ginger Juice) 및 젓갈류(Pickled fish foods with salt)등이 오묘하게 어우러져서 생성된 독특한 종합 양념(spices and condiments), 절인 배추(Fermented Chinese Cabbage)와 버무린 화끈한(fiery) 반찬(side dish)이지만, 완전식품이다.

 

필자는 1984년 제23 LA올림픽대회 한국선수단 선발대 임원으로 현지에 도착하여 당시 선수촌(Olympic Village)으로 꾸며진 남가주 대학(USC: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 사전 입촌 하여 선수촌 식당의 식단을 보고 놀랐다. 미국에서 개최되는 올림픽대회의 메뉴에 한국의 김치가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는 미국인 다운 발상으로 LA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한인들로부터 추천 받은 아시아대륙대표 음식인 셈이었다. 선수촌 식단에 김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올림픽에 참가하는 우리 한국 선수들은 따로 김치를 한국으로부터 공수해올 필요가 없어졌고, 미국 특유의 정통 스테이크에 김치를 얹어 먹은 우리 대한의 대표선수들은, 1948년 런던 올림픽참가이래, 그때까지 가장 좋은 성적을 낼 수가 있었다.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62kg급의 김원기 선수, 레슬링 자유형 68kg급 유인탁 선수, 양궁의 여자부 서향순 선수, 유도 하프헤비급의 하형주 선수, 유도 라이트급의 안병근 선수, 복싱 미들급의 신준섭 선수 등 한국 선수단은 6개의 금메달을 획득하여 개최지 미국 하늘에 태극기가 휘날리고 애국가가 울려 퍼질 수 있었다.

 

1988년 제24회 서울 올림픽 대회에서는 주최국으로서 당연히 김치가 올림픽 선수촌 메뉴로서 전 세계 올림픽 참가 선수 임원들에게 소개되었지만, 이는 개최국의 음식으로 프리미엄(premium)이라고나 할까.

 

다음 번 올림픽 대회인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대회에서도 한국의 김치가 올림픽메뉴로 등장할 것인가는 미지수였다.

 

필자는 1991년 한국선수단 사전조사단장자격으로 스페인, 바르셀로나 현지에 도착, 조직관계자들과 각 부분별 협의를 하였다. 선수촌 급식담당자와의 업무 협의중 올림픽 선수촌 식당메뉴리스트를 보고 싶다고 하니까,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고 하면서, 추천할 음식이 있느냐고 필자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이 아닌가?

 

백문이불여일견(Seeing is believing. / A picture is worth a hundred words.)이라.

필자는 그 날 저녁 조직위 급식담당관을 어렵게 수소문하여 바르셀로나 시내 한국 식당으로 초청하였다. 불고기와 쌀밥 그리고 김치 등을 주문하였고, 맛을 본 담당관은 김치를 샐러드(Salad)로 적극 추천하겠노라고 하면서 조직위 메뉴 관련 급식 회의를 한 후 진행사항에 대해 연락을 하겠다고 하였다.

 

사전 조사 협의를 마치고 귀국한 지 1주일가량 지나서 드디어 바르셀로나 올림픽대회 조직위(COOB)로부터 팩스 한 장이 날아왔다.

 

회신 내용은 긍정적이었고, 다만, 김치물량확보와 조달방법 그리고 김치 생산업체를 소개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당시 이종택 체육회 사무총장과 故 김종열체육회장께 보고 드리고, 급히 김치 조달 및 공수를 위한 수소문에 들어갔다.

 

당시 백성일(당시 대한체육회 국제 기구과 올림픽 담당 직원/현 세계 무예 마스터십위원회 사무총장)씨가 바르셀로나 올림픽대회 한국 선수단 파견 실무자로서 필자와 함께 바르셀로나 현지 조사활동을 한지라 백성일 씨도 이리저리 백방으로 알아보았으나, 그 때까지만 해도 김치는 대부분 담가 먹었기 때문에 국내에서 김치를 대량생산하여 시중에 유통 판매하는 업체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백성일 씨가 사무실에 출근해서 김치 팩 샘플을 가지고 나온 것이 아닌가. 내용인즉 집에서 이런저런 이야기 끝에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조달할 김치이야기를 하니까 백성일 씨 부인이 동네슈퍼에서 판매하고 있다고 하여 그 김치팩을 구입하여 가져온 것이다. 그 김치가 바로두산 종가집 김치였던 것이다.

 

필자는두산 종가집 김치회사로 전화를 하고 담당이사를 사무실로 불러, 바르셀로나 올림픽대회 올림픽 선수촌 식당에 납품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였고, 그 담당자도 처음엔 얼떨떨한 표정이었으나, 곧 자신 있게 가능할 것 같다고 하여 천신만고 끝에 김치가 본격적인 올림픽 공식메뉴로서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가 마련된 셈이었다.

 

올림픽대회기간 중 올림픽 선수촌 식당에 가보니, 바르셀로나 현지에서 태권도 도장을 운영하는 한국인 사범이 김치담당관으로서 발탁되어 올림픽 조직위측 공식 김치 매니저(Manager) 겸 우리 민족의 음식문화전달자로서 근무 하고 있었다. 참 자랑스럽고 흐뭇한 순간이었다.

 

이렇게 한국선수단이 올림픽무대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쾌거 뒤에는 항상 김치가 기운을 북돋워준 셈이다.

 

여자 공기소총의 여갑순 선수는 올림픽 선수촌에서 김치로 컨디션을 조절하여 바르셀로나 올림픽대회 제1호 금메달을 조국 대한민국에 안겨주었고, 몬주익의 영웅 황영조 선수는 김치의 힘으로 올림픽 최고의 메달이자 대회 마지막 금메달인 마라톤 금메달을 쟁취함으로써 한국 스포츠의 황금기를 구가하는데 감격적인 기여를 하였다.

 

대한민국 만세! 김치 만세! , 필승 코리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대회에서 김치가 공식 메뉴가 되었다고 해서 1996년 애틀랜타대회, 2000년 시드니 대회, 2004년 아테네 대회, 2008년 베이징대회에도 지속적인 올림픽 공식 메뉴로 확정된 것은 아니었다.

 

필자는 미래를 대비하여, IOC 집행위원회와 NOCs(국가올림픽위원회; National Olympic Committees)와의 연석회의, 각국단장회의 등 각종 국제회의 때마다 해당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준비상황 보고 時 반드시 균형 있는 식단(balanced food)을 강조하면서, 아시아권의 음식이 올림픽 메뉴에 선택(Selection)되도록 공식적으로 발언하여 운을 뗀 뒤, 해당조직위와의 사전협의회의시 김치와 쌀밥을 넣도록 각고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 덕분에 실제로 1996년 애틀랜타 대회,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대회, 1998년 방콕아시안게임, 2000년 시드니 대회,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대회, 2004년 아테네 대회 2006년 토리노 대회까지 김치가 올림픽공식메뉴로 채택되어 한국선수들은 물론, 전 세계 선수들의 맞춤 입맛(tailored taste)화 하는데 최선을 다하였다.

(이러한 올림픽 김치 전통은 오늘날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으니 필자로는 가슴 벅찬 일이다.)

 

2002Salt Lake City 동계 올림픽대회가 시작되기 직전 필자는 올림픽 선수촌으로 사용될 유타주립대학교(University of Utah)기숙사 식당주방에 초대받게 되었다.

 

이유인즉, 대회 시작 전 선수촌 회의실에서 개최된 각국 선수단장회의에서 필자가 발언한 쌀밥, 그것도 찰밥(Sticky rice) 조리법에 대한 확인 요청과 관련되었다는 것이다.

 

도착 첫 날 배식이 된 밥은 뜸이 들지를 않아서 설익은 밥이 여러 날 계속되었기 때문에 일일 단장회의석상에서 필자가 요청한 내용을 점검해 달라는 주문이었다.

 

원래 올림픽 선수촌주방시설은 안전상(for security reason)통제가 엄격한 지역인 바, 필자는 색다른 특권(privilege)를 부여 받은 셈이었다.

 

주방장은 쌀을 씻고 조리한 과정을 필자에게 일일이 브리핑(briefing)해 주었다. 쌀은 찰지고 질도 양호해 보였다. 주방기구도 훌륭했다.

 

그러나 밥은 여전히 설익은 맛이었기에 주방에 1시간가량 머물면서 함께 직접 밥을 지어 보였다. 조리 과정에서 한 가지 미흡한 점이 발견되었다.

 

바로 뜸 들이는 과정이 생략되었던 것이다.

 

쌀에 적정량의 물을 붓고 익혔다가 불기운을 조금 낮추고 김을 조금씩 빼면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야만 쌀이 숙성 과정(maturing process)을 거쳐 본래의 밥맛이 난다고 설명하면서 이 같은 조리법을 3일에 걸쳐 실습해 준 결과 밥 다운 밥이 제공 되었던 것이다.

 

「뜸 들인다」(to be patiently steamed to a proper degree at different heating intervals)는 말을 영어로 설명해도 감(feeling of awareness)이 오질 않을 수밖에...

 

그 비결은 5000년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민족의 은근과 끈기, 참을성 있게 지켜봐 주고 정성을 드리는 과정인데. 그 이후로 조직위 관계자들은 필자 영어 이름인 로키(Rocky)에다 찰밥(sticky rice)를 붙여, Sticky Rice Rocky」로 부르기도 했다.

 

입에 착 달라붙는 따뜻한 쌀밥에 김치. 이 맛은 기운을 북돋아주고 우리 선수들에게는 금메달이 착 달라붙는 올림픽의 맛이리라. 이 맛 영원하여라!

 

 

[외국인에게 김치 담그는 법 영어로 설명하기(Kimchi Recipe)]

 

1. 배추를 깨끗이 씻고, 반으로 쪼갠 뒤 소금물에 절인다.

(Clean the cabbage, and split in half and pickle in salt.)

2. 무와 파를 가늘게 썰어 둔다.

(Slice radish and green onions into thin strips.)

3. 마늘과 생강을 갈아 둔다.

(Ground garlic and ginger.)

4. 고춧가루와 무채를 버무린다.

(Mix ground red pepper with radish.)

5. 미나리, , , 마늘, 및 생강을 버무린다.

(Mix in dropwort, leaf mustard, green onions, garlic and ginger.)

6. 젓갈류와 소금을 양념으로 사용한다.

(Use fermented sea pickles and salt for seasoning.)

7. 준비된 각종 양념을 배춧잎 사이사이에 골고루 넣는다.

(Put the prepared ingredients evenly between cabbage leaves.)

8. 배추 겉 잎사귀로 배추 전체를 싸고 땅에 묻힌 김장용 항아리 안에 넣어 보관한다.

(Use an outer leaf to wrap the cabbage and pack the heads in an earthen jar)

 

2006 4월초 서울에서 개최된 제115 ANOC(국가올림픽위원회 총연합회) 총회 및 IOC 집행위원회 회의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은 방한 마지막 날인 4 8일 아침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 조찬장에서 아침 뷔페 식단 중 김치를 접시 가득 담고 있었다.

 

필자가 다가가 "김치는 인류 5대 최고 건강음식 중 하나이며 30여년 넘게 올림픽 공식 메뉴로 이미 자리매김 했다.(Kimchi is one of 5 Best Human Health Foods, and has been positioned as an official food item in the Olympic Games Menu for the past 20 plus years.)" 고 말을 건네면서 전날 조정원 WTF(세계태권도연맹) 총재로부터 부여 받은 태권도 명예 10단에 대한 축하인사를 건네자, 로게 위원장은 "Thank You, my friend."라고 미소 지으며 필자와 악수를 나누기도 하였다.

 

식탁에 함께 앉아 식사를 하고 있던 자크 로게 IOC 위원장 부부에게 "Bon Appetit et Bon Voyage.(식사 맛있게 하시고 좋은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라고 작별인사를 한 후 ANOC서울 총회에 참석했던 IOC 수장과의 서울 만남을 결산한 바 있다.

 

 

(2008Beijing개최 ANOC총회 개회식에서 필자에게 ANOC공로훈장을 전수한 Mario Vazquez Rana 당시 ANOC회장과 Jacques Rogge 8IOC위원장이 공로 패를 필자에게 전달해 주고 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24. 22:36

[국제스포츠외교역량강화 총체적 Upgrade 방안 (Part IV)]

 

*순서:

. Intro(도입부)

. 국제스포츠계역량강화 구체적 실행방안

. 한국 스포츠 외교의 현주소

. 결론: NOC국제역량정상화를 위한 체육 조직의 효율적인 구조조정이 답이다

 

 

4. 결론: NOC국제역량정상화를 위한 체육 조직의 효율적인 구조조정이 답이다

 

40여년 전부터 대한체육회장은 대한올림픽위원회(KOC)위원장을 겸하고 있었다. 분리 문제가 불거진 몇 년 전부터 지금까지 논의가 미뤄져 왔다. 단도직입적으로 체육회업무와 올림픽 등 국제 업무는 발전적으로 기구를 최 적합하게 조정해야 맞다. 현재 생활체육까지 걸머진 대한체육회(KSOC)가 감당할 수 없는 부분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의 사례를 볼 때 두 기구가 합한 경우 NOC(국가올림픽위원회)가 중심축인 경우가 전부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국은 정반대다. 효율성과 조직 운영 효과 측면에서 문제가 많다. 한국은 여러 차례에 분리와 통합의 단계를 거쳐 마침내 2003년 분리 운영됐던 체육회와 NOC를 하나로 통합했다. 원래 조직체계는 초창기 일본을 모델로 삼았다. 하지만 정작 일본은 비효율성과 스포츠 외교 전문성 미흡으로 국제 스포츠외교에서 뒤떨어지자 결단을 내려 2004년 아테네올림픽 무렵 일본체육회와 JOC를 분리했고, 현재까지 상호협력관계를 이루고 있다. 최근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국제 스포츠계에서도 영향력을 넓힌 게 이와 무관하지 않다. 우리도 향후 2036년올림픽유치에 IOC의 적극적인 협력을 얻어내기 위해 국제스포츠계와 소통하고 인맥을 활용할 수 있는 스포츠외교능력을 발휘할 독자적이고 전문성이 담보된 기구 보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올림픽위원회와 국민생활체육회와 통합된 대한체육회(KSOC)의 모습은 IOC의 올림픽 헌장 규정에도 위배된다. 현실적으로 정부로부터 완전히 독립됐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 체육회는 정부로부터 수 천억원의 예산을 지원받고 있다.

 

(1)회장에 당선되면 문체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회장뿐만 아니라 체육회 임직원 조직개편과 직제도 관리 감독 및 승인 대상이다.

(2)예산 집행도 정부의 감사대상이 된다.

 

(3)회장 선거도 독자적 방식과 동떨어져 정부 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진행한다. 사실상 IOC의 올림픽헌장에서 규정하는 독립된 단체가 아니라는 뜻이다.

 

IOC가 이런 실상을 문제 삼으면 즉시 자격 정지 대상이 될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다. 대한체육회가 NOC의 기능을 함께 하고 있지만 조직운영자체가 체육회 우선으로 업무처리를 하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도 현재의 KSOC대한체육회가 아니라 영문 명칭처럼 대한체육올림픽위원회인데 대한체육회로 그릇되게 명기하고 있다. 향후 올림픽이 우선인 KOSC(Korean Olympic and Sports Committee/대한올림픽체육회)로 명칭도 바꾸고 업무 운영 면에서도 올림픽을 우선으로 하는 명실상부한 NOC(국가올림픽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거나 일본의 경우를 벤치마킹하여 KOC와 대한체육회를 분리하여 자율성과 독자성을 되찾아야 한다.

 

 

 

한 국가 체육관장기구와 올림픽기구가합쳐야 하느냐, 아니냐엔 정답이 없다. 각 국가 사정에 맞춰야 한다. 하지만 우리처럼 정부로부터 예산 대부분을 지원받으면서 관리 감독을 받는다면, 국가올림픽위원회를 별도로 두는 게 바람직하다.

 

반대로 대한체육회가 NOC의 기능을 겸하려면 정부의 영향력 행사를 피하기 위해 재정적인 자립을 취해야 한다. 대한체육회는 정부의 지원 속에 엘리트·생활 체육 발전에 온 힘을 다하고, 분리된 NOC는 고유의 업무영역에서 올림픽헌장을 준수하여 철저히 자율성과 전문성을 보장하겠다는 것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누가 회장이 되든 대한체육회<KSOC>(정확하게는 대한체육올림픽위원회)가 글로벌 마인드로 풀어야 할 최우선 과제 중 하나다.

 

우리나라스포츠계의 고질적 문제인 엘리트 위주의 체육 정책을 개선하고 선수 ()폭력 문제를 근절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스포츠혁신위원회는 2019 8월 대한체육회와 대한올림픽위원회(KOC)의 분리를 권고했다. 체육회는 국내 체육을 총괄하고 KOC는 국제스포츠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구조로 개편하자는 이 방안을 놓고 논란이 거듭됐다. 이제 체육계의 의견을 수렴해 올림픽중심의 대한올림픽체육회(KOSC)로 거듭나던지 아니면 현재의 체육회가 KOC와 발전적으로 분리·독립하고 동등한 입장에서 상호 보완하며 상호 협업해야 국제경쟁력이 살아날 수 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23. 09:51

[국제스포츠외교역량강화 총체적 Upgrade 방안 (Part III)]

 

*순서:

. Intro(도입부)

. 국제스포츠계역량강화 구체적 실행방안

. 한국 스포츠 외교의 현주소

 

 

 

3. 한국 스포츠 외교의 현주소

 

*Stagflation (Stagnation + Inflation)

 

(1)  IOC위원 수로 본 한국 스포츠외교위상

 

유럽과 미국은 차치하고 아시아에서 한국, 중국, 일본( 3)Tokyo20202023년을 계기로 모두 3명 보유국이 되었다. 한국도 현재 3명이지만 향후 각각 2024(유승민 선수자격 IOC위원/8년 임기만료) 2024년내지 2025(이기흥 NOC자격 IOC위원/70세 연령제한)이면 모두 IOC위원직에서 면직되어 국제경기연맹(ISU)회장 자격으로 2023년 선출된 김재열 IOC위원 단 한 명 만 남을 수 있다. 이 또한 2026ISU회장 선거결과에 따라 최악의 경우 이마저 사라질 수 있는 경우의 수도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은 1947 6 20일 제41차 스톡홀름 IOC총회에서 KOC IOC회원국 NOC로서 승인을 받은 지 8년 만에 배출한 한국의 첫 IOC위원(이기붕 부통령)시절인 1955년도 당시 수준에 불과한 위상으로 쇠락하였다가 다시 권토중래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당시 문대성 선수(2004년 아테네올림픽 태권도 금메달리스트/동아대 교수) IOC위원(선수자격)선출 덕분에 다시 IOC위원 2명 보유국가로 회귀한 바 있었다. 한때 한국출신 IOC위원 3명 모두 IOC로부터 IOC위원 자격정지(suspension)처분을 받은 바 있었다. 물론 이들 3명은 각기 다른 시점에서 대통령특별사면복권을 받았으나 이들 중 2(이건희-박용성) IOC위원자격도 복권된 바 있었다. 그래서 한국 IOC위원들은 정치적 영향력에 취약하다는 국제적 시각과 평가도 있었다. 이들 한국 IOC위원3명 중 한 명인 김운용 IOC부위원장(2017년 작고)은 불운하게도 IOC위원 자격정지상태에서 국내외 정치적 상황(2005)으로 IOC위원 직에 복귀도 하지 못한 채 자진사퇴 하였고, 또 다른 한 명인 박용성 국제유도연맹회장은 국제연맹자격 IOC위원으로 복귀는 하였으나 국제적 상황(2008년 초)으로 자의 반 타의 반 IOC위원 직 자진사퇴의 사례도 있었다. "Convicted is convicted" "Not innocent until found innocent. "Not guilty until found guilty"

 

(2)  향후 차세대스포츠외교관 육성 방안

 

그 동안 자생적으로 스스로의 노력으로 스포츠외교관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현장 경험에 바탕을 둔 스포츠 외교 관련 애로사항, 건의사항, 현재 한국 및 개도국 스포츠 외교의 문제점, 최근 실행되고 있는 스포츠외교인력양성 국내외 프로그램의 허와 실, 향후 차세대 스포츠외교인력양성계획에 대한 진솔한 평가 와 대책, 기존 스포츠 외교 인력의 체계적인 네트워킹, 지속 발전 가능하고 국제적 인지도와 활용잠재력이 출중한 스포츠외교인적자원에 대한 국가차원의 전폭적 지원, 국제스포츠 외교전문가 등에 대한 곱지 않은 편향된 시각과 불필요한 갈등관계를 화합과 협력 동반자의 관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등 광범위하고 피부에 와 닿는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수순을 밟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국제스포츠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이나 국제스포츠 외교현장에서 열심히 활발하게 뛰고 있는 인사들에 대한 평가는, 일부 신성불가침적 인사들을 제외하고, 대체로 시기와 질투, 심지어 음해성 헐뜯고 깎아내리기의 단골 대상인 동시에, 이들 중 몇몇 대상은 국제적으로 소위 잘 나가고 인정받는 상황이 되고 이에 따른 잦은 해외 출장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국내 스포츠 인사들과의 접촉이 빈번하지 못해 국내 스포츠 인사들과의 네트워킹이 원활하지 못 할 경우 평소 특정 대상 인물에 대해 탐탁하지 않게 여겨온 비뚤어진 심성을 가진 소수 인사들이 주동이 되어 이러한 국제 스포츠 외교 인력들에 대해 감싸주고 격려하여 국제적으로 뻗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는커녕 건방지고 설치고 잘난 척하고 해외출장을 독식하는 아주 이기적인 사람으로 폄하하고 급기야는 어느 날 영문도 모르는 음해성 평가에 스스로 억울하지만 나쁜 평을 그대로 감수해야 하고 일일이 해명하기는 더더구나 어려울 뿐만 아니라 때로는 조직적이고 편 가르기 식 저인망 구설수에 종종 휘말려 미움의 대상이 되어 스포츠 계를 떠나고 싶도록 스트레스를 촉발하는 소수 그룹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한국스포츠외교위상 및 역량강화 노력을 역행하게 하는 독버섯이다. 이것부터 근절해야 한국 스포츠외교가 바로 선다. 소위 안티(Anti)세력이 많다고 하는 세간의 소문에 영향을 받아 적재적소에 필수불가결하게 등용되어 자리매김함으로써 국가 스포츠 외교에 유익하고 효과 만점의 첨병이 되어야 할 인재에 대한 인사배치흐름이 표류하고 있고 그러한 환경에서 할 수 없이 아웃사이더가 되어버린 아까운 인재들은 야인으로 전락되어 결과적으로 국가적인 커다란 전력손실이 되고 마는 예가 스포츠 계에도 비일비재하지 않나 염려된다. 현대 사회에서 성인(Saint) 적 인격의 소유자 또는 처신과 처세의 달인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 이외에는 누구에게나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안티(Anti)세력이 공존한다. 어떤 이는 “No Anti, No Achievement."(안티 세력이 많다는 이야기는 실제로 일을 많이 했다는 뜻이다)라고 역설적으로 말씀하는 구제스포츠계 인사도 있다. 사촌이 땅을 사도 배가 아프지 말아야 한국 스포츠 외교가 바로 선다.

 

현대 스포츠외교의 꽃은 ‘IOC위원’이다. 차제에 차세대 IOC위원진출을 도모하기 위한 ‘IOC위원후보군인력풀’에 해당되는 인재들을 발굴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국가차원의 전략적, 정책적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가동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 탐구도 고려해 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 밖에 스포츠외교력의 또 다른 가늠자 격인 스포츠 관련 국제기구본부도 대한민국 영토 내에 세계태권도연맹(WTF)이외에는 전무(全無)하다. 현재 다양한 국제스포츠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인스포츠외교관(IOC, OCA IFs ) 들의 경우 지속적인 국가적 차원의 지원 없이 개인차원에서 고군분투(孤軍奮鬪)하고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들에 대한 국가차원의 전폭적이고 실질적이면서 다양한 정책차원의 지원과 격려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향후 代를 이어 그 분들이 어렵사리 닦아놓은 스포츠외교기반과 위치를 계승 발전 시켜 나아갈 차세대 스포츠 외교관 후계자들로 하여금 그 자리를 이어받게끔 사전 동반 스포츠 외교활동을 통해 인맥 및 외교력 지평을 넓혀 줌으로 대한민국 스포츠 외교의 미래를 豫備(예비), 對備(대비), 準備(준비)해야 한다. 함께 同苦同樂(동고동락)하며 함께 펼쳐 나아 갈 수 있는 射手(사수) - 助手(조수)시스템으로 이끌어 주어야 한다. 대한민국 스포츠 외교의 위상과 지속발전방안이 바로 정립되고 그 힘이 유지되면서 제대로 발휘되어야 대한민국의 국제 스포츠 경쟁력이 세계 속에서 발전적 優位(우위)를 점하면서 그 빛을 發 할 수 있다.

 

To be Cont’d…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21. 10:15

국제스포츠외교역량강화 총체적 Upgrade 방안 (Part II)

 

 

*순서:

 

. Intro(도입부)

. 국제스포츠계역량강화 구체적 실행방안

 

 

2. 국제스포츠계역량강화 구체적 실행방안

 

1) 스포츠외교역량 인재 발굴 및 양성(스포츠외교관 인증서와 스포츠외교아카데미 "청연"/靑淵/Blue Ocean)

 

십 여년 전 지금은 국민체육진흥공단(KSPO)으로 업무가 이관된 체육인재육성재단(NEST)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에 교육 위탁한스포츠외교인재과정특강을 세 시간 넘게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강생들과 열띤 토론을 벌이면서 한국스포츠외교의 앞날을 함께 진단하여 보았다.

 

수강생들은 2006 Torino동계올림픽 여자 쇼트트랙 메달리스트였던 변천사 선수를 비롯한 선수 출신 및 가맹경기단체 관계자들이었다. 모두들 스포츠외교관이 되기를 희망하지만 불확실한 미래와 진로, 불안정한 스포츠외교관 양성 시스템 등으로 확신과 확고부동한 비전을 가슴에 품는 것조차 버거워 보였다. 현재로서는 스포츠외교관이 되려는 차세대 유망주들이 힘차게 날갯짓을 하고 비상할 창공이 열리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겠다.

 

본격적으로 방법을 찾자면 활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인 현실적 대안의 부재가 작금의 상황이기도 하다. 강의를 진행하던 중 이러한 현실적 문제의 실마리를 풀기 위한 궁여지책으로 우선 필자가 2004 년부터 운영해 오고 있는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ISDI: International Sport Diplomacy Institute) 명의로스포츠외교관인증서를 부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하여 실낱같은 희망을 심어주기도 하였던 바도 있었다.

 

 

 

물론 2004년 발족하여 올해로 20년 째인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은 법인으로 보는비영리법인체이자 NGO에 불과하기 때문에 국가적 공신력이나 신통력을 부릴 수는 없지만, 그래도 누군가가 나서서 실타래를 풀어나가야 한다는 생각으로 사명감을 가지고 임하여 왔다.

 

스포츠외교분야는 앞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진정한블루 오션’(Blue Ocean)이 아닐까? 향후 추진하려고 계획 중인 한국 최초의스포츠외교관인증서발급은 개도국 포함 미래의 스포츠외교관들에게 비전과 용기와 자신감을 부여하기 위한 첫 단추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 사업 역시 많은 관계자들이 격려해주고 동참해줘야 올 바른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외교는 거저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스포츠외교는 복잡 미묘 다단한 국제스포츠 계의 얽히고설킨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태동하고, 성장하고, 이어지고, 오고 가고, 주고받는 우정과 우애와 의리가 끈끈한 연결고리처럼 연쇄 작용을 일으켜 상호간에 화학반응을 통해 진화·발전하는 살아 움직이며 숨 쉬고 느끼고 상응하는 유기체와 같다고 할 수 있다.

 

개도국의 국제스포츠외교역량을 강화하려면 우선 국제스포츠 계의 동향과 흐름을 지속적으로 잘 이해하고 국제스포츠단체의 성격과 기능과 역할 등도 잘 숙지해야 한다. 스포츠외교의 최고봉은 역시 올림픽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올림픽운동의 이모저모를 잘 꿰고 있어야 스포츠외교관으로 대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2~3개의 외국어(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를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불편 없이 구사할 수 있어야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상호간에 소통이 되어 국제스포츠 계에서 진정한 의미의 스포츠외교관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시미나창”(시작은 미약하나 그 나중은 창대 하리라.)의 성경적 원리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예를 들면 "스포츠외교관 "등급을 "Gold", "Silver", "Bronze" 3개 범주(Category)로 분류하여 가칭 "스포츠외교아카데미"로 볼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캠프를 통해 개도국 선발 자들로 하여금 소정의 과정을 이수하고 자격이 갖추어지면 등급 별로 "ISDI-스포츠외교관 인증서"를 부여 하려고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스포츠외교아카데미의 명칭은 "청연/靑淵(Blue Ocean)으로 명명하려 한다. 이 경우 필자의 모교인 한국외국어대학교 그리고 별도의 유관기관과 공조체제로 운영하려고 해 보았지만 아직 노크 단계다.

 

세계 최초의 "스포츠외교관 인증서"발급 자체를 순수한 차원에서 개도국 차세대 스포츠외교관들에게 비전과 용기와 자신감을 부여하기 위한 인센티브 첫 단추로 여겨 주었으면 한다. 모두가 격려해 주고 함께 동참해 주어야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함께하면 일취월장"(Together we can raise the bar even higher.)인 것이다. 2차 세계대전의 암울한 시대에 살면서 전쟁의 공포에 떨고 있던 영국 국민에게 1940 513일 영국 수상(Prime Minister)으로 취임 직후 영국하원에서 한 첫 번째 연설에서 Winston Churchill 경은 저는 피와 수고, 눈물과 땀 외에는 드릴 것이 없다.”(I have nothing to offer but blood, toil, tears and sweat.)라고 하여 수상으로서 견마지로”(犬馬之勞)의 헌신을 영국 국민에게 약속함으로 희망과 용기를 불어 넣은 유명한 일화다.

 

우리네 인생은 고달프긴 하지만 결코 좌절하지는 말아야 한다. “인생이란 폭풍우가 지나가기만 하염없이 기다리는 것이 아니고 바로 그 폭풍우와 함께 그 속에서 함께 춤을 추면서 동고동락하는 것이다.”(Life is not about waiting for when the storm is over, but about dancing in the storm).

 

스포츠외교는 거저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스포츠외교는 복잡 미묘 다단한 국제 스포츠 계의 얽히고 설킨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되어 태동하고 성장하고 이어지고 오고 가고 주고받는 우정과 우애와 의리가 눈에는 안보이지만 끈끈한 연결고리처럼 연쇄 작용(連鎖作用/ripple effect))을 일으켜 피차 상호간에 화학작용을 통해 진화되어가는 살아 움직이며 숨 쉬고 느끼고 반응하는 생물인 것이다.

 

2) 스포츠외교의 기본정신과 가치

 

IOC가 강조하는 올림픽의 가치(Olympic Values)(1)탁월성(Excellence) (2)우정(Friendship) (3)존중(respect)이다. 여기에 덧붙여 (1)파트너쉽(Partnership), (2)스포츠맨쉽(Sportsmanship), (3)신사도(Gentleman-ship), (4) 우정(Friendship), (5) 스폰서십(Sponsorship), 6) 스킨십(Skin-ship: 영어단어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아주 훌륭한 감성과 情이 적절히 반영되어 표출된 한국적 영어표현으로 곧 Webster 사전에 등재될 만한 가치를 내재하고 있음)은 각각,  (1) 공존공영(Co-Existence & Co-Prosperity), (2) 공명정대(Fair Play), (3) 예의범절(Good Manners), (4) 친선(Goodwill), (5) 지원과 성원(Backup & Support), 그리고 (6) 이심전심(以心傳心/heart-to-heart)의 친밀 교류(Close Relationship/Hand in Hand, Shoulder to Shoulder, and Heart to Heart)를 잉태하게 되어 있다. 이것이 바로 스포츠외교의 기본 정신이며 가치다.

 

스포츠외교를 잘 하려면 우선 국제스포츠 계 동향과 흐름을 잘 이해하고 국제 스포츠 단체의 성격과 기능과 역할 등도 잘 숙지해야 한다. 스포츠외교의 최고봉은 올림픽이다. 올림픽운동의 이모저모를 잘 꿰고 있어야 스포츠외교관으로 대성할 수 있다. 물론 2-3개의 외국어(영어, 불어, 스페인어 등)를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불편 없이 구사해야 만이 필요한 정보 취득과 쌍방향 소통이 되고 국제스포츠 계에서 진정한 의미의 스포츠외교관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최소한의 필수적인 내용들을 수록한 현장에서 본 스포츠외교론" 스포츠외교론(과 대한민국 스포츠외교실록일부)”라는 제목의 교재 용 책도 2012년 및 2020년에 각각 출판되었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인 것이다.(It takes more than pearls to make a necklace.)

 

<국내·외 스포츠단체비교표>

 

국제스포츠기구 해당국내스포츠기구
SportAccord/GAISF(국제경기연맹 총연합회/2023년 말 조직 해체로 SportAccord만 존속) 대한체육회(KSOC)
IOC(국제올림픽위원회) ANOC(세계각국올림픽위원회 총연합회) KSOC(대한체육회/대한체육올림픽위원회)-->KOSC(대한올림픽체육회)로 구조조정 또는 KOC와의 상호 협업조건부분리로 국제경쟁력과 역량 갖춘 글로벌 마인드 전담기구 재정비 절실
FISU(국제대학스포츠연맹) KUSB(대한대학스포츠위원회)
IFs, ASOIF, AIOWF, SportAccord, ARISF, AIMS NFs(국내가맹경기단체)-->상응 국내 기구 미 결성 상태
IANOS-APOSA, TAFISA, IMGA KSOC(통합 대한체육회)-->생활체육기능 특정화 전문화 기능 Upgrade필요
IPC(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 대한장애인체육회(KPC)

 

 

3) 국제스포츠기구 본부를 대한민국에 유치하자

 

Intro에서 언급한 스포츠외교인력 양성 외에도 중요한 것이 또 있는데, 그것은 국제스포츠기구의 본부를 우리나라에 유치하는 것이다. 국제스포츠기구의 본 부가 가장 많이 자리매김한 곳은 스위스의 로잔느, 취리히, 모나코의 몬테카를로 등이다. 아시아에는 OCA본부가 있는 쿠웨이트와 몇 년 전 부산광역시가 유치신청을 냈다가 실패한 국제배드민턴연맹(IBF/현재는 World Badminton) 본부가 새롭게 이전한 말레이시아의 콸라룸푸르 등이다.

 

물론 우리 한민족의 우수성이 찬란히 간직되어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자리매김한 태권도의 세계 본부가 한국에 있다. 한편 국내에서 국제기구를 법인화 할 경우 법인설립절차가 복잡하여 10여년 전 비영리법인자격으로 국제스포츠기구본부를 당시 회장 거주지역인 서울에 둔 바 있었던 국제유도연맹(IJF)의 본부가 한동안 존치했었다. 그러나 현행 국내법상 국제스포츠기구가 현지법인화하여 대한민국 내에 본부를 두고 둥지를 틀기에는 정비하고 개정 및 보완해야 할 제반 관련 규정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0년 및 2014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대외공동사무총장과 국제사무총장을 맡았던 필자와 공로명 유치위원장, 김진선 강원도지사(집행위원장) 등이 지난 2003년에 2010년 동계올림픽 유치출사표를 제출하고 개최도시가 결정될 제115 IOC총회 참석차 프라하로 출발하기 앞서 청와대에서 당시 한국 IOC위원, KOC위원장, 유치위원회핵심임원 등을 위한 격려 오찬이 있었다. 당시에 참석자 전원에게 발언권이 주어졌는데, 필자는 맨 끝 순서로 발언권을 부여 받아 故 노무현 대통령에게 국제스포츠기구의 본부를 대한민국 내에 유치할 것을 건의를 드린 바 있었다. 故 노무현 대통령은 필자의 건의에 대해상당히 중요하고 주목할 만한 사안이라고 규정하면서 당시 이창동 문화관광부장관과 함께 각종 관련법령의 개정 및 완화방안을 마련해 보라고 지시한 것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시일이 다소 걸리더라도 관련법령 등의 개정을 통하여 국제스포츠기구가 하나 둘씩 대한민국 내에 그 둥지를 트는 날, 국가인지도상승과 관광진흥, 해당 국제회의 개최 등 파급효과와 더불어 우리 대한민국 스포츠외교의 위상은 물론 영향력도 그만큼 지대해 질 것이다.

 

4) 스포츠외교관 ‘Think Tank”

 

대한민국을 포함한 개도국의 스포츠 계도 지금부터는 학연, 지연, 혈연, 파벌 등 구태의연한 구습을 과감히 타파하여야 스포츠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고, 뛰어난 친 화력과 경쟁력으로 국제스포츠외교 계에서 활동할 능력을 가진 스포츠인재들을 과감히 발탁 기용하여 철저히 국익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글로벌 스포츠정책차원의 탕평책성인사등용을 제안한다.

 

경기인, 메달리스트, 체육 행정가, 국제 심판, 체육 기자, 체육 교수, 스포츠외교관 등의 뛰어난 식견·경험·지식 및 인맥을 총동원하여 스포츠‘Thinktank’를 만들고, 후배들을 위한미래스포츠외교 글로벌 꿈나무 일백 명 양성 계획을 통하여 이 모든 소중한 가치가 담긴 스포츠외교유산이 전달 및 전수되도록총체적 스포츠 지식 및 인맥 전수 프로그램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Think globally, Act locally!”

 

우리나라 스포츠외교관(경기 분야, 선수분야, 국제심판분야, 체육기자분야, 체육학분야, 체를 비롯하여 개도국 체육행정분야, 스포츠외교분야 등)들 중에는 개인적 경륜과 인맥 이 출중한 기라성 같은 인재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제도적 지원체제미비로 인하여스포츠문화재적 국제 외교인맥자산이 방치되어 그러한 인재들의 탁월한 외교 인맥과 지식이 후배들에게 전수되지 못한 채 대가 끊긴 예도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재정비해야만 국제스포츠외교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o be Cont’d…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20. 10:32

[국제스포츠외교역량강화 총체적 Upgrade 방안/Part I)]

 

*순서:

 

. Intro(도입부)

 

 

 

1.  Intro(도입부)

 

 

한국을 포함하여 개도국의 스포츠 계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은 해당개도국의 외교적 위상이 줄어든 탓도 아니요, 해당국가들의 경제가 어려워져서도 아니다. 다만 국제무대에서 끊임없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육성을 지속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노력이 부족하다고 본다.

 

지금이라도 세계 체육계에 강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인물을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키워 내야 한다. 그러나 국제스포츠계는 결국 영어로 소통하는 곳이며, 영어 소통 능력이 부족하면 실력이 있어도 제 목소리를 의견을 내고 대안을 제시 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어떤 국제 단체나 기구도 마찬가지이며, 그 결과로 상대적으로 영어 등 외국어에 약한 일본이나 중국의 발언권이 국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데 반해 영어권에 속하는 아프리카 등 제 3세계 지도자들이 오히려 쉽게 국제기구의 수장이 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그런 면에서 향후 개도국 스포츠계가 세계 스포츠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약 기회를 적극 모색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1979년 창설되어 격년제로 개최되던 세계 스포츠UN총회 격인 ANOC서울총회를 1986년이 이어 2006년 및 2022년 등 세 차례에 걸쳐 성공적으로 개최하고서도 사실상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개최국 프리미엄을 충분히 얻어냈다고 확신할 수 있는 가시적 소득이 없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체육관련 인물 중 ANOC 기구의 집행위원은 단 한 명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ANOC규정상 대륙 별 기구인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의 헤게모니도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세계스포츠기구 중 최고집행기관인 IOC 의 집행부 입성은 2005년 옥중 사임한 김운용 前 IOC부위원장 이래 아무도 엄두조차 못 내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OCA회장이 임명한 OCA부회장 1명과 OCA 환경분과위원장(집행위원) 1명이 한국스포츠외교의 체면을 유지하여 오고 있을 뿐이다.

 

그나마 OCA20235월 방콕 개최 OCA회장선거파문으로 IOC의 제제 속에서 조직운영자체가 불안정한 상태이다. 2024년 511일 개최된 제43OCA총회에서는 기존 OCA헌장규정의 70%정도를 개정한다고 알려졌다. 그러는 가운데 쿠웨이트는 OCA본부를 쿠웨이트에 계속 존속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OCA본부는 여행 시간-여행경비뿐만 아니라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라도 아시아대륙 중간지점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 2012년 이후 ANOC총회가 매년 개최되었는데, 총회에서 ANOC 회장, 부회장, 사무총장을 비롯한 각 분과위원회 위원장 및 집행위원 등이 선출(한국인은 한 명도 없음)되었다.

 

설상가상으로 2021ANOC서울총회도 석연치 않은 이유로 그리스 크레타로 최종 변경되었다가 1년 후인 2022년 서울에서 ANOC총회를 개최할 만큼 한국은 실속 없는 스포츠외교로 허송세월 해 온 점이 없지 않다  

 

지금부터라도 대한민국 스포츠외교를 빛낼 차세대 최적의 후보자 군을 물색하고 특정화하여 ANOC집행부 및 분과위 임원에 피선되도록 KSOC를 중심으로 범 정부적인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철저하게 선출 방안과 전략을 현장분위기에 맞게 수립한 후 실행에 옮겨야 할 때이다.

 

물론 2011 77일 평창이 3수 도전 만에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2007년 과테말라 IOC총회에서 실시된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선정투표에서 평창이 관료 및 정치인들을 비롯한 대규모 유치단원들이 현지에 서 다방면의 외교활동을 펼쳤지만 고배를 마시고 말았던 쓰라린 기억이 생각난다.

 

이는 단편적으로 펼치는 스포츠외교는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보여준 교훈이었다. 또한 당시 북한의 장웅 IOC위원도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스포츠외교를 펼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바로 조직 속으로 파고드는 활동이다. 우리나라 옛말에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속으로 들어가라.”가라는 말이 있듯이 조직 내부에서 보다 많은 외교 인력이 장기적이고 꾸준한 활동으로 친분을 쌓고 이어 간다면 그 효과는 실로 엄청나게 크게 나타날 것이다.

 

To Be Cont’d…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16. 09:50

[김운용 전 IOC부위원장이 만난 장웅 북한 IOC위원은 남북스포츠교류의 징검다리 역할 (“김운용이 만난 거인들”)]

 

 

북한 최고의 스포츠외교관인 장웅 북한 IOC위원과 필자는 국제스포츠계 공식석상에서 김운용 전 IOC부위원장의 국내사법문제로 국제스포츠계에서 활동이 정지된 2004년부터 필자는 김운용 IOC부위원장의 뒤를 이어 북한의 장웅 IOC위원 겸 국제태권도연맹(ITF)총재)와 가장 긴밀하고 각별한 관계를 유지해 왔습니다.

 

 

(Athens2004올림픽 당시 IOC본부호텔인 아테네 힐튼호텔 및 2007년 과테말라 IOC총회 당시 장웅 IOC위원과 함께)

 

 

그는 평창동계올림픽유치활동에서도 피는 물보다 진하다라고 이야기 하면서 보이지 않는 자문과 협조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남북 스포츠 교류징검다리역할]

 

지난 10년 동안에 남북관계는 많은 일이 있었다. 3년간의 민족상잔을 겪고 50년 만에 남북화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특히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올림픽 선수단이 시드니올림픽에서 ‘KOREA’라는 팻말을 들고 같은 유니폼을 입고 동시입장을 하며 세계의 갈채를 받은 지도 벌써 10년이 지났다. 그 동안에 북한은 핵개발을 해서 6자회담이 시작되더니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사태까지 벌어졌다. 남북한 선수단이 50년간의 적대행위를 끝내고 미·중의 핑퐁외교를 연상시키며 국제스포츠 사회에서 국제 룰에 따라 경쟁과 협력의 길을 가던 일도 역사가 되어버렸다. 그 과정에 중간에 서서 북한의 체육을 국제화하고, 남북의 다리 역할을 한 사람이 장웅 IOC 위원이다.

북한에는 권력을 가지고 있든가, 정치적으로 유명한 사람이 많다. 그러나 장 위원은 그렇지 않으면서도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낯익은 사람이다. 많은 한국 체육인들이 만나고 싶어 하는북한 스포츠의 얼굴인 것이다.

장웅은 1938년 평양에서 태어나 평양체육교육대학을 나왔다. 한국동란이 끝난 1956년부터 10년간 군복무를 마쳤고 1970년에서 1974년까지는 체육전문학교에서 농구 강의도 했다. 큰 키가 말해주듯이 원래 농구 선수다. 그의 북한 스포츠계 등장은 1980년에 북한체육위원회 부서기장, 1985년에 북한체육위원회 서기장이 되면서부터다. 가장 뚜렷하게 외부 세계로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90~1991년 사이 일본 지바에서 열린 세계탁구선수권대회와 포르투갈에서 있었던 세계청소년축구대회 남북단일팀 구성을 위한 남북체육회담에서였다. 남북단일팀은 지바 탁구대회에서 한반도기를 내걸고 세계를 제패했다. 그가 한 말 중에북경아시안게임 등 여러 목적을 위해 남북체육 대표들끼리 회담에서 합의 본 것이 20번도 더 되는데 그때마다 상부에서 정치적 이유로 부결되었다. 체육인들끼리 아무리 해도 소용없다는 대목이 기억에 남는다.

1994
9월 필자가 파리 IOC총회에서 태권도를 올림픽정식종목으로 넣기 위해 애를 쓰고 있을 때 현장에는 태권도를 방해하기 위해 북한 공작원, 가라테 연맹 관계자(Delcoart 회장 등), ITF(국제태권도연맹) 관계자 등 우락부락한 사람들이 몰려다니고 있었다. 그때 장웅 북한 올림픽위원회 사무총장이 나타나자 우리측 인사가 항의를 했다 한다. 그랬더니 장웅은그런 게 아니다라며 부드럽게 말하고, 딴말을 안 했다 한다. 다른 사람들과는 달랐던 것이다.
2000
년 들어 남북정상회담이 열리고 태양정책(햇볕정책)과 더불어 남북화해 무드가 한창 일어날 때 리우데자네이루에서 IOC 집행위원회가 열렸다.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는 건 선수선발 등 복잡한 문제 때문에 할 수 없었다. 반면 동시입장은 독일의 예도 있고 경기는 따로따로 하니 선수권익에도 별문제 없는 듯 생각되어 필자가 사마란치한테 제의했다. 사마란치는 원래 정치적 센스가 있는 사람이고 IOC가 평화공존을 외치는 단체라 대찬성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곧 집행위원의 동의를 얻어 남북한 국가원수에게 제안서를 보냈다.

남북정상회담 때 평양에서 김정일 위원장에게 제안 사실을 꺼내도 반응이 없었고 장웅도 아무 말 못했다. 각계 대표회의에서도 거론했지만 아무 말 없었다. 후일 장웅은 나에게남북회담 때 김대중 대통령이 김정일 위원장에게 직접 말했으면 김 선생(필자)이 고생을 덜 했을 터인데 괜히 고생했다고 실토한 적이 있다.

계속 IOC와 남북간에 교신이 있었지만 늘 그렇듯이 북에서는 회신이 없었다. 그런데 시드니에서 장웅을 대표로 하는 북한대표단과 IOC 위원장, 필자가 교섭을 시작하게 됐다. 공항에 내리면서 장웅 위원이 가능성을 비추기도 해서 사실 좀 안심하기도 했다. 하루면 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국호 문제는 코리아(KOREA)로 귀결되었고, 국기는 한반도기로 합의를 보았다. 한반도기는 이미 지바 세계탁구대회 단일팀 구성 때 써 본 일이 있었다. 유니폼은 우리가 제공하고, IOC 4만 달러의 비용을 책임졌다. 문제는 양쪽 선수의 수였다. 체면 상 반반이 제일 좋은데 우리는 참가선수가 300여 명인 반면 북한은 실제 65명밖에 안 되었다. 외형 상 우리가 150명씩 주장하다 안 되었고 결국 100명씩도 안되어 장웅이 평양에 전화연락을 해 IOC 20명을 IOC비용과 비자(VISA) 조치 등을 해서 중국을 경유해 추가로 북한에서 초청하여 90명씩으로 하기로 하고 급진전, 합의를 보았다. 물론 경기는 자기 국기를 쓰고 별도로 참가, 서로 응원하기로 했다. 처음으로 상호응원, 상호방문 등을 하였다. 개회식에서는 전 세계가 격려하고 경기장 10만 관중과 귀빈들이 기립박수를 하는 가운데 남북이 동시입장을 하였다. IOC제의에 따라 상징적으로 장웅 위원과 필자도 함께 행진했다. IOC 위원이 선두에서 함께 들어오라는 것이었다. 나는 행진만 하고 빠져 나왔다.

 

< 필자와 장웅 IOC 위원이 2003년 대구유니버시아드 대회 중 WTF ITF 협력각서에 서명하고 있다.>

 

시드니에서 필자가 주최하는 리셉션에도 처음으로 북한 임원진이 참석했고 서울에서도 안상영, 유종근, 최재승, 이건희 등 많은 손님들이 참석했다.

개회식 동시입장이 끝난 수일 후에 북한선수단이 체육협력을 위해 100만 달러를 지원 요청 해왔다. 당시 이건희 회장은돈 안주고 협력이 된 최초의 케이스로 3억 달러 가치는 있다고 할 정도였다. 갑자기 자원이 없어 격려금, 판공비, IOC지원금 등을 끌어 모아 시드니올림픽 폐회식 전에 50만 달러를 지원해 주었고 나머지 50만 달러는 후에 지원해 주기로 약속했다. 장웅의 요청에 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체육위원회 지원금이라고 써주었다. 서울에 와서 청와대에서 김대중 대통령 내외가 한국선수단을 위해 뜰에서 환영회를 베풀어 주었다. “이번에는 남북이 동시입장을 이룩했지만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시간도 있고 하니 한발 나아가서 단일팀을 구성하기로 남북이 의견을 모았다. 그런데 남북의 경기력이 워낙 차이가 나서 북한 경기력을 비슷하게 끌어 올려야 하는데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더니 김대중 대통령이체육회장이 도와주시오라고 했다. 통일부에 이야기를 했더니스폰서 잡으세요라고 했다. 그때 여기저기서 끌어 모아서 지원한 것이 나중에 모두 국가의 허가 없이 했다 하여 횡령으로 몰렸다.

그 후 한국의 태권도 시범단을 북한으로 보냈고 북한시범단을 서울로 오게 했다. 모두 장웅 위원의 협조 덕분이었다. 필자가 자의반 타의반으로 WTF를 떠난 후에는 아무리 WTF가 요청해도 남북교류는 성사가 안 되었다 한다. 1981년에 있은 IOC 지시대로 WTF ITF의 통합문제가 늘 현안이었다. 장웅은 ITF 창설자 최홍희 총재가 2002년 사망하자 뒤를 이어 비엔나(Vienna)에 있는 ITF 태권도의 총재가 됐다.

 

(20021024일 북측 태권도시범단 서울공연 당시 워커힐호텔에서 환영 리셉션 후)

 


그러나 세력도 세력이지만 WTF는 올림픽종목에 들어가 있고 ITF는 그렇지 못한 상태라 동등하게 할 수도 없었다. 그리고 IOC는 모든 사람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어 양측이 만나서 조금씩 기술문제부터 해결해 나가기로 잠정 합의를 하였다. 그 일환으로 내가 회장으로 있는 국제경기연맹(GAISF)에도 무도위원회를 만들어 ITF가 매년 참석하게 했다. 장웅 위원을 GAISF 무도위원장으로 위촉하기도 했다. 그런데 내가 물러난 후 네덜란드의 장사꾼인 베르브루겐 GAISF 회장 대리(사이클연맹 회장)가 장 위원을 빼버렸다.

WTF
ITF의 통합문제는 아직도 현안이다. 한 종목에 국제연맹이 두 개 있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두 개 있던 것이 하나로 통합한 것은 야구와 배드민턴이 있다. 그 두 종목은 통합 후에 올림픽에 들어갔고 태권도는 내가 IOC 부위원장이었기 때문에 기회를 놓치지 않고 통합 전에 먼저 올림픽에 넣은 것이다. 장웅 위원은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2003년 대구유니버시아드 대회에도 참석했고 마지막으로 온 것은 강원도 초청으로 2007년에 춘천, 서울을 방문했을 때였다. 연락이 와서 신라호텔에서 식사를 같이했다.

2004
년 필자가 말도 안 되는 평창동계올림픽 방해 모함으로 정치적 테러를 당했을 때 장웅 위원이 영수증이라고 서신을 보내왔다. ‘자기들은 영수증 쓰지도 않고 액수도 안 쓰고 도장도 안 갖고 다니지만 민족적 차원에서 도움을 받았고, 감사하다는 내용의 편지였다. 자기 편지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시작할 때 김진선 당시 강원도지사가 장웅 위원을 만나게 해달라고 하여 주선해 주기도 했다. 초창기에 백지상태였던 강원도에 무척 많은 IOC 위원을 소개해 준 생각이 난다. 인천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해서 많은 협조를 해주었고, 광주유니버시아드 유치 때는 광주(시장 박광태)가 한반도 평화통일에 이바지한다는 슬로건에 맞춰 북한 대학생의 참가를 희망한다고 그 뜻을 전했더니 흔쾌히 동의해 주기도 했다.

시드니올림픽 개·폐회식 동시입장을 시작으로 상호 지원, 교류, 상호 응원 공동 훈련 등 남북 체육 교류는 세계의 관심 속에 발전했다. 그런데 2008년 베이징올림픽 때는 서로 눈도 안 마주치고 말도 안 하는 처지가 되었다. 결국 민족화합에 있어 스포츠가 앞설 수는 없고, 스포츠는 정치의 영향 하에 있는 것일까?

2001년 이금홍, 윤강로, 최재승과 평양에 갔을 때는 모란봉 초대소에 유숙했고 필자는 덩샤오핑이 묵었다는 방에 들었다. 남북체육교류, 태권도 통합문제 등 기탄 없이 토의했고 덕분에 태권도 도장, 체육선수촌도 둘러보았다.

 

 

 

(평양모란봉초대소 뒤편 을밀대에서 좌로부터: 이금홍 WtF사무총장, 김운용 IOC부위원장 겸 WTF총재, 최재승 국회문광위원장 및 필자/하단 우편 사진은 장웅 북한 IOC위원 등 북한체육계대표와 김운용-최재승-필자와의 체육관련 협력 회동 장면)

 

 

2002년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 때도 동시입장을 하기로 로게 IOC 위원장 및 장웅과 필자가 합의를 보았는데 북한선수가 1명밖에 출전 자격을 못 따는 바람에 무산됐다.

모스크바 IOC총회 때 있었던 위원장 선거 때도 장웅 위원은 필자를 열심히 지원해 주었고 이번에는 아시아인이 되어야 하고, 또 되는 줄 알았는데 사마란치의 철저한 방해 공작으로 지지표가 급속히 날아가는 것을 보고 안타까웠다고 했다. 장웅은 소신대로 국제스포츠를 통해 더 좋은, 더 평화로운, 더 우호적인 세계를 꿈꾸며 달리고 있는 북한 체육의 살아있는 거인이다.

IOC 수석부위원장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15. 11:36

[OCA총회(Bangkok on 11 May 2024), 쿠웨이트에 OCA본부지속유지 결정과 OCA헌장 70% 개정하기로 결정(OCA회장 재 선출 논의 이슈는 실종)]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Olympic Council of Asia)총회가 511()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당초 예상하기로는 20235월 역시 방콕에서 열렸던 OCA총회에서의 OCA회장 선거에서의 불미스러운 결과로 새로운 OCA회장 선거와 관련된 주제가 다뤄질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엉뚱하게도 지난 42년간 이나 OCA본부가 소재하였던 쿠웨이트로 재연장하면서 OCA 본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총회로 전락하였습니다.

 

OCA는 지난 42년간 쿠웨이트 소재 OCA본부가 안정감과 일보 전진을 위한 발사대(a launching pad for further progress)역할을 제공하여 주는데 기여하였다고 하면서 총회 주안점에 대한 초점이 다소 빗나간 느낌을 주었습니다.

 

더구나 쿠웨이트 정부가 우아하게 OCA본부건물 임대만료시기인 20249월이후에도 계속 사용하도록 임대기간을 연장해 준다는 것(graciously extended the lease of the OCA headquarters site, which was originally due to expire in September 2024)을 제43OCA총회에서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OCA198212월 뉴델리 아시안게임 개최에 즈음하여 기존의 AGF(Asian Games Federation)를 해체하고 본부는 당시 오일달러로 아시아스포츠계의 패권을 장악한 쿠웨이트 IOC위원 겸 NOC위원장인 故 Sheikh Fahad를 맹주로 아시아스포츠계가 재편된 시점입니다.

 

아시안게임은 2023 9~10월 중국 Hangzhou에서 개최된 제19회아시안게임의 괄목할 만한 성공에서 보여 주듯이 세계수준의 종합스포츠제전으로 성장해 온 것은 사실입니다.



(Raja Randhir Singh OCA회장대행)

 



쿠웨이트에 설치한 OCA본부를 통해 42년 간 OCA는 아시아대륙을 5개 지역으로 분류하고 아시아올림픽운동의 발전을 위한 진보를 거듭해 왔다(has progressed, flourished and developed in all five zones)고 自評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OCA는 총회에서 쿠웨이트에 OCA본부를 유지하도록 배려해 준 쿠웨이트 국왕(His Highness the Amir of Kuwait Sheikh Meshal Al-Ahmad Al-Jaber Al-Sabah for maintaining the headquarters in Kuwait)에게 감사의 뜻을 표명하였다고 합니다.

 

45개국 NOCs대표들이 참석한 방콕 개최 금번 제43OCA총회에서는 다양한 안건들이 토의되었는데 OCA총회는 OCA헌장의 거의 70%에 달하는 규정을 개정하기로 합의하였다(voted to amend almost 70 per cent of its constitution) 고 합니다.

 

Raja Randhir Singh OCA회장대행은 우리모두는 각각 다른 아이디어와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우리의 맡은 바 임무와 결정사항에 대하여 존중과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임. 이것이 아시아가 올림픽운동에서 우리의 힘과 다양함 속에서의 단결이라는 독특 함의 평가를 받게 해 주는 것임.”
(We all have different ideas and different opinions -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we show respect and understanding in our work and in our decisions. This is what makes Asia unique in the Olympic Movement - our strength and unity in our diversity.)

 

 

 (Bach IOC위원장은 영상메시지로 OCA가 아시아선수들을 지원해 주는 것에 대해 치하하였음)

 

 

Raja Randhir Singh OCA회장대행은 금번 총회에 대해 우리가 OCA헌장에 주요한 변화를 가져오도록 할 것이기 때문에 OCA역사상 가장 중요한 총회들 중 하나”(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ral Assemblies in the history of the OCA because we will be making major changes to our Constitution)라고 묘사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지원과 지도편달을 해준 OCA헌장개혁위원회와 OCA집행위원회 그리고 IOC와 특히 Thomas Bach IOC위원장의 리더십에 대하여 감사하면서 이러한 헌장 개정 노력은 OCAIOC의 올림픽헌장에 준하여 향후 전진하도록 해 줄 것이지만 우리의 자율성과 독립성 및 아시아의 특성을 유지하게 될 것이며 개혁 과정이 거의 마무리 단계로써 여러분의 성원과 협조를 필요로 하는 것이고 함께 전진하기를 바람”(This will enable the OCA to move forward, following the Olympic Charter of the IOC, but also maintaining our autonomy, independence and Asian characteristics. The reform process is nearing completion - and we need your support and cooperation today to see it through and move forward together.) “우리는 OCA 의 성공스토리로 이어가는 다음 장으로 이동하면서 긍정적이고 자부심을 느끼는데 많은 이유가 있음”(We have many reasons to be positive and proud as we move into the next chapter of the OCA's success story.)이라고 덧붙이며 최근 들어 스포츠의 정치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각국 NOCs들이 IOC의 지침을 존중하도록 촉구하였다(also expressed his concern about the politicisation of sport in recent months and urged National Olympic Committees to respect the IOC's directives)고 합니다.

 

Maris Sangiampongsa 태국외교부장관은 202411월 제6회 아시아실내무도대회를 다시 개최함으로 OCA에 대한 봉사를 할 준비가 되어 있다(ready to serve the OCA again by hosting the 6th Asian Indoor and Martial Arts Games in November this year)고 전제하면서 준비상황은 시기 적절하며 특히 예산배려조건에 있어서 더욱 그러함”(The preparations are timely, especially in terms of budgetary considerations)이라고 자신감을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OCA공로상은 우즈벡 NOC사무총장인 Mr Oybek Kasimov에게 수여되었는데 제3회 아시아청소년게임이 2025910~25일 우즈벡 수도인 Tashkent에서 열릴 예정인데 27개 종목, 29개 세부 종목에 244개 이벤트가 선 보일 것이라고 합니다.

 

Hanngzhou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HAGOC)은 제43OCA총회에서 OCA 스포츠 및 환경 상 수상 단체로 선정되었는데 HAGOC은 탄소방출제로를 이룩한 사상 첫 아시안게임을 조직함으로 역사적인 대회를 만들었다(HAGOC made history by hosting the first-ever Green Asian Games with zero carbon emissions)고 합니다.

 

43 OCA총회는 3개 신규 종목에 대한 잠정 인증을 해 주었는데(OCA grants provisional recognition to three sports) 1)아시아 서핑 연맹(Asian Surfing Federation)2) 아시아 태평양 Tchoukball 연맹(Asia Pacific Tchoukball Federation) 그리고 3) 아시아 잔디볼링연맹(Asian Lawn Bowls Federation) 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Song Luzeng이 위원장으로 있는 OCA스포츠위원회는 상기 3개 연맹이 지난 311OCA스포츠위원회 온라인 회의를 통하여 상세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한 바 있다고 설명하였으며 OCA집행위원회는 430일 이를 승인하였고 511OCA 총회가 최종 승인한 것(the final seal of approval)이라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OCA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24. 5. 13. 22:27

[한국 체육 및 정치계의 거물로 대한체육회장을 역임한 故 김택수 제4대 한국 IOC위원에 대한 故 김운용 前 IOC부위원장의 회고담]

 

 

필자가 1982년 대한체육회/대한올림픽위원회(KOC)특채 5급으로 한국 체육계에 입문 한 이후 첫 국제업무가 故 김택수 IOC위원에 대하여 당시 Samaranch IOC위원장이 방한하여 올림픽훈장추서식 행사에 따른 정주영KOC위원장 통역과 IOC훈장추서식 불어 사회 및 통역이었습니다.  

 

(좌로부터: 김집 대한체육회 부회장, 김세원 KOC부위워장, 조상호 SLOOC 사무총장<이후 체육부 장관 역임> 정주영 회장<가려져 있음>통역 중인 필자, Samaranch IOC위원장,, 노태우 SLOOC위원장, 이영호 체육부 장관 /고 김택수 IOC위원 훈장추서식에서 추서 경위를 불어로 낭독하는 필자)

 

 

[김택수 전 대한체육회장 2010. 10.12 <통 큰 지원으로 올림픽 첫 금수확>]

 

이 번 주는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한 가지 전할 게 있다. 지난 9 26일자(지령 958)에 김동길 교수를 이 코너에 소개했다. 그런데 얼마 전 김 교수로부터 전화가 왔다. “글을 잘 써줘 고맙다” “역사와 후학들을 위해서라도 이런 글을 남기는 게 큰 의미가 있다는 등 감사인사와 격려를 전해왔다. 그리고 한 가지. 필자도 언급했고, 또 많은 자료에도 그렇게 나와 있는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다는 부문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 아무 관계 없다고 설명했다. 가능하다면 <일요신문> 등 언론이나 역사학자들이 이 부분을 올바르게 재조명했으면 한다.

금주의 인물은 김택수 회장이다. 김 회장은 한일합섬의 김한수 회장의 계씨(남동생)로 경남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경남 김해 출신의 체육행정가이며 정치가이다. 처음 만난 것은 5·16 군사정부 시절 내각수반실에서 근무할 때였다. 김택수라는 젊은 청년실업가가 김현철 내각수반을 만나러 한두 번 들르곤 했다. 무슨 일로 방문했는지는 몰랐고 후에 생각하니 창당을 준비하고 있는 공화당에 다리를 놓기 위해 찾아다닌 것 같다. 이때 군정이 민정으로 넘어가기 전 마지막 내각수반으로서 김현철 수반은 군 출신이 아니지만 발언권이 있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었다. 이때 내각수반실의 현역장교는 필자 한 명이었다. 이후 필자는 주미대사관으로 전임이 되어 못 만났는데 그는 제3공화국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회의원이 되어 중용되기 시작한 것을 보았다.

그 후 김종필 공화당 의장이 미주리 주 웨스트민스터대학(처칠 영국 수상이철의 장막연설을 한 곳)에 명예박사 학위를 받으러 왔을 때 김택수 의원이 동행해 만났다. 그 자리에는 밴플리트(Van Fleet) 장군, 데마르코(Demarco) 한미재단 이사장, 머피(Murphy) 하원상공위원장 등도 뉴욕에서 내려왔다.

김택수는 6, 7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7대 때는 공화당 원내총무를 지냈다. 이때 소위 국회별관에서 야당을 빼놓고 장소를 기습적으로 옮겨 3선 개헌을 통과시킨 것으로 유명해졌다. 3선 개헌은 김종필 계열도 반대한 것을 박정희 대통령이 김종필을 직접 설득하고, 이후락이 김형욱과 함께 활약하며 관철시켰다.

이미 통과시킨 상태에서 야당이 아무리 야단을 쳐도 소용이 없는 노릇이었다. 김택수 총무는 일시에 거물이 되었다. 그 직후 청운동의 삼청각에서 모임이 있다고 박종규 실장이 가자고 해서 갔는데 장경순 부의장, 김현옥 시장, 최치환 의원 그리고 김택수 원내총무가 참석했다. 김택수 총무를 위한 한숨을 돌리는 자리였다. 김택수가 한참 있다가 가고 난 직후에 박종규가 최치환을 때릴 것처럼 공격했다. 그 이유는 최치환이 이후락 실장에게 박종규가 부패했다고 일러바쳤다는 것이었다. 겨우 장경순 부의장과 필자가 박종규를 뜯어 말리고 최치환을 피신시켰다.

그 후 김택수는 8대 국회에는 안 들어가고 대한복싱연맹 회장으로 재임했다. 신당동 집을 너무 크게 지었다고 박정희 대통령 눈 밖에 나서 공천을 못 받았다 했다. 그때는 혹 박 대통령이 헬리콥터로 서울을 비행하다가 청기와를 얹은 큰 집을 발견하거나, 에스컬레이터를 집안에 설치했다는 보고가 있다든가, 재벌이라도 어마어마한 묘지를 조성한 사람은 있으면 모조리 빛을 보지 못했다.

김택수는 고등학교 시절의 축구선수 생활이 인연이 되어 1961 35세에 경남체육회 회장을 맡아 체육행정에 참여하기 시작했고 66년부터 73년까지 대한복싱연맹 회장을 역임했다. 66년에는 아시아 아마복싱연맹회장 겸 국제아마복싱연맹 부회장(각 대륙별로 2명씩)에 선출되었고 1971 11월에 김용우 회장(전 국방장관)의 뒤를 이어 대한체육회 회장 겸 대한올림픽위원회(KOC) 위원장에 선출되어 79 2월까지 역임했다.

필자가 그를 다시 만난 것은 1971 2월에 필자가 대한태권도협회 회장이 되었을 때였다. 당시 김택수는 복싱연맹 회장이었다. 이때 대한체육회는 1년 예산이 국고보조 1억 원으로 운영될 때로 경기단체 회장들이 파워가 있어 모금을 하든지, 아니면 자기 돈을 내놓든지 해서 경기단체를 운영하곤 했다.

1972
12 9일 대한태권도협회 중앙도장(지금의 국기원) 준공식에는 김택수 대한체육회장이 김종필 총리와 함께 참석하여 축하해 주었고, 본격적인 관계는 1974년에 필자가 체육회 부회장 겸 KOC 부위원장 겸 명예총무에 부임하면서 함께 일하게 되면서 시작됐다. 국제관계는 필자에게 맡긴 셈이다.

김택수 회장은 정치권력을 휘두르던 정치 거물이라 그런지 체육회장 자리가 마땅치 않았던 것 같다. 민관식 문교부 장관과는 견원지간이어서 수시로 서로를 무시했다. 민관식 장관은 자신에게서 촌지라도 받은 사람은 자기 수하처럼 생각하는 나쁜 버릇이 있는 자라고 험담하기도 했다.

김택수 체육회장은 1976년 여름 몬트리올 올림픽에 갔을 때도 김영주 주 캐나다 대사와 충돌했다. 김영주 대사는 필자가 외무장관 비서관 때 기획실장이었다. 이때 몬트리올 지역에는 교포도 별로 없어 응원단도 없었다. 여자배구경기 때는 필자가 태권도 사범을 10명씩 데리고 가서 응원했다. 기죽지 말라는 배려였다.

김택수 회장은 국제적으로는 한국이 특별히 국제대회가 있는 것도 아니고 1년 예산 1억 원 가지고 선수촌까지 움직여야 하니 한계가 있었다. 골격만 서 있는 선수촌은 지금과는 달랐고 대한체육회는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에서 메달 따는 것이 급선무였다. 할 수 없이 금메달 따면 사재 1억 원을 주겠다고 공약을 했는데 효력을 보았다.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양정모가 1948 KOC의 런던올림픽 참가 이후 28년 만에 첫 금메달을 딴 것이다. 이때 일본선수단은 200명 한국선수단 60, 북한선수단 40명이었는데 북한도 사격에서 금을 땄고적을 조준하듯이라는 말이 문제가 됐다.

이때 스포츠외교는 엄두도 못 내고 양정모에 이어 여자배구팀(조혜정, 유경화, 유정혜, 변경자, 백명선, 윤영내)이 구기사상 최초의 메달()을 따냈고 유도 무제한급에서도 조재기가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양정모에게 준 1억 원은 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무척 큰돈이었다.

1974
년 박종규 사격회장이 근신 중이라 박 회장의 간청으로 대신 체육회 부회장인 필자(WTF 총재)가 가서 멕시코의 마리오 바스케스 라냐(Mario Vazquez Rana)와 대결하여 표결에서 6240으로 이겨 42회 세계사격선수권 대회를 유치해왔다. 이때 같이 유치해 온 세계역도선수권대회는 박종규가 청와대에 로비를 해서 두 개를 할 수 없다고 취소시켰고 사격대회에 그때 돈 10억을 보조받아 성공시켰는데 김택수 회장은 필자한테 부회장이 사격대회를 유치해 온 것이 잘했는지 모르겠다고 푸념하기도 했다.

1977
년 이원경과 둘이서 아이보리코스트(Ivory Coast)의 아비장(Abidjan)에서 열린 NOC총회에 갔다오니 장기영 IOC 위원이 사망했다. 북아현동 댁으로 조문을 갔는데 곧 후임 IOC 위원 추천을 해야 했다. 그때는 우리나라 스포츠가 국제활동이 없었다. IOC 위원이 무엇을 하는지도 모를 때였다. 한번은 김종필 의장이 말하기를 김택수가 와서자기가 IOC 위원이 됐는데 1년에 한 번 회의에 간다고 하는데 역할이 무엇이냐 물어본 일도 있었다. 청와대에서 문교부를 통해 지시가 와서 필자가 선임부회장이므로 KOC 위원총회를 소집하여 결의를 하고 IOC에 추천했다. 그렇게 김택수는 1977 6 16일 장기영의 뒤를 이어 IOC 위원이 되었다. 그 나름대로 선수육성과 스포츠외교에도 관심을 가져 1973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에는 직접 선수단을 이끌고 참가하여 공산권과 간접적으로나마 교류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는 1979년에는 다시 국회에 진출했고 박 대통령 서거를 맞이했다. 곧이어 공화당 총재에 김종필이 선출되고 김종필을 최고의 정치가로 따르던 김택수는 국회헌법개정심의 특별위원장을 지내면서 3김에 의한 대통령 직선을 겨냥해 당내 화합과 결속을 다지면서 김해의 지역발전에 노력했다. 그러나 12·12 신군부의 등장으로 칩거생활에 들어갔고 88서울올림픽 유치가 시작되자 다시 IOC 위원으로서 표면에 나왔으나 국제적 한계를 안고 있었다. 남덕우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국민체육심의 회의에서 박종규가 강력한 추진을 주장할 때 필자 외에는 모두가 경제적 이유로 반대 의견을 냈다. “(하다가) 안 되면 모두 그만두자고 박종규가 제안하자 당시 김택수 IOC 위원은당신이나 그만둬, 나는 안 그만둬라며 지금 상황으로는 자기 한 표밖에 안 나올 것이라고 말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다.

1981
년 바덴바덴(Baden Baden)에서 김택수는 IOC 위원의 자격으로 필자와 함께 국제회의 대표로 참가하여 나름대로 활약했다. 서울올림픽 유치가 성공한 후 조직위원회가 구성되고 준비가 시작되자 조직위원회 집행위원으로서 IOC 연락을 맡고 서울방문 IOC 위원들을 접대했는데 꼭 종로에 있는 장원으로 부부를 초대했다. 정통 한식은 장원이 가장 좋다는 것이었다. 김택수는 비록 어학이 안 돼 통역을 대동했지만 나름대로 국제관계를 유지할 줄 아는 멋쟁이였다. 스타일이 있었다.

김택수 IOC 위원은 LA 올림픽을 앞두고 1983 7 17일 암으로 별세했다. 박 대통령의 3선 개헌을 성사시킨 거물 정치인인 그는 한국체육이 걸음마를 할 때 체육행정을 맡아 국제무대에 발을 내딛고, 공산권과의 스포츠외교도 첫 단추를 끼우고, 또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 그리고 단체종목 올림픽메달도 따게 만든 체육인이었다.

IOC 수석부위원장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