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16. 12. 27. 09:37

[IOC 올림픽 마케팅 구조 및 변천과정 Update]

 

 

*순서:

 

. 마케팅이란?

. 올림픽 마케팅

1) IOC마케팅의 기본방침

2) IOC 마케팅 프로그램 범주

3) IOC 공식공급업체

4) 올림픽마케팅 수입금배분 및 TOP프로그램
. TOP 파트너
. IOC재정 Update

 

 

*내용:

 

1. Marketing(마케팅)이란?

 

*What is Marketing? (Marketing is Selling Excellence.)

M = Maximum

A = Accumulation (of)

R = Revenue

K = Key Stone (through)

E = Excellence

T = trading (at)

I = International

N = Networking

G = Game

 

1)  Characters(등장인물): Partners, Sponsors, Suppliers, Licensers, Agents, etc.

2)  Means of Transaction(매개체 수단): Cash and VIK

3)  Core Subject(핵심주제): Excellence (Unified Message)

4)  Fruits/Achievements(결실/성취): Distinction with Rights and Benefits

 

 

2. 올림픽 마케팅

 

1) 올림픽 마케팅의 기본방침: - 수익극대화(收益極大化)

 

- 올림픽이미지 손상(損傷)방지

 

<인류의 건강을 해치는 제품(담배나 술 따위/Beer Wine 은 허용)이나 사행성을 조장(助長)하는 도박(賭博) 및 흥행관련업체(興行關聯業體) IOC마케팅제휴제외>

 

*IOC: TOP 프로그램

*OCOGs: Domestic Sponsorship Programmes

 

(1) 올림픽 마케팅 프로그램은 올림픽운동을 증진(Promotion)시켜주고, 재정적 보장과 안정성(Financial Security and Stability)을 확고히 해주고 있는 추진동력(driving force)이다.

 

(2) IOC를 대신하여 올림픽마케팅사업을 운영 및 관리업무를 추진하여오던 ‘메리디안 마케팅 운영 代行社(Meridian Management SA)’는 IOC 100% 그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2005 6월부터 ‘IOC TV 및 마케팅 서비스會社(IOC Television & Marketing Services SA)’로 개칭되었으며 사장은 IOC마케팅국장(현재 Timo Lumme)이 겸직하고 있다.

 

(3) IOC Television & Marketing Services SA’는 스위스 로잔(Lausanne), Signy 그리고 미국 애틀랜타(Atlanta) 3곳에 사무실을 두고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 IOC 마케팅 프로그램(4개 범주)

 

(1) 올림픽대회 방송 (Olympic Games Broadcast)

(2) TOP (The Olympic Partners)/ The Worldwide Olympic Sponsorship Programme

(3) IOC상품권화 프로그램(IOC Licensing Programme) 

(4) IOC 공급업체 프로그램(IOC Suppliers Programme)

 

 

3) IOC공식 공급업체

 

(1) 벤츠 자동차(DaimlerChrysler/Mercedes-Benz)/ 육상운송(Ground Transport)

(2) 미즈노 스포츠 의류(Mizuno)/ 올림픽 및 관련행사 時 IOC위원 및 사무처 직원 필요복장이나 의류제공/Clothing and Outfits for the IOC and administrative staff at the Olympic Games and other events)

(3) Schenker/화물운송 및 세관통관서비스(Freight Forwarding and Customs Clearance Services)

 

4)올림픽 마케팅 수입금 배분(Olympic Marketing Revenue Distribution) TOP프로그램

 

 

(1)   IOC: 총 지분 율의 10% (IOC 제반 운영비 및 올림픽운동 유지관리비)

(2)   OCOGs, 206 NOCs, 28 IFs(Summer), 7 IFs(Winter), 기타 유관경기단체 등: 90%(동 하계올림픽 개최비용지원금 및 글로벌 스포츠 발전 진흥기금)

 

 

*TOP 프로그램 수입금 및 올림픽TV방영권 수입금 배분:

 

A.  TOP 마케팅 프로그램 수입금 배분

 

-총 지분의 50%는 동 하계 OCOGs에게 할당

-배분기여금 내역에는 현금, 물품(goods) 및 용역 서비스(service)이 혼재되어 있음

 

 

 

(1) TOP프로그램 수입금

-50% (하계 OCOG; 2/3, 동계 OCOG: 1/3)

-50% (NOCs: 40%, IOC: 10%)

 

 

 

 

B.  TOP 수입금 배분 율 도표

 

 

 

 

 

 

*TOP마케팅 수입금배분은 IFs은 제외

*USOC 배당지분 20%(사전 또는 사후 지급절차 미확인)

 

 

 

 

C.  TV방영권료 지분 배분 율 도표

 

 

 

 

-49%(동 하계 OCOGs)

-51%(IOC, Olympic Solidarity/NOCs 배분 프로그램, IFs)

* USOC지분: TV방영권료 재분배 전 미국지역 방영권료의 12.75%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002년 솔트 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까지는 OCOGs: 60%, 올림픽운동(OC/IFs/NOCs): 40%

 

 

3. TOP (The Olympic Partner)파트너

 

-IOC 세계적인 스폰서십 프로그램

-스폰서는 현금(cash) 현물(value in kind) 제공

-해당 부문에서 대해 독점으로 올림픽 경기 대회 조직을 활용한 마케팅 권리를 획득

-파트너십의 수익금은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국가올림픽위원회 올림픽 가족에 지원

 

 

 

1)  TOP프로그램 진화도 및 4년 주기 파트너인 NOCs수입금내역(TOP Programme Evolution /Quadrennium Games Partners NOCs Revenue)

 

1985 – 1988 Calgary / Seoul 9 159 US$96 million

1989 – 1992 Albertville / Barcelona 12 169 US$172 million

1993 – 1996 Lillehammer / Atlanta 10 197 US$279 million

1997 – 2000 Nagano / Sydney 11 199 US$579 million

2001 – 2004 Salt Lake / Athens 11 202 US$663 million

2005 – 2008 Torino / Beijing 12 205 US$866 million

 

 

2)  /하계 국제연맹(IFs) 지분(올림픽 TV방영권료: 대회종료 후 차기 년도에 배분)

 

 

(1) 하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지분 올림픽마케팅 수입금(TV방영권료)

(Olympic Marketing Revenue Contributions to IFs of Olympic Summer Sports)

 

 

[Olympic Games Revenue to Summer IFs]

 

1992 Barcelona US$37.6 million

1996 Atlanta US$86.6 million

2000 Sydney US$190 million

2004 Athens US$254 million

2008 Beijing US$295 million

2012 London US$519 million

 

 

(2) 동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 올림픽마케팅 수입금(TV방영권료)

(Olympic Marketing Revenue Contributions to IFs of Olympic Winter Sports

 

[Olympic Winter Games Revenue to Winter IFs]

 

1992 Albertville US$17 million

1994 Lillehammer US$20.3 million

1998 Nagano US$49.4 million

2002 Salt Lake US$92.4 million

2006 Torino US$126 million

2010 Vancouver US$209 million

 

 

3)  TOP 마케팅 프로그램 수입금 NOCs 지분(NOC Shares of TOP Revenue

Olympic Quadrennium TOP Revenue Share to NOCs)

 

TOP I Calgary/Seoul (1985 – 1988) n/a

TOP II Albertville/Barcelona (1989 – 1992) US$35 million

TOP III Lillehammer/Atlanta (1993 – 1996) US$57 million

TOP IV Nagano/Sydney (1997 – 2000) US$93 million

TOP V Salt Lake City/Athens (2001 – 2004) US$110 million

TOP VI Torino/Beijing (2005 – 2008) US$139 million

TOP VII Vancouver/London (2009 – 2012) US$156 million

 

(*USOC 및 개최국 NOCs에 대한 지분은 제외된 숫자임)

 

 

 

4)  The TOP IX Partners(2017-2020)파트너의 지위

 

(1) Worldwide Partners of the Olympic Games---올림픽대회 글로벌 파트너

(2) Partners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IOC파트너

(3)Partners of the PyeongcChang 2018 Olympic Winter Games---2018 평창 동계올림픽 파트너

(4) Partners of the Tokyo 2020 Olympic Games---2020 도쿄 올림픽 파트너

(5)Partners of all National Olympic Committees---전 세계 206개 각국올림픽위원회 파트너

(6) Partners of all Olympic teams competing in PyeoncChang 2018 and Tokyo 2020---2018 평창 및 2020 도쿄올림픽 참가 각국올림픽선수단 전체 파트너

 

 

 

5)  TOP(The Olympic Partners)Programme 진화도

 

(1) 1세대(TOP I: 1985-1988):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 과 1988 서울 올림픽을 패키지로 묶은 통합 글로벌 올림픽마케팅 프로그램(삼성 포함 9개 다국적 기업 파트너 참여/159 NOCs 동참/US$9,600만 불 수입창출/收入創出)

 

(2) 2세대(TOP II: 1989-1992):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과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통합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2개 다국적 기업 파트너 참여/169 NOCs 동참/US$ 17,500만 불 수입창출)

 

(3) 3세대(TOP III: 1993-1996): 1994 릴리함메르 동계올림픽과 1996 애틀랜타 올림픽 통합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0개 다국적 기업 파트너 참여/197 NOCs 동참/US$ 27,900만 불 수입창출)

(4) 4세대(TOP IV: 1997-2000):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과 2000 시드니 올림픽 통합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1개 다국적 기업 파트너 참여/199 NOCs 동참/US$57,900만 불 수입창출)

 

(5) 5세대(TOP V: 2001-2004): 2002 솔트 레이크 시티 동계올림픽과 2004 아테네 올림픽 통합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1개 다국적 기업 참여/202 NOCs 동참/US$66,300만 불 수입창출)

 

(6) 6세대(TOP VI: 2005-2008):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과 2008 베이징 올림픽 통합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삼성 포함 11개 다국적 기업 참여/205 NOCs 동참/US$86,600만 불 수입창출)

 

(7) 7세대(TOP VII: 2009-2012):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과 2012 런던 올림픽 통합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11개 다국적 기업참여/205 NOCs동참/US$9 5000만 불 수입창출)

 

(8) 8 세대(TOP VIII: 2013-2016): 2014 소치 동계올림픽과 2016리오 올림픽 통합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10개 다국적 기업 참여)

 

(9) 9 세대(TOP IX: 2017-2020):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20 하계올림픽 통합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12개 다국적 기업)

 

 

 

 

 

 

6)  국제올림픽위원회(IOC) TOP 파트너 현황/12(2016.2.)

 

 

 

 

 

   

 

                DOW                        화학제품회사                2010

                     P&G                        개인위생 및 가정용품     2010

                     Bridge Stone            자동차 타이어               2015

                     Toyota                     자동차                         201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당시 기존 12 TOP파트너 중 4(Johnson & Johnson, Kodak, Lenovo, Manulife)사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끝으로 철수하였고 Acer가 기존Lenovo를 대체하여 9개만 남았다가 DOW P&G가 합류하여 2012 3월에는 11개였다.

 

 

 

Johnson & Johnson은 미국 의료제품 재벌(U.S. medical products giant)로써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의 국내 스폰서였으며 2008년 베이징올림픽 1개 대회만 TOP파트너 계약을 한 셈이었다. (TOP파트너는 통상 4년 또는 8년 단위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2009 1월부터 TOP 파트너인 Panasonic사가 기존Kodak의 디지털 카메라 부문을, Acer사가 기존Lenovo의 컴퓨터 부문을 각각 인수한 바 있다.

 

 

4.  IOC재정 Update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IOC의 재정보유고는 2001년에 미화 1500만 불(한화 약 1300억 원)에서 2008년 말 당시 US$ 42200만 불(한화 약 5800억 원)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및 2012년 런던 올림픽대비 10번 째, 11번 째, 12번째 TOP 파트너 협상(9개 계약 기 체결)이 재개되고 있는 가운데 Gerhard Hieberg IOC마케팅위원장(노르웨이 IOC 집행위원) 당시까지 9 TOP파트너와의 계약체결로 미화9억불(한화 약 1530억 원)이 적립되었으며 2010-2014대회에 걸쳐 새로운 협상이 타결되면 올림픽 스폰서(TOP Partner)수입금은 미화 10억불(한화 약 11770억 원)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IOC의 재정은 환율변동(currency fluctuations), 주식시장의 가치(value of the stock market), 전 세계 재정시장 변동 상황 등에 따라 재산상황이 변할 수 있으나 다양한 외화보유금액 운용으로 변동 상황을 제한시킬 수 있다.’라고 Richard Carrion 당시 IOC재정위원장(푸에르토리코 IOC집행위원)2009년 코펜하겐 IOC총회에서 보고한 바 있다.

 

IOC투자액은 주로 고정수입(fixed income)대상에 집중되어 있으나 부동산(real estate), 상품거래(commodities) 그리고 주식시장(stock market)등에도 분산투자 되고 있다고 한다.

 

IOC의 주 재정수입은 동 하계올림픽 TV중계권료와 올림픽마케팅 스폰서(TOP Partnership)이다. 미국올림픽위원회(USOC) 1990년대 후반부에 IOC와 합의된 배분 율에 따라 IOC총수입금 중 TV중계권료 수입금 총액의 약 13% 그리고 TOP스포츠서 수입금의 약 20%가량을 가져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크 로게 전 IOC위원장에 따르면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과 2012년 런던올림픽 TV 글로벌 중계권료 총 미화 38억 불(한화 약 44460억 원)가운데 미국지역을 전담하는 NBC TV가 지불하는 금액은 미화 22억 불(한화 약 25740억 원)로 알려져 있다.

 

과도한 USOC의 지분(206 NOCs들 중 미국을 제외한 205 NOCs에게 할당되는 수입금 총합계보다 더 많음) IOC 및 국제 스포츠 계의 반발로 2012년 올림픽유치 전에 뛰어 들었던 뉴욕의 초반 탈락과2016년 올림픽유치를 희망한 시카고는 더 비참한 1차 투표에서의 불의의 충격적 일격을 당해 꼴찌로 탈락하는 뿌리 깊은 빌미를 제공한 것으로 분석된다.

 

교착상태인 IOC-USOC 수입금 지분 율 재협상(revenue sharing deal)은 일단 USOC가 올림픽대회 조직관련 비용부담을 원칙적으로 천명하고 2013년에 2020년을 포함한 향후 프로그램을 검토키로 양자 합의한 바 있으나 시카고의 충격적 최하위 탈락의 여파로 USOC는 지분 율 양보지향성 재협상에 대하여 선뜻 내키지 않는 속내를 어떤 방정식으로 표출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그림자료:  IOC 홈페이지 등/Olympic Marketing Fact Fil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2. 26. 15:34

[Toyota자동차 IOC본부에 친환경 New Fleet of Hybrid 차량쾌척 (快擲)]

 

 

1220Toyota자동차 측이 2016년 대미를 장식하는 취지로 새로운 신형 Hybrid자동차들을(a new fleet of hybrid cars) IOC본부에 전달하였다고 IOC는 홈페이지에 이 소식을 알렸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Toyota자동차가 IOC TOP 글로벌 파트너로써의 계약이 시작되는 2017년을 2주 앞둔 시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Toyota 스위스 법인장인 Philippe Rhomberg Thomas Bach IOC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로잔느 IOC본부에서Toyota자동차 스위스지점장(chief executive) Philippe Rhomberg로부터 차량을 인수 받았다고 합니다.

 

전달된 차량은 Toyota가 개발하여 사용된 최신 hybrid기술이 접목된 자동차들인데 가솔린 엔진(gasoline engines)과 전기모터(electric motors)의 특징적 혜택을 결합시킨 회심작이라고 합니다.

 

IOC 2015 3월부로 Toyota와 글로벌 파트너 계약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Olympic Agenda 2020에 걸 맞는 올림픽운동에 있어서 혁신적이며 지속 가능한 해결방안 마련하기 위한 일환으로 체결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7년부터 Toyota는 지속가능 기동성 해결책 마련을 이루기 위하여 (in a bid to deliver sustainable mobility solutions) IOC 및 전 세계206NOCS들과 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합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의 취지설명 발언입니다:

 

"This is another step in this exciting partnership, and I am particularly delighted about the new hybrid cars, which is another clear demonstration of the IOC’s commitment towards sustainability." (Toyota와의 파트너 계약으로 말미암은 신형 하이브리드 차량 쾌척은 IOC의 지속가능 성에 대한 떠 다른 공약 실천 입증 사례임)

 

"I would like to thank [Toyota President] Mr Akio Toyoda for his great personal commitment and Mr Rhomberg and his team here in Switzerland, as well as the fleet team in Toyota Motor Europe based in Brussels, for their support in implementing this programme." (이러한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성원을 보내온 Toyota회장을 비롯한 관계자 모두에게 감사함)

 

 

 

IOC President Thomas Bach received the cars from Philippe Rhomberg, chief executive of Toyota Switzerland, at the IOC’s headquarters in Lausanne ©IOC(Toyota 스위스 법인장인 Philippe Rhomberg Thomas Bach IOC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Toyota 측은 기금조성과 글로벌 홍보 활동을 통하여(through funding and a global promotional reach) 전 세계 올림픽 운동 가족들에게 기동성 범주(mobility category)분야에 지원할 것으로 전망되며 차량지원과 기동성 서비스(mobility services)및 기동성 해결방안(mobility solutions) 마련 등에 기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추가적으로 Toyota는 올림픽대회를 위한 지속가능 기동 성 해법제공을 목표로 인공지능 수송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도시 교통 원할 시스템(urban traffic systems) 및 차량간 소통 시스템(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systems) 등을 포함하여 배기가스 감소(low-emission), 안전성 확대(safer), 고효율 기동 성(more efficient mobility)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OC의 관리체계의 일환으로(under the IOC’s management), IOCTOP프로그램을 통하여 NOCs와 올림픽조직위원회들(OCOGs)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는데 올림픽 및 올림픽운동이 진정한 글로벌 행사가 될 수 있도록 확고히 하기 위한 사명완수를 목표로 지원을 다하고 있다(helping towards the mission of ensuring that the Olympic Games and the Olympic Movement are truly global) IOC홈페이지는 밝히고 있습니다.

 

IOC는 전 세계 모든 레벨에서(at all levels around the world) 선수들과 스포츠 단체들에 대한 도움을 주기 위하여 일일 US$325만불( 37억원)에 상당하는(everyday the equivalent of US$325million goes to help athletes ans sports organizations)) 지원을 계속하고 있는데 이는 스포츠 운동 전반에 IOC가 취득한 수입금의 90%이상을 재분배하고 있는 것(the IOC redistributes more than 90% of its income)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201512Akio Toyoda Toyota회장은 일본 개최 올림픽에서 사업분야에서의 이익창출에 더 매진하기 위하여(to prioritize generating business interest in the Japanese Games) Tokyo2020조직위원회 부위원장 직을 사임한 바 있습니다

 

 

*References:

-IOC홈페이지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2. 23. 08:51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상세예산개정내역(Breakdown) 전격공개]

 

2016 1221일 자로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에 소요될 개정판 총 예산 상세내역을 전격 발표하였습니다

 

(Tokyo 경관/출처:insidethegames)

 

 

Tokyo2020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1.6조엔(US$136억불/16 3,200억원)~1.8조엔 규모(US$153억불/ 18 3,200억원)규모의 개정판 소요예산 상세내역을 공개하였습니다.

 

공식적인 예상 경비규모(the official cost estimate)4자 그룹(a Four-Party Political Working Group)회의에서 공개되었는데 지난 11, Yoshirō Mori Tokyo2020조직위원장이 예시한 바 있는 최대 예산규모 2조엔(US$170억불/ 20 400억원)보다 감소된 금액입니다.

 

총 예산내역에는,

(1) 시설 및 기타 인프라 건설비용으로 5,900억엔(US$50억불/ 6조원),

(2) 수송교통, 안전 및 기타 운영비용으로 4,100억엔(US$35억불/ 4 2,000억원)

(3) 예비비(a contingency)1,000억엔(US$85,090만불/ 1조 210 8천만원)~3,000억엔(US$ 26억불/ 3조 1,200억원)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수입금으로는 스폰서(sponsorship), 입장권(ticket sales), 라이선스(licensing) IOC 기여금(contributions)로부터 오는 총 5,000억엔(US$43억불/ 51,600억원)이 함께 변수요인(factored in)으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London2012올림픽의 소요경비 결과를 근간으로 계산하여(a calculation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ondon 2012 Games) 동 예산의 10%정도는 패럴림픽 조직에 소요될 지분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합니다.

 

총비용 예상 산정(the cost estimate)은 올림픽 유치 당시 원래 전망치(the original projection)보다 여전히 2배 규모를 상회하고 있긴 하지만 당초 유치 당시 예산규모에는 안전 및 수송교통비용이 포함되지 않았었다고 합니다.

 

 

 

Tokyo 2020 have issued a breakdown of the Games budget ©Tokyo 2020(출처: Tokyo2020조직위원회 홈페이지)

 

 

Tokyo20202조직위원회가 발표한 성명서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The four parties -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the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the Government of Japan and Tokyo 2020 - will continue to work towards optimising even further the budgets." (IOC, 도쿄도정부, 일본 중앙정부 및 Tokyo2020 4자그룹 당사자들은 예산액을 더욱 최적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협업할 것임)

 

"Tokyo 2020’s commitment to deliver Games at the highest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schedule, and with the best experience for athletes and fans alike remains at the forefront of all decisions made in relation to the budgets for the Games. (Tokyo2020조직위원회는 공약한대로 최고수준의 올림픽을 치러내기 위해 대회예산과 관련하여 각종 스케줄에 맞추어, 그리고 선수들과 팬들 모두를 위한 최고의 경험이 창출되도록 모든 결정사항들의 최전선에 서서 매진할 것임을 다짐함)

 

"The Tokyo 2020 Games will leave a number of positive legacies to Japanese society. (Tokyo2020대회는 일본사회에 많은 긍정적인 유산을 남길 것임)

 

"Sporting facilities that will be newly-built or improved, as well as enhanced security systems, technology,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medical care, will continue to benefit Japanese society long after the Games. (향상된 안전 시스템, 테크놀로지, 수공교통 인프라 및 의료서비스를 비롯하여 신설되거나 개량될 기존 스포츠시설들은 대회 후 먼 훗날까지 일본사회에 지속적으로 혜택을 부여할 것임)

 

"Most importantly, it will provide a host of intangible but real benefits, through bringing the entire nation together, renewing Japan’s reputation as a cultural, technological and creative destination internationally, demonstrating Japan’s recovery from the 2011 earthquake and tsunami and inspiring young people to achieve their personal best." (가장 중요한 점은 전체 일본국민들을 단합하게 하고, 국제적으로는 일본을 문화적, 기술적 그리고 창조적 여행관광지로써의 일본의 평판을 새롭게 알리며, 또한 2011년 지진 쓰나미로부터 일본이 회복되었음을 세계만방에 입증하고 청소년들로 하여금 개개인적 최고가치를 성취하도록 고무시킴으로써 무형유산이지만 실제로 많은 혜택이 돌아가는 유산을 제공할 것임)

 

 

 The official cost estimate is down from the maximum budget cap of ¥2 trillion cited by Tokyo 2020 President Yoshirō Mori last month ©Getty Images(Yoshiro Mori조직위원장과 John Coates IOC조정위원장/출처: insidethegames)

 

 

 

비록 도쿄도 T/F팀이 예산절감 해결차원에서(to address the issue) 신설예정인 수영, 카누 및 배구 등 3개 종목 경기장을 다른 기존경기장이 있는 곳으로 옮겨져야 한다고 하면서 한술 더 떠 불안감조성에 일조를 하긴 하였지만Tokyo 2020조직위원회는 치솟는 예산비용에 대한 우려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온 바 있습니다

 

신설수영장 및 조정과 카누 스프린트경기장 대체 안으로 도쿄도에서 400km떨어진 곳에 위치한 Miyagi Tome에 있는 기존 경기장을 포함하는 대체 안 등을 제안하였지만 각각의 새로운 경기장(the Olympic Aquatics Stadium and Sea Forest Course respectively) 건설 기존 안의 예산규모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명분으로 기각(each rejected in favor of downscaled versions of existing plans for new venues)된 바 있습니다.

 

Yuriko Koike 도쿄도지사는 드디어 1216일 배구종목경기장의 경우, 지금까지 주장해 오던 요코하마 소재 기존 경기장 대신 Tokyo Bay에 새로운 배구경기장 신축한다는 당초 계획추진으로 방향을 다시 선회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초 신설배구경기장으로 계획되었던 Ariake Arenark

Koike도코도지사에 의해 Tokyo2020올림픽배구경기장으로 확정된 바 있습니다. 

 

Koike도지사는 Ariake Arena경기장 신축으로 당초 예상되었던 404억엔(US$3 4,200만불/ 4,104억원)으로 생각되었던 비용보다 현저히 낮춰진(will cost significantly less than first thought) 339억엔( US$2 8,700만불/ 3,444억원)정도만이 소요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특징적으로 나타내 중 경기장으로 손꼽히도록 예정된 수영장과 카누경기장 등은 현저하게 경비절감을 이룩하기 위한 대상이 되어 왔었다고 1216일 도쿄도청에서 주간 기자회견에서 Koike도지사가 언급한 바 있습니다

 

수영장(the Aquatics Center)건설비용의 경우, 조직위원회관계자들이 계상하였었던 당초 예상금액(the initial projection) 491억엔(US$41,600만불/ 4,992억원)보다 낮춘 가격대인 298억엔(US$25,300만불/ 3.036억원)대로, 카누경기장 시설비용의 경우, 당초 683억엔(US$57,900만불/ 6,948억원)대에서 52억엔(US$4 1,600만불/ 4,992억원)대로 비용축소가 예상된다는 보도도 이어 진 바 있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Tokyo2020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2. 20. 11:19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예산규모 15조내지 18조원 정도로 주장]

 

2016 1217일 자 한 외신기사 제목은 “Tokyo2020 올림픽조직위원회 대회개최비용 지난 번 전망 치보다 거의 US$ 70억불( 8 4천억원)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하다”(Tokyo 2020 claim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will cost nearly $7 billion less than last projection)였습니다.

 

 

 

(Yuriko Koike 도쿄도지사/출처:insidethegames)

 

 

일본에서 발행된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Tokyo 2020조직위원회가 대회개최 총 소요비용이 16천억 엔(US$136억원/ 16 3,600억원)~18천 억엔(US$152억 불/ 18 3,400억 원)사이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Kyodo News에 의하면 도쿄도정부와 해당 지방정부들은 11천억엔(US$93억 불/111,600억원)을 투입(inject)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개정된 예상 추정 치(the revised estimate)예산은 1221일 예정된 IOC, Tokyo2020, 일본 중앙정부 및 해당도시정부로 구성된 4자실무그룹(Four Party Working Group)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Tokyo2020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이 지금 내세우고 있는 예산수치(15~18조원)는 지난 11 Tokyo2020이 공개한 바 있는 US$200억불(24조원)규모보다 현저히 낮춰진(significantly lower) 금액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John Coates IOC부위원장 겸 Tokyo2020 IOC조정위원장이 Tokyo2020이 제시한 총 개최예산규모가 향후 올림픽유치 과정을 고려할 때 유치신청도시들에게 나쁜 인상을 줄 위험 초래”(risks giving a bad impression)금액이라고 언급한 후 IOC로써는 안도의 한숨을 쉬게 할 안전할 것으로 예상(likely be greeted with relief)됩니다.

 

Yoshirō Mori Tokyo 2020 조직위원장은 지난 11, 4자실무그룹 회의 동안 그리고 Coates IOC조정위원장이 언급한 수치가 US$200억불( 24조원)을 약간 상회하는 금액이었음에도 예산상한금액(maximum budget cap) 2조엔(US$170억 불/ 20 400억원)으로 할 것임을 예시한 바 있었습니다.

 

이러한 최근 예산규모수치 개정배경에는 지난 9월 도쿄도정부(TMG) T/F팀이 Tokyo2020예산 총액이 3조엔(US$254억불/ 30 480억원)으로 부풀려지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 극단적인 변혁이 취해져야 한다라는 경고성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30조원 대의 예산총액은 Tokyo2020의 올림픽유치 당시 제시한 금액의 4배를 상회하는 규모라고 합니다.

 

 

 

IOC vice-president John Coates warned Tokyo 2020's $20 billion budget cap “risks giving a bad impression” to cities considering bidding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Getty Images (John Coates Yoshirō Mori/출처: insidethegames)

 

 

비록 도쿄도 T/F팀이 예산절감 해결차원에서(to address the issue) 신설예정인 수영, 카누 및 배구 등 3개 종목 경기장을 다른 기존경기장이 있는 곳으로 옮겨져야 한다고 하면서 한술 더 떠 불안감조성에 일조를 하긴 하였지만Tokyo 2020조직위원회는 치솟는 예산비용에 대한 우려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온 바 있습니다

 

신설수영장 및 조정과 카누 스프린트경기장 대체 안으로 도쿄도에서 400km떨어진 곳에 위치한 Miyagi Tome에 있는 기존 경기장을 포함하는 대체 안 등을 제안하였지만 각각의 새로운 경기장(the Olympic Aquatics Stadium and Sea Forest Course respectively) 건설 기존 안의 예산규모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명분으로 기각(each rejected in favor of downscaled versions of existing plans for new venues)된 바 있습니다.

 

Yuriko Koike 도쿄도지사는 드디어 1216일 배구종목경기장의 경우, 지금까지 주장해 오던 요코하마 소재 기존 경기장 대신 Tokyo Bay에 새로운 배구경기장 신축한다는 당초 계획추진으로 방향을 다시 선회한다고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당초 신설배구경기장으로 계획되었던 Ariake Arenark

Koike도코도지사에 의해 Tokyo2020올림픽배구경기장으로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그녀는 Ariake Arena경기장 신축으로 당초 예상되었던 404억엔(US$3 4,200만불/ 4,104억원)으로 생각되었던 비용보다 현저히 낮춰진(will cost significantly less than first thought) 339억엔( US$2 8,700만불/ 3,444억원)정도만이 소요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특징적으로 나타내 중 경기장으로 손꼽히도록 예정된 수영장과 카누경기장 등은 현저하게 경비절감을 이룩하기 위한 대상이 되어 왔었다고 1216일 도쿄도청에서 주간 기자회견에서 Koike도지사가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수영장(the Aquatics Center)건설비용의 경우, 조직위원회관계자들이 계상하였었던 당초 예상금액(the initial projection) 491억엔(US$41,600만불/ 4,992억원)보다 낮춘 가격대인 298억엔(US$25,300만불/ 3.036억원)대로, 카누경기장 시설비용의 경우, 당초 683억엔(US$57,900만불/ 6,948억원)대에서 52억엔(US$4 1,600만불/ 4,992억원)대로 비용축소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Kyodo New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2. 6. 12:39

[Tokyo2020 18천 억대 개폐회식 주경기장건설 첫 삽]

 

124일 한 외신기사 제목은 “Tokyo2020올림픽 주 경기장건설작업 공식착수 식에 앞서 공사 시작되다”(Construction work begins on Tokyo 2020 Olympic Stadium ahead of official launch ceremony)였습니다.

 

 

 

(여러 차례 번복 끝에 최종 확정된 Tokyo2020올림픽 주경기장 디자인/출처: insidethegames)

 

124일엔 Tokyo2020올림픽 핵심특징상징물(centerpiece)로 자리매김할 새로운 올림픽 개폐회식 주경기장이, 1주일 후 예정된 공식건설착수 식에 앞서, 예비기초 건설공사(preliminary construction work)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일본체육회는 착공 식”(groundbreaking ceremony)이 오는 1211()공식 건설과정 착수하기 위해(to officially launch the building process) 열릴 것이라고 확인해 왔다고 합니다.

 

36개월 소요 Tokyo2020올림픽 주경기장 건설일정(a 36-month construction timetable) 2019 11월에 완료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땅 굴착기들(earth excavators)이 이미 금주에 도쿄도 체육관 인근에 위치한 주경기장 공사장(onto the site)에 배치되어 왔으며 이는 주경기장 골격기조 설치착수를 위한 (in order to begin to lay the foundations of the structure)이라고 합니다

 

아사히신문(Asahi Shinbun)보도에 따르면, 현재계획(current plans)은 아무리 빨라도 내년 여름에 시작될 지상작업을 위한 작업용(for work above ground)이라고 합니다.

 

이번 공사로 지금까지 이라크 계 영국인 건축설계사인 故 Zaha Hadid가 고안하여 발의한(drawn-up) 주경기장 당초 디자인에 의한 건설예산2,520억엔 (US$25억 불/ 3조원)까지 치솟자 Abe Shinzo일본총리가 나서서 폐지한(scrapped) 바 있는 그 디자인 사태 이후 16개월 간 지연되어 왔던 주경기장 건설계획이 그 사이에 새로운 디자인이 채택 및 재정립되어 건설시동이 걸린 셈입니다.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ō Abe announced the scrapping of the initial stadium plan in 2015 ©Getty Images (Abe일본총리/출처: insidethegames)

 

 

이에 따라 1964년 도쿄올림픽에서 개폐회식 및 올림픽주경기장으로 사용된 바 있는 당초 올림픽 주경기장 해체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건축설계사 Kengo Kuma이 디자인한 새로운 계획에 의거하여 축소된 규모로 나무를 주 소재로 한 일본 식 장식위주의 방식에 초점을 두고 있다(focusing upon a scaled-down, wood-rich Japanese-style interior decoration scheme)고 합니다.

 

새로운 올림픽 주경기장 건설비용1,490억 엔(US$ 15억 불/ 1 8,000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Tokyo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폐회식 및 육상종목 경기들이 열리고 건설되고 있는 곳이 올림픽 주경기장인데 아직 정해지지 않은 수의 올림픽 축구종목 경기들도 이곳에서 열리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Asahi Shinbun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2. 5. 13:08

[Tokyo2020조직위 예산만 5조 대 도전과제는 일본 내 조직 간 업무분장]

 

122일 한 외신기사 제목은 “Tokyo2020조직위원장 각기 다른 정부들의 역할분담 식별이야말로 가장 큰 도전과제라고 주장하다”(Tokyo 2020 President claims identifying division of roles between different Governments is "largest challenge.)였습니다.

 

 

 

 

(Yoshirō MoriTokyo2020조직위원장과 John Coates IOC조정위원장/출처: insidethgames)

 

 

Yoshirō Mori Tokyo 2020조직위원장은 올림픽에 연관된 각기 다른 정부들간의 역할 분담이 제대로 식별될 때까지(until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different Governments involved in the Games has been identified) 올림픽 및 패럴림픽 예산을 최종 마무리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고백은 IOC가 전체소요예산을 확정(finalize)할 것과 9월말 발표된 바 있는 전체예산US$200억 불( 24조원)의 상한선(cap)을 더 밑으로 낮추라고 주문하는 등 두 가지에 대하여Tokyo2020조직위원회관계자들에 대한 계속되는 압박(pressure)이 가해지면서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Mori 조직위원장은 아직까지 예산삭감에 대한 약속을 사절하여 오고 있으며 그 이전에 업무소관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해야 한다(they must work-out who is responsible for what before this can be done )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Tokyo내부에서 경기장 건설비용에 관한 것은 도쿄도정부(TMG)또는 일본중앙정부의 책임이며 도쿄를 벗어난 외곽지대에 건설될 경기장에 대한 비용은 해당지역 행정당국(local municipal authority)뿐만 아니라 도쿄도정부와 일본중앙정부가 함께 분담하는 책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공교통 및 안전관련 경비는 아직 책임소재가 완전히 마무리되지는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중앙정부 소관인 것(fall under the remit of the national Government)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합니다

 

122일 일본총리를 역임한 바 있는 Mori조직위원장의 발언내용입니다:

 

"The largest challenge for us is how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Organising Committee, the National Government, the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TMG) and various other municipalities [outside Tokyo also hosting sports] has not been made clear." (우리에게 당면한 가장 큰 도전과제는 조직위원회와 중앙정부와 도쿄도정부와 다양한 해당관할 행정당국들[도쿄외곽에서도 종목경기를 개최함] 간의 역할 분담이 어떻게 명확하게 선이 그어지지 않은 채 방치되어 왔느냐 라는 것임)

 

"As of today, we have not been able to identify division of roles involving the relevant parties. (오늘 현재로 보면 관련 단체들이 연관된 역할분담에 대하여 식별 확인이 되어 있지 않아 온 것이 주지의 사실임) 

 

"We have to decide on that in order to solidify the overall budget number." (우리는 전체 예산 수치를 공공이 하기 위하여 업무분장에 대해 결정해야 함)

 

Rio2016올림픽에 앞서 Rio역시 Rio시정부와 중앙정부와 주정부당국들간의 유사한 책임소재 분담이 브라질에서 도전과제였었다고 합니다.

 

비록 추후까지 공개되지 않을진 모르지만(may not be publicly disclosed until later) Tokyo2020올림픽 전체예산 초안이 2016년 말 전에 마무리되는 것이 아직 희망사항이라고 합니다.

 

 

 

John Coates (left) and Yoshirō Mori pose together after the Coordination Commission meeting ©Getty Images (John CoatesYoshirō Mori/출처: insidethegames)

 

 

도쿄도정부(TMG) TF팀응 지난 9, 3조엔(US#300억 불/ 36조원)으로 팽창일로에 봉착한 총예산의 상승기조를 피하려면 급격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고 합니다.

 

이 수치는 유치단계에서 계상된 당초 예산의 4배이상의 규모에 해당한다는 예측에 우려확산에 진원지(sparked widespread concern)가 되기도 한 바 있다고 합니다.

 

Tokyo2020조직위원회에 할당된 예산 몫은 5,000억 엔(US$47억불/5 6,400억원)으로 예상되지만 도쿄도정부와 중앙정부당국들 간의 구체적인 세부예산 부담 내역(a further breakdown)이 아직 확인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John Coates IOC부위원장 겸 IOC조정위원장은 Mori조직위원장이 동석한 자리에서 Tokyo2020대회의 다른 분야의 전체예산 규모가 여전히 낮게 자리매김해야 할 때 Mori조직위원장이 최근 발표한 전체예산 상한 액이 너무 높게 책정되었다고 생각되는 정확한 이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파고 들었다(went into more details)고 합니다

 

그는 기존 또는 특히 우려의 대상이 되는(which is especially concerning) 임시건축 경기장에 설치될 임시가설물(overlay)에 대한 가격산정이 높게 계상(the high cost estimations for overlay)되어 있다고 집중적으로 부각하여 강조하였다고 합니다

 

IOC견지에서 볼 때 임차공간(renting space)과 같은 몇 몇 요소들에 소요되는 비용은 훨씬 더 낮게 책정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John Coates IOC조정위원장의 발언 내용입니다:

 

"We think they can make significant savings in security and other areas if the procurement starts earlier." (조달부문이 좀 더 일찍 시작된다면 안전 및 다른 분야들에서 상당한 예산절감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바임)

 

"The longer you leave it, the more expensive they are going to be because of the expense of labour and materials." (노동 및 자재비용으로 인해 오래 방치하면 할수록 비용이 더 비싸질 것은 자명함)

 

 

 

Two days of Coordination Commission reports and feedback have taken place here ©Getty Images(Tokyo2020 IOC조정위원회 회의 장면/출처: insidethegames)

 

 

한편 Coates조정위원장은 2일 간의 IOC조정위원회 방문 후, 다른 분야요소들의 준비상황에 대하여서는 강력한 어조로 높이 평가하였다고 합니다.

 

높은 평가를 매긴 분야에는 Rio2016올림픽대회 때는 물론 London2012 올림픽 때 보다 훨씬 더 초과하는(significantly exceeds)가용호텔객실 수와 참여(engagement)와 홍보(promotional)부문 그리고 일찌감치 42개의 스폰서를 확보한 마케팅 스폰서 열풍부문(a sponsorship drive)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Tokyo2020조직위원회가 15명의 마무리 스포츠매니저들 채용을 재촉함에 앞서 33개 스포츠매니저들 중 18명을 기 임용한 것에 대하여서도 높은 점수를 매긴 바 있다고 합니다

 

금번 IOC조정위원회가 Tokyo2020조직위원회와 함께 논의한 토픽들은 (1)스포츠, (2)베뉴, (3)베뉴운영, (4)테스트이벤트 관리, (5)에너지, (6) 테트놀로지, (7)NOC서비스, (8)올림픽선수촌, (9)숙박 및 (10)패럴림픽분야 등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7년부터는 매년 2차례의 IOC조정위원회 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1. 29. 14:00

[Beijing2022동계올림픽 메달포획겨냥 중국정부 투자 및 동계스포츠인구 저변확대 3억명]

 

1128일 자 외신기사 제목은 중국이 Beijing2022동계올림픽 메달전망 향상을 위한 스케이트 링크 및 스키장에 투자한다”(China to invest in skating rinks and ski slopes to boost medal prospects at Beijing 2022)였습니다.

 

 

(출처: insidethegames)

 

중국은 Beijing2022동계올림픽 전에 세계의 동계스포츠 강국들(dominant winter sports nations)들과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케이트장(ice rinks)과 스키장(ski slopes)건설에 집중 투자할 계획에 몰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로이터(Reuters) 통신에 따르면, 중국당국은 Beijing2022 동계올림픽 때까지 남은 6년 동안 동계스포츠인구를 3억명(300 million)까지 저변확대 할 목표를 세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중국 국가개발 및 개혁위원회(China’s 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500개의 빙상 장(ice rinks) 240개의 스키장(ski slopes) 건설계획을 공개하였다고 합니다

 

중국정부와 민간기금 결합조성 자금은 동계스포츠시설건설 목표달성을 위해 사용될 것으로 예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합동계스포츠시설 활용을 통하여 중국동계올림픽 팀 경기력 향상지원에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금3, 4, 2을 획득함으로써 참가국 메달 순위 12위의 성적을 거양한 바 있다고 합니다.

 

이들 메달 중 스피드 스케이팅종목 및 쇼트 트랙 스케이팅종목에서 7개를 획득하였으며 나머지 2개 메달은 프리스타일 스키종목(freestyle skiing)에서 땄다고 합니다.

 

중국은 6년 후 2022년 동계올림픽개최에 앞서 동계스포츠 선도 국들(leading nations)과의 격차를 좁히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Investment is set to be made to boost the number of ice rinks and ski slopes ©Getty Images (출처: insidethegames)

 

 

 

중국당국 관계자들은 자국 남자 아이스하키 전력이 세계37위로 낮게 자리매김되어 있는 현실에서 러시아 아이스하키 리그인 Russian Kontinental Hockey League (KHL)에 베이징에 근거지를 둔 Kunlun Red Star 팀을 폭넓게 편입시키는 등 경기력 향상 자구책을 이미 마련해 오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 남자 아이스하키팀 편재를 보면 수입된 외국인용병(foreign imports)과 중국영재(Chinese talent)들과의 혼합 팀(a mixture)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혼합중국 팀으로 구성하여 훈련함으로써 중국국가대표 팀이 Beijing2022동계올림픽에 출전해서 경기력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첫 걸음으로 자리매김할 것을 희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아이스하키 팀이 소속된 Russian Kontinental Hockey League (KHL)러시아 리그는 세계최강리그인 NHL(National Hockey League)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막강한 아이스하키 리그(the second best ice hockey league in the world)로 간주되고 있으며 벨라루스, 크로아티아, 핀란드, 카자흐스탄, 라트비아 및 슬로바키아와 같은 국가들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Reuter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1. 22. 08:09

[Beijing2022동계올림픽 전용 고속도로(별도) 및 고속철도(10 4천억원) Update]

 

1120일 자 한 외신 기사 제목은 베이징2022 동계올림픽 용 신 고속도로 금년 말까지 착공”(Construction work on new expressway for 2022 Winter Olympics to begin by the end of this year)이었습니다.

 

 

 

           (출처: insidethegames)

 

Yanchong Expressway고속도로 건설은 2022년 동계올림픽을 겨냥하여 베이징에서 Zhanjiakou까지 연결을 목표로 금년 말 착공예정이라고 합니다.

 

고속도로 공사는 2019년 완공예정이라고 중국 Hebei성 교통부가 신화뉴스(Xinhua)를 통해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113km거리의 고속도로는 올림픽 설상종목의 중심지이며 베이징 북부에 위치한 Zhanjiakou를 위한 동계올림픽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동 프로젝트는 빙상종목 개최도시인 베이징과 설상종목(바이애슬론/biathlon, 크로스 컨추리 스키/cross-country skiing 및 스키점프/ ski-jumping events) 개최도시인 Zhanjiakou 두 도시간의 수송망을 개선하도록 고안된 일련의 계획들 중 하나라고 합니다.

 

Hebei성은 베이징을 둘러싸고 있는 지역인데 유치계획서에서 Zhangjiakou의 수송망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해 이 같은 계획을 창출해 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eijing 2015 9월 콸라룸푸르 개최 제128 IOC총회 첫 말 투표에서 경쟁후보도시였던 카자흐스탄의 알마티를 누르고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Yanchong Expressway고속도로망 외에 베이징과 Zhangjiakou Zhangjiakou공항까지 연장되어 연결하는 고속철도건설 역시 동계올림픽 수송교통 계획에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584 1,000위안(¥58.41 billion (US$8.74 billion/ 10 3,880억원)짜리 고속철도 건설계획이 2015 11월 정부승인을 득하였으며 총 연장길이는 174km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동 고속철도는 베이징2022동계올림픽 3개 경기장 권역(three venue clusters)을 연결하게 되는데 컬링, 아이스하키, 및 스케이팅 종목들이 개최되는 베이징을 기점으로 연결된다고 합니다. 베이징은 동 하계올림픽을 모두 치르는 역사 상 첫 도시가 되는 셈입니다.

 

 

 

The expressway will link Beijing to Zhangjiakou (pictured), which will be holding biathlon, cross-country skiing and ski-jumping events among others during the Games ©Getty Images (Zhangjiakou지역/출처: insidethegames)

 

 

스키 종목들과 봅슬레이, 루지 및 스켈레톤 종목 개최지인 Yanqing 경기장 권역(venue cluster)은 베이징과 Zhangjiakou를 연결하는 중간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65억 위안(¥6.5 billion (US$970 million/ 1 640억원) 짜리 고속철도 확장 노선은 2016 6월 승인되었는데 Zhangjikoou시와 프리스타일 스키/freestyle skiing, 스노보드/snowboarding, 크로스 컨추리스키/cross-country, 노르딕 복합 스키/Nordic Combined, 스키점프/ski jumping 및 바이애슬론 종목들/ biathlon events이 개최될 예정지인 Chongli리조트까지 연결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고속철도 노선은 중국만리장성 연결지역이며 방문객이 가장 최다지역인 Badaling에 소재하게 될 세계에서 가장 깊고 가장 거대한 철도 역을 포함하게  될 것이라고 중국미디어가 보도하고 있다고 합니다

동 철도 역은 만리장성 아래 산맥들을 통과하여 운행하게 될 것으로 베이징과 베이징에서 육로로 현재 3시간 가량 걸리는 Zhangjiakou를 연결하는 핵심 고속철도망의 일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고속철도 건설목적은 베이징과 Zhangijikou간의 여행거리를 단축하는 것인데 두 지역을 소요시간 약 50분가량이며 도달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Xinhua New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1. 9. 16:45

[Tokyo2020올림픽 예산비용 급상승 원인은 리더십부재라고 비난]

 

 

11 2일 자 한 외신 보도 제목이 도쿄도 정부 TF팀장, 올림픽예산증액이 리더십부재 탓이라고 비난하다”(Tokyo Government Task Force head blames Olympic budget rises on lack of leadership)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Shinichi Ueyama 게이오 대학교수/출처: insidethegames)

 

Tokyo 2020조직위원회의 예산증액은 형편없는 감독”(poor supervision)투명한 권한발휘결여’(lack of clear authority)때문이라고 예산삭감 방법 모색임무를 부여 받은 도쿄도 패널이 비난하였다고 합니다

 

Shinichi Ueyama 게이오 대학교수 역시 도쿄올림픽 및 패럴림픽 최종 전체예산(a final overall budget) 2016년 말 경 완성될 것이 예상된다고 약속하였다고 합니다.

 

수영, 배구, 조정 및 카누 예비경기장 변경 타당성여부를 검토한 Ueyama교수 팀이 111일 부로 마무리된 권고내용들이 12월 최종결정을 앞두고 현재 고려 중이라고 합니다.

 

 

그들은 과감한 변경이 이루어 지지 않는 한 올림픽 및 패럴림픽 예산규모가 3조엔(US$300 억불/ 33조 원)을 초과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고 합니다.

 

Ueyama교수의 기자회견 발언입니다:

 

(1) "There is no proper mechanism in place [in the Organising Committee] to manage the entire budget, a real lack of governance," (조직위원회 내부에 전체예산을 운영해 내는 적절한 메커니즘이 없는데, 지배구조가 참으로 결여된 상태임)

 

(2) "There is nobody who has authority equivalent to a chief executive or chief financial officer as there is in a usual company. (조직위원회 내부에 일반 회사에 존재하는 수석총괄임원이나 재정총괄수석담당관에 필적하는 권위를 가진 사람이 아무도 없음)

 

(3) "This is a source of great concern to us." (이것이 우리에게 상당히 큰 우려의 근원임)

 

일본 언론은 IOC가 올림픽예산이 아직 정해지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Ueyama교수의 12월 일정(timetable) 운운은 동 예산이 121~2일 예정된 IOC조정위원회 조사방문 시 마무리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동 사안은 오는 2017 16~8일 스위스 로잔느 개최 IOC 2017년도 첫 집행위원회에서도 논의도리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Tokyo Governor Yuriko Koike ordered the review into costs ©Getty Images

(Thomas Bach IOC위원장과 Yuriko Koike 도쿄도 지사/출처: insidethegames)

 

3조 엔(33조원)이란 금액은 2013년 도쿄2020이 유치단계에서 제안했던 총 예산이 4(a four-fold increase)상승된 수치입니다.

 

계속되는 Ueyama교수의 기자회견 발언입니다:

 

(4) "When the first version of the overall budget comes out in December, costs for things like transport and security will be spelled out in detail, because the maths has to be done first." (1차 전체예산이 12월 발표될 때, 수송과 안전과 같은 것들에 대한 비용은 세부적으로 적시될 인데 그 이유는 그 부문들에 대한 수학적 계산방식이 우선 실행되어야 하기 때문임)

 

(5) "The IOC will then relay their experience from past Olympic Games and after that, there will be specific discussions. (IOC는 그때 과거 올림픽으로부터 겪었던 그들의 경험을 전수할 것이며, 그 다음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임)

 

(6) "I'm not too pessimistic about it." (그것에 대하여 그다지 비관적이지 않음)

 

Ueyama위원회(Commission)는 제안된 도쿄 만(Tokyo Bay)에 위치한 Sea Forest조정/카누코스 경기장건설에 대하여 영구시설에서 가설 임시시설(가설물)로 등급 하향조정조치를 통하여 예상건설비였던 700억 엔(US$66,000만 불/ 7,260억 원) 300억 엔(US$2 8,000만 불/ 3,080억원)가량으로 삭감할 수 있다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Under the proposals, the Sea Forest venue on Tokyo Bay will either be scrapped or downsized ©FISA (Sea forest 조정 카누 경기장/출처: FISA홈페이지)

 

 

대안 안으로 도쿄에서 400km떨어진 Miyagi현에 소재한 기존Naganuma시설물 활용 방안을 적용하며 경비를 350억 엔(US$3 3,000만 불/ 3,630억원)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Naganuma기존시설활용이 Sea Forest신설 경기장에 대비한 현실적인 유일한 대안(only realistic alternative)으로 묘사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스포츠 기구들은 이러한 방안에 대해 반박하였으며(disputed) Sea Forest경기장만이 모든 판단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방안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Tokyo2020조직위원회를 포함한 다른 조직들은 Naganuma기존 코스를 사용할 경우, Ueyama교수팀이 비판하여 왔던, 훨씬 더 비싼 대가를 지르게 될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운영예산이 유치 당시 수준인 US$1억 불( 1,100억원)로 머물러 실정인데 이 예산에는 포괄적인 스포츠 외적 구체적(non-sport specific) 시설물 설치 인프라 공사비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금액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필요 인프라시설물에는 광역 수도권(Greater Tokyo) Tokyo Bay에 위치한 새로운 섬들을 연결해 줄 신 교량(a new bridge)과 쓰레기 이전 시설(a garbage transfer facility)도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7) "For the Organising Committee to say how much Miyagi - which is something we only started discussing this summer - will cost or that it will be more expensive than keeping it in Tokyo when they haven't even properly studied it is nothing short of unfair, in my opinion." (겨우 금년 여름철에 들어서야 논의를 시작하였던 Miyagi 현 소재시설 경비소요금액 또는 그들이 적절하게 연구검토조차 해 보지 않았을 때의 Miyagi경기장활용 소요경비가 도쿄에 있는 경기장을 유지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비싼 비용이 들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조직위원회의 견해는 내 의견으로는 부당한 것이나 다를 바가 없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FISA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6. 11. 1. 16:54

[Tokyo2020올림픽 경기장 배치계획 아직도 갈팡질팡]

 

IOC, FISA(국제조정경기연맹), ICF(국제카누연맹), Tokyo2020올림픽 조직위원회 그리고 개최도시 도쿄도정부가 올림픽 조정경기장 선정을 놓고 11월 초 현재 아직도 갈팡질팡 대체 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1029일 한 외신보도 기사제목은”2020년 올림픽 조정종목 경기장 대체장소가 제 때에 준비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도쿄도지사가 경고하다”(Alternative rowing venue for 2020 Olympics may not even be ready in time, Tokyo Governor warned)였습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과 Yuriko Koike도쿄도지사/출처: insidethegames)

 

 

도쿄도정부 담당부서는 만일 Sea Forest Waterway조정경기장을 대체할 Tome소재 Nagamura조정경기장 코스가 Tokyo2020올림픽 경기에 맞춰 제때 준비될 지 여부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한 것으로 보도되었다고 합니다

 

도쿄에서 400km떨어진 거리의 Miyagi현에 소재한 동 코스는 지난 10월 잠재적 대체경기장으로 내정된(earmarked) 바 있다고 합니다

 

도쿄도 신임도지사Yuriko Koike가 관련업무처리를 위해 구성된 도쿄도정부 TF팀은 (1)조정 및 카누경기장, (2)배구경기장 및 (3)수영경기장 이전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3조엔( US$300억 불/ 33조원)으로 치솟고 있는 전체예산규모의 팽창을 모면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 교도뉴스(Kyodo News)보도에 따르면, 도쿄도정부 담당부서는 제안된 경기장이 설사 대체경기장으로 선택된다고 할지라도 대회 시까지 준비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암시하였다고 합니다.

 

토지매입에 따른 시간 여유 및 환경영향평가(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를 수행할 시간부족문제가 해당담당부서의 의구심의 배경인 것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국제조정연맹(FISA) Tokyo2020조직위원회에게 Sea Forest Waterway에서 조정종목경기가 치러지도록 현재계획대로 밀어붙일 것을 촉구하여 오고 있다고 합니다

 

Matt Smith FISA수석국장은 지난 주 Sea Forest Waterway에 건설될 조정 및 카누 경기장 스포츠관련 직접건축비용(the direct sport-related cost of building) US$1억 불( 1,100억원)이하로 되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고 합니다.

 

Tokyo2020올림픽유치파일에 따르면 동 경기장 건설비용 US$7,800만 불( 858억 원) 및 대회기간 중 설치될 임시구조물(overlay)비용 US$2,300만 불( 253억불)로 총 1, 011억원 정도로 계상되어 있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2015년이래로 훨씬 더 높은 건설비용 추정 금액(far higher cost estimates)이 회자되고 있는 있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Rowing at the Olympics and Paralympics s currently due to take place at the Sea Forest but Tokyo 2020 may change the venue to help keep the budget down ©Tokyo 2020 (Tokyo2020올림픽유치제안 조정기경기장인 Sea Forest Waterway/출처: Tokyo2020홈페이지)

 

 

Koike도쿄도지사와 Thomas Bach IOC위원장 간에 합의된 4자간 실무리뷰(a four-party working group review)회의가 요구되고 있는 변경사안에 대한 합의안을 도출을 위해 금주(11월초) 3일 간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017 7월 선출되었을 당시 Koike신임도쿄도지사는 올림픽의 겉잡을 수 없이 치솟는 비용(cut the sprialling)을 삭감할 것으로 약속하였는데 여러 가지 선택 안들을 내 놓고 합의도출을 시도할 것임을 약속하였다고 합니다.

 

(1) "I’ve been asked by the IOC to have discussion before narrowing it down to one proposal, so there have been changes." (한 가지 제안 안으로 압축하기 전에 IOC와 토의할 것을 요청 받은 바 변경 안들이 검토되고 있음)

(2) "We’ll put together several options and seek the solution through a four-way discussion. (여러 기자 선택 안들을 함께 놓고 4자 간의 논의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할 것임)

(3) "At the same time I’m not sure about tossing out all sorts of ideas. (한편 모든 종류들의 아이디어들을 던져버리는 것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음)

(4) "We have to narrow it down to a certain extent if we are not to miss the last chance to re-examine venues." (경기장들을 재검토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면 어느 정도 제안내용을 압축해야 함)

 

10월 마지막 주 초, 국제수영연맹(FINA)수석국장인 Cornel Marculescu 및 일본 톱 리그 연합 대표는 Tokyo2020조직위원회에게 수영장(aquatics venue)과 배구장(volleyball venue)을 각각 제대로 건설하는 계획을 사수하라고 요구하였다고 합니다.

 

수영 및 배구 두 종목을 위해 계획된 경기장은 도쿄도정부 보고서에 명시되어 잠재적 변경이 가해지도록 예정된 후보경기장들 가운데 포진되어 있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Tokyo2020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