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18. 3. 30. 17:24

[2022년 청소년올림픽(YOG)개최도시 아프리카 국가로 확정되어 선발과정에 들어가다]

 

 

329IOC2022년 아프리카개최로 약속된 청소년올림픽 개최도시 선발 단순화(simplified)과정에 대하여 공개하였다고 합니다

 

 

 

IOC329일 아프리카 대륙개최로 약속된 2022년 청소년올림픽대회 개최도시 선발과정을 단순화하였음을 공표하였습니다.

 

 

동 대회 아프리카 개최도시가 선 순환적으로(proactively) 추구될 것이라고 지난 3월 평창2018 기간 중 열렸던 제132IOC총회에서 합의된(27일자) 바 있다고 합니다.

 

 

그 이후로 몇 몇 아프리카 NOC들과의 교신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세네갈의 수도 다카르(Dakar)가 초반 경쟁도시(an early contender)로 부상하여 오고 있다고 합니다.

 

 

동 대회 선발과정(selection process)은 오는 5IOC집행위원회에 타당성 보고서(feasibility report)를 포함한 대화단계(dialogue phase)로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합니다.

 

 

오는 7, IOC9월경 예정된 IOC평가위원회 보고서에 앞서 단일 후보 국이 되도록 초대할 것(issue an invitation to be a candidate country)이라고 합니다.

 

 

이후 오는 108~9일 사이에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IOC총회에서 개최국이 선출되도록 되어 있다고 합니다.

 

 

IOC총회에서는 이전과 달이 투표절차는 없고 대신 한 개 후보도시가 호명 및 제안될 것(one candidate will simply be put forward) 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IOC성명서(statement)내용입니다:

 

"The new process is more streamlined, simpler, cost effective and shorter, with a view to identifying the best host partner to collaborate with the IOC for the Summer Youth Olympic Games 2022." (새로운 선발과정은 이전보다 간결하고, 단순하며 비용대비 고효율적이고 기간이 단축될 것인데 그 목적은 2022년 하계 청소년올림픽개최관련 IOC와 협업할 최적의 개최도시 파트너를 식별하기 위함임)

 

 

Senegal's capital Dakar has emerged as a contender ©Getty Images (세네갈의 수도 다카르 전경/출처: insidethegames)

 

 

 

Bach IOC위원장은 2022년 아프리카 개최 하계 청소년 올림픽이 향후 2032년 또는 2036년 아프리카에서 하계올림픽개최의 길을 용이하게 하기(pave the way towards a Summer Olympic Games in Africa in either 2032 or 2036)를 희망한다고 언급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올림픽이 아프리카에서 열린 적이 없는 것이 주지의 사실입니다.

 

 

남아공의 케이프타운은 최종적으로 아테네로 부여된(ultimately awarded to Athens) 2004년 올림픽개최도시 선출과정에서 후보도시 단계까지 진입한 바 있을 정도로 가장 근접한 바(came closest when reaching the candidature stage of the 2004 edition)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지난 2월 다음과 같이 발언 바 있다고 합니다:

 

 

(출처: IOC 홈페이지)

 

 

A.“Africa is the home of so many very successful Olympic athletes.” (아프리카는 아주 성공적인 올림픽선수들의 고향임)

 

B. "Africa is a continent of youth. (아프리카는 청소년의 대륙임

 

 

(출처: IOC 홈페이지)

 

 

C. "That is why we want to take the Youth Olympic Games 2022 to Africa." (그래서 우리는 2022년 청소년올림픽이 아프리카에서 열리기를 원함)

 

 

(출처: IOC 홈페이지)

 

 

이러한 아프리카 개최 제안에 대해 아프리카출신 IOC위원들은 환호성으로 환영으로 반색을 표명하였다(The proposal was welcomed jubilantly by IOC members from Africa)고 합니다.

 

 

Nawal El Moutawakel 모로코 여성 IOC위원은 지금까지 오랫동안이나 올림픽운동의 변방 언저리를 맴 돌았던”(so long been on the margin of our Olympic Movement) 대륙을 향한 위대한 희망의 빛” (a great glimmer of hope)을 제공해 준 것이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3. 13. 15:16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마스코트 선정 발표(Tokyo 2020 unveils mascots) 스케치]

 

지난 228일 자로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대회 마스코트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 2.042건의 참가신청(entries) 접수 후 16,769ro 에 달하는 학교 학생들이 참여한 투표결과 Tokyo2020대회 마스코트 가 발표되었다고 합니다.

 

 

Tokyo2020조직위원회는 선정된 디자인을 2018228일 공식 발표하였는데(officially unveiled) 일본전역 및 해외소재 일본학교에 다니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압축된 최종 3종 디자인 세트 리스트(a shortlist of three sets of designs)로부터 그들이 가장 선호하는 디자인을 선택하였다고 합니다.

 

 

 




 

최종 선발된 우승 디자인은 일본 남쪽지역인 Fukuoka 출신 43세 그래픽 디자이너인 Ryo Taniguchi작품으로 그 디자인의 캐릭터들 중 군청색(dark blue)은 올림픽 마스코트로 벚꽃(cherry blossom) 핑크색은 패럴림픽 마스코트로 구별되는데 Tokyo2020의 브랜드 비전(branding vision)의 핵심인 조화로부터의 혁신”(innovation from harmony)이란 개념을 포괄적으로 감싸는(encapsulating the “innovation from harmony” concept which is at the heart of the branding vision for Tokyo 2020) 미래지향적인 표정을 띤 전통적 가치(a traditional value with futuristic looks)를 결합하려는 의도를 뜨고 있다고 합니다




 

Tokyo 2020(최종 선발 마스코트 후보 3/출처: IOC홈페이지)



 

 

*References:

 

-IOC홈페이지

-Tokyo2020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7. 10. 19. 16:43

[대한민국 국가대표선수들의 금메달보금자리 진천선수촌시대와 태릉 선수촌 및 태릉 국제 스케이트장 이모저모  요약정리Update]

 

안녕하십니까?

지난 9월27일 태릉선수촌 시대를 마감하고 100년 대계 진천 국가대표 선수촌시대가 선포되었습니다.

차제에 대한민국 국가대표선수들의 금메달보금자리 진천선수촌시대와 태릉 선수촌 및 태릉 국제 스케이트장 이모저모 요약정리하여 글 올려 드립니다.

 

1. 진천선수촌

 

(출처: 연합뉴스)

 

1)   소재지: 충북 진천군 광혜원 면 선수촌로 105 일원에 위치

2)   체육 게 및 정부의 노력 끝에 200412월 진천군에 새 선수촌 부지 마련

3)   20092월 착공 8년만인 20178월 완공

4)   총 공사비: 5,130억원

5)   부지면적: 1594,870m2(482,448)/ 태릉선수촌의 5

6)   2017927일 개촌 선포와 함께 세계최대 규모 종합훈련장 표방

7)   선수 숙소 8개동 823(태릉 선수촌은 3개동 358)

8)   35개 종목 1150명 동시 수용(태릉 선수촌은 12개 종목 450명 수용)

9)   훈련시설: 12개에서 21개로 증가

10) 빙속(Speed Skating) 대표는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평창2018대비 계속 훈련.

11) 진천선수촌은 2004년 건립을 확정한 지 13년 만에, 2009 2월 착공한 지 8년 만인 올해 9월 완공

12) 진천선수촌이 준공됨에 따라 1966년 설립 이래 각종 국제대회에서 대한민국 금메달의 산실 노릇을 해온 서울 노원구 공릉동의 태릉선수촌은 51년의 역사를 마감

13) 총 공사비 5130억의 예산이 투입된 진천선수촌은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훈련장을 표방

14) 수용 규모와 면적은 태릉선수촌의 35

15) 부지 면적은 31969㎡에서 1594870㎡로 크게 넓어짐

16) 국가대표 선수의 숙소는 3개 동 358실에서 8개 동 823실로, 훈련 시설은 12개소에서 21개소로 대폭 증가

17) 비좁은 태릉선수촌에선 최대 12개 종목 450명이 훈련했다면 진천선수촌에선 35개 종목 1150명의 대표 선수들이 한꺼번에 연습 가능

18) 대한민국의 경제력과 스포츠 위상이 지난 50년 사이 급격하게 높아진 만큼 국가대표 요람의 규모도 그에 걸맞게 커진 셈임

19) 최첨단 장비로 무장한 웨이트 트레이닝 센터, 메디컬센터, 스포츠과학센터는 메달 경쟁 최전선에 나선 국가대표 선수들의 든든한 지원군 격임

20) 평창2018동계올림픽 및 동계 패럴림픽 개막과 대한체육회 창설 100주년(2020) 기념을 앞두고 개촌하는 진천선수촌은 한국 스포츠를 한 단계 끌어올려 더 나은 100년의 기틀을 마련할 구심점

21) 유럽과 뉴질랜드에서 평창2018올림픽을 준비해 온 선수들은 곧 진천선수촌에 입소해 본격적인 동계 시즌을 대비할 예정

22) 대한체육회는 전국체전 개막일인 10 20일부터 11 30일까지 총 41일에 걸쳐 태릉선수촌에 있던 각종 장비를 진천선수촌으로 이전 계획임

23) 민족의 대이동에 버금가는한국 스포츠 사()의 대 이전 11월 한 달 내내 태릉진천 고속국도 구간에서 펼쳐짐

24) 다만 진천선수촌에 롱 트랙(Long Track)이 없기에 스피드스케이팅 대표 선수들만 태릉 빙상 장에 남아 평창올림픽을 준비하는 반면 쇼트트랙, 아이스하키 선수들은 모두 진천선수촌에서 훈련예정임

25) 평창2018동계올림픽에서 나올 한국 선수단의 메달은 태릉선수촌과 진천선수촌의 합작품이 될 것임

26) 도쿄2020올림픽에서 창출될 한국의 메달은 온전히 진천선수촌의 몫으로 기록될 것임

 

(진천선수촌 전경/출처; 연합뉴스)

 

 

(진천 선수촌 체력단련 실 전경/출처: 연합뉴스)

 

 

2. 태릉선수촌의 향후 거취

 

(태릉 선수촌/출처: 연합뉴스)

 

 

1)   1966년 건립되어 한국엘리트스포츠의 총 본산

2)   올림픽에서 총 116개 금메달 창출

3)   진천에 새 시대를 내준 태릉선수촌의 존치 또는 철거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음

4)   유네스코는 2009년 조선왕릉을 세계유산에 올리면서 훼손 능역을 보존할 것을 권고한 바 있음

5)   문화재청, 태릉을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신청-부적절한 시설 철거내용 담은 원형복원 추진 계획서 유네스코에 제출

6)   이에 따라 문화재청은 조선 왕조 문정왕후가 잠든 태릉과 명종·인순왕후를 합장한 강릉 사이에 자리한 태릉선수촌을 철거할 계획을 세웠음

7)   대한체육회는 이에 반발해 2015 7월 태릉선수촌 건물 8개 동의 문화재 등록을 신청한 바 있음

8)   체육회는 2016 3월 문화재청의 등록 심사 보류 결정에 맞서 보완 자료를 첨부해 등록문화재 재등록을 추진하고 있음

9)   등록문화재는 지어진 지 50년이 지난 유물 중 기념적·상징적 가치가 있는 것이 선정된다고 함

10) 기존 건물을 한국 체육 역사관이나 박물관 등의 용도로 남기고자 문화재청과 협의 중임

11) 근대사에서 ‘태릉’과 연상되는 단어가 ‘선수촌’이듯 태릉선수촌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의 역사이므로 역사적 가치측면에서 근대문화유산 지정을 바라고 있음

12) 문화재청은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당시 향후 태릉선수촌을 완전히 철거하고 문화재의 가치 복원의지 강력함

13) 한국 엘리트 스포츠의 역사와 땀이 스며든 태릉선수촌을 어떤 식으로든 영구 보존해야 한다는 체육계의 목소리가 높은 상황임

 

 

 

        (자료출처: 주간경향/20171024일자 1248)

 

 

 

 

3. 태릉 국제스케이트장 현황

 

(태릉 국제스케이트장/출처: 연합뉴스)

 

 

1)   소재지: 서울 노원구 공릉동 223-19 에 위치

2)   197111월 태릉 선수촌 뒤편에 옥외 빙상 장(노천링크) 건립

3)   19721월 제53회 전국체육대회 동계빙상대회 및 각종 빙상대회 개최

4)   1997년 세계적 규모 실내 아이스링크 건립착수

5)   20002월 국제스케이트장으로 개조되어 첫 개장 및 세계스프린트 대회 및 쇼트트랙 대회 개최

6)   200091일부터 일반인에게 공개(생활체육 활성화)

7)   2013116: 4개월 간의 리모델링 공사 후 재 개관

8)   전체면적: 2767m2 (825) 지하 1층 및 지상3층 규모

9)   관람석: 2,700

10) 국내 유일, 세계 8번째 규모의 국제규격의 400m실내 아이스링크 구비(스피드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및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 경기 개최가능)

11) 아직까지 태릉 국제스케이트장 향후 존폐여부 거론되고 있지 않는 상황임

 

 

*References:

-연합뉴스

-주간경향

-한 겨레 신문 등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을 눌러주세요

공감버튼 은 큰 힘이 되어 줍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7. 8. 1. 08:30

[평창2018 준비차 국제루지연맹(FIL) 81일 새로운 본부에 둥지 튼다]

 

 

                          

  

 

1)   국제루지연맹(FIL)81일 부로 새로운 본부로 이산 할 것이라고 730일 자 한 외신에 보도되었음

 

2)   독일 동계스포츠 중심지역 중 하나인 Berchtesgaden에 자리 잡아 온 FIL 81일 같은 지역위치에서 150m 떨어진 새 건물로 위치 재조정할 것(relocating to a new premises 150meters away)으로 알려짐

 

3)   FIL 새 본부는 신축건물로써 주소지는 Nonntal 10 building에 위치한다고 함

 

4)   FIL집행위원회는 신출빌딩 1층 인수를 만장일치로 동의한 것(agreed unanimously to acquire the ground floor of the building)으로 알려짐

 

5)   다음은 FIL 공식성명서 내용임:

 

A.  "Irreplaceable mementos, gifts from guests and a huge numbers of folders are being carefully packed away as the FIL prepares to move to its new premises." (게스트로부터 기증받은 소장품인 교체 불가한 기념품과 선물 및 막대한 분량의 폴더들 모두가 FIL본부가 새로운 건물로 이주하면서 조심스럽게 포장되어 운반되었음)

 

 

 

The sport of luge will be run from a new headquarters from August 1 ©Getty Images (루지 종목 경기 결승점 통과직후 모습/출처: insidethegames)

 

 

 

6)   현재 FIL회장은 독일 출신 Josef Fendt가 맡고 있으며 그는 세계 루지 선수권대회 2관왕(double champion)이며 동계올림픽 남자 싱글 루지(men’s single luge) 은메달리스트 출신임

 

 

(Joseph Fendt FIL회장<좌측>과 함께 알펜시아 개최 IOC조정위원회 리셉션장에서)

 

7)   81일 이사 후 FIL본부는 이사온 빌딩에서 평창2018 동계올림픽(2.9~25) 루지 종목 준비본부로 사용할 것이라고 함

 

8)   Berchesgaden지역은 루지,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종목의 최고 경기장들 중 하나(one of the premier venues)인 쾨니시 슬라이딩 트랙((Königssee sliding track)과 근접지역이라고 함

 

9)   오는 10월쯤이며 FIL의 새로운 보금자리가 FIL근무직원들이 FIL회원경기단체들 및 파트너들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확고히 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공간과 시설물을 모두 구비하게 될 것으로 언급되었다고 함

 


(국제루지연맹/FIL 이사 전 본부 구 건물/독일 Berchtesgaden)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7. 7. 17. 09:13

 

[IOC 연례 보고서(Annual Report 2016) 및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 2016) 발표하다]

 

 

 

(711 IOC 특별총회에서 Thomas Bach IOC위원장이 IOC연례보고서를 들어 보이고 있음/출처: IOC홈페이지)

 

 

1)   IOC가 제130IOC 특별총회(711~12)를 계기로 2016년도 IOC연례보고서(Annual Report) 및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를 발행하였음

 

2)   IOC2016년도 재무제표에 대한 IOC위원들의 승인을 받아 711일자로 2016IOC연례보고서를 발행했음

 

3)   2016년도 IOC 연례보고서는 세 번째 본(the third edition)으로 신뢰도(Credibility), 지속가능 성(Sustainability) 및 청소년(Youth)이란 3가지 테마를 방점으로 삼고 있는바 투명성 제고(提高/to Increase Transparency)”를 위하여 Olympic Agenda2020 개혁안 29번 째 항목에 대한 직접적인 결과물(a direct result of Recommendation 29 of Olympic Agenda)

 

4)   2016년도 IOC위 주요활동묘사(describing the activities of the IOC during 2016)외에 동 보고서는 IOC위원들 수당(IOC Members’ Indemnity)을 포함한 회계감사 처리된 2016년도 재무제표(the audited financial statements)내용도 아울러 담고 있음

 

5)   완전한 투명성(transparency)과 공개 성(disclosure)의 바람직한 견지에서, 비록 IO는 법적으로 이러한 고 단위 표준 적용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not legally obligated to comply with these higher standards) 국제재무보고표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에 의거하여 재무제표가 준비 및 회계 처리되었음

 

6)   2016년도 하이라이트는 Rio2016올림픽이 포함되었는바, 그 내용에는 전 세계 수 백만 명의 상상의 나래를 사로잡았으며(captivated the imaginations of millions around the world) 올림픽의 인기도가 지속적으로 상승곡선을 그리도록 견인차 역할을 해주도록(demonstrated that the popularity of the Games continues to grow)입증해준 경기장 안팎에서의 현란한 경기모습(stunning performance on and off the field of play)들이 담겨있음

 

7)   세계인구 절반(half of the world’s population)Rio2016올림픽 따라잡기에 동참하였으며, 35만 시간에 달하는 미디어 취재(media coverage) SNS를 통해 70억 단위 분량의 비디오 시청(7 billion video views on social media)이란 통계가 집계되었음

 

8)   또한, 2016년도에는 IOC가 사상최초로 난민올림픽 팀(the first-ever Refugee Olympic Team)을 탄생시켰는데, 올림픽 깃발을 들고 올림픽대회에 10명의 구성원들이 참가하면서 전 세계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6천만명이 넘는 난민들에게 희망과 동참함(같이의 가치)의 메시지를 보낸 바 있음(sending a message of hope and inclusion to the more than 60 million refugees around the world)

 

9)   올림픽대회 밖에서의 일로써(outside the Olympic games), IOC는 정직한 선수들(clean athletes)보호 및 보상을 위한 주도권 발휘와 선수들 자기개발프로그램(athletes development)에 자금지원조치 및 모든 단계에서 경력 쌓기 준비 중인 선수들 지원프로그램 등을 통하여(through initiatives to protect and reward clean athletes, and programmes to support athletes at all stages of their careers) 지속적으로 선수들을 올림픽운동의 중심에 자리매김하기(continued to place athletes at the heart of the Olympic Movement )도 하였음

 

10) 양성평등 달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efforts to achieve gender equality)의 일환으로 각 IOC 분과위원회에 여성대표참여(female representation on IOC Commissions)비율이 33%까지 오르도록 계속 작업한 바 있으며 Rio2016올림픽에는 여자선수 참가 및 출전 율이 45.2%으로 비약적인 도약을 이룩하였음

 

11) 20168, 올리피즘의 가치와 3651년 내내 올림픽운동의 일거수일투족의 활동면모를 올림픽대회 팬들과 연계시킬 의도로 뉴스와 프로그램 제작을 시작한 온라인 플랫폼(an online platform)인 올림픽채널(Olympic Channel) 발진과 함께 지역사회에서 올림피즘 홍보를 위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새로운 추진동력을 부여 받았음(received new impetus with the launch of the Olympic Channel)

 

  

12) 한편, IOC는 지배구조 매카니즘 강화차원에서(intended to strengthen its governance mechanisms) 여러 가지 주도권(several initiatives)실행을 통하여 IOC의 입지를 지속적으로 보강하였음(continued to reinforce its position)

 

13) 이러한 조치들 중에는 (1)‘ IOC위기 및 보장보험 지배구조 모델’(IOC Risk and Assurance Governance Model)강화방안과 (2) IOC지원 NOCs기금사용관련 독자적 회계제도설치 방안 (establishing an independent audit of NOCs’ use of funds from the IOC) (3)지속가능 전략 채택방안(the adoption of a sustainability strategy) 등이 포함되어 있음

 

(IOC Annual Report 2016/출처: IOC 홈페이지)

 

14) 이러한 모든 주도권 실행과 그 이상의 조치 덕분에, IOC는 오늘날 힘과 안정의 입지(in a position of strength and stability)를 굳히고 있는바, 이는 2016년도 전반에 걸쳐 우리에게 우리의 파트너들이 보여준 신뢰/신용(confidence)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계속해서 IOC가 벌어들이는 수입금의 90%를 전 세계 선수들과 스포츠 게에 배분할 수 있는 것임(continues to be able to distribute 90% of its revenues to athletes and sport worldwide)

 

15)  IOC는 지난 711, 스위스 로잔느개최 제130 IOC 특별총회(IOC Extraordinary Session) 불참 12 IOC 위원들(왕족 4, 와병 중 1, 자가 자격정지 중 1명 등 포함) 명단을 아래와 같이 공개한 바 있음

(1)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 쿠웨이트 (Kuwait)/왕족

(2)  HH Amir Sheikh Tamim Bin Hamad Al-Thani – 카타르 (Qatar)/국왕

(3)  Sergey Bubka – 우크라이나 (Ukraine)

(4)  Philip Craven – 영국 (United Kingdom)

(5)  Frank Fredericks – 나미비아 (Namibia)

(6)  Daniel Gyurta – 헝가리 (Hungary)

(7)  Gerhard Heilberg – 노르웨이 (Norway)

(8)  HRH Crown Prince Frederik – 덴마크 (Denmark)/황태자

(9)  HRH the Princess Royal – 영국 (United Kingdom)/왕족

(10)        Patrick Hickey – 아일랜드 (Ireland)/self-suspended

(11)        Nat Indrapana – 태국 (Thailand)

(12)        Kun Hee Lee – 대한민국 (South Korea)/와병 중

 

 

16) IOC특별총회에 불참 12IOC 위원들 외에 이해상충(conflicts of interest)방지차원의 IOC선거규정에 따라 미국(LA2024) 및 프랑스(Paris2024) 국적 소유자 5명의 IC위원들을 포함하여 총 17명이 2024-2028 올림픽개최권 동시부여 동의투표에 참여하지 않아 총 78(현원 95-불참17=78)이 투표권을 행사한 바 있음

 

 

*References:

-IOC 홈페이지 내용 발췌 및 요약정리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7. 7. 11. 10:14

[TOKYO2020올림픽에 새로 생긴 종목, 한국의 유 불리 분석 update]

 

 

안녕하십니까?

오늘(7월11일/화)은 평창2018 개회식까지 G-213일입니다

 

아래 및 첨부 글은 사단법인 한국체육언론인 회에서 발간하는 Sports journal Korea 7월 호에 표제 제목으로 집필 요청 받아 기고한 글입니다.

 

 

 

 

*순서:

. IOC집행위원회의 Tokyo2020올림픽신규종목 추가 명분과 세부내역 및 양성균형달성 성과

. Tokyo2020올림픽 신규추가 메달종목 15개 세부내역

. Tokyo2020올림픽 참가선수 수 감축 현황 세부내역

. Tokyo2020조직위원회 제안 5개 추가종목 현황과 경위

. Tokyo2020올림픽 신규추가종목 신청이 기각된 18개 종목국제연맹들

. Tokyo2020올림픽 신규추가종목으로 인한 한국선수단의 유 불리 분석

 

 

*내용:

 

1.   IOC집행위원회의 Tokyo2020올림픽신규종목 추가 명분과 세부내역 및 양성균형달성 성과

지난 201769 IOC 집행위원회는 Tokyo2020올림픽 신규추가 종목을 승인 한 바 있습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이 발표한 5개 신규추가종목(Sports)및 세부메달종목의 특징은 다음의 3가지로 축약됩니다

1)   여성참가 및 양성평등(female participation and gender equality)

2)   청소년(Youth Appeal)

3)   도시 풍(urban appeal)

 

IOC집행위원회 신규종목(events)15개이며, Rio2016대비 285명의 참가선수수가 감소되며 올림픽역사상 가장 높은 비율의 여성참가에 방점이 찍혔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혼성종목의 경우 Rio2016(9)대비 2(16)로 증가되었습니다

특히 신규추가종목 경기는 공히 기존시설을 사용하여 치러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번 신규종목추가 결정은 올림픽 아젠다2020에 명시된 올림픽대회에서 선수와 종목 공히 모두 50% 양성균형(gener balance)달성에 획기적인 이정표로 기록됩니다.

 

 

 

(자료출처: IOC 홈페이지)

 

위 표에서 보면 올림픽참가 남녀비율을 보면 London2012(44.2%), Rio2016(45.6%)에서 Tokyo2020여자선수 참가율이 48.8%50%에 육박합니다.

Tokyo2020에 메달종목으로 신규 영입되는 신규 5개 스포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핑(Surfing)

(2) 스포츠 등산(Sport Climbing)

(3)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ing)

(4) 가라데(Karate)

(5) 야구/소프트볼(Baseball/Softball)

카누, 조정, 사격 및 역도 등 4개 종목 국제연맹들은 최초로 새롭게 양성균형을 이룰 것으로 전망되며, 선수 수로 볼 때 카누, 유도, 조정, 요트, 사격 및 역도 등의 6개 종목 관장 국제연맹들의 경우 역시 최초로 양성균형으로 이동 중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양성균형이 달성된 세부종목(disciplines)수준으로 볼 때, BMX사이클 경주, 산악자전거 및 자유형 레슬링을 들 수 있습니다.

Tokyo2020올림픽 정식종목 프로그램은 청소년 중심(youth-focused), 도시기반 종목추가(urban-based additions)특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스포츠 등산(Sport Climbing),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ing)외에 3X3 농구, BMX자유형(freestyle) 사이클 등을 들 수 있는데 3X3농구종목의 경우 Singapore 2010 YOG Nanjing2014 YOG 청소년올림픽 종목의 성공적인 혁신으로 평가됩니다.

(1)스포츠 등산(Sport Climbing)(2)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ing)종목은 Tokyo20202016(3)야구/소프트볼, (4)가라데 및 (5)서핑(Surfing)과 함께 제안하였습니다.

Buenosaires2018하계청소년올림픽에는 브레이크 댄스(Break Dance) 및 롤러 스포츠(Roller Sports)와 같은 혁신적 도시기반 종목들뿐만 아니라 BMX 자유형 사이클, 가라데 및 스포츠 등산종목이 정식종목으로 치러질 것이라고 합니다

Rio2016에서 시작된 Tokyo2020올림픽프로그램 신규종목 추가 검토과정을 보면 종목 수준에서 해당국제연맹들로 하여금 올림픽에서 종목과 세부종목들의 전반적인 경기성과 에 대한 전대미문의 통찰력을 발휘하여 처음으로 포괄적인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습니다.

현재 해당국제연맹들은 2017년까지 IC에 해당종목들과 선수쿼터 및 경기방식(competition formats) 변경에 따른 요청사항들을 제출하도록 초대받은 바 있습니다.

 

 

2.   Tokyo2020올림픽 신규추가 메달종목 15개 세부내역

제출된 각종 제안사항들을 주도 면밀하게 점검과정을 종료한 올림픽프로그램위원회는 지난 55일 회동을 갖고 여러 가지 권고사항들을 IOC집행위원회에 제출한 바 있으며 IOC집행위원회는 Tokyo202올림픽 신규 추가메달종목과 관련 다음과 같은 결정을 내렸습니다:

EVENTS – Additions unless specified

Events

Sport (경기종목)

Event(세부종목)

#

 

Aquatics /수영 (Swimming)

800m (M/) & 1500m (W/) 2개 추가

+2

 

4x100m Medley Mixed Relay 혼영 혼합계주 1개 추가

+1

Archery/양궁

Mixed Team Event/혼성 팀 종목 1개 추가

+1

Athletics/육상

4x400m Mixed Relay/혼성 계주 1개 추가

+1

Basketball/농구

3x3 (M/W) 2개 추가

+2

Boxing/복싱

Transfer of two men's events to two women's events/2개 남자종목이 2개 여자종목으로 이전

0

Canoe/카누

Transfer of three men's events to three women's events /3개 남자종목이 3개 여자종목으로 이전

0

Cycling (BMX)/사이클(BMX)

BMX Freestyle Park (M/W/)자유형 파크 남녀 합계 2개 종목 추가

+2

Cycling (Track)/사이클(트랙)

Madison (M/W)메디슨 남녀 합계 2개 종목 추가

+2

Fencing/펜싱

Team Events (M/W)/단체 종목(남녀) 합계 2개 종목 추가

+2

Judo/유도

Mixed Team Event/혼성 단체종목 1개 추가

+1

Rowing/조정

Transfer of one men's event to one women's event/남자 1개 종목이 여자 1개 종목으로 이전

0

Sailing/요트

Transfer of Mixed Multihull to Mixed Foiling Multihull/혼성 Multihull종목이 혼성 Foiling Multihull로 이전

0

Shooting/사격

Transfer of three men's events to mixed events/3개의 남자종목이 3개의 혼성종목으로 이전

0

Table Tennis/탁구

Mixed Doubles/혼성 복식 1개 추가

+1

Triathlon/트라이애슬론

Mixed Team Relay/혼성 단체 계주 1개 종목 추가

+1

Weightlifting/역도

Reduction of one men’s weight category/남자 1개 체급 감소

-1

TOTAL (net) 총계

 15개 추가

 

3.   Tokyo2020올림픽 참가선수 수 감축 현황 세부내역

Tokyo 2020 조직위원회는 신규종목 추가 심사과정 내내 상호협의 체제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세부종목 검토과정에 적용된 원칙들에 대하여 동의하였다고 합니다.

신규추가종목과 관련 Tokyo2020IOC와 함께, 추가로 신설되는 경기장과 선수들 및 전반적인 경기일정에 대하여 최소한의 영향이 미치도록 하는데 합의한 바 있습니다.

IOC집행위원회는 69일 다음과 같이 종목별 선수 수 감축과 관련하여 프로그램위원회의 권고안도 역시 승인한 바 있습니다:

Athletes – Additions, transfers and reductions

Athletes quotas

Sport(경기종목)

Event(세부종목)

#

Aquatics (Water Polo)/수영(수구)

Reduction in Water Polo team size, addition of two women’s Water Polo teams/수구 팀 규모 축소 및 2개 여자 수구 팀 추가로 18명 축소

-18

Aquatics (Swimming)/수영(경영)

Reduction of 22 athletes/22명 선수 축소

-22

Athletics/육상

Reduction of 105 athletes/선수105명 축소

-105

Basketball/농구

Inclusion of 3x3 with 8 teams for each gender, +64 athletes (32W/32M)/3X3 남녀8개 팀 포함, 64명 선수 증가(32/32)

+64

Boxing/복싱

Transfer of 44 athletes from men to women(남자선수55à 여자선수55명 이전

0

Canoe/카누

Transfer of 55 athletes to reach gender balance/55명 남자 선수à양성균형으로 여자선수로 이전

0

Cycling (BMX Racing)/사이클(BMX경주)

Transfer of 8 athletes to reach gender balance/8명 남자선수à양성균형으로 여자선수로 이전

0

Cycling (MTB)/사이클(BMX)

Transfer of 8 athletes to reach gender balance in MTB, transfer of 4 male athletes to BMX Freestyle/8MTB 남자선수à여자선수 8명으로 이전, 4BMX남자선수à여자선수 4명으로 이전

0

Cycling (Road)/사이클(도로경주)

Transfer of 14 men to BMX Freestyle/14명 남자선수àBMX자유형으로 이전

0

Judo/유도

Transfer of 38 athletes to reach gender balance/38명 남자선수à여자선수 38명으로 이전

0

Rowing/조정

Reduction of 24 athletes and reach gender balance/24명 선수축소로 양성균형 달성

-24

Sailing/요트

Reduction of 30 athletes and reach gender balance/30명 선수축소로 양성균형달성

-30

Shooting/사격

Reduction of 30 athletes and reach gender balance/30명 선수축소로 양성균형달성

-30

Weightlifting/역도

Reduction of 64 athletes and reach gender balance/64명 선수축소로 양성균형달성

-64

Wrestling/레슬링

Reduction of 56 athletes across all disciplines and gender balance in Freestyle Wrestling/모든 세부종목에 걸쳐 56명 선수축소로 자유형 레슬링종목에 양성균형달성

-56

TOTAL/총계         285명 감축효과

 

-285

 

 

4.   Tokyo2020조직위원회 제안 5개 추가종목 현황과 경위

 

Tokyo2020올림픽조직위원회는 지난 2015928일 올림픽 추가종목으로 5개 종목(Sports)18개 세부종목(Events)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1)야구/소프트볼 연합종목(Baseball/Softball), 2)가라데(Karate), 3)스케이트보드(Skateboard), 4)스포츠 등산(Sport Climbing) 5)서핑(Surfing) 5개 종목은 결선에 올랐던 8개 종목들 중 “전통적임과 신흥적임(traditional and emerging) 및 청소년취향 이벤트(youth-focused events)를 고루 아우르는 것으로 평가됨으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아쉽게도 결선에 올랐던 스쿼시(Squash), 볼링(Bowling) 및 우슈(Wushu) 3개 종목은 탈락된 바 있습니다.

 

추가 종목 수는 최근 올림픽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인데 18개 세부종목이 모두 추가될 경우 28개 정식종목 프로그램에 합류하게 되어 열외로 474명의 선수들이 도쿄올림픽에 참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Tokyo2020이 제안한 5개 종목 18개 추가세부종목의 운명은 2015 12월 금년 4/4분기에 개최되는 IOC집행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2020년 올림픽 신규종목과 세부종목 수 및 구성에 대한 최종결정은 2016 8월 브라질 Rio 개최 제129 IOC총회에서 내려질 것으로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Tokyo2020올림픽 추가 종목들은 2020년 이후까지 적용되는 영구 붙박이 종목(permanent fixtures)으로 구상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2014 12월 제127차 모나코 IOC총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IOC개혁내용에 따르면 향후 올림픽개최도시들 역시 또 같은 기회가 주어지게 되어 기존 28개 핵심종목(on top of the 28 core sports on the program)에 더하여 각 개최도시들의 올림픽비전에 최적인 신규종목(new sports) 및 세부종목(events)을 추가로 제안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Tokyo2020조직위원회의 계획에 의하면 1)야구/소프트볼 종목이 가장 많은 선수들이 출전하게 되는데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끝으로 탈락되었던 이 종목의 경우 남자(야구) 144명 선수(6개 팀 x 24면 남자선수들), 여자(소프트볼) 90(6개 팀x15명 여자선수들) 등 모두 234(메달은 2)에 이를 전망입니다.

 

야구/소프트볼 종목은 일본 내 막강 인기덕분에 내년 IOC 총회 승인 대상 1순위로 점쳐지고 있었습니다.

 

2)가라데의 경우 가타(kata)와 쿠미테(kumite) 부문에서 8개 세부종목이 추가되게 되는데 출전 선수 수는 80명이지만 가장 많은 8개 메달이 걸려 있어 개최국 일본의 실속추구 염원이 훤히 들여다 보이는 것 같습니다.

  

3)스케이트보드(Skateboard)의 경우, 80명의 선수들이 남녀 스트리트 및 파크 종목(mens and womens street and park events) 등 총 4개의 메달이 주어지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4)스포츠 등산(Sports Climbing)의 경우, 40명의 선수들이 Bouldering Lead Speed Combined에 메달이 주어질 것이라고 합니다

 

 5)서핑(Surfing)의 경우, 역시 40명의 선수들이 남녀 Short board 세부종목(남녀short board 세부종목/men's and women's short board events)에 출전하게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같이 Tokyo2020이 선정한 5개 종목 패키지의 공통점은 올림픽운동(Olympic Movement)과 올림픽가치(its values)를 지향하는데 특히 청소년취향(youth appeal)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고 동시에 일본 대중참여와 새로운 세계 관객들을 참여시킴으로 Tokyo2020대회비전을 반영하고 있다라고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5.   Tokyo2020올림픽 신규추가종목 신청이 기각된 18개 종목국제연맹들

 

당초 26 IOC인정종목 국제연맹들(IOC-recognized international federations)로부터 정식추가종목 신청서를 제출 받았지만 지난 6, 8개 종목으로 압축한 (the short-listing of eight sports)바 있습니다.

 

 Tokyo2020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새로운 경기를 제안했으나, 결선후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못한 18개 국제연맹들(Ifs)은 다음과 같습니다:

 

 

1.    World Air Sports Federation (FAI)

2.    International Federation of American Football (IFAF)

3.    World Confederations of Billiard Sports (WCBS)

4.    Confederation Mondiale des Sports de Boules (CMSB)

5.    World Bridge Federation (WBF)

6.    World Chess Federation (FIDE)

7.    World DanceSport Federation (WDSF)

8.    International Floorball Federation (IFF)

9.    World Flying Disc Federation (WFDF)

10. International Korfball Federation (IKF)

11. International Netball Federation (INF)

12. International Orienting Federation (IOF)

13. Federation of International Polo (FIP)

14. International Racquetball Federation (IRF)

15. International Sumo Federation (IFS)

16. Tug of War International Federation (TWIF)

17. The World Underwater Federation (CMAS)

18. International Waterski & Wakeboard Federation (IWWF)

 

 

6.   Tokyo2020올림픽 신규추가종목으로 인한 한국선수단의 유 불리 분석

 

시드니2000올림픽이래로 한국선수단의 전통 금메달 터전은 단연 태권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역대 올림픽에서 한국선수단이 일본을 압도하거나 대등한 성적을 거양할 수 있었던 종목은 크게 태권도와 양궁 종목으로 대별될 수 있겠습니다.

 

양궁의 경우 혼성단체(Mixed Team Event) 종목이 1개 추가되고 선수 수 감축도 없어 한국선수단의 메달 전선에 유 불리 요인이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유도의 경우 혼성 단체 종목이 1개 추가되고 참가선수 수 감축이 없으므로 역시 한국선수단의 메달 획득 전선에 유 불리가 없어 보입니다.

 

펜싱의 경우 남녀 단체 종목이 1개씩 늘어남으로 한국선수단의 메달 전선에 역시 유 불리가 없어 보입니다.

 

사격이나 탁구종목의 경우도 큰 변화가 감지 되지 않지만 사격 남자선수 수가 여자선수 균형달성을 위하여 30명이나 감소됨으로 남자탁구출전에 따른 전략구상이 요구됩니다.

 

지난 625Olegario Vazquez Rana 국제사격경기연맹(ISSF)회장은

양성균형지향의 일환으로 교체된 남자 50m공기총 슬사/무릎쏴(rifle prone), 남자50m 권총(진종오 선수) 및 더블 트랩 세부종목이 10m 공기소총(air rifle), 10m 공기권총, 트랩 등의 혼성 팀 종목(mixed team competitions)과 임무 교대하게 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International Shooting Sport Federation (ISSF) President Olegario Vázquez Raña has warned it would be "almost impossible" for some of the events axed from the Tokyo 2020 Olympic programme to be reinstated for future editions of the Games.(국제사격경기연맹/ISSF회장 Olegario Vázquez Raña/출처: insidethegames)

 

 

그는 또한 50m 세부종목의 경우 회원국들이 여자종목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경우에 한해서 추후 복귀할 수 있을 것이지만 더블 트랩(double trap)의 경우 는 거의 복귀가 불가할 것("I want to be perfectly honest, it is almost impossible for double trap to come back”)이라는 여운을 남긴 바 있습니다.

 

역도의 경우 남자 체급 1개가 감소되지만 역시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남자선수 수가 64명이나 감소함으로 남자체급 출전 세부종목을 사전에 조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레슬링의 경우 세부종목에는 증감이 없지만 남자선수 수가 여자선수와의 양성균형달성 명분으로 모든 세부종목에 걸쳐 그리고 자유형 레슬링을 포함하여 56명이나 감축된다는 결정에 따라 세부규정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개최국인 일본의 자존심과 메달 텃밭으로 정성을 들여 신규종목 영입에 성공한 가라데(karate)의 경우 가타(kata)와 쿠미테(kumite) 부문에서 8개 세부종목이 추가되게 되는데 출전 선수 수는 80명이지만 가장 많은 8개 메달이 걸려 있어 개최국 일본의 실속추구 염원과 함께 한국선수단과의 메달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올림픽정식종목이 된 한국의 태권도(Taekwondo)의 경우 세부종목 수는 8( 4, 4)로 가라데(Karate)와 동수이지만 국가 별로 최대 4개 세부종목에만 참가제한 규정이 적용되어 가라데(Karate) 8개 제안 세부종목이 정식추가 종목으로 최종확정 승인되면 메달경쟁에서 우리나라보다 명백히 유리해 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References:

-IOC홈페이지

-각종외신(INSIDETHEGAMES 포함) 등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7. 7. 6. 09:33

[북한선수 평창2018 자력출전 위한 ISU발표 출전자격기준시간기록요건과 참가전망]

 

지난 626일 자로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은 평창2018 동계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출전자격 시스템 및 규칙(the entry qualification system and rules for Olympic Speed Skating events)윤곽을 발표하였습니다.

 

 

동 규칙은 2016ISU 스피드 스케이팅 특별규정 및 기술규칙(2016 ISU Special Regulations and Technical Rules for Speed Skating)안에 속한 규칙 209동계올림픽 용 참가신청”(Entries for Olympic Winter Games)항목에 개요로 명시되어 있다고 합니다.

 

ISU Rule 209에 명시된 규정과 2018년 동계올림픽을 위한 IOC가 발행한 출전자격 및 출전신청 과정(qualification and entry processes)에 관한 정보에 따라 ISU는 평창2018 스피드스케이팅 종목을 위한 적용 가능한 출전자격 대회와 출전자격 기준시간 대’(applicable qualifying competitions and qualifying times)를 발표한 것입니다.

(1) 종목 별 출전신청 쿼터 결정 자격대회(Qualifying Competitions for determination of event entry quotas)는 아래 ISU 월드컵 스피드스케이팅 대회로부터의 경기결과에 근거한 특별올림픽출전자격 분류’(SOQC: Special Olympic Qualification Classification)에 의해 결정될 예정임

A.  여자: 500, 1000, 1500, 3000, 5000m Mass start

B.  남자: 500, 1000, 1500, 5000, 10000m Mass start

o ISU World Cup Heerenveen (NED) November 10-12, 2017

o ISU World Cup Stavanger (NOR) November 17-19, 2017

o ISU World Cup Calgary (CAN) December 1-3, 2017

o ISU World Cup Salt Lake City (USA) December 8-10, 2017

 

(2) 출전자격 시간대(Qualifying times)와 관련 아래 명시된 절차에 의거하여 ISU 출전자격 부여 시간 대(ISU Qualifying Times)를 통과한 선수들만 평창2018에 참가자격이 주어진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평창 2018출전을 위한 ISU 스피드스케이팅 기준 시간기록 자격요건/출처: ISU)

 

 

(3) Rule 209<2h >에 따른 획득한 출전자격시간 대 인정조건(Conditions for recognition of achieved Qualifying Times <as per Rule 209, paragraph 2 h>)

 

(4) 획득한 출전자격 시간 대 검증 및 승인(Verification and approval of achieved Qualifying Times <as per Rule 209, paragraph 2 i>)

 

(5) 평창2018동계올림픽 출전자격 시스템(Qualification system for the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하지만 북한의 경우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의 동계올림픽 출전과 관련한 정보가 눈에 띄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아쉽게도 해당 출전 가능 선수가 아직 없어 보이는 것 같습니다.

 

 (Rio2016개회식 행진 중인 DPRK<북한>선수단/출처:insidethegames)

 

 

1)   동계올림픽 참가자격 원칙(Qualification Principle)

 

(1)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국제대회 참가 등을 통한 일정 수준의 참가    자격을 획득하거나 IOC 초청이 있을 경우 가능

(2)하계올림픽의 경우, 올림픽 운동 보급을 위해 IOC에서 스포츠 취약국가   선수를 대회에 초청하는 경우가 있으나, 동계올림픽은 제반 여건 상 초청 선수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아, 국제대회 참가 통해 올림픽 참가 자격을 취득하여야 가능한 것이 현실임 

 

 

2) 참가자격(Qualification) 획득 및 참가신청 절차

 

각 종목별 참가자격 규정 확정

출전자격 획득 기간

선수단 등록 신청 및 마감

각 국가별 쿼터 배정 확정

참가신청 제출 마감 (스포츠엔트리)

2015. 12

2016 ~ 2018. 1

2017. 7 ~ 10. 9

2017. 12 ~ 2018. 1

2018. 1. 29

 

※ 출전자격 획득 기간 및 쿼터 배정 확정 일은 종목별로 상이함

 

구분

국제연맹(IF)

종 목

가맹

FIS(국제스키연맹)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스키*, 프리스타일스키,

 

노르딕복합, 스키점프, 스노보드

ISU(국제빙상연맹)

피겨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스피드스케이팅

IIHF(국제아이스하키연맹)

아이스하키*

비 가맹

IBU(국제바이애슬론연맹)

바이애슬론

FIL(국제루지연맹)

루지

IBSF(국제봅슬레이연맹)

봅슬레이, 스켈레톤

WCF(세계컬링연맹)

컬링

(북한의 국제연맹<IF> 가맹 현황)

 

 

* 국제연맹 공식홈페이지(Biographies)에 선수가 등재되어 있거나 2016/2017시즌 국제대회에 참가한 종목 (2017.1.11. 기준)

 

 

 

 

 

2.   북한의 최근 동계올림픽 참가 추이

 

1) Nagano1998: 선수 8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2) Salt Lake City2002: 불참 (정치적 이유)

3) Torino2006: 선수 6(피겨스케이팅, 쇼트트랙)

4) Vancouver2010: 선수 2(피겨스케이팅, 스피드스케이팅)

5) Sochi 2014: 불참 (출전권 획득 실패) 

 

 

 

 

3.    북한의 동계국제대회 참가 전망

 

1) 최근 국제대회 참가 현황:

종 목 명

최근 국제대회 참가 현황

비 고

(1) 알파인스키

(2) 크 로 스  컨 트 리  스 키

2015/2016 2016/2017 시즌 FIS 국제대회 참가 기록 없음

2012년 이후 국제대회 참가 기록 없음

(3)피겨스케이팅

2013 ~ 2016 ISU 4대륙 선수권, ISU 주니어 그랑프리, 아시안 오픈 등 참가

2017동계AG, 세계선수권대회 피겨 페어(Pair) 종목 출전

출전권 획득 가능성

(4) 쇼트트랙

2015/2016 2016/2017 시즌 ISU 월드컵 참가하였으나 성적 하위권

남자 500m, 1000m, 1500m 출전

(5) 아이스하키

. 남자: 평창올림픽 참가국(12) 확정 및 참가자격(Qualification) 종료

. 여자: 평창올림픽 참가국(8팅 중 6) 확정/나머지 2팀은 2017 2월 최종예선전에서 결정되나 북한은 참가하지 않음

규정 상 참가 불가상태

 

 

 

 

 

2) 북한의 참가 가능종목

(1)최근 국제대회 경기결과를 토대로 한 북한의 잠재적 참가 가능 종목은 피겨스케이팅 페어(Pair)이고, 9월에 개최되는 『올림픽 출전자격 획득 2차 대회(ISU 네벨혼 트로피 대회)에 출전할 경우 올림픽 출전권 획득 가능성 있음.

(2) 쇼트트랙의 경우 출전권 획득 가능성이 높지 않으나 추이를 지켜봐야 함

 

(3) 추후 개최되는 출전자격 획득 대회 결과에 따라 참가여부가 결정되며,

그 외 종목의 경우 최근 국제대회 참가성적이 없어 참가 가능성 낮음

 

 

4.   출전자격 부여관련 향후 일정

1) 피겨스케이팅(Figure Skating)

(1) 출전자격 획득 대회

- 2017 ISU 세계 피겨스케이팅선수권대회: 2017. 3. 29. ~ 4. 1(종료)

- 2017 ISU 네벨혼 트로피 대회: 2017. 9. 27 ~ 30 (최종 기회)

 

(2) 국가별 출전자격 쿼터 배정

- 1 (남자 싱글/Single 24, 페어/Pair 16): 2017. 4월 중

- 2 (남자 싱글/Single 6, 페어/Pair 4): 2017. 10월 중

- 3 (미사용 쿼터 재 배정): 2017. 12. 21

 

*참가신청서 제출 마감: 2018. 1. 29 (06:00, 한국 시간)

 

2) 쇼트트랙(Short Track Speed Skating):

(1) 출전자격 획득 대회

- 2017/18 시즌 ISU 쇼트트랙 월드컵 4개 대회: 2017. 9. 1 ~ 12. 3

ISU가 지정한 4개의 월드컵 중 성적이 우수한 3개 대회의 경기결과를 바탕으로 올림픽 출전자격 부여

 

(2) 국가별 출전자격 쿼터 배정

- 쿼터 배정 (남자 60, 여자 60) : 2017. 12. 10

- 미사용 쿼터 재 배정: 2018. 1. 22

 

*참가신청서 제출 마감: 2018. 1. 29 (06:00, 한국 시간)

 

5.    최근 국제대회 참가 현황 및 성적

 

1) 피겨스케이팅(Figure Skating)

(1) 페어(Pair): RYOM Tae Ok & KIM Ju Sik ※ 페어 출전권 획득 가능성

2017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대회(3.29~4.1) [28팀 중 15]: 169.65

2017 삿포로동계아시안게임 [8팀 중 3]: 177.40, 동메달 획득

2016 아시안 오픈 피겨스케이팅 트로피, Manila [Senior Pair 1] 144.15

2016 티롤컵(Cup of Tyrol), Innsbruck [4팀 중 3]: 160.03

2016 ISU 4대륙 피겨 선수권대회 [10팀 중 7]: 157.24

2015 ISU CS 아이스챌린지, Graz [5팀 중 5]: 132.18

(2) 남자 싱글/Men Single: HAN Kum Chol (1999.08.29.)

2016 ISU 주니어 그랑프리, Dresden [Junior Men 28명 중 7] 178.77

2016 아시안 오픈 피겨스케이팅 트로피, Manila [Junior Men 3] 176.32

2015 아시안 오픈 피겨스케이팅 트로피, Bangkok [Junior Men 3] 137.24

 

2)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Short Track Speed Skating)

(1) 남자: CHOE Un Song

2017 삿포로동계아시안게임

: 1000m-46명 중 [12, 준준결승] / 1500m-43명 중 [15, 준결승]

2016/17 시즌 ISU 쇼트트랙 월드컵, 상하이

: 1000m53명 중 [24] / 1500m52명 중 [36]

2016/17 시즌 세계랭킹: 1000m [87], 1500m [121]

2015/16 시즌 세계랭킹: 500m [85], 1500m [57]

2015/16 시즌 ISU 쇼트트랙 월드컵, 상하이

: 500m48명 중 [28] / 1500m42명 중 [15, B파이널]

 

6.   북한(DPR Korea)의 동계올림픽 참가현황 및 성적  

1)  Nagano1998 (2종목, 선수 8)

 

(1) 쇼트트랙: 남자 2, 여자 4

 

(2)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2

 

 

 

 

 

 

 

 

 

2)   Salt Lake City2002 (정치적 이유로 불참) 

 

3)Torino2006 (2종목, 선수 6)

 

  (1) 피겨스케이팅 (남자 2, 여자 2)

남자: 한종인, 쇼트 30위로 프리스케이트에 진출하지 못함

여자: 김영숙, 쇼트 27위로 프리스케이트에 진출하지 못함

페어(Pairs): 정용혁&표영명, 쇼트 20, 프리스케이트 기권

 

(2)쇼트트랙 (여자 2)

리향미: 500m(실격), 1000m 15(예선3위로 8강전 진출 못함)

윤정숙: 500m 15 (예선3위로 8강전 진출 못함)

 

 

 

4) Vancouver2010 (2종목, 선수 2)

 

(1) 피겨스케이팅 (남자 1)

리성철, 쇼트 25위로 프리스케이트(Free Skate) 진출하지 못함

 

(2)스피드스케이팅 (여자 1)

고현숙, 500m 9 / 1000m 13

 

 

 

 

 

5)Sochi 2014 (출전권 획득 실패로 불참)

 

         

 

  

*References:

-POCOG 관련자료

-IOC 홈페이지

-ISU 홈페이지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7. 6. 22. 09:50

[Tokyo2020올림픽조직위 Nippon재단과 자원봉사자교육 및 관리전담계약 체결하다]

 

1)   616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Tokyo2020 Nippon재단과 자원봉사자 관련 계약 체결하다”(Tokyo 2020 signs volunteering deal with Nippon Foundation)였음

 

(Yoshirō Mori Tokyo2020조직위원장과 Nippon재단 Yohei Sasakawa이사장/출처: insidethegames)

 

 

2)   Tokyo2020조직위원회는 사회복지, 공공보건 및 교육분야를 위한 지원활동을 하고 있는 비 공공부문 비영리 인도주의적 기구(a private non-profit humanitarian organization)Nippon재단과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보도됨

 

3)   금번 체결된 계약을 통하여 Tokyo2020Nippon재단의 자원봉사자 관리운영 경험을 지렛대로 삼아 2020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위하여 선발되는 인력에 대한 훈련 프로그램개발 과정에 도움을 받을 것으로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4)   Nippon재단은 Tokyo2020조직위원회에 자원봉사자 리더 양성 프로그램개발자원봉사자 채용 인터뷰를 행할 담당자들에 대한 훈련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함

 

5)   계약당사자들인 이 두 기관들은 Tokyo2020자원봉사자 프로그램에 있어서 탄력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대회행사 조직 및 활동전개에 있어서도 협업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6)   Nippon재단은 다양한 스포츠 환경, 교육기관 및 복지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자원봉사자 훈련에 다년 간의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7)   Nippon재단의 파트너 기관들로는 Sasakawa 스포츠 재단, Nippon재단 패럴림픽 지원센터 및 일본스포츠 자원봉사자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함

 

8)   다음은 Yoshirō Mori Tokyo2020조직위원장의 발언 내용임:

 

A.  "We want to make the Tokyo 2020 Games even more memorable than the Tokyo 1964 Games, but to achieve this, it is essential that citizens take responsibility for the success of the Games." (우리는 Tokyo2020대회가 Tokyo1964대회보다 훨씬 더 기억에 남는 대회로 거듭나게 하고자 하지만,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하여 시민들 모두가 대회성공을 위해 함께 책임감을 가지고 매진하는 것이 필수적임)

 

B.  "Volunteers will play an especially key role by taking ownership of the Games to connect as many people as possible with each other, ultimately for the success of the Games. (자원봉사자들은 가능한 상호간에, 궁극적으로 대회성공을 위하여 많은 사람들과의 연결고리로써 대회의 주인의식을 가진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임)

 

C.  "Tokyo 2020 will provide high-quality training for all participants, helping them to seize this unique opportunity and become the very best volunteers they can." (Tokyo2020조직위원회는 이러한 독특한 기회를 잡도록 도움을 주기 위하여 높은 수준의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며 가장 뛰어난 최고의 자원봉사자들이 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

 

 

 

The Nippon Foundation established its Paralympic Support Center in June 2015 ©Nippon Foundation Paralympic Support Center(Nippon재단은 패럴림픽 지원센터를 20156월 설립하였음/출처: Nippon Foundation Paralympic Support Center)

 

 

 

9)   Nippon재단 Yohei Sasakawa이사장은 다음과 같이 첨언하였음

 

 

A.   "We were very pleased to receive a request from Tokyo 2020 for this partnership. (우리는 Tokyo2020으로부터 이러한 파트너 계약을 위한 요청을 받게 되어 반가운 마음임)

 

B.  "We have been working towards the goal of creating an inclusive society in which all people can live in harmony. (우리는 모든 사람들이 조화롭게 살수 있는 포용력 있는 사회 창출목적을 향하여 매진해 왔음)

 

C.  "We would like the Tokyo 2020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to become a stepping stone to continued achievements, not a final goal. (우리는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최종 목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계속되는 우리활동 목적달성의 디딤돌이 되기를 희구함)

 

D.  "I hope our partnership will become a catalyst for ongoing volunteering as a social movement in Japan, as well as help the Tokyo 2020 Games become the most successful ever." (나는 우리의 파트너 계약이 Tokyo2020대회가 가장 성공적으로 조직되게 할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사회운동으로서의 진행 중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촉매제가 될 것으로 희망함)

 

 

10)  Tokyo2020대회를 지원하기 위하여 모집되는 자원봉사자들이 대회운영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감당하게 될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고 함

 

11) 자원봉사자들은 202041일 부로 만 18세이상이 되어야 하며 자원봉사자 직 신청과정은 2018년 시작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

 

12) 지난 5Tokyo2020은 정보서비스(information services)와 인적 자원(human resources)을 담당하는 글로벌기업인 Recruit Holdings를 공식 파트너회사로 영입하였다고 함

 

13) 동 회사는 1960년에 창립되었으며 인적자원과 온라인 학습 및 습득서비스”(Human Resources and Online Study and Learning Serices0카테고리 전문 기업이라고 함

 

14) Recruit Holdings기업이 추가됨으로써 Tokyo2020국내파트너(domestic partners) 수는 28개의 공식파트너(official partners)를 포함하여 총 43개 기업으로 증가됨

 

 

 

*References:

-insidethegames

- Nippon Foundation Paralympic Support Cent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7. 6. 19. 17:24

[IOCMcDonald’sIOC TOP파트너계약 종지부 찍은 사연은?]

 

1)   616일 한 외신 기사제목은 “IOCMcDonld’s 다국적기업 TOP파트너계약 끝내다”(IOC and McDonald's to end TOP partnership)였음

 

 

 

 

2)   IOC와 패스트푸드 거대기업인 McDonald’s사가 그들의 전 세계 대상 파트너 관계(worldwide partnership)를 즉시 효력을 발휘하는 종식/종료(ending with immediate effect)를 발표하였음

 

3)   McDonald’s사는 1976Innsbruck동계올림픽이래로 매번 올림픽대회의 공식 스폰서로써 동고동락하여 온 바 있었음

 

4)   McDonald’s기업은 해당범주에 독점적 글로벌 마케팅 권리와 기회를 보장해 주는 구조를 제공해 주는(a scheme giving them exclusive global marketing rights and opportunities in their category )1985년 발진한 TOP(The Olympic Programme)의 창설멤버였음

 

5)   McDonald’s기업은 2012US$1억불(1,200억원)짜리 TOP파트너계약으로 8년 더 연장한 바 있었음

 

6)   하지만 그러한 파트너 계약은 이제 즉시 종료(end immediately)될 것임

 

7)   McDonald’s기업은, 하지만, 평창2018 대회까지는 한국 국내에서만 마케팅 권리를 행사하는(with domestic marketing rights in South Korea only)스폰서로써 역할은 할 것으로 알려짐

 

8)   McDonald’s기업은 올림픽공원과 선수촌에서 식당들을 포함하는 대회 시 운영은 진행할(deliver its Games-time operations)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9)   IOC는 지금 당장은 소매음식운영 스폰서 범주를 대신할 기업을 지명할 계획은 없다(no immediate plans to appoint a direct replacement in the retail food operations sponsorship category)고 주장하고 있다고 함

 

10) 대신에, IOC기존 올림픽 마케팅 프로그램의 보다 더 광범위한 맥락에서 카테고리를 검토할 것”(review the category in the broader context of existing Olympic marketing programmes)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짐

 

11) 결별에 따른 재정조건들(financial terms of the separation)은 당사자들 간의 합의에 따라(agreed by all parties) 기밀 유지할 것(remain confidential)으로 알려짐

 

12) 양측 당사자들은 이러한 조치는 616일 성명서에서 상호 합의된 결정이었다고 주장하였지만, 세계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기업들 중 하나를 잃는다는 것은 올림픽 계에서 의문표를 확실하게 제기할 것임

 

13) 다음은 Timo Lumme IOCTV 및 마케팅서비스 운영국장의 발언내용임:

 

A.  "The IOC's sponsorship strategy is aimed at delivering long-term partnerships that help the Olympic Movement achieve the objectives set out in Olympic Agenda 2020, our strategic road-map for the future." (IOC의 스폰서 전략은 올림픽운동으로 하여금 우리의 미래를 위한 전략적 로드맵인 올림픽 아젠다2020에 명시된 목적달성에 도움에 되도록 장기 포석이 목표임)

 

B.  "This strategy is exemplified by the recent announcement of long-term, ground-breaking agreements with new and existing global partners." (이러한 전략은 신규 및 기존 글로벌 파트너 기업들과의 장기적이고 획기적인 합의 발표로 예증되고 있음)

 

 

 

McDonald's has been involved with the Olympics since the Winter Games at Innsbruck in 1976, with restaurants for spectators like this one at London 2012 part of the multi-million dollar deal ©Getty Images (맥도널드 다국적 글로벌 미국기업/출처: insidethegames)

 

 

 

14)  Lumme국장은 다음과 같이 첨언하였다고 함:

 

A.   "In today’s rapidly evolving business landscape, we understand that McDonald’s is looking to focus on different business priorities. (오늘 날의 신속하게 진화하고 있는 비즈니스 지형을 살펴볼 때 McDonald’s기업은 다른 비즈니스 우선순위들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자 관망하고 있음)

 

B.  "For these reasons, we have mutually agreed with McDonald’s to part ways.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우리는 McDonald’s기업과 다른 길들을 모색하기로 상호 합의하여 왔음)

 

C.  "I would like to thank our friends at McDonald's on behalf of the IOC for the commitment the company has shown to the Olympic Movement over many decades." (나는 IOC를 대신하여 수 십 년간 McDonald’s기업이 보여 준 공약과 신념에 대하여 McDonald’s기업의 동지들에게 감사를 전하고 싶음)

 

15) 글로벌 패스트푸드 체인기업은 Rio2016올림픽 메인 프레스센터(MPC)내에 직영식당을 두지 않았지만 23개 다른 지역에 걸쳐 직영식당뿐만 아니라 올림픽선수촌 국제지역(International Zone)내에도 직영식당 한 개를 운영한 바 있음

 

16) 2012년 런던올림픽 당시 McDonald’s기업은 Queen Elizabeth 올림픽공원에 사상 최대의 직영식당을 개장 한 바 있었음.

 

17) 3,000m2규모의 식당은 올림픽공원 내에 위치한 4개의 McDonald’s기업 직영식당들 중의 하나였으며 2층 구조로써 1,500개 좌것과 대회를 위하여 고용한 500명 정도의 직원을 둔 바 있었음

 

18) McDonald’s기업의 TOP파트너 계약해지로 인하여 TOP파트너 사의 수는 이제 아래의 12개 기업만 남았음

 

 

 

 

 

 

 

 

 

 

19) 다음은 McDonald’s기업 글로벌 수석 마케팅 책임자(global Chief Marketing Officer)Silva Lagnado의 소감임:

 

A.  "As part of our global growth plan, we are reconsidering all aspects of our business and have made this decision in cooperation with the IOC to focus on different priorities.(우리 기업의 글로벌 성장 계획의 일환으로 우리는 우리 비즈니스의 모든 면들에 대해 재고하고 있으며 IOC와의 협조 하에 다른 분야에 대한 우선순위 집중을 염두에 둔 이러한 결정을 내리기에 이르렀음)

 

B.  "We have been proud to support the Olympic Movement, and we thank our customers and staff, the spectators, athletes and officials, as well as the IOC and local Olympics Games organising committees, for all of their support over the years." (우리는 올림픽운동을 지원하는데 자부심을 가져 왔으며, 우리는 IOC와 역대 올림픽조직위원회들뿐만 아니라 우리 고객들과 직원들, 선수들과 임원들에게 그 동안 우리에게 전폭적인 지원을 보내준 데 대하여 감사함)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등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7. 5. 11. 11:08

[Tokyo2020 IOC개최도시협약서(HCC)내용전격공개 및 사후 적자운영 예상경기장 발표]

 

*순서:

. Tokyo2020 올림픽개최도시협약서 세부내용 개요

. Tokyo2020 대회 사후 적자 예상 대상경기장 및 적자예상규모

. IOC 올림픽 개최도시 협약서(HCC) 개정 세부내용(2024년 올림픽부터 적용)

 

*내용:

 

1.   Tokyo2020 올림픽개최도시협약서 세부내용 개요

 

1)   59일 자 한 외신기사제목은 “Tokyo2020올림픽조직위원회 올림픽개최도시협약서 공개하다”(Tokyo 2020 unveil Host City Contract)였음

 

 

2)   Tokyo2020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도시협약서(HCC: Host City Contract)59일 자로 일반대중에게 공개되었음

 

3)   HCC협약체결은 201397Tokyo2020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도시 선출확정 직후, IOC와 도쿄도 정부(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및 일본올림픽위원회(JOC) 3자간에 처음 서명날인된 바 있음

 

4)   Tokyo2020은 이듬해인 2014HCC의 정식당사자(a full party)가 되기 위한 최종절차로 마무리 병합합의서(a joinder agreement)에 서명한 바 있음

 

 

5)   다음은 Tokyo2020성명서에 담긴 내용 발췌분임:

 

A.  "In line with the Olympic Agenda 2020 framework, which reflects the positive evolution of providing Organising Committees of the Olympic Games and host cities more flexibility, all of the Host City Contract 2020 signatories worked to incorporate, to their benefit, the updated operational requirements that were published by the IOC in 2015." (올림픽조직위원회들과 개최도시들에게 보다 폭 넓은 융통성을 제공하기로 하는 진취적 진화의 의지를 반영한 올림픽 아젠다2020의 취지에 맞춰, 2020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도시협약서 서명당사자들 모두는 혜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조치로써 2015IOC가 발표한 최신 운영에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협업해 왔음) 

 

B.  "With this agreement now finalised to the benefit of all stakeholders, the organisations are publishing the Host City Contract, reinforcing their commitment to transparency." (대회조직운영관련당사자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비로서 이제 최종 마무리된 본 합의를 바탕으로 조직위원회는 투명성 철통이행공약을 강화하는 HCC내용을 발표하는 바임)

 

 

6)   HCC는 기본원칙(basic principles), 기획, 조직 및 개최와 숙박조직운영 원칙들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12개 조항들로 구성되어 있음

 

7)   기타 다른 조항들로는 스포츠 종목 조직(organization of sports programme), 문화행사(cultural programme)와 개최도시 행사활동(city activities)과 각종의식(ceremonies)과 올림픽성화(Olympic flame)와 올림픽성화봉송(Torch Relay)과 메달 및 상장수여와 연관된 조직관련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음

 

8)   지적 재산관련 사안들(intellectual property-related matters), 재정과 상업적 의무사항 및 올림픽대회 미디어 취재 관련사항들 역시 초점분야(also areas of focus)

 

 

9)   HCC는 대회기획과 조직과 개최(Games planning, organizing and staging)라는 관점에서 Tokyo2020가 자체비용으로 Tokyo2020의 전반적인 기획, 조직, 재정 및 개최과정 등과 관련된 최신판 정보(updates), 세부추진상황(details) 및 제반 배달대상 품목들(deliverables)IOC에 제공하도록 다짐하고 서약하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국제공증 계약서라고 볼 수 있음

 

10) 재정 및 상업적 의무조항과 관련하여서는, 대회개최로부터 발생하는 그 어떤 잉여금(any surplus)JOC, Tokyo2020 IOC 3자간에 분배하도록(divided three ways) 되어 있음

 

11) 대회잉여금의 20%씩은 각각 JOCIOC에게 그리고 나머지 60%는 조직위원회 몫으로 돌아가는데 일본 내에서 스포츠의 총체적 혜택도모를 위해 사용되기로”(to be used for the general benefit of sport)되어 있음

 

12) 대회파생잉여금산출계산은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종합하여 기획(planning), 조직(organizing) 및 개최(staging) 전반에 근거하도록 되어 있음

 

 

 

 

               

This Host City Contract was first signed on September 7, 2013 ©Tokyo 2020

(Tokyo2020개최도시협약서/출처: Tokyo2020조직위원회)

 

 

13) Tokyo2020 개최도시협약서는 2013년 당시 IOC위원장이었던 Jacques RoggeIOC위원장 임기 말년 마지막 공식행위의 일환(one of his final acts)으로 서명한 바 있음

 

 

2.   Tokyo2020 대회 사후 적자 예상 대상경기장과 적자예상규모

 

14) Tokyo2020조직위원회는 이후 2015년에는 공식 엠블럼 표절 시비 등 여러 가지 다사다난 한 우여곡절을 겪어 왔음

 

15) 최근에는 5개 신설경기장을 둘러싼 이슈들 출몰로 몸살을 앓아 왔는데 도쿄 도정부가 언론에 지난달 4월에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매년 약 11억엔(US$ 970만불/107억원)의 재정손실발생 시키는(incur an annual loss)애물단지(white elephant)가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16) The Japan Times지에 따르면 도쿄 도 정부는 올림픽수영장(Olympic Aquatics Center)Sea Forest Waterway올림픽조정경기장 및 올림픽 카누 슬라롬 코스(Olympic canoe slalom course)가 손실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함

 

17) 올림픽 하키경기장(Seaside Park Hockey Stadium)과 올림픽양궁경기장(Dream island Archery field) 역시 대회 사후 적자운영 가능 대상(could operate at a loss after the Games )경기장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음

 

 

Jacques Rogge signs the Tokyo 2020 host city contract in one of his final acts as IOC President ©Getty Images

(좌로부터 Jacques Rogge 2013년 당시 IOC위원장, Abe일본총리 및 Takeda JOC위원장 겸 IOC위원/출처: insidethegames)

 

 

 

3.   IOC 올림픽 개최도시 협약서(HCC) 개정 세부내용(2024년 올림픽부터 적용)

 

18) 20172IOCIOC올림픽개최도시협약서 변경내용들 중 인권원칙조항을 병합하였음(incorporation of human rights)을 발표한 바 있음

 

19) 개정된 HCC내용은 인권단체 선도 연합 및 투명성 강조단체 및 선수관련 조직들로부터의 권고사항들을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24년 올림픽대회에 처음 적용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20) IOC는 사상최초로 UN비즈니스와 인권 관련 지도원칙(UNGP: United Nations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과 국가 및 기업들 대상 비즈니스 운영상 발생소지가 있는 인권침해 방지, 대응 및 구제를 위한 일련의 지침내용(a set of guidelines for states and companies to prevent, address and remedy human rights abuses committed in business operations)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여 왔음

 

21) 지침원칙내용(Guiding Principles)을 살펴보면, 상업적 기업들의 인권침해위험요인 평가방법과 인권이슈 발생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처치방법 및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침해에 대행 구제보장방법 등에 대해 상세히 밝히고 있음(The Guiding Principles detail how commercial enterprises ought to assess human rights risks, take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human rights issues, and guarantee a remedy for abuses that take place despite those efforts.)

 

22) 올림픽 아젠다2020 실행의 일환으로 Thomas Bach IOC 독일국제투명성 단체(Transparency International Germany), UN 세계 선수단체(UN World Athletes), 인간 토양(Terre des Hommes), 국제 노조 총연맹(international Trade Union Confederation),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과 인권감시단체(Human Rights Watch) 등을 포함하여 스포츠 및 인권연합(SRA: Sport and Rights Alliance)대표들과 면담을 가진 바 있음

 

23) 20159IOC2024년 올림픽 개최도시 용 HCC내용에 인권조항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것에 대하여 IOC쪽에 놀라움을 금치 못할 누락”"(astonishing omission)이며 아젠다2020개혁과정으로 창출된 기대감에 못 미치는 행위로 묘사된 바 있었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Japan Times

-IOC 홈페이지 등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