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에 해당되는 글 803건

  1. 2018.07.09 Beijing2022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마스코트(Mascots) 어떤 것이 될까? 등 준비상황 스케치
  2. 2018.07.07 IOC 2026년동계올림픽개최도시협약서(HCC) 평창2018개회식 Drones오륜으로 표지장식 및 새롭게 규정변경 상세내용 발췌 요약 스케치
  3. 2018.06.06 올림픽운영예산 약1조1천억원경비절감지향 IOC신규범(New Norm)지침적용배경스케치(Beijing2022에서평창2018 Debrief)
  4. 2018.06.03 IOC올림픽 마케팅수입금 선수지분 25 % 직접지급 강력요구 최근 사태와 IOC선수위원회 주도 선수헌장(Athlete Charter)이 시사하는 방점
  5. 2018.06.02 全 세계 선수대상 선수헌장(Athlete Charter) 선수기본권 및 책무설정 획기적 전기마련 스케치
  6. 2018.05.16 Beijing2022 동계올림픽 경기장 3군데 분산 배치와 분포현황 및 신규메달종목 Update
  7. 2018.05.13 세계여자육상 강자 남아공여성선수 Semenya 전성기 종착점 앞당긴 IAAF 신규 남성호르몬 수치규정 스케치
  8. 2018.05.13 IAAF 세계육상선수권 2019년 카타르 도하대회 한밤중 마라톤(Midnight Marathons)과 야간결승경기스케줄 흥행우려 스케치
  9. 2018.05.03 아프리카개최로 확정된 2022년 청소년올림픽(YOG) IOC평가위원회 구성결과 발표취지와 향후 개최도시 선출 Roaddmap(제2편)
  10. 2018.05.01 Beijing2022동계올림픽 추가될 Synchronized Skating(빙상발레) 등 신규제안종목 이모저모 스케치
스포츠 정보2018. 7. 9. 09:37

[Beijing2022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마스코트(Mascots) 어떤 것이 될까? 등 준비상황 스케치]

 

 

Beijing2022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준비가 한창입니다.

 

평창2018 대회가 거의 모든 면에서 성공개최평가를 받음으로써 Beijing2022로써는 한국에 뒤지지 않는 동계대회개최를 위하여 각고의 노력경주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최근 베이징에서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회의석상에서는 마스코트와 테스트 이벤트 및 기술활용(technology usage) 등이 Beijing2022조직위원회 지휘부(top brass)가 논의 한 준비사항 내역들 중 일부 내용이었다고 75일 자 한 외신이 보도하였습니다.

 

 

 

동 회의는 Beijing2022조직위원장인 Cai Qi가 주재하였는데 대회준비 총괄진척사항에 대하여 점검(sought to provide an overall update on preparations)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Cai Qi)

 

 

이번 7월 점검회의는 2개월 후인 오는 916~18일 예정된 IOC조정위원회 점검회의에 앞서 핵심 2개월간의 준비를 독려하고자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이 대비를 시작한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Beijing2022홈페이지 웹사이트에 실린 기사내용을 보면 올림픽 및 패럴림픽 마스코트 개발계획이 논의 항목들 중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고 합니다.

 

2개의 마스코트 공식발표시점은 2020년으로 예정(due to be officially unveiled in 2020)되어 있다고 합니다.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President Thomas Bach pictured visiting Beijing earlier this year ©Getty Images (2018년 상반기 베이징을 방문한 Thomas Bach IOC위원장 모습/출처: insidethegames)

 

 

 

동 웹사이트 설명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The meeting pointed out that a series of test events will be held before the 2022 Winter Olympics and the Winter Paralympic Games." (회의에서 일련의 테스트이벤트의 2022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전에 열릴 것임을 적시하고 있음)

 

B.  "It is important for effectively testing the venue facilities, exercising the running team, understanding the rules of running the race, running the working mechanism, implementing the territorial guarantee, and testing the operational command. (경기장 시설테스트, 운영 팀들의 연습, 경기운영 규칙숙지, 업무 메커니즘 운영, 영역별 보장방법 실행, 운영지휘 테스트 등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함)

 

C.  "It is necessary to rely on the national single sports association, the international single sports feder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of the event venue to treat the test match with the attitude of the official Olympic Games, and conscientiously prepare for the organisation and operation." (테스트 경기를 공식올림픽대회를 치르는 자세를 가지고 다루기 위하여 각각의 국내 스포츠협회, 각각의 국제스포츠연맹 이벤트 베뉴가 위치한 지방정부에 의존하는 것과 양심적으로 조직 및 운영하는 것이 필요함)

 

 

현대기술과 환경친화, 공유, 공개, 청결한 접근방식을 활용하는 것 역시 최우선 과제로 강조되고 있다(also emphasised as priorities)고 합니다

 

 

이러한 것들은 크게 보면 바람직인 표현으로 보이긴 하지만, 실제로 적용사례로는 미흡해 보이는데 왜냐하면 대회자체는 새로운 경기장과 인공 눈에 어떻게 의존하게 될 지가 변수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This is largely seen as good rhetoric but less the case in practice, however, due to how the Games will rely on new venues and artificial snow.)

 

Beijing 2022동계올림픽은 2022 24~20(17일간), 동계 패럴림픽은 34~13(10일간) 열릴 예정입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Beijing2022웹사이트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7. 7. 11:06

[IOC 2026년동계올림픽개최도시협약서(HCC) 평창2018개회식 Drones오륜으로 표지장식 및 새롭게 규정변경 상세내용 발췌 요약 스케치]

 

 

평창2018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전 세계에 선 보인 드론(drones)사용 오륜기 표출은 이제 IOC가 새롭게 제작한 2026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협약서(Host City Contract/Operational Requirements) 겉 표지 모델로 재 탄생하였습니다.

 

 

 

IOC 72일부로 2026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용 간결 합리화 된 개최도시협약서 운영요구지침문서(a streamlined Host City Contract Operational requirements document)발행하였다고 합니다.

 

 

동 문건의 취지는 IOC가 투명성에 대한 공약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주장(the organisation claimed the move showed their commitment to transparency)이랍니다.

 

 

292페이지로 구성된 동 문건은 올림픽개최도시들이 충족해야 할 모든 기술적 요구사항들을 세분화하고(details all the technical demands which cities staging the Games must meet) 있다고 합니다.

 

 

동 문건의 새로운 버전은 2026년 동계대회 개최도시 및 이전 선출된 올림픽개최도시들에게 공히 적용될 것(apply to the city which holds the 2026 Games and previously elected Olympic hosts )이라고 합니다.

 

 

사치스러운 음식과 VIP용 호화 리셉션 등 배제(removing lavish food and luxury receptions for dignitaries)를 포함하는 이러한 새로운 요구사항들은 개최도시들에게 더 많은 비용절감효과지향적(more cost effective for host cities)이라고 주장되고 있다고 합니다.

 

 

동 문건내용은 과거 버전들과 비교해 볼 때 더 치우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thought to be leaner compared with past versions)고 합니다

 

 

IOC2026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권을 획득하는 도시에게 $9 2,500만불( 1.036조원)기여금을 배정할 의도를 확인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평창2018의 경우 IOC는 기여금 조로 US$6.1억불(TV중계권료4억불+ TOP마케팅 분배금 2억불+ 추가기여금 US$1,000만불 등/ 6,832억원)를 배당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2026년 대회 기여금 규모는 IOC가 최근 새로운 규범”(New Norm)개혁 패키지(reform package)를 발행하면서 처음 공개한 것인데, 이는 Beijing2022기여금인 US$8 8,000만불(9,856억원)보다 증액된 것입니다.

 

 

동 문건은 캐나다의 Calgary2026유치위원회가 오는 11월 국민투표를, 오스트리아의 Graz2026유치위원회 역시 가까운 시일에 주민투표 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2026년 대회 경쟁의 핵심메시지(The document is set to be key in the 2026 race as Calgary prepares for a plebisicite in November, while Austrian city Graz is also likely to face a referendum)로 긴급 수혈한 것으로 보입니다.  

 

 

터키의 Erzurum, 스웨덴의 Stockholm 과 이태리 Milan, Turin Cortina d'Ampezzo(국내 경합 중)가 나머지 2016년 유치경쟁도시들(the other contenders for 2026)입니다.

 

 

2018 6월 스위스 Sion2026의 경우 Canton주민투표에 회부하였다가 실패한 후 유치를 철회(withdrew their bid for 2026 last month following defeat in a Canton-wide referendum)한 바 있습니다.

 

 

IOC새로운 규범”(New Norm)으로 인해 하계올림픽개최도시들의 경우 US$10억불( 1 1,200억원), 동계올림픽개최도시들의 경우 US$5억불(5,600억원)의 개최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Senior IOC official Christophe Dubi claimed publishing the requirements was another significant step in making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a reality for interested cities ©Getty Images (Christophe Dubi IOC올림픽대회 수석국장/출처: insidethegames)

 

 

 

향후 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대회조직과 관련된 모든 사안처리에 있어서 인권(human rights)존중과보호조치 공약 역시 준수해야 해야(must also commit to respec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in all matters related to the organisation of the Games) 하는 것으로 명문화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인권조항은 2017 2 IO가 명문화 한 개최도시 협약 서에 추가 삽입된 바 있습니다(A human rights clause was added to the Host City Contract by the IOC in February of last year)

 

개최도시협약 서 끝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대회운영요구사항은 “IOC가 추진 및 노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써, 효과적 경비지출지향, 성공적이며 유산고양 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지향 대회를 개최하도록 조직위원회를 지원하려는 것”("strengthen the IOC’s ongoing effort to support hosts in delivering cost-effective, successful and legacy-enhancing Olympic and Paralympic Games")이라고 주장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Christophe Dubi IOC올림픽대회 수석국장의 발언내용입니다:

 

A.  "This is another significant step in making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a reality for the communities that have the ambition of hosting the world’s biggest sporting event." (이러한 취지는 전 세계 최고, 최대의 스포츠 이벤트 개최야망을 가진 공동체들을 위하여 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를 실현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조치임)

 

B.  "We are enabling the organisation of Games that will be sustainable and create lasting legacies for their citizens, while also reducing complexity and costs." (우리는 올림픽대회 조직이 대회의 복잡성과 비용부담을 경감시키는 가운데 개최국 시민들에게 지속가능하고 계속 유지되는 유산창출이 가능하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음)

 

 

기존시설과 인프라 활용을 최대한 권장하는 약속(a promise to maximise the use of existing venues and infrastructure) IOC가 개최도시들로 하여금 경비절감을 돕기 위하여(to help cities cut costs) 취한 제안사항들 가운데 들어 있다고 합니다.

 

 

패럴림픽 대회와의 개선된 통합 역시 운영요구사항에 적시되어 있는데(enhanced integration with the Paralympic Games is also cited in the operational requirements), 그 내용 중에는 IOC와 해당 대호조직위원회들과 다른 이해관계자들 및 보다 명확한 IOC가 지불하는 서비스 배정”(clearer allocation fo IOC-paid services) 간의 향상된 파트너십(an enhanced partnership)에 대한 공약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Xavier Gonzalez IPC CEO의 발언내용입니다:

 

A.  "The publication of these requirements further underlines the growing cooper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IOC and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PC) in organising a sports event that can change societies forever." (이러한 요구사항 지침서내용은 IOC IPC간에 세계사회를 항구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스포츠 이벤트 조직을 위한 증대되고 있는 협력과 통합을 한 걸음 더 강조하고 있음)

 

 

 

          (Xavier Gonzalez)

 

 

B.  "By enhancing the integration between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we can streamline the delivery of the Games for OCOGs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and make a number of efficiencies which ultimately will bring down the cost of staging this wonderful festival of sport. (올림픽과 패럴림픽 대회 통합내용을 향상시킴으로써, 우리는 대회조직위원회들을 위한 대회개최를 합리적으로 고양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훌륭한 스포츠제전 개최비용을 궁극적으로 절감해 줗 여러 가지 효율성을 선사할 수 있을 것임)

 

 

C.  "We are committed to working with the IOC to maximise savings for host cities and are doubly determined to use the Games as a catalyst to transforming lives, cities and societies." (우리는 IOC와 협업하여 개최도시들을 위하여 최대한의 경비절약을 도모하도록 헌신할 것임)

 

 

다음은 IOC홈페이지에 수록된 향후 개선된 개최도시협약서(Host City Contract) 내용 원본 내용입니다:

 

 

[72일 자 IOC발표 내용 전체원문]

 

IOC reinforces its commitment to transparency and reform by publishing Host City Contract

 

 

Reinforcing its long-term commitment to transparency and reform,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today published the Host City Contract (HCC) Operational Requirements. This follows the publication in March this year of the HCC Principles, which enable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Olympic Agenda 2020 recommendations and set out the general guidelines gov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OC, the host city, region or country,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 (NOC) and the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OCOG), as well as their respective financial and contractual responsibilities. The Operational Requirements form the final part of the Host City Contract.

 

The new version of the document will apply to the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2026 and previously elected hosts, in line with the process agreed between the IOC and the respective organisers.

More than ever, the requirements strengthen the IOC’s ongoing effort to support hosts in delivering cost-effective, successful and legacy-enhancing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The updated Operational Requirements reflect outcomes of Olympic Agenda 2020’s the New Norm, which is a series of 118 measures that provides cities with increased flexibility in designing the Games to meet long-term goals and guarantees that they receive more assistance from the Olympic Movement.

See what the New Norm looks like.

In addition to ensuring the activation of the New Norm reforms, the Operational Requirements address the organisers’ commitment to respecting and protecting human rights in all matters related to the organisation of the Games.

Also included in the HCC is an IOC contribution estimated at USD 925 million for 2026, based on broadcast and TOP sponsorship programme revenues, the host broadcasting services provided, and transfer of knowledge activities.

IOC Olympic Games Executive Director Christophe Dubi said: “This is another significant step in making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a reality for the communities that have the ambition of hosting the world’s biggest sporting event. We are enabling the organisation of Games that will be sustainable and create lasting legacies for their citizens, while also reducing complexity and costs.”

The measures embedded in the new contract are the next step towards achieving maximum potential savings of USD 1 billion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and USD 500 million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Some specific examples include:

  • Streamlined Games delivery approach
  • Enhanced integration with the Paralympic Games
  • More partnership between the IOC, Olympic stakeholders and OCOGs
  • Clearer allocation of IOC-paid services
  • Maximise the use of existing venues and infrastructure
  • Adapting requirements and service levels to actual needs
  • Completely deleted or optional requirements 

 

The document also supports the drive for continued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PC), the governing body of Paralympic sport. The agreement includes the principles, timelines and milestones, guarantees and conditions required to sustain the Paralympic Games as an international multi-sport, multi-disability Games. In alignment with the New Norm, this also includes a further merging of requirements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References:

-IOC 홈페이지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6. 6. 10:46

[올림픽운영예산 약11천억원경비절감지향 IOC신규범(New Norm)지침적용배경스케치(Beijing2022에서평창2018 Debrief)]

 

 

베이징 개최 평창2018 Debrief회의 토론 말미에(following a day of discussions on the matter here at the Pyeongchang 2018 debrief) Beijing2022조직위원회 Han Zirong사무총장은 IOC가 새로 정립한 대회조직위원회지향 신규범(New Norm)개혁내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고 합니다.

 

 

 

 

 

 

 

Han 조직위 사무총장은 영감에 고취된 비전, 스마트 한 기획, 지속 가능한 지배구조, 통합된 협업 및 투명한 유산전략 Beijing2022로 하여금 오래 지속되는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도록 도움을 주게 될 방식에 대한 전달을 취지로 열린(aimed to demonstrate how an inspired vision, smart planning, sustainable governance, integrated collaboration and a clear legacy strategy will help Beijing 2022 have a long-lasting, positive impact) Debrief회의 말미에 발언하였다고 합니다.

 

 

100개 이상의 개혁실행 안에 지난 2 IOC에 의해 공개된 바 있는데 이는 올림픽대회 개최에 따른 운영비 절감 시도의 일환으로(February in an attempt to cut the operational costs of running the Olympic Games) 알려져 있습니다.

 

 

“The New Norm이란 타이틀의 문건으로 발표된 118개 대책은 하계올림픽에서는 US$10억 불( 1 1천억원), 동계올림픽에선 US$5억불( 5,500억원)가량의 경비절감을 할 수 있다(could cut as much as $1 billion (£748 million/€854 million) from the costs of staging a Summer Olympic Games and $500 million (£374 million/€427 million) for the Winter edition)는 취지의 조치로 주장되고 있는 셈입니다.

 

 

호주 IOC위원인 John Coates가 위원장을 맡고 있는 올림픽 치르기 집행운영위원회’(an Olympic Games Delivery Executive Steering Committee)는 경기장, 에너지, 방송, 숙박, 수송, 기술 및 패럴림픽 대회를 포함한 모든 운영향방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analysed "every function of operations", including venues, energy, broadcasting, accommodation, transport, technology and the Paralympic Games)고 합니다

 

 

IOC는 개최도시들과 올림픽이 여유롭게 알맞고, 혜택충만하고 지속 가능하도록 확고히 하는 길의 모든 단계 단계를 협업하기로 약속한 바(promised to work with cities "every step of the way to ensure that the Games are affordable, beneficial and sustainable") 있습니다.

 

 

다음은 Beijing2022조직위원회 Han사무총장의 발언내용입니다:

 

A.  "I would like to thank all the experts today for sharing with us information of their experiences in organising the Games." (나는 올림픽대회조직에 있어서 그들의 경험에 대한 정보를 우리와 공유한 오늘 참석한 전문가들 모두에게 감사하는 바임)

 

B.  "A phrase that we talked about most from is 'New Norm'. (우리가 이야기한 것들의 출처 문구가 신규범 조처임)

 

C.  "After today’s meeting, I think the 'New Norm' for Beijing 2022 is very important. (오늘 회의를 마치면서 Beijing2022를 위한 신규범 조처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함)

 

D.  "Because of the 'New Norm', it appears to me that the Olympic Movement has started a new page and these reforms cover multiple aspects and have very extensive implications. (신 규범 조처로 인해 올림픽운동은 새로운 페이지를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개혁조치가 다양한 면들을 포용하고 매우 광범위한 함축적 의미를 표출해 주는 것으로 느껴짐)

 

E.  "Some of them are quite unexpected for us, but I believe that future Olympics will surely bring us new development, new evolvement and new experiences." (신 규범 조처들 중 몇 가지는 우리로서는 상당히 예상치 못한 것들이지만 향후 올림픽은 우리에게 새로운 전개국면과 새로운 진화와 새로운 경험들을 가져다 줄 것으로 확신함)

 

 

 

The IOC is attempting to reduce operational costs at the Olympic Games ©IOC(올림픽개최 운영경비 절감 방식 예시/출처: IOC홈페이지)

 

 

 

64일 회의 초반 Juan Antonio Samaranch Beijing2022 IOC조정위원회임시위원장(interim chairman) 신규범 조처의 함축적 의미와 혜택들을 설명해 주는 전문 특집논의패널을 가동하였다(featured on a discussion panel that sought to explain the implications and benefits of the "New Norm")고 합니다

 

그는 올림픽운동이 향후 다가올 기간에 개혁조처들로부터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는 확신을 표명하였다(expressed his belief)고 합니다

 

다음은 Juan Antonio Samaranch Beijing2022 IOC조정위원회임시위원장(interim chairman)의 발언 내용입니다:

 

A.  "I think it’s of paramount importance." (그것은 최고로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함)

 

B.  "It’s about legacy, sustainability, making it more attractive and bringing it closer to so many sports lovers all around the world.(그것은 우산과  지속 가능성을 표현해 주는 것으로 대회를 더 매력적으로 환골탈태시켜 줄 것이며, 전세게 수 많은 스포츠애호가들에게 더 가깝게 근접시켜 줄 것임)

 

C.  "So I think it’s a revolution - it’s maybe an evolution but it looks like it also could be like a revolution. (그래서 그것은 혁명임-그것은 아마도 진화일지도 모르지만 혁명 같을 수도 있는 것처럼 보임)

 

D.  "It’s not shying away from many things that happened in the past. (그것은 과거 일어났던 많은 것들로부터 회피하려는 것은 아님)

 

E.  "I’m thinking about the athletes coming to the Games, gender equality etc. (나는 올림픽에 참가하려 오는 선수들과 양성평등 등과 같은 것을 생각하고 있음)

 

F.  "It’s re-engineering the Games and making the Games more intelligent." (그것은 올림픽을 재설계하고 재충전하는 것이며 대회를 더 총명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임)

 

 

 

(Juan Antonio Samaranch /출처: insidethegames)

 

 

 

Juan Antonio Samaranch Beijing2022 IOC조정위원회임시위원장(interim chairman)과 함께 Christophe Dubi IOC올림픽대회 수석국장과 Xavier Gonzalez IPC CEO도 자리를 같이하였다고 합니다.

 

 

Dubi 수석국장은 올림픽대회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에 관하여 새로운 페이지를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는 평창2018로부터 배우는 교훈”(lessons from Pyeongchang 2018 "clearly show that we have turned the page with regards to our new approach to the Olympic Games"을 주장한 바 있는 Thomas Bach IOC위원장이 Debrief에서 개회사를 통해 언급한 코멘트에 열중하여 다시 반복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Christophe Dubi IOC올림픽대회수석국장의 발언 내용입니다:

 

A.  "I think it’s very powerful and does illustrate what we have done here, we have turned the page." (그러한 개혁 조처는 매우 강력하며 이곳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해 주고 있고, 우리는 페이지를 넘기고 있음)

 

B.  "There is no one size fits all model.(만능 열쇠와 만병통치 약은 없음)

 

C.  "It is all about the context, so that is very clear." (그 내용은 문맥을 잘 보면 풀리는 것이므로 매우 명백한 것임)

 

 

IPC의 관점에서 볼 때 신 규범 조처(New Norm)에 대하여 가장 신나는 것이 무엇인지 소감을 묻자 Gonzalez IPC CEO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고 합니다:

 

A.  "I think one element for us is the legacy. (우리로서 한가지 요소는 유산이라고 생각함)

 

B.  "It’s the outcome of the 'New Norm'.(그것이야말로 신 규범 조처의 소산임)

 

C.  "Now, it’s not only about holding the event itself. (지금 그것은 대회자체를 치르는 것에 국한 된 것이 아님)

 

D.  "It’s more about the long-term legacy and what the cities want to achieve with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그것은 중 장기 유산에 더 중점을 두는 것이며 개최도시들이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통해 성취하고자 원하는 것임)

 

E.  "I think that area is where the Paralympic Games has a contribution to make to this enhancement of the opportunities for cities who host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그것은 패럴림픽대회가 올림픽 및 패럴림픽대회를 개최하는 도시들에게 기회촉진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임)

 

 

 

 

Christophe Dubi, IOC executive director for the Olympic Games, believes the "New Norm" marks a fresh chapter ©Getty Images (Christophe Dubi IOC 올림픽대회 수석국장/출처: insidethegames)

 

 

Beijing2022준비상황은 Samaranch IOC임시조정위원장이 지난 4월 베이징 방문 후 좋은 평가를 내린 바 있다고 합니다.

 

 

그는 그 당시 IOCBeijing2022 4 Project Review회의 진행 차 베이징에 왔다가 떠나면서 중국이 평창2018폐회식에서 올림픽깃발을 인수 인계한 이래 그의 첫 방문에서 지켜 본 것으로 평가할 때 인상적이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고 합니다

 

 

Beijing은 동 하계올림을 모두 치르는 사상 첫 개최도시가 됨으로써 역사를 만들 것이라고 합니다

 

 

Beijing2008하계올림픽은 사치와 낭비를 대변해준 대회로 주목 받은 바 있는데 그것은 IOC가 이번에는 예민하게 피하고 싶은 대목(notable for their extravagance, something the IOC are keen to avoid on this occasion )이라고 합니다.

 

2017년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의 자격정지 이후 IOC조정위원장이었던 alexander Zhukov를 교체한 바 있는 Samaranch 임시위원장은 중국인들이 신규범 개혁조처에 명시된 지침을 따를 것으로 촉구하였다(urged the Chinese to follow the guidelines laid out in the "New Norm")고 합니다.

 

 

Beijing 2022년 동계올림픽 3개 경기장 중 빙상개최도시(the home of ice sports)이며 알파인 스키와 봅슬레이, 루지 및 스켈레톤 종목 경기는 Yanqing에서 열립니다.

 

 

베이징에서 약 200km떨어진 곳에 위치한 Zhangjiakou는 스노보드, 스키점프, 바이애슬론 및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경기장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6. 3. 09:24

[IOC올림픽 마케팅수입금 선수지분 25 % 직접지급 강력요구 최근 사태와 IOC선수위원회 주도 선수헌장(Athlete Charter)이 시사하는 방점]

 

 

1.   선수헌장(Athlete Charter) 초판세부사항 발표취지 및 목표 지향점

 

2018 531일 선수헌장(Athlete Charter) 초판 세부사항 발표와 함께 세계각국 선수들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올림픽운동 전체가 촉구하고 있다고 합니다(Olympic Movement calls for input as first details of Athlete Charter revealed)

 

 

 

 

 

선수헌장(Athlete Charter)의 현재 초안(current draft)은 전 세계 모든 대륙을 총 망라하여 대표하는 약 200명의 대표선수들의 의견이 입력됨으로 구체화되어(shaped by the input of almost 200 athlete representatives representing all continents across the globe) 온 바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주도권(initiative) IOC 선수위원회전략 실행의 또 다른 조치(another concrete step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IOC AC’s strategy)라고 합니다

 

따라서 531일은 선수헌장 전개의 다음 수순을 기념하는 것(Today marks the next phase of the Athlete Charter’s development )으로 이를 계기로 운영위원회(a Steering Committee)는 전 세계 엘리트 수준의 선수들을 초대하여 이러한 중차대한 문건을 계속 다듬을 수 있도록(will continue to shape this important document) 그 선수들의 목소리를 공유하고 제2단계 단계 조사평가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함(inviting elite-level athletes worldwide to share their voice and contribute to a second-phase survey)이라고 합니다.

 

이번 조치는 지금까지 위임 실행된 세계 최대의 선수중심 조사평가를 지향하고(aims to become the world’s largest athlete-focused survey ever commissioned) 있다고 합니다.

 

스포츠 세계가 지속적으로 진화됨에 따라(as the sports world continues to evolve) 다양한 선수목소리를 증폭시키고 그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며 보호함으로써(more important than ever to amplify the voice of athletes and empower and protect them) 그 어느 때보다도 중차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운영위원회(Steering Committee)는 참고문건 창출작업에 착수하여 왔는데 동 문건은 선수들의 권리와 책무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다(undertaken to create a reference document that defines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athletes)고 합니다.

 

 

권리와 책무를 명시한 선수헌장은 선수들의 제반 권리와 영감을 주면서도 직접 진솔하게 반영되고 포괄적 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문건 안에 선수들의 책무도 정확하게 명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ims to articulate the rights of athletes, and their responsibilities in an inspirational, yet straightforward document developed through an inclusive process)고 합니다.

 

목표는 기본원칙을 준수하는 몸체인데(The goal is a body of fundamental principles) 보편타당하고 융통성을 부여하여 폭 넓은 종목과 국가들에 걸쳐 선수들의 필요를 적합하도록 적용하는 것(to adapt to athletes’ needs across the full range of sports and countries)이 취지라고 합니다.

 

그것은 선수들을 위한 선수들이 전개하고 선수주도의 이니셔티브인데(an athlete-driven initiative, developed by athletes, for athletes) 동 프로젝트의 전개는 전 세계 선수들의 견해를 청취함으로써 선수헌장내용과 함께 모든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단계 별 협업과정이 수반된다(a step-by-step and collaborative process with all stakeholders, with the content of the Athlete Charter driven by listening to athlete views worldwide)고 합니다

 

 

2.   IOC가 직면한 선수들에 대한 올림픽마케팅수입금 직접 할당지분 25%요구대처 현안

 

 

선수헌장발표는 올림픽대회 수입금 관련 선수들에게 더 많은 기금배분제공 시스템으로 개혁하자는 증폭되는 압력에 IOC가 직면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전개되고 있는 움직임과 맞아 떨어지고 있는(at a time when the IOC has faced increasing pressure to reform their systems to provide more money to athletes) 느낌입니다. 

 

 

독일올림픽 및 스포츠 총 연맹(DOSB: German Olympic Sports Confederation)선수위원회 위원장인 펜싱선수출신 Max Hartung이 작성하여 Bach IOC위원장에게 보낸 공개서한(an open letter)을 통하여 IOC가 기금배분모델을 혁신적으로 개혁하도록 촉구한 바(called on the IOC to revolutionise their funding model) 있습니다

 

 

동 공개서한에는 IOC수입금 중 25%에 해당하는 기금을 선수들에게 직접 보조금 승인 및 WADA에 대한 10%추가 보조금배정(a further 10% of revenues) 촉구내용(a call to grant 25 per cent of revenues directly to athletes )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한 가지 아이디어로 올림픽출전 모든 선수들에게 일시불참가비지급이 제안되었는데(A lump participation sum granted to all athletes appearing at the Olympic Games) 이 아이디어는 IOC수입금 배분방식개혁을 추구하는(seeking to reform the way revenues are distributed) 독일선수들 패널 좌장(the head of a panel of German athletes)

 

 

이와 관련하여Bach IOC위원장은 공개서한 발송을 주도한 비판적이고 신랄한 독일선수들을 스위스 로잔느 IOC본부로 초대하여 IOC가 올림피언들에 대한 지원과 재정제공방식들에 대하여 함께 논의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invited critical German athletes to Lausanne so he can "discuss and explain" the ways in which they support and finance Olympians)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현재 5개 핵심 토픽을 중심으로 준비되고 있는 가운데(Currently organised around five key topics), 선수헌장은 선수들이 오늘날 직면하고 있는 가장 연관성이 짙은 이슈들을 다루고 있는데(addresses the most relevant issues athletes face today)

(1)청렴성과 정직한 스포츠(Integrity and Clean Sport),

(2)지배구조 및 소통(Governance and Communication),

(3)경력과 마케팅(Career and Marketing),

(4)보호수단강구(Safeguarding) 및 스포츠 경기(Sports Competition)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면(more specifically), 현재로서는 선수권리관련 핵심주제들이 추가적으로 19개 원칙항목들(19 additional principles)로 인해 좀더 상세히 정의 및 기술되어 있는데(further defined at present), 선수들의 책무내용은 16개 구체적 성명내용으로 명확히 기술되어 있다(spelled out in 16 specific statements )고 합니다

 

선수헌장은 선수지원을 위한 한 단계 전전한 것을 표시하고 있는 바(The Athlete Charter marks a step forward in supporting athletes) 스포츠 이상의 제반 토픽과 개개인으로서의 선수 권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focusing on topics that go beyond sport, and on athletes’ rights as individuals) 이는 진행 중이며 계속 진화되고 있는 문건인데 발표 이후조차 갱신사항통합이 이루어 질것(will integrate updates even after its release)이며 그 목적은 글로벌 선수들을 위한 지속적 연관성과 적용가능성을 철저히 확고히 하고자 하는 것(to ensure continuous relevance and applicability for athletes globally)이라고 합니다

 

특히 이중 경력 소지권리(a right to a dual career), 선수이슈에 대한 교육적 자료활용 접근 권(access to educational materials on athlete issues), 스포츠이벤트 규칙에 준하여 이미지 사용권(the right to use images as per the rules of the event) 등이 경력 및 마케팅 주제에 명시되어 있다(stated under the career and marketing theme)고 합니다.

 

 

선수이미지 사용관련 규칙준수조항(Compliance with the rules regarding the use of images) 역시 단독책무로써 예시되어 있다(cited as the sole responsibility)고 합니다.

 

 

 

*References:

-IOC홈페이지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6. 2. 08:42

[全 세계 선수대상 선수헌장(Athlete Charter) 선수기본권 및 책무설정 획기적 전기마련 스케치]

 

 

IOC홈페이지에 게재된 2018 531일자 뉴스에 의하면 향후 선수헌장(Athlete Charter)에 명시된 바와 같이 수천 명에 달하는 글로벌 선수들의 목소리가 반영될 것(thousands of global athletes to make their voice heard on the Athlete Charter)이라고 합니다

 

 

선수헌장은 선수기본권 및 책무에 대한 내용을 설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전 세계를 대표하는 20명 선수로 구성된 운영위원회(a Steering Committee) IOC선수위원회(Athletes’ Commission)에 의해 소집되었는데 2018531일 부로 선수헌장(Athlete Charter)을 발표하였으며 그 내용에는 전 세계 선수들의 기본권 및 책무를 명시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초기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다(the initial components of an Athlete Charter to address and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athletes around the world)고 합니다.

 

 

선수헌장(Athlete Charter)의 현재 초안(current draft)은 전 세계 모든 대륙을 총 망라하여 대표하는 약 200명의 대표선수들의 의견이 입력됨으로 구체화되어(shaped by the input of almost 200 athlete representatives representing all continents across the globe) 온 바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주도권(initiative) IOC 선수위원회전략 실행의 또 다른 조치(another concrete step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IOC AC’s strategy)라고 합니다

 

따라서 531일은 선수헌장 전개의 다음 수순을 기념하는 것(Today marks the next phase of the Athlete Charter’s development )으로 이를 계기로 운영위원회(a Steering Committee)는 전 세계 엘리트 수준의 선수들을 초대하여 이러한 중차대한 문건을 계속 다듬을 수 있도록(will continue to shape this important document) 그 선수들의 목소리를 공유하고 제2단계 단계 조사평가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함(inviting elite-level athletes worldwide to share their voice and contribute to a second-phase survey)이라고 합니다.

 

이번 조치는 지금까지 위임 실행된 세계 최대의 선수중심 조사평가를 지향하고(aims to become the world’s largest athlete-focused survey ever commissioned) 있다고 합니다.

 

스포츠 세계가 지속적으로 진화됨에 따라(as the sports world continues to evolve) 다양한 선수목소리를 증폭시키고 그 목소리에 힘을 실어주며 보호함으로써(more important than ever to amplify the voice of athletes and empower and protect them) 그 어느 때보다도 중차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운영위원회(Steering Committee)는 참고문건 창출작업에 착수하여 왔는데 동 문건은 선수들의 권리와 책무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다(undertaken to create a reference document that defines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athletes)고 합니다.

 

BMX사이클종목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Sarah Walker 20인 운영위원회 위원장(Chair of the 20-member Steering Committee)은 다음과 같이 발언하였다고 합니다:

 

A.  “It’s about empowering athletes to succeed in their sport, making sure their voices are heard, and ensuring they have the best possible opportunities during and after their competitive careers.” (동 프로젝트는 선수들이 각자의 종목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기 위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그 선수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확고히 하고 선수들 현역시절 동안 및 선수은퇴 후에도 최선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확실히 하는 데 그 취지가 있음)

 

권리와 책무를 명시한 선수헌장은 선수들의 제반 권리와 영감을 주면서도 직접 진솔하게 반영되고 포괄적 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문건 안에 선수들의 책무도 정확하게 명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ims to articulate the rights of athletes, and their responsibilities in an inspirational, yet straightforward document developed through an inclusive process)고 합니다.

 

목표는 기본원칙을 준수하는 몸체인데(The goal is a body of fundamental principles) 보편타당하고 융통성을 부여하여 폭 넓은 종목과 국가들에 걸쳐 선수들의 필요를 적합하도록 적용하는 것(to adapt to athletes’ needs across the full range of sports and countries)이 취지라고 합니다.

 

그것은 선수들을 위한 선수들이 전개하고 선수주도의 이니셔티브인데(an athlete-driven initiative, developed by athletes, for athletes) 동 프로젝트의 전개는 전 세계 선수들의 견해를 청취함으로써 선수헌장내용과 함께 모든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단계 별 협업과정이 수반된다(a step-by-step and collaborative process with all stakeholders, with the content of the Athlete Charter driven by listening to athlete views worldwide)고 합니다

 

운영위원회는 전 세계 올림픽운동 관련 20명의 선수대표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국제연맹대표 10, 세계각국 올림픽위원회 총 연합회(ANOC)대표 5,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 대표 1, 세계 올림피언 협회(WOA)대표 1명 및 IOC선수위원회 대표 3명 등으로 편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동 운영위원회(this Steering Committee)는 동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모임소집의 선두에 서며, 최종 선수헌장 완성에 따른 감독 책임을 맡게(responsible for leading the project, spearheading its assembly and overseeing the delivery of the final Athlete Charter) 된다고 합니다

 

선수헌장은 2017 11월 개최된 IOC 국제선수 포럼에서 올림픽운동 각계로부터 참여한 100명을 상회하는 선수대표들의 다양한 그룹과 함께 논의된 바 있다(discussed with a diverse group of more than 100 athlete representatives from the Olympic Movement)고 합니다.

 

후속 첫 라운드 조사업무(a subsequent, first-round survey) 는 거의 200명 선수대표들에 의해 완성된 바, 그들은 제반 주제와 선수헌장에 포함될 권리 및 책무 유형 설정(to establish themes and types of rights and responsibilities to be included in the Athlete Charter)을 한 바 있다고 합니다.

 

현재 5개 핵심 토픽을 중심으로 준비되고 있는 가운데(Currently organised around five key topics), 선수헌장은 선수들이 오늘날 직면하고 있는 가장 연관성이 짙은 이슈들을 다루고 있는데(addresses the most relevant issues athletes face today) (1)청렴성과 정직한 스포츠(Integrity and Clean Sport), (2)지배구조 및 소통(Governance and Communication), (3)경력과 마케팅(Career and Marketing), (4)보호수단강구(Safeguarding) 및 스포츠 경기(Sports Competition)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면(more specifically), 현재로서는 선수권리관련 핵심주제들이 추가적으로 19개 원칙항목들(19 additional principles)로 인해 좀더 상세히 정의 및 기술되어 있는데(further defined at present), 선수들의 책무내용은 16개 구체적 성명내용으로 명확히 기술되어 있다(spelled out in 16 specific statements )고 합니다

 

선수헌장은 선수지원을 위한 한 단계 전전한 것을 표시하고 있는 바(The Athlete Charter marks a step forward in supporting athletes) 스포츠 이상의 제반 토픽과 개개인으로서의 선수 권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focusing on topics that go beyond sport, and on athletes’ rights as individuals) 이는 진행 중이며 계속 진화되고 있는 문건인데 발표 이후조차 갱신사항통합이 이루어 질것(will integrate updates even after its release)이며 그 목적은 글로벌 선수들을 위한 지속적 연관성과 적용가능성을 철저히 확고히 하고자 하는 것(to ensure continuous relevance and applicability for athletes globally)이라고 합니다

 

531, 선수헌장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기 위하여 이러한 운동에 동참하도록 모든 종목에 걸쳐 엘리트수준 선수들이 초대되었는데, 대화에 참여하고 자신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하기 위하여 선수들이 Athlete365 웹 페이지 서면운동에 동참하도록 권장하고 있다(encouraged to sign up on the Athlete365 webpage)고 합니다.

 

이번이 오늘날 스포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대화 모임들 중의 하나로 형성시킬 전대미문의 기회(an unparalleled opportunity to shap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versations in sport today.)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References:

-IOC홈페이지 발췌 및 정리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5. 16. 16:10

[Beijing2022 동계올림픽 경기장 3군데 분산 배치와 분포현황  및 신규메달종목 Update]

 

 

 

 

 

(1)     Yanqing지역은 베이징에서 88km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알파인 스키(Downhill Skiing 포함), 봅슬레이, 스켈레톤 및 루지 종목 경기장이 자리매김하고 있음

 

(2)     Zhangjiakou지역은 베이징으로부터 110km나 떨어진 원거리에 소재하고 있는데 freestyle skiing, cross-country skiing, ski jumping, Nordic combined biathlon 종목 경기장이 위치하고 있다고 함

 

(3)     Beijing 시는 개 폐회식장 및 빙상종목경기장(아이스하키, 빙상, 컬링)이 위치할 것임

 

(4)     Beijing2022 개 폐회식장으로 지정된 바 있는 Beijing2008올림픽 주 경기장으로 사용된 바 있는 Bird’s Nest Stadium을 비롯하여 수영장시설(an aquatic facility)을 개조하여 컬링 경기장으로 변환되기로 한 Water Cube 등이 경기장으로 변모하고 있음

 

(5)     유일하게 신설되는 빙상경기장(Skating Rink) National Speed Skating Oval로 알려져 있음

  

 

 

 

[Beijing2022동계올림픽 추가될 Synchronized Skating(빙상발레) 등 신규제안종목 이모저모 스케치]

 

 

 

평창2018이 끝난 4년 뒤 Beijing2022동계올림픽에 동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들(Winter IFs)Synchronized Skating(빙상발레) 여자Nordic Combined(노르딕 복합) 외에도 많은 혼성 세부경기종목을 추가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다고 합니다.

 

 

 

(Synchronized Skating<빙상발레>/ 출처: ISU 홈페이지)

 

 

동계올림픽 전체 메달수의 50%에 육박하는 전 세계 스키종목을 관장하는 국제스키연맹(FIS: International Ski Federation)(1)남녀Freestyle Big Air, (2)Mixed Ski Jump(혼성 스키점프), (3) Women Ski Nordic Combined(여자스키 노르딕 복합)Beijing2022 동계올림픽 추가 종목으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IOC의 양성평등 정책에 입각하여 여자선수들의 참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르딕 복합(Nordic Combined) 스키종목은 금번 평창2018 동계올림픽 당시 전체 동계 정식종목 중 유일하게 남자 경기종목들로만 구성되어 있었으나, FIS는 이 종목을 양성평등화 지향차원에서 여자 경기종목 추가를 제안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Freestyle Ski Big Air 추가는 평창 2018에서 처음 선 보인 Snowboard Big Air종목경기가 성공적인 데뷔 전을 전 세계에 보여주면서 이어지게 되는 자연스러운 차기 단계로 주목 받고 있다고 합니다.

 

 

국제빙상연맹(ISU: International Skating Union) 또한 8~20명 정도의 스케이팅 선수들이 팀을 이루어 경쟁하는 Synchronized Skating(빙상 발레) 종목의 추가를 신청하였으며 그 외에도 새롭게 선 보일 쇼트트랙스케이팅 단체전 종목 추가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세계 컬링 연맹(WCF: World Curling Federation)의 경우 신규세부경기 추가를 제안하는 대신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서 신규로 선보인 Mixed Double(혼성 더블) 종목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평창 2018에서 8개 국가들이 Mixed Double(혼성 더블)에 출전했지만 Beijing2022동계올림픽에서는 참가국수를 늘인 16개국정도의 엔트리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평창2018에 신규종목으로 선 보인 컬링 Mixed Double<혼성 더블>종목 경기 장면/출처: WCF홈페이지)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IBU: International Biathlon Union)은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서 실시된 4명 계주에 이어 혼성계주 경기종목 추가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국제 루지 연맹(FIL: International Luge Federation)의 경우, Women Double(여자 더블), Sprint(여자/남자/더블 등 3개 카테고리), Natural Track (남자/여자)등 총 6개 신규 세부종목을 제안하였다고 합니다.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IBSF: International Bobsleigh and Skeleton Federation)은 새롭게 단체전을 추가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여자 4인승은 아닌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한편,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International Ice Hockey federation)의 경우 기존 남녀 종목 이외에 신규 추가종목 제안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IOC는 동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들의 상기 추가요청제안사항들에 대해 내부적으로 심층 논의한 후 오는 7월 예정된 IOC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최종 결정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신규추가 종목 제안 세부내역 요약>

 

1)   FIS:

(1) Women Nordic Combined Ski

(2) Freestyle Ski Big Air(Men/Women)

(3) Mixed Ski Jump

 

2)   ISU:

(1) Synchronized Skating(Women)

(2) Short track Skating Team Event

 

3)   IBU:

(1) Mixed Relay

 

4)   FIL:

(1) Women’s Double

(2) Sprint(Men/Women/Double)

(3) Natural Track Luge(Men/Women)

 

5)   IBSF:

(1) Team Event(Men/Women)

 

6)   WCF:

(1) Mixed Double to be increased (8명--à16명)

  

     7) IIHF:

        -신규추가 제안종목 없음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서는 (1)Speed skating ‘Mass Start’, (2)Alpine Skiing Team Event, (3)Curling Mixed Double, (4)Snowboard Big Air 4개 종목이 신규 종목으로 추가된 바 있습니다

 

 

한편, Beiging2022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자체적으로 신규종목 추가 제안 계획이 없다고 이미 밝힌 바 있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Winter IFs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5. 13. 15:23

[세계여자육상 강자 남아공여성선수 Semenya 전성기 종착점 앞당긴 IAAF 신규 남성호르몬 수치규정 스케치]

 

 

올림픽 육상경주에서 性別 정체성 논란을 꾸준히 빚어온 여자 육상 중거리 스타 캐스터 Semenya(남아공)의 전성기가 국제육상연맹(IAAF)의 새로운 규정에 의해 끝날 상황에 처했다고 보도되었습니다.

 

 

한편 남아공 스포츠총연맹 겸 올림픽위원회(SASCOC: South African Sports Confederation and Olympic Committee)는 남아공 여자 육상스타 Caster Semenya를 방어하기 위하여 IAAF이 적시한 남성호르몬 Testosterone관련 규칙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하기 위한 밑 작업에 착수하였다(begun its groundwork to challenge the IAAF rules)고 한 외신이 2018 510일 자로 보도하였습니다

 

 

 

(Gideon Sam 남아공 NOC(SASCOC)위원장/출처: insidethegames)

 

 

2018 111일부터 효력이 발생하기로 되어있는(due to come into effect from November 1) 하이퍼앤드로제니즘 규정(regulations on hyperandrogenism)에 의하면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호르몬 수치가 높은 여자선수에 대하여 약물처지를 하지 않을 경우 중거리 경주출전이 금지된다(bar female athletes with high levels of testosterone from competing in middle distance events unless they take medication.)라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규정은 여자 800m올림픽육상 2관왕이자 세계선수권3관왕인 Semenya선수의 경력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Gideon Sam 남아공 NOC(SASCOC) 위원장은 남아공NOC 의무위원회회의 후 IAAF에 대한 반론제기 과정(process to challenge the IAAF)에 착수하였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Times Live 보도에 따르면 복수의 남아공 법률전문가들 및 남아공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관련부처 고위정부관리들도 동 토론에 참여하였다고 합니다.

 

 

남아공 육상연맹(ASA: Athletics South Africa)역시 IAAF해당규정에 대해 왜곡되고 편파적(skewed)이라고 묘사하면서 27세의 Semenya선수를 지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Gideon Sam 남아공 NOC(SASCOC)위원장이 Times Live와 인터뷰한 발언내용입니다:

 

 

A.  "All these people are sitting around the table so that we have one voice coming out of this process going forward." (회의 참석인물들은 테이블에 둘러 앉아 이러한 과정으로부터 일관되게 한 목소리가 나오도록 진행하고 있음)

 

B.  "We need to have a clear plan of how we are going to approach the IAAF and we want all related parties to engage. (우리는 IAAF에 대한 접근방식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필요하며 모든 관련 당국들이 함께 소통하기를 원함)

 

C.  "We are getting our ducks in the row and after the meeting‚ they will then come forward and advise ASA and SASCOC on what we need to do to move to the second phase of the process. (우리는 질서정연하게 대열을 가다듬고 있으며 회의 후, 그들은 앞 다투어 ASA SASCOC에게 두 번째 단계로 전진하는데 필요한 것에 대하여 자문해 줄 것임)

 

D.  "We will be briefed and information sharing will take place among all the role players and then we will approach the IAAF. (우리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것이며 역할 담당 당사자들 간에 정보공유가 이루어 질 것이고 그리고 나면 IAAF에 접근하게 될 것임)

 

E.  "I am not sure when we will be going to the IAAF but ultimately we will approach them." (나는 IAAF에게 언제 접근할 지 확신하고 있진 않지만 궁극적으로 그들에게 접근할 것임)

 

 

신규 IAAF규칙에 따르면 5 나모몰nmol/L이상수준의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이 순환되고 있어 성적발전전전차이(DSD: Difference of Sexual Development)를 가지고 있거나 Semenya선수처럼 엔드로겐 예민체질인 (Androgen-sensitive)여성선수들은 의학처방을 통하여 테스토스테론 호르몬 수치를 5 나모몰nmol/L이하로 제한시키거나 남자종목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must either restrict their levels to five nmol/L through medication or look to compete in male events)고 기술하고 있다고 합니다.

 

 

The rules could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 career of Caster Semenya ©Getty Images(Caster Semenya/출처: insidethegames)

 

 

Semenya선수가 2009 IAAF세게육상선수권대회에서 18세의 나이로 800m여자 중장거리 경주에서 우승하였을 때 직 후 성 검사를 시행해야(was preceded by her having to undergo a sex test)만 했습니다.

 

 

IAAF hyperandrogenism규정은 지난 2011 5월 처음 시행된 바 있습니다.

 

 

동 규정에 따르면, 테스토스테론 남성 호르몬수치가 10 nmol/L정도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여자선수의 경우, 여성종목(female category) 출전 자격이 주어지 않으며 여자종목 출전 복귀를 위하여서는 앤드로겐 억제(androgen-suppressive)약물처지가 필요하다(needed to take androgen-suppressive drugs to resume competition)라는 것이라고 합니다

 

 

인도 여자육상 달리기 선수인 Dutee Chand가 영국 Glasgow개최 2014년 영연방대회(Commonwealth Games)에서 hyperandrogenism관련 판결로 자격박탈(expulsion)당한 것에 항의하여 제소한 CAS항소심에서 승소한(successfully appealed to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바 있었습니다

 

 

그녀는 관련 규칙이 부당하게 자연적으로 인체에서 생성된 테스테스테론 호르몬 고수치를 나타내고 있는 여성을 차별하는 것(the rules discriminated unfairly against women who naturally produced high levels of testosterone)이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2015 7, CAS는 판결을 통해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이 경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규명하라며 (to show that higher levels of testosterone improved performance levels in women, giving them two years to do so) 2년간 유예 기간을 두고 IAAF에게 이를 입증책임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던 바(CAS put the burden of proof back onto the IAAF) 있었습니다.

 

 

6개월 시한 연장 후(after an extension of six months), IAAF는 최근 새로운 규칙에 추가 삽입된 중장거리 종목의 범위에서 특히 명확하게 드러난다라는 과학적 주장을 제시하며 반응하기에 (responded with scientific arguments that were particularly clear in the middle-distance range of events currently included in their new rules)이르렀다고 합니다

 

 

2018 4월 호주Gold Coast개최 영연방대회 여자육상 800m 1500m 2관왕인 Semenya선수는 Twitter에 다음과 같은 발언으로 자기 방어에 들어갔다고 합니다:

 

 

A.  "God made me the way I am and I accept myself." (하나님은 지금 이 상태로 나를 창조하셨으며 나는 지금 이 상태의 내 자신을 받아 드리는 바임)

 

B.  "I am who I am and proud of myself." (나는 지금의 내 자신이며 내 자신에 대하여 자긍심을 가지고 있음)

 

 

새로운 논란을 낳게 될 이 규정은 특히 스피드와 파워, 지구력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800m~1600m의 중장거리 육상종목에 집중 적용될 예정이라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논란의 여주인공인 Semenya선수는 London2012올림픽과 Rio2016올림픽 여자육상 800m 2연패한 선수이며 세계선수권 대회 여자육상800m에서도 금메달 3관왕(2009/2011/2017)이었다고 합니다.

 

 

보통 여자선수들에 비해 남자선수처럼 현저히 뛰어난 근육과 거뭇한 턱 선 그리고 중 저음 목소리 소유자인 Semenya선수는 경쟁자들에겐 늘 불만거리였다는 것과 “불가능하고, 불공평한 경쟁을 하고 있다”라는 불만과 불평이 있어 왔다고 합니다

 

이에 대하여 IAAF공평한 경쟁의 장’(a level playing field)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규칙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Seb Coe IAAF회장의 방언내용입니다:

 

A.  "The revised rules are not about cheating, no athlete with a DSD has cheated, they are about levelling the playing field to ensure fair and meaningful competition in the sport of athletics where success is determined by talent, dedication and hard work rather than other contributing factors." (개정된 IAAF규칙은 속임수에 대한 것이 아니며 DSD<성적발전전전차이(DSD: Difference of Sexual Development)>를 가지고 있는 선수에 대한 것도 아니고, 다만 경기에 있어서 승리요소로 다른 기여측면의 요인보다는 재능과 헌신과 근면이 자리매김하여야 하는 육상종목에서 공명정대하고 의미심장한 경기를 확실히 하도록 공평한 경쟁의 장에 관한 것임)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5. 13. 10:22

[IAAF 세계육상선수권 2019년 카타르 도하대회 한밤중 마라톤(Midnight Marathons)과 야간결승경기스케줄 흥행우려 스케치]

 

 

최근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2019 926~106일 카타르 도하개최 IAAF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개최국 기후 특성상 예상되는 사막의 열기 대비책으로(to combat expected hot weather) 전무후무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정마라톤(Midnight Marathons)시합을 계획하고 있으며 오전 경기조차 취소하고(morning sessions scrapped) 저녁 시간대에 경기를 치를 전망이라고 합니다

 

 

Doha2019조직위원회 관계자들 역시 사상 최초의 자정 마라톤대회가 될 것임을 확인하였다고(with organisers also confirming the event will feature the first midnight marathon) 합니다.

 

 

 

 

또한, IAAFTokyo2020 올림픽 신규 세부종목경기인 혼성 4×400m 계주 경기를 내년 Doha2019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처음 선보일 것이라고(the first World Championships to feature a mixed 4x400m relay after the race was added to the Tokyo 2020 Olympic programme)확인하였다고 합니다.

 

 

 

 

 

2019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 기간 중 카타르 도하의 평균기온은 최고 섭씨 37, 최저 25도가 예상됨으로(average high temperatures are 37 degrees with a low of 25) 참가선수들의 신체적 컨디션을 고려하여 IAAF는 이 같은 사상 초유의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으며 저녁 시간대에 개최되는 종목별 경기 스케줄 인터벌 조절이 이루어져 1시간정도의 휴식시간(split evening sessions, including a one-hour break)이 주어질 예정이라고 합니다.

 

 

IAAF가 발표한 대회 일정에 의하면(the competition schedule reveals) 여자 육상100m 달리기는 카타르 현지시간으로 밤 11 20, 여자 육상400m 달리기는 밤 11 50분에 예정되어있다고 하며 자정(midnight)에 시작될 것으로 발표된 마라톤의 경우 새벽 2시 이후에나 참가선수들이 결승선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합니다.

 

 

늦은 저녁과 자정 넘어 열리는 많은 종목경기들로 인하여(with many events due to be held in the late evening and beyond midnight) 조직위원회 관계자들과 IAAF는 관중 수가 저조할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고(Organisers and the IAAF are risking low crowds)합니다.

 

 

 

The World Championships in the Qatari capital will take place from September 26 until October 6 ©Getty Images (카타르 도하개최 2019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스타디움/출처: insidehtegames)

 

 

2019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권을 Doha에 부여한 결정을 비판하는 세력은 IAAF London2017대회의 성공에 걸 맞는 무언가 다른 것들을 시도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urged IAAF to try different things to build on the success of London 2017고 합니다.

 

Sebastian Coe IAAF회장은 이 같은 발표를 통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A.   “The first 4x400m mixed relay will have its global debut ahead of the Tokyo 2020 Olympic Games, the first midnight marathon, the evening sessions with semi-finals and finals only and dedicated slots in the timetable for the final stages of field events allowing full focus on the decisive and most thrilling moments and attempts. “(내년에 도하에서 열리는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Tokyo2020올림픽에 앞서 지구촌에 처음 열리는 혼성 4×400m 계주 경기, 최초의 자정마라톤, 오로지 준결승전 및 결승전 경기(track)field종목 결승에 집중된 경기만 일정상 저녁에 열리게 되는 만큼 결정적이고 가장 흥미진진한 순간들에 올인 하도록 편성하고자 하는 취지임)

 

 

B.  “We are looking forward to seeing how these firsts and the engagement format will come together next year to deliver a World Championships that will look and feel different.” (우리는 이러한 처음 시도되는 것들과 연동되는 포맷이 어떻게 어우러져 다르게 보이고 느껴지게 될 내년 세계선수권대회 개최를 통하여 보게 될 새로운 시도를 학수고대하고 있음)

 

 

(사진 가운데가 IAAF회장 Seb Coe/출처: insidethegames)

 

 

육상경기들이 저녁 늦게 열리는 만큼 관중감소로 인해 경기장의 빈 좌석들이 많을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하고 있는 상황이며 인권침해/인권유린문제와 현재 카타르는 중동지역 정세로 인해 주변국들로부터 고립되어 있는 상태이고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 과정에서 의심의 꼬리가 일고 있는 부패에 대한 우려 또한 성공적인 대회성공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들로 지적 받고(Fears over low numbers of spectators have been one of the main concerns in the build-up to the event, along with human rights abuses, Qatar's current isolation in the Middle East and lingering corruption concerns over the way the event was awarded) 있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영국육상연맹(UKA: UK Athletics) Ed Warner 前 회장은 London에게 패배한 Doha가 도전하였던 2017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도시 선출 투표 전날 밤 카타르 관계자들이 IAAF의 고위관계자들에게 갈색 봉투들을 배포했다(Qatari officials were handing out brown envelopes on the eve of the vote for the 2017 World Championships - where they were beaten by London )어떤 IAAF고위임원”(a senior IAAF official)으로부터 경고 성 메시지를 들었다고 주장하였던 바 있다고 합니다

 

 

과연 2019년 열사의 나라 중동 카타르에서의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성공적으로 치러질 수 있을 것인 지 국제 스포츠 계의 초미의 관심사 들 중 하나입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5. 3. 15:35

[아프리카개최로 확정된 2022년 청소년올림픽(YOG) IOC평가위원회 구성결과 발표취지와 향후 개최도시 선출 Roaddmap(2)]

 

IOC 424일 아프리카대륙 개최가 확정된 2022년 청소년 하계 올림픽(YOG)개최도시 후보 현지실사평가를 담담할 IOC평가위원회 위원들 구성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Prof. Ugur Erdener IOC부위원장(터키)을 동 실사평가위원장으로 임명하였으며 Prof. Erdener위원장은 2022년 아프리카개최 청소년올림픽(Youth Olympic Games)후보도시선정과정을 도와주고 지도역량을 겸비한 책임 있는 평가위원들로 구성된 노련한 팀을 이끌게 된다(lead an experienced team of Evaluation Commission members responsible for assisting and guiding the selection process to elect the African host for 202)고 합니다

 

Prof. Erdener평가위원장은 현재 세계양궁 및 터키 NOC위원장직도 맡고 있으며 YOG관련 풍부한 경험 (a wealth of experiences in the Youth Olympic Games) 을 가지고 있는 바, 그는 2016년 당시, Olympic Agenda 2020개혁권고안이 정하는 바에 따라(instigated by Olympic Agenda 2020)구성된 실무그룹을 주도하였으며. 그 실무그룹에서는 향후 YOG가 청소년 엘리트 선수들에 대한 영향력을 극대화 하도록 끊임 없이 진화하고 정착하도록 확고히 하도록 YOG자리매김지향 검토작업에 착수한(undertook a review of the YOG positioning to ensure that the event is constantly evolving and adapting to maximise the impact on young elite athletes) 바 있었다고 합니다.

 

(Ugur Erdener와 함께)

 

그는 Rio2016 IOC총회에서 승인한 14개 실무그룹 권고안 실행에 책임이 주어진(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e 14 working group recommendations approved at the IOC Session in Rio) YOG의 미래정립 운영위원회 위원장으로 현재 활동하고 있다고 합니다(currently chairing the Steering Committee on Shaping the Future of the Youth Olympic Games).

 

IOC평가위원회는 2024년 올림픽 IOC전임 평가위원으로서의 경험에 의존할 수 있다고 합니다.

 

IOC 평가위원회 위원들 구성을 보면 올림픽운동의 다양성을 반영해 주고 있으며 아울러 선수, NOC 및 국제연맹을 대표하는 모든 대륙출신 위원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IOC평가위원회는 이해관계자들(interested parties) IOC 및 올림픽운동 이해당사자들holders)(Olympic Movement stake 사이에 연결고리로 작용할 것인 바, YOG2022대회를 협업하여 재정립 및 조직할 최상의 파트너 물색을 확고히 하고자 하는 데(the best partner to co-construct the Youth Olympic Games in 2022 is found.) 그 취지가 있다고 합니다.

 

IOC평가위원회 구성발표에 따른 코멘트로 Bach IOC위원장은 다음과 같이 발언하였다고 합니다:

 

A.   It’s time for Africa. Africa is the home of so very many successful Olympic athletes. (이제는 아프리카순서이며 아프리카는 아주 많은 성공한 올림픽 선수들의 고향임)

 

B.  It is also the continent of youth. (아프리카는 또한 청소년의 대륙이기도 함)

 

C.  This is why we want to take the Youth Olympic Games 2022 to Africa. (이것이 우리가 2022 YOG를 아프리카로 가져가기를 원하고 있는 이유임)

 

D.  This is why the IOC will proactively approach a number of African NOC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bringing the YOG to Africa.” (이것이 IOC가 선 순환적으로 여러 아프리카 NOC들과 접촉하여 YOG를 아프리카로 가져오는데 필요한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이유이기도 함)

 

다음은 동 IOC평가위원장으로 임명된 Prof. Erdener의 소감발언 내용입니다:

 

A.  “In choosing to target Africa, we are following the new principles adopted by the IOC Session to replace the competitive stage seen in previous Youth Olympic Games host city selections. (아프리카를 타깃 개최지로 선출하는데 있어서, 우리는 이전에 적용하였던 YOG개최도시 선출과정에서 보았던 경쟁적 단계를 대신하고자 IOC총회에서 채택된 새로운 원칙을 따르고 있음)

 

B.  It will make the process more streamlined, simpler and shorter.” (신규원칙은 선발과정을 보다 더 합리적이고 단순하고 간결하게 만들도록 해 주고 있음) 

 

C.  “Africa has so much to offer the world and we are convinced that an African nation can now take the opportunity of the Youth Olympic Games to showcase this to the rest of the world.” (세계에 보여줄 것이 무척이나 많으며 우리는 아프리카국가가 이제 YOG개최라는 기회를 통하여 나머지 전 세계에 보여 이러한 점을 줄 수 있는 국면임을 확신하는 바임)

 

다음은 2022 YOG 대회 IOC평가위원회 위원구성 전체 명단입니다:

 

1)   위원장 겸 국제연맹대표(Chair of the Commission and International Federations representative)

  • Ugur Erdener (TUR)

2)   위원 7명(Members)

  • Beatrice Allen (GAM)/감비아출신 여성 IOC위원)
  • Kirsty Coventry (ZIM)/짐바브웨 출신 여성 IOC위원 겸 선수위원장)
  • Neven Ilic (CHI)/칠레출신 PASO신임회장)
  • Gunilla Lindberg (SWE)(스웨덴 출신 여성 IOC집행위원)
  • Li Lingwei (CHN)(중국 출신 여성 IOC위원)
  • Lydia Nsekera (BDI) (브룬디 출신 최초 여성 FIFA집행위원 겸 IOC위원)
  • Auvita Rapilla (PNG) (파푸아뉴기니 출신 여성 IOC위원 겸 NOC사무총장)

 

(사진 좌측이 신임PASO회장에 선출된 Neven Ilic/ 출처: insidethegames)

 

 

향후 2022 YOG개최도시 선출과 관련 2018년 3월 발표된 “2022 YOG개최도시선출과정”(The Host Selection Process for the Youth Olympic Games 2022 in Africa)에 의거하여 진행된다고 합니다.

 

타당성 조사에 따라(following the feasibility studies), IOC 사무처 담당자들과 전문가들이 여러 아프리카 NOC들과 연계하여 실시한 현지방문(visits), 심층 논의 및 연구/분석(in-depth discussions and research/analysis)과정을 거친 후, IOC평가위원회는 2018 9월 현지실사평가보고서를 제출하게 되며 YOG2022개최도시는 2018 10월 부에노스아이레스개최 IOC총회에서 선출될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아프리카 내 2022년 YOG개최 후보도시는 Botswana, Nigeria, Senegal 및 Tunisia 등 4개국입니다.

 

 


*References:

-IOC홈페이지 참조 및 요약 발췌

-insidethegames(사진 참조)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8. 5. 1. 11:31

[Beijing2022동계올림픽 추가될 Synchronized Skating(빙상발레) 등 신규제안종목 이모저모 스케치]

 

 

 

평창2018이 끝난 4년 뒤 Beijing2022동계올림픽에 동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들(Winter IFs)Synchronized Skating(빙상발레) 여자Nordic Combined(노르딕 복합) 외에도 많은 혼성 세부경기종목을 추가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다고 합니다.

 

 

 

(Synchronized Skating<빙상발레>/ 출처: ISU 홈페이지)

 

 

동계올림픽 전체 메달수의 50%에 육박하는 전 세계 스키종목을 관장하는 국제스키연맹(FIS: International Ski Federation)(1)남녀Freestyle Big Air, (2)Mixed Ski Jump(혼성 스키점프), (3) Women Ski Nordic Combined(여자스키 노르딕 복합)Beijing2022 동계올림픽 추가 종목으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IOC의 양성평등 정책에 입각하여 여자선수들의 참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르딕 복합(Nordic Combined) 스키종목은 금번 평창2018 동계올림픽 당시 전체 동계 정식종목 중 유일하게 남자 경기종목들로만 구성되어 있었으나, FIS는 이 종목을 양성평등화 지향차원에서 여자 경기종목 추가를 제안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Freestyle Ski Big Air 추가는 평창 2018에서 처음 선 보인 Snowboard Big Air종목경기가 성공적인 데뷔 전을 전 세계에 보여주면서 이어지게 되는 자연스러운 차기 단계로 주목 받고 있다고 합니다.

 

 

국제빙상연맹(ISU: International Skating Union) 또한 8~20명 정도의 스케이팅 선수들이 팀을 이루어 경쟁하는 Synchronized Skating(빙상 발레) 종목의 추가를 신청하였으며 그 외에도 새롭게 선 보일 쇼트트랙스케이팅 단체전 종목 추가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세계 컬링 연맹(WCF: World Curling Federation)의 경우 신규세부경기 추가를 제안하는 대신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서 신규로 선보인 Mixed Double(혼성 더블) 종목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평창 2018에서 8개 국가들이 Mixed Double(혼성 더블)에 출전했지만 Beijing2022동계올림픽에서는 참가국수를 늘인 16개국정도의 엔트리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평창2018에 신규종목으로 선 보인 컬링 Mixed Double<혼성 더블>종목 경기 장면/출처: WCF홈페이지)

 

 

국제 바이애슬론 연맹(IBU: International Biathlon Union)은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서 실시된 4명 계주에 이어 혼성계주 경기종목 추가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국제 루지 연맹(FIL: International Luge Federation)의 경우, Women Double(여자 더블), Sprint(여자/남자/더블 등 3개 카테고리), Natural Track (남자/여자)등 총 6개 신규 세부종목을 제안하였다고 합니다.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IBSF: International Bobsleigh and Skeleton Federation)은 새롭게 단체전을 추가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여자 4인승은 아닌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한편,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International Ice Hockey federation)의 경우 기존 남녀 종목 이외에 신규 추가종목 제안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IOC는 동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들의 상기 추가요청제안사항들에 대해 내부적으로 심층 논의한 후 오는 7월 예정된 IOC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최종 결정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신규추가 종목 제안 세부내역 요약>

 

1)   FIS:

(1) Women Nordic Combined Ski

(2) Freestyle Ski Big Air(Men/Women)

(3) Mixed Ski Jump

 

2)   ISU:

(1) Synchronized Skating(Women)

(2) Short track Skating Team Event

 

3)   IBU:

(1) Mixed Relay

 

4)   FIL:

(1) Women’s Double

(2) Sprint(Men/Women/Double)

(3) Natural Track Luge(Men/Women)

 

5)   IBSF:

(1) Team Event(Men/Women)

 

6)   WCF:

(1) Mixed Double to be increased (8명--à16명)

  

     7) IIHF:

        -신규추가 제안종목 없음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서는 (1)Speed skating ‘Mass Start’, (2)Alpine Skiing Team Event, (3)Curling Mixed Double, (4)Snowboard Big Air 4개 종목이 신규 종목으로 추가된 바 있습니다

 

 

한편, Beiging2022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자체적으로 신규종목 추가 제안 계획이 없다고 이미 밝힌 바 있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Winter IFs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