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21. 7. 1. 10:31

[프랑스 NOC총회 여성신임위원장(Brigitte Henriques)선출 계기로 본 대한체육회장 선거방식 적폐유물청산]

 

 

629Brigitte Henriques(50세 여성)가 프랑스 NOC(CNOSF)신임 위원장으로 총회에서 선출되었다.

 

프랑스 통합 NOC(CNOSF)49년 역사상 여성 위원장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계 각국 스포츠통할 조직은 한결 같이 NOC가 모태가 되어 유사 스포츠단체를 통합한 것인데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스포츠 통할 단체인 대한체육회가 NOC(KOC)를 흡수 통합한 희귀한 케이스다.

 

전세계에 우리나라처럼 전국단위 스포츠조직과 구성원들이 모두 총망라되어 대한체육회(KSOC)회장을 선출하는 사례는 찾아 보기 어려운 기이한 구조다.

 

스포츠발전이나 비전이나 능력과 경력 및 실력 그리고 국제적 인맥 등은 차치(且置)하고 누구든 전국적으로 다니며 정치인들의 행태와 유사한 사전선거운동에 능한 후보만이 대한체육회장으로 선출되기 좋은 환경과 구조는 바람직하지 못한 적폐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Brigitte Henriques/출처: insidethegames)

 

프랑스 축구협회 부회장출신인 신임위원장 당선자 Henriques CNOSF총회투표 1차전에서 57.78% 과반수를 점유함(convincing victory)으로 단숨에 위원장당선이 선포되었다. 

 

이로써 HenriquesCNOSF위원장 12년을 마치고 권좌에서 물러난 전임 위원장인 Denis Masseglia 후임 위원장이 된 것이다

 

Moscow1980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인Thierry Rey 역시 출마하였으나 19.26%득표에 그쳐 차점자로 탈락하였고 Emmanuelle Bonnet-Oulaldj

후보는 16%의 득표를, Patrice Martin후보는 6.82%의 득표로 모두 탈락하였다.

 

당선자인 Henriques신임 프랑스 NOC위원장의 선거 공약 121가지 조치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을 창출하였으며 선거슬로건은 스포츠에서 프랑스 위상 높이기”(Raising France Up in Sport)였다.

 

프랑스 NOC위원장 선거 투표권은 CNOSF가맹 총 108개 경기단체들에게 주어졌는데, Paris2008올림픽조직위원회 위원장인 Tony Estanguet2명의 프랑스 IOC위원인 Gyu Drut Jean-Christophe Rolland도 투표에 참여하였다.

 

후보들 중Bonnet-Oulaldj 후보는 민초 기구(grassroots body)인 노동자 스포츠 및 체조 연맹(Workers' Sports and Gymnastics Federation) 공동회장으로 위원장선거에 출마 하였는데 한 종목으로 가맹 되지 않은 단체의 유일한 후보(the only candidate not directly affiliated with one sport)였다.

 

Brigitte Henriques played for the French women's football team before going on to become vice-president of the French Football Federation ©Getty Images (신임 프랑스 NOC위원장인 Briggite Henriques는 프랑스 여자국가대표선수출신으로 프랑스 축구연맹 부회장을 역임하였다/출처: insidethegames)

 

 

Henriques 신임 프랑스 NOC(CNOSF)위원장은 (1)claude Collard (2)Nelso Paillou (3) Henri Sérandour(4)전임자 Masseglia에 이은 프랑스 통합 스포츠통할기구인 CNOSF 5번째 위원장이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6. 24. 15:25

[2021년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개최 다시 1년 연기, 총재 및 집행부선거는 원래 일정대로 온라인으로 진행]

 

2021년도 중국 Wuxi 개최 예정이던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가 다시 연기된다고 발표되었다.

 

세계 태권도(WT: World Taekwondo)는 이러한 조치는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해 금년에 중국 내에서 대규모 국제스포츠행사를 열지 않기로 한 중국당국의 결정에서 기인되었다고 한다.

 

태권도세계선수권대회는 당초 2021 1012~18일 예정되었는데 연기된 새로운 개최 일정은 때가 되면(in due course)발표될 것이라고 한다.

 

한편 세계선수권대회와 병행하여 열릴 예정이던 WT총회는 더 이상 실제로 직접 대면하여(in-person)열릴 수는 없지만 계획된 선거는 오는 1011일 화상으로(virtually)진행될 것이라고 한다.

 

이번 선거는 WT총재 및 집행이사회 임원 투표가 포함될 것이라고 한다.

 

The World Taekwondo Council met virtually and unanimously agreed to delay the World Championships ©World Taekwondo

 

 

Tokyo2020올림픽에서는 태권도 종목 경기에 61개국 130명의 선수와 난민팀선수도 합세하여 출전하게 되며 처음 포함되어 열리는 패럴림픽에는 37개국 72명의 선수들이 출전할 예정이라고 한다.

 

화상 선거는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 많은 종목 연맹들이 채택하여 온 Lumi 시스템 방식을 사용하여 치러질 것이라고 한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6. 16. 14:31

[Tokyo2020올림픽 코로나방역수칙 최신판 Playbook 3편 요약(615)]

 

IOC615() Tokyo2020올림픽 출전 선수들 및 임원 용 코로나 방역지침수첩인 Playbook 3편을 발행하였는데 Tokyo체류동안 확대된 세부절차지침(expanded details on the procedures for Tokyo)과 未 준수 시 처벌 내용(penalties for non-compliance)을 담고 있다.

 

 

 

70페이지짜리 기본원칙(basis tenet)문서에는 원칙들”(Principles)5페이지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The COVID-19 countermeasures described in the Playbook are designed to create a safe Games environment for all Games participants. Equally, they offer an additional layer of protection for our hosts, the residents of Japan. You must fully adhere to the Playbook in the 14 days before you travel, throughout your journey and throughout your time in Japan – keeping your interaction with non-Games participants to a minimum.”

 

*준수 지침 조건(term of instructions) 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항시 마스크 착용(식사, 음료 섭취, 훈련, 경기중 및 취침 시는 제외)

2)  항시 약어인 CLO(코로나 연락관/Covid-19 Liaison Officer)를 기억하라-각 선수단 및 각 경기장 밀착 배치

3)  일본 사전 출국 기존 프로토콜 준수(일본 입국 전14일 간 건강상태체크 필수-일본 입국 전 96시간<4>이내 코로나 검사 2회 준수 요구-일본 도착 시 일정 분량의 검역 타액 항원 COVID-19검사(quantitative saliva antigen COVID-19 test)실시-Tokyo2020조직위 감독 하에 그 시기에 훈련 및 팀 시설 접근을 위한 3일 간 검역(quarantine for three days)

4)  올림픽 대회 기간 중, (1)매일 발열 체크(daily temperature check)-스마트폰 앱으로 보고 (2) 매일 타액 검사(daily saliva testing), (3)양성 반응 시, 일본보건규정에 준하여 방역 용 호텔로 이동(moved to a hotel for quarantine according to Japanese health regulations)

5)  올림픽선수촌에서 여유 있는 식사와 함께 새로운 친구 사귐은 꿈도 꾸지 말 것(making new friends over a leisurely meal in the Olympic Village? Forget it!)

6)  식사하는 사람들은 식사제공시간에 빠르게 준수(diners should keep mealtimes as short as possible)-식사 직후 즉시 퇴장(leave as soon as they finished eating)

 

*새로운 조항(a new section)추가: “준수 및 <未 준수 시>결과”(Compliance and Consequences)

 

1) IOC규율징계위원회(IOC Disciplinary Commission)구성 및 권한:

(1) 새로운 Playbook지침규칙 위반벌칙통지서 발급(issue notifications of charges of violating the Playbook rules)

(2) 위반에 따른 청문회 소집 및 처벌 여부 결정(conduct a hearing and determine whether sanctions are merited)

 

2) 처벌 범위(5개 단계별 수준):

(1)경고(warning)

(2)AD카드 취소(withdrawal of accreditation)

(3)임시 또는 영구 부적격 판정 또는 올림픽대회 퇴출(temporary or permanent ineligibility or exclusion from the Games)

(4)자격박탈(disqualification)

(5)벌금(financial sanctions)

 

*IOC징계위원회 결정사항:

 

1) IOC결정과 동일한 효과(constitute the decision of the IOC)

2) , IOC집행위원회가 관할권을 유지하고 나서 징계위원회보고서 내용이 단지 권고사항일 경우는 처벌에서 제외

3)처벌 등 결정사항 불복 시 스포츠중재재판소(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에 항소 가능(may appeal to CAS)

 

선수 및 임원 용 이외 다른 그룹들 대상 Playbooks 최신판 또한 곧 발행 예정이라고 한다.

 

따라서 코로나 상황에서의Tokyo2020의 표어(motto)와서, 마치고 떠나라”(Come, complete and leave)로 요약될 수도 있을 정도로까지 비유되고 있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6. 16. 12:10

[IOC집행위원회, 국제치어리딩연맹(ICU)포함 6개 국제연맹(IFs) IOC인정종목가맹국제경기단체로 추가, 향후올림픽정식 종목채택후보대상 군으로 분류지정배경]

 

68~10일 개최된 IOC집행위원회가 6개 국제연맹을 IOC인정가맹국제단체(recognized affiliates)로 추가하였다.

 

치어리딩(cheerleading) 관할 국제연맹인 ICU(2004년 설립/Memphis Tennessee: 회원국 110+)의 경우 2016IOC집행위원회로부터 잠정 인정종목단체(신청 후 6년 경과)로 결정한 후 5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다시 정식으로 인정종목국제연맹(IOC Recognized IF)으로 발 돋음 한 것이다.

 

IOC승인종목가맹단체가 되려면 우선 하계종목으로는 해당국제연맹에 가입된 회원국 단체가 최소 3개 대륙으로부터 50(a minimum of 50 affiliated national federations for summer IFs)이고 동계의 경우도 최소 3개 대륙으로부터 25(25 affiliated national federations for winter IFs)이어야 한다.

 

또한, 해당 대륙가맹단체들이 해당국제연맹이 관할하는 해당종목 스포츠활동이 1개 또는 여러 개 세부종목 형태로 눈에 띄게 진행되고(that exercise a specific, tangible and ongoing sports activity in the one or several sports (or disciplines) that IF administers) 있어야 한다고 한다.

 

새롭게 결정된 IOC인정종목국제연맹(newly IOC recognized federations)은 다음과 같다:

 

국제 치어리딩연맹(ICU: International Cheerleading Union)
국제 무에타이 연맹(IFM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Muaythai Associations)
국제삼보연맹(FIAS: International Sambo Federation)
국제 아이스스톡스포츠 연맹(IFI: International Federation Icestocksport)
세계 킥복싱조직체 협회(WAKO: World Association of Kickboxing Organisations)
세계 라크로스(WL: World Lacrosse)

 

IOC가 이번에 내린 승인조치단계만으로는 당장 해당 스포츠종목들이 올림픽프로그램에 추가되는 것을 뜻하지는 않지만 향후 LA2028 올림픽 및 미래 다가올 올림픽에서 정식종목 추가 논의가 생길 경우 IOC의 요구사항에 부합된다는 의지 표명에 도움이 되는 것(helpful in demonstrating a willingness to comply with the IOC’s requirements)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6개의 인정종목국제연맹은 IOC미인정독립개별멤버연합회(AIMS)회원단체에서 IOC인정종목국제연맹연합회(ARISF)의 회원 국제단체로 재 분류 및 합류될 것이 예상된다.

 

 

 

*Referenc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6. 13. 18:03

[IOC, Tokyo2020올림픽 출전 난민올림픽팀 29명 선수명단 발표]

 

 

IOC는 IOC집행위원회 첫날인 6월 8일 Tokyo2020올림픽에 출전할 29명의 난민올림픽팀의 선수명단을 발표하였다.

 

(Tokyo2020올림픽 출전 예정 난민올림픽팀 선수 사진/출처: IOC)

 

 

IOC 집행위원회는 6월8일 개최된 회의에서 IOC 난민선수장학금프로그램의 수혜를 받은 55명 중(IOC Refugee Athlete Scholarship-holders) 최종 11개국으로부터 29명의 선수를 선발했다고 발표하였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은 스위스 Lausanne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IOC집행위원회에서 “난민선수들은 올림픽공동체 전체 우리 모두에게 있어서 함축적 의미를 보여준다”(The refugee athletes are an enrichment for all of us in the entire Olympic community)여전히 전 세계의 많은 사람이 강제로 이주하고 있고, 그것이 Tokyo 2020에서 IOC 난민올림픽팀을 만들고자 했던 이유다.”(The reasons we created this team still exist. We have more forcibly displaced people in the world right now, and therefore it went without saying that we wanted to create an IOC Refugee Olympic Team for the Tokyo 2020 Olympics)라고 피력하였다

 

난민올림픽팀은 오는 7월 23일(현지시간) 열리는 Tokyo 2020 개회식에서 그리스 다음 순서로 오륜기를 들고 올림픽 스타디움에 입장할 예정이며, 메달 수여식을 포함한 팀의 모든 공식 대표 깃발은 오륜기가 사용되고, 국가 대신으로는 올림픽 찬가가 연주될 계획이다.

 

Hashimoto Seiko Tokyo2020 조직위원장은 “Tokyo 2020 조직위원회는 Rio 2016에 이어 Tokyo2020올림픽에 IOC의 난민올림픽팀이 참가하는 것을 매우 환영한다(The Tokyo 2020 Organising Committee welcomes the participation of the IOC Refugee Olympic Team at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following its debut at the Olympic Games Rio 2016) 스포츠 축제이자 평화의 축전이 될 IOC 난민올림픽팀의 Tokyo 2020 참가는 난민 문제에 관해 세계의 관심을 모으고, 사람들의 강제 이주의 배경이 된 전쟁과 갈등에 대한 해소, 세계 평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에 한 발짝 더 다가가게 될 것이다.”(The participation of the IOC Refugee Olympic Team in the Tokyo 2020 Games, which will be both a festival of sport and a celebration of peace, will draw the world's attention to the issue of refugees and further advance efforts to achieve world peace through the elimination of the wars and conflicts that cause people to flee their homeland)라며 난민올림픽팀의 Tokyo 2020 참가에 대한 소감을 피력하였다

 

 

한편, IOC 난민올림픽팀은 Tokyo 2020에서 프랑스어 “Equipe Olympique des Réfugiés”(Olympic Team of Refugees)의 약어인 ‘EOR’을 공식 팀 명칭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다음은 IOC website에 소개된 내용이다:

 

IOC Refugee Olympic Team for Tokyo 2020 Olympic Games announced 

8 JUN 2021

 SHAPE  \* MERGEFORMAT

Lausanne | Switzerland IOC President, Thomas Bach announces the IOC Refugee Olympic Team for Tokyo2020. IOC/Greg Martin

IOC/Greg Martin

Meet the 29 athletes that have been chosen to compete in Japan in 2021, and deliver a message of solidarity to millions of refugees around the world.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have revealed the names of the athletes who will represent the IOC Refugee Olympic Team at the Tokyo 2020 Olympic Games in 2021.

The final 29 athletes announced on Tuesday (8th June) come from 11 countries, and were selected by the IOC’s Executive Board from an initial group of 55 IOC Refugee Athlete Scholarship-holders.

"The refugee athletes are an enrichment for all of us in the entire Olympic community," IOC President Thomas Bach said at the virtual ceremony from Lausanne. "The reasons we created this team still exist. We have more forcibly displaced people in the world right now, and therefore it went without saying that we wanted to create an IOC Refugee Olympic Team for the Tokyo 2020 Olympics".

"The athletes represent not only themselves, not only the IOC, but also all refugees in the world," IOC Refugee Olympic Team Chef de Mission Tegla Loroupe added. "Let's bring solidarity, as we are solidarity people.

"Our universal language is sport, let's go and bring joy."

During the Opening Ceremony of the Tokyo 2020 Games on 23 July 2021, the team will enter the brand new Japan National Stadium with the Olympic flag in second position, immediately after Greece.

The team will stay in the Olympic village, like all the other 206 National Olympic Committees taking part, and continue to receive IOC support after the Games.

For all official representations of the team (including possible medal ceremonies), the Olympic flag will be raised and the Olympic anthem will be played.

Tokyo 2020 President HASHIMOTO Seiko said: "The Tokyo 2020 Organising Committee welcomes the participation of the IOC Refugee Olympic Team at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following its debut at the Olympic Games Rio 2016.

"The participation of the IOC Refugee Olympic Team in the Tokyo 2020 Games, which will be both a festival of sport and a celebration of peace, will draw the world's attention to the issue of refugees and further advance efforts to achieve world peace through the elimination of the wars and conflicts that cause people to flee their homeland."

 

READ: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IOC Refugee Olympic Team at Tokyo 2020 .

 

 

IOC Refugee Olympic Team Tokyo 2020 Announcement - Lausanne

34:23

On 08 June,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will announce the names of the athletes who will be compete at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as part of the Refugee Olympic Team, sending a message of hope to the world this summer and bringing further awareness to the plight of over 80 million displaced people worldwide.

Athletes (Click on each name to read about their journey to the Olympics)

Abdullah Sediqi (Afghanistan)  - Taekwondo (Men’s -68kg)

Ahmad Baddredin Wais (Syrian Arab Republic)  - Cycling (Men’s Road)

Ahmad Alikaj (Syrian Arab Republic) - Judo (Men’s Mixed team)

Aker Al Obaidi (Iraq)  - Wrestling (Men’s Greco-Roman -67kg)

Alaa Maso (Syrian Arab Republic)  - Swimming (Men’s 50m Freestyle)

Anjelina Nadai Lohalith  (South Sudan)  - Athletics (Women’s 1500m)

Aram Mahmoud (Syrian Arab Republic)  - Badminton (Men’s singles)

Cyrille Fagat Tchatchet II (Cameroon)  - Weightlifting (Men’s -96kg)

Dina Pouryounes Langeroudi (Islamic Republic of Iran)  - Taekwondo (Women’s -49kg)

Dorian Keletela  (Congo)  - Athletics (Men’s 100m)

Eldric Sella Rodriguez (Venezuela)  - Boxing (Men’s -75kg)

Hamoon Derafshipour (Islamic Republic of Iran)  - Karate (Men’s -67kg)

Jamal Abdelmaji Eisa Mohammed (Sudan)  - Athletics (Men’s 5,000m)

James Nyang Chiengjiek (South Sudan)  - Athletics (Men’s 800m)

Javad Majoub (Islamic Republic of Iran) - Judo (Men’s Mixed team)

Kimia Alizadeh Zenozi (Islamic Republic of Iran)  - Taekwondo (Women’s -57kg)

Luna Solomon (Eritrea)  - Shooting (Women’s Air Rifle 10m)

Masomah Ali Zada (Afghanistan)  - Cycling (Women’s Road)

Muna Dahouk (Syrian Arab Republic) - Judo (Women’s Mixed team)

Nigara Shaheen (Afghanistan) - Judo (Women’s Mixed team)

Paulo Amotun Lokoro  (South Sudan)  - Athletics (Men’s 5,000m)

Popole Misenga (DR Congo)  - Judo (Men’s Mixed team)

Rose Nathike Lokonyen  (South Sudan)  - Athletics (Women’s 800m)

Saeid Fazloula (Islamic Republic of Iran)  - Canoe (Men’s 500m)

Sanda Aldass (Syrian Arab Republic)  - Judo (Women’s Mixed Team)

Tachlowini Gabriyesos (Eritrea)  - Athletics (Men’s Marathon)

Wael Sheub (Syrian Arab Republic)  - Karate (Men’s Kata)

Wessam Salamana (Syrian Arab Republic)  - Boxing (Men’s -57kg)

Yusra Mardini (Syrian Arab Republic)  - Swimming (Women’s 100m Butterfly)

IOC Refugee Olympic Team history

At the United Nations (UN) General Assembly in October 2015, confronted with the global refugee crisis that has seen millions of people in the world displaced, IOC President Thomas Bach announced the creation of the Refugee Olympic Team – the first of its kind – to take part in the Olympic Games Rio 2016.

The goal was to send a message of hope and solidarity to millions of refugees around the world, and inspire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with the strength of their spirit.

Ten months later, ten athletes representing four countries took part under the mentorship of Tegla Lorouple, including Tokyo 2020 returners Paulo Amotun Lokoro, People Misenga, Rose Nathike Lokonyen and Yusra Mardini.

In October 2018, the IOC Session decided that there would be a Refugee Olympic Team for Tokyo 2020, and entrusted Olympic Solidarity with the task of establishing the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and defining the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process for a team in Tokyo. This process was carried out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UN Refugee Agency (UNHCR),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s, the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and the Tokyo 2020 Organising Committee.

Athletes who were awarded IOC Athlete Refugee Scholarships benefitted from funding and training support from local NOCs, which allowed them to concentrate on chasing their Olympic dream.

 

 

 

*Referenc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6. 8. 10:42

[IOC 인증서 프로그램(스포츠 안전지킴이 담당관 Safeguarding Officer in Sport)출범]

 

IOC가 스포츠에서의 폭력으로부터 선수보호목적으로 ‘IOC국제 스포츠 안전지킴이 담당관 인증 제’(IOC Certificate: Safeguarding Officer in Sport)를 출범했으며, 오는 9월 시작될 프로그램의 첫 기수 신청 접수가 진행 중이다.

 

(IOC국제 스포츠 안전지킴이 담당관 제도/출처: IOC)

 

IOC가 스포츠에서의 폭력으로부터 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대응책의 일환으로국제 스포츠 안전지킴이 담당관 인증 제를 출범시켰다.

 

해당 프로그램은 2020 9 IOC 집행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오는 2021 9월 시작될 첫 기수의 신청 접수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3명의 프로그램개발책임자가 감독하는 학술자문위원회와 IOC가 협력해 개발한 8개월 과정의 인증서 취득 교육 과정은 Sportsoracle에 개설될 예정이다

 

교육 과정은 누구나 수강 등록이 가능하지만, 특히 각국올림픽위원회(National Olympic Committee), 각국 가맹경기단체(National Federations), 국제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s) 관계자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NOC는 한 명의 후보자에게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 장학금을 통한 수강료 면제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국제 스포츠 안전지킴이 담당관 인증 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참가자는 스포츠 조직의 안전지킴이 담당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지식, 기술 등을 갖추도록 지원받을 예정이며, 해당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내용 전달을 목표하고 있다.

 

1)  스포츠 안전 환경 조성을 위한 구성 요소

2)  조직 가치·윤리강령·행동강령 및 바람직한 지배구조(Good Governance) 원칙에 따라 스포츠 조직에 안전지킴이 정책·절차·관행의 개발·채택·구현에 관한 조언과 지원을 제공할 방법

3)  모든 사람이 안전한 스포츠 환경에 참여할 수 있다는 기본권을 바탕으로 선수 중심의 안전지킴이 접근에 관한 핵심 구성 요소

4)  스포츠 단체가 보고받은 모든 괴롭힘과 학대 관련 문제에 대한 대응 방법 및 안전지킴이 담당관의 역할

5)  안전지킴이 정책·절차·관행의 구현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메커니즘에 관한 이해

 

IOC는 스포츠 내 괴롭힘과 학대 방지(PHAS: Prevention of Harassment and Abuse in Sport) 실무그룹을 통해 IOC와 각국 NOC가 스포츠에서의 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자체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IOC가 마련하여 출범한 이번 국제 스포츠 안전지킴이 담당관 인증 제관련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IOC Certificate: Safeguarding Officer in Sport>

 

 

1. Course Structure

The Certificate program is offered by Distance Learning on a part-time basis, running for a period of eight months. 

Delivery of the program will involve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including lectures in electronic format, online tutorials, web-based materials, paper-based reading, and an on-line discussion forum.

-Each of the seven Program modules will consist of lectures in electronic format, supported by directed private study, and will include self-assessment elements

-Lectures will consist of online lectures by leading experts in the field

-Lecture material will be supplemented by a program of directed study, including review papers and original research publications

-Students will be provided with a comprehensive portfolio of reading material in electronic format as part of the registration fee.

 

2. About

The IOC Certificate Safeguarding Officer in Sport course, a first of its kind, international safeguarding officer certificate program, is aimed at those who have been appointed or will be appointed as safeguarding officers; serve as the focal point for safeguarding issues; or work in the field of sport integrity, for national or international sports organisations, particularly National Olympic Committees (NOCs), International Federations (IFs) and National Federations (NFs).  Composed of 7 learning modules, this course will introduce participants to their crucial role in the prevention of and response to harassment and abuse (non-accidental violence) in sport includ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prioritisation of athlete well-being and safeguarding both within their organisation and at major sporting events. 

The IOC Certificate: Safeguarding Officer in Sport is awarded by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Certificates will be presented to successful students at a ceremony held at the IOC Headquarters in Lausanne, Switzerland.

 

3. Course Aims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ill have acquired the skills to:

-Describe the core concepts involved in safeguarding athletes in and through sport: the building blocks necessary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for everyone in sport.

-Offer advice and support to their sports organisation in the development, adoption,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of safeguarding policies, procedures, and practices in line with the organisation's values, code of ethics, code of conduct, and good governance principles.

-Describe the core components of an athlete-centred approach to safeguarding based on the fundamental right of all persons to participate in Safe Sport: Sport, which is fair, equitable, accountable, and free from all forms of non-accidental violence.

-Demonstrate knowledge of and competence in what is needed to ensu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se core components.

-Describe their role (and that of others inside and outside their organization) in implementing appropriate, athlete-centered systems for receiving and responding to all reported safeguarding concerns, including all forms of harassment and abuse, received by their sports organisation.

-Demonstrate a sound understanding of mechanisms to monitor and evaluate the implementation of safeguarding policies, procedures, and practices.

4. Overview

The course will introduce participants to their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and response to non-accidental violence in sport - includ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prioritisation of athlete well-being and safeguarding both within their organisation and at major sporting events. 

The course will address what constitutes non-accidental violence in sport, how and why it occurs, and its impact on athletes, their families and others in the athlete’s entourage and management. It will cover information about the policies, procedures, systems and structures which need to be put in place to respond to reported concerns about athlete safeguarding and protection following an athlete-centred approach, and how these fit with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tatutory agencies. 

Unique considerations relating to groups who are more vulnerable to harassment and abuse in sport will be addressed specifically throughout the course along with the intersection of safe sport with other integrity issues.

The course is designed to complement existing policies, research, educational tools and training material currently produced and supported by the IOC,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IOC consensus statements on Sexual Harassment and Abuse in Sport (2006) + Harassment and Abuse in Sport (2017) and looks to empower participants to become educators and supporters of athletes and other athlete support personnel on safeguarding matters.

The course will consist of lectures and assessments across a series of module topics, plus mandatory and recommended reading from various reference sources. Students will als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regarding a selection of key IOC training resources such as the Athlete365 online course: “Safeguarding Athletes from Harassment and Abuse,”.

5. Audience

This course is aimed at those who

-have been appointed or seek to be appointed as safeguarding officers, or

-serve as their organisation’s focal point for safeguarding issues, or

-work in the field of sport integrity,

for national or international sports organisations, particularly National Olympic Committees (NOCs), International Federations (IFs) and National Federations (NFs). This list is not exhaustive and persons who fill this role for other sports organisations may also apply. 

 

6. Faculty

 

 1) Program Directors

Kirsty Burrows (UK) Sports Rights Solutions Managing Director, IOC Deputy Safeguarding Officer, IOC Consultant, Author IOC Safeguarding Toolkit, Co-Author IOC Mental Health in Elite Athletes Toolkit (2021)

Susan Greinig (UK) IOC Safeguarding Officer, Medical Programmes Senior Manager, Medical & Scientific Department

Anne Tiivas OBE (UK) Chair Safe Sport International

 

2) Academic Advisory Board

Kat Craig (UK)

Kari Fasting (Norway)

Sandra Kirby (Canada)

Katsumi Mori (Japan)

Mark Mungal (Trinidad and Tobago)

Lombe Mwambwa (Zambia)

Sylvie Parent (Canada)

Daniel Rhind (UK)

Seungmin Ryu (Korea)

Yetsa A. Tuakli-Wosornu (USA)

Tine Vertommen (Belgium)

 

3) Program Co-ordinator

 

Lucy Cunningham (UK) Sports Rights Solutions Project Manager, IOC Consultant, Co-Author IOC Mental Health in Elite Athletes Toolkit (2021)

 

6. Apply Now

There are no requirements for any formal academic qualifications for admission to the program, but applicants should demonstrate competence in English language as this is the language of instruction.

Applicants should submit a short motivational letter of intent outlining their reasons for wishing to join this program.

Applicants who are are sponsored/supported by an organisation, should obtain from that organisation a formal letter of recommendation that they follow this program.

Applicants should also ask two qualified individuals to provide references using the Reference Form that you can download here. Your referees should return the completed form to the Admissions Administrator 

Click here to submit your application.

English Language Competence

Since the program is taught and assessed in English, students educated in countries where English is not the first language must provide evidence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before they can be admitted to the Program. Those with English as a first language or successful completion of High School and/or Degree Level Education in English Language are exempt from this requirement.

Acceptable evidence includes:

-UK based O-level, GCSE or Standard Grade English Language - Grade C or above. 

-International GCS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Grade C or abov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Grade 4 minimum in English Language 

-IELTS band 6 or above, provided that no individual band score is less than 6 

-TOEFL (including the Tests in Written and Spoken Practice), minimum score of 500 (paper-based test), 213 (computer-based test) or 94 (internet-based test) 

-Test in English for Educational Purposes (TEEP) - Grade 3 

-Oxford Certificate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t Higher Level 

-University of London - School Examinations Board Certificate of Attainment in English, grade 5 

-Passes in the Cambridge Higher School Certificate at Subsidiary level or in the Cambridge Overseas School Certificate count as O levels 

-TOEIC with a minimum overall score of 500

 

 

*Referenc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6. 7. 13:13

[억지춘향 Tokyo2020올림픽개최강행 코너에 몰려 어쩔 수 없는 일본. "빼박"]

 

일본은 Athens2004올림픽을 앞두고 스포츠외겨력 강화와 국제전문성 확보를 위하여 일본올림픽위원회(JOC)를 일본체육회(JASA/JSC)에서 발전적으로 분리 독립시키 바 있다.

 

 

64JOC집행위원인 Kaori YamaguchiTokyo2020조직위원회가 일본 대중의 올림픽개최 반대의견을 무시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혹평하였으며 안타깝게도 일본이 어쩔 수 없이 금년 여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억지춘향 식으로 어쩔 수 없이 코너에 몰려 개최하려고 한다고 주장(slammed Tokyo 2020 organisers for ignoring public opposition and claims her country has been "cornered" into staging this year’s Olympic and Paralympics Games)하였다고 한다

 

 (Kaori Yamaguchi JOC집행위원<서울1988올림픽 여자 유도 동메달리스트>)

 

 

이제 50일도 채 남지 않은 Tokyo2020올림픽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대한 일본인들의 폭 넓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대회를 강행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내 여러 여론조사결과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반대의견이 부각되어 오고 있으며 올림픽개최취소청원은 지난 달 단 9일 만에 35만명이 서명한 바 있다.

 

서울1988올림픽 여자유도 동메달리스트이기도 한 Yamaguchi JOC집행위원은 일본국민들의 의견이 IOC에게 중요하지 않은”(not important)것으로 믿어진다고 하였으며, 올림픽의 개최 의미가 상실된”(lost meaning)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대화 부족에 대하여 IOC를 비판(criticised the organisation over a lack of dialogue)하였다고 한다.

 

Kyodo 뉴스는 솔직 담백한 사설에서(in an outspoken editorial) Yamaguchi올림픽이 평화의 축제가 되지 않는 것이 아니냐? (Were not the Olympics supposed to be a festival of peace?)라고 비판 글을 올렸다.

 

Yamaguchi에 따르면, John Coates IOC부위원장 겸 Tokyo2020올림픽 IOC조정위원장의 지난 달 대회 중 엄격한 코로나 대책이 시행될 경우 대회는 개최될 수 있다라는 성명서를 듣고 일본인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a statement which "shocked" Japanese people according to Yamaguchi)고 한다

 

Tokyo2020올림픽이 취소되면 약 18조원(¥1.81 trillion/$16.57 billion)의 손실이 발생하며 IOC에도 상당한 재정적 영향을 끼칠 것(a huge financial impact on the IOC)이라고 보도된 바 있다.

 

723일 개회식이 열리는 Tokyo2020올림픽을 앞두고 이제 대회개최를 중지하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인정(conceded it was too late to stop the Games from taking place)하였다.

 

그녀가 사설에 쓴 글 중 다음 대목이 눈에 띈다:

A.  "At the time of the bid, the IOC said that public opinion is important, but now it is clear that even if it concerns the IOC, it has no impact on its decisions." (올림픽 유치 당시에 IOC는 여론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지만 이제는 IOC가 우려하더라도 <일본 여론의 행방은> IOC가 내리는 결정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이 분명함)

B.  "What will these Olympics be for and for whom? (도대체 올림픽은 무엇을 위한 이며, 누구를 위한 것인가?)

C.  "The Games have already lost meaning and are being held just for the sake of them. (올림픽은 이미 그 개최 의미를 상실하였으며 대회는 그들을 위해 열리는 것일뿐임)

D.  "I believe we have already missed the opportunity to cancel. (우리는 이미 대회 취소 기회를 놓쳤다고 믿고 있음)

E.   "It would require too much energy to make and follow through with such a decision. (그러한 대회 강행 결정을 따르고 해쳐 나아가는데 너무 많은 에너지가 소모될 것임)

F.   "We have been cornered into a situation where we cannot even stop now. (우리는 이제 대회 개최를 중지할 수 없을 지경으로 내 몰리고 있음)

G.  "We are damned if we do, and damned if we do not." (올림픽을 개최해도, 개최하지 않아도 우리는 저주 받은 것임)

 

Yamaguchi는 올림픽이 우리의 감성을 휘저어 놓을 지는 모르지만 올림픽은 이후 일본인들에게 쓰디쓴 후유증을 남길 것으로 믿고 있다(the Olympics may "stir our emotions" but it will leave people with "a bitter aftertaste")고 하였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Kyodo New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6. 2. 12:02

[2027년 충청권 4개시도 하계유니버시아드(World University Games)유치 결정은 2022년말 또는 2023년 초]

 

유니버시아드(Universiade)로 널리 알려졌던 세계대학게임(WUG: World University Games)을 유치하고자 출사표를 던진 충청권(대전-세종=충북-충남)2027WUG대회 유치사냥에 나섰다.

 

 

경쟁자로는 미국의 North Carolina 주의 Raleigh-Durham지역이다.

 

한국은 지금까지 1997년 무주 동계유니버시아드를 포함하여 2003년 대구광역시-2015년 광주광역시에 이어 통상 4번째(하계는3번째)로 유니버시아드대회를 유치하려고 한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5. 31. 10:53

[Tokyo2020올림픽참가선수포기각서(Waivers)요구 파문 도대체 어떤 내용이길래? (529)]

 

Tokyo2020올림픽참가를 위해 요구되는 권리포기조항 하에 코로나바이러스 잠재 노출(potential exposure to COVID-19)이나 혹서(extreme heat)로 인해 이제 올림픽참가선수들은 사망위험감수 인정 각서를 요구 받고(required to acknowledge the risk of death)있다고 한다

 

COVID-19확산을 막으려는 목적으로(aimed at curbing the spread of COVID-19) 일본 내 긴급조치가 발효 중인 와중에(amid ongoing state-of-emergency measures)포기각서(waivers)자체가 최근 몇 주가 지나면서 논쟁적 이슈로 판명(proved a contentious issue)이 나고 있다

 

세계선수협회(WPA: World Players Association)IOC가 올림픽참가조건으로 내 걸은 포기각서를 철회(to revoke waivers)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WPA는 위험 조항이 선수들로부터 부담이 되지 않도록(the risk should be removed from athletes’ shoulders) 논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포기각서 사본은 Yahoo Sports가 공개 하였는데, 이 각서에 의하면 선수들은 COVID-19 또는 혹서(extreme heat)노출을 통한 위험을 포함하여 대회에서 잠재적 사망의 위험에 대해 인지하도록 요구(required to recognise the potential risk of death at the Games, including through exposure to COVID-19 or extreme heat)하고 있다고 한다.

 

각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인은 올림픽에 스스로 위험을 감수하고 본인 책임으로 참가하는 것에 동의한다. 그 위험 요소에는 대회 참가와/또는 대회 경기 출전에 따른 그 어떠한 영향과 충격, 대회에 참가하면서 발생하는 COVID-19전염, 기타 다른 감염성 질병이나 혹서와 같은 상채와 같은 건강상의 위험에 잠재적으로 노출됨으로 야기되는 심각한 신체적 부상이나 심지어 사망 등이 포함된다” (I agree that I participate in the Games at my own risk and own responsibility, including any impact on my participation to and/or performance in the Games, serious bodily injury or even death raised by the potential exposure to health hazards such (as_ the transmission of COVID-19 and other infectious disease or extreme heat conditions while attending the Games.)

 

Yahoo Sports지는 이전에 거행된 Rio2016올림픽에서는 질병이나 혹서(disease or heat)에 대해 언급한 바 없다고 보도했다.

 

2일 간 열린 국게선수포럼에서 관계 임원들에게 질문이 제기된 후 IOC는 금주 초 포기 각서에 대해 옹호 입장(defended the waivers)을 견지하였다

 

미국 올림픽 및 패럴림픽 위원회(USOPC)선수자문이사회소속 Mark Ladwig(前 피겨스케이팅 선수)Thomas Bach IOC위원장에게 포기 각서에 관하여 문의하였다고 한다.

 

Bach IOC위원장은 포기각서(waivers) 건은 최근 몇 주간 선수들이 제기한 우려 요소”(concern)였음을 인정하였다고 한다

 

IOC최고운영책임자(COO: Chief Operating Officer)Lana Hadad는 포기 각서는 기타 다른 주요대회에서 표준적 관행(standard practice at major events)이며, 이 각서는 법 테두리 범위 안에서(within the framework of the law) 작성된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Lana Hadad IOC COO/출처: insidethegames)

 

 

다음은 Lana Hadad IOC COO의 답변 내용이다:

 

A.  "Government or health authority can or has taken over guarantees against infections, this is a risk we all bear." (정부나 건강관련당국은 감염에 대비하여 보증을 할 수 있거나 감염 대비 보증 조치를 취해 왔는데 이것은 우리모두가 감내하는 위험 요소임)

 

B.  "The entry forms have been in place for previous Games and have been updated to include COVID-19. (이전 올림픽에서도 엔트리 양식을 제출하게 되어 있는데 이번에는 COVID-19조항을 신설 포함하여 작성된 것임)

 

C.  "This is to provide transparency and ensures informed consent from the Games participants. (이는 투명성을 제공하고 올림픽대회 참가자들로부터 주지하고 있다는 동의를 확고히 하는 것임)

D.  "The entry forms are consistent with standard practice of all other big event organisers. (엔트리 양식은 모든 다른 대형 대회 조직위원회관계자들의 표준 적 관례와 일치하고 있음)

 

E.   "The forms ar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aw, I may add. (이러한 양식은 모두 법 테두리 안에 있음을 첨언하는 바임)

 

F.   "In general on the COVID-19 countermeasures, everyone whether they are vaccinated or not have to follow the same rules." (일반적으로 COVID-19대책에 대하여, 백신접종여부와 관계 없이 모든 사람은 같은 규칙을 따라야 함)

 

Bach IOC위원장은 반복적으로 지속적으로 올림픽이 안전하고 확고할”(safe and secure)것이라고 암시해 왔으며 Tokyo2020올림픽을 위해 제작된 playbooks지침서를 예시로 들고 있다

 

일부 선수들은 포기각서문구내용이 이러한 메시지와 모순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Some athletes may feel the waiver's wording contradicts this message)는 분위기도 있다고 한다

 

최신 판 playbooks지침서 버전에는 선수들 및 선수들과 밀접하게 연관된 모든 관계자들은 매일 검사를 받도록 요구되고 있다

올림픽 참가자 모두는 일본 도착 전 96시간 내에 2회의 COVID-19 검사를 받도록 되어 있다.

 

Tokyo2020올림픽 참가자들은 일본 내 식당이나 술집(bars) 방문이 금지되어 있으며 반면 선수들은 선수촌 거주인구 제한을 위하여 대회 5일 이전에는 일본 입국이 제한되어 있고 대회 출전 후 2일 이내에 출국하도록 되어 있다.

 

IOC는 이러한 규칙위반대상자들에 대하여 올림픽 참가 AD카드발급을 회수할 수 있으며 동 규정은 백신접종여부와 무관하게(irrespective of whether participants have been vaccinated or not) 적용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Bach IOC위원장은 최근 올림픽선수촌 입주 대상의 80%이상이 백신접종을 받게 될 것임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Tokyo2020올림픽 IOC조정위원장인 호주의 John Coates IOC부위원장 역시 올림픽이 일본 대중은 물론 참가자 모두에게 안전할 것이라는 사실이 이제 이전 어느때보다 더 명백하다”(clearer than ever)고 주장했다고 한다.

 

Yoshihide Suga 일본총리는 긴급사태 조치가 대회 개막(723) 한 달 남짓 전인 620일까지 총 9개 현(prefectures)에 확대 시행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일본 내 COVID-19확진자(cases)수는 16일 연속 내림세로 528() 현재 3,700명으로 보고되었다고 한다.  

 

 

<올림픽헌장 제44조 부칙 규정/엔트리 양식>

 

“All participants in the Olympic Games in whatever capacity must comply with the entry process as prescribed by the IOC Executive Board, including the signing of the entry form, which includes an obligation to (i) comply with the Olympic Charter and the World Anti-Doping Code and (ii) submit disputes to CAS jurisdiction.” (모든 올림픽참가자들은 지위고하 및 역할을 막론하고, 엔트리 양식에 서명하는 것을 포함하여 IOC집행위원회가 규정하여 처방한 엔트리 과정을 준수해야하는데, 이러한 처방에는 (1)올림픽 헌장과 WADA법규 준수 및 (2)논쟁거리를 CAS관할재판판결에 제출할 의무조항을 포함함)

 

올림픽헌장준수에 동의하는 것은 다른 것보다 올림픽 헌장 40(Rule 40/상업적 권리 commercial rights)50(Rule50/항의 protests)구조에 대해 동의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올림픽참가를 원하는 모든 선수는 대회주최자의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것에 동의(Every athlete who wants to compete in the Games must agree to abide by the event owner’s requirements)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올림픽을 건너 뛸 (or they can skip the Games)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IOC가 제시하는 COVID-19관련 포기각서(waivers)는 올림픽 헌장 규정 상 합법적이며 잠재적 위험으로 인한 사망 등에 대비한 규정 역시 올림픽주최자의 판단에 따른 규정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Yahoo Sport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21. 5. 30. 13:02

[FIFA World Cup개최 주기 4년에서 2년 간격 제안 총회 통과 후 타당성 검토 착수(FIFA Congress green lights study on hosting World Cups every two years)]

 

FIFA521일 제71차 총회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축구연맹이 제안한 남녀 월드컵(FIFA World Cup)을 기존 4년 대신 2년 간격으로 개최하자는 제안이 승인된 후 2년 간격 개최가능성에 대해 연구할(explore) 것이라고 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축구연맹(Saudi Arabia Football Federation)은 이날 온라인 총회 회의(virtual meeting)에서 FIFA월드컵대회를 전통 방식인 4년 주기를 반 뚝 잘라(cutting in half)2념 마다 개최하는 것에 대하여 타당성조사(feasibility study)를 요청하였다.

 

FIFA총회에서 동 제안에 대한 회원국투표실시결과 찬성 166개국 반대 22개국으로 무난히 통과되었다.

 

(FIFA President Gianni Infantino/출처: insidethegame)

 

FIFA월드컵을 기존 4년 간격에서 2년 간격으로 횟수를 늘이게 되면 FIFA로써는 황금알 낳는 거위 대회(its most lucrative competitions)로부터 긁어 모으는 돈의 양이 2배로 늘어나는 것(FIFA would double the amount of money it rakes in)을 의미하기도 한다

 

하지만 FIFA대륙별 축구토너먼트 일정과 어떻게 조화롭게 소화 될지는 아직 불명확하며(unclear how continental tournaments would fit into the calendar) 많은 사람들이 2년 간격으로 자주 월드컵을 개최할 경우 FIFA월드컵의 중요성과 가치를 퇴색시킬 것(holding more regular World Cups will devalue the importance of the events)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2년 주기 월드컵 개최 계획을 추진할 경우 월드컵 예선전 역시 상당한 규모로 재조정되어야 하는데, 반면 FIFA는 확대된 클럽 월드컵대회 일정 소화를 위한 여지를 찾고자(find room for an expanded Club World Cup)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FIFA President Gianni Infantino called for a more global sport at the Congress ©Getty Images(71FIFA온라인 총회 장면/출처: insidethegames0

 

 

 

사우디아라비아축구연맹(SAFF) 회장 Yasser Al-Misehal스포츠는 현재 COVID-19의 여파로 악화된 재정상태에 직면해 있음으로중요한 시기에 처해있다. 우리는 스포츠의 미래를 위해 무엇이 최선이지 고려해야 한다.”라고 밝히며 제안 배경에 대해 설명하였다.

 

FIFA SAFF측의 제안을 받아들임으로써 COVID-19로 악화된 재정의 회복을 기대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월드컵의 희소가치가 하락할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대륙 별 대회 일정의 차질이 생길 것을 주장함으로 2년주기 월드컵 개최 제안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한 검토 과제가 남아 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FIFA websit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