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6. 8. 2. 15:13

[IOC선수위원장 독일시대에서 미국시대로 선회 그리고 국제스포츠 계 막후처리 관행언급 스케치]

 

안녕하십니까?

Rio2016현장에서는 IOC가 러시아 도핑파동으로 체면을 구기고 있는 가운데 만회해 보려고 억지춘향의 드라마를 연출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와중에 2016년 8월1일 미국 여자 아이스하키금메달리스트출신 IOC 위원인 Angela Ruggiero가 8년 임기를 마치고 떠나가는 Claudia Bokel 독일 여자 펜싱금메달리스트 IOC선수위원장(Rio2016폐회식까지 임기)의 뒤를 이어 미국인으로는 최초로 신임IOC선수위원장으로 선출 되었습니다.

 

 

 

*순서:

. 독일에서 미국으로 IOC선수위원장 세대교체

. 신임 IOC선수위원장인 Angela Ruggiero는 누구인가?

. IOC집행위원회의 새로운 판도

. Claudia Bokel(독일) 전임 IOC선수위원장의 한계

. 국제스포츠 계의 막후 처리관행이란?

 

 

 

*내용:

 

1.  독일에서 미국으로 IOC선수위원장 세대교체

2016 81일 미국 여자 아이스하키금메달리스트출신 IOC 위원인 Angela Ruggiero 8년 임기를 마치고 떠나가는 Claudia Bokel 독일 여자 펜싱금메달리스트 IOC선수위원장의 뒤를 이어 미국인으로는 최초로 신임IOC선수위원장으로 선출 되었습니다.

(Angela Ruggiero 36/사진출처:insidethegames)

 

Ruggiero 신임 IOC선수위원장은 선출 소감을 겸한 일성으로 남은 향후 2년 동안

도핑문제를 최우선과제로 삼고 맹진하겠다(tackling doping as her priority)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  신임 IOC선수위원장인 Angela Ruggiero는 누구인가?

 

IOC 선수위원회 부위원장 직을 맡아온 Ruggiero IOC선수위원장후임 인기후보(favorite)로 간주되어 왔었으며 신임위원장으로 선출됨에 따라 선수 몫 당연 직 IOC집행위원으로 등극하게 됩니다.

 

그녀는 1998Nagano 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당시 투표에 의해 IOC선수위원회 위원 겸 IOC위원으로 선출된 바 있다고 합니다.

  • 1998 Olympic gold medalist
  • 2002 Olympic silver medalist
  • 2006 Olympic bronze medalist
  • 2010 Olympic silver medalist
  • Hockey Hall of Fame Honored Member

 

그녀는 하버드대학교 우등 졸업한 수재이기도 합니다(She graduated cum laude from Harvard University with a B.A. in Government.)

 

그녀는 2016 5 LA2024올림픽 유치위원회 최고전략책임자(CSO: Chief Strategy Officer)로 임명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녀는 평창2018 동계올림픽 IOC조정위원회 위원이기도 합니다.

 

CSO로서 그녀의 역할은 올림픽 어젠더2020 적용 후 올림픽운동이 필요로 하는 요소들을 대처하는 임무수행(to be centered around addressing "the needs of the Olympic Movement in the post-Olympic Agenda 2020 landscape”)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Paris 2024 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co-chairman)이며 올림픽 카누 3관왕이기도 한 Tony Estanguet IOC선수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는데 LA2024 Paris2024 두 라이벌 유치도시 핵심역할 자들로서 함께 업무를 수행하게 된 것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raising questions over two bid rivals working together.) 실정이라고 합니다.

 

(LA2024 CSO Angela Ruggiero 36/사진출처:insidethegames)

 

 

하지만 Ruggiero신임 IOC선수위원장은 이러한 의구심에 대하여 일소에 붙여버리면서(laughed off any questions about this)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Tony Estranguet 와 한 팀을 이룬 Angela Ruggiero)

 

 

It will be the "Olympic spirit of friendly competition in action." (올림픽정신에 입각한 진행형 친선경쟁)

"I think, immediately, doping is our biggest priority." (도핑이 최대 최우선 화급한 과제임)

"We want to have an integral part of the discussions as we go forward, because thi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athletes today."(전진해 가면서 논의할 필수분야 공유를 희망하는 이유는 <도핑문제야 말로>오늘 날 선수들에게 가장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임)

 

 

 Tony Estanguet has been elected vice-chair under Angela Ruggiero ©Getty  Images           

                           (Tony Estanguet/사진출처: insidethegames)

 

 

 

3.  IOC집행위원회의 새로운 판도

 

Ruggiero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선수출신 IOC위원으로 선출되어 6년 차 IOC위원인데 미국인으로는 최초로 금년 2월 개최된 Lillehammer2016 동계청소년올림픽(YOG) IOC조정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습니다.

 

그녀는 Anita DeFrantz(66) 미국 여성 IOC위원과 함께 미국의 2번째 현 IOC집행위원이 되는 셈입니다.

 

따라서 IOC집행위원회 내에서 미국의 스포츠외교력과 함께 발언권이 강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객관적으로 보아도 오는 2017년 결정되는 올림픽개최도시 선정과 연관하여 볼 때에도2024년 올림픽 유치 전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는 전환점이 된다고 생각됩니다.

 

 

IOC집행위원회 15명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습니다(2016 81일 현재):

 

(Thomas bach IOC위원장/사진출처: IOC홈페이지)

 
<IOC PRESIDENT>

Thomas BACH(독일/2013~)

<VICE-PRESIDENTS(4)>

Nawal EL MOUTAWAKEL
Craig REEDIE
John D. COATES, AC

Zaiqing YU

<Members(10)>

Ching-Kuo WU(대만/ASOIF대표>
René FASEL(스위스/AIOWF대표)
Patrick Joseph HICKEY)(아일랜드/ANOC대표)

Angela Ruggiero (미국/신임//선수위원회 대표)
Juan Antonio SAMARANCH(스페인/개인자격)
Sergey BUBKA(우크라이나/개인자격)
Willi KALTSCHMITT LUJÁN(과테말라/개인자격)
Anita L. DEFRANTZ(미국/개인자격)
Prof. Uğur ERDENER(터키/개인자격)
Gunilla LINDBERG(스웨덴/개인자격)

Administration – Director General(사무총장)

Christophe DE KEPPER(스위스/임명 직)

 

올림픽운동의 근간을 흔들고 있는 러시아 도핑 혐의가 노출된 상황에서(following the Russian doping allegations which are threatening to rip apart the Olympic Movement) IOC선수위원회의 역할이 점진적으로 중요한 국면에 접어들게 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러시아 국기 및 러시아 NOC/출처: KBS TV사진캡쳐)

 

 

 

4.  Claudia Bokel(독일) 전임 IOC선수위원장의 한계

 

지난 4년 간 IOC선수위원회를 주관하였던Claudia Bokel(독일)은 이제 8년 임기가 종료됨에 따라 Rio2016올림픽 폐회와 함께 IOC위원 직과 IOC선수위원장 자리에서 내려오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독일 출신으로 Thomas Bach(독일) IOC위원장의 뜻을 거스르기 어려운 입장이었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합니다

그녀는 지난 724일 러시아의 Rio2016출전 전면금지(blanket ban)결정 IOC집행위원회 투표 시 기권하였지만 몇 몇 군데로부터 비난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같은 선수위원장이면서 WADA의 러시아 제재조치에 강력한 지지(strong support)의사를 표명한 WADA선수위원회 위원장인 캐나다의 Beckie Scott(World Anti-Doping Agency <WADA> Athlete chair Beckie Scott has described allegations that Russia has been involved in a systematic doping programme as "deeply troubling".)와는 대조되게 러시아 도핑 척결을 위한 징계 성 목소리를 내는데 인색 했기 때문인 것(for her lack of vocal responses )으로 알려졌습니다.


 

(Salt Lake 2002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Backie Scott/사진출처: insidethegames)

 

 

하지만 Bokel전임 IOC선수위원장은 러시아 선수들의 Rio2016출전지격부여 여부 최종결정권을 부여 받은 3 IOC패널(a three-person IOC panel)의 일원으로 선택되었습니다.

 

 

 

5.  국제스포츠 계의 막후 처리관행이란?

 

Ruggiero 신임 IOC선수위원장은 3 IOC패널 구성원들이 강력한 반 도핑 라인을 정치적 게임과 엮는 행보를 계속할 것이라고 암시하면서 Bokel(독일)전임 IOC선수위원장도 최근에 보여준 것과 유사하게 공개적으로 논란이 되지 않는 선에서 행보를 취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고 합니다(Ruggiero also suggested that they will continue to combine taking a strong anti-doping line, with playing the political game, suggesting she will take a similarly non-controversial stance in public as that displayed by Bokel.)

 

스포츠 계에서의 관행은 막후에서 정해지는 법”(It is behind the scenes you get things done in this world.")이라며 Ruggiero는 의미심장한 발언을 하였다고 합니다.

 

 Claudia Bokel will relinquish her post after Rio 2016 ©Getty Images

            (Claudia Bokel 전임 IOC선수위원장/사진출처: insidethegames)

 

그녀는 스포츠 계에서의 IOC선수위원회의 역할을 보다 낫게 조직하는 것이 또 다른 목표이며 아울러 선수위원회의 IFs NOCs등 타 기구에서 선수대표성을 증진시키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4명의 기존 선수출신 IOC위원들의 임기만료와 함께 새로 선출되는 4명의 신임 IOC선수위원을 참여시켜 새로운 IOC선수위원회 직책을 정하는 선거도 Rio2016올림픽 기간 중 예정되어 있다고 합니다.(Elections will be held for new IOC Athletes' Commission positions during Rio 2016.)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Wikiopedia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8. 1. 23:02

[Bach IOC위원장 러시아도핑 파문 희생양으로 WADA지목]

 

Bach IOC위원장이 러시아도핑이슈로 아수라장이 된 상황에 대한 희생양으로 WADA 를 지목하며 떠넘기기를 시도하고 있다(Bach tries to turn WADA into scapegoat for Russian doping shambles)라는 제목의 한 외신기사가 눈에 띕니다.

 

(Thomas Bach/ 사진출처: insidethgames)

 

Rio2016올림픽 개회식까지 D-5일 시점에서 IOC집행위원회회의를 끝내고 가진 731일 자 Rio 현지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그 자리에서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러시아 선수단의 Rio2016올림픽 참가에 대한 엉망진창 뒤죽박죽(shambles)을 초래한 비난을 분명하게 WADA(World Anti-Doping Agency)어깨로(squarely onto the shoulders of the WADA) 떠 넘기기 삽질(shovel)하는 쪽을 추구한 것으로 외신은 전하였습니다

 

특징도 없이 방어적 자세로 일관했던(in an uncharacteristically defensive performance) IOC위원장은 the Maracanã 에서의 Rio2016올림픽개회식을 5일 앞두고 자신의 첫 번째 Rio2016미디어기자회견에서 (러시아)이슈와 연관되어 쏟아지는 질문공세를 받아낼 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그는 첫 번째 답변에서 IOC가 약 50%의 기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IOC 15명 집행위원들 중 4명이나 포진되어 있는 기구인 WADA를 겨냥해 총신을 열었다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Rio2016출전허용과 관련된 상황이 IOC로써는 커다란 실패’(a huge failure)이었음을 인정하는가 라는 요지의 비슷비슷한 여러 가지 질문들 중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구체적 설명 전에 Bach위원장은 자신의 등록상표인 단 답 형(his trademark single-world answers)표현들 중 하나인 “No”라는 답변으로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다라는 답변에는 명백한 이유들이 있습니다.”(This is for very obvious reasons.)

 

왜냐하면 IOC McLaren의 보고서의 타이밍에 책임이 없기 때문입니다”(Because the IOC is not responsible for the timing of the McLaren report.)

 

“IOC는 이미 몇 년 전에 WADA에 제공된 각기 다른 정보가 철저히 추구되지 않았다는 사실에도 책임이 없습니다.”(The IOC is not responsible for the fact that different information which was offered to WADA already a couple of years ago was not followed up.)

 

“IOC 는 반 도핑 실험실을 승인하거나 감독하는데 책임이 없습니다.”(The IOC is not responsible for the accreditation or supervision of anti-doping laboratories.)

 

따라서 IOC는 우리가 지금 이 순간 직면해야만 하고 이야기하고 있으며 그리고 올림픽을 단 몇 일 앞두고 지금 언급해야만 하는 이러한 사고와 연관된 타이밍이나 이유들에 대해서도 책임질 수 없다라는 것입니다.”(So therefore the IOC cannot be made responsible either for the timing or the reasons of these incidents we have to face now and which we are addressing and have to address now just a couple of days before the Olympic Games.)

 

 

The World Anti-Doping Agency, led by IOC vice-president Sir Craig Reedie, has been blamed by Thomas Bach for the current Russian doping crisis ©Getty Images(WADA Sir Craig Reedie IOC부위원장<영국>이 회장직을 맡고 있는데 작금의 도핑 위기에 대해 Thomas Bach IOC위원장의 질책을 받아 오고 있습니다/사진출처: insidethgames)

 

 

정상적이라면 WADA회장 겸 IOC부위원장인 Sir Craig Reedie와 신임 사무총장인(new chief executive) Olivier Niggli 두 사람이 올림픽 직전에 있어온 전통적인 WADA 기자회견에서 직접 총대를 매고 반격하는 기회가 되었을 것(an opportunity to fire straight back)이라고 외신은 보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주 초반 기자들은 간결한 7자 보도자료(seven-word press release)를 받아 보았는데 그 내용은 WADA주관 기자회견이 최소되었음을 통지하는(to notify them this had been cancelled) 것이었다고 합니다.

 

Bach위원장 역시 러시아관련 상황에 대한 유산은 Rio2016올림픽 성화로가 꺼지고 난 후 오랜 동안(for a long time after the Olympic Cauldron is extinguished) 올림픽운동 소관으로 남아 존치할 것을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우리가 스포츠에서의 새로운 냉전 발발(the outbreak of a new Cold War in sports)을 목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의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IOC위원장은 지금은 세부분석을 할 때가 아니라고 (now was not the time for detailed analysis)주장하였다고 합니다.

 

Bach위원장은 계속된 답변으로 "올림픽대회 후 전체 상황을 주의 깊게 분석할 더 많은 시간이 있을 것이다”(After the Olympic Games there will be more time to carefully analyse the whole situation.)라고 하면서,

 

"나는 모든 사람들 물론 우선 우리 자신들이 되겠지만 이렇게 감정적이고 열띤 토론의 순간들이 아니라 우리가 약간 거리를 두고 이러한 상황을 검토할 것을 조언하려고 한다”(I would advise everybody and first of all of course ourselves that we study then this situation with a certain distance and not under these moments of very emotional and passionate debate.)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올림픽 감정평가 전문가(Olympic cognoscenti)에게는 Bach위원장이 얼마나 동요되고 있는지(how rattled)에 대한 한 걸음 더 나아간 표시로써 Bach위원장이 15분 간의 연설문 서두전체를 통하여(through his entire 15 minutes of opening remarks) 지난 3년 간 IOC수장으로 즐겨 사용해 온 중심사상(leitmotif)‘Olympic Agenda 2020’를 단 한 차례도 인용하지 않았음이 증거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8. 1. 22:56

[푸틴의 푸들(Putins’s Poodle)로 묘사된 위기의 남자 Bach IOC위원장 Rio 현지도착근황스케치]

 

 

Bach IOC위원장은 독일 등 곳곳에서 자신의 도덕적 진실성(integrity)에 대하여 무더기 날벼락공세가 난무하는 가운데 Rio2016에 도착한 이래 애써 의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Rio2016조직위원회 등록요원으로부터 올림픽AD등록카드 발급 받고 있는 Thomas Bach IOC위원장<우측>/사진출처: insidethegames)

 

Thomas Bach IOC위원장은 Rio2016올림픽 시작에 맞추어 현지에 도착하자 또 다른 지도급 독일선수(another leading German athlete)에 의해 그의 도덕적 진실성(integrity)에 의문이 제기되었다고 합니다

 

Bach위원장은 지난 724() IOC집행위원회가 러시아선수단의 Rio2016 올림픽 출전금지에 면제 부를 주는 결정을 내린 이래 혹독한 비판(severe criticism)에 직면해 오고 있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WADA를 대신하여 Richard McLaren캐나다 변호사가 발행한 한 편의 보고서가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allegedly)러시아에서 국가주도(state-sponsored)로 자행한 도핑(doping/약물복용) 증거를 찾아냈다고 발표함에도 불구하고 강행한 IOC집행위원회의 결정 때문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Robert Harting 독일 원반던지기 우승자는 IOC의 그런 결정 직후 Bach반 도핑 시스템이 아니라 도핑시스템의 일부”(part of the doping system, not the anti-doping system)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동계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5관왕인Claudia Pechstein Bach Putin러시아대통령과의 절친관계성(close relationship)을 지금 맹 비난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녀는 내 눈에, Bach는 정치적 판매대상” (In my eyes, Bach can be bought politically.)일 수 있으며 모든 선수의 무죄추정 필요성을 공공연히 설파하면서 세계를 상대로 거짓말을 하고 있다(He is lying to the world when he preaches publicly that it is necessary for every athlete to be presumed innocent.)라고 SID독일 뉴스통신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이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Claudia Pechstein, seen here congratulating Thomas Bach on his election as President of the DOSB in 2005, has joined those criticising him for the decision to allow Russia to compete at Rio 2016 ©Getty Images

(이같이 맹공을 퍼붓고 있는 Claudia Pechstein<사진왼쪽> 2005년 당시 Bach가 독일 통합올림픽체육회인 DOSB회장으로 선출되자 축하하고 있는데 이제 그녀는 러시아의 Rio2016올림픽출전을 허용한 결정에 대해 Bach를 비난하고 있는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사진출처: insidethegames)

 

 

하지만 Pechstein의 비난강도는 그녀 자신이 2009 ISU(International Skating Union)으로부터 혈액도핑(blood doping)혐의로 2년 출전금지처분을 받았었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 힘이 약해질 것이라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그녀(44)는 늘 그녀가 무죄임을 견지하여왔으며 현재 독일 연방헌법재판소(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에 헌법소원(constitutional complaint)제출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내 경우, 무죄추정자체조차 거론 된 바가 전혀 없었다”(In my case, there has never been a presumption of innocence.)라고 경찰경사(police sergeant)출신인 그녀가 SID통신사에 입장을 밝혔다고 합니다.

나는 유죄선고까지 받았으며 아무런 증거도 없이 전적으로 정당화되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그저 터무니 없는 개연성이란 억측 때문이었다.”(I was condemned, totally unjustified without any proof, just because of an absurd probability calculation.)고 항변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널리 만연된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in the face of widespread opposition) IOC가 러시아로 하여금 Rio2016올림픽에 출전하도록 허용한 결정은 다름 아닌 Bach Putin의 밀월관계로 인해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Pechstein의 주장은 독일에서 많은 사람들이 그렇다고 믿고 있는 바와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합니다

 

 

724() 유럽에서 최대판매부수를 자랑하는 독일출판 신문인 Bild지는 Bach푸틴의 푸들”(Putin’s Poodle)이란 머리기사(headline)하에 푸틴과 함께 있는 모습을 묘사하는 스토리를 게재하였다고 합니다.

 

Germany's best selling newspaper Bild has called Thomas Bach "Putin's Poodle" ©Twitter(사진출처:insidethegames)

 

 

Pechstein IOC가 각 국제연맹들(IFs)에게 러시아 각 종목 선수들의 Rio2016올림픽 출전여부를 판단할 것을 결정한 행위는 비겁하고 비열한 짓(cowardly)이라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그녀는 SID 지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것이 불명예스러운 비극이다”(The whole thing is a dishonorable tragedy.)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러시아의 출전을 금지하지 않은 결정을 둘러싸고 있는 논란이 Bach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반대여론에 영향 받고 있는 마음상태를 공공연하게 드러내고 있지 않는 것으로(he is not showing it publicly) 보도되고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Carlos Nuzman Rio2016올림픽 조직위원장의 공항영접을 받으며 Rio에 도착한 이래 그는 올림픽선수촌을 방문하여 선수 및 임원들과 아침식사를 같이 하는 등 의연하게 IOC위원장으로서의 행보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오는 85일 올림픽개회식과 함께 남미대륙에서의 최초개최국가가 되는 브라질이 성공적인 올림픽개최준비태세를 갖추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과 불안을 일축하였다고 합니다.

 

Thomas Bach, publicly at least, does not appear to be bothered by the criticism over Russia and visited the Olympic Village to have breakfast with athletes preparing for Rio 2016 ©IOC

(Bach위원장은 최소한 공공연하게는 러시아로 인한 비난에 아랑곳하지 않는 듯 올림픽선수촌을 방문하여 그곳에서 Rio2016올림픽출전을 준비하고 있는 선수들과 아침식사를 하는 등 짐짓 여유로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사진출처: IOC홈페이지)

 

물론, 올림픽시작 몇 일 전에는 의례히 해결되어야 할 여러 가지 이슈들이 있기 마련이다”(Of course, just a few days before the Games start there are always a number of issues to be solved.)라고 하면서 Bach 위원장은 브라질사람들이 그 현안들을 풀어 나갈 것이며 여러분은 공항과 시내에서 흥분된 분위기에서 신명 나게 활짝 웃고 있는 모든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이곳의 올림픽에너지를 이미 느낄 수 있다(The Brazilians will solve them, and you can already feel the Olympic energy here at the airport and in the city with all the smiling volunteers full of excitement.) 우리는 위대한 올림픽을 학수고대하고 있으며 (We are looking forward to great Olympic Games.) 여러분도 주지하다시피 우리는 언제나 브라질과 브라질 국민들에 대해 신뢰감을 가져왔다.(As you know, we have always had confidence in Brazil and the Brazilians.)라고 애써 분위기 띄우기에 신경을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7. 28. 11:41

[Rio2016개최 제129 IOC총회 이모저모 Update]

 

*순서:

. Rio2016 올림픽 개회식 4일 전 제129 IOC총회 장 이모저모

. Rio2016 올림픽 IOC 본부호텔 (Windsor Marapendi호텔)이모저모

. 129 IOC총회 상정 주요안건 및 Tokyo2020정식 추가종목 이모저모

 

IOC집행위원회는 Windsor Marapendi IOC본부호텔에서,

129 IOC총회 개회식은 Cidade Das Artes에서,

그리고 제129 IOC총회는 Windsor Oceanico 호텔 인근의 Convention Centre Windsor Oceanico에서 각각 열린다고 합니다.

1)  IOC EB - Windsor Marapendi

2)  IOC Session Opening Ceremony - Cidade Das Artes

3)  IOC Session - Convention Centre Windsor Oceanico (adjacent to the Windsor Oceanico Hotel)

 

*내용:

 

1.  Rio2016 올림픽 개회식 4일 전 제129 IOC총회 장 이모저모

 

오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Maracanã Stadium에서 개최되는 Rio 올림픽개회식(85/)에 앞서 81~3(3일 간) 129 IOC총회가 Rio de Janeiro에서 열립니다.

 

 

 

IOC총회 전날 과 전전날인 730~31(2일 간) IOC집행위원회가 먼저 열립니다.

 

IOC집행위원회는 Rio2016 올림픽 IOC조정위원회 회의가 열렸던 Windsor Marapendi IOC본부호텔 회의실에서 예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IOC 총회가 개최되는 곳은 Rio2016올림픽 중심(the main Rio 2016 Games cluster)으로 알려진 Barra da Tijuca 지역인근이라고 합니다.

 

1)  731일 예정된 IOC총회개회식은 이곳에 자리잡은 남미 최대 현대 콘서트 홀(the largest modern concert hall in South America) “Cidade das Artes “문화센터에서 열리게 되며 IOC총회는 Convention Centre Windsor Oceanico (adjacent to the Windsor Oceanico Hotel)라고 합니다.

 

                      (Cidade das Artes cultural center/사진출처: insidethegames)

 

IOC총회 개회식장(Cidades des Artes)의 영문 번역은 ‘City of Arts’이며 2013년 개장되었고 1,720석 규모의 남미대륙 최대 현대 콘서트 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곳 Cidade das Artes는 브라질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본산(the home of the Brazilian Symphony Orchestra)이며 컨벤션(conventions)은 물론이고 음악 및 예술 행사들(musical and artistic events)을 정기적으로 주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곳 Cidade das Artes 2015 Rio2016 D-365일을 기념하여 당시 Dilma Rousseff브라질 대통령 및 Thomas Bach IOC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특별 의식행사(special ceremony)가 열린 곳이기도 합니다.

 

 

                        (Thomas Bach Dilma Rousseff/출처: IOC홈페이지)

 

 

이곳 Cidade das Artes는 우아하고 역동적인 자태의 건축물로 잘 알려져 있긴 하지만 개발 당시 초기 책정된 예산의 거의 일곱 배이나 초과함으로써 논란거리가 된 곳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결국 총 건축비가 US 25000만 불( 3,000억 원)이나 들었다(It eventually cost around R$515 million (£175 million/$250 million/€219 million)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곳(the venue)‘the Lagoa de Jacarepaguá’를 횡단하여 Olympic Park로부터 남동쪽 방향 약 8km지점에 놓여 있다고 합니다.

 

2.  Rio2016 올림픽 IOC 본부호텔 (Windsor Marapendi호텔)이모저모

 

731 IOC총회개회식이 열릴 예정인 Cidade das Artes문화센터는 Rio2016올림픽 대회기간 동안 IOC 공식 근거지로 활용될 IOC Family Hotel the Windsor Marapendi(주소: Avenida Lucio Costa, 5400; Barra Da Tijuca)본부호텔로부터는 북서 쪽 방향 4.6km에 위치한다고 합니다.

 

 

 

                                 (Rio Windsor Marapendi IOC본부호텔)

 

 

                                             (Rio의 Copacabana 해변)

 

 

 

Cidade das Artes건물에는 IOC총회장 뿐만 아니라 Tokyo2020Rio현지 홍보 및 네트워킹 활동근거지인 Japan House 역시 함께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합니다.

 

 

 

412일 오전에 시작된 IOC조정위원회 본회의(Plenary Session)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는데 IOC는 이번 동 호텔방문은 Rio2016올림픽 대회기간 중 IOC본부호텔 운영을 위한 일종의 테스트 이벤트 형태로 점검하게 되는 셈이라고 합니다(This visit, which officially began with a Plenary Session this morning, is thus billed as a form of test event for the Games-time hotel.)

 

특히 Cidade das Arte은 차기 올림픽인Tokyo2020의 주 활동무대 역할을 함으로써 Rio2016올림픽 대회기간 동안 주요 핵심지역(a major hub)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3.  129 IOC총회 상정 주요안건 및 Tokyo2020정식 추가종목 이모저모

 

금번 제129 IOC총회에서 내려질 결정사항들로는 현재 24명의 충원 가능상태(총원115명 중 현원91)에서의 신임 IOC위원들 선출의 건과 Tokyo2020올림픽 추가 신규종목 선정 안건들이 상정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차기 동 하계 올림픽 및 청소년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준비상황보고도 포함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Rio2016올림픽조기위원회 최종준비상황보고

2)  평창2018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준비상황보고

3)  Tokyo2020 올림픽조직위원회 준비상황보고

4)  Beijing2022 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준비상황보고

5)  Buenos Aires 2018 하계청소년올림픽(YOG)조직위원회 준비상황보고

6)  Lausanne 2020동계청소년올림픽(YOG)조직위원회 준비상황 보고

 

아울러 2016 2월 지난 달 성공적으로 종료된 제2 Lillehammer동계 청소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내용이 요약 보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6 63IOC(집행위원회)가 발표한 8명의 신임 IOC위원후보 명단(3, 5)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uis Alberto Moreno(63/콜롬비아 은행장)

2)  Anant Singh(60/남아공 영화제작자)

3)  Nita Ambani(52세 여성/인도 사업가 겸 Reliance재단 창립자 이사장)

4)  Ivo Ferriani,(56/이태리/IBSF회장)

5)  Sari Essayah(49세 여성/핀란드 육상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선수출신 정당대표/2012년 낙선한 대통령후보)

6)  Tricia Smith(59세 여성/캐나다NOC위원장

7)  Auvita Rapilla(45세 여성/파푸아뉴기니 NOC사무총장)

8)  Karl Stoss(59세 여성/오스트리아 NOC위원장)

 

 

Tokyo2020 올림픽 신규 추가 예정종목들로는 1)Baseball and Softball, 2)Karate, 3)Skateboarding, 4)Sport Climbing 5)Surfing 5개 종목이 개최국인 일본 측이 2015 IOC에 제안 한 바 있습니다.

 

 

Tokyo2020올림픽조직위원회는 지난 928일 올림픽 추가종목으로 5개 종목(Sports)18개 세부종목(Events)을 제안하였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1)야구/소프트볼 연합종목(Baseball/Softball), 2)가라데(Karate), 3)스케이트보드(Skateboard), 4)스포츠 등산(Sport Climbing) 5)서핑(Surfing) 5개 종목은 결선에 올랐던 8개 종목들 중 “전통적임과 신흥적임(traditional and emerging) 및 청소년취향 이벤트(youth-focused events)를 고루 아우르는 것으로 평가됨으로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결선에 올랐던 스쿼시(Squash), 볼링(Bowling) 및 우슈(Wushu) 3개 종목은 탈락되었다고 합니다.

 

 

추가 종목 수는 최근 올림픽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인데 18개 세부종목이 모두 추가될 경우 28개 정식종목 프로그램에 합류하게 되어 열외로 474명의 선수들이 도쿄올림픽에 참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Tokyo2020이 제안한 5개 종목 18개 추가세부종목의 운명은 지난 2015 12월 금년 4/4분기에 개최되는 IOC집행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친 바 있습니다.

 

따라서 2020년 올림픽 신규종목과 세부종목 수 및 구성에 대한 최종결정은 2016 81~3일 브라질 리우 개최 제129 IOC총회에서 내려질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Tokyo2020올림픽 추가 종목들은 2020년 이후까지 적용되는 영구 붙박이 종목(permanent fixtures)으로 구상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2014 12월 제127차 모나코 IOC총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IOC개혁내용에 따르면 향후 올림픽개최도시들 역시 또 같은 기회가 주어지게 되어 기존 28개 핵심종목(on top of the 28 core sports on the program)에 더하여 각 개최도시들의 올림픽비전에 최적인 신규종목(new sports) 및 세부종목(events)을 추가로 제안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Tokyo2020조직위원회의 계획에 의하면 1)야구/소프트볼 종목이 가장 많은 선수들이 출전하게 되는데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끝으로 탈락되었던 이 종목의 경우 남자(야구) 144명 선수(6개 팀 x 24명 남자선수들), 여자(소프트볼) 90(6개 팀x15명 여자선수들) 등 모두 234(메달은 2)에 이를 전망입니다.

 

 

야구/소프트볼 종목은 일본 내 막강 인기덕분에 금년 IOC 총회 승인 대상 1순위로 점쳐지고 있습니다.

 

2)가라데의 경우 가타(kata)와 쿠미테(kumite) 부문에서 8개 세부종목이 추가되게 되는데 출전 선수 수는 80명이지만 가장 많은 8개 메달이 걸려 있어 개최국 일본의 실속추구 염원이 훤히 들여다 보이는 것 같습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올림픽정식종목이 된 한국의 태권도의 경우 세부종목 수는 8( 4, 4)로 가라데와 동수이지만 국가 별로 최대 4개 세부종목에만 참가제한 규정이 적용되어 가라데의 8개 제안 세부종목이 정식추가 종목으로 승인되면 메달경쟁에서 우리나라보다 명백히 유리해 질 것으로 전망되기도 합니다.

 

 

3)스케이트보드(Skateboard)의 경우, 80명의 선수들이 남녀 스트리트 및 파크 종목(mens and womens street and park events) 등 총 4개의 메달이 주어지게 될 것입니다.

 

 

4)스포츠 등산(Sports Climbing)의 경우, 40명의 선수들이 Bouldering Lead Speed Combined에 메달이 주어질 전망입니다.

 

 

5)서핑(Surfing)의 경우, 역시 40명의 선수들이 남녀 Shortboard 세부종목(남녀shortboard 세부종목/men's and women's shortboard events)에 출전하게 될 예정입니다.

 

 

이같이 Tokyo2020이 선정한 5개 종목 패키지의 공통점은 올림픽운동(Olympic Movement)과 올림픽가치(its values)를 지향하는데 특히 청소년취향(youth appeal)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고 동시에 일본 대중참여와 새로운 세계 관객들을 참여시킴으로 Tokyo2020대회비전을 반영하고 있다라고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당초 26 IOC인정종목 국제연맹들(IOC-recognized international federations)로부터 정식추가종목 신청서를 제출 받았지만 지난 20156, 8개 종목으로 압축한 (the short-listing of eight sports)바 있습니다.

 

2015 928 Tokyo20208개종목에서 다시 5개 종목(Sports) 18개 세부종목(Events/메달)으로 최종 압축된 후 최근 2016 61 IOC집행위원회의 최종 검토승인 후 상정되어 오는 81~3일 열리는 제129 IOC총회의 표결 인준만 남은 셈입니다.

 

 

 

          

               (자료출처: IOC홈페이지)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7. 13. 14:24

[OCA(Olympic Council of Asia)본부 쿠웨이트에서 한국으로?]

 

*순서:

 

. OCA본부 탈 쿠웨이트화 가속화 조짐전말과 본부이전 유치 9개국 러브 콜

. 쿠웨이트 정부의 IOC에 대한 1조원대 손해배상 청구 소송의 초 강수 승부수

 

. 쿠웨이트 스포츠 법령제정으로 쿠웨이트 체육 계 초토화

 

. 쿠웨이트와 IOC의 악연

.  IOC와 쿠웨이트 협상대표단 그리고 UN과의 협상중간정산

. OCA본부 퇴출위기 상황과 향후 전개 전망

.  IOC와 쿠웨이트 협상대표단 간의 신경전 양상

. 쿠웨이트 측의 IOC의 부당한(?) 협상 방향에 대한 항변(OCA“Bargaining Chip”?)

. Mr. 철옹성, Sheikh Ahmad의 내우외환 (內憂外患) 위기국면 28가지 전개 스토리 요약 정리

 

 

 

*내용:

 

1.  OCA본부 탈 쿠웨이트화 가속화 조짐전말과 본부이전 유치 9개국 러브 콜

 

아시안게임을 관장하고 아시아올림픽운동을 총괄하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Olympic Council of Asia) 1982 12월 인도 뉴델리에서 AGF(Asian Games Federation)에서 OCA로 탈바꿈하여 새로운 출발을 한 바 있습니다.

 

새롭게 창립된 OCA가 본부를 개설하고 활동한지 34년 간이란 긴 세월 동안 초대회장이었던 고 Sheikh Fahad Al-Ahmad Al-Sabah회장이래로 뒤를 이어 1991년이래 2 OCA회장으로 등극한 초대회장의 아들인 Sheikh Ahmad Al-Fahad Al-Sabah에 이르기까지 쿠웨이트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쿠웨이트에 둥지를 틀고 명맥을 이어왔습니다.

 

2015 1027부당한 정부 간섭”(undue Government interference)을 명목으로 쿠웨이트 NOC에 대한 IOC집행위원회의 자격정지조치 발표 이래 쿠웨이트 정부와 IOC 그리고 논란의 소용돌이 속에 쿠웨이트에 본부를 둔 OCA와 수장인 Sheikh Ahmad OCA ANOC회장은 미운 오리새끼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4월 쿠웨이트로부터 OCA본부 퇴출 통지까지 받은 상황이었습니다.

 (Sheikh Ahmad)

 

이 와중에 OCA 는 대체본부 후보 국으로 한국(인천광역시포함)총 아시아 5개 지역 9개국으로부터 공식 본부유치 러브 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 서아시아(West Asia)지역: 3개국

(2) 중앙아시아(Central Asia): 1개국

(3) 남아시아(South Asia)지역: 2개국

(4) 동남아시아(South East Asia): 1개국

(5) 동아시아(East Asia): 2개국

 

이들 9개국 중 공공연하게 본부유치 국으로 알려진 한국의 인천광역시는 인천시청이 여러 가지의 인센티브까지 발표하면서 OCA본부유치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OCA는 새로운 OCA본부위치선정을 오는 2016 925일 베트남 다낭(Danang)에서 열리는 2016 OCA총회에서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  쿠웨이트 정부의 IOC에 대한 1조원대 손해배상 청구 소송의 초 강수 승부수

 

 

 

한편 쿠웨이트에서는 올림픽운동 관장국제기구들과의 관계개선의 어떤 징후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쿠웨이트 정부가 IOC본부가 소재한 스위스 로잔느 민사재판소(Lausanne Civil Court)에 쿠웨이트 NOC에 대한 IOC의 자격정지조치를 뒤집을 판결 요청과 쿠웨이트 NOC가 자국 기를 앞세워 Rio2016올림픽출전을 허용할 것을 요구하는 법적 소송을 제기한 상태라고 합니다

 

 

이와 연관하여 쿠웨이트는 이어 자국 NOC IOC로부터 자격정지조치 받은 것과 쿠웨이트정부가 자국축구협회에 대한 FIFA의 자격정지조치를 번복하기 위한 스포츠중재재판소 (CA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중재시도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물어 IOC에 대하여, 지난 달 6 US$10억 불( 12천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한 바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uwait Football Association)

 

 

 

3.  쿠웨이트 스포츠 법령제정으로 쿠웨이트 체육 계 초토화

 

 

쿠웨이트 공공 체육 청(KPSA: Kuwait’s Public Sport Authority)은 자국의 모든 경기단체들과 NOC해산 권을 부여 받은 쿠웨이트 국회통과 법령을 바탕으로 자국 스포츠 전반을 완전히 장악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신 법령에 따르면 KPSA는 자국에서 관련 법규에 순응하지 않는 자(anyone in Kuwait who is not in compliance with this law)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3년 징역(three years’ imprisonment)처벌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 합니다.

 

로잔느 민사재판소(the Lausanne Civil Court)는 오늘(712) 소송에 대한 청문회를 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expected to hear the case July 12th)

 

 

4.  쿠웨이트와 IOC의 악연

 

지난 2016322일 자 외신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2015 1027부당한 정부 간섭”(undue Government interference)을 명목으로 쿠웨이트 NOC에 대한 IOC집행위원회의 자격정지조치 발표 이래 쿠웨이트 정부와 IOC 그리고 논란의 소용돌이 속에 핵심 인물이 되어버린 세계스포츠의 파워브로커로 알려진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사이에 복잡미묘 다단한 실타래가 아직 풀릴 기미가 없어 보여 왔습니다.

 

(Sheikh Ahmad Al-Fahad Al-Sabah/사진출처: insidethegames)

 

2016년 기준으로 쿠웨이트는 4년 전(2012)에도 유사한 자격정지조치를 IOC로부터 받은 바 있는데 런던2012올림픽 직전에 가까스로 해금조치를 받아 자격정지를 모면한 바 있습니다.

 

이제 5년 동안 두 번의 자격정지조치를 받은 쿠웨이트 NOC에 대하여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쿠웨이트 NOC에 대한 IOC의 자격정지조치를 해제하기 위해 마련된 2가지 제안초안(two draft proposals)협의 과정이 지난 1월 말 UN 후원 하에 양측이 합의 분위기로 가다가(The negotiations that took place between the two parties under the auspices of the UN at the end of January led to a number of proposals to settle the issue.) 막판에 쿠웨이트 정부 훈령에 의해 여지 없이 묵살당했으며 쿠웨이트 정부 측이 협의 진전사항과는 무관한 내용을 담은 새로운 제안은 지난 3월 초 IOC가 거부하였다(All were rejected by the government of Kuwait. The government then submitted a new draft which did not reflect the discussions carried out so far and that was subsequently rejected by the IOC early March.)는 소식이 알려진 바 있습니다.

 

 

현 상태가 지속될 경우 쿠웨이트 선수들은 오는 8 Rio2016올림픽에 자국 기를 앞세워 올림픽에 출전할 수 없고 단지 독립 선수 형태로(as independent athletes) 대신 올림픽 기를 들고 개회식에 입장할 운명에 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 굳어져 가고 있습니다.

 

 

5.  IOC와 쿠웨이트 협상대표단 그리고 UN과의 협상중간정산

 

오는 85 Rio2016올림픽 개회식에 앞서 논란이 되어 온 쿠웨이트 정부의 간섭(alleged Government interference)에 대하여 IOC가 금지조치를 받아 야기된 현 시국을 타개하기 위해 양쪽이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었지만 각자 자기들의 조건들을 내세워 대치하고 있는 형국이었습니다(Each side, however, went it on their terms.)

 

(쿠웨이트 선수단/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위에 서술한 2가지 합의제안초안내용은 UN, Pere Miro 올림픽운동 관계 IOC사무차장이 함께 동석한 가운데 제네바에 모여 IOC와 쿠웨이트 대표들 간에 합의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Reuters통신은 전한 바 있었습니다.

 

이 합의안 내용은 협상에 참여한 쿠웨이트 측 협상자들에게 제안을 수락하지 말 것을 정부훈령으로 지시 받은 바람에 무산되었다고 합니다.(These were rejected by the Government, who instructed the negotiators not to accept the proposals.)

 

쿠웨이트 측 협상참여자들은 합의도출 무산의 이유로 IOC가 자격정지조치 해제조건으로 국가 법을 변경하라고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한 바 있습니다(They claim this was because the IOC demanded changes to a national law for the ban to be lifted.)

 

“We- the negotiation delegation – refused the proposal from the IOC because they requested that our delegation give approval for changing the laws of Kuwait.”라고 쿠웨이트 측 협상수석대표인 Mohammad Alfili Reuters통신에게 성명서를 통하여 밝힌 바 있다고 합니다.

그는 IOC의 금지조치를 부당한 올림픽금지조항”(Unfair Olympic Ban)이라고 성명서에 명명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쿠웨이트는 IOC의 자격정지조치의 여파로 17개 국제경기연맹들이 연쇄적으로 쿠웨이트에 대하여 자격정지조치를 병행하였다고 알려졌습니다.

 

6.  OCA본부 퇴출위기 상황과 향후 전개 전망

 

쿠웨이트 정부와 OCA간의 합의도출이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2006년 체결한 리스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인 지난 4, 새롭게 단장했던 OCA본부는 10년 리스 계약이 종료되어(the OCA’s 10-year lease, which expires next month)쿠웨이트 시로부터 강제축출 당할 위기에 봉착하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쿠웨이트 소재 OCA본부 건물/ 사진출처: insidethegames)

 

한편 IOC의 성명서내용이 OCA의 건물 리스에 대한 입장과 충돌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가운데(But the IOC’s statement appears to conflict with the OCA’s position on the lease.) OCA와 근접한 한 소식통에 따르면 정작 OCA IOC와 쿠웨이트 간의 분쟁조정 협의안건의 일부로 OCA본부건물 리스 계약갱신내용을 포함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았다고(the Asian Olympic body did not ask for the renewal of their lease to be part of talks about a settlement between the IOC and Kuwait.)언급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122일 제네바 UN사무실에서 가졌던 협의의 초점은 쿠웨이트정부가 OCA의 면책/면세 합의(OCA’s immunity agreement)취소결정에 대하여 우호적인 해결점”(amicable solution)도출이었다고 알려진 바 있었습니다.

 

동 협의 내용에는 OCA본부 근무 직원들의 인권과 연계하여 쿠웨이트네 직원들 가족 거주에 따른 지위존중을 비롯하여 쿠웨이트에 보관 중인 제1회 아시안게임까지 포괄하는 아시아 올림픽운동 소장자료 보호조치 확보방안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This included ensuring that the human rights of the OCA’s staff members are respected in regards to their and their families’ residency in Kuwait and also ensuring the protection of the Asian Olympic Movement’s archives which are stored in Kuwait and date back to the first Asian Games.)

 

2006년 체결된 합의문건에는 OCA에게 본부건물을 위한 대지 무상사용과 외교면책 및 재정수입에 대한 짭짤한 혜택관련 조항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The contract signed in 2006 granted the OCA land for their headquarters and came with lucrative benefits including diplomatic immunity and financial gains.)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7.  IOC와 쿠웨이트 협상대표단 간의 신경전 양상

 

쿠웨이트 측 수석협상대표는 IOC의 토의내용 처리방식에 대해 실망하였다고 포문을 열었다고 합니다.

 

 

Pere Miro IOC사무차장은 UN 임원들이 배석한 가운데 양측이 합의된 2가지 합의 초안들(two draft deals)을 쿠웨이트 정부가 거부하였다고 언급 하였다고 합니다.

 

Mohammad Alfili 쿠웨이트 수석협상대표는 Miro가 협상테이블에 참석한 IOC 3인의 공식대표도 아닌 주제에 코멘트를 하는 이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협상에서 합의된 사항이 없었음을 확인하였다고(confirmed no draft deal was agreed) 합니다.

 

(쿠웨이트 선수단 기수/ 사진출처: insidethegames)

 

그는 쿠웨이트 스포츠 관련 법령들이 올림픽헌장 및 국제경기연맹들의 규정을 준수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UN이 쿠웨이트 법 개정 제안에 대해 거절하는 것을 목격한 바 있다고 확인하고, 쿠웨이트는 민주국가이므로 법 개정은 절차와 수순에 따라 필요할 경우 국회에서 표결로 처리하는 것인 바 대표단은 IOC의 그러한 요청을 승인할 권리를 행사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였었다고 합니다.

“The UN witnessed our refusal of the IOC’s proposal to amend the Kuwaiti laws.”

“Kuwait is a democratic country with due process to follow – if a law needs amending, it must be voted on at the Parliament. “

“Therefore, no delegation from our country has the right to approve such requests.”

 

그는 이어서 IOC가 그릇된 정보에 입각하여 쿠웨이트 NOC에 자격정지처분을 내린 것이 명백하며 잘못된 정보내용에 대한 해명으로 최근 개정된 스포츠 법령이 지향하는 바들을 분명히 설명하였다고 덧붙였다고 합니다.

“It was clear that the IOC suspended Kuwait Olympic Committee on information that was misleading, to which we clearly explained what was meant by the latest amendments to the sports legislation.”

 

그는 개정된 스포츠 법령은 실제로 쿠웨이트 내 존재하는 스포츠클럽들이 해당 총회를 거쳐 자신들의 규정 등을 승인하도록 허용하는 취지를 살려 자치 성을 지원하기 위한 의도로 만들어 진 것이며 이는 이미 해당국제경기연맹들의 규정에 부합하도록 자체 규정들을 만들어 적용하고 있는 쿠웨이트 내 모든 국내연맹들과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The amendments were actually made in order to support the autonomy of sport by allowing the sport clubs in Kuwait to approve their own statutes in their general assemblies, similar to all the national sports associations in Kuwait who already have their own statutes in compliance with the statutes of their respective international associations.”

 

IOC는 쿠웨이트 소재 OCA본부 리스계약갱신(renewal of the lease for OCA HQs.) 문제를 쿠웨이트 스포츠 법령에 대한 분규해결을 위한 협상내용 중 일부로 포함시켰었다는 이야기도 흘러 나오고 있다고 한 바 있었습니다.

 

쿠웨이트는 Sheikh Ahmad OCA회장을 강한 어조로 비판하였고 최근 몇 개월 간 그를 고소하려고 노력 중인 와중인 것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OCA본부 건물 리스 계약 10년이 4월에 종료되었지만 쿠웨이트 정부 소식통에 의하면 리스계약을 갱신할 계획이 전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었으며 정부는 그 본부를 쿠웨이트 자국 영토에서 축출하기 위해 목하 으름장을 놓고 있는 중(The government is threating to kick the continental association out of the Gulf nation.)인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Miro IOC사무차장은 122일 양측 회동 이후 3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협상자들은 사라져버렸으며 쿠웨이트 정부가 UN에 현안토의 내용과 무관한 새로운 제안서를 보냈고 IOC는 이를 수용할 수 없으며 조만간 누군가 이성적인 방법으로 사태를 진전시켜야 할 것과 합의에 이르고도 서명을 하지 못한 배후에는 어떤 다른 무언가가 작용하고 있다(the government of Kuwait, not the negotiators who had disappeared, sent to the United Nations a new proposal that had nothing to do with our discussions. We could not accept that. Sooner or later someone should move for the rational way. If we got the agreement[and not signed], someone else is behind this non-agreement.)라고 Reuters통신에 언급하였던 것으로 보도된 바 있습니다.

 

(Pere Miro<사진 맨 좌측>/사진출처: IOC홈페이지)

 

8.  쿠웨이트 측의 IOC의 부당한(?) 협상 방향에 대한 항변(OCA“Bargaining Chip”?)

 

Mohammad Alfili 쿠웨이트 수석협상대표는 쿠웨이트 정부는 Miro IOC사무차장이 협상내용의 주안점들을 폭로한 후에 Miro의 코멘트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Kuwait government was responding to Miro’s comments after he had “revealed points of the negotiation”.)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I

OC가 쿠웨이트 정부에 대해 스포츠의 자치 성을 전제로(under the assumption of the autonomy of sport) 협상을 제안하고 나서 사실상 2016 4월 종료되는 OCA 본부 리스계약 갱신 건을 안건으로 토의하고자 자치 성 문제는 교섭을 유리하게 이끄는 재료(in fact used this as a bargaining chip)로 활용하였노라고 항변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IOC는 쿠웨이트 정부더러 쿠웨이트 국내경기연맹들과 클럽들과 선수들이 IOC를 상대로 진행중인 법적 소송 건들을 취하하도록 충고할 것을 요청하였는데 그것이 반대급부로 쿠웨이트 NOC의 자격정지 조치를 해제하겠다는 제안을 하게 된 의도임을 폭로하였다(“The IOC asked the Kuwait government to the table to ask the Kuwait government to advise national associations, clubs and athletes to withdraw the legal cases against the IOC in exchange for lifting the suspension on the Kuwait Olympic Committee.”)고 합니다.

 

그는 Miro가 협상자들이 사라져 버렸다”(had disappeared)라고 언급함으로 사실을 오도하고 허위로”(misleading and untrue) 여기도록 암시하였다고 꼭 집어 언급(He labeled Miro’s suggestion that negotiators “had disappeared” as “misleading and untrue”.)하기도 하였습니다.

 

쿠웨이트 측 협상대표들은 결코 사라지지 않았으며 회동 후 3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보내온 제안서는 협상대표단이 서명한 것이고 IOC IOC 올림픽운동 관계 사무차장이 쿠웨이트 국가와 협상대표단을 상대로 그러한 주장을 한 것에 대하여 실망하고 있는데 IOC, 특히 Pere Miro로부터 그릇된 성명서내용으로 인하여 우리는 그들과의 협상자체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Our team never disappeared, the proposal sent three weeks after the meeting, was signed by us[negotiators]. We are disappointed that the IOC and its duputy director general for relations with the Olympic Movement have made such claims against our country and our delegation. Because of such false statements from the IOC and especially from Mr. Pere Miro, we are questioning the negotiations with them.)라고 반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OC가 스포츠의 신뢰도를 사수하는 양 주장하면서 그 대신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직격탄을 날리는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고 합니다.

“How can the IOC claim to be acting in the good faith of sport but instead falsifies facts to suit the needs?”

 

Mohammad Alfili 쿠웨이트 수석협상대표는 쿠웨이트는 항상 IOC와 논의할 준비태세를 갖추고 임하여 왔으며 어떠한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경우 해결할 의지를 가지고 있지만 IOC대표가 공개적으로 회의내용의 사실을 호도하고 우리 대표단의 평판과 신뢰를 국제 스포츠 세계에 폄하하려고 할 때 우리는 그것을 이해하고 넘어가기 어려운 입장이다.”(Kuwait has always stood ready to discuss with the IOC and solve any misunderstandings, but we do not appreciate when an IOC representative openly misrepresents the facts of a meeting and tries to discredit our team to the international sport world.)라고 덧붙여 입장표명을 한 것으로 보도 되었습니다.

 

이러한 지경에서 분쟁에 따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는 쉬워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쿠웨이트 선수들이 Rio2016올림픽에 쿠웨이트 국기 대신 올림픽 기를 앞세워 행진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점만이 확실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Sheikh Ahmad Al-Fahad Al-Sabah/사진출처: insidethegames)

 

9.  Mr. 철옹성, Sheikh Ahmad의 내우외환 (內憂外患) 위기국면 28가지 전개 스토리 요약 정리

 

Sheikh Ahmad는 약관 30세의 나이로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시 전사한 부친 Sheikh Fahad의 뒤를 이어 1991 OCA회장 및 IOC위원으로 국제 스포츠 계에 등장하였습니다.

 

이어 2011년에는 30년 넘게 ANOC회장으로 군림하여 온 멕시코의 Mario Vazquez Rana회장(IOC집행위원 및 PASO회장 역임)을 임기 중 권좌에서 도중하차 시키고 ANOC회장 직까지 차지하였습니다.

 

( Mario Vazquez Rana)

 

ANOC본부도 최근 IOC본부가 있는 스위스 로잔으로 옮겨 명실상부한 떠오르는 막강 국제스포츠 리더로서 그 명성을 떨치기 시작하였습니다.

FIFA집행위원 직도 손에 넣었습니다.

ANOC World Beach Games도 탄생시켰습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82 125일 제9회 인도 뉴델리 아시안 게임 시작 수일 전이었습니다.

그 당시가 바로 중동의 오일달러(Oil Money)로 아시아스포츠 계의 맹주로 주도권을 잡기 시작한 중동지역 신흥 스포츠 외교강국 쿠웨이트의 태동기였습니다.

쿠웨이트 왕족 출신인 故 Sheikh Fahad는 인도 등 추종국가들의 지원사격에 힘 입어 9차례 아시안게임을 주도해 왔던AGF(Asian Games Federation)란 조직을 발전적으로 해체한다는 명분과 함께 새롭게 OCA(Olympic Council of Asia)를 발족시키면서 경쟁상대 없이 무혈입성으로 초대 회장이 되었습니다.

 

 

( Sheikh Fahad)

 

1990년 제11회 베이징 아시안게임을 전후하여 스포츠 경기력 면에서 변방이면서 스포츠지도자 국 행세를 하려는 쿠웨이트 등 중동 세에 대항하여 한중일 아시아 스포츠 3대 강국은 주도권쟁탈을 위해 오월동주(吳越同舟)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때 마침 Sheikh Fahad가 사망한 직후여서 당시 덕망 있는 중국의 고 하진량(IOC부위원장 및 IOC문화 교육 분과위원장 역임) OCA회장 후보로 내세워 아시아 올림픽운동의 주도권탈환을 노렸습니다.

 

( Zheinliang HE)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직전 개최되는 OCA총회에서 OCA회장 후보로서 쿠웨이트 Sheikh Fahad 의 아들인 Sheikh Ahmad가 부친의 뒤를 이어 입후보하였습니다.

 

OCA회장 후보규정 상 연령제한( 30세 이상)에 제약을 받았던 Sheikh Ahmad는 총회에서 중동국가 등 지지세력들과 연합하여 OCA회장 선거를 1년 뒤인 1991년으로 연기시키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초기 Sheikh Ahmad)

 

또한 중국의 중동지역과의 수출 등 경제관계까지 동원하여 하진량 IOC위원의 OCA회장 후보출마도 포기시키는 치밀한 사전 막후정지작업까지 마친 뒤였습니다.

 

1년 뒤 지지 국인 인도 뉴델리에서 OCA임시총회가 열렸습니다.

 

당시 OCA사무총장은 인도의 Air Marshall Mehta가 맡고 있었고 親 Sheikh Ahmad였는데 그는 교묘한 OCA규정 적용으로 Sheikh Ahmad OCA회장 자격 논란을 잠재웠습니다.

 

사전에 선거전략과 치밀한 총회 분위기 만회작전으로 Sheikh Ahmad는 드디어 부친의 뒤를 이어 제2 OCA회장으로 추대되었습니다.

 

그 사이 부친이 맡고 있던 IOC위원 직도 승계한 셈입니다.

 

OCA본부를 쿠웨이트에 두고 4년 마다 개최되는 OCA임원선출 총회는 예외 없이 쿠웨이트에서 열었으며 모든 OCA임원들 역시 OCA회장 뜻대로 선출되는 진풍경의 연속이었습니다.

 

그러한 관행과 권력이 1991~2015년까지 이어오고 있는 중입니다.

 

IOC위원장 및 집행위원 선출 규정과는 달리 OCA의 경우 임기제한 또는 연령 제한이 없으며 윤리규정 또한 전무한 곳이 OCA입니다. 

 

이러한 철옹성인 OCA와 그 수장이 지금 위기상황에 봉착한 것처럼 보입니다.

 

Sheikh Ahamd OCA ANOC 회장의 최근 행적과 눈부신 활약 뒤에 펼쳐지는 위기국면 27가지 전개 국면 별로 요약 정리하여 공유합니다:

 

(1) Sheikh Ahmad, Bach IOC위원장 선거 전폭지원으로 Bach위원장과 함께 국제스포츠 계 실세로 인정(2013년 후반부 IOC총회)

(2) Sheikh Ahmad, Bach IOC위원장 주도 Olympic Agenda 2020통과 ANOC차원에서 전적 지지선언으로 Bach위원장과 밀월관계 가속화 (2014~2015년 전반부/IOC 총회)

(3) Sheikh Ahmad, Marius Vizer SportAccord회장의 Bach IOC위원장 공격 시 Bach 지지 성명 발표로 Bach와 밀월관계 지속(2015. 4 SportAccord총회 개회식 직후)

 

(Sheikh Ahmad Thomas Bach/20154월/사진출처: insidethegames)

 

(4) Sheikh Ahmad, Sepp Blatter FIFA회장 5번 째 연임 지지 및 지원으로 국제 스포츠 계 파워브로커(Power Broker)역할 자리매김 (2015 5)

(5) Sheikh Ahmad, 베이징2022동계올림픽 유치성공 간접지원(추정)으로 국제 스포츠 계 파워브로커(Power Broker)역할 자리매김 가속화(2015 731)

(6) Sheikh Ahmad FIFA집행위원 선출로 국제스포츠 계 실세로 다양하게 날개 펼침(무혈입성/AFC총회, 430)

(7) Sheikh Ahmad, FIFA 차기 회장 선거에 관한 한 주도권 행사로 FIFA 킹 메이커로 자리매김함으로 영향력 일취월장 비상(supposed kingmaker in the FIFA election /2015 5월이래)

(8) Sheikh Ahmad, 2015 ANOC총회(미국 Washington D.C.) ANOC Gala 시상식(2) 개최 등으로 지속적인 국제적 위상강화 및 세력확장에 박차(2015 10월 말)

 

(Joe Biden미국 부통령 연설 중 뒤편: 좌로부터, Thomas Bach, Sheikh Ahmad/2015 10월 말//사진 출처: insidethegames)

 

(9) Sheikh Ahmad, 미국의 San Diego를 전격적으로 2017 929~109일 열릴 예정인 제1 ANOC World Beach Games개최도시로 선정되도록 전폭지원(2015 10월 말)

(10)      Sheikh Ahmad, 2022년 하계올림픽 유치경쟁 레이스에서도 영향력 순위 1위로 급부상 및 LA지원으로 미국과의 관계설정 포석 가능성으로 Bach위원장의 심리에 변화 가능성 추정 (2015 10월 말)

(11)      Sheikh Ahmad, ANOC집행위원회에서 2016 ANOC총회 올림픽개최도시인 Rio에서 중동지역인 Doha로 전격변경(2015 10월 말)

(12)      FIBA FIFA, IOC방침의거 쿠웨이트 농구협회 및 축구협회 자격정지(10월 초)

(13)      IOC, 2010(2012년 런던올림픽 개회식 전날 자격정지 해제 조치한 바 있음)에 이어 쿠웨이트 NOC 2번째 자격정지처분(2015 1027일 자)

(14)      쿠웨이트 스포츠 청(Kuwaiti Public Authority of Sport), IOC의 자격정지처분에 대하여 비난하면서 쿠웨이트 국내와 해외에서의 동시 합작음모론(plotted inside Kuwait and plotted abroad) 주장(1028)

(15)      쿠웨이트 스포츠 청 (Kuwaiti Public Authority of Sport), Sheikh Ahmad가 실력자이면서 도움 외면하였을 것이라고 섭섭한 속내 공개표명(Sheikh Ahmad should have done more to help them with regards to the suspension)(1028)

(16)      Sheikh Ahmad, IOC의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처분에 대하여 합법적으로 속수무책이었음을 주장(I am very sad, upset.)(1028)

(17)      Sheikh Ahmad, 쿠웨이트가 직전 올림픽 전과 동일하게 같은 실수 반복한다고 주장(now they have made the same mistake again)

(18)      Sheikh Ahmad, 쿠웨이트 국내 스포츠 무 관여를 토로하면서(“I’m not involved in local sport.”), 스포츠보다 정치로 말미암아 이러한 사태초래 되었다고 주장 (“Politics in Kuwait has played more of a part in this than sport.)

(Sheikh Ahmad /사진출처: insidethegames)

 

(19)      이로써 쿠웨이트는 CAS(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WADA(World Anti-Doping Agency)법규 준수 대상에서 제외

(20)      또한, 쿠웨이트는 IOC의 자격정지처분의 결과로 자국에 본부를 둔 OCA(Olympic Council of Asia)로부터 자동 자격정지 상태임

(21)      따라서 오는 12월에 예정되었던 OCA IOC올림픽 솔리다리티(Solidarity) 지역 포럼을 포함한 모든 대륙 행사 및 활동에서도 배제됨

(22)      Sheikh Salman Sabah Salem Al-Humoud Al-Sabah 쿠웨이트 정보처장관 겸 국가 청소년 부 장관 겸 아시아 사격연맹(ASC)회장은 IOC의 금번 쿠웨이트에 대한 자격정지처분에 대해 전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totally unacceptable)처사라고 주장 

 

(사진 우측이 Sheikh Salman Sabah Salem Al-Humoud Al-Sabah/사진출처 insidethegames)

 

(23)      Sheikh Salman Sabah Salem Al-Humoud Al-Sabah장관은 현재상황은 sheikh Ahmad를 지칭하는듯한 표현인 쿠웨이트의 아들들”(sons of Kuwait)에 의해 야기되었음을 재차 주장

(24)      쿠웨이트 정부, OCA탈퇴(withdraw from the OCA) 2014년 새롭게 재 개장한 OCA본부와 연계하여 쿠웨이트 정부가 OCA와 체결한 국제적 외교면책특권협정’(international diplomatic immunity agreement) 파기(breaking off) 검토 보도

(25)      Sheikh Ahmad, 자국 정부와 피곤하고 긴장된 관계(a strained relationship)로 보인다는 보도내용 등장

(26)      OCA성명서, 사태 해결 위해 노력 중이며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위한 계획 수립중임(making plans for every scenario)을 밝힘

(27)      OCA, 현재 정치적 위기로 인해 OCA본부가 쿠웨이트에서 나가야 할 경우 복수의 국가로부터 OCA본부 영입제안 접수중임을 밝힘

(28)      201679일 현재 아시아 5개지역 9개국으로부터 OCA본부이전 유치 신청 접수 및 925일 베트남 다낭개최 OCA총회에서 새로운 OCA본부 이전 국가 및 도시 결정예정

 

*References:

-insidethegames 

-arountherings

-IOC 홈페이지

-SportIntern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7. 6. 15:15

[외신이 본 박태환 선수의 Rio2016출전 전망예측]

 

73일 자 외신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박 태환선수는, 한국 법원이 박 선수가 올림픽출전자격 권이 주어져야 한다고 판결함에 따라, Rio2016 올림픽출전권을 추적중인 가운데 힘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사진출처: insidethegames)

 

Rio 2016 한국대표선수가 되기 위한 투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당사자인 박 태환선수(26)가 다가오는 Rio2016 올림픽출전자격을 주어야 한다는 한국 법원판결을 받음으로 올림픽참가가 실현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한 셈이라는 관전 평입니다.

 

박 선수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수영 자유형 4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바 있으며 도핑양성반응의 결과로 내려진 자격정지 이후 국가대표자격을 3년 간 금지한다고 규정을 고집하고 있는(ruling which forbids athletes from representing any national team for three-years after a doping suspension) 현재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controversial) KOC와 힘겨루기 양상에 있다(is contesting a controversial Korean Olympic Committee )고 보도하였습니다.

(사진출처: IOC홈페이지)

 

한국스타플레이어인 박 선수에게 구제의 길이 시작될 수 있는 조짐으로 서울 동부지방법원은 KOC가 박 선수가 Rio2016 올림픽출전을 금할 어떤 근거도 없다는 사실에 동의하였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연합뉴스보도에 따르면 지방법원 판결내용은 박 선수가 국가대표수영선수 선발에 관한 대한수영연맹규정 제5조에 근거하여 자격을 박탈당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Park] has no reason for being disqualified based on Article 5 of the Korea Swimming Federation's rule on the selection of national team swimmers.)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합니다.

 

한국지방법원의 결정은 다음 주 중 전달될 것으로 예정된 스포츠중재재판소(CA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의 동 건에 대한 판결(verdict)이 내려지기 전에 나온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insidethegames)

 

결산일(a cut-off date)로 알려진 78일은 최종결정이 내려지는 날로 인용되어 왔다고 합니다.

 

이러한 판결은 두 차례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우승자이며 런던2012올림픽 에서 2개의 은메달을 획득한 바 있는 박 선수가 다음 달 Rio2016올림픽 한국대표선수 자리확보를 위해 CAS로부터 긴급 판결(urgent ruling)을 애타게 추구하여왔던 와중에 내려진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KOC가 지난 6월 박 선수의 호소를 묵살하고 KOC의 결정 번복을 거부하였을 때 박 선수의 운명은 CAS손에 달려 있었습니다.

 

박 선수는 자신의 올림픽출전을 사실상(effectively) 배제시킨 KOC의 해당규정에 대하여 지난 4월 항소하였으며(Park filed an appeal against the KOC’s regulation), 중재절차가 당분간 정지되도록 요청함으로 향후 KOC와의 협의조정 회의를 마련할 수 있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박 선수는 법적 공방 없이(without pursuing further legal avenues) Rio2016출전 금지조치가 번복될 수 있기를 희망한 바 있었지만 지금으로서 박 선수의 유일한 희망은 CAS의 판결에 의한 성취로 보인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박 선수는 지난 4월 자신이 Rio2016올림픽 출전자격 부여 수영예선전 100m, 200m, 400m, 1,500m 자유형종목경기에서 우승하면서 KOC에 그 이상의 압박을 가한 바 있으며 동시에 그는 국제수영경기연맹 (FINA)가 설정한 올림픽 “A” 기준을 달성하기도 한 바 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IOC홈페이지)

 

박 태환선수는 자신이 수영국가대표선수로 선발되지 않을 것이라고 누차 통보 받음에도 불구하고 자체 훈련프로그램을 강화하여 72일 호주 브리스번(Brisbane) 그랑프리(Grand Prix) 수영대회에서 200m자유형 종목에 출전하여 4위를 차지한 바 있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6. 24. 15:27

[북한 평양, 2018 IWF세계주니어역도선수권대회개최지로 확정]

올림픽의 날인 623() 북한 평양이 2018IWF세계주니어역도선수권대회 개최도시로 결정되었다고 발표되었습니다.

북한은 2017 IJF세계주니어유도선수권대회와 아시아역도선수권대회도 연이어 개최하는 등 국제스포츠 무대에서 활발한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는 정황입니다.

평창2018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종료 3개월 뒤 한반도 북쪽에서 열리게 되는 국제스포츠행사인 셈입니다.

 

(외신이 소개한 북한 평양시가지 모습/사진출처:insidethegames)

 

평양은 경쟁도시들인 이스라엘의 Eilat와 미국 캘리포니아 Anaheim 그리고 벨라루스의 Minsk와 우즈베키스탄의 Tashkent 4개 경쟁후보도시들의 추격을 막아서 처단하고(fended off competition) 개최도시로 선정되었다는 보도입니다.

 

623일 평양을 포함하여 5개 도시들이 IWF(International Weightlifting Federation)집행위원회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합리적인 표 차이로 평양이 승리하여(won by a reasonable margin) 개최권이 부여되었다고 IWF대변인이 한 외신에게 귀뜸하여 주었다고 합니다

 

북한은 2015년에도 2017 IWF세계주니어역도선수권대회유치 출사표를 던졌지만 2020년 올림픽개최국인 일본에 패한 바 있습니다(losing out last year to 2020 Olympic host Japan)

 

2018년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가 611~18(8일 간) 동아시아국가인 북한에서 열리게 된 것은 주요이정표로 기록되기도(marks a major move) 하지만 더 큰 의미는 IWF가 스포츠행사를 통해 은둔국가(the reclusive state)를 개방(open up)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국제스포츠단체들 중 하나라는 인식입니다.

 

북한이 내년(2017) 최근 들어 강세를 보이고 있는 종목인 역도 아시아선수권대회도 함께 개최하는 국가로써 스포츠를 통한 개방이 기대되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북한은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3개의 타이틀을 획득했으며(won three Olympic titles) 2015년 미국 Houston개최 세계역도선수권대회에서는 6개 체급에서 1개의 금메달을 거뭐쥔 바 있습니다.

 

그 주인공인 윤철엄 선수는 2015년 미국 Houston에서 남자 56kg급 용상(clean and jerk)에서 자신의 최고기록을 경신하면서 또 다시 자신의 체급에서 세계선수권대회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셈입니다(Yun Chol Om broke his own clean and jerk world record in the American city to ensure the successful defence of his men’s 56 kilogram crown.)

 

 

(2015 IWF세계역도선수권대회 금메달리스인 북한의 윤철엄 선수/사진출처: insidethegames)

 

 

독재국가인 북한은 외국인들의 방문이 드문 나라인데도 2017 IJF세계주니어 유도선수권대회 개최권도 주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The country, a dictatorship which is rarely visited by foreigners, has also been tipped to host the 2017 Junior World Judo Championships.)

 

북한은 1953년 한국전쟁 휴전 후, 현재 엄밀하게 말하면 이웃한 한국과 아직까지 전쟁 상태(still technically at war)라고 외신은 정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양국은 스포츠를 관계개선을 위해 사용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합니다(But the countries are thought to want to use sport to better relations.)

 

                          

                                                                        (북한 NOC 로고) 

 

 

2013년 평양 당국은 한국역도선수들을 초청하여 북한에서 최초로 태극기 아래에서 경기에 임하도록 한 바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In 2013, the regime in Pyongyang invited South Korean athletes to compete north of the border, under their own flag, for the first time.)

 

622일에 IWF집행위원회는 참가자격 결정기간 동안 다수의 긍정적인 사례(multiple positive cases)를 보여준 북한이 Rio2016올림픽 출전자격 쿼터 배정 6개국 중 하나라고 확인한 바 있습니다.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몰도바 및 러시아와 같은 케이스로 북한의 경우도 쿼터 2자리가 배정된 반면 벨라루스(Belarus)의 경우는 쿼터 한 자리를 잃었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6. 24. 10:52

[쿠웨이트, IOC $10억불 손해배상청구 국제소송착수]

 

쿠웨이트가 IOC가 내린 자격정지처분으로 인한 쿠웨이트 선수단 올림픽참가배제조치에 항의하여 소송에 착수하였다는 623일자 외신보도입니다.

 

Sheikh Salman AL-Humoud Al-Sabah쿠웨이트 정보장관(Information Minister)는 쿠웨이트가 IOC에 대한 항의표시로 US$10억불( 12천 억 원)손해배상청구 법적 소송으로 대응하겠다고 전격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쿠웨이트 선수단이 자국 기를 앞세우고 대회개회식에 행진하는 모습/사진출처: insidethegames)

쿠웨이트올림픽위원회(KOC)는 지난2015 10 NOC에 대한 정부의 부당한 간섭(undue Government interference)으로 인해 자격정지조치를 받았는데 이는 2012년 런던올림픽 얼마 전에 유사한 자격정지조치를 해제해준 이래 또 다시 3년 만에 겪는 수모로 해석될 수 있겠습니다.

 

Sheikh Salman장관은 IOC의 금지조치가 불공평하게 내려진 것이며 적절한 조사’(an appropriate probe)가 이루어지지 않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쿠웨이트 선수들이 Rio2016올림픽에 자국 기를 걸고 경기에 참가할 수 없도록 금지조치처분을 관망 중이던 진행형 대하 극(ongoing saga)의 최신전개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고 합니다.

 

(Sheikh Salman AL-Humoud Al-Sabah/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쿠웨이트 측은 FIFA를 포함한 다른 15개 국제연맹들(IFs)로부터 쿠웨이트축구협회를 비롯한 자국 국내연맹들이 도매금으로 무더기 자격정지조치 받은 국제무대에서의 날치기 불법’(outlaw)사례에 이어 IOC로부터 받은 피해에 대한 보상을 추구하고 있다라는 것이라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쿠웨이트가 적절한 조사과정도 없이 이와 같이 불평등한 방식으로 취급 받아 국제스포츠활동이 금지되는 일은 전적으로 묵과할 수 없다.” (It's totally unacceptable that Kuwait is treated in this unfair way and barred from international sports activities without any appropriate probe being conducted.) 라고 Sheikh Salman쿠웨이트 정보장관이 국영통신사인 Kuna와의 인터뷰에서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Sheikh Salman 장관은 쿠웨이트가 IOC으ㅟ 자격정지조치를 막으려고 최선을 다했으며 협조하고자 신실한 바램을 보여주었지만 모두 허사가 되어버렸으며 UN이 후원하는 대표단을 제네바까지 파견하여 쿠웨이트정부가 어떤 방식으로도 스포츠활동에 개입하지 않았음을 설명하는 등 최선을 다했지만 결과상으로 보면 국제스포츠 계의 눈에 우리가 마치 불법자행자들(outlaws)로 비취는 당혹스런 상황에 처하게 되었음을 인터뷰에서 토로하였다고 합니다.

"From the very beginning Kuwait did it its utmost to prevent the IOC suspension and showed a sincere desire to co-operate, but all to no avail.

"We sent a UN-sponsored delegation to Geneva to explain to the sports body that the Kuwaiti government by no means intervenes in sports activities.

"However, we were put in an embarrassing situation in the eyes of the international sports circles and looked as if we were outlaws."

 

Rio2016올림픽에 자국을 대표하려는 쿠웨이트 선수들의 희망은 지난 주로 거의 끝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왜냐하면 지난 주에 쿠웨이트 국회가 쟁점 신규스포츠법령을 통과시킴으로(by the passing of controversial new Statutes by the National Assembly) 모든 스포츠관련 임원들 및 선수들이 독자적인 의견개진과 행동권이 박탈당했기(the rights were curtailed)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FIFA로부터 역시 자격정지 중인 쿠웨이트 축구협회 Emblem)

 

 

(Sheikh Salman AL-Humoud Al-Sabah<우측>/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쿠웨이트 국회에서 최근 통과된 새로운 법령조치 하에(under the new measures), 공공스포츠관할당국(PSA: Public Sports Authority)에게 KOC를 포함한 모든 스포츠단체들에 대한 해산권한(the power to dissolve)이 부여되었는바, 이 권한에는 스포츠단체들에 대한 모든 임명권과 재정권까지 행사할 수 있도록 까지 되어(as well as assuming control over all appointments and financial matters.)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신규법령에 불응 또는 거부하는 자는 누구를 막론하고 1~3년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Those who refuse to comply could face jail terms of between one and three years.)고 합니다

 

동 신규 법 시행령은 인권을 위협하는 조항으로 묘사되어 왔는데(described as threatening to human rights) PSA 총수인 Sheikh Salman가 제안하였으며 쿠웨이트 국회에서 46명 국회의원들 중 40명이 찬성하여 승인되었다고 합니다

 

이로써 오는 85일 개회식이 예정된 Rio2016올림픽 이전에 쿠웨이트에 대한 IOC의 자격정지조치가 해제될 가능성 일체를 사실상 일축한 것(effectively dismissed any chance)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동 법령 통과 총괄 배후 조종자 격인Sheikh Salman 장관은 동 법령개정 반대자들로부터 통렬한 비난에 직면하고 있는데(under fierce criticism) 혹자는 동 법령제안의 성격자체가 위헌적’(unconstitutional)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Sheikh Salman장관은 한술 더 떠서 동 법령이 단지 올림픽운동증진을 위해 스포츠단체들을 지원하고 후원하는 형태의 긍정적인 간섭만이 있을 뿐이라고 하면서 향후 어느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을 포용하는 공동 자세와 협조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며 쿠웨이트의 보다 높은 관심사항에 집중하여야 하고 스포츠진흥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말며 청소년들로 하여금 국제스포츠 이벤트에 참여토록 독려해야 한다고 덧붙여 강조하였다고 합니다.

"There is only positive interference in the form of support and backing for the sports bodies meant to promote the Olympic movement."

"Looking ahead, we stress the need for a common stance and cooperation involving all concerned parties without excluding anybody. All of us have to put the higher interests of Kuwait above all other considerations, spare no effort to promote sports and bring back the youth to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이 소식은 쿠웨이트 정부가 아직도 자국 NOC를 포함한 모든 스포츠단체들을 해산시킬 수 있는 권한이 있음으로 해서 쿠웨이트의 스포츠 광야 방치기간을 연장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합니다(The news will also prolong Kuwait's period in the sporting wilderness as the Government still have the power to dissolve the country's sports federations, including the KOC.)

 

이러한 상황전개 배경에는 Sheikh Salman장관과 그의 사촌간인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쿠웨이트 IOC위원 겸 ANOC OCA회장과의 개인적 불화(a personal feu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쿠웨이트소재 OCA본부/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쿠웨이트 선수단 기수/사진출처: insidethegames)

 

 

(Sheikh Ahmad Al-Fahad Al-Sabah/사진출처: insidethegames)

 

IOC대변인은 쿠웨이트의 IOC에 대한 소송 건은 이제 법정에서 처리될 문제이며 신뢰를 가지고 (판결)결과를 학수고대하고 있다.”(This case is now in the hands of the court and we look forward to the outcome with confidence.)라고 한 외신에게 코멘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과 Mark Adams IOC대변인/사진출처: arountherings)

 

*References:

-insidethegames

-arounthering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6. 23. 17:13

[Rome2024올림픽유치 물 건너가나?]

 

오늘(623일 올림픽의 날) 정식으로 취임하는 Virginia Raggi (37)신임 여성로마시장은 지난 617일 로마시장선거에서 67.2%의 득표지지를 받아 시장으로 당선된 바 있습니다.

 

(Virginia Raggi/사진출처: insidethegames)

그녀는 선거유세과정에서부터 시종일관 부르짖었던 로마의 올림픽유치반대소신을 끝내 굽히고 있지 않고 반복하여 올림픽유치반대의사를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신임시장은 로마市의 재정여건이 2014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유치할 만큼 여유롭지 못하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Virginia Raggi/사진출처: insidethegames)

 

이렇게 신임시장의 강력한 올림픽유치반대의사표명이 알려지면서 신임시장의 지지 없이 Rome2024올림픽유치활동이 지속될 수 있을는지 의혹의 분위기에 휩싸이고 있는 상황으로 치 닿고 있습니다.

 

이태리 오성 운동(Five Star Movement)당 소속 정치인이며 변호사출신인 그녀는 지난 일요일(617) 경쟁후보들을 누르고 당당히 신임시장으로 당선되었으며 오늘(623)시장으로 취임한다고 합니다.

 

Raggi신임로마시장은 1960년 올림픽개최도시였던 로마가 64년 만에 올림픽을 다시 로마로 가져오자는 Rome2024올림픽유치위원회의 유치시도노력에 대하여 시종일관 우려의 목소리를 반복적으로 내왔다고 합니다.

 

(로마시장 유세 연설 중인 Virginia Raggi/사진출처: insidethegames)

 

Raggi신임시장은 622일 밤 Euronews와의 신임시장으로서의 첫 공식인터뷰에서 로마의 올림픽유치가 로마시민들을 위한 우선순위 이슈가 정말 아니라고 하면서 로마2024스포츠목적 올림픽이라기 보다는 건설목적의 올림픽을 지향하는 듯 보인다고 운을 띠고 경제적, 역사적 데이터를 살펴볼 때 올림픽개최도시들이 끝끝내 빚 투성이로 전락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It's not really a priority for the people of Rome,"

"They seem to me to be more like construction Olympics than sporting Olympics.

"The economic and historic data tells us all the cities that have hosted them have indebted themselves to the hilt."

 

Raggi신임시장은 그 예시 사례로 1976년 올림픽개최도시였던 캐나다의 몬트리올을 꼽았는데 몬트리올은 대회개최 후 US$15억불(18천억원)의 부채(負債)를 남겼으며 빚 청산을 위해 몬트리올 납세자들이 30년이란 세월 동안 고생하였음을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IOC홈페이지)

 

US$150억불( 18조원)의 채무를 지고 있는 로마 시로서는 사막에 더 많은 사원들을 건설하기 위해 더 이상의 빚을 떠 안을 여유가 없으며 그녀 자신이 스포츠를 애호하지만 우선 로마 시의 스포츠 시설을 살리는 것부터 시작하자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로마 시가 160개가 넘는 스포츠 시설물들이 잔존하고 있지만 너덜너덜해 지고 있는 상태로써 아무도 그 낙후된 스포츠시설에 대해 유치 보수하려 않고 있다고 Euronews지와의 인터뷰에서 설명하였다고 합니다

 

"With debt of €13 billion (£10 billion/$15 billion), Rome can't afford to take on further debt to build more cathedrals in the desert,".

"I am in favour of sport, but let's begin with city sporting facilities.

"Rome has over 160 of them and they are falling to pieces, and no one ever cared to maintain or renovate them".

 

이에 앞서 Giovanni Malago CONI(Italian National Olympic Committee)위원장은 Raggi신임시장에게 로마 시의 올림픽 유치 캠페인에 대해 편견을 갖지 말아 달라고 경고하였다고 합니다.

 

(Giovanni Malago/사진출처: insidethegames)

 

그는 이태리 통신사인 ANSA와의 인터뷰에서 Rome2024가 필요한 것은 로마 시와 CONI와 정부로부터의 지지라고 하면서 이들 중 하나라도 가버리면 유치는 물 건너갈 것이라고 하고

 

로마 시에게 다른 우선순위들이 있는 것을 맞지만 올림픽유치자체를 놓고 편견을 가져서는 안될 것이라고 인터뷰하였다고 합니다

"For the bid, we need the okay of the city, CONI and the Government."

"If one of these goes, the bid will fail.

"It's true there are other priorities but you shouldn't have prejudices against the bid."

 

이태리 관계자들은 유치경쟁도시들인 부다페스트, LA및 파리와의 경쟁을 계속한다는 전제에서 현재 올림픽유치준비를 진행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자료출처: IOC홈페이지 및 insidethegames)

 

 

Malago CONI위원장은 로마 시에서 새로운 파트너가 부임했다고 해서 우리의 유치계획자체가 변경되지 않으며 신임로마 시장의 의도가 뭔지 물어보라고 하면서 그녀가 솔직해지고 협력할 것만을 주문하고 있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고 합니다.

"The [arrival of a] new partner at the city of Rome doesn't change our plans."

"Ask her what she intends to do.

"I only call on her to be honest and cooperate.”

 

(자료출처: FrancJeux)

 

그는 자신들의 유일한 관심사는 올림픽유치지지이며 신임시장이 선거 전에 CONI 를 방문하였으며 그 당시 올림픽유치에 대해 명백한 반대의사표명이 없었으며 반대도 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Our only interest is to support the bid.

"The new Mayor came to CONI [headquarters] before the elections.

"It didn't seem that there was a clear no and we don't think there should be one."

 

2024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도시 선출결정은 20179월 페루 리마 개최 제130 IOC총회 첫날 예정되어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FrancJeux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6. 7. 14:03

[신임IOC위원후보추천 8명 리스트에 한국인은 없다]

 

2/4분기 IOC집행위원회 최종일인 63일 발표되어 81~3 Rio개최 제129 IOC총회에 추천되면 정식 신임 IOC위원으로 선출될 8명의 후보명단이 공개되었습니다.

 

8명의신임 IOC위원후보들이 IOC총회에서 승인되면 IOC위원 인원수는 총정원115명에서 아직 16명이 부족한 99명이 됩니다.

 

안타깝게도 8명의 추천 리스트에 한국인 후보로는 아무도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당초 Gianni Infantino FIFA회장(스위스)Sebastian Coe IAAF회장(영국)은 당연히 포함될 것으로 점쳐 진 바 있지만 전임회장들의 부패스캔들과 이들 국제연맹들이 봉착한 부패와 도핑 이슈 등으로 인해 국제연맹(IF) 자격 IOC위원으로 가장 강력한 후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보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IOC역사 상 단골 필수 당연 직 IOC위원이었던 FIFAIAAF회장이 IOC위원에서 잠정 배제되는 초유의 현상이 발생할 상황전개가 예상됩니다.

 

대신 독일어를 포함하여 5개 국어에 능통한 이태리 출신 국제봅슬레이 & 스켈레톤연맹(IBSF)회장인 Ivo Ferriani IF자격 IOC위원으로 파격적으로 추천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동계종목 국제연맹회장으로 IOC위원은 단 3명 즉, 빙상(ISU), 스키(FIS) 및 아이스하키(IIHF)국제경기연맹회장들에게만 허용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경우, 와병 중에 있어 IOC위원활동이 물리적으로 불가한 상태인 이건희 IOC위원과 8년 임기를 마치는 선수자격 문대성 IOC위원 역시 오는 8 Rio올림픽을 끝으로 IOC위원 직에서 물러나면 한국은 초유의 IOC위원 제로상태에서 국제스포츠외교활동에 임해야 하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이 전개될 것이 예상됩니다.   

 

 

앞으로 1 8개월 간 올림픽관련 협상에 있어서 평창2018 동계올림픽 개최국으로 IOC IFs 그리고 각국 NOCs 들을 포함한 국제 스포츠를 아우르는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국익을 위해 스포츠외교활동을 정식으로 전담할 인적 네트워크의 원활한 가동이 사실상 어려울 전망입니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국 NOCKOC역시 스포츠외교 전담 인적 자원 부족 상태인 동시에 현재 통합체육회문제 등으로 국제스포츠 계에서 활동역량이 과거에 비해 크게 위축되지 않을 까 우려되기도 합니다

 

다음 번 신임 IOC위원 후보로 한국후보가 추천되려면 평창2018동계올림픽이 얼마 남지 않은 2017 9월경 페루 리마 개최 제130 IOC총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그것도 한국인 IOC위원 후보추천 보장 시나리오가 아직 없는 상태입니다.

 

IOC가 발표한 8명의 신임 IOC위원후보 명단(3, 5)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uis Alberto Moreno(63/콜롬비아 은행장)

2)  Anant Singh(60/남아공 영화제작자)

3)  Nita Ambani(52세 여성/인도 사업가 겸 Reliance재단 창립자 이사장)

4)  Ivo Ferriani,(56/이태리/IBSF회장)

5)  Sari Essayah(49세 여성/핀란드 육상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선수출신 정당대표/2012년 낙선한 대통령후보)

6)  Tricia Smith(59세 여성/캐나다NOC위원장

7)  Auvita Rapilla(45세 여성/파푸아뉴기니 NOC사무총장)

8)  Karl Stoss(59세 여성/오스트리아 NOC위원장)

 

 

 

(Luis Alberto Moreno/사진출처: insidethegames)

 

 

(South African film producer Anant Singh, who has produced several anti-apartheid films, is set to be made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n August ©Getty Images/사진출처: insidethegames)

 

 

 

이들 8명의 신임 IOC위원후보들 중 올림픽운동 외부영입 케이스 3(Moreno, Singh Ambani) 은 국제스포츠 계가 직면하고 있는 이슈들에 신선한 시각(fresh perspective)을 부여하기 위하여 IOC위원선출 분과위원회(위원장: Princess Royal 영국 IOC위원)의 자격검증을 통과한(identified)것으로 알려졌습니다.

 

 

Olympic Agenda 2020개혁규정 38번째 권고내용인 ‘IOC총회가 남녀 비율과 지리학적 균형 면에서 필요한 요건을 충족시키면서(ensuring the necessary balance in terms of gender and geography) 색다른 재능과 지식을 겸비한 인물들로 구성되도록’ (enable the IOC Session to be composed of Members with different skills and knowledge)하는 취지를 살리는 적용이라고 설명될 수 있겠습니다.

 

Moreno(콜롬비아/63) 1998년 미국주재 콜롬비아 대사를 역임한 바 있으며,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출생한 후 미국에서 교육을 받았고 워싱턴에서 대사 직 수행기간 동안 콜롬비아-미국 간의 관계에서 극적인 개선상황을 두루 지켜 본 외교통이기도 하답니다

 

그의 가장 두드러진 성과로는 미국의회에서 US$ 40억불( 4 8,000억 원)규모의 콜롬비아에 대한 미국의지원금 보조 프로그램 법안 통과에 강력한 초당파적 지원구축을 통해 성공적인 노력으로 (the successful effort to build strong bipartisan support)결실을 맺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 재정지원의 가장 큰 규모의 재원을 조달해 주는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의 은행장으로 2005년에 선출된 바 있다고 합니다

 

Singh(남아공/60) 1984년 이래 65개의 영화를 제작한 출중한(pre-eminent)영화감독(film producer)으로 인정받고 있는 인사라고 합니다.

 

그는 남아공에서 제작된 수 많은 반 인종차별주의영화(many anti-apartheid films)책임자인데 이 종류의 작품 중 Place Of Weeping, Sarafina! and Cry, the Beloved Country’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넬슨 만델라가 생전에 자신의 자서전(his biography, Long Walk To Freedom)에 대한 영화 제작권을 허락하면서 Singh 제작자에 대하여 내가 매우 존경하는 영화제작자이며 엄청난 능력의 소유자’(a producer I respect very much…a man of tremendous ability)라고 평가했을 정도라고 합니다

 

(Businesswoman Nita Ambani, the owner of IPL side Mumbai Indians, is among eight people recommended for membership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Getty Images/사진출처: insidethegames)

 

 

Ambani(인도/52)는 인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사립재단들 중 하나로 손꼽히는 Reliance Foundation의 창립자 겸 이사장(chairperson and founder)으로 인도국가의 지속적 성장을 도모하는 목표달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합니다.

 

그녀는 유명한 예술작품 수집가이며 인도 프리미어 리그 크리켓 팀 ‘Mumbai Indians’의 구단주라고 합니다.

 

Bach IOC 위원장은 금번 추천된 8명의 신임 IOC위원 후보 들에 대하여 각 분야에서 전문가들이며 지대한 공헌을 할 수 있는 강력하고 다양한 개인들로 구성된 그룹으로 다가오는 IOC총회에 제안한다 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Thomas Bach /사진출처: insidethegames)

 

"These eight candidates that we are proposing to the next IOC Session are a strong and varied group of individuals that are experts in their respective fields and will make great contributions.”

“They have been vetted by new criteria in keeping with the recommendations of Olympic Agenda 2020.

"These candidates will add extra strength and diversity to our already universal orchestra of IOC members."

 

IOC집행위원회는 이들 3명 이외에 추가로 5명의 신임IOC위원 후보들의 명단과 경력도 아울러 지명하였습니다

 

1)  Ivo Ferriani,(56/이태리/IBSF<International Bobsleigh & Skeleton Federation>회장)

              (사진출처: insidethegames)

 

2)  Sari Essayah(49세 여성/핀란드 1993년 독일 Stuttgart개최 육상 세계선수권대회 10 km경보/ race walker 금메달선수출신이며 핀란드 Christian Democrats party정당대표/2012년 낙선한 대통령후보)

3)  Tricia Smith(59세 여성/캐나다NOC위원장/LA1984올림픽 무타페어<coxless paris> 조정종목 올림픽은메달리스트 겸 1986 Edinburgh개최 영연방 대회 조정종목 무타 포어<coxless four>금메달리스트

(사진출처: insidethegames)

 

4)  Auvita Rapilla(45세 여성/파푸아뉴기니 NOC사무총장/2009 IOC 오세아니아 스포츠여성<Women in Sport>상 수상자)

5)    Karl Stoss(59세 여성/오스트리아 NOC위원장/전 세계 카지노를 소유하고 운영하는 다국적 게임기업이자 세계 최대규모 겜블링 기업들(one of the largest gambling companies in the world 중 하나인 Casinos Austria AG 전무이사<managing director>)

 

Rio 2016올림픽 기간 중 5대륙에서 추려진 총 24명의 선수IOC위원후보들 중 각국 참가선수들이 투표로 선출할 4명의 선수출신 IOC위원들도 신임 IOC위원 들에 해당되며 Rio2016대회 종반에 선출되어 발표될 예정입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