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IOC에 $10억불 손해배상청구 국제소송착수]
쿠웨이트가 IOC가 내린 자격정지처분으로 인한 쿠웨이트 선수단 올림픽참가배제조치에 항의하여 소송에 착수하였다는 6월23일자 외신보도입니다.
Sheikh Salman AL-Humoud Al-Sabah쿠웨이트 정보장관(Information Minister)는 쿠웨이트가 IOC에 대한 항의표시로 US$10억불(약 1조2천 억 원)손해배상청구 법적 소송으로 대응하겠다고 전격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쿠웨이트 선수단이 자국 기를 앞세우고 대회개회식에 행진하는 모습/사진출처: insidethegames)
쿠웨이트올림픽위원회(KOC)는 지난2015년 10월 NOC에 대한 ‘정부의 부당한 간섭(undue Government interference)으로 인해 자격정지조치를 받았는데 이는 2012년 런던올림픽 얼마 전에 유사한 자격정지조치를 해제해준 이래 또 다시 3년 만에 겪는 수모로 해석될 수 있겠습니다.
Sheikh Salman장관은 IOC의 금지조치가 불공평하게 내려진 것이며 ‘적절한 조사’(an appropriate probe)가 이루어지지 않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쿠웨이트 선수들이 Rio2016올림픽에 자국 기를 걸고 경기에 참가할 수 없도록 금지조치처분을 관망 중이던 진행형 대하 극(ongoing saga)의 최신전개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고 합니다.
(Sheikh Salman AL-Humoud Al-Sabah/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쿠웨이트 측은 FIFA를 포함한 다른 15개 국제연맹들(IFs)로부터 쿠웨이트축구협회를 비롯한 자국 국내연맹들이 도매금으로 무더기 자격정지조치 받은 국제무대에서의 ‘날치기 불법’(outlaw)사례에 이어 IOC로부터 받은 피해에 대한 보상을 추구하고 있다라는 것이라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쿠웨이트가 적절한 조사과정도 없이 이와 같이 불평등한 방식으로 취급 받아 국제스포츠활동이 금지되는 일은 전적으로 묵과할 수 없다.” (It's totally unacceptable that Kuwait is treated in this unfair way and barred from international sports activities without any appropriate probe being conducted.) 라고 Sheikh Salman쿠웨이트 정보장관이 국영통신사인 Kuna와의 인터뷰에서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Sheikh Salman 장관은 쿠웨이트가 IOC으ㅟ 자격정지조치를 막으려고 최선을 다했으며 협조하고자 신실한 바램을 보여주었지만 모두 허사가 되어버렸으며 UN이 후원하는 대표단을 제네바까지 파견하여 쿠웨이트정부가 어떤 방식으로도 스포츠활동에 개입하지 않았음을 설명하는 등 최선을 다했지만 결과상으로 보면 국제스포츠 계의 눈에 우리가 마치 불법자행자들(outlaws)로 비취는 당혹스런 상황에 처하게 되었음을 인터뷰에서 토로하였다고 합니다.
"From the very beginning Kuwait did it its utmost to prevent the IOC suspension and showed a sincere desire to co-operate, but all to no avail.
"We sent a UN-sponsored delegation to Geneva to explain to the sports body that the Kuwaiti government by no means intervenes in sports activities.
"However, we were put in an embarrassing situation in the eyes of the international sports circles and looked as if we were outlaws."
Rio2016올림픽에 자국을 대표하려는 쿠웨이트 선수들의 희망은 지난 주로 거의 끝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왜냐하면 지난 주에 쿠웨이트 국회가 쟁점 신규스포츠법령을 통과시킴으로(by the passing of controversial new Statutes by the National Assembly) 모든 스포츠관련 임원들 및 선수들이 독자적인 의견개진과 행동권이 박탈당했기(the rights were curtailed)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FIFA로부터 역시 자격정지 중인 쿠웨이트 축구협회 Emblem)
(Sheikh Salman AL-Humoud Al-Sabah<우측>/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쿠웨이트 국회에서 최근 통과된 새로운 법령조치 하에(under the new measures), 공공스포츠관할당국(PSA: Public Sports Authority)에게 KOC를 포함한 모든 스포츠단체들에 대한 해산권한(the power to dissolve)이 부여되었는바, 이 권한에는 스포츠단체들에 대한 모든 임명권과 재정권까지 행사할 수 있도록 까지 되어(as well as assuming control over all appointments and financial matters.)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신규법령에 불응 또는 거부하는 자는 누구를 막론하고 1년~3년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Those who refuse to comply could face jail terms of between one and three years.)고 합니다
동 신규 법 시행령은 인권을 위협하는 조항으로 묘사되어 왔는데(described as threatening to human rights) PSA 총수인 Sheikh Salman가 제안하였으며 쿠웨이트 국회에서 46명 국회의원들 중 40명이 찬성하여 승인되었다고 합니다
이로써 오는 8월5일 개회식이 예정된 Rio2016올림픽 이전에 쿠웨이트에 대한 IOC의 자격정지조치가 해제될 가능성 일체를 사실상 일축한 것(effectively dismissed any chance)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동 법령 통과 총괄 배후 조종자 격인Sheikh Salman 장관은 동 법령개정 반대자들로부터 통렬한 비난에 직면하고 있는데(under fierce criticism) 혹자는 동 법령제안의 성격자체가 ‘위헌적’(unconstitutional)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Sheikh Salman장관은 한술 더 떠서 동 법령이 단지 올림픽운동증진을 위해 스포츠단체들을 지원하고 후원하는 형태의 긍정적인 간섭만이 있을 뿐이라고 하면서 향후 어느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을 포용하는 공동 자세와 협조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며 쿠웨이트의 보다 높은 관심사항에 집중하여야 하고 스포츠진흥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말며 청소년들로 하여금 국제스포츠 이벤트에 참여토록 독려해야 한다고 덧붙여 강조하였다고 합니다.
"There is only positive interference in the form of support and backing for the sports bodies meant to promote the Olympic movement."
"Looking ahead, we stress the need for a common stance and cooperation involving all concerned parties without excluding anybody. All of us have to put the higher interests of Kuwait above all other considerations, spare no effort to promote sports and bring back the youth to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이 소식은 쿠웨이트 정부가 아직도 자국 NOC를 포함한 모든 스포츠단체들을 해산시킬 수 있는 권한이 있음으로 해서 쿠웨이트의 스포츠 광야 방치기간을 연장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합니다(The news will also prolong Kuwait's period in the sporting wilderness as the Government still have the power to dissolve the country's sports federations, including the KOC.)
이러한 상황전개 배경에는 Sheikh Salman장관과 그의 사촌간인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쿠웨이트 IOC위원 겸 ANOC 및 OCA회장과의 개인적 불화(a personal feu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쿠웨이트소재 OCA본부/ 사진출처: insidethegames)
(쿠웨이트 선수단 기수/사진출처: insidethegames)
(Sheikh Ahmad Al-Fahad Al-Sabah/사진출처: insidethegames)
IOC대변인은 “쿠웨이트의 IOC에 대한 소송 건은 이제 법정에서 처리될 문제이며 신뢰를 가지고 (판결)결과를 학수고대하고 있다.”(This case is now in the hands of the court and we look forward to the outcome with confidence.)라고 한 외신에게 코멘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과 Mark Adams IOC대변인/사진출처: arountherings)
*References:
-insidethegames
-arountherings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신이 본 박태환 선수의 Rio2016출전 전망예측 (0) | 2016.07.06 |
---|---|
북한 평양, 2018 IWF세계주니어역도선수권대회개최지로 확정 (0) | 2016.06.24 |
Rome2024올림픽유치 물 건너가나? (0) | 2016.06.23 |
신임IOC위원후보추천 8명 리스트에 한국인은 없다 (0) | 2016.06.07 |
Tokyo2020올림픽정식종목에 가라데(Karate)입성 확실시 (0) | 2016.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