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24. 6. 12. 12:50

[IOC, 성전환선수들(trans athletes)에 대한 미디어의 생물학적 남성 및 여성(biologically male and female) 호칭에 반대하다]

 

IOC는 최근 발행한 묘사에 관한 지침서”(Portrayal Guidelines)에서 미디어가 성전환 선수들(trans athletes)을 묘사할 때 생물학적 남성(biologically male)또는 생물학적 여성9 biologically female)이란 용어는 문젯거리의 언어(problematic language)”라고 지칭하면서 그러한 용어 사용을 자제해 달라고 권고하였다고 합니다.

 

 

 

이것은 IOC묘사에 관한 지침서”(Portrayal Guidelines)세번째 판(third edition)인데 부제는(subtitled) “스포츠에서의 성 평등, 공평하고 포용적인 대표성”('Gender-equal, fair and inclusive representation in sport')이라고 합니다.

 

동 지침서는 “IOC 성 평등 및 포용성 목적 2021~24기간”(IOC Gender Equality and Inclusion Objectives for the 2021-24 period)와 맥락을 같이하는 올림픽 운동 이해당사자들을 위해 제작되었다(created for the Olympic Movement stakeholders)고 합니다.

 

올림픽운동구성원들은 문화적 맥락에 의거하여 이러한 지침서를 채택하고 적응하도록 권고 받고 있다”(encouraged to adopt and adapt these Guidelines according to cultural contexts)고 합니다.

 

지침 내용을 담은 문서는 성을 근거로 한 도전적 선입견과 고정관념을 우선적으로 다루고(The document deals primarily with challenging gender-based preconceptions and stereotypes) 있으며 “"sportsman", "cameraman" 또는 "husband/wife “대신 “sportsperson/athlete", "camera operator" and "partner”라는 단어들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른 성별 간에 균형 잡힌 보도를 확실히 하기 위해 가능한 여자와 남자 모두에게 공평한 노출 혜택이 이루어 지도록”(as far as possible women and men should be given equal exposure to ensure that the reporting is balanced between the different genders) 암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성 변이 화 된 성전환 스포츠인들과 선수들에 대한 공평하고 포용적 이며 비 차별적인 묘사”('Fair, inclusive, and non-discriminatory portrayal of transgender sportspeople and athletes with sex variations )라는 제목의 부록(annex titled)에는 성 변이, 선 전환, 비 쌍성 및 대명사와 같은 단어나 문구에 대한 묘사 용어 사전(a glossary with descriptions of words and phrases, such as "sex variations", "transgender", "non-binary", and "pronouns")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문제적 언어라는 표제의 란에는(In its section headed "Problematic Language) “태생적 남성” “태생적 여성” “생물학적 남성” “ 생물학적 여성” “남성에서 여성으로(MtF), “남성에서 여성으로(FtM)”, “유전적 남성”, :유전적 여성: 등과 같은 회피 요망 용어리스트(a list of "Terms to Avoid" which are "born male", "born female", "biologically male", "biologically female", "genetically male", "genetically female", "male-to-female (MtF)", "female-to-male" (FtM))가 있는데 그러한 문구를 이야기하는 것은 성 변이를 통한 성 전환 스포츠인들과 선수들을 묘사하는데 사용될 때 인간성 말살”(dehumanizing)이 될 수도 있고 부정확한 호칭”(inaccurate when used to describe transgender sportspeople and athletes with sex variations) 이 될 수가 있다고 합니다.

 

 

추가적으로 개인의 성별 범주는 유전학만으로 근거하여 지정된 것이 아니며 개인의 생물학의 면모는 그들이 성 감별 지향 의료적인 것을 추구할 때 변경될 수 있음”(inaccurate when used to describe transgender sportspeople and athletes with sex variations) “성 전환 소녀/소년, 성 전환 여자/남자, 선 전환 인간이란 대체적 표현도 수록되어 있다(Alternatives such as "transgender girl/boy, transgender woman/man, transgender person" are then listed)고 합니다. 

 

잠재적으로 개인들의 정체성을 의문시 하여 태생적 증명서에 기록된 성 범주를 언급함으로 호칭하는 것 보다는 개인의 실제 성별을 강조하는 것이 언제나 선호됨”(It is always preferable to emphasize a person's actual gender rather than potentially calling their identity into question by referring to the sex category that was registered on their original birth certificate)

 

동 지침서에는 계속해서 한 개인의 태생적 범주를 언급할 명백한 이유가 있을 경우, 사용될 용어로는 태생적으로 부여된 여성’, ‘태생적으로 부여된 남성또는 태생적으로 지정된 여상’. ‘태생적으로 지정된 남성’("If there is a clear reason to refer to the category a person was assigned at birth, the terms to use are: 'assigned female at birth', 'assigned male at birth', or 'designated female at birth', 'designated male at birth')이 있다고 합니다.

 

추가적으로 회피해야 할 호칭’('Additional wording to avoid')이란 섹션에는  성별 정체성은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같은 방식으로 성 전환 사람들에게도 적용됨. 만일 구체화 될 필요가 생길 경우, 단순이 ‘Alexia는 성 전환 여성 임이라고 세부적으로 ‘~로 식별됨’(identifies as", detailing, "Gender identity applies to transgender people in the same way that it applies to any person. If it needs to be specified, simply state: 'Alexia is a woman who is transgender)이라고 목록화 한다고 합니다.

 

또한 선 전환 자”(transgender)란 단어는 명사보다는 형용사로 사용되어야 한다(the word "transgender" should be used as an adjective rather than a noun)고 명시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전에 명예훼손에 반대하는 게이와 레즈비언 연합’(the Gay and Lesbian Alliance Against Defamation)의 약어인 GSAAD)와 연관하여 쓰여진 부록에는 여자 종목에 출전하는 성 전환 여성에 반대하는 당사자들로부터 비판을 이끌어 냈다(attracted criticism from parties opposed to trans women competing in women's sport)고 합니다.

 

테니스 선수로 활동하던 기간 중 동성 간의 성 관계를 가짐으로 미디어의 공격대상이 된(attacked by the media for having same-sex relationships during her career) 테니스 여제(tennis great) Martina Navratilova는 소셜 미디어에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하였다고 합니다.

 

뉴질랜드 역도 선수인 Laurel Hubbard2021년에 개최된 Tokyo2020올림픽에 출전한 공개된 첫 성 전환 여성인데(the first openly trans woman to compete at the Olympicsat the Tokyo 2020 Games held in 2021) 그녀는 태생적으로 남성을 부여 받아 2001년까지는 남자 경기에 출전한 바 있다고 합니다. 그녀는 11년 후 호르몬요법으로 시작하여 성 전환 수술을 받아 여성이 되었으며(transitioned 11 years later, starting hormone therapy) 39세가 된 2017년에 첫 국제경기대회에 출전하였다고 합니다.

 

가장 유명한 Caster Semenya와 같은 성 발달의 차이를 가진 선수들은(Athletes with differences of sex development) IOC와 국제연맹들로 하여금 그러한 스포츠인들의 자격 관련 새로운 판단 기준 증명서를 발급하도록 촉구하였다(prompted the IOC and international federations to issue new criteria concerning the eligibility of those sportspeople)고 합니다

 

남자 육상 500-yard 자유형 수영 랭킹 65위 였던 미국 수영선수인 Lia Thomas는 선 전환 후(after transitioning) 미국 대학체육협회(NCAA: National Collegiate Athletics Association)여자 선수권에서 우승하였는데 이것으로 인해 세계수영연맹은 남자 사춘기를 통해 성 전환된 여자들을 엘리트 여자수영경주에 출전을 금지 시켰다(led to World Aquatics banning trans women who have been through male puberty from elite women's races)고 합니다

 

이에 Lia Thomas선수는 지난 1월 판결을 뒤엎기 위한 시도로써 스포츠중재재판소에 제소하였다(went to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in January to try to overturn the ruling)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website

 

 

Posted by 윤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