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22. 6. 2. 11:12

[IOC올림픽연구센터(Olympic Studies Center)역대동계올림픽경기장(Chamonix1924부터 평창2018까지)현재사용실태(Still in Use)조사결과발표]

 

IOC 올림픽연구센터(IOC Olympic Studies Center)가 지난 주 제1회 근대올림픽인 Athens1896부터 평창2018동계올림픽 전반에 걸쳐 모든 올림픽경기장(Venue)사정과 사용실태를 파악하여 결정하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재미있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근대올림픽 제1회대회인 Athens1896부터 125 여년 간 올림픽대회개최 후 경기장 사용실태(Olympic Venues: Post-Games Use)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서 보고서를 발행하였습니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경기장이 21세게에 들어선 오늘날에도 건재하게 사용되고 있는 바(still in use) 이번 편에선 역대동계올림픽경기장들(competition venues) 중 기존(existing)경기장, 신설(new)상시 경기장(not temporary)퍼센티지와 여전히 사용 중인 경기장 퍼센티지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아래 자료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현재까지도 100% 사용중인 곳은 몽블랑(Montblanc) 기슭에 자리한 프랑스 Haute-Savoie주에 위치한 샤모니(Chamonix) 1924년 제1회 동계올림픽 및 1960년 동계유니버시아드을 개최한 곳입니다.

 

역시 동계올림픽경기장 시설이 여전히 100% 사용 중인 곳은 (1)Chamonix외에 1932년과 1980년 동계올림픽을 두 차례 개최한 미국의 (2)Lake Placid, 1936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독일의 (3)Garmisch-Partenkirchen, 1928년 및 1948년 동계올림픽 2회 개최지인 스위스의 (4)St, Moritz, 1964년 및 1976년 동계올림픽 2회 개최지인 오스트리아의 (5)Innsbruck, 199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프랑스의 (6)Albertville, 199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노르웨이의 (7)Lillehammer, 200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미국의 (8)Salt Lake City,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캐나다의 (9)Vancouver 200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러시아의 (10)Sochi 10군데나 됩니다.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의 평창2018은 임시 시설(Overlay)이었던 국제방송센터(IBC)건물은 국립도서관 수장고(收藏庫)로 용도 변경되었고 메인프렌스센터(MPC)본부였던 알펜시아 컨벤션센터는 제3자에게 매각되어 버린 상태에서 사용중인 경기장 비율이 92%로 아직까지는 명기되어 있지만, (1)게 폐회식 장 철거, (2)정선 알파인 센터 철거 예정(2024), (3)평창슬라이딩센터 가동중지 등 동계올림픽레거시 측면에서 그 미래가 밝아 보이지만은 않아 안타까운 심정입니다.

 

(평창2018동계올림픽 빙상개최도시 강릉의 강릉올림픽파크 조감도)

 

 

예를 들면 아시아최고수준을 자랑하는 정선 알파인스키센터는 전세계 알파인스키경기장들 중 보석과도 같은 존재인데 국제스키 및 스노보드연맹(FIS)와 협력하여 정규적으로 FIS알파인 월드컵과 FIS세계 알파인 선수권대회 및 기타 알파인 스키 시리즈를 사전에 조율하여 유치하고 개최하면 흑자 대회로 전환할 수도 있는 아까운 동계올림픽레거시 입니다.

 

 

 

강원2024청소년동계올림픽의 모든 스키종목경기를 정선알파인센터에서 열도록 지금이라도 스키경기장배치계획을 조율하면 금상첨화가 될 것입니다.

 

새정부에 새강원도지사가 정선 군수를 설득하여 이러한 발상에 힘을 합친다면 좋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1924 Chamonix [3개 경기장]: Existing & new: 67% ~ Still in use: 100%

● 1928 St. Moritz [5개 경기장]: Existing & new: 60% ~ Still in use: 33%
● 1932 Lake Placid [6
개 경기장]: Existing & new: 83% ~ Still in use: 100%
● 1936 Garmisch [6
개 경기장]: Existing & new: 67% ~ Still in use: 100%

● 1948 St. Moritz [8개 경기장]: Existing & new: 75% ~ Still in use: 100%
● 1952 Oslo [11
개 경기장]: Existing & new: 91% ~ Still in use: 90%
● 1956 Cortina [8
개 경기장]: Existing & new: 75% ~ Still in use: 67%
● 1960 “Palisades Tahoe” [6
개 경기장]: Existing & new: 57% ~ Still in use: 50%=> (Site known as Squaw Valley at the time, but recently renamed)[동계올림픽 개최 당시 지명은 Squaw Valley였다가 최근 들어 Palisades Tahoe로 개칭됨]
● 1964 Innsbruck [9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68 Grenoble [9
개 경기장]: Existing & new: 89% ~ Still in use: 78%
● 1972 Sapporo [13
개 경기장]: Existing & new: 85% ~ Still in use: 69%
● 1976 Innsbruck [9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80 Lake Placid [7
개 경기장] :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84 Sarajevo [8
개 경기장]: Existing & new: 88% ~ Still in use: 75%
● 1988 Calgary [10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70%
● 1992 Albertville [10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94 Lillehammer [10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98 Nagano [14]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79%

● 2002 Salt Lake City [10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2006 Turin [13
개 경기장]: Existing & new: 92% ~ Still in use: 92%
● 2010 Vancouver [9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2014 Sochi [10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2018 PyeongChang [12
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92%

 

 

위 도표는 23번의 동계올림픽경기장 사용실태인데 12차례 치른 동계올림픽 경기장(기존 및 신축)이 여전히 100%사용 중으로 건재하고 (1)Oslo195290%, (2)Torino20092%, (3) 평창2018 역시 92%이며, 또 다른 3곳이 75%로 총 23회 치른 동계올림픽 경기장 중 17개가 평균 74% 사용되고 있어서 최소 전체경기장의 3/4이 아직 건재(still active)한 것이니 희망적이긴 합니다.

 

이는 하계올림픽 경기장의 사용실태보다는 조금 나은 편인 것으로 보이는데 1896~2016년 까지 28회 올림픽이 치러졌는데 그들 중 19개 올림픽개최지 경기장의 현재사용비율이 75%이상이거나 68% 정도로 보입니다.

 

위 자료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동계올림픽에 필요한 경기장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relatively small number of competition sites)라는 것입니다. 가장 많은 경기장을 건설했던 동계올림픽은 1998년 열린 Nagano대회로 14개나 소요되었습니다. 최근 열린 2010Vancouver동계올림픽도 9개 경기장으로 충분했습니다.

 

다음 자료는 동계올림픽 중 신축 경기장을 가장 많이 건설했던 대회들의 퍼센티지 순위(Winter Games sites ranked by the percentage of venues constructed new for their Games)인데 평창2018의 경우 유치 1차 시도 및 2차 시도를 하면서 6개 기존경기장을 동계올림픽수준으로 정비하여 놓음으로 6개 경기장만 신설하면 되었습니다:

 

 

1.90% ~ Lillehammer 1994 (9개 경기장)

2. 90% ~ Sochi 2014 (9개 경기장)
3. 89% ~ Grenoble 1968 (8
개 경기장)
3. 89% ~ Innsbruck 1976 (8
개 경기장)
5. 88% ~ Sarajevo 1984 (7
개 경기장)
6. 83% ~ Lake Placid 1932 (5
개 경기장)
7. 77% ~ Sapporo 1972 (10
개 경기장)
8. 70% ~ Calgary 1988 (7
개 경기장)
9. 67% ~ Chamonix 1924 (2
개 경기장)
9. 67% ~ Garmisch-Partenkirchen 1936 (4
개 경기장)
9. 67% ~ Vancouver 2010 (6
개 경기장)
12. 60% ~ Albertville 1992 (6
개경기장))
13. 57% ~ Lake Placid 1980 (4
개 경기장)
14. 56% ~ Innsbruck 1964 (4
개 경기장)
15. 50% ~ Palisades Tahoe 1960 (4
개 경기장)
15. 50% ~ Nagano 1998 (7
개 경기장)
17. 50% ~ PyeongChang 2018 (6
개 경기장)
18. 46% ~ Turin 2006 (6
개경기장)
19. 40% ~ St. Moritz 1928 (2
개 경기장)
19. 40% ~ Salt Lake City 2002 (4
개경기장)
21. 13% ~ Cortina 1956 (1
개 경기장)
22. 9% ~ Oslo 1952 (1
개 경기장)
23. 0% ~ St. Moritz 1948 (0
신축 경기장 없음)

 

 

다음은 동계올림픽 기존경기장재활용 순위(recycling champions, for the use of existing venues)인데 몇몇 대회의 경우 퍼센티지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1. 82% ~ Oslo 1952 (9개 경기장)
2. 75% ~ St. Moritz 1948 (6
개 경기장)
3. 63% ~ Cortina 1956 (5
개 경기장)
4. 60% ~ Salt Lake City 2002 (6
개 경기장)
5. 50% ~ Nagano 1998 (7
개 경기장)
5. 50% ~ PyeongChang 2018 (6
개 경기장)
7. 46% ~ Turin 2006 (6
개 경기장)
8. 44% ~ Innsbruck 1964 (4
개 경기장)
9. 43% ~ Lake Placid 1980 (3
개 경기장)
10. 40% ~ Albertville 1992 (4
개 경기장)
11. 33% ~ St. Moritz 1928 (1
개 경기장)
11. 33% ~ Vancouver 2010 (3
개 경기장)
13. 30% ~ Calgary 1988 (3
개 경기장)
14. 17% ~ Lake Placid 1932 (1
개 경기장)
15. 12% ~ Sarajevo 1984 (1
개 경기장)
16. 11% ~ Grenoble 1968 (1
개 경기장)
16. 11% ~ Innsbruck 1976 (1
개 경기장)
18. 10% ~ Lillehammer 1994 (1
개 경기장)
18. 10% ~ Sochi 2014 (1
개 경기장)
20. 8% ~ Sapporo 1972 (1
개 경기장)
21. 0% ~ Chamonix 1924 (0
개 경기장)
21. 0% ~ Garmisch-Partenkirchen 1936 (0)
21. 0% ~ Palisades Tahoe 1960 (0)

 

 

또 한가지 주목할만한 일은 2030년 동계올림픽유치제안 중인 미국의 Salt Lake City의 경우 2026Cortina d”Ampezzo동계올림픽에서 36개 세부메달종목이 추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2년 동계올림픽에서 사용된 기존 경기장 모두를 재 사용함으로 새로운 경기장 신설이 전무하다는 것입니다.

 

 

상기 자료에서 보듯이 동계올림픽개최는 대회 이후 대중용 시설 사용을 사전에 염두에 두고 계획된 경우, 스키 발전 및 동계스포츠 리조트 개발의 도약대가 되기도 한다라는 것입니다. 이와 부합되는 케이스는 Nagano1988Sochi2014 동계올림픽뿐만 아니라 Grenoble1968 Innsbruck 1976 역시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계올림픽은 하게올림픽처럼 거대하거나 복잡한 구조로 조직되는 것이 아니라 개최국 조건에 맞게 개최되도록 되어 있는데 IOC조사자료에 명시 되었듯이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훌륭한 재사용 역사(excellent re-use history of the inter Games section documented in the IOC’s survey)사례들을 잘 감안한다면 아마도 하계올림픽 역시 해당 종목과 경기장 간의 조화로운 다이어트(sport-and-venue diet)식 배합으로부터 혜택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IOC websit

Posted by 윤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