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10. 6. 7. 10:12
독일의 세계적 명품자동차업체인 BMW가 스폰서전략으로 세계스포츠 계를 주름잡고있다.
뮌헨에 본사를 둔 BMW사는 일찌감치 뮌헨2018 간판 스포츠서로써 자리매김하고 있다.
물론  뮌헨의 2018동계올림픽유치에 물심양면 핵심지원첨병이기도 하다.

BMW는 이미 2012년 런던올림픽 공식자동차 파트너로 계약하여 그 주가를 더 올리고 있다.
2012년 런던올림픽대회 기간 중 BMW사는 각국 참가 선수, 임원 및 올림픽가족에게 4,000대를 제공할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런던 올림픽공식로고)

SportBusiness 저널에 의하면, BMW는 2016년 리오 데 자네이로 올림픽때까지 세계최강 스포츠파워인 미국올림픽위원회(USOC)와 스포츠서계약이 이루어 진 상태이며 계약선포는 수주 후 공식발표될 것이라고 한다.

USOC후원금은 총 $2,400만 불(약 288억원)이며 차량가치로 대납해주는 물납(value-in-kind)이 아니고  전액 현찰(cash)이라고 한다.


           (USOC New Logo)

미국에서 미국스포츠단체 그것도 미국스포츠 전체를 대표하는 USOC에 대하여 비-미국자동차업체(non-U.S. car manufacturer)가 자동차 부문(the automotive category)에 스폰서로 참여하는 것은 BMW가 최초이다. 
물론 BMW사가 과거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대회를 후원한 적은 있지만 미국국가대표선수들을 관장하고 있는 USOC를 후원한다는 소식은 그야말로 뉴스감이다.  

평창2018과 첨예한 경쟁상대인 뮌헨2018간판 스폰서가 미국을 상대로 거시적 로비작전에 돌입한거다.
물론 상업적 측면에서 미국자동차시장공략이란 명분을 내세우고 있겠지만 이는 분명 다목적 포석이다.

3수 도전 중이고 사실 상 배수진을 친 것과 다름 없는 평창2018은 자동차 분야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한국기업들의 평창유치후원정도가 상대적으로 열세일뿐만 아니라 취약 그 자체다.

114명 중 투표권이 주어진 108명 IOC위원에 대한 표심잡기홍보를 위해 우수한  다국적 한국기업들이  평창유치파트너로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다.

'진인사대천명'모드(mode)로 유치성공을 기대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평창유치위원회, 정부, 기업, 국민 모두가 일심동체로 총력지원체제상태로 돌입해야만 가능하다. 시간은 우릴 기다려 주지 않는다.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6. 4. 18:01

한국스포츠외교사에 큰 획을 그었던 1981년9월30일 당시 서독 바덴바덴에서의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유치는 한국스포츠외교의 가장 획기적이고 역사작인 쾌거로서 '바덴바덴대첩'이라고 불리워 마땅하다.

서울올림픽의 성공적개최에 따른 두마리 토끼(대회 성공적 조직과 홈팀 한국선수단의 우수성적거양)를 다 잡기위하여 이듬해인 1982년 3월20일 체육부가 정부조직법에 의거 창설되었다.

초대 체육부장관은 당시 노태우 정무장관이 임명되었다.

<체육부시절:1982.3.20-1991.2.1>

제1대 체육부장관(초대): 노태우(1982.3.20-1982.4.28)/제13대 대통령/SLOOC위원장/대한체육회장 등 역임
제2대: 이원경(1982.4.28-1983.10.15)/외무부 장관, KOC명예총무 등 역임
제3대: 이영호(1983.10.15-1986.1.8)/SLOOC집행위원장, 초대 체육부차관, 이화여대 교수 등 역임
제4대: 박세직(1986.1.8-1986.8.27)/총무처장관, SLOOC위원장, 안기부장, 서울시장 등 역임
제5대: 이세기(1986.8.27-1987.7.14)/국회의원 등 역임
제6대: 조상호(1987.7.14-1988.12.4)/대한체육회장, SLOOC사무총장 및 부위원장, 청와대 의전수석 등 역임
제7대: 김집(1988.12.5-1990.3.18)/대한체육회부회장, 태능훈련원장 등 역임
제8대: 정동성(1990.3.19-1990.12.26)/국회의원 등 역임

<체육청소년부 시절:1991.2.1-1993.3.5>

제9대체육청소년부장관(초대): 박철언(1990.12-1991.12)/정무장관 등 역임
제10대: 이진삼(1991.12-1993-2)/국회의원, 4성장군 등 역임

<문화체육부 시절: 1993.3.6-1998.2.1>/문화부와 체육청소년부가 통합

제11대 문화체육부장관(초대): 이민섭(1993.2.26-1994.12.23)/국회의원 등 역임
제12대: 주돈식(1994.12.24-1995.12.20)/신문사 주필, 청와대 수석 등 역임
제13대: 김영수(1995.12.21-1997.3.5)/청와대수석, 프로농구연맹총재 등 역임
제14대: 송태호(1997.3.6-1998.3.2)

<문화관광부 시절: 1998.3.3-2008.2.28>

제15대 문화관광부장관(초대): 신낙균(1998.3.3-1999.5.23)
제16대: 박지원(1999.5.23-2000.9.19)
제17대: 김한길(2000.9.20-2001.9.18)
제18대: 남궁진(2001.9.19-2002.7.10)
제19대: 김성재(2002.7.11-2003.2.26)
제20대: 이창동(2003.2.27-2004.6.30)
제21대: 정동채(2004.7.1-2006.3.6)
제22대: 김명곤(2006.3.27-2007.5.7)
제23대: 김종민(2007.5.8-2008.2.28)

<문화체육관광부 시절 2008.2.29-현재>

제24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초대): 유인촌(2008.2.29-2011.1월)
제25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2대): 정병국(2011.1월-8월)
제26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3대): 최광식(2011.9~현재)

지금부터 역대 체육관련 장관들의 활동모습을 살펴보자:


             (노태우 초대 체육부장관 겸 제13대 대통령/청와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한국선수단 환영오찬)


(이원경 제2대 체육부장관<가운데>, Mohamed Benjelloun 모로코 IOC위원/우-2, 이영호 당시 체육부 초대차관/좌-1, IOC위원부인/좌2, 필자/좌-3, 1983년)

                                            (이영호 제3대체육부장관/몽블랑정상에서 1985년)

                    (박세직 제4대 체육부장관/SLOOC위원장자격, 로잔느 1987년)

                   (제5대 이세기 체육부장관/우-1, Attarabulsi 리비아 IOC위원/좌-1, 필자/가운데, 1996년, 애틀랜타 코리아하우스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선수촌에서 이세기 전 장관이 국회문화체육위원회위원장장 자격으로 한구선수단 격려 방문) 

     
                  (제6대 조상호 체육부 장관/좌-3, 동베를린 IOC총회 1985년/SLOOC대표단과 함께)


 (제7대 김집 체육부장관/우-2, 1984년  LA올림픽대회 선수촌, 선인원태능선수촌 지도위원/좌-1, 김성집 한국선수단장/좌-2, 필자/우-1)


                               (제9대/초대 박철언 체육청소년부 장관, 필자/1991년 호지민, 베트남)



(제10대: 제2대 이진삼 체육청소년부장관/우-2, 김종렬 KOC위원장/우-1, 필자/좌-1,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한국선수단 결단식)

 
               (제13대/제3대 김영수 문화체육부장관/우-1, 필자/좌-1/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선수촌)


                         (KOC위원, 김영수장관, 박상하 KOC부위원장, 필자, 김숙자 여자감독)

             (제14대/제4대 송태호 문화체육부장관/가운데: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한국선수단 교민환영회)


           (제20대/제6대 이창동 문화관광부장관/우-1, Mario Pescante 이태리 IOC부위원장/좌-1, 필자/가운데, 2003년 프라하 IOC총회장)


               (제21대/제7대 정동채 문화관광부장관/좌-1, 필자/우-1,  20014년 아테네 올림픽개회식장)

              (제22대/제8대 김명곤 문화관광부장관/우-2, 배우문성근/우-2, 필자/우-1: 2002년 금강산)

  (2010년 평창 드림프로그램에서 스키 강사를 맡은 제24대/초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과 각국 청소년 참가자들)

 

(정병국 전 장관이 양평군 국회의원시절 필자가 운영하는 평산스포츠박물관 개장식에 참석하여 박물관 전시품을 감상하고 있다.)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6. 4. 15:41
1968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한체육회장은 곧 KOC위원장이었다.
대한체육회와 KOC(대한올림픽위원회)의 분리독립문제는 첨예의 논란의 대상이었다.
2009년 2월에 취임한 박용성 제37대 대한체육회장은 이러한 논란을 잠재울 묘안을 제안하여 관철시켰다. 
즉, 조직을 한글로는 '대한체육회'이고 영어로는 'KOC(Korean Olympic Committee)'로 통일시켰다.
그 여파로 대한체육회의 영문명칭이었던 KASA(Korea Amateur Sports Association)과 제31-33대 김운용대한체육회장이 변경하여 사용해 오던 KSC(Korea Sports Council)가 모두 사라져버렸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해 오던 대한체육회 방패모양의 로고(Logo/Emblem)문양도 자취를 감추었다.
한편 KOC의 한글 명칭이었던 '대한올림픽위원회'란 이름 또한 증발되어 버린셈이다.
최근에는 KOC의 로고의 핵심문양인 태극를 변형하여 새로운 로고를 탄생시켜 IOC의 변경승인을 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제부터 한글로는 대한체육회장이라 쓰고 영어로는 President of the Korean Olympic Committee로 써야한다.
혹 퀴즈나 상식문제에 출제될 경우 제대로 염두에 두어야 정답을 말할 수 있다.

<대한체육회 연혁>

  1920. 7.13 조선체육회 창립
  1938. 7. 4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
  1945.11.26 조선체육회 부활
  1947. 6.20 대한올림픽위원회(KOC)설립 및 IOC 가입
  1948. 9. 3 대한체육회로 개칭
  1954. 3.16 사단법인 대한체육회 인가
  1966. 6.30 태릉선수촌 건립
  1968. 3. 1 대한체육회에 대한올림픽위원회 및 대한학교체육회 통합
  1982.12.31 국민체육진흥법에 대한체육회를 특수법인으로 지정
  1986. 9.20 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최
  1988. 9.17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 개최
  1996. 4.21 제6차 IOC 세계생활체육총회 개최
  1997. 1.24 1997 무주 · 전주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
  1997. 5.10 제2회 부산 동아시아경기대회 개최
  1999. 1.30 제4회 강원 동계아시아경기대회 개최
  1999. 6.17 제109차 IOC총회 개최
  2002. 9.27 부산아시아경기대회 개최
  2003. 8.21 2003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
  2006. 3.31 2006 국가올림픽총연합회(ANOC)총회 개최
  2007. 3.27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
  2007. 4.17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유치
  2009.5.24        2015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유치
  2009. 6.29 대한체육회, 대한올림픽위원회 완전 통합


지금부터는 1970년대 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역임하였던 대한체육회장/KOC위원장을 사진으로 만나보자.



           (제25 대한체육회장/KOC위원장: 고 박종규 회장<가운데>1979.2-19806대통령경호실장, IOC위원 역임)

            (제26대: 고 조상호 회장<가운데>1980.7-1982.7 제6대 체육부장관/SLOOC사무총장 및 부위원장 /청와대 의전수석 등역임)

             (제27대: 고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맨 우측>1982.7-1984.10 좌측은 중국의 하진량 IOC부위원장, 가운데는 필자)

                    (고 Sheikh Fahad 초대 OCA회장 겸 쿠웨이트 IOC위원, 필자, 고 정주영 회장)

            (제28대: 노태우 제13대 대통령<좌-2>1984.10-1985.4,  고 이영호 체육부장관/좌-1, 필자/우-2, 모리타니아 체육부장관/우-1)


               (제29대: 김종하 전 고합회장<우측>1985.4-1989.2/OCA부회장/대한핸드볼협회 회장 역임)

                                         (김종하회장, 필자/국제과장 및 비서실장역임)

           (제30대: 고 김종렬회장<가운데>1989.2-1993.2/대한럭비연맹회장 역임,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선수촌장/좌-1, 필자/좌-1)




(제31대-33대: 김운용회장<우측>1993.2-2002.3/IOC부위원장, WTF총재, 국기원장, GAISF회장, IOCTV분과위원장, 1999년 강원동계아시안게임 및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조직위원장 등 역임, 필자/좌측)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및 IOC총회 참석차 공항에 도착한 김운용KOC위원장 겸 IOC부위원장, 백성일 당시 비서실장, 필자)


(제34대: 이연택회장<좌측>2002.5-2005.2/총무처장관, 노동부장관, 청와대 행정수석, 국민체육진흥공단 이사장, 현재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장, 필자/우측)


             (제35대: 김정길 회장<우측>2005.3-2008.4/행자부장관, 국회의원, 청와대 수석 등 역임, 필자/좌측)

                       (제36대: 이연택회장: 제35대 김정길회장 잔여임기/2008.5- 2009.2 9개월간)

(제37대: 박용성회장<가운데>/IJF회장 및 IOC위원/ 대한 유도회 회장 역임, 현재 두산중공업회장, 중앙대학교이사장, 필자/좌-1, 고 이응식 전 공보실장/우-1)
(2009.2-현재)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윤강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