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11. 4. 7. 10:39
IOC는 향후 올림픽유치를 보다 효과적이고 발전시키기 위한 포런을 개최할 예정이다.
Gilbert Felli IOC올림픽대회 수석국장이 인터뷰를 통해 밝힌 내용을 살펴보자.

 

(리오에서 만난 Gilbert Felli IOC올림픽 수석국장<좌-2>/좌로부터 필자, Felli, 문부춘 전 강릉부시장, 문동욱 국제팀장/2014)

 

- Gilbert Felli, IOC와 미래의 비드 도시들 간 협력방안에 대해 ATR과 독점 인터뷰


- IOC의 신청(application) 시스템으로 IOC와 비드 도시 간 대화가 단절되고 있다. 


   - 올림픽공원, 베뉴 간 근접성, 올림픽 빌리지 요구사항, 대학 캠퍼스 활용 여부, 베뉴의 영속성, 규모 등 비드를 위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포럼을 개최 예정이다.

 

   - “Bidding for the Games”로 이름 붙여진 세미나가 11월 1~2일에 로잔에서 열릴 예정이다.


   - 더 많은 비드 도시들을 모으기 위해 비드에 대한 NOC의 결정과 후보도시 파일의 제안에 대한 1:1 토론을 허용할 방침이다.


   - IOC는 안시에게 베뉴 클러스터 간 거리를 줄이도록 후보도사파일을 수정하도록 요구한 적도 있다


   - 이러한 자문은 11월의 세미나에서 비공개로 이루어질 것이다. 

IOC Plans Forum, Consultations to Attract Better Olympic Bids


(ATR) IOC Executive Director for the Olympic Games Gilbert Felli reveals exclusively to Around the Rings a two-pronged plan to increase collaboration between the IOC and future Olympic bid cities.


“Often, [bidders] don’t have contact with us and we don’t have contact with them because you have to go through our [application]

IOC Executive director for the Olympic Games Gilbert Felli. (ATR)system,” Felli told ATR in London on the sidelines of SportAccord.


“Some assumptions have been taken before by the cities or even by advisors to a 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they’re maybe not good assumptions.


“We could help cities to understand the project sooner.”

Does the IOC demand an Olympic Park? Must a group of venues be close by? What kind of installation is required for an Olympic Village? Can a city use a university campus? Which venues can be temporary and which must be permanent? What about their capacities? Must an Olympic swimming pool be covered? Must the swimming venue even be a pool?


These questions and more will be answered when the IOC hosts its first-ever forum for interested candidates to receive highly detailed information about bidding for both the Olympic and Youth Olympic Games.


The aptly titled “Bidding for the Games” seminar will be unveiled later this week by the IOC and will convene Nov. 1-2 at the Olympic Museum in Lausanne.


“We said why don’t we have a place where people can get the information so we could there give a little bit the vision of the IOC and how we believe the Olympic Games and Youth Olympic Games are a part of that vision,” Felli said.


“It’s a forum where NOCs, of course, but mainly cities that have got the intention to bid can understand the project a bit better.”


The second prong of the IOC’s plan to attract more and better bidders is an allowance for one-on-one discussions in between an NOC’s decision to bid and a city’s submission of its candidature file.

“Before they bring the final file of the first phase to the IOC, we would be happy to talk with them about their concept,” said Felli.


“We could have a step where we could make a general assessment of the concept of the city.”


The IOC asked Annecy to reformulate the sports plan included in its initial candidature file in order to shrink distances between venue clusters, a blow that set the French bid behind rivals Munich and PyeongChang in the race for 2018.


Felli twice pointed to Annecy as an impetus for the IOC to strive for greater – and earlier – collaboration with potential bid cities.


“Sometimes they [get so far with internal discussions] that it’s difficult to correct in the second phase,” he told ATR.


“We have seen lately with the Annecy concept in the first phase that we could maybe say to them there’s no point to come to us with this concept. Maybe it’s better if you can correct this.”


Felli stressed that these consultations would be a behind-closed-doors counterpart to November's bidding seminar.


The IOC will cap attendance at about 120, the capacity of the Olympic Museum.


Though applicant city nominations for 2020 are due from NOCs on Sept. 1, interested candidates can request an exemption by the end of July to allow for a decision after the seminar.


NOC approval is not required to participate in consultations with the IOC, but the seminar is a bit more stringent – attendees must be sent by their mayor.


Felli added that an information seminar for 2020 applicants already loosely scheduled for October may be pushed back a bit so as to run back-to-back with the bid forum and to utilize the same Games experts.


Felli will discuss IOC specifics at the two-day forum, and past Olympic organizers will weigh in on legacy aspects.


A minimal fee – not more than a few hundred dollars – will be required for participation.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1. 4. 5. 11:19
매년 연례행사 성 허례허식과 들러리 (pomp and circumstance)문화로 대변되어왔던 IOC총회개최가 변신의 대 전주곡을 준비하고 있다.


IOC는 지구촌 전 세계 스포츠를 통할하는 최고, 최대의 기구로써 IOC자체 사업을 "가상의 (컴퓨터)통할관리"(vitual governance)체제로 전환하는 세계 스포츠기구들 중 첫 번째 선두주자로 나설 전망이란다.

이 제안은 IOC로 하여금 지구촌 곳곳을 누비며 이국적인 지역에서 개최되어 왔던 총회대신 사이버공간(cyberspace)상에서 함께 집합하는(congregate) 방식을 채택하게끔함으로써 우선 시행 첫 5년 동안에만 미화 수 천만불(tens of millions)의 경비를 잠정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된 내부프로젝트 계획은 금주 런던 SportAccord 컨벤션기간 중 개최되는 IOC집행위원회에 의제로 상정되어 논의되고 나면 구체화될 전망이다.

이 프로젝트의 코드 명은 "고결한 약진"(Virtuous Leap)이며  스위스, 프랑스, 미국 그리고 3개의 IOC 다국적 스폰서들이 협력체제(consortium)를 구성하여 지난 2년 간 개발해 왔다.

"고결한 약진"(Virtuous Leap)포로젝트는 강력하고 최신예 확고부동한 네트워크로 개발되어 선 보일 예정이란다.
이 프로젝트를 개발한 회사들은 연관성이 적절한 여타 국제 스포츠기구들에게도 이러한 가상공간 통할 시스템(the virtual governance system)을 보급할 예정이다.

새롭게 개발된 "고결한 약진 망"(Virtuous Leap network:VLN)은 IOC총회뿐만 아니라 IOC집행위원회 및 각종 IOC분과위원회회의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한다.

IOC기획자들은 VLN이 신속하게 확산되어 국제연맹들 및 205개에 달하는 전 세계 국가올림픽위원회들과의 연결 네트워크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VLN기획은 IOC집행부의 테크노-귀재(techno-wizards) 집단의 지원결과로 일사천리 진척되어 왔지만 아나로그 세대(the less plugged-in) 일부 IOC위원들은 VLN시행에 대해 지나친 기술혁신과 모험적인 처사가 아니냐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한다.

" 이것은 이 처럼 중요한 세계기구를 이끌어가는 방식이 아니다.(This is not the way to run this important world body.)"라고 한 고참 IOC위원은 푸념하고 있다.

그는 쿠베르탱 남작이 이  어리석은 방식 적용에 대해 듣는다면 두 번 죽는 셈이 것이로다.(De Coubertin would die a second time were he hear about this foolishness.)라고 통탄해 하기도 한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1. 3. 31. 17:34
당초 2010년 동계올림픽유치경쟁에 출전하였던 스위스의 수도 베른은 후보도시 명단에 포한되었었지만 주민투표결과가 반대가 유세하여 유치를 중도에 철회한 바 있다.
이제 다시 스위스 알프스의 리조트 도시들인 다보스/Davos(국제 포럼으로 유명)와 생모리츠/Saint-Moritz(1928년 제2회 및 1948년 제5회 동계올림픽 개최도시)가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의사를 표명하고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 출사표를 던졌다.

 외신이 전하는 기사 내용을 소개 한다.

 

 

<스위스 다보스와 생모리츠, 2022 동계올림픽 개최 희망>



- 스위스의 알프스 리조트 도시 다보스와 생모리츠, 2022 동계올림픽 유치 의사를 수요일 발표, 번화한 대도시 개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공동계획을 목요일까지 스위스올림픽위원회에 제출 예정


- 두 도시가 위치한 Graubuenden주의 정치인 Tarcicius Caviezel가 비드 노력을 이끌고 있으며, 그는 “우리는 보다 소박한 대회를 원한다”고 말해


- 생모리츠는 1928과 1948 동계올림픽을 개최했으며 최근의 스위스 비드들은 실패했음


- 스위스는 올해 하반기에 공식적으로 2022 동계올림픽 유치를 신청할지 결정할 예정이며, 스위스의 직접민주주의를 고려할 때, 비드 진행을 위해서는 현지 주민투표와 의회의 찬성이 필요할 것


- 2022 개최지는 2015년 IOC 총회 투표를 통해 결정될 예정  

Davos and St Moritz want to host the 2022 Winter Olympics


The famous Swiss Alpine resorts of Davos and St Moritz on Wednesday declared their intention to bid for the 2022 Winter Olympics.

The high-end ski resorts in eastern Switzerland will present their joint plan by Thursday to the Swiss Olympic Committee. They plan to present themselves as an alternative to big urban host cities.

'We want simpler games,' said Tarcicius Caviezel, a politician from Canton Graubuenden, where the two resorts are located, who is spearheading the effort.

Davos and St Moritz believe they have most of the infrastructure in place to hold the Games, though some new installations would be required, according to the Swiss news agency SDA.

St Moritz hosted the Winter Games in 1928 and 1948, though more recent Swiss bids have failed.

Switzerland, where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s based, will decide later this year whether it will formally field a bid for the 2022 Games.

Given Switzerland's direct democracy, if the country takes on the Graubuenden bid, a local referendum would likely be needed, and parliament too would have a say in whether the Alpine land officially bids.

The 2022 host is elected by the IOC in 2015. The 2014 Winter Games are in Sochi, the 2018 host is picked on July 6 from Munich (Germany), Pyeongchang (South Korea) and Annecy (France).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1. 3. 31. 15:58

외신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케냐와 카자흐스탄(2011년 동계아시안게임 개최국)이 각각 2020년 하계올림픽, 2022년 동계올림픽 출사표를 던졌단다.
외신내용을 소개한다.


 

<케냐의 2020년 올림픽 유치>

- 케냐 신문 더 스탠더드에 따르면 라일라 오딩가 케냐 총리는 브라질 프로축구팀 팔메이라가 케냐 투어를 시작한 지난 일요일, “케냐만큼 올림픽 메달을 많이 획득한 아프키라 국가는 없기에 케냐는 충분히 올림픽을 개최할 자격이 있으며 브라질의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 주케냐 브라질 대사 앤마리 삼파오도 그 자리에 함께 있었으며 “본국 정부에 케냐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기로 약속”했다고 신문은 전한다.


- 하지만 케냐의 2020 비드는 남아공 비드에 가려질 가능성이 크며 IOC는 2020 비드 신청을 5월 하순에 시작할 예정이다. 

Kenya Bid for 2020


Kenya’s prime minister says the country’s Olympic success make it a choice candidate for the 2020 Olympics.

Raila Odinga made the comments Sunday as a team from Brazilian football club Palmeiras began their tour of Kenya.

According to a report in Kenyan newspaper The Standard, he said: "No country in Africa has won more Olympic medals than Kenya so we have all the rights to host the Games and we are asking Brazil to support us."

Brazilian Ambassador to Kenya Anne Marie Sampaio was present for the announcement and the paper said “she promised to urge her Government to support Kenya’s quest”.

Should Kenya make a bid, it would certainly be a long-shot bid and would likely be overshadowed by a possible South African bid for the 2020 Games. The IOC will open applications to bid for 2020 later in May.





 

<카자흐스탄의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
 

- 카자흐스탄 체육관광부 장관, 2017년에 2022 동계올림픽 비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 그는 카자흐스탄이 대회의 일부가 되고 개최지가 될 조건을 갖추었으며 IOC를 비롯한 국제 스포츠 사회도 이를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 그는 “아시아 국가 중 카자흐스탄이 (동계올림픽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경기 시설의 추가 건축을 피하기 위해 두 도시 - 아스타나와 알마티 - 에 걸쳐 2022 대회를 개최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카자흐스탄은 비드와 관련해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과 자크 로게 IOC 위원장 간 면담을 주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azakhstan To Bid For 2022 Winter Olympics


Minister of Tourism and Sport Temirkhan Dosmukhanbetov said that Kazakhstan intends to submit a bid for the 2022 Winter Olympic Games in 2017.

He said that Kazakhstan has the conditions to take part in the competition and become a venue for such events, adding that the global sports community, including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recognizes it.

Dosmukhanbetov said, "Kazakhstan has the best conditions (for the Olympics) among Asian countries", stressing that Kazakhstan hopes to hold the 2022 Games in two cities - Astana and Almaty, to avoid the construction of additional sports facilities.

Kazakhstan's bid has reportedly been discussed at a meeting between Kazakh President Nursultan Nazarbayev, and Jacques Rogge, head of the IOC.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1. 1. 10. 10:29
2016년 남미대륙  최초의 올림픽인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올림픽대회의 새로운 엠블렘(Emblem)이 코파카바나 해안에서 대대적인 2011년 신년 맞이 축하행사를 통해 소개 되었다. 


Nuzman at the New Year's Eve logo launch. (Rio 2016)
(2010년 12월31일 New Year's Eve에 발진한 2016년 리오 올림픽 뉴 로고 앞에서 인사말 중인 Carlos Nuzman)


Nuzman with IOC president Jacques Rogge and newly elected Brazilian president Dilma Rousseff on her inauguration day. (Rio 2016)
(좌로부터 Carlos Nuzman 2016년 리오 올림픽 조직위원장, Dilma Rousseff 브라질 신임 대통령, 자크 로게 IOC위원장)


(2016년 리오 올림픽 유치 후보도시이후 사용되었던 로고)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0. 12. 16. 09:35
제1회 청소년 동계올림픽은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에서 2012년 1월13일부터 22일(10일 간)까지 열린다.
2012년 인스부르크 청소년 동계올림픽 상징 마스코트는 山염소(a mountain goat)란다.

Mountain Goat, mascot of the YOG. (Innsbruck 2012)

마스코트 공모 후 선정투표가 어제(12월15일) 있었는데 "산염소(Mountain Goat)"가  알프스나 아펜니노 산맥 등지에서 서식하는 이벡스(ibex: 야생염소)를 밀어내고(edging out an ibex) 최종 마스코트로 결정되었다.
2012년 인스부르크 청소년 동계올림픽 공식 마스코트가 된 "산염소"의 명칭은 그대로 "Mountain Goat"란다. 

위 마스코트 디자인은 약간의 수정단계를 거친 후 대회개최 1년 전인 2011년 1월13일 D-365일 기념행사에서 공식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모던하고 청춘의 발랄함을 풍기는 산염소의 디자인은 전통적인 티롤지역 의상인 레더호센(lederhosen: 무릎까지 내려오는 가죽바지)을 산염소에게 입혔으며 동시에 씩씩한 기상을 청소년들에게 불어 넣어 청소년 올림픽대회에서 각자 최선을 다하도록 고취시킬 목적으로 고안되었단다.


Innsbruck 2012 CEO Peter Bayer (far left) with Werner Friesser, major of Seefeld, Seefeld tourism board chairman Fritz Kaltschmid and Tyrolean vice governor Hannes Gschwentner at the pictogram unveiling. (Innsbruck 2012)
(2012년 제1회 인스부르크 동계청소년 동계올림픽 픽토그램)



 
(2010년 제1회 싱가폴 청소년 올림픽 공식로고)




(제1회 싱가폴 유스올림픽 마스코트 들고 있는 우사인 볼트/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0. 12. 15. 14:15
얼마 전 막을 내린 2010년 제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은 아시아 대륙 45개국에서 선수만 10,000명이상이 참가해 올림픽(10,500명)과 필적하는 규모다.
실시되는 종목수는 42개(세부종목 58개)로써 최대 28개로 제한된 올림픽의 그것보다 무려 14개나 더 많다.
아시안게임의 역사는 '시미나창'(시작은 미약하나 나중은 창대하다.)으로 표현 될 수 있다.(The Asian Games is shaped by humble roots but rapid growth.)

대회 참가국 등 종합적인 견지에서 보아도 아시안게임은 올림픽 다음으로 규모가 최대인 메가 스포츠이벤트다.
1951년 창설된 아시안게임은 사실 보잘 것 없었다.
제1회대회에는 아시아 대륙 11개국에서 500명도 채 안되는 선수들이 참가하였다. 
1913년 제1회 동양 올림픽(the 1st Oriental Olympics)이라고 명명되었던 아시아 스포츠대회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되었다.
일본, 말레이지아, 태국, 자유중국(대만) 및 홍콩 그리고 개최국 필리핀 등 달랑 6개국이 전체 참가국이었다.
이 대회는 1934년 제10회 극동 선수권대회(the 10th Far East Championships)까지 명맥을 유지 한 바 있다.
아시안게임의 효시 격인 이 대회는 두 번에 걸친 명칭변경과 함께 유지되다가 1938년 일본 도쿄개최 예정이던 제11회 동양선수권대회(the 11th Oriental Championships)가 제2차 세계대전(World War II)으로 인하여 대회 조직이 무산되었다.

1) Oriental Games(1913년)
2) Far East Championships(1934년까지)
3) Oriental Championships(1938년 대회취소)
4) Asian Games(1951년부터)

여러가지 사정으로 아시아대륙 국가들의 대회 참가가 어려워지자 1934년 제1회 서아시안 게임(the 1st West Asian Games)이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되었다.
제1회 서아시안게임 참가국(4개) 리스트:

1)아프가니스탄
2)스리랑카
3)인도
4)팔레스타인

1938년 제2회 서아시안게임 역시 제2차 세계대전으로 말미암아 취소되었다.
그 이후 10여 년 간 아시아 스포츠 발전의 침체기가 시작된 것이었다.
2차세계대전 종식과 많은 아시아 신생국들이 식민지로부터 독립하자 아시아대륙의 촛점은 다시 스포츠경기장으로 모아졌다.
1948년 런던올림픽대회 기간 중  아시아 스포츠지도자들은 극동 선수권대회(Far East Championships)부활에 대하여 논의하기 시작했다.
인도 왕족 출신 His Highness Maharaja Yadavindra Singh은 대화의 필요성을 느꼈으나 큰 진전은 없었다.
그리고 2년 후 인도 크리켓 선수출신의 M. Y. Singh은 아시아가 한개의 대륙이며 따라서 별도의 단일 게임(a single Games)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다른 지도자들도 동조하였다.

아시안게임이 창설된 것은 1947년 당시 인도 IOC위원이었던 손디에 의해 주도 되었다.
그는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했던 13개국 아시아 국가들에게 초청장을 발송했는데 이중 6개국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아시안게임개최를 위한 준비협의회를 가졌다.

1)한국
2)자유중국(대만/Chinese Taipei)
3)필리핀
4)버마(미얀마)
5)스리랑카
6)인도

1949년 2월 다시 인도 뉴델리에서 아시안게임연맹(AGF: Asian Games Federation)을 결성하기 위한 협의회가 개최되었다.
뉴델리 협의회에서 제정된 헌장이 IOC에서 승인되어 정식으로 AGF가 창립되었다.
AGF초대 회장은 인도의 Yadavindra Singh(손디)이 선출되었다.

AGF최초 가맹국:

1)인도
2)아프가니스탄
3)버마(미얀마)
4)파키스탄
5)필리핀
6)한국

AGF는 제1회 아시안게임을 1951년 3월4일부터 11일까지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키로 하였다.
이 대회에는 모두 11개국이 참가하였으며 한국은 AGF 및 아시안게임 창설국이면서도 6.25 사변으로 참가치 못했다.

제1회 뉴델리 아시안게임 실시 종목(6개):

1)육상
2)수영
3)농구
4)사이클
5)축구
6)역도

참가국(11개):

1)아프가니스탄
2)버마(미얀마)
3)인도
4)인도네시아
5)이란
6)스리랑카
7)일본(1948년 대회부터 참가금지규정에도 불구하고 참가)
8)네팔
9)필리핀
10)싱가폴
11)태국

Athletics was among six sports contested at the 1st Asian Games in 1951. (OCA)




창설대회는 예정보다 1년 늦었지만 올림픽대회의 중간년도에 개최한다는 원칙에 따라 제2회 마닐라 아시안게임은 1954년 5월1일-9일 개최되었다.
제1회 아시아게임에서 실시되었던 마라톤과 사이클 종목은 중지되었다.
반면 수영은 접연과 평영을 분리하여 실시했고 예술작품 전시회도 곁들여 졌다.
제2회 마닐라 아시안게임에는 18개국에서 1,241명의 선수들이 참가하였고 휴전직후 81명 규모의 선수단(선수 59명 임원22명)을 파견한 한국은 금메달 8개, 은메달 6개, 동메달 5개 등 총 19개의 메달로 종합 3위를 차지 하였다.
우리나라는 처음 출전한 마닐라대회에서 일본, 필리핀에 이어 종합순위 3위를 차지하여 아시아대륙 스포츠강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은 제1회부터 제8회 아시안게임까지 줄곳 종합성적 1위로써 아시아 스포츠 최강국의 지위를 누렸었다.
아시안게임은 인도인 Maharaja Yadavindra Singh가 창설하였고 제1회 뉴델리 아시안게임을 조직하였다. 
그의 동생인 Raja Bhalandra Singh은 1951년 제1회 뉴델리 창설대회에 이어 1982년 아시안게임을 뉴델리에서 다시 개최하였다.

(Raja Balandra Singh 인도 IOC위원겸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조직위원장, 필자, 고 김종열 한국선수단장(추후 KOC위원장 역임)



인도 IOC위원인 Balandra Singh의 아들인 Raja Randhir Singh은 IOA 및 OCA 사무총장으로 활동 중이다.



                               (Raja Randhir Singh 인도IOC위원 겸 OCA사무총장과 함께)

(좌로부터 필자, 김동호 1999년 강원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겸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Randhir Singh OCA사무총장 겸 인도 IOC위원, 이승원 FIS집해위원 겸 아시아 스키연맹회장/ 1999년 용평)


그후 AGF는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기간 중 OCA(Olympic Council of Asia)로 개편되었고 초대회장은 오일달러를 앞세워 헤게모니를 잡은 중동의 소국 쿠웨이트 왕족 출신 고 Sheikh Fahad Al-Ahmad Al-Sabah 쿠웨이트 IOC위원이 단일후보로 선출되었다.

(좌로부터 고 Sheikh Fahad OCA초대회장 겸 쿠웨이트 IOC위원, 필자, 고 정주영 KOC위원장/1983년 서울)

(태릉선수촌을 방문한 고 Sheikh Fahad OCA회장<우-1>, 김성집 태릉선수촌장<좌-1>, 필자<가운데>)


           (1982년 AGF를 대신하여 창설된 OCA초대 사무총장인 Air Vice Marshall Mehta와 함께/1986년 서울)

1990년 아락의 쿠웨이트 무력침공 중 사망한 초대 OCA회장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Sheikh Ahmad Al-Fahad Al-Sabah가 중동세와 인도를 비롯한 남중아시아 약소국들을 들러리로 내세워 표를 결집한 결과 또 다시 OCA회장직을 세습(?)한 형상이 되고 말았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관련 역사적 담판 협상을 마무리하고 나서: 좌로부터 필자, Sheikh Ahamd OCA회장, Muttaelb OCA사무국장, 고 한기복 부산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 사무총장/2000년 쿠웨이트 OCA본부)


그는 쿠웨이트 IOC위원, OCA회장(1991년부터~), 아시아 핸드볼연맹회장, OPEC의장 역임, 쿠웨이트 에너지 장관을 거쳐 지금은 쿠웨이트 부총리직을 맡고 있는 실세다.

아시안게임은 이제 중동의 소국 쿠웨이트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
종목도 2010년 광저우대회를 끝으로 42개에서 35개(28+7)로 축소 조정되었다.
그래도 올림픽(최대 28개)보다 종목수에 있어서 7개 더 많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0. 12. 10. 14:42

올림픽 정식종목 변천사 

제1회 올림픽에서는 9개의 종목이 실시되었으며, 이후 점차 종목이 추가되어 2000년부터 2008년 대회까지는 총 28개의 종목이 실시되었다.
그러다가 2005년 싱가폴 개최 제 117차  IOC총회에서
야구소프트볼의 정식종목 제외가 결정됨에 따라, 2012년 런던 올림픽 대회에서는 종목 수가 26개로 줄어들게 되었다.
한편 2009년 10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121차 IOC 총회에서 골프7인제 럭비가 2016년 리오 데 자네이로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20년 올림픽 정식종목은 7년 전인 2013년 IOC총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IOC규정에 따르면 올림픽종목수는 28개가 최대로 되어 있다.
지난 2016년 올림픽정식종목후보에 들었던 가라데, 스쿼시 등과 2008년까지 올림픽정식종목이었던 야구와 소프트볼이 재도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정식 종목(2012년 런던 올림픽 기준)



     수중        카누/카약        싸이클        체조        배구        승마        레슬링

[숨기기]종목 기구 96 00 04 06 08 12 20 24 28 32 36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다이빙 Diving pictogram.svg FINA 2 1 2 4 5 5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8 8 8
수구 Water polo pictogram.svg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수영 Swimming pictogram.svg 4 7 9 4 6 9 10 11 11 11 11 11 11 13 15 18 29 29 26 26 29 31 31 32 32 32 34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Synchronized swimming pictogram.svg 2 2 2 1 2 2 2
 
카누/카약 (경주) Canoeing (flatwater) pictogram.svg ICF 9 9 9 9 7 7 7 7 11 11 12 12 12 12 12 12 12
카누/카약 (슬라럼) Canoeing (slalom) pictogram.svg 4 4 4 4 4 4
 
로드 사이클 Cycling (road) pictogram.svg UCI 1 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3 3 3 4 4 4 4
트랙 사이클 Cycling (track) pictogram.svg 5 2 7 5 6 4 4 4 4 4 4 4 4 4 5 5 5 4 4 5 6 7 8 12 12 10
산악 자전거 Cycling (mountain biking) pictogram.svg 2 2 2 2
BMX Cycling (BMX) pictogram.svg 2
 
기계체조 Olympic pictogram Gymnastics (artistic).png FIG 8 1 11 4 2 4 4 9 8 11 9 9 15 15 14 14 14 14 14 14 14 14 14 14 14 14 14
리듬체조 Gymnastics (rhythmic) pictogram.svg 1 1 1 2 2 2 2
트램펄린 Gymnastics (trampoline) pictogram.svg 2 2 2
 
배구 Volleyball (indoor) pictogram.svg FIVB 2 2 2 2 2 2 2 2 2 2 2 2
비치발리볼 Volleyball (beach) pictogram.svg 2 2 2 2
 
승마 (마장마술) Equestrian pictogram.svg FEI 3 5 7 5 6 5 6 6 6 6 5 6 6 6 6 6 6 6 6 6 6 6 6
승마 (종합마술)
승마 (장애물경기)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Wrestling pictogram.svg FILA 1 8 4 10 5 10 13 13 14 14 16 16 16 16 16 16 20 20 20 20 20 20 20 16 18 18
레슬링 (자유형)
 
근대 5종 경기 Modern pentathlon pictogram.svg UIPM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1 2 2 2
농구 Basketball pictogram.svg FIBA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배드민턴 Badminton pictogram.svg BWF 4 5 5 5 5
복싱 Boxing pictogram.svg AIBA 7 5 8 8 8 8 8 8 10 10 10 10 11 11 11 11 12 12 12 12 12 11 11
사격 Shooting pictogram.svg ISSF 5 9 16 15 18 21 10 2 3 4 7 7 6 6 7 8 7 7 11 13 13 15 17 17 15
양궁 Archery pictogram.svg FITA 6 6 3 10 2 2 2 2 4 4 4 4 4 4
역도 Weightlifting pictogram.svg IWF 2 2 2 5 5 5 5 5 6 7 7 7 7 7 9 9 10 10 10 10 10 15 15 15
요트 Sailing pictogram.svg ISAF 10 4 4 14 3 3 4 4 5 5 5 5 5 5 6 6 6 7 8 10 10 11 11 11
유도 Judo pictogram.svg IJF 4 6 6 8 8 7 14 14 14 14 14
육상 Athletics pictogram.svg IAAF 12 23 25 21 26 30 29 27 27 29 29 33 33 33 34 36 36 38 37 38 41 42 43 44 46 46 47
조정 Rowing pictogram.svg FISA 5 5 6 4 4 5 7 7 7 7 7 7 7 7 7 7 7 14 14 14 14 14 14 14 14 14
축구 Football pictogram.svg FIFA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탁구 Table tennis pictogram.svg ITTF 4 4 4 4 4 4
태권도 Taekwondo pictogram.svg WTF 8 8 8
테니스 Tennis pictogram.svg ITF 2 4 2 4 6 8 5 5 4 4 4 4 4 4
트라이애슬론 Triathlon pictogram.svg ITU 2 2 2
펜싱 Fencing pictogram.svg FIE 3 7 5 8 4 5 6 7 7 7 7 7 7 7 8 8 8 8 8 8 8 8 8 10 10 10 10
필드 하키 Field hockey pictogram.svg FIH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핸드볼 Handball pictogram.svg IHF 1 1 2 2 2 2 2 2 2 2 2
 
총 경기 수 43 89 96 78 110 102 156 126 109 116 129 136 149 151 150 163 172 195 198 203 221 237 257 271 300 301 302

 

승마와 레슬링의 경우 칸 안의 숫자는 종목별이 아닌 해당 부문 전체의 경기 종류 수를 나타낸다.


과거 정식 경기 종목


[숨기기]종목 96 00 04 06 08 12 20 24 28 32 36 40 44 48 52 56 60 64 68 72 76 80 84 88 92 96 00 04 08
 
골프 Golf pictogram.svg 2 2
라켓 Racquets pictogram.svg 2
라크로스 Lacrosse pictogram.svg 1 1
럭비 유니온 Rugby union pictogram.svg 1 1 1 1
로크 Roque pictogram.svg 1
모터보트 Water motorsports pictogram.svg 3
소프트볼 Softball pictogram.svg 1 1 1 1
야구 Baseball pictogram.svg 1 1 1 1 1
주드폼 Jeu de paume pictogram.svg 1
줄다리기 Tug of war pictogram.svg 1 1 1 1 1 1
크로켓 Croquet pictogram.svg 3
크리켓 Cricket pictogram.svg 1
펠로타 Basque pelota pictogram.svg 1
폴로 Polo pictogram.svg 1 1 1 1 1
 
아이스하키 Ice hockey pictogram.svg 4 3 동계 올림픽 종목으로 변경
피겨 스케이팅 Olympic pictogram Figure skating.png 4 3


(자료 도표 출처: 위키 백과)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0. 12. 7. 17:41
1982년 대한체육회/대한올림픽위원회에 특채되어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1984년 LA올림픽,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 1988년 서울올림픽,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994년 릴리함메르 동계올림픽,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002년 솔트 레이크 시티 동계올림픽을 비롯하여 동 하계 아시안게임, 동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등에 한국선수단 섭외임원 겸 대회조직위원회 상대 한국선수단 단장대행, 선수단장회의대표, 조직위 협상대표 등으로 올림픽을 비롯한 각종 국제종합경기대회 조직과 운영을 현장에서 체험하고 토론하면서 국제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실전 노하우가 쌓였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각국 선수단장회의)

                               (국제스포츠총회/ANOC, OCA. EAGA등 국제기구 회의)
 

특히 2008년 올림픽유치후보도시(5개: 베이징, 오사카, 토론토, 파리, 이스탄불)에 대한 현지 정밀 실사 평가를 책임을 맡은 IOC 올림픽평가위원(IOC Evaluation Commision Member) 직을 수행하면서 IOC측과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 간의 시각 및 견해 차 그리고 쌍방 간에 주장하고 어필하고 요구되는 것을 비롯하여 특장점 기술적 평가와 보고서 작성 등에 직접 참여하면서 다양한 지식과 현장적응 그리고 IOC실사대처방법 등도 알게 되었다.

                   (2008년 올림픽유치후보도시 IOC평가위원회 현지실사 시설 방문/베이징 2003년)

(IOC평가위원들: 좌로부터 Sergey Bubka 우크라이나 IOC위원, Hein Verbruggen IOC평가위원장, Carlos Nuzman 브라질 IOC위원, 필자)

                           (2008년 올림픽 유치후보도시인 토론토 IOC실사방문 현지뉴스레터)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회 유치후보도시 최종평가보고서 작성 후 당시 사마란치 IOC위원장으로부터 격려 받고 있다.)

                                 (엘리제 대통령 궁에 자크 시락 프랑스 대통령 예방)


                                                (장쩌민 중국국가주석 예방)


                             (일본 모리 수상과 함께/좌측은 재 일본대한체육회 김영재 전 회장)

                       (크레티앙 캐나다 총리<가운데> 및 토론토 주재 한국총영사<좌-1>와 함께)


IOC실사 평가위원들이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에 대한 질문 각도와 의도 그리고 이에 대한 정확하고 만족스러운 응답 요령 등에 대해 간단 단순 명료하게 정의하고 대처하는 나름대로의 식견도 축적되었다.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이 IOC가 인정하고 공인한 국제스포츠행사에 참가하여 공식 프레젠테이션에서의 발표요령 및 질의응답 대처방안 등은 직접 경험하지 않고는 자신 있게 어필할 수 없는 것이다.
종종 국제스포츠행사에서의 프레젠테이션 또는 외신기자회견에서 받게 되는 예상치 못한 불시의 질문에 지혜롭게 응답할 수 있으려면 상당한 경험과 내공에 기초한 임기응변 능력과 여유 그리고 피나는 노력이 필수 조건이다.

(2010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대외공동사무총장/국제총장 시절 프라하 IOC총회에서 프레젠테이션 장면)


2010년 및 2014년 평창이 동계올림픽 유치과정에서 실제로 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을 역임하면서 국제스포츠행사에서 각종 프레젠테이션, 외신기자회견, 질의응답과정에 실제로 참석하여 대응하면서 현장상황전개 및 그에 따른 적응방법에 대하여 공부하였다.

                                 (평창2010 동계올림픽 유치 IOC실사평가회의 장면)


IOC실사평가 단의 평창 현지실사 방문회의에서는 회의진행자(Moderator)로서 역할도 해 보았다.
2003년 프라하 개최 IOC총회에서는 평창2010 유치위원회 프레젠테이션 대표로 불란서어로 평창의 유산에 대하여 호소하였다.
근 30년 간의 국제적 현장경험을 토대로 어떻게 하면 올림픽유치를 훌륭히 준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간단 단순 명료"한(brief, simple, and clear) 비결을 다음호에 소개 하고자 한다. 모든 국제회의에서 질문과 답변 공히 "간단, 단순, 명료"(Simplicity, Brevity, Clarity)할수록 점수가 높다. 물론 여유와 유머가 가미된다면 "금상첨화"("adding flowers to embroidery")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0. 12. 1. 10:39
"45개국 42억 아시아 인의 스포츠축제" 2014 광저우 아시안게임이 그 화려하고 장대한 막을 내렸다.
한국선수단은 역대 아시안게임 참가 사상 최고의 성적으로 4회 연속 종합 2위를 달성하여 라이벌인 일본을 또 제쳤다.
한국선수단은 총232개 메달(금 76, 은 65, 동 91)을 획득하여 라이벌인 일본(총216개 메달획득/금 48, 은 74, 동 94)을 초반부터 따돌리고 2위자리를 지켰다.
금메달 뿐만아니라 총 메달수에서도 일본을 추월하는 쾌거여서 중국에 이어 아시아스포츠 두 번째 맹주로서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한 셈이다.
개최국 중국선수단은 홈그라운드 어드벤티지까지 살려가면서 역대최고 성적인 금 199개, 은 119개, 동 98개 등 총 416개의 메달을 휩쓸어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부터 8회 연속 종합1위를 기록하였다.
10위권 진입을 목표로 했던 북한선수단은 금 6, 은 10, 동 20개 총 3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종합12위에 만족해야 했다.



 

Sheikh Ahmad OCA회장의 광저우 아시안게임 총 결산 기자회견내용에 따르면 2010년 제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42개 종목)을 끝으로 2014년 제17회 인천 아시안게임부터는 개최종목수가 35개로 제한된단다.
따라서 광저우 아시안게임이 역대 최대 아시안게임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35개 종목은 28개 올림픽종목과 7개 기타 종목으로 구성된다.
당초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가 제안한 7개 종목에 대하여 OCA가 합의해 주지 않고 오히려 크리켓, 가라데를 반드시 추가토록 종용하여 대회조직위원회 고유의 프리미엄을 무시한 셈이다.


미래로 飛上하는 Asia

2014년 제17회 아시안게임부터는 아시안게임 개최종목수가 35개로 제한된다.
광저우에서는 42개종목 476개 메달이 걸려있었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Olympic OCuncil of Aisa)는 작년 총회에서 향후 아시안게임종목수를 28개 올림픽종목과 최대7개 추가종목까지만 허용키로 결정한 바 있다.
그 7개 종목은 아시아 5개 지역의 다양한 스포츠문화를 반영하는(reflecting the diverse sporting culture of Asia's five zones) 특성을 지닌 종목으로 선정된다.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는 OCA스포츠 분과위원회에 28개 올림픽정식종목외에 추가되는 7개 종목으로 다음과 같은 스포츠를 제안하였었다.
7개 제안종목에 눈을 씻고 봐도 효자종목 "정구"가 안 보였다. 그래서 알아보았다.

1) 야구
2) 볼링
3) 카바디
4) 세팍 타크로
5) 소프트볼
6) 스퀴시
7) 우슈

지난 11월15일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Olympic Council of Aisa)는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의 7개 추가종목 제안에 대하여 제동을 걸었다.



인도를 중심으로 영연방국가들의 인기종목인 크리켓(cricket)이  인도주변 지역국가들에게 잠재적으로 높은 TV시청률이 예상되므로 추가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크리켓 추가를 요구하고 나섰으며 결국 힘의 논리로 밀어부쳐 관철 시켰다.


정구(Soft Tennis)는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부터 아시안게임 정식종목으로 한국선수단의 전통적인 메달밭으로 각광을 받아 왔다.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까지 12년 간 총 22개 금메달 중 14개를 획득하여온 효자, 효녀 종목이다.
금번 2010년 광조우 아시안게임에서도 11월17일까지 치러진 5종목 중 혼합복식과 남자단식에서 2개의 금메달 은메달 4개 그리고 동메달 4개를 일궜다.


(정구 남자 단식 결승에서 나란히 금메달과 은메달을 따낸 이요한(오른쪽)과 배환성.) [광저우=연합뉴스]
(사진출처: 중앙일보)


대한정구협회에 따르면 OCA가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부터 이미 과다한 아시아게임 종목수 제한하기 위한 편법으로 정구를 테니스의 세부종목으로 강제 편입/합방(?)했다는 설명이다.
아시아게임종목으로 생존하기 위하여 대한정구협회는 정구(Soft Tennis)가 아닌 테니스(Tennis) 종목의 일부로 선수들을 출전시켰다고 한다.
그러니까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정구선수들이 슬럼프 상태에서 노메달인 한국테니스의 체면(?)을 그나마 살려준 모양새다. 

이번 처녀 출전하여 3개의 금메달과 1개의 동메달을 획득한 바둑도 체스(Chess)의 세부종목으로 참가하였다고 한다.

이제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는 당초 제안하였던 7개 종목 중 OCA회장이 이미 발표한 가라데, 크리켓, 야구를 제외한 4개의 신규종목을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우선 동남아시아를 대표하는 종목인 세팍타크로(Sepak Takraw)와 중국의 대표 무술 스포츠인 우슈(Wushu)는 포함시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기존 제안 종목 중 하나인 한국 금메달 효자종목인 볼링(광저우 A/G 성적: 금 8, 은 5, 동 2 획득)도 뺄 수 없을 것이다.
이리되면 나머지 쿼타는 달랑 1개 뿐이다.
당초 제안 신규종목 중 카바디, 스퀴시, 소프트볼 등 3종목이 남게 될 것이다.
이중 소프트볼(Softball)은 OCA회장이 여운을 남겼듯이 야구(Baseball)와 한데 묶어 한 종목으로 카운트 할 경우 살아 남을 수 있다.
그러면 카바디, 스퀴시 중 한 종목을 선택하여 제안하는 수순이 남아 있다.
크리켓이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등이 속한 남중아시아 대표 종목이니까 그쪽 지역 대표 스포츠인 카바디를 희생시킬 수도 있다.
스퀴시의 로비활동이 예상된다.
바둑(금 3)과 인라인(금 3)은 금번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처음으로 정식종목에 채택되었는데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는 정식종목으로 채택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혹 여타 종목에 세부종목으로 덧 붙여 더부살이 편법으로 포함되면 살아 남을 수 도 있다.
종목체면은 어찌되나?
정구의 경우는 유사 스포츠인 테니스와 "한지붕 두 가족"으로 아시안게임 테이스 세부종목으로 연명하면서 2018년 아시안게임부터 또는 별도의 스포츠외교력을 발휘하여 향후 독자적인 정식종목으로 거듭 나게 될 날을 기대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번 광저우 대회에서 7개의 금메달 중 한국, 일본, 대만이 각각 2개의 금메달 그리고 개최국 중국이 1개의 금메달을 획득 한 바 있다.
종목수 제한 방침으로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 포한되지 못하게 될 운명에 처한 7개(42-35=7) 종목에 대하여서는 OCA회장이 언급한대로 1)실내 아시안게임(Indoor Asian Games), 2)비치 게임(Beach Asian Games), 3) 무술 게임(Asian Martial Arts Games)등로 나누어 편입될 것이란다.
"우리는 어떤 종목에도 문호를 개방한다. 8개 내지 10개의 NOCs들이 제안하는 종목은 반드시 여러가지 아시안 게임 종목으로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We are not closing the door for ant sport. If we have eight or ten NOCs that support a sport we should give them a chance to participate in any of our Games.) 이것이야말로 개최국, 행정. 그리고 각국 NOCs들을 위해 더 나은 방식이다."(This is better for the hosts, the administration, the NOCs.)라고 Sheikh Ahmad OCA회장은 제안하였다. 제안이라기 보다 본인의 의지라고 보인다. 그의 말은 곧 법이니까...

(쿠웨이트 OCA본부에서: 좌로부터 필자, Sheikh Ahmad OCA회장, Muttaleb OCA 전 사무국장, 고 한기복 부산A/G조직위원회 사무총장)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기간 중: 좌로부터 김영환 KOC명예총무, Hussein OCA현 사무국장, 장주호 당시 KOC부위원장, 이연택 KOC위원장, Sheikh Ahmad OCA회장, 필자, Santiparb OCA재무, Muttaleb OCA사무국장)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