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에 해당되는 글 2258건

  1. 2018.05.05 IOC집행위원회2018년 5월초 주요결정사항 및 글로벌 핵심이슈 총정리 요약 발췌
  2. 2018.05.03 평창2018 균형예산(24억불 2조5848억원)등 총결산내역과 성과 및 평창2018 여세 유지기조(IOC pledges to continue momentum beyond PyeongChang)2018년 5월IOC집행위원회 발표하다
  3. 2018.05.02 IOC 및 올림픽박물관(The Olympic Museum)과 강릉올림픽박물관 건립 및 제반 운영협조 관련 MoU체결에 따른 스포츠외교 현장스케치 Update
  4. 2018.05.01 쿠웨이트 IOC 자격정지 해제노력 경위와 경과 배경 및 현 상황 Update 종합스케치 2
  5. 2018.05.01 스포츠외교 빨간 불 한국유일 국제스키연맹(FIS)집행위원 직 중국으로 넘어갈 국면 FIS Kasper회장은 6선 당선예상
  6. 2018.04.30 FIFA월드컵 개최국 선출 변천사와 2026년 개최국 선출전망(6월13일) 및 2034년 남북한 FIFA월드컵 공동개최 포함 세계판도 종합스케치 3
  7. 2018.04.24 북한 5월1일 평양개최 2018년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 Fun Run달리기행사 실시 배경 스케치
  8. 2018.04.23 기정사실화 되고 있는 2022년 청소년올림픽 아프리카 국가 간 개최도시 선정 위한 각축전 양상 스케치 (제2편)
  9. 2018.04.23 아프리카 최초올림픽개최 구체화 2022년 청소년올림픽(YOG) IOC 대륙순환개최 방향시동(제1편)
  10. 2018.04.20 GAISF(前 SportAccord) 2018년 Bangkok총회스케치 및 GAISF 명칭 변천사요약정리 Update
스포츠 외교2018. 5. 5. 16:36

[IOC집행위원회20185월초 주요결정사항 및 글로벌 핵심이슈 총정리 요약 발췌]

 

52~3일 스위스 로잔느 개최 IOC집행위원회가 종료되면서 Thomas Bach IOC위원장은 IOC집행위원회 핵심 이슈 논의 및 결정사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순서:

. 러시아선수들 관련 CAS결정에 대한 스위스 연방법원 항소의 건

. 국제복싱연맹(AIBA) TOKYO2020올림픽에 복싱의 정식종목 잔류 여부결정 심사의 건

. 도핑과의 전쟁(Fight against doping)의 건

. IOC 회원국들의 최근 정치적 이슈 및 동향 건(Nations updates

. 선수권익 및 스포츠 관련 건(Athletes and sport)

. 올림픽 채널의 건(Olympic Channel)

 

*내용:

1.   러시아선수들 관련 CAS결정에 대한 스위스 연방법원 항소의 건:

 

1)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Executive Board (EB) today agreed to appeal the decisions by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CAS) on the Russian doping cases from the Olympic Winter Games Sochi 2014. (53 IOC집행위원회는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 도핑케이스에 대한 스포츠중재재판소 결정에 대하여 항소하기로 합의하였음)

 

 

 

 

 

2)   The announcement was made today during the second and final day of the EB meeting in Lausanne, Switzerland. The appeal will be filed with the Swiss Federal Tribunal. (이러한 내용은 IOC집행위원회 최종일인 53일 발표되었으며 동 항소는 스위스 연방재판소에 소송이 제기될 것임)

 

3)   IOC President Thomas Bach said: "We put ourselves in the shoes of athletes who finished behind these Russian athletes. It is stated that the CAS decision does not mean these athletes are innocent. They can very well ask us why we did not appeal. If I were one of them I would ask this question. I did not find a good answer." (Bach IOC위원장은 이러한 러시아선수들보다 뒤쳐졌던 선수들 입장에서 볼 필요가 있는데 CAS의 결정을 보면 이러한 선수들 역시 무죄라고 단정지어 의미하지 않고 있는 바 이 선수들은 우리가 이런 결정에 대해 왜 항소하지 않고 있냐고 충분히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데 만일 우리가 이 선수들 중 한 명이라고 가정한다면 나라도 이러한 의문을 제기할 것입니다. 납득할 만한 해답을 나도 찾지 못하였습니다)

 

4)   "Any athlete could say that any slim chance is worth seizing. This is why we took this decision. We are still looking into the legal details and evaluating the CAS full awards.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hances we have, we want this to be clarified and to be reviewed by the Swiss Federal Tribunal in the interest of the athletes." (“어떤 선수라도 기회가 있다면 아무리 사소해 보여도 잡을 가치가 있노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인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이런 결정을 내린 이유이며 우리는 아직도 법적 세부사항을 들여다 보고 있고 CAS가 충분히 판정을 내린 것인지에 대해 평가해 보고 있는 상황이므로 우리에게 주어진 기회의 정도에 상관없이 우리는 이러한 정황에 대하여 선수들의 이익을 찾아주기 위하여 명확히 하고 싶으며 스위스 연방정부가 재검토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2.   국제복싱연맹(AIBA) TOKYO2020올림픽에 복싱의 정식종목 잔류 여부결정 심사의 건:

 

5)   Another point of debate was the report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AIBA) in response to a request by the EB at its previous meeting in February ahead of the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There are continuing concerns on governance, and financial and sporting integrity; and further actions have to be completed by AIBA by 11 July ahead of the next Executive Board meeting. In the meantime, the key decisions taken in February remain in place. (“또 다른 토론의 관점은 IOC집행위원회가 지난 2월 평창2018대호에 앞서 열린 회의에서 요청한 사항에 대하여 반응한 국제복싱연맹<AIBA>이 제공한 보고서였는데, 보고서에 따르면 지배구조, 재정 및 스포츠측면의 청렴도 등에 대한 계속되고 있는 우려요소들이 있으며 차기 IOC집행위원회가 열리는 711일까지 AIBA가 취해야 할 추가적 행동지침이 남아 있는 상태인 반면, 지난 2월 내려진 핵심결정사항이 아직 제자리에 남겨진 채 있다라는 것입니다”)

 

6)   According to the IOC President: "This report shows some progress and goodwill, but still lacks execution and, in some areas, substance. We now need to see action. Therefore, we retain our right to exclude boxing from the programme of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With regard to the Youth Olympic Games in Buenos Aires, we decided to protect these young athletes who cannot be blamed for all the issues we have on the table and keep boxing on the programme. This will happen on the condition that the refereeing system, meaning the appointment process of the judges, is approved by international independent experts."(Bach IOC위원장에 의하면, 동 보고서는 약간의 진전과 선의는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집행력이 아직 결여되어 있으며 몇 군데 분야는 본질<알맹이>이 부족하므로 우리는 지금 행동조치내용을 볼 필요가 있으므로 Tokyo2020올림픽정식종목에서 복싱을 배제시킬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면서 지켜보고 있는데 부에노스아이레스2018 YOG와 관련하여, 우리는 우리가 탁상에서 검토하고 있는 모든 이슈들로 인한 책임소재가 없는 청소년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복싱을 일단 정식종목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하였는바, 이러한 결정은 복싱심판 지명과정을 의미하는 심판운영시스템이 국제독자적 전문가 그룹에 의해 승인된다는 조건 하에서 유효하게 될 것입니다”)

 

 

IOC/Greg Martin(Bach IOC위원장을 포함한 15명의 IOC집행위원들 53일 로잔느/출처: IOC홈페이지)

 

 

 

3.   도핑과의 전쟁(Fight against doping)의 건:

 

7)   During the morning, the Board addressed various topics related to the fight against doping. It looked back on the successful Pre-Games testing programme with more than 17,000 targeted tests on more than 6,000 athletes. (IOC집행위원회는 도핑과의 전쟁관련 다양한 토픽에 대해 토론하였는바, 6.000명이상의 선수들에 대한 17,000건을 상회하는 타깃 테스트가 실시된 성공적인 대회이전 테스트 프로그램에 대하여 뒤돌아 보았음)

 

8)   The Executive Board received a progress report on the International Testing Agency (ITA), which is in a crucial start-up phase. Even before the new Director General, Benjamin Cohen, starts in June, there have already been requests for services from 20 International Federations and more have expressed strong interest. (IOC집행위원회는 업무개시 단계에 있는 국제 테스트 전담기구로부터 진척사항관련 보고내용을 청취하였는바, Benjamin Cohen 신임사무총장의 정식 업무를 시작하는 6월에 앞서, 벌써 20개 국제연맹들로부터 서비스제공요청이 쇄도하고 있으며 더 많은 기구들이 비상한 관심을 표명해 오고 있음)

 

4.   IOC 회원국들의 최근 정치적 이슈 및 동향 건(Nations updates):

 

9)   Concerns were raised about the threats of boycotts by governments hosting events and using sport for political purposes by denying visas, flags and anthems to participating athletes and countries. The Executive Board re-stated its zero-tolerance approach to these positions and deliberated on possible prevention and reaction measures in coordination with various organisers and federations. (대회개최국정부들에 의한 보이콧 위협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는바 참가선수들에 대한 입국비자 및 참가국 국기와 국가 거부권행사로 스포츠를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라는 것인데, IOC집행위원회는 이러한 자세에 대한 무관용 접근방침을 재차 천명하였으며 이와 관련 다양한 조직체 및 연맹들과의 조정을 통해 가능한 방지 및 반응조치 대책에 대하여 숙고 하였음)

 

10) Following a decree by the Ukrainian government preventing athletes from competing in Russia, the IOC has had contact with the Ukrainian government at all levels. The decree is no longer being enforced. After Tunisia banned Israeli athletes from participating in a taekwondo event, the IOC has frozen all contacts with the local National Olympic Committee with regard to its candidature for the Youth Olympic Games 2022. (선수들이 러시아개최대회에 출전을 금지하는 우크라이나정부칙령발표 후, IOC는 모든 수준에서 우크라이나정부와 접촉을 시도하여왔으며 그 결과 그러한 정부칙령을 더 이상 시행되고 있지 않음-튀니지아가 이스라엘선수들이 태권도 시합 참가금지조치를 내린 후, IOC 2022 YOG유치후봐격고 관련 해당 NOC와의 모든 접촉을 일체 동결시키는 조치를 취하였음)

 

11) Bach explained: "We had to address the issue of the increase in governments requesting boycotts of sport events for political reasons. Some governments abuse sport for their political purposes. This is against the mission of sport and of the Olympic Games, which bring people together and unify people regardless of any political differences. These boycotts are against our essential values. We are here to watch this carefully and to act." (Bach IOC위원장은 우리는 정치적 이유로 스포츠행사에 대한 보이콧을 요청하는 정부들이 증가추세에 있는 이슈에 대해 대책을 강구해야 했는데 이는 정치적 이념의 차이에 상관 없이 사람들을 한데 모으고 단합하자는 스포츠와 올림픽 사명에 반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이콧움직임은 우리의 필수불가결한 가치에 반하는 것이므로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을 주의 깊게 지켜보고 필요한 행동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이곳에 모인 것입니다)

 

12) Information was also provided on the recent visit to the IOC headquarters in Lausanne by a delegation of representatives of the Kuwait government to hold talks to resolve the situation of the Olympic Movement in the country. (최근 자국 내 올림픽운동 상황 이슈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회담을 갖기 위하여 로잔느 IOC본부를 방문한 쿠웨이트 정부대표단에 대한 정보 또한 공유되었음)

 

5.   선수권익 및 스포츠 관련 건(Athletes and sport):

 

13) The recently elected Chair of the IOC Athletes’ Commission, Kirsty Coventry, presented the composition of the steering committee, with 20 athlete representatives overseeing the creation of a Charter of Athlete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through a two-stage athlete survey. Nearly 200 responses from 66 countries and 77 sports and disciplines have been received so far. (최근 IOC선수위원장으로 선출된 짐바브웨 출신 Kirsty Coventry선수출신 IOC집행위원은 두 단계 조사를 통해 선수들 권리와 책무 헌장탄생절차를 감독하는 20명의 선수대표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 구성현황에 대하여 발표하였는바, 지금까지 66개국 및 77개 스포츠 및 종목으로부터 200개에 육박하는 회신이 답지하였다고 함)

 

14) This presentation was in addition to the approval yesterday by the Board of the new medal reallocation policy, also developed by the Athletes’ Commission.(이러한 발표내용은 52 IOC집행위원회가 승인한 IOC선수위원회가 발전적으로 건의하기도 한 신규메달 재 할당/수여정책내용에 대한 추가분이었음)

 

 *메달 재 배정.수여(reallocation)이란 도핑위반 적발로 박탈된 올림픽메달에 대하여 결정된 재 할당/수여 방식은 당초 IOC 선수위원회에서 제안하여 IOC 집행위원회에서 승인된 것인데, ‘재 분석, 당초 수여된 메달 회수, 메달 재 할당/수여’ 단계로 진행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 ‘재분석’이란 당초 올림픽 메달리스트의 도핑 위반적발로 박탈되어 다시 메달을 받게 되는 선수의 샘플을 재 분석하여 도핑위반 여부를 측정하는 단계인데 ‘메달 회수’ 단계에서 도핑 규정위반 적발 선수로부터 기 수여된 원본 메달 회수절차를 거쳐 마지막 ‘메달 재 할당/수여’에서는 순위가 Upgrade된 선수에게 순위에 적절하게 메달을 수여하는 과정인데  IOC는 금번 IOC집행위원회가 승인한 재 할당/수여 방식에 대한 도핑 혐의법적 절차 완결 후 12개월 내에 실시 절차를 밟게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15) This policy is focused on giving the athletes the choice of ceremony they would like for their medal reallocation, knowing that this is a special moment to recognise their achievement, but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y may have different desires for the type of ceremony and occasion they would like. (이러한 메달배정정책은 선수들이 메달 재 할정/수여소망 시상식 선택권을 선수들에게 부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바, 이것은 선수들의 성취에 대한 인식을 부각시키는 특별한 순간이기 때문이지만, 선수들이 시상식 타이프에 대한 각각 다른 취향과 계기가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함)  

 

16) There are six options available for the athletes(선수들이 선택할 수 있는 6가지 옵션):

  1. The next Olympic Games (for reallocations from PyeongChang 2018 onwards)<평창2018대회로부터 재 할당/수여용 차기 올림픽 時>
  2. The Youth Olympic Games <청소년올림픽대회 時>
  3. The IOC headquarters or The Olympic Museum <IOC본부 또는 올림픽박물관에서>
  4. An NOC function <NOC행사 時>
  5. An IF function or event <해당국제연맹 관련 행사 時>
  6. A private ceremony <개인적 차원의 시상식에서>

 

17) Once the medal reallocation is confirmed, the IOC will work with the NOC of the athlete to complete the ceremony within 12 months, unless the athlete chooses to have the reallocation at the next Olympic Games.(메달 재 배정소망 방식이 확인되면, IOC는 해당선수가 차기 올림픽에서 메달 재 할당/수여를 선택하지 않는 한 12개월이내에 선수소속 NOC와 협업하여 시상식 장소와 계기를 절 할 것임)

 

18) Finally, the Athletics Qualification System for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was also approved after being finalis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IAAF). The evolution of the IAAF qualification system reflects the change in the athlete quotas, mainly through a fixed total number of 1,900 being proposed for the first time (down from the target of 2,005 at Rio 2016) and a fixed number of athletes by event. With the approval of 31 Qualification Systems by the IOC Executive Board in February, the last outstanding system is for boxing. The weight categories and qualification system will be ready for presentation in July, subject to the status review of AIBA. (끝으로, Tokyo2020올림픽 육상출전자격관련 규정이 국제육상경기연맹과의 긴밀한 조율 후 승인되었는바 IAAF출전자격 시스템의 진화내용을 보면 선수 쿼터에 있어서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데 첫 번째로 제안된 주로 고정인원수인 총 1,900명을 통한 것으로 이는 Rio2016당시 총 2,005명에서 줄어든 것으로 종목당 고정 출전 수를 의미하는 것이며 지난 2 IOC집행위원회가 승인한 31개 출전자격 시스템 승인내용과 함께, 눈에 띄는 것은 최종 선수출전 쿼터 시스템을 정비하는 복싱관련내용인데 이는 AIBA지위자격 재 검토 여부에 따라 체급 및 출전자격 시스템은 오는 7 IOC집행위원회에 보고되기로 준비채비중임)

 

6.   올림픽 채널의 건(Olympic Channel):

 

 

19) The Olympic Channel racked up 200 million video views throughout the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which brings the total of video views since the launch of the Channel to 1.5 billion. Some 900 live sports events have been covered, and 11,000 individual pieces of content have been created since 2016. The Olympic Channel will also offer extensive live coverage of the Youth Olympic Games in Buenos Aires in October. (평창2018을 통하여 2억명의 비디오 시청자를 확보한 올림픽채널은 채널개설이래로 총 비디오 시청자 수 15억명을 기록하고 있으며 900건 정도의 스포츠행사 생중계를 실시하였고 2016년 이래 11,000건의 개인소장 콘텐츠가 발행된 바 있음-오는 10월 부에노스아이레스2022 YOG에서도 올림픽채널은 광범위한 생중계 방송을 제공할 것임)

 

 

 

 

*References:

-IOC 홈페이지 발표내용 요약 발췌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3. 12:28

[평창2018 균형예산(24억불 25848억원)등 총결산내역과 성과 및 평창2018 여세 유지기조(IOC pledges to continue momentum beyond PyeongChang)20185IOC집행위원회 발표하다]

 

 

 

 

Getty Images(평창2018동계올림픽 개회식/출처: IOC홈페이지)

 

 

2018 52일 스위스 로잔 개최 IOC집행위원회 첫 날 의제는 평창2018동계올림픽 성공사례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으로 피날레를 장식하였다(concluded with a presentation on the success of the Olympic Winter GamesPyeongChang2018) IOC홈페이지뉴스를 통해 밝히고 있습니다.

 

 

평창2018성공사례발표논의는 조선민주주위 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선수단이 평창2018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단일팀으로 공동 행진하면서(marched together as one team at the PyeongChang Opening Ceremony) 역사적 순간에 대한 의견과 감상으로 시작되었다(began with reflections on the historic moment) 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의 최근 자신이 기고한 논평에서(in his op-ed), 희망에 찬 그러한 순간들은 증강적으로 양극화되어 있는 우리 세계에서 드문 상황타개 케이스임-실상 정치적 기장상태가 급속히 고조일로에 있었으며 심지어 한반도에서 군사적 대치국면이 전개될 것만 같았던 것이 (대회개막) 불과 수 개월 전의 일이었음-2017년 가을에 전 세계와 평창2018이 직면하고 있었던 상황은 미사일발사와 핵실험과 전쟁위협발언이 난무하고 있던 이러한 극적인 위기상황이었음-이러한 긴장상태를 완화시켜준 것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긍정적 발전을 유도한 올림픽의 역할 유용성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는 것임(“Such moments of hope are rare in our increasingly polarised world. Indeed, it was only a few months ago that political tensions were escalating rapidly and even military confron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looked likely. It was this dramatic crisis situation of missile launches, nuclear tests and bellicose rhetoric that the world and the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were facing in the autumn of 2017. To explain the easing of these tensions, it is useful to consider the role of the Olympic Games in this positive development.”)

 

 

 

Getty Images (평창2018 개회식에서 남북한 선수단 공동입장시 남북한 공공기수가 한반도 기를 앞세우고 입장하고 있습니다/출처: IOC홈페이지)

 

 

 

이러한 국면전환의 탄력성을 가져다 준 여세가 평창2018 이후에도 그대로 전진하도록 확고히 하기로 IOC는 방침을 이어가는 것(remains committed to ensuring that this momentum is carried forward beyond the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IOC 사무처의 NOC관계 부서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DPRK NOC)에게 스포츠장비제공 및 자국 코치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자국 선수들의 적절한 경기력수준을 확인하고 식별하도록(identifying the appropriate sporting level of competition for athletes, as well as providing equipment and support to coaches) 지원을 아끼지 않도록 관련계획생산 중(producing a plan)이라고 합니다

 

IOC는 이미 지원제공을 염두에 두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업 중(working with various stakeholders to provide support )이며, 그 일환으로 12명의 북한선수들이 현재 스웨덴에서 현재 열리고 있는 2018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참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왔다(helped to send a team of 12 DPRK athletes to the ongoing Table Tennis World Championship events in Sweden)는 것입니다

 

평창2018조직위원회(<POCOG)은 통상 조직위원회 예산책임으로 간주되지 않는(not normally considered as an Organising Committee’s budget responsibility) 비용 US$4억불( 4,308억원)이 추가로 포함된 총 예산 US$24억불(2 5,848억원)대비 지출이 균형예산을 이루었다고 발표한(announced a balanced budget of USD 2.4 billion) 바 있다고 합니다.

 

POCOG의 성공적인 수입금 및 마케팅 프로그램에 힘 입어 평창2018은 유치 당시 예산 기조인 US$20억불( 2 1,540억원)대에 맞추어 대회를 치렀다(delivered the Games in line with its USD2 billion)고 합니다.

 

더구나 이희범 POCOG위원장은 이전에 회계장부정리가 완료되면 흑자가능성에 대해서도 참조로 언급한(previously referenced the possibility of a surplus when the books are officially closed) 바 있다고 합니다

 

 

 

IOC/Greg Martin (201852일 개최된 IOC집행위원회 모습/출처: IOC홈페이지)

 

 

평창2018은 예전보다 많은 NOCs선수단 및 여성출전 선수 수를 포함하여(with more NOCs taking part and more female athletes competing than ever before) 참가규모 면에서도 기록을 세웠다고 (set records in terms of participation)합니다.

 

91개국+러시아출신 올림픽선수단 등의 NOCs참가 기록과 그 중 6 NOC선수단은 처녀 출전하였으며 2,930명 이상의 선수참가 기록을 세웠는데 총 출전선수들 중 약 42%가 여성선수들로 집계되었으며(an estimated 42 per cent were female) 60개국 NOC선수단의 총 263명의 선수들IOC올림픽솔리다리티장학금 수혜자(supported by Olympic Solidarity scholarships)라고 합니다

 

 

 

Getty Images(평창2018개회식 통가 선수단/출처: IOC 홈페이지)

 

 

평창2018 출전선수들의 경기장면세계 총인구 중 1/4이상의 지구촌 사람들이 지켜봄으로써(watched by over a quarter of the world’s population) 평창2018대회는 동계올림픽역사상 최다 디지털시청인구수를 기록하였으며(the most digitally viewed Olympic Winter Games ever) 이는 Sochi2014대비 124%, Vancouver2010대비 870%증가한 수치(an increase)라고 합니다.  

 

또한 평창2018 Sochi2014대비 38%증가한(up 38% from Sochi) 동계올림픽역사상 최다규모의 방송중계시간(the largest amount of broadcast coverage in the history of the Olympic Winter Games)을 기록했다고 합니다.

 

동계올림픽이 평창에서 열린 것은 강원지역의 비약적인 발전기회로 작용하였으며(an opportunity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the Gangwon region) 그 증거로 올림픽선수촌 및 미디어촌 모두 일반아파트숙소로 완판 되었음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as evidenced with both the Olympic and media villages being completely sold for residential use)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12개 중 9개 경기장은 지금 다목적 스포츠시설과 여가 및 관광시설로 활용될 것(nine of the venues will now be used as multipurpose sports facilities and leisure and tourism facilities)이며, 이는 평창2018이 동계스포츠 중심지로 거듭난다는 비전을 실현시키는데 일조하는 것(helping PyeongChang to realise its vision of becoming a hub for winter sports)이라고 합니다.

 

 

 

Getty Images (평창2018 스키점프 대/출처: IOC홈페이지)

 

 

올림픽이 개최지역의 중장기 발전계획에 혜택이 돌아가도록 확고히 하고자(to ensure the Games benefit a region’s long-term development plans) 하는 Olympic Agenda2020개혁권고안에 맞추어, 평창2018은 지금 Alpensia 산악지역과 강릉 해안지역을 2시간내에 주파하고 있는(in under two hours) 신설된 고속철KTX 서비스 혜택을 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대회 후 한국전력공사를 위해 150개 전기충전 차량 및 15개 수소연료차량(150 electric and 15 hydrogen-powered vehicles)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will continue to be used for the Korean Electro Power Corporation after the Games)이라고 합니다

 

동계스포츠가 비활성화 된(with little exposure to winter sports) 83개국 2,000명 정도의 청소년들이 Dream Programme에 참여하였으며, 대략7백만 명의 청소년들이 올림픽 가치(Olympic values)에 대해 배울 수 있었던 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전 세계를 아우르는 TOP파트너들로부터의 지원은 평창2018대회개최에 필수적인 것이었으며 이러한 지원은 평창2018조직위원회와 모든 NOC에 대한 기금지원(through funding for the PyeongChang 2018 Organising Committee and every NOC )은 물론 광범위한 제품, 필수적인 기술과 서비스 공급 및 글로벌 마케팅 캠페인을 통해서(through the provision of a wide range of products, vital technology and services, and global marketing campaigns)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References:

-IOC홈페이지 요약 발췌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2. 16:48

[IOC 및 올림픽박물관(The Olympic Museum)과 강릉올림픽박물관 건립 및 제반 운영협조 관련 MoU체결에 따른 스포츠외교 현장스케치 Update]

 

 

20184월 하순 강릉올림픽박물관(GOM: Gangneung Olympic Museum)설립을 위한 제 1단계 스포츠외교의 일환으로 최명희 강릉시장일행과 함께 필자는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겸 강릉시 올림픽자문관 자격으로 스위스 로잔느 소재 올림픽박물관(TOM: The Olympic Museum)을 방문하였습니다.

 

(IOC본부 입구에 전시된 근대올림픽창시자 겸 제2 IOC위원장 쿠베르탱 남작 기념 동상옆에서/2018년 4월24일)

 

사전에 IOC TOM측에 제안한 GOM건립 및 운영에 따른 양해각서(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바탕으로 당초 Francis Gabet TOM관장과 MoU체결을 추진하였는데 Thomas Bach IOC위원장의 적극적이고 선 순환적인 협조로 Bach IOC위원장-최명희 강릉시장-Francis Gabet 올림픽박물관장 3자 간의 MoU체결 서명 식을 방문 당일 오후인 424일 로잔느 IOC본부에서 갖게 되었습니다.  

 

(좌로부터: 필자, 최명희 강릉시장, Thomas Bach IOC위원장, Francis Gabet올림픽박물관장, 최성일 강릉시 올림픽유산보존 정책관)

 

 

MoU체결에 앞서 Bach IOC위원장의 배려에 힘 입어 평소 비공개 장소인 IOC올림픽박물관 부속건물인 Olympic Studies Center내 지하 소장 고(Museum Storage/Archives and Management)내부와 올림픽박물관 전시품 진열대 전체를 IOC올림픽박물관 담당자의 안내와 설명을 받으며 찬찬히 시찰 및 점검할 수 있었습니다.

 

 

 

올림픽박물관 소장 고 담당자는 1948년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전에 올림픽대회에 출전한 한국선수단의 휘장원본도 보여 주었으며 진귀한 박물관 소장품보관방법과 소장품 진본을 모두 공개해 주었습니다.

 

 

Bach IOC위원장과 최명희 시장 그리고 필자 함께 배석한 Francis Gabet 올림픽박물관장은 Bach IOC위원장 집무실에서 30분 간 별도의 의견교환과 향후 협조방안에 대한 면담시간도 가졌습니다.

 

Bach IOC위원장의 개별 주선으로 7년 간 평창2018 동계올림픽 성공개최에 물심양면으로 함께 발로 뛰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Gunilla Lindberg IOC조정위원장을 오찬에 직접 위원장 핸드폰으로 번개 초대 및 알선하여 올림픽 박물관 3층 별실 오찬 장에서 함께 담소를 나누기도 하였습니다.

 

 

 

 

IOC위원장-올림픽박물관장-강릉시장 등 3자 간의 강릉올림픽건립에 따른 상호 교류 및 협조 문안이 담겨 있는 양해각서(MoU)체결 식후 Bach IOC위원장은 필자에게 섬김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본인이 MoU체결 공식IOC서명펜과 IOC넥타이를 선물로 직접 건네 주기기도 하였습니다

 

(IOC위원장-강릉시장-올림픽박물관장 3자가 서명한 강릉올림픽박물관 건립에 따른 제반 교류 및 협조 양해각서<MoU>)

 

 

오찬 회동 후 올림픽박물관에서는 Francis Gabet 올림픽박물관장을 비롯하여 IOC해당분야 담당 Project Manager들과 실무적인 협의 및 질의응답 시간(Q & A Session)을 통하여 향후 협조사항에 대한 세부점검 및 협조지향성 진진한 논의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는 521()은 평창2018동계올림픽 G+100일 되는 날로써 G+100일 기념 주간에 제 1단계 강릉올림픽박물관개장 식(Gangneung Olympic Museum Phase I) Bach IOC위원장과 Francis Gabet 올림픽박물관장을 초대하였는데 일정상 영상 축하 메시지를 보내 주기로 하였습니다.

 

(올림픽도시 강릉시청사 야경/건물 상단 올림픽마크가  강릉시가 Olympic City임을 대변해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강릉 녹색도시 체험센터 단지에 위치한 5각현 Pentagon형태의 평창2018 홍보체험관--à강릉올림픽박물관 Phase I)

 

이로써 평창2018동계올림픽 빙상경기 개최도시 강릉에 '강릉 올림픽 박물관' 건립에 따른 IOC 및 올림픽박물관과의 상호협조 및 자문 창구를 개설한 셈입니다.

 

최명희 강릉시장은 지난 418일 강릉시청 브리핑 룸에서의 기자회견을 통해지속 가능한 올림픽도시 강릉(Sustainable Olympic City Gangneung)을 만들어 가는 유·무형의 유산(tangible and intangible legacy)을 조성하고 올림픽도시 브랜드(Olympic City Branding)를 확고히 구축하고자 하는 유산발전계획의 일환으로 올림픽박물관건립 구상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릉올림픽 박물관은 평창2018올림픽 당시 쇼트트랙스케이팅과 피겨 스케이팅 경기가 열린 아이스 아레나(Ice Arena)에 정식 개장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강릉 Ice Arena)

 

2019년 상반기 공식 개관에 앞서 녹색도시체험센터인 이젠(e-zen) 앞 평창2018올림픽 홍보체험 관을 Remodeling 하여 오는 5월 하순에 임시 개관할 예정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내부시설은 전시 존, 체험 전 등 5개 존으로 운영할 계획이며IOC 트로피, 메달, 성화 봉, 기념주화, 빙상스타 Foot Printing, 기념배지, 선수 유니폼, 김연아 사인 피겨화, 시민활동 사진 등도 함께 전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스키 점프를 4D로 체험하는 등 동계올림픽 체험 코너도 운영한다고 합니다.

 

교육자료 및 영상물 교류 지원 협의, IOC 올림픽 박물관 특별전시회 개최를 위한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 공동협력사업 사례 등에 대한 상호 협의를 이미 가진 바 있습니다.

 

필자가 제안한 바 있는 아시아 올림픽 박물관협의회(AOMA: Asian Olympic Museum Association)구성 추진 과정에서 IOC의 지원 방안도 논의한 바 있는데, 현재 22개국(중국 내 5개 소재)에서 운영 중인 28개 올림픽 박물관과의 네트워크에도 참여해 교류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강릉올림픽박물관 건립과 함께 IOC 프로그램과 연계된 올림픽운동 교육과 체험 중심의 박물관을 조성해 동계올림픽 대표 유산, 올림픽 경기장 사후 활용 모범사례 및 대한민국 및 아시아 청소년 올림픽교육 및 교류활성화도 함께 추진할 예정입니다

 

필자는 강릉올림픽박물관 건립운영을 염두에 두고 지난 2015 10월 프레스센터에서 기증 식을 갖고 35년 간 올림픽외교현장에서 수집하고 소장하여 양평소재 평산 스포츠박물관내에 전시했던 3만여 점을 강릉시에 무상 기증한 바 있습니다.

 

 

[올림픽기념품 3 여점 강릉시(동계올림픽 빙상개최도시) 무상기증 스토리]


국내외 스포츠 계에서 활동한지 어언 35년이 되었습니다.

 

대한항공만 200만 마일, 아시아나항공 30여만 마일외에 마일리지가 적용되지 않는 수 많은 다양한 타 국적 항공사 덕분에 지구전체를 수도 없이 출장 겸 여행하는 혜택을 누렸습니다.

 

이제는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수집해 왔던 올림픽 및 스포츠 기념품 및 소장품을 기증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

 

모두 대한민국 국민세금으로 다녀오고 그 덕분에 발품 팔아 수집한 애장품을 사회에 기증하여 환원하게 된 것 같아 큰 짐을 내려 놓는 것 같습니다.

 

그 동안 경험하고 배웠던 각종 스포츠외교 노하우 및 올림픽 지식도 재능기부 할 순서만 남은 셈입니다.

 

여러 분의 힘에 힘 입어 어제 뜻 깊은 소장품기증 협약식과 기자 간담회를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가졌습니다.

 

다시 한 번 이 지면을 빌어 총체적으로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아래 내용은 관련 외신보도 및 국내 언론기사 내용 발췌 본 입니다.  

 

 

강원도 강릉시

보도자료

20151012() 12:00이후 부터 보도 될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립니다.

제공부서

강릉시 올림픽운영과

 

제 공 자

과 장

김년기

종합운영팀장

김동율

2015. 10. 12()

연 락 처

(033) 640 5961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윤강로 원장 올림픽기념품 3만 여점 강릉시에 무상기증

 

 

□ 대한민국 국가대표 스포츠외교관 윤강로(59) 원장은 35년간 국제스포츠 업무에 종사하면서 수집하여온 올림픽 기념품 3만 여점을 2018평창 동계올림픽 빙상경기 개최도시인 강릉시에 무상으로 기증의사를 밝혔다.

 

□ 윤강로 원장이 소장하고 기증의사를 밝힌 올림픽 기념품은 뱃지, 열쇠고리, 우표, 메달, 성화봉, 펜던트, 시계, 주화, 각종 대회 및 회의 ID카드, 넥타이, 휘장, 마스코트 인형, 책자, 기념품, 족자, 그림, 포스터, 스티커, 상패, 기념패, 모자, 장갑, 의류 등으로 100여종 3만점으로 추정하고 있다.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에서 평산스포츠 박물관을 운영하면서 소장 기념품을 전시하고 있는 윤강로 원장은 수집한 자료에 대한 애정은 남다르지만 2018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개최 염원과 대회 후 지속 가능한 올림픽유산 및 강릉시와의 인연으로 기증 의사를 밝혔다.

 

□ 한편 강릉시에서는 기증받은 물품을 올림픽 홍보 관이 조성되는 되로 2018평창동계 올림픽 홍보를 위하여 전시하고 올림픽 이후에는 현재 올림픽파크내에 건축 중인 빙상 경기장내 기념관을 조성하여 올림픽 유산으로 전시할 계획이다.

 

□ 윤강로 원장은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KOC 및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부터 참여하여 KOC국제사무차장,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 2010 2014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 국제사무총장, 2018 평창 유치위 국제자문역 등을 역임하면서 평창유치성공에 기여하였고 한국최초 ANOC국제스포츠외교공로훈장 과 몽골 올림픽아카데미 제1호 명예박사학위 취득 및 중국 인민대학 객좌교수 직을 비롯하여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 자문, 남북체육교류협의회 KOC 회의대표, 한국스포츠포럼 이사 등을 역임하고 현재 국제스포츠외교 연구원 원장 및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위원장 보좌역을 맡고 있다.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올림픽 기념품 3만여 점 기증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이 12일 강릉시에 35년간 국제 스포츠 계를 누비며 모은 올림픽 기념품 3만여 점을 기증했다. 강릉시 제공/2015-10-12(한국일보)

 

 

윤강로(59)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이 올림픽 기념품 3만여 점을 12일 강원 강릉시에 기증했다

 윤 원장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 외신기자 클럽에서 최명희 강릉시장과 기증 협약식을 갖고 “2018평창동계올림픽 성공개최를 바라는 마음에서 개최도시인 강릉시에 35년간 국제스포츠 업무에 종사하며 수집한 자료를 기증키로 했다”고 말했다. 윤 원장이 기증 의사를 밝힌 올림픽 기념품은 배지와 열쇠고리, 우표, 메달, 성화봉, 주화 등 100여 종, 3만 여 점이다.

윤 원장은 1988년 서울올림픽 대회조직위원회를 시작으로 KOC 국제사무차장, 2008년 베이징올림픽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평가위원,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 등을 역임했다.

강릉시는 윤 원장으로부터 기증받은 기념품을 올림픽 홍보관에 전시하고, 동계올림픽 이후에는 빙상 경기장내에 기념관을 조성, 올림픽 유산으로 남길 계획이다.

박은성기자 esp7@hankookilbo.com

 

윤강로 원장, 올림픽 관련 소장품 기증… 3만여점 강릉시와 기증 협약

입력 2015-10-13 02:19

 

 

(윤강로 국제 스포츠외교연구원장(왼쪽)과 최명희 강릉시장이 12일 올림픽 기념품 기증 협약식을 마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강릉시 제공)

 

 

윤강로(59)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이 올림픽 기념품 3만여 점을 강원도 강릉시에 기증했다.

윤 원장과 최명희 강릉시장은 12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올림픽 기념품 기증 협약식을 가졌다.


윤 원장이 기증한 올림픽 기념품은 열쇠고리와 우표, 메달, 성화봉, 시계, 각종 대회 및 회의 출입카드, 휘장, 기념패, 포스터 등 100여 종류 3만여 점에 달한다. 기증한 물품들은 윤 원장이 지난 35년간 국제 스포츠 업무를 수행하며 수집한 올림픽 기념품이다.

시는 현재 올림픽파크에 건축 중인 빙상경기장 안에 올림픽 기념관을 조성, 기증받은 물품을 전시할 계획이다.

그는 1988년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를 시작으로 2010년과 2014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국제사무 총장,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국제자문역, 한국스포츠포럼 이사 등을 역임했다. 현재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원장과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위원장 보좌역을 맡고 있다.

윤 원장은 “35년간 국제스포츠업무에 종사하며 수집한 자료에 대한 애정은 남다르지만 올림픽 성공 개최를 염원하는 마음으로 기증하기로 했다”면서 “올림픽을 통해 국민들이 하나가 되고, 자부심을 갖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서울=서승진 기자

 

 

 

스포츠스포츠일반

30년간 3만점 모으니 작은 올림픽 역사 박물관”

등록 :2015-10-12 18:57

스포츠 국제통’ 윤강로씨 강릉시에 올림픽 소장품 무상 기증

 

윤강로씨

 

1984년 로스엔젤레스(LA) 올림픽 때부터 2014년 소치 대회까지 30년간 발품을 팔았습니다. 모두 자식들 같죠.

윤강로(59)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원장이 1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강릉시와 ‘올림픽 소장품 기증’ 협약을 맺었다.

그는 자택 개인박물관에 보관중인 주화·성화봉·메달·우표·열쇠고리·배지 등 3만여 점을 곧 강릉시로 무상 인계하기로 했다. 강릉시는 내년쯤 건립될 올림픽홍보관에 기증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그는 “올림픽에 갈 때마다 하나, 둘 모은 기념품이다. 고 민관식 장관이 달라고 해도 주지 않고 챙겼다. 이제 좀더 많은 사람들이 올림픽의 역사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원장은 88서울올림픽 대회조직위원회를 시작으로 한국올림픽위원회(KOC) 국제사무차장, 2008년 베이징올림픽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평가위원, 2010년 및 2014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을 지낸 국제통이다. 풍부한 인맥이 가장 큰 자산이다.

그는 “올림픽 때마다 다양한 모임의 대표나 통역으로 만난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받은 가방이나 기념품을 하나도 버리지 않았다”고 했다. 하지만 기념품을 보관하기는 너무 힘들었다. 일일이 닦고, 분류하고, 비닐에 넣어 두어야 했다. 그 정성이 쌓여 ‘작은 올림픽 역사 박물관’을 꾸밀 정도가 된 것이다.

협약식에 참석한 최명희 강릉시장은 “올림픽 때마다 기념품을 모은 마음과 열정이 놀랍고, 무상기증에 감사한다.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나도 대회 유산으로 남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윤 원장은 “전 세계 올림픽 개최 도시를 가봐도 개인이 모은 소장품을 전시한 곳은 보지 못했다. 이들 소장품이 전시되면 올림픽 역사도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평창올림픽 홍보도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글·사진 김창금 기자 kimck@hani.co.kr  

 

 

 

 

 

POSTED: October 12th 2015

NewsUpdate

PyeongChang 2018: Rocky Yoon boosts legacy donating Olympic memorabilia to host city Gangneung

 

 

 

 

 

 

 

(L to R) Rocky Kang-Ro YOON and Gangneung Mayor Myung-hee Choi / POCOG

 

 

 

 

 

 

There are over 100 types of items in the collection / POCOG

 

 

 

LAURA WALDEN (USA) / Sports Features Communications

 

(SFC) Rocky Kang-Ro Yoon, President of International Sport Diplomacy Institute (ISDI) and Special Advisor to President of the PyeongChang Organizing Committee, has donated over 30,000 Olympic memorabilia items to Gangneung City. The coastal city will host the ice events for the 2018 Olympic Winter Games in South Korea and the collection will remain as a legacy after the Games for people to enjoy.

Yoon collected his vast assortment of memorabilia during his 35 year international sports career and covers over 100 different kinds of items such as pins, commemorative medals, books, posters, torches, mascots, key chains, watches, ties and plaques to just name a few.

"The motive of my donation to Gangneung City is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y legacy of the 2018 PyeongChang Games," he explained.

Yoon is also the first Korean recipient of the ANOC Merit Award & Order and also has served as the Deputy Secretary General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and as Secretary General of the 2010 & 2014 Bid Committees for PyeongChang.

**LAURA WALDEN has over twenty-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Olympic Movement, formerly at the European Olympic Committees with SportEurope under former IOC President Dr. Jacques Rogge and IOC Member Mario Pescante. She worked with the Rome 2004 and Turin 2006 Olympic bids and also managed PR & media for Dr. Jacques Rogge during his campaign for the presidency.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1. 16:36

[쿠웨이트 IOC 자격정지 해제노력 경위와 경과 배경 및 현 상황 Update 종합스케치]  

 

 

현재 지구촌 5개대륙에는 IOC가 승인한 회원국이 모두 207(206+쿠웨이트)가 있습니다.

 

그들 중 2015년 이래로 유일하게 IOC가 자격정지 조치를 취해 놓는 국가 NOC가 바로 쿠웨이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IOC ANOC공식회원국 수는 206이다.

 

IOC가 쿠웨이트 NOC를 자격정지상태로 둔다 해도 IOC로써는 선수보호차원에서 쿠웨이트 선수들이 향후 올림픽에 참가하도록 허용하겠지만 쿠웨이트국가(Natioal Anthem)와 국기(National Flag)대신 올림픽 기(Olympic Flag)를 대신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IOC는 쿠웨이트 NOC 2010 1월부로 자격정지조치를 취한 바 있었으며 다시 2015년 자격정지조치에 들어 가서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쿠웨이트는 관련 법 개정을 통하여 쿠웨이트 정부가 가맹경기단체 임원임명권을 허용하는 현 규정을 바꾸도록 협상을 진행하여 왔으나 지지부진하다가 쿠웨이트 국회가 스포츠 관련법 개정안 원안대로 개정하여 지난 201612 3스포츠 관련법을 새로 개정하여 국회 과반수 투표로 통과시킨 바 있습니다


최근 2018 425(현지시간) 쿠웨이트 공공스포츠당국(PSA: Public Sports Authority) Humood Fleteh Alshammari 사무총장은 스위스 로잔 소재 IOC 본부 방문하여 현재 쿠웨이트 NOC 자격정지 관련 상호수용가능 해결책모색 회담 가진 바 있습니다.

 

하지만, 결론은 현재까지 쿠웨이트 정부의 자격정지 해제노력경주 입장에도 불구하고 IOC 설득에 아직 부족함을 IOC 대변인이 밝힌 것이 최근의 상황입니다.

 

FIFA도 한 때 쿠웨이트에 대해 자격정지조치를 내린 바 있었으나 축구에 관한 한 그 지위를 복권시켜준 바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시 자격정지 상태로 돌아 간 상태입니다.

 

2010 1월부터 발효된 IOC자격정지조치로 말미암아 쿠웨이트는 자국인인 Sheikh Ahmad Al-Fahad Al-Sabah가 회장으로서 아시안 게임을 주관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해 개최된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자국 기를 뒤로 하고 IOC 기를 앞세워 참가한 바 있으며 대회에서도 '쿠웨이트국가선수'가 아니라 '쿠웨이트로부터 온 선수'(athletes from Kuwait)로 경기에 참가한 바 있습니다.

 

2012년 모스크바 개최 ANOC총회에서 전임자인 故 Mario Vazquez Rana 회장의 잔여임기(2012-2014)동안 ANOC신임회장으로 선출된 Sheikh Ahmad A-Fahad Al-Sabah(쿠웨이트) OCA회장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당시 서글픈 심정을 다음과 같이 표명한 바 있었습니다.

 

나는 쿠웨이트 NOC위원장으로 쿠웨이트가 이같이 대규모 대회에 IOC깃발아래 참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서글프다.” (I am very sad that we are participating under the flag of the IOC, as president of the Kuwaiti NOC, all these athletes at these big Games.)”

 


그렇지만 내가 IOC위원으로 선서를 하였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나 스포츠 관련 법규와 스포츠의 자치권에 대하여 준수할 것이다.” (But as I took my oath as an IOC member, we will always respect the law of sport, about the autonomy of sports.)라고 언급하여 IOC KOC(쿠웨이트 올림픽 위원회)에 부과한 자격정지 징계를 인정 한 바 있습니다.

 


1. 쿠웨이트 NOC에 대한 IOC자격정지 조치 발단 및 경과

 

1)   2010년에 이어 2015년 당시 쿠웨이트 정부가 자국 스포츠단체들의 선거에 개입하기 시작하자, IOC2015 10월 쿠웨이트올림픽위원회(KOC: Kuwait Olympic Committee)에 자격정지(suspension) 처분을 내린 바 있으며, 결과적으로 KOC IOC로부터 어떠한 지원금을 받지 못하여 있으며, 쿠웨이트 선수 및 NOC관계자들은 올림픽대회와 IOC 관련 국제회의에도 참가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3년 째 지속되어 왔습니다.

 

2)   IOC는 쿠웨이트의 스포츠 관련법이 KOC 및 경기단체(NF, National Federation)의 자치 성(autonomy)을 손상한다는 이유로 올림픽 헌장(Olympic Charter)에 명시된 ‘Olympic Movement’를 보호한다는 명목 하에 해당 조치를 취한 바 있습니다.

 

3)   문제가 된 해당 법안내용을 보면, Sheikh Ahmad OCA ANOC회장과 앙숙관계로 알려진 쿠웨이트의 정보부 장관(Minister of Information) 이자 청소년 장관(Minister of State for Youth Affairs) Sheikh Salman Sabah Salem Al-Humoud Al-Sabah)이 쿠웨이트 내 모든 스포츠기구 및 연맹을 관장하고 인사권과 재정적 사안 등을 통제하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Sheikh Ahmad)                                                  (Sheikh Salman)

 

 

4)   쿠웨이트 NOC에 대한 자격정지 처분이 내려지기 전, IOC는 스위스 로잔에서 쿠웨이트 정부대표단과 동 사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바 있으나 쿠웨이트 측이 IOC의 권고 사항(스포츠 관련 국내법을 2015 10 27일 까지 개정)에 대하여 결과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갈등을 빚게 되었다고 합니다.

 

5)   현재 쿠웨이트는 IOC로부터 자격정지처분을 받은 유일한 NOC이며 IOC NOC담당국장인 Pere Miro는 쿠웨이트 정부의 KOC에 대한 개입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쿠웨이트정부의 쿠웨이트 올림픽운동 자치 성을 훼손하는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6)   Miro IOC사무처 NOC담당국장은 스포츠 관계자들이 각 단체들의 자치 성을 보장하는 것은 필수적이고, 쿠웨이트 당국에서 빼앗은 NOC 대표들의 권한을 복권시켜 주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Pere Miro IOC사무처 NOC담당국장 /출처: ATR)

 

7)   쿠웨이트는 IOC의 자국 NOC에 내려진 자격정지뿐만 아니라 국제스포츠기구들(IFs)로부터 잇따른 자격 정지 이후, FIFA(축구), FIBA(농구), IJF(유도), FIVB(배구), IHF(핸드볼), WKF(공수도) 등을 포함한 다수의 국제연맹들(IFs)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해당 종목의 쿠웨이트 경기단체들(NFs)의 자격을 정지해 온 바 있습니다.

 

 

8)   각 국제연맹들의 자격 정지 처분이 이어지자 쿠웨이트는 IOC를 상대로 스위스Vaud 민사법원과 스포츠중재재판소(CAS: Court of Arbitration)에 잇달아 항소했으나 기각 당한 바 있으며, 지난 2016 8, 쿠웨이트 정부는 회계부정을 빌미로 쿠웨이트 NOC와 축구협회(KFA: Kuwait Football Association)의 해체를 단행한 바 있습니다.

 

 

9)   쿠웨이트 정부가 자국 올림픽 위원회(KOC)를 해체함에 따라 쿠웨이트는

Rio2016 올림픽대회 참가 자격 역시 상실하게 되었으며 Rio2016올림픽에 출전한 9명의 쿠웨이트 선수들 조차 자국 국기가 아닌 IOC의 오륜기를 앞세우고 개별올림픽선수자격으로 출전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10) Rio2016올림픽에서는 206개국 NOC 중 국제적 제재를 받고 있는 쿠웨이트를 제외한 205 NOC국가 선수단이 참가하였으며, 9명의 쿠웨이트 선수단은 개별올림픽선수자격으로 206번째 팀으로 참가한 바 있습니다.

 

 

[전 세계 국가올림픽위원회(NOCs)의 수: 206]

 

1)   아시아: 44 NOCs(46 OCA회원국 NOC중 마카오 및 쿠웨이트 제외)

2)   아프리카: 54 NOCs

3)   아메리카: 41 NOCs

4)   유럽: 50 NOCs

5)   오세아니아: 17 NOCs

--------------------------

       206 NOC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1) 통상 독립개별선수단의 경우 IOA(Independent Olympic Athletes)’코드를 사용하지만 쿠웨이트 선수단의 경우 Rio2016올림픽에서는 IOC 코드를 할당 받아 참가하였다고 합니다.

 

12) 또한, 10명의 난민선수단은 특정 국가에 소속되어있지 않으므로 ROT(Refugee Olympic Team)의 특수 목적 코드를 부여 받아 207번째 선수단으로 참가한 바 있습니다..

 

 

1.   쿠웨이트 정부의 연속자충수

 

 

1)   지난 2016 11월에 쿠웨이트 정부는 자국 NOC와 축구연맹을 해체한 뒤 임시로 KOC 및 임시 KFA를 설립하고, 기존의 ‘KOC(Kuwait Olympic Committee)’ 명칭을 IOC승인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는 바람에 IOC의 제제를 받는 일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2)   IOCBranding 규정 위반과 관련하여 쿠웨이트 정부가 임시 NOC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경우 향후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하기에 이르렀으며 쿠웨이트는 축구협회 유사 단체로 ‘KFA’도 설립하여 국제축구연맹(FIFA)으로부터도 유사 단체를 자체 설립하는 것은 FIFA의 독립성을 침해하는 행위라임을 적시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는 경고를 받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이러한 어처구니 없는 여파로 국제스포츠 계와 쿠웨이트 당국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일로로 치달았으며 쿠웨이트 NOC와 축구협회를 포함해 현재까지 해체된 9개의 쿠웨이트 체육단체(쿠웨이트 NOC, 축구, 수영, 핸드볼, 농구, 유도, 승마, 체조, 스쿼시협회)들은 임시위원회(Interim Committees)’로 대체되었으며, 대체된 모든 경기단체들은 IOC와 관련 국제 연맹들에 의해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에 봉착하게 되었습니다.

 

 

2.   쿠웨이트의 IOC IFs에 자격정지조치 해제 요청 중간 경과와 현 상황

 

1)   지난 2016 12월 하순, 쿠웨이트 스포츠 관할 기구인 공공스포츠당국(PSA: Public Sports Authority) IOC IFs에 일시적으로 쿠웨이트 NOC NFs에 내린 자격정지 처분 해제를 서신을 통해 요청하기에 이릅니다.

 

2)   쿠웨이트 스포츠관할당국이 보낸 공한에는 201612월 말까지 스포츠와 관련된 새로운 위원회를 설립하여 법안을 개정할 것이라며 변화에 대한 의사를 밝힙니다.

 

3)   쿠웨이트 정부의스포츠 관련법개정안이 국회 과반수 투표로 통과되어 국제스포츠 계 쿠웨이트의 위상이 전환점을 맞이할 전망이 보이게 됩니다

 

4)   IOC FIFA로부터 임시위원회에 대한 경고를 받으며 국제스포츠 계 내에서의 관계악화로 쿠웨이트는 스포츠 관련법을 기존환원 위한 개정안을 통과시키게 됩니다

 

5)   한편, 쿠웨이트는 스포츠관련법이 협회들의 자치 성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IOC FIFA IF들로부터 자격정지 처분에 따라 아시아축구연맹(AFC)은 지난 2016 12 23일까지 FIFA 회원국 자격 회복 불가 시 ‘2019 아시안 컵에서 예선 탈락 조치할 것을 예고합니다.

 

6)   이에 쿠웨이트는 관련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통과시키는 등 변화의 노력을 보이면서 AFC2017 1 11일까지 해당 기한을 연기합니다.

 

(쿠웨이트 PSA 로고 /출처: Insidethegames)

 

 

 

7)   쿠웨이트 국회는 스포츠 관련법 개정안 원안대로 개정 지난 201612 3스포츠 관련법을 새로 개정하여 국회 과반수 투표로 통과시킵니다

 

8)   쿠웨이트는 그 동안 ‘Rio2016올림픽대회당시에는 참가 자격을 박탈 당해 자국 선수들의 독립 선수단 출전 수모 감수 및 IOC FIFA로부터 승인 받지 못한 임시위원회에 대한 경고 등 우여곡절을 겪으며 국제스포츠 계 내 입지 약화가 가속화 됩니다

 

9)   그 결과 FIFA AFC가 진행하는 각종 국제 축구대회 출전 또한 불가능해집니다

 

10) 쿠웨이트는 불가피하게 더 이상의 불이익 최소화 차원에서 스포츠 관련법의 기존환원지향목적으로 이와 같은 개정안을 통과시켰으나 당장의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11) 아시아축구연맹(AFC) 경기위원회(Competitions Committee)는 쿠웨이트에 2016 12 18일까지 국제축구연맹(FIFA) 회원국의 자격을 회복하지 않으면 ‘2019 Asian Cup’ 예선전 탈락 조치될 것임을 경고합니다 

 

12)  결국 쿠웨이트는 FIFA 회원국 자격을 바로 회복하지 못하게 됩니다.

 

13) 2016 12월 하순 Sheikh Salman 장관은 AFC에 서신 발송으로 일시적인 제재 해제를 요청하지만 이에 AFC는 기한을 2017 1 11일로 연장해 줍니다

 

14) 쿠웨이트는 러시아에서 개최된 지난 ‘2018 FIFA World Cup’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전 당시에도 동일한 사유로 대한민국, 라오스, 미얀마와의 G 3경기에서 0:3 몰수 패를 감수합니다

 

15) 그 동안 갈등의 중심이었던 청소년 장관(Minister of Statue for Youth Affairs) Sheikh Salman Al-Humoud Al-Sabah가 국회의 결정을 바탕으로 향후 어떤 선택을 할지, 쿠웨이트의 국제스포츠 계 위상이 빠르게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을지 주목을 받고 있었지만, IOC, FIFA 등 국제스포츠연맹들과의 냉각 관계는 계속 이어지게 됩니다

 

16) 2017 1월 쿠웨이트가 자국 NOC (KOC: Kuwait Olympic Committee) 자격정지 해제 요청에 대해 IOC 거부로 KOC 자격정지 여전히 계속 지속되게 됩니다

 

17)  2016 12월 당시 쿠웨이트의 공공스포츠당국(PSA: Public Sports Authority) IOC IF들에게 임시적 자격정지 해제를 요청과 관련 IOC는 공한을 통해 쿠웨이트 청소년장관(Minister of State for Youth Affairs) Sheikh Salman Sabah Al-Salem Al-Humoud Al-Sabah에개쿠웨이트 NOC가 올림픽 헌장에 부합하는 기구로 회복될 경우에 한해서 현 상황을 다시 고려해볼 것이라고 통보합니다

 

18) 2017 2, 쿠웨이트와 국제스포츠 계 간 관계 악화 원인제공 역할의 장본인 前 청소년장관(Minister of State for Youth Affairs) 사임에 불구, 쿠웨이트 현 상황 해결 실마리 찾지 못합니다

 

19) 지난 2015 10, 자치 성 침해를 이유로 IOC 및 국제축구연맹(FIFA) 등 많은 경기연맹(IF)들로부터 쿠웨이트올림픽위원회(KOC) 및 자국 스포츠협회(NF)들의 자격정지 처분을 받은 일과 관련한 책임자 Sheikh Salman Sabah Al-Salem Al-Humoud Al-Sabah2017 2월 초 청소년부장관 자리에서 물러납니다

 

20) 그러나 Sheikh Salman의 후임장관으로 Khaled Nasser Al-Roudan가 선임되면서 쿠웨이트의 국제스포츠 계 상황 개선에 기대를 했으나 별 다른 진전이 보이지 않습니다

 

21) Khaled Nasser Al-Roudan Sheikh Salman과 동역자였으며, 임명 당시 정부자금 로비를 통해 쿠웨이트축구협회(KFA)와 다른 스포츠 조직들로부터 축구클럽을 사유화 혐의를 받기도 합니다

 

22) 또한, 2016년 멕시코시티에서 개최된 국제축구연맹(FIFA) 총회에서, FIFA로부터 받은 자격정지 처분 해제를 위한 로비활동에 참여한 인물 중 한 명으로도 연루된바 있다는 사실이 공개됩니다.

 

23) 한편, 아직 IOC로부터 자격 회복 승인을 얻지 못한 쿠웨이트올림픽위원회(KOC)는 지난삿포로2017 동계아시아경기대회에 쿠웨이트 국기가 아닌 오륜기 아래 독립선수로 참가하게 됩니다

 

 

(Sheikh Salman Sabah Al-Salem Al-Humoud Al-Sabah 前 청소년장관 <좌측>
Khaled Nasser Al-Roudan
現 청소년장관 <우측> /출처: Insidethegames, KDIPA)

 

 

24) 최근 2018 425일 쿠웨이트 정부는 IOC에 대표단 파견을 통한 쿠웨이트와 IOC간의 문제해결 차 스위스 로잔을 방문합니다

 

 

(스위스 로잔 IOC본부방문한 쿠웨이트 정부대표단과 Pere Miro IOC사무국 NOC담당국장<-3> /출처: IOC)

 

 

25)  2018 425(현지시간) 쿠웨이트 공공스포츠당국(PSA: Public Sports Authority) Humood Fleteh Alshammari 사무총장은 스위스 로잔 소재 IOC 본부 방문하여 현재 쿠웨이트 NOC 자격정지 관련 상호수용가능 해결책 모색 회담 갖게 됩니다

 

26) 회담에 참석한 IOC Pere Miró NOC담당국장은 ‘IOC가 긴밀한 관계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 중이며, 오늘 실시된 회담은 매우 긍정적 이였으며 양측 모두 긍정적인 회담이 지속될 경우 좋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언급합니다

 

27) 이에 PSA Humood Fleteh Alshammari 사무총장은양측의 견해를 서로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쿠웨이트의 현재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초기 해법을 찾은 것 같다고 입장을 표명합니다

 

28) 현재까지 쿠웨이트 정부는 자격정지 해제노력경주 입장에도 불구하고 IOC 설득에 아직 부족함을 IOC 대변인이 밝힙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AT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1. 12:57

[스포츠외교 빨간 불 한국유일 국제스키연맹(FIS)집행위원 직 중국으로 넘어갈 국면 FIS Kasper회장은 6선 당선예상 ]

 

 

Gian-Franco Kasper 국제스키연맹(FIS: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회장은 동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연합회(AIOWF: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Olympic Winter Federations)회장 자격 IOC집행위원 직을 맡고 활동하고 있는 국제 스포츠게 거물입니다.

 

 

그는 이제 2018 5월 열리는 FIS총회에서 6선회장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Gian-Franco Kasper FIS회장 /출처: FIS 홈페이지)

 

 

 

FIS2018 5 19일 그리스 Costa Navarino에서 실시되는 FIS임원 선출을 앞두고 FIS회장 및 16명의 FIS분과위원회 후보들을 발표 하였으며 스위스 출신 Gian- Franco Kasper FIS現 회장이 FIS회장 선거에 단일후보로 출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Kasper FIS회장은 전임 Marc Hodler회장(스위스) 당시 FIS사무총장에서 FIS 제 바톤을 이어 받은 제4대 회장으로서 1998년부터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오는 5 FIS총회 선거를 통해 임기를 4년 더 연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Kasper FIS회장은 현재 동계올림픽종목 국제연맹연합회(AIOWF: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Olympic Winter Federations) 회장직과 AIOWF대표 자격 IOC집행위원으로 임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Kasper FIS회장은 IOC ‘Olympic Agenda 2020 권고안 제 37에 의거하여 기존 IOC위원의 연령제한인 만 70세에서 4년 임기 연장을 받은 첫 번째 IOC 위원 Case였으며 금년 1 74세의 생일을 맞으며 IOC 위원직에서 물러났지만 아직까지 AIOWF 회장으로서는 2년의 임기가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출처: IOC홈페이지)

 

 

이에 따라 AIOWF는 지난 4월 태국 방콕개최 ‘SportAccord 2018 Summit’ 기간 중 총회를 열고, Kasper 회장을 교체하여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연맹(IBSF: International Bobsleigh and Skeleton Federation) Ivo Ferriani 회장(이태리 IOC위원) AIOWF대표 당연 직 IOC 집행위원으로 추천한 바 있습니다.

 

 

(Ivo Ferriani IBSF회장과 함께/평창2018 기간 중)

 

 

또한 2018년도 FIS집행위원선거에 출마하여 당선이 확실시 되어 보이는 중국스키협회 Steve Dong Yang ‘Beijing2022년 동계올림픽준비에 연결고리역할을 할 것이며, 독일 출신 스노보드 선수 Konstantin Schad FIS 선수위원회 위원장 후보로 출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4년 전 FIS집행위원으로 처음 선출되어 FIS집행위원으로 활동하여왔던 신동빈 대한스키협회(KSA)회장 겸 롯데그룹 회장은 현재 검찰에 기소되어 재판 대기 중인 상황이어서 정보에 의하면 FIS집행위원 출마신청을 못한 것으로 알려져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외교 전선에 빨간 불이 켜진 셈입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FIS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4. 30. 13:30

[FIFA월드컵 개최국 선출 변천사와 2026년 개최국 선출전망(613) 2034년 남북한 FIFA월드컵 공동개최 포함 세계판도 종합스케치]

 

*순서:

 

. FIFA월드컵 개최국 선출 역사와 대륙간 순환개최원칙 변천사

. 2026 FIFA 월드컵 개최후보 국 (미국-캐나다-멕시코 연합공동 팀)전망과 이모저모

. 2026 FIFA월드컵 개최 경쟁국인 아프리카 모로코 유치현황 이모저모

. 2030년 대회 및 2034 FIFA월드컵 남북한 공동개최 전망과 판도 스케치

. 역대 FIFA월드컵 개최국 현황과 주요 이슈

. 2030년 이후 FIFA월드컵 유치희망 국가 현황

 

 

*내용:

 

1. FIFA월드컵 개최국 선출 역사와 대륙간 순환개최원칙 변천사

 

2018 FIFA월드컵(러시아) 2022 FIFA월드컵(카타르)에 이어 2026 FIFA월드컵 개최국 선정과정이 뜨겁게 달아 오르고 있습니다.

 

1958년 스웨덴 FIFA월드컵대회부터 시작된 두 대륙 별 순환개최 시스템도입결정으로 유럽과 남미(추후 북 중미 포함) 두 대륙이 교대로 FIFA월드컵대회를 개최하여 왔습니다.

 

이러한 두 대륙간 순환개최 시스템은 1998년 프랑스FIFA월드컵 대회까지 40년 간 유지되어 왔다고 합니다.

 

아시아대륙인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 FIFA월드컵대회 이후부터 제3대륙에도 FIFA월드컵 개최권이 개방된 전환시기로 2002년 월드컵은 유럽-남미 두 대륙간 순환개최대회로부터 탈피한 원년대회인 셈입니다. 

 

또한 2002 FIFA월드컵 개최국 선정과정에서 사상최초로 공동개최가 성사되면서 FIFA내부에 큰 논란거리로 회자되기도 하였는데 규정에 명시된 월드컵 1국가 개최원칙에 대한 규정위반에 대한 반발이 일어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어 FIFA 2010년 남아공의 FIFA월드컵 개최국 발표 직후 ‘6대륙 순환개최 시스템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하지만 FIFA 2014년 월드컵 개최국 선정과정에서 예기치 못했던 변수에 직면하였는데, 남미국가들의 어려운 사정으로 개최의지가 소극적이었으며 브라질과 유일하게 유치경쟁에 뛰어 들었던 콜롬비아 조차 유치경쟁에서 도중하차하는 불상사가 일어 났다고 합니다.

 

한편,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공동개최의사 표명도 있었지만 결렬되어 결국 브라질이 단독유치후보도 개최국으로 결정된 바 있다고 합니다.

 

이 여파로 FIFA는 북 중미, 오세아니아 등지에서 발생할 지도 모르는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는 국면이 전개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FIFA는 결국 2018 FIFA월드컵대회부터 대륙간 순환개최 원칙을 다시 폐지하고 대신 이전 두 개 월드컵대회 치른 대륙 이외의 국가들 유치후보 환영이란 원칙을 설정하기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그 결과 2010년 아프리카-2014년 남미를 제외한 유럽-아시아-북 중미-아프리카 4개 대륙이 2018년 월드컵 대회에 유치자격이 생긴 것입니다.

 

물론 2018년 월드컵(러시아/유럽) 2022년 월드컵 개최국(카타르/아시아)2018년 대회 개최 8년 전인 2010 12월 동시에 선출되는 기 현상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한 FIFA집행부 매표 논란과 부패혐의로 인해 FIFA는 아직도 혼란 와중에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동 원칙에 의거하면 이제 2026 FIFA월드컵 개최 신청은 유럽과 아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4개 대륙소속 국가들에게 신청자격이 주어지게 된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서 South Afica2010(아프리카)-Brazil2014(남미)-Russia2018(유럽)-Qatar2022(아시아)의 대륙순환개최원칙이 지켜지고 있는 가운데2026 FIFA월드컵 개최국 유치경쟁은 북 중미 연합 공동 팀(미국-캐나다-멕시코)와 아프리카의 모로코 간의 경쟁이 벌어지게 된 것입니다.

 

[FIFA대륙 별 6개 축구협회연합체 현황]

 

1)   아시아: AFC

2)   아프리카: CAF

3)   북 중미 및 카리브 지역: CONCACAF

4)   남미: CONMEBOL

5)   유럽: UEFA

6)   오세아니아: OFC

 

 

2. 2026 FIFA 월드컵 개최후보 국 (미국-캐나다-멕시코 연합공동 팀)전망과 이모저모

 

 

 

미국-캐나다-멕시코 연합국 FIFA월드컵공동유치팀(United 2026)은 최근 남미축구총연맹(CONMEBOL: South American Football Confederation)로부터 2026 FIFA월드컵공동유치에 대한 지지에 대하여 환영의 뜻을 표하였다(welcomed the endorsement from CONMEBOL)고 합니다

 

 

CONMEBOL 2018 4 13일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개최 이사회 직후, 미국-캐나다-멕시코 3개국의 FIFA월드컵 공동유치(joint bid)에 대하여 만장일치의 지지(unanimous support)를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CONMEBOL 성명서 내용입니다:

 

A.  "Through this expression of unanimous support, the Council and the ten Member Associations of CONMEBOL reaffirm their commitment to continue working with FIFA and CONCACAF to promote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football in the Americas." (만장일치지지표명을 통하여 이사회와 CONMEBOL10개국 축구협회들은 북 중남미 축구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FIFA CONCACAF와 지속적인 업무 공약을 재 확인하는 바임)

 

B.  "Taking into account the positive impact that the celebration of the FIFA World Cup in Mexico in 1986 and in the United States in 1994 had on the interest, development and projection of football in those countries and in general in the region, the Associations Member of CONMEBOL consider that, after three decades, the time is right to give new impetus to football in the CONCACAF region, where more than 500 million people currently live." (1986 FIFA멕시코 월드컵 및 1994 FIFA미국 월드컵개최가 해당지역국가들의 축구에 대한 관심도와 발전과 전망에 가져다 준 긍정적인 영향력을 고려해 볼 때, CONMEBOL가맹국 축구협회들은 3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현재 5억명 이상의 인구가 살고 있는 CONCACAF지역에 축구에 대한 새로운 추진동력을 부여한 적절한 시기라고 고려하고 있는 바임)

 

 

CONMEBOL 회장인 Alejandro Domínguez는 미국-캐나다-멕시코 개최 FIFIA월드컵이 북 중남미대륙을 통틀어 축구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A.  "The countries of the Americas share many historical ties and our conviction is that South American football can and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ootball throughout the American hemisphere, recognising the sport as a powerful integrating force." (스포츠의 강력한 퉁합력을 인식하면서, 북 중남미국가들은 많은 역사적 연대를 공유하고 있으며 따라서 우리는 남미축구가 미주 반구를 통틀어 축구발전에 기여할 수 있고 기여해야 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음)

 

 

북 중미 공동유치 팀인 United2026 FIFA투표권을 행사하는 Belize, Costa Rica, El Salvador, Honduras, Nicaragua Panama 6개국으로 구성된 중미축구연합(UNCAF: Central American Football Union)의 지지가 금번 지지의 교두보라고 주장하면서 금번 지지성명에 반색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United2026 공동유치 팀의 성명서 내용입니다:

 

A.  "The United Bid of Canada,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are grateful for today's endorsement by CONMEBOL, the confederation representing ten South American member associations." (미국-캐나다-멕시코 3개국 북 중미 공동유치연합 팀은413일 남미 10개국 축구협회를 대표하는 CONMEBOL이 발표한 지지표명에 감사하는 바임)

 

B.  "This announcement builds on the support of UNCAF's six voting member associations that the United Bid was honoured to receive in March. (이러한 지지발표는 지난 3월 받은 바 있는 UNCAF 6개국 축구협회들의 지지가 교두보가 되었다고 볼 수 있음)

 

C.  "We look forward to continuing our conversations with member associations around the world, highlighting the operational and economic certainty of our bid for the entire FIFA family." (우리는 전체 FIFA회원국들을 위하여 우리의 연합유치가 가져다 중 대회운영 및 경제적 확실성을 집중 조명함으로써, 전 세계 축구회원국들과 대화를 지속하려고 학수고대하고 있음)

 

United 2026공동유치위원회는 FIFA실사평가TF(FIFA’s Evaluation Task Force)이 제안된 경기장들에 대한 기술적 방문시찰을 마치면서 성명서를 발표한 것이라고 합니다.

 

FIFA실사평가TF팀의 4번 째 및 5번째 현지시찰 방문 지는 미국 뉴욕 시(New York City)와 뉴저지(New Jersey)라고 합니다

 

그들은 New Jersey Harrison시에 위치한 축구전용경기장(football-specific stadium) 방문 전에Red Bull Arena메이저 리그 축구본부를 시찰 하였다고 합니다

 

동 경기장은 New York Red Bulls의 홈 구장이며 AS Roma Tottenham Hotspur 와 같은 프로축구팀 경기와 함께, 1994 FIFA 미국 월드컵 당시 예선전 경기들(qualifying events)을 치른 바 있다고 합니다

 

New Jersey East Rutherford에 소재한 MetLife Stadium역시 방문하였다고 합니다.

 

National Football 리그 경기장들은(arenas) New York Jets팀과 the New York Giants팀의 홈 구장이며 최첨단 기술, 안락 성 및 편의 시설을 구비한(with state-of-the-art technology, comfort and amenities) 축구경기장의 탁월성 표준에 부합하게 구성되어 있다(to set the standard for venue excellence)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FIFA 실사평가 TF팀은 New York City전반을 헬기로 간단하게 방문을 마무리 지었다 concluded their trip with a brief helicopter tour)고 합니다

 

4월 두 번 때 주 초반 FIFA실사평가 TF 팀은 Mexico City(멕시코), Atlanta(미국) Toronto(캐나다)등지를 방문한 바 있다고 합니다.

 

United2026공동유치팀은 자신들이 단합(unity)과 기회(opportunity)와 확실성(certainty) 2026 FIFA월드컵유치의 3개 기치로 제안하였음을 재 천명하였다고 합니다

 

북미 방문 후 FIFA실사평가 TF팀은 416~19일 아프리카 모로코를 방문하였으며 모로코 내 축구 경기장이 소제한 Marrakech, Agadir, Tangier Casablanca를 현지 실사 방문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2026 FIFA월드컵 개최 경쟁국인 아프리카 모로코 유치현황 이모저모

 

FIFA FIFA실사평가 TF팀의 현지 조사방문 후, 현지호텔 수용규모(hotel capacity)경기를 개최할 축구경기장들에 대한 준비태세(the readiness of stadiums to host matches) 등에 대한 약간의 우려를 표명한 후 2026 FIFA월드컵 유치경쟁에 뛰어 든 모로코에 대해 좀 더 세세한 조사에 임할 것(to pay more scrutiny to Morocco's bid) 으로 이야기되었다고 합니다

 

 

 

FIFA실사평가 TF팀의 현지 실사 평가 방문으로 4일 간 모로코 현지에 체류하였으며 북 아프리카 모로코의 야심 찬 유치 세부내역에 대해 현지조사를(inspecting details of the ambitious bid) 벌인 바 있습니다.

 

FIFA실사평가 TF팀은 모로코의 Marrakech, Agadir, Tangier Casablanca 4개 지역을 방문하였다고 합니다.

 

FIFA실사평가 TF팀은 4월 셋째 주 5개 도시를 방문하였으며 당초 제출한 계획 프로그램으로부터 약간의 편차가 있음을 주목하였음(noticed some deviations from the initial planned programme) Mouly Hafid Elalamy 모로코2026유치위원장이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ouly Hafid Elalamy 모로코2026유치위원장은 FIFA실사평가 TF팀이 숙박 전망의 신뢰성(reliability of accommodation projections )과 경기장 전환계획(the plans for the transformation of stadiums)에 대하여 질의하였다고 덧붙였다고 합니다

 

AFP보도에 따르면 Elalamy 유치위원장은 FIFA실사평가 TF팀이 자신들이 제출한 유치파일에 대해 찬사를 표명(showed "admiration for our dossier)하였지만 경기장 몇 곳의 규정불일치에 대한 소견을 피력하였다(made some remarks about the non-compliance of some of the stadiums )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Elalamy모로코2026 FIFA월드컵 유치위원장의 발언내용입니다:

 

 

A.  "Our experts are in discussions with FIFA. (우리 전문가들이 FIFA와 논의 중에 있음)

 

B.  "So next week, FIFA will send to Morocco experts to talk to us about possible solutions for accommodation and stadiums." (그래서 다음 주 FIFA가 모로코에 전문가를 파견하여 숙박과 스타디움 관련 해결방안에 대해 협의 할 것임)

 

 

 

The FIFA Evaluation Task Force visited four cities in Morocco during their inspection of the country's bid for the 2026 World Cup, including Tangiers, but are set to return to carry out further scrutiny ©Twitter (모로코 축구경기장을 방문하고 있는 FIFA 실사평가 TF/출처: insidethegames)

 

 

 

모로코의 경우 과거 4 차례 FIFA월드컵 유치 경쟁에 뛰어 든 바 있었는데, 1994년 경쟁에서는 미국, 1998년 경쟁에서는 프랑스, 2006년 경쟁에서는 독일, 2010년 경쟁에서는 남아공에게 각각 개최권이 넘어 갔습니다. 

 

5번때 도전인 2026 FIFA월드컵 유치경쟁에서 모로코는 12개 개최도시, 12개 축구경기장활용 계획을 제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Elalamy 모로코2026년 유치위원장은 FIFA실사평가 TF팀이 모로코 유치에 대해 실사하였으며 모로코가 월드컵을 계기로 모든 수준에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심에서 명확한 비전에 입각하여 개발이 한창이고, 건설도 한창이라는 것”(a country in full development, in full construction, with a clear vision, where the World Cup is a tool for the accelerating development projects at all levels)을 이해 하였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또한 FIFA대표단이 모로코의 모듈라 공법으로 건설되는 스타디움에 대한 모로코의 컨셉에 대해 만족감을 표명하였다(expressed its satisfaction over Morocco’s concept of modular stadiums)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모로코2026년 유치위원회는 일전에 FIFA가 유치파일 공식 제출 딱 24시간 전에 채점시스템(scoring system)을 변경했던 것에 대하여 공개적으로 비판했던(had previously openly criticised FIFA)적이 있었습니다.

 

채점방식 변경이란 축구경기장들과 호텔들을 포함한 인프라 점수가 당초 유치후보채점의 70%를 차지하게 하는 것으로 투표에 임하기 전에 자격여부를 가름할 수 있도록 하는 것(account for 70 per cent of the initial score given to a bid before it can qualify to enter the ballot)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채점 방식은 모로코를 불리하게 한 것(The new scoring system puts Morocco at a disadvantage )으로 주장되고 있으며, 이는 FIFA실사평가 TF팀이 그 전주에 방문한 모로코의 유일한 경쟁상대(their sole rival)인 미국-캐나다-멕시코 공동유치위원회에 유리하게 하여 유치경쟁에서 모로코를 던져 버리려는 전술로 모로코 내부에서 보고 있는 시각이 있어 왔다(viewed by some in the country as a tactic to throw them out of the race in favour of their sole rival, a joint bid from the US, Canada and Mexico)라는 것입니다.

 

Elalamy모로코 유치위원장은 FIFA실사평가 TF팀이 모로코와 연합공동유치위원회 양쪽 모두의 노력을 지원하도록 전적인 의지를 표명하였음(expressed their total "willingness to support the efforts" of both the Moroccan and the United bids)을 청취하였다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모로코2026년 월드컵 유치를 지지를 약속한 국가들 중(among the countries to have pledged their support for the Moroccan bid )에는 러시아, 프랑스. 남아공 3개국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6개 대륙 211개국 축구협회 회원 6개 대륙 별 연합회로 구성된 FIFA의 회원국들 중 유치경쟁에 참여하는 모로코와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4개국을 제외한 207개국 전 회원국들이 투표권을 행사하게 되어 있으며, 2026 FIFA월드컵 개최국 선출 투표는 오는 613 2018년 러시아 FIFA월드컵 개막 전날(the eve of the start of this year’s World Cup in Russia) 러시아 모스크바 개최 FIFA총회에서 실시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Noel Le Graet프랑스축구협회장은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프랑스가 모로코를 지지하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발언하였다고 합니다:

 

A.  "FIFA are visiting Morocco this week to check if the pitches are ready and whether, on a technical level, Morocco can be a candidate.”(FIFA가 금주 경기장 준비태세조사 및 기술적 수준에서 모로코의 후보 국 자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모로코를 방문하고 있음)

 

B.  "If Morocco is retained [as a candidate], the French Football Federation will support it.” (만일 모로코가 후보 국으로 자격이 인정되어 남아 있을 경우 프랑스 축구협회는 모로코를 지지할 것임)

 

C.  "Africa has often been neglected, history has only given it one competition. (아프리카는 자주 등한시 되어 왔으며 역사상 단 한 차례만 아프리카에 월드컵 개최권을 준 바 있음)

 

D.  "Morocco is today a very developed country and it has, in my opinion, all the qualities to do it." (모로코는 오늘날 매우 발전된 나라이며, 내 견해로는 월드컵 개최에 필요한 모든 자격을 구비하고 있음)

 

 

4. 2030년대회 및 2034 FIFA월드컵 남북한 공동개최 전망과 판도 스케치

 

FIFA가 결국 2018 FIFA월드컵대회부터 대륙간 순환개최 원칙을 다시 폐지하고 대신 이전 두 개 월드컵대회 치른 대륙 이외의 국가들 유치후보 환영이란 원칙 설정에 의거하여 FIFA월드컵 개최국을 선출하게 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30 FIFA월드컵 개최국의 경우 오는 2018 613일 모스크바개최 FIFA총회에서 2026년 개최국이 북 중미 연합국(United 2026/미국-캐나다-멕시코)으로 결정된다고 가정한다면, 2022(카타르/아시아) 2026(미국-캐나다-멕시코)FIFA월드컵을 치른 아시아와 북 중미 대륙 국가들의 유치신청이 불허되게 됩니다.

             

이 경우 2030 FIFA월드컵 개최 허용 대륙 국가들은 아시아와 북 중미를 제외한 아프리카-유럽-오세아니아-남미 등 4개 대륙으로 국한됩니다.

 

2030 FIFA월드컵개최국은 아프리카의 모로코가 2026년 유치경쟁에서도 실패하여 5번 도전에 실패한 뒤 또 다시 2030 FIFA월드컵 유치 6 번째 도전에 재 도전할 경우 정서상 모로코가 유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성립될 경우, 차 차기 대회인 2034FIFA월드컵 대회는 2026년 미국-캐나다-멕시코의 북 중미 대륙과 2030년 모로코의 아프리카대륙을 제외한 남미-유럽-오세아니아-아시아의 4개 대륙 국가들 만이 유치경쟁대상이 됩니다.

 

1930년 제1 FIFA월드컵 대회가 개최된 이래 22번의 월드컵이 개최되면서 단 한차례도 열린 바 없었던 오세아니아의 경우 호주가 2022 FIFA월드컵 대회 유치경쟁에 유일하게 뛰어 들었지만 FIFA집행이사회 22명의 이사들 투표 중 단 한 표를 획득하여 탈락한 바 있습니다.

 

2018 430일 현재 위키백과에 명시된 향후 유치희망국가 들 중 오세아니아의 호주는 북한, 일본 및 예멘과 함께 2046 FIFA월드컵 개최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상황이지만 모든 희망 국들이 앞 당겨 유치전선에 가세할 가능성은 상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키백과에 명시된 2030년 유치희망 국 도표에 따르면 아시아의 중국과 남미의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등 4개국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하지만, 남미의 경우 참가국들의 장거리여행에 따른 피로누적도 및 개최국의 경제 여건 등을 분석해 볼 때 2014년 브라질에 이어 다시 도전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아 보입니다.

 

또한 새롭게 개정된 FIFA규정에 의거하여 2022 FIFA월드컵 개최국(카타르)을 감안해 볼 때 아시아는 2030년 유치대상국에서 제외되어 중국의 경우 빠르면 2034년 대회부터 유치신청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따라서 2030 FIFA월드컵 유력 유치대상 대륙은 유럽과 오세아니아가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실제로 어떤 상황이 전개될 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만일 2030 FIFA월드컵 개최권이 유럽, 오세아니아, 남미 에 속한 국가에게 돌아갈 경우, 2034 FIFA월드컵 개최 후보 대륙은 2026년 및 2030년 개최대륙을 제외하고 아시아를 포함한 4개 대륙 간의 경쟁으로 예상됩니다.

 

2002 FIFA월드컵을 일본과 공동 개최한 대한민국의 경우 향후 태국, 그리스 및 에콰도르와 함께 2034 FIFA월드컵 개최를 희망하는 국가로 표시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향후 판도는 불투명해 보입니다.

 

우선 FIFA의 새로운 규정에 따라 2030 FIFA월드컵 유치대상에서 제외된 중국이 대신 2034년 유치경쟁에 뛰어 들 공산이 크며, 이 경우 대한민국은 중국과의 경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34 FIFA월드컵 개최국 선출은 대회개최 8년 전인 2026년 열리는 FIFA총회에서 211개국 회원국 투표로 그 향방이 결정되므로 유치성공을 위하여서는 가능한 빠른 시기에 거국적 유치위원회를 구성하여 사전 유치활동에 임해야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현재 한반도에 불고 있는 남북한 화해와 평화 무드를 감안한다면 2034년 남북한 공동개최카드를 들고 FIFA월드컵유치경쟁에 임하면 FIFA회원국들도 동조할 것으로 예상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 남북 당국간의 의견 조율과 합의가 필수 적인 것은 당연한 과정입니다.

 

[대한민국 12개 도시 소재 14개 축구경기장 현황]

(자료출처: 위키백과)

 

 

5. 역대 FIFA월드컵 개최국 현황과 주요 이슈

 

(자료출처: 위키백과)

 

 

6. 2030년 이후 FIFA월드컵 유치희망 국가 현황

 

(자료출처: 위치백과)

 

 

*Referenes:

-insidethegames

-FIFA홈페이지

-AFP통신

-위키 백과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4. 24. 13:08

[북한 51일 평양개최 2018년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 Fun Run달리기행사 실시 배경 스케치]

 

 

419일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획기적인 아시안게임 Fun Run달리기대회 51일 북한 수도평양에서 개최된다”(Groundbreaking Asian Games Fun Run to be held in North Korean capital on May 1)였습니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Olympic Council of Asia)는 오는 51일 북한 수도인 평양에서 제18회 아시안게임 Fun Run 달리기대회를 개최하면서 새롭게 개척할 것(break new ground when it holds an 18th Asian Games Fun Run in Pyongyang)이라고 합니다.

 

 

OCA2006년 카타르 도하개최 아시안게임을 홍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Fun Run달리기라는 이니셔티브(initiative)를 시작한 바 있으며 이후 Guangzhou2010, Incheon2014 Jakarta Palembang 2018로 이어지는 아시안게임으로 가는 길목에서(in the build-up to the Asian games) 아시아대륙에 걸쳐 일련의 달리기대회(a series of runs around the continent in the build-up to the Asian Games)를 개최하여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DPRK NOC)가 아시안게임 Fun Run달리기대회 시리즈에 합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OCA 6년이 경과하는 동안 첫 공식방문이 될 것(making its first official visit to Pyongyang for over six years)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Sheikh Ahmand Al-Fahad Al-Sabah OCA회장의 발언 내용입니다:

 

 

A.  "We are very happy and honoured to be working closely with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 of DPR Korea and the OCA is very much looking forward to visiting Pyongyang again soon." (우리는 북한 NOC와 긴밀하게 협업하게 되어 기쁘고 영광스러우며 OCA는 곧 다시 평양을 방문하게 되기를 학수고대하고 있음)

 

 

B.  "The Fun Run is proving to be a very popular and enjoyable way of promoting our Asian Games to a young generation of sports enthusiasts while also encouraging an active and healthy lifestyle. (Fun Run달리기대회는 활동적이고 건강한 생활방식을 권장하는 가운데 아시안게임을 스포츠에 열정적인 청소년세대에게 홍보하는 매우 인기 있고 즐기는 방식이 되고 있음이 증명되고 있음)

 

C.  "We are sure that the Asian Games Fun Run in Pyongyang on May 1 will be a special occasion for the Olympic movement and a big success for all concerned. (우리는 51일 예정된 평양에서의 아시안게임 Fun Run달리기대회가 올림픽운동을 위한 특별한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모든 사람들에게 커다란 성공이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음)

 

D.  "We would like to thank the NOC of DPR Korea for their support and efforts in organising the Pyongyang Fun Run, and we would like to wish all success to the DPRK athletes who will compete in the 18th Asian Games in Jakarta and Palembang, Indonesia, this August and September.” (우리는 북한 NOC가 평양 Fun Run행사를 조직하면서 보여준 지원과 노력에 감사하고 싶으며, 오는 8~9월 인도네시아 개최 제18회 자카르타 및 팔렘방 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북한 선수들의 성공을 기원하고 싶은 바임)

 

Sheikh Ahmad는 지난 2011 11월 스포츠 협력 및 지원 협의 회담 차(for talks on sports cooperation and assistance) 평양을 방문한 바 있지만, OCA회장은 아시안게임 Fun Run달리기행사에 참가하는 3명의 OCA대표단에는 포함되지 않을 것(will not be part of the three-strong OCA delegation attending the Asian Games Fun Run)이라고 합니다

 

북한 NOC에 따르면, 평양개최 아시안게임 Fun Run달리기행사는 51() 오전 10시부터 평양 청춘 거리 소재 스포츠시설 밀집지역(Sports Complex)에서 열릴 것이라고 합니다

 

 

President of the OCA, Sheikh Ahmad Al Fahad Al Sabah,has welcomed the opportunity to be working with North Korea's National Olympic Committee in the build-up to this year's Asian Games ©OCA (Sheikh Ahmad OCA회장/출처: OCA)

 

 

평양개최 아시안게임 Fun Run달리기대회 거리는 5km이며 학생, 선수 및 일반대중을 포함하여200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OCA는 가장 최근인 2017 12Fun Run달리기행사를 시작하였으며 이어 2018 818~92일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게임 시작될 때까지 아시아대륙 5개 지역권으로부터 33개를 상회하는 NOC지역들은 순회 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NOC 2018년 내내 지구촌 스포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아 오고(has been in the global sports spotlight throughout 2018) 있습니다

 

주지하시다시피, 지난 1월 평창2018 동계올림픽출전에 합의한 후 동 개회식에 한반도기를 앞세우고(behind the Korean Unification Flag) 남북한 선수단 공동행진을 한 바 있습니다.

 

남북한 선수들은 또한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한 단일팀을 성사시켜 출전한(fielded a joint team) 바도 있습니다.

 

지난 달 3 Thomas Bach IOC위원장은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은 북한 최고지도자(North Korea's Supreme Leader Kim Jong-un)를 만난 바 있습니다.

 

김정은 최고지도자와의 Bach IOC위원장과의 면담에서 북한은 오는 10 Buenos Aires2018하계 청소년올림픽과 Lausanne2020동계 청소년올림픽은 물론 북한은 Tokyo2020하계올림픽 및 Beijing2022 동계올림픽에 북한선수들이 출전을 공약하였음(committed to sending its athletes to the Olympic Games)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OCA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4. 23. 11:43

[기정사실화 되고 있는 2022년 청소년올림픽 아프리카 국가 간 개최도시 선정 위한 각축전 양상 스케치 (2)]

 

이제 2개월이 경과한 4월 중순 현재 시점에서 튀니지아 의 튀니스(Tunis in Tunisia) 및 나이지리아의 아부자(Abuja) 2개 아프리카 추가 후보도시들이 잠재적 유치경쟁후보로 등장하여(emerged as potential bidders) 2022년 하계 청소년올림픽개최도시 선정을 놓고 기존 세네갈의 다카르(<Dakar)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튀니지아의 수도 튀니스/출처: insidethegames)

 

 

이제 아프리카 3개 후보도시들 중 어느 도시도 공식후보도시로 간주되고 있지 않지만 3개 유치후보도시들은 이미 실무회합(participated in working sessions)에 참여하여 오고 있으며, 이어지는 대화단계(s dialogue stage)에서 관심 있는 유치후보도시들로 간주되고 있다(considered interested parties in a dialogue stage)고 합니다

 

 

IOC위원들은 지난 2월 평창2018기간 중 열린 IOC총회에서 아프리카대륙에서 2022년 하계청소년올림픽(YOG)개최도시를 선 순환적으로(proactively)물색하자는 제안에 대하여 찬성투표를 던진바 있다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은 그 후 2032년 아프리카 개최 하계청소년올림픽대회가 향후 2032년 또는 2036년 아프리카가 하계올림픽을 여는데 길을 닦게 되기를 희망한다(he hoped the event could pave the way towards a Summer Olympic Games in Africa in either 2032 or 2036)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18 2월 현재 아프리카 세네갈의 수도인 다카르(Dakar) 2022년 선두 경쟁자로 이미 부상한 바 있으며(already emerged as the leading contender) 이러한 전망은 IOC대표단이 그곳을 방문하여 정부 관계자들과의 면담 및 예상 경기장 등을 둘러 본(toured the expected venues) 뒤 세네갈이 모든 평가기준을 충족함으로 (Senegal met all “necessary criteria”) 이미 만족한 바 있었다고 평창2018 당시 발표된 바 나 있다고 합니다.

 

IOC는 또한 지난 3월 아프리카 다른 국가들 역시 관심표명을 하였다고 언급하였지만 어느 국가라는 발언은 없었다(but did not say who)고 합니다.

 

한편, Christophe Dubi IOC올림픽대회 수석국장은 SportAccord Summit회의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이 발언하였다고 합니다:

 

 

A.  "We had three working sessions, which were video conferences, with [Tunis in] Tunisia, with Senegal and with Abuja in Nigeria." (우리는 튀니지아의 튀니스, 세네갈<다카르> 및 나이지리아의 아부자 등과 비디오 화상회의 형식으로 3 차례 실무협의회의를 가진 바 있음)

 

B.  "So a few hours were spent to explain the process and to explain the new approach to the Youth Games and their organisation. (그럼으로 유치과정과 청소년올림픽 및 대회조직에 따른 새로운 접근방식에 대해 3시간 가량 설명한 바 있음)

 

C.  "We are discussing with potential partners, which is really good. (우리는 잠재적 파트너들과 논의 중인 바 그러한 과정은 정말 좋은 과정임)

 

D.  "We are going to send a technical team to work on the feasibility of the various projects." (우리는 여러 가지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작업을 위해 기술 팀을 파견할 예정임)

 

 

<2022년 청소년올림픽 개최도시 선정관련 시간대 별 핵심 진행 일정>

 

 

The IOC has explained the timeframe for the Summer Youth Olympic Games allocation ©IOC (IOC가 발표한 하계청소년올림픽대회 선출 시간대 별 일정/출처: IOC홈페이지)

 

 

 

IOC가 제시한 대회개최지 선정관련 상기 일정도표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진행될 것이라고 합니다:

 

 

1)   20185: IOC조사팀의 IOC집행위원회에 해당타당성 검토 보고서 제출

2)   2018 6: 확정 대상후보도시들에게 초대장 발송 (이후 후보도시 단계 돌입)

3)   20189: 후보도시들에 대한 IOC평가위원회 보고서

4)   2018 108~9: IOC총회에서 개최도시 선출 및 개최도시협약서(HCC)서명

 

Dubi IOC수석국장의 추가 발언 내용입니다:

 

A.   "Then will be a presentation to the Executive Board in July and then an Evaluation Commission as we have done in the past for the Youth Games over the summer. (그리고 나면 7월 중 해당후보도시들은 IOC집행위원회에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게 될 것이며 여름철에 걸쳐 과거 청소년올림픽에서 그랬던 것처럼 IOC평가위원회가 활동하게 될 것임)

 

B.  "From there, we will go naturally into the Session [in Buenos Aires] in October." (거기서부터, 오는 10월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 최종 선출도시 선정작업을 당연히 실행하게 될 것임)

 

Dubi 수석국장은 IOC총회에서 IOC위원들이 다수의 후보들을 놓고 진짜 투표(a genuine vote)를 하게 될 것인지 또는 IOC집행위원회가 추천한 한 후보도시에 대하여서만 단순이 인준 절차에 들어갈 것인지(merely ratify a recommendation of one city by the Executive Board)를 짐작하기에는 아직 너무 이르다고(too early to speculate)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

 

C.  "It’s a compressed process, but we are currently in the dialogue stage." (후보도시선출이 압축된 과정으로 진행되긴 하지만 현재 우리는 소통과 대화 단계에 있음)

 

D.  "Then the actual bidding process itself will be between July and October." (그리고 나서 실제 유치후보도시 과정자체는 7월과 10월사이가 될 것임)

 

 

하계 청소년올림픽의 경우 제1회대회와 제2회대회는 각각 Singapore2010 Nanjing2014 등 아시아대륙에서 열렸으며 차기 제3회대회는2018 10월 중 Buenos Aires2018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올림픽대회 행사는 여태까지 아프리카 대륙 아무데에서도 열린 적이 없습니다

 

남아공 케이프타운의 경우 궁극적으로 그리스 아테네로 결정된 2004년 올림픽개최도시 선출 유치경쟁에서 후보도시단계까지 진입하면서 가장 근접하게 후보반열에 오른 바(came closest when reaching the candidature stage of the 2004 edition) 있습니다

 

아프리카대륙 튀니지아 수도 튀니스의 경우 2005년 세계 핸드볼 선수권대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나이지리아의 경우는 2025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잠재적 개최도시들 중 하나라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4. 23. 11:26

[아프리카 최초올림픽개최 구체화 2022년 청소년올림픽(YOG) IOC 대륙순환개최 방향시동(1)]

 

 

IOC가 평창2018 기간 중 향후 청소년올림픽(YOG)개최도시를 물색하는 과정에서(to find future hosts of the Youth Olympic Games) 대회행사유치후보도시들의 비용삭감 노력의 일환으로(in an effort to slash costs for countries bidding for the event)대륙간 순환 모델(a continental rotation model)을 도입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Antoine Goetschy 청소년올림픽 부 국장(associate director) IOC가 대회개최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개최후보도시를 선별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to locate a city where they would like to stage the Games) “때에 따른 특정한 순간”(at that particular moment in time) 가장 적절한 지역을 검토할 것(would look at the most suitable city)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선호대륙 밖으로부터 관심표명이 표출될 경우(if an expression of interest comes from outside of their preferred continent)에는 여전히 대체지역을 선정할 수도 있는 것(could still choose an alternative location )도 아직 가능할 것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동계종목 특성상 적절한 조건이 미흡함으로 인해(due to a lack of suitable conditions) 아프리카와 남미대륙은 효과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배제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개의 동계청소년올림픽(Innsbrunk2012, Lillehammer2016)을 비롯하여 2020년 차기 대회(Lausanne2020)는 유럽도시들에게 배정된 바 있습니다.

 

하계 청소년올림픽의 경우 Singapore2010 Nanjing2014 등 아시아대륙에서 열렸으며 차기 대회는 Buenos Aires2018에서 열리게 됩니다.

 

 

평창2018 기간 중 열렸던 IOC 총회에서는 2022년 하계YOG대회(2022 edition)을 위하여 아프리카 개최도시를 적극적으로 물색하자는 제안에 대하여 승인된 후 (It comes after the IOC approved a motion to actively seek an African host for the 2022 edition of the summer event)나온 이야기라고 합니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Antoine Goetschy 청소년올림픽 부 국장(associate director)의 발언 내용입니다:

 

A.  "The approach is to, instead of opening a competitive tender worldwide and have a lot of National Olympic Committees (NOCs) and cities spending a lot of money knowing there can be only one winner, reduce the target and the area where we would like to bring the Games to." (이러한 접근방식의 취지는, 딱 한 개의 승리도시만이 있다라는 것을 알면서도 많은 NOC와 유치도시들이 막대한 비용을 소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치열한 경쟁 입찰을 붙이지 않고 바람직한 대회개최 대상과 지역을 축소하도록 하자는 것임)

 

B.  "We will look at where is the most appropriate area at that particular moment in time for the product and for the Movement. (우리는 대회개최결실과 올림픽운동을 위하여 시기 적절하게 그러한 특정한 순간에 가장 적절한 지역을 검토하게 될 것임)

 

C.  "For the Winter Youth Olympics it will be different as the conditions are different but it will be launched to the IOC to decide where the area should be for the next Games." (동계청소년올림픽의 경우, 대회개최를 위한 제반 여건이 달라지긴 하지만 차기 대회 개최지가 어디가 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IOC가 시동을 걸게 될 것임)

 

 

 

Buenos Aires is due to host the 2018 Summer Youth Olympics ©Getty Images(2018년 하계청소년올림픽개최도시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방문 중인 Thomas Bach IOC위원장/출처: insidethegames)

 

 

2018 2월 현재 아프리카 세네갈의 수도인 다카르(Dakar) 2022년 선두 경쟁자로 이미 부상한 바 있으며(already emerged as the leading contender) 이러한 전망은 IOC대표단이 그곳을 방문하여 정부 관계자들과의 면담 및 예상 경기장 등을 둘러 본(toured the expected venues) 뒤 도시의 전반적 신뢰도에(satisfied with the city’s credentials)만족감을 표명한 데 따른 것이라고 합니다.

 

2018 2월 당시 Goetschy 부 국장은 이야기 중인 아프리카 다른 후보국가들에 대한 언급은 자제하였지만 세네갈 이외에 몇몇 국가들로부터 문의가 있었음(enquiries from nations other than Senegal)을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It would be too early to name them." (그들 국가들을 언급하는 것은 너무 시기상조가 될 것임)

 

"There is a wider interest than Senegal, which is one of the options we are definitely investigating." (선택지들 중 하나인 세네갈 이외에 폭 넓은 관심이 포착되고 있으며 다각적인 검토를 시행 중임)

 

Goetschy 부 국장은 2022 YOG개최도시선출투표가 2018 10월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 열리지만 이것 또한 추천도시에 대한 요식행위로 결말지을 가능성이 농후할 것(likely to be a rubber-stamping of a recommendation)이라고 확인해 주었다고 합니다.

 

앞으로 몇 주간 IOC는 선택된 아프리카 NOC들과 교감을 가지면서 2022년 청소년올림픽개최 타당성을 정립할 것(engaging with selected African NOCs to "establish the feasibility of staging the Youth Olympic Games 2022)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타당성 검토절차 또한 기전 인프라 활용 및 임시 경기장을 포함하는(including use of existing infrastructure and affordable temporary fields of play) 새로 개정되어 정립된 YOG모델 판단근거에 근거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아울러, 지역별 특성에 맞도록 고양된 융통성과 적합성을 가지고 대회가 폭 넓은 청소년 층과 스포츠 교감 프로그램 지향 촉매제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접목될 것(enhanced flexibility and adaptation to the local context, with the event to be used as a catalyst for wider youth and sport engagement programmes )이라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4. 20. 15:05

[GAISF(SportAccord) 2018 Bangkok총회스케치 및 GAISF 명칭 변천사요약정리 Update]

 

*순서:

 

. 2018 GAISF방콕총회 이모저모

. 2017년도 SportAccord정기총회 회의 결과요약

. SportAccord의 명칭변경 사 재 조명 요약

. 명칭 변경된 GAISF의 매2년 회장 순번 제 취지와 향후 Roadmap

. GAISF의 설립 목적과 구성

. SportAccord의 전신인 舊GAISF(Gener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에 대하여

 

 

*내용:

 

1.   2018년도 GAISF방콕총회 이모저모

 

1)   국제스포츠연맹 글로벌 총 연합회 (GAISF: Glob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 Federations)란 명칭은 2017SportAccord 정기총회에서 다시 바뀐 것입니다

 

2)   1967년 창설된 GAISF(General Assembly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1976Assembly--àAssociation으로 약간 바뀌었지만 약어는 그대로 GAISF(Gener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로 되었다가 2009GAISF----àSportAccord로 개칭되었다가 2017년 현 회장인 Patrick Baumann의 주도로 SportAccord----àGAISF (Glob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 Federations)로 개칭된 것이 Update현황입니다 (109개 국제스포츠 단체 총망라 all in all)

 

 

 

Patrick Baumann claims his main focus remains as secretary general of the International Basketball Federation ©FIBA

 

 

 

3)    향후 GAISF회장임기를 2년으로 단축시키도록 정관규정을 통과시킨 Patrick Baumann 역시 단임회장으로 끝나고 향후 후임회장 구조가 이미 정해졌다고 합니다. 즉, 2020~2022에는 IOC인정종목국제연맹연합회(ARISF: Association of IOC Recognized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대표가, 2022~2024에는 올림픽동계종목국제연맹연회(AIOWF)대표가 뒤를 이어 GAISF회장으로 선출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4) 420() GAISF총회에서 2015년 임의탈퇴 하였던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및 국제골프연맹(IGF) GIASF회원단치로 복귀한다고 합니다.

 

 

 

 

 

5)   2015년 동반 탈퇴하였던 국제사격연맹(ISSF) 및 국제조정경기연맹(FISA: 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 2017년 친 IOC회장인 Patrick Baumann과 동조하여 이미 복귀한 바 있습니다.

 

6)   “GAISF회원 단체 현황은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 IGF IAAF의 복귀로 다시금 정상화 될 것” (GAISF’s membership is again complete with the return of the IPC, IGF and IAAF)이라고 GAISF성명서는 밝히고 있습니다

 

7)   또한 GAISF총회에서는 세계팔씨름연맹(WAF: World Arm-wrestling Federation) GAISF정회원단체(full GAISF membership)로 승인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8)   WAF 2017 GAISF총회에서 옵저버 지위를 승인 받았던 첫 그룹 일원이었으므로 420 GAISF총회 승인은 WAF가 옵저버 지위에서 정회원으로 가입하는 여정을 완수하는데 필요한 자격판단기준을 충족한 첫 단체가 됨을 의미한다(approval would mean they become the first to meet the criteria necessary to complete the journey from observer to member)고 합니다

 

9)   금번 GAISF총회에서는  세계올림픽스포츠도시연합’(World Union of Olympic Sports Cities)세계스포츠용품 산업 연맹’(World federation of Sporting Goods Industries) 등 두 단체의 GIASF준회원(associate membership)신청을 승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0)   여성스포츠 증진 지향 신규 정관 조항제안(a new statute proposal to promote female sport)역시 총회에 회부될 것이라고 합니다

 

11)  GAISF정관 제32항 개정안 제안 문구(a proposed revision)는 다음과 같습니다:

 

A.  "GAISF encourages and supports the promotion of women in sport at all levels and in all structures with a view to implementing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men and women." (GAISF는 모든 수준에서 그리고 모든 구조측면에서 스포츠에서의 여성의 지위 향상을 독려하고 지지하는 바 이는 양성평등원칙을 실행하기 위함임)

 

 

2.  2017년도 SportAccord정기총회 회의 결과요약

 

1) 2017 4 7일 덴마크 Jutland 동부 항구도시인 오르후스 (Aarhus) Scandinavian Center에서 개최된 2017년도 SportAccord정기총회(General Assembly)에서 기존 SportAccord란 명칭을 新 GAISF(Glob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 Federations)로 변경키로 결정하였음

 

            

  (Patrick Baumann SportAccord-àGAISF 현 회장/출처: insidethegames)

 

 

2) 2017년도 SportAccord총회의 핵심정관(key statutes)개정 2개 제안 안건인 SportAccord명칭을 그 이전 사용 약어명칭이었던 GAISF로 회귀하고 2년제 순번 제 회장 직으로의 변경 제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되었음

 

3) Patrick Baumann GAISF회장은 SportAccord Convention의 일환으로 열렸던 동 총회에서 승인된 결정내용들이 최근 들어 파란만장했던 조직의 과거사를 청산하였음(Closed the Book on the organizations turbulent recent past)을 보여 준 것으로 믿는다고 언급함

 

4) 지난 2015년 당시 SportAccord회장이었던 Marius Vizer Thomas Bach IOC위원장을 비판한 직격탄의 포화를 터뜨렸던 연설(explosive speech) 직후 회원단체에서 철회한 바 있었던 세계조정경기연맹(FISA) 및 국제사격스포츠연맹(ISSF)이 회원단체로 복귀하였음

 

 

                      

 

5) Baumann회장은 IPC역시 新GAISF회원단체로 재 신청하였으며 재 입회가 곧 확인될 것이라고 발표하였음

 

6)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및 국제 반디연맹(International Bandy Federation)의 두 개 국제단체가 GASIF의 신규 정회원단체가 되었음

 

7) 국제스포츠기자협회(AIPS) 및 세계 올림피언 협회(WOA) GAISF준회원단체들(Associate Members)로 만장일치 승인되었음

 

8)   다음은 Baumann회장의 발언내용임:

 

A. "I think we have closed the book on the past." (이제 과거사를 청산했다고 생각함)

 

B. "That is the key. (그것이 핵심임)

 

C. "The past is rich and full of good things - it is not because of one moment that it's (not) good. (과거는 좋은 일들로 차고도 넘쳤으며, 그것은 한 순간의 좋은 때 때문만은 아님)

 

D. "But we have closed that and we have a chance now to really look forward in a very positive way." (하지만 우리는 그러한 과거사에 종지부를 찍었으며 이제부터 아주 긍정적인 방법으로 학수고대하는 기회를 잡은 것임)

 

9) GAISF가입희망 연맹들의 옵저버 지위(observe status)부여 조치는 정회원단체의 엄격한 판단기준들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해당신청단체들을 도와주기 위하여 도입되어 왔음

 

10) 명칭변경은 조직의 본래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 단순화하기 위하여(to clarify and simplify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설치된 것임

 

11) 명칭변경은 2009년 이전에 사용한 바 있었던 약어(acronym)와 동일한 형태로 회귀함(a shift back)을 뜻함

 

 

3.   SportAccord의 명칭변경 사 재 조명 요약

 

1) SportAccord라는 명칭은 1967~1976년에는 舊舊GAISF(General Assembly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였다가 1976년 약간 변경되어 (a slight alteration) GAISF(Gener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2008년까지 사용되었었음

 

2) 2009년 미국 덴버에서 열린 제7 GAISF컨벤션에서 GAISF SportAccord로 명칭 변경되었었지만, 당시 회장이었던 Hein Verbruggen의 재임시절 뒤이은 조치로 SportAccord로 재 명칭부여(re-branding)가 이루어지는 바람에 명명되었던 SportAccord SportAccord Convention과 명칭사용 유사성으로 인해 혼동을 불러 일으켜 왔음

 

 

(Hein Verbruggen/출처: insidethegames)

 

 

3) 따라서 이전의 SportAccord는 이제부터 新GAISF(Glob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 Federations)로 지칭되며, 이후 웹사이트 명칭의 재 명명과 가까운 시일 내에 효력을 발생하게 될 로고 변경 등이 변경대상 요소가 될 것임

 

4) 다음은 新 GAISF가 발표한 성명서 내용임:

 

A."Adopting the Glob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name better represents the nature of the organisation and makes a clear distinction from the SportAccord Convention and any other commercial activities carried out under and on behalf of SportAccord/GAISF." (GAISF<Global Association>of International Federations 명명 법을 채택함으로 조직 본래 특성을 보다 잘 나타내 주고 있으며 SportAccord Convention SportAccord/GAISF를 대신하여 수행되고 있는 어떤 다른 상업적 활동과의 구별을 명확하게 해 줄 것임) 

 

 

 

 The changes were made during today's General Assembly ©ITG

   (201747일 개최된 SportAccord정기총회/출처: insidethegames)

 

 

5) GAISF(the Glob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라는 명칭이 조직의 특성을 좀 더 명확히 나타낼 수 있고, SportAccord Convention, International Federation 포럼 혹은 the Multiple Sport Games의 상업적인 활동과 명확히 구별 될 수 있다고 설명되었음

 

 

4.    명칭 변경된 GAISF의 매2년 회장 순번 제 취지와 향후 Roadmap

 

 

1) GAISF회장 직 매 2년 순번 제는 각기 다른 회원단체들 간의 형평성을 증진(to increase equality)시키려는 방법으로 제기된 것임

 

2) 7명에 달하였던 역대GAISF 전임회장들은 모두 하계올림픽 출신 대표들이었음

 

3) 2020년에는 IOC인정종목국제연맹연합회(ARISF: Association of IOC Recognized international Federations)대표가 국제농구연맹(FIBA)사무총장출신 Baumann현 회장의 뒤를 이어 차기 GAISF회장 직(2020~2022)을 맡게 되어 있음

 

4) 다음 순서(2022~2024)는 동계올림픽 종목국제연맹연합회(AIOWF: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Olympic Winter Federations)대표가 바톤을 이어 받게 되며, 그 다음은 SportAccord의 독자적 회원단체연합(Association of Independent members of SportAccord)지명자가 차 차기 2년 제 회장 직을 맡을 것으로 순번이 정해진 것으로 알려졌음

 

5) 2020~2022임기에는 新 GAISF회장이 ARISF회장으로 정해 진바 현 ARISF회장은 국제파워보트연맹(International Powerboating Federation)회장인 Raffaele Chiulli

 

6) 정관개정(the statute amendments)내용은 대부분 만장일치의 지지를 받아 승인되었지만, 총회 장에서 최소 한 회원단체가 IOC집행위원회의 반 도핑 개혁관련 선언 지지제안표결에서 반대표를 행사하였다고 함

 

7) 하계종목올림픽연맹연합회(ASOIF: Association of Summer Olympic International Federations)회장인 이태리출신 Ricci Bitti SportAccord Convention의장 직을 맡고 있는데 올림픽유치과정의 현재 상태(the current state of the Olympic bid process)에 대하여 신랄한 발언(a cutting remark)을 쏟아 내기도 하였다고 함

 

8) Ricci Bitti회장은 자신이 주재한 SportAccord Convention회의 석상에서 SportAccord Convention IOC후보들 보다 유치에 관한 한 훨씬 더 나은 상황에 있다” (SportAccord Convention is in a much better situation for bidding than the IOC Candidature.)라고 농담을 한 것으로 알려짐

 

9) Ricci Bitti회장은 지난 46 SportAccord Convention차기회의들(future editions)개최신청 도시들이 15개에 이르렀음을 공개한 바 있었음

 

10) 2018년도 SportAccord Convention 415~20일 태국 방콕에서 열릴 것으로 결정됨

 

 

5.   GAISF의 설립 목적과 구성

 

 

1) GAISF는 올림픽 및 비 올림픽 종목 국제경기연맹(IFs), 종합경기대회 주관 단체, 제반 국제 스포츠기구 등을 회원단체로 하는 비영리 연합단체로써 회원단체들의 공동목표와 이익을 보호하고 협업하기 위해 회원단체들을 연합시키고 지원함.

 

 

2) 1967년에 설립된 GAISF는 스위스 로잔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동 하계올림픽 국제연맹 및 비 올림픽 종목국제연맹들 등 92(89+3)개 정회원 국제스포츠단체들과 19(17+2)개 준회원단체들로 구성되어 있음

 

 

6.   SportAccord의 전신인 舊GAISF(Gener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에 대하여

 

 

1) 1967년 창설되었으며 본부는 창설 당시 모나코, 몬테카를로에 있었으나 현재는 스위스, 로잔에 위치하고 있으며 당시 총 104개 올림픽 및 비 올림픽 종목국제스포츠연맹들로써 구성되어 있고 범 세계 스포츠활동 옹호취지의 다양한 협회가 모두 함께 집합적 연합을 결성

 

 

 

(1995년 서울개최 제29 GAISF총회 당시 김운용회장<-3>및 당시 사마란치 IOC위원장<-2>)

 

 

 

2) 보다 광범위한 홍보, 정보교환, 회원그룹 각자의 제반 스포츠활동 종합 협력 및 조정 업무 관장

 

3) 지향목표는 모든 스포츠 기구 회원단체들이 1년에 한 차례 한자리에 모이는 포럼을 창설하여 공동이익 및 관심사에 대한 주제토론과 의견개진 및 의견교환

 

4) 회원단체들의 권위와 자치 성을 유지시켜주고 회원단체와 모든 스포츠관장 기구들 간의 긴밀한 연결고리 촉진

 

5) 회원단체들의 공동 관심사안 조정 및 보호 그리고 관련정보 취합, 검증 및 배포

 

6) 한국의 김운용 전 IOC부위원장은 1980년 제14차 모나코 GAISF 총회에서 집행위원으로 피선되었고 1984년 제18차 총회에서 부회장, 그리고 1986년 제20차 총회에서 한국인, 비 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舊 GAISF회장으로 선출된 후 2003년까지 17년 간 역임한 바 있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aroundtherings

-FIBA홈페이지

-GAISF홈페이지 등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