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8. 5. 15. 09:58

[아시아최초 영문스포츠 News Letter "S.O.S.(SpotLight On SportLife) Collection" 재 발간에 즈음하여]

 

 

 

 

 

SOS는 재난 당하여 구조 요청하는 무선신호(모스 부호: < · · · — — — · · ·)> 로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코드(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distress signal in radio code)인데 "Save Our Souls"(우리의 영혼을 구원하소서)로 번역하고 싶습니다.

 

 

 

SOS는 그밖에 ""Save Our Ship" 등의 약자로도 알려져 있었지만 정설은 아니며, SOS의 부호가 간결하고 판별하기 쉽다는 이유로 구조요청 조난신호 약자로 정해 졌다고 합니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촉진을 지향하는 차원에서 유치과정 당시 전 세계 IOC위원들과 국제연맹(IFs)회장단, 각국 NOCs에게 아시아대륙에서는 처음으로 창간 및 발간하여 평창과 대한민국 그리고 아시아의 스포츠외교를 자리매김하는 영문News Letter로 출발하였습니다.

 

 

 

SOS를 스포츠외교에 걸 맞게 코드화 하여 "SpotLight On SportLife"(스포츠생활에 집중조명을...)이란 취지입니다.

 

 

 

2004년 창설하여 14년 째 운영하고있는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ISDI: International Sport Diplomacy Institute)

 

 

 

오늘(5월16일) 재 창간하는 마음으로 다시금 SOS를 여러분께 선 보이고자 합니다. 

 

 

 

This is the first edition of S.O.S.(SpotLight On SportLife).

 

This is first-ever non-profiteering, non-commercial, and non-campaigning online sport-friendly newsletter sharing sport and Olympic knowledge, interesting stories in the Olympic Movement, good suggestions for future Olympic Movement for the benefit of global Olympic and sport family, humors, Feng Shui(Life energy and endorphin guidelines) , words of wisdom, etc..

 

Should you have opinions and suggestions, please let me know.

 

Sincerely

 

Prof. Rocky Kang-Ro YOON

President

International Sport Diplomacy Institute

 

 

 

 

 

 

 

“SpotLight On SportLife”(S.O.S.)

(For Sport, By Sport, Of Sport)

 

 

S.O.S.( SpotLight On SportLife) News Letter Edition No.1(3rd Week of May, 2018

 

 

 

 

 

l Greetings of 21 Nations for Breaking the Ice:

 

(1)“Good Morning! (English)

(2)“Bonjour! (French)

(3)“Buenos dias! (Spanish)

(4)“Buon giorno! (Italian)

(5)“Guten Morgen! (German)

(6)“Goedemorgen! (Dutch)

(7)“Godmorgen! (Danish)

(8)“Hyaa huomenta! (Finnish)

(9)“Kahleemehrah! (Greek)

(10)“God morgen! (Norweigian)

(11)“Dzien dobrey! (Polish)

(12)“Bom dia! (Portuguese)

(13)“Dobrahyee ootro! (Russian)

(14)“Dobro jutro! (Serbo-Croatian)

(15)“God morgen! (Swedish)

(16)“Zhao Xiang Hao! (Chinese)

(17)“O-haio gozaimas! (Japanese)

(18)“Swadi Kap!(Thai)

(19)“Ahppa-kkahbah! (Malay-Indonesian)

(20)“Ah-Salam Alah-Ikhoom! (Arab)

(21)“안녕하세요!(Ahn-nyeong ha-se yo!) (Korean)

 

 

 

l  Brief Introduction

 

 

This is the very first edition of S.O.S.(SportLight On SportLife) which will be characterized by some useful and interesting stories/episodes on how to improve and enhance the quality of our lifestyle both at home and at work around the Olympic Movement.

 

 

This is not simply the routine news letter delivering actual sporting news, but some tips for Spot Light on your Sport Life.

 

 

This is a casual and congenial weekly news letter sharing and caring for the sport movement: For Sport, By Sport, Of Sport.

 

 

This is the first-ever on-line News Letter on Sport issued from the Asian Continent.

 

 

I hope this newsletter titled S.O.S.(SpotLight On SportLife) finds you both in good spirit and good shape.

 

 

 

l  2018 deserves the title of Year of Peace through Sport

 

 

(1) United Nations has designated "every April 6" annually as "International Day of Sport for Developement and Peace"(IDSDP)

 

 

(2) IOC welcomed the Day with its own message of how sport can help to build bridges and promote reconciliation for a peaceful and better world.

 

 

(3) “The power of sport is its universality, it always builds bridges, it never erects walls. Sport has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creating a brid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omas Bach IOC President)

 

(4) “The Olympic Games showed the world how to compete peacefully. They showed us that, despite all our differences, it is possible for humankind to live together in peace, respect and harmony.” (Thomas Bach IOC President)



(5) UN stressed the importance the role of sport in which sport is, across boundaries and cultures, a powerful tool to promote peace, tolerance and understanding by bringing people together as a universal language.

 

(6) 2018 is also the Year of Dog according to oriental way of counting years using the order of 12 zodiac animals (Rat, Ox, Tiger, Rabbit, Dragon, Snake, Horse, Sheep, Monkey, Chicken, Dog, and Pig). The 12 zodiac signs rotate every 12 years. Therefore, the Year of Dog comes every 12 years, i.e. 2030, 2042, etc.

 

 

(7) Dr. Thomas Bach(current IOC President) was born in1953, the Year of Snake (symbol of wisdom), Comte Jacques Rogge(Former IOC President) was born in 1942, the Year of Horse (Symbol of Blessings), likewise Marquis Juan Antonio Samaranch(Former IOC Honorary President) born in 1920, the Year of Monkey(Symbol of Solitude), Mr. Mario Vazquez Rana(Former ANOC President and IOC EB Member) born in 1932, the Year of Monkey.

 

 

(8) The corresponding zodiac animals for all other IOC Members are listed in my book titled When Sport meets the World over Five Rings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2007.

 

 

(9) 2018 will also be an eventful year having started with the successful organization of PyeongChang2018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leading to a historic South-North Korean Summit on 27 April which will bring together the global society in peace and harmony along with Jakarta-Palembang Asian Games in August 18~September 2  and the Buenos Aires2018 Youth Olympic Games in October and many other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10) 2018 is the second year of the 9th generation of worldwide The Olympic (marketing) Program (TOP IX: 2017-2020) which includes the 2018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in PyeongChang and the 2020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in Tokyo.

 

 

(11) In the second half of May, the following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are scheduled:

 

 

A. May 13~19: FIS(International Ski Federation) Congress in Costa Navarino, Greece

 

B. May 16: WADA Executive Committee Meeting in Montreal, Canada

 

C. May 17: WADA Foundation Board Meeting in Montreal, Canada

 

 

 

l Sportology:

 

 

1.   What is Sport?

 

S:  Standard

P:  Program

O:  Orchestrating

R:  Re-Creation(through)

T:  Training (physically, mentally, psychologically)

 

 

(1) Sport is an international language.

(2) Sport is a force for peace.

(3) Sport is a force for political weapon.

(4) Sport is a multi-billion dollar business.

(5) Sport is a global goose that lays golden eggs.

(6) Sport is a stress killer.

(7) Sport is a leisure-time scheduler.

(8) Sport is a cure for powerlessness.

(9) Sport is a catharsis motivator.

(10) Sport is a health guide.

(11) Sport is a tool for educating youth.

(12) Sport is not simply a matter of playing games and competing each other, but a matter of harmonizing and networking people without discrimination of any kind.

 

 

The practice of sport is a human right. Every individual must have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sport according to his or her needs.(Olympic Charter)

 

 

 

 

 

l About "Feng Shui" (Wind and Water Theory for the Better Human Life Energy)

 

 

 (1) Feng Shui literally means Wind and Water, and it is a practical theory that can be applied to our daily life. It is an ancient art and science developed over 3,000 years ago in China. It is a complex body of knowledge that reveals many ways to balance the energies of your environment to assure Health, Wealth, and Good Fortune both at home and at work.

 

 

(2) Feng Shui Symbols have a rich, culturally specific history and meaning. Most of us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look of many feng shui items such as Chinese coins tied with a red string, wind chimes, three legged toads, gods of wealth, etc, etc.

 

 

 

1.    Always Sit Facing the Door

 

If you have your back to the door, you could be betrayed, cheated, or stabbed in the back.

Otherwise good work luck is completely missing.

 

 

 

2. Find the Power Spot in Your Office

 

    The best location for your desk is the far corner diagonal to the entrance. This is the power spot in any office and is most auspicious.(To be continued)

 

 

 

 

l Collection  Series of  Joke and Humor for the Olympic Movement

 

 

(1) What a world without joke and humor!

 

(2) Without jokes and humors, what a boring and dry world!

 

(3) Joke properly all the time.

 

(4) Be humorous!

 

(5) Take your work serious, but not yourself.

 

(6) ‘Sport means not only hard work, serious discussions, and performance enhancement, but also Fun, Friendship, and Fraternity forever.

 

(7) If you laugh, the whole world laughs, too.

 

(8) But if you cry, then you are all alone.

 

 

(9) The Olympic Movement will be happy, and its family members likewise with:

 

-Two spoonfuls of your sweet smile,

-Two spoonfuls of your soft breath,

-And two spoonfuls of you warm heart.

 

 

(10) It will make the world Soft, Sweet, Smooth, Speedy, Swift, Swelling, Simple, and Steady with Smiles.

 

 

(11) Without jokes, humor, and fun, our sport life would remain dull, boring, and monotonous.

 

(12) Therefore, I would like to begin to introduce some of the jokes, humor, and interesting stories that I heard, used, and cherished so far.

 

 

1) Value Judgments by Nationality

 

 

Before making a purchase, a typical American shopper might ask:

 

Is this the latest model?

 

A  German might ask: Is this sturdy and long lasting?

 

A  French might ask: Is this the latest fashion?

 

A  Japanese might ask: Is this the best quality?

 

For a Korean shopper, the question is always Is this genuine/real or counterfeit?

 

 

     2) Nationalism in Archaeology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 history

 

 

A group of American archaeologists were digging at a site. They found a piece of copper buried at 50 meters and promptly announced that Americans had installed an underground network of telephone lines across the continent ten thousand years ago.

 

 

Meanwhile a group of Russian archaeologists dug 100 meters deep and retrieved a piece of glass. The Russians then announced that they had been using an underground fiberglass telecommunications cable network for twenty thousand years.

 

 

Not to be done, a group of Korean archaeologists dug as far down as 300 meters, but couldnt find anything. They promptly announced that their ancestors had used wireless cellular phones some 50 thousand years ago.

 

 

 

lThank you, Olympic Movement!

 

 

Thanks to your support, I became the first Korean recipient of the ANOC Merit Award at the time of the 16th ANOC General Assembly held in Beijing, China on 7 April 2008.

 

It was not only my personal honor but also a commitment and duty for me to continue to contribute to the global Olympic Movement for many years to come.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express my sincere appreciation to the 205 NOCs  in attendance for endorsement and congratulations, especially for a benevolent and charismatic leadership of the late Sr. Mario Vazquez Rana, then ANOC President and Chairman of the IOC Solidarity Commission.

 

 

“God bless you!

 

Prof, Rocky Kang-Ro YOON

윤강로(尹康老)

 

 

 

 

 

 

[국제스포츠의 날(4월6일) IOC, 평창2018을 스포츠를 통한 평화구현의 Role Model로 집중 조명하다]

 

 

 

(평창2018 동계올림픽 개회식 장면/출처: IOC홈페이지)

 

  

IOC는 최근 4월6일 “국제스포츠의 날”(International Day of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 을 맞이하여 가교 놓기 및 화해(bridge-bruilding and reconciliation)의 메시지를 내 놓았다고 합니다.

 

 

당초 UN이 기념하고 축하하는 “개발과 평화지향 국제스포츠의 날”(IDSDP: International

Day of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인 4월6일, IOC는 스포츠가 평화롭고 다 나은

세상만들기 지향 가교놓기와 화해 촉진을 위해 스포츠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자체 메

시지를 발표하면서 이날을 환영하였다(welcomes the Day with its own message of how

sport can help to build bridges and promote reconciliation for a peaceful and better

world)고 합니다.

 

 

UN은 스포츠야말로 경계와 문화를 초월하여(across boundaries and cultures) 사람들을 함

께 모이도록 함으로써 평화와 관용과 이해를 증진시키는 강력한 도구(a powerful tool to

promote peace, tolerance and understanding by bringing people together)가 될 수 있

는 보편적인 언어(sport as a universal language)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고 합니다

 

 

IOC의 무엇보다 시급한 우선과제(overarching mission)는 스포츠로 하여금 인류를 섬기게 하도록 하는 것인데(to put sport at the service of humankind) 지구상에 그 어떤 글로벌 행사도 따라올 수 없을 만큼 올림픽은 인류와 인류가 추구하는 다양함 모두를 한 군데 모이게 하는 힘을 보유하고 있다(Unlike any other global event, the Olympic Games have the power to bring humanity, and all its diversity, together)고 합니다

 

스포츠를  통해 평화롭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도록 기여하는 것이야말로 올림픽헌장의 근본 원칙(Fundamental Principle of the Olympic Charter)이라고 합니다.

 

IOC는 국제적 정부 및 비 정부 조직들은 물론 각국 NOCs과 많은 UN기구들을 포함한 파트너들과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에 기여할 수 있도록 스포츠를 개발과 사회적 변화의 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제반활동 및 교육적 주도권에 집중하여(on activities and educational initiatives which use sport as a tool for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광범위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서 우리는 올림픽정신이 한반도에 끼친 영향에 대해 목도한 있습니다.

 

스포츠와 선수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평화의 강력한 메시지는, 군사분계선에 의해 수 십년간 분리되었던(separted for decades by a military border) 남북한 선수단이 개회식에서 나란히 공동 행진할 때라든지(marched side by side), 남북한 여자 아이스하키 팀이 단일팀으로 출전했을(competed together as a unified team) 때, 그 진가를 발휘한 바 있습니다.

 

경기규칙(the rules of the game)은 물론 팀웍(teamwork), 공정성(fairness), 관용(tolerance), 규율(discipline)과 상대방에 대한 존중(respect for the opponent)과 같은 올림픽정신과 스포츠에서 찾을 수 있는 내재된 가치(intrinsic value)는 전세계에 걸쳐 받아들여져 이해되어 왔으며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수 있는(can make the impossible, possible) 근간입니다.

 

올림픽대회는 평화롭게 경쟁하는 방법(how to compete peacefully)을 전 세계에 보여 주었습니다.

 

올림픽은 우리의 모든 차이에도 불구하고(despite all our differences)인류가 평화와 존중과 화합 속에서 공존공영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t is possible for humankind to live together in peace, respect and harmony)을 보여 주었습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다음과 같이 설파하였습니다:

 

(1) “The power of sport is its universality, it always builds bridges, it never erects walls. Sport has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creating a brid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스포츠의 힘은 보편타당성에 있으며, 스포츠는 항상 가교를 놓아주지, 결코 벽을 세우지 않습니다. 스포츠는 남북한 사이에 다리를 새롭게 놓아 주는데 근본적인 중요한 역할을 다 하였습니다)

 

(2) “The Olympic Games showed the world how to compete peacefully. They showed us that, despite all our differences, it is possible for humankind to live together in peace, respect and harmony.” (올림픽대회는 전 세계를 향하여 평화롭게 경쟁하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올림픽대회는 우리가 지닌 모든 차이를 뛰어 넘어 인류가 평화와 존중과 화합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것이 가능하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스포츠는 교육차원에서 중요한 도구입니다, 예를 들면 스포츠는 소녀들과 여성에게 힘을 부여할 수 있으며 양성평등을 진일보 시킬 수 있습니다(Sport is an important tool for education, for example it can empower young girls and women and advance gender equality.)

 

지난  3월 IOC는 올림픽운동관련 모든 스포츠기구들을 총망라하여 경기장 안팎에서의 양성평등 성취지향 (to achieving gender equality on and off the field of play) 해결방안전제 접근방법(a solution-based approach)을 제공함으로써 “IOC의 양성평등 검토 프로젝트”(IOC’s Gender Equality Review Project) 25개 권고내용을 발표한(relaeased 25 recommnedations) 바 있습니다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청소년하계올림픽(YOG)에서는 모든 실시종목이 양성평등이 완전히 실현될 것(all sports will be fully gender balanced)입니다.

 

                      (평창2018 개회식 성화점화 행사/출처: IOC홈페이지)

 

 

사회개발프로그램(Social Development Program)의 일환으로 IOC는 또한 NOCs와 각국 정부들과 협력하여 난민 및 추방된 사람들(refugees and displaced people) 지원을 위한 여러 가지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함께 추진하고 있으며 ‘올림픽난민재단’(Olympic Refuge Foundation)을 설립하였습니다.

 

올림픽난민재단 설립 목적 중 하나는 안전하고, 기본적이며 접근가능한 스포츠시설을 창출하는 것으로 대상지역은 난민거주지, 추방된 이주민집단(displaced migrant population) 및 내부추방자들 거주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지난 2017년 11월13일, UN난민문제고등판무관실(UNHCR/(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과 합동으로, “빛이 되어라”(Become the Light)캠페인

이 평창2018동계올림픽을 위한 UN총회 올림픽휴전결의안 채택에 즈음하여 실시되었는바 난

민캠프에 지속가능한 태양발전 조명해결방안 마련을 위함(to bring sustainable, solar

powered light solutions to refugee camps.)이었습니다.

 

 

이러한 캠페인은 많은 난민수용소내부에 일하고 공부하며 노는데 필수적인 전기조명시설접근이 전무하다라는 식견에 따른 것(It follows the insight that many refugees in camps have no access to electric lighting, which is important for work, study and play이라고 합니다.

 

4월6일이 기념일인 “개발과 평화지향 국제스포츠의 날”(IDSDP: International Day of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은 스포츠가 사람들 결속과 평화문화 장려뿐만 아니라 사회발

전촉진(promote social development), 신뢰 및 자기믿음 구축(build trust and self-belief),

그리고 갈등국면에 봉착한 그룹들 간에 다리 놓기(establish bridges between groups in

conflict)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집중조명하도록 하는 기회로 활용되기도(an opportunity to

highlight) 한다고 합니다.

 

*References: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Data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14. 12:17

[국제스포츠 계 인종차별정책으로 홍역 Serbia Kosovo 팀 Serbia 입국불허조치 현장 스케치]

 

 

최근(512) Janez Kocijančič 유럽올림픽위원회(EOC: European Olympic Committees) 위원장은 EOC가 선수들에 대한 차별정책에 대해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지만, Kosovo가라데 팀이 지난 주(57~12) Serbia입국이 저지당한 후 IOC의 진상조사 결과를 기다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Janez Kocijančič/출처: insidethegames)

 

 

 

Kosovo 가라데 팀은 Serbia Novi Sad개최 유럽 가라데 선수권대회 참가 차 Serbia에 입국하려다 두 번씩이나 입국거부를 당했다(twice barred from entering Serbia)고 합니다

 

이러한 입국거부결정은 Serbia정부가 진행중인 양국간 정치적 긴장와중에(amid ongoing political tension) Kosovo와의 양국 간 합의서내용을 위반한 것을 비판한 후에 취해진 조치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Pere Miró IOC수석부국장은 IOC가 이러한 상황이 되풀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음(ready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avoid this situation being repeated)을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Miró IOC수석부국장은 IOC 2008 Servia로부터 독립을 선포한 Kosovo의 동 행사에 대한 문제성 참가’(problematic participation)를 잘 인지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IOC가 주선 촉진한(facilitated by the IOC) 일련의 회의가 세계 가라데 연맹(WKF) 과 유럽 가라데 연맹(EFK) 및 각각의 NOC 그리고 Serbia 정부당국이 관여된 가운데 열린 바 있는데, Miró IOC수석부국장에 의하면 Kosovo의 참가를 둘러싼 합의서가 체결된 바 있다(An agreement surrounding Kosovo's participation was reached)고 합니다.

 

 

Serbia정부는 지난 주 초 Kosovo선수단이 512~14일 개최된 대회기간 중 Kosovo국가 상징물전시를 하지 말아 줄 것(would not be able to display any national symbols during the event )을 경고한 바 있다고 합니다.

 

 

Serbia정부는그런 일이 발생할 경우 Kosovo가 동 대회에 참가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을 확인한 바 있는데, 비록 EOC가 유럽 가라데 선수권대회와 관련성을 없다손 치더라도 마침 Serbia의 수도 Belgrade에서 EOC세미나행사 기간과 일치하는 중에 벌어진 사태였다고 합니다

 

 

 

Kosovo were among the 50 European NOCs to participate at a seminar in Belgrade ©Twitter/Team Serbia

 

 

 

Kosovo NOC 2일 간(512~13) EOC세미나에 대표로 참석한 바 있다고 합니다.

 

Kocijančič EOC위원장은 Kosovo의 동 행사 참가를 환영하였으며 EOC IOC가 벌이고 있는 유럽 가라데 선수권대회 진상조사 결과를 기다릴 것이라고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A.  “Regarding the incident at the European Karate Championships, there is an investigation at the IOC and we have to wait for the results.” (유럽 가라데 선수권대회에서 벌어진 사고와 관련하여 IOC가 진상조사 중에 있으며 우리는 그 결과를 기다려야 함)

 

B.  “Most of this is happening at the political and state level. (이러한 사고의 대부분은 정치적이고 국가 차원에서 발생하고 있음)

 

C.  “It is not our field, we are never involved in countries deciding who recognises who. (이러한 사고는 우리 영역이 아니며, 어느 국가가 가 어느 국가를 인정하는 둥 국가간의 일에 대해 우리는 관여한 바가 결코 없음)

 

D.  “Unfortunately in Europe we have quite a number of problems like this. (불행하게도 유럽에서는 이러한 류의 문제가 상당히 많이 발생하고 있음)

 

E.  “On a long-term basis, we will never tolerate discrimination of athletes at any time. (긴 안목으로 볼 때, 어느 때고 선수들에 대한 차별에 대하여서는 결코 묵과할 수 없을 것임)

 

F.  “It is very clear,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 of Kosovo is recognised by the IOC and are members of the EOC. (명백하건대, Kosovo NOC IOC 인정/승인 상태이며 EOC회원국임)

 

G.  “They have participated here with full rights and there is absolutely no difference between NOCs here. (Kosovo대표단은 이곳 세미나에 정식권리를 가지고 참가하였으며 이곳에 참석한 다른 나라 NOCs들과 절대로 하등의 차이도 없음)

 

H.  “When we are sitting around the table we are all equal.” (테이블에 앉아 있을 때 우리는 모두 평등한 관계임)

 

 

별개의 진전상황에서 볼 때(in a separate development), EKF Kosovo선수들의 참가와 관련한 행사들에 대한 분석을 위한 특별회의를 개최했던 바 있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그들은 IOC 진상조사와는 별도로 지금 조사에 착수하였으며, 관련 정보수집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EKF성명서 내용입니다:

 

A.  “The commission will be chaired by EKF general secretary Stjepan Celan.” (동 특별위원회위원장 직은 Stjepan Celan EKF사무총장이 맡을 것임)

 

B.  “EKF first vice-president Jiri Bocek and EKF third Vice-president Wolfgang Weigert will complete the panel. (EKF 1부회장인 Jiri Boc다과 제3부회장인 Wolfgang Weigert이 패널구성 멤버로 활동할 것임)

 

C.  “After getting all the details on the matter from all the parties involved, the commission will draft a report for its analysis by the Executive Committee.” (모든 당사자로부터 사안에 대한 모든 세부사항들을 수집한 연후에, 동 특별위원회는 EKF집행위원회가 자체 분석을 실행하도록 보고서를 작성할 것임)

 

 

 

·트윗 담아가기

 

 

·트윗 담아가기

이러한 사건(the incident) Serbia Kosovo가 연루된 가장 최근의 스포츠 분쟁(marked the latest sporting dispute involving Serbia and Kosovo)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SerbiaKosovo가 육상과 축구종목을 포함하여 국제연맹들의 회원국으로 용납되는 것에 줄기차게 반대입장을 표명한 바)continually opposed Kosovo being accepted as members of International Federations) 있다고 합니다

 

 

스페인은 Kosovo에 대한 정치적 입장견지로 인해 최근 2018년 주니어 및 23세 이하 역도 선수권대회(the 2018 Junior and Under-23 Weightlifting Championships)개최권을 박탈당 한 바(Spain was recently stripped of) 있다고 합니다.

 

 

Kosovo 2014 IOC승인을 받은 바 있으며 Rio2016올림픽에 처음 출전한 바(made their Olympic debut)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지난 4월 정치적 근거로 다른 나라들이 스포츠경기대회에 참가하는 방식을 제약하는 나라들의 사례에 대해 투쟁하는 행동을 취함으로써(by taking action to combat cases of countries restricting the way other nations participate at competitions on political grounds) 스포츠가  이빨을 드러낼 것”(show its teeth)을 촉구한 바 있다고 합니다.

 

 

Kosovo관련 현재 이슈들과 함께 이슬람국가들에서 열리는 대회에 이스라엘참가와 연루된 최근 일련의 분쟁이 일어난 이후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It followed a series of recent troubles involving the participation of Israel at events in Islamic countries, along with the ongoing issues with Kosovo.)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14. 10:28

[러시아 스포츠외교관 세대교체 차기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위원장후보로 Popov 러시아올림픽수영 영웅 겸 前 IOC위원 지명배경 스케치]

 

 

러시아 사격연맹(Shooting Union of Russia)이 전 올림픽수영선수인 Alexander Popov가 차기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위원장으로 지명하였다고 513일 자 한 외신이 보도하였습니다.

 

 

이러한 지명은 Alexnader Zhukov ROC위원장 겸 IOC위원이 5월 초 ROC위원장 선거 불출마 결정을 내리고 난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Alexander Popov/출처: insidethegames)

 

 

 

TASS러시아 관영통신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사격연맹이 발표한 성명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  "His many years of work in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ROC, and also as chairman of the public council at the Ministry of Sport of the Russian Federation, shows his knowledge of the real state of affairs in Russian sports. (ROC 집행위원으로서의 오랜 경력과 러시아체육부 공공평의회의장으로서의 활동은 그가 러시아 스포츠문제의 현상황를 잘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B.  "The Shooting Union believes that, in the current realities and existing systemic problems with the position of President, the ROC needs a professional who is not only able to resolve issues within the country, but also at an international level in order to bring Russia back to the status of a strong sports power in the international Olympic Movement. (러시아 사격연맹은 ROC위원장 직과 관련된 현 상황 및 기존의 시스템 상의 문제점을 감안할 때, ROC는 러시아를 국제올림픽운동에서 스포츠강국의 위상을 되 찾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국내이슈해결능력뿐만 아니라 국제수준에서도 역할 감당이 가능한 전문가를 필요로 하다고 믿고 있는 바임)

 

C.  "This is exactly what Alexander Popov has." (이것은 Alexander Popov가 지니고 있는 정확한 그의 실상임)

 

 

 

Alexander Popov won four Olympic gold medals in his career ©Getty Images

(Alexander Popov는 올림픽 수영 4관왕임/출처: isidethegames)

 

 

 

Popov는 전대미문의 가장 위대한 수영선수들 중 한 명(one of the greatest sprint swimmers of all time)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Barcelona1922 Atlanta1996올림픽에서 50m 100m 수영자유형 올림픽타이틀을 석권하고 방어한 역사상 유일무이한 단 한 명의 수영선수(the only man in history to defend both the 50 metre and 100m freestyle Olympic titles)로 알려져 있습니다.

 

 

(좌로부터 Alexander Popov-필자-Mrs. Popov/Vancouver2010 당시)

 

 

 

ROC위원장 선거에 참가하기 위하여 후보자는 ROC정가맹경기단체 한 곳으로부터의 지명이 필수 조건(a candidate must be nominated by an ROC member sports federation)이라고 합니다

 

 

지난 4월 러시아 크로스 컨트리 스키연맹은 올림픽 펜싱 4관왕인 Stanislav Pozdnyakov ROC위원장 후보로 지명한 바 있었습니다.

 

 

 Stanislav Pozdnyakov has vowed to stand for the ROC Presidency ©Getty Images (ROC 차기 위원장 선호후보 중 한 명인 Stanislav Pozdnyakov/출처: insidethegames)

 

 

 

ROC위원장 선거는 2018 529일(화) 치러질 예정이며 후보자 신청 마감(the deadline for applications) 514일이라고 합니다.

 

 

Zhukov ROC위원장(out-going President) ROC위원장 직을 포기할 경우(when he relinquishes the position of President) 자동적으로 IOC위원직을 상실하게 됩니다.

 

 

신임 ROC위원장이 자동적으로 IOC위원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러시아는 당분 간 Shamil Tarpischev 개인자격 IOC위원과 Yelena Isinbayeva 선수자격 IOC위원 등 단 2명 만 남게 될 공산입니다.

 

 

(Alexander Zhukov Yelena Isinbayeva/출처: insidethegames)

 

 

(출처: IOC홈페이지)

 

 

러시아는 IOC가 내린 ROC에 대한 자격정지처분으로 평창2018동계올림픽 당시 러시아출신 올림픽선수’(OAR: Olympic Athletes from Russia)자격으로 할 수 없이 중립적 출전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러한 자격정지조치는 러시아 안방에서 개최된 Sochi2014동계올림픽에서 도핑프로그램 조작 사태("manipulation" of the doping programme) 이후 생긴 것입니다.

 

 

IOC는 평창2018 폐회 단 3일 후 ROC자격을 복권시켜 줌으로 논란거리가 되기도 하였습니다(The IOC controversially reinstated the ROC just three days after Pyeongchang 2018, however)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11. 17:42

[2026FIFA월드컵 유치경쟁 모로코(아프리카) 對 미국 캐나다 멕시코 연합(북 중미) 누가 이길까?]

 

 

 

아프리카 대표주자인 모로코(Morocco2026)와 북 중미 연합 공동유치 팀(United 2026)인 미국-캐나다-멕시코가 2016 FIFAA월드컵 개최국 투표 1개월 남짓 남은 상황에서 2018년도 세계체육기자연맹(AIP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ports Press) 총회에서 유치성공을 위한 홍보 전을 벌였다고 합니다.

 

 

 

(미국축구연맹<United States Soccer Federation> Carlos Cordeiro 회장/출처: MLS)

 

 

 

58일 벨기에 브뤼셀 개최 81차 세계체육기자연맹(AIPS) 총회에는 약 100개국 200여명의 체육기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아프리카의 모로코와 북 중미 연합 팀이 2026FIFA월드컵 개최 유치를 위해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였다고 보도되었습니다.

 

 

미국-캐나다-멕시코의 북 중미 유치 팀은 천문학적 규모인 US$110억 불의 이윤 창출 및 경제유발 효과를 전망하였으며, 반면 아프리카 대표주자인 모로코는 이윤 보다는 FIFA월드컵의 아프리카 청소년들에게 지속 가능한 유산/Legacy’과 스포츠의 가치측면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26 FIFA월드컵 모로코 유치위원회CEOHicham El Amrani CEO/출처: AP)

 

 

2026 FIFA 월드컵 개최국은 FIFA 러시아월드컵 개막 전 전날인 2018 6 13일 러시아 모스크바 FIFA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선출 및 발표될 예정이며 FIFA 24명으로 구성된 집행이사회가 비밀투표를 통해 FIFA월드컵 개최국을 선정애 왔던 관행을 2017 11월 폐지하고 FIFA회원국전체가 참여하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였으며 오는 613일에는 사상 최초로 FIFA 가맹 전 세계 축구연맹들이 함께 투표권을 행사하여 개최국을 선출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2018 5월 현재 FIFA 회원국은 총 211중 유치경쟁에 참가하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와 모로코 및 자격정지 중인 과테말라 5개국은 투표권이 주어지지 않으며 2026FIFA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출되려면 총 206표 유효투표 수중 과반수(a simple majority)104표를 획득해야 개최국으로 확정된다고 합니다.

 

 

북 중미 공동유치 팀인 United2026 FIFA투표권을 행사하는 Belize, Costa Rica, El Salvador, Honduras, Nicaragua Panama 6개국으로 구성된 중미축구연합(UNCAF: Central American Football Union)의 최근 지지성명이 유치성공으로 가는 교두보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모로코의 경우 과거 4 차례 FIFA월드컵 유치 경쟁에 뛰어 든 바 있었는데, 1994년 경쟁에서는 미국, 1998년 경쟁에서는 프랑스, 2006년 경쟁에서는 독일, 2010년 경쟁에서는 남아공에게 각각 개최권이 넘어 갔습니다. 

 

 

5번때 도전인 2026 FIFA월드컵 유치경쟁에서 모로코는 12개 개최도시, 12개 축구경기장활용 계획을 제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6개 대륙 211개국 축구협회 회원 6개 대륙 별 연합회로 구성된 FIFA의 회원국들 중 유치경쟁에 참여하는 모로코와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4개국을 제외한 207개국 전 회원국들이 투표권을 행사하게 되어 있습니다.

 

 

회교국가인 북 아프리카의 모로코가 중동과 아프리카 국가들, 북 중미의 경우 아메리카 대륙 국가들의 지지를 확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상 최초로 FIFA월드컵본선에 48개국이 출전하게 될 2026 FIFA월드컵대회개최국 선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FIFA월드컵 개최국 선출 역사와 대륙간 순환개최원칙 변천사]

 

2018 FIFA월드컵(러시아) 2022 FIFA월드컵(카타르)에 이어 2026 FIFA월드컵 개최국 선정과정이 뜨겁게 달아 오르고 있습니다.

 

 

 

 

1958년 스웨덴 FIFA월드컵대회부터 시작된 두 대륙 별 순환개최 시스템도입결정으로 유럽과 남미(추후 북 중미 포함) 두 대륙이 교대로 FIFA월드컵대회를 개최하여 왔습니다.

 

이러한 두 대륙간 순환개최 시스템은 1998년 프랑스FIFA월드컵 대회까지 40년 간 유지되어 왔다고 합니다.

 

아시아대륙인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 FIFA월드컵대회 이후부터 제3대륙에도 FIFA월드컵 개최권이 개방된 전환시기로 2002년 월드컵은 유럽-남미 두 대륙간 순환개최대회로부터 탈피한 원년대회인 셈입니다. 

 

또한 2002 FIFA월드컵 개최국 선정과정에서 사상최초로 공동개최가 성사되면서 FIFA내부에 큰 논란거리로 회자되기도 하였는데 규정에 명시된 월드컵 1국가 개최원칙에 대한 규정위반에 대한 반발이 일어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어 FIFA 2010년 남아공의 FIFA월드컵 개최국 발표 직후 ‘6대륙 순환개최 시스템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하지만 FIFA 2014년 월드컵 개최국 선정과정에서 예기치 못했던 변수에 직면하였는데, 남미국가들의 어려운 사정으로 개최의지가 소극적이었으며 브라질과 유일하게 유치경쟁에 뛰어 들었던 콜롬비아 조차 유치경쟁에서 도중하차하는 불상사가 일어 났다고 합니다.

 

한편, 아르헨티나와 칠레의 공동개최의사 표명도 있었지만 결렬되어 결국 브라질이 단독유치후보도 개최국으로 결정된 바 있다고 합니다.

 

이 여파로 FIFA는 북 중미, 오세아니아 등지에서 발생할 지도 모르는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는 국면이 전개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FIFA는 결국 2018 FIFA월드컵대회부터 대륙간 순환개최 원칙을 다시 폐지하고 대신 이전 두 개 월드컵대회 치른 대륙 이외의 국가들 유치후보 환영이란 원칙을 설정하기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그 결과 2010년 아프리카-2014년 남미를 제외한 유럽-아시아-북 중미-아프리카 4개 대륙이 2018년 월드컵 대회에 유치자격이 생긴 것입니다.

 

물론 2018년 월드컵(러시아/유럽) 2022년 월드컵 개최국(카타르/아시아)2018년 대회 개최 8년 전인 2010 12월 동시에 선출되는 기 현상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한 FIFA집행부 매표 논란과 부패혐의로 인해 FIFA는 아직도 혼란 와중에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동 원칙에 의거하면 이제 2026 FIFA월드컵 개최 신청은 유럽과 아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4개 대륙소속 국가들에게 신청자격이 주어지게 된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서 South Afica2010(아프리카)-Brazil2014(남미)-Russia2018(유럽)-Qatar2022(아시아)의 대륙순환개최원칙이 지켜지고 있는 가운데2026 FIFA월드컵 개최국 유치경쟁은 북 중미 연합 공동 팀(미국-캐나다-멕시코)와 아프리카의 모로코 간의 경쟁이 벌어지게 된 것입니다.

 

[FIFA대륙 별 6개 축구협회연합체 현황]

 

1)   아시아: AFC

2)   아프리카: CAF

3)   북 중미 및 카리브 지역: CONCACAF

4)   남미: CONMEBOL

5)   유럽: UEFA

6)   오세아니아: OFC

 

 

*References:

-insidethegames

-AP

-ML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11. 10:59

[한반도 2032년 서울-평양올림픽과 2034년 FIFA월드컵 남북공동개최 가능성 심층분석(동서독 통일 스포츠교류성과 Bench Marking)]

 

'남북체육교류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5월10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남북 평화 교류에 물꼬를 튼 평창2018 동계올림픽 이후 계속해서 남북체육교류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 및 향후 중장기 남북교류협력 실행방안에 대하여 토론을 가진 바 있습니다.


 

노웅래, 안민석(이상 더불어민주당), 유성엽(민주평화당), 장정숙(바른미래당) 의원이 토론회를 공동주최하였으며, 여야가 따로 없이 한 뜻으로 남북체육교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라고 보도 된 바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통일부 등 정부 주요부처는 물론 관계기관 및 서울시, 강원도 등 지자체와 시민단체에서도 입장을 발표하는 시간이 마련돼 있어 관심을 모을 것이라는 보도 기사가 있었습니다.


 

윤강로 국제스포츠 외교연구원장이 토론회의 발제를 맡았으며 전병극 문체부 체육협력관, 이주태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김용 대한체육회 사무부총장, 장영민 서울특별시 체육정책과장, 김상영 강원도 남북교류협력TF 팀장 등이 토론에 참여하였으며 토론회 사회는 박창일 평화3000대표가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은 필자가 발제한 PPT내용입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11. 09:25

[한반도 통일의 초석 될 평창2018 동계올림픽의 시대적 포효와 서울1988올림픽 주제가 Hand in hand]

 

 

2018년은 대한민국 역사상 상서로운 해입니다.

 

평창2018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면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기틀을 마련해 주는 전환점 역할을 해 주었으며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이 결실을 맺음으로써 전 세계에 한반도 평화시대를 선포하게 하는 초석(cornerstone)이 되었습니다.

 

 

 

 

평창2018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개회식사 영한 Speech초안을 작성하면서, 언젠가 우리 아이들과 손주들에게 이렇게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평창2018동계올림픽이 한반도 통일의 초석이 되었노라고……” (One day, I will tell my children and grandchildren, “The PyeongChang2018 Games served the purpose of a cornerstone to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라는 구절로 평창2018이 한반도 통일의 초석이 되기를 소망한다는 문장을 넣었습니다만 결국 첨삭과정에서 빠져 정작 개회식 당일 개회식사내용에는 반영되지 못한 바 있습니다. 천기누설(天機漏洩)?

 

 

 

이 문구를 초안에 포함시킨 이유는 북한뿐만 아니라 전 세계 약 76억 인구가 TV중계를 통해 모두 지켜 보는 역사적 장면이기 때문이며 역사에 길이 기록될 중요한 한 페이지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뭏든 이 문구대로 남북이 하나로 되어 통일이 되는 날이 현실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의 평창2018동계올림픽 영문개회식사]

"Hello, PyeongChang

 

Dear Olympic fans around the world

 

Your Excellency, Moon Jae-in,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Your Excellency, Antonio Guterres, Secretary 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Excellencies,

Dear athletes

Dear members of the Olympic family,

Ladies and gentlemen.

Welcome to the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This is the moment that we have all been waiting for: the first Olympic Games on snow and ice in the Republic of Korea.

 

This is the moment that the Organising Committee, the public authorities and so many Korean people have been working for with great dedication and commitment. You all can be very proud tonight.

 

Now is the time for PyeongChang!

Thank you to everyone who has made this moment possible.

My special thanks go to the thousands of volunteers who have welcomed us so warmly:

Thank you, volunteers.

Dear athletes, now, its your turn!

 

This will be the competition of your life.

Over the next days, the world will be looking to you for inspiration.

You will inspire us all to live together in peace and harmony despite all differences we have.

 

You will inspire us by competing for the highest honour in the Olympic spirit of excellence, respect and fair play.

You can only really enjoy your Olympic performance if you respect the rules, and stay clean.

 

Only then will your lifelong memories be the memories of a true and worthy Olympian.

While you compete with each other, you live peacefully together in the Olympic Village, respecting the same rules, sharing your meals and your emotions with your fellow athletes.

 

This is how you show that in sport we are all equal.

This is how you show the unique power of sport to unite people.

A great example of this unifying power is the joint march here tonight of the two teams from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e thank you.

 

 

평창2018은 서울1988올림픽 30주년되는 해에 열렸습니다.

 

30년 전 그룹 Koreana가 서울1988올림픽 주제가로 부른 “Hand in hand’의 구성진 노랫말이 귓가에 쟁쟁합니다.

 

[Hand In Hand] (노래: Koreana)

(1

See the fire in the sky

We feel the beating of our hearts together

This is our time to rise above
We know the chance is here to live forever

For all time

 

(Refrain: 후렴)

Hand in Hand we stand
All across the land
We can make this world
A better place in which to live

Hand in Hand we can
Start to understand
Breaking down the walls
That come between us for all time
Arirang

 

 

 

 

(2)

Everytime we give it all
We feel the flame eternally inside us
Lift our hands up to the sky
The morning calm helps us to live in harmony
For all time

 

(Refrain: 후렴)

Hand in hand we stand
All across the roadWe can make this world
A better place in which to live
Hand in Hand we can
Start to understand
Breaking down the walls
That come between us for all time
Arirang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8. 17:04

[남북한 단일팀구성 2018년 아시안게임 성사 어렵다는 대한체육회장 견해 외신보도내용 스케치]

 

 

57일 한 외신보도 기사제목은 이기흥 대한체육회장 2018년 아시안게임에 남북단일팀 어렵다고 인정하다”(KSOC President Lee admits joint Korean teams at 2018 Asian Games will be difficult)였습니다.

AddThis Sharing Buttons

 

 

Share to KakaoShare to LINEShare to Email AppShare to RedditShare to 더 보기 

(좌로부터 이희범 POCOG위원장, 김일국 북한 체육상 겸 NOC위원장, Thomas Bach IOC위원장, 도종환 문체부장관, 이기흥 KSOC대한체육회장/출처: IOC홈페이지)

 

 

대한체육올림픽위원회(KSOC: Korean Sports and Olympic Committee)이기흥회장은 몇몇 종목에서 남북한이 함께 출전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인정하면서(admitting it will be "difficult" to bring the two countries together in certain events) 금년 자카르타-팔렘방 개최 아시안게임에서 남북단일팀구성가능성에 대하여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cast doubt on the possibility of North and South Korea competing on joint teams)고 보도되었습니다

 

 

이회장은 다음 주 로잔느에서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OCA회장과 회의를 통하여 아시안게임 단일팀전망에 대하여 논의할 예정(due to discuss the prospect of unified teams at the Games)이라고 합니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남북한이 금년아시안게임 개회식 공동행진에 대하여 확신하고 있지만 단일팀 출전(fielding joint teams)그리 쉽지 않을 것”(not be so easy)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농구(basketball), 카누(canoeing), 체조(gymnastics), 유도(judo), 조정(rowing), 정구(soft tennis) 및 탁구(table tennis) 7개 종목경기단체가 단일팀 구성에 대한 생각에 관심을 표명하였다(already expressed interest in the idea)고 합니다.

 

 

연합뉴스보도에 따르면 문체부가 이미 40개 종목 별 경기단체들에게 오는 818~92일 열리는 자카르타-팔렘방 2018년 아시안게임에서 북한 선수들과 함께 출전의지(willing to compete alongside athletes from the North )여부를 문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문체부가 실시한 예비의견조사에 대하여 각각의 경기단체들은 각기 스포츠종목 단일팀출전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호응하였다고 합니다 (The respective governing bodies for each sport all responded positively to a preliminary survey conducted by the South Korean Sports Ministry.)

 

 

대한카누연맹은 드래곤 보트 경주(dragon boat race)종목에 남북단일팀출전 (try to form a unified Korean team)및 양측 국경선 지역에서 훈련실시(to hold training sessions on both sides of the border)도 시도해 보겠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North and South Korea formed a unified team at the World Team Table Tennis Championships last week ©Getty Images (2018년세계탁구선수권대회 남북한 단일팀/출처: insidethegames)

 

 

 

유도 같은 종목선수들은 미미 선발이 완료되었으므로 관계자들로서는 도전과제가 추가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의 발언내용입니다:

 

A.  "I don't foresee problems with a joint march, but having unified teams will not be so easy." (공동행진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단일팀출전은 그리 쉬워 보이지 않음)

 

B.  "In sports such as soft tennis and judo, we've already selected athletes for the Asian Games. (정구와 유도와 같은 종목의 경우 우리는 이미 아시안게임 출전 선수선발을 종료한 상태임)

 

C.  "Unless the Asian federations of these sports agree to expand entries, bringing the two Koreas together will be difficult to do." (이러한 종목들을 관장하는 아시아연맹들이 참가 신청 쿼터를 늘려주지 않는 한, 남북한 단일팀 출전은 수행하기 어려울 것임)

 

 

그러한 움직임(such a move)은 지난 2월 평창2018동게올림픽 당시 남북한 여자 아이스하키단일팀 출전을 이끌어 낸 주도권(initiative)사례를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남북한 단일팀(a single Korean team) 1991년 일본 Chiba세계탁구선수권대회와 같은 해 포르투갈에서 열린 FIFA청소년축구세게선수권대회에서도 구성되어 출전한 바 있습니다

 

 

5월 초 2018년도 스웨덴 Halmstad개최 IFFT세계탁구선수권대회 8강전에서 남북한은 국제탁구연맹의 후원 하에 단일팀을 구성하여 출전한 바 있었습니다

 

 

문재인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North Korea’s Supreme Leader) 427일 정상회담에서 양측의 점차적인 군비축소를 약속하였으며(pledged to gradually reduce weapons on both sides) 1953년 한국전을 종식시킨 휴전(the armistice)을 금년 중 평화조약(a peace treaty)로 전환시키도록 밀고 나아가기로 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판문점 평화의 마을(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에서의 정상회담은 남북한 정상간의 단지 세 번째 회담이었으며, 동 정상회담은 동계올림픽참가에 대하여 첫 번째로 열정적으로 언급한 김정은의 금년 신년연설문에 이어 한반도 관계의 괄목할만한 방향전환이 그 계기가 되었다(It follows a remarkable turnaround in Pan-Korean relations following a New Year's address by Kim in which he spoke enthusiastically for the first time about participating at the Winter Olympics)고 보도하였습니다.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right, and North Korea’s Supreme Leader Kim Jong-un met earlier this week ©Getty Images(출처: insidethegames)

 

 

 

 

각 종목운영을 관장하는 국제연맹들은 이러한 단일팀 출전과 관련 지원사격을 해 주어야 할 것으로 전망되는 있으며, 동 사안이 긍정적인 홍보효과를 거양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반면, 대중 및 선수들의 호응을 결집하는 것이 더 어려울 것(public and athlete backing may be harder to muster )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평창2018대회개막 몇 주전에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결정(the decision to set-up the unified ice hockey team just weeks before the Games)은 사전 협의결여로 인해 한국 내에서 반발을 야기(caused a backlash in South Korea due to the lack of consultation beforehand )한 바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한반도의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the volatile political situation)이 오는 8월까지 다시 한번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시나리오도 역시 가능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2019년 서울에서 3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전남 광주광역시 개최 FINA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북한참가를 확고히 하기 위한 회담도 역시 진행 중(talks are underway to ensure North Korean participation)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7. 17:16

[Zhukov 러시아 IOC위원 NOC위원장 재선 불출마로 IOC위원 직 포기 초읽기 후임위원장과 러시아 스포츠외교관 스케치]

 

 

Alexander Zhukov 러시아 IOC위원 겸 NOC위원장은 5월 하순 예정된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위원장 재선출마를 포기하는 것임이 52일 자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Alexander Zhukov/출처: insidethegames)

 

 

 

 

다시 말해서 NOC위원장자격으로 지난 2013 IOC위원에 선출된 Zhukov IOC위원은 2018 529일 예정된 ROC위원장 선거 불출마로 위원장자리를 포기할 경우(when he relinquishes the position)자동적으로 IOC위원 직을 잃게 됩니다.

 

 

지난 평창2018 동계올림픽에 러시아출신 올림픽 선수들(OAR: Olympic Athletes from Russia)단장을 맡았던 Stanislav Pozdnyakov ROC1부위원장이 Zhukov현 위원장을 교체할 막강 선호후보(the strong favorite to replace him)로 대두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Stanislav Pozdnyakov ROC위원장에 선출된다손 치더라도 자동적으로 IOC위원직까지 승계하는 것은 아닌데, 따라서 러시아는 당초 3명의 IOC위원 보유국에서 개인자격 IOC위원인 Shamil Tarpischev 및 여자 장대높이 세계기록보유자 겸 선수출신 IOC위원인 Yelena Isinbayeva 2명만 남게 되는 것입니다.

 

 

2010년이래로 ROC위원장을 맡아온 Zhukov IOC위원은 52일 자로 자신은 러시아 의회 수석부의장으로서의 활동에 전념할 것(will focus on his work as First Deputy Chairman of the State Duma in Russia)이라고 러시아 공식 관영 TASS통신을 포함한 미디어에 의해 보도된 성명서를 통해 다음과 같이 밝힌 바 있습니다:

 

 

 

A.  "In the recent difficult situation in international sports,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head, who heads the Russian Olympic Committee, work in the ROC on a permanent basis." (국제스포츠 계에서의 최근 어려운 상황에서,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수장이 상근 직으로 전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임)

 

B.  "I do not have such an opportunity now due to the heavy workload in the State Duma. (본인은 러시아 의회에서의 과중한 업무로 인해 지금 그러한 상근기회를 가지지 못하고 있음)

 

C.  "Therefore, after weighing all the pros and cons, I decided not to participate in the election of the President of the ROC." (따라서 모든 찬반의견을 숙고해 본 결과, ROC위원장 선거에 참가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였음)

 

 

 

 

Stanislav Pozdnyakov has vowed to stand for the ROC Presidency ©Getty Images (ROC 차기 위원장 선호후보인 Stanislav Pozdnyakov/출처: insidethegames)

 

 

 

한편, Zhukov가 맡고 있는 Beijing2022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IOC조정위원장 역할을 재개할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이지만, 조정위원장 역할 재개는 어려울 것 같은 전망(it appears unlikely)입니다

 

 

Juan Antonio Samaranch, Jr 스페인출신 IOC위원 겸 동 조정위원회 부위원장이 현재 임시로 조정위원장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currently occupying this position on an interim basis) 52 IOC집행위원회에서 Zhukov대신 Beijing2022관련 내용을 보고한 바 있습니다.

 

 

Mark Adams IOC대변인은 52 Beijing2022 IOC조정위원장 직 관련 사항 등과 관련하여서는 ROC위원장 선거가 끝날 때까지 최종결정이 내려지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Stanislav Pozdnyakov ROC위원장 후보에게 도전할 대항 마가 부상할 가능성도 아직 있긴(still possible that an alternative could emerge to challenge Pozdnyakov) 하지만,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커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잠재적 대안(potential options) 후보로 거론된 Vladimir Lisin유럽사격연맹회장과 Igor Levitin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보좌관(aide) 두 명 모두 출마하지 않을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Pozdnyakov(44) 차기 ROC위원장 선호후보는 올림픽 펜싱종목 4관왕이며 동시에 세계선수권 10관왕(10-time world champion in fencing)이라고 합니다

 

 

그는 또한 영향력 있는 국제펜싱연맹(FIE) Alisher Usmanov회장의 측근(ally)으로 간주되고 있다고 합니다.

 

 

Usmanov유럽펜싱연맹회장은 Montreal 1976올림픽 펜싱금메달리스트였던 Thomas Bach IOC위원장과 막역한 사이로 알려지고(believed to be close to another former fencer,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President Thomas Bach) 있습니다

 

 

Sydney2000올림픽 펜신 개인 에페종목(the individual épée)금메달리스트인 Pavel Kolobkov는 현재 러시아 체육장관이기도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7. 13:23

[2032년 올림픽 대한민국(또는 남북한<서울-평양> 공동개최) 개최타당성과 가능성분석 및 상세전망]

 

 

1.   역대 동 하계 올림픽 동일도시 재 개최 현황

 

1)   하계올림픽의 경우, 그리스의 수도 아테네(2), 프랑스의 수도 파리(3), 영국의 수도 런던(3), 미국 LA(3), 일본의 수도 도쿄 (2) 5개 도시가 모두 2회이상 동일도시에서 올림픽을 개최한(예정포함) 바 있습니다.

 

(1) 그리스: Athens/1986-2004(2)<108년만>

(2) 프랑스: Paris/ 1900-1924-2024(3)<100년만>

(3) 영국: London/ 1908-1948-2012(3)<54년만>

(4) 미국: LA/ 1932-1984-2028(3)<44년만>

(5) 일본: Tokyo/1964-2020(2)(56년만>

(6) 한국: Seoul/1988-2032(2?)<44년만>

 

 

 

 

2)   동계올림픽의 경우, 스위스의 St Moritz(2), 미국의 Lake Placid(2), 오스트리아의 Innsbruck(2), 일본의 Sapporo(2)2026년에도 출사표를 던진 상태로 3회째 개최도전 중에 있으며, 캐나다의 Calgary(1988)의 경우도 2026년 동계올림픽 출사표를 던짐으로 동일도시에서 2번째 개최도전 와중에 있습니다.

 

(1) St. Moritz: 1928-1948(2)

(2) Lake Placid: 1932-1980(2)

(3) Innsbruck: 1964-1976(2)

(4) Sapporo: 1972-2026(?) <재개최도전>

(5) Calgary: 1988-2026(?) <재개최도전>

 

 

2.   국가 별 올림픽 복수 개최 사례

 

종합적으로 세계각국 15개 올림픽개최도시들의 올림픽 복수개최사례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 St. Louis (1904/하계) 1- LA (1932, 1984, 2024/하계)3-Atlanta(1996/하계) 1-Squaw Valley (1960/동계) 1-Salt Lake City(2002/동계) 1회 등 7

(2) 프랑스: Paris(1900, 1924, 2024/하계) 3-Chamonix(1924/동계) 1-Grenoble(1968/동계) 1-Albertville(1992/동계) 1회 등 6

(3) 일본: Tokyo(1964, 2020)2-Sapporo(1972/동계) 1-Nagano(1998/동계)1회 등 4(Sapporo 2026?) 5?

(4) 영국: London(1908, 1948, 2012/하계) 3

(5) 독일: Berlin(1936/하계)1-Garmish Parten Kirchen(1936/동계) 1-Munich(1972/하계) 3

(6) 이태리: Cortina d’Ampezzo(1956/동계)1-Rome(1960/하계) 1-Torino(2006/동계)1회 등 3

(7) 캐나다: Montreal(1976/하계)1-Calgary(1988/동계)1-Vancouver(2010/동계)1회 등 3<Calgary 2026?> 4?

(8) 스위스: St. Moritz(1928, 1948/동계) 2회 등 2<Sion2026? > 3?

(9) 그리스: Athens(1986, 2004) 22

(10)       노르웨이: Oslo(1952/동계: 수도개최 유일 동계올림픽)-Lillehammer(1994/동계) 1회 등 2

(11)       호주: Melbourne (1956/하계) 1-Sydney(2000/하계) 1회 등 총 2

(12)       오스트리아: Innsbruck(1964, 1976) 2회 등 2

(13)       러시아: Moscow(1980/하계) 1-Sochi(2014/동계) 1회 등 2

(14)       대한민국: Seoul(1988/하계)1-PyeongChang(2018/동계) 1회 등 2

(15)       중국: Beijing(2008/하계 및 2022년 동계) 2회 등 2

 

   

 

 

 

3.   최근 올림픽 개최도시 선출추세 및 현황 종합분석

 

1)   특히 하계올림픽의 경우, 최근 들어 프랑스의 Paris2008년 및 2012년 연속 유치도전이 무산되면서 Paris올림픽개최 100주년이 되는 2024년을 겨냥하였으며 LA와 경합이 예상되었으나 IOC2024년 및 2028년 개최도시 일괄 선출이란 카드를 사용하여 Paris2024-LA2028 양 도시 모두의 손을 들어 준 바 있습니다(Win-Win전략)

 

2)   하지만 최근 IOC2026년 동계올림픽 개최후보도시 선정과정에서 2026-2030년 일괄 선출 계획은 없음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3)   2026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7개 유치표명 후보도시 리스트 (20199월 밀라노개최 제133IOC총회 선출예정)

 

(1) Graz(오스트리아)

(2) Calgary(캐나다)

(3) Sapporo(일본)

(4) Stockholm(스웨덴)

(5) Sion(스위스)

(6) Erzurum(터키)

(7) Milan, Turin(2006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 Cortina dAmpezzo(1956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 공동유치 후보도시연합(이태리)

 

 

4)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선출과정에서도 7개 유치 후보도시들이 출발선상에 서 있었으나 상승하는 경비(rising costs) 및 유치후보도시 지역주민들의 반대(local opposition)에 부딪혀 중도 퇴장하는 바람에 Beijing Almaty 두개 도시만 남았었던(to leave a two-horse race) 쓰라린 기록이 있습니다.

 

5)   이에 따라 IOC는 유치과정을 재활성화 하고자 기민하게 재 정비해오고 있는(keen to revitalize the bidding process) 상황입니다.

 

6)   그 일환으로 IOC Olympic Agenda2020하에 해당 개혁안과 경비절감 및 지속가능성 보강으로 개최도시 어필지향(more appealing to hosts bu making them cheaper and more sustainable) 신 규범(New Norm)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this has led to introduce reforms)

 

7)   이러한 개혁안도입으로 유치희망도시들의 더 많은 관심을 유도하였지만 여전히 발목을 잡을 소지가 있는 대목은 중도탈락을 결정할 해당주민투표의 위협이 상존하고 있는(the threat of referendums could still lead to drop-outs)상황입니다.

 

 

4.   대한민국(서울-평양 공동개최)의 향후 올림픽개최 전망과 가능성 분석

 

1)   현재상황

 

(1) 서울1988 및 평창2018 이후 대한민국은 제3의 올림픽유치 계획단계 필요성과 검토시점

(2) Olympic Agenda2020실행이후 올림픽개최 단일도시 대신 복수의 여러 도시의 분산개최 허용으로 인한 여유롭고 융통성이 보장된 올림픽 유치여건조성

 

2)   향후 전망 및 가능성

 

(1) 서울1988올림픽 개최 30주년을 맞이한 시점에서 차기올림픽 재 개최 검토 타당성 충분

(2) Rio2016(남미)-Tokyo2020(아시아)-Paris2024(유럽)-LA2028(북미)-“아시아 2032이란 대륙순환개최 정서에 부합되는 절호의 기회로 사료됨

(3) 일본은 Tokyo2020하계올림픽, 중국의 경우 Beijing2022동계올림픽 개최로 인해 아시아에서 하계올림픽 개최 최적 후보는 한국의 후보도시로 좁혀지고 있는 상황임

 

3)   향후 Roadmap

 

(1) 올림픽헌장규정 상 올림픽개최도시는 대회 개최 7년 전에 선출하는 바 2032년 올림픽개최도시는 2015년 열리는 IOC총회에서 결정됨

(2)  Tokyo2020올림픽 개최준비 및 조직현황 실태파악 등 Bench Marking (경기장 분산현황, 예산편성, 스폰서 확보 현황 등)

(3)  타당성 검토 후 2032년 올림픽 국내 희망후보도시 선정절차 착수(남북 공동개최 차원 일 경우 서울-평양 양측 의사 타진 절차 필요)

(4)  국내후보도시 선정 후 올림픽유치사전준비 위원회 구성 및 활동개시

(5)  국내후보도시 경기장 배치계획 및 대회유치에 따른 제반 사전여건 선순환적 철저 검증작업 병행 후 유치계획서 작성 착수(남북한 올림픽유치전문가 영입 및 활용)

 

 

 

 

 

5.   Olympic Agenda2020 맥점 및 향후 과제 분석

 

1)   IOC의 향후 올림픽활성화를 위한 자구책

(1) Atlanta1996올림픽, Athens 2004올림픽의 실패와 Beijing 2008 올림픽, Sochi2014동계올림픽의 막대한 재정적자를 비롯하여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Sub Prime Mortgage) 사태 이후 세계 경제침체 영향확산으로 종전과 달리 적극적 올림픽 유치 적극적 국가 희소현상 확산조짐을 올림픽 위기로 판단한 IOC Thomas Bach IOC 위원장은 201421월 대대적인 40(20+20)개혁 권고안을 제시하였고 IOC총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것이 Olympic Agenda 2020의 태동임

 

(2)  Olympic Agenda 2020IOC의 미래올림픽운동의 전환점을 마련한 전략적 로드맵(A Strategic Roadmap for the Future Olympic Movement)


(3)  Olympic Agenda 2020에서 명시한 40개 개혁권고안의 Highlight는 개최 희망도시의 진입장벽을 각각의 특성에 맞도록 눈높이 화하는 것과 개최도시의 재정부담 최소화 및 특혜제공

 

(4) 그 목적은 올림픽개최를 꺼려하는 올림픽 유치단계부터 다시 불을 붙이기 위한 것인데, Beijing2022 동계올림픽 유치과정에서 최종 경쟁후보도시가 겨우 2곳 밖에 안 남았던 현실 반영의 포석.

 

 

2)   Olympic Agenda2020에 명시된 올림픽개최도시 자격여건 및 개최특성

 

(1) 1국가 1도시 단독개최 원칙에 융통성 부여

A.  IOC가 그동안 고수해온 1국가 1도시 단독 개최원칙 사실상포기

 

B.  물론 기존 역대올림픽도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긴 했지만 경기장 문제 등에 기술적 요인에 기인한 것이고, 대회명칭에서 공식개최 도시는 대표도시만 허용

 

C.  대부분 경기 공식 개최도시에 밀집되도록 되었지만 IOC 1국가 내 2~3개 도시 대회분담 개최 수용--à 개최도시 재정적 부담경감효과

 

D.  추가로 IOC, 다른 국가와의 공동 개최도 허용---à 2국가 2도시 올림픽개최 가능하게 융통성부여 (Melbourne1956올림픽, 호주의 방역규정상 승마종목, 스웨덴개최허용 사례/, 대회도시명은 Melbourne으로 국한사용).

 

E.  향후 여력이 안 되는 복수의 국가 간에 복수도시 내세워 공동 개최가능--à 2002 FIFA 한일 월드컵 유사한 방식으로 서울-평양 올림픽, 런던-파리 올림픽이 가능하게 됨

 

(2) 개최국 정식종목 추천권한부여

A.  올림픽 개최국은 당해 올림픽에 한해, 개최국 추천 희망종목 5개 내외 정식종목 채택허용

 

B.  개최국들의 경우 자국 인기 종목 및 자국 메달획득 유리한 종목 채택----à올림픽 개최 이점 및. 흥행몰이로 작용 

 

C.  , 개최국 프리미엄선택 종목들의 경우, IOC 비용지원 제외--à 100% 개최국 자체예산 의무충당

 

D.  또한 이런 종목들의 경우, 당해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올림픽 기록 반영되는 반면, 차후 차기 대회 해당종목 경기 실시 의무 없음.

 

E.  해당 규정은 Tokyo2020 올림픽부터 반영되어 Tokyo2020 올림픽에는 야구-소프트볼, 가라데, 스포츠 클라이밍, 서핑, 스케이트보드 5개 정식종목 추가.

 

 

(3) 올림픽유치 비용 IOC 부담



 

A.  올림픽 개최 장애물로 간주되어온 복잡한 유치절차 간소화

 

B.  IOC 실사평가단 현장실사 비용 및 개최도시 브리핑 및 프레젠테이션 비용--à IOC 분담 (이전 유치과정에서 IOC대신 개최희망도시가 전액부담---à개최 후보도시 희소현상으로 IOC위기의식 발동으로 분석

 

(4) 남녀 메달 불균형 조절(양성평등 지향)

A.  올림픽대회 남자 종목 > 여자 종목 ----à 메달도 남자종목에 더 많이 할당

 

B.  레슬링, 복싱 같은 격투기 종목도 여자 종목 최근 추가 ---à 종목 수는 남자보다 상대적으로 적음

 

C.  이런 남녀 불균형 최대한 동등수준 조절 내용 포함

 

D.  정작 문제는 이런 과정에서 양성균형지향 하다가 일부 남자 종목 폐지 부작용----à 폐지된 종목이 주종목으로 출전하던 선수 필연적 불이익 감수

 

 

(5) 문제점과 과제


A.  사후 시설 관리 비용 문제 발생----àIOC가 조직위원회의 유산관리비용(Endowment Fund)관련 별도제도적 장치 마련시급

 

B.  특히 투명하고 공평한 수익 배분 문제 걸림돌 작용----à IOC가 수익금배분 공식 제도화 및 배분과목, 액수, 그리고 시기 등 상세 Roadmap을 조직위원회와 공동 사전작성 및 동등한 지위부여 시급  

 

C.  해당국제연맹과 협업하여 올림픽 제반 시설 설치와 기준 완화, 사후활용방안(유산계획) 사전마련 및 충분한 준비 노하우 사전공유

 

D.   사려 깊은 수익 배분---à 개최국가 또는 개최도시 개최비용 및 사후유산관리 대비 보상방안 다각도 검토 및 공유 (IOC우선 방식 양보 및 배제)

 

 

*초기 단계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 희망 각국 도시현황(18):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의사 또는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각국 유치희망 도시들(18) 현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바쿠(Baku), 아제르바이잔(2015년 제1회 유럽게임 개최도시)

(2) 도하(Doha), 카타르(2012년 및 2016년 올림픽 신청도시)

(3) 파리(Paris), 프랑스(1992년과 2008년 및 2012년 등 3차례 올림픽유치 후보도시)

(4) 베를린(Berlin), 독일(1936년 올림픽 개최도시 및 2000년 올림픽 유치후보도시)

(5) 토론토(Toronto), 캐나다(1996년 및 2008년 올림픽 유치후보도시, 2015년 범 미주 게임/Pan American Games개최도시)

(6) 두바이(Dubai), 아랍에미리트(UAE)

(7) 코펜하겐(Copenhagen), 덴마크(2009년 제121 IOC총회 개최도시)

(8) 카사블랑카(Casablanca), 모로코

(9) 상 페테스부르그(St. Petersburg), 러시아(2013 SportAccord컨벤션 개최도시)

(10) 로마(Rome), 이태리(1960년 올림픽 개최도시, 2004년 올림픽 유치후보도시, 2020년 올림픽 유치 철회)

(11) 더반Durban), 남아공(123 IOC총회 개최도시)

(12) 카잔(Kazan), 러시아(2013년 하계U대회 개최도시)

(13) 과달라하라(Guadalajara), 멕시코

(14) 미국 도시 경합 중(심사결과 결정된 보스턴 주민투표로 중도탈락 ---àLA로 최종 결정)

(15) 타이페이(Taipei), 대만

 

(16) 부산(Busan), 한국(2002년 아시안게임 개최도시)

 

 

 

 

(17) 나이로비(Nairobi), 케냐

(18) 키에프(Kief), 우크라이나

 

*유럽(8): 파리, 베를린, 로마, 상 페테스부르크, 카잔, 키에프, 바쿠, 코펜하겐 등

*미주(3): 토론토, 과달라하라, 미국도시 등

*아시아(4): 부산, 도하, 두바이, 타이페이 등

*아프리카(3): 더반, 카사블랑카, 나이로비 등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5. 6. 14:51

[자카르타 팔렘방개최 2018년 아시안게임 남북한 단일팀구성

7개 종목경기단체 관심표명 중 외신보도]  

 

 

 

4월28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2018년 아시안게임에 남북단일팀구성가능성 타진이야기 진

행 중(Talks underway over possible unified Korean team at 2018 Asian Games)이었

습니다.

 

 

 

 

 

2018년 4월 27일 역사적인 남북한 정상회담 이후, 남북한 선수들이 Jakarta

Palembang2018 아시안게임을 포함하여 종목별로 단일팀 일환으로 출전할 수 있을 것(could

compete as part of a unified team at events )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합니다.

 

 

연합뉴스보도에 따르면 문체부가 이미 40개 종목 별 경기단체들에게 오는 8월18일~9월2일

열리는 자카르타-팔렘방 2018년 아시안게임에서 북한 선수들과 함께 출전의지(willing to

compete alongside athletes from the North )여부를 문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농구(basketball), 카누(canoeing), 체조(gymnastics), 유도(judo), 조정(rowing), 정구(soft

tennis) 및 탁구(table tennis) 등 7개 종목경기단체가 단일팀 구성에 대한 생각에 관심을 표

명하였다(already expressed interest in the idea)고 합니다. 

 

 

그러한 움직임(such a move)은 지난 2월 평창2018동게올림픽 당시 남북한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출전을 이끌어 낸 주도권(initiative)사례를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고 있습니

다.

 

 

남북한 단일팀(a single Korean team)은 1991년 일본 Chiba세계탁구선수권대회와 같은 해

포르투갈에서 열린 FIFA청소년축구세게선수권대회에서도 구성되어 출전한 바 있습니다

 

 

문재인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North Koreas Supreme Leader)은 4월27일 정

상회담에서 양측의 점차적인 군비축소를 약속하였으며(pledged to gradually reduce

weapons on both sides) 1953년 한국전을 종식시킨 휴전(the armistice)을 금년 중 평화조

약(a peace treaty)로 전환시키도록 밀고 나아가기로 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판문점 평화의 마을(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에서의 정상회담은 남북한 정상간의

단지 세 번째 회담이었으며, 동 정상회담은 동계올림픽참가에 대하여 첫 번째로 열정적으로

언급한 김정은의 금년 신년연설문에 이어 한반도 관계의 괄목할만한 방향전환이 그 계기가 되

었다(It follows a remarkable turnaround in Pan-Korean relations following a New

Year's address by Kim in which he spoke enthusiastically for the first time about

participating at the Winter Olympics)고 보도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시안게임에서의 남북한 단일팀구성은 현재 멀리 떨어진 것으로 보일 것 같다(It is

likely that a unified team at the Asian Games remains a long way off, however)라는 보

도내용이었습니다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right, and North Korea’s Supreme Leader Kim Jong-un met earlier this week ©Getty Images(출처: insidethegames)

 

 

 

각 종목운영을 관장하는 국제연맹들은 이러한 단일팀 출전과 관련 지원사격을 해 주어야 할

것으로 전망되는 있으며, 동 사안이 긍정적인 홍보효과를 거양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반면, 대

중 및 선수들의 호응을 결집하는 것이 더 어려울 것(public and athlete backing may be

harder to muster )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평창2018대회개막 몇 주전에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결정(the decision to set-up the

unified ice hockey team just weeks before the Games)은 사전 협의결여로 인해 한국 내

에서 반발을 야기(caused a backlash in South Korea due to the lack of consultation

beforehand )한 바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한반도의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the volatile political situation)이 오는 8월까지 다시 한번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시나리오도 역시 가능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2019년 서울에서 330km Ejfdjwls 곳에 위치한 전남 광주광역시 개최 FINA세계수영선수권

대회에 북한참가를 확고히 하기 위한 회담도 역시 진행 중(talks are underway to ensure

North Korean participation)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References:

-inis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