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8. 2. 27. 09:53

[김연아 피겨 퀸 가능할뻔했던 추가선임 IOC위원자리 물 건너 간 평창2018 IOC총회 최종일 아쉬웠던 스포츠외교현장 스케치]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개최직전 열린 IOC총회에서 당시 Jacques Rogge IOC위원장은 IOC집행위원회를 거쳐 중국 여자쇼트트랙 세계 챔피언인 양양(Yang Yang)선수를 대회기간 중 참가선수들이 뽑는 선수출신 IOC위원과는 별도 쿼터로 최대 3명까지인 Active Athlete란 타이틀 IOC위원 중 첫 번째 케이스로 임명하고 IOC총회의 승인을 받아 추가 중국 IOC위원으로 힘을 실어 준 바 있었습니다. 이것은 명백한 중국 스포츠외교의 결실이기도 합니다.

 

 

 

실상은 이렇습니다.

 

 

선수출신 IOC위원 총원은 15명인데 각각 하계올림픽에서 8명과 동계올림픽에서 4명 등 도합

12명만 당해 동 하계올림픽기간 중 참가 동료선수들이 투표로 선출한 뒤 IOC총회에서 요식행위 투표로 선출 확정하는 절차를 밟아 왔습니다.

 

 

그러다 보니 15-12=3명이 남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나머지 3명 선수대상 IOC위원선출은 대륙 별 및 성별 안배라는 기본 원칙에 입각하여 IOC위원장과 IOC집행위원회가 선발한 뒤 IOC총회에서 통과의례 성 투표를 거쳐 정식 IOC위원으로 선출하게 됩니다.

 

 

 

대륙 별 안배 명분만 맞추면 각국 유명선수들 중 해당국 NOC 또는 IOC위원의 스포츠외교를 통한 추천과 사전 내정도 가능할 수 있는 무임승차 성 노른자위 IOC위원 선임의 등용문이 된 셈입니다.

 

 

 

그렇게 선출된 바 있는 중국의 양양 IOC위원이 드디어 8년 임기가 종료되면서 내심 평창2018개최국 동계올림픽 톱스타인 세계 피겨 퀸 김연아 선수가 그 자리에 내정 절차를 거쳐 IOC총회에 회부되어 선출될 수 있지 않을 까 하는 기대 아닌 기대가 있어 왔습니다.

 

 

 

물론 애석하게도 한국에는 Rio2016올림픽대회 시 동료선수들이 선출한 유승민 IOC위원이 이미 존재함에 따라 대륙 별 국가 별 균형유지라는 IOC규정에 의거하여 김연아 선수의 임명 직 IOC위원 선임이 불리할 수도 있다 라는 우려는 있었지만 그래도 실낱 같은 기대와 희망이 있어 온 것이 주지의 사실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225일 제132IOC최종일 대회기간 중 동료선수들이 선출한 2명의 선수출신 IOC위원 외에 추가로 또 다시 양양에 이어 중국출신 여자 스케이팅 선수인 장홍(/ Zhang Hong/29: 1988412일 생)이 내정되어 IOC총회 요식행위 성 찬반투표를 통해 당당히 IOC위원으로 선출되는 일이 225일 제132IOC총회 최종일 벌어 지게 된 것입니다.

 

 

이는 평창2018 기간 동안 참가 동료선수들의 투표로 당선되어 찬반투표로 선수출신 정식 IOC위원으로 선출되었고 평창2018 폐회식에서 전 세계를 향해 인사 드렸던 핀란드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인 Emma Terho 와 미국 여자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인 Kikkan Randall 케이스와는 확연히 다른 경우입니다.

 

(Kikkan RandallEmma Terho/출처: IOC홈페이지)

 

 

 

중국의 스포츠외교력에 의해 내정되고 선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평창2018 선출 제3의 선수출신 IOC위원으로 등장한 장홍(Zhang Hong)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장홍/출처: Daum 백과사전)

 

 

장홍 신임 IOC위원은 당초 평창2018 동안 선출예정인 2명의 IOC위원 후보 6명 중 한 명으로 동료 선수들 투표결과 4위를 차지 한 바 있습니다. (위 투표결과 표 참조)

 

 

지난 221일 종료된 선수출신 IOC위원 투표 집게결과 2명의 IOC위원이 선출되었으며(Emma Terho Kikkan Randall) 224IOC집행위원회에 상정되었고 225IOC총회에서 선출되는 절차를 밟았습니다.

 

 

IOC선수위원회 규정에 의거, 그리고 IOC위원장의 요청에 따라(upon the request of the IOC President), IOC집행위원회는 선수들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in order to ensure a balanced representation of the athletes) IOC총회에 최대 3명의 임명된 IOC위원 후보 내정자들이 선출되도록 제안할 수 있다(the IOC EB can propose to the Session, for election as IOC Members, up to three appointed members)고 합니다.

 

 

IOC위원장과 IOC집행위원회는 중국의 여자 스케이팅 선수인 장홍을 IOC위원 겸 IOC선수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도록 안건으로 IOC총회에 상정하였으며(The IOC President and Executive Board elected to put forward Hong Zhang from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peed skating) for election as an IOC Member and as a member of the IOC Athletes’ Commission) 225IOC총회는 Sochi2014 동계올림픽 여자스피드 스케이팅 1.000m 금메달리스트인 장홍 선수를 선출한 것(The Olympic champion was elected by

the Session today)으로 요약될 수 있겠습니다.

 

 

이로서 중국은 Zaiqing Yu IOC부위원장을 포함하여 Lingwei LI 그리고 장홍 등 총 3명의 IOC위원을 보유하게 되어 아시아의 스포츠외교 강국의 지위를 굳건히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초 중국의 양양선수 IOC위원후임이 총회에서 선출될 가능성이 있긴(remains possible) 하지만 상기 6명의 선수출신 IOC위원 후보군 중 3위를 차지한 선수가 선발될 경쟁자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not necessarily be the competitor who is selected)는 이야기도 흘러 나온 바도 있었으며 현실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동계올림픽 경기력에 관한 한 중국보다 더 훌륭하고 출중한 실력과 외모와 경력과 인지도가 훨씬 높은 그리고 당해년도 동계(평창2018)올림픽 개최국인 한국출신 불세출의 세계피겨 퀸인 김연아 선수가 왜 배제되었는지 궁금해 지는 대목입니다.

 

 

(김연아 피겨 퀸)

 

 

Rio2016 선출된 바 있는 하계종목 선수출신 유승민 IOC위원이 있어서 “11선수 IOC위원원칙이 걸림돌이 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18227일 현재 IOC선수위원회 선수출신 IOC위원 수는 중국의 장홍 포함 모두 13(IOC위원 선수위원 제외)입니다.

 

13명 중 여성 IOC위원이 총 9명 그리고 남성 IOC위원은 단 4명입니다.

 

IOC는 향후 2명의 지명추대 선수대상 IOC위원(8년 임기)을 대륙 별 안배를 원칙으로 선발하여 선출할 것이 예상됩니다.

 

차기 제133IOC총회는 금년 2018 108~9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제3회 하계 청소년올림픽대회(YOG)에 맞추어 열릴 예정입니다(The next IOC Session is scheduled to take place in Buenos Aires (Argentina) from 8 to 9 October 2018. )

 

 

[IOC선수위원회 구성현황(2018227일 현재)]
Chair(당연직 IOC집행위원)

(1) Kirsty COVENTRY(위원장/여성/짐바브웨/평창2018에서 위원장으로 선출)

        

 

 
Vice-Chair

(2)Danka BARTEKOVA(부위원장/여성/슬로바키아)

 

Members(선수위원 12)

(3)Daniel GYURTA(헝가리)
(4)Britta HEIDEMANN(
여성/독일)
(5)Stefan HOLM
(스웨덴)
(6)Yelena ISINBAEVA
(여성/러시아)
(7)Kikkan RANDALL(
여성/미국)
(8)Seung-min RYU(
한국)
(9)Emma TERHO(
여성/핀란드)
(10)James TOMKINS, OAM(
호주)
(11)Sarah WALKER(여성/뉴질랜드)
(12)
Hayley WICKENHEISER(
여성/캐나다)
(13)
Hong ZHANG(
여성/중국)


Nadin DAWANI
Chelsey GOTELL
Aya MEDANY
Saina NEHWAL
Luis SCOLA
Patrick SINGLETON

Director in charge

Sports Director

 

(평창2018 개최 제132IOC총회 선출 선수출신 IOC위원 3/출처: IOC홈페이지)

 

 

*Referenc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2. 23. 09:15

[평창2018 선수출신 IOC위원 2명 어떻게 선출되었을까 이모저모 스케치]

 

 

221일까지 평창2018 각국 참가선수들에게 주어진 투표권행사가 마감되고 집계과정을 거친 다음날인 222() 드디어 2(핀란드 아이스하키 선수 및 미국 크로스컨트리 선수)의 동계종목선수출신 IOC위원 2명이 선출되었다고 합니다.

 

 

(Kikkan Randall Emma Terho 신임 선수출신 IOC위원당선자/출처: IOC홈페이지)

AddThis Sharing Buttons

Share to KakaoShare to LINEShare to Email AppShare to RedditShare to 더 보기

 

 

핀란드 출신 여자아이스하키 여자선수인 Emma Terho와 미국출신 크로스컨트리스키선수 여자선수 2명이 동계종목 선수출신 IOC위원으로 선출되었다고 222일 발표되었다고 합니다.

 

 

평창2018 동계올림픽기간 동안 실시된 선거에서 Terho선수가 최다투표수인 1,045표를, 뒤이어 Randal선수는 83l명 선수의 투표지지를 받았다고 합니다.

 

 

향후 이들 2명의 신임 선수출신 IOC위원은 자동적으로 IOC선수위원회 위원 겸 8년 임기의 IOC위원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Terho선수와 221일 열린 평창2018 크로스컨트리 스키 단체 스프린트(team sprint)에서 금메달을 딴 미국 팀의 일원이기도 한 Randall선수는 각각 미국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출신 겸 IOC선수위원장을 역임한 Angela Ruggiero와 영국 스켈레톤 선수출신 IOC위원이었던 Adam Pengilly의 자리를 이어 받아 이들과 임무교대 하게 됩니다.

 

 

노르웨이 크로스컨트리 스키선수인 Astrid Uhrenholdt Jacobsen은 이들 2명 다음으로 많은 808표를 득표하였으며9 polled the next highest amount with 808) 4위은 중국의 여자빙속 선수인 Zhang Hong787표를 획득하였다(followed by Chinese speed skater Zhang Hong with 787)고 합니다.

 

 

이태리 루지 전설로서 후보에 나섰던 Armin Zöggeler선수는 761표로 5, 스페인의 스켈레톤 선수출신의 Ander Mirambell후보는 664표로 6명 중 6위를 기록하였다고 합니다.

 

 

이들 신임선출 IOC선수위원회 위원 2명은 평창2018 폐회식 당일 열리는 제132IOC총회 2부회의에서 공식투표를 통한 우선 IOC위원 자격 인준 검증을 받고 이어서 평창2018폐회식에서 공식적으로 IOC위원 선서 식(sworn in as IOC members at the Closing Ceremonies of PyeognChang2018))을 갖게 될 예정입니다.

 

 

IOC위원들 다수(significant numbers of the IOC membership)가 이미 평창2018을 떠났기 때문에 정족수 문제로 225일 제132IOC총회 2부회의가 예정대로 열릴 지 아직 알려지고 있지 않다(still not yet known)고 한 인터넷 외신이 보도하고 있습니다.

 

 

 

 

 

중국 IOC선수출신 IOC위원(Active Athlete)역시 8년 임기를 끝내고 IOC선수위원회 위원 직에서 물러날 예정(also due to stand down from the Athletes' Commission)이라고 합니다

 

 

양양선수 IOC위원후임이 총회에서 선출될 가능성이 있긴(remains possible) 하지만 상기 6명의 선수출신 IOC위원 후보군 중 3위를 차지한 선수가 선발될 경쟁자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not necessarily be the competitor who is selected)는 이야기도 흘러 나옵니다.

 

 

 

 

금번 동계종목선수출신 IOC위원 2명 선출투표권은 평창2018출전한 모든 등록선수들에게 주어 진바 있습니다.

 

 

 

2,919명의 선수들 중 2,448명의 선수만이 투표권을 행사함으로 투표율 84% 근사치를 보였다(representing a turnout of nearly 84 per cent)고 합니다.

 

 

Terho Randall 2명의 신임 선수출신 IOC위원당선자는 향후 2년 간 IOC선수위원장으로 퇴임하는 미국의 Ruggiero IOC선수위원장 뒤를 이어 이끌어 갈 짐바브웨 출신 IOC위원인 Kirsty Coventry휘하에서 봉사할 것(serve under chairperson)이라고 보도되었습니다.

 

 

 

슬로바키아 출신 Danka BartekovaIOC선수위원회 부위원장 직을 수행할 것입니다.

 

Terho 신임 IOC위원은 동메달을 획득한 Nagano1998동계올림픽 핀란드 여자 아이스하키 팀 및 12년 후인 Vancouver2010 핀란드 팀 일원이었다고 합니다.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가 IOC선수위원으로 선출된 것은 Vancouver2010에서 미국의 Angela RuggieroSochi2014에서 캐나다출시 Hayley Wickenheiser에 이어 이번이 세 번 연속 당선 케이스라고 합니다.

 

다음은 Angela Ruggiero 직전 IOC선수위원장의 축하 트위터 내용입니다:

 

“Congrats @ELaaksonen3 and @kikkanimal on your election to the IOC Athletes’ Commission! @Athlete365 #goodluck pic.twitter.com/mCBK0gFmBK

— Angela Ruggiero (@AngelaRuggiero) February 22, 2018

 

 

Terho신임 선수출신 IOC위원(36)는 이미 핀란드 올림픽위원회 및 핀란드 아이스하키연맹 집행위원이기도 하답니다.

 

반면 Randall신임 선수출신 IOC위원(35)2013Val di Fiemme개최 세계크로스컨트리 선수권대회 미국 팀 일원이었다고 합니다.

 

Bandall신임 선수출신 IOC위원은 미국 IOC위원들인 Larry ProbstAnital DeFrantz에 이어 3번 재 미국 IOC위원으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Terho의 경우 Rio2016 IOC총회에서 선출된 핀란드 IOC위원인 Sari Essayah에 이어 두 번째 핀란드 IOC위원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2. 20. 14:28

[스포츠와 힘과 올림픽의 글로벌 브랜드파워 Update]

 

 

이 세상에는 인류가 가장 선호하는 5가지 공통 언어가 존재합니다:

 

(Money), 정치(Politics), 예술(Art), 섹스(Sex), 그리고 스포츠(Sport)’가 그것입니다.

 

 

 

 

그 중 5번째에 해당하는 스포츠는 남녀노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우리인생을 살 맛나게 해주는 가장 건전한 필수 콘텐츠이기도 합니다.

 

 

고전적 의미의 인류 3대 필수요소는 의식주(Food, Clothing, and Shelter)이지만 현대사회에서 신 개념적 3대 필수요소는 청정한 물’(Clean Water), ‘맑은 공기’(Clean Air), 그리고만인의 스포츠’(Sport for all)라고 정의해 보고 싶습니다.

 

 

스포츠는 자나 깨나 직접 실행하든 관람하든 응원하든 뉴스매체를 통해 접하든 간에 하루도 스포츠 없는 일상은 상상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Thomas Bach IOC위원장이 설파한 스포츠의 힘과 올림픽의 역할에 대한 발언 내용입니다:

 

“Like no other human activity, sport has the power to unite people, regardless of background, culture or belief.” (인간의 어떤 다른 행위와도 구별되고 있는 스포츠야말로 배경과 문화 또는 믿음과 상관 없이 사람들을 결집시켜주는 힘을 지니고 있음)

 

“This unique unifying pow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hat sport and the Olympic Games can give us.” (이러한 독특한 결집지향 파워는 스포츠와 올림픽이 우리에게 선사해 주고 있는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임)

 

“In our fragile world today, where mistrust and uncertainty are on the rise, sport is an anchor of stability for so many people, giving us hope that our shared humanity is stronger than the forces that want to divide us.” (불신과 불확실성이 난무하고 있는 오늘날의 취약한 세상에서 스포츠야말로 수 많은 사람들에게 안정감을 정착시켜주는 하나의 닻의 역할을 해 주고 있으며 우리가 함께 나누는 인간애가 우리를 분열시키고자 준동하고 있는 세력들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라는 희망을 주고 있는 것임)

 

스포츠는 인류선호 5대 언어들 중 나머지 4가지 언어적 특성 모두를 내재하고 있다. 스포츠의 인류보편타당적 결과물이 바로 올림픽입니다.

 

 

올림픽은 지구촌 정치의 변모하는 얼굴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때로는 국제적 논란거리를 만들어 주기도 하였고 문화 교육 예술 육체적 미적 율동이 한데 어우러진 복잡 미묘 다단한 종합축제의 한 구석에 인간의 돈에 대한 집착의 무대를 꾸며주기도 하는 기기묘묘한 인류생태 심리학적 문화유산의 최대 걸작 품이기도 합니다.

 

 

40억 지구촌 가족이 열광하는 가운데 지난 1996년 근대 올림픽이 드디어 100주년을 기념하는 올림픽(미국 애틀랜타)이 성황리에 치러졌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주최국 중국이 지금까지 세계최강 이었던 미국을 누르고 새로운 1인자 자리로 등극하는 등 새로운 국면이 시작된 바 있습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개회식)

 

 

 

 

최근 국제적으로 실시된즉석 인지도 조사’(Spontaneous Awareness Survey)결과 올림픽이월드컵축구 2배의 인지도와 영향력을, ‘윔블던 테니스대회(Wimbledon Tennis Championships)’보다 3, ‘포뮬러 원(Formula One Motor Racing Grand Prix)자동차 경주대회보다 4, ‘투르 드 프랑스(Tour de France) 사이클 대회’, ‘슈퍼볼 미식축구대회(American Super Bowl)’, ‘월드시리즈 야구대회(World Series of Baseball)’ 보다 6, 그리고미국 컵(America's Cup)’ 데이비스 컵 테니스대회(Davis Cup)’보다는 무려 10배나 더 높은 인지도를 보여 존 바 있었습니다.

 

 

또한 올림픽은 수 조원의 수익이 보장되는 부가가치 창출 비즈니스(Multi-billion dollar business)로서황금 알 낳는 거위(A goose that lays golden eggs)’로도 비유되곤 합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은 前 사마란치 IOC위원장이 역대 최고의 올림픽(The most Universal and the Best Games ever)이라고 극찬 한 바 있습니다.  

 

 

 

(사마란치 IOC위원장/서울올림픽10주년 <1998년>기념행사 시 올림픽공원에서)

 

 

 

(바르셀로나 CAIXA은행 본관 22층 사마란치 위원장 개인 집무실에서 필자와 함께/2007)

 

 

 

1988 서울올림픽유치가 확정된 1981.09.30 서독 바덴바덴 (Baden Baden) IOC총회까지 대한민국이 유치하여 개최한 국제스포츠행사라고는 1975년 제2회 아시아 체조선수권대회, 필자가 한국외국어대학 영어과 재학시절 통역으로 참가하여 스포츠 계와 숙명적 인연을 맺게 해준 바 있는 1978년 제42회 세계 사격선수권대회, 1979년 제1회 세계 공기총 선수권대회 및 제8회 세계 여자농구선수권대회 그리고 1980년 아시아 역도선수권대회가 고작이었습니다.

 

 

1988 서울올림픽유치 당시 한국은 한국의 국제적 지명도, 신인도, 인지도 등이 대외홍보부재로 별 볼일 없었다. 치명적 핸디캡이었습니다.

 

 

대외적으로 알려진 그 당시 대한민국의 위상은 Japan Times지에 게재된한국정부가 일본에 미화60억불 차관을 요청하였지만 그 직후 개최된 한-일 각료회담 시 교섭이 잘되지 않고 있다는 보도에 의한 경제개발도상국이라는 것과 미국 TV 드라마 “MASH(Mobile Army Surgical Hospital: 야전군대 외과병원)”을 통해 한국은 1950-1953 한국동란이란 전쟁을 치르고 미군이 도와주는 열악한 환경의 미국원조대상국이자 경제여건이 어려운 분단국이미지 그 자체였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스포츠가 세계적인 강국으로 발돋움하게 된 데에는 스포츠외교의 힘이 절대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시발점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유치한 1981 930일 서독 바덴바덴(Baden Baden)에서의 함성이었습니다.

 

 

그 후 1994년 제12차 파리 올림픽 콩그레스 겸 제103 IOC총회에서 태권도가 역사적인 올림픽정식종목으로 채택되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대회 개 폐회식장에서 남북한선수단이 공동 입장한 것은 우리스포츠외교사에 길이 남을 쾌거였을 뿐만 아니라 지구촌 가족들에게 평화와 감동의 진한 메시지를 전한 불멸의 발자취로서 기록되고 있습니다.

 

 

또한 2002년 한국-일본 FIFA월드컵 공동개최에 따른 한국축구의 4강 신화, ‘붉은 악마 응원단’,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07년 남아공 더반(Durban) 대첩으로 역사에 길이 남게 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성공적 유치와 개최를 통해 전 세계에 보여준 대한민국의 막강한 응집력과 단결력은 스포츠를 통한 국가브랜드 파워의 진면목을 유감없이 표출하여 주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해당 종목 별 스타 선수는 예외 없이 일반 스포츠 팬(Fan)을 광적으로 끌어들이는 스포츠 브랜드 파워의 원천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피겨여제 김연아 선수, 평창2018을 계기로 쇼트트랙의 여제로 등극한 최민정 선수, 역시 스켈레톤 황제 윤성빈 선수, 빙속 여제 이상화 선수, 이승훈 Mass Start 빙속 스타, 우리나라 여자 컬링 팀 선수들, 리듬체조의 손연재 선수, 수영의 박태환 선수, 축구의 박지성 선수, 야구의 박찬호, 추신수와 이승엽 선수, 골프의 신지애, 박세리, 최경주, 박지은, 미셀리 등을 비롯하여 기라성 같은 각 종목 별 올림픽 메달리스트 등은 그 좋은 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평창2014 유치위원회 국제총장 시절 세계 피겨 여왕 김연아 선수와 함께)

 

 

이러한 스타 선수들이 출전하는 국제스포츠 브랜드 파워는 지역적, 국가적, 글로벌 상품가치와 홍보효과 그리고 부가가치 또한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연관된 스폰서와 TV 등 미디어의 지원 등에 힘입어 국제스포츠이벤트는 지구촌황금 알 낳는 거위(a goose that lays golden eggs)’의 등용문이 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2. 20. 09:44

[국제소통과 스포츠외교현장 및 스포츠글로벌 파워 그리고 올림픽유치 최적 노하우]

 

다음은 모교인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초빙되어 '국제소통과 스포츠글로벌 파워 그리고 족집게 영어'란 제목으로 특강한 내용입니다:

 

 


1. 국제경험과 적용 그리고 스포츠외교 노하우

 

 

1982년 대한체육회/대한올림픽위원회에 특채되어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1984년 LA올림픽,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 1988년 서울올림픽,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994년 릴리함메르 동계올림픽,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002년 솔트 레이크 시티 동계올림픽을 비롯하여 동 하계 아시안게임, 동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등에 한국선수단 섭외임원 겸 대회조직위원회 상대 한국선수단 단장대행, 선수단장회의대표, 역대 올림픽조직위원회 협상대표 등으로 올림픽을 비롯한 각종 국제종합경기대회 조직과 운영을 현장에서 체험하고 토론하면서 국제스포츠이벤트에 대한 국제소통 능력과 노하우가 쌓였습니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각국 선수단장회의)

 


 


(국제스포츠총회/ANOC, OCA. EAGA등 국제기구 회의에서의 국제소통현장)

 

특히 2008년 올림픽유치후보도시(5개: 베이징, 오사카, 토론토, 파리, 이스탄불)에 대한 현지 정밀 실사 평가를 책임을 맡은 IOC 올림픽평가위원(IOC Evaluation Commission Member) 직을 수행하면서 IOC측과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 간의 시각 및 견해 차 그리고 쌍방 간에 주장하고 어필하고 요구되는 것을 비롯하여 특장점 기술적 평가와 보고서 작성 등에 직접 참여하면서 다양한 지식과 내공을 습득하게 되었습니다.

 

 


(2008년 올림픽유치후보도시 IOC평가위원회 현지실사 시설 방문/베이징 2001년)

 

(IOC평가위원들: 좌로부터 Sergey Bubka 우크라이나 IOC위원, Hein Verbruggen IOC평가위원장, Carlos Nuzman 브라질 IOC위원 겸 2016 리오 올림픽조직위원장, 필자)


 

(2008년 올림픽 유치후보도시인 토론토 IOC실사방문 현지뉴스레터)

 


(20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회 유치후보도시 최종평가보고서 작성 후 당시 사마란치 IOC위원장으로부터 격려 받고 있다.)

 

 


(엘리제 대통령 궁에 자크 시락 프랑스 대통령 예방)

 

 

 

(장쩌민 중국국가주석 예방)

 

 


(당시일본 모리 총리 겸 현재 Tokyo2020조직위원장과 함께)

 

 


(크레티앙 캐나다 총리<가운데> 및 토론토 주재 한국총영사<좌-1>와 함께)

 

 

 


IOC실사 평가위원들이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에 대한 질문 각도와 의도 그리고 이에 대한 정확하고 만족스러운 응답 요령 등에 대해 간단 단순 명료하게 정의하고 대처하는 나름대로의 식견도 축적되었습니다.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이 IOC가 인정하고 공인한 국제스포츠행사에 참가하여 공식 프레젠테이션에서의 발표요령 및 질의응답 대처방안 등은 직접 경험하지 않고는 자신 있게 어필할 수 없는 것입니다.

 

종종 국제스포츠행사에서의 프레젠테이션 또는 외신기자회견에서 받게 되는 예상치 못한 불시의 질문에 지혜롭게 응답할 수 있으려면 상당한 경험과 내공에 기초한 임기응변 능력과 여유 그리고 피나는 노력이 필수 조건입니다.


 


(2010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 시절 프라하 IOC총회<2003>에서 프레젠테이션 장면)

 

 

 

2010년 및 2014년 평창이 동계올림픽 유치과정에서 실제로 유치위원회 국제사무총장 직무를 수행하면서 국제스포츠행사에서 각종 프레젠테이션, 외신기자회견, 질의응답과정에 실제로 참석하여 대응하면서 국제소통현장을 직접 체험하였습니다.

 

 

 


 


(평창2010 동계올림픽 유치 IOC실사평가회의 장면/좌로부터 권혁승 평창군수, 김진선 강원도지사, 공로명 유치위원장 겸 전 외무장관, 박용성 IOC위원. 도영심 STEP재단 이사장, 회의 진행 중인 필자, 최만립 유치위원회부위원장, 김연환 KOC총무)

 


2010년 및 2014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를 위한 IOC실사평가 단의 평창 현지실사 방문회의에서는 회의진행자(Moderator)로서 역할도 해 보았습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 IOC실사평가를 앞두고 유치위원회 국제자문역으로서 모의 IOC평가위원으로 실사회의를 대비하는 모의 국제회의에 참여하여 2003년 프라하 개최 IOC총회에서는 평창2010 유치위원회 프레젠테이션 대표로 프랑스어로 평창의 유산에 대하여 호소하였습니다. 

 

 35 년이상의 국제적 현장경험을 토대로 어떻게 하면 올림픽유치를 훌륭히 준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간단 단순 명료"한(brief, simple, and clear) 비결을 소개 하고자 합니다.

 

 

모든 국제회의에서 질문과 답변 공히 "간단, 단순, 명료"(Simplicity, Brevity, Clarity)할수록 점수가 높습니다.

 

"KISS"(Keep It Short and Simple/짧고 단순하게 유지하는 )가 가장 바람직한 비결입니다

 

물론 여유와 유머가 가미된다면 "금상첨화"("adding flowers to embroidery")입니다.


 

 

 

2. 국제적 프로젝트 성공적 조직을 위한 5대 핵심요소:

 


*Five (5) Key Elements to a Successful 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Project

 

 

In order to ensure a successful bid and organization of the international project,

5 essential strategic plans need to be drafted and fulfilled.

 

 

1)  Good Organization(훌륭한 각 부문 별 조직 및 운영체계: 참가대상중심, 행사중심, 미디어 친화, 경기장 등 시설 완비, 편리한 접근 성, 통신, 수송, 숙박 등의 최적여건 마련):

It means the Project should be participants-friendly, events-friendly, and media-friendly.

 

 


It would have comprise a compact Event master plan including an ideal location of the Event-related venues and facilities, and a convenient access to all of these facilities, plus state-of-the-art communications services, smooth transportation services and comfortable accommodation services during the whole length of the Event period.

 



2) Good Technology & Logistics(훌륭한 기술력과 상세 조달계획: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과 최적수준의 조달, 수송, 숙박, 통신, 행사장시설, 제반 인프라, 인적 자원, 안전, 교통, 관중, 미디어, 방송, 비상대책 등):

 


In compliance with fast-advancing global standards of technology, and needs of optimal level of logistics, cutting-edge technology and logistics system should be smoothly functioning and provided for all sectors of the Project-related infrastructure.

 

 

 


3) Good Public Support(뛰어난 대중적 지지: 각급 정부 등 공공지원 및 범국가적 범국민적 그리고 열정적 성원):


It means not only all levels of strong Government support but a passionate support from across the nation.

 

 


4) Good Environment(훌륭한 환경대책: 환경친화, 생태친화, 설계단계부터 치밀하고 안전한 실행계획에 의거한 지속발전가능 환경 컨셉):

 


Environmentally-friendly and eco-friendly Event plan would have to be made available based o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oject concept and related action-plans from the designing stage.

 

 



5) Good Legacy(훌륭한 유산전파: 행사 개최 후 도시, 지역, 범국가적 범주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차원의 긍정적이고 발전지향적 파급효과 거양/다음세대에 대한 국제 이벤트의 비전과 사명, 이벤트를 통한 핵심가치의 확산 등등):

 

 


Development plans and post-Event legacy for a local, regional, and national level would have to be in place not only economically but also socially and even politically, if applicable, after the Project. Good legacy plans of the Project would provide the next generation with what the vision and mission of the International Events are all about as well as the dissemination and universality of the core values (Excellence, Friendship, Respect) through event.

 

 

 

 


It would bring together peace and harmony of the people and the community through the Project.

“Celebrate Humanity!” (이러한 5가지 요소는 프로젝트를 통해 인류의 평화와 화합을 선사해 준다. 인류를 찬양하자!)


“Good company, Good wine, Good welcome can make Good people.”(좋은 친구, 좋은 와인, 따뜻한 환영은 좋은 사람들을 맺어준다.)
-William Shakespeare



And Good people can make Good and Successful Project!
(그리고 좋은 사람들은 훌륭하고 성공적인 프로젝트성공을 가능케 해 줄 수 있다.)

 

 

 

 

 

 


(자크 로게 IOC위원장과 함께/2003년)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2. 19. 14:22

[평창2018 IOC총회 2(225) 정족수 부족으로 총회무산 난관봉착(?) 스케치]

 

 

218일 자 한 외신기사제목은 “IOC총회 평창2018 조기출국 IOC위원들로 신임 IOC 선출선수위원 2명 선서 불투명”(IOC Session to swear in new athlete representatives in doubt as members leave Pyeongchang 2018 early)이었습니다

 

 

 

 

(제132차 평창개최 IOC총회를 주재하고 있는 Thomas Bach IOC위원장<좌 -1>, Christophe de Kepper IOC사무총장<좌-2>, Juan Antonio Samaranch Jr. IOC부위원장<좌-3> 등 IOC집행위원 단/출처: insidethegames)

 

 

다음 주 일요일(225) 오전으로 예정된 제132IOC총회 2부 회의가 참석 IOC위원 수 부족으로(due to a shortage of members attending) 계획대로 속개될 지 여부에 대한 늦은 결정이 내려질(a late decision is set to be taken) 전망이라고 합니다

 

올림픽헌장규정에 따르면 총회개최유효정족수(quorum required for a valid Session) IOC위원 총원 50%+1(half the total membership of the IOC plus one)이라고 합니다.

 

현재 IOC위원 현원은 정확하게 100명이므로 총회개최 유효 참석인원 수는 51명이 되어야 합니다.

 

지금으로써(at the moment), IOC지휘부(leadership)는 평창2018조기출국 IOC위원들의 수 때문에 51명의 정족수를 채우지 못할까 염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IOC지휘부는 더 많은 IOC위원들이 평창에 남아 있던지 떠난 위원들은 복귀하도록 종용하고 있는 상황으로(currently attempting to coerce more members into staying or returning) 알려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IOC총회자체가 정족수 부족으로(because of a failure to reach the quorum) 취소되었었던 기록 사례(no recorded example of an IOC Session having ever been cancelled)는 없다고 합니다.

 

132IOC총회 최종일인 225()은 평창2018 폐회식이 있는 날인데 총회회의는 오전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132IOC총회 2부회의 소집 주요목적(primary purpose)은 대회기간 중인 오는 221()까지 열려있는 투표에서 각국 참가 동료선수들 손으로 선출될 IOC선수위원회 신임대표 2(선수출신 IOC위원)이 총회에서 IOC위원 선서(to swear in)를 받고 그 자리에서 IOC위원으로 인준 받는 절차인 것입니다.

 

 

 

 

Several IOC members, including the longest-serving one, Richard Pound, plan to have already left Pyeongchang 2018 by the time the Session resumes next Sunday ©IOC (132차 평창개최 IOC총회 모습/출처: IOC 홈페이지)

 

 

 

만일 IOC위원 정족수 미달의 경우 우편투표(postal vote)를 통해 통과의례 식 임명(rubber stamp these appointments)을 진행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올림픽헌장 상에는 우편투표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지만 전에 우편투표를 실시했던 사례들이 있다고 합니다.

 

1948년 올림픽대회개최지로 영국 런던을 IOC집행위원회가 추천하면서 이런 방식으로 IOC총회전체의 인준을 받았다(ratified by the full Session in this way) 고 합니다.

 

물론 그 시절에는 국제적 여행이 훨씬 더 어려웠을 당시 생긴 일이긴 하지만 1936년 올림픽개최도시인 독일의 베를린의 경우도 우편투표방식으로 선출되었다고 합니다.

 

 

IOC현원 100명 명단에는 아일랜드의 Patrick Hickey와 나미비아의 Frankie Fredericks IOC모든 활동으로부터 잠정적 자가 자격정지(two temporary self-suspended from all IOC activity)중인 2명의 IOC위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3명의 IOC위원으로는 태국의 Nat Indrapana IOC위원과 러시아의 Yelena Isinbayeva IOC위원 및 카타르 국왕(the Emir of Qatar) IOC위원인 Sheikh Tamim 등은 2월 초 제132IOC총회 1부 회의를 놓친 바 있으며 다음 주 225일 총회 2부에도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합니다

 

러시아 여자 장대높이뛰기 전설인 Isinbayeva IOC위원의 경우 지난 주 두 번째 애기를 출산하였다(gave birth to her second child last week)고 합니다.

 

영국 선수출신 Adam Pengilly IOC위원은 이곳 평창2018보안요원과 연루된 사건 이후(following an incident involving a security guard here) 귀국하였으며 복귀할 것 같지 않다고 합니다.

 

IOC최고참 위원인 캐나다의 Richard Pound IOC위원의 경우 이미 폐회식 불참선언과 함께 오는 222일 귀국할 계획으로 IOC총회 2부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는 최 고참 IOC위원에게 전통적으로 부여되는 마무리 인사말을 이미 해 버린 바(already delivered the closing remarks traditionally given by the longest-serving member) 있습니다.

 

132 IOC총회 2부회의 전에 열리는 IOC집행위원회가 역시 예정되어 있는데 이 회의에서는 폐회식에서 러시아선수들이 자국 기를 들고 행진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인가(whether to allow Russian athletes to march under their own flag at the Closing Ceremony)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OC집행위원회 역시 회의정족수는 총원15명 중 과반수인 8명이 요구되는데 이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A vote is currently taking place for new IOC Athletes' Commission members but the process to formally ratify the successful candidates as members could be delayed ©Getty Images (선수출신 신임IOC위원 2명 선출투표 진행 중/출처: insidethegames)

 

 

 

2명 자리의 IOC 신임선수위원 선출경쟁에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은 다음의 모두 6명의 동계선수들입니다:

 

 

 

1)   Armin Zöggeler(이태리 루지 레전드)

2)   Astrid Uhrenholdt Jacobsen(노르웨이 크로스 컨트리 스키선수)

3)   Kikkan Randall (미국 크로스 컨트리 스키선수)

4)   Ander Mirambell (스페인 스켈레톤 선수)

5)   Emma Terho (핀란드 여자아이스하키 선수)

6)   Zhang Hong (중국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29)

 

 

(Zhang Hong)

 

 

상기 6명의 후보들 중 2명이 선출되면 IOC선수위원회에서 임기만료(8-year mandate will end)가 되는 영국의 Adam Pengilly와 미국의 IOC선수위원장이었던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출신 Angela Ruggiero를 교체 하게 됩니다.

 

2010년 밴쿠버 IOC총회에서 Active Athlete자격으로 IOC위원장 추천으로 IOC집행위원회 및 IOC총회 인준을 거쳐 선출된 바 있는 중국 여자쇼트트랙의 레전드인 Yang Yang IOC위원 역시 8년 임기를 채우고 물러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also standing down)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2. 10. 10:54

[평창2018 132 IOC총회 2일차(27) 시간대 별 총 결산 상세요약정리]

 

1.    시간대 별(Timeline)평창2018 IOC총회논의 주요소식 및 상황정리

 

 

 

 

1) 2월7일(수): 제132IOC총회 제2일차 회의 시작(Day two begins at the132nd IOC Session) 시간대 주요 이슈 소식

 

 

(1) 평창2018개막2 속개된 제2일차IOC총회에서 평창2018최종마무리 준비진척사항 보고(Pyeongchang 2018 provide progressreport two days before Opening Ceremony)

 

 

(2) Samih Moudallal시리아IOC위원 한국정부가 항공사에서 자신탑승제지토록 하였다고 주장함(Syrian IOC member claims South Korean Government told airline not to let him travel)

 

 

(3) Tokyo2020올림픽 수질, 도전과제로 여겨지고 있음(Water-qualityhailed as challenge for Tokyo 2020)

 

 

(4) Beijing2022동계올림픽 신규추가종목 없음(No new sports at Beijing2022 Winter Olympics)

 

 

(5) Paris2024조직위원회 집행부 양성균형여부 질의 (Paris 2024questioned about gender balance on ruling Board)

 

 

(6) 노로바이러스가 평창2018 발병으로 900 군대인원 동원 대체(Norovirus hits Pyeongchang 2018 and 900 troops drafted in to cover)

 

 

 

 

(7) 러시아, 스포츠중재재판소에 평창2018 출전금지조치에 대한 항소 시작(Russian appeals to CAS against Pyeongchang 2018 bans to start at1pm)

 

 

(8) 러시아선수들 15<안현수 포함) 추가로 CAS 항소 제출(Fifteenmore Russian appeals submitted to CAS)

 

 

 

(9) 영국선수출신 IOC위원 Adam Pengily, CAS 정직한 선수들에 대한 지원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Pengilly claims CAS does not support clean athletes)

 

 

(10) Paris 2024올림픽 계획보다 일찍 개최(Paris 2024 to take placeearlier than planned)

 

 

 

(11) CAS, 지난 평창2018출전하기 위한15 러시아선수들의 새롭게 항소한 사실 확인(CAS confirm new appeal from 15 Russians clearedof doping last week to compete at Pyeongchang 2018)

 

 

 

(12) IOC, 하계청소년올림픽개최연도 2023 대회를2022년도로 변경될것임을 확인(IOC confirm Summer Youth Olympic Games will takeplace in 2022 rather than 2023)

 

 

 

(13) 2024 미국 보스톤올림픽유치반대 저자들 행동하는 올림피즘 회의에 등장(No Boston Olympics authors to appear at Olympism inAction conference)

 

 

(14) Kejval체코 NOC위원장 신임 IOC위원으로 선출예정 안건상정(Kejval to be elected IOC member)

 

 

 

(15) 곧이어 Kejval 체코 NOC위윈장 신임IOC위원으로 선출확인(Kejvalconfirmed as IOC member)

 

 

(16) Yu Zaiqing중국 IOC부위원장 추가로 4 재선임(Yu Zaiqing re-elected IOC vice-president for four more years)

 

 

 

(17) Lalovic 세계레슬링연회장 ASOIF대표자격 IOC집행위원으로 선출확인(Lalovic confirmed as IOC Executive Board member)

 

 

 

(18) Richard Pound캐나다 최고참 IOC위원 평창2018 폐회식 불참키로함(Pound to miss Closing Ceremony of Pyeongchang 2018)

 

 

(19) 132 IOC총회 Richard Pound캐나다 IOC위원 발언과 함께 종료됨(IOC Session ends with remarks by Richard Pound)

 

 

 

 

 

2. IOC총회 주요 이슈 및 발언 내용 정리

 

 

1) 향후 청션 올림픽대회 아프리카 개최관련 :

 

(1)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ANOC회장 Patrick Baumann GAISF회장 이구동성으로 IOC 아프리카청소년올림픽대회(African Youth Olympic Games) 대하여 찬사를 보냈습니다.

 

 

(2) Prince Faisal 요르단 IOC위원 질의를 통하여 그렇다면 언제 어떻게 선정하는지 물었으며 장소만 놓고 프레젠테이션을 것인지( Will the IOC members be presented with just one choice? ) 대하여 추가로 질의하면서일이 잘풀릴 경우(if it works) 아프리카로 가보는 것이 좋은 아이디어라고 하면서 그리되면 대부분의 일들이 설명될 있다고 생각한다(Which, I suppose, can be said about most things) 발언 하였습니다.

 

(3) Dagmawit Berhane 이디오피아 IOC위원 아프리카의 청소년올림픽개최코자하는 간절함에 대해 이번 IOC총회에서 처음 말을 꺼냈다고 합니다(speaking for the first time this IOC Session about Africa's hunger to host the Youth Olympics) 이어서 그녀는 아프리카가 대회개최를 하도록 고무시키기에 가장 어려운 대륙이라고 시인하면서( She concedes that it is the hardest continent to encourage to host events.) 이것이 인생에 듣고 싶은 가장 위대한 희망이며(This is the greatest hope to hear in my lifetime) 아프리카에는 개최희망국가들이 많이 있고(There are many countries which would like to host in Africa) 이것은 꿈의 실현과 같은 (This is like a dream coming true.)이라고 하였습니다

 

 

(4) 이에 대하여 영국 선수출신의 Adam Pengilly IOC위원 이것은 과정과 결과에 있어서 엄청난 생각으로 좋다, 나의 유일한 질문은 만일 앞으로 6개월이 지나고 상황변화가 생길 경우 대안은 있는지? ( I think this is a great idea - in outcome as well as process. Well done. My one question is would there be a back-up plan if circumstances change in the next six months?)

 

(5) 이슈에 대한 질의가 많았는데 Octavian Morariu 루마니아 IOC위원 이러한 선순환적인 접근방식이동계청소년올림픽에도가능한 것인지(Lots of questions here. Romania's Octavian Morariu asks if the same proactive approach could be taken for the Winter Youth Olympic Games.) 물었다고 합니다

 

(6) Aïcha Garad Ali 지부티(Djibouti) IOC위원 세상사람들이 아프리카를 발견해 것을 요구한 있습니다(He calls for the rest of the world to "discover" Africa.

 

(7) Habu Gumel 나이지리아 IOC위원claims it is the "time for Africa now". "I believe when the time comes, it will be a great event," he concludes.

 

(8) Paul Tergat 케냐 육상의 전설(athletics legend)이자 IOC위원 역시 유산한 점을 설파하였다고 합니다(making a similar point)

 

(9) Beatrice Allen 감비아 IOC위원은 감비아사람으로서 세네갈이 상당히 세련된 국가라고 말할 있다(Being a Gambian, I can tell you that Senegal is a highly sophisticated country. 나는 확신하건대 세네갈사람들이 대회를 치를 있다고 있다. 세네갈은 풍부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아프리카 전체가 세네갈을 지지할 것이다(I am sure they can do it. They have a rich culture and all of Africa would support them.)라고 언급하였습니다

 

10) IOC위원들은 이날 아프리카에 청소년올림픽대회개최여부를 묻는 투표를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종 결정은 오는 10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133 IOC총회에서 내려질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세네갈이 선두주자(frontrunner) 부상하고 있지만 아프리카 여러 후보도시들 투표 가능성도 배제하고 있지 않는 싶다는 후문입니다.

 

 

2) 금년 10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Olympism in Action회의 관련

 

(1) 미국 보스톤의 2024 올림픽유치를 반대한 No Boston Olympics 책의 저자들이 금년 10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예정인 행동하는 올림피즘(Olympism in Action회의나타날 것으로 보인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합니다

 

(2) 신임 IOC전략적 소통국장(new IOC strategic communications director) Bebecca Lowell-Edwards IOC총회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Olympism in Action 대한 준비사항을 보고 하였다고 합니다

 

(3) 회의가 미루어지기 전인 작년 당초 개최도시는 페루 Lima(initially billed for Lima)였으며 흥미로운 이야기거리로는 동회의 연사들 중에는 No Boaton Olympics How and Why Smart Cities are Passing on the Torch라는 책의 공동저자들인(co-authors)Chris Demsy ANdrew Zimblaist 포함될 것이라는 보고 내용입니다.

 

(4) 그들 두명의 저자들은 분명히 IOCdp 동조하는 같은 맥락의 말은 하지 않을(certainly not sing from the IOC hymnsheet)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합니다

 

(5) 왜나하면 그들 Zimbalist 편집한 Rio2016: Olympic Myths, Hard Relaities 역시 IOC 올림픽브랜드에 관하여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This was also extremely negative about the IOC and Olympic brand)으로 쓰였디 때문이라고 합니다

 

(6) Lowell-Edwards국장 말로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회의에 대략 2,000 정도가 참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하였다고 합니다

 

3) 신임 IOC위원 선출 (체코 NOC위원장 1)

(1) IOC선출위원회(IOC Eelection Commission)위원장인 Princess Anne 영국 IOC위원은 신임 IOC위원 선출과 관련 체코공화국(Czech Republic) NOC위원장인 Jiří Kejval 것이라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 Kejval신임선출위원은 2017 9 Lima개최 IOC총회에 제출되었던 9명의 신임IOC위원 후보군에 제안된 있었습니다.

(3) 당시 익명의 편지(an anonymous letter) Thomas Bach IOC위원장에게 발송되었었는데 내용인즉, 조정선수출신이자 체코올림픽위원회위원장은 부패혐의대상자이기 떄문에(becasue of allegations of corruption levelled against him) IOC위원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내용이었다고 합니다.

(4) 체코 언론보도에 따르면, 편지는 체코 스포츠계 대상 체코청소년체육부 기금 재분배(redistribution of money from the Minstry of Youth and Sports to Czech sport) 대하여 이야기 것이라고 합니다

 

(Jiří Kejval 신임 IOC위원)

 

(5) Jiří Kejval 그러한 혐의를 부인하였으며 목하 진행중인 과정(ongoing process) 대하여 매우 긍정적(very positive)이라고 주장해 왔다고 합니다.

 

(6) 결국 IOC Jiří Kejval 에게 비난받은 요인이 없다고 판결하였으며(ruled) 실제로 혐의를 입증한 근거 또한 없었다(apparently found no evidence supporting the allegations) 합니다

 

4) IOC위원 직위 변경, 집행위원, 부위원장 선출 이모저모

(1) Uğur Erden 터키출신 IOC부위원장<IF/FITA회장 자격> Pierre-Olivier Beckers-Vieujant 벨기에 출신 IOC위원<NOC위원장 자격> Paris 2024 올림픽 IOC조정위원장 다시 개인자격IOC위원으로 지위가 변경되었다(switched to individual member status) 합니다

 

(2) 이들은 과거 NOC위원장 자격으로IOC위원에 선출되어 NOC위원장 임기종료와 함께 임기가 끝나게 되어 있었지만 이제부터는 개인자격이므로 70세까지 IOC위원 직을 오래 수행할 있게 (This means they are able to serve longer) 의미합니다.

(3) Sebastian Coe 국제육상경기연맹(IAAF)회장 Gianni Infantino 국제축구연맹(FIFA)회장 2 또한 간과된 후보군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among those overlooked)입니다

(4) 신임 IOC위원 선출 신임투표에서 Jiří Kejval체코 NOC위원장은 73:11이란 차이로 찬성표를 획득하여 IOC위원으로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5) Bach IOC위원장은 선출투표 전 최소한 선의의 거짓말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하여 언급하였는데 그는 Kejval2017Lima IOC총회에 불 출석함으로써 당사자가 없는 가운데 선출하고 싶지 않았다(they did not want to have an election without him being there)고 말하였다고 합니다

(6) 하지만 실제로 KejvalLima에 있었지만 투표당일 날 떠났다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은 선출지연의 진짜 이유가 선출후보당사자에 대한 부패혐의라는 것은 언급하지 않은 상태였다고 합니다.

(7) Kejval의 경우 NOC대표자격이라기 보다 개인자격 IOC위원이므로 70세 연령제한 말고는 NOC임기 등에 따른 제약이 없을 것(will not be subject to any term limit other than the age one of 70)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8) Yu Ziaqing중국 IOC부위원장(67세)은 부위원장으로 다시 제선이 되어 임기가 추가로 4년 연장 되었으며 당선의 변으로 최선을 대해 실망시키는 일이 결코 없을 것”(I will do my best and never let you down)이라고 하였는데 놀랄 일은 아니지만 그는 Beijing2022동계올림픽을 자신의 우선순위로 부각시켰다(He highlights Beijing 2022 as his priority, unsurprisingly)고 합니다

(9) Sochi2014에 앞서 있었던 IOC부위원장 선거에서는 Yu Ziaqing후보가 단독후보(unopposed)로 당선되었지만 Uğur Erdenerrk(68세) IOC 집행위원 한 자리를 놓고 Richard Pound와 맞대결 경합(a two-horse race)에서 쟁취한 승리로 인해 빛이 바랜 바(overshadowed) 있었습니다

 

(Yu Zaiqing/출처: insidethegames)

 

(10)만일 PoundIOC집행위원회 내부에 포진되어 지난 4년을 동고동락했더라면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전 미국대통령 Lindon B. Johnson이 사용한 옛 어록을 응용해 보면 그를 텐트 안에 넣어 밖에다 소변보게 하는 것이 밖에다 두고 안에다 소변보게 하는 것 보다 아마도 나을 성 싶다(It's probably better to have him inside the tent pissing out, than outside the tent pissing in.)라고 한 외신이 표현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11) 정당하게 말하자면 Pound는 가끔 평 위원 석으로부터 뒤통수 치는 식의 대박 발언을 한(often wrecked-havoc from the back-benches) 바 있는데, 그렇다면 내부로부터 IOC집행위원회의 정책을 변경하거나 방해할 수 있었을까요(could he have changed or hindered Executive Board policy from within)?

(12) Nenad Lalovic(세르비아) 세계레슬링연합(United World Wrestling)장은 CK Wu AIBA회장 사임으로 공석이 된 ASOIF대표자격 당연 직 IOC 집행위원선출 확정투표에서 69:14로 너끈히 안착하였다고 합니다

(13) 그는 이미 ASOIF후보경합에서 프랑스의 Jean-Christophe Rollaand과 스페인의 Marisol Casado를 물리치고 IOC집행위원 당연 직 ASOIF대표가 된 바 있습니다

 

(Nenad Lalovic/출처: insidethegames)

 

3. IOC총회 마무리 이모저모

 

(1) 전통에 따라(tradition dictates that) 최 고참 IOC위원(the most senior member)이 마무리발언(the final word)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 최 고참 IOC위원은 1978년에 선출된 캐나다의 Richard Pound위원입니다

 

(2) 흥미롭게도 Thomas Bach IOC위원장은 최 고참 IOC위원인 Richard Pound가 평창2018 폐회식 전에 떠나기 때문에 마무리 발언(his closing remarks)을 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3) Pound는 러시아선수들이 평창2018에서 자 국기 아래 출전할 경우 폐회식을 보이콧하는 것에 대하여 말해 왔다고 합니다.

 

(4) IOC는 이렇게 Pound의 폐회식 불참을 발표함으로써 명백하게 이러한 현상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로 분석되었는데 Bach IOC위원장의 발표가 진심이라면 Pound로서는 어차피 폐회식 불참할 거면서 항의라고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뻔뻔한 것(a bit cheeky talking about a protest when he was never going to be present anyway.)이라고 볼 수 있다라는 견해가 있었습니다

 

(5) 다음은 Pound의 마무리 발언 내용입니다:

 

"This was a, mostly, healthy discussion. We need to adjust and respond to attacks on our values in relation to changing social and legal contexts. We will await with interest forthcoming proposals. It is encouraging to see the Ethics Commission is acting in a vigorous manner with regard to its obligations, and is acting in a vehement manner."

 

(6)  132IOC총회는 IOC위원단체사진을 촬영하면서 일단 막을 내렸으며 평창2018 폐회식 당일 인 오는 225일 마지막 회의를 속개하게 되는데 주 목적은 8년 임기를 마친 미국의 Angela Ruggiero와 영국의 Adam Pengilly후임으로 대회기간 중 참가선수들에 의해 선출될 전 세계 6명의 선수후보 군에서 선수출신 IOC위원들 2명에 대한 인준입니다.

(7) 2010Jacques Rogge당시 IOC위원장으로부터 지명 선출되어 8년간 활발한 선수’(Active Athlete)자격으로 활동해 온 중국의 Yang Yang위원도 작별인사를 합니다.

(8) IOC의 러시아도핑이슈관련 IOC의 러시아에 대한 제반 조치에 대한 투표에서 영국의 Adam Pengilly위원과 캐나다의 Richard pound위원 2명이 기권함(abstaining)으로써 만장일치 통과가 되지 못 한 바 있다고 합니다

(9) 올림픽패밀리 중 미스터 쓴 소리’(Olympic Family’s most outspoken member)로 알려진 Richard Pound 캐나다 IOC위원은 평창2018에서 IOC의 러시아에 대한 조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습니다:

A.  "The IOC has not only failed to protect clean athletes but has made it possible for cheating athletes to prevail against the clean athletes. (IOC는 정직한 선수들 보호에서 실패하였을 뿐만 아니라 파렴치한 선수들이 정직한 선수들을 농락하도록 방치하였음)

 

 

B.  We talk more than we walk. (우리는 행동보다 말이 더 앞서고 있음)

 

 

C.  The athletes and the public at large in my view no longer have confidence that their interests are being protected. (내 견해로 보면 선수들과 대중이 대체로 그들의 이익이 보호되고 있다라는 것에 더 이상 신뢰를 갖고 있지 않음)

 

 

D.  Our commitment to both is in serious doubt. (선수들과 대중이 우리의 약속에 대하여 심각한 의심의 눈으로 보고 있음)

 

 

E.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getting Russian athletes into the Pyeongchang Games than dealing with the Russian conduct." (러시아의 <파렴치한> 행각에 대하여 정죄하기 보다 그들을 평창2018으로 끌어 들이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이 쏟아져 왔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2. 5. 13:23

[평창2018 Bach IOC위원장이 명예 감자대사(Honorary Potato)된 사연은?]

 

벌써 오늘(2월 5일)이 평창2018 개막까지 딱 G-4일 되는 날이 되었습니다.

 

어제(24) 저녁은 평창에서 열린 첫 IOC집행위원회 2일차 회의가 마무리되고 평창2018 조직위원회 이희범위원장 주최 만찬(19:30~21:30)이 강릉 경포대 6성급으로 알려진 씨마크(Sea Marq.) 호텔 하늘홀에서 있었습니다.

 

 

참석자는 Thomas Bach IOC위원장 부부를 비롯하여 IOC집행위원 15명과 IOC핵심간부 진 그리고 주최자인 이희범 POCOG위원장부부, 최문순 강원도지사, 심재국 평창군수, 최명희 강릉시장, 유승민 IOC위원 겸 평창 동계올림픽 선수촌장 및 POCOG 부위원장 2명과 몇몇 간부들이 참석하였습니다.

 

 

필자는 Ser Miang NG IOC집행위원(싱가포르), Sergey Bubka IOC집행위원(우크라이나) Gian-Franco Kasper 국제스키연맹(FIS)회장과 1번 테이블에서 담소를 나누었습니다.

 

  

                         (시계방향으로 필자, Ser Miang NG 및 Sergey Bubka)

 

 

대한민국 국가대표(?) 국악소녀 송소희의 구성진 아리랑과 태평가 등 전통 한국 민요곡조로 분위기가 무르익어 갔습니다.

 

 

 

 

만찬 식순에 의거하여 이희범 POCOG조직위원장의 영어만찬사가 있었으며 모두 의미심장하게 경청하였습니다.

 

 

이어 Thomas Bach IOC위원장의 답사가 있었는데, 자신과 Gunilla Lindberg IOC조정위원장에게 함께 붙여준 감자홍보대사’(Honorary Potato)라는 별칭으로 분위기를 주도하면서 Bach IOC위원장 특유의 이야기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3주간 평창에 머물러야 하는 입장에서 감자홍보대사가 정확하게 무슨 의미인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좋은 명칭으로 알고 고맙게 받아들이겠다고 하여 좌중의 웃음을 자아냈습니다.

 

 

사실 평창이 동계올림픽 3수 도전을 하면서 스키점프 대를 비롯하여 주요 동계올림픽 시설이 자리잡은 곳이 바로 당초 강원도 감자원종장부지였기 때문에 누군가 강원도 대표 상징 대명사이기도 한 감자에 명예를 붙여 감자홍보대사’ (Honorary Potato)가 된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또 한가지, 현재 평창2018동계올림픽 개 폐회식장(Olympic Stadium)부지는 당초 대관령의 특산 명물인 황태(Yellow Dried Pollack)덕장이 있었던 곳이라고 합니다.

 

 

桑田碧海(상전벽해)런 고사에서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로 변한 것처럼 居民(거민)이 희소하였던 칼바람의 언덕(Cutting Windy Hill) 강원도 두메산골 대관령(횡계)이 드디어 유치도전 3수동안 지내온 세월 18년 만에 감자-황태 2중주 앙상블연주 합작 동계올림픽 명소로 탈바꿈한 것을 ‘Transformative Effects of the Olympic Games’(올림픽주도 변형 효과)로 부르고 싶습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답사를 통해 이희범 조직위원장에 대해 3가지로 유머와 팩트(fact)가 담겨 있는 수준 있는 발언으로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습니다:

 

 

 

1)   “President Lee is a polite man, because he did not mention the rival candidate city PyeongChang won at 2011 Durban IOC Session voting.”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예의범절이 훌륭한 공손한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2011년 평창이 남아공 더반개최 IOC총회에서 승리할 때 이겼던 경쟁후보도시<Bach IOC위원장 선출(2013)되기 전 자신이 유치위원장 이었던 뮌헨/Munich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2)   “President Lee is a dynamic man, because as POCOG President he spurred the overall preparations process with dynamism in place.” (이 희범조직위원장은 활력 충만한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그가 조직위원장 직을 맡으면서 그분 특유의 활력을 불어 넣어 동계올림픽준비과정에 박차를 가하였기 때문입니다)

3)   “President Lee is a reliable man, because he kept his promise to be the last President of the Organizing Committee(POCOG) at the dinner with the IOC Executive Board members in Lausanne in 2016.”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믿을 만한 신뢰가 있는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2016년 신임선출 조직위원장으로 스위스 로잔에서 IOC집행위원들과의 만찬에서 자신이 바뀌지 않는 마지막 조직위원장이 되겠다고 다짐한 약속을 지켜냈기 때문입니다)

 

 

올림픽대회에서 주인공이자 VIP는 당연히 참가선수들입니다.

 

선수들에 대하여 출 도착(AND), 물자(LOG), 수송(TRA), 선수촌숙박(OLV+ACM), 의료 및 보건(MED), 식음료(F&B), 소통/통신(COM) 등등을 신경 쓰고 지원해 주는 곳이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입니다.

 

조직위원회 최고사령탑의 거두는 단연 조직위원장입니다.

 

Bach IOC위원장이 언급한 대로 이희범 POCOG위원장은 polite하고, dynamic하며 reliable한 분이라고 믿습니다.

 

그래서 대회 VIP인 선수들에 향해 총괄서비스 책임자인 조직위원장의 바람직한 행동강령(Code of Conduct)를 이희범(Lee, Hee-Beom)POCOG위원장의 姓인 Lee를 삽입하여 3행시를 지어 보았습니다:

 

(More) Vivid-Lee (Vividly)

(More) Impressive-Lee (Impressively)

(More) Precise-Lee (Precisely)

 

2013IOC위원장으로 선출되어 5년 차를 맞이하고 있는 Thomas Bach IOC위원장 역시 Dynamic함은 물론 명석하고(Brilliant), 수완이 어마무시하고(Awesome), 카리스마 넘치는(Charismatic) 올림픽운동 지도자 중 영웅(Hero)임에 틀림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Bach IOC위원장의 경우 4행시가 되는데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B: Brilliant

A: Awesome

C: Charismatic

H: Hero

 

Thomas Bach 9 IOC위원장은 2013910일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제125IOC총회 최종일 신임 IOC위원장 선출투표에서 1차 투표에서 43, 2차 투표에선 과반수가 넘는 49표로 시종일관 선두주자로 질주하며 당선된 바 있습니다

 

125 IOC총회 끝자락 Jacques Rogge8 IOC위원장이 자신의 후계자인 Thomas Bach를 당선자로 발표하고 나서 그에게 단상을 넘겨주자 Bach 신임 위원장의 일성이 바로 Thank you very much to all of you."였었습니다.

  

쉽고 알아듣기 평이한 영어로 이어지는 그의 취임소감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 당선직후 모습/출처: IOC홈페이지)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thank from the bottom of my heart all my dear friends and colleagues who voted for me this morning.

 

This is really an overwhelming sign of trust and confidence.

 

But I would also like to thank my fellow candidates, who I greatly respect, and all those who did not vote for me this time.

 

I will also work for and with you in the coming years and want to win your confidence, too.

 

그는 이어지는 취임연설에서 본인이 IOC위원장의 책무가 막중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평이하고 쉬운 준비된 영어 원고로부터 토로하면서 "다양함 가운데 일체감을 이루자"(Unity in Diversity)고 호소한다:

 

I know about the great responsibility of an IOC President." 

This makes me humble.

“I want to lead the IOC according to my motto”: unity in diversity.

“I want to be a President for all of you.”

“This means I will do my very best to balance well all the different interests of the stakeholders of the Olympic Movement.”

“This is why I want to listen to you and to enter into an ongoing dialogue with all of you.”

“You should know that my door, my ears, and my heart are always open for you.

 

Bach IOC위원장의 후보 선언서(manifesto)내용을 보면 그는 올림픽을 '다른 행사들로 술에 술 탄 듯 물에 물 탄 듯 묽게 하지 않고' "독특한" 방식으로 유지하면서(keep the Olympic Games "unique" and not "diluted by other events") 올림픽대회 개최권을 한편으로는 IOC의 이익을 고려하여 유치도시들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와 위험요인분석을 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잠재적인 유치도시가 투자한 것에 대하여 사회적이고 홍보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반대급부가 돌아 가도록 확실시 하는 방법을 강구하겠노라고 천명한 바도 있었습니다. 

(Bachs manifesto states he wants to keep the Olympic Games unique and not diluted by other events, while ensuring the awarding of the Games is based on the interest of the IOC in an in-depth review and risk analysis of a bid on the one hand, and the interest of a potential bidder in a social and promotional return on investment in the other.

 

 

 

 

평창2018동계올림픽개최를 통하여 미래 어느 날 아이들과 손주들에게 이렇게 들려주고 싶은 마음의 표현입니다:

 

미래 어느 날 남과 북이 다시 하나가 된 통일한국을 보기를 원하였으며 바로 그날 우리는 우리민족에게 이렇게 고할 것입니다---평창2018동계올림픽이 통일의 초석이 되었노라고...(One day, we will see the Unified Korea, no longer South Korea and North Korea, just Korea. That day, we will tell our people like this: PyeongChang Games in 2018 paved the way as a cornerstone to the Unification...)

 

이렇게 한반도 통일은 무력수단을 통한 것이 아니고 평창2018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독특하고(Unique/~이크), 만장일치로(Unanimous/~애니머스) 합치된 통일(Unification/~이휘케이션)3행시처럼 남북통일이 이루어지기를 하나님께 기도 드리는 아침 나절입니다.

 

윤강로 올림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2. 4. 15:33

[평창2018 IOC집행위원회 첫날 토의사항 및 결정사항   

 

요약정리]

 

 

 

1)  브라질올림픽위원회(COB)자격정지조치 해제 관련

 

 

 

23일 평창서 열린 IOC집행위원회(2.3~4) 첫날 IOC집행위원회는 브라질올림픽위원회의 자격정지조치를 거둠(lifts suspension of the Brazilian Olympic Committee)으로 NOC기능을 원상복구 시켜주었다고 합니다.

 

 

 

 

(평창2018 개회식 6일 전인 2월3일에 열린 IOC집행위원회를주재하고있는 Thomas Bach IOC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평창2018 동계올림픽개회식(29)6일 앞둔 23IOC집행위원회 2일 일정 중 첫날회의를 끝냈습니다.

 

 

IOC집행위원회의 심사숙고 토의 내용 결론의 일환으로 지난 2017106IOC집행위원회결정으로 언급된 COB관련 모든 구체적인 조치사항들(all the specific measures)을 포함하여 브라질올림픽위원회(COB)에 대한 잠정자격정지(provisional suspension)조치철회결정(decided to revoke)을 효력 즉시발생(with immediate effect)조치로 IOC집행위원회가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017106일 이래 IOCCOB와 긴밀한 접촉을 해 왔으며 COB측은 극도로 협조적(extremely cooperative)이었고 IOC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to address the IOC’s concerns) 일련의 행동조치(a series of actions)를 취했다고 합니다.

 

20171031일자로 IOC집행위원회는 이미 COB가 해당 NOC연합에서의 회원자격을 다시 행사하도록 허용한 바 있었으며 그 결과 COB는 그 무릎 열린 ANOC총회회의에 참가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 시점이래 COB정관(statutes)와 내부지배구조(internal governance)관련 개정 과정이 IOC와의 긴밀한 조정을 거쳐 마무리 됨으로써 올림픽헌장과 올림픽운동 모델 지배구조(good governance) 기본원칙에 딱 들어 맞도록(full compliance) 확고히 하였으며 새로운 COB정관규정이 지난 20171122일 및 126COB총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고 합니다.

 

추가로 COB는 독립적 회계감사관(an independent auditor)과 함께 2008~2010년 해당 분COB내부상황 및 회계계좌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작업을 실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독립적 회계감사관(independent auditor)COB의 회계계좌가 적절하게 회계 감사 처리되었으며 COB총회에서 승인 받았음을 확인해 주었다고 합니다

 

더 나아가 COB가 법적 단체로써(as a legal entity) 현재 브라질 연방검찰청(the Federal Public Prosecutor)이 진행하고 있는 조사의 틀에서 Carlos Nuzman COB위원장 겸 Rio2016올림픽조직위원장에 대한 혐의나 기소내용(allegations/charges against Carlos Nuzman)에 어떠한 식으로도 관여되지 않았음이 검증되었다(verified)고 합니다.

 

(사진 우측이 Carlos Nuzman/출처: insidethegames)

 

2)  기타 결정사항들(Other decisions)

 

IOC집행위원회는 국제 스포츠연맹 글로벌 연합회’(GAISF: Global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를 잠정 인정키로 동의하였습니다.

 

이미 지난 201711IOCGAISF 간의 양해각서(MOU)가 체결된 바 있으며 완전승인권 인준(granting full recognition)2018년 가을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제133IOC총회에서 계획되어 있다고 합니다.

 

IOC집행위원회는 또한, 반 도핑 위반 기록이나 어떤 우려의 사유가 없음(no record of Anti-Doping Rule Violations or any cause for concern )WADA에 의해 서면보증이 이루어 진 후(after assurances were given in writing by the WADA) 스포츠국적변경사례(changes of sporting nationality)2건을 승인하였는 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인 Cole William Krueger와 피겨스케이팅 선수인 Kirill Khaliavin(Jalyavin) 두 선수의 국적을 각각 미국에서 헝가리로, 러시아에서 스페인으로 변경이 허용된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IOC집행위원회는 올림픽 한반도 선언실행 (implementation of the Olympic Korean Peninsula Declaration)과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자격정지를 내렸던 IOC집행위원회의 2017125일 결정사항을 포함한 몇 건의 보고내용들(a number of reports)을 접수하였습니다.

 

(좌로부터 이희범 POCOG위원장,김일국 북한 NOC위원장 겸 채육상,Bach IOC위원장,도종환 문체부장관 및 이기흥 KSOC위원장/출처:IOC홈페이지)

 

물론 IOC집행위원회 보고 중 평창2018(이희범 조직위원장 발표) 준비 최종 마무리 점검보고 프레젠테이션(Final Progress Report PPT on PyeongChang2018)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IOC집행위원회는 러시아 출신 올림픽선수(OAR: Olympic Athlete from Russia)초청심의패널 및 실행그룹(Invitation Review Panel and Implementation Group)이 취한 모든 조치에 대한 설명을 청취하였습니다(informed of all the steps taken)

 

*References: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1. 26. 14:31

[IOC집행위원 내정자로 따논당상 Nenad Lalovic하계올림픽종목국제연맹 총연합회(ASOIF)당연 직 대표(125)]

 

 

125일 자로 ASOIF가 확인 바에 따르면 Nenad Lalovic (세르비아 출신) 세계레슬링연합(UWW: United World Wrestling)회장이 ASOIF멤버들의 투표 결과 드디어 나머지 후보 2명을 제치고 IOC집행위원으로 제안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올림픽하계종목국제연맹총연합회(ASOIF: Association of Summer Olympic International Federations)자격 당연 직 IOC집행위원 한 자리를 놓고 3명의 국제연맹회장들이 116일 경 후보발표시점부터 각축전을 벌여 온 바 있습니다

 

 

1명의 당연 직 IOC집행위원 쿼터를 놓고 각축전에 돌입한 바 있었던 국제연맹회장 3(the trio)Marisol Casado 국제트라이애슬론(ITU)회장<스페인출신 여성 IOC위원>Nenad Lalovic 세계레슬링연합(UWW: United World Wrestling)회장 및 Jean-Christophe Rolland 국제조정경기연맹(FISA: 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회장으로 AOSIF대표 당연 직 IOC집행위원 후보들로 116일 발표된 바 있었습니다.

 

 

 

 

                        (Nenad Lalovic/출처: insidethegames)

 

 

28명 각각의 ASOIF멤버는 한 표씩을 행사하였으며 1차 투표에서 승자가 없어(unable to produce a winner) 온라인상으로 2차 투표까지 실행된 결과(following two rounds of online voting by the 28 full ASOIF members) Nenad Lalovic가 내정자로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사실상 AOSIF당연 직 IOC집행위원인 까닭에 27일 평창개최 IOC총회에서의 결정은 통과의례(rubber-stamped)에 불과할 전망입니다.

 

Nenad Lalovic(세르비아 출신) UWW회장은 2015년에 국제연맹회장 자격 IOC위원으로 선출되었는바, 그 당시 UWW대표자격 WADA재단 이사로 선출된 바 있습니다.

 

 

Nenad Lalovic is credited with the revival of wrestling ©Getty Images(2015IOC위원 선출 동기인 Mamadou D. Ndiaye세네갈 IOC위원과 함께 한 Nenad Lalovic/출처: insidethegames)

 

 

 

AOISF대표 당연 직 IOC집행위원 자리는 CK Wu전 국제복싱연맹(AIBA)회장 겸 대만 IOC위원이 차지하고 있었는데 Wu회장이 201711월 사임하면서 공석이 된 바 있습니다.

 

                    

(CK Wu/출처: IOC홈페이지)

 

 

이들 3명의 후보들은 AOSIF대표지명 직 IOC집행위원을 원하고 있는데 AOISF에서 후보지명이 된 후 오는 평창2018대회개회식에 앞서 열리는 27일 평창개최 IOC총회에서 인준투표에 상정될 (be put forward to a vote)예정이라고 합니다.

 

ASOIF멤버들은 지난 119()까지 이들 3명의 후보 중 원하는 한 명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ASOIF대표 자격 IOC집행위원 자리는 CK Wu AIBA회장이 장기간 끌어오던 조직 내 권력투쟁 와중에(amid a protracted power struggle within the sport’s governing body)전격 사임하면서 공석이 되었었습니다

 

대만출신의 CK Wu전임 AIBA회장 겸 IOC집행위원은 2012년 대표로 선출되어 재임한 바 있습니다.

 

보통(ordinarily) ASOIF대표 자격 IOC집행위원 자리는 ASOIF회장이 차지하도록 되어있었는데 ASOIF회장을 맡고 있는 Ricci Bitti가 만 70세를 넘겨 연령제한에 걸려 별도의 대표 지명절차가 요구되었던 것입니다.

 

Nenad Lalovic ASOIF대표자격 IOC집행위원 내정자는 2013년 초반 당시 레슬링이 2020년 도쿄올림픽 정식종목에서 원래 배제되었다가 2013년 후반부 레슬링종목이 기사회생(revival) 복권(reinstated)되는 데 공로가 있는 것으로 폭 넓게 인정되고 있는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ASOIF홈페이지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1. 19. 10:24

[김연아 기사회생 미래기약 스포츠중재재판소(CAS) 러시아 도핑항소 청문회 전모 만천하에 공개하다]

 

다음주 예정된 스포츠중재재판소(CAS)청문회에 직면하고 있는 러시아 선수들은 2개 별도 조로 분리되어 122() 126() 또는 127() 사이에 청문회에 참석하여 소송절차진행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117() 발표되었습니다

 

 

 

 

 

 

최종심사(a final award) 날짜는 아직 미확인 상태지만 대략 129()22()사이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청문회(hearings)개최장소는 스위스 IOC본부가 위치한 로잔느(Lausanne)가 아니고 제네바(Geneva) 소재 국제회의센터(International Conference Centre)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8명 러시아선수들이 소속된 제1조 대상 청문회는 프랑스 출신 법조인 Hamid Gharavi를 비롯하여 독일출신 법조인 Christophe VedderDirk-Reiner Martens로 구성된 3인조 최강 법조 계 패널(a three-strong legal panel)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Vedder Martens독일법조인 2명은 러시아선수 11명이 소속된 제2조 패널에도 역시 관여할 것이라고 합니다.

 

Vedder법조인이 양대 패널의 의장(President of both panels)으로 임명되었다고 합니다

 

2인조 독일 법조인 외에 오스트리아출신Michael Geistlinger도 합류할 것이라고 합니다.

 

 

Geistlinger는 국제 바이애들슬론 연맹(IBU)16년간 봉직한 바 있는데 그 기간 중 2004~2008년사이에는 IBU사무총장직에 있었으며 지금은 국제빙상경기연맹(ISU) 법률자문(legal advisor)로 섬기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러시아헌법 법률(Russian constitutional law)을 포함한 화제(topics)관련 전문가이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Gharavi의 경우 스포츠 법률사안에(sporting legal matters) 대하여서는 경험이 많진 않아 보이지만(less experienced) 150건 이상의 상업적 특별사안대처 및 기관관련 중재 건(commercial ad-hoc and institutional arbitrations)취급에 있어서 중재자 내지 상담역(arbitrator or counsel) 으로 활동해 온 경력이 있다고 합니다

 

 

Appealing Russian athletes have been split into three different groups ©CAS(항소를 신청한 소치2014동계올림픽 러시아 선수 42 3개조 해당스포츠 및 명단/출처: CAS)

 

 

 

CAS가 공개한 상기 도표를 보면 제1조에는 봅슬레이(8), 스켈레톤(5), 크로스 컨트리 스키(11) 및 스피드 스케이팅(4) 선수 등 28, 2조에는 봅슬레이(1), 아이스하키(8), 루지(2) 11, 그리고 제3조에는 바이애들론(3)을 포함하여 총 42명이 포진되어 있는데 도핑의혹이 한 때 제기되었다가 면제 부를 받은 것으로 발표된 피겨스케이팅 선수는 단 한 명도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김연아 선수가 소치2014동계올림픽 여자피겨 싱글 은메달을 금메달로 바꿀 수 있는 최후의 보루였던 CAS청문회가 IOC 진상조사위원회에서 Sotnikova에게 면제 부를 준 이상 더 이상 희망이 없어 보이긴 하지만 언젠가는 그 진실이 밝혀져 뒤 늦게라도 금메달을 회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이태리 신문 중 하나인 La Gazetta della Sport지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피겨 금메달획득 당시 17세에 불과했던 Sotnikova가 조사대상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is among others under investigation)고 보도한 바 있었습니다.

 

 

 Adelina Sotnikova, right, with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following her Olympic victory at Sochi 2014 ©Getty Images (Putin러시아 대통령과 Sotnikova/출처: insidethegames)

 

 

그녀는 소변샘플이 제출된 검사튜브 상에 손댄 흔적을 암시하는 흠집이 발견된 한 명의 선수로서(as one athlete about whom scratches indicative of tampering were found on test tubes in which urine samples were submitted) 신원코드 번호(under the identification code) A0848로 코드화 되어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named on the list)고 보도 된 바 있었습니다

 

그녀가 개인적으로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증거는 없으며 이전에 어떤 비행(wrongdoing)애 대한 유죄가 성립되었던 바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보도내용이 사실로 판명 날 경우 궁극적으로 그녀의 금메달이 박탈될 수(ultimately be stripped of her gold medal) 있는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appears possible)고 보도되기도 하였습니다.

 

국제빙상연맹(ISU)가 특별한 제재조치(special disciplinary action)에 착수했는지에 대한 공개여부는 아직 알려지고 있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다음은 2017 1월경 ISU발표 성명서에 들어 있는 내용입니다:

 

"Mindful of a due diligence process, the ISU is proceeding with the evaluation of the evidence and related necessary investigations." (실사과정에 유의하며 ISU는 증거 평가와 관련 필요 검증조사를 병행하고 있음)

 

 

 

 

"For the cases relating to the Sochi Olympic Winter Games, the ISU is of course closely following the IOC proceedings and will take into account possible new evidence becoming available thanks to the re-analysis of the concerned samples. (소치2014동계올림픽과 연관된 건들을 위하여, ISU는 물론 주도면밀 하게 IOC의 진행절차들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관련된 샘플들 재 분석 덕택에 가능한 새로운 증거물 포착 시 참작할 것임)

 

"If and when there are sufficient elements and evidence to pursue anti-doping rule violations, the ISU will not hesitate to open disciplinary proceedings and possibly apply provisional suspensions against bodies or persons subject to infringements of the World Anti-Doping Code/ISU Anti-Doping Rules." (만일 반 도핑규칙 위반을 추적할 충분한 요소들과 증거가 생길 경우, ISU는 주저함 없이 즉시 제재절차에 착수할 것이며 WADA 규정 위반에 처한 기구 또는 개개인들에 대하여 잠정 자격정지조치 역시 가능할 것임)

 

이러한 발표로 보아 Vancouver2010동계올림픽 여자 피겨스케이팅 우승자인 한국의 김연아 선수(소치2014 은메달리스트)가 소치2014 금메달리스트로 상향 조정(could be upgraded to the Gold Medal) 조치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동 메달리스트였던 이태리의 Carolina Kostner는 은메달리스트로, 그리고 4위였던 미국의 Gracie Gold선수는 동메달리스트로 각각 상향 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McLaren 리포트는 Sochi2014동계올림픽 4명의 금메달리스트를 포함하여 모두 12명의 러시아 메달리스트들의 약물검사 샘플들에 손댄 흔적이 분명한 증거(evidence of the tampering of samples)에 대하여 대서특필하고 있다(the report featured)고 한 바 있습니다.

 

4명의 Sochi2014 러시아 금메달리스트 명단이 궁금해 지는 대목이었습니다.

 

Sochi2014 동계 패럴림픽 21개 메달들 중 6명의 수상자들의 약물검사 샘플들 역시 손댄 흔적이 있었다(their sample tampered with)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었습니다.

 

2016 129일 발표된 적발사례들은 모든 해당선수들의 이름이 거론된 정보요약 본들이 이후 국제연맹에 제공된 것이기 때문에, 리포트에 관련되어 연루된 선수들에 대하여 해당 관련국제연맹들이 합당한 징계조치를 내리도록 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해 준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Sochi2014 동계올림픽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의 기량을 선 보인 한국의 김연아 선수를 개최국 Home Ground Advantage에 힘 입어 점수상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한 러시아의 Adelina Sotnikova에 대한 의구심이 생기는 시점으로 거론 된 바 있었습니다

 

만일 국제빙상경기연맹(ISU)에게 McLaren리포트에서 공개되지 않았지만 도핑연루 러시아 빙상선수들 명단이 전달 되었을 경우 Sochi2014동계올림픽 러시아선수단 금메달리스트 4명 중 Adelina Sotnikova선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었다는 개연성을 고려해 볼 때 ISU IOC의 후속조치에 의해 김연아 선수가 사필귀정(事必歸正)으로 동계올림픽 2연속 피겨 금메달리스토로 명예회복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단지 소치2014동계올림픽 이후 활동이 뜸한 Adelina Sotnikova가 러시아정부주도 도핑조작사건에 연루되어 ISU IOC로부터 불법 판정을 받을 경우에만 해당됨은 불문가지였습니다.

 

2018 19일 소치2014동계올림픽 여자 피겨결승에서 김연아 선수를 이긴 Adelina Sotnikova 여자피겨 금메달리스트와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였던 Anna Shokhina 및 남자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인 Denis Yuskov 46명 중 나머지 3명은 IOC위원회로부터 면제 부를 받은 것(cleared of wrongdoing by the Commission)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으로선 방법이 없어 보이지만 미래를 기약해 봅니다.

 

소치2014동계올림픽 도핑연루로 자격박탈 당하고(disqualified) 향후 올림픽 영구제명처분을 받은(banned from future Olympic Games for life) 43명의 러시아 선수들 중 1명을 제외하고 42명이 CAS에 항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중 39명 케이스만이 다음 주 청문회 대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이애슬론 케이스에 연루된 선수들 중 Olga Zaytseva, Olga Vilukhina Yana Romanova 3명은 자격정지처분(suspended)을 받았다고 합니다

 

3조에 속한 이들 3명은 나머지 39명과는 별도의 법률 팀에 해당되도록 분리되었는데(a different legal team from the others) 정확인 이유는 밝혀진 것이 없다(there has been no reason given)고 합니다

 

하지만 나머지 다른 선수들과 쪼개져 분류되어 있는지 이유는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It is not completely clear why the other athletes have been split.)

 

전임 모스크바 도핑 실험실장(Moscow Laboratory director) 겸 러시아선수들의 도핑혐의 핵심증인(main witness)Grigory RodchenkovWADA위탁 진상조사 책임자인 Richard McLaren박사 두 명 모두 비디오 또는 전화연결을 통하여 청문회에서 증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expected to testify via video or telephone link)고 합니다

 

러시아 봅슬레이 선수인 Maxim Belugin 만이 43명 중 유일하게 자격박탈조치에 따른 항소를 신청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는 자신의 도핑검사 시료 샘플 재분석 후 테스트결과가 양성반응을 도출하였음을 인지한 것(believed to have produced a positive test result following reanalysis of his samples)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국제 봅슬레이 및 스켈레톤 연맹(IBSF)는 나머지 연루된(implicated)러시아 슬라이딩 선수들과는 달리 Maxim Belugin선수가 현재 경기출전 정지상태임(currently suspended from competition)을 확인하였다고 합니다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도핑 및 검사 샘플 조작으로 인한 도핑연루혐의(alleged involvement in doping and sample tampering at their home Games)로 지목된 전체 러시아선수들이 IOC로부터 제재조치(sanctioned)를 받은 바 있습니다

 

*References:

-insdiethegames

-Francs Jeux

-WADA홈페이지

-IOC 홈페이지

-La Gazetta della Sport

-CA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