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영연맹(FINA)성전환자(性轉換者 Transgender)대회출전정책 염격제한조치에 따른 FIFA및 세계육상(World Athletics)등 국제연맹 연쇄 반응]
성전환여자선수의 여자종목출전 엄격 제한(severely restrict the participation of transgender athletes in women’s events)이라는 국제수영연맹(FINA)의 발 빠른 획기적 결정(landmark decision)의 여파로 FIFA 및 세계육상(World Athletics)도 드디어 참가자격기준에 대한 검토작업에 들어갔습니다
FINA의 이러한 결정은 GAISF옵저버 회원 국제연맹인 국제럭비리그(International Rugby League)로 하여금 추후 통지 시까지(until further notice) 성전환자선수들의 여자 종목 출전금지조치를 이미 촉발(already sparked change)시킨 바 있습니다
FIFA는 전문가 이해당사자들과의 협의를 통해 성전환자 참가자격허용규정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FIFA대변인은 “FIFA가 새로운 규정이 입안 되기 전에 선수들의 자격기준에 대한 입증 질문을 받는 다면 어떤 경우든지 FIFA의 인권 존중에 대한 명백한 약속에 입각하여 사안 별로 처리할 것임”(Should FIFA be asked to verify the eligibility of a player before the new regulations will be in place, any such case will be dealt with on a case-by-case basis, taking into account FIFA's clear commitment to respect human rights)이라고 언급하면서 FIFA는 의학적, 과학적, 경기력 및 인권전문가들로부터 자문을 받고 있으며 IOC의 입장도 고려대상임을 분명하 하였다고 합니다.
London2012올림픽 여자축구 금메달리스트 겸 FIFA여자월드컵 축구우승자로서 여자축구 계 최대 스타들 중 한명인 미국의 Megan Rapinoe는 FINA의 성전환자 여성 종목 출전제한결정 후 Time지와의 인터뷰에서 그녀는 성전환여성의 엘리트스포츠경기 출전금지조치는 “잔인하고”(cruel) “메스꺼운”(disgusting)처사라고 믿는다고 비난하였습니다.
Rapinoe는 다수의 LGBTQ+조직단체들을 옹호하는 거물급 인사(a high-profile advocate)입니다
본 논쟁의 다른 편에는 세계육상회장인 Sebastian Coe가 있는데 그는 미국 출신 성전환자선수인 Lia Thomas가 수영대회에서 우승한 후 가진 지난 3월 The Times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문제와 여성스포츠의 미래를 바로 잡지 않는다면 여성스포츠의 온전 성이 매우 취약하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He believes the integrity of women's sport if we don't get this right, and actually the future of women's sport, is very fragile)고 언급하였습니다
성전환자 Thomas는 펜실베니아 대학대표선수로 미국 대학체육협회(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division I타이틀 여자 수영 500야드 자유형종목에 출전하여 우승한 첫 공개된 성전환자 선수가 되었습니다.
그녀의 수영 종목 우승 후 열띤 반대의견들이 개진되면서 FINA는 지난 6월19일(일) 임시총회에서 성전환자선수 출전제한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FINA측의 이러한 결정에 대하여 Coe회장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은 발전 자체에 대하여서는 환영(welcomed the development)한다면서 세계 육상은 금년 말까지 관련 정책에 대하여 검토할 것이라고 의견을 개진하였습니다.
그는 국제연맹은 각 스포츠를 위해 최대의 관심사가 반영되도록 규칙과 규정과 정책수립에 있어서 최우선 포인트로 옹호하게 되는데 그릴 될 수 밖에 없으며 우리는 언제나 생물학(biology)이 성(gender)을 이기도록(trumps) 되어 있다는 것을 믿어 왔음- 우리는 이와 연계하여 우리 규정을 계속 검토할 것인데 우리는 과학을 따르고 있음으로 계속해서 경기력을 주도하는 결정적 열쇠(a key determinant in performance) 가 테스토스테론(남성 호르몬)이라는 성장하는 실제 증거(body of evidence)에 대하여 조사하고 연구하고 기여하도록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우리는 금년 말 이사회와 공동으로 우리 규정에 대하여 논의할 계획임-밀고 당기는 게임에서 포용과 정정당당 사이에 판단을 할 경우 우리는 항상 정정당당 편으로 기울여져 넘어갈 것으로 이것은 개인적으로 협상의 여지가 없다(When push comes to shove, if it's a judgement between inclusion and fairness, we will always fall down on the side of fairness - that for me is non-negotiable)고 덧붙였습니다
세계 육상은 2019년 발효된 규정 상 몇몇 여자 달리기 종목경기에서 선수들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리터 당 5 나노몰을 상한선으로 잡고(capping athletes' testosterone levels at five nanomoles per litre)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테스토스테론 수치 관련 요구사항으로 인해 나미비아의 Christine Mboma와 Beatrice Masilingi 두 선수는 발육에서의 차이점과 천연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게 나오는(have differences in sexual development and high natural levels of testosterone) 바람에 Tokyo2020올림픽 여자 육상 400m경기 출전이 어쩔 수 없이 무산되는 바람에 논란거리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6월19일 FINA임시총회에서는 약 71.5%의 찬성 투표로 여자 수영 경기에서 성전환자선수들의 출전 자격에 대한 정책변경을 승인 한 바 있습니다
개인선수들의 경우 여자종목수영경기에 출전하기 위하여서는 이제 12세에 이르는 연령 때까지 성전환을 완료하도록 요구함으로(now required to have completed transition by the age of 12 to compete in women's competitions) 성전환자선수들이 남자 사춘기과정의 어떤 부분이라고 통과하였다면 성전환자여성의 출전을 효과적으로 금할 수 있게 된 것(effectively banning transgender women if they have gone through any part of the process of male puberty)이라고 합니다.
Husain Al-Musallam FINA회장은 향후 무제한 카테고리(open category)를 신설함으로 엘리트 수준 경기에 누구나 출전할 수 있도록 확실하게 기회를 부여 하는 방법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방안에 대하여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2021년 11월 IOC는 성전환자 및 성 발달 상에 차이점이 있는 선수들을 위하여 새로운 틀을 승인함으로(approved a new framework for transgender and differences in sexual development athletes)국제연맹들에게 더 많은 융통성을 부여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2015년 합의한 성명서 내용에 포함된 12개월 간 리터 당 10 나노몰 이하까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추어야 여자종목경기에 출전허용요구사항(requiring those seeking to compete in the female category to lower their testosterone to below 10 nanomoles per litre for at least 12 months)을 충족하여야하는 성전환자선수들의 천편일률적인 출전 접근방식 (one-size-fits-all approach)에서 약간 멀어 짐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뉴질랜드 출신 역도 선수인 Laurel Hubbard는 Tokyo2020올림픽에서 성전환자여자선수로 출전한 첫 공개적인 성전환여자선수(the first openly transgender woman)가 되었습니다.
지난 주 국제사이클연맹(UCI)은 성전환기간을 늘려 2년 동안 낮은 수치의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을 유지해야 하고 플라스마 테스토스테론 허용 최대 수준을 낮추도록 규칙을 개정(updated its rules on transgender athletes' participation, increasing the transition period on low testosterone to two years and lowering the maximum permitted plasma testosterone level)하였습니다
[IPC(국제패럴림픽위원회)로고인 Agitos(We Move)변천사와 IPC로고와 Nike로고 Swoosh의 모양이 어딘지 흡사한 이유는?]
평창2018 동계 패럴림픽에 이어 Beijing2022동계올림픽도 막을 내리고 이제는 Paris2024 올림픽 및 패럴림픽준비가 한창입니다.
패럴림픽을 상징하는 로고로써 “함께 움직인다” 란 뜻을 가진 ‘Agitos’ 로 설명되는 IPC로고(Logo)를 얼핏 보면 마치 Nike의 로고인 Swoosh가 세 개의 방향을 틀며 유사한 형태를 띠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Agito 단수는 라틴어로 ‘나는 움직인다/I move’의 뜻) Nike로고의 뜻 중 하나는 니케 여신의 날개, 또 다른 하나는 육상트랙을 역동적으로 묘사했다고 합니다. 물론 자세히 그리고 엄격하게 보면 두 개의 로고 디자인이 서로 다른 것이 사실입니다.
당초 패럴림픽이 자리를 잡아 올림픽이 개최된 같은 장소에서 간격을 두고 함께 열리는 패럴림픽 대회의 원조는 서울1988 패럴림픽 이었습니다.
서울대회 이후 자리를 잡게 된 IPC(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의 원조 로고는 서울1988 패럴림픽 로고를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하다가 변화와 진화를 거쳐 2004년부터 오늘날의 Agitos로고로 최종 확정되어 사용 중입니다.
(서울1988패럴림픽 로고)(현 IPC 로고)
(IPC로고 변천사)
“스우시(Swoosh)는 미국의 스포츠 용품 브랜드 나이키의 로고이다. 세계에서 가장 알려진 로고 중 하나이다. 이 로고 자체만으로 260억 달러의 수입 성을 띈다.”
“swoosh의 사전적 뜻은 '휙 하는 소리를 내며 움직이다'이다. 로고 모양은 승리의 여신 '니케(Nike)'의 날개를 옆에서 본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또한 나이키 설명에 따르면 이 로고는 니케의 영혼을 상징하기도 한다. 1971년부터 자잘한 변화가 있어왔지만 현재는 NIKE 글자가 달린 버전과 안 달린 버전만 있다.” (출처: Wikipedia)
(헬레니즌 시대의 대표적인 그리스조각으로 그리스 및 로마신화에 등장하는 승리의 여신 니케)
NIKE의 로고 명 Swoosh(스우시/1971)
“포틀랜드 대학교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전공하는 캐롤린 데이비슨은 나이키 로고를 제작했고, 이는 단돈 35달러에 거래되었다. 40년이 지난 2011년, 나이키 로고의 가치는 65만 달러를 기록했다.”
“스우시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하나는 니케 여신의 날개, 또 다른 하나는 육상트랙을 역동적으로 묘사했다. 나이키 로고에는 크게 붉은색과 흰색이 나타나는데 붉은색은 열정, 에너지, 기쁨을 상징하고, 흰색은 정직, 순수, 매력을 상징한다.” (출처: Daum 백과)
태국 Phuket에서 열리고 있는 국제빙상경기연맹(ISU)총회(6.6~10)에서 향후 피겨스케이팅 출전선수들의 출전 허용 연령을 상향조정하는 제안이 승인되어 2023-2024시즌까지는 한시적으로 16세, 그 이후는 17세로 출전자격연령이 높아짐으로 Milan-Cortina 2026동계올림픽부터 올림픽 피겨스케이팅출전선수들은 17세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Beijing2022동계올림픽 때까지 피겨선수들의 출전 허용 최소연령제한(minimum age limit)은 15세였지만 Beijing2022대회에서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출신 Kamila Valieva선수의 도핑케이스가 부각되면서 동 이슈가 전면에 등장한 것입니다.
ISU 이사회의 제안내용은 태국 Hilton Phuket Arcadia Resort and Spa에서 열린 회의에서 첨예한 논쟁(a heated debate)끝에 ISU규정개정 없이 2/3이상이 절대과반수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고 합니다.
의안 번호 22번에서 토의된 연령제한 제안은 피겨스케이팅뿐만 아니라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및 싱크로 스케이팅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2022-2023시즌까지는 연령제한규정이 15세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 Milan-Cortina 2026동계올림픽부터는 출전 연령제한은 17세가 됩니다.
연령제한 나이 상향조정 결정의 핵심 요인은 “스케이팅 선수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정서적 안정을 보호하기 위함”(protecting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emotional wellbeing)으로 알려졌습니다
총 100명의 ISU회원 단체들이 동 제안에 찬성표를 던졌으며 반대표는 16표였고 기권 2표였습니다..
연령제한 상향조정안건이 통과되자 박수와 환호가 터져 나왔는데 Jan Dijkema ISU회장은“매우 역사적인 결정”(a very historic decision) 이라고 평가하였다고 합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러시아 피겨요정 Valieva 가 WADA법규하에서 보호대상인(a protected person) 이라는 지위 부여로 인해 공명정대한 경기가 되지 못했다는 우려 속에 WADA제반규칙에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암시하였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Beijing2022동계올림픽 여자피겨싱글 종목 경기 후 Valieva선수가 받았을 압박 수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beyond my imagination)라고 언급하면서 그 선수의 동반자 그룹(the skater’s entourage)에 대해 비판하기도 하였습니다.
동게올림픽에서 10대(teenager)에 출중한 기량을 펼쳤던 선수가 Valieva가 유일 하지는 않지만 어린 나이에 우승의 결과로 야기되는 문제점을 겪어내야 했습니다.
평창2018동계올림픽 여자 피겨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던 또 다른 러시아 여자 피겨스케이팅선수인 Alina Zagitova역시 출전 당시 15세였는데 그녀는 체중감량 등 일련의 문제점들로 인해 2019년부터는 대회에 출전하지 않은 바 있습니다.
미국 여자피겨선수들 중 Tara Lipinski(Nagano1998)와 Sarah Hughes(Salt Lake City 2002) 두 선수 모두 16세에 동계올림픽 금메달을 각각 획득한 바 있습니다
Lipinski 선수의 경우 출전 후 2년 후인 18세의 나이에 중대한 엉덩이 수술(major hip surgery)을 받았으며 그 나이에 관절염에 걸렸다(developed arthritis)고 합니다.
ISU는 이미 의무위원회가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성인 대회(senior events) 출전연령제한을 15세에서 17세로 상향조정할 것을 고려한 바 있었습니다.
2018년 열린 ISU총회에서 네덜란드 피겨스케이팅 임원들이 제한 한 바 있는 최소출전허용연령 17세로상향조정하자는 제안이 있었지만 부결되었던 바 있습니다.
2020년에도 같은 이슈가 제기되었는데 그 배경으로는 러시아 태생으로 평창2018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 호주 대표선수로 출전했던Ekaterina Alexandrovskaya가 향년20세에 사망한 것입니다.
출전연령상향조정으로 주니어 선수들로 하여금 골격성장시간을 허용하게 될 것(raising the age limit would allow junior athletes "the time necessary to reach skeletal maturity)이라며 ISU선수위원회가 2020년 12월~2021년 1월 기간에 실시한 조사결과 응답자들의 86.2%가 출전연령상향조정에 대하여 지지하였다고 합니다.
ISU 선수위원이면서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3회 메달리스트인 Eric Radford는 ISU총회에서 “그깟 메달 1개가 어린이 또는 어린 선수의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만한 가치가 있겠냐?” (Is a medal worth risking the health of a child or a young athlete?) 고 의문을 제기하였다고 합니다
총회에서 노르웨이 빙상연맹은 2023-2024시즌부터 출전연령제한을 17세로 상향조정하자는 제안을 철회하면서 최소출전연령을 16세로 규정개정하고 Milan-Cortina2026동계올림픽 때까지 기다리자는 제안을 발의하였으나 거부당 하였습니다
ISU임원직 출마 후보들의 제한 연령인 현행 75세를 80새로 상향조정하자는 제안은 투표결과(77표 반대, 38표 찬성, 기권 3표) 부결되었습니다
[아시아축구총연맹(AFC)개최 포기한 중국 대신 2023년 아시안 컵(Asian Cup)축구대회 대체 개최국 공식물색행보]
아시아축구총연맹(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회장/ Shaikh Salman bin Ebrahim Al Khalifa-2023년 AFC재선출마 예정)이 드디어 금년 상반기 아시안 컵(Asian Cup) 축구대회개최권을 철회한 중국을 대신하여 개최에 관심이 있는 회원국들이 유치에 참여하도록 6월초 공문을 발송하였다고 합니다.
아시아축구토너먼트 개최 관심표명초대장(an expression of interest invitation)이 모든 아시아국가연맹들(all Asian National Federations)에게 발송되었다고 합니다
중국이 2023년 AFC 아시안 컵 축구토너먼트 개최국이었지만 제로 코로나19정책(zero COVID-19 policy)을 빌미로 지난 5월 대회개최권을 공식적으로 철회한 바 있습니다.
최근 열린 AFC총회에서는 AFC사무국으로 하여금 관련유치과정에 필요한 조건과 요구사항들을 적시하여 모든 AFC회원국들에게 발송함으로 대체개최국을 선출하도록 조치할 것을 결정 한 바 있습니다.
[IOC,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줄이기 위한 조치로 IOC조정위원회 가급적 화상회의로 대체키로 결정]
IOC는 향후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를 줄여 나가기 위한 조치들을 이행하기로 결의하였는데 이들 중 동하계올림픽 및 동하계청소년올림픽 조직위원회를 방문하여 대회조직업무에 대해 조율하고 협력하기 위해 파견하는 각 IOC조정위원회(Coordination Commission)의 현지방문 계획을 줄여 나아가기로 하였습니다
IOC는 지난 5월 하순 개최된 제139차IOC총회에서 이러한 해당지역 방문을 가급적 화상회의로 대체함으로 연례 기관별 회의 수에 제한을 가함(imposing limits on the number of annual institutional meetings)으로 IOC의 탄소발자국삭감조치의 일환으로 삼기로 하였습니다.
IOC는 기후친화조직(a climate-positive organization)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2024년까지 30%, 2030년까지 50%씩 탄소배출 감축 의향(its intention to lower its carbon emissions)을 선언하였습니다.
(지난 5월 하순 개최된 화상 및 대면 복합방식 IOC총회 장면)
IOC는 또한 향후 늦어도 2030년까지 올림픽조직위원회들이 해당올림픽대회를 ‘기후친화이벤트’화(to make the event ‘climate-positive at the latest by 2030)하도록 요구하기로 하였습니다.
그 동안 동계올림픽에서 사용된 인공설의존도(the reliance on artificial snow)를 포함하여 올림픽에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장기적 우려(long-term concerns over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Olympics)가 제기되어 온 바 있습니다.
Beijing 2022 동계올림픽은 Yanqing에 위치한 국립 알파인스키센터(National Alpine Ski Center)부지에 대한 환경적 우려가 부각된 바 있는데 대회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환경친화대회’(Green Games)계획을 줄 창 주장한 바 있습니다.
5월하순 스위스 Lausanne IOC본부(Olympic House)에서 화상 및 대면 복합방식회의 형태로 열린 제139차 IOC총회에서 Thomas Bach IOC위원장은 IOC집행위원회가 총회 전 탄소감축실행계획(a carbon-reduction implementation plan)을 승인한 바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보다 세부적인 실행방안에 대하여 Christophe De Kepper IOC사무총장이 설명하였는데 이 방안들 중 특히 업무출장감축(reducing travel)이야말로 IOC의 탄소발자국 줄이기에 있어서 가장 획기적으로 지대한 기여 요인(by far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IOC's carbon footprint)이 될 것이라고 인정하였습니다
따라서 향후 각 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를 방문하여 진행될 예정이던 해당IOC조정위원회의의 절반이 원격화상회의 형태로(remotely), 나머지 절반은 현장 방문으로 진행될(with the other half taking place on-site) 예정이라고 합니다.
De Kepper IOC서무총장은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각 해당올림픽대회 전 기간<7년 간> 동안 최대5번까지만 IOC조정위원회현장회의를 진행될 것이며 매 대회, 매년 한 차례 대회조직위원회 파트너들과의 현장방문회의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함”(This means a maximum of five on-site Coordination Commission meetings over the lifecycle of each edition, and one on-site delivery partner meeting per year per edition) “나머지 다른 IOC조정위원회와 대회조직위원회 파트너들과의 회의는 필요에 따라 원격 화상회의 모드로 진행될 것임”(Other Coordination Commission and delivery partner meetings would be held in virtual mode as needed)이라고 피력하였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출장제한조치로 인해 그러한 회의들이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빈도수가 증가 추세에 있어 왔습니다.
De Kepper IOC사무총장은 각 올림픽대회 파견되는 IOC대표단의 출장 수요 감축계획에 대하여 “Tokyo2020올림픽및 Beijing2022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비추어 볼 때, 현장 방문 개념은 LA2028 올림픽 이후 업무출장필요최적화를 위하여 재검토될 것임”(In light of the successful delivery of Tokyo and Beijing, the concept of on-sight delivery would be revisited in order to optimise travel needs from Los Angeles 2028 onwards) “2024년까지 이러한 계획추진완수를 위하여 적절한 기술력을 사용하여 LA2028올림픽 운영에 대한 원격 관리체계를 시험적으로 실행할 것임”(To achieve this until 2024, we will further pilot remote management of operations from Lausanne, using adequate technology) “코로나19 이전에 운영하였던 방식으로 돌아갈 것을 제안하는 바임”(Here, we propose to go back to the way we operated pre-COVID)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연례 개최 IOC대면회의 횟수(the number of in-person institutional meetings held annually)에 대하여서도 제한조치를 둘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IOC의 계획에 따르면 매년 단 한 차례 독립 형 IOC총회(only one standalone Session)가 허용될 것이라고 합니다.
지난 5월 하순 열린 제139차 IOC총회는 2월 Beijing2022동계올림픽 기간 중 대회 기간에 2일 간 개최되었으며 3개월 이상이 경과한 시점에서(over the course of more than three months) Lausanne에서 최종일 IOC총회회의가 열리게 된 것입니다.
IOC집행위원회 역시 매년 단 세 차례만 독자적으로 열릴 것이며 IOC각 분과위원회 군단 대면 회의는 매년 한 차례 대면 회의로 제한 할 것(with IOC Commission cluster in-person gatherings limited to one per year)이라고 합니다
기타 회의들은 온라인으로 열리거나 기타 이벤트와 연계하여 열리는 것으로 계획될 것이라고 합니다.
De Kepper IOC사무총장은 IOC가 향후 가능한 범위에서는 업무출장모드로(on the travel mode wherever possible) 단거리의 경우 비행기보다 열차 편을 선택하게 될 것임을 예로 들면서 그리 함으로 온실가스방출삭감의 또 다른 노력의 일환(another effort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IOC는 이산화탄소배출상쇄(compensating carbon dioxide emissions)란 주제 하에서 탄소감축방책들(carbon-reduction measures)을 다른 기관과 연계추진하는 방식으로(using its influence to engage with others) 추가적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합니다
De Kepper IOC사무총장은 세네갈(Senegal)과 말리(Mali)에 위치한 올림픽 숲(Olympic Forest) 사례를 인용하면서 “관련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척 중이며 첫 번째 식목 사업이 12월말에 실행될 것”(project is progressing well and the first trees will be planted at the end of December)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는 2018년 IOC가 UN과 협업하여 공동 창출한 스포츠를 이용한 기후인지 및 행동 드라이브(to use sport to drive climate awareness and action) 및 스포츠의 환경영향 감소지향가이드(as guide sports towards lessening their impact on the environment)를 바탕으로 한 ‘기후 행동 틀’(Climate Action Framework)을 제시하였습니다.
총 272개에 달하는 스포츠 관련 기구들이 ‘기후 행동 틀’(Climate Action Framework)에 동참하도록 서명 대열에 참여 하였습니다.
[IOC올림픽연구센터(Olympic Studies Center)역대동계올림픽경기장(Chamonix1924부터 평창2018까지)현재사용실태(Still in Use)조사결과발표]
IOC 올림픽연구센터(IOC Olympic Studies Center)가 지난 주 제1회 근대올림픽인 Athens1896부터 평창2018동계올림픽 전반에 걸쳐 모든 올림픽경기장(Venue)사정과 사용실태를 파악하여 결정하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재미있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근대올림픽 제1회대회인 Athens1896부터 125 여년 간 올림픽대회개최 후 경기장 사용실태(Olympic Venues: Post-Games Use)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서 보고서를 발행하였습니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경기장이 21세게에 들어선 오늘날에도 건재하게 사용되고 있는 바(still in use) 이번 편에선 역대동계올림픽경기장들(competition venues) 중 기존(existing)경기장, 신설(new)상시 경기장(not temporary)퍼센티지와 여전히 사용 중인 경기장 퍼센티지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아래 자료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현재까지도 100% 사용중인 곳은 몽블랑(Montblanc) 기슭에 자리한 프랑스 Haute-Savoie주에 위치한 샤모니(Chamonix)로 1924년 제1회 동계올림픽 및 1960년 동계유니버시아드을 개최한 곳입니다.
역시 동계올림픽경기장 시설이 여전히 100% 사용 중인 곳은 (1)Chamonix외에 1932년과 1980년 동계올림픽을 두 차례 개최한 미국의 (2)Lake Placid, 1936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독일의 (3)Garmisch-Partenkirchen, 1928년 및 1948년 동계올림픽 2회 개최지인 스위스의 (4)St, Moritz, 1964년 및 1976년 동계올림픽 2회 개최지인 오스트리아의 (5)Innsbruck, 199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프랑스의 (6)Albertville, 199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노르웨이의 (7)Lillehammer, 200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미국의 (8)Salt Lake City,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캐나다의 (9)Vancouver 및 200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러시아의 (10)Sochi 등 10군데나 됩니다.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의 평창2018은 임시 시설(Overlay)이었던 국제방송센터(IBC)건물은 국립도서관 수장고(收藏庫)로 용도 변경되었고 메인프렌스센터(MPC)본부였던 알펜시아 컨벤션센터는 제3자에게 매각되어 버린 상태에서 사용중인 경기장 비율이 92%로 아직까지는 명기되어 있지만, (1)게 폐회식 장 철거, (2)정선 알파인 센터 철거 예정(2024년), (3)평창슬라이딩센터 가동중지 등 동계올림픽레거시 측면에서 그 미래가 밝아 보이지만은 않아 안타까운 심정입니다.
(평창2018동계올림픽 빙상개최도시 강릉의 강릉올림픽파크 조감도)
예를 들면 아시아최고수준을 자랑하는 정선 알파인스키센터는 전세계 알파인스키경기장들 중 보석과도 같은 존재인데 국제스키 및 스노보드연맹(FIS)와 협력하여 정규적으로 FIS알파인 월드컵과 FIS세계 알파인 선수권대회 및 기타 알파인 스키 시리즈를 사전에 조율하여 유치하고 개최하면 흑자 대회로 전환할 수도 있는 아까운 동계올림픽레거시 입니다.
강원2024청소년동계올림픽의 모든 스키종목경기를 정선알파인센터에서 열도록 지금이라도 스키경기장배치계획을 조율하면 금상첨화가 될 것입니다.
새정부에 새강원도지사가 정선 군수를 설득하여 이러한 발상에 힘을 합친다면 좋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1924 Chamonix [3개 경기장]: Existing & new: 67% ~ Still in use: 100%
● 1928 St. Moritz [5개 경기장]: Existing & new: 60% ~ Still in use: 33% ● 1932 Lake Placid [6개 경기장]: Existing & new: 83% ~ Still in use: 100% ● 1936 Garmisch [6개 경기장]: Existing & new: 67% ~ Still in use: 100%
● 1948 St. Moritz [8개 경기장]: Existing & new: 75% ~ Still in use: 100% ● 1952 Oslo [11개 경기장]: Existing & new: 91% ~ Still in use: 90% ● 1956 Cortina [8개 경기장]: Existing & new: 75% ~ Still in use: 67% ● 1960 “Palisades Tahoe” [6개 경기장]: Existing & new: 57% ~ Still in use: 50%=> (Site known as Squaw Valley at the time, but recently renamed)[동계올림픽 개최 당시 지명은 Squaw Valley였다가 최근 들어 Palisades Tahoe로 개칭됨] ● 1964 Innsbruck [9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68 Grenoble [9개 경기장]: Existing & new: 89% ~ Still in use: 78% ● 1972 Sapporo [13개 경기장]: Existing & new: 85% ~ Still in use: 69% ● 1976 Innsbruck [9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80 Lake Placid [7개 경기장] :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84 Sarajevo [8개 경기장]: Existing & new: 88% ~ Still in use: 75% ● 1988 Calgary [10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70% ● 1992 Albertville [10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94 Lillehammer [10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1998 Nagano [14]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79%
● 2002 Salt Lake City [10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2006 Turin [13개 경기장]: Existing & new: 92% ~ Still in use: 92% ● 2010 Vancouver [9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2014 Sochi [10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100% ● 2018 PyeongChang [12개 경기장]: Existing & new: 100% ~ Still in use: 92%
위 도표는 23번의 동계올림픽경기장 사용실태인데 12차례 치른 동계올림픽 경기장(기존 및 신축)이 여전히 100%사용 중으로 건재하고 (1)Oslo1952가 90%, (2)Torino200가 92%, (3) 평창2018 역시 92%이며, 또 다른 3곳이 75%로 총 23회 치른 동계올림픽 경기장 중 17개가 평균 74% 사용되고 있어서 최소 전체경기장의 3/4이 아직 건재(still active)한 것이니 희망적이긴 합니다.
이는 하계올림픽 경기장의 사용실태보다는 조금 나은 편인 것으로 보이는데 1896년~2016년 까지 28회 올림픽이 치러졌는데 그들 중 19개 올림픽개최지 경기장의 현재사용비율이 75%이상이거나 68% 정도로 보입니다.
위 자료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동계올림픽에 필요한 경기장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relatively small number of competition sites)라는 것입니다. 가장 많은 경기장을 건설했던 동계올림픽은 1998년 열린 Nagano대회로 14개나 소요되었습니다. 최근 열린 2010년 Vancouver동계올림픽도 9개 경기장으로 충분했습니다.
다음 자료는 동계올림픽 중 신축 경기장을 가장 많이 건설했던 대회들의 퍼센티지 순위(Winter Games sites ranked by the percentage of venues constructed new for their Games)인데 평창2018의 경우 유치 1차 시도 및 2차 시도를 하면서 6개 기존경기장을 동계올림픽수준으로 정비하여 놓음으로 6개 경기장만 신설하면 되었습니다:
또 한가지 주목할만한 일은 2030년 동계올림픽유치제안 중인 미국의 Salt Lake City의 경우 2026년 Cortina d”Ampezzo동계올림픽에서 36개 세부메달종목이 추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2년 동계올림픽에서 사용된 기존 경기장 모두를 재 사용함으로 새로운 경기장 신설이 전무하다는 것입니다.
상기 자료에서 보듯이 동계올림픽개최는 대회 이후 대중용 시설 사용을 사전에 염두에 두고 계획된 경우, 스키 발전 및 동계스포츠 리조트 개발의 도약대가 되기도 한다라는 것입니다. 이와 부합되는 케이스는 Nagano1988과 Sochi2014 동계올림픽뿐만 아니라 Grenoble1968 및 Innsbruck 1976 역시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계올림픽은 하게올림픽처럼 거대하거나 복잡한 구조로 조직되는 것이 아니라 개최국 조건에 맞게 개최되도록 되어 있는데 IOC조사자료에 명시 되었듯이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훌륭한 재사용 역사(excellent re-use history of the inter Games section documented in the IOC’s survey)사례들을 잘 감안한다면 아마도 하계올림픽 역시 해당 종목과 경기장 간의 조화로운 다이어트(sport-and-venue diet)식 배합으로부터 혜택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IOC 올림픽 연구센터(Olympic Studies Center)역대올림픽경기장(Athens1896부터 Rio2016까지)현재사용실태(Still in Use)조사결과발표(서울1988올림픽은 93퍼센트로 공동7위기록)]
IOC 올림픽연구센터(IOC Olympic Studies Center)가 지난 주 제1회 근대올림픽인 Athens1896부터 평창2018동계올림픽 전반에 걸쳐 모든 올림픽경기장(Venue)사정과 사용실태를 파악하여 결정하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재미있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그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다양한 올림픽에 사용되어온 각기 다른 923개 경기장들 중 89%에 해당하는 817개 경기장이 영구(상시)경기장이고 11%(106개)가 임시 시설물이라고 합니다.
817개 상시시설경기장들 중 85%가 여전히 사용 중(still in use)이며 15%(124개)가 사용중지 상태이고 Melbourne1956올림픽 당시 경기장 중 호주 왕립공군주둔지(Royal Australian Air Force Station)가 위치하고 있는 경기장에 대하여서는 정보 확인이 불가(not available)하다고 합니다.
124개 상시 용도로 건설된 경기장 중 사용중지상태는 15%인데 그 중 대부분인 88개 경기장은 다양한 이유로 미 건축 상태(unbuilt)이거나 철거되어(demolished) 있다고 합니다. 그들 중 일부는 경기장 수명이 다 되었으며(reached the end of their life)반면 다른 경기장들은 새로운 도시개발프로젝트(new urban development projects)에 의해 시설이 교체되었거나 활용사업모델(business model)구상이 부족하여 제거되었다고 합니다. 사용중지상태인 나머지 경기장들(the remaining venues/36개)은 폐쇄되어(closed) 있거나 방치된(abandoned) 상태인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동계올림픽경기장은 차후로 미루고 하계올림픽의 경우만 ‘기존(existing) 경기장-신축(new) 경기장(임시시설제외/not temporary)’과 여전히 사용 중(still in use)인 경기장의 퍼센티지 별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래 표가 보여 주듯이 여전히 사용 중(Still In Use)인 경기장 100%로 1904년 올림픽 개최도시인 미국의 St. Louis가 1위이며, Beijing2008 올림픽경기장이 97%로 2위, Montreal1976과 Sydney2000올림픽 경기장이 각각 96%로 동률 3위, London2012경기장이 95%로 5위, 그 뒤를 이어 Barcelona1992가 94%로 6위, 바로 이어 서울1988올림픽 경기장이 Rio2016과 함께 93%로 공동7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 1896 Athens: Existing & new: 87% ~ Still in use: 86%
● 1900 Paris: Existing & new: 80% ~ Still in use: 67% ● 1904 St. Louis: Existing & new: 83% ~ Still in use: 100% ● 1908 London: Existing & new: 93% ~ Still in use: 62% ● 1912 Stockholm: Existing & new: 75% ~ Still in use: 67% ● 1920 Antwerp: Existing & new: 89% ~ Still in use: 59% ● 1924 Paris: Existing & new: 86% ~ Still in use: 63% ● 1928 Amsterdam: Existing & new: 67% ~ Still in use: 50% ● 1932 Los Angeles: Existing & new: 71% ~ Still in use: 90% ● 1936 Berlin: Existing & new: 95% ~ Still in use: 70%
● 1948 London: Existing & new: 97% ~ Still in use: 68% ● 1952 Helsinki: Existing & new: 95% ~ Still in use: 89% ● 1956 Melbourne/Stockholm: Existing & new: 95% ~ Still in use: 72% ● 1960 Rome: Existing & new: 64% ~ Still in use: 81% ● 1964 Tokyo: Existing & new: 84% ~ Still in use: 92% ● 1968 Mexico City: Existing & new: 62% ~ Still in use: 92% ● 1972 Munich: Existing & new: 88% ~ Still in use: 79% ● 1976 Montreal: Existing & new: 88% ~ Still in use: 96% ● 1980 Moscow: Existing & new: 88% ~ Still in use: 78% ● 1984 Los Angeles: Existing & new: 89% ~ Still in use: 92% ● 1988 Seoul: Existing & new: 90% ~ Still in use: 93% ● 1992 Barcelona: Existing & new: 90% ~ Still in use: 94% ● 1996 Atlanta: Existing & new: 90% ~ Still in use: 85%
● 2000 Sydney: Existing & new: 90% ~ Still in use: 96% ● 2004 Athens: Existing & new: 94% ~ Still in use: 75% ● 2008 Beijing: Existing & new: 77% ~ Still in use: 97% ● 2012 London: Existing & new: 77% ~ Still in use: 95% ● 2016 Rio: Existing & new: 80% ~ Still in use: 93%
새로운 올림픽 경기장을 건설한 순위(서울1988올림픽은 7위)는 다음과 같습니다(Who were the construction kings? The Games with the highest percentages of new venues):
1.62% ~ Athens 2004 (20) 2. 61% ~ Sydney 2000 (18) 3. 56% ~ Rome 1960 (11) 3. 56% ~ Tokyo 1964 (16) 5. 45% ~ Beijing 2008 (18) 6. 44% ~ Barcelona 1992 (16) 7. 43% ~ Seoul 1988 (13) 8. 40% ~ Rio 2016 (13) 9. 38% ~ Berlin 1936 (7) 9. 38% ~ Mexico City 1968 (8)
Athens2004올림픽이 조사에 따르면 20개의 신설경기장을 건설하였음으로 단연 1위이고 Sydney2000올림픽과 Beijing2008올림픽 두 것이 각각 18개 신설경기장을 건설함으로 공동2위를 기록하였으며 서울1988올림픽은 13개 신설경기장으로 7위를 마크 하였습니다.
올림픽경기장 재활용 챔피언(the recycling champion)은 놀랄 것도 없이(not surprisingly) 지금까지 3차례(1908-1948-2012)나 올림픽을 개최한 London이었는데 London1948올림픽 개최 준비 당시 세게2차대전으로 황폐해 진 바(still devastated by World War II) 있었습니다. (아래 명시된 퍼센티지 수치는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97% ~ London 1948 (28) 2. 86% ~ London 1908 (12) 3. 79% ~ Antwerp 1920 (15) 4. 77% ~ Los Angeles 1984 (20) 5. 76% ~ Paris 1924 (16) 6. 73% ~ Paris 1900 (11) 7. 69% ~ Melbourne/Stockholm 1956 (11) 8. 67% ~ St. Louis 1904 (4) 9. 65% ~ Mexico City 1968 (15) 10. 63% ~ Montreal 1976 (15)
다음은 4차례 (하계)올림픽을 개최한 미국의 경우를 살펴 보겠습니다:
● 1904 St. Louis올림픽: six venues, four of which were existing, one new and one temporary (6개 경기장 중 4개는 기존 체육시설, 1개는 신설, 또 한 개는 임시시설)
● 1932 Los Angeles올림픽: 13 total venues, eight existing, two new and three temporary sites. Two of the sites – the Los Angeles Memorial Coliseum (pictured above) and the Rose Bowl – were used in 1932, 1984 and are planned for use in 2028! (총 13개 경기장 중 8개는 기존 체육시설, 2개는 신설, 3개는 임시시설/이들 중 2개의 경기장<LA 메모리얼 콜로세움과 로즈 볼 경기장은 1932년 및 1984년 올림픽에 사용되었으며 2028년 올림픽에도 다시 활용될 예정임)
● 1984 Los Angeles올림픽: The report states 26 sites were used, with 20 existing, three new and three temporary sites. The new construction included the McDonald’s Olympic Swim Stadium at USC (still in use), the 7-11 Olympic Velodrome a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Dominguez Hills (now repurposed as the Dignity Health Sports Center) and the Olympic Shooting Range in Chino (still in use).(모두 26개 경기장이 사용되었는데 20개는 기존 체육시설, 3개는 신설, 3개는 임시시설 임/신설경기장으로는 맥도널드 햄버거 그룹이 USC 캠퍼스 내 에 건설해 준 맥도널드 올림픽 수영장<여전히 사용 중>,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와 Dominguez Hills<현재 Dignity Health Sport Center로 용도 변경> 있는 7-11 올림픽 사이클 벨로드롬 및 Chino에 위치한 올림픽사격장<여전히 사용 중>이 있음)
(1984년 LA올림픽 개 폐회식장으로 사용된 LA Memorial Coliseum에서)
오늘 날 예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기장(the only sites “not in use”)으로는 사이클 벨로드롬과 LA 메모리얼 스포츠 아레나인데 후자의 경우 Banc of California Stadium에 소재하고 있는 바 두 개 경기장 모두 더 큰 스포츠시설건축을 위해 헐어 냈음)
● 1996 Atlanta올림픽: 28 sites used, 17 existing, nine new and two temporary. Two major stadia, the Atlanta-Fulton County Stadium and the Georgia Dome, have both been demolished, as the Braves and Falcons have moved to new venues. (28개 경기장이 사용되었는데 17개는 기존 체육시설, 9개는 신설, 2개는 임시시설로써 2개의 대형 스타디움인 Atlanta-Fulton County Stadium 및 Georgia Dome은 미 프로야구 2개구단인 Braves와 Falcons팀이 새로운 경기장으로 이사함으로 철거되었음)
오늘날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신축스포츠시설은 Stone Mountain Park Tennis Center인데 시설이 황폐해지는 바람에 2007년 폐쇄되었다가 2018년에 철거되었다고 합니다.
[영국 런던(London) 기록적인 4번째 올림픽유치(2036년 또는 2040년)계획 IOC와 협의 중]
런던시장 Sadiq Khan은 차기 올림픽인 2036년 대회를 한번 더 유치하겠다는 선거캠페인 공약을 반복하였다고 합니다.
Khan시장은 최근 미국 San Francisco를 거쳐 LA로 가는 길에 ITV London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이곳 여행에서 확실하게 느낀 것들 중 하나는 런던이 세계스포츠수도로서, 미식축구, 야구, 복싱, 테니스, 크리켓 등과 같은 것뿐만 아니라 어떤 단계에서 올림픽도 도로 가져오고 싶은 마음 임”(One of the things I have been making clear during this trip is my aspiration to have London as the sporting capital of the world – not just American football, baseball, boxing, tennis, cricket and so forth, but at some stage we would like the Olympics back as well) “LA는 Paris2024 다음인 2028년에 올림픽을 개최하게 될 것이고, “LA도 이제 런던이 그런 것처럼 올림픽을 3 차례 치르게 되어 있음”(L.A. will be hosting the Olympics after Paris, in 2028. L.A. have now had [sic] the Olympics three times, as indeed has London) “그리 된다면 우리는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세계를 원할 것이지만 그것은 지속 가능한 올림픽을 포함하는 것인데 텅 빈 스타디움을 건설하지 말고 이미 존재하고 있는 스타디움과 시설을 재사용하는 것일 것임(If it’s the case we want to have a world that is green, that is sustainable, but also includes having Olympics that are sustainable – not building stadiums that sit empty but reusing stadiums and facilities that already exist)
런던이 IOC와 이와 관련하여 논의 단계가 있느냐는 질문에 Khan시장은 “우리는 초보적인 계획을 수립 중이며, IOC와 대화 중이니 지켜보아 달라”(We’re working on the preliminary plans, we’re talking to the IOC, so watch this space)고 답변하였다고 합니다.
런던은 2036년 또는 2040년 올림픽개최를 목표로 IOC와의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London 2012 Olympic Park (IOC Photo)
Sadiq Khan런던 시장은 코로나19 이후의 런던관광증진 홍보 차 5일 미국 여행 중 New York 시에서 이러한 계획을 발표한 것입니다.
Khan시장은 런던에서 2023년부터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경기 및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는 장기 계약을 도모하고 있다고 합니다.
런던은 1908년, 1948년 및 2012년 올림픽을 개최한 바 있으며 Paris2024와 LA2028도 각각 3차례올림픽을 개최하게 됩니다.
런던이 10년 전 올림픽개최를 통한 경기장 레거시를 가지고 있지만 많은 경기장들이 축소(scaled back)되고 용도가 변경되어 사용되고(repurposed) 있어서 신규올림픽정식종목에 대한 추가 시설 보강이 필요한 것이 현실입니다.
개최비용절감과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IOC는 기존 시설 및 경기장 지역 맞춤형 경기장 사용 개념을 장려하고 있으며 그럼으로 더 폭 넓은 레거시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London2012대회 당시 특장점으로 부각된 올림픽 파크 개념은 2036년이나 그 이후 대회에는 가능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다.
IOC는 2036년 올림픽 “지속 대화”(Continuous dialogue)단계 대상 유치후보도시들에 다하여 함구(tight-lipped)하고 있으며 올림픽개최 기회 부여 관련 상호논의내용에 대하여서도 비밀에 붙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런던관계자들과 그러한 논의가 있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서도 논평을 하고 있지 않는(offered no comment) 상태입니다.
마찬가지로 IOC와 관련 대화를 시작하는 창구역할을 책임지고 하는 영국올림픽협회(BOA: British Olympic Association) London의 잠재적 올림픽유치에 둘러싼 어떠한 논의에 대하여서도 인지하고 있지 않는 모양새입니다.
2021년 IOC는 호주의 3번 째 올림픽이 될 Brisbane2032를 선호올림픽후보(its preferred candidate)로 결정하여 발표함으로 나머지 유치희망도시들을 놀라게 한 바 있습니다.
현재까지 거론되고 있는 2036년 올림픽 유치에 관심이 있는 국가들로는 인도, 독일, 한국, 인도네시아, 터키, 헝가리 등이 있으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제재조치로 인해 올림픽 유치과정참여에서 제외된 바 있습니다
[중국 Hangzhou2022 아시안게임(AG) 및 Chengdu2021 세계대학게임(WUG)개최 연속 연기에 따른 후 폭풍과 세부 전망(중국 Shantou2021 Asian Youth Games 취소)]
2022년도 세계 주요 스포츠행사는 (1)Beijing2022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과 (2) 6월26일~7월7일로 예정되었던 중국 Chengdu개최 하계세계대학게임과 (3) 역시 중국 Hangzhou개최 아시안게임(9월10일~25일) 및 (4) 카타르 개최 FIFA월드컵축구대회로 모두 아시아대륙 일색이었습니다.
물론 미국 Alabama州 Birmingham市개최 월드 게임이 예정되어 있긴 합니다.
먼저 5월5일자 외신보도에 따르면 1년 연기되어 중국 Chengdu2021에서 개최 예정이던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주관 하계세계대학게임(Summer World University Games)이 두 번째로 다시 연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당초 대회는 2021년 6월26일~7월7일 개최 예정이었는데 코로나10대유행병으로 인해 1년 뒤로 밀려진 바 있습니다.
중국의South China Morning Post지는 팬데믹과 여행제한조치로 인해 파생된 현지 진행되고 있는 복잡한 상황 때문에 두 번째 대회 연기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이러한 두 번째 대회 연기 공식확인발표는 중국 정부당국으로부터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19에 대한 우려는 대회준비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는데 영국대학스포츠연합(BUCS: British Universities and Colleagues Sport)은 지난 3월들어 중국 Chengdu 대회에 선수들을 파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뉴질랜드와 캐나다 역시 대회불참의사(also withdrawing from the event.)를 이어서 발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병관련 보건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대회 불참의 이유라고 복수의 소식통들이 인용하여 설명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회 개최여부에 대한 의혹은 중국당국이 코로나19확산 통제를 강구하고 있음으로 해서 중국의 여러 주요도시들에 대한 봉쇄조치(lockdown)가 취해진 이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상하이 市는 코로나19가 심각하게 몰아 닥친 도시들 중 하나인데 지난 5주동안 봉쇄조치가 지속되어 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중국은 Chengdu2021세계대한게임이 확실히 열릴 수 있도록 Beijing2022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당시 적용하였던 폐회로(closed loop)와 유사한 시스템을 활용할 것을 희망한 바 있습니다.
이제 Hangzhou2022아시안게임 역시 코로나19대유행으로 대회 개최가 연기되었다는 발표가 나왔습니다.
Hangzhou2022 아시안게임은 당초 오는 9월10일~25일 개최 예정이었지만 5월6일 열린 OCA집행위원회는 대회연기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회개최연기결정이 확인되면서 OCA집행위원회가 중국올림픽위원회(COC) 및 Hangzhou2022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와의 3자회동에서 향후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청소년아시안게임(Asian Youth Games)은 당초 중국Shantou市에서 오는 12월20일~28일 개최 예정이었는데 코로나19 상황과 대회 규모를 세심하게 고려한 후(after carefully considering the pandemic and the size of the Games) 취소하게 되었다고 OCA가 발표하였습니다.
OCA는 지연조치에도 불구하고 Hangzhou2022아시안게임 명칭과 로고는 현 상태대로 유지하는(remain unchanged) 것을 확인하고 아시안게임은 관련당사자들의 공동노력을 통하여 완전한 성공개최를 달성할 것(achieve complete success through the joint efforts of all parties)이라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연기된 새로운 일정은 OCA와 COC와 HAGOC 3자간의 합의가 도출된 후 결정되는데 가까운 장래에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Hangzhou2022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은 56개 경기를 소화해 낼 관련 경기장 모두가 완공되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40개 정식종목 61개 세부 종목에 걸쳐 총482개 메달 종목이 아시안게임에서 선 보일 예정이었는데 신규 종목(debuts)으로 브레이킹(Breaking/비보잉) 및 e-sports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대략 45개 OCA회원국 10,000명 가량이 Hangzhou2022 아시안게임에 출전할 예정으로 있습니다.
한편 중국 Shantou2021청소년게임을 작년 11월20일~28일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2022년 12월로 연기되었다가 COC와 조직위원회의 협의결과를 바탕으로 OCA집행위원회는 아시아청소년게임이 한 차례 이미 연기되었음으로 Shantou2021대회는 취소되는 것(Shantou 2021 will be cancelled)으로 결정하였다고 합니다.
차기 아시아청소년게임은 2025년 우즈베키스탄 Tashkent애서 열리기로 예정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아시아청소년게임은 2009년 Singapore에서 제1회대회(inaugural edition)를 개최한 후 2회 대회는 2013년 중국 Nanjing에서 개최되었는데, 이후 지금까지 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17년 제3회 대회는 Sri Lanka에게 개최권이 부여되었는데 여러 가지 이슈들로 인해 대회개최를 철회한 유일한 국가(only for the country to withdraw from staging the event following several issues)가 된 바 있습니다
Beijing2022대회 가간 동안 모든 대회 참가들에 대하여 외부 중국인들과의 차단 정책(sealed off from the rest of the Chinses population)을 실시함으로 대회참가자들은 Beijing공항도착 시 코로나19 음성반응 검사결과 도출 후 폐회로(a closed loop)시스템에 들어가 안전을 기한 바 있습니다
올림픽 참가자들 일부는 특히 밀접 접촉(close contacts)의 경우와 양성확진검사결과를 받은 참가자들에 대하여 조치가 적용되는 폐회로 내부에서의 조건들이 혹독(draconian)하다고 불만을 표출하기도 한 바 있지만 Beijing2022대회는 폐회로 시스템이 성공적이라는 근거로 낮은 수의 확진 건에 대하여 집중조명하기도 하였습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스위스 Lucerne2021 동계세계대학게임도 이미 취소된 전력이 있는 상태입니다.
만일 Chengdu2021대회가 두 번째 연기(a second postponement) 조치로 2023년으로 이동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데. 문제는 2023년에 차기 하계세계대학게임이 러시아 Yekaterinburg가 개최도시로 확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FISU 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책으로 지난 주 이들의 대회 개최권을 정지 시킨 바 있습니다
Yekaterinburg2023하계세계대학게임은 오는 8월8일~19일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러시아 임원들은 대회개최일자 단지 후일로 옮겨지는 것일(being transferred to a later date)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2025년 대회는 독일의 Rhine-Ruhr 지역에서 개최예정인데 2027년 하계세계대학게임 개최권은 오는 11월 열리는 FISU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논의되어 결정될 주요 안건입니다.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은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에 대한 대응책으로 러시아 Yekaterinburg에서 예정된 2023년 하계세계대학게임 개최권(hosting rights)발휘를 연기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2023년 8월8일~19일 계획된 Yekaterinburg세계대학게임개최에 대한 결정은 4월29일 온라인 회의로 열린 FISU집행위원회에서 내려졌습니다
Yekaterinburg 2023조직위원회 사무총장(General Director)인 Alexander Chernov는 러시아 관영뉴스매체인 TASS와의 인터뷰에서 하계세계대학게임을 추후 일정으로 연기될 것(would be postponed to a later date)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는 이러한 결정이 개최도시인 Yekaterinburg로부터 다른 도시로의 전환이 아니라(not a transfer from Yekaterinburg), 추후 다른 일정으로의 전환(a transfer to a later date)이며 대체 일정은 11월 결정될 것(the dates will be determined in November)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대회 게최연기조치는 러시아체육장관인 Oleg Matytsin이 Yekaterinburg2023대회준비가 “계획대로”(as planned) 계속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한 후 단 며칠 후 나온 것입니다
Matytsin은 2015년 11월 FISU회장으로 선출되었는데 모스크바 실험실(Moscow laboratory) 데이터조작과 연관되어 러시아에 부과된 WADA의 제재조치발효기간을 감안하여 2021년 3월 FISU회장 직에서 그 기간 동안 물러나는 것에 동의한 바 있습니다.
FISU회장대행으로 스위스 임원인 Leonz Eder가 활동하고 있는데 러시아에 대한 제제조치기간이 만료되는 금년 12월17일까지입니다.
러시아 및 벨라루스 선수들의 경우 금년 중국 Chengdu에서 개최가 예정되었다고 연기된 FUSU 하계세계대학게임에도 출전이 금지되었지만 2023년 러시아 Yekaterinburg에서의 대회 개최권박탈여부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