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jing2022대회 가간 동안 모든 대회 참가들에 대하여 외부 중국인들과의 차단 정책(sealed off from the rest of the Chinses population)을 실시함으로 대회참가자들은 Beijing공항도착 시 코로나19 음성반응 검사결과 도출 후 폐회로(a closed loop)시스템에 들어가 안전을 기한 바 있습니다
올림픽 참가자들 일부는 특히 밀접 접촉(close contacts)의 경우와 양성확진검사결과를 받은 참가자들에 대하여 조치가 적용되는 폐회로 내부에서의 조건들이 혹독(draconian)하다고 불만을 표출하기도 한 바 있지만 Beijing2022대회는 폐회로 시스템이 성공적이라는 근거로 낮은 수의 확진 건에 대하여 집중조명하기도 하였습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스위스 Lucerne2021 동계세계대학게임도 이미 취소된 전력이 있는 상태입니다.
만일 Chengdu2021대회가 두 번째 연기(a second postponement) 조치로 2023년으로 이동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데. 문제는 2023년에 차기 하계세계대학게임이 러시아 Yekaterinburg가 개최도시로 확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FISU 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책으로 지난 주 이들의 대회 개최권을 정지 시킨 바 있습니다
Yekaterinburg2023하계세계대학게임은 오는 8월8일~19일 예정되어 있었습니다.
러시아 임원들은 대회개최일자 단지 후일로 옮겨지는 것일(being transferred to a later date)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2025년 대회는 독일의 Rhine-Ruhr 지역에서 개최예정인데 2027년 하계세계대학게임 개최권은 오는 11월 열리는 FISU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논의되어 결정될 주요 안건입니다.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은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에 대한 대응책으로 러시아 Yekaterinburg에서 예정된 2023년 하계세계대학게임 개최권(hosting rights)발휘를 연기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2023년 8월8일~19일 계획된 Yekaterinburg세계대학게임개최에 대한 결정은 4월29일 온라인 회의로 열린 FISU집행위원회에서 내려졌습니다
Yekaterinburg 2023조직위원회 사무총장(General Director)인 Alexander Chernov는 러시아 관영뉴스매체인 TASS와의 인터뷰에서 하계세계대학게임을 추후 일정으로 연기될 것(would be postponed to a later date)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는 이러한 결정이 개최도시인 Yekaterinburg로부터 다른 도시로의 전환이 아니라(not a transfer from Yekaterinburg), 추후 다른 일정으로의 전환(a transfer to a later date)이며 대체 일정은 11월 결정될 것(the dates will be determined in November)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대회 게최연기조치는 러시아체육장관인 Oleg Matytsin이 Yekaterinburg2023대회준비가 “계획대로”(as planned) 계속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한 후 단 며칠 후 나온 것입니다
Matytsin은 2015년 11월 FISU회장으로 선출되었는데 모스크바 실험실(Moscow laboratory) 데이터조작과 연관되어 러시아에 부과된 WADA의 제재조치발효기간을 감안하여 2021년 3월 FISU회장 직에서 그 기간 동안 물러나는 것에 동의한 바 있습니다.
FISU회장대행으로 스위스 임원인 Leonz Eder가 활동하고 있는데 러시아에 대한 제제조치기간이 만료되는 금년 12월17일까지입니다.
러시아 및 벨라루스 선수들의 경우 금년 중국 Chengdu에서 개최가 예정되었다고 연기된 FUSU 하계세계대학게임에도 출전이 금지되었지만 2023년 러시아 Yekaterinburg에서의 대회 개최권박탈여부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