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10. 11. 8. 10:18
Haya 요르단 공주가 대만 타이페이개최 국제승마연맹(FEI)총회회장선거에서 124표 중 90표를 획득하여 
압승으로 4년 임기의 FEI회장(2010-2014)에 재선되었다.
요르단 국왕의 딸인 Haya공주는 UAE 두바이통치자의 두 번쨰 부인이다.

Princess Haya will serve as FEI president through 2014. (FEI)

IOC위원이기도 한 Haya 공주(1974년 5월 3일 생: 만 36세)는 당초 경쟁후보 2명인 네덜란드의 Henk Rottinghuis와 스웨덴의 Sven Holmberg와 접전이 점쳐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Holmberg후보는 23표, 그리고 Rottinghuis후보는 11표획득에 그쳤다.



Holmberg, Rottinghuis and Haya during Thursday's debate. (FEI)

재선에 성공한 Hay공주는 회장 경쟁후보였던 Holmberg가 차지하고 있던 제1부회장자리에 영국의 John McEwen을, 제2부회장에는 뉴질랜드의 Chris Hodson 대신 Pablo Mayorga를 각각 임명하였다.

이번에  FEI회장으로 재선 된 Haya공주는 임기제한규정(a two-term limit)으로 인해 2014년 3선은 불가하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영어2010. 11. 5. 18:39
오늘은 영어이야기다.
사실 영어로 이야기한다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11개 키워드 영어동사 용법만 어느 정도 숙지하면 얼마든지 훌륭한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
그 영어동사는 뭘까?

다음의 11개 기본동사인데 개별 동사 각각의 쓰임새를 눈여겨 보고 눈치껏 활용하면 일상회화와 영어문장 글쓰기가 훨씬 수월해 진다.:

1. Get
2. Go
3. Have
4. Hold
5. Keep
6. Let
7. Make
8. Put
9. Set
10. Take
11. Turn



오늘은 "Get"의 여러 가지 쓰임새를 알아보자.

1) Dividing nine by three we get three.(9를 3으로 나누면 3을 갖게 된다.)
2) Ill gotten, ill spent.(나쁘게 취득하게 되면, 나쁘게 써버리게 된다.)
3) Get me my hat.(내 모자 좀 가져다 주라.)
4) I can't get his idea.(난 그사람 생각이 뭔지 알 수가 없어.)
5) I can't get this door to shut properly.(난 이 문이 제대로 닫히기 할 수 가 없네.)
6) I must get my work finished.(난 내 일을 끝내야 한다네.)
7) He got into a rage.(그는 벌컥 화를 내고 말았다.)
8) The days are getting longer and longer.(날들이 점점 더 길어지고 있다.)
9) We got caught in a storm.(우리는 폭풍속에 휘말렸다.)
10) How are you getting along? (어떻게 지내고 있나요?)
11) They are getting along well together.(그들은 함께 잘 어울리고 있다.)
12) You can't get away with it.(너는 그것을 가지고 달아날 수 없다.)
13) Hurry up, or you'll get behind.(서두르시게, 그렇지 않으면 뒤쳐질 걸세.)
14) She gets on the bus at Jongro every morning.(그녀는 매일 아침 종로에서 버스를 탄다.)
15) He got out of bed on the wrong side.(그는 침대에서 틀린 방향으로 빠져 나왔다.)
16) The plane soon got out of sight.(비행기가 시야에서 금방 벗어나 버렸다.)
17) I could get nothing out of him.(난 그사람에게서 아무 것도 캐 낼수 없었다.)
18) Have you got over the injury yet?(넌 아직 부상을 극복하지 못 하였나?)
19) You may find it hard at first but you'll soon get over(round)it.(처음에는 힘들다고 여기겠지만 곧 그 단계를 극복하게될 걸세.)
20) He could not get over his son's death.(그는 자기 아들의 죽음에 대한 슬픔에서 회복할 수 없었다.)
21) I'll get it through in a couple of minutes.( 몇 분 후면 그 일을 완수 할 걸세.)
22) He got through a very dangerous illness.(그는 위험한 질병에서 빠져나갔다.)
23) Have you got a newspaper?(신문 한장 가지고 있는가?)
24) How did you get to know that I was here?(내가 여 있다는 걸 어찌 알게 되었나?)
25) I don't like modern music; it gets on my nerves.(난 현대 음악을 좋아하지 않는다네; 그건 내 신경을 거슬리거든./짜증나게 하거든.)

나머지 10개 매직 Key Word 동사들도 잘 살펴보면 유용하고 쉽게 응용할 수 있다.
누가 영어를 어렵다고 했나? (To Be Cont'd...)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0. 11. 5. 18:17
스포츠단체나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그리고 유니버시아드를 포함한 국제스포츠이벤트에서 그 성격과 목적 그리고 개최 취지 등을 대중들에게 홍보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도구가 바로 표어, 슬로건, 마스코트, 목표, 이데올로기 등이다.
오늘은 이 다양한 장르에 대하여 쉽게 표현된 영어로 소개하고자 한다.
슬로건(Slogan)은 자고로 "짧고, 발음하기 쉽고, 기억하기 쉬우며, 기운이 살아 움직여야" 최고의 슬로건(Slogan)이다
.


<Definitions of Motto, Slogan, Emblem, Logo, Mascot, Objective, Ideology>

1. Motto:표어(단체)/ 좌우명(개인)

-Motto is a phrase meant to formally describe the general motivation or intention of a social group or organization. A motto may be in any language, but Latin is the most used.(모토란 사회단체나 조직이 추구하고자 하는 총체적 지향동기나 의향이공식적으로 표현되어진  문구다. 모토는 어떤 언어로도 표현될 수 있지만 라틴어가 주로 쓰인다.)

The local language is used in the motto of governments.(각 정부가 채택하는 모토는 현지언어가 사용된다.)

*Olympic Motto(올림픽 표어): "Citius, Altius, Fortius"(Faster, Higher, Stronger)(보다 빠르게, 보다 높게, 보다 강하게)

2. Slogan:슬로건/구호/선전문구

-A slogan is memorable motto or phrase used in a political, commercial, religious and other context as a repetitive expression of an idea or purpose and more as a social expression of unified purpose, rather than a projection for an intended audience.

*IOC Slogan: -"Celebrate Humanity" (인류를 찬양하라!)

-"The Best of Us"(Le Meilleur en Nous)(우리모두가 최고)

3. Emblem:상징디자인/상징물

-The emblem is a special design or visual object representing a quality, type, group, etc.

-The emblem is an object of a representation that functions as a symbol.

-The emblem is a distinctive badge, design, or device.

-The emblem is an object or design chosen to symbolize an organization or idea.

-The emblem is a visible symbol representing an abstract idea.

4. Logo: 로고/표식

-A logo is a graphical element(ideogram, symbol, emblem, icon, sign)that, together with its logotype(a uniquely set and arranged typeface), form a trademark or commercial brand. Typically, a logo's design is for immediate recognition.

-Logos are also used to identify organizationa and other non-commercial entities.

5. Mascot: 마스코트/상징동물 또는 상징인물

-A mascot is a person or animal that is adopted by a team or other group as a symbolic figure.

-A mascot is a person, animal, or object believed to bring good luck, expecially one kept as the symbol of an organization such as a sports team, or delegation.

-A mascot is also used, as a symbolic and unique object, for social events and the multi-sports events such as the Olympic Games, and Asian Games, and other continental Games.

6. Objective: 목표

-An objective is something that one's efforts or actions are intended to attain or accomplish; purpose/goal/target.

7. Ideology:이념

-An ideology is a set of aims and ideas, especially in politics. An ideology can be thought of as a comprehensive vision, as a way of looking at things.

*Olympic Mascots: 올림픽 마스코트

The Olympic mascot is a character, usually an animal native to the area or occasionally human figures(1994 Lillehammer OWG), who represents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place where the Olympic Games are taking place.

Since the 1968 Winter olympics in Grenoble, France the Olympic Games have had a mascot. The first major mascot in the Olympic Games was 'Misha' in the 1980 Moscow Olympics. 'Misha' was used extensively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had a TV animated cartoon and appeared on several merchandises products. Nowadays, most of the merchandise aimed at young people focuses on the mascots, rather that the Olympic flag or organizational logos.


1. List of Olympic Mascots



(IOC올림픽 박물관에 전시된 역대 올림픽 마스코트와 기념품/ 출처:평산스포츠박물관 자료)


1)1968 Grenoble OWG: "Schuss"(Stylized Skier)

2)1968 Mexico Olympics: -"An Unnamed Jaguar-Throne"(Red Jaguar)

-"Paloma de la Paz"(Dove)

3)1972 Munich Olympics: "Waldi"(Dachshund Dog)

4)1976 Innsbruck OWG: "Schneemann"(Snowman)

5)1976 Montreal Olympics: "Amik"(Beaver)

6)1980 Lake Placid OWG: "Roni"(Raccoon)

7)1980 Arnhem Paraylmpics: Unnamed(A pair of Squirrels)/First Paralympic mascot when those Games still called the "World Disabled Games"

8)1980 Moscow Olympics: "Misha"(Bear Cub)

9)1984 Sarajevo OWG: "Vucko"(Little Wolf)

10)1984 LA Olympics: "Sam"(Bald Eagle)<대머리 독수리 "샘">

11)1988 Calagary OWG: "Hidy and Howdy"(Two Polar Bears)

12)1988 Seoul Olympics: "Hodori and Hosuni"(Two Tiger Cubs)<호돌이와 호순이>

13)1988 Seoul Paralympics: "The Komduri"(Two Asian Black Bears)

14)1992 Albertville OWG: "Magique"(Man-Star/Snow Imp)

15)1992 Barcelona Olympics: "Cobi"(A Cubist Catalan Sheepdog)

16)1994 Lillehammer OWG: "Hakon and Kristin"(Two Norwegian Children)

17)1996 Atlanta Olympics: "Izzy"(An Abstract Figure)

18)1996 Atlanta Paralympics: "Blaze"(A Colorful Phoenix)

19)1998 Nagano OWG: "The Snowlets-Sukki, Nokki, Lekki and Tsukki"(Four Owls)

20)1998 Nagano Winter Paralympics: "Parabbit"(A White Rabbit<1 Red & 1 Green Ear)

21)2000 Sydney Olympics: "Olly"/from Olympics(Kookaburra)

"Syd"/from Sydney(Duck-billed Platypus)

"Millie"/from Echidna Millenium

"Fatso the Fat-Arsed Wombat"(Wombat)/IUnofficial Mascot

22)2000 Sydney Paralympics: "Lizzie"(Frill-necked Lizard)

23)2002 Salt Lake City OWG: "Copper"(Coyote)

"Powder"(Snowshoe Hare)

"Coal"(Bear)

24)2002 Salt Lake City Winter Paralympics: "Otto"(Otter)

25)2004 Athens Olympics: "Athena and Brother"(Spyros)

"Phevos and Sister"(Gogos)

26)2004 Athens Paraympics: "Proteas"(Colorfully Striped Seahorse)

27)2006 Turin OWG: "Neve and Gliz"(A Humanized Snowball and Ice Cube)

28)2006 Turin Winter Paraympics: "Aster"(A Humanized Snowflake)

29)2008 Beijing Olympics: "The Fuwa:

"Beibei" (Fish)

"Jingjing"(Giant Panda)

"Huanhuan"(Olympic Flame)

"Yingying"(Tibetan Antelope)

"Nini"(Swallow)

30)2008 Beijing Paraympics: "Fu Niu LeLe"(Multi-Colored Cow)

31)2010 Vancouver OWG: "Miga"(Mythical Sea Bear)

"Quatchi"(A Sasquatch)

"Mukmuk"(A Vancouver Island Marmot)/Not an official mascot, but their designated sidekick

32)2010 Vancouver Winter Paraympics: "Sumi"(A Mythical Creature)/With wings of a Thunderbird, legs of a black bear, and a hat of an orca whale. Part of Canadian legends.

33) 2012 London Olympics(Mascot):

The mascot Wenlock. (LOCOG)

2012년 런던올림픽마스코트가 그 첫선을 보였다.
'웬록(Wenlock)와 맨더빌(Mandeville)'로 명명된 런던올림픽마스코트가 태어나자마자 세인의입방에 오르내리고 있다.

(ATR) Wenlock and Mandeville /런던 올림픽 마스코트 한쌍

런던올림픽조직위원회(LOCOG) Sebastain Coe위원장은  마스코트가 어린이들과 스포츠의 가치를 링크하여 어린이들이 장차미래 최고로 거듭나도록 영감을 불어넣었노라고 고안된 마스코트 이미지 고안 취지를 설명하였다. 




강철재질의 마스코트는 다양하고 독특한 특징적 디자인요소들을 가미하고 있다.
런던의 아이콘 중 하나인 검정택시(black taxi)를 연상시키는 마스코트머리부분에 표시된 노란색 교통신호등이 그것이다.
오륜마크는 '웬록'손목에 우정의 밴드형태로 합치되어 있고 마스코트들의 외눈(single eye)은 카메라다.
이 카메라 눈은 2012년 올림픽때까지 마스코트들의 활동여정을 증언하기위한 부속물이다.
'웬록'이란 이름은  Much Wenock의 Shropshire 마을로부터 따왔다.
여기서 "Wenlock Games"(웬록 게임)이란 쿠베르탱 남작이 근대올림픽을 창시하기위한 원칙적 영감항목들(principle inspirations)중의 하나였다.

'맨더빌'이란 이름은  버킹검셔(Buckingamshire)에 있는 Stoke Manderville로부터 왔다.
"Stoke Mandeville Games"(스토크 맨더빌 게임)이란 근대 장애인올림픽의 선구자격으로 1940년대 행해진 일종의 장애인올림픽대회다.



Mandeville about to try Paralympic athletics. (LOCOG)

Coe 조직위원장은 마스코트자체가 장애인올림픽의 발상(genesis)에 그 뿌리를 두고있다고 묘사했다.

그러나 그 희안한 마스코트의 생김새를 놓고 많은 전문가들이 런던올림픽 마스코트를 스머프(smurfs), 텔레토비(teletubbies)그리고 외눈박이 거인(Cyclops)에 비유했다.

런던 타임즈지는 "누구라 런던올림픽마스코트를 좋아하겠는가?"라고 반문하면서 Times Web사이트에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마스코트 생김새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디자인 평론가인 Stephen Bayley는 마스코트들을 일컬어 그냥 "쓰레기덩어리"(rubbish)라고 부른다.
Daily Telegraph는 마스코트들을 iPhone세대를 위한 스머프(Smurfs)로 비유한다.
브랜드본능(Brandinstinct)의 Aaron Shields는  "마스코트 디자이너들이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려고 한 나머지 이것저것 엉켜서 여러층을 덧칠하다보니 무슨 특징을 누구를위해 표현해야하는지를 까먹은 형상"이라고 꼬집는다.

BBCTV스태프진은  "마스코트들이 아주 귀여운 형태로 지속적으로 엉겨붙다보니 그렘린(Gremlins)과 같아보인다.
언제라도 우리들 귓밥을 타고 엉겨붙어 뇌를 흡입해서 말라붙게 할지도 모르는 작은 외계인들로 보인다.(Any moment now the little alienes are going to jump on to your earlobe and suchk your brain dry.)"라고 까지 혹평한다.

Union Jack Mascots. (London 2012)

로이터지는 마스코트 "마스코트 한쌍이 그리 귀엽지는 않다."(The duo is not so cute.)라고 평가한다.
AP는 런던올림픽마스코트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마스코트인 "Izzy "보다 훨씬더 끔찍하게 생긴 최악의 흉물마스코트(the weirdest mascots ever-even more than Atlanta's mascot Izzy)"라고 표현하였다.

그밖에 "아메바스럽고(amoeba-ish), 뻐드렁니처럼 보인다(goofy-looking)", 공포영화 상징물(jigsaw:실톱))등등 혹평이 난무한다.
Vancouver Sun지는 런던 올림픽 마스코트가 "살인마 외눈박이 텔레투비"(murderous cyclopic Teletubbies)처럼 보인다"
고 비평했다. 
 
CTV는 많은 이들이 마스코트를 텔레투비나 남성심볼/음경(phallic symbols)에 비유하고 있다고 보도한다.


34) 2016 Rio de Janeiro Olympics(Mascot):

2016년 리오 데 자네이루 올림픽대회 마스코트로 미주대륙의 가장 큰 영장류(Primate)인 Muriqui 원숭이가 그 후보로 제안되었다.

Rio 2016’s provisional logo


11월10일 브라질 리오 데 자네이루 환경연구소 관계자들은 muriqui 원숭이를 대회 마스코트로 하자는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O Globo 현지신문에 의하면  Marilene Ramos 브라질 환경부장관은 그 제안을 승인하였으며 대회조직위원회가 리오 올림픽마스코트 공모작업에 돌입할 때 마스코트 후보로 신청할 것이라는 것이다.
muraqui(무라끼)는 멸종위기에 처한 품종(an endangered species)의 원숭이다.


Rio de Janeiro state environmental minister Marilene Ramos will submit the muriqui as a mascot for the 2016 Olympics.(사진 출처: ATR)


마스코트 제안서에 따르면 무라끼 원숭이의 온순한 품성(its gentle nature)은 리오 데 자네이로 주민들(Cariocas)의 성격을 그대로 닮았다고 묘사되어 있다.
이 영장류를 대회 마스코트로 제안한 옹호자들은 몽키 무라끼는 다른 무리들과 조화를 이루어 가며 생활하는 방식이 올림픽이상(Olympic ideals)과 부합된다고 설명하고 있단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정보2010. 11. 5. 17:56

*Rankings of Countries in Terms of the Number of Hosting the Olympic Games (역대 올림픽 개최 빈도수로 본 랭킹순위)

 

No.1: United States (8 Times) ( 1위/미국: 8번으로 최다/동 하계올림픽 각 4회 씩)

1)1904 Saint-Louis (Summer)

   2)1932 Los Angeles (Summer)

      3)1932 Lake Placid (Winter)

         4)1960 Squaw Valley (Winter)

            5)1980 Lake Placid (Winter)

               6)1984 Los Angeles (Summer)

                  7)1996 Atlanta (Summer)

8)                    8)2002 Salt lake City (Winter)

 

No. 2: France (5 Times) (2위/프랑스: 5번/하계올림픽 2회, 동계올림픽3회)

1)1900 Paris (Summer)

   2)1924 Chamonix (Winter)

      3)1924 Paris (Summer)

         4)1968 Grenoble (Winter)

            5)1992 Albertville (Winter)

 

No. 3: Great Britain (3 Times) (공동3위/영국: 하계올림픽만 3번)

1)1908 London (Summer)

   2)1948 London (Summer)

      3)2012 London (Summer)

No.3: Germany (3 Times) (공동3위/독일: 하계올림픽 2회, 동계올림픽 1회)

1)1936 Berlin (Summer)

   2)1936 Garmisch-Partenkirchen (Winter)

      3)1972 Munich (Summer)

No.3: Italy (3 Times)(공동3위/이태리: 하계올림픽 1회, 동계올림픽 2회)

1)1956 Cortina d'Ampezzo (Winter)

   2)1960 Rome (Summer)

      3)2006 Turin (Winter)

No.3: Canada (3 Times) (공동3위/캐나다: 하계올림픽 1회, 동계올림픽 2회)

1)1976 Montreal (Summer)

   2)1988 Calgary (Winter)

      3)2010 Vancouver (Winter)

 

No.3: Japan (3 Times) (공동3위/일본: 하계올림픽 1회, 동계올림픽 2회)

 

1)1964 Tokyo (Summer)

   2)1972 Sapporo (Winter)

      3)1998 Nagano (Winter)

 

 

 

No.8: Greece (2 Times) (공동8위/그리스: 하계올림픽 2회)

 

1)1896 Athens (Summer)

   2)2004 Athens (Summer)

 

No.8: Australia (2 Times)(공동8위/호주: 하계올림픽 2회) 

 

1)1956 Melbourne (Summer)

   2)2000 Sydney (Summer)

 

No.8: Switzerland (2 Times) (공동8위/스위스: 동계올림픽 2회)

 

1)1928 Saint-Mortiz (Winter)

   2)1948 Saint-Mortiz (Winter)

 

No.8: Norway (2 Times) (공동8위/노르웨이: 동계올림픽 2회)

 

1)1952 Oslo (Winter)

   2)1994 Lillehammer (Winter)

 

 

 

 

No.8: Austria (2 Times) (공동8위/오스트리아: 동계올림픽 2회)

 

1)1964 Innsbruck (Winter)

   2)1976 Innsbruck (Winter)

 

No.8: Russia (2 Times) (공동8위/러시아: 하계올림픽 1회, 동계올림픽 1회)

 

1)1980 Moscow (Summer)

   2)2014 Sochi (Winter)

 

No.14: One Time (공동 9위/ 각 1회씩)

 

1)1912 Sweden/ Stockholm (Summer) <스웨덴: 하계올림픽>

   2)1920 Belgium/Anvers (Antwerp /Summer) <벨기에: 하계올림픽>

      3)1928 Netherlands/Amsterdam (Summer) <네덜란드: 하계올림픽>

         4)1952 Finland/Helsinki (Summer) <핀란드: 하계올림픽>

            5)1968 Mexico/Mexico City (Summer) <멕시코: 하계올림픽>

               6)1984 Yugoslavia/Sarajevo (Winter)<유고: 동계올림픽> 

                  7)1988 Korea/Seoul (Summer)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8)                    8)1992 Spain/Barcelona (Summer) <스페인: 하계올림픽>

9)                        9)2008 China/Beijing (Summer) <중국: 하계올림픽>
10






10
10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11. 5. 15:11
중국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의 성공적개최를 신호탄으로 시작하여 세계 스포츠 4대 산맥인 동 하계올림픽, FIFA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개최계획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개회식)

우선 중국은 2026년 FIFA월드컵개최희망의사를 표명하였고 Sepp Blatter FIFA회장은 즉각적인 환영의 신호를 보냈다.



현재 2018년 FIFA월드컵이 4개 유럽 유치후보군들(영국, 러시아, 스페인-포루투갈 연합, 및 벨기에-네덜런드 연합)간에 경쟁이므로 영국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어쨋건 간에 유럽대륙차지다.
2022년 FIFA월드컵 유치경쟁국 5개국(한국, 일본, 카타르, 호주, 및 미국)들 중 현 정황 상 호주 또는 미국이 개최국으로 선정될 공산이 큰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왜냐하면 그래야 대륙안배구상에 따라 2026년 FIFA월드컵이 중국(아시아대륙)의 품에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FIFA월드컵 개최국은 24명으로 구성된 FIFA집행위원들이 투표로 결정되지만 사실상 Blatter FIFA회장의 입김이 상당히 작용되기 때문이다. 
중국의 시장성과 마케팅수입, 그리고 천문학적 규모의 전 세계 TV중계권료 등의 중국매력은 FIFA의 끊임 없는 비약적인 성장을 위해 24명 FIFA집행위원들도 도저히 거부할 수 없고, 회피할 수 없고,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선택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2026년 FIFA월드컵 개최국은 중국이 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성공적 개최를 위해 미화 400억 불(약 44조 원)을 쏟아 부어 기반 부대시설 등을 완공하였다. 올림픽경기장 건설비용은 단지 극히 일부분만을 차지 하였다고 한다.
중국, 베이징은 2015년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유치도 사실상 확정적이다.
유일한 경쟁후보도시였던 영국의 런던이 11월3일자로 육상스타디움 문제로 후보탈퇴를 발표하였기 때문이다.
2015년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도시선정은 오는 11월20일 모나코 개최 IAAF집행위원회에서 결정된다.
런던은 육상경기장문제 미해결로 2015년대신  2017년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유치쪽으로 선회하였다.
그렇지만 2017년 유치경쟁은 3개도시간이 아니라 여러나라가 도사리고 있다.
런던을 위시하여 우선 2015년 대회유치후보였던 모로코, 남아공, 나이제리아, 말제리아, 이집트, 로마, 이스탄불, 도하 등 9개도시가 경합 예정이란다.
2011년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에서 그리고 2013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러시아의 모스크바에서 각각 개최된다.
이로써 중국은 2015년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도 석권한 셈이다.


Lamine Diack  (IAAF)  
<Lamine Diack (IAAF)국제육상경기연맹회장 겸 세네갈 IOC위원>

중국이 그랜드 슬랜(Grand Slam)석권을 위해 향후 남은 숙제는 이제 동계올림픽뿐이다.
만약 대한민국의 평창이 내년 7월6일 남아공 더반에서 개최되는 제123차 IOC총회 첫날 2018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선정에 실패할 경우 중국의 하얼빈 또는 창춘이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에 뛰어들 공산이 농후하다.
중국은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백두산(長白山)근처 국제공항건설과 헤이룽장(黑龍江)성에 위치한 하얼빈(1996년 동계아시안게임개최)과 지린성(吉林)창춘(長春: 2006년 동계아시안게임개최)을 잇는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그 핵심사업이 바로 동계올림픽유치다.

따라서 평창2018은 실패할 경우 그동안 쌓아 놓은 국제적 신뢰도와 인지도, 그리고 동계올림픽의 아시아 대륙개최
주기(1998년 일본 나가노 이후 20년 간 전무)에 따른 모든 혜택과 명분과 잇점을 고스란히 중국에 헌납하게 될 수도 있다.
그래서 평창2018은 철저하게 그리고 완벽하게 유치전에 임해야 한다.
만약 실패한다면 그 후유증은 향후 한국스포츠외교를 수렁에 빠뜨리고 유치실패 책임공방으로 혼란의 도가니에 빠질 수 밖에 없다.
중국의 거대한 물결이 넘실되며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 
대한민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중국은 20년이 지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각각 개최하였다.
대한민국은 2002년 한국-일본 FIFA월드컵 공동개최를, 중국은 이제 24년 후인 2026년 FIFA월드컵 개최를 계획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2011년 IAAF 대구광역시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중국은 이제 4년 후인 2015년 IAAF세게육상선수권대회를 베이징에서 개최하려고 한다.

Daegu 2011

대한민국은 2010년, 2014년 동계올림픽 평창유치실패에 이어 2018년 유치를의해 3수도전 중이다.
여기서 밀리면 지구촌 기후변화관계로 IOC의 동계올림픽개최 관련 기후조건 지침이 새롭게 설정될 경우 아마도 평창은 2022년 이후 기후조건제약으로 유치신청자체가 어려워 질지도 모른다.
이럴 경우 남북통일 이후 백두산 근처 삼지연 정도나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래서 평창은 반드시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에 배수진을 치고 사생결단하는 각오로 임해야 하는 것이다.
아! 천지신명이시여, 평창을 보호하소서!


PyeongChang2018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11. 5. 09:54
평창2018유치관련 스폰서 파문이 일단락되었다.
평창2018유치위원회는 IOC윤리위원회가 조사한 후 발표한 경고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요지의 내용을 IOC로 발송 하였다고 보도되고 있다.
"평창2018은 지금까지 IOC제반 규칙 및 규정을 충실히 준수하여왔으며 그러한 자세를 계속 견지하고 있다. 우리는 금번 IOC의 결정에 함축된 논리에 대해 수긍하며 감사한다. 이제 이 사안은 일단락되었으며 우리는 2018년 유치 캠페인의 다음 단계을 향하여 모두 함께 전진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PyeongChang 2018 has always been and continues to remain committed to complying with all
IOC rules and regulations. We appreciate the logic of this decision at this time which has also been conveyed to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We believe that this matter is now closed and we can all move forward into the next phase of the 2018 bid campaign.”)

한편 IOC는 금번 스폰서 파동과 관련된 IOC위원 2명에 대하여 아무런 경고나 주의조치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막강한 실세인 Denis Oswald IOC집행위원 겸 FISA회장에 대하여서는 FISA와 Oswald회장이 삼성전자와의 스폰서계약건을 "좋은 취지와 신념으로 처리하였다."(have acted in good faith)라고 정의하였다.
결국 Oswald IOC집행위원은 IOC로부터 "잘했다(?)"라는 평가와 본인이 회장 직을 맡고 있는 FISA와 삼성전자와의 4년짜리 스폰서계약을 살리는 실리를 모두 챙기는 성과(?)를 거둔 셈이다.
그러면서 차기 IOC위원장 강력후보이며 뮌헨2018 유치위원장인 독일 IOC부위원장 Thomas Bach에게 이해상충성 오해의소지를 불식시키는 일환으로 "투표권 행사 포기"의사를 표명하여 Bach와 뮌헨2018 그리고 프랑스 안시 2018에게도 적을 만들지 않음으로써 '꿩 먹고 알먹기'식의 절묘한 행보로 실익과 명분 모두를 성취한 격이다.


(IOC 집행위원 겸 FISA회장 겸 ASOIF 회장인 Denis Oswald<좌측>, 그는 차기 IOC위원장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

외신은 "Oswald가 삼성과의 스폰서계약을 지키는 댓가로 2018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 선정 투표 기권을 선택하였다."(FISA's Oswald Opts not to Vote for 2018 Olympic Host as Price of Keeping Samsung Sponsorship)라는 기사를 타전하였다.
Cinquanta 이태리 IOC위원 겸 ISU회장도 아무런 흔들림 없이 미화1백만불(약11억원)짜리 대한항공과의 2년 스폰서계약 성사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켰다.
물론 동 계약의 발효시기는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도시 선정 투표후니까 어쨋든 백만불짜리 스폰서는 선점 확보한 셈이된다.
그리고도 Cinquanta IOC위원은 IOC로부터 아무런 조치도 받지 않았다.
사실상 평창2018유치에 도움이 되도록 추진했던 2개의 스폰서계약 건은 남 좋은 일만 시켜 준 모양새가 되어 버리고 말았다.
문제는 동계올림픽유치 관련 IOC윤리위원회의 이번 판결로 인해 향후 국내 다국적 기업들이 평창2018을 측면지원할 수 있는 다각적이고 공식적인 국제스포츠행사지원 및 기타 후원 프로그램 추진계획( IOC위원 득표 전략 교두보 한쪽)이 송두리채 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해상충"(Conflict of Interest),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이 단어는 향후 평창2018유치활동의 발목을 잡는 견제구 성격의 명분으로 불리하게 자주 사용될 수 있다.
유럽의 텃세, IOC윤리규정의 굴레, 스포츠외교파워 부재는 평창2018이 반드시 넘어서야 할 산(山)들이다. 
 




IOC가 외신에 공개한 평창2018 경고장 원문





"After indications last week of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s concerning partnership deals involving International Sports Federations and commercial partners, the IOC Ethics Commission has taken the following action.
The International Skating Federation (ISU) and Korean Air - a partner of the Pyeongchang 2018
bid committee - have agreed to postpone their partnership until after the vote on who will host the Olympic Winter Games in 2018. The election will take place in Durban on 6 July 2011. The Ethics Commission reminded Pyeongchang 2018 and its related organisations to fully respect the Rules of Conduct related to Candidate Cities and issued a warning.
The Ethics Commission also looked into the partnership deal between the 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 (FISA) and Samsung, a global (TOP) sponsor of the Olympic Movement. The agreement did not infringe IOC rules. FISA President and IOC member Denis Oswald decided to abstain from voting in Durban to avoid a perception of conflict of interests. The IOC Ethics Commission recognised that FISA and its President acted in good faith.”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11. 4. 16:33
IOC는 평창2018 유치위원회에 IOC윤리위원회가 공개적으로 경고장(warning)발급내용을 발표했다.



IOC윤리위원회의 조사명분은 이러했다.
이건희 IOC위원은 평창2018 유치에 관여하고 있으며 IOC TOP 스폰서인 삼성전자 회장이기도 하다.
그런 삼성전자가 최근 FISA(국제조정경기연맹)와 4년짜리 스폰서계약을 체결하였다. 
그리고 조양호 평창 2018 유치위원장이 회장인 대한항공은 ISU(국제빙상경기연맹)과 역시 최근 2년짜리 스폰서계약을 체결하였다.

Governor Gwang Jae Lee with bid chair Yang Ho Cho in Acapulco last month. It was Lee’s first foreign foray for the bid since taking office in July. (ATR)

IOC의 조사대상은 이러한 두 건의 스폰서계약을 통하여 평창2018이 유치경쟁상대인 뮌헨2018과 안시2018에 반하여 우위를 선점할 수도 있다는 데 초점을 맞춘 듯 싶다. 
즉 평창2018이 이를 빌미로 두 단체회장 직을 겸하고 있는 두 명의 IOC위원들에게 투표권행사시 영향력을 미칠수 있기 때문에 '이해상충'의 소지가 있다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대한항공은 ISU와의 스폰서계약을 2018동계올림픽개최도시 선정후로 연기(2011.7.6 이후)해야 할 것인 반면 삼성전자의 FISA와의 스폰서계약은 그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결론났다고 보도되었다.



IOC는 발표문에서 IOC윤리위원회가 평창에 경고장을 발급했으며(The IOC Ethics Commission issued a warning to PyeongChang,) "평창 2018과 관련 해당 기관들이 올림픽유치후보도시 관련 행동강령을 완전하게 준수하도록 상기시켰다."(and reminded PyeongChang 2018 and its related organizations to fully respect the Rules of Conduct related to Candidate Cities.)라고 공개하였다.
IOC가 올림픽유치과정에서 유치후보도시들에게 보낸 경고장내용을 언론에 공개하는 것은 아주 드믄 일이다.

삼성의 FISA관련 파트너계약건은 삼성이 IOC TOP 파트너인 관계로 IOC의 규정을 위반하지 않은 케이스라고 결론지었다. 



"IOC 윤리위원회는 FISA와 FISA회장은 적법한 신념대로 처신한 것으로 인정했다."(The IOC Ethics Commission recognized that FISA and its President acted in good faith.)고 성명서는 밝혔다.

하지만 Denis Oswald FISA회장 겸 스위스 IOC집행위원은 이와 관련 이해상충(Conflict of Interest)오해소지와 그러한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하여 투표는 기권하는 것으로 동의하였다고 한다.




(Oswald IOC집행위원<우-2>, Ser Miang NG 싱가폴 IOC 부위원장<좌-2>, 권혁승 평창군수<우-1>과 함께 평창 스키점프대 앞에서/2009.2)



(강릉소재 에디슨 축음기 박물관을 관람 중인 Oswald IOC집행위원<좌-2>와 함께)



(2018 평창동계올림픽경기장 배치모형도를 보며 브리핑을 받고 있는 Oswald IOC 집행위원<우-2>과 함께)

2009년 2월 세계바이애슬론선수권대회를 계기로 평창을 공식방문하여 평창의 동계올림픽 제반 시설과 준비상황에 대하여 좋은 인식을 가지고 있는 Oswald FISA회장의 경우 평창에 투표할 가능성이 높은 IOC위원이란 점을 감안할 때 평창2018으로서는 웬지 아쉬운 여운이 남는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세상2010. 11. 3. 17:03
일전에 아시아 철인3종 관련 행사에 참석하였다가 카작스탄의 옛 수도 알마티로부터 1시간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실크로드의 연장선 키르기지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및 중국과 경계에 걸쳐 뻗어있는 천산(天山)산맥 산자락에 쌓인 눈을 감상하였다.




산사에 있었던 찻집에 들려 따뜻한 중앙아시아 실크 로드(Silk Road) 차 한잔을 음미하였다.
차 맛도 훌륭했지만 찻잔에 새겨진 문구가 더 마음에 들었다.
차에 대한 예찬의 글이 적혀져 있었다.
공자(孔子)의 말씀이다.
따뜻한 차한잔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함께 나누고 싶어 적어 본다.:

"Tea tempers the spirit, (차 한잔은 정신을 어루만져 주며,)
and harmonizes the mind, (마음을 조화롭게 품어주고,)
dispels lassitude (나른함을 쫓아주며,)
and relieve fatigue,(피로를 풀어주고,)
awakens thought (생각을 일깨워 주며,)
and prevents drowsiness,(졸리움을 막아주고,)
lightens or refreshes the body,(몸을 가볍고 활기차게 해 주며,)
and clear the perceptive faculties.(통찰력과 감지력을 명쾌하게 해 준다네.)"

-Confucius(공자)-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세상2010. 11. 3. 11:47
IOC는 로잔느 소재 올림픽박물관(Quai d'Ouchy 1 case postale 1121, 1001 Lausanne, Suisse)을 일신하기 위해 향후 20개월 간 잠정 장기간(2012년 1월~ 2013년 10월) 폐쇄조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게 IOC위원장은 "올림픽박물관의 매력을 배가 시키기 위해 합의된 노력이 로잔느시 당국의 공약과 올림픽수도 발전방식과 일맥상통한다."라고 언급하였다.
올림픽박물관 보수작업 착수 날자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토지사용계획(a land-use plan)이 우선 로잔느 시의회에서 승인되어야하지만 빨라야 2012년이 되어야 모든 절차가 완료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올림픽박물관은 1991년 6월 개장하였고 330만 명의 방문객을 기록하였다.

오늘은 올림픽 박물관에 전시된 스포츠를 주제로 한 예술작품 전체를 소개한다.: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 및 윤강로 평산 스포츠박물관 자료사진)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0. 11. 2. 18:26
국제연맹회장이 IOC위원인 ISU와 FISA 두단체와 국내기업들(삼성전자 및 대한항공)간의 스폰서 계약체결로 외신보도의 대상이 된 평창2018이 스폰서관련 이해상충(Conflict of Interest) 조사에 따른 문제의 조기 해결을 위해 IOC로부터 조언을구한다(PyeongChang2018 to 'Seek Advice' from IOC over Conflict of Interest Probe)라는 제목의 외신보도가 눈에 띤다.
IOC윤리위원회의 조사명분은 이렇다.
이건희 IOC위원은 평창2018 유치에 관여하고 있으며 IOC TOP 스폰서인 삼성전자 회장이기도 하다.
그런 삼성전자가 최근 FISA(국제조정경기연맹)와 4년짜리 스폰서계약을 체결하였다. 
그리고 조양호 평창 2018 유치위원장이 회장인 대한항공은 ISU(국제빙상경기연맹)과 역시 최근 2년짜리 스폰서계약을 체결하고 ISU는 조양호회장의 계약체결에 따른 견해를 피력하였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공식 배포하기까지 하였다.
IOC의 조사대상은 이러한 두 건의 스폰서계약을 통하여 평창2018이 유치경쟁상대인 뮌헨2018과 안시2018에 반하여 우위를 선점할 수도 있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듯 싶다. 
즉 평창2018이 이를 빌미로 두 단체회장 직을 겸하고 있는 두 명의 IOC위원들에게 투표권행사시 영향력을 미칠수 있기 때문에 '이해상충'의 소지가 있다라는 것이다.
 
동 건관련 외신보도 직후 얼마 간의 인터벌을 두고 인터뷰에 응한 Ottavio Conquanta ISU회장 겸 이태리 IOC위원은 ISU-대한항공 2년 타이틀스폰서계약에 대해 옹호했다.
그는 ISU가 조양호회장과 협상한 바 없노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계약체결할 당시 조회장과 교신한 기록이 없다라고 항변하였다. 
Cinquanta 회장은 계약이 비록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유치후보도시가 된 이후에 체결되었지만 본인 자신은 조양호회장이 평창2018 유치에 연관이 있는지 없는지 인지하고 있었는지 조차 기억할 수 없다(He cannot recall whether he was aware that Cho was involved in PyeongChang's bid.)라고 주장하였다고 보도되고 있다.
"혼란스럽다. 솔직히 말해서 기억이 나질 않는다. 우리는 모든 필요서류 및 절차를 마무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서류상에도 조양호회장은 나타나 있지 않다. 난 결단코 조회장과 동 건 관련 말을 섞은 바 없다.(I never spoke with him about this.)"

                                  (Ottavio Cinquanta ISU회장 겸 이태리 IOC위원과 함께)


이에 대해 한 외신은 ISU가 배포한 보도자료내용에 조회장의 코멘트를 인용하며 Cinquanta회장의 해명과 대비시키고 있다.
"글로벌 스포츠종목인 숏트랙경기에 대한 우리<대한항공>의 후원은 우리가 한국이 동계스포츠에 대한 헌신적 약속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Our support of this global short track competition is one way that we are showing our country's commitment to winter sports.)


(ANOC총회장에서 평창을 홍보하는 조양호 평창 2018유치위원장/사진출처: ATR)



이것이 현 상황이다.
이와 관련 평창2018의 대응은 적절하다.
IOC와 협의하고 IOC의 자문을 받기로 한 것은 현명하고 지혜로운 처사다.
이번 스폰서계약 건은 IOC윤리규정에도 직접 명시되지 않은 사안이다. 
동 건에 대하여 어떤 '안 보이는 손'에 이끌려 포괄적 정황적 '이해상충'이란 논리를 내세워 윤리위원회가 조사 중이란 IOC입장 설명 또한 궁색하다.
만일 IOC윤리위원회가 이를 조사하려면 우선 계약 당사자인 ISU와 FISA도 함께 조사하여야 한다.
또한 IOC위원윤리강령을 적용하여 거물 급인 Cinauanta 이태리 IOC위원과 Oswald 스위스 IOC집행위원에 대하여서도 소환 조사를 벌여야하는 부담이 따른다.
이리 되면 자크 로게 IOC위원장의 간판 정책노선인 "부패 무관용주의"(Zero Tolerance on Corruption)와 "Clean IOC"의 정책기조 방정식에 관련 해당 IOC위원 2명에 대한 케이스를 대입하여야 한다.
향후 국제연맹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스폰서 기피현상이란 부작용도 간과할 수 없다.
향후 올림픽유치도시들에 대한 IOC윤리강령내용도 강화하여야 한다.
향후 국제연맹회장 직을 맡고 있는 15명에 달하는 IOC위원들은 해당연맹 스폰서 계약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는 우려와 반발이 생길 수 있다.
향후 올림픽대회개최가 주 존립목적인 IOC의 최대고객인 동 하계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의 향후 올림픽 유치 미온적 참여현상에 대하여서도 깊히 숙고해야하는 IOC로서도 문제를 확대 할 이유가 없다.
올림픽유치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유치후보도시뿐만 아니라 IOC도 타격을 입게 된다.
왜냐하면 공동운명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스폰서 관련 이슈는 '찻잔 속의 폭풍'(Storm in a Tea cup)이 될 공산이 크다.
올림픽유치전은 "총성 없는 전쟁"이다.
평창2018은 절대로 위축되지 말아야 한다.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다양한 전술과 전략 그리고 무엇보다도 배짱과 소신이 충만해야 한다.   
평창2018의 "더반 대첩"을 위하여!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피겨 퀸 겸 평창2018 홍보대사 김연아선수/출처: 평창2018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