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7. 2. 2. 14:18

[Trump미대통령 이슬람7개국 미국입국금지 대통령행정명령법발효 국제스포츠 계 파장 일파만파 되려나?]

 

 

21일자 한 외신이 전하는 기사 제목은 “IOC, 미국으로부터 미국개최 스포츠 경기에 각국 선수들 출전허용 신속조치 환영하다”(IOC welcomes quick action from US to allow athletes to compete in America)이었습니다.

 

 

 

 

 

Donald Trump미국 대통령의 출입국 관리 대통령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immigration) 발동 후, 각국 선수들에 대한 미국정부의 미국 내 개최 경기출전을 위한 신속한 접근승인 방침(the US Government granting expedited access to athletes to allow them to compete in America)IOC로부터 환영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미국정부의 조치에 대한 IOC의 첫 반응으로 대표되는 문구에서 IOCUSOCTrump대통령의 결정이 미국 내 경기출전을 위해 미국으로 여행하기를 원하는 각국 선수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것(President Trump’s decision would not affect competitors wishing to travel to the nation)을 확고히 해준 것에 대하여 치하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127()자로 서명된 Trump의 대통령행정명령에는 7개 주요 무슬림 국가들(Muslim-majority countries)로 분류된 1)이란, 2)이라크, 3)리비아, 4)소말리아, 5)수단, 6)시리아 및 7)예멘 국적의 시민들이 90일 간 미국 입국 승인을 금지하고(prohibits from being granted entry to the US for a 90-day period) 있는 내용이 담겨있다고 합니다.

 

미국당국은 금지조항에도 불구하고 USOC와의 업무협력합의 후 각국 선수들이 미국 내 개최 스포츠 시합에 출전하도록 입국을 허용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여 주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이에 대한 IOC의 성명서를 통한 반응 내용입니다:

 

"The IOC has been informed by the USOC about the pledge of cooperation it received from the US Government with regard to expedited access to the United States for athletes and officials in order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sports competitions." (IOCUSOC로부터 미국정부가 국제스포츠 경기에 참가를 목적으로 하는 선수들과 임원들에 대해 미국입국에 따른 신속한 접근허용 협약 서를 수령하였다는 보고를 받았음)

 

"The IOC welcomes the initiative by USOC and trusts that international competitions in the United States continue to take place in line with the Olympic Values of friendship, excellence and respect." (IOCUSOC의 주도적 조치를 환영하며 미국개최 국제스포츠 경기들이 우정과 탁월함과 존중이란 올림픽 가치의 선상에서 지속적으로 열리게 될 것임을 믿고 있음)

 

IOC는 당초 Trump대통령행정명령에 대하여 주권국가들의 정치에 대한 논평” (comment on the politics of sovereign countries)사절관례를 주장하면서 이에 대하여 반응 코멘트를 거절한 바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금지조치는 세계 모든 국적의 난민들이 120일 간 미국 여행을 할 수 없게 될 것인 반면, 시리아 난민들(Syrian refugees)에게도 무기한 (indefinitely)입국금지조치가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비록 제한조치의 확대범위에 대하여 현재조항으로는 90일 임시조치만(only a 90-day temporary measures)이 규정되어 있지만 아직 어찌될 것인지가 불명확함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의 입국금지 행정명령은 여전히 전 세계에 불꽃 튀는 우려의 불꽃을 지피고 있는(still sparked concern across the world)형국이라고 합니다.   

 

입국금지행정명령에 영향을 받은 첫 번째 선수들 중 한 명으로는 이란 출생의 아이슬랜드 태권도 선수인 Meisam RafieiLas Vegas개최 US오픈 태권도 시합 참가 차 미국에 입국하려다가 제재조치를 받았다고 합니다.

 

Rafiei 선수는 결국 131일 시작된 시합에 참가하기 위한 명분으로 미국 입국이 허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eventually granted permission to the nation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event, which began yesterday).

 

USOC이러한 상황이 성공적으로 해결되어 만족하며 전 세계 선수들이 자유롭게 미국에서 열리는 국제 경기에 출전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정부와 지속적인 협업을 기대한다”(pleased to have successfully resolved this situation and look forward to continued collaboration with the Government to ensure that athletes from around the world are free to compete in the US)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United World Wrestling, led by Nenad Lalović, have expressed their hope that American athletes will be able to compete at next month's Freestyle World Cup in Iran ©Getty Images (Nenad Lalovic 연합세계레슬링연맹회장 겸 세르비아 IOC위원과 Mamadou NDIAYE세네갈 IOC위원/출처: insidethegames)

 

 

 

이러한 Trump대통령의 행정명령조치(the move)는 리스트에 포함된 국가들 소속선수들이 미국 땅에서 열리는 경기출전 가능여부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었으며(had raised concerns) 미국 스포츠 단체들 내부에서도 과연 미국선수들이 이란 개최 대회 참가여부와 관련 불안감을 증폭시킨 바 있다(prompted fears)고 알려졌습니다.

 

미국 레슬링 연맹은 미국시민에 대한 반 이란 금지조치명령을 불사하고 (despite a counter Iranian ban on its citizens)다음 달 3월 이란 Kermanshah개최 레슬링 자유형 월드컵에 미국 팀 전체를 파견키로 천명하였다(vowed to send a full delegation)고 합니다

 

이란 개최 레슬링 자유형 월드컵은 216~17일 열릴 예정이며 세계레슬링 연맹(UWW: United World Wrestling)은 이란 당국이 미국레슬링선수들로 하여금 출전할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 줄 것을 희망한다고 표명하였다고 합니다

 

성명서를 통하여 UWW는 레슬링에 관한 한 미국과 이란 사이의 협조는 레슬링 종목을 위한 황금기준(gold standard for our sport)이며 양국 연맹들은 미국이 레슬링자유형 월드컵에 출전하는데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expressed their interest to see the United States compete at the Freestyle World Cup)고 역설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UWW성명서 내용의 일부입니다:

"We feel privileged to know that wrestling so often encourages this typ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re hopeful that the Iranian Foreign Ministry will be able to confirm the participation of the United States at the World Cup." (우리는 레슬링이 왕왕 이러한 유형의 국제협력관계를 고무시킨바 있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이란 외교부가 미국의 월드컵 참가를 확인해 줄 것을 희망하고 있음)

 

UWW 회장 겸 세르비아 IOC위원인 Nenad Lalović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습니다:

 

"As it was during the worldwide effort to see wrestling reinstated on the Olympic programme, our sport’s strength comes directly from the passion and dedication of our athletes and fans. (세계만방의 노력으로 레슬링이 올림픽 정식종목 프로그램에 복귀한 바 우리 종목의 힘은 선수들과 팬들의 열정과 헌신에서 비롯되고 있음)

 

"We thank them for their ongoing support of United World Wrestling and our national federations." (우리는 UWW와 각국 레슬링 연맹들에 대한 지속적인 성원에 대하여 선수들 및 팬들에게 감사를 표함)

 

 

 

Los Angeles Mayor Eric Garcetti is confident the executive order will not affect the city's bid for the 2024 Olympics and Paralympics ©Getty Images

(Eric Garcetti LA시장/출처:insidethegames)

 

 

Trump대통령의 행정명령(the executive order)은 영국의 올림픽 4관왕에 빛나는 Sir Mo Farah를 포함하여 많은 스포츠 인사들에 의해 비판을 받아 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Eric Garcetti LA시장 역시 이러한 조치에 대해 비난하였으며 (denounced the move) LA2024올림픽 및 패럴림픽 유치노력이 이러한 조치로 인해 영향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LA2024올림픽유치가 자체의 장점에 의거하여 판단될 것”(judged on its merits)을 확신한다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그러한 발언은 LA2024올림픽유치가 Trump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인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자 나온 것 인데 후보도시로는 ParisBudapestLA와 경쟁대열에 합류하고 있습니다

 

2024년 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도시 선정은 금년 913일 페루 리마개최 제130IOC총회 첫 날 투표로 결정됩니다.

 

1996Atlanta올림픽 개최 이후 처음이 될 2024년 올림픽 유치도시 LA시장이자 핵심인물(a key player)Garcetti의 발언 내용입니다:

 

“If selected, we will show the world a sustainable and low-risk Games that gathers nations together, showcases American values, and brings benefits, not burdens, to our community. (LA가 개최도시로 선정이 된다면 우리는 각국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이는 대회를 통하여 미국의 가치를 보여주고 공동체에 부담 대신 혜택을 가져오는 지속 가능하고 위험도가 낮은 올림픽을 세계에 선 보일 것임)

 

"I am confident that the IOC will evaluate our bid on these merits, and I am more committed than ever to bringing the Games back to Los Angeles in 2024." (나는 IOC가 이러한 특장점들에 근거한 LA2024의 유치상황을 평가할 것을 확신하며, 2024년에는 올림픽을 LA로 다시 불러올 수 있도록 그 어느 때보다도 훨씬 더 헌신할 각오가 되어 있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 30. 11:31

[IOC 사상초유의 2024년 및 2028년 올림픽개최도시 동시 선택 임박?]

 

 

 

*순서:

 

가. IOC 2024/2028년 올림픽개최도시 선정관련 과연 패키지 선택을 할까?

나. IOC의 고민과 속셈

다. Los Angeles 2024의 분위기

라. Paris 2024의 특장점 6가지 분석

마. 대륙 별 IOC위원 분포 도 및 투표 가상 전망

바. LA 2024 Paris 2024 격돌 시 도출 변수 시나리오

사. LA 2024에서 LA2028 4년 순연개최에 따른 실리와 명분

아. Paris204~LA 2028 패키지 개최도시 가상결정에 따른 IOC의 후속과제 및 결단

 

 

 

*내용

 

 

아래 내용은 The Sports Examiner지에 실린 126일 자 기사를 발췌 및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1.  IOC2024/2028년 올림픽개최도시 선정관련 과연 패키지 선택을 할까?

 

 

126일 자 한 외신 칼럼기사 제목은 LA IOC를 위해 2028년 올림픽개최도시로 LA가 왜 합리적일까”(Why 2028 makes sense for Los Angeles…and the IOC)였습니다.

 


                                 Donald Trump (출처: The Sports Examiner)

 

 

누리 꾼(chatter) IOC 2024년 및 2028년 올림픽개최권을 오는 9월 제130 IOC총회에서 한꺼번에 두 곳에게 부여할 수 있다라는 아이디어(idea) 또는 가능성(possibility) 또는 망상(hallucination)에 관해 증폭하여 격렬하게 주장하고(intensifying) 있습니다

 

주창자들(proponents ) IOC가 현재 두 개의 고도로 아주 참신한 양질의 후보도시들(two very high-quality candidates) LA Paris와 또 하나의 양호한 후보(q good quality candidate) Budapest IOC앞에 포진하고 있음에 주목합니다.

 

 

2.  IOC의 고민과 속셈

 

IOC는 표면상으로(ostensibly) LA Paris 두 도시에게 두 개의 올림픽 개최권을 동시에 부여함으로써 첨예한 도핑이슈가 올림픽 개최권부여에 미칠 영향의 향방에 대한 염려를 붙들어 매어 놓으면서 두 개의 훌륭한 개최도시를 한꺼번에 고정시키고 나서 그 다음에 도핑과 같은 IOC의 구조적이고 징계처벌 관련 현안들(its structural and disciplinary issues)에 대해 처리할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입니다.

 

 

비록 IOC가 거의 한 세기에 걸쳐 이러한 2개의 올림픽개최도시 동시선정을 해 온 전례는 없지만 그러한 조치에 대하여 IOC자체규칙에 명시된 제약사항들은 없는 것으로(no restraints against) 알려져 있습니다.

 

 

3.  Los Angeles 2024의 분위기

 

또한 1932년과 1984년 두 번에 걸쳐 짜릿한 올림픽 성공개최사례 이후(after the revolutionary successes) LA로써는 특히 3번 째 올림픽 개최 가능성으로 인해 LA시 전역 많은 부분에 걸쳐 두드러질 만큼 신명 나는 분위기를 맞이하고 있다(met with considerable excitement in many sections of the city)라는 것입니다.

 

 

 

 

                           

 

4.  Paris 2024의 특장점 6가지 분석

 

하지만 Paris는 여전히 2024년 올림픽 개최 선호도시이며 영국의 내기 사이트인 Betfair2024년 올림픽개최도시 선정 승산(odds-on choice) Paris 5/7, LA 9/4, Budapest 4/1로 각각 매기고 있으며 이러한 선정승산 확률 매김에는 다음과 같은 그럴듯한 이유들이 있다고 합니다:

 

                     

 

(1) Paris올림픽유치는 고품질/고 품격(high quality)인 바 대부분의 경기장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거나 건설비용을 어제하고 있는 임시시설로 계획 중임(be temporary, holding down construction costs)

 

  (2) 프랑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들은 올림픽유치의 인프라 건설을 위하여 10억 유로이상을 계상하여 지원하고 있음(in for more than a billion Euro)

 

(3) 근대올림픽역사 상 올림픽이 유럽대륙 이외 지역에서 12년 이상 계속되어 열린 적이 전무함

 

*런던2012 올림픽 이후 2016년에는 Rio, 2020년에는 Tokyo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2024년 올림픽은 유럽대륙국가가 다시 개최할 차례이며 사실상 섬나라인 영국의 런던 말고 유럽대륙에서 하계올림픽이 마지막으로 치러진 것은 그리스의 Athens2004 인 셈이며 불어 권(francophone city) 도시들 중 가장 최근 올림픽을 치른 곳은 캐나다의 Montreal1976 이었음

 

(4) 오늘날 세계주요언어로 각광받고 있는 언어가 영어임에도 불구하고(despite the domination of English as the world’s main language today) IOC는 프랑스와 불어 기록 불어권문화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has its roots in France and in French language and culture) Paris 1900년 및 1924년 두 차례 올림픽 개최도시이므로 2024년은 Paris로써는 100년 만에 올림픽이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는 의미심장 함이 근대올림픽운동 역사의 인식사항으로 다가옴(an acknowledgement of the history of the modern Olympic Movement)

 

(5) 프랑스인들은 그 동안 2010년에 펜싱, 2011년에 유도와 역도, 2015년에 트랙 사이클 및 조정 세계선수권대회 등을 포함하여 2017년에는 레슬링 세계선수권대회 등 다수의 최근 세계선수권대회들을 꾸준히 개최하여왔으며 남자 세계핸드볼선수권대회가 파리에서 지금 개최 중임

 

 (6) 또한 Paris Budapest는 유럽중심의 IOC에서(in Euro-centric IOC)에서 유럽도시들이란 장점을 가지고 있음

 

 * 모든 올림픽유치도시들이 지극히 민감하고 고통스러울 정도로 세분화하여(in excruciating detail) 분석하고 있는 것처럼 현재 IOC위원들의 대륙 별 분포도(current membership and geography)를 살펴보면, 투표에 있어서 비 유럽권 유치도시들이 치러야 할 힘든 싸움(the uphill battle)임을 알 수 있을 것임

 


 

 

 

 

 

5.  대륙 별 IOC위원 분포 도 및 투표 가상 전망

 

* 유럽대륙 IOC위원 수: 44 (이스라엘 포함)

* 아프리카대륙 IOC위원 수: 12 (불어 사용권 국가 4명 포함)

* 북중남미 대륙 IOC위원 수: 15 (카리브해안 국가들 포함)

* 아시아대륙 IOC위원 수: 15

* 중동국가 IOC위원 수: 4

* 오세아니아 대륙 IOC위원 수: 5 명 등 총 95

 

 

이들 총 95 IOC위원들 중 올림픽유치후보도시국가 출신 IOC위원들은 투표권이 주어지지 않으므로(disqualified in the first round voting/미국 3, 프랑스 2, 헝가리 2명 등 7명 제외) 실제로 1차 투표에 참여하는 IOC위원 수는 88명이 됩니다

 

이들 중 유럽 IOC위원들이 40, 아시아 IOC위원들이 15, 아랍어 사용 중동국가 IOC위원들이 4, 아프리카 IOC위원들(불어사용국가 출신 4명 포함) 13명 그리고 오세아니아 IOC위원들이 5명이 남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그 어떤 미국후보도시들이라도 극복하기 어려운 주문(a tall order to overcome)이며 LA역시 그러한 도전과제를 안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변수(a rub)도 있는데 Budapest 1차 투표에서 탈락한다고 가정해볼 때, 이 경우 LA Paris 2차 투표이자 결선투표에서 맞닥치게 되는데(advance to the final round), 두 도시 모두 서로 저항할 수 없는 주장들(compelling arguments)을 펼치게 됩니다.

 

 

6.  LA 2024 Paris 2024 격돌 시 도출 변수 시나리오

 

 

LA는 경기장 건설비가 필요 없는 예산(its no-construction budget), 거의 날마다 모든 종류의 고 품격 스포츠행사 개최실적(staging high-caliber sporting events of every kind on a daily basis)과 조직위원회가 재정적으로 실패할 경우 US$5억불( 6,000억 원)이상의 예산회계 보증(in fiscal guarantees)이 확보된 것으로 알려진 공공기관으로부터 전례 없는 수준의 지원(an unprecedented level of support from public entities)을 비롯하여 이미 자타공인의 화려한 올림픽개최 역사(a brilliant history in hosting the Games that speaks itself)를 펼쳐 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제는 이러한 조건들을 어떻게 분리시켜 고려할 것인지가 문제입니다.

 

결국 Paris로써는 다음과 같은 설득 맥점을 도출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2024 Paris 100주년 기념 올림픽은 매력적이고, 역사적일 것임

 

(2) 이전 4번의 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 Rio2016하계올림픽으로 남미까지, 또 평창2018동계올림픽, Tokyo2020하계올림픽, Beijing2022동계올림픽을 위하여 아시아까지 머나먼 장거리 여행을 해야 했던 대부분의 선수들에게 가장 편리한 올림픽이 될 것인 바 2024년 올림픽은 Paris에게 주어져야 함

 

 

7.  LA 2024에서 LA2028 4년 순연개최에 따른 실리와 명분

 

 

그렇다면 LA로써는 스스로의 장점을 살리는 작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LA는 올림픽 안성맞춤 도시이며(primed for a Games) 비록 2017년 말 재선되어 2021년까지이므로 Eric Garcetti LA시장의 임기가 2028년 이전에 종료될 (will be termed out well before 2028)것이지만 또한 Donald Trump 45대 미국 대통령조차도 같은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출처: Wikipedia)

 

 

 

만일 Trump 2020년 재선될 경우 2024 LA에서 올림픽이 열리게 된다면 대회개회선언을 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IOC Trump 미 행정부의 영향력을 피하기 위하여 (to steer clear of the Trump administration)그리고 LA에서 현재 일고 있는 올림픽에 대한 열정을 최대한 지속적으로 살려냄과 동시에(by taking advantage of the current fervor for the Games in LA) Trump대통령 직 임기가 끝난 후 (2028)올림픽을 LA로 유치케 함으로써 다가오는 미래대비 안심(secure its immediate future)보험효과를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며 현 후보도시 수장들과 몇몇 (반미)IOC위원들의 바램도 함께 달래줄 수 있는(placate the desires of current city leaders)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리는 방안 마련 필요성을 절감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8.  Paris204~LA 2028 패키지 개최도시 가상결정에 따른 IOC의 후속과제 및 결단

 

이 경우 IOC가 두드러지게 해야 할 이슈들이 발생하는데 먼저 LA 2017~2021년까지 차기 올림픽 조직위원회로써 유지하기 위한 운영비 기금 일부를 지원해 줄 책임이 그것입니다.

 

왜냐하면 (2028)올림픽조직위원회는 2020년 초반까지 스폰서 권리 판매나 기타 다른 기금모금행위가 금지되어 있기(prohibited from selling sponsorships or other fund-raising until the early 2020s)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것들을 해소해 줄 해결방안은 마련될 수 있다고 사료됩니다.

 

문제는 IOC가 과연 Paris LA 양 도시들에서 IOC의 미래적 가치를 헤아려 꿰뚫어 엮어 나갈 수 있을 정도의 통찰력과 선견지명과 과감함을 접목시킬 지 여부가 관건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입니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 24. 16:22

[스포츠외교 현황 2017년과 발전방향 Update]

 

*순서:

. 서언

. 스포츠 외교의 의미와 가치란?

. 우리나라 스포츠 외교의 현주소는?

. 우리나라 스포츠 외교력 부재의 원인은?

. 스포츠 외교 강화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은?

. 결어

 

*내용:

 

다음 글은 대한체육회(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이기흥 신임회장 출범 이후 2017년 새해를 맞이하여 대한체육회(KSOC) 공식 체육간행물인 “SPORTS1”(스포츠 원) 1월호(vol. 7) 기획특집 기사 I편으로 원고청탁을 받아 게재한 국가경쟁력을 위한 스포츠외교의 발전방향이란 타이틀로 기고한 내용입니다:

 

 

1.   서언

대한민국은 2018 2월 평창동계올림픽을 치르면 명실상부한 세계 스포츠 제전 그랜드슬램 G-5로 등극합니다.

글로벌 스포츠제전의 그랜드슬램(Grand Slam)국가란 하계올림픽, 동계올림픽, FIFA월드컵 축구대회 및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모두 치른 나라를 일컫습니다.

지구상에 글로벌 스포츠 그랜드슬램을 이룩한 나라는 프랑스, 독일, 이태리, 일본 등 단 4개국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대한민국은 1)1988년 서울올림픽, 2)2002 FIFA월드컵, 3)2011 IAAF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이어 4)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치르면서 단숨에 G-5대열에 등극하게 됩니다.

상상만 해도 가슴 벅찬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러시아의 경우 2018 6 FIFA월드컵을 치르면 4개월차이로 대한민국에 뒤이어 G-6가 되는 셈입니다.

 

 

 

미국은 2021년 오레곤(Oregon)주 유진(Eugene)서 열리는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치러야 겨우 G-7이 되는 로드맵(Roadmap)입니다.

 

중국의 경우 2008년 베이징올림픽, 2015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이어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을 치르더라도 FIFA월드컵이 아직 결정되지 않아 G-8(?)도 요원한 상황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겠습니다.

 

 

 

2.     스포츠 외교의 의미와 가치란?

스포츠 외교는 21세기 세계스포츠판도를 가름하는 글로벌 첨단 리더십과 기회 그리고 핵심가치 정보 및 협상의 전달창구매개체이자 스포츠를 통한 국가 위상과 선수들의 경기력에 걸 맞는 실익을 대변하고 공고히 하기 위한 전략적 고지점령 요충지개념의 살아 숨 쉬는 스포츠 networking Interaction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우리나라 스포츠 외교의 현주소는?

 

사실 스포츠 외교라는 말이 가장 많이 나올 때는 바로 국제 대회에서 오심 논란이 발생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2002년 솔트 레이크 시티 (Salt lake City)동계올림픽에서 노 메달에 그쳤던 쇼트트랙 김동성 선수, 이어서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양태영 체조선수의 안타까운 금메달 채점 오판논란, 그리고 8 년 뒤 다시 2012년 런던올림픽 펜싱 결승전에서 억울한 패배를 당한 신아람 선수까지 오심 논란이 일 때마다 스포츠 외교력 부족에 대한 비판도 함께 이어진 바 있습니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 당시 양태영 선수의 세계최고 기량의 기계체조, 링 종목)

 

 

오심에 눈물을 삼킨 한국선수들. 왼쪽부터 박태환, 조준호, 신아람 선수. ⓒ런던=올림픽사진공동취재 단(출처: 머니투데이)

주지하시다시피 우리나라 국가대표선수들의 경기력과 비등하게 스포츠외교력이 뒷받침되어야 선수들의 사기와 국위선양과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것인데 우리 스포츠 외교역량이나 수준과 범위는 과거에 비해 많이 퇴보되고 위축된, 다시 말해서 방 여러 개와 별도 응접실과 다용도 suite가 구비된 아파트 70평 수준으로 살다가 경제가 안 좋아져서 이제는 25평 정도의 아파트로 이사와 정착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라고 비유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과거 IOC위원 3// 금년에 다시 1명으로 줄었었고 그 나마도 활동이 불가하여 실제로는 IOC내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스포츠외교관은 아무도 없는 고립무원상태로 접어들 우울한 가운데 유승민 선수의 선수출신 IOC위원 당선 쾌거로 IOC내 네트워킹을 이어가게 된 셈입니다.

 

(출처: 일간스포츠)

 

4.     우리나라 스포츠 외교력 부재의 원인은?

 

엘리트 체육인 중에서 각 종목 별로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그리고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이름을 떨쳐 국제 스포츠 계에 친숙한 기라성 같은 은퇴선수들이 즐비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국제스포츠 계 인맥이 출중한 스포츠 행정 및 각 분야 별 인사들이 아직까지 건재한 편인데 한국체육 조직의 뿌리 깊은 호불호(likes and dislikes)에 치우친 인사의 난맥상으로 적재적소의 스포츠외교 인력이 제대로 활용되지 않아 국제무대에서 한국스포츠외교가 침체되고 급기야 도태되어 가고 있을 정도로 우려와 심려가 큰 상황인 것이 주지의 사실이기도 합니다.

 

등소평의 흑묘백묘 정책을 벤치마킹 하여 한국의 스포츠외교정책도 개인취향에 좌지우지되는 호불호 방식이 아닌 적재적소에 ‘꿩 잡는 매’들을 많이 양성 및 활용하고 타이밍과 경우에 맞는 스포츠 외교정책과 전략을 구사해야 한국 스포츠외교가 다시 살아날 수 있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5.     스포츠 외교 강화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은?

 

앞서 언급되었듯이 우리나라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이라는 큰 국제 행사를 앞두고 있으며 그런 만큼 스포츠 외교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인 스포츠 외교력 강화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과 해결 과제는 설정과 실행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한국이 지금까지 국직국직한 국제대회를 많이 훌륭하게 치러냈지만 그 위상에 걸 맞는 스포츠외교 인력은 오히려 애석하게도 반대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주지의 현실입니다.

 

어찌 보면 이 시대에 거의 마지막으로 치러지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국의 스포츠외교역량강화를 위한 미래지표를 새롭게 정비하고 차세대 스포츠외교관 양성을 알차게 추진하여 과거 기라성 같은 스포츠외교 선배님들이 이룩한 스포츠 외교영토를 되찾아 한국 스포츠외교도 최소한 한국 대표선수들의 국제대회 경기력 수준만큼 일취월장시켜야 할 과제가 남아 있는 현 시점입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제스포츠 게 인맥과 정보와 협상에 탁월한 인재 풀을 구성하되 실질적이고 즉시 활용 가능한 Task Force 스포츠외교관 상비군 시스템을 적극 가동해야 합니다.

 

또한 가칭 ‘스포츠외교센터’를 새롭게 탄생시켜 차세대 스포츠외교관 꿈나무 발굴 및 육성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울러 영입 가능한 국제스포츠기구를 한국 영토로 편입하는 등 한국을 미래 스포츠외교의 메카로 조성함으로 은퇴선수들을 비롯한 많은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미래를 설계하는 새로운 사회적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기회의 창을 열어 주어 향후 청소년들을 위한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합니다.

 

평창2018 동계올림픽 이후 대회유산의 일환으로 ‘세계동계스포츠대학’을 설립하여 스포츠 외교전공과목을 포함시키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의 기능과 권위를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향후 스포츠외교관육성을 지향하는 가칭 ‘스포츠외교 선진화 법’이라든지 ‘국제올림픽 및 스포츠 대학 설립 법안’ 등 스포츠외교역량 강화를 위한 입법 활동을 통한 청소년 기회창출 미래구상 지원관련 제반 입법에 힘을 실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6.     결어

 

1988년 서울올림픽을 통해 대한민국 스포츠는 큰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이는 스포츠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 등 우리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와 개혁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매우 중요한 기회의 창이 2018년 바로 내년에 다시 열리게 됩니다.

평창2018 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이 스포츠강국을 넘어 스포츠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입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스포츠 선진국 위주의 패러다임으로 재편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국제대회 유치와 같은 목적달성 이후를 생각하지 않았던 기존의 스포츠외교전략에서, 스포츠를 매개로 인류의 보편적 가치 증대를 중심으로 하는 전략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국제협력 및 신뢰의 강화 추구, , 스포츠를 통한 지속 가능한 장기적 관계 강화 포맷으로 새로운 차원의 국가적 이익을 추구해야 할 것입니다.

미래 올림픽운동의 전략적 로드맵(the Strategic Roadmap of the Future Olympic Movement)을 제시하고 있는 40가지 개혁승인내용 실행이 IOC Thomas Bach 위원장의 발의로 만장일치 승인되어 발진된 Olympic Agenda 2020의 기본 골자입니다.

 2017년이 정유년이 Olympic Agenda 2020가 추구하고 있는 융통성’(Flexibility)지속 가능 성’(Sustainability)을 염두에 둔  다양성 가운데 통일성’ (Unity in Diversity)을 지향하며 전진하는 글로벌 대한민국 스포츠외교의 신기원을 여는 원년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References:

-‘현장에서 본 스포츠외교론’(윤강로 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 20. 11:12

[중국국가주석 역사적인 IOC방문 Bach IOC위원장과의 밀월관계 신호탄?]

 

118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중국국가주석 IOC를 방문하여 스포츠 발전과 Beijing2022동계올림픽 관련 논의하다”(Chinese President visits IOC to discuss development of sport and Beijing 2022)였습니다.

 

(Xi Jinping중국국가주석과 Thomas Bach IOC 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시진핑 중국국가주석은 118일 로잔느 IOC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Beijing2022대회가 괄목할만하고, 특별하며 훌륭한 대회”(a remarkable, extraordinary and excellent Games)로 치러질 것임을 약속하였다고 합니다.

 

금번 IOC 방문은 중국국가주석(Chinse Head of State)으로는 역사적인 사상 첫 IOC본부 공식방문이었는데 Xi 주석은 다보스 세계경제포럼(the World Economic Forum in Davos) 참석 차 스위스 둘러보기의 일환(as part of a Swiss tour)으로 보입니다

 

Xi주석과 Bach IOC위원장은 Beijing2022동계올림픽준비관련 사항뿐만 아니라 스포츠의 미래상황에 대해 논의하기에 앞서 먼저 올림픽박물관을 방문하였다고 합니다.

 

다음은 IOC가 추후 배포한 Xi 주석의 성명서에 담긴 발언 내용입니다:

 

(1) "Over the years, the IOC and President Bach have made important contributions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not only of the Olympic Movement but also the development of sport in China," (IOC Bach IOC위원장의 올림픽운동과 중국스포츠발전에 기여한 것에 대한 인정 및 치하)

 

(2) "I would like to express my appreciation for what you have done. (이룩한 공적에 감사표명)

 

(3) “We have many dreams, the Chinese dream of turning China into a society of prosperity; the dream of promoting the Olympic Movement; and also the dream of fostering a community of shared destiny for the whole of humanity. (중국의 다양한 꿈은 인류전체를 위한 공유된 운명공동체 육성의 꿈과 일치함)

 

(4) "All the dreams are interconnected and integrated with one another. (모든 꿈들은 상호 연결되고 있으며 서로서로 통합되어 있음)

 

(5) "In this respect, I believe the IOC has a huge role to play to help the fulfilment of all these dreams." (이러한 관점에서 IOC야말로 이러한 모든 꿈들이 성취되도록 도와주는 지대한 역할 자임을 믿고 있음)

 

Xi주석과 Bach IOC위원장과의 논의 내용들 중 Beijing2008올림픽에서 연루선수들의 도핑테스트 샘플 들 재검사 결과 3명의 역도 금메달이 박탈당한 중국도핑문제에 대한 기록은 없는 것(no record of them discussing the Chinese doping problems )으로 보도되었다고 합니다.

 

 

Xi Jinping and Thomas Bach pictured posing with the German's gold medal from the Montreal 1976 Summer Olympic Games ©IOC/Twitter ((Xi Jinping중국국가주석과 Thomas Bach IOC 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두 정상은 Beijing2008올림픽 당시 IOC위원장을 역임한 Jacques Rogge전임 IOC위원장과도 역시 자리를 함께 하였다고 합니다.

 

그 외 배석한 인물들로는 Yu Zaiqing 중국 IOC부위원장을 비롯하여 추가로 2명의 중국 IOC위원들인 Li Lingwei와 과거 쇼트트랙 우승자인 Yang Yang 그리고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쿠웨이트 출신 ANOC OCA회장도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번 Xi 주석의 IOC방문은 Bach IOC위원장이 러시아 도핑위기에 대한 대응에 대한 몇 몇 국가 정부들 내에 일고 있는 불안감 표출 후(after growing unease within some Governments over his response to the Russian doping crisis) 세계강국들로부터의 지지를 끌어 모으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타이밍에 시기적절 한 것(at a time when Bach is keen to shore up support from the world superpower)으로 보고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의 발언 내용입니다:

 

(1) "China and the IOC enjoy excellent relations and strong cooperation on many different levels." (중국과 IOC는 많은 다른 수준에서 훌륭한 관계와 강력한 협력관계를 우호적으로 지속하고 있음)

 

(2) "The historic visit of President Xi Jinping to the IOC is another expression of this great cooperation and our friendship with the Chinese people. (Xi주석의 역사적인 IOC방문은 이러한 위대한 협력관계와 중국 국민들과의 우호적인 관계에 대한 또 하나의 표현임)

 

(3) "This is an excellent foundation to write history once more, with Beijing set to become the first city in the world to host both the summer and winter editions of the Olympic Games." (Beijing이 동 하계올림픽을 모두 개최하는 세계에서 첫 번째 주인공이 되는 역사를 쓰게 된 훌륭한 반석임)

 

서양세계 몇 몇 나라들로부터 일고 있는 냉담함 가운데(amid apathy in some spheres of the western world)에도 중국은 주요 스포츠 행사들을 꾸준히 유치해 주고 있는 신뢰할 만한 이해당사자들 중 한 축을 형성해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2016년도 Bach IOC위원장의 Xi Jinping중국국가주석 예방 시/출처:IOC홈페이지)

 

 

 

(출처:IOC홈페이지)

 

 

 

(출처:IOC홈페이지)

 

 

Xi Jinping pictured signing the IOC visitors book at the end of his meeting today ©IOC (Mrs. Xi Jinping중국국가주석 영부인과 Thomas Bach IOC 위원장 및 IOC방명록에 서명 중인 Xi Jinping중국국가주석/출처: IOC홈페이지)

 

 

 

Xinhua사 통신에 따르면 Xi주석은 Beijing2022올림픽이 향후 수 년 간 중국정부가 중점적으로 수행해야 할 주요우선과제(a major task)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Xi주석은 Beijing2022환경적이고, 공유적이고, 공개적이며, 청렴 결백하게 “(in a green, sharing, open and clean-fingered manner) 준비하고 개최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보도되었다고 합니다.

 

Xi주석은 2015년 베이징개최 IAAF세게육상선수권대회에서 Bach IOC위원장을 만난 바는 있지만 2015년 카자흐스탄의 알마티(Almat)와 맞붙어 승리한 Beijing2022동계올림픽유치 경쟁무대의 화룡점정 격인 콸라룸푸르개최 IOC총회에는 참석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당시 Xi주석은 동계올림픽유치결정 IOC총회 베이징 최종 프레젠테이션 초입 부에 비디오를 통해 영상메시지 연결로(in a video link message)출연 한 바 있습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Xinhua New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 12. 09:38

[순진무구한 IOC의 러시아도핑과 얽힌 사연 뒷이야기]

 

Heiberg 노르웨이 IOC위원은 18일 자 외신보도에 따르면 IOC 2016년 러시아도핑사태 처리가 고지식하고 순진했다라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Heiberg claims IOC were "naive" when dealing with Russian doping in 2016)

 

 

       (Gerhard Heiberg/출처: insidethegames)

 

 

Gerhard Heiberg노르웨이 IOC위원은 IOC가 지난 해 러시아 도핑 위기에 대하여 섣부른 순진한 대응(a naïve response)후 그 어느 때보다도 더 중차대한 도전과제를 안고 (with greater challenges than ever before) 2017년 시작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1994 IOC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과 IOC마케팅 위원장 및 2010년 동계올림픽 IOC평가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는 Heiberg위원은 지속적인 암 투병에 전념하기 위하여(as he continues to battle cancer) 정년인 2019년보다 2년 앞 당긴 2017년 금년 말 사임할 계획 중이라고 합니다.

 

그는 러시아 정부조율 도핑에 대한 증거(evidence of Government-coordinated doping)를 제시한 McLaren보도서에 대한 대응으로Rio 2016올림픽에 러시아선수단의 전면 출전자격정지조치(a blanket suspension) 처분을 내렸었어야 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McLaren캐나다 변호사의 보고서에 따르면2011~2015년 사이에 소치2014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포함한 여러 국제스포츠 행사에서 약 1,000여명 정도의 러시아 선수들의 도핑 검사 샘플들이 조작되었거나 손 댄 흔적이(manipulated and tampered with) 발견 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IOC WADA의 이러한 결과에 따른 러시아선수단의 전면출전금지요청을 저지하고 대신 개별 국제경기연맹의 재량적 참가자격결정을 하도록 형식적 인가를 해 준(rubber-stamped Russian eligibility decisions) 바 있습니다.

 

Heiberg위원을 포함한 모든IOC위원들 중 영국의 Adam Pengilly IOC위원만 유일하게 제외하고(with the sole exception) 지난 해 8 Rio개최 IOC총회는 이러한 어정쩡한 자세에 대하여 지지 투표를 한 바 있었습니다.

 

이러한 IOC의 결정은 러시아와 글로벌 스포츠단체 여러 곳에서 찬사를 받았지만 (received praise )다른 곳들에서는 통렬한 비판을 받은(but was fiercely criticized elsewhere) 바 있습니다.

 

러시아 800m 중거리 육상선수이자 내부고발자(whistleblower)Yuliya Stepanova에 대하여 그녀의 필경 과거 약물복용으로 인한 금지처분 전력을 이유로 내린 Rio2016올림픽 독자적 출전을 불허한 IOC의 부차적인 결정(a secondary decision) 역시 여러 명의 IOC위원을 포함하여 많은 이들로부터 맹렬한 반대에 직면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Heiberg IOC위원의 노르웨이 Verdens Gang지와 의 인터뷰발언내용입니다:

 

"I think we were naïve." (우리가 순진하고 고지식했다고 생각함)

 

"That includes myself, since I voted for the IOC [stance]. (이 경우 나를 포함하는데 왜냐하면 나는 IOC의 견지에 찬동하여 투표하였기 때문임)

 

"We were all naive, except for one [Pengilly]. (Pengilly한 사람을 제외하고 우리 모두 순진하고 어정쩡했음)

 

"Therefore, I believe we must tread harder next time. (따라서 나는 우리가 다음 번에는 좀더 세게 밟아줘야 함)

 

"I am already in discussion, for there are others in the IOC who are of a different opinion. (난 이미 논의 중에 놓여 있는데, 왜냐하면 IOC에는 다른 의견을 견지하고 있는 다른 사람들도 있기 때문임)

 

"There will be fierce discussions around this [going] forward." (이 문제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있을 것임)

 

 

Britain's skeleton Olympian turned IOC Athletes' Commission member Adam Pengilly has been praised for his lone opposition to the IOC stance ©Getty Images (Adam Pengilly 스켈레톤 선수출신 영국 IOC위원/출처: insidethegames)

 

 

 

Heiberg위원은 지난 8월 어떻게 하면 IOC가 어떻게 그렇게 무기력할 수 있었는지(how the IOC had never been stronger) 라고 주장하기도 하였지만 이제는 자신의 견지를 조절하여 왔다(but has now adjusted his stance)고 합니다

 

McLaren보고서에 적시된 초기 적발사항들 중 많은 부분을 지지해 줄 굳건한 증거들은(firm evidence to support many of the McLaren Report’s earlier findings) 지난 해 12월이 되어서야 겨우 발행된 바 있습니다

 

두 명의 스위스 인이 위원장으로 있는 IOC위원회는 Heiberg의 동료 IOC위원이기도 한 Denis Oswald 와 스위스 연방 대통령(Swiss Confederation President)을 역임한 바 있는 Samuel Schmid가 주재하고 있는데 현재 증거내용들을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향후 평창2018동계올림픽에 러시아 선수들의 출전 제한조치 방법뿐만 아니라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 메달획득을 위해 표면장식조작(medal-topping performances)에 대한 제재조치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고 합니다.

 

계속되는 Heiberg IOC위원의 인터뷰 발언 내용입니다:

 

"Today I say that we have never had greater challenges." (오늘 말하건대, 우리는 이 보다 더 중차대한 도전과제는 없었었음)

 

"This applies in many areas, but most importantly anti-doping work. (많은 분야에 걸쳐 적용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반 도핑 업무임)

 

"It's about the organisation and how we deal with the Russia case going forward. (러시아 건에 대한 IOC조직의 향방과 향후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가 관건임)

 

"There are big questions that must be answered, and that must not take too long." (답변을 내 놓아야 할 거창한 질문들이 과제들로 남아 있으며 질질 시간을 끌 여유가 없다라는 것임)

 

 

 

 

 

Gerhard Heiberg believes Thomas Bach (right) is less close to Vladimir Putin than is often claimed ©Getty Images(좌로부터: Alexander Zhukov러시아 IOC위원, Vladimir Putin러시아 대통령, Thomas Bach IOC위원장/출처: insidethegames)

 

 

 

Heiberg IOC위원은 향후 노르웨이 올림픽 및 패럴림픽 위원회 부위원장 겸 노르웨이 체육회(Norwegian Confederation of Sport(NIF)부회장을 맡고 있는 Kristin Kloster Aasendl 자신의 뒤를 이어 노르웨이 IOC위원으로 선출될 것으로 희망하고 있는 가운데, Thomas Bach IOC위원장을 옹호하는 인터뷰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 think we've got a President who is used to make decisions." (우리는 선봉에 서서 결정을 내리는데 익숙한 IOC위원장을 섬기고 있음)

 

"Bach is at least 'hands on' and knows that there are reports to be delivered, and decisions to be taken." (Bach 위원장은 최소한 실무에 정통한 리더로서 전달되어야 할 보고내용들과 취해져야 할 결정에 대하여 잘 숙지하고 있음)

 

Heiberg IOC위원은 Bach IOC위원장이 러시아와 Vladimir Putin 대통령의 꼭두각시(puppet)라고 믿지 않고 있다고 발언을 이어갑니다:

 

"I know him so well, and I know Putin so well, that I do not think that is the case." (나는 Bach위원장을 잘 알고 있으며 Putin역시 잘 알고 있는데 그런 부류의 경우는 아니라고 생각함)

 

"He is an independent person who follows what he thinks is right. (Bach위원장은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추구하며 행동하고 돌진하는 독자적인 인물임)

 

"I've seen criticism, but feel confident that this is not correct." (그에 대한 비판들을 보아왔지만 그러한 비판이 옳지 않다고 확신함)

 

 

*References:

-insidethegames

-Verdens Gang(노르웨이 일간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 9. 15:41

[Bach IOC위원장의 2017년 신년 주요정책 발표메시지 영어전문 발췌 및 핵심내용정리요약 Update]

 

안녕하십니까?

정유년 1월 두 번 째 주가 시작되었습니다.

일전에 보내 드린 바 있는 BACH IOC위원장의 2017년도 신년 정책방향 축약 메시지에 이은 전체 영어원문 핵심 발췌요약 Update입니다:

 

Bach IOC위원장은 IOC홈페이지에 2017년을 앞두고 2016년 올림픽 운동 결산 및 2017년도 업무방향 및 과제에 대하여 신년메시지 형식으로 정책 방향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의 전체 메시지내용에 대한 요약 Update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포츠는 험난한 세상에서 안정과 인류결속력 1순위 파워엔진

 

2)  Rio2016올림픽은 경이로운 도시에서의 경이로운 대회였으며 국제사회전체가 축하해 준 큰 이유 중 하나는 올림픽최초로 허용된 난민 팀의 올림픽참가이며 이것은 전 세계 수 백만 명에 달하는 난민들에게 희망의 신호탄 역할

 

3)  불신과 불확실성이 만연하고 있는 세상에서 스포츠와 올림픽은 기쁨과 희락과 화평과 희망의 메신저

 

4)  국제 설문조사결과에서처럼 올림픽은 탁월함우정존중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긍정적 특성과 강력하게 결합되어 있음

 

5)  로마 바티칸에서 Francis 교황(Pope)주도로 믿음과 스포츠관련 글로벌 회동(global conference on faith and sport)에서 UN사무총장과 IOC가 합동으로 공통의 가치증진 협의

 

6)  전 세계 청년들에게 1 365일 매일 24시간 올림픽채널을 통한 올림픽 마력 발산 계기마련-모든 SNS 페이지에 걸쳐 38,200만 명 이상의 시청인구 기 확보

 

7)  2016년은 올림픽의 성공을 선사한 반면, 어려운 상황도 동시에 표출해 줌으로 안주할 수 있는 이유들을 알려줌-스포츠에 있어서 오늘의 성공이 내일에는 무용지물을 의미함-오늘의 성공은 단지 내일에 불어 닥칠 도전과제를 대적할 힘을 줄뿐임-따라서 올림픽운동은 2017년 새해에 놓여진 도전과제들을 타결하여 재도약해야 할 것임

 

8)  최근 발생한 최대 긴박 도전과제는 러시아 정부주도 도핑조작사건으로 스포츠의 신뢰도와 정직성에 타격을 입힘-IOC는 모든 방책과 제재조치 준비 중임-소치2014동계올림픽 러시아선수들로부터 채취한 254개 소변샘플 뿐만 아니라 런던2012올림픽참가 러시아선수들의 샘플들도 정밀 재조사 방침임-WADA의 위상과 독립성강화 숙제해결에 총력 기울일 것임

 

9)  특별한(Exceptional) 동계올림픽으로 기록될 평창2018은 아시아 3연속개최 올림픽의 첫 관문이므로 최우선과제로 준비에 박차 가할 것임-Olympic Agenda 2020실행방안 강구노력 지속적 적용 일환으로 2017년 페루 리마에서 Olympism in Action포럼 개최-핵심 주제는 신뢰성, 지속 가능성 및 청소년임

 

10)               Tokyo2020올림픽은 Olympic Agenda2020채택 전에 개최도시가 결정되었지만 융통성, 타당성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초점의 첫 번째 수혜자가 될 것임-Tokyo2020은 이미 중차대한 비용절감혜택을 누리고 있음

 

11)               2024년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 중 2017 9월에 어느 도시가 선정되더라고 훌륭한 개최도시가 될 것이라는 신뢰-세 후보도시들은 Olympic Agenda2020의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음-향후 올림픽개최도시 선정 상 낙오자들을 줄이기 위해 현 후보도시 과정을 재 조직할 것임

 

12)               올림픽채널의 성공적 발진으로 2017년에는 지역별, 언어 별 특성에 걸 맞는 콘텐츠 개발 및 제공에 집중할 것임-최근 미국 내에 새로운 선형적 올림픽채널 개성 발표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임

 

13)               Rio2016의 성공은 이 세계가 평화와 단합으로 결속될 때 무엇이 가능한 지를 보여 주었으며 이것이 올림픽이 해온 일임-따라서 2017년에는 새로운 목적의식과 각오 임해야 함을 명심할 것임

 

14)               2017년 새해에는 모두가 행복과 번성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함

 

 

 

 

 

 

 

 

 

<IOC President Thomas Bachs New Years Message>

 

[Sport: An Anchor of Stability in a Fragile World]

 

 

 

(Thomas Bach/출처: IOC 웹사이트)

 

 

 

1.  스포츠는 험난한 세상에서 안정과 인류결속력 1순위 파워엔진:

 

As this Olympic Year 2016 comes to a close, we see that sport is one of the few things with the power to unite all people in an increasingly fragile world.

 

Sport is an anchor of stability for so many people, regardless of background, nationality or belief.

 

For me, this is the underlying reason that explains the success of the Olympic Games Rio 2016.

 

 

 

2.  Rio2016올림픽은 경이로운 도시에서의 경이로운 대회였으며 국제사회전체가 축하해 준 큰 이유 중 하나는 올림픽최초로 허용된 난민 팀의 올림픽참가이며 이것은 전 세계 수 백만 명에 달하는 난민들에게 희망의 신호탄 역할

 

Like no other event in 2016, it brought the entire international community together in celebration, with athletes from all 206 National Olympic Committees as well as the first-ever Refugee Olympic Team.

 

It was a rare moment of unity and solidarity for all humankind.

 

We saw new records, great emotions, fair-play and sportsmanship.

 

The participation of the Refugee Olympic Team sent a strong signal of hope to the millions of refugees in the world.

 

The world’s best athletes set a powerful example that it is possible to engage in peaceful competition.

 

For all these reasons, the Olympic Games Rio 2016 will be remembered as the marvellous Games in the Marvellous City.

 

This unique power of sport to unite all of human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hat the Olympic Games can give us in our troubled times.

 

 

 

3.  불신과 불확실성이 만영하고 있는 세상에서 스포츠와 올림픽은 기쁨과 희락과 화평과 희망의 메신저

 

In a world where mistrust and uncertainty are on the rise, sport is a source of joy and inspiration for so many people, giving us hope that our shared humanity is stronger than the forces that want to divide us.

 

Half the world’s population tuned into Games coverage, making Rio 2016 the most consumed Olympic Games in history, when one takes into account broadcast and social media.

 

The explosion of social media platforms in recent years meant that more people than ever followed these Olympic Games via social media, with 7.2 billion views of official video content.

 

 

 

4.  국제 설문조사결과에서처럼 올림픽은 탁월함우정존중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긍정적 특성과 강력하게 결합되어 있음

 

An international survey has found that these Olympic Game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positive attributes such as “excellence”, “friendship” and “respect”, among many others.

 

With this global visibility comes responsibility for the world of sport.

 

Because of the unifying power of sport, there are high hopes and even higher expectations for sports organisations from the general public – and rightly so.

 

The role of sport in society is more relevant today than ever before.

 

Consequently, sports organisations everywhere, need to justify the trust that people have placed in sport.

 

Outside of Rio 2016, we saw the growing relevance of sport in society in a number of different areas during this landmark Olympic year.

 

It began with the very successful Winter Youth Olympic Games Lillehammer 2016, where the spirit and energy of the next generation of young athletes set the tone for the rest of the year.

 

There was unanimous support for the Refugee Olympic Team from the UN Secretary-General, the UN General Assembly and from many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In a further expression of the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IOC and the UN, a resolution with consensus from all the Member States reaffirmed the UN’s recognition of the autonomy of the IOC and the role of sport as an important enabler of sustainable development.

 

 

 

5.  로마 바티칸에서 Francis 교황(Pope)주도로 믿음과 스포츠관련 글로벌 회동에서 UN사무총장과 IOC가 합동으로 공통의 가치증진 협의

 

The first global conference on faith and sport held at the Vatican at the initiative of Pope Francis brought together the UN Secretary-General and the IOC with faith leaders to discuss the promotion of common values.

 

 

 

6.  전 세계 청년들에게 1 365일 매일 24시간 올림픽채널을 통한 올림픽 마력 발산 계기마련-모든 SNS 페이지에 걸쳐 38,200만 명 이상의 시청인구 기 확보

 

The launch of the Olympic Channel gave the sports movement a digital platform to spread our messages and values to young people everywhere. Making the magic of the Olympic Games available 365 days a year, 24 hours a day, we already have more than 382 million video views of Olympic Channel content across all of its social media pages.

 

So as 2016 comes to an end, we have many reasons to celebrate a successful Olympic Year.

 

 

 

7.  2016년은 올림픽의 성공을 선사한 반면, 어려운 상황도 동시에 표출해 줌으로 안주할 수 있는 이유들을 알려줌-스포츠에 있어서 오늘의 성공이 내일에는 무용지물을 의미함-오늘의 성공은 단지 내일에 불어 닥칠 도전과제를 대적할 힘을 줄뿐임-따라서 올림픽운동은 2017년 새해에 놓여진 도전과제들을 타결하여 재도약해야 할 것임

 

At the same time, there are no reasons to be complacent.

 

In sport, the success of today means nothing for tomorrow. As an athlete, I learned that your performance will ultimately be judged by how you rise to the occasion.

 

The success of today only gives you the strength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tomorrow.

 

This is the same approach that the Olympic Movement will take to tackle the challenges that lie ahead in 2017.

 

There are many challenges on our agenda, so we cannot afford to stand still.

 

We need to rise to the occasion in the New Year.

 

 

 

8.  최근 발생한 최대 긴박 도전과제는 러시아 정부주도 도핑조작사건으로 스포츠의 신뢰도와 정직성에 타격을 입힘-IOC는 모든 방책과 제재조치 준비 중임-소치2014동계올림픽 러시아선수들로부터 채취한 254개 소변샘플 뿐만 아니라 런던2012올림픽참가 러시아선수들의 샘플들도 정밀 재조사 방침임-WADA의 위상과 독립성강화 숙제해결에 총력 기울일 것임

 

The most immediate challenge is the shocking findings of the recent McLaren report on doping and manipulation in Russia that have caused damage to the credibility and integrity of sport.

 

Two IOC commissions have been set up to coordinate our response.

 

They will respect the due process and give all sides a fair chance to be heard.

 

Following this, the IOC will take all appropriate measures and sanctions.

 

We will continue and extend the work of Professor McLaren.

 

Since his mandate did not include a full re-analysis of all samples, we will re-examine all 254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Russian athletes at the Olympic Winter Games Sochi 2014.

 

We will do the same with all the Russian athletes’ samples from the Olympic Games London 2012.

 

It is only fair for the credibility of the Olympic Games and for peace of mind of the athletes that we take these extra measures.

 

The latest developments underscore the urgent need for a strengthened, centralized anti-doping system under the leadership of the World Anti-Doping Agency (WADA) that is independent of sports organisations and governments alike.

 

This is why the IOC will continue to call for a more efficient, more transparent and more robust anti-doping system, as unanimously supported by all stakeholders at the most recent Olympic Summit.

 

 

 

9.  특별한(Exceptional) 동계올림픽으로 기록될 평창2018은 아시아 3연속개최 올림픽의 첫 관문이므로 최우선과제로 준비에 박차 가할 것임-Olympic Agenda 2020실행방안 강구노력 지속적 적용 일환으로 2017년 페루 리마에서 Olympism in Action포럼 개최-핵심 주제는 신뢰성, 지속 가능성 및 청소년임

 

Another priority on our agenda is the preparation for the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2018, which will be the first of three consecutive Olympic Games to be held in Asia.

 

The many test events in PyeongChang this winter will be an important milestone on the road to what will be exceptional Olympic Winter Games in 2018.

 

The implementation of Olympic Agenda 2020 remains an ongoing priority, with more than 90 per cent of the expected deliverables completed or ongoing.

 

The IOC has already implemented all good governance measures that were called for under Olympic Agenda 2020 and we expect other sport organisations to follow this lead.

 

Another major step towards the realisation of Olympic Agenda 2020 will come in 2017 at our Olympism in Action Forum in Lima, Peru, where the role of sport in society will be addressed under the key themes of credibility, sustainability and youth.

 

 

 

10.               Tokyo2020올림픽은 Olympic Agenda2020채택 전에 개최도시가 결정되었지만 융통성, 타당성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초점의 첫 번째 수혜자가 될 것임-Tokyo2020은 이미 중차대한 비용절감혜택을 누리고 있음

 

Even though Tokyo was selected as Host City for the Olympic Games 2020 before the adoption of Olympic Agenda 2020, it is one of the first organisers to benefit from the new focus on flexibility,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Following these principles has already helped Tokyo 2020 to realise significant overall savings, which we will continue to pursue with the local partners.

 

In fact, the budget of the Organising Committee is privately funded, which means zero cost to the public purse.

 

 

 

11.               2024년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 중 2017 9월에 어느 도시가 선정되더라고 훌륭한 개최도시가 될 것이라는 신뢰-세 후보도시들은 Olympic Agenda2020의 가치를 잘 반영하고 있음-향후 올림픽개최도시 선정 상 낙오자들을 줄이기 위해 현 후보도시 과정을 재 조직할 것임

 

With the excellent candidatures of Los Angeles, Budapest and Paris, we can already say with confidence that the world can look forward to outstanding Olympic Games 2024, whichever city is chosen as host.

 

All three cities submitted projects fully in line with Olympic Agenda 2020 of how the Olympic Games can best fit into the long-term vis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ir cities.

 

It is also clear that without the new flexibility under Olympic Agenda 2020, there would be no Candidates Cities at all for the Olympic Games 2024.

 

On a more long-term perspective, we need to recognise that the current candidature process produces too many losers.

 

Therefore, we need to study ways to reform the candidature process beyond 2024, to ensure that the best host city is selected for the Olympic Games while minimising the losers.

 

 

 

12.               올림픽채널의 성공적 발진으로 2017년에는 지역별, 언어 별 특성에 걸 맞는 콘텐츠 개발 및 제공에 집중할 것임-최근 미국 내에 새로운 선형적 올림픽채널 개성 발표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임

 

Following the successful launch of the Olympic Channel, our focus must now lie on growing the audience and our reach.

 

In 2017, efforts will concentrate on developing localised versions of the Olympic Channel, offering region- and language-specific content on linear and digital platforms.

 

A significant milestone in this process was just recently announced with the new linear Olympic Channel in the US, set to launch during the second half of 2017.

 

 

 

13.               Rio2016의 성공은 이 세계가 평화와 단합으로 결속될 때 무엇이 가능한 지를 보여 주었으며 이것이 올림픽이 해온 일임-따라서 2017년에는 새로운 목적의식과 각오 임해야 함을 명심할 것임

 

The success of the Olympic Games Rio 2016 has shown us what it is possible when the world comes together in peace and solidarity as it did at the Olympic Games.

 

So it is with this firmly in mind that we look towards 2017 with a renewed sense of purpose.

 

 

 

 

 

14.               2017년 새해에는 모두가 행복과 번성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함

 

 

Wishing everyone a very happy and prosperous New Year,

 

 

Thomas Bach, IOC President

 

 

 

*References:

-IOC 웹사이트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 6. 08:31

[중국 체육 계 지휘부 교체바람 불기 시작하나?]

 

2017 13일 자 한 외신 기사 제목은 “Gou가 명예직으로 임명되어 현역에서 밀려난 Liu대신 중국올림픽위원회위원장으로 지명되다”(Gou named President of Chinese Olympic Committee as outgoing Liu handed honorary role)였습니다.

 

 

류펑(刘鹏/Liu Peng)중국 NOC위원장겸 체육장관 겸 중국올림픽위원회(COC)위원장이 신임 고우중웬(苟仲文/ Gou Zhongwen)으로 교체된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류펑(刘鹏/Liu Peng/출처: insidethegames)

 

 

중국체육총국장(장관급/ the director of China’s General Administration of Sport)관리(the official)가 회의에서 중국올림픽위원회(COCO: Chinese Olympic Committee)위원장으로 발표되었다고 합니다

 

Gou 신임 COC위원장은 발표 직후 회의 석상에서 중국이 베이징2022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하여 제공되는 기회를 십분 활용할 필요가 있다(China needed to make full use of the opportunity provided by hosting the 2022 Winter Olympic Games) 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고우중웬(苟仲文/ Gou Zhongwen)

 

 

중국 신화사 통신(Chinese News Agency Xinhua)에 따르면 Gou신임 COC위원장 발표와 동시에 Liu Peng 전임 COC위원장은 COC명예회장(the honorary chairman)으로 지명 발표되기도 하였습니다

 

지난 2005년이래 11년간 COC 위원장 겸 중국체육장관 직을 맡아 온 Liu Peng2008년 베이징올림픽개최를 통해 중국올림픽 실세로 활동해 왔습니다.

 

그는 2015년 콸라룸푸르개최 IOC총회에서 베이징이 유일한 라이벌이었던 카자흐스탄의 알마티(Almaty)를 누르고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로 선정될 당시 베이징올림픽 유치 단을 이끌고 베이징2022성공적 유치에 기여한 한 축이기도 하였습니다.

 

Gou COC위원장 임명과 함께 날아온 소식에 의하면 중국의 전임 체육차관 겸 COC부위원장이었던 Xiao Tian이 뇌물수수 유죄판결 후(after being found guilty of bribery) 10 6개월 징역형(jailed for 10-and-1-half years)을 선고 받았다고 합니다.

 

펜싱선수출신인 Xiao는 중국정부 여러 직책을 수행하였던 재직시절인 1997~2014(17) 동안796만 위안(CNY 7.96 million/US$110만불/ 13 2,000만원)에 달하는 뇌물을 수수하였던 증거가 중국법정에서 밝혀진 바 있다고 합니다.

 

뇌물을 받게 된 경위는 대체적으로 인사승진청탁, 제반 프로젝트 건설 및 스포츠행사 개최 등에 따른 반대급부(in exchange for helping with promotions, building projects and the holding of sports events)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The session took place days after the COC's former vice-president Xiao Tian was jailed for 10-and-a-half years ©Getty Images (런던2012올림픽 당시 중국선수단 부단장 시절 Xioa Tian 모습/출처: insidethegames)

 

 

 

Xiao는 자신의 죄를 자백하고, 뉘우쳤으며, 불법으로 취득한 수입을 되돌려 반납하는 등 협조했던 바람에 비교적 가벼운 형량을 받은 것(handed a lighter sentence having confessed, repented and cooperated in handing back his illicit gains) 으로 알려졌습니다.

 

Xiao 2015 9월 중국 내에 불어 닥친 부패척결과 관련한 위반혐의로 기소되었었으며(charged for offences related to corruption in China) 그 이후 중국공산당 당원 직(membership of the ruling Chinese Communist Party)뿐만 아니라 모든 공식직책 일체를 박탈(subsequently stripped of all official duties) 당한 바 있습니다

 

Xiao는 중국농구협회회장을 역임한 바도 있으며 국제농구연맹(FIBA)부회장 직까지 오른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Xiao는 런던2012올림픽 및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중국대표선수단 부단장 직도 수행한 바 있다고 합니다.

 

Xi Jinping중국국가주석은 중국사회 모든 계층에 만연한 부패문제를 척결하는데 우선과제로 삼아왔으며(prioritised reducing corruption problems endemic at all levels of the country’s society), 스포츠에 투자된 엄청난 규모의 돈으로 인해 스포츠 분야 역시 엄격한 철저 특별조사 대상이었다(with sport one area under particular scrutiny due to the vast sums of money invested )고 합니다

 

 

Xi Jinping주석은 부패 엄중단속과 관련 지어(in reference to the clampdown) 2016년 베이징2022동계올림픽이 눈처럼 순수하고 깨끗해야”(as pure and clean as snow)함을 중국관리들은 명심하고 확실히 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Xinhua News Agency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 3. 11:43

[김연아 소치동계올림픽피겨금메달 되찾기 진상 집중탐구 요약정리]

 

2017 11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우승자가 Mclaren보고서 후 조사대상 선수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주장되다”(Olympic figure skating champion among athletes under investigation following McLaren Report, it is claimed)였습니다.

 

 

 

 

 

 

 

(Adelina Sotnikova/출처: insidethegames)

 

 

Sochi 2014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피겨스케이팅 우승자(금메달리스트/ladies singles figure skating champion )Adelina Sotnikova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도핑 샘플조작으로 인해(due to the manipulation of doping samples at the Winter Olympic Games) IOC가 검증하고 있는 조사 대상 선수리스트에 포함되어있다라는 보도가 되고 있는 상황(reportedly among athletes under investigation)입니다.

 

러시아 선수들의 자국개최 동계올림픽에서 제출된 샘플들이 불법적으로 부정하게 손대었었던(illegally tampered with) 증거를 제공한 Mclaren보고서 공개 이후, IOC 2016 12 28명의 선수들이 현재 조사대상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28명 선수 신원은 아직 확인되고 있진 않지만(Identities of these 28 have not been confirmed) 러시아의 스켈레톤 금메달리스인 Aleksandr Tretyakov cross-country 스키 금메달리스트인 Alexander Legkov 등 최소 2명의 다른 올림픽 우승자들이 자격정지조치를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태리 신문 중 하나인 La Gazetta della Sport지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피겨 금메달획득 당시 17세에 불과했던 Sotnikova가 조사대상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is among others under investigation)고 보도해 오고 있습니다.

 

그녀는 소변샘플이 제출된 검사튜브 상에 손댄 흔적을 암시하는 흠집이 발견된 한 명의 선수로서(as one athlete about whom scratches indicative of tampering were found on test tubes in which urine samples were submitted) 신원코드 번호(under the identification code) A0848로 코드화 되어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named on the list)고 합니다

 

그녀가 개인적으로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증거는 없으며 이전에 어떤 비행(wrongdoing)애 대한 유죄가 성립되었던 바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보도내용이 사실로 판명 날 경우 궁극적으로 그녀의 금메달이 박탈될 수(ultimately be stripped of her gold medal) 있는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appears possible)고 합니다.

 

국제빙상연맹(ISU)가 특별한 제재조치(special disciplinary action)에 착수했는지에 대해 아직 공개하고 있지 않는 상태라고 합니다.

 

 

 Adelina Sotnikova, right, with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following her Olympic victory at Sochi 2014 ©Getty Images (Putin러시아 대통령과 Sotnikova/출처: insidethegames)

 

다음은 ISU발표 성명서에 들어 있는 내용입니다:

 

"Mindful of a due diligence process, the ISU is proceeding with the evaluation of the evidence and related necessary investigations." (실사과정에 유의하며 ISU는 증거 평가와 관련 필요 검증조사를 병행하고 있음)

 

"For the cases relating to the Sochi Olympic Winter Games, the ISU is of course closely following the IOC proceedings and will take into account possible new evidence becoming available thanks to the re-analysis of the concerned samples. (소치2014동계올림픽과 연관된 건들을 위하여, ISU는 물론 주도면밀 하게 IOC의 진행절차들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관련된 샘플들 재 분석 덕택에 가능한 새로운 증거물 포착 시 참작할 것임)

 

"If and when there are sufficient elements and evidence to pursue anti-doping rule violations, the ISU will not hesitate to open disciplinary proceedings and possibly apply provisional suspensions against bodies or persons subject to infringements of the World Anti-Doping Code/ISU Anti-Doping Rules." (만일 반 도핑규칙 위반을 추적할 충분한 요소들과 증거가 생길 경우, ISU는 주저함 없이 즉시 제재절차에 착수할 것이며 WADA 규정 위반에 처한 기구 또는 개개인들에 대하여 잠정 자격정지조치 역시 가능할 것임)

 

이러한 발표로 보아 Vancouver2010동계올림픽 여자 피겨스케이팅 우승자인 한국의 김연아 선수(소치2014 은메달리스트)가 소치2014 금메달리스트로 상향 조정(could be upgraded to the Gold Medal) 조치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좌로부터: 김연아, Adelina Sotnikova, Carolina Kostner/출처: IOC홈페이지)

 

 

이렇게 될 경우 동메달리스였던 이태리의 Carolina Kostner는 은메달리스트로, 그리고 4위였던 미국의 Gracie Gold선수는 동메달리스트로 각각 상향 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Kostner 선수는 그녀 자신이 그녀의 전 남친(former boyfriend)이면서 올림픽경보우승자(Olympic race walking champion) Alex Schwazer에 대하여 도핑 은폐 공모에 연루된 혐의로(for being complicit in the doping cover-up) 2015 16개월 간 피겨스케이팅 종목으로부터 출전금지조치 받은 바 있다고 합니다. 

 

이 사건은 나중에 스포츠중재재판소(CAS)판결에 의해 5개월 연장되었지만(later extended by five months by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동시에 날짜가 소급적용 되는

바람에(backdated) 그녀는 2016년 초부터 피겨종목에 복귀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Fans of South Korea's Kim Yuna protest the ladies figure skating result at Sochi 2014 ©Getty Images (김연아 팬들의 항의모습/출처: insidethegames)

 

 

 

소치2014동계올림픽 에서 Sotnikova가 김연아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한 후 진상조사촉구(calling for an investigation)2백만 명 서명 청원이 형성된 바 있었습니다.

 

당시 소치2014피겨 스케이팅 심판채점결과에 대한 세부내역이 없었던(no details given about the scores of the judges) 바람에 판정에 대한 비판이 더욱 거세게 되었었습니다. 왜냐하면 Alla Shekhovtsova심판을 포함하여 결정과정에 연루된 심판들 중 2명이 자국인 러시아 인들이었기 때문입니다.

 

Shekhovtsova심판은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 전임회장(former President) 겸 현 전무이사(the current director general) Valentin Piseev의 아내이며, 우크라이나 출신 심판인 Yuri Balkov Nagano1998동계올림픽 피겨 아이스댄싱경기를 조작하려고 녹화테이프 조작시도가 포착되어 (being caught on tape attempting to fix the ice dancing competition) 1년 간 자격정지 후 피겨 계에 복귀했던 전력의 소유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김연아선수 경기결과에 대한) 심판판정 항의 소청은 ISU에 의해 기각된 바 있습니다(The complaints were rejected by the ISU.)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웹사이트

-La Gazetta della Sport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12. 23. 14:42

[IOC위원장 수난시대 러시아 NOC자격정지 촉구 시시비비 내막 그리고 그 허와 실]

 

 

1220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독일육상경기연맹회장이 Bach IOC위원장을 비난하며 러시아 올림픽위원회를 IOC가 자격정치조치처분을 내릴 것을 촉구하다”(German Athletics Federation President criticises Bach and calls for Russian Olympic Committee to be suspended by IOC)였습니다.

 

 

(Clemens Prokop 독일 육상경기연맹회장/출처: insidethegames)

 

 

 

Clemens Prokop 독일 육상경기연맹(German Athletics Federation/DLV)회장은 러시아의 도핑문제가 해결될 때까지(until Russia’s doping problems are resolved)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의 자격정지를 촉구하면서 Thomas Bach IOC위원장의 논고(arguments)를 비평하였다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은 ROCMcLaren보고서에 명시된 러시아의 정부주도 도핑프로그램의 꼼짝달싹할 수 없는 증거(damning evidence)에 직접적으로 뒤얽힌 것으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라는 근거에서 그런 발상(such a notion)에 대해 거부의사를 밝혀 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주도 도핑프로그램은 소치2014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포함한 국제대회에서 운영된 것으로 주장된 바 있습니다.

 

자격정지조치를 도입하기 보다 러시아의 지난 8 Rio2016올림픽 출전자격적격여부에 대한 책임을, 3 IOC패널(a three-person panel)이 의해 인준 받기에 앞서, 대신 특정 해당국제연맹들에게 넘겨준 바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지난 주 Frankfurter Allegemeine Zeitung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사태가 현대 민주주의의 주요한 성과이기(a major achievement of modern democracy) 때문에 그들의 이성적 논리와 추론(their reasoning)을 법과 법률제정(law and legislation)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근거로 그러한 (국제연맹의 자체판단에 의한) 결정사유를 옹호한 바 있습니다

 

특히IOC가 각국 정부의 행위를 문제 삼아(specifically due to the actions of the Government) 쿠웨이트와 같은 경우와 같이 다른 해당 NOCs에 대하여 자격정치 처분을 내려 왔기 때문에 (러시아의 경우와 연관 지어 생각할 때) IOC가 모순되게(inconsistently) 처신한 것 아니냐는 주장에 대하여 Bach IOC위원장은 일축하였다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은 IOC의 입장이 IAAF는 이러한 시스템에 동참한 바 있는 IAAF전임지도부 구성원들과 연관된 구체적인 문제들을 해결해야 했던 근거에 입각하여 IAAF가 러시아육상연맹(the All-Russia Athletics Federation)에 대해 자격정지 조치를 내렸던”(the IAAF has to resolve its specific problem of members of its former leadership participating in this system)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의 입장과는 달랐다고 항변하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IAAF의 조치는 다른 모든 국제연맹들과 IOC의 입장과는 구별되어 있다”(distinguishes it from all other federations and the IOC)라는 것이 Bach 위원장의 논조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독일육상경기연맹회장이자 IOC정책에 대해 자주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a frequent critic of IOC policy) Prokop Bach IOC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내 러시아에 대해 더 강력한 제재(stronger sanctions on Russia)를 가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도 바 있는데, 지금은 그러한 러시아에 대한 그러한 자격정지를 정당화 하기(to justify such a suspension) 위한 근거가 올림픽헌장 곳곳에 널려있다(plenty of grounds in the Olympic Charter)고 주장해 오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 대목은 Prokop회장이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지에 기고한 내용 일부 입니다

 

"If the values of the Charter of the IOC are taken seriously, the NOC of Russia would have to be suspended by the IOC until the solution of its doping problem, for the protection of all concerned athletes and fair play." (IOC헌장에 담겨 있는 가치들을 진지하게 견지한다면, 러시아 NOC는 모든 관련 선수들과 페어플레이 정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러시아의 도핑문제 해결 시까지 IOC에 의해 자격정지처분을 받아야 마땅할 것임.)

 

Thomas Bach revealed his "shock" and "inner rage" at the Russian state sponsored doping allegations ©Getty Images

 

 

 

Prokop회장은 올림픽헌장규정을 열거하면서 각 NOCs들로 하여금,

(1) “자국에서 올림픽헌장준수를 확실히 할 것”(to ensure the observance of the Olympic Charter in their countries)

(2) “WADA법규를 채택하고 실행할 것”(to adopt and implement the World Anti-Doping Code)

(3)선수들에 대한 의료서비스 및 건강과 관련하여 필요한 조치강구를 권장하고 지지하고 있음을”(to encourage and support measures relating to the medical care and health of athletes)

올림픽헌장을 통하여 NOCs들에게 요구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고 합니다.

 

올림픽헌장 제59(Rule 59) 조항을 살펴보면 이러한 요구사항들이 준수되지 않을 경우에(if these requirements are not met) 적용되는 수 많은 제재 부과조항(plenty of sanctioning powers)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Prokop회장의 이어지는 논조입니다:

"The fight against doping is one of the central tasks of an NOC." (도핑과의 전쟁은 NOC의 중추적인 역할들 중의 하나임)

 

"It is therefore irrelevant whether the leaders of the ROC have also found themselves guilty of active participation. (따라서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지휘부의 적극적인 동참과 관련하여 그들 자신의 유죄여부는 관계가 없으며 무의미한 일임)

 

"On the contrary, it is crucial that the ROC, in accordance with the IOC Charter, actually served the national anti-doping authorities and thus had to be blamed for their negligence."(반대로, IOC헌장에 의거하여 러시아올림픽위원회는 실제로 국가 반 도핑당국과의 일에 복무하였으며 따라서 그들의 업무태만에 대하여 비난 받아 마땅한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임)

 

Prokop 회장은 Bach IOC위원장의 코멘트내용을 볼 때(the comments of Bach) 그는 스포츠의 진실성회복을 쟁취하기 위한 투쟁에 있어서 시작을 알리는 신호조차 보내고 있지 않다”(do not bring any signal to the start in the fight for the recovery of the credibility of the sport)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Alexander Zhukov ROC위원장 겸 러시아 IOC위원은 러시아 정부 관원(a member of the Russian Government)이며 도핑조작계획을 총 지휘한 것(for orchestrating the scheme)에 대해 비난 받은 후 해임된 바 있는 러시아 체육차관인Yury Nagornykh는 도핑스캔들에 얽혀 있는 러시아 국내경기단체 소속 많은 위원들과 마찬가지로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집행위원회 구성원(sat on the ROC Executive Committee)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he start of a letter addressed to IOC President Thomas Bach from Clemens Prokop written in June ©DLV (Prokop회장이 Bach IOC위원장에게 발송한 서신 첫 부분/출처: insidethegames 및 독일 육상경기연맹)

 

 

더구나 McLaren보고서에 의하면 Irina Rodionova가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의 도핑과정에서 조정역할(coordinating role)을 수행했던 것으로 지목되고 있는데 그녀가 러시아 정보기관인 FSB와 도핑실험실 사이에 매개체 연락담당인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시점에(at that point), Irina Rodionova는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 반 도핑프로그램관장 의무팀장 직함의 직원(a ROC staff member as the head of 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Medical Anti-Doping Programmes Department )이었다고 합니다.

 

Richard McLaren 캐나다 변호사는 12월 초 런던에서 자신이 작성한 최종보고서의 완결 본 전체(the full part of his report)를 배포하였을 때 그녀에 대한 직접적인 연결 증거(there was no direct link)는 없음을 명백히 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30개 종목으로부터 1,000여명의 선수들이 어떻게 도핑조작계획에 얽히고 설켰는지를(implicated in the scheme) 분명하게 밝혀주는 증거를 제공한 바 있습니다.

 

그 결과로(as a consequence) IPC는 러시아에 대해 자격정지 처분을 내렸으며 이어 Rio2016패럴림픽에 러시아선수단의 전면출전이 금지된(leading to their complete absence from Rio2016) 바 있습니다.

 

러시아는 지금까지 IAAF 에 의해 그 자격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며 IAAF전임회장은 Lamine Diack은 러시아선수들의 도핑회피행위를 눈 감아 주는 대가로(in return for the covering up of doping failures) 뇌물을 받았던 음모행위 자행집단 임원들의 수괴라는 혐의로 현재 프랑스 경찰당국에 의해 조사를 받고 있는 지경입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AAF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6. 12. 22. 09:19

 

[Bach IOC위원장 태도변화감지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지 인터뷰 질의응답 전체원문발췌 정리(20161216일자)]

 

 

 

 

*순서:

 

가. 러시아 국가주도 도핑 스캔들 1차 조사보고서 파문과 Bach IOC위원장의 고뇌

 

나.  McLaren교수의 2차 최종보고서내용에 충격 받은 Bach IOC위원장의 태도 변화

 

다.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지와의 전격 인터뷰 내용 전문 발췌 정리

 

 

 

*내용:

 

 

1.   러시아 국가주도 도핑 스캔들 1차 조사보고서 파문과 Bach IOC위원장의 고뇌

 

 

Thomas Bach IOC위원장의 러시아에 대한 자세와 견지가 달라지고 있다고 외신은 보도하고 있습니다.

 

 

지난 5, WADA가 임명하여 독자적 권한을 부여 받은(Independent )조사관인 캐나다 법학교수출신 변호사인 Prof. McLaren의 충격적인 조사결과 발표(McLaren 보고서)가 올림픽운동 전체를 뒤 흔들어 놓은 바 있습니다.

 

 

(Richard McLaren/사진출처:insidethegames)

 

 

이러한 도핑 스캔들로 난데 없는 홍역을 치르면서도 Thomas Bach IOC 위원장은 거시적으로 볼 때 세계스포츠 양대 거대 축 중 하나인 러시아를 저 버릴 수 없었을 겁니다.

 

고육지책으로 WADA의 러시아 선수단 전체에 대한 Rio2016출전 전면금지 조치 권고내용을

IOC집행위원회가 받아 들이지 않고 종목별 IFs가 자체 판단으로 러시아 선수들의 Rio2016출전여부를 선별적으로 결정하도록 정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WADA 14개 국가도핑방지기구(NADOs)및 다수의 언론이 들고 일어 나 이에 대한 유감과 우려를 표명한 바 있었습니다.

 

결국 Rio2016현지에서 열린 제129 IOC총회에서 러시아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을 종목 별 국제경기연맹(IFs) 자체판단에 맡긴 IOC집행위원회의 결정을 승인함으로써 강경노선이었던 IAAF(육상)를 제외한 여타 종목의 러시아선수들의 Rio2016올림픽 출전이 허용된 바 있습니다.

 

IPC역시 강경노선을 유지함으로써 Rio2016패럴림픽에도 러시아 선수단이 전면출전금지(a blanket ban)조치가 내려져 러시아는 결국 굴욕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2.  McLaren교수의 2차 최종보고서내용에 충격 받은 Bach IOC위원장의 태도 변화

 

 

이러한 와중에 지난 129일 제2차 최종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상황이 반전된 듯합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은 캐나다 변호사 MeLaren보고서의 제2차분에서 드러난 러시아에서의 정부주도 도핑시스템을 적발한 실질적인 증거(the substantial evidence)를 확인하고 “충격”(shock)과 “속에서 끓어 오르는 분노”(inner rage)를 느끼게 하였음을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독일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FAZ)지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Bach IOC 위원장은 동 보고서 1차분 발행 후 Rio2016올림픽에 러시아 선수들 전면 출전금지를 부과하지 않았던 결정(the decision not to impose a blanket ban)에 대해 다시 한번 옹호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캐나다 변호사가 2011~2015년 사이에 Sochi2014동계올림픽을 포함한 여러 주요 스포츠 이벤트 시 자행되었던 러시아올림픽위원회와 러시아정부주도 계획간의 연관관계를 적발하지 못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IOC가 취한 행동이 합당하고 정당하였음(justification for the course of action the IOC took)을 강조하였다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은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쩔 수 없는 시스템으로 인해 속수무책으로 내몰린 일에 대하여 처벌받지 말아야 한다(people should not be punished for a system for which they can do nothing)고 주장하면서 과거 동독의 도핑스캔들이 도마에 올랐을 때(when the East German doping scandal came to light)에도 전면출전금지 조치는 없었노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McLaren 변호사는 그의 제2차 보고서에서 러시아 30개 종목으로부터 1,000명 이상의 선수들이 도핑조작계획에 적발된 것으로 발표된 바 있습니다.

 

이러한 Bach위원장의 태도변화는 지난 2016 5월 수면 위로 떠 오른 소치2014 동계올림픽 러시아 정부주도 조직적 도핑 스캔들 혐의주장이 온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이래 Bach IOC위원장의 러시아에 대한 가장 명백한 비난표명(most clear condemnation of Russia)임을 대변해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심지어 Beijing2008 London2012 올림픽으로부터 IOC의 재검사 프로그램 결과(about the results of the IOC's retesting programme)에 관하여서도 러시아를 지목하여 구별한 바(also singled out Russia) 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2차 보고서내용에 적시된 적발된 사실들을 혼연일체 거국적으로 일축해온(unanimous in dismissing the findings)러시아의 반응에 대하여 본질적으로(inherently) 비평하기(criticized the response from Russia)에 이르렀다라는 이야기 입니다.

 

3.  Thomas Bach IOC위원장의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지와의 전격 인터뷰 내용 전문 발췌정리

 

다음은 Thomas Bach IOC 위원장이 1216일 독일 주요신문인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지와의 전격 인터뷰 전문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Question 1(Frankfurter Allegemeine Zeitung): (McLaren 최종보고서 신빙성 여부 질문)

 

-The final report by Richard McLaren on Russian state-sponsored doping has provided more details backing up previous statements. Do you believe what it says?

 

 

Answer 1(Bach IOC위원장): (1차 보고서 당시 많은 의문점과 미비점을 보완함으로 신빙성과 중립성 유지하여 주었음)

 

 

(Thomas Bach/출처:insidethegames)

 

 

-The final report gave answers to many questions that were still open in the first report. The report as such provides stronger and more neutral evidence because it moves away from the statements made by Mr Rodchenkov, the former head of the Moscow anti-doping laboratory and a former Russian intelligence agent. This means that Mr. McLaren puts forward evidence that goes further.

 

Question 2: (IPC위원장의 러시아도핑시스템에 정나미가 떨어진다는 발언에 대한 공감여부)

 

-Philip Craven, the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has said he is disgusted by the Russian doping system. Do you agree with him?

 

Answer 2: (언어학적 의미론의 문제인 바 나 역시 공포와 내적 분노 느낌이며 Craven IPC회장도 Rio2016대회 전 IOC 결정에 동의함)

 

-This is a matter of semantics. For my part, I feel horror. Partly, I also feel inner rage. But neither anger nor fear are good advisers. So in a position of responsibility, you have to immediately ask yourself, how do you deal with this? What can be done, so this will hopefully never happen again? That is also why Philip Craven agreed with the IOC decision before the Games in

Rio de Janeiro.

 

Question 3: (IOC Rio2016에 러시아 선수단전체 출전금지 못 내린 것에 후회하는 지 여부질문)

 

- …do you regret that the IOC did not ban the Russian team from the Olympic Games in Rio, instead leaving it to the international federations to check individual cases?

 

Answer 3: (그렇진 않음. McLaren교수 역시 중요정보를 제공한 바 IAAF를 제외하고 국제연맹들이 이러한 음모에 가담하지 않았다고 하였으며 러시아올림픽위원회 또한 연루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 한 바 있음)

 

-No. On this point, Prof. McLaren also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He was asked whether international federations were involved in this conspiracy. His answer was no, except for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IAAF, in which top officials took part in covering up cases of doping – Editor’s Note]]. And he was asked whether the Russian

Olympic Committee was involved in this conspiracy. His answer was no.

 

 

 

Question 4: (IOC가 관련 NOC자격정지 및 국기사용 금지처분 외에 정부를 상대로 어떤 다른 처분 옵션이 있는지 여부질문)

 

-What options, other than a suspension of the NOC and the country's painful sacrifice of its flag, would be available to the IOC against a government?

 

Answer 4: (여러 가지 옵션이 있음. Rio2016대회에 러시아체육부 대표들에 대한 AD카드 발급 금지조치와 동계 IFs가 러시아 국제대회 개최권 불허 조치 등인데 최근에 IBSF 2017년 소치 개최 세계선수권대회 개최권철회가 사례들 중 하나임)

 

-There are a number of options. In part, we already demonstrated our enforcement options in the summer. There was no accreditation in Rio for representatives of the Russian Ministry of Sport. Back then, we already asked the international winter sports federations not to award any new competitions to Russia. Therefore, the IOC welcomes the decision of the International Bobsleigh and Skeleton Federation to follow its recommendation and not hold the World Championships 2017 in Sochi

 

Question 5: (러시아 선수들 중 연루되지 않은 선수들에 대한 선별적 구제논란과 관련하여 도핑 연루 가능성 있는 러시아 선수들과 대비하여 보호받아야 할 다른 나라의 정직한 선수들에 대한 배려와 형평성 여부질문)

 

-The argument that you had to protect possibly innocent Russian athletes against collective punishment can also be turned around. There are also clean athletes from other countries who have to be protected against Russians who are likely to be doped.

 

Answer 5: (그런 이유로 Rio2016에 앞서 러시아선수들의 무죄추정원칙을 번복한 것으로 선수대표들 다수의 지지를 받은 바 있음. 이점에서 비판의 목소리 내는 선수가 생길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데 Rio2016에서 많은 선수들과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공평하게 선수들을 직시할 수 있어야 하며 많은 선수들의 공감대와 이해를 발견한 바 있음. 최소한 다른 선수들도 이와 관련 생각을 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음)

 

-That is why we reversed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for Russian athletes ahead of Rio. In this we were supported by the majority of the athletes’ representatives. This does not exclude that athletes will then voice criticism. I spoke to a large number of athletes in Rio myself because I felt that after such a decision you must be able to look athletes squarely in the eyes. I found approval and understanding with a large number. The others at least started to think about it.

 

Question 6: (이러한 사건의 여파로 글로벌 파워 정치의 수레바퀴에 올림픽이 휘말릴 수 있는 위험여부질문)

 

-Do you see a risk of the Olympics getting caught up in the wheels of global power politics as a result of these events?

 

Answer 6: (이것을 막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며 다른 한편으로 정치인들과의 모든 토론에서 올림픽만이 취약하고 호전적이고 광폭한 시대에 전 세계를 한 지붕 아래 하나로 통합시키는 유일한 행사임이 명백해 지고 있음. 따라서 올림픽이 정치화 되어서는 안 되는 것임. Rio2016전에 커다란 기대가 있었으며 나와도 상관이 있었는데 난민올림픽 팀 등의 참가사례를 통하여 좋은 전례를 남기도록 힘썼음)

 

-It is our aim to prevent this. On the other hand, in all my discussions with politicians it has always become clear that for them the Olympics are the only event that still brings the whole world together under one roof in these extremely fragile, belligerent and violent times.

They should therefore not be politicised. That was their great expectation ahead of Rio, which admittedly also came to bear on me. We managed to set this example, not least with the Refugee Olympic Team.

 

Question 7: (며칠 전 트럼프 미국대통령당선자와 통화하였는데 논의된 내용에 대한 질문)

 

-A few days ago you phoned Donald Trump. What did you discuss with him?

 

Answer 7: (그는 명확하게 LA2024올림픽유치에 대한 지지를 확실히 하였으며 세계 여러 지역들과 IOC UN과의 협력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음. 이 맥락에서 그는 올림픽운동과 IOC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으며 매우 건설적이고 좋은 대화였음)

 

-He very clearly expressed his support for the Los Angeles bid. We then talked about a number of world regions and the IOC's cooperation with the United Nations. In this context, he offered his support for the Olympic Movement and the IOC. It was a very constructive and good conversation.

 

Question 8: (IFs조직내에 빈번히 크레믈린과 연결되어 있고 국가 이익을 추구하고 있는 많은 인원의 러시아 임원들이 포진되어 있는 바 그들의 압력행사시도 여부질문)

 

-In the federations, there are numerous Russian officials, often with good connections to the Kremlin, who pursue the interests of their country. Have they attempted to exert pressure?

 

Answer 8: (우리는 압력행사를 허용하지 않고 있으며 IOC는 분명한 규칙이 존재함. 올림픽정상회담을 예를 들면<올림픽운동의 지휘부임원들이 참여하여 러시아 도핑사태도 다루었음> 그 회의에서 러시아 대표에게 발언 기회를 준 바 있음. 추후, Alexander Zhukov러시아 NOC위원장은 자리를 떠났으며 그 사람이 없는 가운데 논의가 계속된 바 있음)

 

 -We do not allow ourselves to be pressurised. The IOC has clear rules. The Olympic Summit, for example, [a summit of leading representatives of the Olympic Movement, which dealt with the Russian doping, the editorial staff – Ed.] gave the Russians a chance, of course, to get their voice heard. Afterwards, the Russian NOC President [Alexander Zhukov – Ed.] left the room and discussions continued without him.

 

Question 9: (공식적으로 러시아 인들은 여전히 모든 것을 부인하고 있는 상황인 바 이러한 현상이 논의의 기조가 되고 있는 지 여부질문)

 

-Officially, the Russians still deny everything. Is that even a basis for any discussion?

 

Answer 9: (다른 반발이 짐작되었을 수도 있지만 중요한 맥점은 IOC조사위원회가 실시하는 청문회에서 러시아 측의 반응이 어떻게 나올 것인 가임)

 

-I could have imagined a different reaction. But now the crucial point is: what will the Russian response be in the hearings of the IOC commissions?

 

Question 10: (귀하의 답변내용들은 한결 같이 실용주의자 적 발인 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자라든가 진실성과 같은 개념들이 가치철학에 의해 움직이는 IOC와 같은 조직에 중요하다고 믿고 있는지 여부 질문)

 

-Your answers are always those of a pragmatist. Nevertheless, do you not believe that concepts such as image or credibility are important for an organisation like the IOC that is value-driven by its own account?

 

Answer 10: (그런 가치철학이 IOC가 국제적으로 인정 받고 있는 기반이기도 함. 교황이 IOC위원장과 UN사무총장을 초대하여 스포츠의 가치와 믿음에 대한 논의를 위해 공동으로 포럼을 오픈 하는 것을 볼 때와 UN사무총장이 올림픽성화봉송 논의를 위한 포럼을 오픈 하는 것을 볼 때 그리고 IOC스폰서들과 TV 파트너들이 IOC와 장기 계약(TV중계권의 경우 2032년까지)을 체결하는 것을 볼 때, 귀하는 이러한 모든 일들이 올림픽과 IOC의 장기적 안목의 진실성과 신뢰도가 없이는 일어 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주지하고 있다고 생각함)

 

-Yes. And that is also what the IOC is internationally recognised for. When you see the Pope inviting the IOC President together with the UN Secretary-General to jointly open a forum for discussing values in sport and faith; when you see the UN Secretary-General attending the Olympic torch relay; when you see our sponsors and television partners signing preferably longterm contracts with us, at times until the year 2032, then you know that all of this would not be happening without credibility and confidence in the positiv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Games and the IOC

 

 

*References: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Sport Intern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