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7. 3. 30. 08:17

[네덜란드 IOC위원 여성폭행구타혐의 마침내 벗게 될까?]

 

1)   KLM 항공사CEO(2013~2014)를 역임한 네덜란드 유일의 IOC위원으로 2013년도에 선출된 Camiel Eurlings (1973년 생/44)가 자신의 여자친구에 대한 폭행혐의가 합의가 이루어진 후 IOC위원 직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Eurlings free to continue as IOC member after settling assault charge)이라고 한 외신이 322일 자로 보도한 바 있음

 

(Camiel Eurlings/출처: insidethegames)

 

 

2)   Eurlings 네덜란드 IOC위원은 법정 외 심각한 폭행혐의 합의 후(after a serious assault charge out-of-court) IOC 직분을 계속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짐

 

3)   Eurlings IOC위원은 전임 정치인 겸 기업인으로 2013년 임명된 네덜란드 유일무이한 IOC위원으로 활동 중인 가운데 201512월 자신의 전 여자친구인 Tessa Rolink가 고소한 혐의의 대상(the subject of allegations)이 된 바 있음

 

4)   그녀는 5개월 전 폭행의 결과로 충격(concussion)과 팔꿈치 파열(a broken elbow) 및 심한 타박상(severe bruising)으로 고통을 받아 온 것으로 보도된 바 있음

 

5)   Eurlings IOC위원은 잘못을 부인하였으며(denied any wrongdoings) 명예훼손으로 역 고소(filed counter-charge of libel)를 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음

 

6)   사법부에서는 지난 9Eurlings에 대하여 폭행 혐의로 기소될 것(would be prosecuted on assault charges)이라고 발표한 바 있었음

 

7)   하지만 양측은 중재과정(a mediation process)을 따를 것으로 합의하였는바, 혐의에 대하여 법정 행 보다는 다른 방법으로 합의에 이를 수 있는 지 여부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음

 

8)   Eurlings변호사 대변인은 혐의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고자 검사 측이 입회한 가운데 동의가 이루어졌다고 확인하였다고 함

 

9)   합의에 대한 정확한 내막(the exact nature of the settlement)은 공식적으로 알려지지 않고 있음

 

10) NU.nl에 따르면, 이 사건은 범죄혐의를 내포하고 있지 않으며(involves no criminal conviction) 조정합의 역시 유죄인정(an admission of guilt)이 아니라고 함

11) Eurlings는 모든 관련 당사자들을 위하여 지루하고 오랫동안 진행되어 온 사건이 이제 종결되기(now conclude a tedious and long running case)를 희망하고 있음

 

12) Rolink가 중재합의수락을 거절할(refuse to accept the settlement) 수 있는 가능성은 아직 상존하고 있다고 보도되고 있음

 

13) 하지만 대변인이 NU.nl 에게 사법부도 장기 난제로 생각하고 있는 사건에 대하여 철두철미한 제안이 제시된 상태에서 거절사태가 일어나리라고는 추정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고 함

 

 

The Netherlands' Camiel Eurlings was appointed an IOC member at Buenos Aires in 2013 ©Getty Images (Camiel Eurlings 네덜란드 IOC위원은 2013년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 선출된 바 있음/출처: insidethegames)

 

 

14) IOC 대변인은 Eurlings IOC위원이 처벌에 당면해 있지 않음(faces no punishment)을 확인하면서 다음과 같이 발언 함:

 

A.  "The IOC has been informed of the meeting between Mr. Eurlings and the public Prosecutor, as well as the statement made by the Prosecutor that the situation will not be brought to Court." (IOCEurlings와 검찰관 간의 회동을 통보 받았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법정공방까지 가져갈 사안이 아니라는 검사 측의 성명서 내용도 인지하고 있음)

 

B.  "This is a private matter, and the IOC has no further comment to make." (이 사건은 개인적인 사안으로 IOC로써는 더 이상 논평할 것이 없음)

 

 

15) 하지만 본국인 네덜란드의 원로 인사들은 Eurlings IOC위원이 과연 스캔들 후에도 IOC에서 네덜란드 대표로 적절한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함

 

16) De Telegraaf신문에 게재된 글을 보면 두 차례 올림픽 하키 우승자인 Jacques Brinkman은 이러한 사건은 IOC에서의 네덜란드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있으며 향후 있을 수 있는 네덜란드의 올림픽 패럴림픽 유치경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암시하였음

 

17) Eurlings IOC위원은 2013Thomas BachIOC위원장으로 선출된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 피선된 바 있으며, 신설된 IOC소통 분과위원회(Communication Commission)위원장 및 IOC재정분과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기도 하였음

 

18) 그는 네덜란드 정치인 출신으로 2007~2010년까지 3년 간 네덜란드 교통, 공공건설, 수자원관리부 장관(The Netherlands' Minister of Transport, Public Works and Water Management)직을 역임한 바 있음

 

19) 그는 그 후 정치권에서 은퇴하였으며 KLM Royal Dutch 항공사에서 2011~2014년까지 운영이사에서 시작하여 CEO직책을 수행한 바 있음

 

20) 그는 현재 AmEx 글로벌 비즈니스 여행부문 이사 직(a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at American Express Global Business Travel)을 맡고 있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3. 24. 12:00

[북한 평양개최 2017년도 IJF세계주니어유도선수권대회 언제까지 연기되나?]

 

1)   321일 자 한 외신기사 제목은 “IJF(국제유도연맹)회장, 2017년 북한 개최 세계주니어 유도선수권대회 연기될 수 있다”(IJF President reveals 2017 World Junior Judo Championships in North Korea could be postponed)였음

 

 

(Marius Vizer IJF회장/출처: insidethegames)

 

 

2)   국제유도연맹(IJF: International Judo federation) Marius Vizer회장은 IJF가 북한개최 2017년도 세계주니어 유도선수권대회를 동아시아국가에(in the East Asian nation) “보다 더 평화로운 시기가 올 때까지(until a more peaceful period) 순연하게 될 공산이라고 공개하였음

 

3)   20168월 북한 평양은 20171018~22일 개최예정으로 2017년도 세계주니어 유도선수권대회 개최권을 부여 받은 바 있었음

 

4)   IJF집행위원회이 북한의 대회개최지 후보에 대한 개최지로 승인되었던(was accepted and validated) 조건들 중 하나는 만일 글로벌 세계상황이 선수권대회 조직을 용납하지 않을 경우, 다른 해결방안들이 제안될 것”(if the global world situation does not allow the organization of the Championship, other solutions will be offered.)이었음

 

(Rio2016 당시 열렸던 IJF집행위원회 회의 장면/출처: IJF홈페이지)

 

5)   북한은 현재 일련의 미사일 실험발사(a series of missile tests)에 따른 한국과의 또 다른 긴장돌출 사태에 휘말리고 있는 중임(currently embroiled in another surge of tension)

 

6)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 역시 표면상으로 북한의 위협 대응의 일환으로(ostensibly in response to the North Korean threat) 논란이 되고 있는 미국의 한국 내 미사일방어시스템(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전개 이후 악화되어 왔음(have also soured)

 

7)   북한에서의 작금 정치적 긴장상태로 미루어 볼 때 북한이 준비하고 있는 2017년도 세계주니어 유도선수권대회의 진척사항을 묻는 질문에 Vizer IJF회장은 다음과 같이 답변한 것으로 보도됨:

 

A.  "We are in the process of re-evaluating this opportunity and probably we will postpone until a more peaceful period." (우리는 북한에게 부여한 이번 기회를 재 평가하는 과정에 있으며 아마도 좀더 평화로운 시기가 올 때까지 연기할 것임)

 

8)   2016년 북한에 개최권을 부여할 당시 Vizer회장은 북한개최 선수권대회가 모든 수준에서 관계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 것”(could open a new era for developing relations at all levels)이라고 하면서 그 당시 다음과 같이 발언한 바 있었음:

 

 

A.  "One of the goals of sport and particularly judo is to build bridges between nations and cultures." (스포츠 특히 유도종목의 목표들 중 하나는 국가들 및 다른 문화권들 간의 교량을 놓는 것임)

B.  "We have the ability to bring peace and friendship. (우리는 평화와 우정을 가져올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

C.  "We can help to grow the hopes of younger generations. (우리는 청소년 세대들의 희망이 더 성장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

D.  "Through this historic event, we can further strengthen judo in North Korea, even though it is already a highly-respected sport." (이러한 역사적인 대회를 통하여 우리는 북한에서 이미 유도종목이 상당히 존중 받고 있는 종목이긴 하지만 유도를 더 한층 강화시킬 수 있을 것임)

 

 

 

9)   Marius Vizer IJF회장은 위와 같이 Twitter상으로의 질문에 대해 답 글을 달았음

 

10) 20166월에 북한은 2018년 세계주니어역도 선수권대회 개최권을 획득한 바 있음

 

11) 주니어 역도 선수권대회 획득은 2015Tokyo2020올림픽개최국인 일본에게 2017년 세계주니어 선수권대회 개최권 경쟁에서 탈락된 후 주어진 것임

 

12) 2018610~18일 예정인 세계주니어 역도선수권대회는 세계에서 가장 은둔국가(the world’s most secretive country)인 북한에게 개최권을 줌으로써 주요한 조치로 기록되었지만(marked a major move), 국제역도연맹(IWF)은 스포츠이벤트가 국제사회에서 격리된 국가(the reclusive state)를 개방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단체들 중 하나임

 

(Rio2016 개회식에 행진하고 있는 북한 선수단 모습/출처: insidethegames)

 

 

13) 남북한은 스포츠를 관계개선을 하는데 활용하고자(to use sport to better relations) 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음

 

14) 평창2018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지난 2월 북한의 참가가 국가들(남북한) 간의 평화를 촉진(promote peace between the nations)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북한 대표단이 내년 한국개최 동계올림픽 참가를 환영 받게 될 것이라고 단언한(asserted) 바 있었음

 

(이희범 POCOG위원장과 Gunilla Lindberg IOC조정위원장/출처: insidethegames)

 

15)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국가들(남북한)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었기(had heightened)에 외국인 방문객들이 대회참가가 되로 미루어질 수 있다라는(could put foreign visitors off attending the Games)암시에 대해 완곡하게 대응하였다고 보도됨

 

16) 북한의 한국이 개최하였던 서울1988올림픽을 보이콧한 바 있었음

 

17) 더 최근에 한국에서 열린 바 있는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과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과 같은 종합스포츠 제전(more recent multi-sport Games)에는 북한 선수단이 참가한 바 있었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IJF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3. 21. 14:12

[평창2018개최 IOC집행위원회(316일부터 2일간) 주요 논의사항 종합요약 및 총정리]

 

 

*순서:

. 글로벌 반 도핑(Global Anti-Doping)관련 IOC집행위원회 향후 방침요약

. 도핑과의 전쟁 (Fight Against Doping)관련 내용요약

. IOC집행위원회 (평창)선언문 전문(Declaration of the IOC Executive Board

. Rio 2016 올림픽유산(Olympic Legacy)관련 실적

. IOC홈페이지에 소개된 Rio2016유산계획 6가지

. 양성평등(Gender Equality)

. BuenosAires2018 청소년올림픽(YOG)

. 평창2018 동계올림픽

. Tokyo2020올림픽

. 베이징2022동계올림픽

. 국적 변경

. 2024~2028년 올림픽개최도시 동시선정 등 향후 올림픽유치과정 개혁

. 케냐 NOC 관련문제

. BuenosAires2018 청소년올림픽(YOG)



 

*내용: 

 

20173 16~17일 양일 간 평창에서 열렸던 IOC 집행위원회는 도핑방지(fight Against Doping), Rio2016올림픽 유산(Olympic legacy), 양성평등(Gender Equality), 평창2018, Tokyo2020, Beijing2022동하계 올림픽 및 BuenosAires2018 청소년올림픽(YOG) 조직위원회 준비진척사항 보고, 올림픽 참가선수 국적변경, 2024/2028년올림픽 개최권 동시부여, 러시아 도핑 스캔들 후속조치 및 케냐 NOC제재문제 관련 등 다양한 사안들이 논의된 바 있습니다.

 

(평창 알펜시아 개최 IOC집행위원회 회의 장면/출처: insdiethegames)

 

 

1.   글로벌 반 도핑(Global Anti-Doping)관련 IOC집행위원회 향후 방침요약

 

1)   IOC집행위원회(EB)는 향후 WADA대표권지분과 관련 스포츠기구들과 각국 정부들 간의 동등한 비율의 대표권(represented equally)이 반영될 것을 원함

 

2)   Bach IOC위원장은 러시아 도핑관련 Sir Craig Reedie WADA회장과 Richard McLaren WADA위임 조사보고서 작성책임자(author of WADA commissioned investigation)과 빠른 시일 내에(at the earliest possible convenience)회동할 것을 요청하였음

 

3)   아래 2 페이지짜리 12가지 원칙을 담은 ‘IOC집행위원회 선언문’(Declaration of the IOC Executive Board)의 핵심주제는 반 도핑 기구들의 선언문 내용과 유사한 대화와 긴밀한 협력”(a dialogue and close cooperation)확립이며 미묘하지만 중요한 차이(subtle yet significant differences)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4)   동 선언문 제안내용에는 독립적 검사/조사기관’ (ITA: Independent Testing Authority)의 중립적 기구로 설치하되, ITA 집행부는 공공기관(public authorities), 올림픽 운동단체, WADA및 선출 직 선수들로 구성된 대표들을 포함하며 ITA감독역할기능에만 국한되는 것”(restricted to a "supervisory role only")으로 알려지고 있음

 

5)   당초 Bach IOC위원장의 당초구상은 ITA의 활동 운영시기가 평창2018부터가 목표였지만 제반 복잡한 절차상의 문제로 ITA의 운영시기가 미루어지게 될 공산이 큰 것으로 알려졌음

 

6)   하지만 IOC는 평창2018기간 동안 독립적인 검사 및 제재 시스템을 가동할 것으로 (an independent testing and sanctioning system in operation during Pyeongchang 2018) 주장하고 있음

 

7)   2019년 예정된 스포츠에 있어서의 도핑관련 세계회의(World Conference on Doping in Sport)시기가 WADA개혁 실행의 적기(the most likely timeframe for the WADA reforms to be put into action)로 보고 있다고 함

 

 

 

It is hoped an independent doping and sanctioning system will be in place by Pyeongchang 2018 ©Getty Images (평창 알펜시아 전경/출처: insidehtegames)

 

 

8)   반 도핑관련 기구들의 구성원은 임명 직이 아닌 선출 직으로서의 선수를 선임하며 그 역할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WADA회장/부회장(중립적이고 이해관계가 없는 인사) 및 집행위원들도 독립적인 위원들로 구성하되, WADA의 역할은 반 도핑 법규(code) 서명단체들에 대한 조사를 포함한 이행여부 감독 (compliance monitoring including investigation of all code signatories)책임, 스포츠중재재판소(CA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현 회장 John Coates IOC 부위원장)WADA코드 불이행 모든 스포츠 기구들 및 개인들에 대한 제재조치 책임을 맡는 것(assuming responsibility for sanctioning)으로 크게 대별되는 것으로 알려짐

 

 

"Strengthening WADA" is a sub-heading on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document but many of the proposals differ from those of others in the fight against drugs ©Getty Images (좌측이 Sir Craig Reedie WADA회장/출처: insidethegames)

 

 

2.   도핑과의 전쟁 (Fight Against Doping)관련 내용요약:

 

 


 

(1) IOC집행위원는 향후 올림픽 또는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들에 대해 일정 횟수 이상의 도핑 테스트를 의무화하는 동시에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의 독립성 강조

(2) IOCWADA가 스포츠 조직 및 국가의 이해관계로부터 독립되어야 하고 WADA 회장 또는 부회장은 어떤 정부 조직이나 체육 단체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중립적인 인사여야 할 것이라고 제안함.

(3) 또한 새로운 제3의 기구 격인 독립적 검사/조사기관ITA(Independent Testing Authority)을 창설하기로 하고 도핑시스템 강화를 위한 12가지 원칙을 발표함.

 

3.   IOC집행위원회 (평창)선언문 전문(Declaration of the IOC Executive Board)

 
[12 principles for a more robust and independent global Anti-Doping System to protect clean athletes (정직한 선수들 보호하기 위하여 보다 강력하고 독립적인 글로벌 반 도핑 시스템구축을 위한 12가지 원칙)]

 

A.  선언문 취지:

Already in October 2015, the Olympic Summit proposed an independent anti-doping testing and sanctioning system. In particula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interim report of Prof. McLaren in July 2016, a broad public debate started about the future of the WADA Anti-Doping System. Having followed closely and participated in this debate, the IOC Executive Board today emphasises the Olympic Movement perspective of a more robust and independent anti-doping system. The IOC would like to implement the following principles in a dialogue and close cooperation with WADA and its stakeholders: (201510월 올림픽정상회담에서 독립적인 반 도핑테스트 및 제재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음-특히 2016Mclaren교수의 도핑실태관련 중간보고서 발간 이후 WADA 반 도핑 시스템의 미래에 대한 폭 넓은 대중적 토론이 시작된 바 있음-동 토론참가 및 근접 관찰결과, IOC집행위원회는 2017316일 보다 굳건하고 독립적인 반 도핑 시스템에 대한 올림픽운동의 관점에 방점을 찍기에 이르렀음-IOCWADA 및 관련 이해관계자들과의 대화와 밀접한 협업 안에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실행코자 함)

B.  Strengthening WADA (WADA 강화)

1)   The World Anti-Doping Agency must be equally independent from both sports organisations and from national interests. This is necessary because even the perception of a conflict of interests can be considered damaging to the credibility of the anti-doping system. With regard to national interests,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of the recent challenges to the system from certain National Anti-Doping Organisations (NADOs), from disputes between different NADOs, and from appeals by International Federations (IF) against decisions of National Anti-Doping Institutions. (시스템신뢰도에 손상이 되는 이해상충 인식 불식을 기하기 위해 반 도핑WADA기능과 역할의 독자성확보 필요성 대두-최근 몇몇 국가 반 도핑 기구들<NADOs>로부터 야기된 도전과 각기 다른 NADOs들 간의 논쟁으로부터의 또 다른 도전과 국가 반 도핑 기관들의 결정에 반한 국제연맹들의 탄원 등으로 야기된 현 반 도핑 시스템에 대한 도전 등을 감안해 볼 때 반 도핑시스템의 독자성/독립성은 특별히 중요함)

 

2)   Since the sports organisations and the governments are both founding stakeholders on an equal basis, they must be represented equally on the WADA Foundation Board and Executive Committee. The role of athletes on the Foundation Board and Executive Committee must be strengthened. The representation of athletes must be by elected (not appointed as now) athlete representatives. The WADA boards should also include independent members. (스포츠기구들과 각국 정부들이 공평한 견지에서의 WADA창립 이해당사자들임을 감안하여 그들은 마땅히 EADA재단 및 집행위원회에 공평하게 대표성이 부여되어야 함-동 재단 및 집행위원회에 선수들의 역할 또한 강화되어야 함-선수들의 대표성이란 현재와 같이 지명방식이 아닌 선출방식으로 선수대표들을 영입해야 함-WADA집행부는 독자적인 위원들 역시 영입하여야 함)

 

 

3)   WADA to have a neutral President and Vice-President who have no function in any government or governmental organisation or in any sports organisation. The candidates to be agreed upon by both founding stakeholders, i.e. the governments and the sports organisations, including the elected representatives of athletes. This was already proposed by the Olympic Movement in October 2016. (WADA는 어떤 국가정부 또는 정부조직 또는 그 어떤 스포츠기구에서 기능을 행사하지 않는 중립적인 회장과 부회장이 직무를 맡아야 함-선출된 선수들 대표를 포함하여 각국정부들 및 스포츠기구들과 같은 이해당사자들에 의해 공히 합의된 후보자들로 구성되어야 함-이러한 생각은 201610월 올림픽운동 전체에 의해 이미 제안된 바 있음)

 

4)   The role of WADA to be strengthened and clarified to be the sole international body responsible for(WADA의 역할은 다음과 같은 것에 책임이 부여된 국제기구로써 강화되고 명명백백하게 정의되어야 함):

a)   Legislation with regard to the World Anti-Doping Code including the list of prohibited substances and standardisation of anti-doping procedures(금지약물 리스트 및 반 도핑 절차 표준화를 포함한 세계 반 도핑 규약에 대한 법제화)

b)   Accreditation of anti-doping laboratories (반 도핑 실험실에 대한 승인)

c)   Compliance monitoring including investigation of all code signatories (모든 규약 서명당사자들에 대한 조사를 포함한 준수여부 감시감독)

d)   Anti-doping research (반 도핑 연구)

e)   Prevention (방지)

5)   The IOC supports WADA’s intention to have a compliance policy which drives towards Code compliance of all signatories of the World Anti-Doping Code. This would ensure a level playing field for all the athletes of the world. (IOC는 세계 반 도핑 규약 준수의무 서명당사자들의 규약이행을 선도하는 준수정책을 반영코자 하는 WADA의 의도를 지원하며 이는 세계 모든 선수들이 경기장에서 대등하게 경기에 임하도록 보장하게 될 것임)

 

C.  Creation of an Independent Testing Authority(ITA:독자적 검사/조사 기관 창설)

6)   An Independent Testing Authority (ITA) to be created. (독자적 검사/조사 기관이 창설될 것임)

 

7)   The ITA to develop with each respective International Federation an International Test Distribution Plan (ITDP) not only by sport but by discipline. This ITDP to contain a minimum number of tests for every athlete wanting to participate in the World Championships or in the Olympic Games. This number to be transparent for each athlete in a discipline of a sport. Athletes not having the established minimum testing level not to be eligible for World Championships and Olympic Games. (ITA는 각각의 국제연맹들과 함께 스포츠 별로 그리고 세부종목별로 국제검사/조사배포계획<ITDP>를 개발함-ITDP는 세계선수권대회 또는 올림픽대회에 참가를 원하는 모든 선수에게 해당하는 최소한의 검사횟수를 명시함-각 종목 해당 세부종목에 참가하는 선수들에게 횟수에 대하여 투명성을 지녀야 함-설정된 최소한의 검사수준에 해당되지 않는 선수는 세계선수권대회나 올림픽대회에 참가자격이 주어지지 않음)

 

8)   The NADOs to execute these international tests on request by the ITA. (국가 반 도핑기구들은 ITA의 요청이 따라 이러한 국제적 검사를 시행함)

 

9)   The NADOs to continue and, where appropriate, to strengthen all their other testing activities and WADA to ensure that NADOs’ Test Distribution Plans are implemented independently from national interests. (WADANADOs의 검사 배포 계획이 국가이익으로부터 벗어나 독립적으로 실행되도록 확고히 하고 NADOs는 각각의 모든 다른 검사활동을 꾸준히 강화하도록 노력을 지속해야 함)

 

10) The ITA board to be restricted to a supervisory role only. The ITA board to have no power to direct or instruct the management of the anti-doping programme. (ITA집행부의 기능은 감독역할에만 국한되어야 함-ITA집행부는 반 도핑 프로그램을 지휘하거나 관리를 지시할 권한을 가지지 아니함)

 

 

11) The ITA board to include representatives from public authorities, the Olympic Movement and WADA as well as elected athlete representatives. (ITA집행부는 선출된 선수대표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올림픽운동관련 기구 및 WADA로부터의 대표들로 구성되어야 함)

D.  Sanctions (제재조치)

12) Sanctioning with regard to individuals (athletes, officials, coaches, doctors, etc.) following a case established by the ITA, or sanctioning of a Code signatory (sports organisations, event organisers, NADOs and laboratories) following a declaration of non-compliance by WADA, both to be determined by the independent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CAS), following the democratic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ITA가 정립한 사안에 따른 선수, 임원 코치, 팀 닥터 등과 같은 개개임에 대한 제재조치, 또는 WADA의이행준수 불이행 발표에 따른 스포츠기구, 이벤트 조직기관, NADOs 및 실험실 등과 같은 규약 서명당사자에 대한 제재조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권력분리 민주적 원칙에 따른 독립적인 상기 두 가지 경우에 대하여 스포츠중재재판소가 이에 대해 결정함)

 

 

4.   Rio 2016 올림픽유산(Olympic Legacy)관련 실적

 

 

(출처: IOC홈페이지)
 

1)   최근 들어 ‘Rio2016올림픽대회에 대하여, 대회 이후 경기장 사후활용 등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있는 관계로 많은 사람들이 IOC와 올림픽을사치스러운 것(extravagant)’이라며 비판해 온 것이 주지의 사실임

2)   이에 대하여 IOC는 여러 가지 경제적정치적사회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Rio2016은 훌륭한 올림픽과 이를 유지하는 유산계획을 기획했다고 주장하고2)있음

3)   이와 관련 IOC는 이에 대한 인식제고와 Rio2016이후 부정적 보도내용을 반박하기 위한 정보전파 캠페인을 가속화하고 있음

4)    런던2012의 경우도 런던시의 환상적인 장소 안에 소재한 런던올림픽공원의 변모(transformation)를 자리매김하는데도 여러 해가 걸렸음을 강조함

5)   따라서 올림픽유산계획이 완성되고 완전히 활용되기 위하여서는(to be completed and fully utilized), 3년이상이 걸렸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IOC executive director for the Olympic Games Christophe Dubi claimed Rio de Janeiro and the lives of its citizens have been "transformed" by the 2016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Getty Images (Dubi IOC수석국장은 Rio2016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Rio시와 시민들의 생활을 변모시켰다고 주장하고 있음/출처: insidethegames)

 

A document showing the supposed legacy benefits of Rio 2016 has been beamed around the world ©IOC (Rio2016 유산혜택내용을 담은 문건 표지/출처: IOC홈페이지)

 

 

 

5.   IOC홈페이지에 소개된 Rio2016유산계획 6가지

 

-Rio2016올림픽이 끝나고 수 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올림픽성화는 꺼졌지만 Rio2016대회는 빛나는 유산을 남기기로 스스로 약속하고 있음(Several months on, even if the flame is out, the Games promise to leave a shining legacy)

 

 

 

(1) Youth & Sporting Legacy (청소년 및 스포츠 유산)

(출처: IOC홈페이지)

 

(2) Sports Venues (경기장)

 

Pictures like the one of the Maracanã Stadium empty in February following last year's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were among those beamed around the world, creating a negative image of Rio 2016 ©Getty Images (마라카낭 Rio2016주경기장의 20172월 모습이 Rio2016올림픽의 부정적 이미지를 창출한 바 있음/출처: insidethegames)

 

 

(3) Urban Legacy (도시적 유산)

(출처: IOC홈페이지)

 

(4) Economic Legacy (경제적 유산)

(출처: IOC홈페이지)

 

(5) Social legacy (사회적 유산)

 

(출처: IOC홈페이지)

 

(6) Environmental Legacy (환경적 유산)

 

  

6.   양성평등(Gender Equality)

 


(출처: IOC홈페이지) 

 

 

(1)IOC집행위원회는 IOC 선수위원회(Athletes’ Commission)와 여성위원회(Women in Sport Commission)가 제안한양성평등 리뷰프로젝트(Gender Equality Review Project)’를 통과시키며, 양성평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행보를 취하였음

 

 

Spain's International Triathlon Union President Marisol Casado will oversee the Gender Equality Project Working Group set up by the IOC Executive Board ©Getty Images (Marisol Casado 국제 트라이애슬론 연맹회장 겸 스페인 IOC위원이 IOC집행위원회가 설치한 양성평등 프로젝트 실무위원회를 실무위원장 자격으로 관장함/출처: insidethegames)

 

 

        (2) 실무위원회가 다루게 될 5가지 필수 주제들은 스포츠(Sport), 초상(Portrayal), 기금(Funding), 지배구조(Governance) 및 인력자원(human Resources) 등임

        (3) 양성평등 프로젝트 실무위원회는 권고사항 및 지침사안 등을 개발하여IOC 스포츠에 있어서의 여성위원회(IOC Women in Sport Commission)와 선수위원회(IOC Athletes’ Commission)에 자체결론도출내용(its findings)을 보도할 것임

A.   최종 권고사항들은 2017년도 4/4분기 마지막 IOC집행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임

B.  현재 국제트라이애슬론 연맹(ITU) Marisol Casado회장과 세계컬링연맹(WCF)회장인 영국의 Kate Caithness 2명만이 전 세계 동 하계40개 국제스포츠 단체회장들을 통틀어 홍이점임

 

7.    BuenosAires2018 청소년올림픽(YOG)

 

 

 



                 1)       IOC집행위원회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개최 예정인 ‘2018년 청소년올림픽개최일자를 10 1~12일에서 10 6~18일로 변경하는 것을 허가함

                 2)       이는 휴일을 더 포함하여 더욱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조치인 것으로 알려짐

 

8.   평창2018 동계올림픽

 

 

 



 

 

 

   1)  올림픽 헌장 제40조는 올림픽대회 기간 중, 올림픽파트너가 아닌 타 기업은 출전선수나 특정 단어 등 올림픽과 관련된 것을 홍보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음.

   2) 지난 런던2012올림픽 당시 선수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한 바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IOC Rio2016올림픽부터는 더욱 관대한 규정을 도입한 바 있음

   3)  IOC집행위원회는 오는 평창2018동계올림픽에서도 같은 규정을 같은 맥락으로 시행하기로 결정함

 

A.  올림픽 헌장 제40조 부칙 조항(Bye-law to Rule 40 of the Olympic Charter)내용:

“Except as permitted by the IOC Executive Board, no competitors, team official or other team personnel who participates in the Olympic Games may allow his person, name, picture, or sports performance to be used for advertising purpose during the Olympic Games.”(IOC집행위원회가 허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올림픽대회에 참가하는 선수, 팀 임원 또는 기타 팀 구성원은 올림픽대회 기간 중 본인, 이름, 사진, 또는 경기장면을 광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

 

9.   Tokyo2020올림픽

(1) IOC집행위원회는 후쿠시마 아즈마 경기장을 Tokyo 2020올림픽 야구·/소프트볼 경기장(venue)으로 최종 선정함

(2) 지난 201612월 이미 요코하마 경기장이 선정된 이후 추가 경기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2011년 당시 쯔나미 지진 피해로 원전사고 발생지역인 후쿠시마가 제안된 바 있었음

(3) 이와 관련 지난 201611월에 Riccardo Fraccari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회장 일행이 직접 해당 지역을 방문하여 Tokyo2020 조직위원회와의 논의결과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린 바 있음

(4) IOC 집행위원회는 쯔나미 지진피해 지역과 사람들에게 희망을 불어 넣어주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하면서 후쿠시마 개최를 최종 승인하였음

(5) Riccardo Fraccari WBSC회장은 “WBSC congratulates Tokyo 2020”이라며 축하메시지를 보냈다고 함

 

 

(평창개최 IOC 집행위원회 회의에 참석하여 보도 중인 Tokyo2020 조직위원회 대표단<좌측에서 3번째가 Mori 조직위원장/출처: IOC 홈페이지)

 

 

10. 베이징2022동계올림픽


 (1) 베이징2022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로부터 준비진척 상황 보고받음

 

11. 국적 변경

(1) IOC집행위원회는 오는 평창2018동계올림픽에 참가할 예정인 스키 선수 Alexander Glavatsky-Yeadon의 국적을 홍콩에서 영국으로 변경함을 승인함.

 

(평창개최 IOC집행위원회를 주관하고 있는 Thomas Bach IOC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12. 2024~2028년 올림픽개최도시 동시선정 등 향후 올림픽유치과정 개혁

(7) 2024/2028년 올림픽개최도시 동시결정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4명의 IOC부위원장들을 위원장으로 하는 실무위원회를 구성하여 올림픽유치과정개혁을 논의하도록 IOC집행위원회는 317일 제2일차 회의에서 결정함

(8) 동 패널은 논의 내용을 오는 711~12일 로잔개최 IOC후보도시 브리핑 회의 시 보고할 예정임

(9) IOC위원들은 동 패널의 권고사항을 근거로 토론에 임할 것임

(10)  이 토론 결과를 토대로 오는 913일 페루 Lima개최 제130IOC총회 첫날 2개 올림픽개최도시 동시발표 가능여부가 결정될 것임

 

Paris and Los Angeles are the two cities vying for the 2024 - and maybe the 2028 - Olympics ©Getty Images (Paris2024LA2024달랑 두 도시만 경쟁구도에 남아 있지만 2028년 개최도시로도 선정될 가능성이 열려 있음/출처: insidethegames)

 

 

(11)  Bach IOC위원장은 변화는 유치후보도시 절차를 보다 주도적이고 보다 협력적으로 개선함 올림픽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Changes should be with a view to making the candidature procedure more proactive, more collaborative in such a way to make it less expensive.) “모든 선택 사양들은 논의 대상이고 이는 2024-2028올림픽 절차와 투표도 함께 포함된다”(All the options are on the table, and this includes also the '24-'28 procedure and vote.)라고 언급함

 

(12)  이러한 발언은 Bach IOC위원장의 개최도시 첫 공식 동시결정 가능성을 타진하는 행보로 여겨짐

(13)  Bach IOC위원장은 본인 생각으로는 개최도시 동시선정을 위해 올림픽헌장을 개정이 요구되지 않는다(no change to the Olympic Charter is required to award both Games at once)고 주장함

                      A.    "My feeling is, the Charter is flexible enough also in this respect." (내 느낌 상, 올림픽헌장은 이러한 점에서 상당히 탄력적임)

                B.     "We always have to have room for interpretation to adapt to changing times." (우리는 언제나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도록 문구를 해석할 여지를 부여해야 함)

                C.      "We have two excellent candidates there from two major Olympic countries." (두 개 주요 올림픽 국가들로부터 두 개의 훌륭한 후보도시들이 포진하고 있는 상황임)

                 D.       "This is a position you like to be in." (이것이 여러분이 그 안에서 숙고하고자 하는 입장임)

 

 

(14)  이와 관련된 올림픽헌장 332항을 보면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음:

A.  "Save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such election [for Olympic host cities] takes place seven years before the celebration of the Olympic Games."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 올림픽개최도시들 선출은 대회개최 7년 전에 이루어짐)

(15)  하지만 Bach IOC위원장은 현재 상황을 예외적”(exceptional)인 것으로 간주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하여서는 직접적으로 응답하지 않았다고 함

(16)  Bach IOC위원장이 2014/2028올림픽개최도시 동시선정이 4명의 IOC부위원장들 손에 달려있다고 직답을 피하였지만 3명의 IOC부위원장들(Coates, Erdener, Yu)은 이와 관련 공개적인 반대(publicly opposed) 또는 의구심을 표명해온(cast doubt about the idea) 바 있음

(17)  Heiberg 노르웨이 IOC위원 및 Wu 타이완 IOC집행위원 겸 AIBA회장 역시 반대 또는 우려를 표명한 반면, 317IOC집행위원들은 동건 관련 의견개진을 회피하였으며(evaded commenting on the issue) 발표주도권을 Bach에게 넘기려는 기색이 역력하였던 (keen to leave the stage to Bach to make the announcement)것으로 보도됨

(18)  우려를 제기한 면모를 보면 유치과정 중간에 변화를 도모하는 것에 대한 비 민주적인 속성(the undemocratic nature of changing the process midway through)2028년 올림픽유치를 숙고하고 있는 다른 잠재 후보도시들(Brisbane/호주 및 Istanbul/터키)에 대한 영향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됨

 

Los Angeles is bidding to host the Summer Olympics for the third time  ©Getty Images (LA2024/출처: insidethegames)

 

 

(19)  대체적으로 동시선정 찬성 IOC위원들로는 Olivier Beckers 벨기에 IOC위원, Richard Pound 캐나다 IOC위원, Adam Pengilly 영국 IOC위원 및 Richard Peterkin St. Lucia IOC위원 등을 들 수 있음

(20)  LAParis두 도시를 동시에 선정할 경우 2028년 선정도시는 4년 동안 추가로 대기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점도 우려로 제기되고 있음

 

13. 케냐 NOC 관련문제

(1)   케냐올림픽위원회(NOCK, National Olympic Committee Kenya) IOC로부터 자격정지 처분은 면했지만 자금지원 중단조치는 케냐NOC의 상황이 호전될 때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임

(2)   지난 Rio2016 올림픽 직후 케냐NOC는 내부 비리 문제로 케냐 정부당국(체육부)으로부터 해체를 당하게 되는 지경에 이르러 결국 IOC로부터 경고를 받은 바 있었음

(3)   하지만 케냐 NOC의 자구책 마련 등 개선노력을 보이지 않자 자금지원 중단 등 자격정지 위기에 처한 바 있었음

(4)   이와 관련 케냐NOC는 규정 개정안을 통과시키기 위한 특별 NOC총회를 다시 개최할 것이라고 보고한 바 있음

(5)   IOC는 아직 자격정지 처분을 내리지는 않았지만 당분 간 지속될 자금지원 중단을 통해 케냐 NOC의 자구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14. BuenosAires2018 청소년올림픽(YOG)

(1) IOC집행위원회는 BuenosAires2018 청소년올림픽에 롤러스포츠(Roller Sports) 종목추가를 결정하여 총 32개 종목으로 확정됨.

(2) 청년 층의 참여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2018YOG에 처음 추가된 롤러스포츠 종목으로는 500m, 1,000m, 5,000m 세부종목경기가 진행될 예정으로 총 24명의 선수들이 참가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

 

(Nanjing2014 청소년올림픽<YOG> 당시 이벤트 종목경기로 진행된 롤러스포츠/출처: IOC홈페이지)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2. 25. 20:53

[IOC핵심집행위원 다수 IOC위원장의중 반대기류팽배 우려표명연속 2024년 및 2028년 올림픽개최도시 동시선정시도 어찌되려나?]

 

220일 자 외신 내용을 보면 IOC핵심 집행위원들이 2024년 및 2028년 올림픽 개최도시 동시선정 움직임에 대하여 우려내지 반대의사표명 기류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국제스포츠 계의 동 건 관련 최근 동향에 대하여 요약 정리하여 소개해 드립니다.

 

(IOC총회 직후 기념촬영 중인 IOC위원들/출처: IOC홈페이지)

 

 

1)   여러 명의 영향력 있는 IOC위원들 2014년 및 2018년 올림픽 개최권 동시부여 잠재 계획에 우려 표명

 

2)   이들 중에는 3명의 IOC부위원장 및 다른 IOC집행위원들이 가세하고 있다고 함

 

3)   최근 들어 Thomas Bach IOC위원장이 선두주자 후보도시들인 LA2024Paris2024 두 후보도시 모두를 실망시키지 않으려는 의도로 동시선출 계획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고 함

 

4)   Budapest2024의 도중하차조짐이 수면위로 뜨고 있다가 다시 222일 부로 Budapest2024가 최종 도중하차를 결정한 현 시점에서 Bach IOC위원장은 Paris2014 LA2024 두 후보도시들에게 913일 페루 리마(Lima) 개최 제130IOC총회 첫날, 올림픽 개최권 두 도시 동시부여 가능성이 열리고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있음

 

5)   Bach IOC위원장은 Olympic Agenda2020개혁 권고내용 중 유치과정에서 너무 많은 낙오자들”(too many losers)이 발생하는 상황을 피하고자 유치과정 자체를 개혁하는 것을 심사숙고 중이라고 거듭 주장하고 있는 형국임

 

6)   두 대회 개최권을 금년에 부여하는 방안을 배제하려는 기회를 호시탐탐 보고 있는 Bach IOC위원장이지만 자신의 측근 인사들을 포함하여 동료 IOC위원들로부터 동건 추진에 대한 열의는 부족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음

 

 

IOC President Thomas Bach has appeared privately supportive and publicly ambiguous about the 2024 and 2028 Olympics being awarded together at this year's Session in Lima in September ©Getty Images (Bach IOC위원장/출처: insidethegames)

 

 

 

7)   동시결정(a joint decision)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향후 2번의 개최도시선정 사이클에 걸쳐 행사할 수 있는 IOC위원들의 결정권이 효과적으로 상실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됨

 

8)   호주의 John Coates IOC부위원장은 동시결정 시행방법이 해결되지 않았다(he hasn’t worked out how it would be done)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음

 

9)   터키의 Ugur Erdener IOC부위원장은 본인 의견으로는 이번에 그러한 결정이 실현 가능하지 않다” (it is not feasible at this time)이라고 반응하였다 함

 

10) 국제양궁연맹(FITA)회장이기도 한 Erdener첫째, 그러한 방안이 현재 규칙과 규정에 의거하여 유효한 것 같지 않으며, 둘째로, 2028년올림픽을 겨냥하고 있는 몇 몇 잠재 올림픽 신청도시들이 그들의 권리를 상실하게 될 것이므로 또 다른 문제가 될 것”(first, it does not seem avail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rules and regulations, secondly, some potential applicant cities for 2028 lose their rights and it will be another problem)이라고 덧붙였다고 함.

 

11)  중국의 YU Ziaqing IOC부위원장은 약간 더 유보적으로 보이긴 하였지만(appeared slightly more reserved) “그러한 동시결정 방안은 IOC총회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올림픽헌장이 개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하였다고 함

 

12) 다수의 사람들은 2028년 올림픽 개최권을 11년 전에 부여하는 행위는 위험요소가 뒤 따를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올림픽유치를 시행하려고 하는 다른 신청도시들에게 부당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함

 

13)  John Coates IOC부위원장의 호주 역시 가능한 경쟁국들 중 하나로 간주되는데 아제르바이잔, 카타르 및 러시아도 잠재 경쟁국들로 여겨지고 있음

 

14) 다음은 John Coates IOC부위원장의 한 외신과의 인터뷰 발언내용임:

 

(1) "To do something I think you would have to let the first vote take its course." (뭔가 하려면 <IOC결정> 첫 번째 투표의 행방을 살펴봐야 할 것임)

(2) "You couldn’t say ‘whoever comes second is going to get something else’ until after the event. (투표결과 2위가 누가되든 대회 이후까지는 어떤 것을 갖게 될 거라고 말할 수는 없는 것임)

(3) "You know, three cities are bidding on the basis that there is one prize only. (단 한 개의 상밖에는 수여 받을 수 없다라는 근거에 입각하여3개 후보도시들이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라는 것을 알아야 함)

(4) "It could put a different spin and impact on the way they [members] vote. (그러한 상황으로 말미암아 IOC위원들의 투표 향방에 다른 각도의 회전이 걸리고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포석으로 작용될 수 있음)

(5) "I am thinking aloud here, I haven’t thought it through legally(이점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고 있으며 법적으로 심사숙해보지는않았음)

 

(6) "I think it would have to get accepted at an Olympic Session." (그러한 발상은 올림픽 총회에서 용납되어야 할 사안이라고 생각됨)

 

 

 

IOC vice-preisdents John Coates, left, and Uğur Erdener, second left, have each opted against supporting any proposal to award the 2024 and 2028 Olympics together at the same Session ©Getty Images (좌로부터: John Coates, Ugur Erdener, Juan Antonio Samaranch, Jr./출처: insidethegames)

 

 

 

15) 대만 출신 IOC집행위원 겸 국제복싱연맹(AIBA)회장의 견해는 다음과 같았다고 함:

 

(1) “It would not be possible to have the 2028 Games vote more than 10 years before the event could take place. (대회가 개최되기 10년 이상 전에 2028년 올림픽개최도시를 선점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 것임)

(2) "Also, who are [the] candidate cities for 2028?" "Where is [the] evaluation visit and report? (또한, 2028년 올림픽 후보도시들의 면모에 대하여 어찌 알겠는가? IOC평가단 방문과 보고서는 어디 있나?)

(3) "So my answer to your question is [that it is] impossible to prepare 2028 bidding in such [a] short time, therefore to decide two Games this year is not feasible." (그래서 질문에 대한 나의 대답은 단 기간에 2028년 올림픽 유치준비 발상은 언어도단이며 따라서 금년에 2개 올림픽 개최도시들 결정은 실행 가능하지 못하다라는 것임)

 

16) 노르웨이의 Gerhard Heiberg IOC위원 역시 비슷한 견해를 피력하였다고 함:

 

 

(1) "I am skeptical to award the Games of 2024 and 2028 at the same time in September this year." (2024년 및 2028년 올림픽 개최권을 금년 9월에 부여한다라는 발상에 대해 회의적임)

 

(2) "There may be cities preparing for applying for the Games in 2028, and, suddenly, they could find that it is not possible, without any pre-warning.  (2028년 올림픽유치를 준비하고 있는 도시들이 있을 개연성을 생각해야 하며, 갑자기, 사전 인지통보도 없는 상태에서 잠재후보도시들은 이런 발상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임)

 

(3) "If we should award the Games for two different years, we should have told that from the beginning, not towards the end of the race. (2개의 다른 올림픽 개최권부여에 대해 맘을 먹었다면 유치경쟁 말미가 아니라 유치단계초기부터 이러한 생각을 진작 발표했었어야 함)

 

(4) "There will always be losers unhappy about that, but losing is part of the competition, and it has always been like that! (투표결과에 불행해하는 패배자들은 항상 있는 법이며 패배 역시 경쟁의 일부분이고 지금까지 그러한 패턴이 지속되어 왔음)

 

(5) "Every city applying for the Games knows the risk." (올림픽유치신청을 하는 모든 후보도시들은 이러한 위험이 있다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 주지의 사실임)

 

 

17) 올림픽헌장 제332항 규정내용은 "Save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such election takes place seven years before the celebration of the Olympic Games."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 올림픽개최도시 선출은 올림픽개최 7년 전에 실시함)이라고 되어 있음

 

18)  과거에도 2개의 유치후보도시들이 경쟁하는 상황이 있어 왔는데 1980년 올림픽 유치경쟁에 MoscowLA가 대결을 벌였는데 당시 소련의 수도인 모스크바에게 개최권이 넘어갔음

 

19) 1988년 올림픽 유치경쟁도 한국의 서울과 일본의 Nagoya가 경합을 벌였는데 서울이 라이벌 일본의 나고야를 52:27표차로 손쉽게 따돌리고 개최권을 획득한 바 있음

 

 

20)  2022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유치경쟁에서도 중국의 Beijing과 카자흐스탄의 Almaty 2개 후보도시간의 경쟁이었으며 4표라는 간발의 차이로 Beijing이 개최권을 획득한 바 있음

 

 

Moscow were awarded the 1980 Olympics when they were one of only two bidders, along with Los Angeles ©Getty Images (Moscow1980올림픽/출처:insidethegames)

 

 

 

21)  Paris2024LA2024 두 후보도시들은 이구동성으로 그들은 단지 2024년 올림픽에만 올인 하고 있다고 거듭 주장하여 오고 있는 상황이지만 두 개의 올림픽 개최권을 동시에 부여했던 역사적인 전례가 있는 상황임

 

22)  거의 1세기 전에도 1924년 및 1928년 두 개의 올림픽 유치경쟁에ParisLA가 관여되어 있었는데, 1921Amsterdam1928년 올림픽 개최권을 받는 조건으로1924년 올림픽유치를 철회하므로 Paris2024년 올림픽개최도시로 선정된 바 있었음

 

23) LA측은 자신들이 먼저 올림픽개최권을 원하였는데 무산되는 바람에 그러한 결정에 대하여 항의 소동을 벌인 바 있었으며 LA는 결국 1932년 올림픽 개최도시로 낙찰된 바 있었음

 

24)  과거 Bach IOC위원장과 거듭하여 마찰을 빚곤 했던 캐나다의 Richard Pound 최 고참 IOC위원은 다음과 같이 발언하며 오히려 가장 열의를 보이고 있다고 함:

 

(1) "Given the need to reassess our process for attracting and retaining candidate cities, I would have no objection to a one-off decision regarding 2024 and 2028, especially if we get agreement between the two cities as to who goes first, etc."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을 끌어들이고 유지시키기 위한 과정을 재평가하는 필요성을 전제하면서, 특히 어느 도시가 먼저 하느냐에 대한 두 도시간의 합의를 도출한다면, 2024-2028관련 일회성 동시결정에 반대하지 않을 것임)

 

(2) "There is some risk, of course, when you have a deal that extends for 11 years, so there would have to be some contractual language to be worked out to make sure that the 2028 city remains committed. (물론 11년 간 동안 확대되데 되는 거래를 추진할 때 위험요소가 뒤따르긴 하지만 그래서 2028년 올림픽개최도시가 개최약속이행을 담보할 계약문구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함은 불문가지임)

 

(3) "The two countries likely to be involved are relatively stable, which will help." (동시결정에 관여될 두 나라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국가들이며 그래서 도움이 될 것임)

 

 

 

 

 

Canada's Richard Pound is the only IOC member to have publicly supported the controversial idea of awarding the 2024 and 2028 Olympic Games together to Paris and Los Angeles ©Getty Images (Richard Pound/출처: insidethegames)

 

 

 

25) St. Lucia IOC위원인 Richard Peterkin은 좀더 미묘한 차이가 있는 분석(a more nuanced analysis)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1) "There are pros and cons." (그러한 발상에 대하여 찬반이 있음)

 

26) 여러 다른 사람들의 상반된 견해에 덧붙여 Budapest가 유치경쟁에 아직 남아 있는 상태이며 정식종목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2028년까지 잠겨있을 것이라는 두려움은 강력한 위험요소들로 포함되고 있음

 

27) 찬성 편에 서 있는 Peterkin IOC위원은 올림픽규모의 비대화(gigantism), 비용상승(increasing costs), 도핑(doping), 부패(corruption), 비용과다지출에 대한 두려움(fears of cost overruns), 테러공포(terrorism), 향후 시민투표에 반영될 수 있는 대중의 시들어가는 열기와 식상함(a waning appetite by the public that could be reflected in future referendum)과 같은 종류의 유치에 영향을 주는 모든 상관되는 이슈들을 놓고 볼 때, 동시선정방안이 2021년에 2028년 올림픽개최도시 선정과정에서 좋은 후보도시들을 확보할 수 있겠냐는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줄 것(it reduces the uncertainty of getting good bids in 2021)으로 믿고 있다라는 입장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그의 이어지는 발언 내용입니다:

 

(1) "If the two cities are Paris and LA, both strong bids, it could do wonders for the reputation and popularity of the IOC and the Games, and generate greater confidence for the bidding and staging for future Games." (해당되는 두 도시가 ParisLA라면 두 도시 모두 강력한 유치상대이므로 IOC나 올림픽의 평판과 인기도 면에서 그리고 향후 올림픽유치 및 개최에 대하여 한층 상승된 신뢰도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라는 측면에서 훌륭한 케이스가 될 것임)

 

(2) "It will allow the IOC to have less losing bids, giving them more time to deal with the issues that are affecting the [Olympic] Movement now - doping, corruption, elitism, popularity of the sports on the programme, illegal betting, security and other risks." (그리 되면 IOC로써는 실패하는 유치도시 수효를 줄일 수 있으며, 도핑, 부패, 일등지상주의, 정식종목의 인기도, 불법도박, 안전 및 다른 위험요소들로 인해 올림픽운동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이슈들을 처리한 더 많은 시간을 부여 받게 되는 장점이 생길 수 있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2. 24. 14:27

[초상 치른 Budapest2024올림픽유치 물거품과 유럽도시들의 줄줄이 올림픽유치도중하차신드롬(EuroExit Syndrome)]

 

 

*순서:

 

. Budapest2024올림픽유치중도포기 대열합류로 심화된 도중하차신드롬(OlympExit Syndrome) 절정

.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과정에서 유럽유치신청도시들 집단중도포기 사태

. 암울해지는 향후 올림픽유치흥행판도의 궤도수정 필요

. Olympic Agenda202040가지 개혁내용 중 올림픽유치관련 개혁취지 실행관련 구절 상세발췌 및 요약

라. IOC 대변인 공식성명서 보도자료 원문

 

 

*내용:

 

1. Budapest2024올림픽유치중도포기 대열합류로

심화된 도중하차신드롬(OlympExit Syndrome) 절정

 

 

Hamburg2024Roma2024에 이어 2024년 올림픽개최도시 선정일(913)을 불과 6개월 며칠을 앞두고 또 다시 Budapest2024유치도시 마저 올림픽유치를 중도 포기하는 상서롭지 못한 사태가 발생하였습니다.

 

최근 들어 이미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긴 하였지만 올림픽유치철회여부를 결정할 부다페스트 시민투표(Referendum)실시여부를 판가름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 제출된 올림픽유치반대서명서 유효판결일(310)17일 앞둔 222일이 Budapest2024 올림픽유치 초상을 치른 날이 되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초상분위기를 자아내는 흑백색상으로 변모된 Budapest2024 로고 대비/출처: insidethegames)

 

 

헝가리 내 올림픽유치반대 그룹인 “NOlimpia”는 끈질긴 국민투표 회부운동(referendum drive) 중간결과를 지난 217() 발표한 바 있습니다.

 

부다페스트 시민투표는 올림픽유치 강행여부 결정 시금석으로 간주되어 왔으며Momentum Mozgalom 그룹은 4주 안에 결집하여야 할 서명정족수 138,527명을 훨씬 더 초과하는 266,131명에 달하는 투표청원 서명서 집계 성공하여 제출한 바 있었습니다.

 

Istvan Tarlos 부다페스트 시장과 Viktor Orban 헝가리 총리 그리고 헝가리올림픽위원회(MOB)간의 3자 회동에서 Budapest2024올림픽유치포기 결정을 내렸으며 이를 헝가리 정부 관료가 222() 발표하였다고 합니다.

 

같은 날인 222일 발표된 Budapest2024올림픽유치찬반 여론조사결과 50%에 달하는 헝가리 국민들은 올림픽유치중단에 찬성여론을 보여 주었으며 단지 33%에 해당하는 국민들만이 우호적이었다고 합니다.

 

Budapest2024(petitions requiring a referendum/주민투표요구 청원서명)올림픽유치포기사태는 2024년 올림픽유치과정에서 Hamburg2024(via referendum/주민투표)Roma2024(political opposition/정치적 반대)의 도중하차에 이어 연달아 발생한 유럽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의 줄 도산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향후 올림픽유치과정에 깊은 우려를 자아내게 하는 검은 그림자의 연장입니다.

 

 

                 (2024년 올림픽유치 도중하차 후보도시 Trio)

 

 

이제 2024년 올림픽유치후보도시로는 ParisLA 두 도시만 달랑 남게 되었습니다.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과정에서의 Dejavu 도미노를 보는듯한 현상으로 올림픽운동 전체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2.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과정에서 유럽유치신청도시들 집단중도포기 사태

 

지난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유치과정에서 총 8개 도시들 중 5개가 1차 도중하자하고 마지막으로 Oslo2022마저도 시민투표(Referendum)로 인한 도중하차 대열합류로 인한 유치철회로 인해 단 두 개 유치후보도시(Beijing2022 Almaty2022)만 남게 되었던 전례가 있었습니다.

 

 

 

 

*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도중에 중도 포기한 유럽유치신청도시 5개 및 후보도시 1개 등 총 6개 유럽도시들 리스트:

 

(1)크라카우(Krakow/Poland)

(2)스톡홀름(Stockholm/Sweden)

(3)뮌헨(Munich/Germany)

(4)다보스/상 모리츠(Davos/St. Moritz-Switzerland)

(5)르비브(Lviv/Ukraine)

(6)오슬로(Oslo/Norway/2014101일부)

 

 

3. 암울해지는 향후 올림픽유치흥행판도의 궤도수정 필요

 

 

황금알 낳는 거위로까지 비유되었던 올림픽을 향해 돌진하며 유치경쟁대열에 뛰어 들었던 과거 풍조가 이제 2022년 동계올림픽유치 및 2024년 올림픽유치과정에서 줄 도산내지 대거 도중하차 사태가 연이어 속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 하계올림픽유치 신청/후보도시 수 격감 추세: 2016년 올림픽유치 신청도시 7개-2020년 올림픽유치신청도시5개-2024년 올림픽 유치후보도시 2개

2) 동계올림픽 유치신청/후보도시 수 격감: 2018년 동게올림픽 후보도시3개-2022년 동계올림픽후보도시 단 2개

 

IOC는 지난 201412월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바 있는 올림픽운동 미래의 전략적 로드맵”(A Strategic Roadmap of Future Olympic Movement)이란 기치를 내 세운Olympic Agenda2020라는 비장의 카드를 통해 올림픽유치과정 개혁을 꾀하였지만 약효가 신통치 않은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드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Olympic Agenda2020개혁내용중 향후 올림픽유치과정과 관련하여 아래4가지 핵심 전개 목표를 세우고 홍보하고 적용하여 추진한 일련의 올림픽유치과정에 대한 결산표를 살펴보면 근본취지와는 달리 현실과 동 떨어진 방향설정은 아니었나 생각하게 됩니다.

 

1)   유치절차를 '초대'형식으로 다듬음 (Shape the bidding process as an invitation)

 

2)   주요 기회 및 위험요소를 통한 유치도시 평가 (Evaluate bid cities by assessing key opportunities and risks)

3)   유치 비용절감 (Reduce the cost of bidding)

4)   올림픽대회의 모든 측면에 걸쳐 지속가능성 적(Include sustainability in all aspects of the Olympic Games)

 

35년 간 올림픽 및 국제스포츠외교현장에서 치열하게 활동해 보고 또한 평창2018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 실제로 근무하면서 IOC IFs관계자들과의 여러 차례 회의 및 협상과정 등을 통해 개인적으로 느낀 점은 IOC가 좀더 조직위원회와 동일한 선상에서 그 입장과 관점을 헤아려 애로사항 등을 체휼 해주고 관리 및 감독 중심적 기존의 갑-을의 관계에서 탈피하여 한 식구처럼 함께 만들어 간다라는 상생(win-win)의 따뜻한 마음으로 임해야만이 올림픽도 성공하고 그 성공이 향후 유치흥행도 불러올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시점입니다.

 

 

 

 

4. Olympic Agenda202040가지 개혁내용 중 올림픽유치관련 개혁취지 실행관련 구절 상세발췌 및 요약

 

 

(출처: IOC홈페이지)

 

1

유치절차를 '초대'형식으로 다듬음

(Shape the bidding process as an invitation)

*新 철학 도입: IOC는 잠정적인 유치 후보도시들로 하여금 그들만의 스포츠, 경제, 사회 및 환경적으로 장기적인 계획의 필요성을 가장 적합하게 매칭하는 올림픽 프로젝트를 제출할 수 있도록 초대

(Introduce a new philosophy: the IOC to invite potential candidate cities to present an Olympic project that best matches their sport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long-term planning needs.)

1) IOC, 유치를 고려하는 도시들이 유치 절차, 핵심적인 대회 요구사항 및 이전 도시들이 어떻게 유치를 긍정적으로 진행하고 대회 유산을 가졌는지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단계’ 소개

(The IOC to introduce an assistance phase during which cities considering a bid will be advised
by the IOC about bid procedures, core Games requirements and how previous cities have
ensured positive bid and Games legacies.)

2) IOC, 기존 시설, 임시 및 분리 가능한 베뉴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조장/촉진

(The IOC to actively promote the maximum use of existing facilities and the use of temporary and demountable venues.)

3) IOC, 올림픽 대회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사유로 개최도시 외곽 지역 또는, 예외적인 경우, 개최국을 벗어난 지역에서도 예선 경기들의 개최를 허용

(The IOC to allow, for the Olympic Games, the organisation of preliminary competitions outside the host city or, in exceptional cases, outside the host country, notably for reasons of sustainability.)

4) IOC, 올림픽 대회가 지리적 및 지속가능성의 사유로 개최도시 외곽지역, 또는, 예외적인 경, 개최국을 벗어난 지역에서 경기종목 전체 또는 세부종목의 개최를 허용


(The IOC to allow, for the Olympic Games, the organisation of entire sports or disciplines outside the host city or, in exceptional cases, outside the host country notably for reasons of geography and sustainability.)

5) IOC, 환경, 노동과 연계된 사안들뿐만 아니라 올림픽 헌장의 기본원칙 6항과 관련된 조항/문구들을 개최도시 협약 서에 포함

(The IOC to include in the host city contract clauses with regard to Fundamental Principle 6 of the Olympic Charter as well as to environmental and labour-related matters.)

6) IOC, 개최도시협약서(HCC)를 공개


(The IOC to make the Host City Contract (HCC) public.)

7) IOC의 조직위원회에 대한 재정적 기부금 상세내역을 개최도시 협약 서에 포함

(The HCC to include details of the IOCs financial contribution to the OCOG.)

8) ‘대외비’ 계약조건을 통해 제3자의 법적 이해관계를 존중

(Respect third-party legal interests by making contractual elements available on an in confidencebasis.)

9) 지역특성에 맞춰 개최도시협약서 서명인이 개최도시 및 NOC 아닌 여타 기관이 되는 것을 수용

(The IOC to accept other signatories to the HCC than the host city and the NOC, in line with the local context.)

10) IOC, 유치 절차 초반에 개최도시 협약 서를 제공

(The IOC to provide the HCC at the outset of a given bid process.)

 

2

주요 기회 및 위험요소를 통한 유치도시 평가

(Evaluate bid cities by assessing key opportunities and risks)

*평가위원회의 보고서는 지속가능성 및 유산에 집중하여 좀 더 명백한 위험(risk) 및 기회(opportunity)에 대한 평가를 제공

1) 현재 14가지로 구성되어 있는 후보도시 평가기준에 ‘선수 경험’(Athletes' Experience)이라고 명명된 새로운 판단기준(a new criterion)을 소개

2) IOC, 유치에 있어 긍정적인 측면 고려:

-기존 시설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장기적으로 베뉴 유산의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거나 합당하지 않은 곳들은 임시시설 및 분리 가능한 경기장(temporary and demountable venues)들로써 최대한 활용

3)IOC, 올림픽 운동 이해당사자들(stakeholders)의 협조를 얻어 올림픽 대회 개최의 핵심 요구사항들을 정의함(define):

-선수들을 위한 경기구역(the field of play for the athletes)은 항상 모든 경기를 위해 최신/최첨단(state-of-the-art)을 지향하고 이 사안은 핵심 요구사항들 리스트에 반드시 포함

4) IOC, 올림픽 대회 개최 관련 2종류의 예산을 위한 요소들에 대해 명백히 밝힘(clarify) :

(1) 인프라에 대한 장기 투자와 관련하여 한편으로는 그러한 투자에 따른 대가(return)

(2) 또 다른 한편으로는 운영 예산(operational budget) 집행에 따른 대가(return)

-더 나아가 올림픽개최에 따른 IOC 기부금 관련 사안은 좀 더 자세하게 소통을 통하여 활성화 될 것임(further communicated and promoted)

5) 후보도시 브리핑 때 IOC위원들과 IOC 평가위원회 간 비공개 논의(in-camera discussions)로 진행하는 것을 포함

6) 평가위원회는 지속가능성 및 유산(sustainability and legacy)에 특별히 초점을 맞추면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인 정황들(conditions)과 같은 영역에서는 제3(the third party)로부터 독자적인 조언(independent advice)을 받을 수 있음.

3

유치 비용절감

(Reduce the cost of bidding)

*IOC는 후보도시들을 더 지원하고 유치 비용을 절감:

1) 후보도시들은 다음 이벤트들에만 참석하고 프레젠테이션 실시 허용:

(1) 후보도시 브리핑 때 IOC위원들에게 국한

(2) 각각 ASOIF/AIOWF 행사에 맞춰 실시

-이 프레젠테이션은 후보도시 브리핑 행사와 연계될 수도 있음

(3) 투표 이전에 열리는 ANOC 총회

(4) 개최도시 선정 투표가 열리는 IOC총회

2) IOC는 다음 비용을 부담:

(1) IOC 평가위원회 방문과 연계한 비용

(2) 로잔에서 개최되는 IOC위원들 대상 후보도시 브리핑에 참가하는 후보도시 당 각 6명의 등록 대표단의 출장 및 숙박(travel and accommodation) 비용

(3) ASOIF/AIOWF에 참가하는 후보도시 6명 등록 대표단 출장 및 숙박 비용

(4) ANOC 총회에 참가하는 6명 등록 대표단 출장 및 숙박 비용

(5) 개최도시 선정 투표가 열리는 IOC총회에 참가하는 12명 등록 대표단 출장 및 숙박비용

3) 후보도시 파일은 오로지 전자파일버전(electronic format only)으로만 공개

4) IOC, 유치도시를 위해 활동 자격이 있는 컨설턴트/로비스트들의 명부 목록을 생산하고 감독(create and monitor a register)

-이 명부 목록에 등록되기 위한(for listing in the register) 선제조건(a prerequisite)으로 해당 컨설턴트 및 로비스트들이 IOC 윤리규정(the Code of Ethics) 및 행동 강령(the Code of Conduct) 준수를 정식으로 수용할 의무 부여

5) 올림픽 채널(Olympic Channel) 제작이 승인되면 유치도시들의 요청에 따라 채널 접근 권을 허용

4

올림픽대회의 모든 측면에 걸쳐 지속가능성 적

(Include sustainability in all aspects of the Olympic Games)

*IOC는 지속가능성과 연계해 좀 더 선 순환적인(proactive) 입장과 리더십을 발휘하고, 올림픽대회의 계획 및 개최와 연계하여 모든 측면에 지속가능성 개념이 포함되도록 확고히 함:

1) 잠정 개최도시들, 그리고 실제 올림픽 대회 개최도시들이 올림픽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 걸쳐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환경적인 영역들을 아우르는 지속 가능한 정책들을 통합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전략을 개발

2) 신생 조직위원회들이 대회 개최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통합시키기 위한 최적의 지배관리체계(the best possible governance)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

3) IOC, NOC UMVO(World Union of Olympic Cities, 올림픽개최도시 세계연합)과 같은 외부 기관들의 지원을 받아 대회 유산의 사후관리감독에 철저를 기함(ensure post-Games monitoring)

 

5. IOC 대변인 공식성명서 보도자료 영어 원문


“The IOC has been informed by the Hungarian Olympic Committee that the candidature of Budapest for the Olympic Games 2024 will be withdrawn within the
next couple of days after having settled some formalities with the City of Budapest.

The IOC has taken note of the statements by Prime Minister Orban and the
Hungarian Olympic Committee that the candidature has been used to promote a
broader domestic political agenda beyond the Olympic Games and was overtaken by
local politics.

It is disappointing that this decision had to be taken – the candidature
committee had presented an excellent project, which has built on the reforms
contained in Olympic Agenda 2020.

It also demonstrated that smaller cities and smaller countries can stage the Olympic Games in a feasible and sustainable way.

For all these reasons, the IOC can appreciate the success of Olympic Agenda
2020 as far as the organisation of sustainable Olympic Games that fit into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 of a city, region and country is concerned. This success is further demonstrated by the statements of Budapest, Los Angeles and Paris, that,
without the reforms of Olympic Agenda 2020, there would not have been any
candidates.

We sympathise with those who put so much work into the candidature and
their many supporters.

With regard to the candidature procedure as such, the political situation in
our fragile world requires us to make adjustments in this respect as the current
procedure produces too many losers – as the IOC President already said in
December 2016.

These adjustments will be discussed with all the stakeholders of the Olympic
Movement. In the meantime, the candidature procedure for the Olympic Games 2024
will continue with the two excellent candidatures of Los Angeles and Paris.”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2. 22. 09:42

[Budapest2024도중하차임박 2024년 및 2028년올림픽개최도시 동시선정(Joint Decision)해결방안 가속화될까?]

 

*순서:

. 현황

. 향후 올림픽유치 정국방향

. Thomas Bach IOC위원장의 양자동시흡수방안에 대한 견해

. 향후 예측 가능 전개 방향 로드 맵

. 올림픽유치 후보도시 도중하차 사례 분석과 향후 전망종합

.  IOC의 향후 예상행보와 전망

 

*내용:

Budapest2024유치상황이 심상치 않은 정황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외신보도에 근거하여 분석해 보겠습니다.

 

(Budapest 시 전경/출처: insidethegames)

 

1.   현황:

1)   헝가리 내 올림픽유치반대 그룹인 “NOlimpia”가 끈질긴 국민투표 회부운동(referendum drive) 중간결과를 지난 217() 발표

 

2)   부다페스트 시민투표는 올림픽유치 강행여부 결정 시금석

3)   Momentum Mozgalom 그룹, 4주 안에 결집하여야 할 서명정족수 138,527명을 훨씬 더 초과하는 266,131명에 달하는 투표청원 서명서 집계 성공

4)   Istvan Tarlos부다페스트 시장, 222() 부다페스트 시의회와 동 건 관련 협의회의 돌입예정

5)   수집된 국민투표강행 청원 서명서 유효 여부 310일까지 검증절차 실시

6)   “NOlimpia”그룹은 Budapest2024올림픽유치 시도 목적이 정치적이므로 유치철회여부와 관계 없이 국민투표 강행 주장입장

7)   Tarlos시장, Viktor Orban 헝가리 총리와 동건 관련 이미 면담

8)   Budapest올림픽 유치 관련 내부폭발이 이미 진행 중임(The implosion of Budapest bid is underway)

9)   헝가리, 지금까지 Budapest2024유치 비용으로 US$12,200만불(1,830억원) 소비하였지만 가망이 별로 없어 보이는 유치로 간주되고 있는 상황임

 

 

(출처: insidethegames)

 

 

2.   향후 올림픽유치 정국방향

1)   2017310일 국민투표 강행 투표 유효여부 검증 결과 발표

2)   Budapest2024올림픽유치 철회여부 결정 국민투표 공인되거나 유치를 실제로 철회할 경우 2024년 올림픽유치는 LAParis양자 대결구도(one-on-one showdown)로 급선회

3)   국민투표 결과 유치철회 안이 채택되지 않아도 Budaepst2024는 이미 깊은 상처를 안고 유치 전에 잔류하게 된다손 치더라고 승산가망이 아주 희미하여 사실 상 양자 구도로 굳어질 전망

 

3.   Thomas Bach IOC위원장의 양자동시흡수방안에 대한 견해

1)   Bach IOC위원장은 항간에 회자되고 있는 Paris-LA 양자권한동시부여(dual attribution)와 관련하여 AP와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이 견해 피력함:

(1) “I like it that people are talking in this about the Olympic candidature procedure.” (사람들이 올림픽유치 후보도시 절차에 대한 의견피력 하는 것을 선호함)

 

(2) “It shows that people are caring. This we appreciate very much.”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이 올림픽유치에 대한 관심을 대변해 주는 것이며 이러한 관심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명하는 바임)

 

4.   향후 예측 가능 전개 방향 로드 맵

1)   2017310:

(1) Budapest 시 선거위원회, 국민투표강행 합법적 충족 서명 수 검증

(2) 이 날짜로 Budapest2024올림픽유치는 이미 종료될 가능성이 농후함(It is entirely possible that Budapest bid will already been ended by this date.)

2)   2017 423~25:

(1) IOC평가위원회 LA2024 현지실사방문

3)   2017514~16:

(1) IOC평가위원회 Paris2024현지실사방문

4)   2017510~12:

(1) IOC평가위원회가 당초 예정된 Budapest2024현지실사방문일정은 Budapest가 실시하여 유치철회를 확정할 경우 전격취소 될 것임

5)   20177월 중:

(1) IOC평가위원회 보고서 발행(Publication of the IOC Evaluation Commission Report)

(2) 유치후보도시들 질의 응답(Replies by the Cities)

(3) 유치후보도시들, IOC위원들 및 관련 IFs 상대로 브리핑(Candidate Cities Briefing for the IOC members and the relevant international Federations): 711~12

6)   2017913:

(1) 130IOC총회(Lima개최) 첫날 최종 프레젠테이션과 표결 및 올림픽 개최도시 발표

 

5.   올림픽유치 후보도시 도중하차 사례 분석과 향후 전망종합

1)   유치후보도시 브리핑종료 시까지 결정적인 상황발생 예측불허

2)   Winston Churchill의 어록에 수록된 것처럼 총회회의는 “end of the beginning”(단지 시작의 종료일뿐)가 될 공산이 클 전망임

3)   협상과 거래가 성사될 경우의 타이밍은 8월 또는 9월 초에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지만 은밀하고 조용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됨

4)   올림픽전문가인 Bill Mallon이 지적한 것처럼 1921년에 IOC1924(Paris) 1928(Amsterdam) 올림픽개최도시 두 도시들을 동시에 결정하였던 전례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됨

5)   지난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 유치과정에서 총 8개 도시들 중 5개가 1차 도중하자하고 마지막으로 Oslo2022마저도 시민투표(Referendum)로 인한 도중하차 대열합류로 인한 유치철회로 인해 단 두 개 유치후보도시(Beijing2022 Almaty2022)만 남게 되었던 전례가 있었음

 

*1단계 유치과정에서 포기한 2022년 동계올림픽 유럽유치신청도시들(5):

(1)크라카우(Krakow/Poland)

(2)스톡홀름(Stockholm/Sweden)

(3)뮌헨(Munich/Germany)

(4)다보스/상 모리츠(Davos/St. Moritz-Switzerland)

(5)르비브(Lviv/Ukraine)

 

              

 

*2단계 유치과정에서 선정되어 후보도시로 남은 도시들(3):

 

(1)오슬로(Oslo/Norway): 2014101일부로 퇴장

(2)베이징(Beijing/China)

(3)알마티(Almaty/Kazakhstan

 

 

*3단계 후보도시 중 IOC평가위원회 실사 및 개최도시 투표결정대상 최종후보도시들(2)

 

(1)베이징(Beijing/China)

(2)알마티(Almaty/Kazakhstan)

 

 

6)   2022년 올림픽 유치과정 도중하차 후유증 이후 또 다시 IOC2024년 하계올림픽유치과정에서 일찌감치 Hamburg2024가 주민투표결과로 도중하차한 바 있음

(출처: insidethegames)

 

7)   Virginia Raggi 신임 로마시장의 올림픽유치협조거부로 촉발되어 Rome2024유치후보도시의 도중하차 이후 Budapest2024의 자중지란(the implosion of Budapest)으로 유사한 전철을 밟게 될 경우 되풀이되는 단 2개의 올림픽유치후보도시(Paris LA)만으로 유치경쟁이 마무리되는 사태를 맞이할 공산이 커지고 있음

8)   최근 211일 실시된 2026년 동계올림픽 유치후보 참여여부 시민투표 결과 60.1%-39.9% 반대투표결과로 동계올림픽 유치후보의사를 철회한 바 있는 스위스 동부 도시의 쓰라린 사례 역시 기억에 생생하게 남아 있는 상황임(fresh in the minds of a lot of folks)

9)   이러한 일련의 사태를 접하고 있는 IOC가 희구하고 있는 것은 안정희구와 처리시간(stability and time)

10) IOC는 도핑사태 척결(root out)과 러시아 상황을 처리할 시간이 필요하고,

11) IOC는 올림픽개최비용 이슈를 철저히 파 헤쳐 분석할 시간(time to really dig through the cost issues of holding an Olympic Games)이 필요하고,

12) 향후 잠재적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이 개최비용에 대해 좀더 처리하기 쉽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시간(time to find way to make the project more manageable)이 필요하며,

13) 잠재 올림픽개최도시들에게 IOC의 브랜드를 재 인식시킬 시간(time to rebuild its brand among potential host cities)이 필요한 상황임

14) 국제육상경기연맹(IAAF)2021년 이후 주요 세계 육상대회유치 개념에 대한 발상을 전환하여 앉아서 유치신청을 기다렸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함

15) , IAAF가 직접 발로 뛰어 육상종목을 발전시키고 증진시킬 수 있는 적재적소의 개최도시들을 섭외하여 선발한다(will go out and recruit the right partner cities to advance its sport)고 할 정도로 시대조류가 바뀌고 있음(times are changing)

 

 

 

6.    IOC의 향후 예상행보와 전망

 

1)   다양한 부류의 IOC위원들은 한 번에 두 개의 올림픽개최도시 동시선정 방식 논의에 대해 개방적임을 밝히고 있음

 

2)   3명의 IOC부위원장 및 집행위원 일부를 포함한 IOC위원들의 경우, 반대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3)   2028년 올림픽유치구상 잠재후보도시들에게는 치명타이며 기회박탈의 날벼락이 될 수 있음

 

4)   올림픽헌장 어느 구절에도 올림픽개최도시 동시선정을 막는 규정은 없으며 IOC는 자신들이 원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구이기도 함

 

5)   이러한 동시선정(joint decision) 과정은 IOC측에서 보면 은밀하게 조용히 진행될 공산이 크지만 여론수렴과 암중모색 및 거중조정 과정이 필요한 상황임

 

6)   돌발적인 결정이 내려질 지의 여부(whether the cat leaps out of the bag)Paris2014LA2024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이 주어질 때 알 수 있을 것임

(1) “2028년을 할 수 있을까요?”(Could you do 2028?)

(2) “2028년을 하실래요?” (Would you do 2028?)

 

7)   하지만 아직 시기상조임(That’s ways off.)

 

8)   다음 단계 진행은 Budapest 선거사무소와 헝가리 정치권의 행보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음

 

9)   Thomas Bach IOC위원장의 IOC 및 올림픽운동 장악여부의 심판대가 될 수 도 있음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2. 15. 16:38

[행동하는 일본스포츠외교 글로벌 전략 결정판 Sport For Tomorrow(SFT) 집중탐구 및 분석] 

 

*순서:

. SFT란 무엇인가? (What is SPORT FOR TOMORROW?)

. SFT 사업추진 발단 및 취지

. SFT사업목표와 배경 및 특징

. SFT 활동명분과 분야 별 해외 주요활동 사례

. SFT운영위워회(Steering Committee) 구성현황

. SFT 합작 협력 단체(Consortium) 성격 및 구성 Matrix

 

 

*내용:

 

 

1.   SFT란 무엇인가? (What is SPORT FOR TOMORROW?)

 

(1) SPORT FOR TOMORROW일본정부가 스포츠를 주도권매개 수단으로 삼아 공적 부문 및 민간부문을 동시에 실행함으로 Tokyo올림픽 및 패럴림픽이 열리는 2020년까지 100여 개국을 대상으로 스포츠를 통해 천만 명(more than 10 million people)이상의 인원에게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본의 국제적 공헌 프로그램(an international contribution)

 

(2) SFP는 전 세계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사람들을(the people of all generations worldwide) 대상으로 스포츠의 가치를 전파하고 올림픽 및 패럴림픽 운동을 증진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함

 

 

 

 

2.   SFT 사업추진 발단 및 취지

 

1)   Montreal 1976 올림픽참가선수(Olympian)당시 일본 부총리인 Taro AsoTokyo2020올림픽유치시절 201373일 스위스 로잔느에서 IOC에 대한 Tokyo2020올림픽유치후보도시 사전 프레젠테이션을 통하여 일본정부의 주도적 계획인 SFP 계획을 공개한 바 있음.

 

 

2)   동 프로그램은 지구촌 전체 올림픽운동 증진을 목적으로 추진하는 해외프로젝트와 일본에 근간을 둔 국제스포츠 아카데미 창설 및 WADA의 글로벌 반 도핑 노력을 위한 추가지원 등으로 구성되었음.

3)   Tsunekazu Takeda Tokyo2020유치위원장 겸 JOC위원장 겸 IOC위원은 Tokyo2020의 올림픽운동에 대한 공약에 대해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이 발언 하였었음:

4)   “Japan has been touched by the universal power of sport…and is committed to sharing that power with others.” (일본은 스포츠의 세계를 아우르는 보편적 파워에 심취되어 있으며 그러한 파워를 광범위하게 공유하고 자 공약하는 바임)

5)   그는 Tokyo의 비전이 탁월함과 우정과 존중이라는 올림픽의 핵심가치를 내재적으로 투영하고 있는 도쿄도와 일본문화의 독특한 자산을 결합하는 것이며 Tokyo는 이렇게 불확실한 시대에 확실성을 전달할 능력을 보유하고 있노라고 역설한 바 있음

 

3.   SFT사업목표와 배경 및 특징

 

1)   일본과 세계를 연결해 주는 스포츠와 사람들”(Sport and People Connecting Japan and the World”)이란 Catchphrase가 프로그램 전개의 핵심임

2)   Promise Sport for Tomorrow programme will reach 10 million people before Tokyo 2020 (Tokyo2020개최 전까지 지구촌 천만 명에게 혜택 부여)

1



 

3)   공적 개발원조(ODA)의 일환으로 일본체육협회(Japan Sports Council)는 지난 2015315Sport For Tomorrow프로그램을 통하여 세계 극빈국들(world’s Poorest Countries)를 대상으로 개발지원을 취지로 그들의 야심 찬 계획들의 개요를 밝힌 바 있음

 

4)   Tokyo2020올림픽 성공적 유치의 일환으로 2013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개최 IOC총회에서 첫 번 째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 있는 3단계 주도권 전개계획(the three-step initiative)은 아프리카 국제스포츠 컨벤션(CISA: Africa International Sports Convention)에서 사상 최초로 전시 및 설명회를 가진 바 있음

 

 

5)   동 프로젝트는 일본대표들이 일본 자원봉사자 계획(volunteer scheme)의 일환으로 스포츠 강사진을 파견함과 동시에 각기 다양한 다른 국가들 내에서 스포츠 행사를 통해 도움을 제공하는 데 그 취지가 있다고 볼 수 있음

6)   다음은 도쿄도의 Toshiyuki Okeya ‘Sport For Tomorrow’프로젝트 매니저의 취지설명 발언임:

 A. "The city of Tokyo is committed to promoting the Olympic and Paralympic Movement across some of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
도쿄도는 세계 극빈국가들 중 몇 나라들에 대하여 올림픽 및 패럴림픽운동 증진에 헌신하고자 함)

B. "We can always develop more from taking advice from the outside. (
우리는 항상 외부로부터의 자문을 받음으로써 발전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음)

C. "We are looking at working with as many countries as possible and we aim to reach more than 10 million people in the build-up to Tokyo 2020." (
우리는 가능한 수 많은 나라들과 협업하고자 내다 보고 있으며 Tokyo2020올림픽 때까지 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과 접촉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Sport for Tomorrow is an initiative to help raise awareness of sport in developing countries, particularly Africa ©Tokyo 2020

      

 

7)   ‘Sport For Tomorrow’(SFT)WADA의 슬로건이기도 한 “Play True   2000”이라고 명명된 반 도핑에 대한 헌신계획도 포함하고 있는데, 사회과학연구(social science research)라든지 스포츠의 청렴성을 촉진하기 위한 대규모 반 도핑 네트워크 개발과 같은 여러 가지 다른 전략방안들로 구성되어 있음

 

8)   SFT프로그램의 또 하나의 특징은 스포츠에 있어서 미래지도자를 위한 아카데미(Academy for Tomorrow’s Leaders)를 통합 운영하는 것인데 그 아카데미를 통하여 영어에 능통한 사람들과, 4년제 대학교육을 이수한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스포츠 행정분야의 경력으로 진출하고자 원할 경우, 올림픽교육 코스를 시작하도록 지원하는 것임..



 

9)   단지 일본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두루 걸쳐 미래의 지도자들 양성뿐만 아니라, 일본체육협회는 각 학교들이 날짜를 지정하여 여러 가지 다른 스포츠 세부종목경기를 펼치는 “undokai”(운동회/Sports Day)이벤트를 개최함으로 각 나라에서 학교체육 발전에도 지원을 제공하고 있음

10) Okeya 프로젝트 매니저는 Tokyo2020올림픽 때까지 미디어를 위한 워크숍 개최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힌 바 있음

 

 

 

 

 

 

4.   SFT 활동명분과 분야 별 해외 주요활동 사례

 

1)   스포츠를 활성화 시키고 국제적 경기력 수준 증진(Promoting sport and improving international competition levels)

 

 

(몽골/Mongolia: 탁구종목의 기반 환경 조성지원<Support to create better environment for table tennis>)

 

 

(중앙아시아/Central Asia: 16세 이하 축구교환경기 프로그램<U-16 Football Exchange Programme>)

 

 

 

2)   스포츠 파워를 통한 세계 변혁<평화와 개발>(Changing the world through the power of sport//Peace and Development)

 

 

(남 수단/South Sudan)

 

 

 

 

      (인도네시아/Indonesia: 국가 체육 운동회/National sports event)

 

 

 

3)   장애인 스포츠 소개 및 포용적 사회분위기 권장(Introduction of Para-sport and encouraging an inclusive society)

 

 

 

 

 

 

 

4)   스포츠를 통한 다문화 교류 활성화(Making sport a multi-cultural exchange)

 

 

 

(후쿠오카/Fukuoka 스포츠를 통한 아시아-태평양 국제교류<Asia-Pacific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sport>)

 

 

(2016826Akie Abe일본총리 First Lady와 일본 체육 청<Japan Sports Agency> 1청장/first commissioner Mr. Suzuki가 아프리카와 Rio어린이들에게 Sports For Tomorrow를 통하여 일본축구협회의 협조로 축구공 등 스포츠 장비를 기증한 바 있음)

 

(2016915, 유도 유니폼 17벌과 Boccia장비 1 세트를 장애인 어린이들에게 Rio장애인 센터를 통해 기증)

 

(엘리트 선수들 대상 교육 및 정보 회의 및 교육활동<Education and information sessions/ Educational activities for top athletes>)

 

5.   SFT운영위워회(Steering Committee) 구성현황

 

1)   일본외무성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   일본 체육 청 (Japan Sports Agency)

3)   일본 체육회(Japan Sport Council)

4)   일본 국제문화 청(JiCA)

5)   일본교류기금(Japan Foundation)

6)   일본올림픽위원회(JOC)

7)   일본 패럴림픽 위원회(JPC)

8)   일본 반 도핑기구(JADA)

9)   Tokyo2020조직위원회

10) 일본체육협회

11) 2019년 럭비 일본 월드컵조직위원회(Rugby World Cup 2019)

 

 

 

 

 

 

6.   SFT 합작 협력 단체(Consortium) 성격 및 구성 Matrix

 

1)   SFT 컨소시엄은 일본외무성(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0 및 일본 체육 청(Japan Sports Agency)파견 임원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a management committee)가 주도하고 있음

2)   동 컨소시엄은 SFT의 가치와 목적을 공유하는 단체들을 대표하는 컨소시엄 회원단체들도 포함됨

3)   동 컨소시엄에는 노하우와 전문성을 공유하기 위한 SFT활동에 참여하기 위하여 스포츠 단체들, NGOs, NPOs, 지역 공공단체, 민간 기업들, 체육 또는 국제교류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들 모두 SFT활동 참여기관으로 공인 가능함

 

Consortium Members

 

 

 

*References:

-Sport For Tomorrow 홈페이지

-Mainichi Newspaper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2. 10. 10:26

[북한2017년 세계주니어 유도선수권대회 평양개최 및 2017년 새로운 NOC위원장 선출 등 북한스포츠 계 동향은?]

 

*순서:

. 2016년도 북한 NOC동향

. 2017년도 북한 NOC최근동향

. 북한이 2017세계청소년유도선수권대회 개최국이 된 배경은?

. 손광호 북한 국가체육지도위원회 부상(Vice Minister of State Sports Guidance Committee in DPR Korea)의 무대 초청 마무리 메시지 내용 10가지 주요골자

 

*내용:

1.   2016년도 북한 NOC동향

2016320일 자 한 외신에 의하면 리종무(Ri Jong Mu)가 북한 NOC 새로운 위원장으로 임명된 바 있습니다.

 

                                        (북한 NOC로고/출처: insidehtegames)

 

 

이종무 신임 북한 NOC위원장은 전임자인 김용운(Kim Yong Un)을 교체한 것으로 발표 및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리종무 북한군 중장/자료 출처: 연합뉴스 yna)

 

 

북한군부 중장 출신 리종무 북한 NOC위원장(2016년 당시 67) 2012~2014년 북한체육상을 역임한 바 있는 핵심스포츠 전문가(a key sporting expert)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그는 20161, 2년 만에 체육 계로 복귀한 셈이었는데 평양개최 북한 NOC임시총회에서 공식적으로 전임 김용운 북한 NOC위원장을 교체하고 그 역할을 맡아온 바 있습니다

 

이러한 NOC위원장 교체사실은 송광호 북한 NOC부위원장 겸 서기장에 의해 OCA Sheikh Ahmad Al-Fahad Al-Sabah회장에게 통보되었다고 OCA가 밝힌 바 있습니다.

 

김용운 전임위원장은 건강상의 이유로 직위에서 사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N

North Korean athletes parade during the Opening Ceremony of London 2012 ©Getty Images (런던2012올림픽 개회식에서 입장하고 있는 북한 선수단 모습/출처: insidethegames)

 

 

북한 NOC지도부경질 관련 더 이상의 정보는 세계에서 가장 비밀주의 국가로부터(by the world’s most secretive state) 공개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장웅 북한 IOC위원은 북한 NOC부위원장 직을 고수하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 NOC위원장 경질은 북한 스포츠당국으로선 중요한 시간대에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 이유는 북한이 향후 유도와 역도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 유치를 계획 중이었던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북한은 Rio2016올림픽 참가를 위한 준비에도 박차를 가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Rio2016 올림픽에서 역도와 체조에서 각각 하나씩 2개의 금메달과 역도에서 은메달 3, 탁구와 사격에서 동메달 2개 등 모두 7개의 메달을 따 종합순위 34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 이는 런던2012 올림픽 때(4 2)보다 전체 메달 수는 늘어났지만 금메달 수는 줄었다고 보도된 바 있습니다.

 

 

(Rio2016올림픽에 참석한 최룡해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3>과 그 일행/출처: sports. news. naver. com )

 

 

North Korea are also finishing their preparations for this year's Olympic Games in Rio de Janeiro. (Rio2016올림픽에서 북한 홍은정 선수<당시 27>와 이은주 선수<17>/출처: Reuters)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로이터가 보도한 위 사진에 대하여 “Great gesture” (엄청난 몸짓)이라고 소감을 표명한 바 있었습니다

 

2.   2017년도 북한 NOC최근동향

 

2016 1월 북한 체육상(장관급)으로 복귀했던 리종무 북한 NOC위원장의 임기가 채 1년도 되지 않은 2016125일 경에 후임으로 김일국 제1체육 부상이 북한 내각 체육상(국가체육지도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고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최근 201712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 총회가 123일 평양에서 진행됐다"고 하면서 "총회에서 김일국 체육상(1966년 생/만 51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DPR Korean NOC) 위원장으로 선출됐다"고 짤막하게 전했던 것으로 KBS News를 통해 124일 보도된 바 있습니다.

 

KBS New에 따르면 김일국은 지난해 20163월 김정은의 노작 발표 1돌 기념 체육 부문 연구 토론회를 소개하는 북한 매체 기사에 '국가체육지도위원회 서기장'으로 소개됐고, 그 해 12월 내각 체육상(장관급)으로 임명된 바 있다고 합니다.

 

이어서 김일국 체육상 교체임명 1개월 만에 북한 NOC는 최근 2017123, 다시 특별 NOC총회를 개최하여 북한 NOC위원장 교체 1년 만에 북한 NOC위원장이었던 리종무(Ri Jong Mu)의 후임으로 오랜 기간 부위원장(Executive Vice President)직을 맡아온 김일국을 재 교체하여 선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NOC 부위원장 겸 서기장인 손광호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Olympic Council of Asia) 회장 HE Sheikh Ahmad Al Fahad Al Sabah에게 전달한 서한에는 리종무 위원장이 건강 악화로 위원장 직을 더 이상 지속할 수 없게 되었으며 위원장 직 교체로 OCA와의 관계가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한 바 있다고 합니다.

 

 

3.   북한이 2017세계청소년유도선수권대회 개최국이 된 배경은?

 

(1) Marius Vizer 국제유도연맹 (IJF:International Judo Federation) 회장 201511 22일 중국 칭다오 그랑프리(Judo Grand Prix, Qingdao 2015)유도 대회 이후 평양을 방문하여 북한의 2017세계청소년유도선수권(Junior World Judo Championship) 대회 개최에 대한 논의를 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었습니다.

 

 

(출처: IJF홈페이지)

 

 

 

(2013년 Rio de Janeiro개최 세계유도선수권대회 북한 선수 모습/출처: IJF홈페이지)

 

 

 

(2) 북한에서의 2017년 세계청소년유도선수권 대회 개최 최종여부는 2016리우올림픽 전에 있을 IJF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 meeting)에서 결정될 예정이었으며 IJF집행위원회는 북한개최를 최종 승인한 바 있습니다.

 

(3) Rio2016에서 열렸던 IJF집행위원회 프레젠테이션대표로 참석한 손광호 북한 체육부상 겸 NOC부위원장의 발언 내용입니다:

 

 

 

“We intend to organize the championship in the best possible conditions for all countries worldwide in Pyongyang in 2017. We have all the experience it takes, the skills and structures for this. We want to work as closely as possible with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We guarantee that all participants, including the athletes themselves, their coaches, officials and sports journalists and cameramen will obtain their accreditations.” (우리는 전 세계 모든 나라들이 참석하는 2017년 대회에 최고의 조건으로 조직할 것임-우리는 모든 필요한 경험과 숙련된 기술과 구조를 보유하고 있음-우리는 IJF와 긴밀하게 협조하여 업무를 완수하기를 원함-우리는 선수들과 코치들 그리고 임원들을 비롯하여 스포츠 기자들과 카메라맨들을 포함한 모든 참가자들에게 등록카드를 발급할 것임을 보장하는 바임)

 

 

 

 

(Rio2016기간 중 개최된 IJF집행위원회 모습/출처:IJF홈페이지)

 

 

 

(4) Vizer IJF회장은 IJF 홈페이지를 통해, 2017세계청소년유도선수권 대회 개최 기회를 통해 북한의 청소년들에게 동기 부여는 물론, 스포츠를 통한 영감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고 합니다.

 

(5) 2017세계청소년유도선수권 대회의 북한 개최는 Thomas Bach IOC위원장과의 갈등으로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의 입지가 좁아진 Vizer의 정치적 전략이라는 해석이 제기된 바도 있습니다

 

(6) Vizer회장은 지난 2015 4월 개최된 SportAccord Convention 개막연설을 통해 Thomas Bach IOC 위원장과의 대립 이후 결국 SportAccord 회장직을 사임하는 등 국제스포츠 계에서의 입지가 극도로 약해진 것으로 분석된 바 있습니다.

 

                    (Marius Vizer/출처: SportAccord홈페이지)

 

 

(7) Vizer회장은 2017년 세계청소년유도선수권대회의 북한 개최 논의를 국제스포츠 계에 부각시켜 국제적으로 자신에게 정치적 이목을 집중시키는 계기로 삼는 한편국제스포츠 계에서 자신의 입지를 다시 권토중래 하고자((as a significant political gain)하는 취지로 보입니다.

 

(8) 북한은 2017년 아시아 역도선수권대회도 유치한 바 있습니다

 

(9) 하지만 IJF에서는 북한의 2017년 세계주니어 유도선수권대회 유치신청을 승인하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관찰전망 전제조건을 내 걸었다고 합니다

 

 

 1 - If the global world situation does not allow the organization of the championship, other solutions will be offered. (글로벌 세계상황이 북한에서의 선수권대회 개최를 용납하지 않을 경우 다른 해결방안을 마련 할 것임)

 

 2 - All the technical aspects relating to the organisation of competition in 2017, will be tested by December 2016 in order to finalize the procedure. (2017년 유도경기 조직과 관련된 모든 기술적인 측면들은 절차를 마무리하기 위하여 201612월 테스트 받기로 함)

 

 

(10)             IJF회원국은 Rio2016 총회에서 부탄(Bhutan)이 회원국으로 승인되면서 총 196개국이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4.     손광호 북한 국가체육지도위원회 부상(Vice Minister of State Sports Guidance Committee in DPR Korea)의 무대 초청 마무리 메시지 내용 10가지 주요골자(2013 116~8일 모나코 개최 제7 Peace and Sport International Forum)

 

 

 

 

        (손광호 북한 국가체욱지도위원회 부상/차관/출처: Peace and Sport 홈페이지)

 

 

 

(1) 북한에서는 체육 지도위원회가 조직되어 인민들의 건강증진에 힘쓰고 있음

 

(2) 체육 대중화 생활의 일부로 소학교~대학교에 이르기 까지 체육을 권장하고 있음

 

(3) 종합적인 인민대회와 부문별 체육대회가 최고 지도자(Supreme Leader)정력적인 지도 밑에 조직되고 있음

 

(4) 스포츠를 통해 여러 나라와 친선협조를 강조해 가고 있으며 많은 국제경기대회에 참가하고 있음

 

(5) 국제조직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교류를 원하는 나라나 기구나 사람 모두를 적극 환영하는 바임

 

(6) 야외 빙상 장(스케이팅 링크)과 물놀이 장(수영장)그리고 롤러스케이팅 장 등 체육오락을 보장하기 위해 힘쓰고 있음

 

(연설 도중 시간 관계상 짧게 해달라고 사회자가 2~3회 부탁함)

 

(7) 마식령에 스키장 건설 중인데 머지 않아 완공될 것임

 

(8) 미국 프로농구선수 데니스 로드맨 등 여러 선수들과 관계자들이 방문한 바 있음

 

(9) 장애물이 있다면 마식령 스키 및 아이스하키 설비를 비롯하여 사격경기에 필요한 사격기구와 총탄(guns and ammunitions) 등에 대한 구입금지조치인 바 이는 즉시 제거되어야 할 것임

 

(10)             방해 책동을 물리치고 친선관계를 강화하겠음

 

 

*References:

-insidethegames

-Reuters

-KBS News

-SportAccord

-IJF

-Peace and Sport

-Naver.Com

-yna(연합뉴스)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2. 8. 10:14

[(특집)러시아의 도핑연루 국제이슈 요약 총정리 및 Update]

 

*순서:

 

가.    일정 별로 본 러시아 도핑스캔들 진척상황 로드 맵(Roadmap) Update

나.    전 세계 외신, 2016WADA반도핑규정관련 러시아 도핑연루 혐의 집중 조명 및 보도

다.    국제 스포츠 계의 대 러시아 견제 사례

라.    국제패럴림픽위원회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개략소개

마.    러시아 도핑파문사건연계 국제조사 검증 및 경과 일지 요약 재정리 및 Update

바.    대 러시아 강경제재에 따른 배경과 향후 전망

 

 

*내용:

 

1. 일정 별로 본 러시아 도핑스캔들 진척상황 로드 맵(Roadmap) Update

 

1)   201412:

(1) 독일ARD방송사의 러시아 육상 계의 조직적 도핑사례고발

(2) WADA독립위원회 발족

 

2)   201511:

(1) WADA독립위원회 1차 보고서 공개

(2) IAAF 러시아에 국제육상대회 개최금지 등 제재조치 처분

 

3)   20161:

(1) WADA독립위원회 2차 보고서 공개

 

4)   20166:

(1) IAAF, 러시아 육상연맹에 대한 Rio2016올림픽 참가금지 처분

 

5)   20167:

(1) 1McLaren Report 공개

 

6)   20168:

(1) 러시아 올림픽 선수단, Rio2016올림픽에 제한적 출전허용(IOC-IFs연계)

(2) Rio2016패럴림픽 러시아 선수단 전체 출전금지 처분(IPC)

 

7)   201611:

(1) 러시아선수단의 평창2018 패럴림픽 6개 중 IPC직접관할 5개 종목 참가금지 가능성 시사(Wheelchair Curling종목참가는 미지수)

(2) IPC,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 자격정지해지용 도핑방지 규정준수의무조건 러시아에 전달:

가. RPC 조정위원회 설립,

나. 도핑방지 문화의 확립,

다. 도핑방지 교육 및 검사와 결과관리의 개선

 

 

8)   201612:

(1) 2McLaren Report 공개

(2) 2016 1217일 한 외신기사 제목은 “Bach IOC위원장, Mclaren리포트에 적발된 러시아의 도핑증거 정도에 경악과 내적 분노 표출하다”(Bach reveals "shock" and "inner rage" at extent of Russian doping evidence uncovered in McLaren Report.)라고 할 정도였으며 IO의 러시아에 대한 태도 변화 감지

 

9)   2017129~31:

(1) 독일 본 개최 IPC집행위원회 RPC의 도핑방지의무준수 반영 및 이행 전까지 징계처분 지속실행결정

(2) IPC, RPC 자격정지처분해지용 준수의무사항 필요조건 전달에 따른 IPC대책위원회 구성 운영키로 결정

 

10) 201721일 자 외신:

(1)러시아의 평창2018패럴림픽참가자격획득 용 IPC주관 예선대회 출전 불허 방침 발표 보도

 

 

 

2. 전 세계 외신, 2016WADA반도핑규정관련 러시아 도핑연루 혐의 집중조명 및 보도

 

1)   러시아, 국가적 차원의 조직적 도핑 연루혐의가 2014 12, 독일의 한 방송사(ARD) 보도를 시작으로 드러나게 된 세계 육상 계와 러시아의 도핑 스캔들로 국제스포츠 계는 충격에 휩싸인 바 있음

2)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 2016 4 27일 홈페이지를 통해 2014년 반 도핑 규칙 위반사례보고서(2014 Anti-Doping Rule Violation Report)를 발표함.

3)   WADA는 지난 2014년 한해 동안 도핑방지 규정 위반 1,693건의 규정위반 사례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 총 109개 국가, 83개 종목에서 도핑방지규정 위반이 적발되었다고 밝힌 바 있음.

4)   이들 중, 선수의 직접 규정 위반은 1,647건이며, 나머지 46건은 선수 지원 인력(Athlete Support Personnel)이 위반하였던 것으로 드러남

5)   종목별로는 육상이 가장 많은 위반 횟수를 기록함.

6)   동계 스포츠가 대체적으로 낮은 도핑규정위반 건수를 기록한 가운데, 아이스하키가 동계스포츠 중 가장 많은 41건의 도핑규정위반 사례가 기록되었다 함

7)   도핑 규정 위반이 가장 많이 발생한 10개 종목은 다음과 같음

종목별 도핑 규정 위반 현황 세부 내용(1 – 10)

종목

위반 횟수

테스트 횟수

테스트 대비 적발 비율(%)

육상

261

25,830

0.0101

보디빌딩

245

1,783

0.1374

사이클링

221

22,471

0.0098

역도

169

8,806

0.0192

축구

144

31,242

0.0046

파워리프팅(Powerlifting)

127

2,789

0.0455

레슬링

60

5,154

0.0116

수영

57

12,120

0.0047

럭비

57

6,961

0.0082

복싱

55

4,258

0.0129

자료출처: 2014 Anti-Doping Rule Violation Report (WADA)

 

 

7) 한편, 국가별로는 러시아가 도핑 규정을 가장 많이 위반한 것으로 밝혀 짐

8) 한국 2014년 한해 세계에서 10번째로 많은 위반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9) 한편, 2014년 발행한 WADA보고서가 다루고 있는 2014년 한 해에는 WADA 2009년에 통과시킨 규정에 따라 도핑에 관한 처벌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짐 

10) 2015년부터는 새로운 WADA규정에 따라 도핑 관련 처벌이 이루어지는 만큼, 20165월경 발간되기로 하였던 보고서의 내용에도 관심이 모아진 바 있음

11) 2년이 경과한 20165월 시점에서 러시아는 자국에서 개최한 소치2014동계올림픽 참가자들 대상으로 초미의 관심사항이었음.

12) 미국CBS방송은 지난 2016 5 8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60 Minutes를 통해 소치2014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러시아 선수단의 도핑혐의관련 고발함.

13) CBS러시아도핑방지기구(RUSADA: Russian Anti-Doping Agency)에서 근무한 바 있는 Vitaly Stepanov와의 인터뷰를 통해 소치2014동계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의 규정 위반한 도핑사실과 이에 대한 RUSADA의 의도적 방조실태를 고발함

14) Stepanov는 스테로이드를 복용한 선수들의 명단인Sochi List RUSADA 회장Grigory Rodchenkov가 지참하고 있었다고 폭로함.

15) 또한, Stepanov에 따르면 리스트에는 최소 4명의 소치2014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포함되었으며, 이러한 내용을 담은 Rodchenkov 회장과의 전화통화 녹음기록도 소지하고 있다고 밝힘

16) CBS TV다큐멘터리는 러시아의 국가정보기구인 FSB 도핑 혐의를 숨기기 위해 실험결과조작에 가담했다고 보도한 바 있음

17) 한편, 세계반도핑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20165 11일 보도자료를 내고CBS방송의 다큐멘터리가 보도한 내용의 사실여부 확인 차 즉각적 수사 진행의사 밝힘.

18) WADARodchenkov 회장과 내부고발자(Whistleblower)Stepanov와의 통화기록을 증거로 확보하겠다고 밝힘.

19) 러시아는 2015 11월 러시아육상선수들의 도핑 스캔들에 이어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처함

20) WADA의 수사 내용 및 결과의 파장에 대한 귀추가 국제스포츠 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된 바 있음

21) 20167월 초, IAAF(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국제육상경기연맹)가 러시아육상경기연맹의 가맹자격 정지조치로 인해 2명을 제외한 러시아 육상선수들의 Rio2016올림픽 참가가 불투명하게 된 바 있었음

22) 2015 11 9 WADA(World Anti-Doping Agency, 세계도핑방지기구)보고서(Independent commission report) 발행 이후, IAAF가 러시아 자국 선수들의 도핑을 의도적 방조 및 조작한 혐의로 ARAF(Russian Athletics Federation, 러시아육상연맹)의 가맹자격을 일시 박탈함에 따라 소속 선수 전원의 국제대회 참가가 제한된 바 있음

23) 이후 136명의 러시아 선수들이 무소속중립선수(neutral athlete) 자격으로 올림픽에 참가 청원 요청서를 IAAF에 보냈지만, IAAF 도핑검토위원회는 러시아 NOC 법률담당부장 Alexandra Brilliantova을 통해 Darya Klishina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의 요청을 기각한다고 전달하였으며, IAAF Darya의 무소속 중립선수 자격 출전을 위한 최종 승인은 대회 별 주관 조직체에 있다고 설명한 바 있음

24) 이와 관련하여 Thomas Bach IOC위원장은 Darya는 무소속 중립선수자격이 아닌 러시아 팀 소속으로 올림픽에 출전하여야 하고, 협회 전체의 자격정치 처분 조치로 무고한 선수들(honest athletes)에게까지 피해가 가는 것은 옳지 않다는 취지의 입장을 표명함.

25) 멀리뛰기선수 Darya는 미국 플로리다에 거주해 정기도핑검사를 러시아가 아닌 다른 곳에서 받아온 사실이 인정되어 IAAF 경기규칙 22 1항에 의거해 예외자격을 얻은 바 있음.

                                       

                                            (Darya Klishina  /출처: The Guardian)

 

26) IAAF 800m 육상선수 Yulia Stepanova에게도 무소속 중립선수 자격을 부여한바 있으며Stepanova선수는 러시아의 도핑방조 및 조작 사실 폭로한 공로로 특혜를 얻은 셈인데 그녀의 Rio2016올림픽 참가와 관련해 IOC집행위원회는 IOC윤리위원회에 자문을 요청한 상태였었음.

27) Bach IOC 위원장은 Stepanova에게 특별허가를 주어야 한다고 강조한 데 반해, Alexander Zhukov러시아 NOC위원장은 IOC, WADA, IAAF의 추후 결정사항과 관련 없이 Stepanova는 향후 러시아 팀 소속선수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발표함.

28) IAAF는 그녀의 행동에 대해 정정당당한 선수의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칭찬하였으며, WADA진정 용기 있는 선수로 치켜세웠고, 유럽육상연맹은 육상종목 발전을 위한 용단에 감사를 전한 데 반해 러시아 여론은 그녀를나치에 항복한 배신자라고 비난하며 싸늘한 반응을 보인 바 있음

 

(Yuliya Stepanova /출처: BBC)

 

29) 러시아 NOC 68명의 러시아 육상선수들이 예외자격(exceptional eligibility)으로 Rio2016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도록 고려해달라는 내용으로 CAS(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스포츠중재재판소)에 제소한 바 있음

30) 청원자 68명 명단에는 IAAF 선수위원이자 장대높이뛰기 세계신기록보유자 Yelena Isinbayeva, 100미터 장애물달리기의 Sergey Shubenkov Maria Kuchina, Yelena Isinbayeva의 코치 Evgeny Trofimov, 2014 세계주니어 장대높이뛰기 금메달리스트 Alyona Lutkovskaya 등이 포함되어 있었음

31) CAS의 결정은 2016 7 21일에 내려질 예정이었음.

32)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가 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기한 항소를 CAS는 이를 기각한 바 있음.

33) Craven 회장은 CAS기각결정에 대해 만족하지만 축하할 일은 아니라며 러시아 선수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한 바 있음

34) 러시아 스포츠 당국, 러시아패럴림픽 연맹 및 선수들은 지극히 정치적인 해당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크게 반발한 바 있었음

35) 2016725IOC 집행위원회가 러시아 NOC와 소속 선수들의 Rio2016올림픽 참가 관련 집단 출전금지 제재를 불허함.

36) Thomas Bach IOC 위원장은 모든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 여부는 각 IFs NOC의 고유 결정사항이라고 선을 그음.

 

(IOC 집행위원회 회의 결과 발표 중인 Thomas Bach 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37) Bach 위원장, IFWADA 규정 및 Olympic Summit 결정 사항 (2016 6 21)을 근거로 관련 규정을 제정하고, 선수들의 도핑테스트자료는 NF 단위가 아닌 개인별로 분석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38) 러시아 선수들과 관련해서는, 도핑 적발 유 경험선수는 징계 진행여부와 관계 없이 Rio2016올림픽 출전 불허 및 러시아의 도핑 방조 및 조작사실 폭로공로자로서 무소속 중립선수 (neutral athlete) 자격 출전이 고려되었던 800m육상선수 Yulia Stepanova선수의 Rio2016참가 역시 IOC 윤리위원회의 권고와 IOC집행위원회의 승인으로 불허 발표함.

39) 20169월개최 Rio2016 패럴림픽에서 러시아 패럴림픽선수단 전체가 출전 금지 위기에 처함. 

40) IPCMclaren의 보고서에 근거하여장애인 선수들 또한 지난 소치2014올림픽을 전후로 약물을 투여한 사실을 밝혀내 지난 20167월부터 러시아의 출전 금지를 논의하기 시작하였던 바 있었음.

41)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가 IPC의 도핑원칙 미 준수 및 IPC 회원 국가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회피했다고 언급한 바 있었음

42) 20168 8 (현지시각 7일 오후 5시경) Rio2016 MPC에서 IPC는 기자회견을 통해 확정된 결과를 발표한 바 있음

 

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출처: IPC)

 

 

43)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 (RPC)의 도핑원칙 미 준수를 이유로 자격 정지를 결정한 바 있음   

44) 동 결정에 의거,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은 20169월 개최 예정이었던 Rio2016 패럴림픽에 출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러시아에서 패럴림픽 관련 이벤트 또한 개최하지 못함

45) 동 결과에 대해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Maria Zakharova인간적이지 않은 결정이라고 비판하였고, IPC Craven 회장은 러시아의 도핑방지 시스템은 완전히 무너졌다며, 몇몇 개인의 선수들은 깨끗할지 모르나 시스템 전체를 바꾸지 않는 이상 선수들의 대회 출전 불허를 언급함.

46) WADA IPC의 결정에 지지의사 밝힘


 


(Rio2016 MPC에서의 IPC 기자회견/출처: aroundtherings)

 

 

 

47) 2016111일 자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 평창2018패럴림픽대회 5개 종목 참가 금지 가능성 시사

48) 러시아는 평창2018동계패럴림픽의 6개 종목 중 5개 종목에 참가불허 가능성 커짐

49) 6개 종목(휠체어 컬링,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파라(아이스하키)이 치러지는 평창2018패럴림픽에서휠체어 컬링 단 한 종목에만 참가가능하며 나머지 5개 종목은 IPC 소속이므로 현재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의 자격정지 처분으로 인하여 출전이 불가할 것으로 알려짐

50) IPC는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충족요건을 러시아에 통보할 예정이며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시, 2016 12월 중 해지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도 된 바 있었음

 

 

(평창2018패럴림픽대회 정식종목 중 러시아가 유일하게 참가 가능한휠체어 컬링종목/출처: Getty Images)

 

51) 20161122일경 IPC, RPC에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사항 전달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로고/출처: RPC)

 

52) IPCWADA와 협의를 통해 필요조건들을 개정했으며 기본적으로 각 국가패럴림픽위원회(NPC)에 해당되는 WADA IPC의 도핑방지규정준수의무를 밝힘

53) RPC에 전달된 사항 중에는 (1) RPC 조정위원회 설립, (2) 도핑방지 문화의 확립, (3) 도핑방지 교육 및 검사와 결과관리의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됨.

 

54) RPC는 지난 20168 7일 러시아 정부주도의 조직적 도핑 스캔들로 IPC로부터가맹자격정지및 러시아 선수단 전체의리우2016패럴림픽대회 출전불가처분을 받은 바 있음.

55) 러시아는 2014 12월부터 수면 위에 떠오른 정부주도 조직적 도핑 파문으로 (1) Rio2016올림픽 참가제한 및 패럴림픽 참가금지, 자국 내 국제대회 개최금지 등 국제스포츠 계로부터 따가운 제재를 받아옴.

56) 지난 2016129, 2 McLaren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세계 각국의 선수 및 국제스포츠 계 관계자들로부터 비판이 거세졌으며 러시아에 대한 제재 요청 또한 쇄도함.

57) 2017년도 21일 자 외신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에 대하여 평창2018패럴림픽참가자격획득을 위한 예선대회 출전도 금지한다는 발표가 있었음

58)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IPC에 평창2018패럴림픽의 출전 자격부여대회(qualification events for the PyeongChang 2018 Paralympic Winter Games)참가 요청했으나 거절당함.

59) 지난 129일부터 3일간 독일 본(Bonn)에서 진행된 IPC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IPC RPC의 회원국자격정지 회복을 위한 모든 준수사항 반영 전까지 징계처분이 지속될 것이며 이로 인해 IPC가 관할하는 모든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음

60) 지난 2016 8, 러시아의 조직적 정부주도 도핑 파문으로 RPC IPC로부터 자격정지처분으로 Rio2016패럴픽대회에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을 출전시키지 못한 바 있음.

61) 또한, 징계의 장기 지속 경우 평창2018패럴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진행되는 6개 종목 중 IPC 관할하는 5개 종목 대회에 참가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됨

62) 2017IPC집행위원회에서 IPC(1) 근대5종경기, 봅슬레이스켈레톤 등 IPC 인정 종목들의 자격 연장, (2) 그레나다(Grenada, 서인도 제도 동남부에 있는 섬나라) NPC IPC 회원국 인정, (3) 조직의 다양성 정책(diversity policy) 등 여러 결정 사안들을 통과시킨 바 있음.

63) IPC 관리 하에 있는 장애인아이스하키(para ice hockey) 2017 세계선수권대회 개최지를 평창으로 확정하며 평창2018패럴림픽대회를 위한 테스트 이벤트 역할을 할 예정임.

64)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의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의무사항 필요조건 전달과 함께 이를 관리할 대책위원회를 구성함.

 

 

3. 국제 스포츠 계의 대 러시아 견제 사례

 

1)   바이애슬론 선수들, 국제바이애슬론연맹(IBU)에 러시아 선수 제재 요구

(1) 170여명의 바이애슬론 선수들이 IBU에 러시아도핑에 연루된 선수들의 자격정지 등 제재를 촉구하는 서한을 서명과 함께 전달함.

(2) 20171 21, IBU특별 집행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IBU McLaren 보고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져 있었음

(3) 바이애슬론 선수들의 반발로 러시아는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와 월드컵 등의 대회 개최권을 박탈당했으나 2021년 세계선수권대회는 아직까지 러시아 튜멘(Tyumen)에서 개최되기로 예정되어 있는 상태임.

 

2)   퀘벡, 러시아 대신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 결승 개최

(1) 러시아 튜멘(Tyumen)개최예정이었던 FIS 크로스컨트리 스키월드컵 결승전이 러시아의 개최권 반납으로 캐나다 퀘벡에서 3 17~19일 개최될 예정으로 알려짐.

(2) 또한 러시아 카잔(Kazan)개최 예정이었던 2건의 FIS 스노보드 월드컵대회 역시 재정적인 이유로 취소됨.

 

3)   러시아 부총리, 국제육상연맹(IAAF)에 러시아 자격정지 해제촉구

(1) 러시아의 부총리 Vitaly Mutko가 러시아육상협회 자격정지 해제가 늦어지자 IAAF를 맹비난하며 빠른 시일 내에 해제해 줄 것을 요청함.

(2) 지난 2015년 도핑 파문으로 IAAF로부터 자격정지 처분을 받은 러시아육상협회 소속 선수단은 Rio2016올림픽 출전이 불발된 바 있음.  

(3) IAAF는 러시아육상협회의 자격 회복활성화를 돕기 위해 T/F팀을 구성하였으나 업무처리가 지연되고 있어 오는 8월 영국런던개최 예정 ‘IAAF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참가 여부 또한 미지수였음

(4) 26일 모나코 개최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이사회에서 Sebastian COE IAAF 회장은 오는 8월 런던에서 열리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러시아 참가를 불허한다고 밝히면서, 다만 선수 생체 여권에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는 러시아 선수들의 개인 참가의 길은 열려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짐

 

 

(좌로부터: 하마드 칼카바 말붐 아프리카 육상연맹<CAA>회장, Sebastian COE IAAF회장 및 Rene Andersen IAAF 러시아 반 도핑 T/F팀장/출처: IAAF홈페이지)

 

 

4)   러시아, 2028년 올림픽 개최에 관심표명

(1)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 Alexander Zhukov위원장은 2028녀 올림픽 유치 가능성을 시사함.

(2) Zhukov는 유치여부에 대해 아직 확정적은 아니지만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힘.

(3) 한편, 러시아는 IOC로부터 국제대회 개최를 금지하는 제재를 받은 바 있으며, 이미 많은 동계올림픽 종목들이 개최지를 러시아에서 다른 국가로 변경한 바 있음.

 

(Alexander Zhukov Vitaly Mutko부총리/출처: aroundtherings)

 

 

 

4. 국제패럴림픽위원회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개략소개:

 

                                   (IPC본부/출처: IPC홈페이지)

 

 

1)   독일의 본(Bonn)에 본부를 둔 비영리 국제기구로 1989 9월에 설립됨

2)   국제적인 비영리기구로서 177+1(서인도제도 Grenada를 회원국으로 20171월 말 승인)=178개의 국가 패럴림픽위원회(NPC: National Paralympic Committee)로 이루어져 있음

3)   하계 및 동계 패럴림픽을 개최하며, 9개의 세계경기연맹을 총괄하고 각종 대회를 조정함.

4)   현재 IPC의 회장은 Sir Phillip Craven으로 2001(-2017)부터 역임 중이며 임기가 만료되는 2017 3월 신임IPC회장으로 교체될 예정임

5)   한국은 1989년부터 IPC 회원으로서 1988년 하계장애인올림픽을 개최한 바 있음.

6)   9개 연맹으로는 (1)World Para Alpine Skiing, (2)World Para Athletics, (3)World Para Biathlon, (4)World Para Cross Country Skiing, (5)World Para Ice Hockey, (6)World Para Powerlifting, (7)World Shooting Para Sport, (8)World Para Snowboard, (9) World Para Dance Sport가 있음

 

 

 

 

 

5. 러시아 도핑파문사건연계 국제조사 검증 및 경과 일지 요약 재정리 및 Update

 

 

2014.12.03

(발단)

1)독일 TV 채널 ADR에서 ‘최고의 비밀 - 러시아가 승리하는 법’ 다큐멘터리 방송

(1) 러시아 육상경기연맹(ARAF), 세계육상경기연맹(IAAF),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ADA), 모스크바 WADA인증시험실이 조직적으로 연계하여 러시아 육상선수들에게 경기력 향상 약물을 제공해왔다는 사실 폭로

2) WADA, Richard W. Pound를 위원장으로 하는 독립조사위원회(IC)를 조직하여 수사에 착수

 

(Dick Pound)

2015.11.09

(경 과        조 사 결 과 발 표   내 용  )

3) 1차 독립조사위원회 조사보고서 발표

(1)경기력 향상 약물복용 관련 러시아의 뿌리깊은 ‘Cheating’ 문화 확인

( 2 ) 도 핑 에  동 조 하 지        선 수 는   러 시 아  국 가 대 표 에 서   제 외  시 킬   정 도 의   정 부 주 도  조 직 적             

(3) WADA가 시료 재분석을 위해 모스크바 시험실에 시료보존 요청 후 고의적으로 1,417개의 시료를 폐기 처분한 사실 확인

(4) 세계육상경기연맹(IAAF)의 부패 및 뇌물수수 확인

(5) 실험실 국장인 Dr. Rodchenkov가 시료 바 꿔 치기 및  결 과 조 작 의 대 가로  뇌 물 수 수 확인

(6)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ADA)의 도핑검사 정보의 고의적 노출, 검사국제표준 이탈, 뇌물수수, WADA 도핑관리행정프로그램(ADAMS)에 검사결과 고의적 미 입력 등 확인

2015.11.18

(조치내용)

4) WADA,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ADA)를 규정 미 준수 기구 지정 및 자격취소

2016.01. 27

(부 패   행 위        적 발 )

5) 2차 독립조사위원회 보고서 발표 (인터폴, 프랑스당국 등 협업)

(1) IAAF의 회장 Lamine Diack, 그의 아들이자 마케팅컨설턴트 Papa Masada Diack, 또 다른 아들이자 컨설턴트 Khalil Diack, 변호사 Habib Cissé, 컨설턴트 Ian Tan Tond Han, 의무 반 도핑위원 Dr. Dollé 등의 부패 뇌물수수, 싱가포르 비밀계좌 이용 등 확인

(2) Papa Masada Diack, Dr.Dollé 등이 ABP(Athletes Biological Passport/선수생체수첩) 프로그램 관련 부정행위확인 (ABP관련 선수정보 노출,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Shobukhovas로부터 ABP 결과조작 및 런던올림픽 출전의 대가로 뇌물수수 확인)

2016.05.12

(소치 2014 동계 올림픽 연루 사례 폭로)

6) CBS 60 Minutes, The New York Times의 소치올림픽 도핑파문 보도

(1) 러시아 실험실 국장 Dr. Rodchenkov가 소치2014 동계올림픽 당시 자국선수 (메달리스트 최소 15명 포함)가 정부주도의 조직적 도핑에 가담 (경기능력향상약물 직 접 제조 및 선수에 투여, 시험실에서 시료 바꿔 치기 등) 하였음을 폭로

2016.05.15

(러시아 정부당국자 사과)

7) 러시아 정부당국자 공식사과

(1) 그 동안 러시아의 국가주도 도핑스캔들 혐의를 부정하던 Vitaly Mutko 러시아 체육부 장관은 영국 Sunday Times에 기고한 글에서 "전 세계를 속이려 했던 러시아 육상 선수들이 더 일찍 적발되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밝히고 사과함.

(Vitaly Mutko/사진출처:insidethegames)

 

2016.05.18

(IOC위원장 공식개입)

8) Thomas Bach IOC 위원장, "No place to hide for drug cheats" 발표

2016.07.18

(WADA독립 변호사 결과 보고 발표)

9) WADA가 임명한 Independent 조사관-Prof. McLaren의 조사결과 발표(McLaren 보고서)

 

 

(Richard McLaren/사진출처:insidethegames)

 

(1) 2014 소치올림픽 위성시험실의 샘플 변조 및 바꿔 치기 확인

(2) 국가주도사실 확인 및 러시아 Federal Security Service, KGB, 국가대표 트레이닝센터, 러시아도핑방지위원회, 러시아체육부 개입 확인

(3) 최소 2011 부터 모스크바 WADA 인증시험실의 샘플 변조 및 바꿔치기 확인

(4) 20개의 하계올림픽종목을 포함한 30개종목의 국가주도 도핑시스템 확인

(5)러시아체육부장관 겸 FIFA 집행위원인 Vitaly Mutko 장관 연루 혐의 확인

2016.07.18

(WADA의 러시아 Rio2016올림픽 전면 출전금지 관련 구체적 조치권고사항 발표)

10) WADA 집행위원회, 러시아 전 종목 선수들에 대한 Rio2016올림픽 출전금지 (Blanket Ban)를 골자로 하는 ‘권고사항’ 발표

(1) IOC IPC에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소속 모든 선수의 Rio2016 올림픽 참가신청서(Entry)를 제한할 것을 권고

(2) IOC, IPC, IFs의 해당 규정에 따라 관련된 조직 및 선수에 대한 제재권 부여 권고

(3) 예외적으로 도핑을 하지 않은 러시아선수에 대해 WADA가 제시한 조건 충족 시, Neutral 중립국(개인)자격으로 Rio 올림픽 참가 허용 검토

(4) 러시아 정부 관리들에 대한 Rio2016 올림픽 접근 거부 권고

(5) 러시아도핑방지위원회 및 시험실에 대한 자격정지 유지

(6) 추가조사 지속적 실시

2016.07.24

(WADA조치권고에 따른 IOC집행위의 반응과 갈등)

11) IOC 집행위원회가 WADA의 권고안을 받아들이지 않고, 종목별 IFs 소속 러시아 선수들에 대한 Rio2016올림픽 참가여부를 자체 결정하도록 함

(1) WADA, 14개 국가도핑방지기구(NADOs), 다수의 언론 등이 이에 대한 유감과 우려 표시

 

2016.07.30

(IOC조정 안에 따른 IFs조치경과)

12) 러시아선수 전면 출전불가 기 결정된 육상 포함 각 IFs가 자체심의결과

(1) 6개종목 (육상, 역도, 조정, 수영, 카누, 근대5, 요트) 112명 출전금지 결정

(2) 나머지 종목의 러시아선수 출전여부는 추후결정

2016.07.31

(Beijing2008, London 2012올림픽 선수 도핑검사 샘플 재조사 결과 발표)

13) 베이징2008, 런던2012올림픽 시료(Sample) 1,200여개 재분석 결과

(1) 98개의 시료 양성반응 (23명의 올림픽메달리스트 포함)

2016.07.31

(IOC의 수습 방안)

14) 개인자격으로 출전 신청한 러시아선수들의 최종 참가여부를 결정할 3인의 위원회 (3-Person Panel)구성 IOC 발표

2016.07.31

(IOC위원장의 WADA실책 지적)

15) Thomas Bach IOC 위원장, 기자회견에서 러시아 도핑사태의 책임을 WADA에 전가

 

(사진출처:insidethegames)

 

(1) 캐나다 Mclaren 변호사 보고서의 발표타이밍, WADA의 실험실인가 및 관리 시스템 부족 등

2016.08.01

(IOC위원장 책임전가에 대한 WADA의 반박 및 해명 발표)

16) WADA, 반박성명 발표

(Sir Craig Reedie WADA회장)

 

(1) 2015세계도핑방지규약이 Investigation 권한을 WADA에 부여함과 동시에 조사작업착수

(2) McLaren 보고서가 발표된 시점이 올림픽을 바로 앞두었기 때문에 혼란이 예상 되었으나, 사안의 심각성 때문에 즉각 발표 및 후속조치 단행 해명

2016.08.02

(IOC총회, 러시아 선수단 전면 출전금지조치 해제 승인)

17) Rio 현지에서 열린 제129 IOC 총회에서 러시아 선수의 올림픽 출전을 종목별 경기 단체의 판단에 맡긴 IOC집행위의 결정승인

(1) 연설에서 Thomas Bach IOC 위원장, IOC의 입장 재확인

(2) 러시아선수에 대한 전면 출전금지조치(Blanket Ban) IOC의 깨끗한 선수 보호정책(protection of the clean athletes)에 부합하지 않음

(3) WADA의 도핑방지시스템에 대한 재검토 및 전면적인 개혁 과 개편 필요

 

 

*2016. 08.08(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 Rio2016출전 전면금지):

 

-IPC 선수단 출전금지 20169월개최 Rio2016 패럴림픽에서 러시아 패럴림픽선수단 전체가 출전 금지 위기에 처함. 

                      -20168 8 (현지시각 7일 오후 5시경) Rio2016 MPC에서 IPC는 기자회견을 통해 확정된 결과를 발표한 바 있음

 

         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출처: IPC)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 (RPC)의 도핑원칙 미 준수를 이유로 자격 정지를 결정한 바 있음   

-동 결정에 의거,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은 20169월 개최 예정이었던 Rio2016 패럴림픽에 출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러시아에서 패럴림픽 관련 이벤트 또한 개최하지 못함

-동 결과에 대해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Maria Zakharova인간적이지 않은 결정이라고 비판하였고, IPC Craven 회장은 러시아의 도핑방지 시스템은 완전히 무너졌다며, 몇몇 개인의 선수들은 깨끗할지 모르나 시스템 전체를 바꾸지 않는 이상 선수들의 대회 출전 불허를 언급함.

   -WADA IPC의 결정에 지지의사 밝힘


 


(Rio2016 MPC에서의 IPC 기자회견/출처: aroundtherings)

 

 

*2016.11.01(러시아 패럴림픽선수단 평창2018 참가금지 가능성 제기):

 

-2016111일 자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 평창 2018패럴림픽대회 5개 종목 참가 금지 가능성 시사

-러시아는 평창2018동계패럴림픽의 6개 종목 중 5개 종목에 참가불허 가능성 커짐

 - 6개 종목(휠체어 컬링,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아이스슬레지하키)이 치러지는 평창2018패럴림픽에서휠체어 컬링 단 한 종목에만 참가가능하며 나머지 5개 종목은 IPC 소속이므로 현재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의 자격정지 처분으로 인하여 출전이 불가할 것으로 알려짐

-IPC는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충족요건을 러시아에 통보할 예 정 이며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시, 2016 12월 중 해지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도 된 바 있었음

 

 

(평창2018패럴림픽대회 정식종목 중 러시아가 유일하게 참가 가능한휠체어 컬링종목/출처: Getty Images)

 

**2016.11.22(RPC에 자격정지처분해지 준수사항전달):

 

-20161122일경 IPC, RPC에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사항전달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로고/출처: RPC)

 

-IPCWADA와 협의를 통해 필요조건들을 개정했으며 기본적으로 각 국가패럴림픽위원회(NPC)에 해당되는 WADA IPC의 도핑방지규정준수의무를 밝힘

-RPC에 전달된 사항 중에는 (1) RPC 조정위원회 설립, (2) 도핑방지 문화의 확립, (3) 도핑방지 교육 및 검사와 결과관리의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됨.

 

*2016.12.09(2McLaren 보고서발표에 따른 러시아 패럴림픽선수단 평창2018 출전자격예선 참가 불허 발표:

 

-지난 2016129, 2 McLaren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세계 각국의 선수 및 국제스포츠 계 관계자들로부터 비판이 거세졌으며 러시아에 대한 제재 요청 또한 쇄도함.

-2017년도 21일 자 외신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에 대하여 평창2018패럴림픽을 위한 예선대회 출전도 금지한다는 발표가 있었음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IPC에 평창2018패럴림픽의 출전 자격부여대회(qualification events for the PyeongChang 2018 Paralympic Winter Games)참가 요청했으나 거절당함.

 

 

*2017.0129~31(IPC집행위원회 대 러시아 징계처분 지속 결정 및 평창2018 출전 제한):

 

-지난 129일부터 3일간 독일 본(Bonn)에서 진행된 IPC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IPC RPC의 회원국자격정지 회복을 위한 모든 준수사항 반영 전까지 징계처분이 지속될 것이며 이로 인해 IPC가 관할하는 모든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음

-또한, 징계의 장기 지속 경우 평창2018패럴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진행되는 6개 종목 중 IPC 관할하는 5개 종목 대회에 참가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됨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의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의무사항 필요조건 전달과 함께 이를 관리할 대책위원회를 구성함.

 

 

6. 대 러시아 강경제재에 따른 배경과 향후 전망

 

참고로 평창2018동계올림픽 러시아 출전관련 사안(if any) IOC집행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리마 개최 제130 IOC총회(913~)최종의결사항이고 러시아의 평창2018동계패럴림픽 참가는 IPC 집행위원회/총회의 결정사안으로 전망됩니다.

 

영국의 대 러시아 강경노선 방침도 러시아 제재처분 결정 로드 맵에 반영된 듯 합니다.

 

1) WADA회장: Craig Reedie IOC위원 (영국)

2) IPC위원장: Phil Craven IOC위원(영국/ 2017년 임기만료로 교체 예정)

3) 러시아 선수단 Rio2016출전 반대 유일한 찬성표 행사: Adam Penguilly 선수 IOC위원(영국

4) WADA회장 겸 WADA독립조사위원장: Dick Pound IOC위원(캐나다/영연방)

5) WADA독립위원회 심층보고서총괄 책임자: Mclaren변호사 겸 교수(캐나다/영연방)

 

*References:

-IPC홈페이지

-주요외신종합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2. 5. 19:44

[일본 국제스포츠 계 거목 Okano 일본 IOC명예위원 별세]  

 

22일 올림픽축구 동메달을 받았던 IOC위원 역임 Shunichiro Okano IOC명예위원이 별세하였다고 합니다.

 

 

 

                           (Shunichiro Okano/출처: IOC홈페이지)

 

 

 

일본 스포츠외교의 한 축을 맡아 오던 Okano일본 IOC명예위원이 향년85세로 유명을 달리한 고인에 대한 명복을 빕니다.

 

각계 각층에서 고인을 추모 하였다(tributes have been paid to former IOC Honorary member)고 합니다.

 

고인은 일본 국가대표축구 선수와 코치를 역임한 바 있으며 22일 폐암(lung cancer)으로 도쿄의 한 병원에서 별세하였다고 합니다

 

Okano IOC위원은 1968 Mexico City 올림픽 축구경기에서 3위로 동메달을 획득한 일본 축구대표팀 조감독(an assistant coach)자격으로 올림픽 동메달을 받았었으며 이후 1970~1971 2년 간 일본 축구팀을 관리하였다고 합니다.

 

경기장 밖에서(off the pitch) 그는 1998~2002년 일본축구협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2002년 한국과 일본이 FIFA월드컵을 공동개최 하였을 당시 일본 측 조직위원장을 맡기도 하였습니다.

 

2008~2017년까지 고인을 일본축구협회(JFA) 상임고문(Supreme Advisor)로 일본축구 계의 지도자 급 원로였으며 2012년에는 80세가 되어 IOC 연령제한규정에 따라 22년 간 봉직하였던 IOC위원에서 명예위원이 되었으며 Tokyo2020올림픽유치활동 시 유치성공을 위해 한 축을 맡아 유치성공에 기여 한 바 있습니다.

 

 

 

Shunichiro Okano played a key part in helping Tokyo win the hosting rights to the 2020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Getty Images (유치 당시 Ishihara 도쿄도지사와 Okano 일본 IOC명예위원/출처: insidethegames)

 

 

 

고인은 그 외에 1977~1991(14년 간) 일본올림픽위원회(JOC) 명예총무(Honorary Secretary General)를 역임하였으며 별세 직전까지 JOC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었다고 합니다

 

Thomas Bach IOC위원장 역시 고인에 대해 추모하며(pay respects to Okano) 명복을 빌었다고 합니다.

다음은 Bach IOC위원장의 추모발언입니다:

 

"He was always passionate about sport and in particular football.” (고인은 항상 스포츠, 특히 축구에 대하여 남다른 열정을 보여주었음)

 "He played a major role in the successful organisation of the FIFA World Cup in Japan and Korea. (고인은 한-일 공동개최 2002 FIFA월드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

 

"He made many friends around the world, including me, and we will all miss him greatly." (고인은 나를 포함하여 전 세계에 걸쳐 많은 친구를 사귀었으며 우리 모두는 고인을 모두 기억하며 그리워할 것임)

 

Kozo Tashima 일본축구협회(JFA)회장을 포함한 일본 축구 계에서도 많은 추모가 이어졌다고 합니다.

 


Shunichiro Okano was also chairman of the 2002 FIFA World Cup Organising Committee ©Getty Images (출처: insidethegames)

 

 

Tashima JFA회장이 일본 Kyodo뉴스와의 인터뷰 발언 내용입니다:

 

"I admired him as someone who was active in the fields of soccer, sports and education.”  (고인은 축구와 스포츠 계 그리고 교육 분야에 두루 왕성한 활동을 하신 분으로 추모하고 존경을 표함)

 

"Many of the things I’m doing now as President have been influenced by him."

(내가 일본축구협회회장으로 하고 있는 일 들 중 많은 부분은 고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음)

 

일본의 최고 국제축구 골 잡이(Japan’s all-time top international goal-scorer) Kuishige Kamamoto 역시 Okano에 대해 추모하며 찬사를 쏟았다고 합니다(a lot of admiration for Okano)

 

1968년 멕시코올림픽 일본국가대표팀 선수였으며 일본을 위하여 80골을 기록한 바 있는 Kamamoto의 계속되는 발언입니다:

 

"He picked me for the [national] youth teams and always looked after me."  (고인은 나를 청소년 대표팀에 발탁하여 주셨으며 항상 챙겨주셨음)

 

"He was always there for me while I developed as a player." (고인은 선수로 발전해 나갈 때 마다 내 뒤에서 나를 후원해 주셨음)

 

고인은 2012 IOC위원 현역 은퇴 시 올림픽훈장 은장을 수여 받았으며 그 보다 7년 앞서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첫 번 째 헌액 대상자 명단에(one of the first inductees into the Japanese Football Hall of Fame)포함되었다고 합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