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들어도 감동의 드라마였다.


이제 15명 IOC실사단의 입을 통해 평창2018유치의 진정성과 정당성, 명분과 의지가 전 세계로 전파될 것이다.
투표권자들인 102명 IOC위원들 귀에도 이러한 감동의 메아리가 흘러들어 가고 있을 것이다.
IOC위원들 투표는 이성적이기 보다는 감성적인 측면이 많다.
로게 IOC위원장이 이야기한대로 올림픽유치 성패는 기술적 평가보다는 "인간적 요인"(Huamn Factor)에 많이 좌우되고 있다.
그렇다면 평창 2018이 앞으로 해야 할 과제는 자명해 졌다.
IOC위원들의 감성을 잡아야 한다.
그러려면 "벼개송사"(pillow talk)의 헤게모니 메이커인 IOC위원들 와이프들(Wives)의 마음을 사로 잡을 수 있는 작전도 함께 구사해야 한다.
평창유치를 응원하는 여러 명의 IOC위원 친구들이 중요한 제언을 해 주고 있다.
감성의 금맥을 캐내야 평창이 오는 7월6일 남아공에서 "더반 대첩"을 이루어 낼 수 있다.
<미국 스포츠 전문기자 Alan Abrahamson의 IOC 조사평가단의 평창 실사 후 종합 기사내용( 3-Wire- Sports) 소개>
[Woo: “Yes, PyeongChang!” (와우, 예스 평창!) ]
2018 동계올림픽 컬링 경기장 예정지에 IOC 실사단이 들어서자 정확히 2018명의 사람들이 하나가 되어 일어나 신호에 맞추어 “I Believe in Angels”를 노래하기 시작했다.
노래의 가사는 “I’ll cross the stream / I have a dream”을 지나 “I believe in angels / something good in everything I see / when I know the time is right for me / woo / I have a dream / a song to sing / to help me cope with anything”으로 이어졌다. 다른 장소라면 이 노래에 감탄하지 않았겠지만, 잠깐 – 여기는 한국이고 이 사람들은 정말 아주 매우 간절히 동계올림픽을 유치하고 싶어 한다. 그러니 감탄한다. 와우.
이 감탄은 가식적이지 않다. 진심어리고 마음 깊은 감탄이다. 이 감탄은 2018 대회 개최지 선정 투표를 향해 나아가는 한 비드의 소리며, 이 순간 사람들의 마음 속에 있는 한 질문 – 2010, 2014 실패에 이어 동계올림픽을 위한 평창의 연속된 세 번째 도전이 한국 사람들의 오랜 염원을 이루어줄 수 있을까 – 라는 질문을 담고 있다.
스웨덴의 구닐라 린드버그 IOC 조사평가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두 비드와 비교해 커다란 진전을 확인했다. 또한 이번 비드에 대한 정부의 강한 지지를 확인했다”고 토요일 기자회견에서 언급하며 “또한 최근 몇 년간 한국 동계스포츠 성적의 개선도 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지금의 서두 단계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 심지어 한국의 라이벌들조차 – 한국을 이겨야 성공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IOC 투표 결과가 특히 예측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고, 독일과 프랑스의 후보도시들도 각자 나름의 방식으로 만만치 않은 상대임을 증명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선두주자로 인식되는 꼬리표는 물론 장단점을 모두 가진다. 대부분의 비드들은 이 꼬리표를 열심히 마다한다. 예를 들어, 2012 유치 경쟁 당시 파리는 마지막 투표를 앞둔 순간까지 수 개월 동안 선두로 꼽혔지만 승리는 런던의 차지였다.
평창의 경우, 북한과의 긴장관계가 급작스레 악화될 수 있다. 또는 내부 다툼으로 비드가 엉뚱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아니면 예측할 수 없는 어떤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
올림픽 비드 캠페인 과정에는 말 그대로 그 어떤 일도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반면에, 선두주자라면 비드가 가진 이야기(메시지)를 – 양질의 이야기라면 – 원하는 대로 전달하고 원하는 대로 과정을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이 때에 유의할 점은 안이해지지 말고 겸손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는 것인데, 평창은 바로 이러한 태도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토요일 기자회견에서 조양호 유치위원장은 “우리는 IOC가 지적하는 우리 약점을 받아들이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했다.
그동안 평창은 세 후보도시 중 가장 설득력있는 메시지를 이미 가지고 있으며, 아시아 동계스포츠 성장을 위한 한국 동계올림픽 개최라는 이 메시지는 최근 IOC의 확산 트렌드(2014 소치, 2016 리오)와 맞아떨어지고 있다.
사실 어려운 얘기가 아니다. 세계의 인구와 재산이 이[아시아] 지역에 모이고 있다. IOC가 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동계올림픽은 아시아, 그것도 일본에서만 단 두 차례, 1998 나가노 및 1972 삿포로, 대회가 열렸을 뿐이다.
여기서 의문은 IOC가 방향을 선회하는 시점이 과연 한국으로 2018년에 될 것인지, 아니면 그 이후 (2022? 2026? 2030?) 아시아의 다른 나라(중국? 카자흐스탄?)를 향해 할 것인지 하는 점이다.
서울대학교 박원호 교수가 금요일 브리핑을 통해 설명했듯이, 2009년 연구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은 2030년 전세계 소비의 43%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성장의 결과는 단순하지만 강력하다.
박교수는 이어 아시아의 소비자들은 “전통적으로 미국과 유럽의 중산층이 행하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아시아에) 가용소득이 충분한 잠재적 동계스포츠 소비자들이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하며 “다른 어느 지역도 이러한 수치에 근접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그래서 지금 여기 평창에는 인터콘티넨탈 호텔과 홀리데이인 호텔이 새로 자리하고 있다.
4년전, 호텔과 상가가 들어선 지금의 알펜시아 리조트 자리는 감자밭 뿐이었다. 4년 전 IOC 실사단이 방문했을 때에 당시 한국의 관계자들은 ‘이러한 호텔과 상가와 경기장을 지을 예정’이라고 설명해야 했다. 이제 그들은 ‘봐라. 이렇게 완공했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모든 것이 다 지어진 것은 아니다. 정말 큰 변화를 가져올 서울과 연계되는 고속철도는 아직 착공되지 않았다. 서울에서 평창까지 내려오는 데 아직은 3시간까지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2017년 고속철도가 완공되면 이 시간이 한 시간 정도로 줄어든다.
2010과 2014 비드는 강원도의 비드라는 인식이 강했다. 실사기간 중 이명박 대통령의 직접 방문이 증명하듯 2018 비드는 철도를 비롯한 모든 것이 정부의 우선과제다.
알펜시아 리조트의 단점은, 하나의 자족적인 마을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평창 유치위의 이곳에 2018 대회 때 “Best of Korea”를 도입하고자 하는 계획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도시를 원하는 이들을 위해 서울과 빨리 연결되는 고속철도를 지으려는 계획이 매우 중요하다.
알펜시아 리조트의 장점 또한 하나의 자족적인 마을이라는 점이다. IOC는 이곳에서 많은 이들이 사랑했던 1994 릴레함메르 대회의 작은 마을 분위기를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또한 간과되고 있지만 명백한 하나의 보너스가 추가된다. 바로 로버트 트렌트 존스 주니어가 설계한 27홀 골프 코스가 옆에 있다는 점이다.
[실사가 진행된] 이번 주에는 날씨 – 평창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렸고, 제설작업도 기록적으로 빨리 이루어졌다 – 때문에 골프를 칠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2018 대회가 여기서 열린다면, (새로 올림픽 종목에 추가된) 골프를 한 라운드 치고 저녁에 스노보드나 피겨스케이팅 경기를 볼 수 있다면 정말 환상적인 일석이조가 되지 않겠는가? 다른 어디에서 그런 경험을 할 수 있단 말인가?
그렇게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일부 골프장과 축구, 럭비 경기장에 흔히 설치된 지하 열선 설치인데, 비록 비용이 들겠지만 가능한 방법이라고 골프 관계자들은 말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계획이 아직 수립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스키점프 전망대 위에 서서 지난 4년간 이루어진 결과물을 바라보면 골프코스를 놓칠 수 없다.
또한 한국 사람들의 열정도 절대 놓칠 수 없다.
금요일 경포 해변에 모인 이들은 반복해서 “예스 평창!”을 외쳤고, 많은 이들은 IOC 실사단의 모습을 한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 기발한 발상이다.
언뜻 누군가 동원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그렇지 않다.
저널리즘을 공부하다 보면, 10명 중 9명은 여론조사원에게 엄마를 사랑한다는 것도 확인해주지 않는다고 배운다. 이곳의 올림픽 유치 지지 의견은 91%다. 91%!
또 하나의 확인 신호는 한국 기자단의 취재열기다. 엄청난 수의 한국 기자단이 출동해 마치 왕족을 취재하듯 IOC 실사단의 일거수 일투족을 관찰했다. 코리아 타임즈는 취재단 규모가 162명의 기자와 카메라라고 했다. 162!
평창 유치위가 토요일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인구의 2.8%에 해당하는 140만명의 유치 지지 서명이 모아졌다고 한다. 대단한 숫자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미국에서 유사한 서명운동이 진행됐다면 뉴저지의 모든 주민이 서명한 것과 같다.
한국의 모든 곳에서 이러한 열기가 보인다. 두어달 전 서울의 태릉선수촌에서 밴쿠버 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500m 금메달, 1000m 은메달을 획득한 모태범 선수와 편안한 대화를 나누던 와중에 평창 유치 이야기가 나왔다.
모태범 선수는 눈을 반짝이며 “모국에서 열리는 올림픽 경기에 설 수 있다는 것은 정말 귀한 경험이 될 것”이고 “평창에서 올림픽이 열린다면 내가 평생 잊을 수 없는 경험이 될 것이다. 내 꿈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Woo: ‘Yes, Pyeongchang!’
PYEONGCHANG, South Korea – Precisely 2,018 people rose as one here amid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s visit to what would be the curling rink should this be the winning entry for the 2018 Winter Games and, on cue, started belting out a song called, “I Believe in Angels.”
The lyrics veered from, “I’ll cross the stream/I have a dream,” to, “I believe in angels/something good in everything I see/when I know the time is right for me/woo/I have a dream/a song to sing/to help me cope with anything.”
Anywhere else in the world you might not say woo but — what? This, though, is South Korea, and they really, really, really want the Winter Olympic Games here. So, woo.
Woo here isn’t cheesy. Woo here is genuine and heartfelt. Woo is the sound of a bid roaring toward the election for 2018, and woo frames the question of the moment: can this third straight Pyeongchang bid for the Winter Games, after unsuccessful campaigns for 2010 and 2014, be the one that fulfills the earnest longing of the Korean people?
“We have seen great progress in the bid from the previous two bids. We have also seen very strong governmental support for this bid,” the chairwoman of the evaluation commission, Sweden’s Gunilla Lindberg, said at the first of two news conferences Saturday, adding a moment later, “We have seen also progress for Korean winter sport for these last years.”
The evaluation commission, which spent last week in Annecy, France, takes a break now for a week. It goes to Munich, the third and final candidate in the 2018 derby, from March 1-4.
The commission will produce a report to be published May 10. The IOC will gather a week later in Lausanne, Switzerland, for a conference that will likely attract most of the roughly 115 members; only then will the 2018 race begin to take real shape.
The IOC will pick the 2018 city on July 6 in a vote in Durban, South Africa.
At this preliminary stage, most everyone — even the Koreans’ rivals — ventures that the Koreans are the ones to beat, most everyone also mindful that, one, IOC elections are notoriously unpredictable and, two, the Germans and the French are in their separate ways likely to prove formidable competitors.
The perception of being the front-runner carries, of course, advantage and disadvantage.
Most bids furiously shy away from the label. Paris, for instance, was thought to be in front for the 2012 Summer Games — for months and months, indeed all the way up to the final round of voting. London won.
Here, for instance, tensions with North Korea could erupt. Or some sort of internal bickering could derail the bid. Or some Mystery X Factor could surface.
In an Olympic bid campaign, literally anything is possible.
Then again, being the front-runner allows you to tell your story — if you have a good one — and to run the race the way you want to run it. The trick is to not be complacent, and to exhibit humility, and those are the mantras of the Pyeongchang campaign.
Meanwhile, this bid has a ready-made story, arguably the most compelling narrative among the three cities in the race, one seemingly in line with the IOC’s expansionist trend in recent votes (Sochi in 2014, Rio in 2016) — a Korean Winter Games to grow winter sports in Asia.
It’s a no-brainer, really. The demographics and the money are pointing toward this part of the world. It’s inevitable the IOC is coming this way. The Winter Games have been held in Asia only twice, both times in Japan, in Nagano in 1998 and Sapporo in 1972.
The open question is whether the IOC is going to make the leap to Korea in 2018 or some other country in Asia (China? Kazakhstan?) in some other year (2022? 2026? 2030?).
As Won Ho Park,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xplained in a briefing Friday, a 2009 bank study suggests that by 2030 development in Asia will underpin about 43 percent of annual worldwide consumption.
The consequence of that is simple and powerful:
Asian consumers are “likely to assume the traditional role of the U.S. and Europe’s middle-class,” he said, adding a moment later, “We’re going to have a lot of potential consumers of winter sports with disposable incomes.”
He also said, “No other region in the world even comes close.”
That’s why this Pyeongchang bid is tag-lined “New Horizons.”
That’s why there are now new Intercontinental and Holiday Inn hotels in Pyeongchang.
Four years ago, what is now called the Alpensia complex here, with the hotels and shops, was a series of potato fields. When the IOC evaluation team was here four years ago, the Koreans had to say, this is where we’re planning to build those hotels and shops and sports venues. Now they say, look, we got it done.
Not everything is built yet. For instance, the real game-changer would be the bullet-train yet to be built from Seoul. Getting down here from the Korean capital can still take as long as three hours-plus. The train, to be done by 2017, would reduce travel time to roughly an hour.
The 2010 and 2014 bids were seen to be provincial campaigns; for 2018, that train and everything about the Pyeongchang bid is a leading national priority, as the presence of South Korean President Myung Bak Lee on hand here this week made plain.
The downside of Alpensia is that it is, in essence, a self-contained village in southeast South Korea. That’s why the plan here would be to create a “Best of Korea” experience during the 2018 Games and why completion of the bullet train — to allow for the possibility of getting easily back and forth to the big city — would be so vital.
The upside of Alpensia is that it is a self-contained village. Here the IOC could re-create that village experience that so many people say they loved so much in Lillehammer in 1994.
With a bonus that has clearly been downplayed but is patently obvious — there’s a 27-hole golf course here designed by Robert Trent Jones Jr.
The weather this week perhaps would not have allowed for golf — they got record snow here, all of it cleared away in record time — but if the Games went here in 2018 and you could play 18 (showing support for that new Summer Games sport) and then watch a little snowboarding or figure skating at night, that would make for an outstanding double dip, wouldn’t it? Where else could you do that?
All it would take is the sort of under-course heating that’s common already in certain golf courses as well as soccer and rugby pitches. It might be expensive but it assuredly could be done, leading golf officials said.
Again, they say that’s not in the near-term planning. But you can’t miss that golf course when you’re standing on top of the ski jump, looking out at what has been built here over the past four years.
And you can’t miss the enthusiasm of the Korean people, either.

No whining, no crying, just cheering in the cold even from the younger fans of the Pyeongchang 2018 bid
“Yes, Pyeongchang!” they shouted time and again at a beachfront rally here Friday, many of them wearing masks they had made up reflecting the faces of the members of the IOC commission. Now that took initiative.
You’d think that everyone had just been put up to this by some local ward captain. Except that public opinion surveys tell you otherwise.
In journalism school, they teach you that nine of 10 people won’t even tell a pollster they like their mommies. Here, 91 percent want the Olympics. 91 percent!
Another sign: the IOC commission was greeted like royalty by an outrageous number of Korean reporters here to chronicle the panel’s every more — 162 reporters and camera people, the Korea Times reported. 162!
The bid committee issued a release Saturday that said it had collected 1.4 million signatures of support, roughly 2.8% of the South Korean populace. That’s enormous. To put that into perspective — if a similar campaign produced similar results in the United States, it would be like collecting a signature from every single person in New Jersey.
It’s like this all the time, everywhere, in South Korea. A couple of months ago, during a casual chat at the national training center near Seoul with long-track speed skater Mo Tae Beom, winner of gold in the 500 and silver in the 1000 last year in Vancouver, the subject of Pyeongchang’s campaign came up.
His eyes brightened. “It would be such a rare experience to be able to skate in an Olympics hosted in your own nation,” he said. “If It happens in Pyeongchang, it would be a life experience I would never forget. It would be a dream come true.”
Woo.
–
A clarification: The name of the song is “I Have a Dream,” and it’s by ABBA.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강로의 평창 진단 D-100) 박용성의 힘, 그리고 과연 그는 누구일까?(시리즈:48/동계올림픽유치경쟁)njzjzg (0) | 2011.03.26 |
---|---|
2018 동계올림픽 IOC현지실사결과, 언론의 시각은?(시리즈:47/동계올림픽유치경쟁)njzjzg (0) | 2011.03.20 |
동계올림픽유치경쟁에 "블랙스완(Black Swan)"이란?(시리즈:48/동계올림픽유치경쟁)njzjzg (0) | 2011.03.18 |
거꾸로 본 평창 2018 세계1위 탈환의 허허실실(虛虛實實)?(시리즈:46/동계올림픽유치경쟁)njzjzg (0) | 2011.03.17 |
"평창 2018", 컨트롤타워가 불분명?(시리즈:45/동계올림픽유치경쟁)njzjzg (0) | 201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