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강로 스포츠외교관 에피소드 29편(대한체육회직원 및 임원에서 서울시 2032년올림픽유치특보 임명과 책 출판기념회 그리고 회장출마선언과 출사표 그리고 실제상황)]
대한체육회 봉직 기간은 직원 22년+임원 4년(KOC위원 및 위원장 특보) 도합 26년이란 세월이 흘렀고 평창의 동계올림픽 3수도전 10년 및 평창2018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근무 4년 합쳐서 40년이 흘러 어느덧 2020년이 되었고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와 더불어 다시 2021년이 도래했다.
2020년 4월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2032년 서울-평양 올림픽공동유치를 위한 서울시 유치특보로 임명 받아 2021년 초까지 1년 간 Thomas Bach IOC위원장 서울평화상 시상식 방한 시 당시 서울시장 직무대행과의 면담도 연결해 주었지만 유럽 내 코로나 상황이 악화되어 방한이 취소되는 바람에 다음을 기약하게 되었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 70일 전인 4월 29일 6층 서울시장실에서 2032년 올림픽 서울시 유치특보 임명장을 받고 있는 필자와 박시장<사진우측>)
서울시가 IOC미래유치위원회와의 화상회의 PPT자료작성 및 감수에도 관여해 주었지만 여러 가지 상황으로 필자가 제안한 비상 전략이 관철되지 않아 실망스러웠다. 결국 2021년 2월 24일 호주 Brisbane2032가 사실상 개최지로 낙점 되는 바람에 2032년 올림픽유치 역시 무산된 셈이다.
서울시 유치특보 직은 그러는 와중에 2021년 초 사임하였지만 업무적으로, 기술적으로 외교적으로 5월12일 IOC총회에서 Brisbane2032확정 시까지 對 IOC 각종 서류 및 자료작성과정에서 무상으로 자문해 주었다.
대한체육회 직원-임원으로 26년이 스포츠외교인생 1막, 평창3수 유치 및 평창2018동계올림픽조직 운영에 12년이 스포츠외교인생 2막, 그리고 제 3막은 2020년 1년 간 대한체육회장선거 출마 출사표와 선거운동으로 시작한 셈이다.
2020년에는 여러 지인들과 선수 및 체육지도자들의 강력한 권고로 ‘대한체육회의세계화-국제화’란 기치를 내걸고 대한체육회장선거에 출사표를 던지며 대한체육회직원 출신으로는 사상최초로 역사에 길이 남을만한 대한체육회장후보 출마선언을 한 뒤 예비후보로 선거운동에 돌입하기도 하였다.
그 일환으로 2020년 11월12일 필자의 7번 째 스포츠외교관련 저서 “스포츠외교론(과 한국스포츠외교실록)’ 출판기념회를 프레스센터에서 갖기도 하였다.
사실 KOC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었다면 보다 적극적이고 공격적으로 선거운동에 임하는 계기가 되었겠지만 상황상 여의치 않아 先 대한체육회장 출마 後 KOC분리를 고려하기도 하였다.
4년 간 기존 대한체육회장의 프리미엄을 활용하여 사실상 대한체육회장 선거운동을 해 왔던 이기흥 회장을 이기기 위해선 출마후보들의 단일화가 절실하였다.
회장후보등록마감일 바로 전날밤까지 후보단일화를 위해 나른 애썼지만 무위에 그쳐 이에리사 후보와 필자는 후보사퇴하기에 이르렀다.
그래도 대한체육회장선거운동을 통하여 지방체육회장 등 체육인들과 현장이야기를 듣고 체육회장 당선을 향한 길이 제도적 시스템적으로 어렵게 되어 있음을 확인한 것이 성과라면 성과였다.
세계 각국 스포츠 통할 조직은 한결 같이 NOC가 모태가 되어 유사 스포츠단체를 통합한 것인데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스포츠 통할 단체인 대한체육회가 NOC(KOC)를 흡수 통합한 희귀한 케이스다.
전세계에 우리나라처럼 전국단위 스포츠조직과 구성원들이 모두 총망라되어 추첨으로 당첨된 무작위 선거인단이 정부조직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감독하에 올림픽 헌장 규정 산 정치와 확실하게 거리를 두어야 하는 대한체육회(KSOC)회장을 선출하는 사례는 찾아 보기 어려운 기이한 구조다.
스포츠발전이나 비전이나 능력과 경력 및 실력 그리고 국제적 인맥 등은 차치(且置)하고 누구든 전국적으로 다니며 정치인들의 행태와 유사한 사전선거운동에 능한 후보만이 대한체육회장으로 선출되기 좋은 환경과 구조는 바람직하지 못한 적폐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가까운 시일내, 체육인들이 자발적으로 이러한 구조적 모순을 풀어야 하는 절대절명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향후 대한체육회장선거가 “기회는 평등(Equal Opportunity) 과정은 공정(Fair Process) 결과는 정의(Righteous Result)”로운 새로운 패러다임이 정립됨으로 체육도 단순히 이러한 정치적 색채의 구호로 그칠 것이 아니라 명실공히 선진화-세계화-국제화에 기반을 둔 알차고 지속 가능한 스포츠외교가 살아 숨쉬도록 일취월장(日就月將)하기를 기대해 본다.
To be Cont’d...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도 국제스포츠인재양성 직무집중과정개강을 계기로 짚어본 그간 동향과 향후 해야할 일 (4) | 2021.07.08 |
---|---|
윤강로 스포츠외교관 에피소드 30편(대한체육회 대한올림픽위원회 26년 간 정다운 임직원들과의 포토 갤러리) (0) | 2021.07.07 |
윤강로 스포츠외교관 에피소드 28편(내가 몸 담았던 대한체육회<22년+4년> 그 시절 그리고 이후) (2) | 2021.07.05 |
윤강로 스포츠외교관 에피소드 27편(내가 만난 역대 대한체육회장 겸 KOC위원장들) (0) | 2021.07.03 |
Thomas Bach IOC위원장 7월8일 일본도착확인, 한국 IOC위원들 독도이슈논의 차 7월12일 경 訪日하면 어떨까? (1) | 2021.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