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8. 1. 18. 15:52

[평창2018선출 올림픽하계종목국제연맹총연합회(ASOIF)당연 직 IOC집행위원 누가 뽑힐까?]

 

116일 자 한 외신에 따르면 올림픽하계종목국제연맹총연합회(ASOIF: Association of Summer Olympic International Federations)자격 당연 직 IOC집행위원 한 자리를 놓고 3명의 국제연맹회장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고 합니다.

 

 

 

                 (IOC집행위원회 모습/출처: IOC홈페이지)

 

 

1명의 당연 직 IOC집행위원 쿼터를 놓고 각축전에 돌입한 국제연맹회장 3(the trio)Marisol Casado 국제트라이애슬론(ITU)회장<스페인출신 여성 IOC위원>Nenad Lalovic 세계레슬링연맹(UWW: United World Wrestling)회장 및 Jean-Christophe Rolland 국제조정경기연맹(FISA: 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회장으로 AOSIF대표 당연 직 IOC집행위원 후보들로 116일 발표되었습니다.

 

이 자리는 CK Wu전 국제복싱연맹(AIBA)회장 겸 대만 IOC위원이 차지하고 있었는데 Wu회장이 사임하면서 공석이 된 바 있습니다.

 

                    

                                           (CK Wu/출처: IOC홈페이지)

 

 

이들 3명의 후보들은 AOSIF대표지명 직 IOC집행위원을 원하고 있는데 AOISF에서 후보지명이 된 후 오는 평창2018대회개회식에 앞서 열리는 27일 평창개최 IOC총회에서 인준투표에 상정될 (be put forward to a vote)예정이라고 합니다.

 

ASOIF멤버들은 오는 119()까지 이들 3명의 후보 중 원하는 한 명을 선택하게 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ASOIF대표 자격 IOC집행위원 자리는 CK Wu AIBA회장이 장기간 끌어오던 조직 내 권력투쟁 와중에(amid a protracted power struggle within the sport’s governing body)전격 사임하면서 공석이 된 바 있습니다

 

대만출신의 CK Wu전임 AIBA회장 겸 IOC집행위원은 2012년 대표로 선출되어 재임한 바 있습니다.

 

보통(ordinarily) ASOIF대표 자격 IOC집행위원 자리는 ASOIF회장이 차지하도록 되어있었는데 ASOIF회장을 맡고 있는 Ricci Bitti가 만 70세를 넘겨 연령제한에 걸려 별도의 대표 지명절차가 요구되었던 것입니다.

 

Marisol Casado ITU회장 겸 국제연맹 자격 스페인 여성 IOC위원(2010~)2008ITU회장으로 처음 선출된 후 10년 간 회장 직을 고수하여 오고 있습니다.

                   

                              (Marisol Casado/출처: insidethegames)

 

 

Casado ITU회장은 ASOIF이사회 현 이사이며 Paris2024 IOC조정위원회 위원이기도 합니다.

 

Nenad Lalovic(세르비아 출신) UWW회장은 2015년에 국제연맹회장 자격 IOC위원으로 선출되었는바, 그 당시 UWW대표자격 WADA재단 이사로 선출되기도 한 바 있습니다.

 

 

(Nenad Lalovic/출처: IOC홈페이지)

 

 

Lalovic회장은 2013년 레슬링종목이 올림픽정식 프로그램종목 지위를 상실한 후 같은 해 후반 다시 올림픽정식종목으로 복귀하도록 (reinstated)기여한 공로가 널리 알려져 있는(widely credited for wrestling's revival) 인사입니다.

 

 

 

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 President Jean-Christophe Rolland has only been an IOC member since last year ©Getty Images (Jean-Christophe Rolland 국제조정경기연맹회장/출처: insidethegames)

 

 

프랑스 출신 Jean-Christophe Rolland(49) 국제조정경기연맹(FISA: International Rowing Federation)회장은 2017년 페루 Lima개최 IOC총회에서 국제연맹자격 IOC위원으로 선출된 바 있습니다.

 

 

Rolland회장은 2017년 당시 Ingmar De Vos국제승마연맹(FEI: International Equestrian Federation)회장과 함께 국제연맹 자격 IOC위원으로 함께 선출된 바 있습니다.

 

다음은 Marisol Casado ITU회장 겸 ASOIF대표 자격 IOC집행위원 후보의 출마의 변입니다:

 

A.  "From my earliest involvement as a founding member of the Spanish Triathlon Federation to ten years as ITU President and my longstanding membership of the IOC, I have dedicated myself to the advancement of sport around the globe.” (본인은 스페인 트라이애슬론 연맹 창립멤버로서 활동을 개시한 때부터 ITU회장으로 10년 간 재직하였으며 오랜 기간 IOC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전 세계에 걸쳐 스포츠 진흥을 위해 몸 바쳐 일해 왔음)

 

B.  "I firmly believe that with the experience gained throughout my years in ASOIF, GAISF and the IOC, always serving as a President of an IF and considering the good relations that I’ve built during so many years of dedication to the sport, the IFs and the IOC, I can serve as a valuable and committed candidate to represent all the IFs." (본인은 국제연맹회장으로 봉직하면서 많은 세월 동안 스포츠에 대한 헌신을 통해 쌓아온 좋은 친목관계 등을 고려해 볼 때 ASOIFGAISF IOC에서 갈고 닦은 경험과 함께 모든 국제연맹을 대표하는 소중하고 봉사하는 후보로 나 설수 있는 것임)

 

 

3명의 후보들은 IOC집행위원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오랜 만에 경합을 벌이고 있는 셈입니다

 

피지(Fiji)출신Robin Mitchell과 아루바(Aruba)출신 Nicole Hoevertsz 및 스위스 출신 Denis Oswald 3명은 지난 2017Lima개최 IOC총호에서 모두 신임 IOC집행위원으로 선출된 바 있습니다.

 

Mitchell의 경우 206개국 NOC총연합회인 ANOC대표 자격 IOC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는바 그는 아일랜드의 Patrick Hickey 당신 EOC회장 겸 ANOC부회장 자격으로 IOC집행위원회에 입성했다가 사임하여 공석이 된 자리에 보선된 셈입니다.

 

Hickey 전임 IOC집행위원은 Rio2016올림픽대회기간 중 절도(theft), 탈세(tax evasion), 돈 세탁(money-laundering) 및 범죄조직연루(criminal association)혐의로 브라질 현지에서 긴급 체포된 후 오명을 씻기 위한 노력을 하면서(sought to clear his name) 지난 9IOC집행위원자리를 내려 놓은 바 있습니다

 

 

 

                                  (Patrick Hickey/출처: IOC홈페이지)

 

*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1. 16. 09:46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프로그램 상세 정리요약 및 평창2018이후 한국스포츠 유산실행(Legacy Implementation)을 위한 제언]

 

 

평창2018 북한참가와 관련하여 IOC가 북한 참가 지원금 재원근거로 膾炙(회자)되고 있는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프로그램에 대하여 심층적 미래지향적으로 분석하여 공유합니다

 

IOC의 경우 올림픽 TV 방영권(放映權) 협상과 총체적(總體的) 올림픽 마케팅 TOP 프로그램 등을 통해 확보한 전체수익금(全體收益金)IOC 자체 건전재정자원(健全財政資源) 확보의 근간으로 자리매김한지도 벌써 30여년이 되었습니다

 

1.   올림픽헌장(Olympic Charter)1장 제5조에 명시된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 취지 및 개요 정리

 

* 올림픽 솔리다리티는 각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NOCs를 지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aim of Olympic Solidarity is to organise assistance to NOCs)

 

이러한 지원은 IOC NOCs가 공동으로 수립한 프로그램의 형태를 취하며, 필요한 경우 IFs의 기술적 도움을 받는다.

5조 부칙 올림픽 솔리다리티가 채택한 프로그램은 다음 사항에 기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1)올림픽 이념의 기본 원칙 증진

2) NOCs의 올림픽대회 참가를 위해 선수와 팀의 준비 지원(assisting the NOCs in the preparation of their athletes and teams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Olympic Games;)

3) 선수 및 코치의 전문적인 스포츠 지식 발전

4) 장학금 등 NOCs IFs와의 협력을 통한 선수 및 감독의 기술 수준 향상

5) 스포츠 행정가 육성

6) 동일 목적을 추구하는 조직 및 단체와의 올림픽 교육과 스포츠 홍보를 통한 협력

7) 국가 혹은 국제기구와의 협력 하에 단순하고 기능적이며 경제적인 스포츠 시설 설치

8) NOCs의 권한과 후원 하에서 국가적, 지역적, 대륙적 차원의 대회 조직을 지원하고 NOCs의 지역별 및 대륙별 경기 조직, 준비, 참가를 지원.

9) NOCs의 양자 혹은 다자간 협력 프로그램 장려

10) 스포츠를 공적 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에 포함하도록 정부와 국제단체에 촉구

상기의 프로그램들은 올림픽 솔리다리티 위원회((Olympic Solidarity Commission)가 관장한다.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 기금 재원: IOC Worldwide TOP 파트너 마케팅 수입금 

 

2.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금 사용 상세목적 및 구체적인 전개사업 세부내역 총정리

 

물론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금이 올림픽 종목 관할 국제 경기연맹(IFs)에 대한 운영 및 발전기금 지원, 그리고 全 세계 206개 각국 올림픽위원회들의 동 하계올림픽대회 참가에 따른 확실한 재정지원(財政支援)뿐만 아니라

 

(1)선수 장학금제공(學金提供),

(2)개발도상국(開發途上國) NOC 선수(選手)들에 대한 경기력 향상지원(競技力向上支援),

(3)종목별 코치 연수(硏修) 및 기술(技術) 세미나(Training Courses and Technical Assistance),

(4)고급 수준의 스포츠행정가 양성 등 각국 NOC의 총체적 역량 상향조정(力量 上向調整)

(5)각국 NOC의 해당 선수 및 팀의 올림픽대회참가에 따른 준비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종합적(綜合的) 단합(團合)/연대(連帶) 창출(創出) 프로그램을 실시(實施)하여 왔습니다.

 

IOC산하(傘下)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구(機構)가 펼치고 있는 세계적 프로그램(World Programmes)에는 다음과 같은 세부지원내용을 포함하여 왔습니다. 요약해서 소개해 봅니다.

 

 

1) 선수 대상(Athletes)

 

(1) 동 하계올림픽 참가에 따른 해당 NOC 선수 경기력 증 진을 위한 훈련 및 기타 준비 지원

 

(2) 동 하계 올림픽 대비 올림픽 선수 장학금

 

-경기력 향상을 통해 올림픽참가의 꿈 실현시켜 주기 위하여 세계 수준급 스포츠 시설, 운동기구, 의학 및 스포츠 과학 그리고 쾌적한 숙식 인프라 갖춘 소재지(공동 훈련 병행)로 경기력 향상훈련 및 양성 유학 경비 제공

-올림픽 참가자격 획득 예선경기참가 경비 지원 등

 

(3) 선수단 지원 보조금(Team Support Grants)

 

-올림픽대회 참가자격 미달예상 NOC선수단에 대한 종목별 국제경기 대회 또는 종합경기대회 또는 올림픽참가자격부여 선수권대회 선수단 파견 경비지원

 

(4) 대륙 및 지역 대회 참가에 따른 NOC준비기금 지원

 

(5) 동 하계올림픽 대비 유소년 선수들에 대한 훈련보조금 지원 (Training Grants)

 

- 유소년 유망주(young promising athletes)의 향후 올림픽참가 동기부여(動機附輿)를 위한 국제 주니어 경기대회 참가지원 또는 훈련을 통한 경기기술 습득에 필요한 보조금 지원

 

(6) 유망주 경기력 소질 및 역량 발굴(Talent Identification)지원 보조 금 지원

 

2) 코치 대상(Coaches)

 

(1) 코치대상 기술과정 개최 지원

 

(2) 코치 대상 올림픽 장학금 지원

 

-3개월 단위의 고급수준의 훈련방식, 경험, 및 지식 습득기회 부여

(각국 해당 경기단체 또는 국제연맹 인증 공식 심판 자격증 소지자에 한함)

 

(3) 각국 취약경기단체(脆弱競技團體) 코칭 방식 구조개선(構造改善) 지원

-3-6개월 단위로 해외 코칭 전문가 초빙하여 코칭 기술 및 운영 노하우 전수지원(傳受支援)

 

3) NOC 운영/運營(NOC Management)

 

(1) NOC 行政力 개발 지원(NOC Administration Development)

 

(2) 스포츠 行政家를 위한 국내 연수 과정 개최 지원(國內 硏修 課程 開 催支援/National Training Courses for Sports Administrators)

(3) 스포츠 운영(運營)에 관한 고급 국제 연수 과정 이수 지원 (International Executive Training Courses in Sports Management)

 

-MEMOS<Executive Masters in Sports Organization Management/스포츠 조직 운영달인(組織 運營 達人)>로 인정된 각 NOC 선정후보들에 대한 달인 수준 연수과정 이수에 소요되는 등록 금(tuition scholarships)과 거주 및 여행 보조금(travel subsidies) 혜택(학사년도 기간/2학기 기준)

 

(4) NOC 交流 및 地域別 포럼(NOC Exchange and Regional Forums)

 

-특정분야의 지원이나 운영방식 지도(management coaching)를 요 하는 NOC(Coachee NOC라고 지칭)와 해당분야 전문 노하우를 가 진 NOC(Coach NOCs라고 지칭)간의 해당 정보, 기술, 지식교류를 짝짓기 하여 Coach NOC로의 인턴 쉽(Internship) 또는 Coach NOC 직원들의 유관 스포츠 단체 파견근무에 따른 지원 시스템 마련

 

(5) 동 하계 올림픽 참가에 따른 각국 NOC 보조금(항공료, 체재비 일부 및 선수단 장비 비 등)지원

 

(6) ANOC 총회 및 대륙 별 NOC총회 각국 NOC 회의대표에 대한 항공 료, 체재비 등 일부 보조

 

4) 올림픽 가치(價値) 확산 장려(Promotion of Olympic Values)

 

(1) 스포츠 의학(Sports Medicine)

 

-스포츠 의학 연수과정(IOC의무위원회 주관)을 통해 각국 NOC 의사/ 醫師(doctors), 물리치료사/物理治療士(physiotherapists), 트레이너 (trainers), 코치대상 스포츠 의학에 대한 실제적 과학적 훈련(科學的 訓練) 교육 실시

 

-일반 의사면허증 소지 의사들이나 물리치료사들로 하여금 스포츠 의학 지식 등 전공 및 이수에 따른 장학금(學金) 재정지원 프로그램 실시

 

(2) 스포츠와 환경/環境(Sport and Environment)

 

- IOC 스포츠와 환경 세계 포럼에 선별적(選別的)으로 해당NOC대표 파견 및 참가비 등 보조

 

- 각국 내 스포츠 와 환경 캠페인 통한 홍보(弘報) 및 인지도(認知度) 확산 세미나 등 개최 장려

 

(3) 여성과 스포츠(Women and Sport)

 

- IOC여성과 스포츠 세계 포럼에 선별적으로 해당 NOC대표 파견 및 참가비 등 보조

 

-각국 내 男女平等/兩性平等(gender equality) 활동과 관련된 소통(疏 通) 캠페인, 연구 프로그램 등 장려

 

(4) 생활 스포츠(Sport for All)

 

- IOC 생활체육 세계포럼에 선별적으로 해당 NOC대표 파견 및 참가비 등 보조

 

- 각국 내 생활체육 행사(대규모 인원 참가 인기 스포츠 행사, 스포츠 이벤트 조직운영자 훈련, 스포츠 캠프, 전 연령층(全年齡層) 대상 건강 인지도 제고/認知度 提高 캠페인 등)조직 NOC에 대한 지원

 

(5) 국제 올림픽 아카데미(International Olympic Academy)

 

-올림픽대회 역사에 대한 수업을 비롯하여 平和와 우애/友愛 (fraternity)의 이상전파(理想傳播)를 주 임무로 운영 되고 있는 문화기관(文化機關)IOA가 매년 조직운영 하고 있는 국제 연수회(International training sessions)5개 대륙의 연수생(硏修生)들이 참가하고 있음.

 

- 올림픽 운동의 理想과 價値에 대한 교육(敎育), 전파(傳播), 및 보 호(保護)임무뿐만 아니라 각국NOCs 및 각국 올림픽 아카데미(National Olympic Academy)와 협조 및 연계(連繫)하여 매년 IOA 정규과정에 참가자 파견을 권장

 

-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는 각국 NOCs NOAs에 대하여 참가자들 에 대한 참가경비 일부를 보조(補助)하고 있음.

 

(6) 文化 와 敎育(Culture and Education)

 

- IOC 교육, 문화, 스포츠 세계 포럼에 선별적으로 해당 NOC대표 파견 및 참가비 보조

 

- 각 국내 대학 등 학교 등에 해당 NOC로 하여금 올림픽 교육 프로그램 설치토록 해당 프로그램지원

 

- 각국 내 스포츠와 연계된 전시회(展示會)나 문화행사 개최에 따른 지원

 

(7) NOC 유산/遺産(NOC Legacy)

 

-올림픽 가치요소(價値要素)는 계승발전(繼承發展) 되어야 한다는 취지(趣旨) 하에 각국 NOCs가 각국 올림픽 및 스포츠 歷史와 전통유산/傳統遺産(heritage) 보존토록 장려()

 

-따라서 각국 NOC의 선수관련 올림픽역사, 스포츠 발전과정 등 미래 세대들에게 보존 계승할 중요성을 띤 세부행사(스포츠 문서 보관, 박물관 설치 및 유지, 연구 프로젝트, 관련 책자발간 등)실행비용에 대한 보조금 지원

 

 

3.   올림픽 솔리다리티 프로그램의 개요와 취지 및 역사

 

각국 NOC에 대한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소위 올림픽 솔리다리티<Solidarity/단합(團合) 또는 연대(連帶)> 프로그램이라고 지칭한다. 북한에서는 예를 들면, 올림픽 련대성(連帶性)국내강습/예술체조(Olympic Solidarity Course National/Rhythmic Gymnastics)라고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금은 IOC가 협상을 통해 확보한 동 하계 올림픽대회 전 세계 TV 방영권료 중 각국 NOC 배정 분으로 할당된(earmarked for the NOCs) 지분기금으로 충당(充當)되어온 바 있습니다.

 

4년 단위로 계획 및 계상되는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금(基金)2005-2008년분이 당시 US$244백만 불(366십억 원)이었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 IOC가 확보하여 운영되고 있는 기금은 천문학적으로 증가하여 왔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 기금의 주요 수혜자는 장학금 혜택(해외 전지훈련 및 연수 프로그램 등)이 주어지는 선수들, 기량향상 훈련과정(National and Regional Courses/국내 및 대륙지역별 과정)에 참가하는 코치/경기 지도자들 그리고 스포츠 행정가들입니다.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 프로그램은 해당 NOC의 조직구조향상이나 NOC운영구조현대화를 희망하고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구가 판단할 때 이러한 조처(措處)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간주되는 NOC들을 우선대상으로 하여 필요한 재정지원을 해주기도 한 바 있습니다.

 

각국 올림픽 위원회(NOCs)는 올림픽운동 구조 내에서의 보편 타당한 올림픽가치실현(價値實現)의 실행창구역할(實行窓口役割)을 해주는 첫 번째 채널(Primary Channel)이므로 그들의 행정력(administrative capacities)강화를 위해 강력한 지원대책 등을 마련해 주어 온 바 있습니다.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 기금으로부터 제공된 직접적 지원금과 맞춤 식 보조금(tailor-made subsidies)을 통해 해당 NOC 조직구조 향상을 도모해 주어 온 바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고급수준의 NOC 스포츠 행정가들 양성을 위한 IT(Information Technology)관련 투자, 행정 시스템 및 운영 노하우 훈련 과정을 비롯하여 양자간 또는 다자간 국제협력체계 활성화뿐만 아니라 지식공유(knowledge-sharing)시스템구축 등을 위한 투자 등이 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기능과 실행능력(實行能力)이 보강(補强)NOC들은 스포츠를 통한 敎育, 文化的 다양성(多樣性), 지속발전 가능성(持續發展 可能性), 기본적 윤리적(倫理的) 원칙준수(原則遵守) 등을 활성화 시켜주는 역할을 해 줍니다

 

따라서 페어플레이(Fair Play) 등 올림픽 운동이 지향(指向)하는 가치(價値)를 두드러지게 하는 올림픽 사업을 보다 원활(圓滑)하고 효과적(效果的)이고 역동적(力動的)이며 효율성(效率性)이 제고(提高)NOC固有의 업무를 훌륭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KSOC가 지금까지 매 4년 단위로 사전 책정되어 배정 통보된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금(Olympic Solidarity Fund)을 활용하여 매 4년간 사업단위화(事業單位化) 하여 올림픽 솔리다리티와 OCA 그리고 해당 국제경기연맹 등과 연계(連繫)한 후 주로 각 가맹경기단체 별 국내(National) 및 지역(Regional: 인근 국가 NOCs )별 코치/경기지도자 강습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 운영해 왔습니다.

 

실제로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금(Olympic Solidarity Fund)과 할당 배정된 각종 프로그램을 유효적절(有效適切)하게 활용할 경우 종목 별 세계수준의 전문가들을 해당 국제스포츠기구들로부터 추천(推薦) 받아 지정(指定) 위탁(委託)된 올림픽 솔리다리티 기금(Olympic Solidarity Fund)으로 초빙(招聘)하여 국내 해당 스포츠 관계자들로 하여금 최신정보와 세계수준의 선진 경기 관련기술 등을 전수(傳受) 받을 수 있는 기회가 그야말로 무상(無償)으로 주어지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그 배경은 우리나라 대표선수들의 모범적 올림픽대회 참가와 과거 KOC의 올림픽운동에 대한 활발하고 적극적인 참여가 뒷받침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염두(念頭)에 두어야 할 점은 전 세계 206NOCs와 매 4년 단위(NOC 10개 과정 개최 및 참여가능)의 종목별(種目別) 분야별(分野別) 기금배정별(基金配定別) 안배(按配)를 거쳐 실행계획(實行計劃)이 확정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염두에 두고 철두철미(徹頭徹尾)한 사전계획수립(事前計劃樹立)과 國內外的 조율(調律)이 선행(先行)되어야 희망하는 적절한 프로그램과 최고수준의 저명한 강사진 등을 확보 및 관철(貫徹)할 수 있게 됨은 불문가지입니다.

 

따라서 향후 KSOC에서는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담당자 1인 수준의 업무영역을 획기적(劃期的)으로 확대(擴大) 및 보강(補强)하여 최소한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 전담 팀 별도구성 수준의 행정적 조치와 주도면밀(周到綿密)하고 실속(實速) 있는 업무추진(業務推進) 등을 확고히 하기 위한 진일보(進一步)된 서비스 시스템 지원에 만전(萬全)을 기할 수 있는 체제로 전환(轉換)하였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4.   올림픽 솔리다리티 최적 활용을 위한 제안 및 청사진

 

이상론 적(理想論 的)인 의견(意見)을 한 가지 제안(提案)할까 합니다.

 

올림픽 솔리다리티(Olympic Solidarity)30여년이상 시행착오(施行錯誤)와 각고의 노력과 세계적 협조체제를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운영하여 오고 있는 위에 열거한 내용을 음미(吟味)해 봅니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조율(調律)스포츠 人材育成 솔리다리티 프로그램(가칭) 개설(開設)을 제안하는 바 입니다.

 

기존 올림픽 솔리다리티 월드 프로그램 내용 중 일정부분은 벤치마킹사례의 대상으로 준용(準用)하여도 손색(遜色)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200910월 코펜하겐개최 제13차 올림픽 콩그레스(Olympic Congress)의 핵심개념은 현대사회 및 세계 각 지역에서의 올림픽운동의 역할로서,

1) 선수

2) 올림픽대회

3) 올림픽운동의 구조(NOC의 자치성의 중요도 포함)

4)올림피즘과 청소년

5)디지털 혁명 등의 5가지 소제가 집중 논의된 바 있었습니다

 

IOC로서는 올림픽 콩그레스(Olympic Congress)가 올림픽운동의 흐름에 따른 맥을 짚어보고(taking the pulse), 올림픽운동의 강점과 약점을 주도 면밀하게 분석함과 동시에 올림픽운동이 직면하고 있는 기회와 위험요소 등에 대해 평가하는 계기로 활용해 왔습니다.

 

우리나라 스포츠 계는 지금 격변기(激變期), 격동기(激動期)를 거쳐 장기적이고 안정적 차원의 도약과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실적(現實的), 현장 적(現場 的), 현 상태 적(現 狀態 的) 차원의 미래지향적, 실현가능성(實現可能性) 있는 현장(現場)의 목소리가 대한민국 스포츠 정책에 반영(反影)되어 實行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 현장에서 활동하였거나 활동 중인 선수, 코치, 심판, 경기 지도자들, 스포츠 행정가, 스포츠 외교관, 스포츠 취재 기자들 그리고 문무를 겸비한 체육교수진이 총출동(總出動), 총망라(總網羅)되어 우리나라 스포츠 백년대계를 굳건히 할 실행청사진(實行靑寫眞) 대책(對策)과 정책(政策)을 마련해 가는 대한민국 스포츠 콩그레스(Korea Sport Congress)평창2018 사후에 개최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5.   Olympic Agenda 2020개혁안 40(20+20)과 올림픽 솔리다리티

 

지난 2014 128~9, IOC는 모나코 제127차 임시 총회를 통해 Olympic Agenda 2020개혁안을 만장일치로 승인한 바 있습니다

Olympic Agenda2020의 핵심정신은 신축성/융통성(Flexibility), 지속가능 성(Sustainability)와 모범적 지배구조(Good Governance)로 축약될 수 있겠습니다

Olympic Agenda 2020의 정의는 한 마디로 미래 올림픽운동의 전략적 로드맵”(A Strategic Roadmap of the Future Olympic Movement)라고 합니다.

Olympic Agenda 2020 2020년과 연관된 것이 아니라 20+20=40개로 구성된 개혁권고조항을 일컬으며 조각그림 맞추기<Jigsaw Puzzle>조각들과 같아서 모든 조각들을 합체해 놓을 경우 올림픽대회의 독특함을 수호하며 우리사회에서 스포츠를 강력하게 자리매김해 주고 있는 IOC의 실체를 보여주는 그림이 됩니다(The 40 recommendations are like pieces of a jigsaw puzzle that, when you put together, form a picture that shows the IOC safeguarding the uniqueness of the Olympic Games and strengthening sport in society.

Olympic Agenda 2020이 통과된 직후 40개의 권고안(recommendation)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국제스포츠 계의 다양한 영역에서 변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평창2018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계기로 Olympic Agenda2020개혁안에 입각하여 글로벌 스포츠 리더 후보 군들이 국제스포츠 외교현장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국제 스포츠 계 흐름과 정세(情勢), 및 동향(動向)을 파악(把握)하고 대처(對處)해 나아가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스포츠 外交 잠재력과 자질을 겸비한 선수를 포함한 경기인, 스포츠 행정가, 스포츠 외교관, 文武를 겸비한 일선 체육교수진, 그리고 스포츠 취재기자들이 다양하게 대한민국 대표들로서 대거 참가할 수 있도록 KOC가 창구가 되어 대상선정(對象選定)은 물론 참가에 따른 철저한 제반 사전준비를 원활히 추진할 수 있게끔 소요예산을 포함한 정책적 지원대책이 하루바삐 신중히 검토되고 실행에 옮겨져야 할 것입니다.

 

향후 글로벌 스포츠리더 양성(養成)프로젝트 수립 및 실행을 통하여

1)실현가능(實現可能)하고,

2)만인(萬人)이 혜택(惠澤)을 누려야 하고,

3)지속발전(持續發展) 가능한 토대(土臺)에서 수립(樹立)되고 실행(實行)되어야 할 것입니다

 

10년 전인 2008년 당시 21세기 스포츠 포럼(대표: 이태영)모임에서 한 스포츠 유관단체장은 체육발전에 기 할당된 막대한 기금(토토 복권 지분)이 스포츠 관련 세부사업계획이 명시(明示)된 기금사용신청요구건수(基金使用申請要求件數) 부족으로 인해 체육 관련기금 예산집행(基金豫算執行) 중간과정에서 엉뚱하게도 타 분야가 오히려 집요하게 끌어당겨가는 추세(趨勢)라고 안타까워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글로벌 스포츠리더 양성프로젝트가 평창2018을 기점으로 중장기 한국스포츠 유산계획(Legacy Plan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포함되어 살맛나는 세상 만들기 보금자리인 동시에 국제경쟁력(國際競爭力) 상위그룹 대상 대한민국 사회부문 제1순위인 스포츠라는 콘텐츠(Contents)를 통하여 대한민국을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게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그 저변(底邊)에서 스포츠가 선도적(先導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국제관계 및 스포츠외교 친화력이 깊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1) 실질적(實質的),

(2) 실제적(實際的),

(3) 실용적(實用的),

(4) 실천적(實踐的),

(5)실무적(實務的) 스포츠 인재육성(人材育成)방안이 마련되어 실현가능(實現可能)한 정책적(政策的) 실행계획(實行計劃)이 발진(發進)되기를 희망(希望)해 봅니다.

 

 

 

*References:

-"현장에서 본 스포츠외교론"(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저서)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1. 12. 11:38

[김연아 소치2014피겨금메달복원의 꿈 Sotnikova면제 부 판정과 함께 주변 10가지 의혹도 이대로 영영 덮어져 버리나?]

 

*순서:

 

. 징계 통보된 러시아 도핑연루 43명 선수들의 최근 현황(201819일 현재)

. 김연아 선수를 이긴 Sotnikova 소치2014금메달리스트의 면제 부

. 당초 조사대상명단에 포함되었던 Sotnikova

. 김연아 선수의 금메달 복원 가능성 진단 당초 보도 내용

. 소치2014 여자 피겨 금메달리스트 러시아 선수들의 의심스러운 대회 후 행적과 행보(정황적 근거)분석과 의문점 10가지 재 분석

. 김연아 선수 기사회생 실마리 첫 외신보도 내용 요약 재정리

. McLaren 2차 최종 리포트의 구체적 정황과 증거

. 러시아선수들에 대한 구체적 도핑 위반 적발 사례 적시

. McLaren리포트 발표파장과 IOC의 후속조치

. McLaren 2차 보고서 이후 김연아 선수의 Sochi2014피겨 올림픽 금메달 되 찾을 가능성이 보였던 첫 단추

. Sochi2014 동계올림픽 김연아 선수의 피겨 은메달 획득과 당시 전말 스케치

 

 

 

 *내용:

 

 

1.  징계 통보된 러시아 도핑연루 43명 선수들의 최근 현황(201819일 현재)

 

19일 자 한 외신 보도 기사제목은 소치2014동계올림픽 도핑사건으로 금지처분 받음 43명의 러시아 선수들 중 42명이 항소하였음을 스포츠중재재판소가 확인하다”(CAS confirm 42 of 43 Russians have appealed bans for doping at Sochi 2014)였습니다

 

 

 

 

 

이제 바야흐로 소치2014동계올림픽 도핑사건으로 제재조치를 받고 있는 러시아 선수들에 대한 통합청문회(a combined hearing)122()부터 시작되는 주에 착수된다고 스포츠중재재판소(CA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19일 자로 발표하면서 42명의 러시아 선수들이 공식 항소하였었음을 확인한 것이라고 합니다

 

CAS성명서에 나타난 내용을 살펴보면 각 해당 케이스에 대한 최종결심공판발표(a final decision for each case to be issued)가 평창2018개막일인 29일에 겨우 9일 앞선 131일 당일 또는 그 전(on or before)에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결심공판판결일자는 128일로 되어 있는(falling on January 28) 평창2018스포츠엔트리 마감일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일정입니다.

 

43명 러시아 도핑제재조치대상 선수들 중 유일하게 항소하지 않은 선수는 Maxim Belugin인데 그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2인 승 및 4인 승 (봅슬레이)팀 일원으로 경기결과 4위를 차지한 바 있다고 합니다.

 

이들 43명의 러시아 선수들은 소치2014대회에서 도핑 및 샘플조작관여로 인해(for their involvement in doping and sample tampering at their home Games) IOC로부터 올림픽대회 평생출전금지처분(banned from the Olympic Games for life) 및 소치2014동게올림픽자격박탈소급적용 대상자들(retrospectively disqualified from Sochi 2014)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들은 IOC집행위원인 스위스출신 Denis Oswald가 위원장으로 조사에 임했던 IOC진상조사위원회가 당초 조사받았던 46명 러시아선수들이었다고 합니다.

 

2. 김연아 선수를 이긴 Sotnikova 소치2014금메달리스트의 면제 부

 

소치2014동계올림픽 여자 피겨결승에서 김연아 선수를 이긴 Adelina Sotnikova 여자피겨 금메달리스트와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였던 Anna Shokhina 및 남자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인 Denis Yuskov 46명 중 나머지 3명은 IOC위원회로부터 면제 부를 받은 것(cleared of wrongdoing by the Commission)으로 알려졌습니다.

 

 

 

 

Maxim Belugin, part of the two and four-man teams which finished fourth at Sochi 2014, appears to be the only athlete to not have filed an appeal ©Getty Images 

(러시아 도핑연루 선수 43명 중 유일하게 항소하지 않은 Maxim Belugin선수/출처: insidethegames)

 

 

 

Oswald IOC조사위원회가 발표한 증거의 대부분은 각각의 연루된 선수들에게 유사한 것으로 려졌습니다.

 

아직까지 모스크바 반 도핑 실험실 실장으로 재직하다가 도핑 내부고발자(whistleblower)가 되어 버린 Grigory RodchenkvCAS청문회 출현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모국인 러시아의 도핑 프로그램에 대한 폭로(revelations)에 따른 러시아 탈출 후 미국에서 증인보호상태로 체류하고 있는(in witness protection) Rodchenkov가 청문회에 참석할 것이라고 주장되었던 적이 있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RodchenkovOswald IOC조사위원회 개인자격 출석 증언(in-person testimony)을 하지 않았지만 대신 Schmid IOC조자위원회에게도 함께 제공된 서면 진술서(written affidavits)을 보냈다고 합니다

 

그의 증거는 IOC가 러시아로 하여금 OAR(Olympic Athletes from Russia)란 중립적 신분(neutrals)하에서 평창2018에 출전하도록 명령하는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이제 패널이 구성되어 어떤 러시아 선수들이 평창2018에 출전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3. 당초 조사대상명단에 포함되었던 Sotnikova

 

이태리 신문 중 하나인 La Gazetta della Sport지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피겨 금메달획득 당시 17세에 불과했던 Sotnikova가 조사대상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is among others under investigation)고 보도한 바 있었습니다.

 

 Adelina Sotnikova, right, with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following her Olympic victory at Sochi 2014 ©Getty Images (Putin러시아 대통령과 Sotnikova/출처: insidethegames)

 

 

 

그녀는 소변샘플이 제출된 검사튜브 상에 손댄 흔적을 암시하는 흠집이 발견된 한 명의 선수로서(as one athlete about whom scratches indicative of tampering were found on test tubes in which urine samples were submitted) 신원코드 번호(under the identification code) A0848로 코드화 되어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named on the list)고 보도 된 바 있었습니다

 

그녀가 개인적으로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증거는 없으며 이전에 어떤 비행(wrongdoing)애 대한 유죄가 성립되었던 바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보도내용이 사실로 판명 날 경우 궁극적으로 그녀의 금메달이 박탈될 수(ultimately be stripped of her gold medal) 있는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appears possible)고 보도되기도 하였습니다.

 

국제빙상연맹(ISU)가 특별한 제재조치(special disciplinary action)에 착수했는지에 대한 공개여부는 아직 알려지고 있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다음은 2017 1월경 ISU발표 성명서에 들어 있는 내용입니다:

 

"Mindful of a due diligence process, the ISU is proceeding with the evaluation of the evidence and related necessary investigations." (실사과정에 유의하며 ISU는 증거 평가와 관련 필요 검증조사를 병행하고 있음)

 

 

 

 

"For the cases relating to the Sochi Olympic Winter Games, the ISU is of course closely following the IOC proceedings and will take into account possible new evidence becoming available thanks to the re-analysis of the concerned samples. (소치2014동계올림픽과 연관된 건들을 위하여, ISU는 물론 주도면밀 하게 IOC의 진행절차들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관련된 샘플들 재 분석 덕택에 가능한 새로운 증거물 포착 시 참작할 것임)

 

"If and when there are sufficient elements and evidence to pursue anti-doping rule violations, the ISU will not hesitate to open disciplinary proceedings and possibly apply provisional suspensions against bodies or persons subject to infringements of the World Anti-Doping Code/ISU Anti-Doping Rules." (만일 반 도핑규칙 위반을 추적할 충분한 요소들과 증거가 생길 경우, ISU는 주저함 없이 즉시 제재절차에 착수할 것이며 WADA 규정 위반에 처한 기구 또는 개개인들에 대하여 잠정 자격정지조치 역시 가능할 것임)

 

 

4. 김연아 선수의 금메달 복원 가능성 진단 당초 보도 내용

 

이러한 발표로 보아 Vancouver2010동계올림픽 여자 피겨스케이팅 우승자인 한국의 김연아 선수(소치2014 은메달리스트)가 소치2014 금메달리스트로 상향 조정(could be upgraded to the Gold Medal) 조치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동 메달리스트였던 이태리의 Carolina Kostner는 은메달리스트로, 그리고 4위였던 미국의 Gracie Gold선수는 동메달리스트로 각각 상향 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Kostner 선수는 그녀 자신이 그녀의 전 남친(former boyfriend)이면서 올림픽경보우승자(Olympic race walking champion) Alex Schwazer에 대하여 도핑 은폐 공모에 연루된 혐의로(for being complicit in the doping cover-up) 2015 16개월 간 피겨스케이팅 종목으로부터 출전금지조치 받은 바 있다고 합니다. 

 

이 사건은 나중에 스포츠중재재판소(CAS)판결에 의해 5개월 연장되었지만(later extended by five months by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동시에 날짜가 소급적용 되는 바람에(backdated) 그녀는 2016년 초부터 피겨종목에 복귀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김연아 /출처: IOC홈페이지)

 

 

                                    (김연아/출처: IOC홈페이지)

 

 

소치2014동계올림픽 에서 Sotnikova가 김연아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한 후 진상조사촉구(calling for an investigation) 2백만 명 서명 청원이 형성된 바 있었습니다.

 

당시 소치2014피겨 스케이팅 심판 채점결과에 대한 세부내역이 없었던(no details given about the scores of the judges) 바람에 판정에 대한 비판이 더욱 거세게 되었었습니다.

 

왜냐하면 Alla Shekhovtsova심판을 포함하여 결정과정에 연루된 심판들 중 2명이 자국인 러시아 인들이었기 때문입니다.

 

Shekhovtsova심판은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 전임회장(former President) 겸 현 전무이사(the current director general) Valentin Piseev의 아내이며, 우크라이나 출신 심판인 Yuri Balkov Nagano1998동계올림픽 피겨 아이스댄스경기를 조작하려고 녹화테이프 조작시도가 포착되어 (being caught on tape attempting to fix the ice dancing competition) 1년 간 자격정지 후 피겨 계에 복귀했던 전력의 소유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김연아선수 경기결과에 대한 심판판정 항의 소청은 ISU에 의해 기각된 바 있었습니다(The complaints were rejected by the ISU.)

  

5. 소치2014 여자 피겨 금메달리스트 러시아 선수들의 의심스러운 대회 후 행적과 행보(정황적 근거)분석과 의문점 10가지 재 분석

 

1) 지난 2017 828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러시아, 소치2014 피겨 금메달리스트인 Sotnikova Lipnitskaya 없이 평창2018 출전”(Russia to be without Olympic gold medalists Sotnikova and Lipnitskaya at Pyeongchang 2018)이었습니다

  

3) Sotnikova선수는 부상으로 인해 금년 시즌 출전하지 않을 것(will not compete this season because of injury)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1) <왜 이제껏 회복이 안 되는 걸까요? >

 

4) 소치2014 동계올림픽 팀 피겨스케이팅(figure team skating)에서 사상 첫 금메달을 딴 구성원들 중 한명인 Yulia Lipnitskaya 역시 겨우19세의 나이로 은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 <치료 후 복귀하면 될 텐데 19세에 조기은퇴 왜 일까요? >  

 

 

                                      (Yulia Lipnitskaya/출처: Wikipedia)

 

  

5)그녀 모친은 Yulia가 섭식장애/거식증(an eating disorder)치료를 받은 후 (피겨) 스포츠를 그만두기로 결정하였노라고(decided to quit the sport) 밝혔다고 합니다.

(3) <어린 나이인데 정말 치료가 불가능한 걸까요? >

6) 다음은 올림픽 2관왕 출신 Sotnikova의 코치인 Evgeni Plushenko가 러시아 뉴스 통신인 R-Sport와의 인터뷰 발언 내용입니다:

A. "Adelina Sotnikova will not compete this season because of injury." (Sotnikova는 부상으로 인해 금년 시즌에 출전하지 않을 것임)

B. "We all hoped we'd get this injury cured, but unfortunately it hasn't happened. (우리모두는 이러한 부상이 쾌유되기를 희망했었지만, 그렇지 못했음)

(4) <회복이 안 되는 의학적 이유는 무엇 일까요? >

C. "The injury is still causing problems, [Sotnikova] can't manage full training sessions, and it's not right to go to competitions in this state." (그녀의 부상은 여전히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Sotnikova는 현재 전체 연습일정을 소화할 수 없는 상황이고 이러한 상태로 경기에 출전하는 것을 옳지 않은 처사임)

7) Sotnikova는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여성으로 피겨개인 타이틀을 석권하면서 역사를 창조한 바 있다고 보도된 바 있습니다.

(5) <그런 영웅 선수를 현대 의학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것일까요? >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소치2014 여자개인 피겨 금은동메달리스트 시상대 모습/출처: IOC홈페이지)

  

8)   신예였던 러시아의 Sotnikova선수가 자유 스케이트(free skate)에서 밴쿠버2010 여자피겨개인 금 메달리스트였던(defending champion) 한국의 김연아 선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딴 후(after outscoring South Koreas defending champion Kim Yuna in free skate) Sotnikova의 여자개인 금메달획득은 지극히 논란의 소지가 있는 것(highly controversial)으로 알려졌던 바 있었습니다

 

 

 

 

(사진 위 아쉽게 은메달리스트가 된 한국의 김연아 선수와 금메달리스트가 된 러시아의 Sotnokova 선수-사진아래는 판정에 불만을 표현하는 한국 팬들 모습/출처:insidethegames)

 

9) 2백만 명의 서명이 담긴 청원으로 조사를 요구하였지만(a petition with two million signatures call for an investigation)국제빙상경기연맹(ISU)는 이를 기각한 바 있습니다(rejected by the International Skating Union)

(6) <왜 설득력 있는 근거 없이 기각해야만 했을까요? >

 

10) Sotnikova선수는 “Dancing with the stars”의 러시아 판 대회에서는 경기에 임했으면서도(competing in the Russian version of Dancing with the Stars.) 부상을 이유로 소치2014동계올림픽이래로 주요피겨대회에 불 출전하였던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7) <혹 러시아를 벗어난 국제대회에서의 도핑검사우려 때문은 아니었을까요? >

 

11) 그녀는 2017 4월 오랜 기간 코치였던 Elena Buyanova와 결별을 선언하고(split from her long-time coach) 1개월 전인 3월에 은퇴했던 Plushenko 코치한테 합류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8) <무슨 이유 때문에 금메달획득 기여 코치와 결별한 걸까요? >

 

12) 그녀는 발목부상 중인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believed to be suffering from an ankle injury)고 합니다

 

13) 2017년 초 Sotnikova선수는 소치2014당시 도핑샘플 조작(manipulation of doping samples)으로 인하여 IOC가 조사 중인 선수명단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14) 율리야 리프니츠카야(Yulia Lipnitskaya)선수는 러시아 팀 선발과정 논란 와중에 소치2014피겨 단체전에 Sotnikova보다 선호되었었는데 그 이유는 선발 몇 주 전 역사상 최연소 유럽챔피언(the youngest European champion in history)으로 Sotnikova를 물리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진 나 있습니다

 

15) 그녀를 선택한 바 있는 선발 자들의 신뢰(selectors faith)는 율리야 리프니츠카야 선수가 러시아 피겨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따는데 혁혁한 공을 세움으로써 정당성이 입증된 바 있었습니다

 

16) 그녀(Lipnitskaya) 15세의 나이에 현대적 통용규칙 하에서 최연소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는데(the youngest Olympic gold medalist under modern rules)이는 Nagano1998동계올림픽 피겨여자 개인 종목에서 우승한 미국 출신 Tara Lipinski보다 6일 더 어렸던 것(being six days younger)으로 알려졌습니다

 

17) 그녀(Lipnitskaya)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피겨여자개인종목에서는 5위에 그쳤지만, 소치2014이후 Sotnikova처럼 주요선수권대회에 불참하여 왔다고 합니다

(9) <어린 나이임을 감안 하다면 잠시 대회에 불참하였었더라도 차후에 국제대회출전을 줄 곳 안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

 

18) 다음은 Lipnitskaya모친이 러시아 통신사인 TASS와 인터뷰 중 한 발언 내용입니다:

 

A. "Yulia informed the management of the Federation about her decision to wrap up with her career back in April after returning from Europe, where she underwent three-month treatment from anorexia." (율리야는 신경성 식용부진 증/거식증 치료 차 3개월 간 유럽에서 시간을 보냈으며 귀국 직후인 지난 4, 러시아피겨연맹 관계자들에게 자신의 피겨선수 경력을 접겠다는 결정을 통보하였음)

 

19) 하지만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회장인 Alexander Gorshkov Lipnitskaya선수로부터 그녀가 은퇴하였다는 어떠한 공식통보(any official notification)도 받은 일이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었습니다.

 

(10) < 10대의 그녀가 소속된 소관 러시아 피겨스케이팅연맹에 통보도 없이 회복 재활 시도도 뒤로하고 조용히 은퇴한 것 일까요? >

 

[정황적 근거 조항]

 

“은폐의 증거는 전형적으로 적용과정이 추론될 수 있는 ‘증인에 의한 근거’ 또는 ‘정황적 근거’라고 ‘IOC Oswald징계위원회 보고서113항’에 명시되어 있다고 합니다”(The evidence of a cover-up is typically either witness evidence or circumstantial evidence from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process can be inferred.)

 

Winston Churchill 前 영국수상은 1942년 다음과 같은 유명한 어록을 남겼습니다:

“지금 이것은 끝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심지어 결론의 시작도 아니다 – 하지만 그것은, 아마도, 시작의 결론일 수는 있다.(Now this is not the end. It is not even the beginning of the end. But it is, perhaps, the end of the beginning.)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저지른 것으로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러시아선수들의 조직적 도핑은폐 혐의에 대한 IOC 진상조사위원회의 철저한 행보와 결과발표를 두고 시의적절 하게 표현된 어록으로 사료되는 시점입니다.

 

6.  김연아 선수 기사회생 실마리 첫 외신보도 내용 요약 재정리

 

2017 11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우승자가 Mclaren보고서 후 조사대상 선수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주장되다”(Olympic figure skating champion among athletes under investigation following McLaren Report, it is claimed)였었습니다.

 

 

 

 

 

 

 

 

           (Adelina Sotnikova/출처: insidethegames)

 

 

Sochi 2014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피겨스케이팅 우승자(금메달리스트/ladies singles figure skating champion )Adelina Sotnikova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도핑 샘플조작으로 인해(due to the manipulation of doping samples at the Winter Olympic Games) IOC가 검증하고 있는 조사 대상 선수리스트에 포함되어있다고 보도가 되고 있는 상황(reportedly among athletes under investigation)이었습니다.

 

러시아 선수들의 자국개최 동계올림픽에서 제출된 샘플들이 불법적으로 부정하게 손 대었었던(illegally tampered with) 증거를 제공한 Mclaren보고서 공개 이후, IOC 2016 12 28명의 선수들이 당시 조사대상이라고 발표한 바 있었습니다.

 

28명 선수 신원은 아직도 확인되고 있진 않았지만(Identities of these 28 have not been confirmed) 러시아의 스켈레톤 금메달리스인 Aleksandr Tretyakov cross-country 스키 금메달리스트인 Alexander Legkov 등 최소 2명의 다른 올림픽 우승자들이 자격정지조치를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고 하였으며 실제로 Legkov는 최근 금메달 박탈조치의 첫 불명예 대상자가 된 바 있었습니다.

 

 

7.   McLaren 2차 최종 리포트의 구체적 정황과 증거

 

불법이든 합법적으로 교묘하게 규정을 피해가는 매복 도핑(Ambush Doping)이 올림픽의 미래를 망가뜨리는 주범으로 등장하고 있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발단은 이렇습니다.

2017 129일 영국 런던 St. Pancras Renaissance London Hotel에서 캐나다 변호사 Richard McLaren은 그 동안 절치부심 조사하여 적발한 불법 도핑 증거자료를 제시하며 러시아 국가주도 도핑계획(state-sponsored scheme)의 전말 제2 차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파장과 파문이 확산일로의 선상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Richard McLaren 출처: insidethegames)

 

2016 129일 런던에서 공개적으로 발표한 캐나다 변호사 Richard McLaren이 그의 제2차보고서를 전달하면서 하계, 동계 및 패럴림픽 스포츠 전반을 통틀어 1,0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제도화한 공모”(institutional conspiracy) 유사형태의(akin to) 러시아에서 벌어진 만연한 정부주도 도핑시스템(a widespread state-sponsored doping system)에 연루되어 있었다고 주장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8.    러시아선수들에 대한 구체적 도핑 위반 적발 사례 적시

 

도핑 연루선수들 규모는 최소한 하계종목 선수 총600명과 동계선수 95명이 포함되어 있다고 동 보고서는 폭로하였다(the report revealed)고 합니다.

 

McLaren보고서에 의거하여 도핑 연루선수 분포도를 살펴보면 (1)London2012올림픽, (2)2013년 러시아 Kazan하계유니버시아드, (3)2013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 및 (4)Sochi2014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모두 관련되었다(implicated)고 하는데 개개인 명단은 밝히지 않았다고(no names were given) 합니다

 

McLaren 리포트는 Sochi2014동계올림픽 4명의 금메달리스트를 포함하여 모두 12명의 러시아 메달리스트들의 약물검사 샘플들에 손댄 흔적이 분명한 증거(evidence of the tampering of samples)에 대하여 대서특필하고 있다(the report featured)고 한 바 있습니다.

(The report featured evidence of the tampering of samples of 12 medalists from Sochi, four of which won gold.)

 

4명의 Sochi2014 러시아 금메달리스트 명단이 궁금해 지는 대목입니다.

 

Sochi2014 동계 패럴림픽 21개 매달들 중 6명의 수상자들의 약물검사 샘플들 역시 손댄 흔적이 있었다(their sample tampered with)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cLaren 30개 이상의 종목 스포츠가 도핑시스템에 연루되어 있거나(involved in) 혜택을 입은 것(benefited from)으로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WADA독자적 도핑관련 조사 책임자로 지명된 McLaren 변호사는 지난 2016 7월 배포한 바 있는 제1차 보고서에서 초기 탐색적발 근거를 더욱 세부 화하면서(detailed further evidence of the initial findings released in the first report in July) 러시아가 “전례 없는 스케일 수준으로 London2012올림픽을 타락된 대회로 몰아 넣었으며, 아마도 결코 다시 수립될 수 없을 정도”(corrupted the London Games on an unprecedented scale, the extent of which will probably never be established)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조직적이고 중앙집권 화된 은폐와 도핑통제과정 조작”(systematic and centralised cover-up and manipulation of the doping control process) 정황을 살펴 보면 여러 주요 종목에 걸쳐 사용된 흐름에 있어서 “진화되고 세련되며”(evolved and was refined) 2011년 과2015년 사이에 자리매김하였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조직적 음모(scheme)배후에는 “반 도핑기구와 모스크바 실험실을 비롯하여 러시아 정보기관인 FSB뿐만 아니라 러시아 체육부 및 구축된 기반 내에 포진한 러시아임원들의 (거미줄 같이) 연루된 조직적 행동”(the involvement of "Russian officials within the Ministry of Sport and its infrastructure" as well as the anti-doping body, the Moscow lab, and the FSB)이 있었다고 주장되었습니다.

 

 

McLaren 변호사는 하지만 러시아 정부주도 (도핑)프로그램과 러시아 올림픽위원회(ROC)간의 어떠한 형태의 연결고리는 찾아낼 수 없었음을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두 조직 간의 명백한 연결고리 색출부족으로 말미암아 IOC가 왜 WADA의 러시아 선수단 전체에 대한 Rio2016올림픽 전면 출전금지(a Russian blanket ban)요구를 거부하였는지에 대한 한 가지 이유가 된 것으로 알려진 셈입니다.

 

McLaren의 발언 내용입니다:

 

"There is no direct evidence that members of the ROC were involved in this conspiracy." (러시아올림픽위원회 관계자들의 <정부주도 조직적 도핑에 대한> 공모 연루에 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음)

 

IOC WADA로부터의 각기 다른 반응들은 이들 두 개 기관들 간에 질질 끈 반목(a protracted feud)의 원인이 되었었으며 양쪽 기구 수장들인 Thomas Bach Sir Craig Reedie가 이후 사태종결에 합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McLaren 변호사는 “왜 우리가 합심하여 한 팀으로 행동하지 못하였는지 이해하기 어렵다”(he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why we are not on the same team)고 주장하면서 최근 수 개월간 이들 두 개 단체들이 보였던 행태에 대해 비판하였다고 합니다.

 

 

The public feud between the IOC and WADA was criticised by Richard McLaren Getty Images (Thomas Bach Sir Craig Reedie/출처: insidethegames)

 

 

계속되는 McLaren변호사의 발언 내용입니다:

 

"Over the past few months, we have seen in-fighting between many different actors within International Federations and within the anti-doping world." (지난 수개월에 걸쳐 국제연맹들 내부와 반 도핑 기구들 내부의 여러 명들의 다른 역할 자들 간의 집안싸움을 목격하여 왔음

 

"I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why we are not on the same team. (왜 우리가 같은 팀이 되어 협업하지 못하고 있는 이해하기 어려움)

 

"We should all be working together to end doping in sport.(우리모두는 스포츠에서의 도핑문제를 종식시키기 위해 협업해야 함)

 

"My investigation has gone a long way to bringing this dark secret out into the open. (내가 수행해온 조사는 이러한 어두운 비밀을 밝은 곳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음)

 

"Now we must move forward together and find solutions." (이제 우리는 함께 전진하여야 하며 해결책을 찾아내야 함)

 

9.    McLaren리포트 발표파장과 IOC의 후속조치

 

2016 129일 발표된 적발사례들은 모든 해당선수들의 이름이 거론된 정보요약 본들이 국제연맹에 제공될 것이기 때문에, 리포트에 관련되어 연루된 선수들에 대하여 해당 관련국제연맹들이 합당한 징계조치를 내리도록 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해 준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IOC는 행동 발의를 하기 전에 McLaren변호사뿐만 아니라 러시아 내부의 관련 인물들과 상의하기로 다짐한 바 대로 관련조사를 실행하기 위해 스위스 Samuel Schmid 스위스전임대통령 및 스위스 IOC위원인 Denis Oswald를 각각 위원장으로 하는 스위스 임원들로 구성된 두 개의 별도 팀(two separate investigations)을 꾸렸고 Oswald조사위원회는 중간결론을 발표하여 해당 러시아 선수(Legkov)에 대한 금메달 박탈 등 실체적인 징계조치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McLaren 변호사는 Rio2016올림픽 시작 직전인 2016 7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초기 적발사례에 대해 밝힌 바 있습니다.

 

동 보고서는 Grigory Rodchenkov 전임 러시아 반 도핑 국장이 New York Times지에 처음 제기된 주장들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는 Sochi2014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가 정부 주도 공모작전을 운영하였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10.                   McLaren 2차 보고서 이후 김연아 선수의 Sochi2014피겨 올림픽 금메달 되 찾을 가능성이 보였던 첫 단추

 

McLaren 리포트는 Sochi2014동계올림픽 4명의 금메달리스트를 포함하여 모두 12명의 러시아 메달리스트들의 약물검사 샘플들에 손댄 흔적이 분명한 증거(evidence of the tampering of samples)에 대하여 대서특필하고 있다(the report featured)고 한 바 있습니다.

 

4명의 Sochi2014 러시아 금메달리스트 명단이 궁금해 지는 대목이었습니다.

 

Sochi2014 동계 패럴림픽 21개 메달들 중 6명의 수상자들의 약물검사 샘플들 역시 손댄 흔적이 있었다(their sample tampered with)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었습니다.

 

2016 129일 발표된 적발사례들은 모든 해당선수들의 이름이 거론된 정보요약 본들이 이후 국제연맹에 제공된 것이기 때문에, 리포트에 관련되어 연루된 선수들에 대하여 해당 관련국제연맹들이 합당한 징계조치를 내리도록 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해 준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Sochi2014 동계올림픽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의 기량을 선 보인 한국의 김연아 선수를 개최국 Home Ground Advantage에 힘 입어 점수상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한 러시아의 Adelina Sotnikova에 대한 의구심이 생기는 시점으로 거론 된 바 있었습니다

 

만일 국제빙상경기연맹(ISU)에게 McLaren리포트에서 공개되지 않았지만 도핑연루 러시아 빙상선수들 명단이 전달 되었을 경우 Sochi2014동계올림픽 러시아선수단 금메달리스트 4명 중 Adelina Sotnikova선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었다는 개연성을 고려해 볼 때 ISU IOC의 후속조치에 의해 김연아 선수가 사필귀정(事必歸正)으로 동계올림픽 2연속 피겨 금메달리스토로 명예회복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단지 소치2014동계올림픽 이후 활동이 뜸한 Adelina Sotnikova가 러시아정부주도 도핑조작사건에 연루되어 ISU IOC로부터 불법 판정을 받을 경우에만 해당됨은 불문가지였습니다. 아쉽습니다.”

  

 

11.                 Sochi2014 동계올림픽 김연아 선수의 피겨 은메달 획득과 당시 전말 스케치

 

말도 탈도 많았고 세계 유수 언론매체들 조차 경기 채점결과에 대해 의아해 했지만 공식적으로 점수 집계상(Home Ground Advantage?)으로는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의 새로운 여왕으로 러시아의 신예 Adelina Sotnikova "영원한 피겨 퀸" 김연아의 뒤를 이은 셈이었습니다.

 

 

 

 ©Anna Konovalova / IOC (사진 출처: IOC 홈페이지/ Adelina Sotnikova의 피겨 경기장면) 

 

 

2014 221일 여자 피겨 최종일 결승경기가 펼쳐진 소치 Iceberg Skating Palace경기장의 밤은 세계 최고 기량을 자랑하는 각국 최고 피겨 선수들이 총망라 되고 총 출동하여 기량을 겨룬 "별이 빛나는 밤"(a star-studded night)이었습니다.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청소년 동계 올림픽(YOG) 선수출신 러시아의 신예 Adelina Sotnikova가 깜짝 쇼(a surprise performance)를 펼침으로 세계 피겨 퀸인 김연아를 포함한 기라성 같은 최고 중의 최고들을 여왕의 자리에서 내려오게(dethroning the best of the best, including defending champion Yuna Kim)하고 금메달을 조국 러시아에 안겼다고 IOC는 뉴스 섹션을 통해 보도한 바 있었습니다

 

Sotnikova는 자신의 최종 점수를 읽고 금메달을 확신하였을 때(ensuring her a golden finish) 감정을 추스리지 못하였다고 한 바 있습니다(could not control her emotions).

“이 결과가 아직 내게는 꿈만 같아요. 이 기분을 어떻게 표현할 수 조차 없다. 이것은 꿈이야. 이것은 꿈이라고."(This is still a dream for me, I can't express how this feels, it is a dream, it is a dream.)

Sotnikova는 김연아 선수의 경기 총점보다 총계에서 무려 거의 5점이나 앞선 총점 224.59점을 기록하며 경기를 마무리 한 바 있었습니다

 

2012년 인스부르크 동계 청소년올림픽 출신인 "요기"(Yoggie)는 그녀의 첫 번째 동계올림픽에서 조국인 러시아에 금메달을 안겨 주는 짜릿함을 맛 보았다고 (was thrilled to medal for Russia) IOC홈페이지는 전하고 있었습니다.

 

"동계올림픽이 우리나라에서 열리고 금메달로 마무리 했어요. 이것은 나머지 내 생애 기간 내내 남아 있을 매우 특별한 느낌 이예요." (The Games are in my country and I have finished with gold. It is a very special feeling that will remain with me for the rest of my life.)라고 Sotnikova는 말했다고 한다.

소치2014 피겨 은메달리스트이며 YOG 홍보대사이기도 한 김연아는 (의연한 모습으로) 뒤로 물러서서 Sotnikova 포옹하며(stayed back to hug Sotnikova) 그녀의 역동적인 경기에 대해 축하해 주는(congratulating her on her powerful performance) 아량을 보여 주었다고 전하였습니다.

 

©IOC/김연아선수에게 악수를 청하는 Adelina Sotnikova (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Adelina Sotnikova /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References:

 

-insdiethegames

-Francs Jeux

-WADA홈페이지

-IOC 홈페이지

-La Gazetta della Sport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1. 7. 14:42

[IOC소통위원장 겸 네덜란드 IOC위원 前 여친 폭행주장 여론

압력에 가슴 아픈 전격사임단행]

 

 

Camile Eurlings (44세) 네덜란드 IOC위원이 새해 1월5일 전격 사임하였습니다.

 

IOC위원 사임이유는 폭행주장에 따른 반발 후유증(following backlash over assault

claims)으로 알려졌습니다.

 

 KLM 항공사CEO(2013~2014)를 역임한 네덜란드 유일의 IOC위원으로 2013년도에 선출된

Camiel Eurlings (1973년 생/44)가 자신의 여자친구에 대한 폭행혐의가 합의가 이루어진

IOC위원 직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Eurlings free to continue as IOC member after

settling assault charge)이라고 당시 한 외신이 2017년 322일 자로 보도한 바 있었습니다.

 

 

<Camiel Eurlings 네덜란드 IOC위원 사례관련 요약정리>

 

2015년 12월 네덜란드에서 잘나가는 모델출신인 Tessa Rolink(2016년 당시 33세)라는 자신의 전 여자친구를 폭행혐의(allegations on a serious assault)를 받고 있는 Camiel Eurlings네덜란드 IOC위원(2016년 당시 42세)에 대한 Bach위원장의 해명 성 발언이 있었다고 합니다.

 

2016년 3월 당시 밝혀진 사건의 발단과 경과 그리고 그의 신상명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네덜란드 최대부수를 자랑하는 조간신문인 De Telegraf지에 따르면, Rolink여자모델이 지난해 7월에 있었던 폭행사건 후인 12월에 경찰서로 가서 Eurlings IOC위원의 폭행의 결과로 뇌진탕(concussion)증세와 팔꿈치 파열(a broken elbow)및 심한 멍(severe bruising) 등으로 고통 받았다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네덜란드 경찰은 고발인(a complaint)이 Eurlings위원을 정식 고소했는지 여부에 대하여 확인을 거절했다고 합니다.


 

Eurlings IOC위원은 전직 정치인이며 2007년~2010년 3년 간 네덜란드 수송, 공공 건설 및 수자원관리 장관(The Netherlands’ Minister of Transport, Public Works and Water Management)을 역임하였고 정계에서 은퇴한 후 곧바로 KLM Royal Dutch Airlines항공사에서 2011년~2014년 4년 간 먼저 전무이사(first managing director) 그리고 나서 사장(chief executive)직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진 인물입니다.


 

(Camiel Eurlings/사진출처: insidethegames)

 

 

그는 국내외 인맥이 좋아 2013년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 네덜란드 국왕이 된 후 IOC위원직을 사임한 Prince Orange의 후임으로 Bach IOC위원장에 의해 IOC위원으로 추천되어 선출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그는 Bach위원장에 의해 새롭게 개편된 IOC Communications Commission 분과위원장으로 발탁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2016년 당시에는 Bach위원장을 수행하여 미국Silicon Valley에서 기술고위직 인사들(tech giants)을 함께 만날 정도로 절친한 것으로 알려지진 바 있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의 감싸기(?)발언>


 

이와 관련 논란이 되자 Bach위원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네덜란드 IOC위원에 대한자국 내 중대 폭행혐의를 IOC윤리위원회로 회부할 이유가 없다라고 잘라 말한 것으로 보도 된 바 있었습니다.


 

2016년 당시 42세의 Eurlings IOC위원은 IOC에서 잘 나가는 실세 들 중 한 명인데(one of the IOC’s rising stars) 2015년 7월에 발생한 전 여자친구 폭행혐의와 관련 IOC에 통보했던 것으로 알려진 비 있었습니다.


 

Bach IOC위원장은 그 사건을 “사적인 다툼이며 이러한 논쟁은 아직 진행 중이므로 그 경과를 기다릴 것”(a private dispute and this dispute is ongoing. We will wait for the further outcome of this dispute)이라고 묘사한 것으로 알려졌었습니다.

 

           (Camiel Eurlings 2013년 IOC위원 선출 당시/출처: insidethegames)

 

 

사임한 Camiel Eurlings 네덜란드 IOC위원은 1월5일 자신이 이전에 전 여친(his former

girlfriend)폭행에 연루되었던 사건이후 증폭되는 압력에 직면하다가(in the face of growing

pressure following the incident in which he was alleged to have assaulted his former

girlfriend) 전격 행동에 옮긴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IOC개인적인결정(personal decision)에 대하여 유감을 표명하면서(expressed regret)

그 간 그의 기여에 대하여 감사의 뜻을 표했다고 합니다.

 

Camiel Eurlings IOC위원이 사임하면서 유일한 IOC위원을 보유하였던 네덜란드는 IOC위원

제로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아울러 공석이 된 IOC소통위원장(Chair for the IOC

Communications Commission)자리에 새로운 후임위원장이 필요하게 되었다(in need of a

new chair)고 합니다.

 

Camile Eurlings네덜란드 IOC위원 사임 직후 IOC는 전광석화와 같이 IOC위원명단에서 그의

사진과 이름을 삭제하기도 하였습니다. 그 결과 IOC위원 수는 2018년 1월7일 현재 100명에

1명이 감소한 99이 되었습니다.

 

 

(20181월6일 자 IOC홈페이지 현황)

 

 

올림픽헌장 규정상 IOC위원 정원을 115명으로 이제 16명이 공석으로 남아 있어 평창2018

계올림픽 직전 2월 초 평창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몇 명의 추가 IOC위원이 선출될지가 관

심사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음은 사임한 Camiel Eurlings네덜란드 IOC위원이 발표한 성명서 내용은 현지신문

(Algemeen Dagblad)이 보도한 내용입니다:

 

A."I deeply regret the whole course of events." (사건의 전과정에 대하여 깊은 유감

을 표명하는 바임)

 

B."The discussion about whether or not to stay on depends on where it should

go, right now; the sport and the athletes. (계속 잔류여부에 대한 논의는 지금 당장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야 하는가 에 달려 있음; 관건은 스포츠와 선수들임)

 

C."That is why I went down with pain in my heart as an IOC member, the most

beautiful volunteer job in the world." (그래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자원봉사 직

IOC위원의 일원으로서 내 가슴을 찌르는 고통을 가지고 내려 앉게 된 이유임)

 

전직 정치인 견 사업가인 그는 2013년 유일무이한 네덜란드 대표 IOC위원으로 임명되었지만

201512월 前 여친 Tessa Rolink가 제기한 혐의대상자(the subject of allegations)였습

니다.

 

그녀는 보도된바에 따르면 당시 5개월 앞선 2015년 8월 경 주장된 바 폭행의 결과로(as a

result of the alleged assault) 뇌진탕(concussion), 팔꿈치 골절(a broken elbow) 및 심각

한 타박상(severe bruising)으로 고통받아 온 것으로 주장한 바 있었습니다.

 

Eurlings 당시 2년 차 IOC위원은 잘못을 부인하였으며 보도된 바에 따르면 명예훼손으로 역

소송(filed counter-charges of libel)을 하였지만, 장기간 중재과정 후(after a lengthy

mediation process)인 2016년 3월 법정외 혐의해결을 위해 검사 입회하에(with the public

prosecotor to settle the charges out-of-court)합의가 이루어졌다는 발표가 있었다고 합

니다

 

그는 지난 달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as criticism grew)성명서를 발표하였는데, 그 내용

을 보면 사고에 대한 유감 표명(expressed regret over the incident)과 함께 자신이 일반 대

중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했다고 자인하였다(conceded that he underestimated the public

impact)고 합니다

 

이러한 성명서 내용은 비난을 증폭사켰을 뿐이며, 결국 2018년  1월5일 자 젼격사임발표에

이르게 되었다(This only intensified criticism, however, leading to his resignation

today)는 이야기입니다.

 

 

Camiel Eurlings, second right, was among new appointments made to the IOC in 2013

©Getty Images(Camile Eurlings<우-2>, Jacques Rogge 당시 IOC위원장<한 가운데>/출

처: insidethegames)

 

 

Camile Eurlings 직전 IOC위원은 이임성명서에서(in his departing statement) 다음과 같이

사임의 변을 토로하였다고 합니다:

 

"In recent years I have been able to contribute to the modernisation of the IOC as an

IOC member." (최근 몇 년사이에 IOC위원으로서 IOC의 현대화에 기여할 수 있어 왔음)

 

"The ties between the IOC and The Netherlands have been strengthened and we

have created opportunities for smaller countries to organise the Games in the future.

(IOC와 네덜란드간의 결속력은 강화되어 왔으며 우리는 미래에 소국들의 대회를 개최할 기회

를 창출해 왔음) 

 

"It was an incredible honour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is.(이러한 계획에 기여할 수

있게된 것이야말로 엄청난 영예였음)

 

"I wish all Olympic athletes the best Games ever in Pyeongchang and hope that their

years of dedication and training will be rewarded." (바라건대 모든 올림픽 선수들이 평창

2018에서 최고의 대회를 누릴 수 있기되기를 기원하며 선수들이 몇 년간 훈련하고 헌신한 댓

가가 보상받게 되기를 희망하는 바임)

 

Eurlings은 지난 2103년 IOC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15년이래 IOC소통위원장으로 봉사해

왔습니다(served as chair of the IOC Communications Commission)

 

 

(Bach IOC위원장<좌-3>, Chrsitophe de Kepper IOC사무총장<좌-1> 및 Camiel

Eurlings<우-3>와 네덜란드 NOC관계자들 2017년 11월14일/출처: IOC홈페이지)

 

 

그는 또한 IOC재정위원회 위원이기도 합니다.

 

Eurlings IOC위원을 공공연하게 지원하였었던 IOC는 당시 그러한 사건에 대해 단지 “개인적

일”(a private matter)로 정의하고 그의 IOC위원직 사임을 요청하지 않았었습니다.

 

2017년 3월 당시 IOC 대변인(Mark Adams)은 Eurlings IOC위원이 처벌에 당면해 있지 않음

(faces no punishment)을 확인하면서 다음과 같이 발언한 바 있었습니다:

 

A.  "The IOC has been informed of the meeting between Mr. Eurlings and the public Prosecutor, as well as the statement made by the Prosecutor that the situation will not be brought to Court." (IOCEurlings와 검찰관 간의 회동을 통보 받았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법정공방까지 가져갈 사안이 아니라는 검사 측의 성명서 내용도 인지하고 있음)

 

B.  "This is a private matter, and the IOC has no further comment to make." (이 사건은 개인적인 사안으로 IOC로써는 더 이상 논평할 것이 없음)

 

 

 

 하지만 그 당시 본국인 네덜란드의 원로 인사들은 Eurlings IOC위원이 과연 스캔들 후에도 IOC에서 네덜란드 대표로 적절한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한 바 있었습니다.

 

 

네덜란드 현지신문인 De Telegraaf 게재된 글을 보면 두 차례 올림픽 하키 우승자인 Jacques Brinkman은 이러한 사건은 IOC에서의 네덜란드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있으며 향후 있을 수 있는 네덜란드의 올림픽 패럴림픽 유치경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암시하였었다고 합니다.

 

 

 Eurlings IOC위원은 2013Thomas BachIOC위원장으로 선출된 부에노스아이레스 IOC총회에서 피선된 바 있으며, 신설된 IOC소통 분과위원회(Communication Commission)위원장 및 IOC재정분과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던 바 있었습니다.

 

 

그는 네덜란드 정치인 출신으로 2007~2010년까지 3년 간 네덜란드 교통, 공공건설, 수자원관리부 장관(The Netherlands' Minister of Transport, Public Works and Water Management)직을 역임한 바 있는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입니다.

 

 

그는 그 후 정치권에서 은퇴하였으며 KLM Royal Dutch 항공사에서 2011~2014년까지 운영이사에서 시작하여 CEO직책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그는 최근까지  AmEx 글로벌 비즈니스 여행부문 이사 직(a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at American Express Global Business Travel)을 맡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음은 IOC가 2018년 1월 5일 최근 성명서를 통해 언론에 밝힌 Eurlings IOC위원 사임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We understand that Camiel Eurlings has taken the decision to step down as an IOC

member, and accept with regret his resignation which will be formally presented to

the lOC Executive Board." (우리가 이해하기에 Camiel Eurlings는 IOC위원 직을 내려 놓

기로 결정한 것이며, 그의 사임을 유감스럽지만 수용하는 바이며 IOC집행위원회에 그 안건을

공식 상정할 것임)

 

"We thank him for his contribution, among others as Chairman of the IOC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as a strong advocate behind the reforms of the

IOC, making it easier for small nations to organise Olympic Games. (우리는 그의 기여

한 것들 중, 특히 IOC소통위원장 직분 감담에 대해 감사하며, IOC개혁과정을 강력하게 옹호

해 줌으로써 소국들의 올림픽대회개최를 더욱 용이하도록 해준 역할에 또한 감사하는 바임)

 

 

"Although we regret his decision, which is a personal one, we respect the step taken

in the interests of the lOC, of the Olympic Movement, and of all involved." (우리가 비

록 그의 개인적인 용퇴결정에 유감스럽긴 하지만, IOC와 올림픽운동과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이익을 고려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 존중하는 바임)

 

*References:

-insidethegames

-IOC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8. 1. 1. 12:11

[Bach IOC위원장 직 사퇴 촉구 받고 있는 내막은?]

 

1)   20171230일 한 외신기사제목은 “Rodchenkov변호사에 의해 강대국 러시아에 아첨하고 있다고 비난 받은 후 Bach IOC위원장 직 사퇴 촉구 받다”(Bach urged to resign as IOC President after being accused of "kowtowing to powerful Russia" by Rodchenkov lawyer)였습니다

 

 

 

(Bach IOC위원장과 Putin러시아대통령/출처: insidehtegames)

 

 

2)  Thomas Bach IOC위원장은 러시아정부의 조직적 도핑조작사건을 밀고한 내부고발자(whistleblower)Grigory Rodchenkov의 변호사 Jim Walden에 의해 IOC위원장 직에서 물러나라고 촉구 받아 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Jim Walden 변호사는 Bach IOC위원장의 리더십을 애처롭고 한심하다라고 묘사하면서(who described his leadership as “pathetic”) “강대국 러시아에 아첨하고 있다”(kowtowing to powerful Russia)고 비난하였다고 합니다

 

4)  Jim Walden변호사는 IOC가 모스크바 소재 국립 반 도핑 실험실 전임 소장(the former director of Russia's national anti-doping laboratory in Moscow)이었던 Rodchenkov를 보호할 수 없다는 IOC의 주장에 대하여 격하게 반응하였다(reacted angrily to claims that they are unable to protect Rodchenkov)고 합니다

 

5)  Rodchenkov201511월경 미국으로 망명을 구하기 위해 러시아를 도망치기 전(before he fled the country to seek asylum in the United States)IOC에 보호조치를 요청하였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6)  그 이래로 RodchnekovWADAIOC에게 소치2014동계올림픽을 포함하여 반 도핑행위관련 체계적인 조작”(systematic manipulation of anti-doping practices)에 대한 증거의 많은 부분(much of the evidence)을 제공해 왔다고 합니다.

 

7)  그 결과 러시아는 평창2018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중립 깃발 아래 출전하게 된(Russia being forced to compete under a neutral flag at next year's Winter Olympic Games in Pyeongchang) 배경이기도 합니다

 

8)  Walden변호사는 IOC가 살해위협(death threats)을 포함하여 러시아 관료들 로부터 끊임없이 공격대상희생자(the victim of attacks from Russian officials)로 고통받아온 Rodchenkov를 보호하기 위해 더 많은 조처를 취했어야 했다(should have done more to protect Rodchenkov)고 주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9)  Walden은 뉴욕에 근거지를 둔 변호사로서 IOC가 러시아와 쿠웨이트를 다루는 방식이 대조적이라고(contrasted the treatment of Russia by the IOC with that of Kuwait) 주장해 오고 있다고 합니다

 

10) 쿠웨이트는 자국정부간섭으로 인해 IOC로부터 자격정지처분을 받는 바람에 Rio2016올림픽에 마지못해 독자적 올림픽선수”(Independent Olympic Athletes)자격으로 출전한 바 있습니다.

 

 

11) 하지만 러시아 출신 선수들은 평창2018러시아 출신 올림픽선수들”(OAR: Olympic Athletes from Russia)이란 깃발 하에 출전할 것(compete under the banner of OAR)으로 결정된 바 있으며 러시아올림픽위원회는 평창2018폐회식에서 러시아 깃발아래 참가할 수도 있는 자격복권이 가능할 것이라고 언질을 받아오고 있다(the Russian Olympic Committee have been told they could be reinstated in time to take part under their own flag at the Closing Ceremony)는 것입니다

 

12) 다음은 Walden Macht & Haran LLP 법률법인(law firm)의 창립멤버인 Walden변호사가 1230일 밤 성명서를 통하여 발표한 발언 내용입니다:

 

A.  "Lest there be any doubt about the political nature of the IOC’s decision making, I recall it imposed a multi-year and continuing complete ban of Kuwait for acts far less serious than Russia’s criminality." (IOC의 결정절차의 정치적 성격에 대하여 의심의 여지가 없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본인은 IOC가 러시아의 범죄행위보다 훨씬 덜 심각한 쿠웨이트 케이스에 대하여 수년 간 그리고 지속되는 쿠웨이트에 대한 전면금지행위를 부과한 것을 상기하고자 함)

 

B.  "The IOC cannot possibly justify this as anything other than kowtowing to powerful Russia, while using the so-called ‘nuclear option’ on a weaker country. (IOC는 이러한 작태가 소위 약소국에 대해 핵 선택권을 사용하고 있는 강대국 러시아에 대한 아첨행위가 아닌 그 어떤 다른 것이라고 정당화 할 수 없을 것임)  

 

C.  "From this perspective, the IOC has proven pathetic and a change in leadership is in order. (이러한 관점에서, IOC가 애처롭고 한심한 것임을 입증해 온 것이며, 리더십경질은 적절한 것임)

 

D.  "What Thomas Bach fails to understand is this is not about Dr. Rodchenkov, or [Vladimir] Putin, or even about Russian athletes. (Thomas Bach IOC위원장이 이해 못하고 있는 점은 이러한 사태가 Rodchenkov박사나 푸틴대통령이나 심지어 러시아 선수들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것임)

 

E.  "It is about the Olympic ideal. (그것은 바로 올림픽이상과 관련된 것이라는 점임)

 

F.   "And once that ideal is abandoned or corrupted, it is dead, and the Olympics become a series of cheap carnival games." (그리고 올림픽이상이 내 버려 던져지거나 타락된다면 그것은 죽은 것이며, 올림픽은 싸구려 카니발 축제대회로 전락하는 것임)

 

 

13)  Walden변호사는 동계올림픽과 월드컵대회가 다가옴에 따라 IOCFIFA내부에서는 Rodchenkov박사에 대하여 신뢰하지 않거나 침묵시키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강력한 목소리가 이제 결성되어 가고 있다("powerful voices" within the IOC and FIFA "are now aligning to try to discredit or silence Dr. Rodchenkov as the Winter Olympics and the World Cup draw near")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14)  Walden변호사는 그들의 정비된 능수능란한 술책을 조심해야 합니다”(Please watch for their coordinated sleight of hand) “그것이 다가오고 있습니다”(It is coming.)라고 첨언하였다고 합니다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should be doing more to protect whistleblower Grigory Rodchenkov, the former head of the Moscow laboratory, his lawyer has claimed ©Netflix

 

 

 

15) 201712월 말 Walden변호사는 자신의 성명서에서 IOCRodchenkov박사가 자신의 안위를 걱정하기 때문에 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증거제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안심할 것(the IOC would be happy if Rodchenkov were not available to give evidence at the Court of Arbitration of Sport because he feared for his safety)이라고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6) IOCWalden의 주장에 대해 우스꽝스러운 자기주장”(ridiculous assertion)이라고 주장함으로써(되 받아 쳤다(the IOC hit back by claiming)고 합니다

 

17) 하지만 Walden변호사는 다시 다음과 같은 논리에 입각하여 자신만의 반격으로(with his own counter-attack) 받아 치고 있다고 합니다

 

A.  "The IOC claims it has no power to protect Dr. Rodchenkov." (IOCRodchenkov박사를 보호할 힘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음)

 

B.  "This is obviously false. (이러한 주장은 명백한 오류임

 

C.  "In imposing the ban, the IOC said Russia would not participate in the Closing Ceremonies unless Russia 'fully respected and implemented' the IOC’s directive for compliance with its conditions. (금지령을 발동하면서, IOC는 러시아가 IOC가 설정한 지시사항을 전폭적으로 존중하지 않거나 실행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가 폐회식에 참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언급하였음)

 

D.  "Yet, Russia denies the IOC’s conclusions, its officials are appealing their bans, and Russia continues to retaliate against the IOC’s main witness, Dr. Rodchenkov. (그런 와중에 러시아는 IOC의 결론지침을 부인하고 있으며 러시아 관계자들은 금지조치에 대해 항소하고 있는 중이고 또한 러시아는 IOC의 주요 증인인 Rodchenkoc박사에 대한 보복을 계속하고 있는 상태임)

 

E.  "The IOC can and should continue Russia’s complete suspens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OC는 이러한 상황 하에서 러시아에 대한 전면 자격 정지조치를 단행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자격정지를 계속해야 하는 것임)

 

F.   "Refusal to use this authority will lead to everyone to question the IOC’s motives, and to be skeptical of its resolve to protect clean Olympian athletes and whistleblowers." (이러한 권한사용을 거절한다는 것은 모든 이로 하여금 IOC의 동기와 의도에 대하여 의문을 품게 할 것이며, IOC의 정직한 선수들과 내부고발자 보호를 결의한 해결책에 대하여서도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할 것임)

 

 

 

*References:

-insideht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2. 29. 10:47

[2017년도 대미장식 국제스포츠 계 최고TOP 뉴스는 러시아와 씨름중인 IOC의 도핑징계후속조치”(IOC wrestles with Russia, doping and due process)]

 

 

 

 

1)   2017년도 최고 스토리인 러시아 집단도핑사건은 2017년뿐만 아니라 2018년에도 계속적으로 출혈이 흘러 국제 스포츠 계를 적실 것이 예견되고 있습니다

 

 

 

 

 

 

2)   4년 전 독일 ARD TV채널을 통해 다큐멘터리 형태로 방송을 타면서 붉어진 러시아의 만연된 도핑프로그램실체가 폭발적인 반향을 일으키며 폭로가 된지 4년 차를 맞이하였습니다

 

 

3)   2015년에는 전임 WADA회장이자 IOC최고참 IOC위원인 캐나다의 Dick Pound가 발표한 보고서에는 러시아에서 자행된 것으로 알려진 속임수(cheating)와 은폐(cover-up)로 얼룩진 심각한 프로그램실체를 적시한 바 있습니다.

 

 

(Dick Pound)

 

 

 

4)   2016년에는 WADA가 위임한 캐나다 법학교수인 Richard McLaren이 조사하여 발표한 2건의 보고서가 큰 파장을 일으켰는데, 그 보고서에는 러시아 측의 속임수의 구체적 실체의 사례들(specific instances of cheating)과 더불어 훨씬 더 많은 사례가 있을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 가운데(although there were believed to be many more) 643건의 양성반응 검사결과를 파헤친 바 있습니다

 

 

 

                                                     

(러시아국기의 3색은 평창2018에서 러시아출신 올림픽선수<OAR>선수들에게 금기의 색상

이 되고 있음)

 

 

 

(Richard McLaren/사진출처:insidethegames)

 

 

5)   Rio2016올림픽 직전에 러시아선수출전자격에 대한 의문점이 속속 제기되자 IOC는 직격탄 대신 우회하여 각 국제연맹들(IFs)에게 각각 러시아선수들의 참가자격 판정을 결정할 것으로 요청한 바 있었습니다

 

6)   대부분의 국제연맹들은 러시아선수들이 대회출전을 허용한 바 있으며, 단지 러시아 역도 팀은 출전금지조치를 받았으며 러시아육상선수 단 한 명에 대하여 Rio2016대회에 출전이 허용된 바 있습니다

 

*멀리뛰기선수 Darya는 미국 플로리다에 거주해 정기도핑검사를 러시아가 아닌 다른 곳에서 받아온 사실이 인정되어 IAAF 경기규칙 22 1항에 의거해 예외자격을 얻은 바 있음.

(Darya Klishina /출처: The Guardian)

 

 

7)   하지만 2017년 들어, 은폐의 정점에서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도핑에 연루되었던 선수들에 대하여 과연 어떤 조치들이 취해질 수 있으며 취해져야 하는지 대하여 그리고 평창2018출전자격대상은 누구인지에 대하여 심사숙고 할 더 많은 시간이 주어진 상황이 되었습니다.

 

 

8)   따라서 IOC2개의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기에 이르렀는데 그것이 바로, 스위스 IOC위원인 Oswald 조사위원회와 전임 스위스 대통령이었던 Schimd 조사위원회였으며 두 개의 조사위원회는 개개인의 경우에 대한 도핑경중여부 판단과(to weigh individual cases) 집단적인 비난공세고려(to consider collective blame)에 대한 심의에 들어 간 바 있습니다

 

 

 

9)   Oswald팀은 조사과정을 발전적으로 확대하여 청문회를 거쳐 지난 111일 드디어 결정사항에 대하여 발표하기 시작하였습니다(started issuing decisions)

 

 

(Denis Oswald)

 

10) 이러한 조사과정은 이후 12월 내내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continuing throughout December) 20181월에도 진행될 것(will carry on into January)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11) 반면, Schmid 조사위원회는 12월 첫 째 주 조사보고서를 공개하기에 이릅니다.

 

 

(Samuel Schmid전 스위스대통령출신 IOC진상조사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12) 적발사례들 중(among the findings),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A.  “The commission confirmed that the Russian authorities developed a system that allowed a Moscow laboratory to routinely change positive test results to negative, as well as to tamper with samples during the Sochi Games in 2014.” (동 조사위원회는 러시아당국이 모스크바 도핑실험실로 하여금 일상적으로 도핑양성결과를 음성으로 바꿔 치기 하도록 허용하였으며 소치2014동계올림픽기간 동안 실험대상 샘플들에 손을 대어 개봉하도록 했던 시스템을 주도적으로 키운 바 있음을 확인하는 바임)

 

 

13) Oswald조사위원회는 McLaren보고서에 식별되었던 당초 28명의 소치2014동계올림픽출전선수들의 자격에 대한 숙고 작업으로부터 착수한 바 있었습니다만 소치2014대회 도핑샘플들을 재검사하면서 더 많은 의문점들이 제기된 후 46명으로 조사대상리스트 범위를 확대한 바 있습니다.

 

 

14) 43명의 선수들 에 대한 자격박탈 조치가 이루어졌으며 46명 중 3명에 대하여서는 소명이 되었다(three athletes were cleared)고 합니다

 

 

15) 첫 번 째 25명 자격박탈대상 선수들은 모두 스포츠중재재판소(CA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항소한 것(all filed appeals)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16) 이들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IOC 홈페이지

-The Guardian

-insidethegames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2. 14. 17:51

청소년 기자단뉴스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님을 만나다

오늘의청소년 기자단 ●최진솔, 이수진, 전영인, 정유나

 월드컵, 올림픽! 이름만 들어도 심장이 쿵쾅쿵쾅하는 축제들입니다. 이처럼 경제나 정치뿐만 아니라 문화생활에서 까지도 ‘글로벌화’는 그 이름값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최근 평창 올림픽 유치에 김연아 선수가 적극적인 역할을 하면서 ‘스포츠외교’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멋진 그대에서는 현재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을 지내고 계시는 윤강로 원장님을 만나 청소년들에게 조금은 생소할 수 있는 스포츠외교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들어보고, 스포츠외교관으로써 청소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들어보았습니다.



(대한민국 최초의 스포츠외교 ANOC/206개 전 세계국가올림픽위췅회 총연합회 공로훈장 수상자가 된 윤강로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


 

Q. 조금은 생소한 분야인데, 스포츠외교란 무엇인가요?
A. 외교라는 것이 外자에 交자이잖아요. 사전적 정의를 말하자면, 국가의 이익과 미래, 그리고 발전을 위해 국가와 국가 간에 접촉하는 행위이죠. 스포츠외교란 스포츠를 매개로 해서 국가와 국가, 조직과 조직,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스포츠의 발전을 위해 움직이는 것으로, 스포츠외교관이란 로비스트이자 협상가라고 할 수 있어요. 인맥형성에 있어 최전방에서 일하는 사람이 바로 스포츠외교관입니다.

 



Q. 현재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이라는 자리에 계신데, 어떠한 일을 주로 하시나요?
A. 스포츠외교관이라는 범위가 참 넓어요. 김연아 같은 운동선수들, 코치 같은 사람들도 다들 민간외교관이죠. 일반적으로 운동선수를 뺀다면 스포츠 미디어, 스포츠 행정 등의 분야에서 스포츠를 매개체로 다른 나라들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스포츠외교관들은 전 세계를 두루 다니면서 각 나라의 문화와 언어를 알 수 있고, 여러 행사에도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지요.

 

(김연아 선수와 함께 동석한 윤강로 원장)

 

 


Q. 지금까지 많은 활동을 하셨는데, 그중에서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으신가요?
A. 에피소드는 수천가지가 넘지요. 제가 저술한 ‘총성 없는 전쟁’이라는 책을 보면 더 많은 이야기를 볼 수 있어요. 스포츠외교를 하면서 북한을 방문하여 북한사람들과도 정치적 분야를 제외한 이야기도 맘껏 나눌 수 있었지요. 2008년 올림픽을 앞둔 시점에서 IOC올림픽 평가위원회에 최초 아시아인으로서 참여했는데, 대통령들과 직접 만나 이야기하고 사진도 찍었죠. 그중에서도 프랑스 엘리제궁에서 대통령과 함께 대화할 기회가 주어졌어요. 제가 불어를 전공했는데, 불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으면 해보라 하더라고요. 저는 항상 미리 어떤 이야기를 하게 될까 미팅 전에 생각해두고 가는데, 그 기회가 주어졌을 때에도 미리 준비된 수식어들을 맘껏 사용하여 불어를 했죠. 그랬더니 이렇게 불어를 잘하는 사람이 있나 하더라고요. 누구에게나 똑같은 상황이 주어지는 건 아니지만, 항상 준비하는 자세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 208년 올림픽 IOC평가위원 자격으로 후보도시중 하나였던 Paris2008 후보도시 현지실사 방문 중 프랑스 대통령궁인 Palais d'Elysee에서 Jacques Chirac 프랑스대통령과의 면담기회가 주어졌다)



Q. 외국어 실력이 뛰어나신 걸로 아는데, 어떻게 하면 외국어를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까요?
A. 제가 EBS방송에 출현해서 영어 공부에 대한 강연을 하기도 했는데요, 원한다면 찾아보실 수 있을 거예요. 영어를 잘하려면, 영어를 매일매일 공부하고, 또 어려움에도 부딪히면서 공부하는 게 좋아요. 영어 단어가 많이 필요하다기 보다는, 알고 있는 단어를 편안하게 연결해서 구사하는 게 중요합니다. 매일 자신이 외국인과 만나게 될 어떤 상황을 생각해보고, 내 실력으로 만든 문장을 하루에 3개씩 적어보고 외워둡니다. 한 번에 확 실력이 늘기를 바라기보다는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죠. 이런 식으로 실력을 늘리다보면 충분히 대화할 수 있는 실력이 갖춰집니다. 그리고 기회가 되면 꼭 사용해보세요. 틀려도 상관없습니다. 오히려 실수를 통해 고친다면 더 오랫동안 기억에 남게 되죠. 완벽하게 하려고 망설이는 것보단, 매일 부딪혀보는 게 더 좋습니다. Stimulus and response. 자극이 있다면 반응이 오기 마련이에요.



Q. 세계 여러 곳을 돌아다니셨는데, 다른 국가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의 청소년들이 배웠으면 하는 자질이 있다면 어떤 것이라 생각하시나요?
A. 첫 번째는, 자존감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한국 청소년들은 너무 자신감이 없어요. 겸손하되 좀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이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사람을 만났을 때 무표정인 경우가 많은데, How are you?하면서 밝게 인사할 줄 아는 사람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자립심을 좀 더 키워줘야 합니다. 한국은 부모님에게만 의지하려는 경우가 많아요. 부모가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주어 스스로 삶을 살아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서 남을 칭찬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Q. 앞으로 스포츠외교와 관련하여 직업을 가지고 싶어 하는 청소년들을 위해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A. 우선, 스포츠를 사랑하고, 스포츠에 대하여 잘 알고, 국제동향도 잘 파악하여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로드맵을 설정해야합니다. 스포츠 외교관이 되는 방법은 정말 다양하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외국어를 열심히 하되, 처음부터 잘하려고 하기 보다는 친숙하도록 습관화, 생활하해야 합니다. 이와 동시에 스포츠외교동향을 잘 알아야 하는데, 제 블로그(윤강로의 스포츠 세상)를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노력과 함께 자신의 환경에 맞는 스포츠외교관 역할을 찾아야하는데, 운동선수라면 운동선수연맹에서, 또는 자원봉사 등을 통해서 사람들과의 네트워크를 만들어가면서 자리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한국청소년단체 협의회 홈페이지)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2. 12. 10:52

[러시아 도핑사건에 대한 모든 것 및 관련 국제이슈 요약총정리 Update]

 

*순서:

 

가.      일정 별로 본 러시아 도핑스캔들 진척상황 로드 맵(Roadmap) Update

나.      전 세계 외신, 2016WADA반도핑규정관련 러시아 도핑연루 혐의 집중 조명 및 보도

다.      국제 스포츠 계의 대 러시아 견제 사례

라.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개략소개

마.      러시아 도핑파문사건연계 국제조사 검증 및 경과 일지 요약 재정리 및 Update

바.      대 러시아 강경제재에 따른 배경과 향후 전망

 

 

*내용:

 

1. 일정 별로 본 러시아 도핑스캔들 진척상황 로드 맵(Roadmap) Update

 

1)   201412:

(1) 독일ARD방송사의 러시아 육상 계의 조직적 도핑사례고발

(2) WADA독립위원회 발족

 

2)   201511:

(1) WADA독립위원회 1차 보고서 공개

(2) IAAF 러시아에 국제육상대회 개최금지 등 제재조치 처분

 

3)   20161:

(1) WADA독립위원회 2차 보고서 공개

 

4)   20166:

(1) IAAF, 러시아 육상연맹에 대한 Rio2016올림픽 참가금지 처분

 

5)   20167:

(1) 1McLaren Report 공개

 

6)   20168:

(1) 러시아 올림픽 선수단, Rio2016올림픽에 제한적 출전허용(IOC-IFs연계)

(2) Rio2016패럴림픽 러시아 선수단 전체 출전금지 처분(IPC)

 

7)   201611:

(1) 러시아선수단의 평창2018 패럴림픽 6개 중 IPC직접관할 5개 종목 참가금지 가능성 시사(Wheelchair Curling종목참가는 미지수)

(2) IPC,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 자격정지해지용 도핑방지 규정준수의무조건 러시아에 전달:

가. RPC 조정위원회 설립,

나. 도핑방지 문화의 확립,

다. 도핑방지 교육 및 검사와 결과관리의 개선

 

 

8)   201612:

(1) 2McLaren Report 공개

(2) 2016 1217일 한 외신기사 제목은 “Bach IOC위원장, Mclaren리포트에 적발된 러시아의 도핑증거 정도에 경악과 내적 분노 표출하다”(Bach reveals "shock" and "inner rage" at extent of Russian doping evidence uncovered in McLaren Report.)라고 할 정도였으며 IO의 러시아에 대한 태도 변화 감지

 

9)   2017129~31:

(1) 독일 본 개최 IPC집행위원회 RPC의 도핑방지의무준수 반영 및 이행 전까지 징계처분 지속실행결정

(2) IPC, RPC 자격정지처분해지용 준수의무사항 필요조건 전달에 따른 IPC대책위원회 구성 운영키로 결정

 

10) 201721일 자 외신:

(1) 러시아의 평창2018패럴림픽참가자격획득 용 IPC주관 예선대회 출전 불허 방침 발표 보도

 

11) 201796:

(1) IPC, 러시아 선수단 평창2018 패럴림픽 출전 불허 조치유지

 

12)  201711:

(1)  Denis Oswald IOC집행위원 겸 IOC징계위원장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도핑조작연루 러시아 선수 25명 영구제명조치

 

13)  2017125:

(1)  IOC집행위원회, 평창2018동계올림픽 러시아선수단 출전금지조치 및

정직한 선수들(Clean Athletes)의 개인자격(러시아출신 올림픽선수: Olympic Athlete from Russia 명의로 허용)

14)  20171219:

(1) IPC 집행위원회, 러시아의 평창2018동계패럴림픽 출전 여부 투표로 결정

 

15)  20171222:

(1) IPC, 러시아의 평창2018패럴림픽 참가 포함 각종 관련 사안 정리 후 출전허용여부 결과 공식발표 예정

 

 

2. 전 세계 외신, 2016WADA반도핑규정관련 러시아 도핑연루 혐의 집중조명 및 보도

 

1)   러시아, 국가적 차원의 조직적 도핑 연루혐의가 2014 12, 독일의 한 방송사(ARD) 보도를 시작으로 드러나게 된 세계 육상 계와 러시아의 도핑 스캔들로 국제스포츠 계는 충격에 휩싸인 바 있음

 

2)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 2016 4 27일 홈페이지를 통해 2014년 반 도핑 규칙 위반사례보고서(2014 Anti-Doping Rule Violation Report)를 발표함.

 

3)   WADA는 지난 2014년 한해 동안 도핑방지 규정 위반 1,693건의 규정위반 사례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 총 109개 국가, 83개 종목에서 도핑방지규정 위반이 적발되었다고 밝힌 바 있음.

 

4)   이들 중, 선수의 직접 규정 위반은 1,647건이며, 나머지 46건은 선수 지원 인력(Athlete Support Personnel)이 위반하였던 것으로 드러남

 

5)   종목별로는 육상이 가장 많은 위반 횟수를 기록함.

 

6)   동계 스포츠가 대체적으로 낮은 도핑규정위반 건수를 기록한 가운데, 아이스하키가 동계스포츠 중 가장 많은 41건의 도핑규정위반 사례가 기록되었다 함

 

7)   도핑 규정 위반이 가장 많이 발생한 10개 종목은 다음과 같음

종목별 도핑 규정 위반 현황 세부 내용(1 – 10)

종목

위반 횟수

테스트 횟수

테스트 대비 적발 비율(%)

육상

261

25,830

0.0101

보디빌딩

245

1,783

0.1374

사이클링

221

22,471

0.0098

역도

169

8,806

0.0192

축구

144

31,242

0.0046

파워리프팅(Powerlifting)

127

2,789

0.0455

레슬링

60

5,154

0.0116

수영

57

12,120

0.0047

럭비

57

6,961

0.0082

복싱

55

4,258

0.0129

자료출처: 2014 Anti-Doping Rule Violation Report (WADA)

 

 

7) 한편, 국가별로는 러시아가 도핑 규정을 가장 많이 위반한 것으로 밝혀 짐

 

8) 한국 2014년 한해 세계에서 10번째로 많은 위반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짐.

 

9) 한편, 2014년 발행한 WADA보고서가 다루고 있는 2014년 한 해에는 WADA 2009년에 통과시킨 규정에 따라 도핑에 관한 처벌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짐 

 

10) 2015년부터는 새로운 WADA규정에 따라 도핑 관련 처벌이 이루어지는 만큼, 20165월경 발간되기로 하였던 보고서의 내용에도 관심이 모아진 바 있음

 

11) 2년이 경과한 20165월 시점에서 러시아는 자국에서 개최한 소치2014동계올림픽 참가자들 대상으로 초미의 관심사항이었음.

 

12) 미국CBS방송은 지난 2016 5 8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60 Minutes를 통해 소치2014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러시아 선수단의 도핑혐의관련 고발함.

 

13) CBS러시아도핑방지기구(RUSADA: Russian Anti-Doping Agency)에서 근무한 바 있는 Vitaly Stepanov와의 인터뷰를 통해 소치2014동계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의 규정 위반한 도핑사실과 이에 대한 RUSADA의 의도적 방조실태를 고발함

 

14) Stepanov는 스테로이드를 복용한 선수들의 명단인Sochi List RUSADA 회장Grigory Rodchenkov가 지참하고 있었다고 폭로함.

 

15) 또한, Stepanov에 따르면 리스트에는 최소 4명의 소치2014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포함되었으며, 이러한 내용을 담은 Rodchenkov 회장과의 전화통화 녹음기록도 소지하고 있다고 밝힘

 

16) CBS TV다큐멘터리는 러시아의 국가정보기구인 FSB 도핑 혐의를 숨기기 위해 실험결과조작에 가담했다고 보도한 바 있음

 

17) 한편, 세계반도핑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20165 11일 보도자료를 내고CBS방송의 다큐멘터리가 보도한 내용의 사실여부 확인 차 즉각적 수사 진행의사 밝힘.

 

18) WADARodchenkov 회장과 내부고발자(Whistleblower)Stepanov와의 통화기록을 증거로 확보하겠다고 밝힘.

 

19) 러시아는 2015 11월 러시아육상선수들의 도핑 스캔들에 이어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처함

 

20) WADA의 수사 내용 및 결과의 파장에 대한 귀추가 국제스포츠 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된 바 있음

 

21) 20167월 초, IAAF(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국제육상경기연맹)가 러시아육상경기연맹의 가맹자격 정지조치로 인해 2명을 제외한 러시아 육상선수들의 Rio2016올림픽 참가가 불투명하게 된 바 있었음

 

22) 2015 11 9 WADA(World Anti-Doping Agency, 세계도핑방지기구)보고서(Independent commission report) 발행 이후, IAAF가 러시아 자국 선수들의 도핑을 의도적 방조 및 조작한 혐의로 ARAF(Russian Athletics Federation, 러시아육상연맹)의 가맹자격을 일시 박탈함에 따라 소속 선수 전원의 국제대회 참가가 제한된 바 있음

 

23) 이후 136명의 러시아 선수들이 무소속중립선수(neutral athlete) 자격으로 올림픽에 참가 청원 요청서를 IAAF에 보냈지만, IAAF 도핑검토위원회는 러시아 NOC 법률담당부장 Alexandra Brilliantova을 통해 Darya Klishina 선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의 요청을 기각한다고 전달하였으며, IAAF Darya의 무소속 중립선수 자격 출전을 위한 최종 승인은 대회 별 주관 조직체에 있다고 설명한 바 있음

 

24) 이와 관련하여 Thomas Bach IOC위원장은 Darya는 무소속 중립선수자격이 아닌 러시아 팀 소속으로 올림픽에 출전하여야 하고, 협회 전체의 자격정치 처분 조치로 무고한 선수들(honest athletes)에게까지 피해가 가는 것은 옳지 않다는 취지의 입장을 표명함.

 

25) 멀리뛰기선수 Darya는 미국 플로리다에 거주해 정기도핑검사를 러시아가 아닌 다른 곳에서 받아온 사실이 인정되어 IAAF 경기규칙 22 1항에 의거해 예외자격을 얻은 바 있음.

 

(Darya Klishina  /출처: The Guardian)

 

 

26) IAAF 800m 육상선수 Yulia Stepanova에게도 무소속 중립선수 자격을 부여한바 있으며Stepanova선수는 러시아의 도핑방조 및 조작 사실 폭로한 공로로 특혜를 얻은 셈인데 그녀의 Rio2016올림픽 참가와 관련해 IOC집행위원회는 IOC윤리위원회에 자문을 요청한 상태였었음.

 

27) Bach IOC 위원장은 Stepanova에게 특별허가를 주어야 한다고 강조한 데 반해, Alexander Zhukov러시아 NOC위원장은 IOC, WADA, IAAF의 추후 결정사항과 관련 없이 Stepanova는 향후 러시아 팀 소속선수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발표함.

 

28) IAAF는 그녀의 행동에 대해 정정당당한 선수의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칭찬하였으며, WADA진정 용기 있는 선수로 치켜세웠고, 유럽육상연맹은 육상종목 발전을 위한 용단에 감사를 전한 데 반해 러시아 여론은 그녀를나치에 항복한 배신자라고 비난하며 싸늘한 반응을 보인 바 있음

 

 

(Yuliya Stepanova /출처: BBC)

 

29) 러시아 NOC 68명의 러시아 육상선수들이 예외자격(exceptional eligibility)으로 Rio2016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도록 고려해달라는 내용으로 CAS(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스포츠중재재판소)에 제소한 바 있음

 

30) 청원자 68명 명단에는 IAAF 선수위원이자 장대높이뛰기 세계신기록보유자 Yelena Isinbayeva, 100미터 장애물달리기의 Sergey Shubenkov Maria Kuchina, Yelena Isinbayeva의 코치 Evgeny Trofimov, 2014 세계주니어 장대높이뛰기 금메달리스트 Alyona Lutkovskaya 등이 포함되어 있었음

 

31) CAS의 결정은 2016 7 21일에 내려질 예정이었음.

 

32)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가 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기한 항소를 CAS는 이를 기각한 바 있음.

 

33) Craven 회장은 CAS기각결정에 대해 만족하지만 축하할 일은 아니라며 러시아 선수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한 바 있음

 

34) 러시아 스포츠 당국, 러시아패럴림픽 연맹 및 선수들은 지극히 정치적인 해당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크게 반발한 바 있었음

 

35) 2016725IOC 집행위원회가 러시아 NOC와 소속 선수들의 Rio2016올림픽 참가 관련 집단 출전금지 제재를 불허함.

 

36) Thomas Bach IOC 위원장은 모든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 여부는 각 IFs NOC의 고유 결정사항이라고 선을 그음.

 

 

(2016Rio2016 관련 IOC 집행위원회 회의 결과 발표 중인 Thomas Bach 위원장/출처: IOC홈페이지)

 

37) Bach 위원장, IFWADA 규정 및 Olympic Summit 결정 사항 (2016 6 21)을 근거로 관련 규정을 제정하고, 선수들의 도핑테스트자료는 NF 단위가 아닌 개인별로 분석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38) 러시아 선수들과 관련해서는, 도핑 적발 유 경험선수는 징계 진행여부와 관계 없이 Rio2016올림픽 출전 불허 및 러시아의 도핑 방조 및 조작사실 폭로공로자로서 무소속 중립선수 (neutral athlete) 자격 출전이 고려되었던 800m육상선수 Yulia Stepanova선수의 Rio2016참가 역시 IOC 윤리위원회의 권고와 IOC집행위원회의 승인으로 불허 발표함.

 

39) 20169월개최 Rio2016 패럴림픽에서 러시아 패럴림픽선수단 전체가 출전 금지 위기에 처함. 

 

40) IPCMclaren의 보고서에 근거하여장애인 선수들 또한 지난 소치2014올림픽을 전후로 약물을 투여한 사실을 밝혀내 지난 20167월부터 러시아의 출전 금지를 논의하기 시작하였던 바 있었음.

 

41)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가 IPC의 도핑원칙 미 준수 및 IPC 회원 국가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회피했다고 언급한 바 있었음

 

42) 20168 8 (현지시각 7일 오후 5시경) Rio2016 MPC에서 IPC는 기자회견을 통해 확정된 결과를 발표한 바 있음

 

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출처: IPC)

 

 

43)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 (RPC)의 도핑원칙 미 준수를 이유로 자격 정지를 결정한 바 있음   

 

44) 동 결정에 의거,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은 20169월 개최 예정이었던 Rio2016 패럴림픽에 출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러시아에서 패럴림픽 관련 이벤트 또한 개최하지 못함

 

45) 동 결과에 대해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Maria Zakharova인간적이지 않은 결정이라고 비판하였고, IPC Craven 회장은 러시아의 도핑방지 시스템은 완전히 무너졌다며, 몇몇 개인의 선수들은 깨끗할지 모르나 시스템 전체를 바꾸지 않는 이상 선수들의 대회 출전 불허를 언급함.

 

46) WADA IPC의 결정에 지지의사 밝힘


 


(Rio2016 MPC에서의 IPC 기자회견/출처: aroundtherings)

 

 

47) 2016111일 자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 평창2018패럴림픽대회 5개 종목 참가 금지 가능성 시사

48) 러시아는 평창2018동계패럴림픽 6개 종목 중 5개 종목에 참가불허 가능성 커짐

49) 6개 종목(휠체어 컬링,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파라(아이스하키)이 치러지는 평창2018패럴림픽에서휠체어 컬링 단 한 종목에만 참가가능하며 나머지 5개 종목은 IPC 소속이므로 현재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의 자격정지 처분으로 인하여 출전이 불가할 것으로 알려짐

50) IPC는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충족요건을 러시아에 통보할 예정이며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시, 2016 12월 중 해지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도 된 바 있었음

 

 

(평창2018패럴림픽대회 정식종목 중 러시아가 유일하게 참가 가능한휠체어 컬링종목/출처: Getty Images-insidethegames)

 

51) 20161122일경 IPC, RPC에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사항전달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로고/출처: RPC)

 

 

52) IPCWADA와 협의를 통해 필요조건들을 개정했으며 기본적으로 각 국가패럴림픽위원회(NPC)에 해당되는 WADA IPC의 도핑방지규정준수의무를 밝힘

53) RPC에 전달된 사항 중에는 (1) RPC 조정위원회 설립, (2) 도핑방지 문화의 확립, (3) 도핑방지 교육 및 검사와 결과관리의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됨.

 

54) RPC는 지난 20168 7일 러시아 정부주도의 조직적 도핑 스캔들로 IPC로부터가맹자격정지및 러시아 선수단 전체의리우2016패럴림픽대회 출전불가처분을 받은 바 있음.

55) 러시아는 2014 12월부터 수면 위에 떠오른 정부주도 조직적 도핑 파문으로 (1) Rio2016올림픽 참가제한 및 패럴림픽 참가금지, 자국 내 국제대회 개최금지 등 국제스포츠 계로부터 따가운 제재를 받아옴.

56) 지난 2016129, 2 McLaren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세계 각국의 선수 및 국제스포츠 계 관계자들로부터 비판이 거세졌으며 러시아에 대한 제재 요청 또한 쇄도함.

57) 2017년도 21일 자 외신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에 대하여 평창2018패럴림픽참가자격획득을 위한 예선대회 출전도 금지한다는 발표가 있었음

58)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IPC에 평창2018패럴림픽의 출전 자격부여대회(qualification events for the PyeongChang 2018 Paralympic Winter Games)참가 요청했으나 거절당함.

59) 지난 129일부터 3일간 독일 본(Bonn)에서 진행된 IPC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IPC RPC의 회원국자격정지 회복을 위한 모든 준수사항 반영 전까지 징계처분이 지속될 것이며 이로 인해 IPC가 관할하는 모든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음

60) 지난 2016 8, 러시아의 조직적 정부주도 도핑 파문으로 RPC IPC로부터 자격정지처분으로 Rio2016패럴픽대회에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을 출전시키지 못한 바 있음.

61) 또한, 징계의 장기 지속 경우 평창2018패럴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진행되는 6개 종목 중 IPC 관할하는 5개 종목 대회에 참가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됨

62) 2017IPC집행위원회에서 IPC(1) 근대5종경기, 봅슬레이스켈레톤 등 IPC 인정 종목들의 자격 연장, (2) 그레나다(Grenada, 서인도 제도 동남부에 있는 섬나라) NPC IPC 회원국 인정, (3) 조직의 다양성 정책(diversity policy) 등 여러 결정 사안들을 통과시킨 바 있음.

63) IPC 관리 하에 있는 장애인아이스하키(para ice hockey) 2017 세계선수권대회 개최지를 평창으로 확정하며 평창2018패럴림픽대회를 위한 테스트 이벤트 역할을 할 예정임.

64)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의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의무사항 필요조건 전달과 함께 이를 관리할 대책위원회를 구성함.

 

 

3. 국제 스포츠 계의 대 러시아 견제 사례

 

1)   바이애슬론 선수들, 국제바이애슬론연맹(IBU)에 러시아 선수 제재 요구

(1) 170여명의 바이애슬론 선수들이 IBU에 러시아도핑에 연루된 선수들의 자격정지 등 제재를 촉구하는 서한을 서명과 함께 전달함.

(2) 20171 21, IBU특별 집행위원회 회의를 통하여 IBU McLaren 보고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져 있었음

(3) 바이애슬론 선수들의 반발로 러시아는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와 월드컵 등의 대회 개최권을 박탈당했으나 2021년 세계선수권대회는 아직까지 러시아 튜멘(Tyumen)에서 개최되기로 예정되어 있는 상태임.

 

2)   퀘벡, 러시아 대신FIS 크로스컨트리 월드컵 결승 개최

 

(1) 러시아 튜멘(Tyumen)개최예정이었던 FIS 크로스컨트리 스키월드컵 결승전이 러시아의 개최권 반납으로 캐나다 퀘벡에서 3 17~19일 개최될 예정으로 알려짐.

(2) 또한 러시아 카잔(Kazan)개최 예정이었던 2건의 FIS 스노보드 월드컵대회 역시 재정적인 이유로 취소됨.

 

3)   러시아 부총리, 국제육상연맹(IAAF)에 러시아 자격정지 해제촉구

 

(1) 러시아의 부총리 Vitaly Mutko가 러시아육상협회 자격정지 해제가 늦어지자 IAAF를 맹비난하며 빠른 시일 내에 해제해 줄 것을 요청함.

 

(2) 지난 2015년 도핑 파문으로 IAAF로부터 자격정지 처분을 받은 러시아육상협회 소속 선수단은 Rio2016올림픽 출전이 불발된 바 있음.  

 

(3) IAAF는 러시아육상협회의 자격 회복활성화를 돕기 위해 T/F팀을 구성하였으나 업무처리가 지연되고 있어 오는 8월 영국런던개최 예정 ‘IAAF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참가 여부 또한 미지수였음

 

(4) 26일 모나코 개최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이사회에서 Sebastian COE IAAF 회장은 오는 8월 런던에서 열리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러시아 참가를 불허한다고 밝히면서, 다만 선수 생체 여권에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는 러시아 선수들의 개인 참가의 길은 열려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짐

 

(좌로부터: 하마드 칼카바 말붐 아프리카 육상연맹<CAA>회장, Sebastian COE IAAF회장 및 Rene Andersen IAAF 러시아 반 도핑 T/F팀장/출처: IAAF홈페이지)

 

 

4)   러시아, 2028년 올림픽 개최에 관심표명

(1)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 Alexander Zhukov위원장은 2028녀 올림픽 유치 가능성을 시사함.

(2) Zhukov는 유치여부에 대해 아직 확정적은 아니지만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힘.

(3) 한편, 러시아는 IOC로부터 국제대회 개최를 금지하는 제재를 받은 바 있으며, 이미 많은 동계올림픽 종목들이 개최지를 러시아에서 다른 국가로 변경한 바 있음.

 

(Alexander Zhukov Vitaly Mutko부총리/출처: aroundtherings)

 

 

 

 

4. 국제패럴림픽위원회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개략소개:

 

 

1)   독일의 본(Bonn)에 본부를 둔 비영리 국제기구로 1989 9월에 설립됨

 

2)   국제적인 비영리기구로서 177+1(서인도제도 Grenada를 회원국으로 20171월 말 승인)=178개의 국가 패럴림픽위원회(NPC: National Paralympic Committee)로 이루어져 있음

 

 

3)   하계 및 동계 패럴림픽을 개최하며, 9개의 세계경기연맹을 총괄하고 각종 대회를 조정함.

 

4)   현재 IPC의 회장은 Sir Phillip Craven으로 2001(-2017)부터 역임 중이며 임기가 만료되는 2017 3월 신임IPC회장으로 교체될 예정임

 

 

5)   한국은 1989년부터 IPC 회원으로서 1988년 하계장애인올림픽을 개최한 바 있음.

 

 

 

6)   9개 연맹으로는 (1)World Para Alpine Skiing, (2)World Para Athletics, (3)World Para Biathlon, (4)World Para Cross Country Skiing, (5)World Para Ice Hockey, (6)World Para Powerlifting, (7)World Shooting Para Sport, (8)World Para Snowboard, (9) World Para Dance Sport가 있음

 

 

 

 

 

5. 러시아 도핑파문사건연계 국제조사 검증 및 경과 일지 요약 재정리 및 Update

 

 

2014.12.03

(발단)

1)독일 TV 채널 ADR에서 ‘최고의 비밀 - 러시아가 승리하는 법’ 다큐멘터리 방송

(1) 러시아 육상경기연맹(ARAF), 세계육상경기연맹(IAAF),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ADA), 모스크바 WADA인증시험실이 조직적으로 연계하여 러시아 육상선수들에게 경기력 향상 약물을 제공해왔다는 사실 폭로

2) WADA, Richard W. Pound를 위원장으로 하는 독립조사위원회(IC)를 조직하여 수사에 착수

 

(Dick Pound)

2015.11.09

(경 과        조 사 결 과 발 표   내 용  )

3) 1차 독립조사위원회 조사보고서 발표

(1)경기력 향상 약물복용 관련 러시아의 뿌리깊은 ‘Cheating’ 문화 확인

( 2 ) 도 핑 에  동 조 하 지        선 수 는   러 시 아  국 가 대 표 에 서   제 외  시 킬   정 도 의   정 부 주 도  조 직 적             

(3) WADA가 시료 재분석을 위해 모스크바 시험실에 시료보존 요청 후 고의적으로 1,417개의 시료를 폐기 처분한 사실 확인

(4) 세계육상경기연맹(IAAF)의 부패 및 뇌물수수 확인

(5) 실험실 국장인 Dr. Rodchenkov가 시료 바 꿔 치기 및  결 과 조 작 의 대 가로  뇌 물 수 수 확인

(6)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ADA)의 도핑검사 정보의 고의적 노출, 검사국제표준 이탈, 뇌물수수, WADA 도핑관리행정프로그램(ADAMS)에 검사결과 고의적 미 입력 등 확인

2015.11.18

(조치내용)

4) WADA,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ADA)를 규정 미 준수 기구 지정 및 자격취소

2016.01. 27

(부 패   행 위        적 발 )

5) 2차 독립조사위원회 보고서 발표 (인터폴, 프랑스당국 등 협업)

(1) IAAF의 회장 Lamine Diack, 그의 아들이자 마케팅컨설턴트 Papa Masada Diack, 또 다른 아들이자 컨설턴트 Khalil Diack, 변호사 Habib Cissé, 컨설턴트 Ian Tan Tond Han, 의무 반 도핑위원 Dr. Dollé 등의 부패 뇌물수수, 싱가포르 비밀계좌 이용 등 확인

(2) Papa Masada Diack, Dr.Dollé 등이 ABP(Athletes Biological Passport/선수생체수첩) 프로그램 관련 부정행위확인 (ABP관련 선수정보 노출,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Shobukhovas로부터 ABP 결과조작 및 런던올림픽 출전의 대가로 뇌물수수 확인)

2016.05.12

(소치 2014 동계 올림픽 연루 사례 폭로)

6) CBS 60 Minutes, The New York Times의 소치올림픽 도핑파문 보도

(1) 러시아 실험실 국장 Dr. Rodchenkov가 소치2014 동계올림픽 당시 자국선수 (메달리스트 최소 15명 포함)가 정부주도의 조직적 도핑에 가담 (경기능력향상약물 직 접 제조 및 선수에 투여, 시험실에서 시료 바꿔 치기 등) 하였음을 폭로

2016.05.15

(러시아 정부당국자 사과)

7) 러시아 정부당국자 공식사과

(1) 그 동안 러시아의 국가주도 도핑스캔들 혐의를 부정하던 Vitaly Mutko 러시아 체육부 장관은 영국 Sunday Times에 기고한 글에서 "전 세계를 속이려 했던 러시아 육상 선수들이 더 일찍 적발되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밝히고 사과함.

 

(Vitaly Mutko/사진출처:insidethegames)

 

2016.05.18

(IOC위원장 공식개입)

8) Thomas Bach IOC 위원장, "No place to hide for drug cheats" 발표

2016.07.18

(WADA독립 변호사 결과 보고 발표)

9) WADA가 임명한 Independent 조사관-Prof. McLaren의 조사결과 발표(McLaren 보고서)

 

 

(Richard McLaren/사진출처:insidethegames)

 

(1) 2014 소치올림픽 위성시험실의 샘플 변조 및 바꿔 치기 확인

(2) 국가주도사실 확인 및 러시아 Federal Security Service, KGB, 국가대표 트레이닝센터, 러시아도핑방지위원회, 러시아체육부 개입 확인

(3) 최소 2011 부터 모스크바 WADA 인증시험실의 샘플 변조 및 바꿔치기 확인

(4) 20개의 하계올림픽종목을 포함한 30개종목의 국가주도 도핑시스템 확인

(5)러시아체육부장관 겸 FIFA 집행위원인 Vitaly Mutko 장관 연루 혐의 확인

2016.07.18

(WADA의 러시아 Rio2016올림픽 전면 출전금지 관련 구체적 조치권고사항 발표)

10) WADA 집행위원회, 러시아 전 종목 선수들에 대한 Rio2016올림픽 출전금지 (Blanket Ban)를 골자로 하는 ‘권고사항’ 발표

(1) IOC IPC에 러시아올림픽위원회 소속 모든 선수의 Rio2016 올림픽 참가신청서(Entry)를 제한할 것을 권고

(2) IOC, IPC, IFs의 해당 규정에 따라 관련된 조직 및 선수에 대한 제재권 부여 권고

(3) 예외적으로 도핑을 하지 않은 러시아선수에 대해 WADA가 제시한 조건 충족 시, Neutral 중립국(개인)자격으로 Rio 올림픽 참가 허용 검토

(4) 러시아 정부 관리들에 대한 Rio2016 올림픽 접근 거부 권고

(5) 러시아도핑방지위원회 및 시험실에 대한 자격정지 유지

(6) 추가조사 지속적 실시

2016.07.24

(WADA조치권고에 따른 IOC집행위의 반응과 갈등)

11) IOC 집행위원회가 WADA의 권고안을 받아들이지 않고, 종목별 IFs 소속 러시아 선수들에 대한 Rio2016올림픽 참가여부를 자체 결정하도록 함

(1) WADA, 14개 국가도핑방지기구(NADOs), 다수의 언론 등이 이에 대한 유감과 우려 표시

 

2016.07.30

(IOC조정 안에 따른 IFs조치경과)

12) 러시아선수 전면 출전불가 기 결정된 육상 포함 각 IFs가 자체심의결과

(1) 6개종목 (육상, 역도, 조정, 수영, 카누, 근대5, 요트) 112명 출전금지 결정

(2) 나머지 종목의 러시아선수 출전여부는 추후결정

2016.07.31

(Beijing2008, London 2012올림픽 선수 도핑검사 샘플 재조사 결과 발표)

13) 베이징2008, 런던2012올림픽 시료(Sample) 1,200여개 재분석 결과

(1) 98개의 시료 양성반응 (23명의 올림픽메달리스트 포함)

2016.07.31

(IOC의 수습 방안)

14) 개인자격으로 출전 신청한 러시아선수들의 최종 참가여부를 결정할 3인의 위원회 (3-Person Panel)구성 IOC 발표

2016.07.31

(IOC위원장의 WADA실책 지적)

15) Thomas Bach IOC 위원장, 기자회견에서 러시아 도핑사태의 책임을 WADA에 전가

 

(사진출처:insidethegames)

 

(1) 캐나다 Mclaren 변호사 보고서의 발표타이밍, WADA의 실험실인가 및 관리 시스템 부족 등

2016.08.01

(IOC위원장 책임전가에 대한 WADA의 반박 및 해명 발표)

16) WADA, 반박성명 발표

 

(Sir Craig Reedie WADA회장)

 

(1) 2015세계도핑방지규약이 Investigation 권한을 WADA에 부여함과 동시에 조사작업착수

(2) McLaren 보고서가 발표된 시점이 올림픽을 바로 앞두었기 때문에 혼란이 예상 되었으나, 사안의 심각성 때문에 즉각 발표 및 후속조치 단행 해명

2016.08.02

(IOC총회, 러시아 선수단 전면 출전금지조치 해제 승인)

17) Rio 현지에서 열린 제129 IOC 총회에서 러시아 선수의 올림픽 출전을 종목별 경기 단체의 판단에 맡긴 IOC집행위의 결정승인

(1) 연설에서 Thomas Bach IOC 위원장, IOC의 입장 재확인

(2) 러시아선수에 대한 전면 출전금지조치(Blanket Ban) IOC의 깨끗한 선수 보호정책(protection of the clean athletes)에 부합하지 않음

(3) WADA의 도핑방지시스템에 대한 재검토 및 전면적인 개혁 과 개편 필요

 

*2016. 8:

(1) 러시아 올림픽 선수단, Rio2016올림픽에 제한적 출전허용(IOC-IFs연계

(2)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 Rio2016출전 전면금지

 

*201611:

(1) 러시아선수단의 평창2018 패럴림픽 6개 중 IPC직접관할 5개 종목 참가금지 가능성 시사(Wheelchair Curling종목참가는 미지수)

(2) IPC,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 자격정지해지용 도핑방지    규정준수의무조건 러시아에 전달:

가. RPC 조정위원회 설립,

나. 도핑방지 문화의 확립,

다. 도핑방지 교육 및 검사와 결과관리의 개선

 

*201612:

(1) 2McLaren Report 공개

(2)2016 1217일 한 외신기사 제목은 “Bach IOC위원장,  Mclaren 리포트에 적발된 러시아의 도핑증거 정도에 경악과 내적 분노 표출하다”(Bach reveals "shock" and "inner rage" at extent of Russian doping evidence uncovered in McLaren Report.)라고 할 정도였으며 IO의 러시아에 대한 태도 변화 감지

 

*2017129~31:

(1) 독일 본 개최 IPC집행위원회 RPC의 도핑방지의무 준수 반영 및   이행 전까지 징계처분 지속실행결정

(2)IPC, RPC 자격정지처분해지용 준수의무사항 필요조건 전달에 따 른 IPC대책위원회 구성 운영키로 결정

 

*201721일 자 외신:

 (1) 러시아의 평창2018패럴림픽참가자격획득 용 IPC주관 예선대회 출  전 불허 방침 발표 보도

 

 

*201796: IPC, 러시아 선수단 평창2018 패럴림픽 출전 불허 조치유지

 

*201711: Denis Oswald IOC집행위원 겸 IOC징계위원장 소치2014 동계올림픽에서 도핑조작연루 러시아 선수 25명 영구제명조치

 

*2017125: IOC집행위원회, 평창2018동계올림픽 러시아선수단 출전금지조치 및 정직한 선수들(Clean Athletes)의 개인자격(러시아출신 올림픽선수: Olympic Athlete from Russia 명의로 허용)

 

*20171219: IPC 집행위원회, 러시아의 평창2018동계패럴림픽 출전 여부 투표로 결정

 

*20171222: IPC, 러시아의 평창2018패럴림픽 참가 포함 각종 관련 사안 정리 후 출전허용여부 결과 공식발표 예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6 88일 부,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 Rio2016출전 전면금지 현황:

 

(1) IPC 선수단 출전금지 20169월개최 Rio2016 패럴림픽에서 러시아 패럴림픽선수단 전체가 출전 금지 조치 

 

               (2) 20168 8 (현지시각 7일 오후 5시경) Rio2016 MPC에서 IPC는 기자회견을 통해 확정된 결과를 발표한 바 있음

 

         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출처: IPC)

 

 

      (3)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 (RPC)의 도핑원칙 미 준수를 이유로 자격 정지를 결정한 바 있음   

(4) 동 결정에 의거,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은 20169월 개최 예정이었던 Rio2016 패럴림픽에 출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러시아에서 패럴림픽 관련 이벤트 또한 개최하지 못함

(5) 동 결과에 대해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Maria Zakharova인간적이지 않은 결정이라고 비판하였고, IPC Craven 회장은 러시아의 도핑방지 시스템은 완전히 무너졌다며, 몇몇 개인의 선수들은 깨끗할지 모르나 시스템 전체를 바꾸지 않는 이상 선수들의 대회 출전 불허를 언급함.

   (6)WADA IPC의 결정에 지지의사 밝힘


 

(Rio2016 MPC에서의 IPC 기자회견/출처: aroundtherings)

 

 

*2016111일 부, 러시아 패럴림픽선수단 평창2018 참가금지 가능성 제기 현황:

 

(1) 2016111일 자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패럴림픽 선수단 평창 2018패럴림픽대회 5개 종목 참가 금지 가능성 시사

(2) 러시아는 평창2018동계패럴림픽의 6개 종목 중 5개 종목에 참가불허 가능성 커짐

 (3) 6개 종목(휠체어 컬링,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아이스슬레지하키)이 치러지는 평창2018패럴림픽에서휠체어 컬링 단 한 종목에만 참가가능하며 나머지 5개 종목은 IPC 소속이므로 현재 러시아 패럴림픽위원회(RPC)의 자격정지 처분으로 인하여 출전이 불가할 것으로 알려짐

(4) IPC는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충족요건을 러시아에 통보할 예 정 이며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될 시, 2016 12월 중 해지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도 된 바 있었음

 

 

(평창2018패럴림픽대회 정식종목 중 러시아가 유일하게 참가 가능한휠체어 컬링종목/출처: Getty Images-insidethegames)

 

 

*20161122일 부 RPC에 자격정지처분해지 준수사항전달 현황:

 

(1) 20161122일경 IPC, RPC에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사항전달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로고/출처: RPC)

 

(2) IPCWADA와 협의를 통해 필요조건들을 개정했으며 기본적으로 각 국가 패럴림픽 위원회(NPC)에 해당되는 WADA IPC의 도핑방지규정준수의무를 밝힘

(3) RPC에 전달된 사항 중에는 (1) RPC 조정위원회 설립, (2) 도핑방지 문화의 확립, (3) 도핑방지 교육 및 검사와 결과관리의 개선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도됨.

 

*2016129일 부 제2McLaren 보고서발표에 따른 러시아 패럴림픽선수단 평창2018 출전자격예선 참가 불허 발표 현황:

 

(1) 지난 2016129, 2 McLaren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세계 각국의 선수 및 국제스포츠 계 관계자들로부터 비판이 거세졌으며 러시아에 대한 제재 요청 또한 쇄도함.

(2) 2017년도 21일 자 외신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에 대하여 평창2018패럴림픽을 위한 예선대회 출전도 금지한다는 발표가 있었음

(3)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IPC에 평창2018패럴림픽의 출전 자격부여대회(qualification events for the PyeongChang 2018 Paralympic Winter Games)참가 요청했으나 거절당함.

 

 

*2017129~31일 부, IPC집행위원회 대 러시아 징계처분 지속 결정 및 평창2018 출전 제한:

 

(1)   지난 129일부터 3일간 독일 본(Bonn)에서 진행된 IPC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IPC RPC의 회원국자격정지 회복을 위한 모든 준수사항 반영 전까지 징계처분이 지속될 것이며 이로 인해 IPC가 관할하는 모든 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음

 

(2)   또한, 징계의 장기 지속 경우 평창2018패럴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진행되는 6개 종목 중 IPC 관할하는 5개 종목 대회에 참가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됨

 

(3)   IPC는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의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의무사항 필요조건 전달과 함께 이를 관리할 대책위원회를 구성함.

 

*20171219일 부, IPC집행위원회 러시아 출전여부 결정예정현황:

 

(1) IPC 집행위원회는 1219(한국시간) 러시아의 평창2018동계패럴림픽 출전 여부 투표로 결정

 

(2) IPC 집행위원회는 위원장과 부위원장, 선수대표 3명과 선출직 위원 10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

(3)  IPC집행위원회는 러시아의 평창2018패럴림픽 출전허용여부 포함 구체적인 징계사안 결과 도출예정

 

(4) 러시아의 평창2018 패럴림픽 참가 허용 가능성은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5) IPC는 도핑에 관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보다 강경한 입장을 견지해 옴

 

(6) 세계 반 도핑기구(WADA)는 러시아 반 도핑기구(RUSADA)의 자격을 박탈한 뒤 아직 재 승인 유보 중으로 러시아의 패럴림픽 복귀 설득 동력 역부족

 

(7) 러시아가 평창2018 패럴림픽 출전 금지될 경우, 순위 경쟁과 흥행에 차질 예상 외신 전망

 

(8) 러시아는 소치2014 동계 패럴림픽에서 금메달 30, 은메달 28, 동메달 22개로 종합 우승

 

(9) IPC는 러시아의 평창2018패럴림픽 참가 포함 각종 관련 사안 정리 후인 12 22일 결과 공식발표 예정

 

 

6. 대 러시아 강경제재에 따른 배경과 향후 전망

 

1)   평창2018동계올림픽 러시아 출전관련 사안(if any) IOC집행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리마 개최 제130 IOC총회(913~)최종의결사항이고 러시아의 평창2018동계패럴림픽 참가는 IPC 집행위원회/총회의 결정사안이었음

 

2)   영국의 대 러시아 강경노선 방침도 러시아의 Rio2016출전관련 제재처분 결정 로드 맵에 반영된 듯 보였음

 

(1) WADA회장: Craig Reedie IOC위원 (영국)

(2) IPC위원장: Phil Craven IOC위원(영국/ 2017년 임기만료로 교체 예정)

(3) 러시아 선수단 Rio2016출전 반대 유일한 찬성표 행사: Adam Penguilly 선수 IOC위원(영국

(4) WADA회장 겸 WADA독립조사위원장: Dick Pound IOC위원(캐나다/영연방)

(5) WADA독립위원회 심층보고서총괄 책임자: Mclaren변호사 겸 교수(캐나다/영연방)

 

3)    2017 12 5일 로잔느 개최 IOC 집행위원회에서 IOC가 조사위탁한 2개 별도 위원회들 중 Schmid진상조사위원회(Schmid Commissio)의 보고를 토대로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에 자격정지(Suspension) 처분을 내리기로 결정한 바 있음

4)    따라서 러시아 동계올림픽선수들은 국가대표자격이 아닌 개인자격(Olympic Athletes from Russia)이란 타이틀로만 평창2018 동계올림픽대회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음

 

*References:

-IOC 홈페이지

-IPC홈페이지

-주요외신종합(BBC-aroundtherings-insidethegames )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2. 4. 11:41

[김연아 선수 이긴 Sotnikova Sochi 2014러시아 불법 도핑가능성에 대한 정황적 근거(Circumstantial Evidence)로 본 의문점 10가지포함 집중탐구 Update]

 

*순서:

.  소치2014 여자 피겨 금메달리스트 러시아 선수들의 의심스러운 대회 후 행적과 행보(정황적 근거)분석과 의문점 10가지

. 김연아 선수 기사회생 실마리 첫 외신보도 내용 요약정리

. McLaren 2차 최종 리포트의 구체적 정황과 증거

. 러시아선수들에 대한 구체적 도핑 위반 적발 사례 적시

. McLaren리포트 발표파장과 IOC의 후속조치

. McLaren 2차 보고서 이후 김연아 선수의 Sochi2014피겨 올림픽 금메달 되 찾을 가능성 첫 단추

. Sochi2014 동계올림픽 김연아 선수의 피겨 은메달 획득과 당시 전말 스케치

 

 

*내용:

 

1.   소치2014 여자 피겨 금메달리스트 러시아 선수들의 의심스러운 대회 후 행적과 행보(정황적 근거)분석과 의문점 10가지

 

1)   지난 2017 828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러시아, 소치2014 피겨 금메달리스트인 Sotnikova Lipnitskaya 없이 평창2018 출전”(Russia to be without Olympic gold medalists Sotnikova and Lipnitskaya at Pyeongchang 2018)이었습니다

 

(Putin러시아 대통령과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2)   러시아선수단은 소치2014 피겨여자개인금메달리스트인 Adelina Sotnikova를 포함하여 2명의 피겨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 없이 출전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3)   Sotnikova선수는 부상으로 인해 금년 시즌 출전하지 않을 것(will not compete this season because of injury)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1) <왜 회복이 안되는 걸까요? >

 

4)   소치2014 동계올림픽 팀 피겨스케이팅(figure team skating)에서 사상 첫 금메달을 딴 구성원들 중 한명인 Yulia Lipnitskaya 역시 겨우19세의 나이로 은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2) <치료 후 복귀하면 될 텐데 19세에 조기은퇴 왜 일까요? >

 

                                 (Yulia Lipnitskaya/출처: Wikipedia)

 

 

5)   그녀 모친은 Yulia가 섭식장애/거식증(an eating disorder)치료를 받은 후 (피겨) 스포츠를 그만두기로 결정하였노라고(decided to quit the sport) 밝혔다고 합니다.

(3) <어린 나이인데 정말 치료가 불가능한 걸까요? >

6) 다음은 올림픽 2관왕 출신 Sotnikova의 코치인 Evgeni Plushenko가 러시아 뉴스 통신인 R-Sport와의 인터뷰 발언 내용입니다:

A.  "Adelina Sotnikova will not compete this season because of injury." (Sotnikova는 부상으로 인해 금년 시즌에 출전하지 않을 것임)

B.  "We all hoped we'd get this injury cured, but unfortunately it hasn't happened. (우리모두는 이러한 부상이 쾌유되기를 희망했었지만, 그렇지 못했음)

(4) <회복이 안되는 의학적 이유는 무엇 일까요? >

C.  "The injury is still causing problems, [Sotnikova] can't manage full training sessions, and it's not right to go to competitions in this state." (그녀의 부상은 여전히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Sotnikova는 현재 전체 연습일정을 소화할 수 없는 상황이고 이러한 상태로 경기에 출전하는 것을 옳지 않은 처사임)

7)  Sotnikova는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여성으로 피겨개인 타이틀을 석권하면서 역사를 창조한 바 있다고 보도된 바 있습니다.

(5) <그런 영웅 선수를 현대 의학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것일까요? >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소치2014 여자개인 피겨 금은동메달리스트 시상대 모습/출처: IOC홈페이지)

 

 

8)   신예였던 러시아의 Sotnikova선수가 자유 스케이트(free skate)에서 밴쿠버2010 여자피겨개인 금 메달리스트였던(defending champion) 한국의 김연아 선수보다 더 높은 점수를 딴 후(after outscoring South Koreas defending champion Kim Yuna in free skate) Sotnikova의 여자개인 금메달획득은 지극히 논란의 소지가 있는 것(highly controversial)으로 알려졌던 바 있었습니다

 

(사진 위 아쉽게 은메달리스트가 된 한국의 김연아 선수와 금메달리스트가 된 러시아의 Sotnokova 선수-사진아래는 판정에 불만을 표현하는 한국 팬들 모습)

 

9) 2백만 명의 서명이 담긴 청원으로 조사를 요구하였지만(a petition with two million signatures call for an investigation)국제빙상경기연맹(ISU)는 이를 기각한 바 있습니다(rejected by the International Skating Union)

(6) <왜 설득력 있는 근거 없이 기각해야만 했을까요? >

 

10) Sotnikova선수는 “Dancing with the stars”의 러시아 판 대회에서는 경기에 임했으면서도(competing in the Russian version of Dancing with the Stars.) 부상을 이유로 소치2014동계올림픽이래로 주요피겨대회에 불 출전하였던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7) <혹 러시아를 벗어난 국제대회에서의 도핑검사우려 때문은 아니었을까요? >

 

11) 그녀는 20174월 오랜 기간 코치였던 Elena Buyanova와 결별을 선언하고(split from her long-time coach) 1개월 전인 3월에 은퇴했던 Plushenko 코치한테 합류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8) <무슨 이유 때문에 금메달획득 기여 코치와 결별한 걸까요? >

 

12) 그녀는 발목부상 중인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believed to be suffering from an ankle injury)고 합니다

 

13) 2017년 초 Sotnikova선수는 소치2014당시 도핑샘플 조작(manipulation of doping samples)으로 인하여 IOC가 조사 중인 선수명단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14) 율리야 리프니츠카야(Yulia Lipnitskaya)선수는 러시아 팀 선발과정 논란 와중에 소치2014피겨 단체전에 Sotnikova보다 선호되었었는데 그 이유는 선발 몇 주 전 역사상 최연소 유럽챔피언(the youngest European champion in history)으로 Sotnikova를 물리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진 나 있습니다

 

15) 그녀를 선택한 바 있는 선발 자들의 신뢰(selectors faith)는 율리야 리프니츠카야 선수가 러시아 피겨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따는데 혁혁한 공을 세움으로써 정당성이 입증된 바 있었습니다

 

16) 그녀(Lipnitskaya) 15세의 나이에 현대적 통용규칙 하에서 최연소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는데(the youngest Olympic gold medalist under modern rules)이는 Nagano1998동계올림픽 피겨여자 개인 종목에서 우승한 미국 출신 Tara Lipinski보다 6일 더 어렸던 것(being six days younger)으로 알려졌습니다

 

17) 그녀(Lipnitskaya)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피겨여자개인종목에서는 5위에 그쳤지만, 소치2014이후 Sotnikova처럼 주요선수권대회에 불참하여 왔다고 합니다

(9) <어린 나이임을 감안 하다면 잠시 대회에 불참하였었더라도 차후에 국제대회출전을 줄 곳 안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

 

18) 다음은 Lipnitskaya모친이 러시아 통신사인 TASS와 인터뷰 중 한 발언 내용입니다:

 

A.  "Yulia informed the management of the Federation about her decision to wrap up with her career back in April after returning from Europe, where she underwent three-month treatment from anorexia." (율리야는 신경성 식용부진 증/거식증 치료 차 3개월 간 유럽에서 시간을 보냈으며 귀국 직후인 지난 4, 러시아피겨연맹 관계자들에게 자신의 피겨선수 경력을 접겠다는 결정을 통보하였음)

 

19) 하지만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회장인 Alexander Gorshkov Lipnitskaya선수로부터 그녀가 은퇴하였다는 어떠한 공식통보(any official notification)도 받은 일이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었습니다.

 

(10) <10대의 그녀가 소속된 소관 러시아 피겨스케이팅연맹에 통보도 없이 회복 재활 시도도 뒤로하고 조용히 은퇴한 것 일까요? >

 

[정황적 근거 조항]

“은폐의 증거는 전형적으로 적용과정이 추론될 수 있는 증인에 의한 근거또는 정황적 근거라고 ‘IOC Oswald징계위원회 보고서113에 명시되어 있다고 합니다”(The evidence of a cover-up is typically either witness evidence or circumstantial evidence from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process can be inferred.)

 

Winston Churchill 前 영국수상은 1942년 다음과 같은 유명한 어록을 남겼습니다:

“지금 이것은 끝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심지어 결론의 시작도 아니다 – 하지만 그것은, 아마도, 시작의 결론일 수는 있다.(Now this is not the end. It is not even the beginning of the end. But it is, perhaps, the end of the beginning.)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저지른 것으로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러시아선수들의 조직적 도핑은폐 혐의에 대한 IOC 진상조사위원회의 철저한 행보와 결과발표를 두고 시의적절 하게 표현된 어록으로 사료되는 시점입니다.

 

2.   김연아 선수 기사회생 실마리 첫 외신보도 내용 요약정리

 

2017 11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우승자가 Mclaren보고서 후 조사대상 선수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주장되다”(Olympic figure skating champion among athletes under investigation following McLaren Report, it is claimed)였었습니다.

 

 

 

 

 

 

 

 

(Adelina Sotnikova/출처: insidethegames)

 

 

Sochi 2014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피겨스케이팅 우승자(금메달리스트/ladies singles figure skating champion )Adelina Sotnikova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도핑 샘플조작으로 인해(due to the manipulation of doping samples at the Winter Olympic Games) IOC가 검증하고 있는 조사 대상 선수리스트에 포함되어있다고 보도가 되고 있는 상황(reportedly among athletes under investigation)이었습니다.

 

러시아 선수들의 자국개최 동계올림픽에서 제출된 샘플들이 불법적으로 부정하게 손 대었었던(illegally tampered with) 증거를 제공한 Mclaren보고서 공개 이후, IOC 2016 12 28명의 선수들이 당시 조사대상이라고 발표한 바 있었습니다.

 

28명 선수 신원은 아직도 확인되고 있진 않았지만(Identities of these 28 have not been confirmed) 러시아의 스켈레톤 금메달리스인 Aleksandr Tretyakov cross-country 스키 금메달리스트인 Alexander Legkov 등 최소 2명의 다른 올림픽 우승자들이 자격정지조치를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고 하였으며 실제로 Legkov는 최근 금메달 박탈조치의 첫 불명예 대상자가 된 바 있습니다.

 

이태리 신문 중 하나인 La Gazetta della Sport지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피겨 금메달획득 당시 17세에 불과했던 Sotnikova가 조사대상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is among others under investigation)고 보도한 바 있었습니다.

 

그녀는 소변샘플이 제출된 검사튜브 상에 손댄 흔적을 암시하는 흠집이 발견된 한 명의 선수로서(as one athlete about whom scratches indicative of tampering were found on test tubes in which urine samples were submitted) 신원코드 번호(under the identification code) A0848로 코드화 되어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named on the list)고 보도 된 바 있었습니다

 

그녀가 개인적으로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증거는 없으며 이전에 어떤 비행(wrongdoing)애 대한 유죄가 성립되었던 바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보도내용이 사실로 판명 날 경우 궁극적으로 그녀의 금메달이 박탈될 수(ultimately be stripped of her gold medal) 있는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appears possible)고 보도되기도 하였습니다.

 

국제빙상연맹(ISU)가 특별한 제재조치(special disciplinary action)에 착수했는지에 대한 공개여부는 아직 알려지고 있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Adelina Sotnikova, right, with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following her Olympic victory at Sochi 2014 ©Getty Images (Putin러시아 대통령과 Sotnikova/출처: insidethegames)

 

다음은 20171월경 ISU발표 성명서에 들어 있는 내용입니다:

 

"Mindful of a due diligence process, the ISU is proceeding with the evaluation of the evidence and related necessary investigations." (실사과정에 유의하며 ISU는 증거 평가와 관련 필요 검증조사를 병행하고 있음)

 

 

 

 

"For the cases relating to the Sochi Olympic Winter Games, the ISU is of course closely following the IOC proceedings and will take into account possible new evidence becoming available thanks to the re-analysis of the concerned samples. (소치2014동계올림픽과 연관된 건들을 위하여, ISU는 물론 주도면밀 하게 IOC의 진행절차들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관련된 샘플들 재 분석 덕택에 가능한 새로운 증거물 포착 시 참작할 것임)

 

"If and when there are sufficient elements and evidence to pursue anti-doping rule violations, the ISU will not hesitate to open disciplinary proceedings and possibly apply provisional suspensions against bodies or persons subject to infringements of the World Anti-Doping Code/ISU Anti-Doping Rules." (만일 반 도핑규칙 위반을 추적할 충분한 요소들과 증거가 생길 경우, ISU는 주저함 없이 즉시 제재절차에 착수할 것이며 WADA 규정 위반에 처한 기구 또는 개개인들에 대하여 잠정 자격정지조치 역시 가능할 것임)

 

이러한 발표로 보아 Vancouver2010동계올림픽 여자 피겨스케이팅 우승자인 한국의 김연아 선수(소치2014 은메달리스트)가 소치2014 금메달리스트로 상향 조정(could be upgraded to the Gold Medal) 조치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김연아 /출처: IOC홈페이지)

 

 

이렇게 될 경우 동 메달리스트였던 이태리의 Carolina Kostner는 은메달리스트로, 그리고 4위였던 미국의 Gracie Gold선수는 동메달리스트로 각각 상향 조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Kostner 선수는 그녀 자신이 그녀의 전 남친(former boyfriend)이면서 올림픽경보우승자(Olympic race walking champion) Alex Schwazer에 대하여 도핑 은폐 공모에 연루된 혐의로(for being complicit in the doping cover-up) 2015 16개월 간 피겨스케이팅 종목으로부터 출전금지조치 받은 바 있다고 합니다. 

 

이 사건은 나중에 스포츠중재재판소(CAS)판결에 의해 5개월 연장되었지만(later extended by five months by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동시에 날짜가 소급적용 되는 바람에(backdated) 그녀는 2016년 초부터 피겨종목에 복귀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출처: IOC홈페이지)

 

 

 

소치2014동계올림픽 에서 Sotnikova가 김연아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한 후 진상조사촉구(calling for an investigation) 2백만 명 서명 청원이 형성된 바 있었습니다.

 

당시 소치2014피겨 스케이팅 심판 채점결과에 대한 세부내역이 없었던(no details given about the scores of the judges) 바람에 판정에 대한 비판이 더욱 거세게 되었었습니다.

 

왜냐하면 Alla Shekhovtsova심판을 포함하여 결정과정에 연루된 심판들 중 2명이 자국인 러시아 인들이었기 때문입니다.

 

Shekhovtsova심판은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연맹 전임회장(former President) 겸 현 전무이사(the current director general) Valentin Piseev의 아내이며, 우크라이나 출신 심판인 Yuri Balkov Nagano1998동계올림픽 피겨 아이스댄스경기를 조작하려고 녹화테이프 조작시도가 포착되어 (being caught on tape attempting to fix the ice dancing competition) 1년 간 자격정지 후 피겨 계에 복귀했던 전력의 소유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김연아선수 경기결과에 대한 심판판정 항의 소청은 ISU에 의해 기각된 바 있었습니다(The complaints were rejected by the ISU.)

  

 

3.   McLaren 2차 최종 리포트의 구체적 정황과 증거

 

불법이든 합법적으로 교묘하게 규정을 피해가는 매복 도핑(Ambush Doping)이 올림픽의 미래를 망가뜨리는 주범으로 등장하고 있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발단은 이렇습니다.

2017129일 영국 런던 St. Pancras Renaissance London Hotel에서 캐나다 변호사 Richard McLaren은 그 동안 절치부심 조사하여 적발한 불법 도핑 증거자료를 제시하며 러시아 국가주도 도핑계획(state-sponsored scheme)의 전말 제2 차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파장과 파문이 확산일로의 선상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Richard McLaren 출처: insidethegames)

 

 

2016 129일 런던에서 공개적으로 발표한 캐나다 변호사 Richard McLaren이 그의 제2차보고서를 전달하면서 하계, 동계 및 패럴림픽 스포츠 전반을 통틀어 1,0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제도화한 공모”(institutional conspiracy) 유사형태의(akin to) 러시아에서 벌어진 만연한 정부주도 도핑시스템(a widespread state-sponsored doping system)에 연루되어 있었다고 주장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었습니다.

 

 

4.   러시아선수들에 대한 구체적 도핑 위반 적발 사례 적시

 

도핑 연루선수들 규모는 최소한 하계종목 선수 총600명과 동계선수 95명이 포함되어 있다고 동 보고서는 폭로하였다(the report revealed)고 합니다.

 

McLaren보고서에 의거하여 도핑 연루선수 분포도를 살펴보면 (1)London2012올림픽, (2)2013년 러시아 Kazan하계유니버시아드, (3)2013 IAAF세계육상선수권대회 및 (4)Sochi2014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모두 관련되었다(implicated)고 하는데 개개인 명단은 밝히지 않았다고(no names were given) 합니다

 

McLaren 리포트는 Sochi2014동계올림픽 4명의 금메달리스트를 포함하여 모두 12명의 러시아 메달리스트들의 약물검사 샘플들에 손댄 흔적이 분명한 증거(evidence of the tampering of samples)에 대하여 대서특필하고 있다(the report featured)고 한 바 있습니다.

(The report featured evidence of the tampering of samples of 12 medalists from Sochi, four of which won gold.)

 

4명의 Sochi2014 러시아 금메달리스트 명단이 궁금해 지는 대목입니다.

 

Sochi2014 동계 패럴림픽 21개 매달들 중 6명의 수상자들의 약물검사 샘플들 역시 손댄 흔적이 있었다(their sample tampered with)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cLaren 30개 이상의 종목 스포츠가 도핑시스템에 연루되어 있거나(involved in) 혜택을 입은 것(benefited from)으로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WADA독자적 도핑관련 조사 책임자로 지명된 McLaren 변호사는 지난 20167월 배포한 바 있는 제1차 보고서에서 초기 탐색적발 근거를 더욱 세부 화하면서(detailed further evidence of the initial findings released in the first report in July) 러시아가 “전례 없는 스케일 수준으로 London2012올림픽을 타락된 대회로 몰아 넣었으며, 아마도 결코 다시 수립될 수 없을 정도”(corrupted the London Games on an unprecedented scale, the extent of which will probably never be established)라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조직적이고 중앙집권 화된 은폐와 도핑통제과정 조작”(systematic and centralised cover-up and manipulation of the doping control process) 정황을 살펴 보면 여러 주요 종목에 걸쳐 사용된 흐름에 있어서 “진화되고 세련되며”(evolved and was refined) 2011년 과2015년 사이에 자리매김하였다고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행태는 “통제불능의 혼돈에서부터 제도화되고 훈련된 메달획득 전략과 음모에 이르기까지 수년에 걸쳐 진화된 은폐행위”(a cover-up that evolved over the years from uncontrolled chaos to an institutionalised and disciplined medal-winning strategy and conspiracy)였다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조직적 음모(scheme)배후에는 “반 도핑기구와 모스크바 실험실을 비롯하여 러시아 정보기관인 FSB뿐만 아니라 러시아 체육부 및 구축된 기반 내에 포진한 러시아임원들의 (거미줄 같이) 연루된 조직적 행동”(the involvement of "Russian officials within the Ministry of Sport and its infrastructure" as well as the anti-doping body, the Moscow lab, and the FSB)이 있었다고 주장되었습니다.

 

McLaren변호사의 계속되는 발언 내용입니다

 

"It is impossible to know just how deep and how far back this conspiracy goes."

(이러한 공모행위가 얼마나 깊숙이 그리고 그 배후가 얼마가 멀리 뻗쳐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함)

 

"For years, international sports competitions have unknowingly been hijacked by the Russians. (수 년간 국제스포츠경기대회들이 러시아 인들에 의해 뭣도 모른 채 강탈당하고 침탈당해온 것임)

 

"Coaches and athletes have been playing on an uneven field. (코치들과 선수들은 균등하지 못한 경기장 환경에서 경기를 해 온 것임)

 

"Sports fans and spectators have been deceived. (스포츠 팬들과 관객들 역시 속아온 것임)

 

"It is time this stops." (이제는 이런 것이 멈춰져야 하는 시점임)

 

 

 

Richard McLaren has claimed the facts he has presented in the second report cannot be disputed ©Getty Images (Richard McLaren변호사의 2차 러시아 도핑적발 사례 증거보고서 발표장면/출처: insidethegames)

 

 

 

지난 20167, 초반에 발표된 보고서(initial report)에 대해 많은 관계 임원들이 보고서에서 적발한 내용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가 없다(no evidence to back up the findings)고 주장하면서 러시아 측으로부터 격렬하고 멸시하는 반발(a fierce, dismissive backlash)공격에 직면 한 바 있었습니다.

 

하지만 McLaren 변호사는 이러한 러시아 측 반격을 잠재우기 위하여 새롭게 적발한 근거들로써 샘플들이 바꿔 치기 된 정황을 증명하는(which proves samples were swapped) DNA분석과 같은 증거를 2차 보고서에 포함시켜 적시한 듯 보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근거로 Sochi2014동계올림픽에서 두 명의 여자 아이스하키선수들 검사과정에 남성 소변샘플로 대체하여 위장했던 사례(having male urine samples)가 포함되었다고 합니다.

 

또 다른 검사들(other tests)에서는 FSB정보기관이 사용된 것을 묘사하는 것과 맞아 떨어지는 도구(a device which matches the description of one used by the FSB)인 가늘고 길쭉한 금속조각을 사용하여 생긴 눈에 띄게 흠집 난 표시가 노출된(with visible scratch marks made using a thin metal strip) 도핑샘플 병들이 개봉되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익명의 전문가 한 명(an unnamed expert)에게 13개의 샘플 병들이 주어졌는데 손을 대지 않았던 것이 어떤 것인지 쉽게 식별할 수 있었다(easily identify which had not been tampered with)고 합니다.

 

보고서에는 소변샘플에 소금과 커피가 첨가되어 검출을 피하기 위한 시도 사례(in order to avoid detection)도 주장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수작은 깨끗한 샘플로 교체되었던 것 이라고 보기 보다는 소변이 마치 “더러운 오염 샘플”(a dirty sample)로 보이게 하기 위해 위작 된 것이라고 합니다

 

러시아 선수들이 21개 금메달을 포함하여 모두 72개의 메달을 획득한 바 있는 London2012올림픽 관련 보고서에 적발된 사례들을(the reports findings) 살펴 보면 “약효세척 검사”(washout testing)방법이 도핑프로그램 상에 있는 선수들에게 올림픽에서 양성반응검사가 나올 가능성여부를 결정하는데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적나라하게 상세히 밝혀주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공작부인”(Duchess)으로 명명되어 (러시아)체육부에 의해 선수들에게 제공된 바 있는 스테로이드 계통 steroid oral turinabol으로부터 약물 칵테일(a cocktail drugs)과 같은 약물을 사용했던 “더 오래된 도핑프로그램”(older doping programmes)으로부터 순조로운 (과도기적)전환을 공고히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Richard McLaren revealed the damning second part of his report at the St Pancras. Renaissance London Hotel ©Getty Images (McLaren변호사가 치명적인 러시아 관련 2차 도핑 적발 보고서가 발표된 런던의 St. Pancras Renaissance London 호텔 내부/출처: insidethegames)

 

 

 

McLaren변호사의 이어지는 적발 사례 설명 발언 내용입니다:

 

"We have evidence that washout testing was being performed for at least athletics and weightlifting on a weekly basis." (약물세척 검사방식이 적어도 육상 및 역도 종목에 대해 매주 단위로 실시되어 왔었다는 증거를 확보하고 있음)

 

"These activities were supported by senior Russian officials, including the Minister and Deputy Minister of Sport, senior and national team coaches, RUSADA, the CSP and the Moscow Laboratory. (이러한 행태들은 러시아 체육부장관 과 차관을 비롯하여 러시아 원로 및 국가대표 코치들, RUSDA/러시아 도핑 기구 그리고 모스크바 실험실을 포함한 러시아 고위임원들에 의해 독려되었었음)

 

"And so, only the athletes that would test negative as a result of the washout sheet monitoring competed in London. (그리하여 약물세척 표 관찰결과 음성반응이 나온 선수들만 London2012올림픽에 출전한 것임)

 

"The results speak for themselves. (결과물 자체가 웅변적으로 대변하고 있음)

 

"No Russian athlete was found positive for a prohibited substance during the Games and the testing at the time. (올림픽 기간 동안 그리고 테스트 당시에 금지약물에 양성반응을 보인 러시아 선수는 전무하였음)

                                                           

"The desire to win medals superseded their collective moral and ethical compass and Olympic values of fair play." (메달획득 욕망은 그들의 집합적이고 도덕적이며 윤리적인 나침반(범주)과 공명정대한 페어플레이라는 올림픽의 가치를 넘어서 대신 자리매김한 것임)

 

McLaren 변호사는 하지만 러시아 정부주도 (도핑)프로그램과 러시아 올림픽위원회(ROC)간의 어떠한 형태의 연결고리는 찾아낼 수 없었음을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두 조직 간의 명백한 연결고리 색출부족으로 말미암아 IOC가 왜 WADA의 러시아 선수단 전체에 대한 Rio2016올림픽 전면 출전금지(a Russian blanket ban)요구를 거부하였는지에 대한 한 가지 이유가 된 것으로 알려진 셈입니다.

 

McLaren의 발언 내용입니다:

 

"There is no direct evidence that members of the ROC were involved in this conspiracy." (러시아올림픽위원회 관계자들의 <정부주도 조직적 도핑에 대한> 공모 연루에 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음)

 

IOC WADA로부터의 각기 다른 반응들은 이들 두 개 기관들 간에 질질 끈 반목(a protracted feud)의 원인이 되었었으며 양쪽 기구 수장들인 Thomas Bach Sir Craig Reedie가 이후 사태종결에 합의에 이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McLaren 변호사는 “왜 우리가 합심하여 한 팀으로 행동하지 못하였는지 이해하기 어렵다”(he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why we are not on the same team)고 주장하면서 최근 수 개월간 이들 두 개 단체들이 보였던 행태에 대해 비판하였다고 합니다.

 

 

The public feud between the IOC and WADA was criticised by Richard McLaren Getty Images (Thomas Bach Sir Craig Reedie/출처: insidethegames)

 

 

계속되는 McLaren변호사의 발언 내용입니다:

 

"Over the past few months, we have seen in-fighting between many different actors within International Federations and within the anti-doping world." (지난 수개월에 걸쳐 국제연맹들 내부와 반 도핑 기구들 내부의 여러 명들의 다른 역할 자들 간의 집안싸움을 목격하여 왔음

 

"I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why we are not on the same team. (왜 우리가 같은 팀이 되어 협업하지 못하고 있는 이해하기 어려움)

 

"We should all be working together to end doping in sport.(우리모두는 스포츠에서의 도핑문제를 종식시키기 위해 협업해야 함)

 

"My investigation has gone a long way to bringing this dark secret out into the open. (내가 수행해온 조사는 이러한 어두운 비밀을 밝은 곳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음)

 

"Now we must move forward together and find solutions." (이제 우리는 함께 전진하여야 하며 해결책을 찾아내야 함)

 

 

5.    McLaren리포트 발표파장과 IOC의 후속조치

 

2016129일 발표된 적발사례들은 모든 해당선수들의 이름이 거론된 정보요약 본들이 국제연맹에 제공될 것이기 때문에, 리포트에 관련되어 연루된 선수들에 대하여 해당 관련국제연맹들이 합당한 징계조치를 내리도록 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해 준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IOC는 행동 발의를 하기 전에 McLaren변호사뿐만 아니라 러시아 내부의 관련 인물들과 상의하기로 다짐한 바 대로 관련조사를 실행하기 위해 스위스 Samuel Schmid 스위스전임대통령 및 스위스 IOC위원인 Denis Oswald를 각각 위원장으로 하는 스위스 임원들로 구성된 두 개의 별도 팀(two separate investigations)을 꾸렸고 Oswald조사위원회는 중간결론을 발표하여 해당 러시아 선수(Legkov)에 대한 금메달 박탈 등 실체적인 징계조치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McLaren 변호사는 Rio2016올림픽 시작 직전인 2016 7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초기 적발사례에 대해 밝힌 바 있습니다.

 

동 보고서는 Grigory Rodchenkov 전임 러시아 반 도핑 국장이 New York Times지에 처음 제기된 주장들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는 Sochi2014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가 정부 주도 공모작전을 운영하였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6.   McLaren 2차 보고서 이후 김연아 선수의 Sochi2014피겨 올림픽 금메달 되 찾을 가능성 첫 단추

 

McLaren 리포트는 Sochi2014동계올림픽 4명의 금메달리스트를 포함하여 모두 12명의 러시아 메달리스트들의 약물검사 샘플들에 손댄 흔적이 분명한 증거(evidence of the tampering of samples)에 대하여 대서특필하고 있다(the report featured)고 한 바 있습니다.

 

4명의 Sochi2014 러시아 금메달리스트 명단이 궁금해 지는 대목이었습니다.

 

Sochi2014 동계 패럴림픽 21개 메달들 중 6명의 수상자들의 약물검사 샘플들 역시 손댄 흔적이 있었다(their sample tampered with)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었습니다.

 

2016129일 발표된 적발사례들은 모든 해당선수들의 이름이 거론된 정보요약 본들이 이후 국제연맹에 제공된 것이기 때문에, 리포트에 관련되어 연루된 선수들에 대하여 해당 관련국제연맹들이 합당한 징계조치를 내리도록 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해 준 것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Sochi2014 동계올림픽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의 기량을 선 보인 한국의 김연아 선수를 개최국 Home Ground Advantage에 힘 입어 점수상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한 러시아의 Adelina Sotnikova에 대한 의구심이 생기는 시점으로 거론 된 바 있었습니다.

 

만일 국제빙상경기연맹(ISU)에게 McLaren리포트에서 공개되지 않았지만 도핑연루 러시아 빙상선수들 명단이 전달 되었을 경우 Sochi2014동계올림픽 러시아선수단 금메달리스트 4명 중 Adelina Sotnikova선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었다는 개연성을 고려해 볼 때 ISU IOC의 후속조치에 의해 김연아 선수가 사필귀정(事必歸正)으로 동계올림픽 2연속 피겨 금메달리스토로 명예회복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단지 소치2014동계올림픽 이후 활동이 뜸한 Adelina Sotnikova가 러시아정부주도 도핑조작사건에 연루되어 ISU IOC로부터 불법 판정을 받을 경우에만 해당됨은 불문가지였습니다.

 

 

7.   Sochi2014 동계올림픽 김연아 선수의 피겨 은메달 획득과 당시 전말 스케치

 

말도 탈도 많았고 세계 유수 언론매체들 조차 경기 채점결과에 대해 의아해 했지만 공식적으로 점수 집계상(Home Ground Advantage?)으로는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의 새로운 여왕으로 러시아의 신예 Adelina Sotnikova "영원한 피겨 퀸" 김연아의 뒤를 이은 셈이었습니다.

 

 

 ©Anna Konovalova / IOC (사진 출처: IOC 홈페이지/ Adelina Sotnikova의 피겨 경기장면)

 

 

2014 221일 여자 피겨 최종일 결승경기가 펼쳐진 소치 Iceberg Skating Palace경기장의 밤은 세계 최고 기량을 자랑하는 각국 최고 피겨 선수들이 총망라 되고 총 출동하여 기량을 겨룬 "별이 빛나는 밤"(a star-studded night)이었습니다.

 

 

청소년 동계 올림픽(YOG) 선수출신 러시아의 신예 Adelina Sotnikova가 깜짝 쇼(a surprise performance)를 펼침으로 세계 피겨 퀸인 김연아를 포함한 기라성 같은 최고 중의 최고들을 여왕의 자리에서 내려오게(dethroning the best of the best, including defending champion Yuna Kim)하고 금메달을 조국 러시아에 안겼다고 IOC는 뉴스 섹션을 통해 보도한 바 있었습니다

 

Sotnikova는 자신의 최종 점수를 읽고 금메달을 확신하였을 때(ensuring her a golden finish) 감정을 추스리지 못하였다고 한 바 있습니다(could not control her emotions).

 

“이 결과가 아직 내게는 꿈만 같아요. 이 기분을 어떻게 표현할 수 조차 없다. 이것은 꿈이야. 이것은 꿈이라고."(This is still a dream for me, I can't express how this feels, it is a dream, it is a dream.)

 

Sotnikova는 김연아 선수의 경기 총점보다 총계에서 무려 거의 5점이나 앞선 총점 224.59점을 기록하며 경기를 마무리 한 바 있었습니다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2012년 인스부르크 동계 청소년올림픽 출신인 "요기"(Yoggie)는 그녀의 첫 번째 동계올림픽에서 조국인 러시아에 금메달을 안겨 주는 짜릿함을 맛 보았다고 (was thrilled to medal for Russia) IOC홈페이지는 전하고 있었습니다.

 

"동계올림픽이 우리나라에서 열리고 금메달로 마무리 했어요. 이것은 나머지 내 생애 기간 내내 남아 있을 매우 특별한 느낌 이예요." (The Games are in my country and I have finished with gold. It is a very special feeling that will remain with me for the rest of my life.)라고 Sotnikova는 말했다고 한다.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소치2014 피겨 은메달리스트이며 YOG 홍보대사이기도 한 김연아는 (의연한 모습으로) 뒤로 물러서서 Sotnikova 포옹하며(stayed back to hug Sotnikova) 그녀의 역동적인 경기에 대해 축하해 주는(congratulating her on her powerful performance) 아량을 보여 주었다고 전하였습니다.

 

 

©IOC/김연아선수에게 악수를 청하는 Adelina Sotnikova (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Adelina Sotnikova /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References:

 

-insdiethegames

-Francs Jeux

-WADA홈페이지

-IOC 홈페이지

--La Gazetta della Sport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
스포츠 외교2017. 12. 2. 20:11

[김연아선수 이젠 Sotnikova 소치2014 피겨 금메달 되찾을 정황 및 가능성 집중정밀진단]

 

*순서:

 

. 러시아선수들 악몽 꾸나? -소치2014동계올림픽 메달박탈 진행 중

. IOC의 본격적 러시아 도핑 색출작전 개시-IOC 2개 조사위원회의 분주한 조사결과 발표

. IOC의 러시아 도핑조사 특별위원회 결론

. Oswald 조사위원회 (IOC징계위원회)의 정밀-정교-정확한 진상조사보고서가 시사하는 것

. Oswald조사보고서의 메커니즘과 공작부인 리스트’(Duchess List) 연루선수들 징계수위

. 김연아 선수와 Sotnikova선수의 희비 쌍곡선은 아직 미지수

. IOC의 향후 국제연맹들에 대한 행보(IOC’s full reasoning)

 

*내용:

 

 

Winston Churchill 前 영국수상은 1942년 다음과 같은 유명한 어록을 남겼습니다:

지금 이것은 끝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심지어 결론의 시작도 아니다 하지만 그것은, 아마도, 시작의 결론일 수는 있다.” (“Now this is not the end. It is not even the beginning of the end. But it is, perhaps, the end of the beginning.”)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저지른 것으로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러시아선수들의 조직적 도핑은폐 혐의에 대한 IOC 진상조사위원회의 철저한 행보와 결과발표를 두고 시의적절 하게 표현된 어록으로 사료되는 시점입니다.

 

 

(Richard McLaren 출처: insidethegames)

 

 

1.   러시아선수들 악몽 꾸나? -소치2014동계올림픽 메달박탈 진행 중

 

1)  11월초부터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여 진행 중인 러시아선수들의 연 이은 Sochi2014동계올림픽 메달 박탈소식이 올림픽운동 전체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있는 시점입니다.

 

2)  소치2014동계올림픽 크로스 컨트리 스키 50km 프리스타일 금메달리스트인Alexander Legkov가 금메달 박탈 첫 테이프를 끊었습니다. (Legkv was deprived of Olympic Gold)

 

3)  올림픽운동 특히, 동계올림픽에서는 또 다른 악몽(Nightmare)의 시작이 되고 있는 느낌입니다.

 

4)  소치2014동계올림픽에서 약물검사 샘플이 조직적 은폐 및 바꿔 치기 당한 것으로 서서히 드러나고 있는 정황근거(circumstantial evidence)가 보도되고 있습니다.

 

2.   IOC의 본격적 러시아 도핑 색출작전 개시-IOC 2개 조사위원회의 분주한 조사결과 발표

 

5)  러시아선수들도 가담하여 자행된 것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는 소치2014 도핑은폐를 시사하는 정교하고 계획적 쇼킹폭로(the shocking revelations of an elaborate scheme to cover up doping by Russian athletes)에 근거하여 IOC가 드디어 칼을 뽑아 들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6)  IOC는 러시아 도핑사태 진상규명을 위하여 2개의 특별 조사위원회를 구성 한 바 있습니다.

 

7)  IOC의 객관적 조사취지의 맥점은 다음의 2가지를 고려한 듯 보입니다:

 

(1) 그러한 계획의 창출 방식과 책임소재(how such a plan was created and who was responsible for it)

(2) 평창2018 참가 가능 개개인 선수들에 대한 구체적인 도핑연루 혐의여부(specific allegations against individual athletes who might participate in the 2018 Winter Games in PyeongChang, Korea)

 

3.   IOC의 러시아 도핑조사 특별위원회 결론

 

8)  IOC 2개 조사위원회 중 첫 번째 그룹은 스위스대통령을 역임한 Samuel Schmid를 위원장으로 하는 조사위원회로써 아직도 조사업무 수행 중이며 125IOC집행위원회 전 또는 기간 중 조사확인내용들(its findings)을 보고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합니다

 

9)  두 번째 패널은 Oswald Commission으로 통칭되지만 공식명칭운 “IOC 징계처분 위원회”(IOC Disciplinary Commission)인데 Denis Oswald 스위스 출신 IOC집행위원이 위원장으로 3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Juan Antonio Samaranch, Jr.(스페인IOC부위원장)Patrick Baumann(스위스 출신 IOC위원)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Denis Oswald)

 

 

10)         이들 조사위원회 위원들은 11월 초순 이래 조사에 여념이 없으며 WADA가 위임하여 작성한 캐나다 출신 법의학 교수 겸 변호사인 Richard McLaren보고서에서 적시된 바 있는(identified) 28명의 선수들이 조사 대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1)         그 중간 결과 조사위원회들은 다수의 연루된 선수들에 대한 결정을 내리느라 분주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busy, issuing decisions)고 합니다

 

12)         현재 시점까지 발표된 결과 중에는 20명의 대상선수들 중 19명이나 도핑처벌이 확인되고 있는 것(confirming doping penalties in 19 of 20 athlete cases for which results have been announced so far)으로 알려지고 있는 중입니다.

 

13)         하지만 1127()까지는 조사위원회 결정내용을 뒷받침 해줄 해당 건 색출에 따른 세부설명(detailed explanation of the findings behind the decisions)이 공표되지 않았었습니다.

 

4.   Oswald 조사위원회 (IOC징계위원회)의 정밀-정교-정확한 진상조사보고서가 시사하는 것

 

14)         그렇지만 소치2014동계올림픽 크로스 컨트리 스키 50km 프리스타일 금메달리스트인 Alexander Legkov와 연관된 첫 번 째 완전한 결정내용(the first full decision)이 배포되었으며 실제로 Oswald 조사팀의 결론도출 방식에 대한 충분한 검토 경위관련 설명(a full review of how the Oswald team came to its conclusions.)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15)         Legkov관련 결정은 단순한 조사보고서가 아니라 법적 포맷으로 작성되어(written in a legal format) 있으며, 46페이지의 철저함을 강조하는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in painstaking detail that underscores its thoroughness and runs to 46 pages)고 합니다.

 

16)         46페이지 동 보고서에는 Legkov의 구체적 공모 연루행위(specific complicity)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파악된 495개 번호로 매겨진 구절 구절들(495 numbered paragraphs that set out the general findings)이 상세히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17)         여기서 중요한 대목은 상기의 Oswald조사위원회의 러시아 도핑 계획(Russian doping scheme)에 대한 견해는 다시 말해서 IOC의 견해라는 것입니다.

 

18)         상세 조사경위와 495개 구절에 포함된 각종 세세한 조사추적방식 내역 등은 편의상 생략 하도록 하겠습니다.

 

5.   Oswald조사보고서의 메커니즘과 공작부인 리스트’(Duchess List) 연루선수들 징계수위

 

19)         다만, 도핑계획과 실행과정에서 해당선수들의 연루(implication of athletes)는 빼도 박도 못하는 러시아 도핑 메커니즘의 실체(The Disciplinary Commission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not possible that the athletes were not fully implicated. They were also the main beneficiaries of the scheme)라고 314 번째 및 317번 째 구절(The Disciplinary Commission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scheme could not work without the personal implication of the athletes)에 명시되어 있다고 합니다.

 

20)         그것은 두드러지게 도핑대상 러시아선수리스트 암호명인 공작부인 리스트’(the Duchess List)상에 명시된 선수들의 케이스라고 강조하고 있다고 합니다

 

21)         소치2014 러시아 금메달리스트로서 도핑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진 Legkov의 경우 당사자의 경기결과 기록이 무효화 처분되었으며(his results annulled), 향후 어떤 신분으로도 올림픽 출전권이 박탈되었다(disqualified from participating in any future Games in any accredited capacity)고 합니다.

 

 

 

6.   김연아 선수와 Sotnikova선수의 희비 쌍곡선은 아직 미지수

 

  

       ©IOC/김연아선수에게 악수를 청하는 Adelina Sotnikova (사진 출처: IOC홈페이지

 

 

 

22)         일단 면제부에 들어가 있었던 것으로 보도된 바 있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여자 피겨 개인 금메달리스트인 러시아의 Sotnikova선수의 경우도 Oswald 조사위원회나 Schmid 조사위원회의 재검사 및 조사대상에 다시 포함되어 검증과정에서 실체적 증인에 의한 근거 또는 정황적 근거가 들어 날 경우 김연아선수가 금메달을 되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소치2014 여자개인 피겨 금--동메달리스트 시상대 모습/출처: IOC홈페이지)

 

 

23)         은폐의 증거는 전형적으로 적용과정이 추론될 수 있는 증인에 의한 근거 또는 정황적 근거라고 113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The evidence of a cover-up is typically either witness evidence or circumstantial evidence from which the application of the process can be inferred.)

 

24)         관건은 Oswald 조사위원회나 Schmid조사위원회의 최종 결론과 IOC의 최종 입장인데 만일 Sotnikova 선수도 연루되어 있다면 결코 피해갈 수 없을 것입니다.

 

  

(사진 위 아쉽게 은메달리스트가 된 한국의 김연아 선수와 금메달리스트가 된 러시아의 Sotnokova 선수-사진아래는 판정에 불만을 표현하는 한국 팬들 모습)

 

 

25)         정황적 근거로 채택될 지 여부는 미지수이지만 Sotnikova선수는 소치2014동계올림픽 금메달 획득 이래 국제대회 출전 기피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평창2018에도 부상을 이유로 출전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 이미 알려져 있다는 것입니다.

 

26)         지난 828일 자 한 외신 기사제목은 “러시아, 소치2014피겨금메달리스트인 Sotnikova Lipnitskaya 없이 평창2018 출전”(Russia to be without Olympic gold medallists Sotnikova and Lipnitskaya at Pyeongchang 2018)이었습니다

 

(Putin러시아 대통령과 Adelina Sotnikova/출처: IOC홈페이지)

 

 

27)         러시아선수단은 소치2014 피겨 여자개인 금메달리스트인 Adelina Sotnikova를 포함하여 2명의 피겨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 없이 출전할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28)         Sotnikova선수는 부상으로 인해 금년 시즌 출전하지 않을 것(will not compete this season because of injury)이라고 보도된 바 있습니다

 

29)         소치2014동계올림픽 팀 피겨스케이팅(figure team skating)에서 사상 첫 금메달을 딴 구성원들 중 한명인 Yulia Lipnitskaya 역시 겨우19세의 나이로 은퇴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Yulia Lipnitskaya/출처: Wikipedia)

 

 

7.   IOC의 향후 국제연맹들에 대한 행보(IOC’s full reasoning)

 

30)         , 이제 IOC는 모든 결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31)         Oswald조사위원회의 Legkov관련 보고서는 철저하고 짜임새 있게 작성되어(thorough and well presented) 있으며 반면 결정적 증거’(smoking gun)는 부족하다고(while short of a ‘smoking gun’)는 하지만 높은 수준의 조사보고서임에 틀림 없다는 평가 입니다.

 

32)         따라서 IOC로써도 이러한 조사내용을 토대로 파트너들인 해당 국제연맹들 에게도 설명해 줄 수 있는 상황(a high standard to which the IOC can hold its partners in the International Federations to account)입니다.

 

  

            (Vancouver2010 피겨 여자 금메달리스트 김연아 선수/출처: IOC홈페이지)

 

 

*References:

-The Sports Examiner

-IOC 홈페이지(사진)

-Wikipedia(사진)

-insidethegames(사진)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