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7. 4. 24. 14:41

[IOC위기탈출지향 올림픽대회 새로운 개념의 유치전략제안(A new bidding strategy for the Olympic Games) ]

 

 

아래 글은 SportAccord회장--UCI(국제사이클연맹)회장-- IOC위원-- 2008년올림픽 IOC평가위원장 겸 IOC조정위원장 등을 역임한 네덜란드 출신 Hein Verbruggen IOC명예위원이 본인의 Blog에 게재한 글로써 지난 415일 제1(“올림픽개최도시 위기사태를 프로페셔널 장기포석마케팅기법으로 풀어내기”<Resolving the Olympic host city crisis with professional long-term marketing>) 에 이은 제2편 내용입니다.

 

 

(우측이 Hein Verbruggen: 2010년 당시 SportAccord회장 시절 스위스 로잔느 소재

SportAccord본부 집무실에서)

 

필자는 작금의 올림픽유치도시 가뭄현상 발생에 대한 이유들에 이어 향후 본인이 믿고 있는 바 이러한 위기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IOC가 취할 수 있는 조치가 무엇일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일갈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Sion: a potential host city for the Winter Olympic Games in 2026/2026년 동계올림픽 잠재적 개최도시인 스위스 시온<Sion>)

 

1)  지난 호 Blog에서 나는 장기포석 전략과 비전의 결여는 올림픽대회를 개최할만한 능력이 있는 개최도시들이 현재상황과 같이 결핍되어 가는 것을 예견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없도록 IOC로 하여금 눈가리개로 눈을 가린 것처럼 시야를 좁게 만들었다고 언급한 바 있음

2)  우리는 이러한 위기사태가 불안하게 다가오고 있음을 10년 전쯤 내다 보았어야 함

 

(In my previous blog, I said that the lack of a long-term strategy and vision has blinkered the IOC in its ability to anticipate the current dearth of viable host cities for the Olympic Games. We should have seen this crisis looming some 10 years ago…)

 

3)  이 문제는 비단 잠재적 올림픽개최도시들의 수량적인 측면을 둘러 싼 단순한 이슈가 아니라 이러한 후보도시들의 질적인 측면에 관한 문제임

4)  비록 IOC가 공공연하게 이러한 현상을 인정하지 않는다손 치더라고 우리는 올림픽주관기구가 올림픽개최를 선호하지 않는 수 많은 올림픽후보도시들을 목격하여 왔으며 이러한 부류의 후보도시들은 어떤 대가를 치르고서라도 회피되어야 마땅함

(It is not just an issue around the quantity of potential host cities, but also of the quality of these candidates. Although the IOC would not admit it publicly, we have seen a great many candidate cities where the Olympic Games governing body would very much prefer not to host its flagship event. These sorts of candidates should simply be avoided at all costs.)

 

5)  그렇다면 향후 이러한 상황을 복구하기 위하여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So what can we do to remedy the situation in the future?)

 

6)  다시 재고할 필요가 있는 한 가지 명백한 요소가 있는바: 올림픽대회개최를 이한 경쟁에 참여하는 후보도시들을 위한 현재의 올림픽유치 시스템은 전적으로 시대에 뒤떨어져 있으므로 찢어내고 내 던져 버려져야 함

 

(There is one obvious element that needs rethinking: the current bidding system for cities vying to host the Olympic Games is totally outdated and must simply be torn up and discarded.)

 

7)  올림픽유치시스템은 지난 20세기후반 동안에는 어쩌면 사리에 맞도록 구성되었을지 모르지만 이제는 더 이상 목적에 아주 부합되지 않고 있음

8)  올림픽개최를 고려할 준비조차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점점 희소해져만 가고 있는 후보도시들의 성향을 놓고 볼 때, IOC는 가능한 신속하게 또 다른 후보도시성정시스템을 물색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음

(The bidding system possibly made sense during the latter half of last century, but it is simply no longer fit for purpose. With fewer and fewer cities prepared even to consider hosting sport’s flagship event, the IOC needs to find another selection system as quickly as possible.)

 

9)  그래서 여기에 내 견해를 피력하고자 함:

10)                NOC가 있는 어떤 나라라도 잠재적 올림픽개최도시로 자국의 한 개의 도시를 무 작위로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개입찰유치시스템은 더 이상 없어져야 함

11)                그 대신 IOC가 나서서 자체적 주도권을 행사해야 하며 선 순환적으로 올림픽개최에 적절한 개최도시들 또는 국가들과 접촉을 시도해야 함 

12)                최종후보도시들 명단이 작성완료 되면, 개최도시 최종선발은 115명의 IOC위원들이 자주 정치적 동기로 인한 영향을 받아 윤색되곤 하는 기존의 투표시스템은 지양하고 순수하게 합리성에 근거를 두고 취해져야 함

(So here is my view: there should no longer be an ‘open tender’ system, in which any country with an NOC can put forward a city as a potential Olympic host. Instead, the IOC should take the initiative itself and proactively contact suitable host cities, or countries. Once a shortlist is drawn up, the final selection of city should be based on pure rationale, instead of the existing voting system by the 115 Members whose choices are often ‘coloured’ by other (often political) motives.)

 

13)                필자는 향후 올림픽개최도시들 선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론을 권고하고자 함:

(I would recommend the following methodology for selecting future host cities: )

 

14)                첫 번째 제안

A.  IOC는 올림픽대회개최에 문호를 개방하고자 하는 지 여부를 타진하고자 신중하게 선정된 소수의 국가들을 대상으로 접근을 시도해야 함

B.  그리고 나서 올림픽대회가 개최되기를 원하는 IOC의 선호순서에 입각하여2(최대 3)국가들로 구성된 최종후보도시 명단을 작성할 수 있을 것임

C.  그 다음으로 IOC는 명단 상의 첫 번째 후보국가와 협상을 하고, 만일 합의가 도출되지 않을 경우, 다시금 명단 상의 두 번째 후보국가가 협상에 임함

D.  성공적 협상을 담보하기 위하여, IOC는 개최도시협약서(HCC)조항들을 아주 많이 성가신 대목들에 대해 미세조율을 거쳐 부담스러운 항목들에 대하여 대폭 간결하게 만들어야 함

E.   필자는 구 시대 유물과도 같은 그 어떤 것으로 보이는 HCC처럼 한쪽(IOC)에 만 치우쳐 그렇게 왜곡된 그 어떤 다른 협약 서를 듣지도 보지도 못해왔다고 과감히 언급하는 바임

 

(1) The IOC should approach a small number of carefully-selected countries to ask whether they would be open to organising the Olympic Games. It would then draw up a shortlist of two (or maximum three) countries, in order of preference, where it would like to see the Olympics held. The IOC would then negotiate with the first country on its list and, if agreement is not reached, only then open negotiations with the second country. To ensure success, the IOC must also be prepared to make the Host City Contract much, much less onerous. I must say that I have never seen any other contract that is so skewed towards one party (the IOC), something that also makes it a product of a bygone age.

 

15)                두 번째 제안

A.   올림픽개최를 위한 근본적인 조건은 해당국가가 납세자들로 하여금 추가적으로 건설하는 인프라 투자에 소요되는 예산기금을 부담하지 않도록 하는 선에서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는 국가여야 함

B.   허용될 수 있는 유일한 인프라 투자는 올림픽개최와 상관 없이 어쨌든 건설되는 그런 것들에 한해서 용인되어야 함

C.   올림픽개최국이 떠 맡는 유일한 비용은, 따라서, 안전관련(런던2012올림픽에서 적용된 것처럼 개최국 군대를 활용하여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는) 비용으로 국한되어야 할 것임

(2) A fundamental condition of hosting must be that a country can organise the Games without making taxpayers fund the investment for additional infrastructure. The only infrastructure investments that would be allowed would be those which would be made anyway, irrespective of hosting the Olympics. The only costs taken on by a host country’s government, therefore, would be those relating to security (which could be kept to a minimum by using the army, as happened at London 2012).

 

16)                세 번째 제안

A.   새로운 올림픽유치 시스템은 올림픽유치 신청 국의 관련기업들이 상업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대회개최 및 조직과정 자체할당에 있어서 훨씬 더 깊숙이 관여되는 범주를 허용하여야 함

B.   이러한 협업은 TOP스폰서 프로그램을 위험에 빠뜨리거나 변경을 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해낼 수 있음

 

(3) The new bidding system must also allow scope for an applicant country’s corporations to be far more involved in the delivery of the Games, both commercially as well as in the organisation process itself. This can easily be done without jeopardising or changing our TOP Sponsor programme.

 

17)                네 번 째 제안

A.   IOC가 올림픽개최국가에 대한 협상 및 최종선발에 완전하게 관여하기 때문에, IOC는 올림픽조직에 대하여 더 깊숙한 책임을 떠 맡아야 할 것임

B.   IOC가 오늘날 무분별하게 거리낌 없이 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로 전가해 오고 있는 어떤 임무들은 IOC자체로 조직되어 운영되는 편이 더 나을 것임

C.   그것이 논리적이 타당함:

D.   IOC는 매번 모든 올림픽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으며 그리하여 자체적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

(4) Because the IOC is integrally involved in the negotiations and final choice of host city, it must also assume greater responsibility for the organisation of the Games. Some tasks that are today blithely passed over to the OCOG would better be organised by the IOC itself. That is logical: the IOC is deeply involved in every Games and so can make the best use of its accumulated know-how.

 

18)                작금의 올림픽유치위기사태는 필자가 보기에 스위스의 사례로 요약됨.

19)                스위스야말로 탁월하고 빼어난 동계국가의 진수임:

20)                알파인 스키 관광이 탄생한 곳이 이곳 스위스임

21)                IOC의 본부소재지이기도 한 동시에 환상적인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스위스)가 어떠한 연유로 1948St. Moritz 동계올림픽을 끝으로 여태까지 동계올림픽을 개최하지 못하였을까?

22)                스위스동계올림픽개최를 추진하기 위한 제안들이 수 차례 반복해서 제기되어 왔건만, 감지할 수 있는 고비용이 주원인이 되어 대부분 스위스 주민들의 부정적인 반응을 촉발하여 왔을 뿐임

 

The current bidding crisis is summed up for me by the case of Switzerland. This is the winter country par excellence: alpine tourism was born here. How is it possible that the country that is home to the IOC itself and which has every possible asset to organise a fantastic Winter Games has not played host since 1948? Proposals for a Swiss Winter Games have been made time and again, but most of the time they have prompted a negative reaction from the Swiss population, mainly because of the perceived high costs.

 

23)                지난 주(418) 스위스의 시온(Sion)2026년 동계올림픽유치의사를 확인하였음

24)                위에 개괄적으로 명시한 올림픽유치시스템에서, 필자는 IOC가 스위스정부당국과 Valsis주 및 시온 시당국과의 접촉과 협상을 위한 주도권을 잡도록 장려하는 바임

25)                그리하여 스위스 납세자들을 재삼 납득시키고 이번에는 천재일우의 기회가 다시금 달아나지 않도록 단단히 채비하기를 촉구하는 바임

26)                2026년 웅장하고 성대한 동계올림픽이 스위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됨으로써 동계스포츠뿐만 아니라 IOC를 위하여서도 커다란 응원 겸 사기진작의 돌파구가 될 것임

This week, the Swiss city of Sion has confirmed that it will bid for the Winter Games of 2026. In the bidding system I outline above, I would encourage the IOC to seize the initiative by approaching and negotiating with the Swiss government, the canton of Valais and the city itself – thereby reassuring the Swiss tax-payers – and this time I hope not letting the opportunity slip away yet again. A spectacular and successful Winter Games in Switzerland in 2026 would be both a huge boost for winter sports as well as for the IOC.

 

27)                끝으로, 필자는 내가 제안한 시스템이 IOC위원들이 누려왔던 올림픽개최도시 선정과 관련된 특권들을 박탈하게 되는 것을 의미함을 전적으로 이해함

28)                하지만 IOC위원들은 만일 현 위기상황타개를 위해 아무 것도 행해지지 않을 경우, 선택할 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도 머지않아 곧 사라지게 될 시간이 도래할 것이라는 미래를 확실히 이해 할 것임

Lastly, I totally understand that my proposed new system would mean taking away from IOC members the privilege of choosing where to host the Games. But they can surely understand that if nothing is done to resolve the current crisis, then a time will come soon when they simply do not have any bids to choose from…

.

 

 

 

Posted by 윤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