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is 2024올림픽과 패럴림픽 관장 기구인 IOC와 IPC, 러시아 참가자에 대한 정책 다르게 전개될 수 있는 개연성 인정한 Parsons IPC위원장]
Andrew Parsons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위원장은 러시아와 벨라루스선수들의 Paris 2024 대회 참가와 관련하여 IPC가 IOC와 다른 정책을 펼칠 수 있는 “가능성”(possibility)이 있음을 인정하였다고 합니다.
(Bach IOC위원장과 Parsons IPC위원장)
Tony Estanguet Paris 2024대회 조직위원장은 그러한 경우에 조직위원회는 상황에 맞게 적응할(would adapt to the situation)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3월 IOC가 국제 연맹들을 대상으로 해당 국제대회에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을 포함시키지 말 것을 제안한 권고사항 발표 4일 후, IPC는 Beijing2022동계 패럴림픽 대회에 패럴림픽 깃발을 사용하고 대회메달집계에 포함시키지 않는 조건으로 두나라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다고 발표하면서 다른 길을 선택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그때 IPC는 다수의 NPC국들이 두나라 선수들이 참가할 경우 대회를 보이콧하겠다고 위협을 가하자 다시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 참가를 불허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Parsons IPC위원장은 그 당시 두나라선수단이 금지조치를 받지 않았다면 여러 나라들이 대회에서 철수함으로(likely to withdraw) 원활한 대회가 되지 못했을(would not be a viable Games) 가능성이 높았다고 언급하였습니다.
Speaking to insidethegames today Paris 2024 President Tony Estanguet, left, and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President Andrew Parsons said it was "possible" that the IPC could have a different policy to the IOC over the participation of athletes from Russia and Belarus at Paris 2024 ©ITG(Tony Estanguet Paris 2024대회 조직위원장과 Andrew Parsons IPC위원장)
2022년11월16일, 러시아와 벨라루스 올림픽위원회는 IPC로부터 자격정지조치를 받은 바 있습니다.
그러는 동안 IOC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이 국제대회에 중립선수지위로 참가할 수 있는 통로를 모색하고자 하는(now trying to explore ways of including Russian and Belarus athlete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 as "neutrals") 방향으로 입장이 선회(the IOC position has shifted to the point) 하였는데 Paris2024올림픽 출전에 대하여 참가자격부여 방식에 대하여(over their eligibility in any circumstances to compete at the Paris 2024 Games) 어떠한 결정도 내려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4년 패럴림픽 대회 시작 G-500일을 맞이한(to mark 500 Days to Go on Sunday/April 16) 4월16일 가진 인터뷰 질문에서 Parsons위원장이 IPC가 러시아와 벨라루스 가 연계된 문제에 대하여 IOC와 다른 정책기조를 펼칠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지고 대회에 임할 수 있겠느냐(the IPC could get to the Games with different policies from the IOC on the question of Russian and Belarusian involvement)고 하자 Parsons위원장은 “ 그것은 생각할 수 있음” (It is conceivable) “스포츠 세계에서 우리는 항상 연합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생각함”(I think we always want to be united in the world of sport.) “하지만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는 많은 세분화된 파장이 있으며 정말로 나라가 다르다 보니 생각도 다르게 하므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지정학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봄”(But I think the situation that we are facing has so many ramifications, and it can really change the geopolitics of the world we live in, that some different nations are going to think differently.) “다른 나라들은 스포츠 세계에서 다른 조치들을 취하고 있는 것임”(Different countries are taking different measures in the world of sport.) “연합하는 것이 언제나 바람직한 일이지만 상황이 상황인지라 각기 다른 지배구조와 각기 다른 사람들이 다른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때때로 그리 되는 것이 그냥 가능하지는 않음”(I think it is always good to be united but I think that the situation is so big that sometimes it’s just not possible because we have different governance structures and people make different decisions.) “그래서 그것이 가능하다고도 봄”(So it is possible, yes) “우리 모두가 같은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좋은 일일 것임”(It would be good if we all had the same approach.) “하지만 상황의 구체성으로 인해 세계의 각기 다른 부분에 속한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지 가 관건 임. 그것은 상상할 수 있음”(But due to the specifics of the situation, how it affects different people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it’s conceivable.) “그것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It’s a possibility.)이라고 견해를 밝혔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