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총리 2032올림픽 유치 Tokyo 원정 유치 로비활동 전개(2020년 11월17일 Tokyo회동)]
2020년 11월18일자 한 외신기사 보도에 따르면 호주 정부 총리(PM)가 일본 Tokyo로 건너가서 때 마침 Tokyo2020관련 방일중인 Thomas Bach IOC위원장과 면담을 하였다.
표면적으론 Scott Morrison호주 총리가 일본정부와 외교적 사안 협의 차 방일 중이었다고 하지만 실제론 Tokyo2020올림픽 IOC조정위원장이자 호주 NOC위원장 겸 호주 올림픽 재단 이사장 겸 IOC부위원장으로 막강한 IOC내 실력자인 John Coates의 거중조정으로 철저히 계산되어 이루어진 면담으로 보인다.
이번 Bach-Morrison Tokyo면담은 호주가 정성을 드리고 있는 Queensland/Brisbane2032올림픽유치 전망에 대한 대면 설득 로비 성격이 짙다.
IOC President Thomas Bach (left) meets with Australian Prime Minister Scott Morrison in Tokyo on Nov. 17, 2020 (IOC Photo/Twitter)(Bach IOC위원장과 Scott Morrison 호주총리간의 11.17일 Tokyo회동 모습/출처: IOC)
이번 Tokyo회동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후 두 지도자 간의 첫 해외출장 미팅인 셈이다.
John Coates 호주 NOC위원장 겸 IOC부위워장은 Bach-Morrison회동 직후 비디오 메시지를 통해 호주 NOC트위터 페이지에 코로나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주선한 면담임을 홍보하며 자신의 스포츠외교역량 과시를 겸한 호주의 2032년 올림픽유치 유리한 고지 선점을 호주 전역 및 전세계에 알리는 치밀함까지 보여 주었다.
2019년에는 Brisbane 주개최도시가 속해 있는 Queensland주 여성총리인 Annastacia Palaszczuk가 유치사절단을 이끌고 스위스 Lausanne소재 IOC본부를 방문하여 Thomas Bach IOC위원장과 선제적 면담을 통해 호주의 2032년 올림픽유치성공을 위한 스포츠외교를 펼친 바 있다.
Scott Morrison호주 정부 총리는 호주정부의 Queensland-Brisbane2032올림픽유치애 대한 전폭적 지지와 지원을 약속한 바 있으며 그 기조를 유지해 오고 있다.
호주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전폭 지원 하에 2032년 올림픽자국유치를 위해 2020년 1월부터 공식적으로 전격 시작한 바 있다.
2017년에 Paris2024-LA2028 두 개 올림픽 동시 선출 이후 IOC는 올림픽개최지 7년 전 선정 규정을 폐지하고 IOC집행위원회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시기에 언제든(when timing is right) 선출할 수 있도록 올림픽헌장까지도 개정한 바 있다.
Queensland주 총리인 Palaszczuk는 2020년 10월 실시된 선거에서 재선됨으로 올림픽유치추진에 추진 동력 가동을 시작하였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2030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출 과정도 늦추어 지고 있긴 하지만 2032년-2036년 올림픽 개최지와 콤비네이션으로 함께 하는 개최지 선출 방식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현재 2032년 올림픽유치 의사표명국으론 1)서울-평양 공동 유치 2)호주 Queensland-Brisbane, 3)인도네시아, 4)인도, 5)독일, 6)카타르 등이 유치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적극적 행보에 들어간 호주가 선두주자로 간주되고 있다.
*References:
-GamesBids.com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간 서평] 저자 윤강로 ‘스포츠외교론’ (0) | 2020.11.30 |
---|---|
새로운 100년 시작되는 2021년 차기 대한체육회장의 자격요건 (1) | 2020.11.23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39편(윤강로 대한체육회장선거 출마의 변<새로운 지평 “체육주도성장” 실현>) (0) | 2020.11.17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38편(생애 두 번 째 출판기념회(2020년 11월12일) 한국 체육 새로운 100년 New Century가 시작되는 2021년부터는 체육주도성장) (0) | 2020.11.13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37편(IOC의 국가올림픽위원회(NOC)에 대한 자격정지(Suspension) 징계조치 역사) (0) | 2020.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