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바란다 2탄(대한민국체육활성화 방안-엘리트 선수들을 교실에 붙잡아 두어야 하는가?)]
대한민국 체육활성화 방안 제2탄으로 “엘리트 선수들의 교육문제와 스포츠외교력 강화에 대해 집중 조명해 봅니다.
1. 엘리트 선수 육성 시스템의 현주소
2. 스포츠 개혁안이 허와 실
3. 운동선수 대상 교과과정 신설 방안 제시
4. 한국체육의 새로운 100년은 “체육주도성장”이 답이다
◆ 엘리트 선수 육성시스템의 현주소
엘리트 선수들의 교육 문제를 짚어 보고자 한다. 미국·소련(현 러시아) 냉전의 유산인 엘리트 시스템을 한국스포츠계는 지금까지 이어 왔습니다.
여전히 분단국가이면서 올림픽 메달리스트에게 국민의 세금으로 연금을 주고, 국가 대표 선수촌에 많은 예산을 할애하고 있는 한국 체육계는 투자한 만큼 좋은 성적을 거두어 왔고, 이에 대한 국민들의 성원도 여전히 높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구시대의 산물인 엘리트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성찰이 진행 중이고, 유럽식 클럽 제도에 기반한 엘리트 시스템의 해체가 모범 답안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럽식 클럽 제도는 그들만의 문화와 토양 위에 자생적으로 발전해 온 것이고, 국가 주도로 급하게 들여오려는 것은 현 세대 체육인들의 희생을 강제합니다. 그리고 엘리트 시스템 자체가 사회악인 것처럼 여길 이유도 없습니다.
체육인에 대한 우대는 각 민족과 나라들이 각자도생(各自圖生)을 추구하는 냉혹한 경제전쟁 시대에 오히려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국민통합의 정신적 기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엘리트 시스템을 해체하지 않고, 현세대의 체육인들이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엘리트 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맹점들을 해소할 방안들을 제안해 봅니다
◆ 스포츠 개혁안의 허와 실
최근 몇 년간 국가 주도로 진행된 스포츠 개혁안의 골자는 운동하는 선수들도 일반 학생들과 동일하게 수업을 받도록 하자는 것입니다. 그들이 언제든 운동을 그만두더라도, 공부를 통해 스스로의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가 담겨 있습니다.
좋은 방안이지만, 몇 가지 생각할 점들이 있습니다.
첫째로 유럽의 교육 제도는 한국보다도 훨씬 더 수업 분량이 적습니다. 그들은 교과 과정이 마친 이후 운동을 해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춘 선수가 될 수 있는 수업 양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이웃인 일본도 20여 년의 세월 동안 엘리트 시스템을 해체하고 클럽 제도로 바꾸었는데, 그 기반에는 방과 후 수업 제도가 있습니다. 방과 후 수업으로 프로 선수까지 나아갈 수 있다고 하면 아주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학교 수업으로도 부족해 사교육까지 받는 한국의 교육 문화 속에서 운동선수들이 정규 수업 시간을 다 채우면서 좋은 선수로 성장하는 데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습니다.
둘째로 이런 방안이 비현실적인 조치라고 생각되는 데 큰 원인은 바로 시설의 부족 문제이다. 한국은 개인 종목 뿐만 아니라 올림픽 메달이 걸린 수없이 많은 단체 종목 등에 선수들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모든 종목의 선수들이 활용할 수 있는 경기장이 부족합니다. 개혁안에 따르면 수많은 학생이 시합을 치를 수 있는 시기는 학교 수업에 지장이 없는 방학 기간입니다. 그런데 그 기간에 그 많은 종목이 기존의 경기들을 현재의 시설 한계 내에서 다 진행할 수 있을까요? 불가능한 이야기입니다. 결국 학기 중 체육 시설들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 물리적 한계입니다.
셋째로 한국 교육의 수준을 고려해야 합니다. 유럽의 경우 중고등학교도 수없이 많은 과목을 다 공부하지 않고 선택한 몇 개의 과목을 공부하도록 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기본적으로 수업 분량 자체가 적습니다. 그리고 선수로 성장할 학생들은 체육 교과를 선택해서 운동 시간을 확보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 전체 학생이 전 과목을 공부하며, 운동선수를 위한 별도의 교과 과정이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 운동선수 대상 교과과정 신설 방안 제시
이상 세 가지 사안들을 살펴볼 때 현재 운동하고 있는 선수들을 교실에 집어넣는다고 해서 그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은 분명합니다. 그래서 운동선수들을 위한 별도의 교과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운동선수들을 위한 별도의 체육고등학교(체고)가 있긴 하지만 개인 종목에 그치고 있고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지역 연고제를 바탕으로 한 수많은 단체 경기 선수들은 혜택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또 각 팀 별로 학교에 분산되어 지원을 받고 있으므로 체고 시스템을 전체 종목에 적용할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그들을 교육의 사각지대에 두고 운동만 하게 하는 것도 구시대적 발상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아래와 같은 방안을 제시합니다.
1) 운동 선수들에게 적합한 과목을 선별하여 별도의 교과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해외에서 경기할 경우가 많으므로 ▲ 영어 과목이 필요하고, 기타 인문 사회적인 상식을 포함하는 ▲ 교양과목과 ▲ 간단한 기본 논술 과목 및 ▲ 기초적인 문서작성 과목도 보강해야 합니다.
2) 별도의 교과 과정을 담당하는 순회 교사 및 교수를 육성할 것을 제안합니다. 운동하는 선수들을 전담하는 교사-·교수는 지역별로 흩어진 팀들을 순회하면서 수업을 진행하되, 선수들의 운동량을 고려해서 전일 교과를 진행하기보다는 학기 중 소요되는 일정 시간을 사전 조율 및 조정 후 배정해서 정해진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3) 교과 과목이 다르므로 시험도 별도의 시험이 필요하고, 운동선수 간 경쟁해서 성적을 매겨야 합니다. 즉 운동하는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특별 교과 진행 및 수업 이수 과정이 선별적으로 연구되어 확립될 필요가 있습니다.
◆ 한국체육의 새로운 100년은 ‘체육 주도 성장’ 이 핵심
위와 같이 할 경우, 운동선수들은 운동에 집중하면서도 사회활동을 영위하는데 글로벌 마인드와 함께 필요한 언어와 상식 및 문서 작성 등의 필수 불가결한 지식을 배울 수 있을 것이며, 인문 사회학적 수학을 통해 수직적인 권위 체계를 벗어나 대등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을 받을 것입니다.
교육은 백년지계라고 합니다. 스포츠에 종사하는 체육인의 교육이라고 백년지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새로운 백 년 앞으로 내다보고, 현시점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부디 한국 체육계가 전 세계가 보고 배울 수 있는 새로운 선수 교육 패러다임을 수립하기를 고대해 봅니다. 이것이야말로 때마침 2022년 5월 새로운 정부가 탄생하는 시점에서 한국체육의 새로운 100년을 다목적 내실 있게 발전시키기 위한 ‘체육 주도 성장’의 발판이며 ‘스포츠가 답이다’로써 문제 해결방식의 한 축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바란다 4탄 종결 편(대한민국체육활성화와 스포츠 계 향후 과제 및 해결방안제안) (2) | 2022.03.28 |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바란다 3탄(낙후된 대한민국 국제스포츠외교역량강화 총체적 Upgrade 방안) (0) | 2022.03.26 |
Bubka 우크라이나 IOC위원, 자국선수들에게 러시아침공에 관계없이 각종국제대회출전 적극지원 결심 (0) | 2022.03.24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바란다 1탄(체육정책 100년 시무십조) (5) | 2022.03.23 |
러시아 Putin대통령 Beijing2022동계올림픽출전 러시아메달리스트들과 우크라이나전쟁지지 대규모 집회(Large Pro-War Rally) 개최 스케치 (0)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