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24. 6. 21. 10:21

[서울올림픽 Legacy포럼 2024 프로젝트 11가지 제안과 서울올림픽러게시 포럼조직위원회 위원 위촉]

 

620일 올림픽공원 파크텔 2층 런던 홀에서 서울올림픽레거시 포럼 조직위원회 위원으로 위촉장을 받았습니다.

 

 

 

위촉장 전달식 후 서울1988 올림픽레거시 포럼 조직위원회 희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은 필자가 제안한 2024년 서울올림픽개최 36주년 기념 레거시 포럼 안건에 제안한 11가지 프로젝트 내용입니다:

 

1.   KSPO의 서울올림픽 레거시 비전 선포의 당위성과 11가지 프로젝트 제안

 

‘서울올림픽기념 국민체육진흥공단’(SOSPO-->KSPO) 2022년 서울올림픽레거시 포럼(SOLF) IOC및 전세계올림픽레거시 Entity기관들에게 집중 조명한 조현재 KSPO이사장이 발의 및 사업추진 결과 IOC 및 글로벌 참가자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새로운 패러다임인 글로벌올림픽유산발전 및 계승의 선구자 역할에 초점을 맞춘 KSPO의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여 자리매김한 향후 획기적 추진 기구의 벤치마킹 포인트로 사료된다.

이는 IOC와 글로벌 올림픽운동구성원들에게 미래올림픽이 추구해야할 지향 목표를 제시한 신선하고 시의 적절한 구상이라고 생각한다.

 

IOC가 중점적으로 펼치고 있는 Olympic Agenda2020+5중 최고 핵심가치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유산(Legacy)’이다

*Olympic Agenda 2020+5 권고 패키지 지향 5개 분야(five areas):

 

(1) 결속(Solidarity)

(2) 디지털화(Digitalization)

(3)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4) 신뢰성(Credibility)

(5) 경제적 및 재정적 대응력/복원력(Economic and Financial Resilience)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결실은 중장기적 관점의 올림픽유산인데 ‘서울올림픽기념 국민체육진흥공단’(SOSPO--->KSPO)의 존재와 지속 가능성은 IOC가 중점적으로 강조하고 지향하는 올림픽유산의 역할 모델 중 백미이다.

 

특히 서울1988올림픽 개최 후 35년 동안 지속 가능하게 개최국 스포츠발전과 Olympic Legacy를 계승 발전시켜온 KSPO의 족적은 동서양 전무후무하고 유일무이한 모범 사례이며 올림픽운동사의 글로벌 벤체마킹대상이다.

이는 IOC가 전세계 국가올림픽위원회를 대상으로 재정적 기금지원 종합프로그램으로 운영해 오고 있는 올림픽연대성 프로그램(Olympic Solidarity Program)정책과 일맥상통한다.

 

Samaranch IOC위원장(1990년 제1)에 이어 Bach IOC위원장(2020년 제15)도 서울1988올림픽 연장선 상에서 서울평화상의 수상자로 선정된 것 또한 서울1988올림픽평화구현의 글로벌 유산 사례다.

 

2024Seoul1988올림픽 개최 36주년은 획기적인 전환점인 바, 서울올림픽비전선포에 따른 11가지 실행 프로젝트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핵심과제 겸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2) 이전과 확연히 대비되는 개념과 미래지향적 지표 설정,

3) Seoul1988올림픽을 통한 국제스포츠외교 차세대인재양성 지속가능실행 청사진 구체화,

4) IOC와 올림픽 사후 지속가능성 및 Olympic Legacy 계승발전 관련 MoU체결 추진,

5) Seoul1988 Olympic Legacy Global School 개설 및 글로벌레거시재단(WOLF: World Olympic legacy Foundation)운영 추진을 위한 IOC MoU체결 및 협력(Olympic Solidarity Fund 향후 지원 가능성 모색),

6) 2026년 개관 예정인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체육박물관 개장에 앞서 IOC의 올림픽박물관과 MoU체결.

7) 미래지향형 올림픽레거시재단(WOLF) 주최 연례국제포럼 또는 글로벌레거시 아카데미 창설 및 운영(Key-Note Speaker: 세계 올림픽 선도형 지도자 초빙),

8) 서울1988올림픽 36주년기념 서울올림픽레거시 실록 책 편찬(재능 기부차원에서 원고 무상 제공)

9) 서울1988올림픽 36주년 기념 한국스포츠인력의 세계화 및 국제소통가속 지향 ‘국제스포츠소통영어책’ (재능 기부 차원에서 무상 제공)발간 및 배포,

10) 국내(추후 해외)각급 학교 커뮤니티에 올림픽과 국제무대소통 Curriculum 개설/교양과목(가제 OST: Olympic Story Telling)등 추진 

11) 한국 최고 스포츠외교관 김운용 Kids만들기 ‘국제스포츠인재 아카데미’ 개설 및 운영(미래스포츠외교관 교육 및 스포츠외교꿈나무 양성)

 

.

 

Posted by 윤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