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보2022. 4. 1. 11:06

[미국 Salt Lake City 2030동계올림픽유치 파란 불(very, very good shape) IOC, 2023년 여름 최종개최지선출예상]

 

328일 복수의 외신은 IOC2022년 말까지 2030년 동계올림픽 및 패럴럼픽 유치후보대상도시들을 압축하고(narrow down candidates) 2023년 여름 경 개최도시를 선출할 있다고 미국 올림픽 및 패럴림픽 위원회(USOPC)위원장인 Susanne Lyons가 주장하였습니다.

 

Park City, Utah hosted venues for Salt Lake 2002 Olympic Winter Games (Wikipedia)(Salt Lake City2002동계올림픽 경기장이었던 Park City모습/출처: Wikipedia)

 

 

최근 열린 USOPC 이사회 직후 화상회의동안 LyonsBeijing2022대회 중에는 관련 대화 제로(zero conversation)였음을 인정하면서 Salt Lake City 2030 동계올림픽유치에 대한 명확한 행로에 대한 윤곽을 설명(outlined a clear path)하였다고 합니다.

 

LyonsIOC기술분과위원회 위원들이 4월 하순 경 Utah주를 방문하여 기술 계획(technical plan)을 살펴 볼 것이라고 언질을 주었다고 합니다.

 

 

(USOPC 위원장Susanne Lyons과 사무총장/CEO Sarah Hirshland)

 

 

 

Lyons는 유치파일작성에 관한 회의를 갖고 6월경 USOPC사무총장(CEO)Sarah Hirshland와 본인과 Utah-Salt Lake City대회준비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스위스 IOC본부를 방문하여 매우 양호한 상태인 유치 계획의 일부인 좀더 알찬 핵심 내용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을 하게 될 것(a more robust presentation on the meat and bones of what is part of the whole plan of the bid which is in very, very good shape) 이라고 브리핑하였습니다.

 

당초 스위스 Lausanne IOC본부방문은 2021년 후반부에 계획되어 있었으나 코로나19창궐로 연기되었지만 당시 Thomas Bach IOC위원장과의 화상회의(virtual meeting)에서 SLC 2030의 프로젝트는 일사분란 한 일체감과 열정”(great unity and enthusiasm)이 녹아 있음을 감지하였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Salt Lake City 2030 동계올림픽유치경쟁은 일본, 스페인 및 중국과 4파전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의 침공 상태인 우크라이나의 유치계획서제출 계획은 일시 정지된 상태입니다

 

2030년 동계올림픽유치후보도시들 중 세 군데(Sapporo1972-Salt Lake City 2002-Vancouver2010) 모두 과거 대회개최경력이 있어 두번째 개최를 염두에 둔 이유는 시설비 염출 염려가 없기 때문으로 사료됩니다.

 

Pyrenees-Barcelona를 제외하고 Salt Lake City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2개유치도시들 역시 두번째 동계올림픽 재 개최를 희망하고 있는바 초반에는 일본의 Sapporo 2030(1972면 개최도시)가 앞서 나갔지만 코로나19Tokyo2020올림픽 개최가 1년 연기되는 바람에 일본이 올림픽을 무관중대회를 치른 것을 만회하기 위한 포석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Pyrenees-Barcelona 2030 프로젝트는 Catalan주 수도인 Barcelona가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게 되면 Beijing2008-2022에 이어 두번째 동하계올림픽을 치른 도시가 될 것이지만 본격유치추진에 앞서 계획 중인 주민투표실시(a planned referendum before moving forward)라는 장벽을 견뎌내야 하는 애로사항에 직면 하고 있습니다.

 

Vancouver 2030의 경우 3월 하순 예정되었던 시의회 승인이 떨어지면 금년 가을 역시 주민투표(plebiscite)를 감내해야 하는 상황에서 엊그제 주민투표를 발의한 의원이 향후 정치적 불이익을 우려하여 안건 발의를 취소하는 바람이 무난히 넘어갈 수 있는 상황으로 반전된 상태가 되었습니다.

 

올림픽개최지 결정시기규정변화로 IOC 판단 하에 하시라도 개최를 선출하게 되어 있는데 금년 말 이전에 1~2개 선호 도시들을 지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235월 또는 6월로 인도 Mumbai에서 예정된 IOC총회에서 최종 찬반투표로 (for rubberstamp approval)간택된 최종선호도시를 선출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USOPCLA2028올림픽과 USOPC간의 올림픽 및 패럴림픽 시설물(Properties) 이용 및 상업적 합작(the commercial joint venture)과 관련한 대화를 지속해 왔는데 그 이유는 2028년 하계올림픽(LA)2030년 동계올림픽(Salt Lake City)대회 개최 간격이 18개월에 불과(only 18 months apart)하므로 예상 가능한 여파와 기회 측면(the possible impacts and opportunities)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올림픽조직위원회는 전형적으로 국내 마케팅 및 스폰서십 기회를 십분 발휘할 권리를 부여 받고 있는데 두개의 올림픽이 짧은 간격으로 개최되게 되면 겹치는 부분이 생김으로(could cause an overlap) 자칫 수입금창출기회공유(the sharing of revenue opportunities)라는 이해상충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율 중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래서 이전에 USOPC2030년이 다른 나라에서 개최되면 대신 2034년 동계올림픽유치를 고려하려는 의도를 암시한 바 있습니다.

 

Lyons USOPC위원장은 미국에서 동 하계 두개의 올림픽을 묶음 패키지 형태로 가져오는 발상을 한다는 것 자체는 우리의 상업적 파트너들에게 제공되는 실제로 흥미로운 일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임” (One could say that there are actually some very interesting things you can do with the notion of a bundled package of two Games in the U.S. that we are offering to our commercial partners)이라고 야심을 드러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도 윤석열 대통령의 새정부가 들어서면 올림픽개최 중장기 플랜을 가동시키면 어떨까 대통령 인수위원회에 홈페이지를 통해 최근 제안한 바 있습니다.

 

*References:

-Games.Bids.com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