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 스포츠외교 전문가는 없나[SS취재석] 기사 배경 및 소개]
정부의 대한체육회에서 KOC분리 움직임과 함께 IOC가 사전 경고성 메시지를 이기흥 KSOC회장(NOC자격 IOC위원)에게 보낸 서한으로 체육 계가 소란스럽다.
다음은 스포츠서울(2020.9.20)자 기사내용이다.
필자는 이미 이와 관련 우려 내용을 두 차례에 걸쳐 블로그에 올린 바 있다.
|
[스포츠서울 성백유전문기자] 어제는 9·19남북군사합의가
체결된 2주년이었다.
문재인대통령은 그때 김정은국무위원장과 함께 발표한 평양공동선언에서 비핵화를 포함한 다섯가지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발표했다. 그 중 하나가 문화체육분야의 2032년 하계올림픽 남북 공동개최였다. 2년이 지난 지금 2032하계올림픽 남북공동개최는 어떻게 진행이
되고 있을까? 스포츠현장에서 뛰고 있는 기자의 입장에서 볼 때, 대한민국의
유치 준비는 멈춰있다.
그동안 올림픽 개최지 결정은 7년 전에 IOC 총회에서
결정해 왔다. 1988서울올림픽은 1981년 독일 바덴바덴총회에서
결정되었고,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2011남아공 총회에서
결정됐다. IOC는 최근 개최도시간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과열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2019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제134차 총회에서 대회 7년 전에 결정해 오던 유치도시 결정 규정을 삭제했다. 이에 앞서 IOC는 2017년 총회에서
2024년 하계올림픽 개최지(파리)와 2028하계올림픽 개최지(LA)를 한꺼번에 결정지었다. 이런 까닭에 2032올림픽 개최지 결정은 대회 개최 11년 전에 결정된 2028LA올림픽 처럼 일찍 결정될 수도 있다. 언제 어떻게 결정될 지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북한이 침묵해도 우리만이라도
유치준비를 해야만 한다.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올림픽 개최의 중심이어야 할 서울시는 꿈쩍 않고 있다. 공동개최에만 매달려
있어 유치위원회를 구성하는 등의 후속 조치에는 무관심이다. 통일부와 문체부는 ‘우리 단독으로 준비할
수 없다’는 입장만 내놓고 있다. 올림픽 유치를 이끌어야 할 서울시장의 부재도 악재가 아닐 수 없다.
문체부는 최숙현 선수 사건이 벌어져 체육계에 대한 비판이 일자, 대한체육회와 대한올림픽위원회(KOC)를 분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대한체육회와 갈등을 빚고 있다. 사무총장
해임을 공식적으로 권유하는 등 대한체육회에 지나친 권한을 행사했다. 그러는 사이 IOC에서는 경고서한이 날아왔다. 전직 문체부 간부는 SNS를 통해 ‘IOC가 그리 무섭나. IOC가 뭔데’라며 비판했다. 그의 후배들이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IOC평가위원을 지낸 윤강로 국제스포츠외교연구원장은 “IOC가 칼자루를 쥐고 있는 올림픽
관련 이슈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만일 이번 상황이 정부의 NOC 자율권 침해로 판단하여 IOC가 대한체육회에 대해 자격정지조치를 내릴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쿠웨이트는 정부의 NOC 간섭으로
IOC의 징계를 받아 국제대회에 자국기를 들지 못하고 입장한 사례가 있다. 도핑문제로 징계를
받았던 러시아는 2018평창동계올림픽 때 국기를 들지 못했다. 박낸시 IOC 아시아담당은 “IOC는 개인이 의견을 밝히지 않는다. 나도 어떤 입장인지 개인적으로 말할 수 없다”면서 최근 상황을 걱정하는 모습이다.
문대통령은 2018년 7월 토마스 바흐위원장이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감사의 뜻이 담긴 올림픽훈장을 수여하기 위해 방한했을 때 2032올림픽 공동개최에
대한 뜻을 밝혔다. 이에 바흐위원장은 올림픽 유산을 남기고, 올림픽
운동을 계속 유지해 달라는 부탁을 했다. 우리는 IOC와의
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토마스 바흐 위원장의 요청을 받아들여 평창올림픽재단을 만들고, 또 2024동계유스올림픽 개최를 하게 됐다. 그럼에도 정부의 관련부처는
대통령이 던진 ‘염화시중의 미소’를 읽지 못한채 IOC를 향해 헛주먹을 날리고 있다. 우리에게는 정녕 스포츠외교 전문가는 없는가?
sungbaseball@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제공 스포츠서울
'스포츠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14편(秘史동계올림픽IOC평가단 실사 회의 주제 관통 환경친화적인 에피소드) (0) | 2020.09.22 |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13편(교세라 Dome Osaka 일본 프로야구의 중심에서 투구해 보다) (0) | 2020.09.21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12편(대한체육회(KSOC) IOC자격정지 징계조치적용대상후보로 부상) (0) | 2020.09.20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11편(IOC의 최근 자격정지조치 대상 NOC들(쿠웨이트 및 인도) 사례 벤치마킹) (0) | 2020.09.19 |
스포츠외교현장이야기실록110편(秘史올림픽대회 한국선수단 단골 국제단장대행 만능 해결사 겸 Multi Player 시절 필자 첫 Mentor 김하중 장관 및 대사)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