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18. 6. 9. 14:09

[서울1988올림픽이 평창2018성공의 길을 안내하다(Seoul 1988’s on-going success story Points way forward for PyeongChang 2018)서울올림픽 30주년 기념 제4편 스토리]

 

 

아래 글은 평창2018개회식을 앞두고 평창동계올림픽 해외홍보확산을 위한 인터뷰내용입니다.

 

서울1988올림픽은 개최 전까지 대한민국 국교수교국이 60개국 남직한 상태에서 159개국이 참가하여 외교 대박(Diplomatic Jackpot)을 터뜨렸던 대한민국외교사와 한국스포츠외교사의 분기점이었습니다.

 

서울1988올림픽이후 봇물처럼 터진 공산권 국가들과의 수교 릴레이는 대한민국이 세계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음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그 첫 단추는 헝가리와의 수교였습니다.

 

서울1988올림픽은 그 당시 근 20년간 표류하고 위기에 빠졌던 올림픽과 올림픽운동을 일취월장의 화합과 대 단합 그리고 황금알 낳는 올림픽거위로 변모시킨 일등공신임에 틀림 없다고 자부합니다.

 

동서독의 통일이 서울1988올림픽 개최 다음해에 전격 성사되었으며 그 후 2년 뒤인 1991년 소련 미하일 고르바초프(Michael Sergeyevich Gorbachev) 당서기장 겸 소련초대 대통령의 개혁(Perestroika) 개방(Glasnost)으로 이어지게 된 단초를 제공한 셈입니다.

 

(2008 Beijinng올림픽에서 조우한 구 소련 출신으로 당시 국제체조연맹<FIG>회장 겸 최단기 IOC위원으로 역임한 Yuri Titov회장과 함께)

 

 

소련 위성국가들 중11개 독립국가연합(CIS: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로루시 · 몰도바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타지키스탄 · 키르키즈스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젠 공화국으로, 1993년 그루지야가 가입함으로써 12개국으로 확대됨)들은 브레즈네프 독트린/(Brezhnev Doctrine)에 의해서 이어졌던 압박과 속박의 사슬을 1989 10 28일 바르샤바 조약기구 외무장관회의에서 브레즈네프 독트린이 공식적으로 폐지됨으로써 대거 자주독립하는 도화선으로 작용한 계기가 서울1988올림픽이라고 세계사 적으로 재 조명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1986 미국과 소련이 아이슬란드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군축에 합의했다. 그해 소련 체르노빌에서 원자로가 폭발했다.

1988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에스토니아 등이 소련 정부에 독립을 요구했다.

1991 소련 인민대표회의가 모든 소비에트 공화국들의 독립을 허용하고, 이듬해 1 1일을 기해 소비에트 연방이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출처: Daum백과)

 

 

따라서 서울올림픽은 동서 냉전 종식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30주년을 맞이한 금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되어 그 의미와 기여도를 재 조명하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필자가 서울1988하계올림픽과 평창2018 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에서 30년 세월을 이어 근무함으로써 대한민국 동 하계올림픽역사의 증인으로 2017년 중반기와 20181월 두 차례 서울올림픽기념관을 배경으로 미국 NBC TV와 같은 취지에서 유사한 인터뷰를 한 바 있습니다.

 

 

다음은 같은 맥락에서 해외언론대상으로 행한 영어 인터뷰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In his final remarks during the Closing Ceremony, the then President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OC) Juan Antonio Samaranch declared the Seoul 1988 Olympic Games to be “the best and most universal Games in history”.

 

It is extraordinary to consider that 30 years on Seoul 1988 still has a legitimate claim to this title. One man who was at the heart of the first Olympic Games to take place on Korean soil, and finds himself in a similar position for the second, is certain that legacy – a word adored by the IOC – is key to this on-going success story.

 

“We deserved another gold medal for legacy, the Games gave people the idea of Korea as a developed country, it put us on the doorsteps of advanced countries,” said Rocky Kang-ro Yoon, who served as a special assistant to Executive President of the Seoul 1988 Organising Committee and is now special advisor to Hee-beom Lee, President of the PyeongChang 2018 Organising Committee (POCOG).

“Now PyeongChang 2018 will put Korea in the middle row of advanced countries.”

 

Yoon has first-hand experience of Seoul’s hard legacy benefits.

 

“I used to live in the Seoul Olympic Village Apartment,” he said. “At the time we desperately needed more residential blocks. So they served a real purpose. It became a really popular place to live, and eventually one of the most expensive areas in Seoul.”

 

For a city that was in transition, the ’88 Games came at a perfect moment. Infrastructure was needed, and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Olympic Express Highway, a vital transport artery for the growing metropolis. Large areas were gentrified, with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water purification taking place in and around the Han River and Seoul Olympic Park even got its own version of London’s Hyde Park. Most crucially of all, particularly for the Olympic movement’s global image, money was left over.

 

“We had a black ink budget from the Games, a much higher surplus than  previous Games, US$350 million,” Yoon said. “We used it to create a Seoul Olympic Promotion Foundation, which acted like a bank for Korean sports.”

 

These tangible benefits were accompanied by something far more profound and ultimately, long-lasting.

 

“The Games did prompt the change in Korea to democracy, the June 29 declaration (1987) was made by Roh Tae-woo, the person who once served as President of the Seoul Olympic Games Organizing Committee (SLOOC) declared the Olympic Games open as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Yoon explained. “It was a stepping stone.”

 

This huge change, as welcome as it was, does make Yoon’s and his colleagues’ task in attempting to ensure PyeongChang 2018 replicates its predecessor’s success story a lot trickier to achieve.

 

“The government at the time was a de-facto dictatorship, so everyone, including the corporate enterprises, followed instructions,” Yoon said of Korea in 1988. “There was no conflict of interests, one word and everything was done.

 

“Now we are a democracy in full bloom,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control anything.”

 

The financial situation was also markedly different 30 years ago. In 1988, the local organising committee (SLOOC) had control of the sale of sponsorship and TV rights – Yoon remembers travelling to New York with the late LEE Young-ho, then-Executive President of SLOOC and Sport Minister to ink a global sales agreement with the agency IMG on behalf of NBC TV and in so doing Minister LEE “became the first person to sign a piece of paper and bring Korea a huge amount of money without selling anything”.

 

“Everything went smoothly, we had financial and political support, everything was opulent but these days we are under tight financial conditions,” Yoon confirmed. “Under those terms, Seoul ‘88 was paradise compared to PyeongChang 2018.”

 

Yoon, whose life has been dominated by the Olympic Games for the past 35 years, has passed on to POCOG as many of the lessons he’s learned as he can. Readers of this article should be pleased by one of his instructions.

 

“Tight finance is very important but well-spent money is better,” Yoon said. “We cut corners where we can but we have to spend money. Press relations for instance, we need to treat journalists as VIPs, the evaluation of the Games is down to their pens.”

 

Despite the restrictions on finances and the burdensome bureaucracy that come with democracy, Yoon does believe that PyeongChang 2018 will be a resounding success. Not only because POCOG won’t be “hammering and painting” during the Opening Ceremonies, like some recent hosts, but also because he sees the role of the local organising committee as having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Seoul edition.

 

“The IFs (international federations) in a close collaboration with relevant POCOG FAs (functional areas) will come and operate all the venues and competitions, the IBC will be controlled by OBS likewise with counterparts of the POCOG,, no problem. At the same time, POCOG, we also provide crucial Games-time services and logistics: transport, accommodation, volunteers,” he said. 

 

And for the country itself, he sees similar PR benefits to those achieved in 1988 and all for a negligible cost.

 

“The budget spent on the Games is nothing, just imagine if you wanted to advertise a country on the BBC, NBC, the LA Times, The London Times, everywhere , you would spend 10-times more than the budget, but for the Games they all want to come and talk about us,” Yoon said.

 

“State of the art technologies will be shown through the Games. There will be cultural festivities available every day around the region. We have great natural surroundings of both the mountain and the ocean to enjoy.   It’s a great opportunity to sell the Korean brand.”

 

It is perhaps too much of an ask for PyeongChang 2018 to match Seoul 1988 blow-for-blow, but Korea’s second attempt at hosting the world’s biggest sporting spectacle, may just give the Olympic movement a timely boost and set the stage for a successful Asian swing.

 

 

Posted by 윤강로
스포츠 외교2018. 6. 8. 16:17

[남북한 올림픽공동개최 줄다리기(Tug-of-War)협상타결조건의 변곡점과 성과(서울1988올림픽개최 30주년 기념) 3편]

 

 

 

 

북한측이 서울올림픽관련 제1차 남북회담에 들고 나온 조건은 다음의 8가지였습니다:

 

 

1) 단일팀에 의한 북 남한 공동주최(Joint Hosting by North and South with a single national team),

 

 

2) 코리아 올림픽이란 통합 타이틀 사용(The amalgamated title Korea Olympic Games),

 

 

3) 평양과 서울간에 경기종목 평등분배(Sports Disciplines equally divided between Pyongyang and Seoul),

 

 

4) 양측 수도에서 개폐회식 동시개최(Simultaneous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in both Capitals),

 

 

5) 올림픽 헌장 하에 양측 도시들이 공동 보증서 작성(Host Cities to make joint guarantees to IFs under the Charter),

 

 

6) 모든 선수, 임원, 여행객들의 육, , 공을 통한 자유로운 교환(Free Exchange in Travel for all Athletes, Officials, Journalists, and Tourists by Air, Sea, or Land),

 

 

7) TV방영권수익금 재 분배(Redistribution of Television Profits)

 

 

8) 공동조직위원회 구성(The Formation of a Joint Organizing Committee)

 

 

 

이러한 일방적인 8가지 제안항목들은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라도 개선하여 발전시킬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IOC는 이 단계에서 개회식 때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 바 있습니다:

 

 

 

(1) 올림픽 깃발을 앞 세우고 남북한 선수단이 공동 행진하는 것

 

(2) 마라톤 및 도로 사이클 경기 코스가 휴전선을 가로질러 남북한 지역을 관통하는 것

 

(3) 축구와 같은 단체종목의 예선전 몇 경기를 북한에서 개최하는 것

 

 

 

올림픽공동개최는 결코 IOC의 요망사항이 아니었을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1985년 로잔에서 열린 첫 번째 회담결과 최종 코뮤니케(Communique: 공동발표문)를 통해 추가적 논의가 필요하니 1986 1월 회담을 속개하자고 하였습니다.

 

 

 

이후 3 차례 회담이 속개되었으나 의견차이를 좁히는데 실패하여 회담이 결렬된 셈이었지만 4차례 명분뿐인 회담으로 시간을 벌어줌으로써 소련을 위시한 동구권 국가들이 대가 참여할 수 있도록 명분을 얻는 데는 성공하였습니다.

 

 

 

국제적인 안보전문가와 테러분석가들로부터 가장 위험한 시기는 올림픽이 열리기 전 2년 간 이라는 전망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올림픽이 시작되어 중국과 소련선수단이 도착하고 나면 서울은 지구상에서 가장 안전지대로 변할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한국은86 아시안게임 직후에 버마 아웅산 테러 사건을 겪은 바 있었습니다.

 

 

 

불안감은 1986년 겨울과 1987년 여름 동안에 고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한국에서는 경찰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유혈시위가 세계 각국의 신문과 방송을 타고 톱기사로 장식되었고 극적인 사진들까지 줄곧 보도되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한국의 정치불안에 따른 염려와 과잉대응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를 소유한 미국에서 정점에 달했습니다.

 

 

 

당시 한국은 개발도상국이었고 북한과 휴전상황에 놓여 있었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인 휴전선(DMZ)은 서울에서 불과 자동차로 1시간 거리에 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미국 ABC TV 명 스포츠 해설가인 하워드 코셀(Howard Cosell)전쟁 중이나 다름 없는 국가에서의 올림픽 개최는 어불성설이라고 부정적 발언까지 나왔던 상황이었습니다.

 

 

 

 

 

(United States Sports Academy 시상식에서 조우한 Howard Cosell과 함께/1989)

 

 

 

 

 

또한 그는 160여 개국의 회원국 중 불과 60개국과만 외교관계가 수립되어 있다니 말이나 될 법한가?라고 비난의 포문을 열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은 1980 1212전두환 장군이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당시 정치적으로 매우 불안한 상황이었습니다.

 

 

 

1980 7월 제22 IOC총회에서 8년 임기의 IOC위원장으로 선출된 사마란치(2011년 작고)로서는 이 모두가 고난과 혼란의 연속이었습니다.

 

 

 

 

 

(사마란치 IOC위원장 바르셀로나 집무실에서 개별 면담 후)

 

 

 

 

소련을 위시한 동구권 블록 국가들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다른 곳으로 옮겨 개최해야 한다고 연일 비판을 해댔습니다.

 

 

 

1984년 멕시코시티에서 개최된 제4 ANOC총회에서 당시 소련 체육성 장관 겸 NOC위원장인 그라모프(Gramov)는 강한 어조로 서울올림픽 개최지 변경문제를 공론화하여 총회의 주요쟁점으로 몰고 가고 있었으며 열띤 공방이 계속되었던바 있었습니다.

 

 

 

 

(Mario Vazquez Rana ANOC PASO회장 겸 IOC집행위원과 멕시코 시티 집무실에서)

 

 

 

 

결국 친한 파인 마리오 바즈케즈 라냐(Mario Vaquez Rana) ANOC회장과 사마란치(Juan Antonio Samaranch) IOC위원장 등의 서울올림픽 사수 전략이 대다수 NOC대표단의 호응을 받아 서울올림픽사수 멕시코선언문이 채택되었습니다.

 

 

 

이것으로 서울올림픽 개최지 변경논란은 일단락되었습니다.

 

 

 

그 결과 1988년 서울올림픽은 동서진영이 모두 참가(159개국)하는 화합과 전진(Harmony and Progress)의 대회가 되었으며 손에 손잡고(Hand in Hand) 이념과 정치 갈등을 넘어선 대회로 높이 평가 받게 되었던 것입니다.

 

 

 

 

 

 

 

 

평창2018은 서울1988올림픽 30주년되는 해에 열렸습니다.

 

 

30년 전 그룹 Koreana가 서울1988올림픽 주제가로 부른 “Hand in hand’의 구성진 노랫말이 귓가에 쟁쟁합니다.

 

[Hand In Hand] (노래: Koreana)

(1)

See the fire in the sky

We feel the beating of our hearts together

This is our time to rise above
We know the chance is here to live forever

For all time

 

(Refrain: 후렴)

Hand in Hand we stand
All across the land
We can make this world
A better place in which to live

Hand in Hand we can
Start to understand
Breaking down the walls
That come between us for all time
Arirang

 

 

Posted by 윤강로
스포츠 외교2018. 6. 7. 06:49

[서울1988올림픽유치우여곡절(Ups and Downs)과 성공스토리(Success Story)올림픽개최 30주년 기념 제2편]

 

 

 

 

1947년 대한올림픽위원회(KOC)가 우여곡절 끝에 IOC에 회원국으로 가입한지 31년만인 1978 924일부터 105일까지 서울올림픽유치의 근간이 된 제42회 세계사격선수권대회가 태릉 국제종합사격장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이 대회는 한민족 사상 최초로 한반도에서 개최된 세계, 국제, 글로벌 공식행사였다. 세계선수권대회를 주관하는 국제사격연맹(UIT)의 당시 회원국들 중 비록 비수교국인 공산권 국가들이 불참하였지만 각 대륙에서 68개국 1,500여 명이란 규모의 지구촌 스포츠가족들이 장차 서울올림픽유치를 향한 한국의 스포츠조직력을 증거할 계기가 된 셈입니다.

 

 

 

 

1979년에는 새롭게 창설된 제1회 세계공기총사격선수권대회와 사격에 이어 두 번째 세계선수권대회인 제8회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를 유치하여 잠실에 신축된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한국은 국제체육행사를 주최하는데 따르는 매력과 자심 감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사격선수권대회 미국 팀 통역으로 참가한 외대 영어과 재학중인 필자와 미국 여자 공기총사격선수 Ashley)

 

 

 

 

세계사격선수권대회를 유치하고 조직한 故 종규 당시 대한사격연맹회장은 1979 KOC위원장(추후 IOC위원 역임) 재직 시 박정희대통령에게 서울올림픽유치필요성과 당위성을 3가지로 요약 브리핑하여 내락 받았다고 합니다.

 

 

 

(1985년 동 베를린 IOC총회장에서 만난 SLOOC수뇌부와 사마란치 IOC위원장: 좌로부터 노태우 SLOOC위원장, 사마란치 IOC위원장, 박종규 IOC위원, 이영호 SLOOC집행위원장 겸 체육부장관)

 

 

 

첫째로 한국경제고도성장과 국가신인도 제고의 새로운 기점 마련이란 측면에서 1964년 도쿄올림픽개최당시 일본의 1인당 GNP $670 불 정도였으니 한국의 경제성장속도를 감안할 때 1988년에는 $2,000 불이 충분하다라는 판단이 섰다고 합니다.

 

 

 

일본도 1964년 도쿄올림픽을 기점으로 경제발전이 대 도약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올림픽을 계기로 일본은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외교 등 모든 분야에서 선진국 대열에 도약할 수 있는 제반 여건이 조성되었던 전례를 강조하였습니다.

 

 

 

둘째로 대결 국면의 남북한관계에 있어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기초석마련을 염두에 두었다고 합니다.

 

 

 

최대 우방국인 미국 시민들 조차도 한국은 한국동란 당시 의료진 이야기를 다룬

TV 시리즈드라마였던 MASH(Mobile Military Surgical Hospital: 이동육군외과병원)를 통해 전쟁참화에 찌 들린 나라 정도로 인식될 정도였고 따라서 한국을 모르는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한 북한의 집요한 허위날조 공세로 한국의 대외 이미지와 신인 도는 하한가수준이었습니다.

 

 

 

올림픽을 한국이 유치한다면 한국의 경제적 성장을 세계가 인정하는 것이고 외교 면에서 북한의 제3세계에 대한 공세를 원천 봉쇄하여 한국이 북한을 압도할 수 있는 기틀이 확고해 질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될 것이다라는 전망을 강조하였다고 합니다.

 

 

 

셋째로 세계 선진국대열에 동참할 수 있는 첫 단추 채우기의 안성맞춤이라고 설득하였다고 합니다.

 

 

 

국내외 한민족 모두를 자긍심으로 결집시킬 수 있는 단합대회이자 한국을 전 세계에 홍보 할 수 있는 최고의 시너지 효과거양은 물론 실질적으로 온 세계가 한국을 선진국으로 인정할 수있는 사회 제반 인프라 구축도 효과적으로 가시화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며 계기라는 점도 동시에 강조하면서 서울올림픽유치가 제3공화국을 결산하는 역사적 치적이 된다는 점도 생각해 주시라는 간곡하고 설득력 있는 화룡점정 적 브리핑덕분에 박정희 대통령으로부터 쾌히 승낙을 받아내게 되었습니다.

 

 

 

올림픽유치경쟁과 관련된 시험적 사전 스포츠외교 활동은 1979년 푸에르토리코의 상환(San Juan)에서 열린 세계각국 국가올림픽위원회총연합회(ANOC) 총회에서 태동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이 서울올림픽유치를 임시로 승인한 뒤의 일이었는데 한국 스포츠외교관들은 ANOC IOC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체라고 판단했습니다.

 

 

 

사실 국제 스포츠 계 판도를 정확히 집었으면 IOC가 얼마나 강력하고 ANOC는 친목 협력단체이지 IOC에 대한 압력이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단체라는 현실을 깨달았었을 것입니다. 그것이 당시 한국의 스포츠외교 눈높이였습니다. 

 

 

 

1979 921, 박정희대통령은 86서울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의 양대 게임유치를 시작하라는 계획을 최종 승인하여 주었습니다.

 

 

 

또한 제1086아시안게임도 함께 유치하여 88서울올림픽의 예비대회로 활용하도록 재가하였습니다.

 

 

 

1979 108일 당시 정상천 서울시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1988년 서울올림픽유치계획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계획은 같은 해 박정희대통령이 1026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 의해 암살당함으로써 커다란 시련에 봉착하기도 하였습니다.

 

 

 

1980 714박종규 전 대통령경호실장이 KOC위원장 과 KASA(당시 대한체육회 영문명칭: Korea Amateur Sports Association)회장 자리에서 사임하고 후임으로 조상호 KOC부위원장이 임명되었습니다.

 

 

 

 

또한 1980 1027전두환 장군이 제9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88서울올림픽 유치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조상호 KOC위원장은 1980 925, IOC본부에 88올림픽유치신청마감일을 텔렉스로 문의해 본 결과 1980 1130일이라는 회신을 받고 유치작업을 재개하였습니다.

 

 

 

KOC 116 KOC긴급확대 상임위원회회의를 열고 유치에 대한 찬반토론을 거친 뒤 득실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국가적으로 득이 된다는 결론을 도출한 KOC는 유치신청서를 제출할 것을 정부에 건의하였습니다.

 

 

 

반면 서울시는 재정부담을 염려한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하였지만 전두환대통령은 1130일 유치신청서에 최종 서명하였고 그 유치신청서는 IOC가 정한 마감시한 내에 제출되기에 이르렀습니다.

 

 

 

KOC 121일 서울올림픽유치에 대한 지지입장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후 발 빼기 시도가 있었지만 전두환대통령은 유치경쟁을 계속해야 한다는 건의를 받아들였고 이런 교착상태를 타개하고 나선 것이 당시 노태우 정무2장관이었습니다.

 

 

 

노태우장관은 8월 말 체육 계, 외무부의 재외공관, 학 계 등 각 계의 의견을 종합하여 서울올림픽 유치의 승산과 당위성에 확신을 가지고 전두환대통령에게 특별 건의한 결과였습니다.

 

 

 

전두환대통령은 88올림픽은 기필코 서울로 유치해야 한다라는 단호한 결의를 보이면서 노태우장관이 국무총리 행정조정실에 구성된 88올림픽 유치특별대책반을 진두 지휘하도록 특명을 내렸습니다.

 

 

 

94일 개최된 비상대책회의는 노태우장관이 주재하였는데 이규호 문교부장관, 노신영 외무부장관, 박영수 서울시장, 이상주 청와대 문교수석비서관, 이선기 국무총리실 행정조정실장, 전상진 KOC부위원장이 참석하였습니다.

 

 

 

 

(1979 108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회의실에서 정상천 서울시장이 국내외 기자회견을 열고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 계획’을 공식 발표하고 있습니다. 직후 ‘10·26’으로 박정희가 피살되면서 무산됐던 유치 계획은 80년말 전두환 정권에 의해 재추진되면서 정주영에게 유치 민간위원장의 책임을 맡기게 됩니다. 맨 왼쪽부터 정주영 전경련 회장, 박충훈 무역협회장, 김택수 IOC 한국위원, 정 시장  <한겨레> 자료사진)

 

 

 

 

이 회의를 계기로 일본의 나고야를 막판의 세기적 역전승(52:27)을 가져 온 서울올림픽 유치활동은 노태우장관과 유치위원장을 맡은 정주영 현대그룹회장 그리고 박종규 KOC위원장 등에 의하여 주도되었습니다.

 

 

 

당시 WTF총재로서 국제스포츠 계 인사들과 잘 통하여 바덴바덴(Baden-Baden) 총회 장을 누비고 활동한 김운용 IOC부위원장도 큰 몫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박종규회장은 당시 IOC위원들에게 영향력이 지대한 Horst Dassler ADIDAS회장과 비밀회동을 갖고 실질적인 역전득표작전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전해진 바 있습니다.

 

 

 

 

 

(1985년 동 베를린 개최 IOC총회 시 회동한 Horst Dassler와 이영호 SLOOC집행위원장 겸 체육부장관)

 

 

 

 

1981 930일 서독 바덴바덴에서의 기적은 박종규 대한사격연맹회장 겸 KOC위원장의 야망으로 시작되어 노태우장관이 총괄지휘하고 정주영 현대그룹회장을 비롯한 유치 단 멤버들의 불철주야 주도면밀하고도 역사적인 천둥번개작전(Thunderbolt Operation)에 의해 화룡점정 된 것입니다.

 

 

 

박종규회장의 꿈, 박정희대통령의 결심, 전두환대통령의 유치신청결단, 노태우 정무2장관의 확신 찬 진두지휘에서 보듯이 우리나라 정부의 지도층은 서울올림픽의 꿈의 불씨를 살려 찬란히 지피도록 견인차 역할을 다하였습니다.

 

 

 

바덴바덴 대첩의 기적은 그 후 개최되기까지 7년 간 숱한 우여곡절과 고비를 슬기롭게 극복하면서 1988 917일 동서양이 한반도에 모두 모여 손에 손잡고(Hand in Hand) 벽을 넘어서 올림픽을 통한 세계 대 단합과 인류화합의 합창을 부르게 된 것입니다.

 

 

 

 

(1981 930 IOC 총회에서 88올림픽 개최도시로 서울이 선정된 직후 정주영은 유치위원장으로 가장 먼저 ‘유치확정서’<올림픽개최도시 협약서/HCC>에 서명했다. <한겨레> 자료사진)<뒷줄 좌로부터: 최만립 KOC명에총무, 전상진 KOC부위원장, Mme. Monique Berlioux IOC 사무총장>

 

 

 

 

세계는 서울로, 서울은 세계로(The World to Seoul, Seoul to the World)

그 과정에서 북한의 개최지 변경 공작, 아웅산 테러, 북한의 서울올림픽 공동개최 주장, 김포공항 테러, 국내 정치정세의 급변, 6.29 민주화 선언, 대통령 선거, KAL 858 폭파 사건 등 수 많은 위기와 질곡의 세월을 넘어 88서울올림픽은 20세기 최고의 올림픽으로 승화되고 회자되고 있는 것입니다.

 

 

 

Posted by 윤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