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가 염두에 두어야 할 한국스포츠외교의 실상과 스포츠외교관활용 Part XII (한국스포츠외교의 현재와 차세대 스포츠외교관 육성방안)]
1. 한국 스포츠 외교의 현주소
*Stagflation (Stagnation + Inflation)
1) IOC위원 수로 본 한국 스포츠외교위상
유럽과 미국은 차치하고 아시아에서 중국, 일본(각 3명 )은 Tokyo2020을 계기로 모두 3명 보유국이 되었습니다.
한국은 현재 2명인대 향후 각각 2024년(유승민 선수자격 IOC위원/8년 임기만료)과 2024년내지 2025년(이기흥 NOC자격 IOC위원/70세 연령제한)이면 모두 IOC위원직에서 면직되어 “IOC위원 제로 시대”가 도래합니다.
(상단 좌로부터 故 박종규 IOC위원, 故 김운용 IOC위원, 故 이건희 IOC위원, 박용성 IOC위원/하단 좌로부터 문대성 한국 1대 선수자격 IOC위원, 유승민 2대 선수자격 IOC위원, 이기흥 NOC자격 IOC위원<사진 좌-2>, 전이경 한국 초대 IOC선수위원)
물론 최근 국제빙상경기연맹(ISU)회장으로 선출된 김재열 前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이 국제연맹(IFs)회장 자격 IOC위원 선출 가능성이 생기긴 하였지만 딱 부러지게 언제가 될지는 아직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한국은 1947년 6월 20일 제41차 스톡홀름 IOC총회에서 KOC가 IOC회원국 NOC로서 승인을 받은 지 8년 만에 배출한 한국의 첫 IOC위원(이기붕 부통령)시절인 1955년도 당시 수준에 불과한 위상으로 쇠락하였다가 다시 권토중래 2008년 베이징올림픽 당시 문대성 선수(2004년 아테네올림픽 태권도 금메달리스트/동아대 교수)의 IOC위원(선수자격)선출 덕분에 다시 IOC위원 2명 보유국가로 회귀한 바 있었습니다.
한때 한국출신 IOC위원 3명(김운용-이건희-박용성) 모두 IOC로부터 IOC위원 자격정지(suspension)처분을 받은 바 있었습니다.
물론 이들 3명은 각기 다른 시점에서 대통령특별사면복권을 받았으나 이들 중 2명(이건희-박용성)은 IOC위원자격도 복권되었다가 추후 모두 중도에 자진 사임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 IOC위원들은 정치적 영향력에 취약하다는 국제적 시각과 평가도 있었습니다.
이들 한국 IOC위원 3명 중 한 명인 故 김운용 IOC부위원장은 불운하게도 IOC위원 자격정지상태에서 국내외 정치적 상황(2005년)으로 IOC위원 직에 복귀도 하지 못한 채 옥중에서 자진사퇴 하였고, 또 다른 한 명인 박용성 국제유도연맹회장은 국제연맹자격 IOC위원으로 복귀는 하였으나 국제적 상황(2008년 초)으로 자의 반 타의 반 IOC위원 직 자진사퇴의 사례도 있었습니다.
故 이건희 IOC위원 또한 장기 와병 중 2017년 8월 가족에 의해 자진 사임한 바 있습니다.
문대성 선수자격 IOC위원(2008~2026) 역시 불미스러운 일로 명예로운 임기만료 수순을 밟지는 못하여 자신의 마지막 임기 올림픽인 Rio2026에도 참가하지 못한 바 있습니다.
"Not innocent until found innocent. (무죄가 밝혀지기 까지는 무죄가 아니다)
"Not guilty until found guilty" (무죄추정의 원칙)
현재 한국에는 IOC위원이 2명(유승민 대한탁구협회장-이기흥 대한체육회장)있는데 유승민 IOC위원(선수자격)은 2024년에, 이기흥 IOC위원(NOC자격)은 2024년 또는 2025년에 임기가 만료되어 2~3년후면 한국은 IOC위원 제로 시대를 맞이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2) 향후 차세대스포츠외교관 육성 방안
그 동안 자생적으로 스스로의 노력으로 스포츠외교관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국제현장경험에 바탕을 둔 (1)스포츠 외교 관련 애로사항, 건의사항, (2)현재 한국 스포츠 외교의 문제점, (3)최근 실행되고 있는 스포츠외교인력양성 국내외 프로그램의 허와 실, (4)향후 차세대 스포츠외교인력양성계획에 대한 진솔한 평가와 대책, (5)기존 스포츠 외교 인력의 체계적인 네트워킹, (6)지속 발전 가능하고 국제적 인지도와 활용잠재력이 출중한 스포츠외교인적자원에 대한 국가차원의 전폭적 지원, (7)국제스포츠 외교전문가 등에 대한 곱지 않은 편향된 시각과 불필요한 갈등관계를 화합과 협력 동반자의 관계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등 광범위하고 피부에 와 닿는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수순을 밟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국제스포츠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이나 국제스포츠 외교현장에서 열심히 활발하게 뛰고 있는 인사들에 대한 평가는, 일부 신성불가침적(?) 인사들을 제외하고, 대체로 시기와 질투, 심지어 음해성 헐뜯고 깎아내리기의 단골 대상으로 전락하곤 하는 것이 체육계의 고질적인 병폐였습니다.
동시에, 이들 중 몇몇 대상은 국제적으로 소위 잘 나가고 인정받는 상황이 되고 이에 따른 잦은 해외 출장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국내 스포츠 인사들과의 접촉이 빈번하지 못해 국내 스포츠 인사들과의 네트워킹이 원활하지 못 할 경우에 평소 특정 대상 인물에 대해 탐탁하지 않게 여겨온 비뚤어진 심성을 가진 소수 인사들이 주동이 되어 이러한 국제 스포츠 외교 인력들에 대해 감싸주고 격려하여 국제적으로 뻗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는커녕 건방지고 설치고 잘난 척하고 해외출장을 독식하는 아주 이기적인 사람으로 폄하하여 매장 시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