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NBC TV 2032년올림픽까지 방영권 IOC와 계약체결과 IOC의 TV수익금 배분비율 현황]
IOC가 2032년까지 하계·동계 6개 올림픽의 미국 내 방영권에 대해 NBC방송사와 76억5000만달러(약 8조5500억원)의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IOC가 수익의 약 70%를 TV 중계권료에서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 NBC TV가 IOC에 지불한 올림픽 방영권료(2014~2020)
2018년 동계올림픽개최도시 선정 전에 2018년 동계올림픽을 포함하여 향후 동 하계 4개 올림픽 미국지역 중계권료로 무려 US$43억8,000만불(한화 약 5조 2,580억 원)이란 역대 최대규모의 천문학적 액수가 확정된 바 있다.
지난 2011년 6월7일 미국 NBC TV사는 2014년~2020년 6년간 4개 동 하계올림픽대회 미국지역 TV 방영권자로 최종 낙찰되었다고 IOC가 공식 발표한 바 있다.
IOC는 약 5조 2,580억 원에 달하는 올림픽 사상 최대규모의 TV방영권 계약 체결이라는 대박을 터뜨린 셈이었다.
그것도 미국 지역만 그렇다.
이 패키지 TV중계권 계약은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2016년 리오 올림픽,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및 2020년 올림픽 등 4개 동 하계올림픽을 모두 아우르는 지구상 초대형 수퍼 빅딜에 해당한다.
NBC는
1)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 US$7억7,500만 불(약 9,200억 원),
2) 2016년 리오 올림픽에 US$12억2,600만 불(약 1조 5천억 원),
3)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 US$9억6,300만 불(약 1조 1,600억 원),
4) 2020년 올림픽에 US$14억1,800만 불(약 1조6,000억 원)씩 지불한 바 있다.
2. 올림픽TV방영권료 지분비율
1) 역대 TV중계권료 배분 원칙
과거 역대 올림픽 TV 방영권 판매대금의 주요 부분은 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OCOG)측으로 귀속되어 왔었다.
TV 방영권료는 총액의 20%가 개최국 방송 기술시설비에 사용되고 나머지 80% 금액 중 2/3는 개최국, 1/3은 IOC로 배정되었던 바 있다.
그리고 또 다시 IOC배정 분은 각 올림픽 종목국제경기연맹(IFs), 각국 올림픽 위원회(NOCs), 그리고 IOC 등으로 3등분 되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IOC는 결국 9%만을 차지하기도 하였었지만 최근 들어 TV 방영권료와 TOP 스폰서 후원금의 증액으로 TOP V(2000-2004)부터는 IOC에 할당되는 지분은 모두 합친 금액의 10%대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서울1988올림픽 당시 배분 율
이와 같은 맥락에서 1988년 서울올림픽의 경우, 총 방영권료 총액의 2/3(66.6%)에 해당하는 지분율 + 방송시설 공제비용을 조직위원회(SLOOC) 몫으로 안정하여 할당 받은 바 있다.
3)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이후 TV중계원료 배분 율 변화 추이
그 이후, TV방영권료 지분배율이 Sydney2000 및 Salt Lake City2002대회 시에는 방영권료가 증가일로에 이르면서 배분 율을 줄여 OCOGs가 당초 66.6%에서 60%로 올림픽운동(IOC/IFs/NOCs)이 나머지 40%이었지만 방영권료가 더 크게 증액되면서 2004년 아테네부터는 OCOGs(동 하계 올림픽 대회 조직위원회)에 49%, IOC/Olympic Solidarity<NOCs배분 프로그램>/IFs로 나머지 51%가 분배(分配)되어 온 바 있다.
<Olympic Broadcasting Revenue Distribution>
-49%(동 하계 OCOGs 각각)
-51%(IOC, Olympic Solidarity/NOCs 배분 프로그램 및 IFs)
* USOC지분: TV방영권료 재분배 전 미국지역 방영권료의 10% 대(합의된 변동 배분비율 재 확인 요망)
*Sydney2000올림픽, Salt Lake City2002동계 올림픽까지는 OCOGs: 60%, 올림픽운동(OC/IFs/NOCs): 40%
3. Olympic Marketing Fact File에 기존에 명기되었던 분배율 실종
-IOC가 현재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는 2015년도 Olympic Marketing Fact File 상에는 상기 Olympic Broadcasting Revenue Distribution 도표 자체가 삭제되었다.
-하지만 평창2018의 경우는 2011년도 Olympic Marketing Fact File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합법적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USOC지분 율도 확인한 후 계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역대 올림픽 미국 지역 TV중계권료 계약체결 현황(1960년~2020년)
1960동계(Squaw Valley)/미국 CBS TV/15시간/$5만 불
1960하계(Rome)/미국 CBS TV/20시간/ $39만4,000불
1964동계(Innsbruck)/미국 ABC TV/17과 1/4시간/$59만7,000불
1964하계(Tokyo)/미국 NBC TV/14시간/$150만 불
1968동계(Grenoble)/미국 ABC TV/27시간/$250만 불
1968하계(Mexico City)/미국 ABC TV/43과 3/4시간/$450만 불
1972동계(Sapporo)/미국 NBC TV/18과 1/2시간/$640만 불
1972하계(Munich)/미국 ABC TV/62와 3/4시간/$750만 불
1976동계(Innsbruck)/ 미국 ABC TV/43과 1/2시간/$1,000만 불
1976하계(Montreal)/ 미국 ABC TV/76과 1/2시간/$2,500만 불
1980동계(Lake Placid)/ 미국 ABC TV/53과 1/4시간/$1,550만 불
1980하계(Moscow)/ 미국 NBC TV/150시간/$8,700만 불(미국의 대회 보이콧으로 올림픽 중계 철회)
1984동계(Sarajevo)/미국 ABC TV/63시간/$9,150만 불
1984하계(LA)/ 미국 ABC TV/180시간/$2억2,500만 불
1988동계(Calgary)/ 미국 ABC TV/94와 1/2시간/$3억 900만 불
1988하계(Seoul)/ 미국 NBC TV/179와 1/2시간/$3억 불
1992동계(Albertville)/ 미국 CBS TV/119와 1/2시간/$2억4,300만 불
1992하계(Barcelona)/ 미국 NBC TV/161시간/$4억100만 불
1994동계(Lillehammer)/ 미국 CBS TV/120시간/$3억 불
1996하계(Atlanta)/ 미국 NBC TV/168시간/$4억5,600만 불
1998동계(Nagano)/ 미국 CBS TV/128시간/$3억7500만 불
2000하계(Sydney)/미국 NBC TV/162와 1/2시간/$7억500만 불
2002동계(Salt Lake City)/ 미국 NBC TV//$5억4,500만 불
2004하계(Athens)/ 미국 NBC TV//7억 9,300만 불
2006동계(Torino)/미국 NBC TV//$6억1,300만 불
2008하계(Beijing)/미국 NBC TV//$8억9,400만 불
2010동계(Vancouver) 및 2012하계(London)는 통합협상으로 미국 NBC TV// 총 $22억 불
2014동계(Sochi)/ 미국 Comcast/NBC TV//$7억7,500만 불
2016하계(Rio)/미국 Comcast/NBC TV//$12억2,600만 불
2018동계(평창)/미국 Comcast/NBC TV//$9억6,300만 불
2020하계(?)/미국 Comcast/NBC TV//$14억 1,800만 불
(This is crucial for NBC,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the U.S. Olympic & Paralympic Committee, whose finances are strongly tied to NBC’s commitment to the Games through 2032. In 2011, NBC agreed to a $4.38 billion contract for the 2014-20 Games, then extended for 2022-32 via a $7.75 billion contract in 2014.)
'스포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스포츠 계 2021년도 10월 현재 주요 최신동향 종합 요약 Part III(국제종합대회 Update) (0) | 2021.10.08 |
---|---|
국제스포츠 계 2021년도 10월 현재 주요 최신동향 종합 요약 Part I (0) | 2021.10.04 |
Beijing2022동계올림픽성화인도(10월19일)1주일소요그리스구간 하루로 단축 (0) | 2021.09.25 |
FIFA월드컵축구 4년주기에서 2년주기개최제안성사 가능할까? (0) | 2021.09.25 |
미국의 Beijing2022동계올림픽 잠재적외교보이콧(Potential Diplomatic Boycott)파장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