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외교2020. 3. 4. 09:46

[미국올림픽 및 패럴림픽위원회(USOPC)의 위원장 등 수뇌부 선출과정 벤치마킹 Part II]

 

 

1. 세계 스포츠 최 강국 겸 선진국 미국의 올림픽위원회위원장 선출방식 사례

미국의 경우 NOC(USOC)위원장 선거는 USOPC(2019 620일부로 “USOPC”로 명칭 변경)의 최고의결기관 격인 집행이사회(BOD: Board of Directors)가 권한을 위임 받아 올림픽운동에 기여할 만한 경력과 배경과 경륜을 겸비한 인사를 검증한 뒤 한국처럼 대규모 선거인단 대신 스포츠 계 지도자급들로 구성된 집행이사회(BOD)에서 검증과 협의를 통해 위원장(USOPC집행이사회 의장 겸 미국 NOC위원장)선출문제를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SOPC 16명의 집행이사들(16-member board of directors) CEO가 최고책임자인 사무처전문직원들(a professional staff headed by a CEO)에 의해 운영된다.

USOPC패럴림픽’(Paralympic)이란 단어를 NOC명칭에 포함시킨 세계 최초의 NOC이다.

USOPC 3개의 특별자문평의회(three constituent councils로 구성되어 있는데 선수자문평의회(AAC: Athletes’ Advisory Council), 각 종목경기단체연합 평의회(NGSSC: National Governing Bodies Council) 및 다중종목 스포츠관장조직 평의회(MSOC: Multi-Sport Organizations Council)를 포함하여 집행이사회(board of directors) USOPC사무처 직원들에게 의견전달 및 자문역할/to serve s sources of opinion and advice to the board and USOPC staff)을 담당하고 있다.

 

               (USOPC 조직 및 지배구조 도표)

 

 

선수자문평의회(AAC: Athletes’ Advisory Council)와 종목경기단체연합 평의회(NGSSC: National Governing Bodies Council)출신 임원 각 3명씩 6명과 개인자격 독자적 6명 등 12명을 비롯하여 USOPC CEO 1명과 미국 IOC위원 2명은 당연 직 집행이사로 모두 15(당초 16명에서 NOC위원장 자격 IOC위원이었던 Larry Probst USOC위원장 사임으로 1명 감소)으로 구성되어 있다.

 

3개 특별자문 평의회 외에 패럴림픽 자문위원회(PAC: Paralympic Advisory Committee)와 대내외 전문가들로 구성된 실무그룹(Working Groups) USOPC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조직운영에 만전을 기하도록 협조하고 있다.

 

향후 대한민국 NOC도 미국 방식을 벤치마킹 하여 유사한 조직 및 지배구조를 응용하고 적용하여 운영하는 것도 현재 복잡다단한 조직 및 지배구조를 지양하여 고려해 봄직하다.

 

현재 대한체육회(KSOC: Korea Sports and Olympic Committee/대한 체육올림픽위원회)의 경우 국민생활체육회롤 통합한 엘리트 및 생활체육을 한데 아우르는 거대 조직이다.

 

향후 운영상, 지배구조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기존 (1)대한체육회+국민생활체육회와 (2)대한올림픽위원회+한국 패럴림픽위원회(KOPC: Korea Olympic and Paralympic Committee)과 같이 양대 통합조직으로 새롭게 출범하는 방식도 역시 생각해 볼 수 있다.

앞으로 분리든지 대 통합이든지 관계없이 KOC에 대한 법적 지위부여문제는 스포츠선진국으로 가기 위한 시금석이다.

법적 지위가 공고해야 스포츠외교가 바로 선다. “정직이 최선의 정책이다 (Honesty is the best policy).”

 

대한민국NOC가 올림픽헌장 규정에 충실해야 하는 것은 올림픽이나 세계선수권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들을 해당종목 관장 국제경기 연맹이 제정한 경기규칙과 규정에 부합되도록 선발하고, 그 선발된 선수들은 국가대표선수들로서 성실하게 규정을 준수하면서 경기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페어플레이정신은 스포츠맨십(sportsmanship)과 신사도(gentlemanship)을 지켜주는 초석이기도 하다.

열정적 노력과 헌신적 희생이야말로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2. 미국올림픽 및 패럴림픽 위원회(USOPC) 수뇌부 총괄의사결정 Bench Marking

 

1.   Cory Gardner 미국 상원의원, USOC 조직 전면개편 법안 도입

 

USOC는 끊임 없이 비판에 직면하여 오고 있는데(continued to face criticism) 2019 1월 초 50명 이상의 올림픽참가 경력의 선수들 그룹이 USOC이사회 전원 및 지휘부 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having called for the "near complete" resignation of the organisations board and senior leadership earlier this month)

 

콜로라도 주 상원의원(a senator for Colorado)Cory Gardner USOC조직개편을 촉구하였다(called for changes to the organization)

 

 

 Senator Cory Gardner has introduced legislation which, if approved, could see a Commission assess the structure of USOC ©Getty Images(Cory Gardner 콜로라도 주 상원의원/출처: insidethegames)

 

 

Gardner상원의원은 USOC조직구조를 연구검토 할 16명으로 구성된 특별위원회 설치하는 것(would establish a 16-member commission to study the structure of USOC)을 기조로 한 법안을 도입하여(introduced legislation) 채택되면(if adopted) 가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동 특별위원회 구성멤버들은 체육분야, 옹호전문분야 또는 코칭 등에 경험을 필요로 하며(required to have experience in athletics, advocacy, or coaching) 16명 중 절반인 8명은 올림픽 및 패럴림픽 참가경험이 있는 선수들로 구성될 것(half of which would be comprised of Olympians or Paralympians)이라고 알려졌다.

 

특별위원회 위원들은 USOC이사회에 다양한 구성원들로 포진할 것인지 여부결정(reportedly determine whether USOCs board includes diverse membership)과 기존 라이선스 와 기금운영 계획을 비롯하여 각 종목 별 가맹경기단체들에 대한 관리감독 및 올림픽 및 패럴림픽 미국유치노력에 대한 검토작업을 수행 할 것(review existing licensing and funding arrangements, oversight of sports' National Governing Bodies, and efforts to take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to the United States)으로 보도된 바 있다.

 

동 특별위원회는 이러한 검토작업 수행 후 최종 검토보고서에 진상조사결과와 결론도출내용 및 권고내용들을 포함하여(with their finding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미의회에 제출할 것(then submit a final report to Congress)으로 알려진 바 있다.

 

다음은 Gardner상원의원의 발언 내용이다:

 

A.  In Colorado, were proud of our Olympic city, Colorado Springs, and all that our Olympic athletes mean to our great state.(콜로라도 주의 경우, 우리는 올림픽도시인 콜로라도 스프링스와 우리 미국 올림픽선수들이 우리 주에 의미하는 바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

 

B.  But we know we can do better.(하지만 우리는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

 

C.  Thats why Ive introduced legislation today to make sure we are taking a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Olympic Committee so that its presence in Colorado can grow even stronger and we can do a better job looking out for the futures of our Olympic and Paralympic athletes.(바로 그 이유로 나는 오늘 새로운 법안을 도입하였는데 이는 올림픽위원회의 조직구조에 대하여 확고하게 살펴봄으로써 콜로라도 주에 소재하고 있는 USOC가 더욱 강력하게 성장할 수 있고 우리 올림픽 및 패럴림픽 선수들의 미래를 조망하며 더 나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취지임)

 

 

직면한 도전과제들에도 불구하고(despite the challenges) USOC는 당시 LA2028올림픽조직위원회와 함께 대회 준비에 동참하고(currently preparing for Los Angeles 2028 Summer Olympics, alongside the Organising Committee) 있는 상황이었다

 

2018년에 Salt Lake City 역시 USOC에 의해 2030년 동계올림픽 유치선호 후보도시로 선정된 바(also selected as their preferred city to bid for the 2030 Winter Olympic Games by USOC) 있다고 하였는데 2020 2 2034년 동계올림픽유치로 선회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다음은 이어지는 Hirshland USOC사무총장의 인터뷰 내용이다:

 

A.   I feel really good about Los Angeles. (나는 LA대회 준비에 대하여 감이 매우 좋음)

 

B.  Its 10 years out, but the fundamental economic model is really strong because the infrastructure is where the huge part of the cost is.(앞으로 10년 후 대회지만 근본적인 경제적 모델이 강력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인프라 조성이 대회 소요경비 조달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임)

 

C.  And the infrastructure was either there or was already in the plan to be built as part of Los Angeles natural development.(그리고 소요인프라는 기존 시설로 존재하고 있거나 이미 계획 상에 포함되어 있어서 LA자연 개발의 일환으로 건설될 것임)

 

D.  We have been very clear in selecting Salt Lake, to not encourage other cities to prepare to host a Winter Games.(우리는 동계올림픽 개최 준비를 하는 다른 도시들을 만류하기 위해 Salt Lake를 선정하는데 명확한 지침에 의거하였음)

 

E.  We have determined that Salt Lake is our best foot forward for the Winter.(우리는 Salt Lake가 우리가 보기에 동계대회를 향한 최선의 발판이라고 결정한 바 있음)

 

Hirshland는 대회출전을 목표로 하는 모든 잠재적 올림픽 선수들 및 패럴림픽 선수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하여 채워져야 할 수입금에 간격이 있음(a revenue gap, which would need to be filled to help all potential Olympic and Paralympic athletes as they aim to compete at the Games)을 인정하였다.

 

 

2.   Larry Probst III USOC위원장 포함 지휘부의 사임 사태

 

미국 여자체조 팀 닥터 Larry Nassar의 여자선수들 성폭력 스캔들로 촉발된 것으로 미루어 짐작되는 USOC수뇌부의 잇따른 사임이 2018년 한해 이루어 진 바 있었다.

USOC는 지난 2018 9 2008 10월이후 USOC이사회의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해 온 Larry Probst USOC위원장이 2018년 말 사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는 2017 3번째로 USOC위원장으로 선출되어 원래 임기는 2020년까지였다.

이러한 사실은 Probst USOC위원장이 Blackmun 사무총장이 이어 선수성폭력 스캔들에 따른 도의적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것이라는 정황적 근거라고 볼 수 있겠다

USOC이사회는 Susanne Lyons을 후임 USOC위원장으로 선임하고 그녀는 2019 1월부터 첫 4년 임기의 위원장 직무를 시작하였다.

Probst위원장은 임기 대부분의 시간을 2018 2월 사임한 USOC사무총장(CEO: Chief Executive Officer) Scott Blackmun(8년 재임)과 호흡을 맞춘 바 있다.

Blackmun의 사임은 그의 전립선 암 진단(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후 얼마 안 지나 나왔으며 그의 전립선 암 진단으로 평창2018에도 참석하지 못하였지만 그의 사임은 미국올림픽운동 전반을 요동치게 하였던 Larry Nassar성폭력 스캔들의 먹구름에 대한 책임소재와도 맞아 떨어졌던 것( also fell under the cloud of the Larry Nassar sexual abuse scandal that rocked the U.S. Olympic movement)이다.

그의 사임 후 후임자로 Susanne Lyons가 임시 CEO를 맡아 오다가 Sarah Hirshland 2018 8월경 정식 USOC 사무총장(CEO)로 지명된 바 있다.

Probst Blackmun Vancouver2010동계올림픽, London2012올림픽, Sochi2014동계올림픽, Rio2016올림픽 및 평창2018동계올림픽에서 미국 선수단이 훌륭한 성적거양을 위해 미국을 위한 양치기로서의 보살핌의 역할을 수행 한(shepherded the U.S. through successful showings) 바 있으며 다가오는 LA2028올림픽개최를 위한 기반조정에 도움을(also helping lay the groundwork for Los Angeles to host the 2028 Summer Games) 주었다

 

3.   USOC집행이사회 구성(16) USOC IOC와의 수입금 배분관련 재 협약조건

 

USOC(현 USOPC) 16명의 이사(16-memebr board of directors) 및 전문성을 가진 임원(a professional staff) CEO(사무총장)으로 구성되어 운영되는 집행이사회가 주요전권을 행사하고 있다.

 

USOC는 선거권이 있는3개의 자문이사회가 추가적으로 있는데 집행이사회와 USOA사무처에 의견 및 자문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자문이사회는 이뿐만 아니라 선수자문이사회, 종목 별 가맹경기단체 및 종합 스포츠조직 이사회에게도 의견 및 자문을 해 주고 있다.

USOC집행이사회(16)에는 선수자문이사회(AAC )및 종목 별 가맹경기단체이사회(NGBC)에서 각각 3명씩의 대표가 집행이사회 이사로 활동하며 6명의 독자적 이사들을 비롯하여 USOC위원장 Susanne Lyons USOC사무총장(CEO) Sarah Hirshland와 미국출신 IOC위원 2(Anita DeFrantz Kikkan Randall)가 당연 직 집행이사회 이사들(ex-officio members of the board)이다.

지난 2012 5, USOC지휘부는 IOC와 수십 년 묵은 수입금 배분관련 토론을 통해 IOC USOC간에 평화로운 미래로 가는 길을 새로 보수한 바 있었다.

새로운 협약서 내용은 USOC의 글로벌 인지도를 격상시켜주고 전 세계올림픽 스폰서 협약 및 미국 TV방송중계권료 배분 방법에 대한 구조조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동시에 USOC는 올림픽대회 경비조로 기여금을 제공하기로(while providing for USOC contributions to Olympic Games costs) 한 바 있다.

전 세계 올림픽 스폰서 협약 및 미국 방송권 수입금에 대해 명시한 27년 간이나 이어졌던 계약조건을 개정한 협약서(The agreement, revising 27-year-old terms governing the USOC's shares of worldwide Olympic sponsorship and U.S. broadcast rights revenue) USOC의 향후 수입금 수준을 현 수준으로 보존하고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물가변동증감 요인을 포함(preserves the USOC's future revenue at current levels and includes an escalator for inflation )하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협약서의 조건에 따르면, USOC(현 USOPC)에게 미국 TV방송중계권 수입금의 7% IOC의 글로벌 마케팅 스폰서 수입금의 10% 금액이 보장(Under the terms of the new agreement, the USOC is guaranteed seven percent of the U.S. broadcast revenue and 10 percent of the IOC's global sponsorship revenue)된다.

따라서 개정된 협약 서에 근거하여 USOC 4년 간 대략 US$4.1억불(4,920억원)에 덧붙여 인플레이션 보상금 및 2020년부터 시작되는 새롭게 성장되는 마케팅 분야에 대한 수입금 1%를 추가 지급 받게(The agreement guarantees the USOC approximately $410 million per quadrennium, plus inflation and a percentage of revenue from new growth areas, beginning in 2020) 되어 있다.

 

*References:

-insidethegames

-SportingNews

-LA Times

-Washington Post

-New York Times

-Wikipedia

-대한민국 스포츠외교실록(윤강로 저/출판 준비 중)

 

 

 

Posted by 윤강로 (Rocky YOON)